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07310A - 기어 장치 - Google Patents

기어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07310A
KR20180007310A KR1020170084706A KR20170084706A KR20180007310A KR 20180007310 A KR20180007310 A KR 20180007310A KR 1020170084706 A KR1020170084706 A KR 1020170084706A KR 20170084706 A KR20170084706 A KR 20170084706A KR 20180007310 A KR20180007310 A KR 2018000731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le
insertion pin
rotation axis
face
regula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8470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59208B1 (ko
Inventor
마사히로 다카하시
유토 나카이
고지 나카무라
Original Assignee
나부테스코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나부테스코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나부테스코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8000731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0731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5920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5920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49/00Other gearings
    • F16H49/001Wave gearings, e.g. harmonic drive transmiss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1/00Toothe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F16H1/28Toothe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with gears having orbital motion
    • F16H1/32Toothe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with gears having orbital motion in which the central axis of the gearing lies inside the periphery of an orbital gea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1/00Toothe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F16H1/28Toothe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with gears having orbital motion
    • F16H1/32Toothe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with gears having orbital motion in which the central axis of the gearing lies inside the periphery of an orbital gear
    • F16H2001/323Toothe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with gears having orbital motion in which the central axis of the gearing lies inside the periphery of an orbital gear comprising eccentric crankshafts driving or driven by a gear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1/00Toothe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F16H1/28Toothe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with gears having orbital motion
    • F16H1/32Toothe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with gears having orbital motion in which the central axis of the gearing lies inside the periphery of an orbital gear
    • F16H2001/327Toothe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with gears having orbital motion in which the central axis of the gearing lies inside the periphery of an orbital gear with orbital gear sets comprising an internally toothed ring gea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Retarders (AREA)

Abstract

기어 장치(X1)는, 제1 부재(31) 및 회전축(C1) 방향에 있어서 제1 부재(31)에 대향하는 제2 부재(32)를 갖는 캐리어(3)와, 회전축(C1)을 중심으로 하여 외통(2)에 대하여 캐리어(3)를 상대적으로 회전시키는 크랭크축(5)과, 제1 부재(31) 및 제2 부재(32)에 삽입되는 삽입 핀(9)과, 삽입 핀(9)의 이동을 규제하는 규제 부재(10)를 구비하고 있다. 삽입 핀(9)은, 제1 부재(31)를 관통하도록 당해 제1 부재(31)에 형성된 제1 구멍(31c)으로부터 제1 구멍(31c)에 대응하여 제2 부재(32)에 형성된 제2 구멍(32e)에 걸쳐 수용되어 있다. 제1 구멍(31c) 또는 제2 구멍(32e) 중 적어도 한쪽은, 회전축(C1) 방향에 있어서의 제2 구멍(32e)측으로의 삽입 핀(9)의 이동을 규제하는 형상을 갖는다. 규제 부재(10)는 삽입 핀(9)의 회전축(C1) 방향에 있어서의 제1 구멍(31c)측으로의 이동을 규제하도록 제1 부재(31)에 설치된다.

Description

기어 장치{GEAR APPARATUS}
본 발명은 기어 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들어 산업용 로봇이나 공작 기계라는 다양한 기술 분야에 있어서, 다양한 기어 장치가 개발되고 있다. 이러한 기어 장치의 일례로서, 일본의 일본 특허 제5563831호 공보에는,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내주에 내치 기어가 형성된 내치 부재(200)와, 내치 부재(200)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 캐리어(300)와, 캐리어(300)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고 당해 캐리어(300)와 내치 부재(200)를 상대적으로 회전시키는 크랭크 샤프트(400)를 구비한 기어 전동 장치가 기재되어 있다.
이 공보에 기재된 기어 전동 장치에서는, 캐리어(300)는, 한쪽 지지 부재(310)와, 당해 한쪽 지지 부재(310)에 대향하는 다른 쪽 지지 부재(320)와, 다른 쪽 지지 부재(320)와 일체로 형성되어 있고 다른 쪽 지지 부재(320)로부터 한쪽 지지 부재(310)로 연장되는 주상부(330)를 갖고 있다. 그리고, 한쪽 지지 부재(310) 및 주상부(330)에는, 동축 상에 배열되는 테이퍼 구멍(311, 331)이 각각 형성되어 있다. 한쪽 지지 부재(310)의 한쪽 축방향 단부면(310A)측으로부터 각 테이퍼 구멍(311, 331)에 삽입 핀(500)을 삽입함으로써, 한쪽 지지 부재(310)와 다른 쪽 지지 부재(320)가 위치 결정되어 있다.
그런데, 가령 각 테이퍼 구멍(311, 331)에 대한 삽입 핀(500)의 압입에 의해서만 당해 삽입 핀(500)이 캐리어(300)에 지지되는 경우, 캐리어(300)의 회전에 의해 삽입 핀(500)이 한쪽 축방향 단부면(310A)측으로부터 발출될 우려가 있다.
그래서, 이 공보에 기재된 기어 전동 장치에서는, 다른 쪽 지지 부재(320)에 다른 쪽 축방향 단부면(320A)으로부터 주상부(330)의 테이퍼 구멍(331)까지 이르는 관통 구멍(321)이 형성되어 있음과 함께, 당해 관통 구멍(321)측에 개구되는 암나사부(510)가 삽입 핀(500)에 형성되어 있다. 이 구성에서는, 다른 쪽 축방향 단부면(320A)측으로부터 관통 구멍(321)에 삽입된 볼트(600)가 삽입 핀(500)의 암나사부(510)에 나사 결합함으로써, 삽입 핀(500)이 볼트(600)를 통하여 캐리어(300)에 지지된다.
이 공보에 개시된 기어 전동 장치에서는, 삽입 핀(500)의 압입에 의해서만 당해 삽입 핀(500)이 캐리어(300)에 지지되는 경우에 비하여, 각 테이퍼 구멍(311, 331)으로부터 삽입 핀(500)이 발출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그러나, 다른 쪽 지지 부재(320)에 대하여 볼트(600)를 삽입하기 위한 관통 구멍(321)을 형성할 필요가 있음과 함께, 삽입 핀(500)의 삽입 방향과는 반대 방향으로부터 볼트(600)를 삽입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기어 전동 장치의 조립 공정이 번잡화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조립 공정을 번잡화하지 않고, 삽입 핀의 빠짐 방지를 행할 수 있는 기어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관한 기어 장치는, 제1 부재 및 회전축 방향에 있어서 상기 제1 부재에 대향하는 제2 부재를 갖는 캐리어와, 외통과 상기 캐리어 사이의 상기 회전축 주위의 상대 회전을 발생시키는 크랭크축과, 상기 제1 부재 및 상기 제2 부재에 삽입되는 삽입 핀과, 상기 삽입 핀의 이동을 규제하는 규제 부재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삽입 핀은, 상기 제1 부재를 관통하도록 당해 제1 부재에 형성된 제1 구멍으로부터 상기 제1 구멍에 대응하여 상기 제2 부재에 형성된 제2 구멍에 걸쳐 수용된다. 상기 제1 구멍 또는 상기 제2 구멍 중 적어도 한쪽은, 상기 회전축 방향에 있어서의 상기 제2 구멍측으로의 상기 삽입 핀의 이동을 규제하는 형상을 갖고 있다. 상기 규제 부재는, 상기 삽입 핀의 상기 회전축 방향에 있어서의 상기 제1 구멍측으로의 이동을 규제하도록 상기 제1 부재에 설치된다.
