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140055A - 이동식 크레인의 훅 블록 격납 장치 - Google Patents

이동식 크레인의 훅 블록 격납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140055A
KR20170140055A KR1020160161510A KR20160161510A KR20170140055A KR 20170140055 A KR20170140055 A KR 20170140055A KR 1020160161510 A KR1020160161510 A KR 1020160161510A KR 20160161510 A KR20160161510 A KR 20160161510A KR 20170140055 A KR20170140055 A KR 2017014005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ok block
hook
boom
sheave
bloc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615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924698B1 (ko
Inventor
다카히로 가와사키
사토시 히로타
Original Assignee
가부시기가이샤다다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기가이샤다다노 filed Critical 가부시기가이샤다다노
Publication of KR2017014005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4005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2469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2469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23/00Cranes comprising essentially a beam, boom, or triangular structure acting as a cantilever and mounted for translatory of swinging movements in vertical or horizontal planes or a combination of such movements, e.g. jib-cranes, derricks, tower cranes
    • B66C23/88Safety gea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23/00Cranes comprising essentially a beam, boom, or triangular structure acting as a cantilever and mounted for translatory of swinging movements in vertical or horizontal planes or a combination of such movements, e.g. jib-cranes, derricks, tower cranes
    • B66C23/18Cranes comprising essentially a beam, boom, or triangular structure acting as a cantilever and mounted for translatory of swinging movements in vertical or horizontal planes or a combination of such movements, e.g. jib-cranes, derricks, tower crane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particular purposes
    • B66C23/36Cranes comprising essentially a beam, boom, or triangular structure acting as a cantilever and mounted for translatory of swinging movements in vertical or horizontal planes or a combination of such movements, e.g. jib-cranes, derricks, tower crane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particular purposes mounted on road or rail vehicles; Manually-movable jib-cranes for use in workshops; Floating cra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2700/00Cranes
    • B66C2700/03Cranes with arms or jibs; Multiple cranes
    • B66C2700/0321Travelling cranes
    • B66C2700/0357Cranes on road or off-road vehicles, on trailers or towed vehicles; Cranes on wheels or crane-truc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Jib Cranes (AREA)

Abstract

[과제] 종래의 훅 블록 격납 장치에서는, 격납 위치에서의 훅 블록 하(下)에 데드 스페이스가 발생하고, 험로 주행시에는 훅 블록의 처짐이 발생한다.
[해결 수단] 격납 위치에서의 훅 블록(10)의 훅 쉬브축(7)과 트러니언축(15)을 연결하는 훅 블록 중심선(42)이 신축 붐 중심선(43)과 대략 평행하게 되고, 또한 격납 위치에서의 붐 헤드(2)의 톱 쉬브축(6)의 오프셋량이 훅 블록(10)의 훅 쉬브축(7)의 오프셋량보다도 작게 되도록 했다.

Description

이동식 크레인의 훅 블록 격납 장치{Hook block storage device of a mobile crane}
본 발명은, 차량 탑재형 크레인이나 러프 터레인 크레인(rough terrain crane) 등의 이동식 크레인에 사용되는, 훅 블록(hook block)을 윈치(winch)에 의해 와이어 로프로 권취하여 격납하는 훅 블록 격납 장치에 관한 것이다.
배경 기술 이후를 설명하는데 있어서, 본 명세서(특허 청구 범위, 요약서 포함함) 중에서는, 신축(伸縮) 붐(boom) 중심선으로부터 신축 붐 배측(腹側)으로의 변위를 「오프셋」이라고 하고, 그 변위량을 「오프셋량」이라고 정의한다.
종래로부터,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러프 터레인 크레인의 훅 블록 격납 장치가 알려져 있다(특허 문헌 1).
