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88595B1 - 사물인터넷을 지원하는 통합리모컨 및 그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사물인터넷을 지원하는 통합리모컨 및 그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88595B1
KR101588595B1 KR1020150160224A KR20150160224A KR101588595B1 KR 101588595 B1 KR101588595 B1 KR 101588595B1 KR 1020150160224 A KR1020150160224 A KR 1020150160224A KR 20150160224 A KR20150160224 A KR 20150160224A KR 101588595 B1 KR101588595 B1 KR 10158859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mote controller
integrated remote
control
touch
code s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602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장민
전재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에이웍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에이웍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에이웍스
Priority to KR102015016022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8859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8859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8859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9/00Arrangements in telecontrol or telemetry systems for selectively calling a substation from a main station, in which substation desired apparatus is selected for applying a control signal thereto or for obtaining measured values therefrom
    • H04Q9/04Arrangements for synchronous oper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2209/00Arrangements in telecontrol or telemetry systems
    • H04Q2209/40Arrangements in telecontrol or telemetry systems using a wireless architecture
    • H04Q2209/43Arrangements in telecontrol or telemetry systems using a wireless architecture using wireless personal area networks [WPAN], e.g. 802.15, 802.15.1, 802.15.4, Bluetooth or ZigBe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 Selective Calling Equip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사물인터넷을 지원하는 터치형 통합리모컨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 복수의 가전제품에 대한 개별적인 리모컨을 하나의 리모컨으로 통합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하고, 휴대단말기와 연동되어 편리하게 그 기능설정이 가능하며, 홈 네트워크 연결 및 MQTT를 기반으로 사물인터넷 연결이 가능한 통합리모컨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사물인터넷을 지원하는 통합리모컨 및 그 제어방법{AN INTEGRATED REMOTE CONTROLLER SUPPORTING INTERNET OF THINGS(IoT) AND THE CONTROL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사물인터넷을 지원하는 통합리모컨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복수의 가전제품을 하나의 리모컨으로 통합하여 제어할 수 있도록 하고, 휴대단말기와 연동되어 편리하게 기능을 설정하는 것이 가능하고, 홈 네트워크 연결이나 MQTT(Message Queue Telemetry Transport)를 기반으로 한 사물인터넷을 지원하는 터치형 통합리모컨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근래에는 텔레비전, 오디오, 비디오테이프 녹화기(VTR), DVD 플레이어, 에어컨 등 한 가정에서 여러 개의 전자기기를 사용하고 있고, 각 전자기기마다 별도의 리모컨이 있는 경우가 대부분이어서 리모컨의 수가 너무 많다. 따라서 이들을 관리하기도 어렵고, 각각의 리모컨 조작법을 익히기에도 많은 어려움이 따른다. 따라서 여러 개의 가전제품을 효율적으로 제어하기 위해 통합리모컨의 사용에 대한 필요성이 증가하고 있다.
그러나 통합리모컨을 설정하기 위해서는 사용하는 전자장치의 정보를 등록해 주어야 하며, 이를 위해 전자장치의 제조사 및 모델 정보 등이 필요하다. 설사 제조사와 모델 정보를 알고 있다고 하여도, 통합리모컨의 설정을 위해서는 제어하고자 하는 전자장치의 제어코드셋(Code Set)이 필요하다. 그러나 가전제품의 제조 회사가 다양하고 그 모델도 다양하고 또한 자주 변하므로 통합리모컨에서 제어코드셋을 사용자가 직접 설정하는 것은 결코 용이하지 않은 일이다.
또한 TV, 세탁기, 냉장고, 에어컨, 조명시설이 모두 하나의 홈 네트워크로 연결되는 사물인터넷 환경이 빠르게 성장하면서 이러한 사물인터넷 관련 디바이스를 통합적으로 제어할 수 있는 통합리모컨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본 발명은 이상에서 제기된 문제점을 해결하고 필요성을 만족시키기 위해서 복수의 가전제품을 하나의 리모컨으로 통합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하고, 휴대단말기와 연동되어 편리하게 그 기능설정을 할 수 있고, 홈 네트워크 연결 및 MQTT를 기반으로 한 사물인터넷 연결이 가능한 터치형 통합리모컨 및 그 제어방법을 제안하고자 한다.
이러한 기술적 내용과 관련한 기존의 선행기술문헌으로 한국공개특허 제2012-0031694호(2012.04.04.)는 통합리모컨 제어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IR 리모컨 신호 또는 WiFi 리모컨 신호 등과 같이, 서로 다른 종류의 리모컨 신호들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무선 송출할 수 있도록, 그에 상응하는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GUI) 화면을 표시함과 아울러, 사전에 설정된 리모컨 방식 우선순위 정보를 검색하여, 제1 우선순위의 리모컨 신호를 송출하되, 원격 제어 실패시, 제2 우선순위의 리모컨 신호를 자동으로 변경하여 먼저 송출함으로써, 통합리모컨 사용자의 편리성을 보다 효율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게 되며, 또한 통합리모컨 사용시 원격 제어 성공률을 보다 효율적으로 증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선행기술은 여러 개의 가전제품에 대한 리모컨을 하나의 리모컨으로 통합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점과 적외선 또는 WiFi 리모컨 신호등 서로 다른 종류의 리모컨 신호를 통합적으로 관리하는 점에서는 본 발명과 일부 유사점이 있으나, 휴대단말기와 연동하는 구조나 방법에 대한 기재가 없고 또한 홈 네트워크 연결이나 MQTT를 기반으로 한 사물인터넷 연결을 통해서 사용자가 편리하게 통합리모컨을 설정할 수 있도록 하는 본 발명의 기술적 특징에 대해서는 기재하거나 시사하고 있지 않다.