본 발명에 관한 기어 장치에 의하면, 조립 공정을 번잡화하지 않고, 삽입 핀의 빠짐 방지를 행할 수 있다.
도 1은 본 실시 형태에 관한 기어 장치의 개략적인 단면도.
도 2는 도 1에 도시하는 A-A 선을 따르는 기어 장치의 개략적인 단면도.
도 3은, 도 1에 있어서의 기어 장치의 주요부를 확대한 도면.
도 4는 일본의 일본 특허 제5563831호 공보에 관한 기어 전동 장치의 개략적인 단면도.
이하, 본 발명의 각 실시 형태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단, 이하에서 참조하는 각 도면은, 설명의 편의상, 본 실시 형태에 관한 기어 장치 X1의 구성 요소 중 주요한 구성 요소만을 간략화하여 나타내고 있다. 따라서, 본 실시 형태에 관한 기어 장치 X1은, 본 명세서가 참조하는 각 도면에 도시되어 있지 않은 임의의 구성 요소를 구비할 수 있다.
도 1 및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기어 장치 X1은, 편심 요동형의 기어 장치이며, 외통(2)과, 캐리어(3)와, 요동 기어(4)와, 크랭크축(5)과, 전달 기어(7)를 구비하고 있다. 기어 장치 X1에서는, 입력 토크가 전달 기어(7)를 통해 크랭크축(5)으로 전달됨으로써, 당해 크랭크축(5)이 회전한다. 이에 수반하여 요동 기어(4)가 요동 회전함으로써, 외통(2)과 캐리어(3)가 상대적으로 회전한다.
외통(2)은, 회전축 C1을 중심축으로 하는 대략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외통(2)의 내주면(2a)에는 다수의 핀 홈이 형성되어 있다. 각 핀 홈은, 회전축 C1 방향으로 연장됨과 함께, 당해 회전축 C1 방향에 직교하는 단면에 있어서 반원형의 단면 형상을 갖고 있다. 각 핀 홈은, 외통(2)의 주위 방향으로 등간격으로 배열되어 있다.
기어 장치 X1은, 외통(2)의 내주면(2a)에 설치되는 복수의 내치 핀(8)을 더 구비하고 있다. 각 내치 핀(8)은, 회전축 C1 방향으로 연장되는 원주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각 내치 핀(8)은, 외통(2)의 내주면(2a)에 형성된 각 핀 홈에 설치되어 있다.
외통(2)에는, 당해 외통(2)을 회전축 C1 방향으로 관통하는 설치 구멍(2b)이 복수 형성되어 있다. 각 설치 구멍(2b)은, 외통(2)의 주위 방향으로 등간격으로 배열되어 있다. 각 설치 구멍(2b)은, 예를 들어 외통(2)에 대하여 도시 생략된 상대측 부재를 설치할 때에 이용된다. 외통(2)에 대하여 설치되는 상대측 부재가 회전하지 않는 베이스 부재인 경우, 외통(2)은, 기어 장치 X1에 있어서의 고정측의 부재가 된다.
캐리어(3)는, 회전축 C1을 중심으로 하여 외통(2)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캐리어(3)는, 회전축 C1 방향에 있어서 요동 기어(4)를 사이에 두도록 구성되어 있고, 외통(2)과 동심상으로 배치되어 있다. 캐리어(3)는, 회전축 C1 방향에 있어서 서로 대향하는 제1 부재(31) 및 제2 부재(32)를 갖고 있다. 제1 부재(31)와 제2 부재(32)는, 체결 부재 B를 통해 서로 체결되어 있다.
제1 부재(31)는, 대략 원판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제1 부재(31)는 일부가 외통(2)의 내부에 위치하고 있으며, 잔부가 회전축 C1 방향에 있어서 외통(2)의 외부에 위치하고 있다. 제1 부재(31)는, 회전축 C1 방향에 있어서 제2 부재(32)에 대향하는 면과, 당해면의 반대측에 위치하는 제1 축 방향 단부면(31A)을 포함하고 있다.
제1 부재(31)에는, 중앙 구멍(31a)과, 크랭크축 구멍(31b)과, 제1 구멍(31c)과, 삽입 구멍(31d)이 형성되어 있다.
중앙 구멍(31a)은, 제1 부재(31)를 회전축 C1을 따라 제1 축 방향 단부면(31A)으로부터 대향면에 걸쳐 관통하도록, 제1 부재(31)의 중앙 부분에 형성되어 있다. 중앙 구멍(31a)의 중심은 회전축 C1이다.
크랭크축 구멍(31b)은, 크랭크축(5)의 일부가 수용되는 구멍이다. 크랭크축 구멍(31b)은, 캐리어(3)의 직경 방향에 있어서 중앙 구멍(31a)과 나란하게 되어 있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3개의 크랭크축 구멍(31b)이, 중앙 구멍(31a)의 외측에 있어서 캐리어(3)의 주위 방향으로 배열되어 있다. 각 크랭크축 구멍(31b)은, 제1 부재(31)를 제1 축 방향 단부면(31A)부터 대향면까지 회전축 C1 방향으로 관통하는 관통 구멍이다. 또한, 크랭크축 구멍(31b)의 수는 임의이며, 후술하는 크랭크축(5)의 수에 따라 적절히 변경된다.
제1 구멍(31c)은, 후술하는 삽입 핀(9) 및 규제 부재(10)가 수용되는 구멍이다. 제1 구멍(31c)은 캐리어(3)의 직경 방향에 있어서의 중앙 구멍(31a)의 외측에 위치하고 있으며, 당해 캐리어(3)의 주위 방향으로 나란히 복수 형성되어 있다. 각 제1 구멍(31c)은, 제1 부재(31)를 회전축 C1 방향으로 관통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삽입 구멍(31d)은, 체결 부재 B가 삽입되는 구멍이다. 삽입 구멍(31d)은, 캐리어(3)의 직경 방향에 있어서 중앙 구멍(31a)의 외측에 위치하고 있으며, 당해 캐리어(3)의 주위 방향으로 나란히 복수 형성되어 있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각 삽입 구멍(31d)은, 캐리어(3)의 직경 방향에 있어서 각 제1 구멍(31c)과 배열되도록 당해 각 제1 구멍(31c)의 외측에 형성되어 있다. 각 삽입 구멍(31d)은, 제1 부재(31)를 회전축 C1 방향으로 관통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체결 부재 B의 헤드부는, 삽입 구멍(31d)에 수용되어 있다.
제2 부재(32)는, 대략 원판상의 기판부(32a)와, 당해 기판부(32a)로부터 제1 부재(31)측으로 연장되는 샤프트부(32b)를 갖고 있다.
기판부(32a)는, 회전축 C1 방향에 있어서 제1 부재(31)와 이격되도록 위치하고 있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기판부(32a)는, 일부가 외통(2)의 내부에 위치하고 있으며, 잔부가 회전축 C1 방향에 있어서 외통(2)의 외부에 위치하고 있다. 기판부(32a)는, 회전축 C1 방향에 있어서 샤프트부(32b)에 연결되는 샤프트면과, 당해 샤프트면의 반대측에 위치하는 제2 축 방향 단부면(32A)을 포함하고 있다.
