KR102330109B1 - 모바일 장치, 디스플레이 장치, 및 이를 이용하는 멀티미디어 출력방법 - Google Patents

모바일 장치, 디스플레이 장치, 및 이를 이용하는 멀티미디어 출력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30109B1
KR102330109B1 KR1020150000779A KR20150000779A KR102330109B1 KR 102330109 B1 KR102330109 B1 KR 102330109B1 KR 1020150000779 A KR1020150000779 A KR 1020150000779A KR 20150000779 A KR20150000779 A KR 20150000779A KR 102330109 B1 KR102330109 B1 KR 10233010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utput
multimedia
mobile device
external device
selected exter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007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136987A (ko
Inventor
김완수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PCT/KR2015/005279 priority Critical patent/WO2015182976A1/en
Priority to CN201510284549.2A priority patent/CN104853318A/zh
Priority to CN201911335874.1A priority patent/CN110995758A/zh
Priority to EP15169752.1A priority patent/EP2950548B1/en
Priority to US14/723,888 priority patent/US10270867B2/en
Publication of KR2015013698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36987A/ko
Priority to US16/390,518 priority patent/US10944840B2/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3010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3010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2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9/0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6Selective distribution of broadcast services, e.g. multimedia broadcast multicast service [MBMS]; Services to user groups; One-way selective calling ser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2Terminal devices

Abstract

모바일 장치가 홈 네트워크에 접속 시 모바일 장치에서 출력되는 멀티미디어가 미리 정해진 멀티미디어 장치에 출력되도록 하는 모바일 장치, 디스플레이 장치, 및 이를 이용하는 멀티미디어 출력방법을 제공한다.
모바일 장치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사진, 음악, 동영상, 및 문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멀티미디어를 출력하는 모바일 장치에 있어서, 멀티미디어를 출력하는 출력부; 및 모바일 장치가 미리 정해진 영역에 위치하면, 출력부에서 출력 중인 멀티미디어를 미리 정해진 외부기기를 통해 출력하는 제어부; 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모바일 장치, 디스플레이 장치, 및 이를 이용하는 멀티미디어 출력방법{MOBILE APPARATUS, DISPLAY APPARATUS, AND MUTIMEDIA OUTPUT METHOD USING THE SAME}
멀티미디어를 출력하는 모바일 장치, 디스플레이 장치, 및 이를 이용하는 멀티미디어 출력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들어, 유무선 데이터 통신 기술의 급격한 발달과 그 기반이 되는 통신 네트워크의 확대 보급은 인터넷 등과 같은 초고속 통신 서비스의 대중화를 가져왔다. 특히, 가정 내로 초고속 인터넷이 보급됨에 따라 기존에 이루어지던 PC 기반의 네트워크 구축 기술은 가정 내의 디지털 정보가전들을 원격지에서 제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홈 네트워크 기술로 발전하고 있다.
홈 네트워크 시스템은 가정 내에 설치되는 디지털 가전기기, 센서, 조명기기, 냉난방기기, 가스 기기 등을 근거리 유선 네트워크 또는 무선 네트워크로 연결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기기들을 시간과 장소에 구애받지 않고 제어할 수 있도록 하는 시스템이다.
이러한 홈 네트워크 시스템에는 멀티미디어를 출력하는 멀티미디어 장치가 포함될 수 있다. 복수의 멀티미디어 장치가 홈 네트워크를 통해 상호 연결되면, 사용자는 집안 어디서든 멀티미디어를 제공받을 수 있으므로, 멀티미디어에 대한 접근성이 높아진다.
모바일 장치, 디스플레이 장치 및 이를 이용하는 멀티미디어 출력방법의 일 측면에 의하면, 모바일 장치가 홈 네트워크에 접속 시 모바일 장치에서 출력되는 멀티미디어가 미리 정해진 멀티미디어 장치에 출력되도록 하는 모바일 장치, 디스플레이 장치, 및 이를 이용하는 멀티미디어 출력방법을 제공한다.
모바일 장치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사진, 음악, 동영상, 및 문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멀티미디어를 출력하는 모바일 장치에 있어서, 멀티미디어를 출력하는 출력부; 및 모바일 장치가 미리 정해진 영역에 위치하면, 출력부에서 출력 중인 멀티미디어를 미리 정해진 외부기기를 통해 출력하는 제어부; 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는, 미리 정해진 외부기기의 전원이 온(On) 상태인 경우, 출력부에서 출력 중인 멀티미디어가 외부기기에서 출력되는 것을 승인하는 입력이 인가되면 외부기기를 통해 멀티미디어를 출력할 수 있다.
제어부는, 미리 정해진 외부기기의 전원이 오프(Off) 상태인 경우, 외부기기의 전원을 온 상태로 변환시킬 수 있다.
제어부는, 미리 정해진 외부기기의 전원이 온 상태로 변환되면, 외부기기를 통해 출력부에서 출력 중인 멀티미디어를 출력할 수 있다.
제어부는, 출력부에서 출력 중인 멀티미디어에 동기된 멀티미디어를 미리 정해진 외부기기를 통해 출력할 수 있다.
제어부는, 미리 정해진 시간 범위 내에 모바일 장치가 미리 정해진 영역에 위치하면, 출력부에서 출력 중인 멀티미디어를 미리 정해진 외부기기를 통해 출력할 수 있다.
제어부는, 미리 정해진 외부기기가 복수 개인 경우, 미리 정해진 우선순위에 기초하여 출력부에서 출력 중인 멀티미디어를 출력할 외부기기를 결정할 수 있다.
제어부는, 미리 정해진 우선순위에 따라 외부기기의 전원이 오프 상태인지 확인하여, 전원이 오프 상태인 외부기기를 멀티미디어를 출력하는 외부기기로 결정할 수 있다.
제어부의 제어에 의해 출력부에서 출력 중인 멀티미디어에 대한 데이터를 미리 정해진 외부기기로 전송하는 통신부; 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는, 멀티미디어가 모바일 장치에 저장된 경우, 멀티미디어의 스트리밍 데이터를 미리 정해진 외부기기에 전송하도록 통신부를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는, 멀티미디어가 스트리밍 방식에 의해 출력되는 경우, 멀티미디어의 URL(Uniform Resource Locator) 주소를 미리 정해진 외부기기에 전송하도록 통신부를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는, 멀티미디어가 DMB 신호를 기초로 출력되는 경우, 멀티미디어의 채널 정보를 미리 정해진 외부기기에 전송하도록 통신부를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는, 모바일 장치가 미리 정해진 영역에 위치하면, 미리 정해진 외부기기를 통해 모바일 장치가 미리 정해진 영역에 위치함을 알릴 수 있다.
출력부는, 미리 정해진 외부기기의 설정에 대한 알림 이벤트를 출력하고, 제어부는, 알림 이벤트에 대한 입력에 따라 미리 정해진 외부기기를 제어할 수 있다.
출력부는, 미리 정해진 외부기기에 멀티미디어를 계속하여 출력할지 여부에 대한 알림 이벤트를 출력할 수 있다.
상기 전원을 온 상태로 변환시키는 신호를 상기 외부기기로 전송하는 통신부; 를 더 포함하고, 상기 통신부는, 상기 신호를 WoL(Wake on Lan), WoWLAN(Wake on Wireless Lan), 또는 블루투스 방식으로 전송할 수 있다.
상기 통신부는, Wifi 및 블루투스 중 적어도 하나의 방식으로 상기 출력부에서 출력 중인 멀티미디어에 대한 데이터를 상기 미리 정해진 외부기기로 전송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사진, 음악, 동영상, 및 문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멀티미디어를 출력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에 있어서, 미리 정해진 모바일 장치가 미리 정해진 영역에 위치하면, 미리 정해진 모바일 장치에서 출력 중인 멀티미디어를 출력하는 출력부; 를 포함할 수 있다.
출력부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전원이 온(On) 상태인 경우, 모바일 장치에서 출력 중인 멀티미디어를 출력할지 여부에 대한 알림 이벤트를 출력할 수 있다.
출력부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전원이 오프(Off) 상태인 경우, 미리 정해진 모바일 장치에 의해 전원이 온 상태로 변환되면 멀티미디어를 출력할 수 있다.
출력부는, 미리 정해진 시간 범위 내에 미리 정해진 모바일 장치가 미리 정해진 영역에 위치하면, 멀티미디어를 출력할 수 있다.
미리 정해진 모바일 장치로부터 멀티미디어에 대한 데이터를 수신하는 통신부; 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통신부는, 멀티미디어가 미리 정해진 모바일 장치에 저장된 경우, 멀티미디어의 스트리밍 데이터를 미리 정해진 모바일 장치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통신부는, 멀티미디어가 스트리밍 방식에 의해 미리 정해진 모바일 장치에서 출력되는 경우, 멀티미디어의 URL(Uniform Resource Locator) 주소를 미리 정해진 모바일 장치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통신부는, 멀티미디어가 DMB 신호를 기초로 미리 정해진 모바일 장치에서 출력되는 경우, 멀티미디어의 채널 정보를 미리 정해진 모바일 장치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출력부는, 미리 정해진 모바일 장치가 미리 정해진 영역에 위치하면, 모바일 장치가 미리 정해진 영역에 위치함을 출력할 수 있다.
출력부에 디스플레이 장치의 설정에 대한 알림 이벤트가 출력되면, 알림 이벤트를 미리 정해진 모바일 장치를 통해 출력하는 제어부; 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출력부는, 출력부에 멀티미디어를 계속하여 출력할지 여부에 대한 알림 이벤트를 출력할 수 있다.
상기 모바일 장치로부터 상기 전원을 온 상태로 변환시키는 신호를 수신하는 통신부; 를 더 포함하고, 상기 통신부는, 상기 신호를 WoL(Wake on Lan), WoWLAN(Wake on Wireless Lan), 또는 블루투스 방식으로 수신할 수 있다.
상기 통신부는, Wifi 및 블루투스 중 적어도 하나의 방식으로 상기 모바일 장치로부터 상기 멀티미디어에 대한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멀티미디어 출력방법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사진, 음악, 동영상, 및 문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멀티미디어를 출력하는 방법에 있어서, 모바일 장치에서 멀티미디어를 출력하고, 모바일 장치가 미리 정해진 영역에 위치하면, 모바일 장치에서 출력 중인 멀티미디어를 미리 정해진 외부기기에서 출력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모바일 장치에서 출력 중인 멀티미디어를 미리 정해진 외부기기에서 출력하는 것은, 미리 정해진 외부기기의 전원이 온(On) 상태인 경우, 모바일 장치에서 출력 중인 멀티미디어가 외부기기에서 출력되는 것을 승인하는 입력을 인가받고, 입력이 인가되면 외부기기에서 멀티미디어를 출력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모바일 장치에서 출력 중인 멀티미디어를 미리 정해진 외부기기에서 출력하는 것은, 미리 정해진 외부기기의 전원이 오프(Off) 상태인 경우, 미리 정해진 외부기기의 전원을 온 상태로 변환시키고, 미리 정해진 외부기기의 전원이 온 상태로 변환되면, 출력부에서 출력 중인 멀티미디어를 외부기기에서 출력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모바일 장치에서 출력 중인 멀티미디어를 미리 정해진 외부기기에서 출력하는 것은, 모바일 장치에서 출력 중인 멀티미디어에 동기된 멀티미디어를 미리 정해진 외부기기에서 출력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모바일 장치에서 출력 중인 멀티미디어를 미리 정해진 외부기기에서 출력하는 것은, 미리 정해진 시간 범위 내에 모바일 장치가 미리 정해진 영역에 위치하면, 모바일 장치에서 출력 중인 멀티미디어를 미리 정해진 외부기기에서 출력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모바일 장치에서 출력 중인 멀티미디어를 미리 정해진 외부기기에서 출력하는 것은, 미리 정해진 외부기기가 복수 개인 경우, 미리 정해진 우선순위에 따라 외부기기의 전원이 오프 상태인지 확인하고, 외부기기의 전원이 오프 상태이면, 외부기기의 전원을 온 상태로 변경하고, 전원이 온 상태로 변경된 외부기기에서 멀티미디어를 출력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모바일 장치에서 출력 중인 멀티미디어를 미리 정해진 외부기기에서 출력하는 것은, 멀티미디어가 모바일 장치에 저장된 경우, 모바일 장치에 저장된 멀티미디어의 스트리밍 데이터를 미리 정해진 외부기기로 전송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모바일 장치에서 출력 중인 멀티미디어를 미리 정해진 외부기기에서 출력하는 것은, 모바일 장치가 스트리밍 방식에 따라 멀티미디어를 출력하는 경우, 멀티미디어의 URL(Uniform Resource Locator) 주소를 미리 정해진 외부기기로 전송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모바일 장치에서 출력 중인 멀티미디어를 미리 정해진 외부기기에서 출력하는 것은, 모바일 장치가 DMB 신호를 기초로 멀티미디어를 출력하는 경우, 멀티미디어의 채널 정보를 미리 정해진 외부기기에 전송할 수 있다.