또한 한국등록특허 제1097364호(2011.12.15.)는 터치 리모컨 및 터치 리모컨을 이용하여 영상출력장치를 제어하는 제어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터치(touch) 및 드래그(drag)의 동작을 통해 영상출력장치를 제어하는 터치 리모컨에 있어서, 상기 터치 리모컨에 구비되어 사용자의 손가락을 통해 터치 및 드래그의 동작으로 입력신호가 입력되고, 다수의 영역으로 분할되어 각각의 영역에서 이루어지는 터치 및 드래그에 따라 영역마다 각각 다른 입력신호로 입력되는 터치센서부, 상기 터치센서부에 입력되는 입력신호를 영상출력장치로 송신하는 송신부, 상기 터치센서부에 터치 및 드래그를 구분하여 입력신호가 입력되도록 제어하고 이 입력신호를 송신하는 송신부를 제어하는 리모컨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선행기술은 터치 방식의 리모컨을 통해 영상출력 장치를 제어하는 점에서는 본 발명과 일부 유사점이 있으나, 휴대단말기와 연동하는 구조나 방법에 대한 기재가 없고 또한 홈 네트워크 연결 및 MQTT를 기반으로 한 사물인터넷 연결을 통해서 사용자가 편리하게 통합리모컨을 설정할 수 있도록 하는 본 발명의 기술적 특징에 대해서는 기재하거나 시사하고 있지 않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작 된 것으로서, 복수의 가전제품을 제어하는 개별 리모컨들을 하나의 리모컨으로 통합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하고, 휴대단말기와 연동되어 편리하게 그 기능설정이 가능하고, 홈 네트워크 연결 및 MQTT를 기반으로 한 사물인터넷 연결이 가능한 터치형 통합리모컨 및 그 제어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통합리모컨을 통해서 가정에 구비된 가전제품뿐만 아니라 사물인터넷에 연결된 모든 종류의 기기들도 제어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그 활용도가 극대화된 통합리모컨 및 그 제어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통합리모컨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가전제품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코드셋 신호를 송수신하는 제어코드셋 송수신부 및 유무선 네트워크에 접속하기 위한 네트워크연결부를 포함하며, MQTT 브로커를 통해서 사물인터넷과의 연결을 지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통합리모컨은, 터치패드를 통한 사용자의 터치입력을 인식하는 터치인식부 및 제스처 시작 포인트를 변경하고 제스처의 입력에 대한 조건을 설정할 수 있는, 사용자의 제스처 입력을 인식하는 제스처입력처리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가전제품의 모델명이나 상기 가전제품의 제어코드셋을 네트워크에서 검색하여 해당 가전제품의 기능을 제어하기 위한 정보를 통합리모컨에 등록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제어코드셋 송수신부는, 적외선, 블루투스, 와이파이, 지그비, 제트웨이브 등 가전제품에 따라 다양한 리모트 제어코드셋 신호를 송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통합리모컨은, 특정 버튼으로 이벤트를 발생시키면, 상기 이벤트에 해당하는 미리 설정된 액션이 사물인터넷에 연결된 디바이스에 전달되어 상기 디바이스를 제어하는 것이며, 휴대단말기와 동기화하여 개별 리모컨의 제어 코드셋을 매핑함으로써, 상기 휴대단말기의 앱을 통해서 사용자의 가전제품에 대한 리모컨을 등록하고, 상기 통합리모컨을 터치하면 해당 버튼에 등록된 버튼의 기능을 화면에 표시해주는 디스플레이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휴대단말기의 앱을 통해서 통합리모컨에 대한 찾기 기능을 수행하면, 알림소리를 출력하는 스피커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통합리모컨의 제어방법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가전제품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코드셋 신호를 송수신하는 단계, 유무선 네트워크에 접속하여 MQTT 브로커를 통해서 메시지를 송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사물인터넷과의 연결을 지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어방법은, 터치패드를 통한 사용자의 터치입력을 인식하는 터치인식 단계 및 제스처 시작 포인트를 변경하고 제스처의 입력에 대한 조건을 설정할 수 있는, 사용자의 제스처 입력을 인식하는 제스처입력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가전제품의 모델명이나 상기 가전제품의 제어코드셋을 네트워크에서 검색하여 해당 가전제품의 기능을 제어하기 위한 정보를 통합리모컨에 등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특정 버튼으로 이벤트를 발생시키면, 상기 이벤트에 해당하는 미리 설정된 액션이 사물인터넷에 연결된 디바이스에 전달되어 상기 디바이스를 제어하며, 휴대단말기와 동기화하여 개별 리모컨의 제어 코드셋을 매핑함으로써, 상기 휴대단말기의 앱을 통해서 사용자의 가전제품에 대한 리모컨을 등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복수의 가전제품을 하나의 리모컨으로 통합하여 제어할 수 있도록 하고, 휴대단말기와 연동되어 편리하게 그 기능설정이 가능하고, 홈 네트워크 연결 및 MQTT를 기반으로 한 사물인터넷 연결이 가능한 터치형 통합리모컨 및 그 제어방법을 통해 사용자로 하여금 여러 가전제품을 편리하고 효율적으로 하나의 리모컨으로 통합관리 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은 통합리모컨을 통해서 가정에 구비된 가전제품뿐만 아니라 사물인터넷에 연결된 모든 종류의 기기들도 제어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그 활용도를 극대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물인터넷을 지원하는 터치형 통합리모컨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물인터넷을 지원하는 터치형 통합리모컨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기기간의 신호 흐름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물인터넷을 지원하는 터치형 통합리모컨의 모드선택 동작을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물인터넷을 지원하는 터치형 통합리모컨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물인터넷을 지원하는 터치형 통합리모컨의 터치입력 동작을 나타낸 예시도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물인터넷을 지원하는 터치형 통합리모컨의 제스처 입력 동작을 나타낸 예시도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물인터넷을 지원하는 터치형 통합리모컨에 개별 리모컨의 정보를 등록하는 과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단말기의 앱을 통한 가전제품의 기능을 사물인터넷을 지원하는 터치형 통합리모컨 버튼에 등록/수정/삭제하는 과정을 나타낸 예시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설명함으로써,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 대해서 특정한 구조적 내지 기능적 설명들은 단지 본 발명에 따른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예시된 것으로,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명세서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물인터넷을 지원하는 터치형 통합리모컨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물인터넷을 지원하는 통합리모컨(100)은 TV(410), 영상 플레이어(420) 등을 포함한 복수의 가전제품(IR 홈 어플라이언스)에 대한 개별 리모컨을 하나의 리모컨(100)으로 통합하여 사용할 수 있게 한다. 이를 위해서 각 개별 리모컨의 기능을 스마트폰(200)을 통해서 용이하게 상기 통합리모컨(100)에 설정할 수 있으며, 상기 통합리모컨(100)에 사물인터넷을 지원하도록 함으로써, 사물인터넷에 연결된 기기(430)들의 제어도 편리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사물인터넷을 지원하는 터치형 통합리모컨(100)은 특정 버튼을 제스처 시작 포인트로 설정하여, 사용자의 터치 제스처가 입력되면 이를 인식하며, 상기 인식한 터치 제스처에 따른 제어코드셋을 해당 가전제품에 송출함으로써, 상기 가전제품을 제어한다.
