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73744B1 - 입력 사운드 신호에 기반한 영상 저장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입력 사운드 신호에 기반한 영상 저장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73744B1
KR101573744B1 KR1020140029600A KR20140029600A KR101573744B1 KR 101573744 B1 KR101573744 B1 KR 101573744B1 KR 1020140029600 A KR1020140029600 A KR 1020140029600A KR 20140029600 A KR20140029600 A KR 20140029600A KR 101573744 B1 KR101573744 B1 KR 10157374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ound
acceleration sensor
impact
unit
im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2960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107930A (ko
Inventor
양진영
박지훈
임진연
경종민
Original Assignee
재단법인 다차원 스마트 아이티 융합시스템 연구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재단법인 다차원 스마트 아이티 융합시스템 연구단 filed Critical 재단법인 다차원 스마트 아이티 융합시스템 연구단
Priority to KR102014002960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73744B1/ko
Priority to CN201580013569.4A priority patent/CN106163907B/zh
Priority to US15/124,350 priority patent/US10150447B2/en
Priority to PCT/KR2015/002084 priority patent/WO2015137658A1/ko
Publication of KR2015010793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0793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7374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7374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5/00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 B60R25/30Detection related to theft or to other events relevant to anti-theft systems
    • B60R25/302Detection related to theft or to other events relevant to anti-theft systems using recording means, e.g. black box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41/00Fittings for identifying vehicles in case of collision; Fittings for marking or recording collision area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1Electrical circuits for triggering passive safety arrangements, e.g. airbags, safety belt tighteners, in case of vehicle accidents or impending vehicle accidents
    • B60R21/013Electrical circuits for triggering passive safety arrangements, e.g. airbags, safety belt tighteners, in case of vehicle accidents or impending vehicle accidents including means for detecting collisions, impending collisions or roll-over
    • B60R21/0136Electrical circuits for triggering passive safety arrangements, e.g. airbags, safety belt tighteners, in case of vehicle accidents or impending vehicle accidents including means for detecting collisions, impending collisions or roll-over responsive to actual contact with an obstacle, e.g. to vehicle deformation, bumper displacement or bumper velocity relative to the vehic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5/00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 B60R25/30Detection related to theft or to other events relevant to anti-theft systems
    • B60R25/305Detection related to theft or to other events relevant to anti-theft systems using a camera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5/00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 B60R25/30Detection related to theft or to other events relevant to anti-theft systems
    • B60R25/32Detection related to theft or to other events relevant to anti-theft systems of vehicle dynamic parameters, e.g. speed or acceleration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DMEASURING NOT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VARIABLE; ARRANGEMENTS FOR MEASURING TWO OR MORE VARIABLES NOT COVERED IN A SINGLE OTHER SUBCLASS; TARIFF METERING APPARATUS; MEASURING OR TEST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D9/00Recording measured value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5/00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vehicles
    • G07C5/08Registering or indicating performance data other than driving, working, idle, or waiting time, with or without registering driving, working, idle or waiting time
    • G07C5/0841Registering performance data
    • G07C5/085Registering performance data using electronic data carriers
    • G07C5/0866Registering performance data using electronic data carriers the electronic data carrier being a digital video recorder in combination with video camera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5/00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vehicles
    • G07C5/08Registering or indicating performance data other than driving, working, idle, or waiting time, with or without registering driving, working, idle or waiting time
    • G07C5/0841Registering performance data
    • G07C5/0875Registering performance data using magnetic data carriers
    • G07C5/0891Video recorder in combination with video camera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ultimedia (AREA)
  • Transportation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Fittings On The Vehicle Exterior For Carrying Loads, And Device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AREA)
  • Traffic Control Systems (AREA)
  • Emergency Alarm Devices (AREA)
  • Measurement Of Mechanical Vibrations Or Ultrasonic Waves (AREA)
  • Closed-Circuit Televis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용 블랙박스에서 가속도 센서 값에 더하여 유효한 충격 이벤트 사운드가 입력되면 영상이 저장되도록 하는 것으로, 충격이벤트에 따른 가속도 센서 값을 출력하는 가속도 센서부; 상기 충격이벤트에 따른 충격사운드를 입력받는 마이크부; 외부 영상을 촬영하는 카메라부; 및 상기 가속도 센서부를 통한 충격이벤트가 감지되고, 상기 마이크부를 통해 입력된 충격사운드가 미리 설정되어 저장된 유효사운드에 해당하면, 상기 충격이벤트가 발생된 시점을 기준으로 이전 일정시간과 이후 일정시간 동안 카메라부를 통해 촬영된 영상이 상기 저장부에 저장되도록 하는 처리부가 포함되어 구성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차량용 블랙박스에서 가속도 센서 값에 더하여 충격이벤트에 따른 충격사운드가 입력되면, 상기 충격사운드를 유효사운드 및 무효사운드와 비교하여 유효사운드에 매칭 되면 충격이벤트가 발생 된 시점을 기준으로 이전 일정시간의 영상과 이후 일정시간의 영상이 저장되도록 하고, 무효사운드에 매칭 되면 영상이 저장되지 않도록 하여, 한정된 저장 공간을 갖는 메모리에 보다 많은 양의 영상이 저장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입력 사운드 신호에 기반한 영상 저장장치 및 방법{Apparatus for Recording Video Data based on Input Sound Signal and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입력 사운드 신호에 기반한 영상 저장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차량용 블랙박스에서 가속도 센서 값에 더하여 유효한 충격 이벤트 사운드가 입력되면 영상이 저장되도록 한 입력 사운드 신호에 기반한 영상 저장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용 블랙박스는 차량의 시동상태에 따라 주행 모드, 주차 모드로 나뉘어 동작한다.
