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125641A - 블랙박스 장치 - Google Patents

블랙박스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125641A
KR20130125641A KR1020120049315A KR20120049315A KR20130125641A KR 20130125641 A KR20130125641 A KR 20130125641A KR 1020120049315 A KR1020120049315 A KR 1020120049315A KR 20120049315 A KR20120049315 A KR 20120049315A KR 20130125641 A KR20130125641 A KR 2013012564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dule
information
image
vehicle
accid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493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필관
강영만
조휘택
Original Assignee
(주)엠아이웨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엠아이웨어 filed Critical (주)엠아이웨어
Priority to KR102012004931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30125641A/ko
Priority to JP2012133356A priority patent/JP2013236356A/ja
Publication of KR2013012564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2564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5/00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vehicles
    • G07C5/08Registering or indicating performance data other than driving, working, idle, or waiting time, with or without registering driving, working, idle or waiting time
    • G07C5/0841Registering performance data
    • G07C5/085Registering performance data using electronic data carriers
    • G07C5/0866Registering performance data using electronic data carriers the electronic data carrier being a digital video recorder in combination with video camera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1Electrical circuits for triggering passive safety arrangements, e.g. airbags, safety belt tighteners, in case of vehicle accidents or impending vehicle accidents
    • B60R21/013Electrical circuits for triggering passive safety arrangements, e.g. airbags, safety belt tighteners, in case of vehicle accidents or impending vehicle accidents including means for detecting collisions, impending collisions or roll-ov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41/00Fittings for identifying vehicles in case of collision; Fittings for marking or recording collision area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5/0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 G08B25/01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medium
    • G08B25/1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medium using wireless transmission system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CTRANSMISSION SYSTEMS FOR MEASURED VALUES, CONTROL OR SIMILAR SIGNALS
    • G08C17/00Arrangements for transmitting signa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a wireless electrical link
    • G08C17/02Arrangements for transmitting signa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a wireless electrical link using a radio link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20Monitoring the location of vehicles belonging to a group, e.g. fleet of vehicles, countable or determined number of vehicles
    • G08G1/205Indicating the location of the monitored vehicles as destination, e.g. accidents, stolen, rent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400/00Special features of vehicle units
    • B60Y2400/30Sensors
    • B60Y2400/301Sensors for position or displace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400/00Special features of vehicle units
    • B60Y2400/30Sensors
    • B60Y2400/304Acceleration sensors
    • B60Y2400/3042Collision sens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ultimedia (AREA)
  • Traffic Control Systems (AREA)
  • Time Recorders, Dirve Recorders, Access Control (AREA)
  • Alarm Systems (AREA)
  • Studio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블랙박스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례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블랙박스 장치는, 차량에 가해지는 충격을 감지하는 충격감지센서 모듈; 차량의 주행영상을 촬영하는 카메라 모듈; 무선 통신망을 통해 외부 서버와 연결된 무선 송수신 모듈; 및 상기 충격감지센서 모듈을 통해 기준치 이상의 충격이 감지되면, 충격발생시점에서 상기 카메라 모듈을 통해 촬영된 주행영상으로부터 정지영상을 생성하고, 상기 정지영상을 포함하는 제 1 사고정보와 미리 저장된 차량의 사용자 정보를 포함하는 제 2 사고정보를 상기 무선 송수신 모듈을 통해 상기 외부 서버로 전송하는 마이크로프로세서 모듈을 포함한다.

Description

블랙박스 장치{BLACKBOX APPARATUS}
본 발명은 블랙박스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용 블랙박스는 차량 주행 시 수집된 정보와 영상을 저장 장치에 기록해 두는 장치이다. 이렇게 기록된 정보는 사고 발생 시에 영상 판독을 통하여 사고 원인을 규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기존의 차량용 블랙박스 자체에는 기록된 정보를 저장하기 위한 저장 장치가 설치되어 있다. 만약 저장 장치가 손상을 입을 경우 챠량의 사고 원인을 규명하기가 모호해질 수 있다.
이에 따라 최근에는 무선 통신망을 이용하여 사고 시점에 기록된 동영상을 무선 사업자 망에 연결된 서버 혹은 무선 사업자와 연계된 보험사 서버 등으로 전송하는 기술이 도입되고 있다.
