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89653B1 - 분리형 블랙박스 시스템 - Google Patents

분리형 블랙박스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89653B1
KR101889653B1 KR1020170036934A KR20170036934A KR101889653B1 KR 101889653 B1 KR101889653 B1 KR 101889653B1 KR 1020170036934 A KR1020170036934 A KR 1020170036934A KR 20170036934 A KR20170036934 A KR 20170036934A KR 101889653 B1 KR101889653 B1 KR 10188965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age
main body
smartphone
unit
camera modu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369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여종률
Original Assignee
여종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여종률 filed Critical 여종률
Priority to KR102017003693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8965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8965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8965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5/00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vehicles
    • G07C5/008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vehicles communicating information to a remotely located st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00Optical viewing arrangements; Real-time viewing arrangements for drivers or passengers using optical image capturing systems, e.g. cameras or video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or on vehicle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5/00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vehicles
    • G07C5/08Registering or indicating performance data other than driving, working, idle, or waiting time, with or without registering driving, working, idle or waiting time
    • G07C5/0841Registering performance data
    • G07C5/085Registering performance data using electronic data carriers
    • G07C5/0866Registering performance data using electronic data carriers the electronic data carrier being a digital video recorder in combination with video camera

Abstract

본 발명의 분리형 블랙박스 시스템은, 차량 전면 또는 후면의 유리에 장착되고, 렌즈 및 미러를 포함하는 광학 수단과, 상기 광학 수단으로 들어온 빛을 전기적 신호로 변환하기 위한 수단이 구성된 카메라 모듈; 상기 카메라 모듈과 물리적으로 별도로 설치되고, 상기 카메라 모듈로부터 전달되는 영상이 저장되는 저장 매체와, 외부의 스마트폰과 무선으로 통신할 수 있도록 하는 통신부와, 상기 영상의 저장 여부 및 상기 통신부를 통하여 상기 스마트폰으로 상기 영상을 동시 전송을 제어하는 통합 제어부를 포함하는 본체 수단; 및 상기 본체 수단과의 통신과, 상기 본체 수단으로부터 전달되는 영상을 수신 및 저장과, 상기 본체 수단으로부터 전달되는 영상에 대한 분석을 처리하도록 설정된 애플리케이션이 설치된 스마트폰;을 포함하고, 상기 본체 수단의 통합 제어부는 상기 카메라 모듈로부터 전달되는 영상을 상기 저장 매체에 저장하는 것과 동시에 상기 통신부를 통하여 상기 스마트폰으로 상기 영상을 전송한다.

Description

분리형 블랙박스 시스템{Seperated―type blackbox system}
본 발명은 자동차에 설치되는 블랙박스 장치에 대한 것으로서, 특히, 차량 유리에 고정되는 카메라와, 상기 카메라에 의하여 촬영되는 영상을 처리하고 저장하는 본체가 분리된 구조의 블랙박스로 구성되어, 충격이나 열에 취약할 수 있는 메모리 카드나 제어부가 별도로 안전하게 설치될 수 있는 장치에 대한 것이다.
최근 전자기술 및 반도체기술의 발전에 따라, 과거 비행기, 선박 등에만 한정적 적용되던 사고기록장치인 블랙박스(Black-Box) 시스템의 제조비용이 저렴해져서, 일반적 운송수단인 자동차에 널리 보급되고 있다.
또한, 최근 소비자의 요구 증대 및 기술 발달로 인하여 블랙박스(Black-Box) 시스템에는 고화질 카메라가 적용되고 있으며, 이에 따라 촬영 및 저장하여야 할 영상의 데이터 용량이 기존의 블랙박스 시스템과 비교하여 가파르게 증가되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즉, 용량이 제한적인 메모리 등을 장착한 블랙박스의 경우 내부 저장공간이 부족하므로, 시스템 동작 후 얼마 지나지 않아 저장 메모리가 모두 소모되는 현상이 발생하거나, 최신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해서는, 기존의 데이터를 삭제하여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는 결국 큰 용량의 플래쉬 메모리 등의 적용이 요구되어 블랙박스 시스템의 가격 상승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다.
