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80035B1 - 차량용 영상 처리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데이터 처리 방법 - Google Patents

차량용 영상 처리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데이터 처리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80035B1
KR102380035B1 KR1020200155479A KR20200155479A KR102380035B1 KR 102380035 B1 KR102380035 B1 KR 102380035B1 KR 1020200155479 A KR1020200155479 A KR 1020200155479A KR 20200155479 A KR20200155479 A KR 20200155479A KR 102380035 B1 KR102380035 B1 KR 10238003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age
information
tag
identifying
electronic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554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135249A (ko
Inventor
박순우
Original Assignee
팅크웨어(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KR1020200010903A external-priority patent/KR20200016908A/ko
Application filed by 팅크웨어(주) filed Critical 팅크웨어(주)
Priority to KR102020015547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80035B1/ko
Publication of KR2020013524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3524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8003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8003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76Television signal recording
    • H04N5/91Television signal processing therefor
    • H04N5/913Television signal processing therefor for scrambling ; for copy protec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lementary server operations; Server middleware
    • H04N21/235Processing of additional data, e.g. scrambling of additional data or processing content descriptors
    • H04N21/2351Processing of additional data, e.g. scrambling of additional data or processing content descriptors involving encryption of additional dat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26Internal components of the client ; Characteristics thereof
    • H04N21/42684Client identification by a unique number or address, e.g. serial number, MAC address, socket I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Television Signal Processing For Recording (AREA)

Abstract

차량에 장착 가능한 영상 처리 장치가 개시된다. 본 영상 처리 장치는 메모리, 영상을 획득하는 카메라부, 카메라부를 통해 획득된 영상을 압축하고, 암호화하는 신호 처리부 및 획득된 영상의 메타 데이터를 이용하여 영상을 암호화하여 메모리에 저장하도록 신호 처리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차량용 영상 처리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데이터 처리 방법 {Image-processing Apparatus for Car and Method of Processing Data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차량용 영상 처리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차량용 블랙박스에 의해 촬영된 동영상 파일은 조작을 방지하기 위해 카메라를 통해 촬영된 동영상을 사진 파일의 형태로 저장하고 이 사진 파일에 임의의 규칙적인 코드(암호키)와 스탬프를 추가하여 암호화하고 암호화된 사진 파일을 인코딩함으로써, 블랙박스 촬영 영상의 왜곡이나 조작을 방지할 수 있는 차량용 영상 처리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데이터 처리 방법에 관한 것이다.
현재 많은 자동차 소유주들은 교통사고의 원인 규명이 용이하고, 교통사고로 인한 당사자간의 분쟁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차량용 블랙박스를 장착하는 비율이 점차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며, 세계 각 국가들은 이러한 이점들에 따라 차량용 블랙박스 의무 장착을 권장하고 있는 추세이다.
이에 따라 각 차량에 설치된 블랙박스에 저장된 영상 데이터를 사용하여 교통 흐름 관리에 이용함으로써, 효율적인 교통 통제 및 교통사고를 예방하는 데에 블랙박스에 저장된 데이터에 대한 이용도가 증가하는 추세이다.
이와 같이, 사고 당시의 상황(영상, 차량 속도, 충돌 각도 , 사후 처리 과정 등)을 영상으로 저장하여 사고 당사자 간의 분쟁을 최소화하고 법적 자료로도 활용이 되고 있어, 차량용 블랙박스는 현재 교통사고의 원인을 규명하는데 있어 중요한 자료로 사용되고 있다. 또한 범죄 현장에서는 CCTV로서의 역할도 수행하고 있어 블랙박스의 수요가 증가하고 있다. 하지만 무분별한 영상 유출을 통한 사생활 침해와 영상 조작으로 인한 피해도 발생하고 있다. 영상을 조작하여 사고에 대한 증거를 조작하거나 없애버리고 활용할 수 없도록 하고 있다. 따라서 이를 관리 및 조작 방지를 위해 암호화 기술을 추가하고 전용 재생기를 통해 해당 영상을 재생할 수 있도록 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과제는, 차량용 블랙박스에 의해 촬영된 동영상 파일은 조작을 방지하기 위해 카메라를 통해 촬영된 동영상을 사진 파일의 형태로 저장하고 이 사진 파일에 임의의 규칙적인 코드(암호키)와 스탬프를 추가하여 암호화하고 암호화된 사진 파일을 인코딩함으로써, 블랙박스 촬영 영상의 왜곡이나 조작을 방지할 수 있는 차량용 영상 처리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데이터 처리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양상에 따른 차량용 영상 처리 장치는, 차량에 장착 가능한 차량용 영상 처리 장치에 있어서, 메모리; 외부 영상을 획득하는 카메라 모듈; 및 상기 카메라 모듈을 통해 복수의 정지영상을 획득하고, 상기 정지영상의 교환이미지파일형식(EXIF)마다 촬영된 영상정보를 저장하고 특정 스탬프 이미지를 결합한 후 인코딩하여 영상 데이터를 생성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다른 양상에 따른 차량용 영상 처리 장치의 데이터 처리 방법은, 차량에 장착 가능한 차량용 영상 처리 장치의 데이터 처리 방법에 있어서, 상기 차량용 영상 처리 장치에 구비된 카메라 모듈을 통해 복수의 외부 정지 영상을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정지영상의 교환이미지파일형식(EXIF)마다 촬영된 영상정보를 저장하고 특정 스탬프 이미지를 결합한 후 인코딩하여 영상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영상 처리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데이터 처리 방법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이벤트 발생된 이미지를 통합관리할 수 있다. 녹화 데이터의 암호화를 통해 개인의 불법적 유통을 방지할 수 있고, 교통위반 포상금 제도를 대체 가능하게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이미지에 대한 조작 또는 왜곡 방지하여 저장된 이미지에 대한 신뢰성을 높임으로써, 증거 채택의 수단으로 사용되어 불필요한 분쟁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차량용 영상 처리 장치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JPEG 파일의 포맷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JPEG 이미지의 EXIF 파일 포맷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처리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촬영된 이미지 파일에 저장된 시각 정보의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촬영된 이미지 파일에 대한 속성 정보의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처리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미지 파일 저장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미지 파일 저장의 다른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라 이미지 재생 장치가 이미지를 재생하는 흐름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라 이미지 재생 장치가 이미지를 재생하는 흐름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스탬프 이미지가 제거되어 원래의 이미지로 재생되는 예를 도시한다.
도 13은 상기 S460 단계와 상기 S470 단계에서 각 블록 별 픽셀 값을 비교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4는 도 4의 동작 흐름도를 구현하기 위한 차량용 영상 처리 장치의 일 예를 도시한다.
도 15는 도 7의 동작 흐름도를 구현하기 위한 차량용 영상 처리 장치의 일 예를 도시한다.
도 16은 도 10의 동작 흐름도를 구현하기 위한 이미지 재생 장치의 일 예를 도시한다.
도 17은 도 11의 동작 흐름도를 구현하기 위한 이미지 재생 장치의 일 예를 도시한다.
본 발명의 상술한 목적, 특징들 및 장점은 첨부된 도면과 관련된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통하여 보다 분명해질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서 동일한 참조번호들은 동일한 구성요소들을 나타낸다. 또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이하, 본 발명과 관련된 이동 단말기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도1> 블랙박스 구성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차량용 영상 처리 장치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상기 차량용 영상 처리 장치(100)는 차량용 블랙박스 장치로 호칭되기도 한다.
도 1을 참조하면, 상기 차량용 영상 처리 장치는 카메라 모듈(101), 마이크(102), 신호처리부(103), 저장부(104), 통신부(105), 전원부(106), 제어부(107), 충격감지부(108), 위치정보모듈(109), 디스플레이(110), 음향출력모듈(111), 외부표시장치(112), 인터페이스(113) 및 입력부(120)를 포함할 수 있다.
카메라 모듈(101)은 차량의 전방 또는 후방, 측면, 내부의 영상을 촬영하여 신호처리부(103)로 전송할 수 있다. 상기 촬영된 영상은, 상기 신호처리부(103)에서 압축 과정을 거친 후 저장부(104)에 저장되거나 압축 과정 없이 바로 저장부(104)에 저장될 수 있다. 카메라 모듈(101)은 시스템의 구성에 따라 1개의 카메라로 구성되어 전방만을 촬영하거나, 복수의 카메라로 구성된 경우 전방, 후방, 측면, 차량 내부 등의 사용 목적에 따라 여러 가지 방법으로 카메라의 녹화 위치를 설정할 수 있다.