모바일 장치가 미리 정해진 영역에 위치하면, 미리 정해진 외부기기에서 모바일 장치가 미리 정해진 영역에 위치함을 알리는 것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미리 정해진 외부기기에서 설정에 대한 알림 이벤트를 출력하면, 모바일 장치에서 알림 이벤트를 출력하고, 모바일 장치에서 알림 이벤트에 대한 입력이 인가되면, 입력에 따라 미리 정해진 외부기기의 설정을 변경하는 것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미리 정해진 외부기기에서 멀티미디어를 계속하여 출력할지 여부에 대한 알림 이벤트를 모바일 장치 및 미리 정해진 외부기기 중 적어도 하나에서 출력하는 것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모바일 장치, 디스플레이 장치 및 이를 이용하는 멀티미디어 출력방법의 일 측면에 의하면, 별도의 입력 없이 모바일 장치를 통해 출력되던 멀티미디어를 집 안에 설치된 멀티미디어 장치에서 출력되도록 하여, 사용자에게 끊김 없이 멀티미디어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멀티미디어 시스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예시도이고, 도 2는 멀티미디어 시스템의 일 구성인 모바일 장치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블록도이다.
도 3은 모바일 장치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출력부에 의해 출력되는 멀티미디어 출력 설정 창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모바일 장치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출력부에 의해 출력되는 홈 네트워크 설정 창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a 및 5b는 모바일 장치의 일 실시예에 따라 출력 장치 설정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은 모바일 장치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출력부에 의해 출력되는 시간 제한 설정 창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a 및 7b는 출력전환이 이루어지는 방법의 일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a 및 8b는 출력전환이 이루어지는 방법의 다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9는 모바일 장치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출력 전환 유지 여부를 묻는 알림 이벤트를 출력하는 방법의 일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0a 내지 10c는 출력전환이 이루어지는 방법의 또 다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1a 내지 11b는 모바일 장치의 일 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 접속 상태 표시 방법의 일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2는 모바일 장치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외부기기 설정 이벤트 출력 방법의 일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3는 모바일 장치 제어방법의 일 실시예에 중 멀티미디어 출력 설정 방법의 일 실시예에 따른 흐름도이다.
도 14는 모바일 장치 제어방법의 일 실시예에 중 멀티미디어 출력 전환 방법의 일 실시예에 따른 흐름도이다.
도 15는 멀티미디어 시스템의 일 구성인 디스플레이 장치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블록도이다.
도 16a 및 16b는 모바일 장치에 출력되는 출력 전환 승인 여부를 묻는 알림 이벤트의 여러 가지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7은 모바일 장치에 출력되는 출력 전환을 수행할 외부기기를 선택받는 알림 이벤트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8은 네트워크의 정보 전송방식이 블루투스인 경우, 모바일 장치의 출력 전환 방법의 일 실시예에 대한 흐름도이다.
도 19는 네트워크의 정보 전송방식이 블루투스인 경우, 모바일 장치의 출력 전환 방법의 다른 실시예에 대한 흐름도이다.
도 20은 네트워크의 정보 전송방식이 블루투스인 경우, 모바일 장치의 출력 전환 방법의 또 다른 실시예에 대한 흐름도이다.
도 21은 네트워크의 정보 전송방식이 블루투스인 경우, 디스플레이 장치의 출력 전환 방법의 일 실시예에 대한 흐름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모바일 장치, 디스플레이 장치, 및 멀티미디어 출력방법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이하에서 언급되는 멀티미디어는 디지털화된 글자, 소리, 영상의 복합체를 의미하며, 사진, 음악, 동영상 및 문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은 멀티미디어 시스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예시도이고, 도 2는 멀티미디어 시스템의 일 구성인 모바일 장치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블록도이다.
도 1 및 도 2의 멀티미디어 시스템은 멀티미디어를 출력하는 모바일 장치(300); 모바일 장치에서 출력되는 멀티미디어를 출력할 수 있는 외부기기(100); 및 외부기기와 모바일 장치를 연결하는 네트워크(200); 를 포함할 수 있다.
외부기기(100)는 미리 정해진 멀티미디어의 출력을 수행할 수 있는 장치를 의미한다. 외부기기(100)는 사진, 동영상 등을 출력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음악을 출력하는 음향 장치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외부기기(100)는 서로 다른 종류의 멀티미디어를 출력할 수 있는 컴퓨터도 가능할 수 있다.
이와는 달리, 외부기기(100)는 본래의 기능 이외에 부수적인 기능으로서 멀티미디어를 출력할 수 있는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주된 기능으로 냉각기능을 수행하는 냉장고가 멀티미디어를 출력하는 디스플레이 패널을 포함하는 경우, 이와 같은 냉장고도 외부기기(100)에 포함될 수 있다.
외부기기(100)는 홈 내에 배치되어 휴대가 불가능한 장치를 포함하고, 이 뿐만 아니라 개인용 컴퓨터, 노트북, 태블릿 PC와 같이 홈 내에서 사용되는 단말기 등을 더 포함하는 것도 가능하며, 카메라 및 마이크로 폰 등이 마련된 보안 장치를 더 포함하는 것도 가능하다.
네트워크는(200)는 홈 내에서 사용되는 모든 외부기기(100)가 하나의 시스템으로 연결, 쌍방향 통신이 가능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좀 더 구체적으로 네트워크(200)는 유/무선 인터넷을 통해 복수의 외부기기(100) 사이에 정보를 공유할 수 있도록 한다.
홈 내 정보 전송방식은 유선과 무선으로 나눌 수 있는데, 유선형태의 대표적인 것으로 기존 전화선을 이용한 홈 PNA(Home Phoneline Networking Alliance), IEEE 1394, 전력선 등을 들 수 있고, 무선형태로 홈 RF(Home Radio Frequency), 블루투스(Bluetooth), IrDA(Infrared Data Association) 및 무선 LAN(Wifi), Zigbee, Z-wave, 근거리 통신(NFC 등) 등이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네트워크(200)의 정보 전송방식이 Wifi인 경우를 전제로 설명한다.
모바일 장치(300)는 네트워크(200)에 접속되어 복수의 외부기기(100) 중 적어도 하나와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아울러, 모바일 장치(300)는 홈 내 복수의 외부기기(100)와 각각 통신을 수행하는 것도 가능하고, 홈 서버와의 통신을 통해 복수의 외부기기(100)에 정보를 송수신하는 것도 가능하다.
모바일 장치(300)는 홈 내부 또는 외부로의 이동이 자유로워 네트워크(200)에의 접속 및 차단이 용이하고, 멀티미디어를 출력할 수 있는 단말 장치를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모바일 장치(300)는 스마트폰, PDA(Personal Data Assistant), 또는 태블릿 PC일 수 있다.
또한, 모바일 장치(300)는 컨텐츠 제공 업체에서 제공하는 애플리케이션(Application)의 설치가 가능한 단말 장치일 수 있고, 제조 업체에서 제조 시 앱 또는 소프트웨어, 펌 웨어를 내장한 장치일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바일 장치(300)는 출력부(310); 제어부(320); 입력부(330); 및 통신부(340);를 포함할 수 있다.
입력부(330)는 사용자로부터 멀티미디어 출력을 제어하는 입력을 인가받을 수 있고, 출력부(310)는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멀티미디어를 출력할 수 있다. 입력부(330) 및 출력부(310)는 터치스크린과 같이 입력 및 출력 기능을 수행하는 하나의 구성으로 구현될 수도 있고, 각각 별개의 구성으로 구현될 수도 있으며, 입력 및 출력을 함께 수행하는 구성과 함께 입력 기능만을 수행하는 구성 및 출력 기능만을 수행하는 구성이 함께 마련되어 구현되는 것도 가능할 수 있다.
출력부(310)는 소리를 출력하는 음성 출력부; 및 문서 또는 영상을 출력하는 영상 출력부; 를 포함할 수 있다. 멀티미디어는 사진, 음악, 동영상 및 문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으므로, 음악 및 동영상의 소리 성분은 음성 출력부에서 출력하고, 사진, 문서 및 동영상의 영상 성분은 영상 출력부를 통해 출력할 수 있다.
한편, 사용자는 모바일 장치(300)에서 출력되는 멀티미디어를 홈 내의 멀티미디어 장치를 통해 제공받고자 할 경우가 있다. 이를 위해, 사용자는 모바일 장치(300)의 멀티미디어에 대한 데이터를 홈 내의 원하는 외부기기(100)로 전송하는 입력을 인가해야 한다.
하지만, 사용자가 멀티미디어의 출력을 전환하기 위한 입력을 인가하는 경우, 멀티미디어의 출력이 불연속적으로 이루어 질 수 있다. 특히, 모바일 장치(300)에서 실시간 영상을 출력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경우, 실시간 영상이 홈 내의 외부기기(100)에서 출력되도록 입력을 인가하는 시간 동안 사용자에게 실시간 영상이 제공되지 않을 수 있다.
따라서, 모바일 장치(300)에서 출력되는 멀티미디어가 미리 정해진 조건에 따라 홈 내의 외부기기(100)에 의해 자동으로 출력되도록 설정할 필요가 있다.
출력부(310)는 멀티미디어 출력 설정 화면을 출력할 수 있고, 입력부(330)는 멀티미디어 출력 설정 입력을 인가받을 수 있다.
도 3은 모바일 장치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출력부에 의해 출력되는 멀티미디어 출력 설정 창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출력부(310)에 출력된 멀티미디어 출력 설정 창은 홈 네트워크 설정, 출력 장치 설정, 또는 시간 제한 설정과 같은 설정항목을 하나 이상 포함할 수 있다. 도 3에서는 3개의 설정항목이 도시되어 있으나, 설정항목의 개수가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홈 네트워크 설정항목은 멀티미디어의 출력 전환이 이루어지는 네트워크(200)를 홈 네트워크로 설정하는 항목을 의미할 수 있다. 이 때 홈 네트워크란 홈 내에 설치되는 외부기기(100) 중 멀티미디어를 출력하고자 하는 외부기기(100)가 접속되어 데이터 송수신이 이루어지는 네트워크(200)를 의미할 수 있다.