주행 모드 시에는 보통 상시 녹화, 상시 충격 녹화, 수동 녹화 등 3가지의 녹화방식으로 화면을 저장한다.
상시 녹화는 주행 중 모든 영상을 일정시간 단위로 촬영하여 상시 녹화 폴더에 저장하는 방식이고, 상시 충격 녹화는 사용자가 설정한 감도 이상의 충격 발생시 충격시점(이하 충격이벤트)을 기준으로 이전 일정시간과 이후 일정시간의 영상을 녹화하여 상시 충격 폴더에 저장하는 방식이며, 수동 녹화는 특정 버튼을 누르면 버튼을 누른 시점을 기준으로 이전 일정시간과 이후 일정시간의 영상을 녹화하여 수동 녹화 폴더에 저장하는 방식이다.
상시 충격 녹화에서 충격이벤트를 감지하기 위해 주로 가속도 센서를 입력 장치로 사용하고, 충격이벤트 감지 알고리즘은 가속도 센서의 X, Y, Z 방향의 가속도 값의 순간 크기와 최근 일정시간 동안 평균 크기의 차이가 미리 사용자가 설정한 감도 이상의 값이 출력되면 이를 충격이벤트라고 판단하는 형태이다.
가속도 센서를 사용한 충격이벤트 감지 알고리즘은 순간 가속도 값이 설정 값 이상이 되었는지 유무를 판단하는 것이므로 원래 차량용 블랙박스가 감지하고자 하였던 차량의 충돌 등의 유효한 충격이벤트(True Positive) 뿐만 아니라 차량이 주행하는 도로 환경에 따라 도로파손, 과속방지턱 등에 의해 원하지 않는 사건에 대해서도, 그리고 정차 시 차량 문 개폐 시 및 트렁크를 닫을 때도 무효한 충격이벤트(False Positive)가 발생한다.
이러한 무효한 충격이벤트 발생시 일정시간의 녹화 영상을 상시충격 폴더에 저장하게 되므로 제한된 크기의 저장공간으로 무효한 충격이벤트에 의한 영상파일로 채우게 되어 사용자가 필요한 실제 유효한 충격이벤트를 찾기 어렵고, 실제 저장하지 않아도 되는 큰 영상 파일을 계속 저장하므로 SD 카드 형태의 플래시 메모리(Flash Memory)의 수명을 단축시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무효한 충격이벤트가 많아져 제한된 크기의 폴더를 모두 채우면 가장 오래된 영상파일부터 덮어쓰기가 되는데 이럴 경우, 유효한 충격이벤트를 덮어쓰기 할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등록번호 제10-1015408호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유효한 충격이벤트에 따른 유효사운드와 무효한 충격이벤트에 의한 무효사운드를 미리 설정한 후, 차량용 블랙박스에서 가속도 센서 값에 더하여 충격이벤트에 따른 충격사운드가 입력되면, 상기 충격사운드를 유효사운드 및 무효사운드와 비교하여 유효사운드에 매칭 되면 충격 이벤트가 발생 된 시점을 기준으로 이전 일정시간의 영상과 이후 일정시간의 영상이 저장되도록 하고, 무효사운드에 매칭 되면 영상이 저장되지 않도록 하여, 한정된 저장 공간을 갖는 메모리에 보다 많은 양의 영상이 저장되도록 하는 입력 사운드 신호에 기반한 영상 저장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입력 사운드 신호에 기반한 영상 저장장치는 충격이벤트에 따른 가속도 센서 값을 출력하는 가속도 센서부; 상기 충격이벤트에 따른 충격사운드를 입력받는 마이크부; 외부 영상을 촬영하는 카메라부; 및 상기 가속도 센서부를 통한 충격이벤트가 감지되고, 상기 마이크부를 통해 입력된 충격사운드가 미리 설정되어 저장된 유효사운드에 해당하면, 상기 충격이벤트가 발생된 시점을 기준으로 이전 일정시간과 이후 일정시간 동안 카메라부를 통해 촬영된 영상이 상기 저장부에 저장되도록 하는 처리부가 포함되어 구성된다.
미리 설정된 유효사운드 및 무효사운드를 포함하는 검증사운드가 저장된 저장부가 포함되어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유효사운드는 차량 사고에 관련된 사운드이고, 상기 무효사운드는 차량 사고에 관련되지 않은 사운드일 수 있다.
상기 처리부는 상기 가속도 센서부를 통한 충격이벤트가 감지되고, 상기 마이크부를 통해 입력된 충격사운드가 미리 설정되어 저장된 무효사운드에 해당하면, 상기 카메라부를 통해 촬영된 영상을 상기 저장부에 저장시키지 않을 수 있다.
상기 처리부에서는 현재 가속도 센서값과, 이전 가속도 센서값들을 평균한 평균값의 차이가 미리 설정된 검출설정값보다 크면 충격이벤트로 판정할 수 있다.
