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36806A - 블랙박스를 이용한 사고판단시스템 및 그 구동방법 - Google Patents

블랙박스를 이용한 사고판단시스템 및 그 구동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36806A
KR20130036806A KR1020110100954A KR20110100954A KR20130036806A KR 20130036806 A KR20130036806 A KR 20130036806A KR 1020110100954 A KR1020110100954 A KR 1020110100954A KR 20110100954 A KR20110100954 A KR 20110100954A KR 20130036806 A KR20130036806 A KR 2013003680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hicle
black box
camera
impact
accid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0095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738025B1 (ko
Inventor
주형진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1010095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38025B1/ko
Publication of KR2013003680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3680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3802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3802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41/00Fittings for identifying vehicles in case of collision; Fittings for marking or recording collision area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00Optical viewing arrangements; Real-time viewing arrangements for drivers or passengers using optical image capturing systems, e.g. cameras or video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or on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00Optical viewing arrangements; Real-time viewing arrangements for drivers or passengers using optical image capturing systems, e.g. cameras or video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or on vehicles
    • B60R1/02Rear-view mirror arrangements
    • B60R1/04Rear-view mirror arrangements mounted inside vehic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1Electrical circuits for triggering passive safety arrangements, e.g. airbags, safety belt tighteners, in case of vehicle accidents or impending vehicle accident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DMEASURING NOT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VARIABLE; ARRANGEMENTS FOR MEASURING TWO OR MORE VARIABLES NOT COVERED IN A SINGLE OTHER SUBCLASS; TARIFF METERING APPARATUS; MEASURING OR TEST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D9/00Recording measured value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5/00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vehicles
    • G07C5/08Registering or indicating performance data other than driving, working, idle, or waiting time, with or without registering driving, working, idle or waiting time
    • G07C5/0841Registering performance data
    • G07C5/085Registering performance data using electronic data carriers
    • G07C5/0866Registering performance data using electronic data carriers the electronic data carrier being a digital video recorder in combination with video camer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8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1Electrical circuits for triggering passive safety arrangements, e.g. airbags, safety belt tighteners, in case of vehicle accidents or impending vehicle accidents
    • B60R21/013Electrical circuits for triggering passive safety arrangements, e.g. airbags, safety belt tighteners, in case of vehicle accidents or impending vehicle accidents including means for detecting collisions, impending collisions or roll-over
    • B60R2021/01302Electrical circuits for triggering passive safety arrangements, e.g. airbags, safety belt tighteners, in case of vehicle accidents or impending vehicle accidents including means for detecting collisions, impending collisions or roll-over monitoring vehicle body vibrations or nois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Traffic Control Systems (AREA)
  • Time Recorders, Dirve Recorders, Access Contro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에 충격발생시 G센서값을 통해 충격방향에 위치한 카메라의 촬영영상을 입수한 후, 차량의 충돌여부를 확인하여 촬영영상을 저장하도록 함으로써, 보다 더 정밀한 사고여부 판단 및 효율적인 촬영영상의 저장이 가능한 블랙박스를 이용한 사고판단시스템 및 그 구동방법에 관한 것이다.
보다 더 구체적으로 본 발명에 의하면, 차량의 외부영상을 촬영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카메라; 및 차량에 가해지는 충격에 따른 G센서값을 산출하여 차량의 충격방향을 선정하고, 상기 차량의 충격방향에 위치한 카메라의 촬영영상을 수신받아 차량의 충돌여부를 판정하여 상기 촬영영상을 저장하는 블랙박스;를 포함하는 블랙박스를 이용한 사고 판단시스템 및 그 구동방법을 제공한다.

Description

블랙박스를 이용한 사고판단시스템 및 그 구동방법{System for Deciding Accident using Black Box and Driv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차량에 충격발생시 G센서값을 통해 충격방향에 위치한 카메라의 촬영영상을 입수한 후, 차량의 충돌여부를 확인하여 촬영영상을 저장하도록 함으로써, 보다 더 정밀한 사고여부 판단 및 효율적인 촬영영상의 저장이 가능한 블랙박스를 이용한 사고판단시스템 및 그 구동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전자기술 및 반도체기술의 발전에 따라, 과거 비행기, 선박 등에만 한정적 적용되던 사고기록장치인 블랙박스(Black-Box) 시스템의 제조비용이 저렴해져서, 일반적 운송수단인 자동차에 널리 보급되고 있다.