마이크(102)는 차량의 외부 또는 내부의 음성이나 소리를 녹음하여 신호처리부(103)로 전송할 수 있다. 상기 녹음된 음성이나 소리는 신호처리부(103)로 전송되어 압축 과정을 거친 후 저장부(104)에 저장되거나 압축 과정 없이 바로 저장부(104)에 저장될 수 있다. 상기 녹음된 음성이나 소리는 외부 충격에 의한 소리나 차량 내/외부의 상황과 관련된 것으로서 영상과 함께 당시의 상황을 인식하는 데 도움을 줄 수 있다.
신호처리부(103)는 카메라 모듈(101)로부터 촬영된 영상데이터의 용량을 줄이기 위해 압축한다. 영상 데이터는 각 프레임들이 시간을 축으로 여러 장 모여 있는 형태를 지닌다. 즉, 주어진 시간 동안 연속으로 촬영된 사진이라 볼 수 있다. 이러한 영상의 용량은 압축을 하지 않은 경우 매우 크고, 이를 메모리에 그대로 저장하는 경우 매우 비효율적이므로, 디지털 변환된 영상에 대해 반드시 압축을 해야 한다. 동영상 압축에는 프레임 간의 상관관계, 공간적인 상관관계 및 저주파 성분에 민감한 시각의 특성을 이용한 방법 등이 사용된다. 원본 데이터는 압축으로 인해 손실되기 때문에, 차량의 교통사고 상황을 식별할 수 있을 만큼 적절한 비율로 압축되어야 한다. 동영상의 압축 방식으로는 H.264, MPEG4, H.263, H.265/HEVC 등의 다양한 비디오 코덱 중 하나가 사용될 수 있고 차량용 영상 처리 장치(100)에서 지원하는 방식으로 영상데이터가 압축된다.
또한 신호처리부(103)는 마이크(102)로부터 녹음된 데이터를 압축할 수 있다. 신호처리부(103)는 녹화된 영상과 음성 데이터를 압축할 뿐만 아니라 암호화를 하여 데이터의 접근을 제한할 수도 있다.
저장부(104)는 녹화된 영상과 음성데이터를 저장 주기에 의해 저장 주기 단위로 영상과 음성 데이터를 하나의 파일 또는 두 개의 파일로 저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저장 주기가 30초이면 처음 30초 동안 녹화된 영상과 음성을 압축하여 동영상 파일 형태로 저장하고 반복적으로 30초 동안의 녹화 영상과 음성을 압축하여 저장한다.
저장부(104)는 녹화모드에 따라 서로 다른 데이터를 저장 영역을 나누어 저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주행 중 녹화된 데이터와 주차 중 녹화된 데이터를 폴더를 구분하여 저장할 수 있고, 상시 녹화된 데이터와 이벤트에 의해 녹화된 데이터를 폴더를 구분하여 저장할 수 있다.
저장부(104)는 차량용 영상 처리 장치(100)의 내부에 구성되거나 차량용 영상 처리 장치(100)에 구비된 포트를 통해 착탈식으로 구성되거나 차량용 영상 처리 장치(100)의 외부에 존재할 수 있다. 저장부(104)가 차량용 영상 처리 장치(100)의 내부에 구성된 경우,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나 플래쉬 메모리 형태로 존재할 수 있다. 저장부(104)가 차량용 영상 처리 장치(100)에 착탈식으로 구성된 경우, SD카드, Micro SD카드, USB메모리 등의 형태로 존재할 수 있다. 저장부(105)가 차량용 영상 처리 장치(100)의 외부에 구성된 경우 통신부(105)를 통해 다른 기기 또는 서버에 있는 저장공간에 존재할 수 있다.
통신부(105)는 차량용 영상 처리 장치(100)가 서버나 다른 차량 또는 다른 기기와 녹화된 영상이나 음성을 주고 받을 수 있는 연결을 구성해 준다. 또한 통신부(105)는 차량 정보나 주변 정보를 서버나 다른 차량 또는 다른 기기 간에 송수신할 수 있도록 한다. 통신부(105)는 WIFI, Bluetooth, 3G, LTE, WIMAX, WIGI 등의 무선 네트워크나 EtherNet, MODEM 등의 유선 네트워크를 지원할 수 있다.
전원부(106)는 외부의 전원을 입력 받거나 자체 배터리의 전원을 공급받아 차량용 영상 처리 장치(100)가 구동될 수 있는 전원을 공급한다. 차량이 시동 상태이면 차량의 전원이 차량용 영상 처리 장치(100)에 공급되어 충전지를 충전시키고, 차량의 시동이 꺼진 상태에서는 충전지의 전원이 차량용 영상 처리 장치(100)에 공급된다.
제어부(107)는 통상적으로 차량용 영상 처리 장치(1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제어부(107)는 멀티미디어 재생을 위한 멀티미디어 모듈을 구비할 수도 있다. 상기 멀티미디어 모듈은 제어부(107) 내부에 구현될 수도 있고, 제어부(107)와 별도로 구현될 수도 있다.
제어부(107)는 차량의 주행 여부나 충격감지부(108)의 신호를 기초로 하여 차량용 영상 처리 장치(100)의 동작모드를 설정할 수 있다. 제어부(107)는 차량이 주행 중일 때는 상시 녹화 기능을 수행하거나 충격감지부(108)에 감지된 충격 이벤트에 의해서 이벤트 녹화를 수행할 수 있다. 제어부(107)는 차량이 주차 중일 때는 충격감지부(108)에 감지된 충격 이벤트나 카메라 모듈(101)에 녹화되는 물체의 움직임을 판단하여 주차 녹화 기능을 수행하도록 차량용 영상 처리 장치(100)를 제어할 수 있다.
충격감지부(108)는 차량에 가해지는 충격을 감지하거나 가속도의 변화량이 일정 이상일 경우 이벤트를 발생시켜 제어부(107)로 전송한다. 충격감지부(108)는 충격이나 가속도를 감지하기 위해 가속도센서, 지자계센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위치정보 모듈(109)은 차량용 영상 처리 장치(100)의 위치를 확인하거나 얻기 위한 모듈이다. 상기 위치정보 모듈의 대표적인 예로는 GPS(Global Position System) 모듈이 있다.
위치정보 모듈(109)은 차량의 현재 위치를 실시간으로 계속 산출하고 이를 이용하여 차량의 속도 정보를 산출하기도 한다.
디스플레이부(110)는 차량용 영상 처리 장치(100)에서 처리되는 정보를 표시 출력한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부(110)는 카메라모듈(101)에 의해 녹화되는 영상과 음성을 실시간 또는 나중에 확인할 수 있고 제어부(107)에서의 녹화설정을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화면에 표시할 수 있고 터치 입력이 가능하여 사용자가 쉽게 원하는 기능을 선택하고 설정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10)는 액정 디스플레이(liquid crystal display), 박막 트랜지스터 액정 디스플레이(thin film transistor-liquid crystal display), 유기 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emitting diode), 플렉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 3차원 디스플레이(3D display)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10)와 터치 동작을 감지하는 센서(이하, '터치 센서'라 함)가 상호 레이어 구조를 이루는 경우(이하, '터치 스크린'이라 약칭함)에, 디스플레이부(110)는 출력 장치 이외에 입력 장치로도 사용될 수 있다. 터치 센서는, 예를 들어, 터치 필름, 터치 시트, 터치 패드 등의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음향 출력 모듈(111)은 통신부(105)에서 수신되거나 저장부(104)에 저장된 오디오 데이터를 출력할 수 있다. 음향 출력 모듈(111)은 차량용 영상 처리 장치(100)에서 수행되는 기능과 관련된 음향 신호를 출력한다.
이러한 음향 출력 모듈(111)에는 리시버(Receiver), 스피커(speaker), 버저(Buzzer)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음향 출력 모듈(111)은, 이어폰잭을 통해 음향을 출력할 수 있다. 사용자는 상기 이어폰잭에 이어폰을 연결하여 출력되는 음향을 들을 수 있다.
외부표시장치(112)는 LED나 라이트 등의 발광소자로서 차량용 영상 처리 장치(100)의 동작상태를 알리거나 버튼이나 터치 등의 차량용 영상 처리 장치(100)의 조작이 용이하도록 빛을 제공할 수 있다.