또한 상기 사용자는 자체적으로 구비한 휴대단말기(200)에 설치한 앱에 상기 TV(410), 영상 플레이어(420)등을 포함하는 다양한 가전제품(IR 홈 어플라이언스)들의 기능을 리모컨으로 제어하는데 필요한 동작모드나 버튼을 등록할 수 있으며, 상기 사용자는 상기 등록한 복수의 가전제품의 다양한 기능을 상기 앱에서 제공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통합리모컨(100)의 모드 및 버튼을 설정하여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설정은 모드별로 구분되는 상기 가전제품에 따라 상기 통합리모컨의 버튼에 상기 가전제품의 기능을 등록, 삭제, 수정 또는 새로운 버튼을 추가하여 새로운 기능을 등록하는 것을 말한다.
또한 상기 통합리모컨(100)은 상기 휴대단말기(200)기와 동기화를 수행함으로써, 상기 휴대단말기(200)에서 설정한 버튼을 이용하여 해당 가전제품에 대한 기능을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동기화는 상기 휴대단말기(200)에서 상기 통합리모컨의 버튼이 등록, 삭제, 수정 또는 추가된 경우 상기 휴대단말기(200)는 상기 등록, 삭제, 수정 또는 추가된 버튼에 대한 정보를 상기 통합리모컨 서비스 서버(300)에 전송하고, 상기 통합리모컨 서비스 서버(300)는 상기 통합리모컨(200)에 상기 등록, 삭제, 수정 또는 추가된 버튼의 대한 정보와 이에 따라 변경된 모드에 대한 정보를 송신함으로써 수행된다.
예를 들어,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미러링되어 표시된 통합리모컨의 모드별 특정 버튼에 상기 사용자가 해당 모드에 따른 가전제품의 ON/OFF 기능을 등록한 경우, 상기 미러링된 통합리모컨의 특정 버튼에 대한 기능과 실제 상기 통합리모컨(100)의 특정 버튼에 대한 기능을 동기화하여야 해당 특정 버튼을 통해 상기 가전제품의 ON/OFF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사물인터넷을 지원하는 터치형 통합리모컨(100)은 내장된 네트워크연결부(예를 들어 WiFi 모듈)를 AP(Access Point) 모드로 실행하고, 상기 휴대단말기(200)가 상기 통합리모컨(100)을 통해서 네트워크에 연결되도록 할 수 있다.
휴대단말기(200)의 앱에 상기 복수의 가전제품에 대한 리모컨 기능을 등록하는 방법은, 기존의 가전제품의 리모컨에서 임의의 버튼을 눌러 해당 가전제품을 제어하는 제어정보를 포함하는 제어코드셋 신호를 송출하면, 상기 통합리모컨(100)은 상기 송출한 제어코드셋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통합리모컨 서비스 서버(300)로 전송하고, 상기 통합리모컨 서비스 서버(300)는 상기 전송한 제어코드셋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수신한 제어코드셋 신호에 해당하는 가전제품을 데이터베이스로부터 검색하여 상기 검색한 결과를 상기 휴대단말기(200)의 앱에 자동으로 제공함으로써 수행된다.
또한 상기 휴대단말기(200)의 앱에 가전제품을 자동으로 등록하는 방법 외에 상기 휴대단말기(200)에 설치된 앱을 통해 가전제품의 모델명을 입력하여 상기 데이터베이스를 검색하거나, 카테고리-브랜드-모델명 순으로 제품을 직접 조회하여 해당 가전제품을 상기 통합리모컨 서비스 서버(300)의 데이터베이스에서 검색하여 등록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사물인터넷을 지원하는 터치형 통합리모컨(100)은 사물인터넷에 연결되어 IFTTT(IF This, Then That) 자동화 서비스를 제공한다.
상기 자동화 서비스의 제공을 위해서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사물인터넷의 네트워크 연결구조에 대해서 설명하고자 한다. 먼저 스마트폰 앱은 WiFi, 3G, LTE를 포함한 무선통신망과 인터넷을 통해서 통합리모컨 서비스 서버(300)와 연결된다. 또한 상기 통합리모컨 서비스 서버(300)는 WiFi 등으로 MQTT 브로커(310)와 연결된다. 또한 IFTTT 서버(320)는 유무선 인터넷을 통해서 통합리모컨 서비스 서버와 연결되어 이벤트를 수신하고, IoT 디바이스에게 해당하는 이벤트에 따른 액션을 실행하도록 명령을 전달한다.
먼저 통합리모컨(100)이 통합리모컨 서비스 서버(300)를 통해서 특정 전자제품의 리모컨 기능을 설정하는 과정을 설명하고자 한다. 이 경우 통합리모컨에서 이벤트를 발생하면 해당 이벤트에 대한 메시지가 MQTT 서버(310)로 전달되며, 전달된 메시지는 다시 통합리모컨 서비스 서버(300)로 전달되게 된다. 상기 전달된 메시지에 따라 통합리모컨 서비스 서버는 해당 전자제품의 리모컨에 대한 정보를 통합리모컨(100)으로 전달하여 설정할 수 있도록 한다.