또한, 최근 소비자의 요구 증대 및 기술 발달로 인하여 블랙박스(Black-Box) 시스템에는 고화질 카메라가 적용되고 있으며, 이에 따라 촬영 및 저장하여야 할 영상의 데이터 용량이 기존의 블랙박스 시스템과 비교하여 가파르게 증가되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즉, 용량이 제한적인 메모리 등을 장착한 블랙박스의 경우 내부 저장공간이 부족하므로, 시스템 동작 후 얼마 지나지 않아 저장 메모리가 모두 소모되는 현상이 발생하거나, 최신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해서는, 기존의 데이터를 삭제하여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는 결국 큰 용량의 플래쉬 메모리 등의 적용이 요구되어 블랙박스 시스템의 가격 상승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다.
또한, 카메라 기기의 발전에 따라, 4채널(전/후/측방) 카메라 가 장착되거나, HD급 혹은 FULL HD급 영상을 출력하는 블랙박스 시스템이 출시되고 있는데, 차량 주변의 모든 화면이나 고화질 영상을 제공하여 사고 발생상황에서 더욱 더 정확한 정황을 판별할 수 있는 영상 데이터를 제공할 수 있게 되었다.
그러나, 이와 같은 4채널이나 고화질 영상을 저장할 경우, 일반적인 영상데이터의 경우보다 저장공간을 훨씬 많이 차지하게 되어, 내부저장공간의 부족현상은 더욱 심화되게 되고, 보다 더 높은 용량의 메모리를 요구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기존의 차량용 블랙박스 시스템에 의하면, G센서값이 충격임계치보다 크면 이를 사고로 판단하여 촬영영상을 저장하는 획일적 기준에 의해 운용되고 있다. 이와 같이 획일적 기준에 의해 블랙박스 시스템을 운용하면, 차량간의 충돌이 아닌 도로의 둔턱통과시 사고로 오판하여 영상을 저장할 오류가 있을 수 있고, 가벼운 접촉사고 등의 경우에 비사고로 판단하여 영상을 저장하지 않을 오류가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써, 차량의 충격발생만으로 곧바로 카메라의 촬영영상을 저장하지 않고, 차량의 충격방향에 위치한 카메라의 촬영영상을 정밀히 조사하여 충돌여부를 확인한 다음 촬영영상을 저장하도록 하여, 다양한 유형의 사고발생을 정밀하게 인지하고 사고발생시의 촬영영상만을 저장할 수 있는 블랙박스를 이용한 사고 판단시스템 및 그 구동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블랙박스내의 G센서값을 통해 차량의 충격방향에 위치한 카메라의 촬영영상만 저장하도록 함으로써, 촬영영상의 저장공간을 보다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블랙박스를 이용한 사고 판단시스템 및 그 구동방법을 제공하는데 또 다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본 발명의 기재로부터 당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전술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측면에 의하면, 차량의 외부영상을 촬영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카메라; 및 차량에 가해지는 충격에 따른 G센서값을 산출하여 차량의 충격방향을 선정하고, 상기 차량의 충격방향에 위치한 카메라의 촬영영상을 수신받아 차량의 충돌여부를 판정하여 상기 촬영영상을 저장하는 블랙박스;를 포함하는 블랙박스를 이용한 사고 판단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블랙박스는, 상기 G센서값이 미세충격임계치 내지 충격임계치의 범위내에 존재하면, 차량의 충격방향을 선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 상기 미세충격 임계치는 0.3 G 내지1.5G의 범위에 있고, 상기 충격임계치는 1.5G를 초과하며 2.0G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 상기 블랙박스는, 상기 G센서값이 충격임계치를 초과하면, 차량의 충격방향에 위치한 카메라의 촬영영상을 즉시 저장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 상기 블랙박스는, 상기 촬영영상 내의 장애물의 에지(Edge)의 변화를 감지하고, 미리 입력된 차량의 범퍼길이 및 상기 카메라 앵글로부터 차량 범퍼까지의 길이를 이용하여 충돌여부를 