샤프트부(32b)는, 기판부(32a)의 샤프트면으로부터 제1 부재(31)를 향하여 회전축 C1 방향으로 돌출되어 있다. 샤프트부(32b)는, 캐리어(3)의 주위 방향으로 나란히 복수 설치되어 있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제2 부재(32)는 3개의 샤프트부(32b)를 갖고 있다.
각 샤프트부(32b)는, 회전축 C1 방향에 있어서 제1 부재(31)에 대향하고 있으며, 당해 제1 부재(31)에 접하는 대향면(32B)을 갖고 있다. 각 샤프트부(32b)는, 회전축 C1 방향에 있어서 대향면(32B)과 제1 구멍(31c) 및 삽입 구멍(31d)이 겹치도록 설치되어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기판부(32a)와 샤프트부(32b)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으나, 이에 한정하지 않고, 기판부(32a)와 샤프트부(32b)는 별개로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 이 경우, 기판부(32a)와 샤프트부(32b)는, 예를 들어 볼트 등의 체결 부재를 통해 서로 접속된다.
제2 부재(32)에는, 중앙 구멍(32c)과, 크랭크축 구멍(32d)과, 제2 구멍(32e)과, 암나사 구멍(32g)이 형성되어 있다.
중앙 구멍(32c)은, 제2 부재(32)의 기판부(32a)를 회전축 C1을 따라 제2 축 방향 단부면(32A)부터 샤프트면까지 관통하도록, 기판부(32a)의 중앙 부분에 형성되어 있다. 중앙 구멍(32c)의 중심은 회전축 C1이다.
크랭크축 구멍(32d)은, 크랭크축(5)의 일부가 수용되는 구멍이다. 크랭크축 구멍(32d)은, 캐리어(3)의 직경 방향에 있어서 중앙 구멍(32c)과 배열되어 있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3개의 크랭크축 구멍(32d)이, 중앙 구멍(32c)의 외측에 있어서 캐리어(3)의 주위 방향으로 배열되어 있다. 각 크랭크축 구멍(32d)은, 제2 부재(32)의 기판부(32a)를 제2 축 방향 단부면(32A)부터 샤프트면까지 회전축 C1 방향으로 관통하는 관통 구멍이다. 또한, 크랭크축 구멍(32d)의 수는 임의이며, 후술하는 크랭크축(5)의 수에 따라 적절히 변경된다.
제2 구멍(32e)은, 후술하는 삽입 핀(9)이 수용되는 구멍이다. 제2 구멍(32e)은, 각 샤프트부(32b)의 대향면(32B)에 있어서 개구됨과 함께, 저면(32f)을 갖는 바닥이 있는 구멍이다. 각 제2 구멍(32e)은, 회전축 C1 방향에 있어서 제1 부재(31)의 각 제1 구멍(31c)에 연속되어 있다.
암나사 구멍(32g)은, 체결 부재 B의 수나사 부분이 나사 결합하는 구멍이다. 암나사 구멍(32g)은, 각 샤프트부(32b)의 대향면(32B)의 일부가 오목해지도록 복수 형성되어 있다. 각 암나사 구멍(32g)은, 회전축 C1 방향에 있어서 제1 부재(31)의 각 삽입 구멍(31d)에 연속되어 있다. 체결 부재 B는, 삽입 구멍(31d)을 통해 캐리어(3)에 삽입되고, 당해 체결 부재 B의 수나사 부분이 샤프트부(32b)의 암나사 구멍(32g)에 나사 결합함으로써, 제1 부재(31)와 제2 부재(32)를 체결한다.
크랭크축(5)은, 캐리어(3)와 외통(2) 사이의 회전축 C1 주위의 상대 회전을 발생시킨다. 크랭크축(5)은, 크랭크축 구멍(31b, 32d)에 수용되어 있다. 크랭크축(5)은, 당해 크랭크축(5)의 일부가 크랭크축 구멍(31b)의 내주면과 크랭크축 구멍(32d)의 내주면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구체적으로, 기어 장치 X1은, 캐리어(3)에 대한 크랭크축(5)의 회전을 허용하는 크랭크 베어링(6A, 6B)을 더 구비하고 있다. 그리고, 크랭크축(5)은, 당해 크랭크 베어링(6A, 6B)을 통해 크랭크축 구멍(31b, 32d)의 내주면에 지지되어 있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크랭크축(5)은, 캐리어(3)의 주위 방향으로 나란히 3개 설치되어 있다. 또한, 크랭크축(5)의 수는 임의이며, 기어 장치 X1의 사용 형태에 따라 적절히 변경할 수 있다.
크랭크축(5)은, 회전축 C1 방향으로 연장되는 축 본체(51)와, 당해 축 본체(51)에 대하여 편심되는 편심부(52, 53)를 갖고 있다.
축 본체(51)는, 크랭크축 구멍(31b, 32d)보다도 작은 직경을 갖고 있다. 축 본체(51)는, 회전축 C1 방향에 있어서, 크랭크축 구멍(32d)부터 제1 축 방향 단부면(31A)의 외측까지 연장되어 있다. 축 본체(51)는, 크랭크 베어링(6A)을 통해 크랭크축 구멍(31b)의 내주면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음과 함께, 크랭크 베어링(6B)을 통해 크랭크축 구멍(32d)의 내주면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편심부(52, 53)는, 축 본체(51)의 회전 중심축에 대하여 편심되도록 당해 축 본체(51)의 중간 부분에 설치되어 있다. 편심부(52, 53)에는 롤러 베어링을 통해 후술하는 요동 기어(4)가 설치되어 있다. 이에 의해, 편심부(52, 53)와 요동 기어(4)는 상대적으로 회전 가능하다.
요동 기어(4)는, 외통(2) 내에 위치하고 있으며, 회전축 C1 방향에 있어서 제1 부재(31)와 제2 부재(32)의 기판부(32a)에 의해 끼워져 있다. 요동 기어(4)는, 제1 편심부(52)에 설치된 제1 요동 기어(41)와, 제2 편심부(53)에 설치된 제2 요동 기어(42)를 갖고 있다.
요동 기어(41, 42)는, 외통(2)의 내경보다도 약간 작은 외경을 갖고 있다. 요동 기어(41, 42)의 외주면에는, 복수의 외치가 형성되어 있다. 요동 기어(41, 42) 각각의 외주면에 형성된 외치의 기어수는, 내치 핀(8)의 수보다도 약간 적다. 이에 의해, 제1 요동 기어(41)와 제2 요동 기어(42)는, 외통(2)의 내부에 있어서 각 외치가 각 내치 핀(8)에 맞물리도록, 서로 다른 위상으로 요동 회전할 수 있다.
제1 요동 기어(41)에는, 중앙 구멍(31a, 32c)의 위치에 대응하는 중앙 구멍(41a)과, 샤프트부(32b)가 삽입된 삽입 구멍(41b)과, 제1 편심부(52)가 삽입된 크랭크축 구멍(41c)이 형성되어 있다. 중앙 구멍(41a), 삽입 구멍(41b) 및 크랭크축 구멍(41c)은, 제1 요동 기어(41)를 회전축 C1 방향으로 관통하고 있다.