인터페이스(113)는 차량용 영상 처리 장치(100)에 연결되는 모든 외부기기와의 통로 역할을 한다. 인터페이스(113)는 외부 기기로부터 데이터를 전송받거나 전원을 공급받아 차량용 영상 처리 장치(100) 내부의 각 구성 요소에 전달하거나 차량용 영상 처리 장치(100) 내부의 데이터가 외부 기기로 전송되도록 한다. 예를 들어, 유/무선 헤드셋 포트, 외부 충전기 포트, 유/무선 데이터 포트, 메모리 카드(memory card) 포트, 식별 모듈이 구비된 장치를 연결하는 포트, 오디오 I/O(Input/Output) 포트, 비디오 I/O(Input/Output) 포트, 이어폰 포트 등이 인터페이스부(170)에 포함될 수 있다.
입력부(120)는 사용자가 차량용 영상 처리 장치(100)의 동작 제어를 위한 입력 데이터를 발생시킨다. 입력부(120)는 키 패드(key pad) 돔 스위치 (dome switch), 터치 패드(정압/정전), 조그 휠, 조그 스위치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도2> JPEG 파일의 포맷 구조
도 2는 JPEG 파일의 포맷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디지털 카메라의 경우 연사(연속 촬영)를 통해 기기마다 다르지만 초당 3매 내지 수십 매의 정지 화면을 사진 파일(JPEG)로 저장하고 이 사진 파일들을 움직이는 화면으로 재생하여 동영상으로 촬영한 것처럼 보이게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블랙박스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차량용 영상 처리 장치(100)도 동영상 파일로 저장하는 것이 아니라 초당 15 내지 30매 정도의 정지 화면을 사진 파일(JPEG)로 저장하고, JPEG 파일의 도 2의 APP1 마커의 EXIF (Exchangeable image file format) 포맷에 부가적인 정보를 넣어 조작 방지 및 판별하고 전/후 사진 파일을 비교하여 최종적으로 조작 여부를 식별할 수 있다.
또한 사진 파일 저장의 경우 동영상 파일에 비해 좀 더 좋은 화질을 구현할 수 있는 장점도 있다.
JPEG 파일 포맷에서, APP1마커의 교환이미지파일형식(EXIF) 데이터에 시간, 위치, 속도 등에 해당하는 GPS 정보, 시각 정보, 촬영 순서(초당 1/N개 사진 중 몇 번째 사진), 촬영 환경 정보, 제조사 ID(제조사 ID, 생산 코드 등), User ID(User가 설정한 Password) 등의 정보를 저장하여 1차적으로 조작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EXIF 메타 데이터는 이미지 파일 자체에 포함되어 있지만 파일이 변경되더라도 정보를 보존한다.
<도3> JPEG 이미지 파일의 저장 과정
도 3은 JPEG 이미지의 EXIF 파일 포맷을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JPEG 이미지 파일의 저장 과정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차량용 영상 처리 장치(100, 블랙박스)에 구비된 카메라를 통해 촬영된 파일을 매초 15~30매 혹은 그 이상의 JPEG 파일로 저장한다.
JPEG 파일의 경우 내부적으로 도 3와 같은 EXIF라는 별개의 데이터도 함께 저장되는데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은 EXIF에 저장된 정보를 이용하거나 여기에 암호키를 추가하여 조작을 어렵게 한다.
JPEG 포맷에는 다양한 Application Specific Data가 포함되는 Marker인 APPn Marker가 있는데 이 중 n=1인 APP1 마커에 EXIF데이터가 포함되어 있다.
EXIF데이터에는 사진의 기본 정보들이 포함되는데 사진을 찍은 기기의 모델명, 날짜, 렌즈 종류, GPS 등 많은 정보가 저장된다. 대부분 사진 촬영에 따른 정보들인데 이 EXIF 데이터에 일반적으로 많이 저장하는 시간, 위치, 속도 등의 GPS 정보, 시각 정보(파일 생성 시각, 촬영된 시각, 디지털 이미지로 처리된 시각), 촬영 환경 정보(조리개 상태, 노출 방식, 플래시 사용 유무 등)과 더불어 촬영 순서(초당 1/N개 사진 중 몇 번째 사진이라는 정보), 인증정보인 제조사 ID(제조사ID, 생산 코드 등의 정보), user ID(user가 설정한 password) 등의 정보를 추가로 저장한다.
이런 정보들은 EXIF 데이터 이외에도 APPn 마커를 이용하거나 주석을 달기 위한 maker인 COM 필드에도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상기 EXIF에 저장된 정보들을 다음과 같이 조작 방지 및 판별, 전용 뷰어 제한 등 목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도4,5,6> 촬영 이미지 저장 동작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처리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촬영된 이미지 파일에 저장된 시각 정보의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촬영된 이미지 파일에 대한 속성 정보의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처리 방법은, 도 1 및 후술하는 도 14에 도시된 차량용 영상 처리 장치(100)에서 구현될 수 있다. 이하 필요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처리 방법과, 이를 구현하기 위한 차량용 영상 처리 장치(100)의 동작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영상 처리 장치(100)는 초당 N프레임으로 동영상을 촬영하고[S100], 매 프레임에 포함된 EXIF에 촬영된 영상 정보를 저장한다[S110].
이때 상기 S110 단계에서 상기 EXIF에 포함되는 영상 정보는, 시각 정보, 제조사 ID, 사고 현장 재현 정보, 사용자 ID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상기 S110 단계에서 EXIF에 포함되는 영상 정보 중 시각 정보에 대해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EXIF 파일에는 아래와 같이 3개의 시간 정보 값이 저장된다.
- DateTime(TagID:132) : 디바이스 내에서 영상이 마지막에 갱신된 시간과 날짜 정보
- DateTimeOriginal(TagID : 9003) : 영상의 원본 이미지 데이터가 생성된 시간과 날짜 정보
- DateTimeDigitized(TagID : 9004): 영상의 이미지가 디지털 데이터로 저장된 시간과 날짜 정보
일반적으로 블랙박스나 디지털 카메라를 통해 촬영된 이미지 파일을 보거나 조작하기 위해서는 사용자가 촬영된 이미지 파일을 PC로 옮겨 열어보게 되는데 이 때 도 5와 같이 상기 DateTime(TagID: 132), DateTimeOriginal(TagID: 9003), DateTimeDigitized(TagID: 9004)의 시간 값들은 변하게 된다.
도 6과 같이 사용자가 이미지 파일을 PC에 저장하는 순간에는 수정한 날짜만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EXIF내에 저장되어 있는 시간 값으로 저장되고 도 6에서의 나머지 날짜 정보인 만든 날짜(생성 시간)와 액세스한 날짜(접근 시간)는 촬영된 이미지 파일이 PC로 복사되거나 옮겨온 시간을 참고하여 저장되게 된다.
즉, 사용자가 블랙박스에서 촬영된 이미지 파일을 열어볼 경우에는, 이미지가 왜곡 또는 조작되지 않았다면, 이미지의 속성 정보에 포함된 수정 날짜가 만든 날짜와 액세스한 날짜보다 무조건 최소 몇 분 전이어야 하며 생성 시간과 접근 시간은 동일해야 한다.
만약 조작이 이루어졌다면 수정 날짜는 업데이트되어 조작을 수행한 시간으로 저장되고, 이미지를 재생할 때 이미지 재생 장치는 이 조작된 정보를 EXIF 시각 정보와 비교함으로써, 조작 여부를 사용자에게 알려 줄 수 있다.
수정되지 않은 이미지 파일들은 다음과 같은 조건의 시각 정보를 가지고 있고, 이를 비교 확인함으로써 조작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 EXIF의 3개 필드 시간 값은 동일
- 파일 시스템 속성 정보의 파일 만든 날짜와 액세스한 날짜가 동일하며 수정 날짜는 EXIF 시간 값과 동일
- 파일 시스템의 파일 만든 날짜와 액세스한 날짜는 수정 날짜보다 느리다.
상기 S110 단계에서 EXIF에 포함되는 영상 정보 중 제조사 ID에 대해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제조사 ID를 이용한 사고 현장 여부를 판별할 수 있다. EXIF에 저장되는 정보들 중 제조사 ID의 경우에는 각 제품에 대한 특정된 값으로 생산 과정에서 제조사에서 입력한 값과 제품에 부착된 바코드가 동일한 값을 가진다. 사고 현장에 있던 제품과 JPEG 파일의 제조사 ID가 동일한지를 확인함으로써 이미지 재생 장치는 저장된 이미지 파일이 실제 현장에서 촬영된 파일임을 판별할 수 있다.