판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 상기 카메라는, 전방카메라, 후방카메라 및 어라운드뷰 카메라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전술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타측면에 의하면, 차량에 가해지는 충격에 의해 블랙박스가 G 센서값을 획득하는 단계; 상기 블랙박스가 구비하는 제어부에서 상기 G센서값이 미세충격 임계치 내지 충격임계치의 범위 내에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제어부에서 상기 G센서값을 통해 차량의 충격 방향을 판단하는 단계; 상기 제어부에서 상기 차량의 충격방향에 위치한 카메라의 촬영영상을 전송받는 단계; 및 상기 제어부에서 상기 카메라의 촬영영상을 근거로 차량의 충돌여부를 판정하고, 차량의 충돌로 확인되면 촬영영상을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블랙박스를 이용한 사고 판단시스템의 구동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블랙박스를 이용한 사고 판단시스템에 의하면, 상술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써, 블랙박스내의 G센서값을 통해 차량의 충격방향에 위치한 카메라의 촬영영상만 저장하도록 함으로써, 촬영영상의 저장공간을 보다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블랙박스를 이용한 사고 판단시스템에 의하면, 차량의 충격발생만으로 곧바로 카메라의 촬영영상을 저장하지 않고, 차량의 충격방향에 위치한 카메라의 촬영영상을 정밀히 조사하여 충돌여부를 확인한 다음 촬영영상을 저장하도록 하여, 다양한 유형의 사고발생을 정밀하게 인지하고 사고발생시의 촬영영상만을 저장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사고영상의 클라우드 서버에의 전송, 사고 견적 예측, 손상되었을 것이라고 예상되는 부품 예측 가능 등, 사고 영상 분석을 통한 사고 상황 분석을 통한 사후 대처가 용이한 부수적인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블랙박스를 이용한 사고 판단시스템의 일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블랙박스를 이용한 사고 판단시스템에서 이용되는 G센서값 및 충격임계치를 나타낸 일예시도.
도 3a 내지 도 3b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촬영영상을 통한 충돌판단의 예를 나타낸 일예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블랙박스를 이용한 사고 판단시스템 구동방법의 순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본 발명은 차량용 블랙박스가 사고 영상 저장을 위한 사고 발생여부에 대한 판단을 더욱 정밀하게 수행하기 위한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써, 단순한 차량 충돌을 통한 사고 감지 뿐만 아니라 영상인식을 통해 차량과 차량, 차량과 물체/사람 등의 접촉을 판단하여 사고발생 여부의 인지성을 향상시키는데 그 목적이 있다.
현재의 블랙박스 시스템의 경우에는 G센서값이 사고 임계치(또는 충격임계치)보다 크면 이를 사고로 판단하여 관련 영상을 저장하는 단순한 기능을 수행하고 있는 바, G센서값의 한가지 기준만으로는 다양한 사고유형에 대한 판단이 불가능하다.
예컨대, i) 차량/사람간 충돌과 차량/차량간 충돌간에는 G센서값 및 충격량에 큰 차이가 있으며, ii) 차량이 도로의 둔턱을 통과하는 것과 같은 비사고 상황에 대한 오판 가능성이 있으며, iii) 차량간 미세한 접촉사고 또는 물체와 차량간의 미세한 충격의 경우 충돌로 판단하지 아니하는 오류가 있을 수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에 착안하여, 블랙박스 내 장착된 G센서의 G센서값을 통해 전방/후방/측방/상하 충돌 등 충돌특성을 분리하여 파악하여 분석해야 할 대상 카메라를 선정하고, 이렇게 선정된 카메라의 영상을 분석하여 충돌 여부를 최종 판별하여 이 결과에 따라 영상 저장 여부를 결정하여, 사고발생여부를 정밀하게 파악하고, 효율적인 영상저장이 가능한 시스템을 제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블랙박스를 이용한 사고 판단시스템의 일구성도이다.