여기서 통합리모컨 서비스 서버(300)는 MQTT 브로커(310)에게 원하는 이벤트 항목(topic)에 대해서 수신신청(subscribe)을 하고, 통합리모컨(100)에서 이벤트가 발생하면 MQTT 브로커(310)에게 해당 이벤트가 발생하였음을 메시지로 전달한다. 이때 MQTT 브로커(310)는 해당 메시지를 통합리모컨 서비스 서버(300)에 전달해 준다. 이 경우 상기 통합리모컨(100)과 통합리모컨 서비스 서버(300)는 메시지를 MQTT 브로커(310)를 통해서 송수신하므로 상대방의 존재에 대해서는 신경을 쓸 필요가 없다. 따라서 통합리모컨(100)과 통합리모컨 서비스 서버(300)는 상대방의 IP 주소와 포트를 알고 있을 필요도 없고, 서로 동시에 실행되고 있을 필요도 없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서 사용자가 통합리모컨(100)에서 특정 이벤트를 발생시키면, 해당 이벤트에 대한 메시지가 MQTT 브로커(310)로 전달되고, 전달된 메시지는 다시 통합리모컨 서비스 서버(300)로 전달된다. 이렇게 전달된 메시지에 따라 통합리모컨 서비스 서버(300)는 해당 메시지에 해당하는 리모컨 정보를 다시 MQTT 브로커(310)를 통해서 전달하고, MQTT 브로커(310)는 해당 리모컨 정보를 다시 통합리모컨(100)으로 전달하게 된다. 이러한 방법으로 통합리모컨(100)은 MQTT 브로커(310)를 통해서 통합리모컨 서비스 서버(300)와 메시지를 주고받으면서 리모컨의 설정과 관련한 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게 된다.
다음으로 가정에 설치된 IoT 지원 디바이스에 대한 IoT 서비스의 제공 방법에 대해서 설명하도록 한다. 먼저 IFTTT 서버(320)에서는 통합리모컨(100)에서 발생되는 각종 이벤트들에 대해서 해당하는 액션을 미리 지정해 둔다. 다음으로 통합리모컨(100)에서 이벤트가 발생하면 해당 이벤트가 통합리모컨 서비스 서버에서 IFTTT 서버(320)로 전달되고, IFTTT 서버(320)는 상기 이벤트에 대한 매칭을 통해서 미리 정의된 행위를 IoT 지원 디바이스(430)로 전달하게 된다.
예를 들어 가정에 있는 TV의 전원 버튼에 대해서 IFTTT 서버(320)에서 이벤트를 정의(전원의 온오프 및 스마트폰의 앱을 통해서 TV의 온오프 정보 제공)하여 등록해 두었다가, 해당 이벤트가 호출되면 TV의 전원을 온오프하는 것과 동시에 스마트폰의 앱으로 TV의 전원이 온오프되었는지에 대한 메시지를 전송하게 할 수 있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서 집안의 누군가 TV를 보는지를 알 수 있는 서비스를 제공할 수도 있다.
또한 통합리모컨(100)의 특정 버튼에 대해서 IFTTT 서버(320)에 사물인터넷 조명 디바이스(430)를 등록하여, 통합리모컨(100)으로 해당 조명 디바이스(430)의 전원을 제어하는 홈 네트워크 서비스를 제공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사물인터넷을 지원하는 통합리모컨(100)에 대해서 휴대단말기(200)에 설치된 앱의 리모컨 찾기 기능을 이용하여 상기 통합리모컨을 찾는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즉, 휴대단말기(200)의 앱에서 리모컨 찾기 버튼을 클릭하면, 상기 통합리모컨 서비스 서버(300)가 푸쉬 메시지를 상기 MQTT 브로커(310)를 통해서 통합리모컨(100)으로 전송하게 하고, 상기 통합리모컨(100)은 전원 및 모드 선택버튼의 LED와 스피커로 알림소리를 출력하여 사용자가 통합리모컨(100)을 찾을 수 있도록 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상기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물인터넷을 지원하는 터치형 통합리모컨의 동작에 대해서, 각 기기간의 신호 흐름에 대해서 설명하고자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물인터넷을 지원하는 터치형 통합리모컨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기기간의 신호 흐름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통합리모컨(100)을 통해서 IR 홈 어플라이언스(410, 420)를 제어할 수 있다(①).
또한 통합리모컨(100)과 휴대단말기(예: 스마트폰)(200)는 통합리모컨 서비스 서버(300)와 연결되어 리모컨의 각종 설정과 표시 및 제어신호를 동기화한다(②). 스마트폰앱 및 리모컨으로 상기 통합리모컨 서비스 서버(300)에 일시적으로 접속하여 연결을 유지하면서 통합리모컨(100)의 각종 설정과 표시 및 제어신호를 동기화하고 종료한다.
또한 통합리모컨(100)과 통합리모컨 서비스 서버(300)는 MQTT 브로커(310)와 연결되어 MQTT 기반의 제어 및 푸쉬 메시지 등을 송수신 한다(③). 여기서 푸쉬 명령에 따라 일시적으로 네트워크가 연결된다.
또한 IFTTT 서비스를 지원하는 WiFi 장치들은 IFTTT 서버(320)에 연결되어 있고, 본 통합리모컨(100)은 통합리모컨 서비스 서버(300)와 연결되어 있으며 IFTTT와 관련된 제어 및 이벤트는 IFTTT 서버(320)와 연결된 통합리모컨 서비스 서버(300)를 통해 리모컨의 제어 신호를 WiFi 장치로 송신하여 제어한다(④).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터치형 통합리모컨의 구체적인 구성과 특징에 대해서 설명하고자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물인터넷을 지원하는 터치형 통합리모컨의 모드선택 동작을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인 사물인터넷을 지원하는 터치형 통합리모컨(100)은 모드별로 구분되는 제품 혹은 제품군으로 구성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가전제품의 리모컨을 등록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모드별로 상이한 모드 이름과 색을 등록할 수 있도록 하고, 모드선택 LED 버튼을 구비하여 현재 선택된 모드를 쉽게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사용자가 모드선택 LED 버튼을 선택하면 모드가 바뀌며, 사용자가 원하는 모드에서 멈추면 해당 모드에 따른 리모컨의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이어서 상기 설명한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터치형 통합리모컨의 구성에 대해서 설명하도록 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물인터넷을 지원하는 터치형 통합리모컨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물인터넷을 지원하는 터치형 통합리모컨(100)은 제어코드셋 송수신부(110), 터치인식부(120), 제스처입력처리부(130), 디스플레이부(140), 저장부(150), 제어부(160), 네트워크연결부(170), 스피커(18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제어코드셋 송수신부(110)는 복수의 가전제품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송출하거나, 복수의 가전제품 각각을 제어하기 위한 리모컨을 등록하기 위해 각 가전제품의 제어코드셋을 수신하는 기능을 담당한다. 또한 상기 제어코드셋 송수신부(110)는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적외선뿐만 아니라, 블루투스, 와이파이, 지그비(Zigbee), 제트웨이브(Z-Wave, 홈 네트워크 무선 통신 규약(프로토콜)의 하나로. 현재 유럽 및 미국 등에서 조명, 온습도기, 센서 등 가장 많은 홈 네트워크 기기 등이 이를 표준 기반으로 제조되고 있다.)등 다양한 리모트 제어코드셋을 송수신할 수 있다.
