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15408B1 - 운송 수단 관련 정보 저장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운송 수단 관련 정보 저장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15408B1
KR101015408B1 KR1020090052500A KR20090052500A KR101015408B1 KR 101015408 B1 KR101015408 B1 KR 101015408B1 KR 1020090052500 A KR1020090052500 A KR 1020090052500A KR 20090052500 A KR20090052500 A KR 20090052500A KR 101015408 B1 KR101015408 B1 KR 10101540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image
data
data file
still im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5250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133784A (ko
Inventor
황진벽
Original Assignee
엠텍비젼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엠텍비젼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엠텍비젼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9005250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15408B1/ko
Publication of KR2010013378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3378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1540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1540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8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19/00Satellite radio beacon positioning systems; Determining position, velocity or attitude using signals transmitted by such systems
    • G01S19/01Satellite radio beacon positioning systems transmitting time-stamped messages, e.g. GPS [Global Positioning System], GLONASS [Global Orbiting Navigation Satellite System] or GALILEO
    • G01S19/03Cooperating elements; Interaction or communication between different cooperating elements or between cooperating elements and receiv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95Computational photography systems, e.g. light-field imaging systems
    • H04N23/951Computational photography systems, e.g. light-field imaging systems by using two or more images to influence resolution, frame rate or aspect ratio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76Television signal recording
    • H04N5/91Television signal processing theref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elevision Signal Processing For Recording (AREA)
  • Time Recorders, Dirve Recorders, Access Control (AREA)

Abstract

운송 수단 관련 정보 저장 장치 및 방법이 개시된다. 본 발명에 따른 운송 수단 관련 정보 저장 장치는, 외부 영상에 상응하는 영상 정보를 생성하여 출력하는 영상 입력부; 외부 소리에 상응하는 오디오 정보를 생성하여 출력하는 오디오 입력부; GPS 정보, 운송 수단 정보 중 하나 이상인 부가 정보를 생성하여 출력하는 정보 제공부; 및 상기 영상 정보 및 오디오 정보를 인코딩 처리하여 하나의 데이터 파일을 생성하고, 상기 데이터 파일의 유저 데이터 영역에 상기 부가 정보를 삽입하는 제어 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여, 차량 사고 발생시 정황 판단을 위한 일체의 정보가 통합적으로 저장되어 관리될 수 있다.
영상, 녹화, 차량

Description

운송 수단 관련 정보 저장 장치 및 방법{Device and method for storing necessary information for transportation}
본 발명은 운송 수단 관련 정보 저장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다채널 무한 영상/음성 녹화를 위한 운송 수단 관련 정보 저장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자동차가 생활 필수품화되어 감에 따라 주정차 문제, 교통 문제 및 교통 사고 등의 부작용도 증대되고 있다.
특히, 교통 사고는 당사자간에 합의에 따라 원만하게 해결되는 경우도 있지만, 과실 정도의 판단이 모호한 경우 당사자간의 합의가 쉽게 이루어지지 못하며, 뺑소니 사고의 경우에는 도의적인 측면에서 매우 심각한 후유증을 초래하기도 한다.
따라서, 객관적인 자료를 바탕으로 한 교통사고 처리의 필요성이 절실해지고 있으며, 이러한 필요성을 감안하여 항공기의 블랙박스와 같은 장치를 차량에도 실제 탑재하여 사고 처리시 객관적인 자료로 활용할 수 있는 여러 가지 방안이 개발되고 있다.
현재 개발되고 있는 차량용 블랙박스 시스템은 카메라를 이용하여 차량 주변을 촬영한 영상 데이터를 기록 저장하는 방식이 주를 이루고 있다.
영상 녹화 장치를 포함하는 차량용 블랙박스 시스템은 일반적으로 차량 배터리로부터 공급되는 전원을 이용하여 카메라에 의해 촬영된 영상을 처리한 후 저장 매체에 저장한다. 저장 매체에는 차량이 운행되는 동안 촬영된 영상 등의 정보가 저장된다.
그러나, 저장매체의 제한된 저장 용량의 한계 때문에, 사용자의 수동 조작에 의한 이벤트 입력시 촬영된 영상이 비휘발성 메모리 등의 저장 매체에 저장되도록 하는 방식 또는/및 차량에 가해지는 충격량을 충격 센서로 감지하여 차량 사고의 발생으로 인식된 경우 발생되는 이벤트에 의해 촬영된 영상이 저장 매체에 저장되도록 하는 방식 등이 제시되고 있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차량용 영상 녹화 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영상 녹화 장치(110)는 프로그램 저장부(120), 영상 입력부(125), 인코딩/디코딩부(130), 영상 저장부(135), 표시부(140), 정보 제공부(145), 정보 저장부(150) 및 제어부(155)를 포함한다.
프로그램 저장부(120)는 영상 녹화 장치(110)를 구동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저장되는 수단이다. 프로그램 저장부(120)에는 예를 들어 제어부(155), 인코딩/디 코딩부(130) 등 중 하나 이상의 동작을 위한 소프트웨어가 저장 보관될 수 있다.
영상 입력부(125)는 입력되는 외부 영상에 상응하는 영상 신호를 생성하여 출력한다. 영상 입력부(125)는 예를 들어 렌즈, 이미지 센서, 이미지 시그널 프로세서(ISP, Image Signal Processor) 등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영상 입력부(125)는 예를 들어 전방, 후방, 좌측 및 우측 중 하나 이상을 감시하기 위한 감시 카메라일 수 있다.
인코딩/디코딩부(130)는 영상 입력부(125)로부터 입력되는 영상 신호에 상응하는 영상 정보를 인코딩하여 생성한 영상 데이터를 영상 저장부(135)에 저장하거나, 영상 저장부(135)에 저장된 영상 데이터를 디코딩하여 표시부(140)를 통해 표시되도록 한다.