그러나, 대부분 무선 사업자 망의 대역폭이 낮기 때문에, 정보 전송 기술이 도입된 차량용 블랙박스에는 대용량의 동영상을 전송하는데 많은 시간과 무선 망 사용 비용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저장 장치가 파손되더라도 차량의 사고정보를 외부 서버로 전송함으로써 사고정보를 안전하게 보존할 수 있으며, 외부 서버로 전송하는 시간과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블랙박스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블랙박스 장치는, 차량에 가해지는 충격을 감지하는 충격감지센서 모듈; 차량의 주행영상을 촬영하는 카메라 모듈; 무선 통신망을 통해 외부 서버와 연결된 무선 송수신 모듈; 및 상기 충격감지센서 모듈을 통해 기준치 이상의 충격이 감지되면, 충격발생시점에서 상기 카메라 모듈을 통해 촬영된 주행영상으로부터 정지영상을 생성하고, 상기 정지영상을 포함하는 제 1 사고정보와 미리 저장된 차량의 사용자 정보를 포함하는 제 2 사고정보를 상기 무선 송수신 모듈을 통해 상기 외부 서버로 전송하는 마이크로프로세서 모듈을 포함한다.
또한, GPS를 이용하여 차량의 충격발생 시 차량의 속도, 사고위치 및 사고시간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를 포함하는 주행정보를 획득하는 GPS 모듈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2 사고정보는 상기 주행정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2 사고정보는 상기 충격감지센서 모듈을 통해 감지된 충격 정도에 대한 정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마이크로프로세서 모듈은, 상기 제 1 사고정보와 상기 제 2 사고정보를 상기 무선 송수신 모듈을 통해 순차적으로 상기 외부 서버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마이크로프로세서 모듈은, 상기 제 1 사고정보와 상기 제 2 사고정보를 하나의 파일로 결합하여 상기 무선 송수신 모듈을 통해 상기 외부 서버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 사고정보는 압축 형태의 JPEG 이미지 파일이고, 상기 마이크로프로세서 모듈은, 상기 제 1 사고정보에 상기 제 2 사고정보를 삽입하여 상기 무선 송수신 모듈을 통해 상기 외부 서버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마이크로프로세서 모듈은 상기 정지영상을 비압축 형태의 BMP 이미지 파일 또는 압축 형태의 JPEG 이미지 파일 형식으로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마이크로프로세서 모듈은 상기 충격발생시점에서 소정의 시간 동안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정지영상을 순차적으로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마이크로프로세서 모듈은 상기 주행영상을 캡쳐하여 상기 정지영상을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마이크로프로세서 모듈은, 상기 주행영상을 캡쳐하고 상기 주행영상보다 높은 해상도로 확대하여 상기 정지영상을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마이크로프로세서 모듈을 통해 상기 주행영상과 상기 정지영상을 각각 저장하는 저장 모듈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마이크로프로세서 모듈은 상기 주행영상을 일정 시간 단위로 나누어 상기 저장 모듈에 저장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블랙박스 장치는, 차량의 주행영상을 촬영하는 카메라 모듈; 무선 인터넷 통신망을 통해 외부 서버와 연결된 네트워크 모듈; 및 원격제어 또는 미리 설정된 시간간격으로, 상기 카메라 모듈을 통해 촬영된 주행영상으로부터 정지영상을 생성하고, 상기 정지영상을 포함하는 제 1 정보와 미리 저장된 차량의 사용자 정보 및 시간정보를 포함하는 제 2 정보를 상기 네트워크 모듈을 통해 상기 외부 서버로 전송하는 마이크로프로세서 모듈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블랙박스 장치는, 영상을 촬영하는 카메라 모듈; 무선 인터넷 통신망을 통해 외부 서버와 연결된 네트워크 모듈; 및 원격제어 또는 미리 설정된 시간간격으로, 상기 카메라 모듈을 통해 촬영된 영상으로부터 정지영상을 생성하고, 상기 정지영상을 포함하는 제 1 정보와 미리 저장된 상기 블랙박스 장치의 사용자 정보 및 시간정보를 포함하는 제 2 정보를 상기 네트워크 모듈을 통해 상기 외부 서버로 전송하는 마이크로프로세서 모듈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저장 장치가 파손되더라도 차량의 사고정보를 외부 서버로 전송함으로써 사고정보를 안전하게 보존할 수 있으며, 외부 서버로 전송하는 시간과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블랙박스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블랙박스 장치의 전체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2는 도 1의 마이크로프로세서 모듈에서 제 1 사고정보를 생성하는 방법 및 주행영상을 저장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도면이다.
도 3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사고정보를 구성하는 첫 번째 방법을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도면이다.
도 3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사고정보를 구성하는 두 번 번째 방법을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도면이다.
