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04196A - 영상 저장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영상 저장 장치 - Google Patents

영상 저장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영상 저장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04196A
KR20180004196A KR1020177034611A KR20177034611A KR20180004196A KR 20180004196 A KR20180004196 A KR 20180004196A KR 1020177034611 A KR1020177034611 A KR 1020177034611A KR 20177034611 A KR20177034611 A KR 20177034611A KR 20180004196 A KR20180004196 A KR 2018000419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age
storage
obstacle
event occurrence
ev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70346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989263B1 (ko
Inventor
박기영
Original Assignee
재단법인 다차원 스마트 아이티 융합시스템 연구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재단법인 다차원 스마트 아이티 융합시스템 연구단 filed Critical 재단법인 다차원 스마트 아이티 융합시스템 연구단
Publication of KR2018000419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0419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8926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8926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76Television signal recording
    • H04N5/91Television signal processing therefor
    • H04N5/92Transformation of the television signal for recording, e.g. modulation, frequency changing; Inverse transformation for playback
    • H04N5/9201Transformation of the television signal for recording, e.g. modulation, frequency changing; Inverse transformation for playback involving the multiplexing of an additional signal and the video signa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8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 H04N7/188Capturing isolated or intermittent images triggered by the occurrence of a predetermined event, e.g. an object reaching a predetermined posi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40/00Estimation or calculation of non-directly measurable driving parameter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 unit, e.g. by using mathematical models
    • B60W40/02Estimation or calculation of non-directly measurable driving parameter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 unit, e.g. by using mathematical models related to ambient condi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40/00Estimation or calculation of non-directly measurable driving parameter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 unit, e.g. by using mathematical models
    • B60W40/02Estimation or calculation of non-directly measurable driving parameter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 unit, e.g. by using mathematical models related to ambient conditions
    • B60W40/04Traffic condi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20/00Scenes; Scene-specific elements
    • G06V20/40Scenes; Scene-specific elements in video conten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20/00Scenes; Scene-specific elements
    • G06V20/50Context or environment of the image
    • G06V20/56Context or environment of the image exterior to a vehicle by using sensors mounted on the vehicle
    • G06V20/58Recognition of moving objects or obstacles, e.g. vehicles or pedestrians; Recognition of traffic objects, e.g. traffic signs, traffic lights or road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16Anti-collision systems
    • G08G1/166Anti-collision systems for active traffic, e.g. moving vehicles, pedestrians, bik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76Television signal recording
    • H04N5/765Interface circuits between an apparatus for recording and another apparatus
    • H04N5/77Interface circuits between an apparatus for recording and another apparatus between a recording apparatus and a television camer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8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2420/00Indexing codes relating to the type of sensors based on the principle of their operation
    • B60W2420/40Photo, light or radio wave sensitive means, e.g. infrared sensors
    • B60W2420/403Image sensing, e.g. optical camera
    • B60W2420/42
    • B60W2550/10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2554/00Input parameters relating to objects
    • B60W2554/80Spatial relation or speed relative to objec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20/00Scenes; Scene-specific elements
    • G06V20/40Scenes; Scene-specific elements in video content
    • G06V20/44Event detec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Traffic Control Systems (AREA)
  • Television Signal Processing For Recording (AREA)
  • Closed-Circuit Televis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영상 저장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영상 저장 장치에 관한 것으로, 획득되는 영상 정보로부터 장애물을 검출하여 상기 장애물과의 이벤트(충돌) 발생 가능 지수를 산출함으로써, 이벤트 발생 가능성에 따라 저장되는 영상의 해상도, 저장 주기, 저장 위치 등을 변경하여 저장하는 영상 저장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영상 저장 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영상 저장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영상 저장 장치
본 발명은 영상 저장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영상 저장 장치에 관한 것으로, 획득되는 영상 정보로부터 장애물을 검출하여 상기 장애물과의 이벤트(충돌) 발생 가능 지수를 산출하고, 산출된 이벤트 발생 가능 지수에 따라 저장되는 영상의 해상도, 저장 주기, 저장 위치 등을 변경하여 저장하는 영상 저장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영상 저장 장치에 관한 것이다.
주변 영상 정보를 촬영하고 이에 대한 정보를 저장/녹화하는 영상 저장 장치들은 다양한 응용 제품들에 적용되고 있으며, 일 예로 차량에 구비되어 차량이 주행 또는 주차 상태일 때 상시(常時) 정보 및 이벤트 정보(충돌 등)를 촬영하는 차량용 영상 저장 장치 등의 제품이 출시되고 있다.
차량에 적용되는 영상 저장 장치를 참고하여 설명하면, 해당 장치는 차량 내 구비되어 차량 주변에 대한 영상 정보를 촬영/저장하여 이후 이벤트 발생(예: 차량간 충돌, 장애물과의 충돌 등)시 이벤트 상황의 확인을 위한 영상 자료를 제공한다.