영상 저장부(135)는 인코딩/디코딩부(130)에 의해 생성된 영상 데이터가 저장되는 수단이다.
표시부(140)는 영상 녹화 장치(110)의 동작 상태, 인코딩/디코딩부(130)에 의해 디코딩된 영상 데이터 등 중 하나 이상을 시각적 정보로서 출력한다.
정보 제공부(145)는 GPS 수신 정보(예를 들어, 위치 좌표 등) 및/또는 차량 엔진에 관한 정보를 제공하는 수단이다.
정보 저장부(150)는 정보 제공부(145)로부터 제공된 정보가 저장되는 수단이다.
제어부(155)는 영상 녹화 장치(110)의 각 구성 요소들이 상술한 기능을 수행하도록 제어한다. 또한 제어부(155)는 정보 제공부(145)로부터 입력된 정보가 정 보 저장부(150)에 저장되도록 처리할 수도 있다.
그러나, 종래기술에 따른 영상 녹화 장치는 영상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저장 공간(즉, 영상 저장부(135))와 부가 정보(예를 들어, 차량 엔진 정보 및 GPS 수신 정보 등)를 저장하기 위한 저장 공간(즉, 정보 저장부(150))을 각각 독립적으로 구비하고 있다. 따라서, 영상 데이터와 부가 정보가 하나의 저장 장치에 저장되어 관리될 수 없으며, 장치 구성이 이중으로 추가되어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기술에 따른 영상 녹화 장치는 영상 입력부(125)를 통해 입력되는 영상 중 차량 사고 발생 시점의 최대 몇 분간의 영상만이 저장 유지되므로, 사고가 발생하기 이전이나 이후에 대한 정보가 저장되지 않아 차량 사고에 대한 정황이 파악되지 못하는 문제점도 있다.
또한, 종래기술에 따른 영상 녹화 장치는 영상 저장부(135)에 동일한 크기의 영상들만이 저장되어 있어, 차량 사고에 관한 특정 영상을 확대했을 경우 원래에 영상이 선명하지 않아 정확한 판단이 어려운 문제점도 있다.
또한, 종래 기술에 따른 영상 녹화 장치는 차량 사고 시 일정 시간(예를 들어 몇 초에서 몇 분)정도의 영상만이 저장되므로 기기 오작동의 사유로 저장된 동영상 파일이 소멸될 수 있는 문제점도 있다.
전술한 배경기술은 발명자가 본 발명의 도출을 위해 보유하고 있었거나, 본 발명의 도출 과정에서 습득한 기술 정보로서, 반드시 본 발명의 출원 전에 일반 공중에게 공개된 공지기술이라 할 수는 없다.
본 발명은 차량 사고 발생시 정황 판단을 위한 일체의 정보가 통합적으로 저장되어 관리될 수 있는 운송 수단 관련 정보 저장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차량 사고 발생 시점뿐 아니라 정상 운행 상태 등에서의 관련 정보가 상시 저장될 수 있는 운송 수단 관련 정보 저장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차량 사고 등의 정황을 보다 정확히 판단할 수 있도록 다양한 정보들이 저장 유지되고, 저장 유지되는 다양한 정보들이 하나의 전자 파일을 구성하여 관리 효율성을 극대화할 수 있는 운송 수단 관련 정보 저장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운송 수단에 관한 다양한 정보를 상시 저장하도록 함으로써 일부의 파일이 기기 오작동 등의 이유로 소멸될지라도 그 이전 및 그 이후의 저장 데이터에 의해 정황 판단이 용이한 운송 수단 관련 정보 저장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특정 시간 간격의 정지 영상들을 별도로 생성하여 압축 관리함으로써 동영상을 재생하지 않고도 동영상 파일의 내용을 사전에 예측할 수 있도록 하는 운송 수단 관련 정보 저장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이외의 목적들은 하기의 설명을 통해 쉽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 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운송 수단의 운행 등에 관한 다양한 정보를 저장하여 관리하는 운송 수단 관련 정보 저장 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운송 수단 관련 정보 저장 장치는, 외부 영상에 상응하는 영상 정보를 생성하여 출력하는 영상 입력부; 외부 소리에 상응하는 오디오 정보를 생성하여 출력하는 오디오 입력부; GPS 정보, 운송 수단 정보 중 하나 이상인 부가 정보를 생성하여 출력하는 정보 제공부; 및 상기 영상 정보 및 오디오 정보를 인코딩 처리하여 하나의 데이터 파일을 생성하고, 상기 데이터 파일의 유저 데이터 영역에 상기 부가 정보를 삽입하는 제어 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어 유닛은 설정된 시간 간격으로 상기 영상 정보를 이용한 정지 영상을 생성하고, 생성된 정지 영상을 인코딩 처리한 후 상기 데이터 파일에 삽입할 수 있다.
상기 정지 영상은 상기 인코딩 처리된 상기 영상 정보에 비해 큰 이미지 해상도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정지 영상은 생성된 시각에 대한 시각 정보를 가질 수 있다. 임의의 정지 영상이 지정되면, 상응하는 시각 정보에 해당하는 위치부터 상기 데이터 파일의 재생이 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정지 영상은 상기 유저 데이터 영역에 삽입될 수 있다.
상기 제어 유닛은 사용자 조작에 의해 상기 데이터 파일에 삽입된 상기 정지 영상을 재생 처리할 수 있다.
상기 운송 수단 관련 정보 저장 장치는 상기 데이터 파일의 저장을 위한 시간 간격 조건을 관리하는 시각 관리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어 유닛은 상기 시각 관리부의 통지에 의해 임시 저장부에 저장된 상기 데이터 파일을 데이터 저장부로 이동 저장할 수 있다.
상기 제어 유닛은 상기 데이터 저장부의 저장 공간을 잔여 크기를 체크하여, 상기 데이터 파일을 위한 저장 공간이 부족한 경우 이미 저장된 데이터 파일들 중 가장 오래된 순서로 하나 이상의 데이터 파일을 삭제할 수 있다.