도 3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사고정보를 구성하는 세 번 번째 방법을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블랙박스 장치의 전체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 있어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블랙박스 장치는 차량에 설치될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하는 것이 아니라, 다양한 이동수단이나 이동물체에 설치될 수 있다. 다만, 이하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블랙박스 장치는 차량에 설치되는 차량용 블랙박스 장치인 것을 일례로 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블랙박스 장치(100)의 전체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2는 도 1의 마이크로프로세서 모듈(140)에서 제 1 사고정보를 생성하는 방법 및 주행영상을 저장하기 위한 방법을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블랙박스 장치(100)는, 충격감지센서 모듈(110), 카메라 모듈(120), 무선 송수신 모듈(130) 및 마이크로프로세서 모듈(14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더불어, 차량용 블랙박스 장치(100)는 GPS 모듈(150)과 저장 모듈(160)을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충격감지센서 모듈(110)은 차량에 가해지는 충격을 감지하고, 감지된 충격 정도가 기준치 이상이 되면, 차량의 사고발생을 알리는 사고발생신호를 마이크로프로세서 모듈(140)로 인가할 수 있다. 이와 동시에, 충격감지센서 모듈(110)은 충격발생시점에서 감지된 충격 정도에 대한 정보를 마이크로프로세서 모듈(140)로 전송할 수 있다. 상기 사고발생신호는 차량에 가해지는 충격이 감지되는 경우 소정의 전압레벨 이상의 전기적 신호일 수 있으며, 차량에 가해지는 충격이 감지되지 않을 경우, 소정의 전압레벨 미만의 전기적 신호일 수 있다.
카메라 모듈(120)은 차량의 주행영상을 촬영하고, 촬영된 주행영상을 마이크로프로세서 모듈(140)로 전송할 수 있다. 이때, 카메라 모듈(120)은 촬영된 아날로그 영상신호를 디지털 영상신호로 변환하고, 압축한 후 마이크로프로세서 모듈(140)로 전송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된 것이 아니라, 신호 변환 및 압축 기능은 카메라 모듈(120)에서 구현될 수 있고, 마이크로프로세서 모듈(140)에서 구현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상기와 같이 신호 변환 및 압축 기능이 카메라 모듈(120)에 구현되면, 마이크로프로세서 모듈(140)은 상기와 같은 기능이 구현되어 있지 않아도 무방하다. 이때, 카메라 모듈(120)은 일정 시간 단위로 나누어 아날로그의 주행영상신호에 대한 디지털 변환 및 압축을 수행하고, 변환 및 압축된 주행영상정보를 마이크로프로세서 모듈(140)로 전송할 수 있다. 이때, 마이크로프로세서 모듈(140)은 전송된 주행영상정보를 저장 모듈(160)에 저장할 수 있다. 이러한 주행영상정보는 차량의 주행간에 촬영된 동영상 파일을 의미할 수 있다.
또한, 신호 변환 및 압축 기능이 마이크로프로세서 모듈(140)에 구현되면, 카메라 모듈(120)은 상기와 같은 기능이 구현되어 있지 않아도 무방하다. 이때, 카메라 모듈(120)은 아날로그의 주행영상신호를 마이크로프로세서 모듈(140)에 전송하고, 마이크로프로세서 모듈(140)은 일정 시간 단위로 나누어 디지털 변환 및 압축을 수행하고 저장 모듈(160)에 저장할 수 있다.
한편, 신호 변환 기능이 카메라 모듈(140)에 구현되어 있고, 압축 기능이 마이크로프로세서 모듈(140)에 구현되어 있을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카메라 모듈(140)은 아날로그의 주행영상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여 마이크로프로세서 모듈(140)로 전송하고, 마이크로프로세서 모듈(140)은 전송된 주행영상정보를 압축하여 저장 모듈(160)에 저장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신호 변환 및 압축 기능을 마이크로프로세서 모듈(140)에 구현하여 실시하는 것으로 설명한다.
무선 송수신 모듈(130)은 무선 통신망(10)을 통해 외부 서버(20) 혹은 무선 통신망과 연계된 보험사 서버 등과 연결되어 있으며, 차량 사고 발생 시 마이크로프로세서 모듈(140)이 차량사고정보를 외부 서버(20) 혹은 보험사 서버로 전송할 수 있도록 한다.