이어서 상기 터치인식부(120) 및 제스처입력처리부(130)에 대해서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하고자 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물인터넷을 지원하는 터치형 통합리모컨의 터치입력 동작을 나타내는 예시도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 사물인터넷을 지원하는 터치형 통합리모컨의 버튼에는 버튼기능의 식별을 위한 어떠한 표시도 없으며, 앞면부 전체에 터치패드를 내장하여 사용자는 원하는 버튼에 원하는 가전제품의 제어 버튼 기능을 자유롭게 등록가능하며, 또한 버튼을 터치하면 해당 버튼에 등록된 버튼의 기능이 OLED 화면(예: 디스플레이부(140))에 디스플레이 되도록 하여 버튼의 기능을 확인하고 사용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상기 휴대단말기(200)에 설치된 앱에서 제공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모드별로 버튼기능의 식별을 위한 간단한 표시를 삽입하여 편집하고, 상기 디스플레이부(140)를 통해 표시함으로써 간단한 식별표시를 제공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터치인식부(120)는 상기 통합리모컨의 앞면부 전체의 터치영역에서 이루어지는 사용자의 신체(예를 들어, 손가락) 또는 전용 펜 등을 이용한 터치의 위치 및 터치의 감도 변화를 인지하여, 상기 인지한 사용자 터치를 상기 제어부(160)에 전달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물인터넷을 지원하는 터치형 통합리모컨의 제스처 입력 동작을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스처입력처리부(130)는 본 사물인터넷을 지원하는 터치형 통합리모컨의 특정버튼(예를 들어 'OK'버튼)을 제스처 시작 포인트로 지정하고, 상기 제스처 시작 포인트를 시작으로 특정 터치제스처를 입력하면 이를 인식하여 특정 제스처에 해당하는 가전제품의 제어 기능을 수행하도록 한다. 상기 제스처 시작 포인트는 사용자가 변경 가능하다. 또한 제스처 입력에 대한 조건(예를 들어 키 입력 터치거리 2cm 이상, 제한 터치시간 1초)을 설정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의도되지 않은 제스처 입력에 따른 오류를 개선한다.
이어서 도 4의 나머지 구성에 대해서 계속하여 설명하고자 한다.
또한 상기 디스플레이부(140)는 상기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모드별로 상이한 모드 이름과 색을 등록하고, 해당 모드 버튼을 선택하면 OLED 화면에 현재 선택된 모드의 이름을 디스플레이해주고, 해당 모드의 색을 모드 선택 LED 버튼에 표시하여 준다.
또한 상기 디스플레이부(140)는 상기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터치 패드의 버튼을 터치하면 해당 버튼에 등록된 버튼 기능을 OLED 화면에 디스플레이 되도록 하여 버튼의 기능을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저장부(150)는 상기 사용자가 등록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가전제품에 대한 리모컨의 제어코드셋에 대한 데이터를 저장하고, 그 데이터를 바탕으로 한 가전제품의 각 기능을 제어하는 제어코드셋과 상기 사물인터넷을 지원하는 터치형 통합리모컨(100)의 버튼을 매핑한 매핑테이블를 저장한다.
또한 상기 저장부(150)는 상기 제스처입력처리부(130)에 의해 사용자가 지정한 제스처 시작 포인트에 해당하는 버튼제스처에 따른 제어 기능에 대한 정보를 저장한다.
또한 상기 저장부(150)는 인터넷 연결 설정 정보, 사용자가 등록한 가전제품에 대한 등록 정보 등을 저장한다. 아울러 상기 저장부(150)는 MQTT 서버(310)나 IFTTT 서버(320)로 메시지를 송신하기 위한 URL 정보를 저장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어부(160)는 상기 제어코드셋 송수신부(110)에 의해 수신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가전제품의 제어코드셋에 대한 데이터를 바탕으로 각각의 가전제품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코드셋 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제어코드셋 송수신부(110)를 통해 송출함으로써, 각각의 가전제품을 제어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160)는 상기 제어코드셋 신호를 생성함에 있어서 적외선, 블루투스, 와이파이, 지그비, 제트웨이브 등 다양한 리모트 제어코드셋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160)는 상기 터치인식부(120)로부터 터치의 위치 및 터치의 감도에 대한 정보를 전송받아 상기 저장부(150)에 저장된 매핑테이블을 참조하여 각 터치가 의도하는 제어 동작에 해당하는 제어코드셋 신호를 생성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160)는 상기 제스처입력처리부(130)에 의해 생성되는 제스처 입력에 따라 제어 동작에 해당하는 제어코드셋 신호를 생성하도록 제어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160)는 최초 사물인터넷을 지원하는 터치형 통합리모컨(100)을 홈 네트워크에 등록하기 위해 리모컨의 제약된 인터페이스를 직접 사용하지 않고 (예를 들어 와이파이를 리모컨에서 직접 검색하거나 비밀번호를 입력하는 등의 동작), 상기 휴대단말기(200)를 리모컨에 직접 연결하여 홈 네트워크에 연결하고자 할 때 상기 네트워크연결부(170)의 WiFi 모듈을 AP 모드로 실행하도록 제어한다. 이후 상기 통합리모컨(100)은 상기 휴대단말기(200)로부터 네트워크에 연결하기 위한 정보를 전송받아 홈 네트워크에 연결되도록 제어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160)는 기존 가전제품 리모컨으로부터 수신된 제어코드셋 신호를 상기 네트워크연결부(170)를 통해 상기 서버(300)로 전송하도록 하며, 상기 서버(300)는 상기 수신한 제어코드셋 신호를 바탕으로 해당 가전제품을 데이터베이스에서 자동으로 검색하여 휴대단말기(200)의 앱에 등록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160)는 IFTTT 자동화 서비스를 제공하도록 상기 제어코드셋 송수신부(110), 터치인식부(120), 제스처입력처리부(130), 디스플레이부(140), 저장부(150), 네트워크연결부(170) 및 스피커(180)를 통합적으로 제어한다.