그리고,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입력 사운드 신호에 기반한 영상 저장방법은 (a) 처리부에서 가속도 센서부를 통해 입력된 현재의 가속도 센서값과, 이전 가속도 센서값들을 평균한 평균값에 대한 차이를 미리 설정된 검출설정값과 비교하는 센서비교단계; (b) 상기 센서비교단계에서 현재의 가속도 센서값과, 상기 평균값에 대한 차이가 검출설정값보다 크면, 마이크부를 통해 입력된 충격이벤트에 따른 충격사운드와 미리 설정되어 저장된 검증사운드를 비교하는 사운드비교단계; 및 (c) 상기 사운드비교단계에서 상기 충격사운드가 상기 검증사운드 중의 유효사운드와 매칭되면, 상기 충격이벤트가 발생된 시점을 기준으로 이전 일정시간과 이후 일정시간 동안 카메라부를 통해 촬영된 영상이 저장부에 저장되도록 하는 영상저장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사운드비교단계 이전에는 입력사운드에서 배경노이즈를 구분시키는 사운드검출단계; 상기 사운드검출단계를 통해 구분된 배경노이즈를 제외한 입력사운드에서 특징점을 추출하는 특징점추출단계; 및 상기 특징점추출단계를 통해 특징점이 추출된 입력사운드를 유효사운드와 무효사운드로 분류시켜 검증사운드로 저장시키기 위한 분류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사운드비교단계에서는 상기 충격사운드에서 배경노이즈를 구분시키는 사운드검출단계; 상기 사운드검출단계를 통해 구분된 배경노이즈를 제외한 충격사운드에서 특징점을 추출하는 특징점추출단계; 상기 특징점추출단계를 통해 추출된 충격사운드의 특징점과 검증사운드를 비교하는 비교단계; 및 상기 비교단계를 통해 충격사운드가 검증사운드 중의 유효사운드인지 무효사운드인지 검증하는 검증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사운드검출단계에서는 30ms 길이의 프레임단위로 이루어진 입력사운드 및 충격사운드의 로그에너지를 산출하여 배경노이즈를 구분시킬 수 있다.
특징점추출단계에서는 배경노이즈를 제외한 입력사운드 및 충격사운드에 대한 특징점을 추출하기 위해 멜 주파수 캡스트럼 계수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분류단계에서는 특징점이 추출된 입력사운드를 가우시안 혼합 모델을 이용하여 유효사운드와 무효사운드로 분류시킬 수 있다.
상기 비교단계에서는 특징점이 추출된 충격사운드의 최대 우도 값을 산출하여 검증사운드와 비교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입력 사운드 신호에 기반한 영상 저장장치 및 방법에 따르면, 유효한 충격이벤트에 따른 유효사운드와 무효한 충격이벤트에 의한 무효사운드를 미리 설정한 후, 차량용 블랙박스에서 가속도 센서 값에 더하여 충격이벤트에 따른 충격사운드가 입력되면, 상기 충격사운드를 유효사운드 및 무효사운드와 비교하여 유효사운드에 매칭 되면 충격이벤트가 발생 된 시점을 기준으로 이전 일정시간의 영상과 이후 일정시간의 영상이 저장되도록 하고, 무효사운드에 매칭 되면 영상이 저장되지 않도록 하여, 한정된 저장 공간을 갖는 메모리에 보다 많은 양의 영상이 저장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영상 저장장치를 도시한 블록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유효사운드 및 무효사운드 설정 방법을 을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플로우차트이며,
도 3 내지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유효사운드 및 무효사운드 설정 방법에서 사운드 검출을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예시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유효사운드 및 무효사운드 설정 방법에서 특징점 추출을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예시도이며,
도 7 내지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유효사운드 및 무효사운드 설정 방법에서 분류 과정을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예시도이며,
도 10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가속도 센서 값을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예시도이며,
도 1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영상 저장방법을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플로우차트이며,
도 1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영상 저장방법에서 유효사운드의 여부를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플로우차트이다.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영상 저장장치를 도시한 블록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유효사운드 및 무효사운드 설정 방법을 을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플로우차트이며, 도 3 내지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유효사운드 및 무효사운드 설정 방법에서 사운드 검출을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예시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유효사운드 및 무효사운드 설정 방법에서 특징점 추출을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예시도이며, 도 7 내지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유효사운드 및 무효사운드 설정 방법에서 분류 과정을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예시도이며, 도 10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가속도 센서 값을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예시도이며, 도 1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영상 저장방법을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플로우차트이며, 도 1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영상 저장방법에서 유효사운드의 여부를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플로우차트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입력 사운드 신호에 기반한 영상 저장장치는 처리부(100), 마이크부(200), 가속도 센서부(300), 전방카메라부(400), 후방카메라부(500), 제2저장부(700) 및 스피커부(800)가 포함되어 구성된다.
상기 마이크부(200)는 충격이벤트에 따른 충격사운드를 입력받는다.
상기 가속도 센서부(300)는 충격이벤트에 따른 가속도 센서 값을 출력한다.
상기 전방카메라(400)는 차량의 전방을 향하는 외부 영상을 촬영하고, 상기 후방카메라(500)는 차량의 후방을 향하는 외부 영상을 촬영한다.
본 발명에서는 전망카메라(400)로 Full HD급 해상도, 후방카메라(500)로 HD급 해상도를 지원하도록 구비하였다.
차량에는 상기 전방카메라(400) 및 후방카메라(500)에 더하여 좌측 및 우측을 향하는 외부 영상을 촬영하는 카메라가 더 구비될 수도 있다.
상기 카메라들은 렌즈 모듈, 이미지 센서모듈, 적외선 필터 모듈 및 이미지 신호처리 모듈(ISP)이 포함되어 구비된다.
상기 제2저장부(700)는 SD 카드 형태의 플래시 메모리가 될 수 있다.