이와 같은 종래의 영상 저장 장치는 일반적으로 소형으로 제조되어 대용량의 저장 장치를 구비함에 한계가 있으며, 상시로 영상을 저장하게 됨으로써 저장 장치의 웨어링(wearing)이 빠르게 진행되어 저장 장치의 쓰기/읽기 오류가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의 영상 저장 장치는 이벤트 발생(충돌 등)을 감지하기 위해 가속도 센서 등의 충격 감지 센서를 구비하고, 이를 통해 충격 감지 시점에 대한 영상 정보를 이벤트 영상으로써 저장/관리하는 구성을 갖는다. 그러나 이러한 영상 저장 장치는 충격이 발생해야만 이를 이벤트 상황으로 인식할 수 있는데다 상기 충격 감지 센서가 감지하는 이벤트 정보는 충돌 정보 외 과속 방지턱, 거친 노면, 차문 닫을 시 발생하는 충격 등 거짓 양성(False Positive) 정보도 포함하게 됨으로써 사용자로 하여금 불필요한 정보까지 이벤트 정보로 확인케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게다가 실제 차량간 충돌이 발생하게 되면 차량 및 차량 내 구비된 영상 저장 장치에는 일정 크기 이상의 물리적 충격이 발생하게 되고, 이로 인해 전원 차단, 기기 손상, 저장 매체(SD 카드 등) 이탈 등의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이 경우, 영상 저장 장치의 정상적인 동작이 불가능해짐으로써 해당 충격에 대한 이벤트 정보를 제대로 저장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실제 충격이 발생하기 전부터 이벤트 관련 영상을 저장하며, 상황에 적응적으로 상기 이벤트 영상에 대한 해상도 및 저장주기 등을 제어함으로써 실질적으로 활용도 높은 이벤트 영상의 제공이 가능한 영상 저장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영상 저장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이벤트 발생 가능성이 일정 이하인 경우에는 주변 영상 정보를 저해상도로 저장함으로써 실질적으로 활용도가 낮은 영상 정보의 용량을 감소시켜 불필요한 영상 정보의 크기를 최소화시키는 영상 저장 방법 및 영상 저장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특히, 본 발명은 이벤트 발생 가능성이 일정 이상이 되면 주변 영상 정보와 함께 영상 정보에 대한 정지 영상을 주기적으로 저장함으로써 실질적으로 활용도가 높은 영상 정보와 함께 이에 대한 정지 영상의 제공도 가능한 영상 저장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영상 저장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영상 저장 장치의 영상 저장 방법은, (A) 주변 영상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B) 획득된 주변 영상 정보의 분석을 통해 이벤트 발생 가능 지수를 산출하는 단계; 및 (C) 산출된 이벤트 발생 가능 지수에 따라 상기 (A) 단계를 통해 획득된 영상 정보를 저장함에 있어, 영상의 해상도, 저장주기 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을 변경하여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B) 단계는, (B-1) 상기 (A) 단계를 통해 획득된 영상 정보에서 장애물을 검출하는 단계; 및 (B-2) 장애물이 검출된 경우, 상기 장애물과의 이벤트 발생 가능 지수를 산출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특히, 상기 (B-2) 단계는, 상기 영상 저장 장치로부터 검출된 장애물까지의 거리, 상기 영상 저장 장치에 대한 상기 장애물의 상대 속도, 상대 가속도, TTC(Time-to-Collision) 중 하나 이상을 산출하고, 이에 기반하여 장애물과의 이벤트 발생 가능 지수를 산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C) 단계는, 산출된 이벤트 발생 가능 지수가 높을수록 저장되는 영상의 해상도는 증가시키고 저장주기는 감소시켜 저장할 수 있다.
상기 (C) 단계는, 추가적으로 산출된 이벤트 발생 가능 지수가 일정 이상이면 저장되는 영상의 저장 위치를 변경하여 저장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적용가능한 실시예에서, 상기 영상 저장 장치의 영상 저장 방법은, (D) 산출된 이벤트 발생 가능 지수가 일정 이상이면 상기 (A) 단계를 통해 획득되는 영상 정보에 대해 일정 주기로 정지 영상을 획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른 영상 저장 장치는, 주변 영상 정보를 획득하는 카메라부; 상기 카메라부를 통해 획득되는 주변 영상 정보의 분석을 통해 이벤트 발생 가능 지수를 산출하는 이벤트 발생 가능 지수 산출부; 상기 카메라부를 통해 획득되는 영상 정보를 저장하는 저장부; 및 상기 이벤트 발생 가능 지수 산출부를 통해 산출된 이벤트 발생 가능 지수에 따라 상기 저장부에 저장되는 영상의 해상도, 저장주기 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을 변경하는 저장 제어부;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이벤트 발생 가능 지수 산출부는, 상기 카메라부를 통해 획득된 영상 정보에서 장애물을 검출하고, 장애물이 검출된 경우, 상기 장애물과의 이벤트 발생 가능 지수를 산출할 수 있다.
특히, 상기 이벤트 발생 가능 지수 산출부는, 상기 영상 저장 장치로부터 검출된 장애물까지의 거리, 상기 영상 저장 장치에 대한 상기 장애물의 상대 속도, 상대 가속도, TTC(Time-to-Collision) 중 하나 이상을 산출하고, 이에 기반하여 장애물과의 이벤트 발생 가능 지수를 산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저장 제어부는, 산출된 이벤트 발생 가능 지수가 높을수록 저장되는 영상의 해상도는 증가시키고 저장주기는 감소시키도록 제어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상기 저장부는 복수 개의 저장 위치로 구분되고, 상기 저장 제어부는, 추가적으로, 상기 이벤트 발생 가능 지수 산출부에 의해 산출된 이벤트 발생 가능 지수가 일정 이상이면 저장되는 영상의 저장 위치를 변경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저장 제어부는, 상기 이벤트 발생 가능 지수 산출부에 의해 산출된 이벤트 발생 가능 지수가 일정 이상이면 추가적으로 일정 주기의 정지 영상을 획득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영상 저장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영상 저장 장치는 이벤트 발생 여부를 실제 이벤트 발생 전 미리 감지하고 관련 영상 정보들을 이벤트 영상 정보로 생성함으로써 실질적인 이벤트 관련 영상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산출되는 이벤트 발생 가능 지수에 따라 저장 영상의 해상도, 저장주기를 변경 저장함으로써 불필요한 영상 정보의 크기는 축소시킴으로써 효율적인 영상 정보의 저장/관리가 가능하고, 실제 활용도가 높은 영상 정보는 고화질의 영상 정보로 저장함으로써 이벤트 발생시 추후 이벤트에 대한 증빙 자료로 활용가능하게 한다.