상기 부가 정보는 GPS 수신기, TPMS(Tire Pressure Monitoring System), 가속 센서, OBD(On-Board Diagnostic System) 등 중 하나 이상에 의해 제공되는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영상 입력부는 상이한 입력 방향에서 각각 입력되는 복수의 외부 영상에 상응하는 영상 정보를 생성하여 출력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운송 수단 관련 정보 저장 장치에서 수행되는 운송 수단 관련 정보 저장 방법 및/또는 그 방법을 실행하는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매체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운송 수단 관련 정보 저장 장치의 운송 수단 관련 정보 저장 방법은, 영상 입력부로부터 제공되는 영상 정보 및 오디오 입력부 로부터 제공되는 오디오 정보를 실시간 인코딩 처리하여 하나의 데이터 파일을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데이터 파일의 유저 데이터 영역에 GPS 정보, 운송 수단 정보 중 하나 이상인 부가 정보를 삽입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운송 수단 관련 정보 저장 방법은 미리 설정된 시간 간격으로 상기 영상 정보를 이용한 정지 영상을 생성하는 단계; 상기 정지 영상을 인코딩 처리한 후 상기 데이터 파일에 삽입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정지 영상은 상기 인코딩 처리된 상기 영상 정보에 비해 큰 이미지 해상도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정지 영상은 생성된 시각에 대한 시각 정보를 가질 수 있다. 임의의 정지 영상이 지정되면, 상응하는 시각 정보에 해당하는 위치부터 상기 데이터 파일의 재생이 개시될 수 있다. 상기 정지 영상은 상기 유저 데이터 영역에 삽입될 수 있다.
사용자 조작에 의해 상기 데이터 파일에 삽입된 상기 정지 영상이 재생 처리될 수 있다.
상기 운송 수단 관련 정보 저장 방법은 상기 데이터 파일의 저장을 위해 미리 설정된 시간 간격 조건이 만족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만족하는 경우, 임시 저장부에 저장된 상기 데이터 파일을 데이터 저장부로 이동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운송 수단 관련 정보 저장 방법은 상기 데이터 저장부의 저장 공간을 잔여 크기를 체크하여 상기 데이터 파일의 저장을 위한 저장 공간이 충분한지 여부 를 판단하는 단계; 및 불충분한 경우, 상기 데이터 저장부에 이미 저장된 데이터 파일들 중 가장 오래된 순서로 하나 이상의 데이터 파일을 삭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부가 정보는 GPS 수신기, TPMS(Tire Pressure Monitoring System), 가속 센서, OBD(On-Board Diagnostic System) 등 중 하나 이상에 의해 제공되는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차량 사고 발생시 정황 판단을 위한 일체의 정보가 통합적으로 저장되어 관리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차량 사고 발생 시점뿐 아니라 정상 운행 상태 등에서의 관련 정보가 상시 저장될 수 있는 효과도 있다.
또한, 차량 사고 등의 정황을 보다 정확히 판단할 수 있도록 다양한 정보들이 저장 유지되고, 저장 유지되는 다양한 정보들이 하나의 전자 파일을 구성하여 관리 효율성을 극대화할 수 있는 효과도 있다.
또한, 운송 수단에 관한 다양한 정보를 상시 저장하도록 함으로써 일부의 파일이 기기 오작동 등의 이유로 소멸될지라도 그 이전 및 그 이후의 저장 데이터에 의해 정황 판단이 용이한 효과도 있다..
또한, 특정 시간 간격의 정지 영상들을 별도로 생성하여 압축 관리함으로써 동영상을 재생하지 않고도 동영상 파일의 내용을 사전에 예측할 수 있도록 하는 효 과도 있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해 관련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보 통합 저장 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채널 영상 압축을 위한 연결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채널 영상 압축을 위한 입출력 신호 형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정보 통합 저장 장치(210)는 프로그램 저장부(220), 영상 입력부(225), 음성 녹음부(230), 압축 처리부(235), 정보 제공부(240), 시각 관리부(245), 데이터 저장부(250) 및 제어부(255)를 포함한다.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정보 통합 저장 장치(210)는 표시부, 입력부 등의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각 구성 요소들 중 하나 이상이 소프트웨어 프로그램으로 구현되거나, 둘 이상의 구성요소가 통합되어 구현되거나, 하나의 구성 요소가 둘 이상의 구성 요소로 분리될 수도 있다.
프로그램 저장부(220)는 정보 통합 저장 장치(210)를 구동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저장되는 수단이다. 프로그램 저장부(220)에는 예를 들어 제어부(255), 압축 처리부(235) 등 중 하나 이상의 동작을 위한 소프트웨어가 저장 보관될 수 있다.
영상 입력부(225)는 입력되는 외부 영상에 상응하는 영상 신호를 생성하여 출력한다. 영상 입력부(225)는 예를 들어 렌즈, 이미지 센서, 이미지 시그널 프로세서(ISP, Image Signal Processor) 등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영상 입력 부(225)는 예를 들어 전방, 후방, 좌측 및 우측 중 하나 이상을 감시하기 위한 감시 카메라일 수 있다.
영상 입력부(225)는 예를 들어 둘 이상의 렌즈, 둘 이상의 이미지 센서 등을 구비하여 다채널 영상 정보를 생성하여 압축 처리부(235)로 출력할 수도 있다.
도 3에는 다채널 영상 압축을 위한 연결 구조가 예시되어 있고, 도 4에는 다채널 영상 압축을 위한 입출력 신호 형태가 예시되어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영상 입력부(225)는 제1 이미지 센서(310) 및 제2 이미지 센서(320)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이미지 센서(310) 및 제2 이미지 센서(320)는 미리 지정된 영상 입력 각도에서 입력되는 외부 영상에 상응하는 영상 신호를 출력한다. 영상 녹화 장치에 포함되는 이미지 센서의 수량은 필요에 따라 증감될 수 있을 것이다.