상기 제2저장부(700)에는 미리 설정된 유효사운드 및 무효사운드를 포함하는 검증사운드가 저장된다.
상기 처리부(100)는 CPU(110)와, 비디오코덱(Video Codec; 130)과, SDRAM, LPDDR2, LPDDR3 등 임시메모리 형태의 제1저장부(150)가 포함되어 구성된다.
상기 처리부(100)는 상기 가속도 센서부(300)를 통한 충격이벤트가 감지되고, 상기 마이크부(200)를 통해 입력된 충격사운드가 미리 설정되어 저장된 유효사운드에 해당하면, 상기 충격이벤트가 발생된 시점을 기준으로 이전 일정시간과 이후 일정시간 동안 전방카메라(400) 또는 후방카메라(500)를 통해 촬영된 영상이 상기 제2저장부(700)에 저장되도록 한다.
반면, 상기 처리부(100)는 상기 가속도 센서부(300)를 통한 충격이벤트가 감지되고, 상기 마이크부(200)를 통해 입력된 충격사운드가 미리 설정되어 저장된 무효사운드에 해당하면, 상기 전방카메라(400) 또는 후방카메라(500)를 통해 촬영된 영상은 상기 저장부에 저장되지 않는다.
상기 스피커부(800)는 충격이벤트 발생시 음향 신호로 사용자에게 알리는 역할을 한다.
상기 검증사운드는 미리 설정되어 저장되는 것으로, 먼저, 검증사운드로 사용할 소리를 마이크 등으로 입력받는다(S110).
검증사운드로 사용할 유효사운드 및 무효사운드를 미리 설정하여 각각 입력되도록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유효사운드로는 충돌음, 급브레이크음, 비명 등의 차량 사고에 관련된 사운드가 될 수 있고, 무효사운드로는 도어 개폐음, 트렁크 닫침음, 과속방지턱 통과음, 포트홀 통과음, 다리 통과음, 차량 내 소음 등의 차량 사고에 관련되지 않은 사운드가 될 수 있다.
상기 검증사운드로 사용될 유효사운드 및 무효사운드는 상술한 예시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하게 설정할 수가 있다.
검증사운드로 사용될 입력되는 소리는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30ms 길이의 프레임단위로 이루어지며, 10ms 길이의 프레임이 하나 빠지면, 10ms 길이의 프레임이 하나 추가되는 형태로 이루어진다.
이어서, 상기 프레임에 대해 수학식 1을 이용하여 로그 에너지를 산출한다.
Figure 112014024324015-pat00001
여기서, E는 프레임의 로그에너지, i는 프레임 인덱스, x는 입력 신호, L은 프레임길이이다.
이어서, 수학식 2를 이용하여, 도 4 및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배경노이즈(B)와 유효사운드 및 무효사운드의 로그에너지(L)를 구분한다.
Figure 112014024324015-pat00002
여기서, BE는 배경노이즈 에너지, r은 업데이트 이득이다.
이어서,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배경노이즈를 제외한 유효사운드 및 무효사운드에 대한 특징점(P)을 추출하기 위해 멜 주파수 캡스트럼 계수(Mel-Frequency Cepstrum Coefficient)를 사용한다(S120).
이때, 프리엠퍼시스(Pre emphasis), 윈도우잉(Windowing), 고속 푸리에 변환(FFT), 멜 필터 뱅크(Mel Filter Bank), 로그 압축(Logarithmic Compression), 이산 코사인 변환(DCT) 등의 일반적인 패턴 인식의 방법이 사용될 수 있다.
이어서, 특징점이 추출된 유효사운드 및 무효사운드를 가우시안 혼합 모델(Gaussian mixture model)을 이용하여 유효사운드와 무효사운드로 각각 분류시킨다(S130).
참고로, 도 7은 혼합을 6개, 1번 반복에 따른 분류를 나타낸 예시고, 도 8은 혼합을 6개, 300번 반복에 따른 분류를 나타낸 예시고, 도 9는 혼합을 10개, 300번 반복에 따른 분류를 나타낸 예시이다.
이어서, 유효사운드와 무효사운드로 분류된 입력사운드는 검증사운드로 사용하기 위해 각각 저장된다(S140).
상술한 바와 같이, 검증사운드가 미리 설정되어 저장이 되면, 상기 처리부(100)는 차량의 가속도 센서부(300)를 통해 현재의 가속도 센서값을 입력받는다(S210).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예를 들어, 차량의 전방을 향하는 방향이 X, 차량의 측면을 향하는 방향이 Y, 차량의 하부를 향하는 방향이 Z라고 좌표 설정을 할 수 있으며, 전방을 향하는 가속도 센서값을
Figure 112014024324015-pat00003
, 측면을 향하는 가속도 센서값을
Figure 112014024324015-pat00004
, 하부를 향하는 가속도 센서값을
Figure 112014024324015-pat00005
라고 할 수 있다.
그리고, 임의의 복수의
Figure 112014024324015-pat00006
에 대한 평균, 임의의 복수의
Figure 112014024324015-pat00007
에 대한 평균, 임의의 복수의
Figure 112014024324015-pat00008
에 대한 평균을 각각
Figure 112014024324015-pat00009
,
Figure 112014024324015-pat00010
Figure 112014024324015-pat00011
로 저장한다.
이어서, 현재 충격이벤트가 발생 중이 아니면(S220), 현재의 가속도 센서값과, 이전 가속도 센서값들을 평균한 평균값에 대한 차이를 미리 설정된 임의의 검출설정값
Figure 112014024324015-pat00012
와 비교한다(S230).