특허 문헌 1 기재된 훅 블록 격납 장치는, 붐 헤드(2)의 오프셋 부분에 톱 쉬브(top sheave)(4)가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고, 전방을 향해 앞으로 내려가게 된 신축 붐(1)과, 신축 붐 기단부 근방에 배치된 도시하지 않은 윈치와, 2매의 측판(側板) 사이에 훅 쉬브(5)와 해커(hacker)의 트러니언(trunnion)이 회전 가능하게 배치된 훅 블록(10)과, 톱 쉬브축(6)보다 신축 붐 선단 방향 또한 오프셋량이 커지는 방향의 위치에서 붐 헤드(2)에 핀(8)에 의해 연결되고, 신축 붐 중심선을 포함하는 수직면에 평행하게 회동 가능한 격납 링크(3)와, 윈치로부터 인출되고, 톱 쉬브(4)와 훅 쉬브(5)에 걸어 돌려진 와이어 로프(9)를 구비하고 있다.
도 5에 나타내어진 특허 문헌 1의 훅 블록 격납 장치는, 붐 헤드(2)로부터 훅 블록(10)과 격납 링크(3)를 매단 상태에서, 윈치에 의해 와이어 로프(9)를 권취함으로써, 훅 블록(10)의 측판의 맞닿음변(10a)을 격납 링크(3)의 맞닿음면(11b)에 맞닿게 한 후, 윈치에 의해 와이어 로프를 권취함으로써 일체가 된 훅 블록(10)과 격납 링크(3)를 신축 붐 기단측을 향해 더 회동시켜, 훅 블록(10)을 거의 수평하게 되는 격납 자세로 격납한다.
특허문헌 1 : 일본실용신안공개 평6-63578호 공보
그런데, 도 5는 신축 붐(1)의 기복(起伏) 각도가 최소가 되는 주행 자세에서의 훅 블록(10)의 격납 위치를 나타내고 있지만, 러프 터레인 크레인의 주행 자세는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신축 붐(1)이 앞으로 내려가게 되는 것 뿐만 아니라, 신축 붐(1)이 수평하게 되는 경우, 신축 붐(1)이 약간 앞으로 올라가게 되는 경우도 있다.
도 5에 나타내는 특허 문헌 1의 훅 블록 격납 장치를, 수평 또는 전방 올림의 주행 자세가 되는 신축 붐(1)에 적용하면, 훅 블록(10)의 해커측이 수평보다도 아래를 향해 버리는 과제가 있었다. 훅 블록(10)의 해커측이 수평보다도 아래를 향해 버리면, 러프 터레인 크레인에서는 훅 블록(10)과 지면(地面)과의 거리가 충분히 취해지지 않는 등의 문제로 연결되기 때문에, 도 5에 나타낸 격납 위치보다도 훅 블록(10)을 신축 붐(1)의 배측에 더 접근한 격납 위치(오프셋량이 작은 격납 위치)를 취할 수 있는 훅 블록 격납 장치가 원해지고 있었다.
한편, 도 6은, 차량 탑재형 크레인에 특허 문헌 1의 훅 블록 격납 장치를 적용한 경우를 나타내고 있다. 차량 탑재형 크레인에서는, 신축 붐 배측(오프셋측)에 와이어 로프(9)를 통과시킬 필요가 있기 때문에, 붐 헤드(2)의 오프셋 부분에 배치된 톱 쉬브(4)의 오프셋량이 도 5에 나타낸 것보다 크게 되어 있다. 그 때문에, 차량 탑재형 크레인에 특허 문헌 1의 훅 블록 격납 장치를 적용하면, 붐 헤드(2)가 크게 되어 붐 중량이 증가하여 크레인 성능이 저하해 버리는 과제가 있었다.
주행시 후방 격납 타입의 차량 탑재형 크레인에서는, 격납 위치의 훅 블록(10)의 하측은 트럭 짐받이의 물품 적재 스페이스가 되기 때문에,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훅 블록(10)이 하부로 경사져 있으면 물품 적재 스페이스에서의 데드 스페이스가 증가해 버리기도 한다.
게다가, 도 6에 나타낸 훅 블록 격납 장치에서, 톱 쉬브(4)의 오프셋량을 줄이려고 하면(톱 쉬브(4)를 상부에 배치하면) 격납시의 훅 블록(10)의 각도가 더 하부를 향하게 되어, 역시 데드 스페이스가 증가해 버린다.