각 이미지 센서(310, 320)에 의한 영상 신호의 출력 여부는 압축 처리부(235)로부터 입력되는 출력 인에이블(OE, output enable) 신호에 의해 결정된다. 압축 처리부(235)는 예를 들어 멀티미디어 프로세서일 수 있다. 출력 인에이블 신호는 예를 들어 GPIO(General Purpose I/O) 핀 을 통해 입력될 수 있다.
이미지 센서(310, 320)에서 출력되는 영상 신호는 이미지 시그널 프로세서(Image Signal Processor)에 의해 처리된 후 압축 처리부(330)로 입력될 수도 있다. 본 명세서에서 압축 처리부(330)로 영상 신호를 입력하는 수단으로서 이미지 센서 및/또는 이미지 시그널 프로세서가 통칭되어 이미지 센서부 또는 이미지 센서라 칭해질 수도 있다.
복수의 이미지 센서들에 의한 영상 신호 출력이 동기화(외부 동기 모드로서 기능)될 수 있도록, 예를 들어 복수의 이미지 센서들 중 어느 하나는 마스터(master)로 지정되고 다른 이미지 센서(들)은 슬레이브(slave)로 지정될 수 있다. 이를 위해, 마스터로 지정된 이미지 센서로부터 수직 동기(VSYNC) 신호가 슬레이브로 지정된 이미지 센서(들)로 입력되어 내부적으로 데이터 출력이 동기화된다. 마스터로 지정된 이미지 센서는 예를 들어 압축 처리부(330)의 제어에 의해 수직 동기 신호를 슬레이브로 지정된 이미지 센서에 입력하거나, 별도의 제어 동작 없이 해당 기능이 수행되도록 미리 설정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각 이미지 센서(310, 320)간에 수직 동기 신호가 동기화되며, 영상 신호의 출력 시점도 일치됨을 알 수 있다.
또한, 제1 이미지 센서(310)와 제2 이미지 센서(320)는 압축 처리부(330)와의 연결 라인 중 클럭(PCLK) 신호 라인, 수평 동기(HREF) 신호 라인 및 영상 신호(SD) 라인을 공유할 수 있다.
압축 처리부(330)는 각 이미지 센서(310, 320)로부터 영상 신호를 입력받아 각 이미지 센서(310, 320)에 상응하는 영상 데이터로 인코딩 처리한다. 압축 처리부(330)는 각 이미지 센서(310, 320)로 출력 인에이블(OE) 신호를 입력하여 각 이미지 센서(310, 320)가 출력 인에이블 신호에 부합하여 영상 신호를 출력하도록 한다. 이미지 센서는 입력된 출력 인에이블 신호가 활성 구간이면 영상 신호를 압축 처리부(330)로 출력하되, 비활성 구간이면 압축 처리부(330)로 영상 신호를 출력하지 않는 하이 임피던스(Hi??Z) 상태가 되어 신호 라인을 점유하지 않는다. 도 4에 는 출력 인에이블 신호가 하이(High) 상태인 경우 활성 구간으로 인식하여 영상 신호를 출력하는 경우가 예시되었으나, 영상 신호가 출력되는 활성 구간이 필요에 따라 로우 상태로 지정될 수도 있음은 당연하다.
따라서, 압축 처리부(330)는 결합된 모든 이미지 센서들 중 어느 하나의 이미지 센서에 대해서만 하이 상태가 유지되도록 하는 출력 인에이블 신호를 입력함으로써 각 이미지 센서로부터 출력되는 영상 신호를 정상적으로 입력받을 수 있다. 도 4에 예시된 바와 같이, 제1 이미지 센서(310)에 대한 출력 인에이블 신호가 하이 상태인 활성 구간 동안 제2 이미지 센서(320)에 대한 출력 인에이블 신호는 로우 상태인 비활성 구간으로 유지된다.
예를 들어, 제1 이미지 센서(310)에 대한 출력 인에이블 신호는 H, L, H, L의 순으로 교번되고, 제2 이미지 센서(320)에 대한 출력 인에이블 신호는 L, H, L, H의 순으로 교번되도록 할 수 있으며, 압축 처리부(330)는 도시된 바와 같이 각 이미지 센서의 활성 구간 동안 해당 이미지 센서로부터 영상 신호를 입력받게 된다.
이 경우, 홀수번째 수신된 프레임들은 제1 이미지 센서(310)의 출력에 대한 것이고, 짝수번째 수신된 프레임들은 제2 이미지 센서(320)의 출력에 대한 것이다. 압축 처리부(330)는 이들을 구분하여 인코딩 처리함으로써 각 이미지 센서(310, 320)의 출력에 대한 인코딩 처리가 가능해진다.
또한, 압축 처리부(330)는 인코딩 처리 기능을 구비한 멀티미디어 프로세서로 구현되는 경우, 예를 들어 이미지 확대/축소/로테이션 기능을 수행하거나, 영상 녹화 장치의 동작을 제어할 수도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압축 처리부(330)는 무효 데이터 구간(유휴 구간) 없이 각 이미지 센서들로부터의 출력 프레임 최대치를 입력받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압축 처리부(330)는 2채널로서 채널당 30프레임/초의 출력이 있는 경우 각 채널당 15프레임/초로 총 30프레임/초를 입력받을 수 있게 된다.
이제까지 도 3 및 도 4를 참조하여 압축 처리부(235)가 다채널 영상 정보를 입력받아 처리하는 방법을 설명하였으나, 압축 처리부(235)로 다채널 영상 정보를 입력하기 위한 구조는 이외에도 다양할 수 있을 것이다.