예를 들어 TV의 전원 버튼에 대한 이벤트를 IFTTT 서버(320)에 등록하고, 상기 이벤트에 대응하는 액션으로 문자메시지를 스마트폰의 앱으로 전송하라는 것으로 설정하였다면, 상기 이벤트와 액션의 설정으로부터 사용자는 집안의 누군가가 TV를 보는지를 상기 네트워크연결부(170)를 통해 확인할 수 있게된다.
또한 통합리모컨의 특정 버튼에 대해서 IFTTT 서버(320)에 상기 사물인터넷 조명(430)을 등록하여, 리모컨으로 해당 조명의 전원을 제어할 수 있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140)와 스피커(180)를 통해 조명에 대한 정보를 OLED 화면에 표시되도록 하거나 이에 대한 알림소리를 출력하도록 제어하고, 조명의 제어에 대한 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제어코드셋 송수신부(110)를 통해 상기 조명(430)의 온오프나 밝기 등을 제어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네트워크연결부(170)는 앞서 살펴본 바와 같이 내장된 WiFi 모듈을 AP모드로 실행하여 상기 사물인터넷을 지원하는 터치형 통합리모컨(100)을 통해서 상기 휴대단말기(200)가 연결되도록 하며, 등록하고자 하는 가전제품의 리모컨으로부터 제어코드셋을 수신하여 통합리모컨 서비스 서버(300)로 전송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사용자가 휴대단말기(200)의 앱을 통해 상기 사물인터넷을 지원하는 터치형 통합리모컨(100)에 대한 찾기 버튼을 클릭하면 상기 통합리모컨 서비스 서버(300)로부터 푸쉬 메시지를 전송받도록 한다.
상기 스피커(180)는 사용자가 휴대단말기(200)의 앱을 통해 상기 사물인터넷을 지원하는 터치형 통합리모컨(100)에 대한 찾기 기능을 실행하면 상기 통합리모컨 서비스 서버(300)로부터 푸쉬 메시지를 전송 받아 상기 디스플레이부(140)에 의한 전원 및 모드 선택버튼의 LED 표시와 더불어 알림소리를 출력하여 사용자가 쉽게 통합리모컨을 찾을 수 있도록 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물인터넷을 지원하는 터치형 통합리모컨에 개별 리모컨의 정보를 등록하는 과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1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먼저 상기 네트워크연결부(170)의 WiFi 모듈을 AP 모드로 실행하고(S110) 상기 휴대단말기(200)에서 WiFi 검색을 통해 해당 AP 주소에 접속하도록 하여 상기 사물인터넷을 지원하는 터치형 통합리모컨(100)과 연결한다(S120). 이는 최초 사물인터넷을 지원하는 터치형 통합리모컨(100)을 홈 네트워크에 등록하기 위해 리모컨의 홈 네트워크 검색이나 비밀번호 입력 등의 제약된 인터페이스를 직접 사용하지 않고 상기 휴대단말기(200)을 리모컨에 직접 연결하여 홈 네트워크에 편리하게 연결하기 위함이다.
이후 상기 휴대단말기(200)의 앱을 실행하여 홈 네트워크에 연결되기 위한 정보를 통합리모컨으로 입력한다(S130).
다음으로 상기 통합리모컨(100)은 상기 입력한 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수신한 정보를 기반으로 홈 네트워크의 WiFi에 접속한다(S140).
다음으로 제어하고자 하는 가전제품을 등록하는 방법은 다음 두 가지의 방법으로 나뉜다.
먼저 기존 가전제품의 리모컨에 구비된 임의의 버튼을 눌러 해당 가전제품의 제어코드셋 신호를 상기 사물인터넷을 지원하는 터치형 통합리모컨(100)으로 송신하면, 상기 제어코드셋 송수신부(110)에서 이 제어코드셋 신호를 수신한다(S150). 이 수신된 제어코드셋 신호를 상기 네트워크연결부(170)를 통해 상기 통합리모컨 서비스 서버(300)에 전송한다(S160). 이후 상기 통합리모컨 서비스 서버에 연결된 데이터베이스에서 상기 제어코드셋 신호를 바탕으로 해당 가전제품의 정보를 자동으로 검색하여 휴대단말기의 앱에 등록한다(S180).
또는 휴대단말기의 앱을 통해 가전제품의 모델명 입력하여 검색하거나 카테고리-브랜드-모델명 순으로 가전제품을 직접조회하여 휴대단말기의 앱에 등록한다(S170).
이후 상기 휴대단말기(200)와 사물인터넷을 지원하는 터치형 통합리모컨(100)을 동기화하여 통합 리모콘(100)에 기존 리모컨의 각 버튼의 기능에 해당하는 제어코드셋을 매핑한다(S190).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단말기의 앱을 통한 가전제품의 기능을 사물인터넷을 지원하는 터치형 통합리모컨 버튼에 등록/수정/삭제하는 과정을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휴대단말기(200)의 앱을 사용하여 가전제품의 기능을 상기 사물인터넷을 지원하는 터치형 통합리모컨(100) 버튼에 등록/수정/삭제하고 이를 통합리모컨과 동기화 하여 통합리모컨을 설정할 수 있다. 휴대단말기(200) 앱에서 추가/수정/삭제된 버튼 기능은 상기 통합리모컨 서비스 서버(300)에 전송되고 상기 통합리모컨 서비스 서버(300)에서는 연결된 통합리모컨에 변경된 모드와 버튼의 기능을 전송한다.
도 8의 (a)는 통합리모컨의 모드에 등록된 버튼이 파란색으로 표시되어 현재 사용 중인 리모컨의 버튼을 확인하는 앱의 화면을 예시적으로 표시하고 있다.
도 8의 (b)는 'Home Service Appliances'버튼을 클릭하여 휴대단말기(200)의 앱에 등록된 가전제품 리스트 중 추가하고자 하는 제품을 선택하는 화면을 예시적으로 표시하고 있다.