또한, 실제 차량간 충돌 등의 이벤트가 발생되게 되면 영상 저장 장치의 동작이 불가능해질 수 있으나, 본 발명에 따른 영상 저장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영상 저장 장치는 이벤트 발생 가능 지수가 일정 이상이면 영상 저장주기를 축소시킴으로써 이벤트 발생 직전의 영상 정보까지도 저장 가능하다는 특징이 있다.
또한, 동영상 정보와는 별도로, 이벤트 발생 가능 지수에 따라 주변 영상에 대한 정지 영상(이미지 정보)을 추가적으로 제공함으로써 실제 이벤트 상황에 대한 풍부한 상황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른 영상 저장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예에 따른 영상 저장 장치를 나타낸 도면,
도 3은 본 발명에 따라 장애물을 검출(감지)하는 기술 구성을 나타낸 도면, 및
도 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예에 따른 영상 저장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의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영상 저장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고, 도 2는 도 1에 따른 영상 저장 방법을 이용하는 영상 저장 장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영상 저장 장치(1)는 카메라부(100), 이벤트 발생 가능 지수 산출부(200), 저장부(300) 및 저장 제어부(400)를 포함한다. 도 2에서는 본 발명에 적용가능한 영상 저장 장치(1)의 주요 구성 요소만을 도시한 것으로써, 실질적으로 구현 및 동작되는 영상 저장 장치(1)는 도 2에 도시된 구성 요소 외 다른 구성 요소를 포함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영상 저장 장치(1)의 각 구성 요소 및 이에 따른 영상 저장 장치(1)의 영상 저장 방법을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카메라부(100)는 주변 영상 정보를 획득한다. 일반적으로, 카메라부(100)로는 영상 정보를 획득할 수 있는 모든 구성이 적용될 수 있으며, CMOS 이미지 센서(CIS: CMOS Image Sensor) 또는 CIS+ISP(Image Sensor Processor)를 모두 포함하는 구성이 적용될 수 있다. 이외 주변 영상에 대한 정보를 디지털 정보로 변환하여 제공될 수 있는 모든 구성은 상기 카메라부(100)로 적용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상기 카메라부(100)가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변형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이벤트 발생 가능 지수 산출부(200)는 상기 카메라부(100)를 통해 획득되는 주변 영상 정보의 분석을 통해 이벤트 발생 가능 지수를 산출한다.
본 발명에 있어, 이벤트 발생 가능 지수란 이벤트가 발생할 것으로 예측되는 확률 값을 나타내는 값이다. 상기 지수 값은 일 실시예에서는 0 ~ 1 사이의 소수 값으로 나타낼 수도 있으며, 다른 실시예에서는 0 ~ 100 사이의 정수 값으로 나타낼 수도 있다. 또는, 상기 이벤트 발생 가능 지수는 <높음>, <낮음>과 같이 복수 개의 카테고리로 구분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에서는 이벤트 발생 가능 지수를 복수 개의 카테고리로 구분하는 구성을 개시하나, 다른 실시예에서 상기 이벤트 발생 가능 지수는 특정 값으로 나타내고, 상기 값이 포함되는 범주에 따라 저장되는 영상 정보의 특성을 변경 저장하는 구성 또한 적용 가능하다.
본 발명에 적용가능한 실시예에서, 이벤트로는 상기 영상 저장 장치를 구비한 객체와 별도의 장애물 간의 충돌 이벤트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예로, 본 발명에 따른 영상 저장 장치의 이벤트 발생 가능 지수 산출부(200)는 상기 영상 저장 장치를 구비한 차량과 상기 차량의 외부에 위치하고 있는 장애물(행인, 차량, 기타 주행에 방해를 주는 객체) 간 충격 이벤트의 발생 가능 지수를 산출할 수 있다.
이하, 상세한 설명에서는 상기 영상 저장 장치(1)가 차량에 구비되어 상기 차량과 주변 장애물 간의 충돌 가능 지수를 산출하고, 이에 기반하여 저장하는 영상의 해상도, 저장주기 등을 변경하는 구성에 대해 설명하나,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로 한정되지 않는다. 일 예로, 본 발명에 따른 영상 저장 장치(1)는 행인(어린아이, 장애우 등) 등이 구비한 악세사리에 적용될 수 있으며, 상기 행인이 위험 영역(도보가 제한되는 영역 등)을 이동하는지를 판단하여 저장되는 주변 영상 정보의 해상도, 저장주기 등을 변경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적용 가능한 실시예에서, 이벤트 발생 가능 지수 산출부(200)는 카메라부(100)를 통해 획득되는 주변 영상 정보를 분석함으로써 장애물을 검출하고, 장애물이 검출된 경우 상기 장애물과의 이벤트 발생 가능 지수를 산출한다.
먼저, 상기 이벤트 발생 가능 지수 산출부(200)는 상기 카메라부(100)를 통해 획득되는 주변 영상 정보를 분석하여 장애물을 검출한다. 이때, 장애물은 보행자 등의 사람이 될 수도 있으며, 다른 차량, 자전거, 오토바이 등의 물체나 인도와 차도를 구분짓는 구분 물체(울타리 등)가 적용될 수도 있다.