예를 들어,
Figure 112014024324015-pat00013
Figure 112014024324015-pat00014
의 차이값의 절대값이 검출설정값
Figure 112014024324015-pat00015
보다 크면 X방향으로 충격이벤트가 발생한 것이고,
Figure 112014024324015-pat00016
Figure 112014024324015-pat00017
의 차이값의 절대값이 검출설정값
Figure 112014024324015-pat00018
보다 크면 Y방향으로 충격이벤트가 발생한 것이고,
Figure 112014024324015-pat00019
Figure 112014024324015-pat00020
의 차이값의 절대값이 검출설정값
Figure 112014024324015-pat00021
보다 크면 Z방향으로 충격이벤트가 발생한 것이다.
반면,
Figure 112014024324015-pat00022
Figure 112014024324015-pat00023
의 차이값의 절대값이 검출설정값
Figure 112014024324015-pat00024
보다 작거나 같고,
Figure 112014024324015-pat00025
Figure 112014024324015-pat00026
의 차이값의 절대값이 검출설정값
Figure 112014024324015-pat00027
보다 작거나 같고 또는
Figure 112014024324015-pat00028
Figure 112014024324015-pat00029
의 차이값의 절대값이 검출설정값
Figure 112014024324015-pat00030
보다 작거나 같으면, 충격이벤트가 발생하지 않은 상태이며, 각각의
Figure 112014024324015-pat00031
,
Figure 112014024324015-pat00032
Figure 112014024324015-pat00033
는 평균값을 갱신하는데 사용된다(S270).
이어서, 충격이벤트가 발생된 것으로 판정되면(S240), 마이크부(200)를 통하여 입력되는 충격이벤트에 따른 충격사운드를 상기 검증사운드와 비교를 한다(S250).
먼저, 충격이벤트에 따른 충격사운드가 입력되면(S251), 충격사운드에서 배경노이즈를 구분하고(S252), 배경노이즈가 구분된 충격사운드에서 특징점을 추출한다(S253).
상기 S251 단계 내지 S253 단계는 상술한 S110 단계와 S120 단계와 동일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어서, 특징점이 추출된 충격사운드와 검증사운드를 비교한다(S254).
특징점이 추출된 충격사운드의 최대 우도(Maximum Log-likelihood) 값을 산출하여 검증사운드와 비교할 수 있으며, 이어서, 상기 충격사운드가 검증사운드 중의 유효사운드인지 무효사운드인지 검증할 수 있다(S255).
이어서, 상기 충격사운드가 상기 검증사운드 중의 유효사운드와 매칭되면, 상기 충격이벤트가 발생된 시점을 기준으로 이전 일정시간과 이후 일정시간 동안 카메라부를 통해 촬영된 영상이 제2저장부(700)에 저장되도록 한다(S260).
표 1은 가속도 값과 유효사운드 및 무효사운드에 따른 영상 저장 여부를 판정하는 예시를 나타낸 것이다.
가속도 값 유효사운드 무효사운드 판단
Figure 112014024324015-pat00034
충돌음 후방충돌, 전후방 카메라 영상 저장
Figure 112014024324015-pat00035
급브레이크음 또는 충돌음 또는 비명 전방충돌, 전후방 카메라 영상 저장
Figure 112014024324015-pat00036
도어 개폐음 도어 개폐
Figure 112014024324015-pat00037
충돌음 측방충돌, 전후방 카메라 영상 저장
Figure 112014024324015-pat00038
충돌음 또는 비명 추락, 전후방 카메라 영상 저장
Figure 112014024324015-pat00039
트렁크 잠김음 트렁크 닫음
Figure 112014024324015-pat00040
과속 방지턱 통과음 과속 방지턱 통과
Figure 112014024324015-pat00041
포트홀음 파손 도로 통과
Figure 112014024324015-pat00042
다리 통과음 다리 통과
표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가속도 센서만을 사용한 충격이벤트 판정에 충격사운드 비교를 추가하여 유효사운드가 입력된 경우에만 영상이 저장되는 것을 알 수가 있다.
기존 가속도 센서만을 사용했을 경우, 차량의 측면에서 발생하는 가속도 변화를 언제나 측면 충돌로 생각하고 충격이벤트를 발생하였지만, 충격사운드를 검증사운드와 비교하여 충돌음과 도어 개폐음으로 분류할 수 있으므로 영상의 저장 여부를 판정할 수 있다.
또한, Z축에 대한 경우도 마찬가지로 충격사운드를 검증사운드와 비교하여 유효사운드와 무효사운드의 구분으로 인해 영상의 저장 여부를 판정할 수 있다.
참고로, X축, Y축의 가속도 차이가
Figure 112014024324015-pat00043
값 이상이면서
Figure 112014024324015-pat00044
가 음수이면 이 경우는 차량이 급정지하려고 하는 것으로 생각할 수 있고, 이때는 전방 카메라 영상을 저장하는 것이 더 의미가 있으며,
Figure 112014024324015-pat00045
가 양수일 경우는 후방에서 충돌이 일어난 경우이므로 후방 카메라 영상을 저장하는 것이 의미가 있다.
상술한 입력 사운드 신호에 기반하여 충격이벤트를 감지하는 것과 마찬가지로, 입력 영상 신호에 기반하여 충격이벤트를 감지하는 영상분류부(미도시)를 추가하여 충격이벤트 판정을 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영상분류부에 유효 영상으로서 물체가 근접한 상태의 영상이 저장되어 있으면, 차량에서 발생하는 가속도 변화와 입력 영상 신호를 비교하여, 근접한 상태의 영상이 입력되면 이를 충격 이벤트로 판정하여 영상을 저장시킨다.