도 8의 (c)는 선택된 'TV'가전제품의 버튼 기능들이 표시되어 추가하고자 하는 버튼 기능을 선택하는 화면을 예시적으로 표시하고 있다.
도 8의 (d)는 비어있는 통합리모컨의 버튼에 선택된 'Ch +' 버튼을 추가하는 화면을 예시적으로 표시하고 있다.
이외에도 키패드 버튼 혹은 방향키 버튼과 같이 리모컨에 표시되는 특수 버튼의 경우 일괄 선택 및 자동등록 기능을 통해 손쉽게 통합리모컨(100)에 등록이 가능하다.
또한 원하는 버튼의 기능이 기존 리모컨에는 있지만 해당 제품의 데이터베이스에는 없을 경우 기존 리모컨의 신호를 통합리모컨(100)으로 송신하고, 이를 학습하여, 상기 학습한 기능에 대한 버튼도 상기 통합리모컨(100)에 등록할 수 있다.
상기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복수의 가전제품을 하나의 리모컨으로 통합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하고, 휴대단말기와 연동되어 편리하게 그 기능설정이 가능하고, 홈 네트워크 연결 및 MQTT를 기반으로 한 사물인터넷 연결이 가능한 터치형 통합리모컨 및 그 제어방법을 통해 사용자로 하여금 여러 가전제품을 편리하고 효율적으로 하나의 리모컨으로 통합관리 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이상으로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해서 판단되어야 할 것이다.
100 : 사물인터넷을 지원하는 터치형 통합리모컨
110 : 제어코드셋 송수신부 120 : 터치인식부
130 : 제스처입력처리부 140 : 디스플레이부
150 : 저장부 160 : 제어부
170 : 네트워크연결부 180 : 스피커
200 : 휴대단말기 300 : 통합리모컨 서비스 서버
410 : TV 420 : 영상 플레이어
430 : 조명 310 : MQTT 브로커
320 : IFTTT 서버

Claims (13)

  1. 적어도 하나 이상의 가전제품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코드셋 신호를 송수신하는 제어코드셋 송수신부; 및
    유무선 네트워크에 접속하기 위한 네트워크연결부;를 포함하며,
    MQTT 브로커를 통해서 사물인터넷을 지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합리모컨.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통합리모컨은,
    터치패드를 통한 사용자의 터치입력을 인식하는 터치인식부; 및
    제스처 시작 포인트를 변경하고 제스처의 입력에 대한 조건을 설정할 수 있는, 사용자의 제스처 입력을 인식하는 제스처입력처리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합리모컨.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통합리모컨은,
    상기 가전제품의 모델명이나 상기 가전제품의 제어코드셋을 네트워크에서 검색하여 해당 가전제품의 기능을 제어하기 위한 정보를 통합리모컨에 등록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합리모컨.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어코드셋 송수신부는,
    적외선, 블루투스, 와이파이, 지그비, 제트웨이브 등 가전제품에 따라 다양한 리모트 제어코드셋 신호를 송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합리모컨.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통합리모컨은,
    특정 버튼으로 이벤트를 발생시키면, 상기 이벤트에 해당하는 미리 설정된 액션이 사물인터넷에 연결된 디바이스에 전달되어 상기 디바이스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합리모컨.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통합리모컨은,
    휴대단말기와 동기화하여 개별 리모컨의 제어 코드셋을 매핑함으로써, 상기 휴대단말기의 앱을 통해서 사용자의 가전제품에 대한 리모컨을 등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합리모컨.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통합리모컨은,
    상기 통합리모컨을 터치하면 해당 버튼에 등록된 버튼의 기능을 화면에 표시해주는 디스플레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합리모컨.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통합리모컨은,
    휴대단말기의 앱을 통해서 통합리모컨에 대한 찾기 기능을 수행하면, 알림소리를 출력하는 스피커;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합리모컨.
  9. 적어도 하나 이상의 가전제품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코드셋 신호를 송수신하는 단계;
    유무선 네트워크에 접속하여 MQTT 브로커를 통해서 메시지를 송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사물인터넷을 지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합리모컨의 제어방법.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제어방법은,
    터치패드를 통한 사용자의 터치입력을 인식하는 터치인식 단계; 및
    제스처 시작 포인트를 변경하고 제스처의 입력에 대한 조건을 설정할 수 있는, 사용자의 제스처 입력을 인식하는 제스처입력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합리모컨의 제어방법.
  11.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제어방법은,
    상기 가전제품의 모델명이나 상기 가전제품의 제어코드셋을 네트워크에서 검색하여 해당 가전제품의 기능을 제어하기 위한 정보를 통합리모컨에 등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합리모컨의 제어방법.
  12.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제어방법은,
    특정 버튼으로 이벤트를 발생시키면, 상기 이벤트에 해당하는 미리 설정된 액션이 사물인터넷에 연결된 디바이스에 전달되어 상기 디바이스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합리모컨의 제어방법.
  13.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제어방법은,
    휴대단말기와 동기화하여 개별 리모컨의 제어 코드셋을 매핑함으로써, 상기 휴대단말기의 앱을 통해서 사용자의 가전제품에 대한 리모컨을 등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합리모컨의 제어방법.