일 예로, 상기 이벤트 발생 가능 지수 산출부(200)는 전방추돌경보시스템(Forward Collision Warning System, 이하 FCWS)에 적용되는 기술 구성을 통해 장애물을 검출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상기 이벤트 발생 가능 지수 산출부(200)는 도 3과 같이 차량 앞에 위치하는 앞쪽 차량(A) 및 차량 앞을 지나는 보행자(B) 등을 검출할 수 있다.
이벤트 발생 가능 지수 산출부(200)는 도 3과 같이 장애물(A) 및 장애물(B)를 감지하기 위하여 상기 카메라부(100)를 통해 입력되는 영상 정보 중 장애물 인식 영역을 설정하고, 이미지 안정화(image stabilization)를 하고, 수평/수직 에지를 검출하여 장애물의 밑면 및 옆면을 검출함으로써 앞선 차량 또는 그외 장애물을 검출할 수 있다. 이외 다른 영상 분석 방법을 이용하여 카메라부(100)를 통해 획득되는 영상 정보로부터 차량 및 보행자 등의 장애물을 검출할 수 있으며, 이를 위해 다양한 영상 분석 방법이 적용될 수 있음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용이하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이어, 상기 이벤트 발생 가능 지수 산출부(200)는 장애물이 검출된 경우, 상기 장애물과의 이벤트 발생 가능 지수를 산출한다.
상기 이벤트 발생 가능 지수 산출부(200)는 이벤트 발생 가능 지수를 산출하기 위하여 여러 지표(parameter)를 활용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이벤트 발생 가능 지수 산출부(200)는 상기 카메라부(100)를 통해 획득된 영상 정보의 분석을 통해, 영상 저장 장치(1) 또는 상기 영상 저장 장치(1)가 장착된 차량으로부터 검출된 장애물까지의 거리(L), 상기 영상 저장 장치(1) 또는 상기 영상 저장 장치(1)가 장착된 차량에 대한 상기 장애물의 상대 속도(v), 상대 가속도(av), TTC(Time-to-Collision) 중 하나 이상을 산출할 수 있으며, 이들을 이용하여 이벤트 발생 가능 지수를 산출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이벤트 발생 가능 지수는 (없음, 낮음, 보통, 높음)과 같이 4개 카테고리로 구분될 수 있으며, 이를 위해 상기 지표(L, v, ac, TTC)는 다음과 같이 활용 가능하다. 다만, 상기 실시예는 본 발명에 적용가능한 일 실시예에 불과하며, 이외 다양한 지표 분석 방법이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1. TTC(Time-to-Collision) 지표 활용
이벤트 발생 가능 지수 산출부(200)는 영상 정보 중 장애물이 검출될 경우, 영상 분석을 통해 상기 장애물과의 충돌까지 예상되는 시간(TTC)을 산출할 수 있으며, 이를 위해 추가적인 정보로 차량의 움직임 속도를 활용할 수도 있다. 이때, 산출되는 TTC 값에 따라 이벤트 발생 가능 지수는 아래의 표 1과 같이 구분될 수 있다.
TTC(sec) 0 ~ 1 1 ~ 2 2 ~ 4 4 ~ ∞
이벤트 발생 가능 지수 높음 보통 낮음 없음
2. TTC(Time-to-Collision) 및 상대 속도(v) 지표 활용
이벤트 발생 가능 지수 산출부(200)는 영상 정보 중 장애물이 검출될 경우, 영상 분석을 통해 상기 장애물과의 충돌까지 예상되는 시간(TTC)을 산출하고, 영상 저장 장치(1)(또는 상기 영상 저장 장치(1)가 장착된 차량)에 대한 장애물의 상대 속도(v)를 산출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지표 값을 산출하기 위해 추가적인 정보로 차량의 움직임 속도를 활용할 수도 있다. 이때, 산출된 지표 값에 따라 이벤트 발생 가능 지수는 아래의 표 2와 같이 구분될 수 있다.
TTC(sec) 0 ~ 1 1 ~ 2 2 ~ 4 4 ~ ∞
v(m/sec) - - ∞ ~ -20 -20 ~ 0 -
이벤트 발생 가능 지수 높음 보통 낮음 없음
즉, 표 2에 따른 실시예에서는 TTC 값을 우선적으로 활용하여 이벤트 발생 가능 지수를 결정하며, 일정 구간의 TTC 값에 대해서는 추가적으로 장애물의 상대 속도(v)를 활용하여 상대 속도(v) 크기에 따라 이벤트 발생 가능 지수를 구분할 수 있다.
상기 실시예와 달리, 이벤트 발생 가능 지수를 산출(결정)하기 위하여 상대 속도(v) 값 대신 상기 장애물까지의 거리(L) 값이 적용될 수 있다. 이때, 일정 구간의 TTC 값에 대하여 거리(L) 값이 상대적으로 작으면 상대적으로 높은 이벤트 발생 가능 지수를 산출할 수 있다.
3. TTC(Time-to-Collision), 상대 속도(v), 장애물까지의 거리(L) 지표 활용
이벤트 발생 가능 지수 산출부(200)는 영상 정보 중 장애물이 검출될 경우, 영상 분석을 통해 상기 장애물과의 충돌까지 예상되는 시간(TTC)을 산출하고, 영상 저장 장치(1)(또는 상기 영상 저장 장치(1)가 장착된 차량)에 대한 장애물의 상대 속도(v), 상기 영상 저장 장치(1)(또는 상기 영상 저장 장치(1)가 장착된 차량)으로부터 상기 장애물까지의 거리(L)를 산출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지표 값을 산출하기 위해 추가적인 정보로 차량의 움직임 속도를 활용할 수도 있다. 이때, 산출된 지표 값에 따라 이벤트 발생 가능 지수는 아래의 표 3과 같이 구분될 수 있다.