제2 요동 기어(42)에는, 중앙 구멍(31a, 32c)의 위치에 대응하는 중앙 구멍(42a)과, 샤프트부(32b)가 삽입된 삽입 구멍(42b)과, 제2 편심부(53)가 삽입된 크랭크축 구멍(42c)이 형성되어 있다. 중앙 구멍(42a), 삽입 구멍(42b) 및 크랭크축 구멍(42c)은, 제2 요동 기어(42)를 회전축 C1 방향으로 관통하고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요동 기어(4)는 제1 요동 기어(41)와 제2 요동 기어(42)의 2개의 요동 기어를 갖고 있지만, 이에 한정하지 않고, 하나의 요동 기어만을 갖고 있어도 되고, 3개 이상의 요동 기어를 갖고 있어도 된다.
전달 기어(7)는, 크랭크축(5)에 입력 토크를 전달하여 당해 크랭크축(5)을 회전시킨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전달 기어(7)는 3개의 크랭크축(5)의 위치에 대응하여 3개 설치되어 있다. 전달 기어(7)는 회전축 C1 방향에 있어서 제1 부재(31)를 사이에 두고 제2 부재(32)와는 반대측에 위치하고 있다. 전달 기어(7)는, 회전축 C1 방향에 있어서 제1 축 방향 단부면(31A)의 외측으로 돌출된 크랭크축(5)의 축 본체(51)에 설치되어 있다. 전달 기어(7)는, 당해 전달 기어(7)를 회전축 C1 방향에 있어서의 양측으로부터 끼워넣도록 축 본체(51)의 소경부에 설치된 리테이닝 링에 의해, 당해 회전축 C1 방향의 움직임이 규제된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전달 기어(7)는, 회전축 C1 방향에 있어서 제1 부재(31)를 사이에 두고 제2 부재(32)와는 반대측에 위치하고 있지만,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전달 기어(7)는, 예를 들어 제1 편심부(52)와 제2 편심부(53) 사이에 위치하고 있어도 된다. 즉, 전달 기어(7)의 배치는 임의이며, 기어 장치 X1의 형태에 따라 적절히 변경할 수 있다.
전달 기어(7)는, 그 외주면에 복수의 외치를 갖고 있다. 당해 복수의 외치에 도시 생략된 모터의 입력축 등이 맞물림으로써, 당해 모터의 입력 토크가 크랭크축(5)으로 전달된다. 그리고, 크랭크축(5)의 편심부(52, 53)가 회전함으로써, 당해 회전에 따라 요동 기어(4)가 외통(2) 내에서 요동 회전한다. 이에 의해, 외통(2)과 캐리어(3)가 상대 회전하게 된다.
여기서, 도 1 및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기어 장치 X1은 제1 구멍(31c) 및 제2 구멍(32e)에 수용되는 삽입 핀(9)과, 당해 삽입 핀(9)의 이동을 규제하는 규제 부재(10)를 더 구비하고 있다.
삽입 핀(9)은, 예를 들어 캐리어(3)의 조립 공정에 있어서, 제1 부재(31)와 제2 부재(32) 사이에 있어서의 상대적인 위치 결정을 행하는 위치 결정 부재로서 기능한다. 또한, 삽입 핀(9)은, 기어 장치 X1의 캐리어(3)가 회전할 때, 제1 부재(31)와 제2 부재(32) 사이에 있어서 토크를 전달하는 역할도 갖는다.
삽입 핀(9)은, 테이퍼 형상을 갖는 핀 부재이다. 삽입 핀(9)은, 당해 삽입 핀(9)의 길이 방향(회전축 C1 방향)에 있어서의 한쪽의 선단면인 제1 선단면(9A)과, 당해 제1 선단면(9A)의 반대측의 선단면인 제2 선단면(9B)을 포함하고 있다. 제1 선단면(9A)은, 제2 축 방향 단부면(32A)측을 향하는 면이다. 제2 선단면(9B)은, 제1 축 방향 단부면(31A)측을 향하는 면이다. 제2 선단면(9B)은, 규제 부재(10)측의 면이며, 규제 부재(10)에 대향한다. 또한 삽입 핀(9)은, 당해 삽입 핀(9)을 제1 구멍(31c) 및 제2 구멍(32e)으로부터 발출할 때에 사용되는 볼트 부재가 삽입되는 암나사 구멍(91)을 갖고 있다. 암나사 구멍(91)은, 삽입 핀(9)의 규제 부재(10)측에 형성되어 있고, 제2 선단면(9B)에 있어서 개구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삽입 핀(9)은, 일부가 제1 구멍(31c)에 수용됨과 함께 잔부가 제2 구멍(32e)에 수용되도록, 당해 제1 구멍(31c) 및 제2 구멍(32e)에 삽입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이하와 같다.
제1 부재(31)에 있어서의 제1 구멍(31c)의 내주면은, 암나사부(31e)와, 테이퍼부(31f)를 갖고 있다.
암나사부(31e)는, 제1 구멍(31c)의 내주면의 일부가 암나사상으로 가공됨으로써 형성되어 있다. 암나사부(31e)는, 회전축 C1 방향에 있어서 테이퍼부(31f)보다도 제1 축 방향 단부면(31A)측에 설치되어 있다.
테이퍼부(31f)는, 회전축 C1 방향에 있어서 암나사부(31e)에 연속되어 있다. 테이퍼부(31f)는, 회전축 C1 방향에 있어서의 제2 부재(32)측을 향하여 끝이 가늘어지는 테이퍼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제2 구멍(32e)은, 제1 구멍(31c)의 테이퍼부(31f)에 대응하여, 회전축 C1 방향에 있어서의 제2 축 방향 단부면(32A)측을 향하여 끝이 가늘어지는 테이퍼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삽입 핀(9)은, 제1 부재(31)의 제1 구멍(31c)과 제2 부재(32)의 제2 구멍(32e)이 서로 중첩된 상태에서, 회전축 C1 방향에 있어서의 제1 축 방향 단부면(31A)측으로부터 당해 회전축 C1 방향을 따라 제1 구멍(31c) 및 제2 구멍(32e)에 삽입된다. 그리고, 테이퍼 형상으로 형성된 삽입 핀(9)의 외주면이 테이퍼부(31f) 및 제2 구멍(32e)의 내주면에 접촉하여, 당해 삽입이 정지된다. 이 상태에 있어서, 삽입 핀(9)이 제1 구멍(31c)의 내주면 및 제2 구멍(32e)의 내주면에 지지되고, 삽입 핀(9)의 일부가 제1 구멍(31c)의 테이퍼부(31f)에 수용됨과 함께, 삽입 핀(9)의 잔부가 제2 구멍(32e)에 수용된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제1 구멍(31c)의 테이퍼부(31f) 및 제2 구멍(32e)의 테이퍼 형상에 의해, 삽입 핀(9)의 회전축 C1 방향에 있어서의 제2 축 방향 단부면(32A)측으로의 이동이 규제되어 있다. 즉, 제1 구멍(31c) 및 제2 구멍(32e)은, 회전축 C1 방향에 있어서의 제2 구멍(32e)측으로의 삽입 핀(9)의 이동을 규제하는 형상을 갖고 있다. 이로 인해,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회전축 C1 방향에 있어서 제2 구멍(32e)의 저면(32f)과 삽입 핀(9)의 제1 선단면(9A)이 서로 이격되어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와 같이 제1 구멍(31c) 및 제2 구멍(32e)의 테이퍼 형상에 의해 삽입 핀(9)의 회전축 C1 방향에 있어서의 제2 축 방향 단부면(32A)측으로의 이동이 규제되는 경우, 제2 구멍(32e)은, 저면(32f)을 갖는 바닥이 있는 구멍이 아니어도 된다. 예를 들어, 제2 구멍(32e)은, 단부면(32B)부터 제2 축 방향 단부면(32A)까지 제2 부재(32)를 관통하는 관통 구멍이어도 된다. 이 경우, 제1 구멍(31c)에 의해 삽입 핀(9)의 제2 축 방향 단부면(32A)측으로의 이동이 규제되어도 되고, 제2 구멍(32e)에 의해 삽입 핀(9)의 제2 축 방향 단부면(32A)측으로의 이동이 규제되어도 된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암나사 구멍(91)이 회전축 C1 방향에 있어서의 제1 부재(31)의 두께 범위 L2에 수용되어 있다. 이로 인해, 삽입 핀(9) 중 회전축 C1 방향에 있어서 샤프트부(32b)의 두께 범위 L1에 수용되어 있는 부위는, 내측에 구멍이 형성되어 있지 않은 중실상으로 되어 있다.