또한, 카메라 기기의 발전에 따라, 4채널(전/후/측방) 카메라 가 장착되거나, HD급 혹은 FULL HD급 영상을 출력하는 블랙박스 시스템이 출시되고 있는데, 차량 주변의 모든 화면이나 고화질 영상을 제공하여 사고 발생상황에서 더욱 더 정확한 정황을 판별할 수 있는 영상 데이터를 제공할 수 있게 되었다. 그러나, 이와 같은 4채널이나 고화질 영상을 저장할 경우, 일반적인 영상데이터의 경우보다 저장공간을 훨씬 많이 차지하게 되어, 내부저장공간의 부족현상은 더욱 심화되게 되고, 보다 더 높은 용량의 메모리를 요구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기존의 차량용 블랙박스 시스템에 의하면, G센서값이 충격임계치보다 크면 이를 사고로 판단하여 촬영영상을 저장하는 획일적 기준에 의해 운용되고 있다. 이와 같이 획일적 기준에 의해 블랙박스 시스템을 운용하면, 차량간의 충돌이 아닌 도로의 둔턱통과시 사고로 오판하여 영상을 저장할 오류가 있을 수 있고, 가벼운 접촉사고 등의 경우에 비사고로 판단하여 영상을 저장하지 않을 오류가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
특히, 블랙박스의 카메라는 차량의 전면이나 후면을 촬영하기 위하여 차량 유리에 설치될 수 밖에 없다. 그러나, 종래의 차량용 블랙박스들은 카메라와 저장매체, 제어부들이 모두 하나의 물리적으로 장치에 구성되어, 차량 사고시 충격에 의하여 메모리 카드가 손상되거나, CPU 등의 제어부 역시 충격이나 열에 의하여 고장이 빈번히 발생하고, 사고시에는 필요한 영상이 저장되어 있지 않은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영상을 촬영하기 위한 카메라 모듈과, 상기 카메라 모듈에 의하여 촬영되는 영상 데이터를 수신하여 영상 처리 및 저장과, 외부 기기로의 영상 전송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본체 수단이 물리적으로 분리되도록 구성된 블랙박스 장치를 제안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은 SD카드와 같은 저장 매체가 차량 유리에 설치되지 않고, 차량의 콘솔박스 등 차량 내부에 구성될 수 있도록 하여 영상 저장에 안전성을 도모하는 것과 함께, 상기 저장 매체에 저장되는 영상은 통신부를 통하여 동시에 스마트폰과 같은 외부기기로 전송되도록 함으로써, 영상 보관의 안전을 더욱 도모할 수 있는 장치를 제안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스마트폰 기기를 이용하여 차량의 사고 발생이 감지되면, 사고 종류에 따라 미리 저장된 연락처로 영상 전송이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차량 사고로 인해 당황스러울 수 있는 사용자의 편의를 도울 수 있는 장치를 제안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분리형 블랙박스 시스템은, 차량 전면 또는 후면의 유리에 장착되고, 렌즈 및 미러를 포함하는 광학 수단과, 상기 광학 수단으로 들어온 빛을 전기적 신호로 변환하기 위한 수단이 구성된 카메라 모듈; 상기 카메라 모듈과 물리적으로 별도로 설치되고, 상기 카메라 모듈로부터 전달되는 영상이 저장되는 저장 매체와, 외부의 스마트폰과 무선으로 통신할 수 있도록 하는 통신부와, 상기 영상의 저장 여부 및 상기 통신부를 통하여 상기 스마트폰으로 상기 영상을 동시 전송을 제어하는 통합 제어부를 포함하는 본체 수단; 및 상기 본체 수단과의 통신과, 상기 본체 수단으로부터 전달되는 영상을 수신 및 저장과, 상기 본체 수단으로부터 전달되는 영상에 대한 분석을 처리하도록 설정된 애플리케이션이 설치된 스마트폰;을 포함하고, 상기 본체 수단의 통합 제어부는 상기 카메라 모듈로부터 전달되는 영상을 상기 저장 매체에 저장하는 것과 동시에 상기 통신부를 통하여 상기 스마트폰으로 상기 영상을 전송한다.
그리고, 상기 스마트폰의 애플리케이션은, 상기 본체 수단으로부터 전달되는 영상으로부터 사고 수준을 판단하는 동작과, 결정되는 사고 수준에 따라 미리 저장된 연락처로 영상 또는 이미지와 상기 본체 수단의 위치 정보를 자동 전송하는 동작을 수행하고, 상기 스마트폰의 애플리케이션은 상기 본체 수단으로부터 전달되는 영상을 저장하고, 저장한 영상에서 캡쳐 이미지를 생성하고, 생성된 캡쳐 이미지에 포함된 텍스트 기반의 속도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차량의 사고 수준을 분류한다.