마이크로프로세서 모듈(140)은 차량이 정상적으로 주행하고 있는 경우와, 차량에 사고가 발생된 경우에 따라 크게 2가지 동작을 수행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차량이 정상적으로 주행하고 있는 경우, 마이크로프로세서 모듈(140)은 충격감지센서 모듈(110)로부터 소정의 전압레벨 미만의 사고발생신호를 인가 받을 수 있다. 이러한 경우 마이크로프로세서 모듈(140)은 카메라 모듈(120)을 통해 촬영된 아날로그의 영상신호를 전달받아 디지털 영상신호로 변환한 후, 압축하여 저장 모듈(160)에 저장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마이크로프로세서 모듈(140)에는 ADC(Analog to Convertor)와 압축 칩이 내장될 수 있다. 마이크로프로세서 모듈(140)은 카메라 모듈(120)로부터 전송된 주행영상신호를 프레임 단위로 변환 및 압축 과정을 수행하여 저장 모듈(160)에 저장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저장 모듈(160)에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정 시간 단위(t1, t2, t3)의 주행영상정보들(121, 122, 123)이 순차적으로 저장될 수 있다.
차량에 충격이 가해지고 그 충격 정도가 기준치 이상이 되는 경우, 마이크로프로세서 모듈(140)은 충격감지센서 모듈(110)로부터 소정의 전압레벨 이상의 사고발생신호를 인가 받을 수 있다. 이러한 경우는 차량에 사고가 발생된 경우로, 마이크로프로세서 모듈(140)은 충격발생시점에서 카메라 모듈(120)로부터 전송된 주행영상신호로부터 정지영상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이때, 마이크로프로세서 모듈(140)은 카메라 모듈(120)로부터 전송된 주행영상신호에 대한 변환 및 압축 과정을 모두 수행한 후 정지영상정보를 생성하거나, 디지털 신호로 변환된 주행영상신호로부터 정지영상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여기서 정지영상정보는 주행영상정보 즉 동영상을 특정 시점에서 캡쳐한 이미지 파일을 의미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t2의 구간 중 어느 시점에서 사고 충격이 감지(111)되면, 마이크로프로세서 모듈(140)은 주행영상 가운데 사고발생시점에 해당하는 부분을 캡쳐하여 정지영상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이때, 마이크로프로세서 모듈(140)은 비압축 형태의 BMP 이미지 파일 또는 압축 형태의 JPEG 이미지 파일 등의 정지영상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마이크로프로세서 모듈(140)은 정지영상을 주행영상보다 높은 해상도로 확대하여 저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카메라 모듈(120)은 VGA(HD) 해상도로 설정하여 주행영상을 촬영 및 생성하고, 마이크로프로세서 모듈(140)은 정지영상을 메가 픽셀(Full HD 이상) 단위로 확대하여 저장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주행영상은 해상도가 낮기 때문에 차후에 주행영상으로부터 혹은 주행영상을 그대로 캡쳐하여 생성된 정지영상으로부터 차량의 번호판, 사람 얼굴 등을 파악하기가 어려울 수 있다. 그러나, 메가 픽셀(Full HD 이상) 단위로 확대하여 저장된 정지영상은 해상도가 주행영상보다 상대적으로 높고, 확대된 상태이기 때문에 원하는 부분을 파악하는데 보다 용이하다.
마이크로프로세서 모듈(140)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정지영상파일을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충격발생시점에서 소정의 시간 동안 연속적으로 서로 다른 여러 개의 정지영상파일을 생성할 수 있다. 즉, 충격발생시점에서부터 매우 짧은 시간 간격마다 주행영상을 캡쳐하여 여러 개의 정지영상파일을 생성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정지영상파일의 개수를 한정하지 않으며,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정지영상파일 생성횟수 혹은 개수를 설정할 수 있다. 사고시점에서부터 몇 초 분량의 동영상을 무선 통신망(10)을 통해 외부 서버(20)로 전송할 때보다 몇 장의 정지영상을 전송하는 것이 훨씬 적은 트래픽 대역폭(Traffic Bandwidth)을 사용함 (즉 전송되는 정보의 용량이 적음)으로써 전송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고, 전송 비용 절감 측면에서 이점이 있다.
이와 같이 마이크로프로세서 모듈(140)은 차량이 사고시점에서 촬영된 주행영상을 캡쳐하여 하나 이상의 정지영상파일을 생성하고, 생성된 정보를 무선 송수신 모듈(130)을 통해 외부 서버(20)로 전송할 수 있으며, 마이크로프로세서 모듈(140) 내부의 저장 공간 혹은 저장 모듈(160)에 저장할 수 있다.