규제 부재(10)는, 삽입 핀(9)의 길이 방향에 있어서의 제1 구멍(31c)측으로의 이동을 규제하는 역할을 갖는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삽입 핀(9)은, 회전축 C1 방향을 따라 형성된 제1 구멍(31c) 및 제2 구멍(32e)에 수용되어 있기 때문에, 삽입 핀(9)의 길이 방향은 회전축 C1 방향과 동일하다. 즉, 본 실시 형태에서는, 규제 부재(10)는, 회전축 C1 방향에 있어서의 삽입 핀(9)의 제1 축 방향 단부면(31A)측으로의 이동을 규제한다.
규제 부재(10)는, 축방향의 일방측의 단부면인 한쪽 단부면(10A)과, 당해 한쪽 단부면(10A)의 반대측의 단부면인 다른 쪽 단부면(10B)을 포함하고 있다. 또한 규제 부재(10)는, 한쪽 단부면(10A)과 다른 쪽 단부면(10B) 사이의 외주면이 수나사상으로 가공되어 형성된 수나사부(11)와, 다른 쪽 단부면(10B)의 일부가 오목해지도록 형성된 설치 구멍(12)을 갖고 있다.
규제 부재(10)는, 회전축 C1 방향에 있어서의 삽입 핀(9)의 제1 축 방향 단부면(31A)측으로의 이동을 규제하도록, 제1 부재(31)에 설치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이하와 같다.
규제 부재(10)는, 회전축 C1 방향에 있어서의 제1 축 방향 단부면(31A)측으로부터 삽입 핀(9)이 제1 구멍(31c) 및 제2 구멍(32e)에 삽입되고, 소정의 위치에서 정지된 후에, 회전축 C1 방향에 있어서의 제1 축 방향 단부면(31A)측으로부터 제1 구멍(31c)에 삽입된다. 이때, 규제 부재(10)의 수나사부(11)는, 제1 구멍(31c)에 있어서의 내주면의 암나사부(31e)에 나사 결합되고, 이에 의해 규제 부재(10)가 제1 부재(31)에 설치된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규제 부재(10)는, 당해 규제 부재(10)의 한쪽 단부면(10A)과 삽입 핀(9)의 제2 선단면(9B)이 회전축 C1 방향에 있어서 접촉하도록 수나사부(11)와 암나사부(31e)가 나사 결합되어 있다. 이에 의해, 규제 부재(10)는, 회전축 C1 방향에 있어서의 삽입 핀(9)의 제1 축 방향 단부면(31A)측으로의 이동을 규제한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규제 부재(10)의 전체는, 제1 구멍(31c)에 있어서의 암나사부(31e)의 내측에 수용되어 있다. 즉, 규제 부재(10)는, 회전축 C1 방향에 있어서의 제1 부재(31)의 두께 범위 L2에 수용되어 있다.
이상 설명한 기어 장치 X1에서는, 제1 구멍(31c) 및 제2 구멍(32e)의 형상이 삽입 핀(9)의 회전축 C1 방향에 있어서의 제2 축 방향 단부면(32A)측으로의 이동을 규제하도록 형성되어 있고, 당해 제1 구멍(31c)으로부터 제2 구멍(32e)에 걸쳐 삽입 핀(9)이 수용되어 있다. 그리고, 제1 부재(31)에는, 삽입 핀(9)의 회전축 C1 방향에 있어서의 제1 축 방향 단부면(31A)측으로의 이동을 규제하는 규제 부재(10)가 설치되어 있다. 즉, 상기 기어 장치 X1에서는, 당해 기어 장치 X1의 조립 공정에 있어서, 제1 축 방향 단부면(31A)측으로부터 제1 구멍(31c) 및 제2 구멍(32e)에 삽입 핀(9)을 삽입한 후, 제1 부재(31)에 규제 부재(10)를 설치하는 것만으로, 삽입 핀(9)이 회전축 C1 방향에 있어서의 양측으로 이동하는 것을 규제할 수 있다. 그로 인해, 번잡한 조립 공정을 거치지 않고, 제1 구멍(31c) 및 제2 구멍(32e)으로부터 삽입 핀(9)이 발출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기어 장치 X1에서는, 삽입 핀(9)에는, 삽입 핀(9)의 발출을 보조하는 볼트 부재가 나사 결합하는 암나사 구멍(91)이 형성되어 있다. 이로 인해, 예를 들어 캐리어(3)를 해체하는 경우에, 삽입 핀(9)의 암나사 구멍(91)에 볼트 부재를 나사 결합시키고, 당해 볼트 부재를 빼냄으로써, 제1 구멍(31c) 및 제2 구멍(32e)으로부터 삽입 핀(9)을 용이하게 발출할 수 있다.
그런데, 샤프트부(32b)는, 기판부(32a)나 제1 부재(31)에 비하여 직경 방향의 두께가 작다. 이로 인해, 삽입 핀(9) 중 회전축 C1 방향에 있어서 샤프트부(32b)의 두께 범위 L1에 수용되어 있는 부위에는, 캐리어(3)의 회전에 따라 비교적 강한 부하가 가해진다.