그리고, 상기 본체 수단은 상기 카메라 모듈로부터 전달되는 아날로그 신호를 디지털 변환하기 위한 영상 수신부와, 상기 차량의 움직임을 센싱하기 위한 자이로 센서를 포함하는 센서부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본체 수단의 통합 제어부는 상기 카메라 모듈로부터 전달되는 아날로그의 영상 신호를 디지털로 변환한 다음 상기 저장 매체에 저장하는 때에 기설정된 단위 시간별로 분할하여 영상을 저장하고, 저장된 영상들에 대한 저장 리스트를 작성한다.
그리고, 상기 스마트폰의 애플리케이션에서는 상기 본체 수단으로부터 전달되는 영상을 내부 메모리에 저장하고, 상기의 기설정된 단위 시간별로 분할하여 전달되는 영상들 중에서 최근 영상만이 저장 관리한다.
본 발명의 블랙박스 시스템에 의해서, 카메라와 본체를 분리하여 장착할 수 있기 때문에, 카메라 모듈만을 교체하거나 본체만을 교체하는 등으로 고장시에 소요되는 비용을 크게 줄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SD카드와 같은 저장 매체가 차량 유리에 설치되지 않고, 차량의 콘솔박스 등 차량 내부에 구성될 수 있도록 하여 영상 저장에 안전성을 도모하는 것과 함께, 상기 저장 매체에 저장되는 영상은 통신부를 통하여 동시에 스마트폰과 같은 외부기기로 전송되도록 함으로써, 영상 보관의 안전을 더욱 도모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블랙박스 장치가 설치되는 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분리형 블랙박스 장치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3 내지 도 5는 본 발명의 블랙박스 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들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적 사상이 제한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한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블랙박스 장치가 설치되는 예를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분리형 블랙박스 장치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그리고, 도 3 내지 도 5는 본 발명의 블랙박스 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들이다.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해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블랙박스 장치는 영상을 촬영하기 위한 카메라 모듈(10)은 차량 전방이나 후방을 촬영하기 위하여 차량 유리에 설치되고, 상기 카메라 모듈(10)에 의하여 촬영된 영상 신호를 수신받아 영상 처리 후 저장 매체에 저장함과 동시에 스마트폰으로 영상 데이터를 전송하는 본체 수단(20)을 포함한다.
상기 본체 수단(20)과 카메라 모듈(10)은 물리적으로 서로 다른 구성으로 구성되며, 유선 또는 무선으로 상호간에 연결될 수 있다.
특히, 상기 카메라 모듈(10)은 영상 촬영만을 위한 렌즈, 프리즘 및 미러의 광학 수단들과, 상기 광학 수단(렌즈)으로 들어온 빛을 전기적 신호로 변환하는 CCD(Charge Coupled Device)가 상기 카메라 모듈(10)로 구성된다.
상기 CCD에 의하여 전기적 신호로 변환된 영상 데이터는 상기 본체 수단(20)으로 유선 또는 무선으로 전달되며, CCD에서 전기적 신호로 변환된 아날로그 영상 데이터를 상기 본체 수단(20)으로 안정적으로 전달하기 위하여 별도의 릴레이부 내지는 통신부가 구성될 수도 있다.
상기 카메라 모듈(10)에 의하여 촬영된 영상 데이터는 물리적으로 구분된 본체 수단(20)으로 전달되는데, 상기 본체 수단(20)에는 아날로그-디지털 변환기가 구성된다.
상기 아날로그-디지털 변환기는 영상 수신부(210)에 도 2에 도시된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블랙박스 장치를 구성하는 본체 수단(20)은 카메라 모듈에서 촬영된 아날로그 영상 데이터를 수신하여 디지털 변환하는 영상 수신부(210)와, 상기 영상 수신부(210)를 통하여 디지털 변환된 영상 데이터를 저장 매체(230)에 저장하는 것과 동시에 통신부(240)를 통하여 외부의 서버(2)나 스마트폰(1)으로 영상을 전송하는 것을 제어하는 통합 제어부(220)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본체 수단(20)은 차량의 사고를 감지하기 위하여 자이로 센서 등을 포함하는 센서부(250)를 포함한다.
상기 본체 수단(20)은 차량 배터리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으며, 본체 수단을 구성하는 각 구성으로 전원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하는 전원부 역시 구성된다.
상기 스마트폰(1)은 상기 본체 수단(20)과의 원활한 통신과, 영상 저장 및 사고시 동작의 원활한 통신을 위하여 별도로 설치된 애플리케이션이 구동될 수 있는 장치이다.