그 때문에, 도 6에 나타내는 차량 탑재형 크레인의 훅 블록 격납 장치에서도, 붐 헤드(2)의 톱 쉬브(4)의 오프셋량을 작게 하고, 또한 훅 블록(10)이 신축 붐(1)의 배측에 접근한 격납 위치(오프셋량이 작은 격납 위치)를 취할 수 있는 훅 블록 격납 장치가 원해지고 있었다.
또, 도 5와 도 6에 나타낸 훅 블록 격납 장치에서는, 험로 주행시에는 훅 블록(10)의 상하 진동에 의해 와이어 로프(9)의 느슨함이 발생하여 훅 블록(10)이 격납 링크(3)로부터 처지는 문제도 있었다.
그래서, 본 발명에서는, 격납 위치에서의 훅 블록의 오프셋량을 작게 함과 아울러, 험로 주행시에 발생하는 훅 블록(10)의 처짐에 대한 저항력을 향상시킨 훅 블록 격납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이동식 크레인의 훅 블록 격납 장치는, 붐(boom) 헤드의 오프셋 부분에 톱 쉬브(top sheave)가 회전 가능하게 배치된 신축(伸縮) 붐과, 상기 신축 붐 기단부 근방에 배치된 윈치(winch)와, 2매의 측판(側板) 사이에 훅 쉬브와 해커(hacker)의 트러니언(trunnion)이 회전 가능하게 배치된 훅 블록과, 톱 쉬브축보다 신축 붐 선단 방향 또한 오프셋량이 커지는 방향의 위치에서 붐 헤드에 핀 연결되고, 신축 붐 중심선을 포함하는 수직면에 평행하게 회동 가능한 격납 링크와, 상기 윈치로부터 인출되고, 상기 톱 쉬브와 훅 쉬브에 걸어 돌려진 후, 그 단부가 붐 헤드 또는 훅 블록에 연결된 와이어 로프를 구비하며, 붐 헤드로부터 상기 훅 블록과 상기 격납 링크를 매단 상태에서, 상기 윈치에 의해 상기 와이어 로프를 권취함으로써 상기 훅 블록의 측판의 맞닿음변을 상기 격납 링크의 맞닿음면에 맞닿게 한 후, 상기 윈치에 의해 상기 와이어 로프를 권취함으로써 일체가 된 상기 훅 블록과 상기 격납 링크를 신축 붐 기단측을 향해 더 회동시켜, 소정의 격납 위치에 격납하는, 이동식 크레인의 훅 블록 격납 장치에 있어서, 상기 훅 블록은, 상기 측판이, 훅 쉬브축을 사이에 두고 대향하는 평행한 2변(邊)을 가지고, 훅 쉬브축을 둘러싸는 직선으로 이루어지는 맞닿음변이 상기 평행한 2변 중 일방의 변과 예각 코너부를 형성하고 있으며, 상기 격납 위치에서는, 상기 훅 블록의 측판의 평행한 2변이 신축 붐 중심선과 평행하게 되고, 또한 평행한 2변 중 상기 예각 코너부를 형성하는 일방의 변이 타방의 변에 대해 오프셋량이 큰 측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격납 위치를 취하는 것에 의해, 훅 블록의 측판의 평행한 2변이 신축 붐 중심선과 평행하게 되므로, 신축 붐에 대해서 훅 블록이 보다 접근한 위치가 된다. 또 상기 격납 위치에서는, 훅 블록의 측판의 평행한 2변 중 예각 코너부를 형성하는 일방의 변이 타방의 변에 대해 오프셋량이 큰 측에 위치하는 것에 의해, 훅 쉬브축의 오프셋량보다도 톱 쉬브축의 오프셋량이 작게 되기 때문에, 붐 헤드의 톱 쉬브축의 오프셋량을 작게 할 수 있다. 또, 격납 링크의 맞닿음면과 맞닿는 훅 블록의 맞닿음변의 길이를 길게 할 수 있다.