그래서, 상기 기어 장치 X1에서는, 암나사 구멍(91)은, 회전축 C1 방향에 있어서 제1 부재(31)의 두께 범위 L2에 수용되어 있고, 샤프트부(32b)의 두께 범위 L1에는 존재하지 않는다. 이로 인해, 삽입 핀(9) 중 비교적 강한 부하가 가해지기 쉬운 샤프트부(32b)의 두께 범위 L1에 있는 부위의 강도가 저하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어, 당해 삽입 핀(9)의 파손을 억제할 수 있다. 게다가, 삽입 핀(9)에 있어서의 상기 부위의 강도의 저하를 억제할 수 있으므로, 강도의 향상을 도모하기 위하여 당해 삽입 핀(9)의 직경을 크게 할 필요가 없어, 캐리어(3) 전체가 직경 방향으로 대형화되어 버리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기어 장치 X1에서는, 제2 구멍(32e)이 회전축 C1 방향에 있어서 삽입 핀(9)에 대향하는 저면(32f)을 갖는 바닥이 있는 구멍이기 때문에, 당해 저면(32f)에 의해 삽입 핀(9)의 회전축 C1 방향에 있어서의 제2 구멍(32e)측으로의 이동을 확실하게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기어 장치 X1에서는, 제1 축 방향 단부면(31A)측으로부터 제1 구멍(31c) 및 제2 구멍(32e)에 삽입 핀(9)을 삽입한 후, 마찬가지로 제1 부재(31)측으로부터 제1 구멍(31c)의 암나사부(31e)로 수나사부(11)를 나사 결합시키는 것만으로, 규제 부재(10)에 의해 삽입 핀(9)의 회전축 C1 방향에 있어서의 제1 축 방향 단부면(31A)측으로의 이동을 규제할 수 있다. 이로 인해, 보다 간단한 조립 공정에서 삽입 핀(9)의 빠짐 방지를 달성할 수 있다.
또한, 기어 장치 X1에서는, 규제 부재(10)가 회전축 C1 방향에 있어서 제1 부재(31)의 두께 범위 L2에 수용되어 있기 때문에, 예를 들어 당해 회전축 C1 방향에 있어서의 제1 축 방향 단부면(31A) 상의 스페이스에 기어 등의 각종 부재를 배치할 때에 규제 부재(10)가 방해받지 않는다. 따라서, 당해 스페이스를 유효하게 활용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본 실시 형태는, 모든 점에서 예시이며 제한적인 것이 아니라고 생각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실시 형태의 설명이 아니라 특허 청구 범위에 의해 기재되고, 또한 특허 청구 범위와 균등한 의미 및 범위 내에서의 모든 변경이 포함된다.
예를 들어,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제1 구멍(31c)의 내주면은, 암나사부(31e)와 테이퍼부(31f)를 갖고 있지만,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제1 구멍(31c)의 내주면은, 회전축 C1 방향에 있어서의 전체에 걸쳐 암나사부(31e)가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
또한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삽입 핀(9)이 테이퍼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이것에 따라 테이퍼부(31f) 및 제2 구멍(32e)의 내주면이 테이퍼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으나, 이에 한정하지 않고, 테이퍼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지 않아도 된다. 이 경우, 예를 들어 삽입 핀(9)은, 제1 축 방향 단부면(31A)측으로부터 제1 구멍(31c) 및 제2 구멍(32e)에 삽입되어, 제1 선단면(9A)이 저면(32f)에 접촉하는 위치에서 당해 삽입이 정지된다. 이에 의해, 삽입 핀(9)은, 회전축 C1 방향에 있어서의 제2 축 방향 단부면(32A)측으로의 이동이 저면(32f)에 의해 규제된다.
또한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삽입 핀(9)의 제2 선단면(9B)과 규제 부재(10)의 한쪽 단부면(10A)은 서로 접하고 있지만,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제2 선단면(9B)과 한쪽 단부면(10A)은, 회전축 C1 방향에 있어서 서로 이격되어 있어도 된다. 제2 선단면(9B)과 한쪽 단부면(10A)이 회전축 C1 방향으로 배열되도록 위치하고 있으면, 규제 부재(10)에 의해 삽입 핀(9)의 제1 축 방향 단부면(31A)측으로의 이동을 규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회전축 C1 방향에 있어서의 제1 부재(31)의 두께 범위 L2에 규제 부재(10)의 전체가 수용되어 있지만,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예를 들어, 규제 부재(10)의 일부는, 회전축 C1 방향에 있어서의 제1 축 방향 단부면(31A)의 외측에 위치하고 있어도 된다.
또한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제2 부재(32)가 기판부(32a) 및 샤프트부(32b)를 갖는 예에 대하여 설명했지만, 이에 한정하지 않고, 제1 부재(31)가 기판부 및 당해 기판부로부터 제2 부재로 돌출되는 샤프트부를 갖고 있어도 된다. 이 경우, 제1 구멍(31c)은, 제1 부재(31)를 기판부의 축방향 단부면부터 샤프트부의 단부면까지 관통되도록 형성되고, 제2 구멍(32e)은, 제1 구멍(31c)에 대응하여, 샤프트부의 단부면에 접하는 제2 부재(32)의 대향면의 일부가 개구되도록 형성된다.
또한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규제 부재(10)에 수나사부(11)를 형성하고, 당해 수나사부(11)와 암나사부(31e)를 나사 결합시킴으로써, 규제 부재(10)를 제1 부재(31)에 설치하고 있지만,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규제 부재(10)는, 제1 부재(31)에 설치됨으로써 삽입 핀(9)의 제1 축 방향 단부면(31A)측으로의 이동을 규제할 수 있으면 된다.
예를 들어, 제1 구멍(31c) 및 제2 구멍(32e)에 삽입 핀(9)을 삽입한 상태에서, 제1 구멍(31c) 내에 있어서의 제2 선단면(9B)보다도 제1 축 방향 단부면(31A)측의 공간에 수지 부재를 유입하여 굳힘으로써, 당해 수지 부재를 규제 부재(10)로서 기능시켜도 된다.
또한 규제 부재(10)를 테이퍼상으로 형성함과 함께, 이에 따라 제1 구멍(31c)의 내주면을 테이퍼상으로 형성하고, 당해 제1 구멍(31c)에 규제 부재(10)를 압입함으로써, 당해 규제 부재(10)를 제1 부재(31)에 설치해도 된다.
또한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복수의 크랭크축(5)이 회전축 C1로부터 직경 방향으로 소정의 간격으로 이격됨과 함께 주위 방향으로 배열하도록 설치되어 있지만, 이에 한정하지 않고, 회전축 C1을 따라 크랭크축(5)이 설치되는 센터 크랭크 방식이어도 된다.
또한, 상기 실시 형태를 개략적으로 설명하면 이하와 같다.
본 실시 형태에 관한 기어 장치는, 제1 부재 및 회전축 방향에 있어서 상기 제1 부재에 대향하는 제2 부재를 갖는 캐리어와, 외통과 상기 캐리어 사이의 상기 회전축 주위의 상대 회전을 발생시키는 크랭크축과, 상기 제1 부재 및 상기 제2 부재에 삽입되는 삽입 핀과, 상기 삽입 핀의 이동을 규제하는 규제 부재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삽입 핀은, 상기 제1 부재를 관통하도록 당해 제1 부재에 형성된 제1 구멍으로부터 상기 제1 구멍에 대응하여 상기 제2 부재에 형성된 제2 구멍에 걸쳐 수용되어 있다. 상기 제1 구멍 또는 상기 제2 구멍 중 적어도 한쪽은, 상기 회전축 방향에 있어서의 상기 제2 구멍측으로의 상기 삽입 핀의 이동을 규제하는 형상을 갖고 있다. 상기 규제 부재는, 상기 삽입 핀의 상기 회전축 방향에 있어서의 상기 제1 구멍측으로의 이동을 규제하도록 상기 제1 부재에 설치된다.