마이크로프로세서 모듈(140)은 차량사고에 대한 보다 정확한 정보를 제공하기 위해, 차량의 충격 정도, 주행정보 및 사용자 정보 등을 정지영상파일과 함께 외부 서버(20)로 전송할 수 있다. 차량의 충격 정도에 대한 정보는 충격감지센서 모듈(110)을 통해 얻을 수 있고, 주행정보는 GPS 모듈(150)을 통해 얻을 수 있으며, 사용자 정보는 마이크로프로세서 모듈(140) 혹은 저장 모듈(160)로부터 얻을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정지영상정보는 제 1 사고정보로 분류하고, 충격 정도에 대한 정보, 주행정보 및 사용자 정보를 제 2 사고정보로 분류하며, 제 1 및 제 2 사고정보를 마이크로프로세서 모듈(140)에서 외부 서버(20)로 전송되는 차량사고정보로 정의하여 설명한다.
이하에서는 제 2 사고정보에 대하여 설명한다.
주행정보는 차량의 충격발생 시 차량의 속도, 사고위치 및 사고시간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주행정보는 GPS 모듈(150)을 통해 얻을 수 있으며, 이렇게 얻어진 주행정보는 마이크로프로세서 모듈(140)로 전달될 수 있다. 여기서, GPS 모듈(150)는 차량에 사고가 발생될 때만 주행정보를 얻어서 마이크로프로세서 모듈(140)로 전달할 수도 있으나, 주행 중인 차량의 속도, 위치 및 현재 시간에 대한 정보 등을 실시간으로 획득하여 마이크로프로세서 모듈(140)에 제공할 수도 있다. 이때, 마이크로프로세서 모듈(140)은 GPS 모듈(150)로부터 얻은 정보 가운데 사고발생시점과 매칭되는 정보를 제 2 사고정보로서 정의하고 사용할 수 있다.
차량의 충격 정도에 대한 정보는 차량사고발생 시 충격감지센서 모듈(110)을 통해 얻을 수 있으며, 이렇게 얻어진 정보는 마이크로프로세서 모듈(140)로 전달될 수 있다.
차량의 사용자 정보는 무선 통신망(10) 사업자에 등록된 사용자에 관한 정보로서, 마이크로프로세서 모듈(140)이나 저장 모듈(160)에 미리 저장될 수 있다. 이러한 사용자 정보는 제 1 사고정보와 함께 차량사고정보의 기본적인 정보라 할 수 있다. 또한, 차량의 사용자 정보는 무선 통신망(10) 사업자에 등록된 정보이므로 무선 통신망(10)을 통해 얻을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마이크로프로세서 모듈(140)이 차량사고정보를 구성 및 관리하는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마이크로프로세서 모듈(140)이 차량사고정보를 구성 및 관리하는 방법에는 크게 3가지 방법이 있다.
도 3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사고정보를 구성 및 관리하는 첫 번째 방법을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도면이다.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마이크로프로세서 모듈(140)은 제 1 사고정보(40)와 제 2 사고정보(50)를 나누어 관리하고, 이들을 각각 순차적으로 외부 서버(20)에 전송할 수 있다.
도 3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사고정보를 구성 및 관리하는 두 번 번째 방법을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도면이다.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마이크로프로세서 모듈(140)은 제 1 사고정보(40)와 제 2 사고정보(50)를 결합함으로써 차량사고정보를 하나의 파일정보로서 관리할 수 있다. 이때, 제 1 사고정보(40) 후미에 제 2 사고정보(50)를 결합하여 하나의 파일을 생성할 수 있다.
도 3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사고정보를 구성 및 관리하는 세 번 번째 방법을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도면이다.
제 1 사고정보(40)가 JPEG 파일과 같은 이미지 파일로 구성될 경우, 정보 표시 등을 위한 태그를 사용할 수 있다. 따라서 도 3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2 사고정보(50)를 제 1 사고정보(40)의 태그 정보로 지정하여 제 1 사고정보(40) 내부에 제 2 사고정보(50)를 포함시킬 수 있다.
마이크로프로세서 모듈(140)은 차량 사고 발생 시 필요한 정보를 신속히 수집하고, 상기와 같은 방식으로 차량사고정보를 구성하여 무선 송수신 모듈(130)을 통해 외부 서버(20)로 전송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저장 장치가 파손되더라도 차량의 사고정보를 무선 통신망을 통해 외부 서버로 전송함으로써 사고정보를 안전하게 보존할 수 있다.
또한, 고해상도의 정지영상 즉 이미지 파일을 전송함으로써, 동영상의 사고정보를 전송하는 경우보다 적은 트래픽 대역폭을 사용함 (즉 전송되는 정보의 용량이 적음)으로써 전송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고, 전송 비용 절감 측면에서 이점이 있다.