도 3의 흐름도를 함께 참조하면, 상기 본체 수단(20)의 영상 수신부(210)는 상기 카메라 모듈(10)에서 촬영되어 전기 신호로 변환된 영상 신호를 수신하고(S101), 상기 통합 제어부(220)는 미리 설정된 단위 시간별로 분할하여 각 영상 데이터를 디지털로 상기 저장 매체(230)에 저장한다(S102).
그리고, 상기 통합 제어부(220)는 상기 저장 매체(230)에 저장되는 영상들에 대해서 저장 시간과, 저장 영상의 용량 등의 정보를 리스트 작성하고(S103), 상기 센서부(250)에 의하여 차량의 사고가 발생하였다고 판단하는 경우에는 상기 센서부(250)에 의한 사고 판단 시점에 대응되는 영상을 추출하여 해당 영상을 상기 통신부(240)를 통해 외부의 스마트폰(1) 또는 서버(2)로 전송되도록 제어한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서, 상기 본체 수단(20)은 상기 카메라 모듈(10)과 분리된 구조로 이루어지지만, 본체 수단 내부의 구성된 SD 카드와 같은 저장 매체에의 영상 저장과, 저장된 영상들을 독출해내기 위한 리스트 작성이 이루어진다.
한편, 도 4에 도시된 제어방법과 같이, 상기 본체 수단(20)은 SD 카드 등의 저장 매체에 영상을 저장하는 과정 중에 오류가 발생되거나, 저장 매체에 저장된 영상이 훼손되어 영상의 확인이 어렵게 되는 상황을 미연에 방지하기 위하여 저장 매체에 영상을 저장하는 것과 동시에 외부의 스마트폰(1)등으로 영상을 동시에 전송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SD 카드와 같은 저장 매체는 차량의 충격 등에 의하여 카드 접점이 이탈되는 이유로 저장이 이루어지지 않는 경우가 종종 있다. 이러한 경우를 대비하여, 영상 수신(201) 후 영상을 저장하면서 영상 저장 리스트를 생성(S202)과 함께 저장 매체에 영상이 저장되도록 하면서 이와 동시에 통신부를 통한 외부 기기인 스마트폰으로 전송하도록 한다(S203).
이때, 상기 스마트폰(1)은 상기 본체 수단(20)으로부터 전달되는 영상 데이터를 저장하는데, 저장용량 확보 뿐만 아니라 사용자가 스마트폰으로 사고 영상을 신속하게 확인할 수 있도록 사용자가 스마트폰에 설치된 특정 애플리케이션을 실행시키게 되면, 해당 애플리케이션을 실행시킨 시간을 기준으로 순차적으로 저장된 영상이 표시되도록 한다.
특히, 상기 본체 수단(20)과 통신 연결되는 스마트폰에 설치된 애플리케이션은 저장되는 영상 각각에 사고 발생 여부를 판단한다. 즉, 스마트폰의 제어부는 본체 수단(20)의 센서부의 감지 신호와 관계없이 이미지 분석을 통하여 사고 발생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본체 수단으로부터 전달되는 영상 데이터를 스마트폰 메모리에 저장하면서, 저장되는 영상의 이미지로부터 차량 전방 촬영된 객체가 기울어졌거나 뒤집혔는지 여부, 차량 전방에 촬영된 객체가 벽이나 나무가 장시간 포함되는지 여부가 등이 될 수 있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서, 스마트폰 내에서도 저장이 불필요한 영상을 분류할 수 있다.
도 5를 함께 참조하면, 상기 본체 수단(20)으로부터 무선으로 영상 데이터를 전송받을 수 있는 스마트폰(1)은 상기 본체 수단으로부터 사고 신호를 별도로 수신할 수 있다(S301). 상기 본체 수단(20)과 스마트폰(1) 사이의 원활한 통신과, 약속된 동작이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스마트폰(1)에는 미리 특정 애플리케이션이 설치되고, 해당 애플리케이션이 상기 스마트폰(1)에서 실행된 상태를 가정하여 본다.
상기 스마트폰(1)은 상기 본체 수단(20)로부터 사고 신호를 수신하게 되면, 해당 사고 신호를 수신한 때에 저장된 영상이나 사고 신호가 수신된 시간에 가장 근접한 시간에 저장된 영상을 메모리부터 추출한다(S302).