다시 도 2를 참조하면, 음성 녹음부(230)는 정보 통합 저장 장치(210) 주변의 소리(sound)를 입력받아 전기 신호(소리 신호)로 변환하여 압축 처리부(235)로 입력한다. 음성 녹음부(230)는 예를 들어 가청음을 전기적인 에너지 변환기나 로 전달하여 를 로 변환하는 마이크로폰(microphone)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음성 녹음부(230)는 변환한 전기 신호를 이용하여 생성한 오디오 정보를 압축 처리부(235)로 입력할 수도 있다.
압축 처리부(235)는 영상 입력부(225)로부터 입력되는 영상 정보 및 음성 녹음부(230)로부터 수신한 소리 신호를 이용하여 압축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압축 처리부(235)는 예를 들어 멀티미디어 프로세서일 수 있다. 압축 처리부(235)에 의해 생성된 압축 데이터 또는 데이터 파일은 데이터 저장부(250)에 저장되거나, 임시 저장부(도시되지 않음)에 실시간 저장된 후 시각 관리부(245) 또는 시각 관리부(245)에 의한 통지에 의해 제어부(255)가 데이터 저장부(250)로 이동 저장할 수도 있다.
영상 정보는 예를 들어 JPEG 등의 정지 영상 압축 방식 또는/및 비디오 압축 방식(예를 들어 MPEG4, H.263, H.264, WMV, DIVX, XVID 등 중 하나 이상)에 의해 실시간 압축될 수 있고, 소리 신호(또는 오디오 정보)는 오디오 압축 방식(예를 들어, AAC, MP3, MP2, WMA, OGG, G.729, 713, AMR 등 중 하나 이상)으로 실시간 압축될 수 있다. 또한, 이후 도 6을 참조하여 설명되는 바와 같이 영상 정보와 오디오 정보는 데이터 파일(예를 들어 MPEG 4 파일 등의 파일 포맷)으로 통합 처리될 수도 있을 것이다. 또한, 압축 처리부(235)가 MPEG 4 파일 등의 포맷으로 다양한 정보를 통합 처리함에 있어 부가 정보(예를 들어, GPS 수신 정보, 차량 엔진 정보 등 중 하나 이상)를 유저 데이터 영역에 더 포함할 수 있다. 물론, 부가 정보는 제어부(255)에 의해 유저 데이터 영역에 삽입될 수도 있음은 당연하다.
또한, 압축 처리부(235)는 압축되어 데이터 저장부(250)에 저장된 압축 데이터 및/또는 데이터 파일이 표시부(도시되지 않음) 및/또는 스피커부(도시되지 않음)를 통해 출력될 수 있도록 압축 해제하는 기능을 더 수행할 수도 있다.
정보 제공부(240)는 데이터 저장부(250)에 저장될 부가 정보를 제어부(255) 또는/및 압축 처리부(235)로 제공한다. 정보 제공부(240)는 예를 들어 차량 정보 기록 장치로 구현될 수 있으며, 부가 정보는 예를 들어 차량에 구비된 센서, TPMS(Tire Pressure Monitoring System), GPS 수신기, 가속 센서, OBD(On-Board Diagnostic System) 등 중 하나 이상에 의해 제공되는 정보일 수 있다. 제어부(255) 또는 압축 처리부(235)는 제공받은 부가 정보를 데이터 저장부(250)에 독립적으로 저장하거나, 압축 처리부(235)에 의해 생성된 데이터 파일의 유저 데이 터 영역에 삽입하여 데이터 저장부(250)에 저장되도록 할 수 있다.
시각 관리부(245)는 압축 처리부(235)에 의해 생성된 압축 데이터 또는 데이터 파일을 데이터 저장부(250)에 저장할 시간 간격을 관리한다. 즉, 지정된 시간 간격마다 시각 관리부(245)는 임시 저장부에 저장된 압축 데이터 또는 데이터 파일을 데이터 저장부(250)로 이동 저장할 수 있다. 또는 시각 관리부(245)가 지정 시각의 도래를 제어부(255) 또는/및 압축 처리부(235)로 통지하면 제어부(255) 또는 압축 처리부(235)가 임시 저장부에 저장된 압축 데이터 또는 데이터 파일을 데이터 저장부(250)로 이동 저장할 수도 있다. 시각 관리부(245)는 제어부(255) 또는 압축 처리부(235)의 일 구성으로 포함될 수도 있다.
또한, 시각 관리부(245)는 압축 데이터 또는 데이터 파일의 저장을 위한 공간이 부족한 경우, 저장 공간의 확보를 위해 데이터 저장부(250)에 저장된 압축 데이터 및 데이터 파일 중 가장 오래된 것을 삭제하거나, 삭제 요청을 제어부(255) 또는/및 압축 처리부(235)로 입력할 수도 있다.
데이터 저장부(250)는 영상 정보 및 오디오 정보가 미리 지정된 방식에 의해 압축 처리된 각각 압축 데이터, 또는 각각의 압축 데이터가 통합되어 생성된 데이터 파일을 저장하는 수단이다. 또한 데이터 저장부(250)는 부가 정보를 더 저장하거나, 부가 정보가 유저 데이터 영역에 삽입된 데이터 파일을 저장할 수도 있다.
제어부(255)는 정보 통합 저장 장치(210)의 각 구성 요소가 상술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각 구성 요소의 기능을 제어한다. 또한 제어부(255)는 데이터 저장부(250)에 부가 정보의 저장, 데이터 파일 내에 부가 정보의 삽입, 저장 공간의 확보를 위한 데이터 저장부(250)내에 저장된 데이터의 삭제, 데이터 파일의 유저 데이터 영역에 포함된 정지 영상의 출력 제어 등 중 하나 이상을 더 수행할 수도 있다. 또한, 제어부(255)는 압축 처리부(235)와 물리적 또는/및 개념적으로 통합된 제어 유닛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 본 명세서에서 제어 유닛이라는 용어는 제어부(255)와 압축 처리부(235)가 통합된 구성 요소, 제어부(255) 및 압축 처리부(235) 중 어느 하나를 지칭하는 용어로 이용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운송 수단 관련 정보 저장 과정을 나타낸 순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파일의 포맷 구성을 예시한 도면이다.