게다가 본 발명의 훅 블록 격납 장치는, 상기 격납 위치에서, 상기 훅 블록의 훅 쉬브축과 트러니언축을 연결하는 훅 블록 중심선이 신축 붐 중심선과 대략 평행하게 되고, 또한 상기 붐 헤드의 톱 쉬브축의 오프셋량이 상기 훅 블록의 훅 쉬브축의 오프셋량보다도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격납 위치를 취하는 것에 의해, 훅 블록의 훅 쉬브축과 트러니언축을 연결하는 훅 블록 중심선이 신축 붐 중심선과 대략 평행하게 되므로, 신축 붐에 대해서 훅 블록이 보다 접근한 자세가 된다. 또, 상기 격납 위치에서는, 상기 붐 헤드의 톱 쉬브축의 오프셋량이 상기 훅 블록의 훅 쉬브축의 오프셋량보다도 작으므로, 붐 헤드의 톱 쉬브축의 오프셋량을 작게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훅 블록 격납 장치는, 신축 붐 중심선이 대략 수평하게 되는 격납 자세의 경우, 훅 블록의 측판의 맞닿음변과 맞닿는 격납 링크의 맞닿음면이 훅 블록측으로 경사지게 접촉하게 되어, 험로 주행시의 진동에 의해 상하 방향으로 움직이려고 하는 훅 블록에 대해 마찰력 뿐만 아니라 수직 항력(抗力)도 생기므로, 험로 주행시의 훅 블록의 튀어오름을 억제할 수 있다. 또, 격납 링크의 맞닿음면과 맞닿는 훅 블록의 맞닿음변이 종래보다도 길기 때문에, 험로 주행시의 훅 블록의 상하 이동에 의해 발생하는 와이어 로프 장력이 작아져 느슨함이 발생하기 어려워짐과 아울러, 예로 와이어 로프의 느슨함이 발생해도 훅 블록의 격납 위치 변화(처짐)가 작게 된다.
본 발명의 이동식 크레인의 훅 블록 격납 장치는, 격납 위치에서 신축 붐에 대해서 훅 블록이 접근한 위치가 되므로(오프셋량이 작아지므로), 신축 붐 하측의 데드 스페이스를 줄일 수 있다.
또, 신축 붐의 붐 헤드의 톱 쉬브축의 오프셋량을 작게 할 수 있으므로, 붐 헤드가 작게 되어 신축 붐의 중량(重量) 증가를 억제할 수 있다.
게다가, 험로 주행시의 훅 블록의 튀어오름을 억제할 수 있으므로, 험로 주행시에 와이어 로프가 느슨해지는 것에 의해 발생하는 훅 블록(10)의 처짐에 대한 저항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관한 훅 블록 격납 장치를 탑재한 차량 탑재형 크레인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관한 훅 블록 격납 장치의 격납 전의 상태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관한 훅 블록 격납 장치의 훅 블록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관한 훅 블록 격납 장치의 격납 자세이다.
도 5는 특허 문헌 1에 기재된 훅 격납 장치이다.
도 6은 차량 탑재형 크레인에 특허 문헌 1에 기재된 훅 블록 격납 장치를 적용한 경우의 격납 자세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관한 훅 블록 격납 장치를 탑재한 차량 탑재형 크레인(20)이다. 차량 탑재형 크레인(20)은, 짐받이(21)와 운전실(24)을 구비한 트럭 차량(22)의 샤시 프레임(23)에 크레인 본체(25)를 걸어 장착하여 구성되어 있다. 크레인 본체(25)의 하부 프레임(27)은, 트럭 차량(22)의 운전실(24)과 짐받이(21)의 사이의 위치에서, 샤시 프레임(23)의 상부에 배치된 보강재(26) 상에 고정되어 있다. 하부 프레임(27)에는 아우트리거(outrigger)(29)가 배치되어 있다. 아우트리거(29)는 하부를 향해 신장 가능하게 되어 있고, 아우트리거(29)가 지면(地面)에 접지한 상태에서, 차량 탑재형 크레인(20)은 크레인 작업을 행한다.