상기 S110 단계에서 EXIF에 포함되는 영상 정보 중 사고현장재현 정보에 대해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촬영 당시의 GPS 위치 정보를 이용하여 정확한 위치를 파악하고 촬영 정보(조리개 상태, 노출 방식, 셔터 스피드, 플래시 사용 유무 등)와 동일한 조건으로 재현 실험을 진행하여 저장된 파일과 재현 실험에서 나온 파일을 비교하여 조작 여부를 판별할 수 있다.
상기 S110 단계에서 EXIF에 포함되는 영상 정보 중 사용자 ID(User ID) 정보에 대해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이미지 재생 장치가 블랙박스의 카메라를 통해 촬영된 이미지를 동영상으로 재생하고자 할 때에는 미리 설정된 User ID 정보와 이미지 재생 장치에 설정된 이미지 재생 장치의 ID가 일치할 경우에만 재생이 가능하며 불일치할 경우에는 재생이 불가하여 제3자가 조작하거나 왜곡된 이미지의 경우에는 재생을 하지 않거나 조작 또는 왜곡된 이미지라는 표시를 표시부를 통해 출력한다.
상기 S110 단계에서는 앞에서 설명한 것 외에도 EXIF에 저장된 각종 정보를 이용하여 조작 여부를 판별할 수 있다. 조작 여부를 판별하는 과정은 전송확인 프로그램이나 영상 재생기를 통해서 확인할 수 있다.
<도7> 스탬프 이미지 이용
도 7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처리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미지 파일 저장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미지 파일 저장의 다른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처리 방법은, 도 1 및 후술하는 도 15에 도시된 차량용 영상 처리 장치(100)에서 구현될 수 있다. 이하 필요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처리 방법과, 이를 구현하기 위한 차량용 영상 처리 장치(100)의 동작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EXIF 정보를 사용하여 이미지의 왜곡 또는 조작을 방지하는 것에 대하여 전술하였으나 EXIF 파일의 특성을 잘하는 전문가의 경우에는 이러한 정보조차 조작할 가능성이 있으므로, 본 발명의 실시예로서 EXIF 정보 외에도 블랙박스 제조회사에서 규격화한 스탬프(Stamp) 이미지를 이용하여 왜곡 또는 조작 방지 방법을 제안한다.
복잡하지만 규격화된 스탬프 이미지 파일을 1개 혹은 그 이상으로 촬영된 이미지 파일인 JPEG 파일과 겹치게 하거나 N개의 스탬프를 각각 1/N초마다 반복적으로 겹치게 하여 최종적으로는 스탬프 이미지가 겹쳐진 JPEG 파일로 저장할 수 있다.
따라서 제3자가 이 최종적으로 저장된 파일을 조작 또는 왜곡할 경우 스탬프 이미지 파일의 조작도 동시에 이루어져야 한다. 하지만 스탬프 이미지에 대한 정보가 없는 상태에서 제3자가 스탬프 이미지마저 조작하게 될 경우, 사용자는 이미지 재생 장치를 통해 상기 제3자가 왜곡 또는 조작한 이미지를 재생하는 과정에서 스탬프 이미지를 제거하고, 이미지 파일을 구성하는 각 픽셀을 비교하면서 조작 여부를 판별할 수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영상 처리 장치(100)는 초당 N프레임으로 동영상을 촬영하고[S200], 매 프레임에 포함된 EXIF에 촬영된 이미지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S210].
여기서 상기 S210 단계에서 상기 EXIF에 포함되는 영상 정보는 크게 시각 정보, 제조사 ID, 사고 현장 재현 정보, 사용자 ID 등이 포함될 수 있다.
그리고, 차량용 영상 처리 장치(100)는, 상기 S210 단계에서 저장된 이미지에 차량용 영상 처리 장치(100)의 제조사가 생성한 고유의 스탬프 이미지를 결합한 후[S220], 스탬프 이미지와 결합된 촬영 이미지를 인코딩하여 저장한다[S230].
상기 S220 단계에서 상기 촬영된 이미지에 상기 스탬프 이미지를 결합하는 과정은 여러 가지 방법으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에 따른 촬영된 이미지에 스탬프 이미지를 결합하는 일 실시예로서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매 이미지 프레임마다 동일한 이미지 스탬프를 결합할 수 있다. 1/N 초마다 동일한 스탬프를 1개 이상 결합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본 발명에 따른 촬영된 이미지에 스탬프 이미지를 결합하는 다른 실시예로서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N개의 스탬프를 이미지 파일마다 반복하여 결합할 수 있다. N개의 스탬프를 1/N초마다 반복적으로 결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2개의 스탬프를 0.5초 간격으로 반복하여 이미지 파일과 결합할 수 있다. 1초에 2개의 스탬프 이미지인 "Thinkware"에 해당하는 스탬프 이미지와 "iNavi"에 해당하는 스탬프 이미지가 0.5초 간격으로 반복되어 원본의 이미지 파일에 결합될 수 있다.
도 9에서 "Thinkware"가 결합되는 경우는, 0.5초에서 원본 이미지 파일에 Thinkware 스탬프 이미지가 결합되어 저장되는 것을 예시하고, "iNavi"가 결합되는 경우는 1초에서 원본 이미지 파일에 iNavi 스탬프 이미지가 결합되어 저장되는 것을 예시한다.
<도10> 이미지 재생 장치의 동작 흐름도1
도 10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라 이미지 재생 장치가 이미지를 재생하는 흐름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이미지 재생 장치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차량용 영상 처리 장치(100, 블랙박스)를 제조한 제조사가 만든 전용 뷰어(viewer)가 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이미지 재생 장치는, 후술하는 도 16에 도시된 구성을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이미지 재생 장치는 이미지 파일을 로딩한 후[S300], EXIF에 포함된 정보(시각 정보, 제조사 ID, 사고 현장 재현 정보, 사용자 ID 등)를 분석한다[S310].
상기 이미지 재생 장치는, EXIF의 시각 정보를 나타내는 3개 필드의 시간 값들(DateTime, DateTimeOriginal, DateTimeDigitized)이 모두 동일한지 판단한다[S320].
상기 이미지 재생 장치는 상기 S320 단계의 판단 결과, 상기 3개 필드의 시간 값들이 모두 동일하지 않다면, 상기 로딩된 이미지가 왜곡 또는 조작되었다고 판단하여 표시부를 통해 재생하려는 영상이 왜곡 또는 조작된 영상임을 표시한다[S370].
이때 상기 S370 단계에서 상기 이미지 재생 장치는 이미지를 재생하지 않거나, 블랙 화면만을 표시하거나, 또는 왜곡 또는 조작된 영상이라는 표시를 표시부로 출력함으로써, 재생하려는 영상이 왜곡 또는 조작된 영상임을 사용자에게 알려 줄 수 있다.
한편, 상기 S320 단계에서 상기 3개 필드의 시간 값들이 모두 동일하다면, 상기 이미지 재생 장치는 1차적으로 이미지가 조작 또는 왜곡되지 않았음을 판단하고, 이미지가 조작 또는 왜곡되지 않았는지를 2차적으로 판단한다.
상기 이미지 재생 장치는 이미지의 속성 정보를 확인하여 이미지 파일의 만든 날짜와 접근 날짜가 동일한지 판단하고[S330], 동일하지 않다면 상기 370 단계를 수행할 수 있다.
상기 S330 단계에서 만든 날짜와 접근 날짜가 동일하다면, 상기 이미지 재생 장치는 수정 날짜와 EXIF 시간 값이 동일한지 판단하여 이미지가 조작 또는 왜곡되지 않았는지를 3차적으로 판단할 수 있다[S340].
상기 S340 단계에서 이미지 파일의 만든 날짜와 접근 날짜가 동일하다면, 상기 이미지 재생 장치는 이미지 파일의 속성 정보인 수정 날짜가 만든 날짜 및 액세스한 날짜보다 느린지를 판단할 수 있다[S350].
상기 350단계의 판단 결과 수정 날짜가 만든 날짜 및 액세스한 날짜보다 이르다면, 상기 이미지 재생 장치는 재생할 이미지가 왜곡 또는 조작되지 않았다고 판단하고 상기 로딩된 이미지를 재생하여 표시부를 통해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도11> 이미지 재생 장치의 동작 흐름도2
도 11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라 이미지 재생 장치가 이미지를 재생하는 흐름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이미지 재생 장치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차량용 영상 처리 장치(100, 블랙박스)를 제조한 제조사가 만든 전용 뷰어(viewer)가 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이미지 재생 장치는, 후술하는 도 17에 도시된 구성을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이미지 재생 장치는 N번째 이미지 파일을 로딩하고[S400], 사용자로부터 사용자 ID와 제조사 ID와 같은 인증 정보를 입력받는다[S410].