이하, 관련 도면을 참조하여 본 실시예에 따른 운송 수단 관련 정보 저장 방법을 설명함에 있어, 각 단계가 하나 이상의 개별 구성 요소에 의해 수행되는 경우를 가정하여 설명한다. 그러나, 시스템 구성을 다양화함으로써 해당 단계가 명칭이 상이한 다른 구성 요소에 의해 수행되거나, 복수의 단계가 하나의 통합 구성 요소에 의해 수행될 수도 있음은 당연하다.
도 5를 참조하면, 단계 510에서 영상 입력부(225)는 미리 설정되거나 사용자에 의해 조정된 영상 입력 각도에서 입력되는 외부 영상에 상응하는 영상 정보를 생성하여 제어 유닛(즉, 압축 처리부(235) 또는/및 제어부(255)이며, 이하 동일함)로 출력한다. 해당 영상 정보는 이미지 시그널 프로세서 등에 의해 처리된 것일 수 있다.
또한, 정보 제공부(240)는 미리 지정된 부가 정보를 생성하여 제어 유닛으로 출력한다. 부가 정보는 예를 들어 차량에 구비된 센서, TPMS(Tire Pressure Monitoring System), GPS 수신기, 가속 센서, OBD(On-Board Diagnostic System) 등 중 하나 이상에 의해 제공되는 정보일 수 있다. 제어 유닛은 정보 제공부(240)로부터 입력되는 부가 정보를 이용하여 차량 사고 여부 등을 판단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단계 510에서 음성 녹음부(230)가 음성 신호 또는 오디오 정보(이하, 오디오 정보로 통칭함)를 제어 유닛으로 더 입력할 수도 있다.
단계 520에서 제어 유닛은 영상 입력부(225)로부터 입력되는 영상 정보, 음성 녹음부(230)로부터 입력되는 오디오 정보를 실시간 압축 처리한다. 실시간 압축 처리된 압축 데이터는 미리 지정된 저장 시각이 도래할 때까지 예를 들어 임시 저장부에 실시간 저장되어 유지될 수 있을 것이다.
영상 정보와 오디오 정보는 시각적으로 동기화되도록 실시간 압축 처리될 수 있다. 영상 정보와 오디오 정보는 예를 들어 각각 독립된 압축 데이터로 생성될 수도 있으며, 도 6에 예시된 바와 같이 데이터 파일 포맷으로 실시간 생성될 수도 있다. 또한, 실시간 생성되는 데이터 파일 포맷의 유저 데이터 영역(840) 내에 단계 510을 통해 수신된 부가 정보(850) 및/또는 단계 530에서 생성되는 정지 영상 데이터가 실시간 삽입될 수도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데이터 파일(610)은 비디오 데이터 영역(620), 오디오 데이터 영역(630) 및 유저 데이터 영역(640)을 포함하여 생성된다. 비디오 데이터 영역(620)에는 영상 입력부(225)로부터 입력된 영상 정보를 이용하여 생성한 데이터 가 위치하고, 오디오 데이터 영역(630)에는 음성 녹음부(230)로부터 입력된 오디오 정보를 이용하여 생성된 데이터가 위치하며, 유저 데이터 영역(640)에는 부가 정보 및 제어 유닛이 생성한 정지 영상 데이터가 각각 위치한다.
도 6에는 데이터 파일(610)의 포맷으로 MPEG4가 예시되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음은 당연하다.
유저 데이터 영역(640)에는 각종 차량 정보(예를 들어, 가속도 센서나 속도계, RPM, TPMS(Tire Pressure Measurement System) 등에 의해 제공되는 정보) 등이 실시간 기록되어 유지될 수 있다.
유저 데이터 영역(640)에 삽입되는 정지 영상은 영상 정보에 의해 생성되는 비디오 데이터보다 큰 이미지 해상도를 가지도록 함으로써, 사고 발생의 경우 등에서 사고 정황 등이 보다 명확히 판단되도록 할 수도 있으며, 생성된 정지 영상이 압축되어 삽입되도록 함으로써 데이터 파일의 크기도 감소시킬 수 있다. 해당 정지 영상은 지정된 시간 간격으로 생성되고, 생성된 시각 정보를 포함함으로써 사용자는 정지 영상들만을 확인할지라도 대략적인 상황 판단이 가능해질 수 있고, 특정 정지 영상을 지정함으로써 비디오 데이터의 재생도중 해당 시각 정보의 위치로 바로 이동하여 재생되도록 할 수도 있다.
다시 도 5를 참조하면, 단계 530에서 제어 유닛은 미리 설정된 주기(또는 시각이나 구간)마다 정지 영상을 생성하여 압축 처리한다. 정지 영상을 생성하기 위한 주기는 데이터 저장부(250)에 압축 데이터 또는 데이터 파일을 저장하기 위한 시간 간격보다 작게 설정될 수 있다.
단계 540에서 제어 유닛은 미리 지정된 저장 시점인지 여부를 판단한다. 제어 유닛은 시각 관리부(245)로부터의 통지(즉, 저장할 시간 간격의 만료 통지)가 수신되는지 여부로서 미리 지정된 저장 시점인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만일 저장 시점이 아니라면 단계 510으로 다시 진행하되, 저장 시점인 경우라면 단계 550으로 진행하여 저장 유닛은 임시 저장부에 저장된 압축 데이터들을 이용하여 데이터 저장부(250)에 저장할 데이터 파일을 생성한 후, 생성한 데이터 파일을 데이터 저장부(250)에 저장한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단계 520을 통해 제어 유닛이 데이터 파일을 실시간 생성한다면 단계 550은 생략될 수 있으며, 지정된 시간 간격마다 시각 관리부(245)가 임시 저장부에 저장된 데이터 파일을 데이터 저장부(250)로 이동 저장할 수도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저장부의 데이터 파일 저장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저장부 내의 데이터 파일 저장 방법을 예시한 도면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단계 710에서 파일 저장 조건이 설정된다. 파일 저장 조건은 초, 분 단위 등의 시간 조건(예를 들어, 10분 간격 등)으로 설정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디폴트(default)로 설정되거나, 사용자에 의해 설정될 수 있을 것이다.