본 발명의 블랙박스를 이용한 사고 판단시스템은, 차량의 외부영상을 촬영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카메라(120,130,140) 및 차량에 가해지는 충격에 따른 G센서값을 산출하여 차량의 충격방향을 선정하고, 상기 차량의 충격방향에 위치한 카메라의 촬영영상을 수신받아 차량의 충돌여부를 판정하여 상기 촬영영상을 저장하는 블랙박스(13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카메라는, 발명의 필요에 따라, 차량의 전방을 촬영하는 전방카메라(120), 좌측방 및 우측방을 촬영하는 어라운드뷰 카메라(130), 후방을 촬영하는 후방카메라(140) 중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의 카메라일 수 있다. 또한, 보다 더 입체적이고 종합적인 영상의 획득을 위해 상기 블랙박스(130) 자체도 카메라를 구비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카메라는 CAN(Control Area Network)통신에 의해 촬영된 영상 등을 블랙박스에 전송할 수 있다.
상기 블랙박스(130)는, 차량에 가해지는 충격에 따른 G센서값을 산출하는 G센서(미도시) 및 상기 G센서값을 이용하여 차량의 충격방향을 선정하고, 차량의 충격방향에 위치한 카메라의 촬영영상을 수신받아 차량의 충돌여부를 판정한 후 상기 촬영영상을 저장케 하는 제어부(미도시)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미리 차량의 종류/유형, 운전제어의 종류/유형 및 사고발생의 종류/유형에 따라 소정의 미세충격임계치 및 충격임계치를 설정하여 저장할 수 있다. 즉, G센서로부터 취득한 G센서값을 이용하여, 상기 G센서값이 미세충격임계치 이상 충격임계치 이하이면, 최종적인 충돌여부 판단을 위한 메커니즘이 작동되게 된다.
즉, G센서값이 미세충격임계치 내지 충격임계치의 범위에 존재하면, 상기 제어부가 G센서값을 통한 차량의 충격방향을 선정하게 되며, 이러한 충격방향에 위치한 카메라의 촬영영상을 블랙박스로 수신하게 된다. 이와 같은 과정을 거쳐서, 상기 제어부가 수신된 촬영영상을 분석하여 사고가 발생된 것으로 판단되면, 영상을 블랙박스내의 저장부에 저장하게 된다.
상기의 사고발생판단과정은, 블랙박스(130)가 상기 촬영영상에서 나타나는 차량의 종류/유형에 따른 에지(Edge)의 존재 및 그 변화의 정도를 감지하고, 운행중인 자차의 범퍼의 길이, 카메라 앵글로부터 범퍼까지의 길이 등을 미리 블랙박스(130)에 설정?입력하여 자동적으로 판단하는 것이 가능하다.
물론 경우에 따라 운행자가 직접 영상을 보고 충돌여부를 판단하고 촬영영상의 저장여부를 수동으로 조작하는 것도 가능할 것이다.
본 발명에서 상기 미세충격임계치는 1.5G이고, 상기 충격임계치는 2.0G인 것이 바람직하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차량의 종류와 유형에 따라 미세충격임계치는 0.3G 내지 1.5G의 범위내에서 결정하고, 충격임계치는 1.5G 내지 2.0G의 범위내에서 결정하는 것도 가능하다.
다만, 상기 블랙박스가 구비하는 제어부는, 상기 G센서값이 미리 설정된 충격임계치를 초과하면 충격방향을 선정한후, 충돌여부에 대한 판단없이 충격방향에 위치한 촬영영상을 즉시 저장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블랙박스를 이용한 사고 판단시스템에서 이용되는 G센서값 및 충격임계치를 나타낸 일예시도이다.
본 발명에서는 블랙박스의 제어부내에, 미리 차량의 종류/유형, 운전제어의 종류/유형 및 사고발생의 종류/유형에 따라 소정의 미세충격임계치 및 충격임계치를 설정하여 저장할 수 있다.
도 2는, 차량의 주행상태에 따른 충격임계치/미세충격임계치를 나타내고 있는데, 예컨대, 급차선 변경, U턴, 급회전, 자갈로급제동, 벨지안로급제동 등의 미세충격임계치 및 충격임계치의 범위를 도시하고 있다.
이와 같이, 차량의 주행상태 뿐만 아니라, 차량의 종류와 유형, 사고발생의 종류와 유형에 따라 미리 미세충격임계치 및 충격임계치의 범위를 정해놓고, 이를 G센서값과 비교하여, 충격여부를 확인한 후, 최종적으로 촬영영상을 분석하여 충돌여부를 판단할 수 있을 것이다.