입력부(330)가 사용자로부터 홈 네트워크 설정항목의 선택 입력을 인가받으면, 출력부(310)는 홈 네트워크 설정 창을 표시할 수 있다.
도 4는 모바일 장치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출력부에 의해 출력되는 홈 네트워크 설정 창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모바일 장치(300)는 접속 가능한 네트워크(200)를 검색하여 출력부(310)에 출력할 수 있다. 사용자는 출력부(310)에 출력된 하나 이상의 접속 가능 네트워크(200) 중에서 하나 이상의 네트워크(200)를 선택하여 홈 네트워크로 설정할 수 있다.
이와는 달리, 홈 네트워크로 설정하고자 하는 네트워크(200)를 사용자가 직접 입력하여 설정할 수도 있다.
입력부(330)가 사용자로부터 홈 네트워크 설정 입력을 인가받으면, 입력된 네트워크(200)는 홈 네트워크로 설정된다. 이렇게 설정된 네트워크(200)에 모바일 장치(300)가 접속되면, 멀티미디어 출력의 자동 전환이 이루어 질 수 있다.
다시 도 3을 참조하면, 출력 장치 설정항목은 출력을 전환하고자 하는 멀티미디어의 종류에 따라 출력하고자 하는 외부기기(100)를 설정하는 항목이다.
입력부(330)가 사용자로부터 출력 장치 설정항목의 선택 입력을 인가받으면, 출력부(310)는 출력 장치 설정 창을 출력할 수 있다.
도 5a 및 5b는 모바일 장치의 일 실시예에 따라 출력 장치 설정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출력 장치는 멀티미디어 종류에 따라 다르게 설정될 수 있다. 따라서, 출력 장치 설정 창은 멀티미디어 종류를 선택하는 탭(Tab)을 포함할 수 있다. 도 5a의 좌측과 같이, 입력부(330)가 사용자로부터 음악 탭을 선택하는 입력을 인가받으면, 표시부는 설정 가능한 외부기기(100)를 표시할 수 있다. 도 5a의 좌측에서는 음악을 출력하도록 설정될 수 있는 외부기기(100)로 TV(100a), 스피커(100b), 컴퓨터1, 및 컴퓨터2가 표시될 수 있다.
여기서 설정 가능한 외부기기(100)란, 앞서 설정된 홈 네트워크에 접속되어 모바일 장치(300)와 데이터 송수신이 이루어 질 수 있는 외부기기(100) 중 선택된 멀티미디어를 출력할 수 있는 외부기기(100)를 의미할 수 있다.
사용자는 설정 가능한 외부기기(100) 중에서 원하는 외부기기(100)를 선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5a 우측을 참조하면, 입력부(330)는 사용자로부터 스피커(100b)를 선택하는 입력을 인가받을 수 있다. 스피커(100b)를 선택하는 입력이 인가되면, 모바일 장치(300)가 음악을 출력 중에 홈 네트워크에 접속될 경우 음악의 출력이 스피커(100b)로 전환될 수 있다.
또한, 도 5b의 좌측과 같이, 입력부(330)가 사용자로부터 동영상 탭을 선택하는 입력을 인가받으면, 표시부는 설정 가능한 외부기기(100)를 표시할 수 있다. 도 5b의 좌측에서는 동영상을 출력하도록 설정될 수 있는 외부기기(100)로 TV(100a), 컴퓨터1, 및 컴퓨터2가 표시될 수 있다. 도 5a와는 달리 동영상을 출력할 수 없는 스피커(100b)는 비활성화 될 수 있다.
도 5a 우측을 참조하면, 입력부(330)는 사용자로부터 TV(100a)를 선택하는 입력을 인가받을 수 있다. TV(100a)를 선택하는 입력이 인가되면, 모바일 장치(300)가 동영상을 출력 중에 홈 네트워크에 접속될 경우 동영상의 출력이 TV(100a)로 전환될 수 있다.
도 5a 및 5b는 하나의 멀티미디어 종류에 대하여 하나의 외부기기(100)만을 선택하는 경우를 예시하였으나, 복수의 외부기기(100)를 선택하는 경우도 가능하다. 또한, 하나의 멀티미디어 종류에 대하여 복수의 외부기기(100)에 우선순위를 두어 선택하는 것도 가능할 수 있다. 이에 대하여는 후술하도록 한다.
다시 도 3을 참조하면, 시간 제한 설정항목은 출력 전환이 이루어지는 시간 범위를 설정하는 항목이다.
입력부(330)가 사용자로부터 시간 제한 설정항목의 선택 입력을 인가받으면, 출력부(310)는 시간 제한 설정 창을 출력할 수 있다.
도 6은 모바일 장치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출력부에 의해 출력되는 시간 제한 설정 창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과 같이, 시간 제한 설정창은 시작 시각과 종료 시각을 설정할 수 있도록 출력부(310)에 의해 출력될 수 있다. 입력부(330)는 사용자로부터 시작 시각과 종료 시각을 선택하는 입력을 인가 받으면, 입력에 의해 설정된 시간 범위 안에서만 출력의 자동 전환이 발생될 수 있다. 설정된 시간 범위 이외의 시간 동안에는 출력의 자동 전환이 발생되지 않을 수 있다.
도 3 내지 6을 통해 설명한 바와 같이, 사용자는 입력부(330) 및 출력부(310)를 통해 멀티미디어 출력 설정을 완료할 수 있다. 이렇게 설정된 조건에 따라, 모바일 장치(300)는 자동으로 출력 전환을 수행할 수 있다.
다시 도 2를 참조하면, 제어부(320)는 모바일 장치(300)가 홈 내부로 진입하면 모바일 장치(300)의 출력부(310)에 출력 중인 멀티미디어를 미리 정해진 외부기기(100)를 통해 출력할 수 있다.
도 7a 및 7b는 출력전환이 이루어지는 방법의 일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설명의 편의상, 홈 내부 영역은 AP를 통해 WIfi에 접속 가능한 영역이라고 가정한다. 또한, 도 5a와 같이, 동영상이 TV(100a)에 대응되도록 설정되었음을 전제로 한다.
도 7a를 참조하면, 모바일 장치(300)의 출력부(310)가 동영상을 출력하고 있다. 사용자는 시간 및 장소에 구애받지 않고 모바일 장치(300)를 통해 제공되는 동영상을 시청할 수 있다. 사용자가 홈 외부에서 모바일 장치(300)를 통해 동영상을 시청하면서 홈 내부로 진입하는 경우, 사용자는 보다 쾌적한 환경에서 동영상을 제공받기를 원할 수 있다. 따라서 모바일 장치(300)의 출력부(310)에서 출력되는 동영상이 미리 정해진 외부기기(100)에서 출력될 필요가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사용자가 홈 내부로 진입하기 전에 홈 네트워크, 출력 장치 또는 시간 제한의 설정이 완료되면, 제어부(320)는 동영상의 출력 전환이 이루어지도록 모바일 장치(300)를 제어할 수 있다.
먼저, 제어부(320)는 모바일 장치(300)가 홈 네트워크에 접속되었는지 확인한다. 모바일 장치(300)가 홈 내부 영역에 진입하였으므로, 모바일 장치(300)는 홈 네트워크에 접속되었다고 본다.
제어부(320)는 모바일 장치(300)가 홈 네트워크에 접속되었다고 판단되면, 현재 출력부(310)에 의해 출력 중인 멀티미디어의 종류에 대응되는 외부기기(100)를 검색한다. 현재 출력 중인 멀티미디어에 대응되는 외부기기(100)는, 상술한 출력 장치 설정 시 멀티미디어 종류에 대응되도록 설정된 외부기기(100)를 의미할 수 있다. 도 7b에서는, 도 5a와 같이, 동영상이 TV(100a)에 대응되도록 설정되었으므로, 제어부(320)는 TV(100a)로 출력 전환할 것을 결정할 수 있다.
이 때, 제어부(320)는 결정된 외부기기(100)의 전원 상태를 확인할 수 있다. 만약 결정된 외부기기(100)의 전원이 오프(Off)상태라면, 제어부(320)는 외부기기(100)의 전원을 온(On)시킬 수 있다. 이를 위해, 제어부(320)는 외부기기(100)에 전원을 온 상태로 변환시키는 신호를 인가할 수 있다.
일 실시예로서, 제어부(320)는 WoL(Wake on Lan), WoWLAN(Wake on Wireless Lan) 방식으로 외부기기(100)에 전원을 인가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부(320)가 전원을 온 상태로 변환시키는 신호를 생성하면, 통신부(340)가 생성된 신호를 유선 또는 무선 LAN 방식을 통해 외부기기(100)로 전송할 수 있다. 외부기기(100)는 전달받은 신호를 기초로 전원을 온 시킬 수 있다.
다른 실시예로서, 제어부(320)는 블루투스 방식으로 외부기기(100)에 전원을 인가할 수도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부(320)가 전원을 온 상태로 변환시키는 신호를 생성하면, 통신부(340)가 생성된 신호를 블루투스 방식으로 외부기기(100)에 전송할 수 있다. 그 결과, 외부기기(100)는 전달받은 신호에 따라 전원을 온 시킬 수 있다. 외부기기(100)의 전원이 온 상태로 변환되면, 제어부(320)는 외부기기(100)를 통해 멀티미디어를 출력할 수 있다. 외부기기(100)의 전원이 오프 상태인 경우 외부기기(100)가 사용되지 않고 있다고 판단되므로, 제어부(320)는 외부기기(100)의 전원을 온 상태로 변환하고 외부기기(100)를 통해 멀티미디어를 출력시킬 수 있다.
반면, 외부기기(100)의 전원이 온 상태인 경우 외부기기(100)는 다른 멀티미디어를 출력 중일 수 있다. 이 경우에 대하여는 후술하도록 한다.
마지막으로, 제어부(320)는 현재 출력부(310)에서 출력 중인 멀티미디어가 앞서 검색된 외부기기(100)를 통해 출력되도록 할 수 있다. 그 결과, 도 7b와 같이, 모바일 장치(300)가 출력 중이던 동영상이 TV(100a)에서 출력되도록 할 수 있다.
도 7b는 모바일 장치(300)에서 출력되던 동영상이 TV(100a)에서 출력되면서, 모바일 장치(300)는 동영상 출력을 중단한 경우를 예시하였다. 그러나, 이와는 달리 TV(100a) 뿐만 아니라 모바일 장치(300)에서도 동영상을 출력하는 것도 가능할 수 있다.
제어부(320)는 모바일 장치(300)에서 출력되는 멀티미디어와 동기화 시켜 외부기기(100)를 통해 멀티미디어를 출력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모바일 장치(300)가 동영상을 출력 중인 경우, TV(100a)로 출력이 전환되는 시점에 모바일 장치(300)에서 출력되던 동영상의 부분이 TV(100a)에서 출력되도록 동기화 시킬 수 있다. 이를 통해 사용자는 중단 및 손실 없이 멀티미디어를 제공받을 수 있다.
도 8a 및 8b는 출력전환이 이루어지는 방법의 다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설명의 편의상, 홈 내부 영역은 AP를 통해 WIfi에 접속 가능한 영역이라고 가정한다.
도 7a 및 7b와는 달리, 사용자가 홈 내부로 진입 시 모바일 장치(300)에서 출력 중인 멀티미디어가 음악일 수 있다. 사용자가 홈 내부로 진입하기 전에, 도 5b와 같이 설정이 이루어 진 경우를 전제로 설명한다.
도 8a는 모바일 장치(300)가 홈 내부에 진입 했을 때, 즉 홈 네트워크에 접속 시 음악을 출력 중인 경우를 예시하고 있다. 보다 쾌적한 환경에서 사용자에게 음악을 제공하기 위해, 제어부(320)는 미리 정해진 조건에 따라 음악이 출력되는 장치의 전환을 수행할 수 있다.