반면, 근접한 상태의 입력 영상이 입력되지 않은 상태에서 차량에서 가속도 변화가 있으면 충격 이벤트가 아닌 것으로 판단하여 영상을 저장시키지 않도록 하는 것이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단계 S110 내지 단계 S140, 단계 S210 내지 270 및 단계 S251 내지 S255에 따른 입력 사운드 신호에 기반한 영상 저장방법을 프로그램화하여 컴퓨터가 읽을 수 있도록 시디롬, 메모리, ROM, EEPROM 등의 기록매체에 저장시킬 수도 있다.
이상의 설명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제시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할 수 있음을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100: 처리부 200: 마이크부
300: 가속도 센서부 400: 전방카메라부
500: 후방카메라부

Claims (13)

  1. 차량의 충격이벤트에 따른 가속도 센서 값을 출력하는 가속도 센서부(300);
    상기 충격이벤트에 따른 충격사운드를 입력받는 마이크부(200);
    차량의 외부 영상을 촬영하는 카메라부(400, 500); 및
    상기 가속도 센서부(300)를 통한 충격이벤트가 감지되고, 상기 마이크부(200)를 통해 입력된 충격사운드가 미리 설정되어 저장된 충돌음으로 이루어진 유효사운드에 해당하면, 상기 충격이벤트가 발생된 시점을 기준으로 이전 일정시간과 이후 일정시간 동안 카메라부를 통해 촬영된 영상이 저장부(700)에 저장되도록 하는 처리부(100)가 포함되어 구성되며;
    상기 처리부(100)는 상기 가속도 센서부(300)를 통한 충격이벤트가 감지되고, 상기 마이크부(200)를 통해 입력된 충격사운드가, 도어개폐음 또는 트렁크 닫힘음 또는 과속방지턱 통과음 또는 포트홀 통과음으로 이루어진 무효사운드에 해당하면, 상기 카메라부를 통해 촬영된 영상을 저장부(700)에 저장시키지 않으며;
    상기 처리부는 현재의 가속도 센서값(
    Figure 112015103719247-pat00058
    ,
    Figure 112015103719247-pat00059
    ,
    Figure 112015103719247-pat00060
    )과 이전 가속도 센서값들을 평균한 평균값(
    Figure 112015103719247-pat00061
    ,
    Figure 112015103719247-pat00062
    ,
    Figure 112015103719247-pat00063
    )의 차이의 절대값이 미리 설정한 검출 설정값(Vth) 보다 크면(|a-a|>Vth) 충격이벤트를 감지한 것으로 판정하되,
    그것이 x축 방향으로 감지되고 미리 저장된 충돌음으로 이루어진 유효 사운에 해당하면 차량의 전후방 충격 이벤트로 판단하고, 그것이 y축 방향으로 감지되고 미리 저장된 충돌음으로 이루어진 유효 사운드에 해당하면 차량의 측방 충격 이벤트로 판단하며, 그것이 z축 방향으로 감지되고 미리 저장된 충돌음으로 이루어진 유효 사운드에 해당하면 차량 추락으로 인한 충격 이벤트로 판단하여, 카메라부(400, 500)를 통해 촬영된 영상을 저장부(700)에 저장하고, 스피커부(800)를 통해 사용자에게 음향신호로 충격 이벤트의 발생을 알리는 것을 포함하여,
    가속도 센서부 및 입력 사운드 신호에 기반하여 충격 이벤트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력 사운드 신호에 기반한 영상 저장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미리 설정된 유효사운드 및 무효사운드를 포함하는 검증사운드가 저장된 저장부가 포함되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 입력 사운드 신호에 기반한 영상 저장장치.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유효사운드는 차량 사고에 관련된 사운드이고, 상기 무효사운드는 차량 사고에 관련되지 않은 사운드인 것을 특징으로 한 입력 사운드 신호에 기반한 영상 저장장치.
  4. 삭제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처리부(100)에서는 현재 가속도 센서값과, 이전 가속도 센서값들을 평균한 평균값의 차이가 미리 설정된 검출설정값 보다 크면 충격이벤트로 판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 입력 사운드 신호에 기반한 영상 저장장치.