여기서 제조사 ID는 전술한 차량용 영상 처리 장치(100, 블랙박스)의 제조사만이 알고 있는 ID로서, 저장된 영상이 제3자에 의해 왜곡 또는 조작되었는지를 판단하기 위해 사용되는 정보이다.
상기 이미지 재생 장치는 상기 S410 단계에서 입력된 인증 정보가 미리 저장되어 있는 인증 정보와 일치하는지 판단하고[S420], 일치하는 경우 상기 S400 단계에서 로딩된 이미지가 왜곡 또는 조작되지 않았다고 판단하여 스탬프 이미지를 제거한다[S430].
여기서 스탬프 이미지를 제거하는 과정[S430]을 좀더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스탬프 이미지는 제조사에서만 알고 있는 이미지를 재생할 이미지와 임의로 겹치게 합성한 것으로, 제조사가 만든 전용 뷰어와 같은 이미지 재생 장치를 통해 쉽게 제거될 수 있다.
단지, 상기 S410 단계에서 입력된 인증 정보가 재생할 이미지 파일의 EXIF 파일에 저장된 사용자 ID와 제조자 ID 중 적어도 하나가 일치하는 경우에만 왜곡 또는 조작되지 않았다고 판단하여 제거할 수 있다.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스탬프 이미지가 제거되어 원래의 이미지로 재생되는 예를 도시한다.
도 12를 참조하면, 저장된 이미지 파일에서 스탬프 이미지 파일을 제거하여 재생할 이미지 파일이 복원될 수 있다.
상기 이미지 재생 장치는 상기 로딩된 N번째 이미지 파일 각 블록의 픽셀 값을 저장하고[S440], 상기 로딩된 N번째 이미지 파일이 마지막 번째 이미지 파일인지 판단한다[S450].
상기 S450 단계의 판단 결과 마지막 이미지 파일이 아니라면, 상기 이미지 재생 장치는 N+1번째 이미지 파일을 로딩할 준비를 한다[S451].
상기 S450 단계의 판단 결과 마지막 이미지 파일이라면, 상기 이미지 재생 장치는 N-1번째, N번째 및 N+1번째 이미지 각 블록의 픽셀 값을 비교하여[S450], 각 블록의 픽셀 값의 차이가 임계 값을 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S470].
도 13은 상기 S460 단계와 상기 S470 단계에서 각 블록 별 픽셀 값을 비교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상기 S460 단계와 상기 S470 단계에서 각 블록 별 픽셀 값을 비교하는 과정을 도 13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상기 이미지 재생 장치는 N-1번째 이미지 파일, N번째 이미지 파일, N+1번째 이미지 파일에서 각 블록 별 픽셀 값을 도 13에서와 같이 비교한다[S460].
도 13을 참조하면, 예를 들어, 각 사진은 임의로 총 6개의 일정한 영역으로 분할이 되며 각 분할된 영역의 전, 후 사진의 픽셀 값을 비교하여 조작 여부를 판단한다. 픽셀값 비교 계산은 동일 영역에서의 픽셀 비교와 영역간 픽셀 비교가 있다.
일반적으로 1/N초 간격으로 촬영된 파일이므로 동일 영역에서의 물체나 사람의 움직임/이동 속도는 전,후 파일에서 거의 비슷한 수준일 것이다. 따라서 이를 활용하여 각 영역에서의 전, 후 픽셀 변화량을 비교 계산함으로써 조작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3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1개의 이미지 파일은 6개의 영역으로 나눈다.
상기 이미지 재생 장치는 N-1번째 이미지, N번째 이미지, N+1번째 이미지 각각에서 1-1영역, 2-1영역, 3-1영역은 동일한 위치에 있는 영역으로 N-1번째 이미지의 1-1영역과 N번째 이미지의 2-1 영역의 픽셀 값의 변화량과, N번째 이미지의 2-1 영역과 N+1번째 이미지의 3-1 영역의 픽셀 값의 변화량을 비교한다.
만약 1-1영역에서 조작이 이루어졌다면 1-1영역과 2-1영역을 비교한 픽셀 변화(량)과 2-1영역과 3-1영역을 비교한 픽셀 변화(량)은 차이가 발생하게 된다. 왜냐하면 1/N초 사이에 급격한 픽셀 변화가 일어나기는 힘들기 때문이다.
또한 타 영역간의 픽셀 비교를 통해 조작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1-1영역과 2-1영역을 비교한 픽셀 변화(량)은 타 영역인 1-2영역과 2-2 영역을 비교한 픽셀 변화(량)광 동일한 픽셀 변화(량)을 보여야 한다. 왜냐하면 동일하게 시간에서 어느 특정 영역에서만 픽셀의 변화가 급격히 일어날 수 없기 때문이다.
상기 S470 단계에서 각 블록 픽셀 값의 차이가 임계 값을 넘지 않는다고 판단되면, 상기 이미지 재생 장치는 이미지에 대해 왜곡 및 조작이 없었다고 판단하여 이미지를 재생한다[S480].
반면, 상기 S470 단계에서 픽셀 비교 도중 조작 의심 영역이 발생하게 되면, 상기 이미지 재생 장치는 그 영역을 동일한 방법으로 일정 영역으로 나누고 세밀하게 픽셀 비교를 진행하여 조작 또는 왜곡 여부를 최종 판단한다.
상기 S470 단계의 판단 결과, 이미지가 왜곡 또는 조작되었다면, 상기 이미지 재생 장치는 이미지를 재생하지 않거나, 블랙 화면만을 표시하거나, 또는 왜곡 또는 조작된 영상이라를 표시를 표시부로 출력함으로써[S490], 재생하려는 영상이 왜곡 또는 조작된 영상임을 사용자에게 알려 줄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이미지 재생 장치는 픽셀 비교를 통해 조작이 이루어지지 않았다면 정상적으로 동영상처럼 재생을 하게 된다. 하지만 N개의 파일 중 단 1개라도 조작이 되어 있다면 재생은 불가하며 그 순간은 조작이 되었음을 쉽게 확인할 수 있도록 검게 표현한다.
<도14,15> 이미지 저장 장치
도 14는 도 4의 동작 흐름도를 구현하기 위한 차량용 영상 처리 장치의 일 예를 도시한다. 도 15는 도 7의 동작 흐름도를 구현하기 위한 차량용 영상 처리 장치의 일 예를 도시한다.
도 14에 도시된 차량용 영상 처리 장치(1300)는, 저장부(1305), 카메라(1310), 제어부(1315), 인코딩부(1320), 입출력 포트(1325)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도 15에 도시된 차량용 영상 처리 장치(1400)는 도 7의 동작 흐름도를 수행한다. 이미지 저장 장치(1400)은 저장부(1405), 카메라(1410), 제어부(1415), 인코딩부(1420), 스탬프 이미지 재생부(1425), 입출력 포트(143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도 14 및 도 15에 도시된 차량용 영상 처리 장치(1300, 1400)은, 도 1에 도시된 차량용 영상 처리 장치(100)를 구성하는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도16,17> 이미지 재생 장치
도 16은 도 10의 동작 흐름도를 구현하기 위한 이미지 재생 장치의 일 예를 도시한다. 도 17은 도 11의 동작 흐름도를 구현하기 위한 이미지 재생 장치의 일 예를 도시한다.