또한, 차량사고정보가 이미지 파일이라 하더라도 동영상 파일보다 해상도가 높고 영상이 확대되어 생성되기 때문에, 사고 파악에 필요한 부분을 확인함에 있어 보다 용이하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블랙박스 장치에 대하여 설명한다. 이하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블랙박스 장치도 차량에 설치되는 차량용 블랙박스 장치인 것을 일례로 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블랙박스 장치(400)의 전체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블랙박스 장치(400)는 카메라 모듈(410), 네트워크 모듈(420), 마이크로프로세서 모듈(430)을 포함한다. 또한, 차량용 블랙박스 장치(400)는 저장 모듈(440)을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카메라 모듈(410)은 차량의 주행영상을 촬영하고, 촬영된 주행영상을 마이크로프로세서 모듈(140)로 전송할 수 있다. 이러한 카메라 모듈(410)은 일 실시예의 카메라 모듈(120)과 동일하게 구성될 수 있으므로, 다른 실시예의 카메라 모듈(410)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네트워크 모듈(420)은 무선 인터넷 통신망(60)을 통해 외부 서버(70) 혹은 무선 인터넷 통신망(60)과 연계된 보험사 서버 등과 연결되어 있다. 또한, 네트워크 모듈(420)은 무선 인터넷 통신망(60)을 통해 마이크로프로세서 모듈(430)을 제어하기 위한 외부의 원격제어 시스템과 연결될 수 있다. 이러한 네트워크 모듈(420)은 이더넷(Ethernet) 모듈 또는 와이파이(Wi-Fi) 모듈일 수 있다.
마이크로프로세서 모듈(430)은 카메라 모듈(410)을 통해 촬영된 주행영상으로부터 정지영상을 생성하고, 정지영상을 포함하는 제 1 정보와 미리 저장된 차량의 사용자 정보 및 시간정보를 포함하는 제 2 정보를 네트워크 모듈(420)을 통해 외부 서버(70)로 전송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의 마이크로프로세서 모듈(430)은 일 실시예의 마이크로프로세서 모듈(140)과 유사하게 구성될 수 있다. 다만, 다른 실시예의 마이크로프로세서 모듈(430)은 일 실시예의 마이크로프로세서 모듈(140)과 달리, 상기와 같은 마이크로프로세서 모듈(430)의 동작이 네트워크 모듈(420)을 통해 원격지에서의 명령에 의해 원격으로 제어되거나, 미리 설정된 일정시간간격마다 수행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외부의 원격제어 시스템으로부터 전송된 원격제어 신호에 의해 마이크로프로세서 모듈(430)이 동작함으로써, 제 1 정보가 생성되고 제 2 정보와 함께 외부 서버(70)로 전송될 수 있다. 또는, 미리 설정된 시간주기간격마다 마이크로프로세서 모듈(430)이 자동으로 동작함으로써, 제 1 및 제 2 정보가 외부 서버(70)로 전송될 수 있다.
제 1 및 제 2 정보는 일 실시예의 제 1 및 제 2 사고정보와 동일하며, 마이크로프로세서 모듈(430)에 의해 일 실시예와 동일한 방식으로 외부 서버(70)로 전송될 수 있다.
저장 모듈(440)은 마이크로프로세서 모듈(430)을 통해 변환 및 압축된 주행영상정보를 저장하고, 마이크로프로세서 모듈(430)을 통해 생성된 정지영상정보 즉 제 1 정보를 각각 저장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주행관련 영상정보를 이미지화하여 실시간 혹은 일정시간간격마다 주기적으로 외부로 전송함으로써, 차량의 사고 발생 시 저장 장치가 파손되더라도 차량의 사고정보를 안전하게 보존할 수 있다.
또한, 고해상도의 정지영상 즉 이미지 파일을 전송함으로써, 동영상의 사고정보를 전송하는 경우보다 적은 트래픽 대역폭을 사용함 (즉 전송되는 정보의 용량이 적음)으로써 전송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고, 전송 비용 절감 측면에서 이점이 있다.
또한, 차량사고정보가 이미지 파일이라 하더라도 동영상 파일보다 해상도가 높고 영상이 확대되어 생성되기 때문에, 사고 파악에 필요한 부분을 확인함에 있어 보다 용이하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블랙박스 장치는 차량에 설치되거나, 다양한 이동수단 혹은 이동물체에 설치될 수 있다. 특히 다른 실시예의 블랙박스 장치는 이동수단이나 이동물체에 설치되어 동작할 수도 있다. 여기서 이동수단에는 자전거 등이 있으며, 이동물체란 사용자의 소지품 혹은 착용품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블랙박스 장치가 설치된 안전모를 사용자가 착용한 상태로 이동한 경우, 상기 안전모는 이동물체라 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적 요지를 벗어나지 아니하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경 및 변형되어 실시될 수 있음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있어서 자명한 것이다.