  6. (a) 가속도 센서부(300)를 통한 충격이벤트가 감지되어, 처리부(100)에서 가속도 센서부(300)를 통해 입력된 현재의 가속도 센서값(
    Figure 112015103719247-pat00064
    ,
    Figure 112015103719247-pat00065
    ,
    Figure 112015103719247-pat00066
    )과, 이전 가속도 센서값들을 평균한 평균값(
    Figure 112015103719247-pat00067
    ,
    Figure 112015103719247-pat00068
    ,
    Figure 112015103719247-pat00069
    )에 대한 차이를 미리 설정된 검출설정값(Vth)과 비교하는 센서비교단계;
    (b) 상기 센서비교단계에서 현재의 가속도 센서값과, 상기 평균값에 대한 차이가 검출설정값보다 크면(|a-a|>Vth), 마이크부(200)를 통해 입력된 충격이벤트에 따른 충격사운드와 미리 설정되어 저장된 검증사운드를 비교하는 사운드비교단계; 및
    (c) 상기 사운드비교단계에서 상기 충격사운드가 상기 검증사운드 중의 유효사운드와 매칭되면, 상기 충격이벤트가 발생된 시점을 기준으로 이전 일정시간과 이후 일정시간 동안 카메라부를 통해 촬영된 영상이 저장부에 저장되도록 하는 영상저장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사운드비교단계에서, 상기 충격사운드가 상기 검증사운드 중의 도어개폐음 또는 트렁크 닫힘음 또는 과속방지턱 통과음 또는 포트홀 통과음으로 이루어진 무효사운드와 매칭되면, 상기 카메라부를 통해 촬영된 영상을 저장부에 저장시키지 않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처리부는 가속도 센서값이 x축 방향으로 감지되고 미리 저장된 충돌음으로 이루어진 유효 사운에 해당하면 차량의 전후방 충격 이벤트로 판단하고, 가속도 센서값이 y축 방향으로 감지되고 미리 저장된 충돌음으로 이루어진 유효 사운드에 해당하면 차량의 측방 충격 이벤트로 판단하며, 가속도 센서값이 z축 방향으로 감지되고 미리 저장된 충돌음으로 이루어진 유효 사운드에 해당하면 차량 추락으로 인한 충격 이벤트로 판단하여, 카메라부(400, 500)를 통해 촬영된 영상을 저장부(700)에 저장하고, 스피커부(800)를 통해 사용자에게 음향신호로 충격 이벤트의 발생을 알리는 것을 포함하여,
    가속도 센서부 및 입력 사운드 신호에 기반하여 충격이벤트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력 사운드 신호에 기반한 영상 저장방법.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사운드비교단계 이전에는 입력사운드에서 배경노이즈를 구분시키는 사운드검출단계; 상기 사운드검출단계를 통해 구분된 배경노이즈를 제외한 입력사운드에서 특징점을 추출하는 특징점추출단계; 및 상기 특징점추출단계를 통해 특징점이 추출된 입력사운드를 유효사운드와 무효사운드로 분류시켜 검증사운드로 저장시키기 위한 분류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력 사운드 신호에 기반한 영상 저장방법.
  8.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사운드비교단계에서는 상기 충격사운드에서 배경노이즈를 구분시키는 사운드검출단계; 상기 사운드검출단계를 통해 구분된 배경노이즈를 제외한 충격사운드에서 특징점을 추출하는 특징점추출단계; 상기 특징점추출단계를 통해 추출된 충격사운드의 특징점과 검증사운드를 비교하는 비교단계; 및 상기 비교단계를 통해 충격사운드가 검증사운드 중의 유효사운드인지 무효사운드인지 검증하는 검증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력 사운드 신호에 기반한 영상 저장방법.
  9. 청구항 7항 또는 청구항 8항에 있어서, 사운드검출단계에서는 30ms 길이의 프레임단위로 이루어진 입력사운드 및 충격사운드의 로그에너지를 산출하여 배경노이즈를 구분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력 사운드 신호에 기반한 영상 저장방법.
  10. 청구항 7항 또는 청구항 8항에 있어서, 특징점추출단계에서는 배경노이즈를 제외한 입력사운드 및 충격사운드에 대한 특징점을 추출하기 위해 멜 주파수 캡스트럼 계수를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력 사운드 신호에 기반한 영상 저장방법.
  11.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분류단계에서는 특징점이 추출된 입력사운드를 가우시안 혼합 모델을 이용하여 유효사운드와 무효사운드로 분류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력 사운드 신호에 기반한 영상 저장방법.
  12.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비교단계에서는 특징점이 추출된 충격사운드의 최대 우도 값을 산출하여 검증사운드와 비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력 사운드 신호에 기반한 영상 저장방법.
  13. 삭제
KR1020140029600A 2014-03-13 2014-03-13 입력 사운드 신호에 기반한 영상 저장장치 및 방법 KR101573744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29600A KR101573744B1 (ko) 2014-03-13 2014-03-13 입력 사운드 신호에 기반한 영상 저장장치 및 방법
CN201580013569.4A CN106163907B (zh) 2014-03-13 2015-03-04 基于输入声音信号的影像存储装置及方法
US15/124,350 US10150447B2 (en) 2014-03-13 2015-03-04 Apparatus and method for storing image on basis of input sound signal
PCT/KR2015/002084 WO2015137658A1 (ko) 2014-03-13 2015-03-04 입력 사운드 신호에 기반한 영상 저장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29600A KR101573744B1 (ko) 2014-03-13 2014-03-13 입력 사운드 신호에 기반한 영상 저장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07930A KR20150107930A (ko) 2015-09-24
KR101573744B1 true KR101573744B1 (ko) 2015-12-14

Family

ID=540720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29600A KR101573744B1 (ko) 2014-03-13 2014-03-13 입력 사운드 신호에 기반한 영상 저장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10150447B2 (ko)
KR (1) KR101573744B1 (ko)
CN (1) CN106163907B (ko)
WO (1) WO2015137658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99861A (ko) * 2021-12-28 2023-07-05 주식회사 뉴로센스 도로 내 포트홀의 유무 및 위험도와 종단 평탄성을 추정하고 기록하는 방법 및 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477163B2 (en) * 2015-06-02 2019-11-12 Center For Integrated Smart Sensors Foundation Video recording method for collision and apparatus thereof
KR102613071B1 (ko) * 2016-09-30 2023-12-15 팅크웨어(주) 음향센서 및 가속도센서에 기초하여 차량의 충격을 감지하는 방법 및 장치