먼저, 제어부(320)는 모바일 장치(300)에서 출력 중인 멀티미디어가 음악인 경우, 출력 전환이 이루어지는 장치가 스피커(100b)임을 확인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어부(320)는 모바일 장치(300)의 출력부(310)를 통해 출력되는 음악을 스피커(100b)를 통해 출력할 수 있다.
도 8b와 같이, 모바일 장치(300)에서 출력되던 음악에 동기화된 음악이 스피커(100b)에서 출력될 수 있다. 이 때, 모바일 장치(300)의 출력부(310)는 출력을 중단할 수도 있고, 스피커(100b)와 함께 음악을 출력할 수도 있다.
다시 도 2를 참조하면, 모바일 장치(300)에서 출력 중인 멀티미디어를 외부기기(100)를 통해 출력하기 위해, 통신부(340)는 제어부(320)의 제어에 따라 멀티미디어에 대한 데이터를 외부기기(100)로 전송할 수 있다.
여기서 멀티미디어에 대한 데이터란 외부기기(100)에서 멀티미디어를 출력할 수 있도록 하는 모든 데이터를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멀티미디어가 출력 가능한 압축파일 형태로 모바일 장치(300)에 저장된 경우, 통신부(340)는 외부기기(100)에 멀티미디어의 스트리밍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따라서, 외부기기(100)는 스트리밍 방식으로 멀티미디어를 출력할 수 있다.
이와는 달리, 멀티미디어가 스트리밍 방식으로 모바일 장치(300)에서 출력 중인 경우에, 통신부(340)는 멀티미디어의 URL(Uniform Resource Locator) 주소를 외부기기(100)에 전송할 수 있다. 그 결과, 외부기기(100)는 모바일 장치(300)가 아닌 URL 주소로부터 멀티미디어의 스트리밍 데이터를 전송받아 멀티미디어를 출력할 수 있다.
또한, 모바일 장치(300)에서 DMB 신호를 수신하여 이를 기초로 멀티미디어를 출력하는 경우, 통신부(340)는 외부기기(100)에 멀티미디어의 채널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따라서, 외부기기(100)는 모바일 장치(300)로부터는 채널 정보만을 수신하고, 해당 채널 정보에 대한 방송신호를 별도의 수신기 등을 통해 수신하여 멀티미디어를 출력할 수 있다.
또한, 출력 전환이 이루어진 후, 제어부(320)는 외부기기(100)를 통해 멀티미디어를 계속하여 출력할 지 여부에 대한 알림 이벤트를 출력할 수 있다.
도 9는 모바일 장치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출력 전환 유지 여부를 묻는 알림 이벤트를 출력하는 방법의 일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9에서는 모바일 장치(300)에서 출력 중인 동영상이 TV(100a)로 출력 전환이 이루어진 경우를 전제로 한다.
미리 정해진 설정에 따라 출력 전환이 이루어 진 후에, 사용자는 출력전환이 불요하다고 판단할 경우가 있다. 이를 위해 제어부(320)는 출력 전환을 취소할 수 있는 이벤트를 출력하도록 출력부(310)를 제어할 수 있다.
도 9와 같이, 제어부(320)는 출력 전환 유지 여부를 묻는 알림 이벤트(311)를 출력하도록 출력부(310)를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알림 이벤트란, 사용자에게 멀티미디어 출력 환경이 변경되었음을 시각적 또는 청각적 수단 등을 통해 알리는 모든 방법을 통칭할 수 있다.
도 9에서는 출력 전환 유지 여부를 묻는 알림 이벤트(311)를 제어부(320)가 모바일 장치(300)의 출력부(310)를 통해 팝업(Pop-Up)의 형태로 출력함과 동시에, 외부기기(100)를 통해서 팝업을 출력하는 경우를 예시하고 있다. 그러나, 제어부(320)는 외부기기(100) 또는 모바일 장치(300)의 출력부(310) 중 어느 하나에만 출력 전환 유지 여부를 묻는 알림 이벤트(311)를 출력하는 것도 가능할 수 있다.
사용자는 출력 전환 유지 여부를 묻는 알림 이벤트(311)를 확인하고, 출력 전환을 취소하고자 하는 입력을 인가할 수 있다. 출력 전환 취소 입력이 인가되면, 제어부(320)는 멀티미디어가 외부기기(100)를 통해 출력되는 것을 중단할 수 있다. 반면, 출력 전환 유지 입력이 인가되면, 제어부(320)는 현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지금까지는, 외부기기(100)의 전원이 오프 상태인 경우 출력 전환 방법에 대하여 설명하였다. 이하에서는, 도 10a 및 10b를 참조하여 외부기기(100)의 전원이 온 상태인 경우 출력 전환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0a 내지 10c는 출력전환이 이루어지는 방법의 또 다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설명의 편의상, 홈 내부 영역은 AP를 통해 WIfi에 접속 가능한 영역이라고 가정한다. 또한, 도 5a와 같이, 동영상이 TV(100a)에 대응되도록 설정되었음을 전제로 한다.
제어부(320)가 모바일 장치(300)에서 출력 중인 멀티미디어를 홈 네트워크에 접속 중인 외부기기(100)를 통해 출력하고자 할 때, 외부기기(100)가 다른 멀티미디어를 출력 중일 수 있다. 도 10a는 모바일 장치(300)가 홈 내부에 진입 시, 외부기기(100)에서 이미 다른 멀티미디어를 출력 중인 경우를 예시하고 있다.
이 경우, 외부기기(100)에서 출력 중이던 멀티미디어를 종료하고 모바일 장치(300)에서 출력 중이던 멀티미디어를 출력할 경우, 외부기기(100)를 통해 멀티미디어를 제공받던 홈 내의 다른 사용자에게 불편을 유발할 수 있다. 따라서, 이 경우에는 출력 전환을 수행할 것인지 사용자가 선택할 수 있도록 할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해, 제어부(320)는 모바일 장치(300)에서 출력 중인 멀티미디어가 외부기기(100)를 통해 출력되는 것을 승인하는 입력이 인가되는 경우에만 외부기기(100)를 통해 멀티미디어를 출력할 수 있다.
도 10b에서는 모바일 장치(300)에서 출력 중인 멀티미디어를 외부기기(100)를 통해 출력할지 여부를 묻는 알림 이벤트(312)가 외부기기(100)에 출력되는 경우를 예시하고 있다. 여기서 알림 이벤트란, 사용자에게 멀티미디어 출력 환경이 변경되었음을 시각적 또는 청각적 수단 등을 통해 알리는 모든 방법을 통칭할 수 있다. 도 10b에서는 출력 전환 승인 여부를 묻는 알림 이벤트(312)를 제어부(320)가 외부기기(100) 및 모바일 장치(300)의 출력부(310)를 통해 팝업(Pop-Up)의 형태로 출력한다.
도 10b에서는 출력 전환 승인 여부를 묻는 알림 이벤트(312)가 외부기기(100) 및 모바일 장치(300) 모두에 출력되는 경우를 예시하였으나, 출력 전환 승인 여부를 묻는 알림 이벤트(312)가 외부기기(100) 또는 모바일 장치(300) 중 어느 하나에만 출력되는 것도 가능할 수 있다.
이러한 출력 전환 승인 여부를 묻는 알림 이벤트(312)를 확인한 사용자가 모바일 장치(300)에서 출력 중인 멀티미디어를 외부기기(100)를 통해 출력되는 것에 대한 승인 입력을 인가하면, 도 9c와 같이 외부기기(100)에서 멀티미디어가 출력될 수 있다.
반면에 모바일 장치(300)에서 출력 중인 멀티미디어가 외부기기(100)를 통해 출력되는 것에 대하여 사용자가 거부 입력을 인가하면, 종래 외부기기(100)에서 출력되는 멀티미디어가 계속되어 출력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멀티미디어 출력 설정 시 하나의 멀티미디어 종류에 대하여 복수의 외부기기(100)가 우선순위를 가지고 대응되도록 설정될 수 있다. 이 경우, 제어부(320)는 설정된 우선순위에 기초하여 출력부(310)에서 출력 중인 멀티미디어를 출력할 외부기기(100)를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음악에 대응하여 1순위로 스피커(100b)가 설정되고, 2순위로 TV(100a)가 설정될 수 있다. 모바일 장치(300)가 홈 네트워크에 접속 시 음악을 출력 중이라면, 먼저 제어부(320)는 음악에 대응되는 1순위 외부기기(100)인 스피커(100b)의 전원이 오프 상태인지 확인한다. 만약, 스피커(100b)의 전원이 오프 상태이면 다른 사용자에 의해 사용 중인 경우가 아니므로, 제어부(320)는 스피커(100b)의 전원을 온 시킨 후 스피커(100b)를 통해 음악을 출력할 수 있다. 그러나, 스피커(100b)의 전원이 온 상태이면 다른 사용자에 의해 사용 중이라고 판단하여, 제어부(320)는 2순위 외부기기(100)인 TV(100a)의 전원이 오프 상태인지 확인한다. TV(100a)의 전원이 오프 상태라면, 제어부(320)는 TV(100a)의 전원을 온 시켜 TV(100a)를 통해 음악을 출력할 수 있다.
한편, 모바일 장치(300)와 외부기기(100)가 동일한 네트워크(200)에 접속 상태라면 상호 데이터 교환이 가능하다. 이를 통해, 출력 전환 뿐만 아니라 네트워크(200)에 접속된 모바일 장치(300) 또는 외부기기(100)의 상태 변화를 알리고 제어할 수 있다.
도 11a 내지 11b는 모바일 장치의 일 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 접속 상태 표시 방법의 일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하나의 홈 네트워크에 복수의 모바일 장치(300)가 접속 가능한 경우, 외부기기(100)에서 각각의 모바일 장치(300)를 구분하여 인식할 수 있다. 따라서, 미리 정해진 외부기기(100)에서 모바일 장치(300)의 접속 여부를 구분하여 출력할 수 있다.
도 11a는 특정 모바일 장치(300)가 홈 내부에 진입하여 홈 네트워크에 접속되는 경우를 예시한다. 일반적으로 모바일 장치(300)는 한 명의 사용자에 의해 사용되므로, 특정 모바일 장치(300)가 홈 네트워크에 접속되었다는 것은 특정 모바일 장치(300)의 사용자가 홈 내부로 진입하였다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도 10a의 경우 홈 네트워크에 접속된 모바일 장치(300)의 사용자는 가족 구성원 중 아빠인 경우를 예시한다.
특정 모바일 장치(300)가 홈 네트워크에 접속되면, 도 11b와 같이 제어부(320)는 미리 정해진 외부기기(100)를 통해 특정 모바일 장치(300)의 홈 네트워크 접속을 알리는 알림 이벤트(101)를 출력할 수 있다. 여기서 알림 이벤트란, 사용자에게 멀티미디어 출력 환경이 변경되었음을 시각적 또는 청각적 수단 등을 통해 알리는 모든 방법을 통칭할 수 있다. 도 11b에서는 특정 모바일 장치의 홈 네트워크 접속을 알리는 알림 이벤트(101)를 제어부(320)가 TV(100a)의 출력부(310)를 통해 팝업(Pop-Up)의 형태로 출력하는 경우를 예시한다.
특정 모바일 장치의 홈 네트워크 접속을 알리는 알림 이벤트는 특정 모바일 장치(300)가 홈 네트워크에 접속했음을 직접적으로 알릴 수도 있고, 도 11b와 같이 특정 모바일 장치(300)의 사용자가 홈 내부로 진입했음을 알릴 수도 있다.