단계 720에서, 제어 유닛은 데이터 저장부(250)의 저장 용량을 체크하여 새로운 파일(도 8의 820)이 생성되어 저장될 수 있는 저장 공간이 충분한지 여부를 판단한다.
만일 저장 공간이 불충분하다면 단계 740에서, 제어 유닛은 데이터 저장부(250)에 저장된 데이터 파일들 중 가장 오래된 데이터 파일(도 8의 810)을 삭제하여 저장 공간이 확보되도록 한다.
데이터 저장부(250)에 새로운 파일이 저장될 저장 공간이 확보되면, 단계 720에서 저장 유닛은 파일 저장 조건에 따른 저장 시점인지 여부를 판단한다. 저장 시점이 아닌 경우에는 단계 710으로 다시 진행한다.
그러나 만일 저장 시점인 경우라면, 단계 750으로 진행하여, 제어 유닛은 새로운 데이터 파일을 생성하여 데이터 저장부(250)에 저장한다. 이때 생성되는 데이터 파일의 명칭은 예를 들어 해당 시점의 GPS 시각 또는 정보 통합 저장 장치(210)의 시스템 시각으로 설정되도록 할 수 있다.
상술한 운송 수단 관련 정보 저장 방법은 정보 통합 저장 장치에 내장된 소프트웨어 프로그램 등에 의해 시계열적 순서에 따른 자동화된 절차로 수행될 수도 있음은 자명하다. 상기 프로그램을 구성하는 코드들 및 코드 세그먼트들은 당해 분야의 컴퓨터 프로그래머에 의하여 용이하게 추론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프로그램은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정보저장매체(computer readable media)에 저장되고, 컴퓨터에 의하여 읽혀지고 실행됨으로써 상기 방법을 구현한다. 상기 정보저장매체는 자기 기록매체, 광 기록매체 및 캐리어 웨이브 매체를 포함한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차량용 영상 녹화 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보 통합 저장 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채널 영상 압축을 위한 연결 구조를 나타낸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채널 영상 압축을 위한 입출력 신호 형태를 나타낸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운송 수단 관련 정보 저장 과정을 나타낸 순서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파일의 포맷 구성을 예시한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저장부의 데이터 파일 저장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저장부 내의 데이터 파일 저장 방법을 예시한 도면.

Claims (22)

  1. 운송 수단 관련 정보 저장 장치에 있어서,
    외부 영상에 상응하는 영상 정보를 생성하여 출력하는 영상 입력부;
    외부 소리에 상응하는 오디오 정보를 생성하여 출력하는 오디오 입력부;
    GPS 정보, 운송 수단 정보 중 하나 이상인 부가 정보를 생성하여 출력하는 정보 제공부; 및
    상기 영상 정보 및 오디오 정보를 인코딩 처리하여 하나의 데이터 파일을 생성하고, 상기 데이터 파일의 유저 데이터 영역에 상기 부가 정보를 삽입하는 제어 유닛을 포함하되,
    상기 제어 유닛은 설정된 시간 간격으로 상기 영상 정보를 이용한 정지 영상을 생성하고, 생성된 정지 영상을 인코딩 처리한 후 상기 데이터 파일에 삽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송 수단 관련 정보 저장 장치.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정지 영상은 상기 인코딩 처리된 상기 영상 정보에 비해 큰 이미지 해상도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송 수단 관련 정보 저장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정지 영상은 생성된 시각에 대한 시각 정보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송 수단 관련 정보 저장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임의의 정지 영상이 지정되면, 상응하는 시각 정보에 해당하는 위치부터 상기 데이터 파일의 재생이 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송 수단 관련 정보 저장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정지 영상은 상기 유저 데이터 영역에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송 수단 관련 정보 저장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유닛은 사용자 조작에 의해 상기 데이터 파일에 삽입된 상기 정지 영상을 재생 처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송 수단 관련 정보 저장 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파일의 저장을 위한 시간 간격 조건을 관리하는 시각 관리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제어 유닛은 상기 시각 관리부의 통지에 의해 임시 저장부에 저장된 상기 데이터 파일을 데이터 저장부로 이동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송 수단 관련 정보 저장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유닛은 상기 데이터 저장부의 저장 공간을 잔여 크기를 체크하여, 상기 데이터 파일을 위한 저장 공간이 부족한 경우 이미 저장된 데이터 파일들 중 가장 오래된 순서로 하나 이상의 데이터 파일을 삭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송 수단 관련 정보 저장 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부가 정보는 GPS 수신기, TPMS(Tire Pressure Monitoring System), 가속 센서, OBD(On-Board Diagnostic System) 중 하나 이상에 의해 제공되는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송 수단 관련 정보 저장 장치.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 입력부는 상이한 입력 방향에서 각각 입력되는 복수의 외부 영상에 상응하는 영상 정보를 생성하여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송 수단 관련 정보 저장 장치.
  12. 운송 수단 관련 정보 저장 장치가 운송 수단에 관련한 정보를 저장하는 방법에 있어서,
    영상 입력부로부터 제공되는 영상 정보 및 오디오 입력부로부터 제공되는 오디오 정보를 실시간 인코딩 처리하여 하나의 데이터 파일을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데이터 파일의 유저 데이터 영역에 GPS 정보, 운송 수단 정보 중 하나 이상인 부가 정보를 삽입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미리 설정된 시간 간격으로 상기 영상 정보를 이용한 정지 영상을 생성하고, 상기 정지 영상을 인코딩 처리한 후 상기 데이터 파일에 삽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송 수단 관련 정보 저장 방법.