US10462567B2 (en) 2016-10-11 2019-10-29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Responding to HVAC-induced vehicle microphone buffeting
US10525921B2 (en) 2017-08-10 2020-01-07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Monitoring windshield vibrations for vehicle collision detection
US10049654B1 (en) 2017-08-11 2018-08-14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Accelerometer-based external sound monitoring
US10308225B2 (en) 2017-08-22 2019-06-04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Accelerometer-based vehicle wiper blade monitoring
US10562449B2 (en) 2017-09-25 2020-02-18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Accelerometer-based external sound monitoring during low speed maneuvers
US10479300B2 (en) 2017-10-06 2019-11-19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Monitoring of vehicle window vibrations for voice-command recognition
IT201800010534A1 (it) * 2018-11-23 2020-05-23 Andrea Mungo Metodo ed apparato per la acquisizione e validazione di immagini
CN113246894B (zh) * 2020-02-13 2022-11-22 宁波吉利汽车研究开发有限公司 一种车辆碰撞检测方法及装置
CN113246893A (zh) * 2020-02-13 2021-08-13 宁波吉利汽车研究开发有限公司 一种车辆碰撞处理方法及系统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079839A (ja) * 1998-06-24 2000-03-21 West Japan Railway Co 衝撃計測装置
JP2004099002A (ja) * 2002-09-11 2004-04-02 Takeshi Rokuroda 事故/事件直前状況記録システム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186539B1 (en) * 1998-07-01 2001-02-13 Trw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an actuatable restraint device using crash severity indexing and crush zone sensor
JP4394780B2 (ja) * 1999-10-08 2010-01-06 クラリオン株式会社 移動体情報記録装置
JP2006199204A (ja) * 2005-01-21 2006-08-03 Sanyo Electric Co Ltd ドライブレコーダ及びドライブレコーダの制御方法
KR100833096B1 (ko) * 2007-01-18 2008-05-29 한국과학기술연구원 사용자 인식 장치 및 그에 의한 사용자 인식 방법
KR101015408B1 (ko) 2009-06-12 2011-02-22 엠텍비젼 주식회사 운송 수단 관련 정보 저장 장치 및 방법
KR101116273B1 (ko) 2010-05-03 2012-03-14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교통사고 인식장치 및 그 방법
KR20120103286A (ko) * 2011-03-10 2012-09-19 최길준 오디오 신호를 이용하여 차량에 대한 관심 대상 이벤트를 감지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CN103569008A (zh) * 2012-07-19 2014-02-12 福兴达科技实业(深圳)有限公司 一种汽车紧急自动报警系统及方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079839A (ja) * 1998-06-24 2000-03-21 West Japan Railway Co 衝撃計測装置
JP2004099002A (ja) * 2002-09-11 2004-04-02 Takeshi Rokuroda 事故/事件直前状況記録システム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99861A (ko) * 2021-12-28 2023-07-05 주식회사 뉴로센스 도로 내 포트홀의 유무 및 위험도와 종단 평탄성을 추정하고 기록하는 방법 및 시스템
KR102610968B1 (ko) * 2021-12-28 2023-12-08 주식회사 뉴로센스 도로 내 포트홀의 유무 및 위험도와 종단 평탄성을 추정하고 기록하는 방법 및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07930A (ko) 2015-09-24
US10150447B2 (en) 2018-12-11
WO2015137658A1 (ko) 2015-09-17
US20170018127A1 (en) 2017-01-19
CN106163907B (zh) 2019-07-12
CN106163907A (zh) 2016-11-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73744B1 (ko) 입력 사운드 신호에 기반한 영상 저장장치 및 방법
CN108280332B (zh) 移动终端的生物特征认证识别检测方法、装置和设备
KR102429822B1 (ko) 운전자의 감정상태 인식 장치 및 방법
US10726863B2 (en) System and method for locating mobile noise source
CN110767214A (zh) 语音识别方法及其装置和语音识别系统
KR102211496B1 (ko) 주차시 차량용 블랙박스의 이벤트 감지시스템 및 그 이벤트 감지방법
JP2009059257A5 (ko)
CN106096519A (zh) 活体鉴别方法及装置
CN107025425B (zh) 认证方法和设备以及用于训练识别器的方法和设备
WO2022068304A1 (zh) 音质检测方法及装置
KR101176174B1 (ko) 차량용 블랙박스 및 그의 사고 기록 방법
KR101611731B1 (ko) 블랙 박스에서 충격 감지 센서에 의해 감지된 잘못된 사고 영상을 구분하는 방법
EP3506258A1 (en) Information capturing device and voice control method
CN112241660A (zh) 一种基于视觉的防盗监测方法和装置
CN113378803B (zh) 一种道路交通事故检测方法、装置、计算机及存储介质
KR101665232B1 (ko) 블랙박스 시스템에서 가속도 센서를 이용한 잘못 인식된 이벤트 영상 처리 방법
JP2019092077A (ja) 記録制御装置、記録制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KR101507507B1 (ko) 스테레오 카메라를 이용한 객체 처리 시스템 및 방법
US11012613B2 (en) Flat surface detection in photographs
CN107610276A (zh) 改进的行车记录仪的手势拍照与录制方法及系统
JP7483060B2 (ja) 手検出装置、ジェスチャー認識装置および手検出方法
JP2017091381A (ja) セキュリティ装置、及び、セキュリティシステム
JP2010287190A (ja) 運転情報記録装置および運転情報処理プログラム
JP6451606B2 (ja) 車両用音声認識装置
KR101986543B1 (ko) 블랙박스 영상의 음파분석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26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