뿐만 아니라, 외부기기(100)의 설정에 대한 알림 이벤트가 발생되면, 외부기기(100)와 동일한 네트워크(200)에 접속된 모바일 장치(300)에서도 동일한 알림 이벤트가 출력될 수 있다. 사용자가 모바일 장치(300)에서 출력된 외부기기 설정에 대한 알림 이벤트를 확인하고 적절한 제어 입력을 인가하면, 모바일 장치(300)가 접속된 네트워크(200)에 접속된 다른 외부기기(100)가 용이하게 제어될 수 있다.
도 12는 모바일 장치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외부기기 설정 이벤트 출력 방법의 일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2와 같이, TV(100a)는 구동 소프트웨어의 업데이트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확인하고, 업데이트가 존재한다면 업데이트 진행 여부를 묻는 알림 이벤트(101)를 생성할 수 있다. 이와 동시에, TV(100a)가 접속된 네트워크(200)에 접속된 모바일 장치(300)의 출력부(310)에서도 TV(100a)의 업데이트 진행 여부를 묻는 알림 이벤트(101)가 출력될 수 있다. 사용자는 모바일 장치(300)를 통해 업데이트에 대한 제어 입력을 인가할 수 있고, 이에 따라 TV(100a)의 업데이트가 진행될 수 있다.
도 12에서는 TV(100a)의 설정에 대한 알림 이벤트로서 업데이트 진행 여부를 묻는 팝업을 예시하였으나, 외부기기(100) 설정에 대한 알림 이벤트에는 3D 안경, 블루투스 스피커 등 신규 장비 접속을 알리는 알림 이벤트, 또는 새로운 네트워크(200) 연결을 알리는 알림 이벤트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도 13는 모바일 장치 제어방법의 일 실시예에 중 멀티미디어 출력 설정 방법의 일 실시예에 따른 흐름도이다.
먼저, 출력부에서 멀티미디어 출력 설정 창을 출력할 수 있다.(400) 사용자는 멀티미디어 출력 설정 창을 통해, 출력 전환을 설정하기 위한 입력을 인가할 수 있다.
멀티미디어 출력 설정 창이 출력되면, 모바일 장치는 사용자로부터 홈 네트워크 설정 입력을 인가 받고, 이에 따라 홈 네트워크를 설정할 수 있다.(410) 구체적으로, 출력부(310)가 접속 가능한 네트워크(200) 목록을 출력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사용자는 접속 가능한 네트워크(200) 목록 중 홈 네트워크로 설정하고자 하는 네트워크(200)를 선택하는 입력을 인가할 수 있다. 제어부(320)는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홈 네트워크를 설정할 수 있다.
홈 네트워크가 설정되면, 사용자는 멀티미디어의 종류에 따라 출력 전환이 이루어지는 외부기기(100)를 설정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모바일 장치는 홈 네트워크에 접속된 외부기기를 검색할 수 있다.(420) 사용자는 검색된 외부기기(100) 중에서 출력 전환이 이루어지는 외부기기(100)를 선택하는 입력을 인가할 수 있고, 제어부는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멀티미디어를 출력할 외부기기를 설정할 수 있다.(430)
또한, 사용자는 출력 전환이 이루어지는 시간 범위를 설정할 수 있다.(440) 즉, 사용자가 원하는 시작 시간 및 종료 시간을 입력하면, 그 시간 범위 이외의 시간에서는 모바일 장치(300)가 외부기기(100)를 통해 멀티미디어를 출력하지 않을 수 있다.
도 14는 모바일 장치 제어방법의 일 실시예에 중 멀티미디어 출력 전환 방법의 일 실시예에 따른 흐름도이다.
먼저, 모바일 장치가 미리 정해진 영역 내에 위치하는지 확인할 수 있다.(500) 여기서 미리 정해진 영역이란, 모바일 장치(300)가 홈 네트워크에 접속되는 영역을 의미할 수 있다. 즉, 모바일 장치(300)가 홈 네트워크에 접속되었는지 여부를 확인하여, 모바일 장치(300)가 홈 네트워크에 접속되었다면 출력 전환을 위한 단계를 진행할 수 있다.
모바일 장치가 홈 네트워크에 접속된 것으로 확인되면, 모바일 장치의 출력부에서 멀티미디어를 출력 중인지 확인할 수 있다.(510) 모바일 장치(300)가 홈 네트워크에 접속 시 출력 중이던 멀티미디어에 대하여 출력 전환이 이루어지기 때문에, 현재 모바일 장치(300)에서 멀티미디어를 출력 중인지 확인할 수 있다.
모바일 장치에서 멀티미디어를 출력 중이라면, 현재 출력 중인 멀티미디어에 대응되는 외부기기의 전원 상태를 확인한다.(520) 만약, 외부기기의 현재 출력 중인 멀티미디어에 대응되는 외부기기의 전원이 온(On) 상태라면, 출력 전환 승인 여부를 묻는 알림 이벤트를 출력할 수 있다.(530) 이 때, 알림 이벤트는 모바일 장치(300)의 출력부(310) 또는/및 외부기기(100)를 통해 출력될 수 있다.
알림 이벤트 출력 후, 사용자로부터 출력 전환을 승인한다는 입력이 인가되었는지 확인할 수 있다.(540) 사용자로부터 출력 전환을 거부한다는 입력이 인가되면, 출력 전환은 발생하지 않는다.
그러나, 사용자로부터 출력 전환을 승인한다는 입력이 인가되면, 멀티미디어에 대응되는 외부기기를 통해 모바일 장치에서 출력 중인 멀티미디어를 출력할 수 있다.(560)
한편, 출력 중인 멀티미디어에 대응되는 외부기기의 전원이 오프(Off) 상태라면, 출력 중인 멀티미디어에 대응되는 외부기기의 전원을 온 상태로 전환시킬 수 있다.(550)
외부기기의 전원이 오프 상태에서 온 상태로 전환되면, 외부기기를 통해 모바일 장치에서 출력 중인 멀티미디어를 출력할 수 있다.(560)
지금까지는 모바일 장치(300)가 미리 정해진 조건에 따라 출력 전환이 이루어지도록 제어하는 경우를 예시하였으나, 이하에서는 외부기기(100)의 일 구성인 디스플레이 장치에 의해 출력 전환이 이루어지는 경우를 설명한다.
도 15는 멀티미디어 시스템의 일 구성인 디스플레이 장치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블록도이다. 여기서 디스플레이 장치(600)는 멀티미디어 중 동영상을 주된 출력 대상으로 하며, 부수적으로 음악, 사진, 또는 문서를 출력할 수 있고, 디스플레이 장치(600)의 예로 TV(100a)를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600)는 멀티미디어 시스템의 외부기기(100) 중의 하나 일 수 있음을 전제로 설명한다.
멀티미디어 시스템의 외부기기(100)에 포함되는 디스플레이 장치(600)는, 네트워크(700)에 접속되어 모바일 장치(800) 또는 다른 외부기기(100)와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특히, 모바일 장치(800)와의 관계에서 특정 종류의 멀티미디어를 자동으로 출력 전환하도록 설정되면, 모바일 장치(800)가 홈 네트워크에 접속 시 모바일 장치(800)에서 출력 중이던 멀티미디어가 디스플레이 장치(600)에서 출력될 수 있다.
이를 위해, 디스플레이 장치(600)는 미리 정해진 모바일 장치(800)가 미리 정해진 영역에 위치하면, 미리 정해진 모바일 장치(800)에서 출력 중인 멀티미디어를 출력하는 출력부(630); 미리 정해진 모바일 장치(800)로부터 멀티미디어에 대한 데이터를 수신하는 통신부(640); 사용자로부터 제어 입력을 인가받는 입력부(610); 디스플레이 장치(600)의 구동을 제어하는 제어부(620); 를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600)는 출력 전환이 이루어지도록 사전에 미리 설정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설정은 사용자, 제조 시 제조자, 또는 장치 내부 연산에 의해 이루어 질 수 있다.
미리 설정된 조건에 따라, 디스플레이 장치(600)는 현재 접속 중인 네트워크(700)에 미리 설정된 모바일 장치(800)가 접속되었는지를 확인할 수 있다. 만약, 출력 전환이 이루어지도록 설정된 멀티미디어를 출력 중에 모바일 장치(800)가 네트워크(700)에 접속된다면, 디스플레이 장치(600)의 출력부(630)는 모바일 장치(800)에서 출력 중인 멀티미디어를 출력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디스플레이 장치(600)의 통신부(640)는 미리 설정된 멀티미디어의 종류에 따라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모바일 장치(800)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모바일 장치(800)가 모바일 장치(800)에 저장된 멀티미디어를 출력 중인 경우, 디스플레이 장치(600)의 통신부(640)는 모바일 장치(800)로부터 멀티미디어의 스트리밍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또한 모바일 장치(800)가 스트리밍 방식으로 멀티미디어를 출력 중인 경우, 디스플레이 장치(600)의 통신부(640)는 해당 멀티미디어의 URL 주소를 모바일 장치(800)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모바일 장치(800)가 DMB 신호에 기초하여 멀티미디어를 출력할 경우, 디스플레이 장치(600)의 통신부(640)는 멀티미디어가 출력되는 채널 정보를 수신할 수도 있다.
출력 전환에 앞서, 디스플레이 장치(600)의 전원이 오프 상태인 경우, 디스플레이 장치(600)의 전원을 온 상태로 변환한 후 출력 전환을 수행할 수 있다.
반면에, 디스플레이 장치(600)의 전원이 온 상태라면, 디스플레이 장치(600)의 출력부(630)는 출력 전환 승인 여부를 묻는 알림 이벤트(312)를 출력할 수 있다. 입력부(610)가 사용자로부터 출력 전환을 승인한다는 입력을 인가받는 경우에만, 디스플레이 장치(600)의 출력부(630)는 모바일 장치(800)에서 출력 중인 멀티미디어를 출력할 수 있다.
또한, 출력 전환이 이루어진 후, 디스플레이 장치(600)의 출력부(630)는 출력 전환 유지 여부를 묻는 알림 이벤트(311)를 출력할 수 있다. 입력부(610)가 사용자로부터 취소 입력을 인가받는 경우에는, 디스플레이 장치(600)의 출력부(630)는 출력 전환을 취소하고 출력 전환이 이루어지기 전 상태로 되돌아 갈 수 있다.
한편, 출력 전환이 수행되는 시간 범위가 미리 설정된 경우에는, 디스플레이 장치(600)의 출력부(630)는 미리 정해진 시간 범위 내에 모바일 장치(800)가 네트워크(700)에 접속 시에만 출력 전환을 수행할 수 있다. 그 이외의 시간에서 디스플레이 장치(600)의 출력부(630)는 모바일 장치(800)의 네트워크(700) 접속과는 무관하게 동작할 수 있다.
아울러, 디스플레이 장치(600)는 모바일 장치(800)의 네트워크(700) 접속 여부를 확인하고, 디스플레이 장치(600)의 출력부(630)를 통해 특정 모바일 장치(800)의 네트워크(700) 접속을 알리는 알림 이벤트(101)를 출력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디스플레이 장치(600)의 제어부(620)는 디스플레이 장치(600)의 출력부(630)가 디스플레이 장치(600)의 설정에 대한 알림 이벤트 출력 시, 모바일 장치(800)를 통해 알림 이벤트가 출력할 수 있다. 사용자는 모바일 장치(800)를 통해 알림 이벤트를 확인하고 입력부(610)에 디스플레이 장치(600)의 설정 입력을 인가하면, 디스플레이 장치(600)의 수신부에서 사용자의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600)는 수신된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디스플레이 장치(600)를 제어할 수 있다.