도 16에 도시된 이미지 재생 장치(1500)는, 저장부(1505), 표시부(1510), 제어부(1515), 디코딩부(1520), 입출력 포트(1525)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도 17에 도시된 이미지 재생 장치(1600)는, 저장부(1605), 표시부(1610), 제어부(1615), 디코딩부(1620), 스탬프 이미지 제거부(1625), 입출력 포트(163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에서 설명한 본 발명에 의한 데이터 처리 방법 및 이미지 재생 방법은, 컴퓨터에서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으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기록하여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데이터 처리 방법 및 이미지 재생 방법은 소프트웨어를 통해 실행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로 실행될 때, 본 발명의 구성 수단들은 필요한 작업을 실행하는 코드 세그먼트들이다. 프로그램 또는 코드 세그먼트들은 프로세서 판독 가능 매체에 저장되거나 전송 매체 또는 통신망에서 반송파와 결합된 컴퓨터 데이터 신호에 의하여 전송될 수 있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 장치를 포함한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장치의 예로는, ROM, RAM, CD-ROM, DVD±ROM, DVD-RAM, 자기 테이프, 플로피 디스크, 하드 디스크(hard disk), 광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다. 또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장치에 분산되어 분산방식으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있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므로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또한 본 문서에서 설명된 실시예들은 한정되게 적용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각 실시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
100, 1300, 1400, 1500, 1600: 차량용 영상 처리 장치
101: 카메라모듈 104: 저장부
105: 통신부 109: 위치정보모듈

Claims (21)

  1. 하나 이상의 프로그램들을 저장하는 기록 매체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프로그램들은,
    디스플레이를 가지는 제1 전자 장치의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시,
    상기 제1 전자 장치 내에 저장되고, 복수의 프레임 이미지들을 포함하는 제1 이미지를 재생하기 위한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는 것에 기반하여, 상기 제1 이미지로부터 메타데이터(metadata)를 획득하고, 여기서, 상기 복수의 프레임 이미지들은, 제1 프레임 이미지, 상기 제1 프레임 이미지 바로 다음의 제2 프레임 이미지, 및 상기 제2 프레임 이미지 바로 다음의 제3 프레임 이미지를 포함함;
    상기 제1 이미지가 마지막으로 갱신된 시각 및 날짜를 지시하기(indicate) 위한 상기 메타데이터 내의 제1 태그(tag)의 정보, 상기 제1 이미지의 원본 이미지가 생성된 시각 및 날짜를 지시하기 위한 상기 메타데이터 내의 제2 태그의 정보, 및 상기 제1 이미지가 디지털화된 시각 및 날짜를 지시하기 위한 상기 메타데이터 내의 제3 태그의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제1 이미지가 상기 제1 전자 장치와 구별되는 제2 전자 장치의 적어도 하나의 카메라를 통해 획득된 제2 이미지를 조작한(fabricate) 이미지임을 식별하고;
    상기 제1 프레임 이미지의 제1 부분 영역과 상기 제2 프레임 이미지의 제1 부분 영역 사이의 픽셀의 제1 변화량이 상기 제2 프레임 이미지의 제1 부분 영역과 상기 제3 프레임 이미지의 제1 부분 영역 사이의 픽셀의 제2 변화량과 다름을 식별하는 것에 기반하여, 상기 제1 이미지가 상기 제2 이미지를 조작한 이미지임을 식별하고, 여기서, 상기 제1 프레임 이미지의 제1 부분 영역, 상기 제2 프레임 이미지의 제1 부분 영역, 및 상기 제3 프레임 이미지의 제1 부분 영역의 위치는 서로 대응함;
    상기 제1 변화량이 상기 제1 프레임 이미지의 제2 부분 영역과 상기 제2 프레임 이미지의 제2 부분 영역 사이의 픽셀의 제3 변화량과 다름을 식별하는 것에 기반하여, 상기 제1 이미지가 상기 제2 이미지를 조작한 이미지임을 식별하고, 여기서, 상기 제1 프레임 이미지의 제2 부분 영역과 상기 제2 프레임 이미지의 제2 부분 영역의 위치는 서로 대응함; 및
    상기 제1 이미지가 상기 제2 이미지를 조작한 이미지라는 식별에 기반하여, 상기 제1 이미지가 상기 제2 이미지를 조작한 이미지임을 지시하기 위한 알림을 상기 디스플레이 상에서 표시하도록,
    상기 제1 전자 장치를 야기하는 인스트럭션들을 포함하는 기록 매체.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프로그램들은, 상기 제1 전자 장치의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시,
    상기 제1 태그의 정보, 상기 제2 태그의 정보, 및 상기 제3 태그의 정보 중 적어도 2개의 정보가 서로 다름을, 상기 제1 태그의 정보, 상기 제2 태그의 정보, 및 상기 제3 태그의 정보를 비교하기 위한 사용자 입력 없이, 식별하는 것에 기반하여, 상기 제1 이미지가 상기 제2 이미지를 조작한 이미지임을 식별하도록,
    상기 제1 전자 장치를 더(further) 야기하는 인스트럭션들을 포함하는 기록 매체.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프로그램들은, 상기 제1 전자 장치의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시,
    지정된(designated) 운영 체제(operating system) 내에서 조회되는 상기 제1 이미지의 파일의 속성(properties) 정보 내에 포함된 상기 파일의 수정(modified) 시각 및 수정 날짜를 지시하기 위한 정보가 상기 제1 태그의 정보, 상기 제2 태그의 정보, 및 상기 제3 태그의 정보 중 적어도 하나와 다름을, 상기 속성 정보를 호출하기 위한 사용자 입력 없이, 식별하는 것에 더(further) 기반하여, 상기 제1 이미지가 상기 제2 이미지를 조작한 이미지임을 식별하도록,
    상기 제1 전자 장치를 더(further) 야기하는 인스트럭션들을 포함하는 기록 매체.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프로그램들은, 상기 제1 전자 장치의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시,
    상기 속성 정보 내에 포함된 상기 파일의 생성(created) 시각 및 생성 날짜를 지시하기 위한 정보가 상기 속성 정보 내에 포함된 상기 파일의 액세스(accessed) 시각 및 액세스 날짜를 지시하기 위한 정보와 다름을, 상기 속성 정보를 호출하기 위한 사용자 입력 없이, 식별하는 것에 더(further) 기반하여, 상기 제1 이미지가 상기 제2 이미지를 조작한 이미지임을 식별하도록,
    상기 제1 전자 장치를 더(further) 야기하는 인스트럭션들을 포함하는 기록 매체.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프로그램들은, 상기 제1 전자 장치의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시,
    상기 속성 정보 내에 포함된 상기 파일의 수정 시각 및 수정 날짜를 지시하기 위한 정보에 의해 지시되는 제1 타이밍이 상기 속성 정보 내에 포함된 상기 파일의 생성 시각 및 생성 날짜를 지시하기 위한 정보에 의해 지시되는 제2 타이밍보다 빠르거나 같음을 식별하고, 상기 제1 타이밍이 상기 속성 정보 내에 포함된 상기 파일의 액세스 시각 및 액세스 날짜를 지시하기 위한 정보에 의해 지시되는 제3 타이밍보다 빠르거나 같음을, 상기 속성 정보를 호출하기 위한 사용자 입력 없이, 식별하는 것에 더(further) 기반하여, 상기 제1 이미지가 상기 제2 이미지를 조작한 이미지임을 식별하도록,
    상기 제1 전자 장치를 더(further) 야기하는 인스트럭션들을 포함하는 기록 매체.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프로그램들은, 상기 제1 전자 장치의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시,
    상기 제2 전자 장치의 상기 적어도 하나의 카메라의 제조사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메타데이터 내의 제조사 정보가 상기 제2 전자 장치의 상기 적어도 하나의 카메라의 제조사 정보와 다름을 식별하는 것에 더(further) 기반하여, 상기 제1 이미지가 상기 제2 이미지를 조작한 이미지임을 식별하도록,
    상기 제1 전자 장치를 더(further) 야기하는 인스트럭션들을 포함하는 기록 매체.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메타데이터는,
    Exif(Exchangeable image file format)에 해당하고,
    상기 제1 태그의 정보는,
    상기 메타데이터 내의 복수의 태그들 중 태그 ID(identifier)가 132인 태그의 값에 해당하고,
    상기 제2 태그의 정보는,
    상기 복수의 태그들 중 태그 ID가 9003인 태그의 값에 해당하며,
    상기 제3 태그의 정보는,
    상기 복수의 태그들 중 태그 ID가 9004인 태그의 값에 해당하는 기록 매체.