KR1020150160224A 2015-11-16 2015-11-16 사물인터넷을 지원하는 통합리모컨 및 그 제어방법 KR10158859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60224A KR101588595B1 (ko) 2015-11-16 2015-11-16 사물인터넷을 지원하는 통합리모컨 및 그 제어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60224A KR101588595B1 (ko) 2015-11-16 2015-11-16 사물인터넷을 지원하는 통합리모컨 및 그 제어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88595B1 true KR101588595B1 (ko) 2016-02-12

Family

ID=553551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60224A KR101588595B1 (ko) 2015-11-16 2015-11-16 사물인터넷을 지원하는 통합리모컨 및 그 제어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88595B1 (ko)

Cited B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00122B1 (ko) * 2016-08-10 2017-02-01 주식회사 금경 사물인터넷기반의 전자기기 제어장치
CN107835445A (zh) * 2017-11-01 2018-03-23 青岛海信电器股份有限公司 基于mqtt协议的电视控制方法、移动终端及电视
KR20190034905A (ko) * 2017-09-25 2019-04-03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휴대 장치 및 제어 방법
KR20190092091A (ko) * 2018-01-30 2019-08-07 동서대학교 산학협력단 Ifttt 서비스를 위한 실시간 이벤트 처리 규칙 관리 시스템
KR102092300B1 (ko) * 2019-09-16 2020-03-23 주식회사 블루티움 멀티 제어 장치
KR102138470B1 (ko) * 2019-07-14 2020-07-27 이광희 에너지 하베스팅 리모콘 장치
KR102145253B1 (ko) 2019-10-11 2020-08-18 김용훈 Cctv 영상을 이용한 전자기기 동작 제어용 송수신기
KR20210092982A (ko) * 2020-01-17 2021-07-27 숭실대학교산학협력단 저전력 무선 리모콘을 이용한 IoT 장치 제어 방법, IoT 허브 및 IoT 시스템
WO2023027229A1 (ko) * 2021-08-25 2023-03-02 주식회사 오성전자 Ir 블라스터를 이용한 원격제어 장치 및 방법
KR102622352B1 (ko) 2023-05-30 2024-01-05 박우석 디스플레이에 내장된 IoT 통합 리모컨 장치, 방법 및 시스템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06855A (ko) * 2002-07-16 2004-01-24 주식회사 센티움 다기능 통합형 리모컨 및 그 제어방법
KR101370263B1 (ko) * 2013-03-15 2014-03-04 전자부품연구원 제스처 기반의 전자기기 리모트 제어 방법 및 이를 위한 컴퓨터로 판독가능한 기록매체
KR20150123850A (ko) * 2013-02-25 2015-11-04 퀄컴 인코포레이티드 스마트 제어기로부터의 다수의 상이한 디바이스들의 제어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06855A (ko) * 2002-07-16 2004-01-24 주식회사 센티움 다기능 통합형 리모컨 및 그 제어방법
KR20150123850A (ko) * 2013-02-25 2015-11-04 퀄컴 인코포레이티드 스마트 제어기로부터의 다수의 상이한 디바이스들의 제어
KR101370263B1 (ko) * 2013-03-15 2014-03-04 전자부품연구원 제스처 기반의 전자기기 리모트 제어 방법 및 이를 위한 컴퓨터로 판독가능한 기록매체

Cited B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00122B1 (ko) * 2016-08-10 2017-02-01 주식회사 금경 사물인터넷기반의 전자기기 제어장치
KR20190034905A (ko) * 2017-09-25 2019-04-03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휴대 장치 및 제어 방법
KR102429492B1 (ko) * 2017-09-25 2022-08-05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휴대 장치 및 제어 방법
CN107835445B (zh) * 2017-11-01 2020-06-16 海信视像科技股份有限公司 基于mqtt协议的电视控制方法、移动终端及电视
CN107835445A (zh) * 2017-11-01 2018-03-23 青岛海信电器股份有限公司 基于mqtt协议的电视控制方法、移动终端及电视
KR20190092091A (ko) * 2018-01-30 2019-08-07 동서대학교 산학협력단 Ifttt 서비스를 위한 실시간 이벤트 처리 규칙 관리 시스템
KR102040136B1 (ko) 2018-01-30 2019-11-27 동서대학교 산학협력단 Ifttt 서비스를 위한 실시간 이벤트 처리 규칙 관리 시스템
KR102138470B1 (ko) * 2019-07-14 2020-07-27 이광희 에너지 하베스팅 리모콘 장치
KR102092300B1 (ko) * 2019-09-16 2020-03-23 주식회사 블루티움 멀티 제어 장치
KR102145253B1 (ko) 2019-10-11 2020-08-18 김용훈 Cctv 영상을 이용한 전자기기 동작 제어용 송수신기
KR20210092982A (ko) * 2020-01-17 2021-07-27 숭실대학교산학협력단 저전력 무선 리모콘을 이용한 IoT 장치 제어 방법, IoT 허브 및 IoT 시스템
KR102367186B1 (ko) * 2020-01-17 2022-02-24 숭실대학교산학협력단 저전력 무선 리모콘을 이용한 IoT 장치 제어 방법, IoT 허브 및 IoT 시스템
WO2023027229A1 (ko) * 2021-08-25 2023-03-02 주식회사 오성전자 Ir 블라스터를 이용한 원격제어 장치 및 방법
KR102622352B1 (ko) 2023-05-30 2024-01-05 박우석 디스플레이에 내장된 IoT 통합 리모컨 장치, 방법 및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88595B1 (ko) 사물인터넷을 지원하는 통합리모컨 및 그 제어방법
US11640760B2 (en) System and method for appliance control via a network
US10999724B2 (en) Video gateway as an internet of things mesh enhancer apparatus and method
KR102231105B1 (ko) 제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101958902B1 (ko) 전자기기들의 그룹 제어 방법 및 그를 위한 전자기기 관리 시스템
US10091272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remotely controlling home device in home network system
CN105634881B (zh) 应用场景推荐方法及装置
US10084649B2 (en) Terminal for internet of things and operation method of the same
US10003471B2 (en) Remote control method for multi-terminal device, and related apparatus and system
US8897897B2 (en) Companion control interface for smart devices
US10608837B2 (en) Control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US20160198211A1 (en) Ir pairing for rf4ce remote controls
US11557200B2 (en) Apparatus, system and method for using a universal controlling device for displaying a graphical user element in a display device
US20140369231A1 (en) Smart home network system and method for registering home devices
US8886774B2 (en) Remote control device, remote control setting method, and program
TW201324455A (zh) 遙控系統及遙控裝置
US11609541B2 (en) System and method of IOT device control using augmented reality
KR20120107214A (ko) 스마트폰과 중계 홈서버를 이용한 적외선 신호 학습이 가능한 디지털기기 제어시스템
WO2009026310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ed device selection by a portable electronic device
CN104954842A (zh) 一种遥控器学习方法、智能终端、云存储器及装置
KR20120048740A (ko) 디지털기기의 적외선 신호 학습이 가능한 스마트폰을 이용한 디지털기기 제어시스템
KR102351263B1 (ko)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 제어방법
CN114615307B (zh) 设备控制方法、控制终端及服务端设备
US20180145845A1 (en) Device control method and apparatus in home network system
KR101401433B1 (ko) 업데이트 가능한 리모트 컨트롤러 및 그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30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