도 3a 내지 도 3b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촬영영상을 통한 충돌판단의 예를 나타낸 일예시도이다.
본 발명에서 상기 블랙박스는, 촬영영상 내의 장애물의 에지(Edge)(150)의 변화를 감지하여 충돌여부를 판정할 수 있다. 상기 장애물 에지(150)는 촬영영상의 화면상에서 배경보다 짙게 표시되므로, 화면의 명암 정도를 고려하여 블랙박스가 자동적으로 인식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블랙박스에 의한 사고발생판단과정은, 미리 블랙박스에 운행중인 자차의 범퍼의 길이, 카메라 앵글로부터 범퍼까지의 길이 및 이를 이용해 설정된 충돌거리 등을 입력해두고, 상기 촬영영상에서 나타나는 차량의 종류/유형에 따른 에지(Edge)가 존재하는지 여부 및 이와 같은 에지의 변화 정도를 감지한 후, 계산을 수행하게 된다.
도 3a는 본 발명의 메커니즘에 의해 입수한 후방 카메라가 촬영한 영상을 도시하고 있다. 즉, (A) 정상상황의 영상에서 시작하여, (B) 차량에 충격이 발생할 경우 파손(Black Out) 현상이 나타나게 되고, (C) 이어서 장애물 에지(Edge)(150)를 발견하는 영상을 도시하고 있다.
즉, 도 3a와 같이 G센서값이 충격임계치를 초과하는 경우 등과 같이 촬영영상이 파손(Black-Out) 또는 장애물 에지(Edge)를 발견할 수 없는 단색으로 나타날 수 있는데, 이 때에는 블랙박스가 별도의 충돌판단을 수행하지 아니하고, 차량의 충격방향에 위치한 카메라의 촬영영상을 즉시 저장하게 된다.
도 3b는, 본 발명의 메커니즘에 의해 입수한 어라운드뷰 카메라가 촬영한 영상을 도시하고 있다. 즉, (A) 장애물인 차량이 원거리에 존재함을 확인하는 영상에 이어서, (B) 장애물이 점차 자차방향으로 인접하여, (C) 최종적으로 자차에 충돌된 모습을 도시하고 있다.
(A) 차량이 원거리에 존재하는 경우, 자차방향과 자차의 반대방향으로도 에지(150)가 존재하나, (B) 점차 차량이 자차방향으로 인접하는 경우 자차방향의 에지(150)가 사라지게 되며, (c) 자차와의 충돌시 장애물인 차량에 있어서 자차의 반대방향의 에지(150)가 자차쪽으로 근접하게 된다.
즉, 도 3b의 (B)에서 (C)사이의 구간에서 충돌이 발생할 수 있는데, 이 때 블랙박스는 에지(150)의 변화를 연속적으로 감시하여, 자차 방향 및 그 반대 방향의 에지(150)의 변화량 및 미리 입력되어 있는 차량의 범퍼길이, 카메라 앵글로부터 범퍼까지의 길이를 이용하여 충돌여부의 계산을 자동적으로 수행하게 된다.
이와 같은 계산 과정을 통해, 촬영영상에 존재하던 장애물이 점차 자차방향으로 다가와서 그 자차방향의 에지(Edge)가 없고, 자차 반대방향의 에지가 차량의 범퍼길이 및 카메라 앵글로부터 범퍼까지의 길이를 고려하여 설정되는 '충돌거리'만큼 이동하게 되면, 블랙박스는 '충돌'이 있다고 판단하며, 일련의 영상을 블랙박스 내에 저장하게 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블랙박스를 이용한 사고 판단시스템 구동방법의 순서도이다.
먼저 차량에 가해지는 충격에 의해 블랙박스 내의 G센서로부터 G 센서값을 획득하는 계를 거치게 된다(S41).
이후, 블랙박스내의 제어부에서 상기 G센서값이 미세충격 임계치 내지 충격임계치의 범위내에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를 거친다(S42). 만일 상기 G센서값이 충격임계치보다 크다면, 충격방향의 카메라의 촬영영상이 별도의 충돌여부에 대한 판단없이 곧바로 블랙박스 내 저장부에 저장되게 된다. 또한, 상기 G센서값이 미세충격임계치보다 작다면, 충돌이 발생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되어, 카메라의 촬영영상은 저장되지 않게 된다.