상기 기어 장치에서는, 제1 구멍 또는 제2 구멍 중 적어도 한쪽의 형상이 삽입 핀의 회전축 방향에 있어서의 제2 구멍측으로의 이동을 규제하도록 형성되어 있고, 제1 구멍으로부터 제2 구멍에 걸쳐 삽입 핀이 수용되어 있다. 그리고, 제1 부재에는, 삽입 핀의 회전축 방향에 있어서의 제1 구멍측으로의 이동을 규제하는 규제 부재가 설치되어 있다. 즉, 상기 기어 장치에서는, 기어 장치의 조립 공정에 있어서, 제1 부재측으로부터 제1 구멍 및 제2 구멍으로 삽입 핀을 삽입한 후, 제1 부재에 규제 부재를 설치하는 것만으로, 삽입 핀이 회전축 방향에 있어서의 양측으로 이동하는 것을 규제할 수 있다. 그로 인해, 번잡한 조립 공정을 거치지 않고, 제1 구멍 및 제2 구멍으로부터 삽입 핀이 발출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상기 제2 부재는, 상기 제1 부재와는 이격되는 기판부와, 상기 기판부로부터 상기 제1 부재로 돌출됨과 함께 상기 제2 구멍이 형성된 샤프트부를 갖고 있다. 상기 삽입 핀에는, 상기 규제 부재측에 암나사 구멍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암나사 구멍은, 상기 회전축 방향에 있어서, 상기 제1 부재의 두께 범위에 수용되어 있다.
상기 기어 장치에서는, 삽입 핀에는, 삽입 핀의 발출을 보조하는 볼트 부재가 나사 결합하는 암나사 구멍이 형성되어 있다. 이로 인해, 예를 들어 캐리어를 해체하는 경우에, 삽입 핀의 암나사 구멍에 볼트 부재를 나사 결합시키고, 당해 볼트 부재를 회전축 방향에 있어서의 제1 구멍측으로 빼냄으로써, 제1 구멍 및 제2 구멍으로부터 삽입 핀을 용이하게 발출할 수 있다.
샤프트부는, 기판부나 제1 부재에 비하여 직경 방향의 두께가 작게 형성되기 때문에, 삽입 핀 중 회전축 방향에 있어서 샤프트부의 두께 범위에 수용되어 있는 부위에는, 캐리어의 회전에 따라 비교적 강한 부하가 가해지게 된다.
그래서, 상기 기어 장치에서는, 암나사 구멍은, 회전축 방향에 있어서 제1 부재의 두께 범위에 수용되어 있으며, 샤프트부의 두께 범위에는 존재하지 않는다. 이로 인해, 삽입 핀 중 비교적 강한 부하가 가해지기 쉬운 샤프트부의 두께 범위에 있는 부위의 강도가 저하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어, 삽입 핀의 파손을 억제할 수 있다. 게다가, 삽입 핀에 있어서의 당해 부위의 강도의 저하를 억제할 수 있으므로, 강도의 향상을 도모하기 위하여 삽입 핀의 직경을 크게 할 필요가 없어, 캐리어 전체가 직경 방향으로 대형화되어 버리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상기 제2 구멍은, 상기 회전축 방향에 있어서 상기 삽입 핀에 대향하는 저면을 갖는 바닥이 있는 구멍이다.
상기 기어 장치에서는, 제2 구멍이 회전축 방향에 있어서 삽입 핀에 대향하는 저면을 갖는 바닥이 있는 구멍이기 때문에, 저면에 의해 삽입 핀의 회전축 방향에 있어서의 제2 구멍측으로의 이동을 확실하게 억제할 수 있다.
상기 제1 구멍의 내주면은, 암나사부를 갖고 있다. 상기 규제 부재는, 상기 암나사부에 나사 결합함으로써 당해 규제 부재를 상기 제1 부재에 고정하는 수나사부를 갖는다.
상기 기어 장치에서는, 제1 부재측으로부터 제1 구멍 및 제2 구멍으로 삽입 핀을 삽입한 후, 마찬가지로 제1 부재측으로부터 제1 구멍의 암나사부에 수나사부를 나사 결합시키는 것만으로, 규제 부재에 의해 삽입 핀의 회전축 방향에 있어서의 제1 구멍측으로의 이동을 규제할 수 있다. 이로 인해, 보다 간단한 조립 공정에서 삽입 핀의 빠짐 방지를 달성할 수 있다.
상기 규제 부재는, 상기 회전축 방향에 있어서 상기 제1 부재의 두께 범위에 수용되어 있다.
상기 기어 장치에서는, 규제 부재가 회전축 방향에 있어서 제1 부재의 두께 범위에 수용되어 있기 때문에, 예를 들어 회전축 방향에 있어서의 제1 부재의 외측 스페이스에 전달 기어 등을 배치할 때에 규제 부재가 방해받지 않는다. 따라서, 당해 스페이스를 유효하게 활용할 수 있다.

Claims (6)

  1. 제1 부재 및 회전축 방향에 있어서 상기 제1 부재에 대향하는 제2 부재를 갖는 캐리어와,
    외통과 상기 캐리어 사이의 상기 회전축 주위의 상대 회전을 발생시키는 크랭크축과,
    상기 제1 부재 및 상기 제2 부재에 삽입되는 삽입 핀과,
    상기 삽입 핀의 이동을 규제하는 규제 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삽입 핀은, 상기 제1 부재를 관통하도록 당해 제1 부재에 형성된 제1 구멍으로부터 상기 제1 구멍에 대응하여 상기 제2 부재에 형성된 제2 구멍에 걸쳐 수용되고,
    상기 제1 구멍 또는 상기 제2 구멍 중 적어도 한쪽은, 상기 회전축 방향에 있어서의 상기 제2 구멍측으로의 상기 삽입 핀의 이동을 규제하는 형상을 갖고,
    상기 규제 부재는, 상기 삽입 핀의 상기 회전축 방향에 있어서의 상기 제1 구멍측으로의 이동을 규제하도록 상기 제1 부재에 설치되는, 기어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부재는, 상기 제1 부재와는 이격되는 기판부와, 상기 기판부로부터 상기 제1 부재로 돌출됨과 함께 상기 제2 구멍이 형성된 샤프트부를 갖고,
    상기 삽입 핀에는 상기 규제 부재측에 암나사 구멍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암나사 구멍은 상기 회전축 방향에 있어서, 상기 제1 부재의 두께 범위에 수용되어 있는, 기어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구멍은, 회전축 방향에 있어서 상기 삽입 핀에 대향하는 저면을 갖는 바닥이 있는 구멍인, 기어 장치.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구멍의 내주면은, 암나사부를 갖고 있으며,
    상기 규제 부재는, 상기 암나사부에 나사 결합함으로써 당해 규제 부재를 제1 부재에 고정하는 수나사부를 갖는, 기어 장치.
  5.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규제 부재는, 상기 회전축 방향에 있어서 상기 제1 부재의 두께 범위에 수용되어 있는, 기어 장치.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규제 부재는, 상기 회전축 방향에 있어서 상기 제1 부재의 두께 범위에 수용되어 있는, 기어 장치.