  8. 디스플레이를 가지는 제1 전자 장치를 동작하기 위한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1 전자 장치 내에 저장되고, 복수의 프레임 이미지들을 포함하는 제1 이미지를 재생하기 위한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는 것에 기반하여, 상기 제1 이미지로부터 메타데이터(metadata)를 획득하는 동작, 여기서, 상기 복수의 프레임 이미지들은, 제1 프레임 이미지, 상기 제1 프레임 이미지 바로 다음의 제2 프레임 이미지, 및 상기 제2 프레임 이미지 바로 다음의 제3 프레임 이미지를 포함함;
    상기 제1 이미지가 마지막으로 갱신된 시각 및 날짜를 지시하기(indicate) 위한 상기 메타데이터 내의 제1 태그(tag)의 정보, 상기 제1 이미지의 원본 이미지가 생성된 시각 및 날짜를 지시하기 위한 상기 메타데이터 내의 제2 태그의 정보, 및 상기 제1 이미지가 디지털화된 시각 및 날짜를 지시하기 위한 상기 메타데이터 내의 제3 태그의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제1 이미지가 상기 제1 전자 장치와 구별되는 제2 전자 장치의 적어도 하나의 카메라를 통해 획득된 제2 이미지를 조작한(fabricate) 이미지임을 식별하는 동작;
    상기 제1 프레임 이미지의 제1 부분 영역과 상기 제2 프레임 이미지의 제1 부분 영역 사이의 픽셀의 제1 변화량이 상기 제2 프레임 이미지의 제1 부분 영역과 상기 제3 프레임 이미지의 제1 부분 영역 사이의 픽셀의 제2 변화량과 다름을 식별하는 것에 기반하여, 상기 제1 이미지가 상기 제2 이미지를 조작한 이미지임을 식별하는 동작, 여기서, 상기 제1 프레임 이미지의 제1 부분 영역, 상기 제2 프레임 이미지의 제1 부분 영역, 및 상기 제3 프레임 이미지의 제1 부분 영역의 위치는 서로 대응함;
    상기 제1 변화량이 상기 제1 프레임 이미지의 제2 부분 영역과 상기 제2 프레임 이미지의 제2 부분 영역 사이의 픽셀의 제3 변화량과 다름을 식별하는 것에 기반하여, 상기 제1 이미지가 상기 제2 이미지를 조작한 이미지임을 식별하는 동작, 여기서, 상기 제1 프레임 이미지의 제2 부분 영역과 상기 제2 프레임 이미지의 제2 부분 영역의 위치는 서로 대응함; 및
    상기 제1 이미지가 상기 제2 이미지를 조작한 이미지라는 식별에 기반하여, 상기 제1 이미지가 상기 제2 이미지를 조작한 이미지임을 지시하기 위한 알림을 상기 디스플레이 상에서 표시하는 동작을 포함하는 방법.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제1 이미지가 상기 제2 이미지를 조작한 이미지임을 식별하는 동작은,
    상기 제1 태그의 정보, 상기 제2 태그의 정보, 및 상기 제3 태그의 정보 중 적어도 2개의 정보가 서로 다름을, 상기 제1 태그의 정보, 상기 제2 태그의 정보, 및 상기 제3 태그의 정보를 비교하기 위한 사용자 입력 없이, 식별하는 것에 기반하여, 상기 제1 이미지가 상기 제2 이미지를 조작한 이미지임을 식별하는 동작을 포함하는 방법.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제1 이미지가 상기 제2 이미지를 조작한 이미지임을 식별하는 동작은,
    지정된(designated) 운영 체제(operating system) 내에서 조회되는 상기 제1 이미지의 파일의 속성(properties) 정보 내에 포함된 상기 파일의 수정(modified) 시각 및 수정 날짜를 지시하기 위한 정보가 상기 제1 태그의 정보, 상기 제2 태그의 정보, 및 상기 제3 태그의 정보 중 적어도 하나와 다름을, 상기 속성 정보를 호출하기 위한 사용자 입력 없이, 식별하는 것에 더(further) 기반하여, 상기 제1 이미지가 상기 제2 이미지를 조작한 이미지임을 식별하는 동작을 더 포함하는 방법.
  11.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제1 이미지가 상기 제2 이미지를 조작한 이미지임을 식별하는 동작은,
    상기 속성 정보 내에 포함된 상기 파일의 생성(created) 시각 및 생성 날짜를 지시하기 위한 정보가 상기 속성 정보 내에 포함된 상기 파일의 액세스(accessed) 시각 및 액세스 날짜를 지시하기 위한 정보와 다름을, 상기 속성 정보를 호출하기 위한 사용자 입력 없이, 식별하는 것에 더(further) 기반하여, 상기 제1 이미지가 상기 제2 이미지를 조작한 이미지임을 식별하는 동작을 더 포함하는 방법.
  12.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제1 이미지가 상기 제2 이미지를 조작한 이미지임을 식별하는 동작은,
    상기 속성 정보 내에 포함된 상기 파일의 수정 시각 및 수정 날짜를 지시하기 위한 정보에 의해 지시되는 제1 타이밍이 상기 속성 정보 내에 포함된 상기 파일의 생성 시각 및 생성 날짜를 지시하기 위한 정보에 의해 지시되는 제2 타이밍보다 빠르거나 같음을 식별하고, 상기 제1 타이밍이 상기 속성 정보 내에 포함된 상기 파일의 액세스 시각 및 액세스 날짜를 지시하기 위한 정보에 의해 지시되는 제3 타이밍보다 빠르거나 같음을, 상기 속성 정보를 호출하기 위한 사용자 입력 없이, 식별하는 것에 더(further) 기반하여, 상기 제1 이미지가 상기 제2 이미지를 조작한 이미지임을 식별하는 동작을 더 포함하는 방법.
  13.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제2 전자 장치의 상기 적어도 하나의 카메라의 제조사 정보를 획득하는 동작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이미지가 상기 제2 이미지를 조작한 이미지임을 식별하는 동작은,
    상기 메타데이터 내의 제조사 정보가 상기 제2 전자 장치의 상기 적어도 하나의 카메라의 제조사 정보와 다름을 식별하는 것에 더(further) 기반하여, 상기 제1 이미지가 상기 제2 이미지를 조작한 이미지임을 식별하는 동작을 더 포함하는 방법.
  14.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메타데이터는,
    Exif(Exchangeable image file format)에 해당하고,
    상기 제1 태그의 정보는,
    상기 메타데이터 내의 복수의 태그들 중 태그 ID(identifier)가 132인 태그의 값에 해당하고,
    상기 제2 태그의 정보는,
    상기 복수의 태그들 중 태그 ID가 9003인 태그의 값에 해당하며,
    상기 제3 태그의 정보는,
    상기 복수의 태그들 중 태그 ID가 9004인 태그의 값에 해당하는 방법.
  15. 제1 전자 장치에 있어서,
    디스플레이;
    인스트럭션들을 저장하도록 구성된 메모리; 및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인스트럭션들을 실행할 시,
    상기 제1 전자 장치 내에 저장되고, 복수의 프레임 이미지들을 포함하는 제1 이미지를 재생하기 위한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는 것에 기반하여, 상기 제1 이미지로부터 메타데이터(metadata)를 획득하고, 여기서, 상기 복수의 프레임 이미지들은, 제1 프레임 이미지, 상기 제1 프레임 이미지 바로 다음의 제2 프레임 이미지, 및 상기 제2 프레임 이미지 바로 다음의 제3 프레임 이미지를 포함함;
    상기 제1 이미지가 마지막으로 갱신된 시각 및 날짜를 지시하기(indicate) 위한 상기 메타데이터 내의 제1 태그(tag)의 정보, 상기 제1 이미지의 원본 이미지가 생성된 시각 및 날짜를 지시하기 위한 상기 메타데이터 내의 제2 태그의 정보, 및 상기 제1 이미지가 디지털화된 시각 및 날짜를 지시하기 위한 상기 메타데이터 내의 제3 태그의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제1 이미지가 상기 제1 전자 장치와 구별되는 제2 전자 장치의 적어도 하나의 카메라를 통해 획득된 제2 이미지를 조작한(fabricate) 이미지임을 식별하고;
    상기 제1 프레임 이미지의 제1 부분 영역과 상기 제2 프레임 이미지의 제1 부분 영역 사이의 픽셀의 제1 변화량이 상기 제2 프레임 이미지의 제1 부분 영역과 상기 제3 프레임 이미지의 제1 부분 영역 사이의 픽셀의 제2 변화량과 다름을 식별하는 것에 기반하여, 상기 제1 이미지가 상기 제2 이미지를 조작한 이미지임을 식별하고, 여기서, 상기 제1 프레임 이미지의 제1 부분 영역, 상기 제2 프레임 이미지의 제1 부분 영역, 및 상기 제3 프레임 이미지의 제1 부분 영역의 위치는 서로 대응함;
    상기 제1 변화량이 상기 제1 프레임 이미지의 제2 부분 영역과 상기 제2 프레임 이미지의 제2 부분 영역 사이의 픽셀의 제3 변화량과 다름을 식별하는 것에 기반하여, 상기 제1 이미지가 상기 제2 이미지를 조작한 이미지임을 식별하고, 여기서, 상기 제1 프레임 이미지의 제2 부분 영역과 상기 제2 프레임 이미지의 제2 부분 영역의 위치는 서로 대응함; 및
    상기 제1 이미지가 상기 제2 이미지를 조작한 이미지라는 식별에 기반하여, 상기 제1 이미지가 상기 제2 이미지를 조작한 이미지임을 지시하기 위한 알림을 상기 디스플레이 상에서 표시하도록,
    구성되는 제1 전자 장치.