100: 차량용 블랙박스 장치
110: 충격감지센서 모듈
120: 카메라 모듈
130: 무선 송수신 모듈
140: 마이크로프로세서 모듈
150: GPS 모듈
160: 저장 모듈
400: 차량용 블랙박스 장치
410: 카메라 모듈
420: 네트워크 모듈
430: 마이크로프로세서 모듈
440: 저장 모듈

Claims (15)

  1. 차량에 가해지는 충격을 감지하는 충격감지센서 모듈;
    차량의 주행영상을 촬영하는 카메라 모듈;
    무선 통신망을 통해 외부 서버와 연결된 무선 송수신 모듈; 및
    상기 충격감지센서 모듈을 통해 기준치 이상의 충격이 감지되면, 충격발생시점에서 상기 카메라 모듈을 통해 촬영된 주행영상으로부터 정지영상을 생성하고, 상기 정지영상을 포함하는 제 1 사고정보와 미리 저장된 차량의 사용자 정보를 포함하는 제 2 사고정보를 상기 무선 송수신 모듈을 통해 상기 외부 서버로 전송하는 마이크로프로세서 모듈을 포함하는 블랙박스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GPS를 이용하여 차량의 충격발생 시 차량의 속도, 사고위치 및 사고시간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를 포함하는 주행정보를 획득하는 GPS 모듈을 더 포함하는 블랙박스 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사고정보는 상기 주행정보를 더 포함하는 차량용 블랙박스 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사고정보는 상기 충격감지센서 모듈을 통해 감지된 충격 정도에 대한 정보를 더 포함하는 블랙박스 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마이크로프로세서 모듈은, 상기 제 1 사고정보와 상기 제 2 사고정보를 상기 무선 송수신 모듈을 통해 순차적으로 상기 외부 서버로 전송하는 블랙박스 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마이크로프로세서 모듈은, 상기 제 1 사고정보와 상기 제 2 사고정보를 하나의 파일로 결합하여 상기 무선 송수신 모듈을 통해 상기 외부 서버로 전송하는 블랙박스 장치.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사고정보는 압축 형태의 JPEG 이미지 파일이고,
    상기 마이크로프로세서 모듈은, 상기 제 1 사고정보에 상기 제 2 사고정보를 삽입하여 상기 무선 송수신 모듈을 통해 상기 외부 서버로 전송하는 블랙박스 장치.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마이크로프로세서 모듈은 상기 정지영상을 비압축 형태의 BMP 이미지 파일 또는 압축 형태의 JPEG 이미지 파일 형식으로 생성하는 블랙박스 장치.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마이크로프로세서 모듈은 상기 충격발생시점에서 소정의 시간 동안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정지영상을 순차적으로 생성하는 블랙박스 장치.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마이크로프로세서 모듈은 상기 주행영상을 캡쳐하여 상기 정지영상을 생성하는 블랙박스 장치.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마이크로프로세서 모듈은, 상기 주행영상을 캡쳐하고 상기 주행영상보다 높은 해상도로 확대하여 상기 정지영상을 생성하는 블랙박스 장치.
  1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마이크로프로세서 모듈을 통해 상기 주행영상과 상기 정지영상을 각각 저장하는 저장 모듈을 더 포함하는 블랙박스 장치.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마이크로프로세서 모듈은 상기 주행영상을 일정 시간 단위로 나누어 상기 저장 모듈에 저장하는 블랙박스 장치.
  14. 차량의 주행영상을 촬영하는 카메라 모듈;
    무선 인터넷 통신망을 통해 외부 서버와 연결된 네트워크 모듈; 및
    원격제어 또는 미리 설정된 시간간격으로, 상기 카메라 모듈을 통해 촬영된 주행영상으로부터 정지영상을 생성하고, 상기 정지영상을 포함하는 제 1 정보와 미리 저장된 차량의 사용자 정보 및 시간정보를 포함하는 제 2 정보를 상기 네트워크 모듈을 통해 상기 외부 서버로 전송하는 마이크로프로세서 모듈을 포함하는 블랙박스 장치.
  15. 이동수단 또는 이동물체에 설치되는 블랙박스 장치로서,
    영상을 촬영하는 카메라 모듈;
    무선 인터넷 통신망을 통해 외부 서버와 연결된 네트워크 모듈; 및
    원격제어 또는 미리 설정된 시간간격으로, 상기 카메라 모듈을 통해 촬영된 영상으로부터 정지영상을 생성하고, 상기 정지영상을 포함하는 제 1 정보와 미리 저장된 상기 블랙박스 장치의 사용자 정보 및 시간정보를 포함하는 제 2 정보를 상기 네트워크 모듈을 통해 상기 외부 서버로 전송하는 마이크로프로세서 모듈을 포함하는 블랙박스 장치.