이후, 블랙박스가 구비하는 제어부에서 상기 G센서값을 통해 차량의 충격 방향을 판단하는 단계(S43)를 거쳐고, 상기 제어부에서 상기 차량의 충격방향에 위치한 카메라의 촬영영상을 전송받는 단계(S44)를 거친다. 이 때, 카메라의 촬영영상은 이더넷(Ethernet), MOST, Hardwire 등에 의해 전송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차량의 충격방향에 위치한 카메라가 촬영한 영상이 수신되면, 최종적으로 충돌여부를 판단하게 되는데, 상기 제어부에서 상기 카메라의 촬영영상을 근거로 차량의 충돌여부를 판정한 후(S45), 차량의 충돌로 확인되면 촬영영상을 저장하게 된다(S46).
최종적인 충돌여부의 판단은, 차량의 충격 전후의 영상을 참조하여, 충돌직후 장애물 에지(Edge)의 존재/변화량을 감지하고, 차량의 범퍼길이 및 카메라 앵글로부터 범퍼까지의 길이를 계산하여 설정되는 '충돌거리'안에 자차의 반대방향의 에지가 존재하면, '충돌'이 발생된 것으로 판정할 수 있을 것이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어떠한 종류/유형의 충돌이 발생하더라도 촬영영상을 정밀하게 조사하여 정확한 사고발생영상만을 저장하는 것이 가능하므로 블랙박스의 제한적인 메모리 용량을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고, 사고발생영상을 저장하지 않을 오류를 방지할 수 있으며, 사고 영상 분석을 통한 사고 상황 분석을 통한 신속한 사후 대처가 가능한 장점이 있다.
이상 본 발명의 구체적 실시형태와 관련하여 본 발명을 설명하였으나 이는 예시에 불과하며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설명된 실시형태를 변경 또는 변형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기술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특허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110: 블랙박스
120: 전방카메라
130: 어라운드뷰 카메라
140: 후방카메라
150: 장애물의 에지

Claims (7)

  1. 차량의 외부영상을 촬영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카메라; 및
    차량에 가해지는 충격에 따른 G센서값을 산출하여 차량의 충격방향을 선정하고, 상기 차량의 충격방향에 위치한 카메라의 촬영영상을 수신받아 차량의 충돌여부를 판정하여 상기 촬영영상을 저장하는 블랙박스;
    를 포함하는 블랙박스를 이용한 사고 판단시스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블랙박스는,
    상기 G센서값이 미세충격임계치 내지 충격임계치의 범위내에 존재하면, 차량의 충격방향을 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랙박스를 이용한 사고 판단시스템.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미세충격 임계치는 0.3 G 내지1.5G의 범위에 있고,
    상기 충격임계치는 1.5G를 초과하며 2.0G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랙박스를 이용한 사고 판단시스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블랙박스는,
    상기 G센서값이 충격임계치를 초과하면, 차량의 충격방향에 위치한 카메라의 촬영영상을 즉시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랙박스를 이용한 사고 판단시스템.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블랙박스는,
    상기 촬영영상 내의 장애물의 에지(Edge)의 변화를 감지하고, 미리 입력된 차량의 범퍼길이 및 상기 카메라 앵글로부터 차량 범퍼까지의 길이를 이용하여 충돌여부를 판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랙박스를 이용한 사고 판단시스템.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는,
    전방카메라, 후방카메라 및 어라운드뷰 카메라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랙박스를 이용한 사고 판단시스템.
  7. 차량에 가해지는 충격에 의해 블랙박스가 G 센서값을 획득하는 단계;
    상기 블랙박스가 구비하는 제어부에서 상기 G센서값이 미세충격 임계치 내지 충격임계치의 범위 내에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제어부에서 상기 G센서값을 통해 차량의 충격 방향을 판단하는 단계;
    상기 제어부에서 상기 차량의 충격방향에 위치한 카메라의 촬영영상을 전송받는 단계; 및
    상기 제어부에서 상기 카메라의 촬영영상을 근거로 차량의 충돌여부를 판정하고, 차량의 충돌로 확인되면 촬영영상을 저장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블랙박스를 이용한 사고 판단시스템의 구동방법.