TTC(sec) 0 ~ 1 1 ~ 2 2 ~ 4 4 ~ 10
L(m) - 0 ~ 20 20 ~ 40 40 ~ ∞
v(m/sec) - - -∞ ~ -20 -20 ~ 0
이벤트 발생 가능 지수 높음 보통 낮음 없음
즉, 표 3에 따른 실시예에서는 TTC 값을 우선적으로 활용하여 이벤트 발생 가능 지수를 결정하며, 일정 구간의 TTC 값(2 ~ 10 초)에 대해서는 추가적으로 상기 장애물까지의 거리(L) 및 상기 장애물의 상대 속도(v)를 활용하여 이벤트 발생 가능 지수를 산출(결정)할 수 있다.
상기 표 1 내지 표 3를 통해 설명한 실시예는 상기 지표들을 활용하여 이벤트 발생 가능 지수를 산출(결정)하는 일 실시예를 개시한 것에 불과하며, 상기 표에서 개시한 값들은 실시예에 따라 다른 값으로 적용 가능하다.
저장부(300)는 영상 정보를 저장한다. 이를 위해, 상기 저장부(300)로는 영상 정보를 저장할 수 있는 저장 매체가 모두 적용될 수 있다. 일 예로, 모든 비휘발성 저장매체가 상기 저장부(300)로 적용될 수 있으며, HDD(Hard Disk Drive), SSD(Solid State Drive), SD 메모리 카드(Secure Digital memory card) 등이 적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적용 가능한 실시예에서 상기 저장부(300)는 서로 구별되는 복수 개의 저장 위치로 구분될 수 있다. 일 예로, 차량에 적용되는 영상 저장 장치의 경우, 저장부(300)는 <상시 녹화>, <이벤트 녹화>, <주차 녹화> 등과 같이 구분되는 저장 위치를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분되는 저장위치는 실시예에 따라 물리적으로 구분될 수도 있으며 소프트웨어(Software)적인 프로그램에 의해 구분될 수도 있다.
저장 제어부(400)는 상기 이벤트 발생 가능 지수 산출부(200)에 의해 산출된 이벤트 발생 가능 지수에 따라 상기 저장부(300)에 저장되는 영상 정보의 해상도, 저장주기 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을 변경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저장 제어부(400)는 상기 이벤트 발생 가능 지수 산출부(200)를 통해 산출되는 이벤트 발생 가능 지수에 따라, 상기 카메라부(100)를 통해 획득되는 영상 정보의 해상도, 상기 영상 정보가 저장되는 저장주기 중 어느 하나 또는 상기 두 값을 모두 변경하여 상기 저장부(300)에 저장되도록 한다.
추가적으로, 상기 저장 제어부(400)는 상기 이벤트 발생 가능 지수 산출부(200)에 의해 산출된 이벤트 발생 가능 지수에 따라 저장되는 영상의 저장 위치를 변경할 수도 있으며, 산출된 이벤트 발생 가능 지수에 따라 상기 카메라부(100)를 통해 획득되는 영상의 정지 영상을 일정 주기로 획득할 수 있다. 이때, 정지 영상이란 일 순간의 영상 정보를 일 프레임의 이미지 정보로 나타낸 것을 의미하며, 실시예에 따라 상기 정지 영상은 JPEG(Joint Photographic Coding Experts group), PNG(Portable Network Graphics), 또는 영상 저장 장치(1)의 자체 소프트웨어에 기반한 파일 형식이 적용될 수 있다.
이하, 상기 저장 제어부(400)에 의해 저장부(300)에 저장되는 영상의 특성을 변경하는 실시예에 대하여 도 4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예에 따른 영상 저장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영상 저장 장치(1)는 S400 내지 S460 단계를 통해 상기 카메라부(100)를 통해 획득되는 영상의 특성을 변경하여 저장부(300)에 저장할 수 있다.
먼저, 카메라부(100)는 주변 영상 정보를 획득한다(S400). 이와 관련하여 구체적인 사항에 대해서는 앞에서 상술한 바 이하 생략한다.
이벤트 발생 가능 지수 산출부(200)는 상기 S400 단계를 통해 획득된 주변 영상 정보에 대한 분석을 통해 장애물을 검출(감지)한다(S410). 이어, S410 단계를 통해 장애물이 검출(감지)되면, 이벤트 발생 가능 지수 산출부(200)는 상기 장애물과의 이벤트 발생 가능 지수를 산출한다(S420).
도 4에서는 이벤트 발생 가능 지수 산출부(200)의 동작을 S410 및 S420 단계로 구분하였으며, 특히, 이벤트 발생 가능 지수를 산출하는 단계를 S420 단계로 도시하였으나, 다른 실시예에서 상기 이벤트 발생 가능 지수 산출부(200)는 상기 S410 단계를 통해 장애물이 감지되지 않은 경우 이벤트 발생 가능 지수를 <없음>으로 산출할 수 있다.
다시 말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 이벤트 발생 가능 지수 산출부(200)는 영상 분석을 통해 감지되는 장애물 존재 유무, 상기 장애물까지의 거리, 상기 영상 저장 장치에 대한 상기 장애물의 상대 속도, 상대 가속도, TTC(Time-to-Collision) 중 하나 이상을 산출하고, 이에 기반하여 장애물과의 이벤트 발생 가능 지수를 산출할 수도 있다.