KR1020170084706A 2016-07-12 2017-07-04 기어 장치 KR10235920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6-137751 2016-07-12
JP2016137751A JP6752070B2 (ja) 2016-07-12 2016-07-12 歯車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07310A true KR20180007310A (ko) 2018-01-22
KR102359208B1 KR102359208B1 (ko) 2022-02-07

Family

ID=597723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84706A KR102359208B1 (ko) 2016-07-12 2017-07-04 기어 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10364866B2 (ko)
EP (1) EP3270002B1 (ko)
JP (1) JP6752070B2 (ko)
KR (1) KR102359208B1 (ko)
CN (1) CN107606066A (ko)
TW (1) TWI738813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159709A (zh) * 2019-06-20 2019-08-23 廊坊市钦纵传动科技有限公司 谐波增速器
JP2023177541A (ja) 2022-06-02 2023-12-14 ナブテスコ株式会社 ケース、減速機、ロボット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5206396A (ja) * 2014-04-18 2015-11-19 ナブテスコ株式会社 偏心型減速機
KR20160078903A (ko) * 2014-12-25 2016-07-05 나부테스코 가부시키가이샤 감속기군, 감속기 및 감속기의 설계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3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3206992A1 (de) 1982-02-26 1983-09-08 Rudolf Braren Zykloidengetriebe
EP0238921B1 (de) * 1986-03-26 1989-10-25 Manfred Dipl.-Ing. Wittenstein In den Umlaufträger eines Planetengetriebes einsetzbarer Planetenradbolzen
DE69616884T4 (de) * 1995-07-03 2009-07-16 Nabtesco Corp. Exzenter-Planetengetriebe und Verfahren zu dessen Herstellung
RU7464U1 (ru) * 1997-06-19 1998-08-16 Открытое акционерное общество "Ишимбайтрансмаш" Ведущий мост
JP4755357B2 (ja) * 2001-04-18 2011-08-24 ナブテスコ株式会社 減速機
JP4004256B2 (ja) * 2001-09-13 2007-11-07 ナブテスコ株式会社 偏心揺動型減速機
JP4614709B2 (ja) 2004-08-04 2011-01-19 ナブテスコ株式会社 外歯歯車の製造方法
JP4762643B2 (ja) * 2005-08-22 2011-08-31 ナブテスコ株式会社 センタークランク式偏心揺動型減速機
US8195429B2 (en) * 2005-10-21 2012-06-05 Nabtesco Corporation Maintenance information output apparatus and maintenance information output system
CN101466967B (zh) * 2006-06-13 2011-11-16 纳博特斯克株式会社 减速装置
WO2008001460A1 (fr) * 2006-06-30 2008-01-03 Im Corporation Dispositif d'engrenage
JP2009150416A (ja) * 2007-12-18 2009-07-09 Keihin Corp サイクロイド減速機
WO2009090844A1 (ja) 2008-01-16 2009-07-23 Nabtesco Corporation 歯車伝動装置
CN101981344B (zh) * 2008-03-28 2014-10-29 纳博特斯克株式会社 齿轮装置
JP5270462B2 (ja) * 2009-06-15 2013-08-21 ナブテスコ株式会社 偏心揺動型歯車装置および偏心揺動型歯車装置におけるクランク軸の組み付け方法
JP5477044B2 (ja) * 2009-06-30 2014-04-23 株式会社ジェイテクト 遊星歯車機構
US9329119B2 (en) * 2010-12-02 2016-05-03 Nabtesco Corporation Speed reducer for industrial robot
CN102506054B (zh) * 2011-08-23 2013-10-16 中国北方车辆研究所 一种车辆悬挂球头销总成
JP5844628B2 (ja) * 2011-12-07 2016-01-20 住友重機械工業株式会社 遊星歯車装置および遊星歯車装置の製造方法
CN202498142U (zh) * 2012-02-08 2012-10-24 奇瑞汽车股份有限公司 一种定位销防松脱弹簧塞
JP6175433B2 (ja) * 2012-06-22 2017-08-02 ナブテスコ株式会社 状態判定方法、状態通知システムおよび状態判定プログラム
JP5941349B2 (ja) * 2012-06-25 2016-06-29 ナブテスコ株式会社 偏心揺動型歯車装置
JP5982220B2 (ja) * 2012-08-14 2016-08-31 Ntn株式会社 電動リニアアクチュエータ
JP5988429B2 (ja) * 2012-09-18 2016-09-07 ナブテスコ株式会社 偏心揺動型歯車装置
JP2014077453A (ja) * 2012-10-09 2014-05-01 Nabtesco Corp 偏心揺動型歯車装置
JP5998423B2 (ja) * 2012-12-20 2016-09-28 株式会社不二越 減速機
JP6147607B2 (ja) * 2013-08-09 2017-06-14 ナブテスコ株式会社 歯車伝動装置
JP6374274B2 (ja) * 2014-09-04 2018-08-15 国立大学法人長岡技術科学大学 制御装置及び減速機システム
CN204755806U (zh) * 2015-03-30 2015-11-11 安徽中晶光技术股份有限公司 一种组合式丝杠
JP2017109599A (ja) * 2015-12-16 2017-06-22 ナブテスコ株式会社 操舵補助装置
JP6836336B2 (ja) * 2016-05-20 2021-02-24 ナブテスコ株式会社 ギア装置
JP6859039B2 (ja) * 2016-07-12 2021-04-14 ナブテスコ株式会社 歯車装置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5206396A (ja) * 2014-04-18 2015-11-19 ナブテスコ株式会社 偏心型減速機
KR20160078903A (ko) * 2014-12-25 2016-07-05 나부테스코 가부시키가이샤 감속기군, 감속기 및 감속기의 설계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201805547A (zh) 2018-02-16
US10364866B2 (en) 2019-07-30
JP2018009615A (ja) 2018-01-18
EP3270002A1 (en) 2018-01-17
US20180017134A1 (en) 2018-01-18
JP6752070B2 (ja) 2020-09-09
EP3270002B1 (en) 2019-05-15
KR102359208B1 (ko) 2022-02-07
CN107606066A (zh) 2018-01-19
TWI738813B (zh) 2021-09-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69380B1 (ko) 기어 전동 장치와 그것에 사용되는 크랭크 샤프트 구조체
EP3150874A1 (en) Bearing device and beading device fixing plate
KR102359207B1 (ko) 기어 장치
KR20180007310A (ko) 기어 장치
JP2009115158A (ja) 無段変速機用固定側シーブ、その無段変速機内取り付け方法及びその製造方法
KR102511290B1 (ko) 기어 장치
JP2011017439A (ja) 軸受け構造体
WO2015072352A1 (ja) 軸受予圧装置
TWI746600B (zh) 齒輪裝置
US20160061291A1 (en) Eccentric oscillation gear device and torque adjusting method therefor
JP6334289B2 (ja) 歯車伝動装置
JP2016191448A (ja) 減速機
TWI682110B (zh) 偏心擺動型齒輪裝置
JP2009287631A (ja) 偏心揺動型歯車装置
JP2001208087A (ja) 軸受装置およびその軸受用ロックナット
JP2017110768A (ja) 減速装置
JP2016211642A (ja) 減速装置
US20200056650A1 (en) Bearing retaining mechanism
JP2010031992A (ja) ころ軸受とそのころ軸受の組立方法
JP2008045593A (ja) ピニオン軸支持装置及びピニオンユニット軸受
JP2017026099A (ja) カムフォロワ及び伝動機構
JP2017160950A (ja) 減速装置
JP2016211643A (ja) 減速装置および減速装置の製造方法
JP2016102529A (ja) 偏心揺動型歯車装置
CN111911595A (zh) 旋转轴构件保持机构和减速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