하부 프레임(27) 상에는, 하부 프레임(27)에 대해 선회(旋回) 가능한 선회 포스트(28)가 마련되어 있다. 선회 포스트(28)의 상단에는 신축 붐(1)이 기복(起伏) 가능하게 되도록 핀 연결되어 있다. 신축 붐(1)의 기단부와 선회 포스트(28)의 하부와의 사이에는 기복 실린더(30)가 배치되고, 그 양단이 핀 연결되어 있다. 기복 실린더(30)를 신축 구동하는 것에 의해, 신축 붐(1)이 기복 구동된다.
윈치(winch)(31)는, 선회 포스트(28)에 배치되어 있고, 선회 포스트(28) 내에 배치된 도시하지 않은 드럼으로부터 인출된 와이어 로프(9)가 신축 붐(1)의 배측(하측)을 통과하여 붐 헤드(2)로 안내된다.
도 1은, 차량 탑재형 크레인(20)의 주행 자세를 나타내고 있다. 아우트리거(29)는 전부 축소되어 있고, 신축 붐(1)은 전부 축소 또한 최소 기복 각도(대략 수평)로 되어 있다. 신축 붐(1)은 차량 후방을 향한 자세(후방 격납 자세)로 격납되어 있다.
또, 본 발명의 실시 형태를, 도 1에 나타낸 차량 탑재형 크레인(20)에 적용한 예에 근거하여 설명하지만, 본 발명은 러프 터레인 크레인 등의 다른 이동식 크레인에도 적용 가능한 것은 물론이다.
도 2는, 도 1에 나타낸 차량 탑재형 크레인(20)의 신축 붐(1)의 선단부를 나타내고 있고, 격납 전의 상태의 본 발명에 관한 훅 블록 격납 장치를 나타내고 있다. 신축 붐(1)은 전부 축소ㆍ기복 각도 최소의 격납 자세로 되어 있다.
신축 붐(1)은, 베이스 붐(1a)에 세컨드(second) 붐(1b), 서드(third) 붐(1c), 포스(fourth) 붐(1d), 톱 붐(1e)이 순차적으로 신축 가능하게 끼워 장착된 5단(段) 신축 붐이다.
신축 붐(1)의 붐 헤드(2)의 오프셋 부분에 톱 쉬브(4)가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어 있다.
도 3의 (a)는, 본 발명에 관한 훅 블록(10)의 정면도이며, 도 3의 (b)는 측면도이다.
도 3의 (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훅 블록(10)은, 2매의 측판(13)의 사이에 훅 쉬브(5)와 해커(14)의 트러니언(15)이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어 있다. 본 실시의 형태에서는, 훅 쉬브(5)는 4매로 되어 있다.
도 3의 (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측판(13)은 훅 쉬브축(7)을 사이에 두고 대향하는 평행한 2개의 변(邊)(35, 36)(좌우의 변)을 가지고 있다. 훅 쉬브축(7)을 둘러싸는 직선으로 이루어지는 맞닿음변(10a)은, 훅 블록(10)의 격납시에 도 2에 나타낸 격납 링크(3)의 맞닿음면(11b)과 맞닿는 부분이다.
도 3의 (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측판(13)의 맞닿음변(10a)(상변(上邊))은 우측 상부로 경사져 있고, 측판(13)의 우변(右邊)(36)은, 교차하는 각도가 예각이 되는 예각 코너부(37)를 형성하고 있다.
또, 도 3의 (b)에 나타내는 훅 블록(10)에서는, 측판(13)의 맞닿음변(10a)과 측판(13)의 좌변(35)은, 면취부(面取部)(모따기부)(38)를 형성하고 있지만, 이 면취부(38)는 본 발명과는 직접 관계하지 않는다.
훅 블록에 대해서는, 도 3에 나타내어진 바와 같은 2매의 측판(13)의 사이에 훅 쉬브(5)와 해커(14)의 트러니언(15)이 회전 가능하게 배치된 것이 아니라도 본 발명을 적용할 수 있다. 즉, 주조(鑄造) 등에 의해 일체가 되어 구성된 외각(外殼)에 훅 쉬브가 회전 가능하게 배치된 훅 블록이라도 좋다. 또, 트러니언을 마련하지 않고, 해커가 훅 쉬브 축에 직접 회전 가능하게 배치된 훅 블록이라도 괜찮다.