KR1020120049315A 2012-05-09 2012-05-09 블랙박스 장치 KR20130125641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49315A KR20130125641A (ko) 2012-05-09 2012-05-09 블랙박스 장치
JP2012133356A JP2013236356A (ja) 2012-05-09 2012-06-13 映像伝送機能を有する車両用カメラ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49315A KR20130125641A (ko) 2012-05-09 2012-05-09 블랙박스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25641A true KR20130125641A (ko) 2013-11-19

Family

ID=497620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49315A KR20130125641A (ko) 2012-05-09 2012-05-09 블랙박스 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2013236356A (ko)
KR (1) KR20130125641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6195128A1 (ko) * 2015-06-02 2016-12-08 재단법인 다차원 스마트 아이티 융합시스템 연구단 영상 저장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영상 저장 장치
KR20190029545A (ko) * 2019-03-07 2019-03-20 주식회사 현대오토하우 무선통신 기능을 구비한 외장gps모듈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24732B1 (ko) 2017-08-24 2018-12-05 주식회사에어플러그 운행중 차량 외부환경에 대한 데이터를 획득하여 통신망을 통해 수집장치에 제공하는 방법과 이를 위한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260440A (ja) * 2004-03-10 2005-09-22 Canon Inc 画像音声記録再生装置
EP1993278A1 (en) * 2006-03-03 2008-11-19 Olympus Corporation Imaging device, processing method for obtaining high-resolution, processing program for obtaining high-resolution, and recording medium
JP2009093255A (ja) * 2007-10-04 2009-04-30 Seiko Epson Corp ドライブレコーダ、ドライブレコーダシステム、ドライブレコーダの制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JP5327065B2 (ja) * 2010-01-12 2013-10-30 日本電気株式会社 携帯電話機、そ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6195128A1 (ko) * 2015-06-02 2016-12-08 재단법인 다차원 스마트 아이티 융합시스템 연구단 영상 저장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영상 저장 장치
KR20190029545A (ko) * 2019-03-07 2019-03-20 주식회사 현대오토하우 무선통신 기능을 구비한 외장gps모듈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13236356A (ja) 2013-11-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87073B1 (ko) 차량용 영상 처리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데이터 공유 방법
CN106303397B (zh) 图像采集方法及系统、视频监控方法及系统
KR101703931B1 (ko) 감시 시스템
KR100883632B1 (ko) 고해상도 카메라를 이용한 지능형 영상 감시 시스템 및 그 방법
US10198802B2 (en) Monitoring system, photography-side device, and verification-side device
JP6806011B2 (ja) 画像処理装置
CN104735382A (zh) 实时记录分享系统及方法
KR101385299B1 (ko) 불법행위 신고용 스마트 블랙박스 시스템
KR101634242B1 (ko) 블랙박스의 유휴시간을 활용한 차량용 블랙박스 및 그 제어방법
KR101365237B1 (ko) 적응적으로 다중 해상도를 지원하는 감시 카메라 시스템
JP2011087253A (ja) 撮像装置、情報処理装置及び情報処理方法
JP6450583B2 (ja) ドライブレコーダーおよびドライブレコーダーシステム
KR100865388B1 (ko) 차량용 영상기록장치
US9462216B2 (en) Recording apparatus, image capture apparatus, and recording method for recording position information in one time interval irrespective of position information in another time interval
KR20130125641A (ko) 블랙박스 장치
KR102266716B1 (ko) 차량용 영상 처리 장치 및 데이터 처리 방법
KR101508514B1 (ko) 차량용 블랙박스 장치
JP5404453B2 (ja) 車両監視装置
KR102129048B1 (ko) 차량용 영상 처리 장치 및 데이터 처리 방법
KR102111758B1 (ko) 차량용 영상 처리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데이터 공유 방법
KR101687656B1 (ko) 단말을 이용한 차량용 블랙 박스 시스템 및 그 운영 방법
KR101196675B1 (ko) 영상 데이터 보안 방법과 이를 위한 영상획득 장치
KR102266315B1 (ko) 차량용 영상 처리 장치 및 데이터 처리 방법
KR20140031481A (ko) 교통 정보 제공 시스템 및 방법
KR102058241B1 (ko) 저전력 광대역 통신망을 통해 동영상을 전송할 수 있는 블랙박스 단말기 및 그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