  16. 청구항 15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인스트럭션들을 실행할 시,
    상기 제1 태그의 정보, 상기 제2 태그의 정보, 및 상기 제3 태그의 정보 중 적어도 2개의 정보가 서로 다름을, 상기 제1 태그의 정보, 상기 제2 태그의 정보, 및 상기 제3 태그의 정보를 비교하기 위한 사용자 입력 없이, 식별하는 것에 기반하여, 상기 제1 이미지가 상기 제2 이미지를 조작한 이미지임을 식별하도록,
    더 구성되는 제1 전자 장치.
  17. 청구항 16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인스트럭션들을 실행할 시,
    지정된(designated) 운영 체제(operating system) 내에서 조회되는 상기 제1 이미지의 파일의 속성(properties) 정보 내에 포함된 상기 파일의 수정(modified) 시각 및 수정 날짜를 지시하기 위한 정보가 상기 제1 태그의 정보, 상기 제2 태그의 정보, 및 상기 제3 태그의 정보 중 적어도 하나와 다름을, 상기 속성 정보를 호출하기 위한 사용자 입력 없이, 식별하는 것에 더(further) 기반하여, 상기 제1 이미지가 상기 제2 이미지를 조작한 이미지임을 식별하도록,
    더 구성되는 제1 전자 장치.
  18. 청구항 17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인스트럭션들을 실행할 시,
    상기 속성 정보 내에 포함된 상기 파일의 생성(created) 시각 및 생성 날짜를 지시하기 위한 정보가 상기 속성 정보 내에 포함된 상기 파일의 액세스(accessed) 시각 및 액세스 날짜를 지시하기 위한 정보와 다름을, 상기 속성 정보를 호출하기 위한 사용자 입력 없이, 식별하는 것에 더(further) 기반하여, 상기 제1 이미지가 상기 제2 이미지를 조작한 이미지임을 식별하도록,
    더 구성되는 제1 전자 장치.
  19. 청구항 18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인스트럭션들을 실행할 시,
    상기 속성 정보 내에 포함된 상기 파일의 수정 시각 및 수정 날짜를 지시하기 위한 정보에 의해 지시되는 제1 타이밍이 상기 속성 정보 내에 포함된 상기 파일의 생성 시각 및 생성 날짜를 지시하기 위한 정보에 의해 지시되는 제2 타이밍보다 빠르거나 같음을 식별하고, 상기 제1 타이밍이 상기 속성 정보 내에 포함된 상기 파일의 액세스 시각 및 액세스 날짜를 지시하기 위한 정보에 의해 지시되는 제3 타이밍보다 빠르거나 같음을, 상기 속성 정보를 호출하기 위한 사용자 입력 없이, 식별하는 것에 더(further) 기반하여, 상기 제1 이미지가 상기 제2 이미지를 조작한 이미지임을 식별하도록,
    더 구성되는 제1 전자 장치.
  20. 청구항 15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인스트럭션들을 실행할 시,
    상기 제2 전자 장치의 상기 적어도 하나의 카메라의 제조사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메타데이터 내의 제조사 정보가 상기 제2 전자 장치의 상기 적어도 하나의 카메라의 제조사 정보와 다름을 식별하는 것에 더(further) 기반하여, 상기 제1 이미지가 상기 제2 이미지를 조작한(fabricate) 이미지임을 식별하도록,
    더 구성되는 제1 전자 장치.
  21. 청구항 15에 있어서, 상기 메타데이터는,
    Exif(Exchangeable image file format)에 해당하고,
    상기 제1 태그의 정보는,
    상기 메타데이터 내의 복수의 태그들 중 태그 ID(identifier)가 132인 태그의 값에 해당하고,
    상기 제2 태그의 정보는,
    상기 복수의 태그들 중 태그 ID가 9003인 태그의 값에 해당하며,
    상기 제3 태그의 정보는,
    상기 복수의 태그들 중 태그 ID가 9004인 태그의 값에 해당하는 제1 전자 장치.
KR1020200155479A 2020-01-30 2020-11-19 차량용 영상 처리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데이터 처리 방법 KR10238003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55479A KR102380035B1 (ko) 2020-01-30 2020-11-19 차량용 영상 처리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데이터 처리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10903A KR20200016908A (ko) 2020-01-30 2020-01-30 차량용 영상 처리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데이터 처리 방법
KR1020200155479A KR102380035B1 (ko) 2020-01-30 2020-11-19 차량용 영상 처리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데이터 처리 방법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10903A Division KR20200016908A (ko) 2020-01-30 2020-01-30 차량용 영상 처리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데이터 처리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35249A KR20200135249A (ko) 2020-12-02
KR102380035B1 true KR102380035B1 (ko) 2022-03-29

Family

ID=809971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55479A KR102380035B1 (ko) 2020-01-30 2020-11-19 차량용 영상 처리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데이터 처리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8003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058844A1 (ko) * 2021-10-08 2023-04-13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에서 파일의 부가 정보를 생성하는 방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6016471A1 (ja) * 2004-08-13 2006-02-16 Konica Minolta Opto, Inc. 撮像装置
WO2007134139A2 (en) * 2006-05-09 2007-11-22 Apple Inc. Determining validity of subscription to use digital content
JP2010251873A (ja) * 2009-04-13 2010-11-04 Nippon Telegr & Teleph Corp <Ntt> 改ざん検出用認証符号埋め込み方法および装置並びにそのプログラム、改ざん検出方法および装置並びにそのプログラム。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6016471A1 (ja) * 2004-08-13 2006-02-16 Konica Minolta Opto, Inc. 撮像装置
WO2007134139A2 (en) * 2006-05-09 2007-11-22 Apple Inc. Determining validity of subscription to use digital content
JP2010251873A (ja) * 2009-04-13 2010-11-04 Nippon Telegr & Teleph Corp <Ntt> 改ざん検出用認証符号埋め込み方法および装置並びにそのプログラム、改ざん検出方法および装置並びにそのプログラ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35249A (ko) 2020-12-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007942B2 (en) Vehicle-mounted video system with distributed processing
US11817130B2 (en) Forensic video recording with presence detection
KR102087073B1 (ko) 차량용 영상 처리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데이터 공유 방법
KR101641646B1 (ko) 동영상 마스킹 처리방법 및 장치
TW201730836A (zh) 用於大量編修記錄資料的系統及方法
US20140325236A1 (en) Vehicular image processing apparatus and data processing method using the same
US9357194B2 (en) Imaging apparatus for minimizing repetitive recording of moving image data of a similar scene on a recording medium
KR102380035B1 (ko) 차량용 영상 처리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데이터 처리 방법
KR102132831B1 (ko) 차량용 영상 처리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정보 제공 방법
KR102073700B1 (ko) 차량용 영상 처리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데이터 처리 방법
KR102266716B1 (ko) 차량용 영상 처리 장치 및 데이터 처리 방법
KR20200016908A (ko) 차량용 영상 처리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데이터 처리 방법
KR101035489B1 (ko) 다중 카메라를 이용하는 차량용 블랙박스 장치
JP5818599B2 (ja) 動画記録装置
KR102129048B1 (ko) 차량용 영상 처리 장치 및 데이터 처리 방법
KR102111758B1 (ko) 차량용 영상 처리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데이터 공유 방법
JP2012161047A (ja) 画像記録装置
CN106454210B (zh) 一种行车记录图像处理方法及系统
JP2009027503A (ja) 撮像装置、改竄検出方法、および改竄検出装置
WO2009023614A1 (en) Vehicle-mounted video system with distributed processing
KR101619791B1 (ko) 블랙박스 녹화 영상의 분산 저장 방법
KR102337472B1 (ko) 차량용 영상 처리 장치 및 데이터 처리 방법
EP2610870A2 (en) Image pickup device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101015408B1 (ko) 운송 수단 관련 정보 저장 장치 및 방법
KR102266315B1 (ko) 차량용 영상 처리 장치 및 데이터 처리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