일 예로, 상기 표 1 내지 표 3의 실시예에 따라 이벤트 발생 가능 지수를 산출할 수도 있으며, 이외 다른 실시예에 따라 이벤트 발생 가능 지수를 산출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상기 이벤트 발생 가능 지수 산출 동작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변형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저장 제어부(400)는 상기 S410 단계(이벤트 발생 가능 지수 산출부(200))를 통해 장애물이 감지되지 않으면, 상기 카메라부(100)를 통해 획득되는 영상 정보를 저장부(300)의 <상시> 저장 위치에 저장하고, 저해상도의 영상 정보로 저장하고, 긴 저장주기로 저장되게끔 제어할 수 있다(S430).
이때, 저해상도라 함은 S450 및 S460 단계에 비해 상대적으로 낮은 해상도를 의미하며, 긴 저장주기 또한 S450 및 S460 단계에 비해 상대적으로 긴 저장주기를 의미한다. 일 예로, 낮은 해상도로는 WVGA(800*480)급 영상 해상도가 적용될 수 있으며, 높은 해상도로는 Full-HD(1920*1080)급 영상 해상도가 적용될 수 있다. 또한, 긴 저장주기로는 10 초가 적용될 수 있으며, 짧은 저장주기로는 1초가 적용될 수 있다.
저장 제어부(400)는 상기 S420 단계(이벤트 발생 가능 지수 산출부(200))를 통해 장애물이 감지되었으나 이벤트 발생 가능 지수는 <낮음>으로 산출되면, 상기 카메라부(100)를 통해 획득되는 영상 정보를 저장부(300)의 <상시> 저장 위치에 저장하고, 저해상도의 영상 정보로 저장하고, 긴 저장주기로 저장되게끔 제어할 수 있다(S440). 이때, 상기 S430 단계와 달리, 상기 카메라부(100)를 통해 획득되는 영상 정보에 대해 주기적으로 정지 영상을 획득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정지 영상은 저장부(300)에 저장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저장되는 영상 정보와는 구분되어 저장될 수 있다.
저장 제어부(400)는 상기 S420 단계(이벤트 발생 가능 지수 산출부(200))를 통해 장애물이 감지되었으며 이벤트 발생 가능 지수는 <보음>으로 산출되면, 상기 카메라부(100)를 통해 획득되는 영상 정보를 저장부(300)의 <이벤트> 저장 위치에 저장하고, 고해상도의 영상 정보로 저장하고, 짧은 저장주기로 저장되게끔 제어할 수 있다(S450). 또한, 상기 카메라부(100)를 통해 획득되는 영상 정보에 대해 주기적으로 정지 영상을 획득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정지 영상은 저장부(300)에 저장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저장되는 영상 정보와는 구분되어 저장될 수 있다.
저장 제어부(400)는 상기 S420 단계(이벤트 발생 가능 지수 산출부(200))를 통해 장애물이 감지되었으며 이벤트 발생 가능 지수는 <높음>으로 산출되면, 상기 카메라부(100)를 통해 획득되는 영상 정보를 저장부(300)의 <이벤트> 저장 위치에 저장하고, 고해상도의 영상 정보로 저장하고, 짧은 저장주기로 저장되게끔 제어할 수 있다(S460).
본 발명에 따른 영상 저장 장치(1)는 상기와 같은 방법을 통해 상황별로 저장되는 영상의 특성(해상도, 저장주기, 저장위치)을 변경할 수 있으며, 추가적으로 획득 영상에 대한 정지 영상을 획득할 수 있다.
즉, 도 4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영상 저장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영상 저장 장치(1)는 획득되는 주변 영상에 대한 영상 분석을 통해 장애물을 감지하고, 장애물에 대한 이벤트 발생(예: 충돌 등) 가능 지수를 신출하고 이에 기반하여 저장되는 영상 정보의 특성을 제어한다. 구체적으로, 산출된 이벤트 발생 가능 지수가 높을수록 저장되는 영상의 해상도는 증가시키고 저장주기는 감소시키도록 제어한다. 또한, 추가적으로 산출된 이벤트 발생 가능 지수가 일정 이상이면 저장되는 영상의 저장 위치를 변경할 수 있다. 또한, 산출된 이벤트 발생 가능 지수가 일정 이상이면 추가적으로 일정 주기의 정지 영상을 획득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기술 구성을 통해 본 발명에 따른 영상 저장 장치(1)는 평상시에는 영상 정보를 저용량으로 저장하다 이벤트가 발생할 것으로 감지(예측)되는 경우에는 이벤트 발생 전부터 영상 정보를 높은 해상도로 저장하며, 충돌 등의 이벤트에 의한 영상 정보의 저장이 불능이 되게 될 경우 최대한 많은 영상 정보를 저장하기 위해 영상 저장 주기를 짧게 제어할 수 있다. 이를 통해 평상시에는 저용량으로 영상 정보를 저장/관리하다 이벤트(예: 충돌 등)가 발생할 것으로 예측되면 고해상도로 영상 정보를 저장하며 최대한 이벤트 발생 직전까지의 영상 정보를 저장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이벤트 발생 가능 지수가 일정 이상이 되면 주변 환경에 대한 정지 영상을 주기적으로 획득함으로써 저장되는 영상 정보와는 별도로 고 해상도의 영상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이제까지 본 발명에 대하여 그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변형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개시된 실시예들은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설명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발명에 포함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12)

  1. 영상 저장 장치의 영상 저장 방법에 있어서,
    (A) 주변 영상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B) 획득된 주변 영상 정보의 분석을 통해 이벤트 발생 가능 지수를 산출하는 단계; 및
    (C) 산출된 이벤트 발생 가능 지수에 따라 상기 (A) 단계를 통해 획득된 영상 정보를 저장함에 있어, 영상의 해상도, 저장주기 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을 변경하여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영상 저장 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B) 단계는,
    (B-1) 상기 (A) 단계를 통해 획득된 영상 정보에서 장애물을 검출하는 단계; 및
    (B-2) 장애물이 검출된 경우, 상기 장애물과의 이벤트 발생 가능 지수를 산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저장 방법.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B-2) 단계는,
    상기 영상 저장 장치로부터 검출된 장애물까지의 거리, 상기 영상 저장 장치에 대한 상기 장애물의 상대 속도, 상대 가속도, TTC(Time-to-Collision) 중 하나 이상을 산출하고, 이에 기반하여 장애물과의 이벤트 발생 가능 지수를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저장 방법.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C) 단계는,
    산출된 이벤트 발생 가능 지수가 높을수록 저장되는 영상의 해상도는 증가시키고 저장주기는 감소시켜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저장 방법.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C) 단계는,
    추가적으로 산출된 이벤트 발생 가능 지수가 일정 이상이면 저장되는 영상의 저장 위치를 변경하여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저장 방법.