지금까지는, 네트워크(200)의 정보 전송방식이 Wifi인 경우를 전제로 설명하였다. 이하에서는 네트워크(200)의 정보 전송방식이 블루투스인 경우를 전제로 설명한다.
도 16a 및 16b는 모바일 장치에 출력되는 출력 전환 승인 여부를 묻는 알림 이벤트의 여러 가지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블루투스는 근거리 통신 방식이므로, 홈 내에서 단일 외부기기(100)와 연결될 확률이 높다. 따라서, Wifi와 달리, 모바일 장치(300)는 출력 전환에 앞서 출력 전환 설정의 단계를 거치지 않을 수 있다.
그 대신, 모바일 장치(300)는 블루투스 통신 가능한 외부기기(100)가 감지되면, 출력전환 승인 여부를 묻는 알림 이벤트를 표시할 수 있다. 모바일 장치(300)가 출력하는 출력 전환 승인 여부를 묻는 알림 이벤트는 해당 외부기기(100)와 패어링(Pairing) 수행 경험이 존재하는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도 16a는 모바일 장치(300)가 해당 외부기기(100)와 패어링을 수행한 경험이 없는 경우의 출력 전환 승인 여부를 묻는 알림 이벤트(314a; 이하 제 1 알림 이벤트라 함)를 예시하고 있다. 모바일 장치(300)가 멀티미디어를 출력 중 블루투스 통신 가능한 환경에 위치하면, 모바일 장치(300)는 출력 중이던 멀티미디어를 중단하고, 제 1 알림 이벤트(314a)를 출력할 수 있다.
여기서, 제 1 알림 이벤트(314a)는 해당 외부기기(100)로 출력 전환을 수행할 지 여부를 구체적으로 묻는 텍스트 또는 음성의 형태일 수 있다. 이는, 해당 외부기기(100)로의 출력 전환을 수행해본 경험이 없는 사용자에게 보다 자세한 가이드를 제공하기 위함이다.
또는, 도 16a와 달리, 모바일 장치(300)는 출력 중이던 멀티미디어를 백그라운드(Backgroud)에서 출력함과 동시에, 제 1 알림 이벤트(314a)를 출력할 수도 있다. 이를 통해, 사용자는 멀티미디어 출력의 단절을 막을 수도 있다.
사용자는 제 1 알림 이벤트(314a)를 확인하고, 출력 전환을 승인하는 입력을 인가할 수 있다. 사용자의 승인 입력이 인가되면, 모바일 장치(300)는 외부기기(100)와 블루투스 패어링을 수행할 수 있다.
이 때 수행되는 패어링은 해당 외부기기(100)와의 첫번째 패어링이므로, 모바일 장치는 보안을 위한 인증 화면을 출력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모바일 장치(300)는 해당 외부기기(100)의 핀 코드(Pin Code) 입력 화면을 출력할 수 있다. 정확한 핀 코드가 입력되면, 모바일 장치(300)는 보안 인증절차를 완료하고, 해당 외부기기(100)와 패어링을 수행할 수 있다.
패어링이 완료된 후, 모바일 장치(300)는 제 1 알림 이벤트(314a) 출력 직전에 출력 중이던 멀티미디어에 대한 데이터를 블루투스 방식으로 외부기기(100)에 전송할 수 있다. 멀티미디어에 대한 데이터는 상술한 Wifi의 경우와 동일하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6b는 모바일 장치(300)가 해당 외부기기(100)와 패어링을 수행한 경험이 있는 경우의 출력 전환 승인 여부를 묻는 알림 이벤트(314b; 이하 제 2 알림 이벤트(314b)라 함)를 예시하고 있다. 모바일 장치(300)가 멀티미디어를 출력 중 블루투스 통신 가능한 환경에 위치하면, 모바일 장치(300)는 멀티미디어 출력과 동시에 제 2 알림 이벤트(314b)를 출력할 수 있다.
여기서, 제 2 알림 이벤트(314b)는 해당 외부기기(100)로 출력 전환을 수행할 지 여부를 직관적으로 묻는 이미지와 같은 아이콘의 형태일 수 있다. 이는, 해당 외부기기(100)로의 출력 전환을 수행해 본 경험이 있는 사용자에게 멀티미디어 제공이 단절되는 것을 막고, 사용자가 손쉽게 출력 전환 승인 입력을 인가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사용자는 제 2 알림 이벤트(314b)를 확인하고, 출력 전환을 승인하는 입력을 인가할 수 있다. 도 16b의 경우, 사용자는 아이콘을 터치함으로써 간단하게 출력 전환 승인 입력을 인가할 수 있다. 사용자의 출력 전환 승인 입력이 인가되면, 모바일 장치(300)는 별도의 보안 인증절차 없이 해당 외부기기(100)와 패어링을 수행할 수 있다. 현 단계 이전에 패어링을 이미 수행한 바 있으므로, 모바일 장치(300)는 신속하게 패어링을 수행할 수 있다.
패어링이 완료된 후, 모바일 장치(300)는 현재 출력 중인 멀티미디어에 대한 데이터를 블루투스 방식으로 외부기기(100)에 전송할 수 있다. 멀티미디어에 대한 데이터는 상술한 Wifi의 경우와 동일하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지금까지는, 모바일 장치(300)가 홈 내에서 단일 외부기기(100)와 연결 가능한 경우를 전제로 설명하였다. 그러나, 모바일 장치(300)가 홈 내에서 복수의 외부기기(100)와 블루투스 연결 가능할 수도 있다.
도 17은 모바일 장치에 출력되는 출력 전환을 수행할 외부기기를 선택받는 알림 이벤트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멀티미디어 출력 중인 모바일 장치(300)가 복수의 외부기기(100)와 블루투스 통신 가능한 상태에 놓이는 경우, 모바일 장치(300)는 출력 전환을 수행할 외부기기(100)를 선택받는 알림 이벤트(315; 이하 제 3 알림 이벤트라 함)를 출력할 수 있다.
도 17을 참조하면, 제 3 알림 이벤트(315)는 출력 전환이 가능한 복수의 외부기기(100) 리스트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제 3 알림 이벤트(315)는 복수의 외부기기(100) 각각의 블루투스 신호 세기를 함께 제공할 수 있다. 블루투스 신호의 세기가 클수록 빠른 통신이 가능하므로, 사용자는 이를 통해 출력 전환에 최적화된 외부기기(100)를 선택할 수 있는 가이드를 제공받을 수 있다.
사용자로부터 출력 전환을 수행할 외부기기(100) 선택 입력이 인가되면, 모바일 장치(300)는 선택된 외부기기(100)와 블루투스 패어링을 수행할 수 있다. 패어링이 완료되면, 선택된 외부기기(100)로 출력 중이던 멀티미디어에 대한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으며, 이는 상술한 바와 동일하다.
이와는 달리, 모바일 장치(300)는 복수의 외부기기(100) 각각의 블루투스 신호 세기를 기초로 최적의 통신이 가능한 외부기기(100)와 자동으로 패어링을 수행할 수도 있다. 즉, 모바일 장치(300)는 블루투스 신호가 가장 큰 외부기기(100)와 패어링을 수행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사용자는 별도의 조작 없이 블루투스 통신에 최적화된 외부기기(100)로 출력 전환을 통해 멀티미디어를 제공받을 수 있다.
도 18은 네트워크의 정보 전송방식이 블루투스인 경우, 모바일 장치의 출력 전환 방법의 일 실시예에 대한 흐름도이다.
먼저, 모바일 장치(300)는 멀티미디어를 출력할 수 있다. (900) 출력되는 멀티미디어는 멀티미디어는 사진, 음악, 동영상 및 문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다음으로, 모바일 장치(300)는 블루투스 패어링 가능한 외부기기(100)를 탐색할 수 있다. (905) 패어링 가능한 외부기기(100)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 절차는 종료된다.
그러나, 패어링 가능한 외부기기(100)가 존재하는 경우, 모바일 장치(300)는 해당 외부기기(100)를 통해 출력 전환을 수행하도록 미리 설정되었는지 확인한다. (910) 즉, 모바일 장치(300)는 해당 외부기기(100)와의 패어링 수행 경험이 있는지 확인한다.
만약, 해당 외부기기(100)를 통해 출력 전환을 수행하도록 미리 설정된 경우, 다시 말해 기존에 패어링을 수행한 경험이 있는 경우, 모바일 장치(300)는 출력 전환 승인 여부를 묻는 제 2 알림 이벤트(314b)를 출력할 수 있다. (915) 여기서, 제 2 알림 이벤트(314b)는 해당 외부기기(100)로 출력 전환을 수행할 지 여부를 직관적으로 묻는 이미지와 같은 아이콘의 형태일 수 있다.
다음으로, 모바일 장치(300)는 제 2 알림 이벤트(314b)를 확인한 사용자로부터 출력 전환을 승인하는 입력이 인가되었는지 확인한다. (920) 출력 전환 승인 입력이 인가되지 않으면, 절차는 종료된다.
한편, 해당 외부기기(100)를 통해 출력 전환을 수행하도록 미리 설정되지 않은 경우, 다시 말해 기존에 패어링을 수행한 경험이 없는 경우, 모바일 장치(300)는 출력 전환 승인 여부를 묻는 제 1 알림 이벤트(314a)를 출력할 수 있다. (925) 여기서, 제 1 알림 이벤트(314a)는 해당 외부기기(100)로 출력 전환을 수행할 지 여부를 구체적으로 묻는 텍스트 또는 음성의 형태일 수 있다.
다음으로, 모바일 장치(300)는 제 1 알림 이벤트(314a)를 확인한 사용자로부터 출력 전환을 승인하는 입력이 인가되었는지 확인한다. (930) 출력 전환 승인 입력이 인가되지 않으면, 절차는 종료된다.
만약, 출력 전환 승인 입력이 인가되었다면, 모바일 장치(300)는 해당 외부기기(100)를 출력 전환 수행 장치로 설정한다. (935) 따라서, 추후 해당 외부기기(100)와의 패어링 시 제 2 알림 이벤트(314b)가 출력될 수 있다.
제 2 이벤트에 대응하여 출력 전환 승인 입력이 인가되었거나, 제 1 이벤트에 대응하여 출력 전환 승인 입력이 인가된 후, 해당 외부기기(100)를 출력 전환 수행 장치로 설정한 경우, 모바일 장치(300)는 해당 외부기기(100)에 패어링 요청 신호를 전송함으로써, 외부기기(100)와의 패어링을 수행할 수 있다. (940)
패어링이 완료되면, 모바일 장치(300)는 외부기기(100)의 전원이 온 상태인지 확인할 수 있다. (945) 외부기기(100)의 전원이 오프 상태라면, 모바일 장치(300)는 전원을 온 상태로 전환하는 신호를 외부기기(100)로 전송할 수 있다. (950) 전원을 온 상태로 전환하는 신호를 전송하는 방법으로 WoL, WoWLAN, 또는 블루투스 방식을 채택할 수 있다.
외부기기(100)의 전원이 온 상태이거나, 외부기기(100)가 전원을 온 상태로 전환하는 신호를 전송 받아 전원이 온 상태가 된 경우, 모바일 장치(300)는 출력중인 멀티미디어에 대한 데이터를 외부기기(100)로 전송할 수 있다. (955)
도 19는 네트워크의 정보 전송방식이 블루투스인 경우, 모바일 장치의 출력 전환 방법의 다른 실시예에 대한 흐름도이다.