  13. 삭제
  14.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정지 영상은 상기 인코딩 처리된 상기 영상 정보에 비해 큰 이미지 해상도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송 수단 관련 정보 저장 방법.
  15.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정지 영상은 생성된 시각에 대한 시각 정보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송 수단 관련 정보 저장 방법.
  16. 제15항에 있어서,
    임의의 정지 영상이 지정되면, 상응하는 시각 정보에 해당하는 위치부터 상기 데이터 파일의 재생이 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송 수단 관련 정보 저장 방법.
  17.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정지 영상은 상기 유저 데이터 영역에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송 수단 관련 정보 저장 방법.
  18. 제12항에 있어서,
    사용자 조작에 의해 상기 데이터 파일에 삽입된 상기 정지 영상이 재생 처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송 수단 관련 정보 저장 방법.
  19.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파일의 저장을 위해 미리 설정된 시간 간격 조건이 만족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만족하는 경우, 임시 저장부에 저장된 상기 데이터 파일을 데이터 저장부로 이동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운송 수단 관련 정보 저장 방법.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저장부의 저장 공간을 잔여 크기를 체크하여 상기 데이터 파일의 저장을 위한 저장 공간이 충분한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불충분한 경우, 상기 데이터 저장부에 이미 저장된 데이터 파일들 중 가장 오래된 순서로 하나 이상의 데이터 파일을 삭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운송 수단 관련 정보 저장 방법.
  21.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부가 정보는 GPS 수신기, TPMS(Tire Pressure Monitoring System), 가속 센서, OBD(On-Board Diagnostic System) 중 하나 이상에 의해 제공되는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송 수단 관련 정보 저장 방법.
  22. 제12항, 제14항 내지 제21항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운송 수단 관련 정보 저장 방법을 수행하기 위하여 디지털 처리 장치에 의해 실행될 수 있는 명령어들의 프로그램이 유형적으로 구현되어 있으며 디지털 처리 장치에 의해 판독될 수 있는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매체.
KR1020090052500A 2009-06-12 2009-06-12 운송 수단 관련 정보 저장 장치 및 방법 KR10101540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52500A KR101015408B1 (ko) 2009-06-12 2009-06-12 운송 수단 관련 정보 저장 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52500A KR101015408B1 (ko) 2009-06-12 2009-06-12 운송 수단 관련 정보 저장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33784A KR20100133784A (ko) 2010-12-22
KR101015408B1 true KR101015408B1 (ko) 2011-02-22

Family

ID=435089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52500A KR101015408B1 (ko) 2009-06-12 2009-06-12 운송 수단 관련 정보 저장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1540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150447B2 (en) 2014-03-13 2018-12-11 Center For Integrated Smart Sensors Foundation Apparatus and method for storing image on basis of input sound signal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142517A (ja) 2005-11-15 2007-06-07 Kazuo Iwane 移動型自動監視装置
KR20070059533A (ko) * 2005-12-07 2007-06-12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차량용 감시 촬영 시스템
KR100761664B1 (ko) * 2005-12-16 2007-10-01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주행 상황 정보를 저장하는 자동차 내비게이션 장치
KR100876494B1 (ko) 2007-04-18 2008-12-31 한국정보통신대학교 산학협력단 멀티비디오 및 메타데이터로 구성된 통합 파일 포맷 구조및 이를 기반으로 하는 멀티비디오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142517A (ja) 2005-11-15 2007-06-07 Kazuo Iwane 移動型自動監視装置
KR20070059533A (ko) * 2005-12-07 2007-06-12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차량용 감시 촬영 시스템
KR100761664B1 (ko) * 2005-12-16 2007-10-01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주행 상황 정보를 저장하는 자동차 내비게이션 장치
KR100876494B1 (ko) 2007-04-18 2008-12-31 한국정보통신대학교 산학협력단 멀티비디오 및 메타데이터로 구성된 통합 파일 포맷 구조및 이를 기반으로 하는 멀티비디오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150447B2 (en) 2014-03-13 2018-12-11 Center For Integrated Smart Sensors Foundation Apparatus and method for storing image on basis of input sound signal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33784A (ko) 2010-12-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081214B2 (en) Method of and system for mobile surveillance and event recording
JP5014035B2 (ja) 記録装置及び検証装置及び再生装置及びプログラム
CN104104904A (zh) 数据记录方法、系统、手机、眼镜和手表
JP5322680B2 (ja) ドライブレコーダ
JP2006067172A (ja) イベント記録方法およびイベントレコーダ
KR101015408B1 (ko) 운송 수단 관련 정보 저장 장치 및 방법
JP5424861B2 (ja) ドライブレコーダ、記録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5762145B2 (ja) 再生システム及びその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7370446B2 (ja) 車載映像記録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KR102380035B1 (ko) 차량용 영상 처리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데이터 처리 방법
CN101373546A (zh) 一种车用事故记录储存装置
KR102073700B1 (ko) 차량용 영상 처리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데이터 처리 방법
JP2006302104A (ja) 映像記録装置
JP2019148867A (ja) 車両用記録装置、車両用記録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2008085626A (ja) 出力処理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CN100525420C (zh) 记录方法和记录装置
KR20200016908A (ko) 차량용 영상 처리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데이터 처리 방법
JP2013109418A (ja) ドライブレコーダ
JP2005328279A (ja) 記録装置
JP3182439U (ja) ビデオ記録装置
JP2009026401A (ja) 車載装置
KR20150132672A (ko) 선별된 프레임을 고해상도로 저장하는 비디오 레코딩 시스템 및 동작 방법
JP5711626B2 (ja) ドライブレコーダ、ドライブレコーダシステム及び動画再生方法
KR101036832B1 (ko) 차량 시스템, 차량용 영상 저장 장치 및 차량 가감속 조작 상태 저장 방법
JP2012004618A (ja) 動画再生装置、動画記録再生システム、動画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0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2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29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