그리고, 상기 스마트폰(1)은 해당 추출된 영상에 대해서 사고 수준을 분류하는 동작을 수행한다(S303). 여기서, 사고 수준을 분류하는 동작은 상기 본체 수단(20)으로부터 전달되는 사고 신호에 포함되는 사고 정도(센서부의 충격 감지값)를 이용하여 판단하거나, 스마트폰에 저장된 해당 영상에 대한 이미지들을 분석함으로써 사고 수준을 판단할 수 있다.
사고 수준은 미리 설정된 기준에 따라 2개 분류 내지는 3개 분류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상기 스마트폰의 애플리케이션에서는 저장된 영상으로부터 사고 수준을 영상 및 이미지로부터 판단한다.
이를 위하여, 상기 본체 수단(20)은 센서부(250)를 통하여 측정되는 차량의 속도 정보를 카메라 모듈(10)에 의해 촬영된 영상 화면 내에 삽입시키고, 화면 내에 차량 속도가 표시된 영상을 상기 스마트폰(1)으로 전달한다.
그리고, 상기 스마트폰(1)은 저장된 영상에서 사고 신호가 감지된 순간이나, 가장 최근에 저장된 영상을 독출하여 화면 캡쳐 동작을 수행하고, 캡쳐된 화면 내에 기재된 텍스트 기반의 속도 정보를 독출한다. 영상 내의 객체가 이동되는 것으로부터 차량의 속도를 판단하기에는 너무 많은 데이터처리가 요구되고, 사고 순간으로 판단된 시간에 가장 가까운 시간의 영상 화면을 캡쳐하는 작업을 수행하고, 캡쳐 화면 내에 기재된 텍스트 기반의 속도 정보를 추출하여 그 속도에 따라 사고 정도를 판단할 수 있다.
동영상 내의 각 프레임들을 분석하는 작업보다는, 사고 시점으로 판단되는 순간에 대응되는 영상 화면을 캡쳐함으로써, 한장 내지는 2장의 캡쳐 이미지에 기록된 텍스트를 확인함으로써, 사고 수준을 판단하기 위한 동작을 수행하게 되는데, 그 처리 대상의 데이터량이 현저하게 줄어들 수 있으므로, 용이하게 판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스마트폰(1)에서는 판단된 사고 수준에 따라 미리 저장된 연락처를 탐색하고(S304), 해당 영상 또는 이미지를 선택된 연락처로 전송하면서, 상기 본체 수단(20)으로부터 전달된 영상 데이터에 포함된 위치 정보를 함께 전달한다(S305).
이러한 방법을 통해서, 차량 운전자가 사고시에 당황하여 신속하게 신고 내지는 연락을 못하거나, 큰 사고가 발생하여 연락을 못하게 되는 경우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Claims (5)

  1. 차량 전면 또는 후면의 유리에 장착되고, 렌즈 및 미러를 포함하는 광학 수단과, 상기 광학 수단으로 들어온 빛을 전기적 신호로 변환하기 위한 수단이 구성된 카메라 모듈;
    상기 카메라 모듈과 물리적으로 별도로 설치되고, 상기 카메라 모듈로부터 전달되는 영상이 저장되는 저장 매체와, 외부의 스마트폰과 무선으로 통신할 수 있도록 하는 통신부와, 상기 영상의 저장 여부 및 상기 통신부를 통하여 상기 스마트폰으로 상기 영상을 동시 전송을 제어하는 통합 제어부를 포함하는 본체 수단; 및
    상기 본체 수단과의 통신과, 상기 본체 수단으로부터 전달되는 영상을 수신 및 저장과, 상기 본체 수단으로부터 전달되는 영상에 대한 분석을 처리하도록 설정된 애플리케이션이 설치된 스마트폰;을 포함하고,
    상기 본체 수단의 통합 제어부는 상기 카메라 모듈로부터 전달되는 영상을 상기 저장 매체에 저장하는 것과 동시에 상기 통신부를 통하여 상기 스마트폰으로 상기 영상을 전송하고,
    상기 스마트폰의 애플리케이션은, 상기 본체 수단으로부터 전달되는 영상으로부터 사고 수준을 판단하는 동작과, 결정되는 사고 수준에 따라 미리 저장된 연락처로 영상 또는 이미지와 상기 본체 수단의 위치 정보를 자동 전송하는 동작을 수행하고,
    상기 스마트폰의 애플리케이션은 상기 본체 수단으로부터 전달되는 영상을 저장하고, 저장한 영상에서 캡쳐 이미지를 생성하고, 생성된 캡쳐 이미지에 포함된 텍스트 기반의 속도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차량의 사고 수준을 분류하는 분리형 블랙박스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 수단은 상기 카메라 모듈로부터 전달되는 아날로그 신호를 디지털 변환하기 위한 영상 수신부와, 상기 차량의 움직임을 센싱하기 위한 자이로 센서를 포함하는 센서부를 포함하는 분리형 블랙박스 시스템.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 수단의 통합 제어부는 상기 카메라 모듈로부터 전달되는 아날로그의 영상 신호를 디지털로 변환한 다음 상기 저장 매체에 저장하는 때에 기설정된 단위 시간별로 분할하여 영상을 저장하고, 저장된 영상들에 대한 저장 리스트를 작성하는 분리형 블랙박스 시스템.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폰의 애플리케이션에서는 상기 본체 수단으로부터 전달되는 영상을 내부 메모리에 저장하고, 상기의 기설정된 단위 시간별로 분할하여 전달되는 영상들 중에서 최근 영상만이 저장 관리하는 분리형 블랙박스 시스템.