먼저, 모바일 장치(300)는 멀티미디어를 출력할 수 있다. (1000) 출력되는 멀티미디어는 멀티미디어는 사진, 음악, 동영상 및 문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다음으로, 모바일 장치(300)는 블루투스 패어링 가능한 외부기기(100)를 탐색할 수 있다. (1010) 패어링 가능한 외부기기(100)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 절차는 종료된다.
그러나, 패어링 가능한 외부기기(100)가 존재하는 경우, 모바일 장치(300)는 패어링 가능한 외부기기(100)가 복수 개 인지 확인한다. (1020)
만약, 패어링 가능한 외부기기(100)가 한 개인 경우, 모바일 장치(300)는 출력 전환 승인 여부를 묻는 알림 이벤트를 출력한다. (1030a) 다음으로, 모바일 장치(300)는 출력 전환 승인 여부를 묻는 알림 이벤트를 확인한 사용자로부터 출력 전환을 승인하는 입력이 인가되었는지 확인한다. (1030b) 출력 전환 승인 입력이 인가되지 않으면, 절차는 종료된다.
한편, 패어링 가능한 외부기기(100)가 복수 개 인 경우, 모바일 장치(300)는 복수의 외부기기(100) 중 출력 전환을 수행할 외부기기(100)를 선택 받는 알림 이벤트를 출력할 수 있다. (1040a) 구체적으로 모바일 장치(300)는 출력 전환을 수행할 수 있는 외부기기(100) 리스트를 제공할 수 있다. 다음으로 모바일 장치(300)는 출력 전환을 수행할 외부기기(100)가 선택되었는지 확인한다. (1040b) 출력 전환을 수행할 외부기기(100)가 선택되지 않으면, 절차는 종료된다.
만약, 출력 전환 승인 입력이 인가되었거나, 출력 전환을 수행할 외부기기(100)가 선택되었다면, 모바일 장치(300)는 해당 외부기기(100)에 패어링 요청 신호를 전송함으로써, 외부기기(100)와의 패어링을 수행할 수 있다. (1050)
패어링이 완료되면, 모바일 장치(300)는 외부기기(100)의 전원이 온 상태인지 확인할 수 있다. (1060) 외부기기(100)의 전원이 오프 상태라면, 모바일 장치(300)는 전원을 온 상태로 전환하는 신호를 외부기기(100)로 전송할 수 있다. (1070) 전원을 온 상태로 전환하는 신호를 전송하는 방법으로 WoL, WoWLAN, 또는 블루투스 방식을 채택할 수 있다.
외부기기(100)의 전원이 온 상태이거나, 외부기기(100)가 전원을 온 상태로 전환하는 신호를 전송 받아 전원이 온 상태가 된 경우, 모바일 장치(300)는 출력중인 멀티미디어에 대한 데이터를 외부기기(100)로 전송할 수 있다. (1080)
도 20은 네트워크의 정보 전송방식이 블루투스인 경우, 모바일 장치의 출력 전환 방법의 또 다른 실시예에 대한 흐름도이다.
먼저, 모바일 장치(300)는 멀티미디어를 출력할 수 있다. (1100) 출력되는 멀티미디어는 멀티미디어는 사진, 음악, 동영상 및 문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다음으로, 모바일 장치(300)는 블루투스 패어링 가능한 외부기기(100)를 탐색할 수 있다. (1110) 패어링 가능한 외부기기(100)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 절차는 종료된다.
그러나, 패어링 가능한 외부기기(100)가 존재하는 경우, 모바일 장치(300)는 패어링 가능한 외부기기(100)가 복수 개 인지 확인한다. (1120)
만약, 패어링 가능한 외부기기(100)가 한 개인 경우, 모바일 장치(300)는 출력 전환 승인 여부를 묻는 알림 이벤트를 출력한다. (1130)
한편, 패어링 가능한 외부기기(100)가 복수 개 인 경우, 모바일 장치(300)는 복수의 외부기기(100) 중 가장 인접한 외부기기(100)에 대한 출력 전환 승인 여부를 묻는 알림 이벤트를 출력할 수 있다. (1140) 이 때, 모바일 장치(300)는 블루투스 신호의 세기가 가장 큰 외부기기(100)를 가장 인접한 외부기기(100)로 결정할 수 있다.
다음으로, 출력 전환 수행 여부를 묻는 알림 이벤트에 대응하여 출력 전환을 승인하는 입력이 인가되었는지 확인한다. (1150) 출력 전환을 승인하는 입력이 인가되지 않으면, 절차는 종료된다.
그러나 출력 전환 승인 입력이 인가되었다면, 모바일 장치(300)는 해당 외부기기(100)에 패어링 요청 신호를 전송함으로써, 외부기기(100)와의 패어링을 수행할 수 있다. (1160)
패어링이 완료되면, 모바일 장치(300)는 외부기기(100)의 전원이 온 상태인지 확인할 수 있다. (1170) 외부기기(100)의 전원이 오프 상태라면, 모바일 장치(300)는 전원을 온 상태로 전환하는 신호를 외부기기(100)로 전송할 수 있다. (1180) 전원을 온 상태로 전환하는 신호를 전송하는 방법으로 WoL, WoWLAN,또는 블루투스 방식을 채택할 수 있다.
외부기기(100)의 전원이 온 상태이거나, 외부기기(100)가 전원을 온 상태로 전환하는 신호를 전송 받아 전원이 온 상태가 된 경우, 모바일 장치(300)는 출력중인 멀티미디어에 대한 데이터를 외부기기(100)로 전송할 수 있다. (1190)
도 21은 네트워크의 정보 전송방식이 블루투스인 경우, 디스플레이 장치의 출력 전환 방법의 일 실시예에 대한 흐름도이다.
먼저, 모바일 장치(300)로부터 패어링 요청 신호를 수신하였는지 확인한다. (1200) 패어링 요청 신호를 수신하기 전이라면, 반복하여 확인할 수 있다.
만약, 모바일 장치(300)로부터 패어링 요청 신호를 수신하였다면, 수신한 신호에 따라 모바일 장치(300)와 패어링을 수행할 수 있다. (1210)
구체적으로, 해당 모바일 장치(300)와 패어링 수행 경험이 없는 경우, 디스플레이 장치는 보안 인증 화면을 출력할 수 있다. (1220) 보안 인증 화면을 통해 입력된 핀 코드를 확인한 후, 디스플레이 장치는 모바일 장치(300)와 패어링을 수행할 수 있다.
이와는 달리, 해당 모바일 장치(300)와 패어링 수행 경험이 있는 경우, 디스플레이 장치는 보안 인증 화면의 출력 없이, 모바일 장치(300)와 패어링을 수행할 수 있다.
다음으로, 디스플레이 장치의 전원이 온 상태인지 확인한다. (1220) 만약, 전원이 오프 상태인 경우, 디스플레이 장치는 모바일 장치(300)로부터 전원을 온 상태로 전환하는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1230) 이 때, 전원을 온 상태로 전환하는 신호를 수신하는 방법으로 WoL, WoWLAN, 또는 블루투스 방식을 채택할 수 있다.
신호의 수신 후, 디스플레이 장치는 수신한 신호에 따라 전원을 온 상태로 전환할 수 있다. (1240)
전원이 온 상태이거나, 전원을 온 상태로 전환한 경우, 디스플레이 장치는 모바일 장치(300)에 출력 중인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블루투스 방식으로 수신할 수 있다. (1250)
최종적으로, 디스플레이 장치는 수신한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기초로 모바일 장치(300)에 출력 중인 멀티미디어를 출력할 수 있다. (1260)
지금까지는, 네트워크의 정보 전송방식이 Wifi 또는 블루투스인 경우를 전제로 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모바일 장치(300) 및 디스플레이 장치는 Wifi 와 블루투스 방식을 모두 채택하거나 선택적으로 채택하여 정보를 송수신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모바일 장치(300)와 디스플레이 장치는 Wifi 와 블루투스 중 신호의 세기가 더 크거나, 통신 속도가 더 빠른 방법을 채택하여 정보를 송수신 할 수 있다.
100: 외부기기
200, 700: 네트워크
300, 800: 모바일 장치
310: 모바일 장치 출력부
320: 모바일 장치 제어부
330: 모바일 장치 입력부
340: 모바일 장치 통신부
600: 디스플레이 장치
610: 디스플레이 장치 입력부
620: 디스플레이 장치 제어부
630: 디스플레이 장치 출력부
640: 디스플레이 장치 통신부

Claims (33)

  1. 사진, 음악, 동영상, 및 문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멀티미디어를 출력하는 모바일 장치에 있어서,
    상기 멀티미디어를 출력하는 출력부;
    상기 멀티미디어에 대한 데이터를 전송하는 통신부; 및
    상기 모바일 장치가 미리 정해진 영역에 위치하고 네트워크에 연결되어 있다고 판단되면, 상기 모바일 장치에 저장된 복수 개의 외부 기기들에 대한 우선 순위에 기초하여 상기 네트워크를 통해 액세스할 수 있는 외부기기를 선택하고, 상기 모바일 장치에서 출력 중인 상기 멀티미디어에 동기화된 멀티미디어를 상기 선택된 외부기기를 통해 출력하도록 상기 통신부를 제어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동기화된 멀티미디어를 상기 선택된 외부기기를 통해 출력하도록 할 때, 상기 선택된 외부기기로 출력이 전환되는 시점에 상기 모바일 장치에서 출력되던 멀티미디어의 부분부터 상기 선택된 외부기기에서 출력하도록 하는 모바일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선택된 외부기기의 전원이 온(On) 상태인 경우, 상기 출력부에서 출력 중인 멀티미디어가 상기 선택된 외부기기에서 출력되는 것을 승인하는 입력이 인가되면 상기 선택된 외부기기를 통해 상기 동기화된 멀티미디어를 출력하는 모바일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선택된 외부기기의 전원이 오프(Off) 상태인 경우, 상기 선택된 외부기기의 전원을 온 상태로 변환시킨 후,
    상기 선택된 외부기기를 통해 상기 동기화된 멀티미디어를 출력하도록 상기 통신부를 제어하는 모바일 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부는,
    WoL(Wake on Lan), WoWLAN(Wake on Wireless Lan) 또는 블루투스 방식에 의해 상기 선택된 외부기기의 전원을 온 상태로 변환시키는 신호를 전송하는 모바일 장치.
  5. 삭제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미리 정해진 시간 범위 내에 상기 모바일 장치가 상기 미리 정해진 영역에 위치하면, 상기 동기화된 멀티미디어를 상기 선택된 외부기기를 통해 출력하는 모바일 장치.
  7. 삭제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멀티미디어가 상기 모바일 장치에 저장된 경우, 상기 멀티미디어의 스트리밍 데이터를 상기 선택된 외부기기에 전송하도록 상기 통신부를 제어하는 모바일 장치.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멀티미디어가 스트리밍 방식에 의해 출력되는 경우, 상기 멀티미디어의 URL(Uniform Resource Locator) 주소를 상기 선택된 외부기기에 전송하도록 상기 통신부를 제어하는 모바일 장치.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멀티미디어가 DMB 신호를 기초로 출력되는 경우, 상기 멀티미디어의 채널 정보를 상기 선택된 외부기기에 전송하도록 상기 통신부를 제어하는 모바일 장치.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부는,
    상기 출력부에서 출력 중인 멀티미디어에 대한 데이터를 Wifi 및 블루투스 중 적어도 하나의 방식으로 상기 선택된 외부기기로 전송하는 모바일 장치.
  1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모바일 장치가 상기 미리 정해진 영역에 위치하면, 상기 선택된 외부기기를 통해 상기 모바일 장치가 상기 미리 정해진 영역에 위치함을 알리는 모바일 장치.