KR1020110100954A 2011-10-05 2011-10-05 블랙박스를 이용한 사고판단시스템 및 그 구동방법 KR10173802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00954A KR101738025B1 (ko) 2011-10-05 2011-10-05 블랙박스를 이용한 사고판단시스템 및 그 구동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00954A KR101738025B1 (ko) 2011-10-05 2011-10-05 블랙박스를 이용한 사고판단시스템 및 그 구동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36806A true KR20130036806A (ko) 2013-04-15
KR101738025B1 KR101738025B1 (ko) 2017-05-22

Family

ID=484379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00954A KR101738025B1 (ko) 2011-10-05 2011-10-05 블랙박스를 이용한 사고판단시스템 및 그 구동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38025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93356A (ko) * 2015-01-29 2016-08-08 동서대학교산학협력단 사물인터넷 기반 스마트 차량 정보인지 시스템
CN108401465A (zh) * 2018-02-28 2018-08-14 深圳市元征软件开发有限公司 车辆损伤检测方法、车辆损伤检测装置及电子设备
KR20200102768A (ko) 2019-02-22 2020-09-01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의 충격부위 검출 장치 및 그 방법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93356A (ko) * 2015-01-29 2016-08-08 동서대학교산학협력단 사물인터넷 기반 스마트 차량 정보인지 시스템
CN108401465A (zh) * 2018-02-28 2018-08-14 深圳市元征软件开发有限公司 车辆损伤检测方法、车辆损伤检测装置及电子设备
CN108401465B (zh) * 2018-02-28 2021-01-12 深圳市元征软件开发有限公司 车辆损伤检测方法、车辆损伤检测装置及电子设备
KR20200102768A (ko) 2019-02-22 2020-09-01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의 충격부위 검출 장치 및 그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38025B1 (ko) 2017-05-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193320B1 (en) Method for collecting evidence of vehicle parking violation, and apparatus therefor
KR101362324B1 (ko) 차선 이탈 경보 시스템 및 방법
KR101083885B1 (ko) 지능형 운전 보조 시스템들
CN109671006B (zh) 交通事故处理方法、装置及存储介质
KR101729486B1 (ko) Avm 시스템에서의 사각 지대 감시 방법 및 그 avm 시스템
US11967228B2 (en) Peccancy monitoring system and peccancy monitoring method
US20180005384A1 (en) Motion determination system and method thereof
JP2001216519A (ja) 交通監視装置
KR101660254B1 (ko) 주차차단기의 번호인식시스템
CN111369708A (zh) 车辆行驶的信息记录方法及装置
KR20130036806A (ko) 블랙박스를 이용한 사고판단시스템 및 그 구동방법
KR101374653B1 (ko) 차량의 움직임을 검출하는 장치 및 방법
JP5261752B2 (ja) ドライブレコーダ
KR101875180B1 (ko) 차량을 검출하고 차량의 차량 번호를 인식하기 위한 방법, 장치 및 시스템
KR20130053605A (ko) 차량의 주변영상 표시 장치 및 그 방법
CN113538924B (zh) 车辆抓拍方法、装置、电子设备、计算机可读存储介质
CN112542060B (zh) 车用后侧方警报装置
CN112470456B (zh) 铁路车辆用摄像系统
KR20140000486A (ko) 장애물 감지 기능을 이용한 차량용 영상 녹화 장치 및 그 방법
KR101870843B1 (ko) 차량 운전 보조 장치 및 방법
KR102623726B1 (ko) 심라인 스캐닝 기능을 구비한 어라운드 뷰 모니터 영상처리 장치 및 방법
US11854279B2 (en) Vehicle exterior environment recognition apparatus
KR102606126B1 (ko) 영상 왜곡 영역과 카메라간 상관성을 고려한 객체 검출동작을 수행하는 어라운드 뷰 모니터 영상 처리 장치 및 방법
KR102632655B1 (ko) 주정차 단속영상에서 대상차량의 주행여부를 판단하는영상분석방법, 그 영상분석을 수행하는 제어기 및 주정차단속시스템
KR101889653B1 (ko) 분리형 블랙박스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