  5. 삭제
KR1020170036934A 2017-03-23 2017-03-23 분리형 블랙박스 시스템 KR10188965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36934A KR101889653B1 (ko) 2017-03-23 2017-03-23 분리형 블랙박스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36934A KR101889653B1 (ko) 2017-03-23 2017-03-23 분리형 블랙박스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89653B1 true KR101889653B1 (ko) 2018-08-17

Family

ID=634079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36934A KR101889653B1 (ko) 2017-03-23 2017-03-23 분리형 블랙박스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89653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35645A (ko) * 2012-09-14 2014-03-24 송상훈 차량용 블랙박스 시스템 및 그 제공 방법
KR20150044273A (ko) * 2013-10-16 2015-04-24 주식회사 에이스테크놀로지 차량용 블랙박스 장치
KR20160071024A (ko) * 2014-12-11 2016-06-21 주식회사 에이젠 영상데이터 전송기능을 갖춘 차량용 블랙박스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35645A (ko) * 2012-09-14 2014-03-24 송상훈 차량용 블랙박스 시스템 및 그 제공 방법
KR20150044273A (ko) * 2013-10-16 2015-04-24 주식회사 에이스테크놀로지 차량용 블랙박스 장치
KR20160071024A (ko) * 2014-12-11 2016-06-21 주식회사 에이젠 영상데이터 전송기능을 갖춘 차량용 블랙박스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1656411B (zh) 记录控制装置、记录控制系统、记录控制方法及存储介质
US11138451B2 (en) Training image selection system
JP4871238B2 (ja) 情報収集システム、運転情報記録装置および情報管理設備
KR20230009520A (ko) 경찰차를 활용한 포트홀 실시간 탐지 장치
CN114626450A (zh) 摄像头异常状况检测方法、系统和计算机可读存储介质
KR101987992B1 (ko) 충격 감지 기능을 이용한 차량용 영상 녹화 장치 및 그 방법
CN111369708A (zh) 车辆行驶的信息记录方法及装置
US10049506B2 (en) Documentation of a motor vehicle condition
US11120527B2 (en) Vehicular camera and camera system
KR101889653B1 (ko) 분리형 블랙박스 시스템
KR101391909B1 (ko) 차량용 블랙박스의 영상데이터와 gis 연동 서비스 방법
KR101306887B1 (ko) 차량용 단말기의 화면 밝기 제어장치 및 그 방법
KR101311112B1 (ko) 차량 사고 판단 장치 및 그 방법
WO2014073779A1 (ko) 운송 차량의 사고 인식 시스템
JP2010020386A (ja) 事故情報取得装置
WO2018047393A1 (ja) 映像出力システム
KR20130036806A (ko) 블랙박스를 이용한 사고판단시스템 및 그 구동방법
KR102296848B1 (ko) 차량용 사고 영상 기록 장치 및 방법
KR20140000486A (ko) 장애물 감지 기능을 이용한 차량용 영상 녹화 장치 및 그 방법
KR101686244B1 (ko) 주간과 야간을 인식하는 차량용 사고 기록 장치 및 그 사고 기록 방법
KR20160097838A (ko) 녹화 영상 수집 방법 및 시스템
KR20210009666A (ko) 차량의 주행영상 기록 장치 및 그 방법
KR101350561B1 (ko) 주행 영상 데이터 저장 장치
KR20180013126A (ko) 차량용 블랙박스
KR101643875B1 (ko) 경보발생장치가 구비된 블랙박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