  1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부는,
    상기 선택된 외부기기의 설정에 대한 알림 이벤트를 출력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알림 이벤트에 대한 입력에 따라 상기 선택된 외부기기를 제어하는 모바일 장치.
  1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부는,
    상기 선택된 외부기기에 상기 멀티미디어를 계속하여 출력할지 여부에 대한 알림 이벤트를 출력하는 모바일 장치.
  15. 사진, 음악, 동영상, 및 문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멀티미디어를 출력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에 있어서,
    미리 정해진 모바일 장치와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부;
    미리 정해진 영역에 위치하는 상기 미리 정해진 모바일 장치가 인식되면, 상기 모바일 장치에서 출력 중인 멀티미디어에 동기화된 멀티미디어에 대한 데이터의 수신을 제어하고, 상기 수신한 멀티미디어에 대한 데이터를 기초에 기초하여 상기 모바일 장치에서 출력 중인 멀티미디어와 동기화된 멀티미디어를 출력하는 출력부; 를 포함하고,
    상기 출력부는, 상기 동기화된 멀티미디어를 출력할 때, 상기 출력부로 출력이 전환되는 시점에 상기 모바일 장치에서 출력되던 멀티미디어의 부분부터 출력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부는, 상기 미리 정해진 모바일 장치로부터 수신된 전원의 온 명령에 대응하여 상기 동기화된 멀티미디어의 출력을 제어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17.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부는,
    WOL(Wake On Lan), WoWLAN(Wake on Wireless Lan) 또는 블루투스 방식에 의해 상기 미리 정해진 모바일 장치로부터 상기 전원을 온 상태로 변환시키는 신호를 수신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18.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부는,
    상기 미리 정해진 모바일 장치에 저장된 상기 멀티미디어의 스트리밍 데이터를 상기 미리 정해진 모바일 장치로부터 수신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19.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부는,
    상기 멀티미디어가 스트리밍 방식에 의해 상기 미리 정해진 모바일 장치에서 출력되는 경우, 상기 멀티미디어의 URL(Uniform Resource Locator) 주소를 상기 미리 정해진 모바일 장치로부터 수신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20.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부는,
    상기 멀티미디어가 DMB 신호를 기초로 상기 미리 정해진 모바일 장치에서 출력되는 경우, 상기 멀티미디어의 채널 정보를 상기 미리 정해진 모바일 장치로부터 수신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21.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부는,
    상기 미리 정해진 모바일 장치로부터 상기 동기화된 멀티미디어에 대한 데이터를 Wifi 및 블루투스 중 적어도 하나의 방식으로 수신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22. 사진, 음악, 동영상, 및 문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멀티미디어를 출력하는 방법에 있어서,
    모바일 장치에서 멀티미디어를 출력 중인 상태에서 상기 모바일 장치가 미리 정해진 영역에 위치하고 네트워크에 연결되어 있다고 판단되면, 상기 모바일 장치에 저장된 복수 개의 외부 기기들에 대한 우선 순위에 기초하여 상기 네트워크를 통해 액세스할 수 있는 외부 기기를 선택하고,
    상기 모바일 장치에서 출력 중인 상기 멀티미디어에 동기화된 멀티미디어를 상기 선택된 외부기기에서 출력하고,
    상기 동기화된 멀티미디어를 상기 선택된 외부기기에서 출력하는 것은,
    상기 선택된 외부기기로 출력이 전환되는 시점에 상기 모바일 장치에서 출력되던 멀티미디어의 부분부터 상기 선택된 외부기기에서 출력하도록 하는 것을 포함하는 멀티미디어의 출력방법.
  23. 제 22 항에 있어서,
    상기 동기화된 멀티미디어를 상기 선택된 외부기기에서 출력하는 것은,
    상기 선택된 외부기기의 전원이 온(On) 상태인 경우, 상기 동기화된 멀티미디어가 상기 선택된 외부기기에서 출력되는 것을 승인하는 입력을 인가받고,
    상기 입력이 인가되면 상기 선택된 외부기기에서 상기 동기화된 멀티미디어를 출력하는 것을 포함하는 멀티미디어의 출력방법.
  24. 제 22 항에 있어서,
    상기 동기화된 멀티미디어를 상기 선택된 외부기기에서 출력하는 것은,
    상기 선택된 외부기기의 전원이 오프(Off) 상태인 경우, 상기 선택된 외부기기의 전원을 온 상태로 변환시키고,
    상기 선택된 외부기기의 전원이 온 상태로 변환되면, 상기 동기화된 멀티미디어를 상기 선택된 외부기기에서 출력하는 것을 포함하는 멀티미디어의 출력방법.
  25. 삭제
  26. 제 22 항에 있어서,
    상기 동기화된 멀티미디어를 상기 선택된 외부기기에서 출력하는 것은,
    미리 정해진 시간 범위 내에 상기 모바일 장치가 상기 미리 정해진 영역에 위치하면, 상기 동기화된 멀티미디어를 상기 선택된 외부기기에서 출력하는 것을 포함하는 멀티미디어의 출력방법.
  27. 삭제
  28. 제 22 항에 있어서,
    상기 동기화된 멀티미디어를 상기 선택된 외부기기에서 출력하는 것은,
    상기 멀티미디어가 상기 모바일 장치에 저장된 경우, 상기 모바일 장치에 저장된 상기 멀티미디어의 스트리밍 데이터를 상기 선택된 외부기기로 전송하는 것을 포함하는 멀티미디어의 출력방법.
  29. 제 22 항에 있어서,
    상기 동기화된 멀티미디어를 상기 선택된 외부기기에서 출력하는 것은,
    상기 모바일 장치가 스트리밍 방식에 따라 상기 멀티미디어를 출력하는 경우, 상기 멀티미디어의 URL(Uniform Resource Locator) 주소를 상기 선택된 외부기기로 전송하는 것을 포함하는 멀티미디어의 출력방법.
  30. 제 22 항에 있어서,
    상기 동기화된 멀티미디어를 상기 선택된 외부기기에서 출력하는 것은,
    상기 모바일 장치가 DMB 신호를 기초로 상기 멀티미디어를 출력하는 경우, 상기 멀티미디어의 채널 정보를 상기 선택된 외부기기에 전송하는 멀티미디어의 출력방법.
  31. 제 22 항에 있어서,
    상기 모바일 장치가 상기 미리 정해진 영역에 위치하면, 상기 선택된 외부기기에서 상기 모바일 장치가 상기 미리 정해진 영역에 위치함을 알리는 것을 더 포함하는 멀티미디어의 출력방법.
  32. 제 22 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된 외부기기에서 설정에 대한 알림 이벤트를 출력하면, 상기 모바일 장치에서 상기 알림 이벤트를 출력하고,
    상기 모바일 장치에서 상기 알림 이벤트에 대한 입력이 인가되면, 상기 입력에 따라 상기 선택된 외부기기의 설정을 변경하는 것을 더 포함하는 멀티미디어의 출력방법.
  33. 제 22 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된 외부기기에서 상기 멀티미디어를 계속하여 출력할지 여부에 대한 알림 이벤트를 상기 모바일 장치 및 상기 선택된 외부기기 중 적어도 하나에서 출력하는 것을 더 포함하는 멀티미디어의 출력방법.
KR1020150000779A 2014-05-28 2015-01-05 모바일 장치, 디스플레이 장치, 및 이를 이용하는 멀티미디어 출력방법 KR102330109B1 (ko)

Priority Applications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KR2015/005279 WO2015182976A1 (en) 2014-05-28 2015-05-27 Mobile apparatus, display apparatus, and multimedia output method using the same
CN201510284549.2A CN104853318A (zh) 2014-05-28 2015-05-28 移动装置、显示装置及使用其的多媒体输出方法
CN201911335874.1A CN110995758A (zh) 2014-05-28 2015-05-28 移动装置、显示装置及使用其的多媒体输出方法
EP15169752.1A EP2950548B1 (en) 2014-05-28 2015-05-28 Mobile apparatus, display apparatus, and multimedia output method using the same
US14/723,888 US10270867B2 (en) 2014-05-28 2015-05-28 Mobile apparatus, display apparatus, and multimedia output method using the same
US16/390,518 US10944840B2 (en) 2014-05-28 2019-04-22 Mobile apparatus, display apparatus, and multimedia output method us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40064645 2014-05-28
KR1020140064645 2014-05-28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36987A KR20150136987A (ko) 2015-12-08
KR102330109B1 true KR102330109B1 (ko) 2021-11-24

Family

ID=548729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00779A KR102330109B1 (ko) 2014-05-28 2015-01-05 모바일 장치, 디스플레이 장치, 및 이를 이용하는 멀티미디어 출력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30109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30179928A1 (en) * 2012-01-06 2013-07-11 Junichi Nagata Mobile terminal, television receiver, and communication system including the mobile terminal and the television receiver
KR101315608B1 (ko) * 2011-09-27 2013-10-18 엘지전자 주식회사 컨텐츠 관리 방법 및 그를 이용한 영상 표시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99359B1 (ko) * 2007-04-06 2014-05-26 삼성전자주식회사 컨텐츠 전송 제어 방법 및 장치
KR102001215B1 (ko) * 2012-07-20 2019-07-17 삼성전자주식회사 컨텐트 공유 방법 및 시스템, 그 기기 및 기록 매체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15608B1 (ko) * 2011-09-27 2013-10-18 엘지전자 주식회사 컨텐츠 관리 방법 및 그를 이용한 영상 표시 장치
US20130179928A1 (en) * 2012-01-06 2013-07-11 Junichi Nagata Mobile terminal, television receiver, and communication system including the mobile terminal and the television receiv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36987A (ko) 2015-12-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508199B2 (ja) スマートホーム機器の制御方法、装置、システムおよび機器
US9893934B2 (en) System and method of controlling surrounding devices, based on topology
EP3029650B1 (en) Electronic device, audio device, and methods of controlling electronic device and audio device power supply
US10462829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accessing wireless access point
US20190044747A1 (en) Using a control panel as a wireless access point
US10084649B2 (en) Terminal for internet of things and operation method of the same
US10237901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necting with controlled smart device, and storage medium
JP6266111B2 (ja) 使用権限取得方法及び装置
EP4207690A1 (en) Gateway as an internet of things mesh enhancer apparatus and method
US9125002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onnecting with bluetooth device in portable terminal
US9952985B2 (en) Method and system for communication between devices via an intermediate device
JP2017532855A (ja) インテリジェント電気機器を動作させる方法及び装置
KR102064929B1 (ko) 근접 기능 운용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전자 장치
KR101588595B1 (ko) 사물인터넷을 지원하는 통합리모컨 및 그 제어방법
JP6286616B2 (ja) ホームスマートソケット制御方法、装置、プログラム及び記録媒体
CN104635501A (zh) 智能家居控制方法和系统
JP2017531974A (ja) ネットワーク接続方法、機器、システム、プログラム及び記録媒体
JP2017513416A (ja) データ伝送方法、装置、設備、プログラム及び記録媒体
US10944840B2 (en) Mobile apparatus, display apparatus, and multimedia output method using the same
US20150195650A1 (en) Method for audio receiver to select audio source from multiple transmitters
KR102330109B1 (ko) 모바일 장치, 디스플레이 장치, 및 이를 이용하는 멀티미디어 출력방법
US20180145845A1 (en) Device control method and apparatus in home network system
TW201347461A (zh) 影音監控系統及其網路連線設定方法
JP2014068207A (ja) 情報処理端末、再生装置、情報制御システム、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KR20140147599A (ko) 전자 기기 및 전자 기기의 제어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