  6. 제 1항에 있어서,
    (D) 산출된 이벤트 발생 가능 지수가 일정 이상이면 상기 (A) 단계를 통해 획득되는 영상 정보에 대해 일정 주기로 정지 영상을 획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저장 방법.
  7. 주변 영상 정보를 획득하는 카메라부;
    상기 카메라부를 통해 획득되는 주변 영상 정보의 분석을 통해 이벤트 발생 가능 지수를 산출하는 이벤트 발생 가능 지수 산출부;
    상기 카메라부를 통해 획득되는 영상 정보를 저장하는 저장부; 및
    상기 이벤트 발생 가능 지수 산출부를 통해 산출된 이벤트 발생 가능 지수에 따라 상기 저장부에 저장되는 영상의 해상도, 저장주기 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을 변경하는 저장 제어부;를 포함하는 영상 저장 장치.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이벤트 발생 가능 지수 산출부는,
    상기 카메라부를 통해 획득된 영상 정보에서 장애물을 검출하고,
    장애물이 검출된 경우, 상기 장애물과의 이벤트 발생 가능 지수를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저장 장치.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이벤트 발생 가능 지수 산출부는,
    상기 영상 저장 장치로부터 검출된 장애물까지의 거리, 상기 영상 저장 장치에 대한 상기 장애물의 상대 속도, 상대 가속도, TTC(Time-to-Collision) 중 하나 이상을 산출하고, 이에 기반하여 장애물과의 이벤트 발생 가능 지수를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저장 장치.
  10.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 제어부는,
    산출된 이벤트 발생 가능 지수가 높을수록 저장되는 영상의 해상도는 증가시키고 저장주기는 감소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저장 장치.
  11.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부는 복수 개의 저장 위치로 구분되고,
    상기 저장 제어부는,
    추가적으로, 상기 이벤트 발생 가능 지수 산출부에 의해 산출된 이벤트 발생 가능 지수가 일정 이상이면 저장되는 영상의 저장 위치를 변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저장 장치.
  12.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 제어부는,
    상기 이벤트 발생 가능 지수 산출부에 의해 산출된 이벤트 발생 가능 지수가 일정 이상이면 추가적으로 일정 주기의 정지 영상을 획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저장 장치.
KR1020177034611A 2015-06-02 2015-06-02 영상 저장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영상 저장 장치 KR10198926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KR2015/005543 WO2016195128A1 (ko) 2015-06-02 2015-06-02 영상 저장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영상 저장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04196A true KR20180004196A (ko) 2018-01-10
KR101989263B1 KR101989263B1 (ko) 2019-09-30

Family

ID=574419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7034611A KR101989263B1 (ko) 2015-06-02 2015-06-02 영상 저장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영상 저장 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10477163B2 (ko)
KR (1) KR101989263B1 (ko)
WO (1) WO201619512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316823B2 (en) * 2017-03-15 2019-06-11 Inventus Holdings, Llc Wind turbine group control for volant animal swarms
US11495028B2 (en) * 2018-09-28 2022-11-08 Intel Corporation Obstacle analyzer, vehicle control system, and methods thereof
JP7115415B2 (ja) * 2019-05-14 2022-08-09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車両運転支援装置
CN112770081B (zh) * 2019-11-01 2023-05-02 杭州海康威视数字技术股份有限公司 监控设备的参数调整方法、装置、电子设备及存储介质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15371B1 (ko) * 2010-01-26 2011-02-22 팅크웨어(주) 차량용 블랙박스에서의 영상 녹화 제어 장치 및 방법
KR20140069855A (ko) * 2012-11-30 2014-06-10 주식회사 에이치디비정보통신 차량용 영상 기록 장치 및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2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421080B1 (en) * 1999-11-05 2002-07-16 Image Vault Llc Digital surveillance system with pre-event recording
US20030152145A1 (en) * 2001-11-15 2003-08-14 Kevin Kawakita Crash prevention recorder (CPR)/video-flight data recorder (V-FDR)/cockpit-cabin voice recorder for light aircraft with an add-on option for large commercial jets
JP4918981B2 (ja) * 2005-11-04 2012-04-18 株式会社デンソー 車両用衝突判定装置
US8125530B2 (en) * 2006-01-13 2012-02-28 Nec Corporation Information recording system, information recording device, information recording method, and information collecting program
US20080258885A1 (en) * 2007-04-21 2008-10-23 Synectic Systems Group Limited System and method for recording environmental data in vehicles
JP4531077B2 (ja) * 2007-05-31 2010-08-25 富士通テン株式会社 車両の走行状態表示装置
TW200909267A (en) * 2007-08-21 2009-03-01 Appro Technology Inc Incident recording storage device for vehicle
US20100100324A1 (en) * 2008-10-22 2010-04-22 Toyota Motor Engineering & Manufacturing North America, Inc. Communication based vehicle-pedestrian collision warning system
JP2010130577A (ja) * 2008-11-28 2010-06-10 Fujitsu Ten Ltd 常時記録画像処理プログラム
WO2011093624A2 (ko) * 2010-01-26 2011-08-04 팅크웨어(주) 차량용 블랙박스에서의 영상 녹화 제어 장치 및 방법
US20120021445A1 (en) * 2010-06-29 2012-01-26 Hogan Kirk J Pluripotent Stem Cells for Drug Induced Myopathy and Malignant Hyperthermia
KR101722258B1 (ko) * 2010-07-30 2017-04-10 (주)엠아이웨어 선행 차량 차간 거리 산출 방법
US9235765B2 (en) * 2010-08-26 2016-01-12 Blast Motion Inc. Video and motion event integration system
KR20130125641A (ko) * 2012-05-09 2013-11-19 (주)엠아이웨어 블랙박스 장치
US9558667B2 (en) * 2012-07-09 2017-01-31 Elwha Llc Systems and methods for cooperative collision detection
JP2014091318A (ja) * 2012-11-07 2014-05-19 Seiko Epson Corp インクジェット記録方法および記録物
KR101475946B1 (ko) * 2013-04-25 2014-12-23 지투지솔루션(주) 차량용 블랙박스 및 차량용 블랙박스 저장방법
US9743047B2 (en) * 2013-05-27 2017-08-22 Center For Integrated Smart Sensors Foundation Network camera using hierarchical event detection and data determination
KR20150019269A (ko) * 2013-08-13 2015-02-25 에스케이하이닉스 주식회사 반도체 메모리 장치
US10169821B2 (en) * 2013-09-20 2019-01-01 Elwha Llc Systems and methods for insurance based upon status of vehicle software
KR20150049544A (ko) * 2013-10-30 2015-05-08 주식회사 오라컴 보행자 충돌 경보 및 고화질 영상 촬영 기능을 구비하는 차량용 블랙박스
KR101573744B1 (ko) * 2014-03-13 2015-12-14 재단법인 다차원 스마트 아이티 융합시스템 연구단 입력 사운드 신호에 기반한 영상 저장장치 및 방법
KR101569520B1 (ko) * 2014-03-13 2015-11-17 재단법인 다차원 스마트 아이티 융합시스템 연구단 차량용 블랙박스의 영상 저장 방법
US20160295089A1 (en) * 2015-03-30 2016-10-06 Ali Farahani Vehicle-based cloud-aware video capture system
CA2971786A1 (en) * 2015-03-31 2016-10-06 Fresenius Kabi Deutschland Gmbh Emulsions for parenteral administration
US10455185B2 (en) * 2016-08-10 2019-10-22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Detecting anomalous events to trigger the uploading of video to a video storage server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15371B1 (ko) * 2010-01-26 2011-02-22 팅크웨어(주) 차량용 블랙박스에서의 영상 녹화 제어 장치 및 방법
KR20140069855A (ko) * 2012-11-30 2014-06-10 주식회사 에이치디비정보통신 차량용 영상 기록 장치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6195128A1 (ko) 2016-12-08
US10477163B2 (en) 2019-11-12
US20180176518A1 (en) 2018-06-21
KR101989263B1 (ko) 2019-09-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250593B2 (en) Mobile body surrounding surveillance apparatus, mobile body surrounding surveillance method, control program, and readable recording medium
JP6347211B2 (ja) 情報処理システム、情報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5914018B2 (ja) ドライブレコーダ
JP2011034273A (ja) 運転支援システム、運転支援装置、運転支援方法、及び運転支援プログラム
JP2008276308A (ja) 動画像処理装置、動画像処理システムおよびナビゲーション装置
KR20180004196A (ko) 영상 저장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영상 저장 장치
JP2005222425A (ja) 車両周辺監視装置、車両周辺監視方法、制御プログラムおよび可読記録媒体
JP6384802B2 (ja) 移動体検出装置、画像処理装置、移動体検出方法、及び、集積回路
JP2009175848A (ja) ドライブレコーダ装置、ドライブレコード方法、プログラム、及び記録媒体
JP6384803B2 (ja) 移動体検出装置、画像処理装置、移動体検出方法、及び、集積回路
JP2012038229A (ja) ドライブレコーダー
JP5261752B2 (ja) ドライブレコーダ
US20230135043A1 (en) Rearward Image Displaying Device and Rearward Image Displaying Method
JP2013161281A (ja) 交通画像取得装置、交通画像取得方法および交通画像取得プログラム
JP2023051997A (ja) 車載映像記録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JP2008276307A (ja) 動画像処理装置、動画像処理システムおよびナビゲーション装置
KR101585326B1 (ko) 선별된 프레임을 고해상도로 저장하는 비디오 레코딩 시스템 및 동작 방법
JP2008282106A (ja) 障害物検出方法および障害物検出装置
JP2022136534A (ja) 画像記録装置
JP7099091B2 (ja) ナンバープレート認識装置、ナンバープレート認識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KR20130036806A (ko) 블랙박스를 이용한 사고판단시스템 및 그 구동방법
JP2011081567A (ja) 撮像システム
JP6992493B2 (ja) 運転状態判定装置及び運転状態判定方法
KR101316235B1 (ko) 저장용량 저감 사고기록장치 및 그 방법
JP4847303B2 (ja) 障害物検出方法、障害物検出プログラムおよび障害物検出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