도 2에 나타낸 격납 링크(3)는, 톱 쉬브축(6)보다 신축 붐(1) 선단 방향 또한 오프셋량이 커지는 방향(도 2에서는 하부)의 위치에서 붐 헤드(2)에 핀(8)에 의해 연결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격납 링크(3)는, 신축 붐(1)의 중심선(43)을 포함하는 수직면에 평행하게 회동 가능하게 되어 있다.
격납 링크(3)에는, 훅 블록(10)의 측판(13)의 맞닿음변(10a)이 맞닿는, 맞닿음면(11b)이 마련되어 있다. 맞닿음면(11b)에는, 받침 플레이트(12)가 돌출되어 마련되어 있다. 후술하는 바와 같이, 훅 블록(10)의 격납 위치에서는, 받침 플레이트(12)는 훅 블록(10)의 측판(13)의 맞닿음변(10a)의 예각 코너부(37)에 맞닿는다.
또, 격납 링크(3)는, 맞닿음면(11b)으로부터 돌출되고, 훅 블록(10)의 양측판(13) 외측 사이의 거리를 두고 대향하는 한 쌍의 가이드 서포트(40, 41)를 구비하고 있다. 후술하는 바와 같이, 훅 블록(10)의 격납 위치에서는, 가이드 서포트(40, 41)에는 훅 블록(10)의 측판(13)의 양 외측이 사이에 넣어진다.
베이스 붐(1a)의 선단 배측에는, 가이드 쉬브(32)를 회전 가능하게 구비한 가이드 쉬브 서포트(31)가 마련되어 있다. 또, 서드 붐(1c)의 선단 배측에도, 가이드 쉬브(32)를 회전 가능하게 구비한 가이드 쉬브 서포트(33)가 마련되어 있다. 서드 붐(1c)의 가이드 쉬브 서포트(33)에는, 훅 블록(10)의 측판(13)과의 맞닿음면(34)이 마련되어 있다.
윈치로부터 인출된 와이어 로프(9)는, 가이드 쉬브 서포트(31, 33)를 경유하여, 톱 쉬브(4)와 훅 쉬브(5)에 걸어 돌려진 후, 그 선단의 도시하지 않은 로프 단부가 붐 헤드(2)에 마련된 도시하지 않은 브라켓에 연결되어 있다.
위에서 설명한 훅 블록 격납 장치의 격납 동작은 이하와 같다.
도 2에 나타낸, 붐 헤드(2)로부터 훅 블록(10)과 격납 링크(3)를 매단 상태로부터, 윈치에 의해 와이어 로프(9)를 권취함으로써 훅 블록(10)의 측판(13)의 맞닿음변(10a)을 격납 링크(3)의 맞닿음면(11b)에 맞닿게 한다. 이 때, 훅 블록(10)의 측판(13)의 예각 코너부(37)는, 격납 링크(3)의 받침 플레이트(12)에도 맞닿음 한다.
윈치를 더 권취하면, 훅 블록(10)의 감아올림력선(力線)(44)(톱 쉬브축(6)과 훅 쉬브축(7)을 연결하는 선(44))은, 격납 링크(3)의 회동 지점(支点)이 되는 핀(8)보다도 신축 붐(1) 기단측에 있으므로, 일체가 된 훅 블록(13)과 격납 링크(3)는, 신축 붐(1) 기단측을 향하여 회동한다.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서드 붐(1c)의 가이드 쉬브 서포트(33)에 훅 블록(10)이 맞닿음으로써 회동 동작은 종료한다. 이 가이드 쉬브 서포트(33)의 맞닿음면(34)에 훅 블록(10)의 측판(13)의 변(35)이 맞닿는 위치가, 훅 블록(10)의 격납 위치이다.
도 4에 나타내는 훅 블록(10)의 격납 위치에서는, 훅 블록(10)의 측판(13)의 평행한 2변(35, 36)이 신축 붐(1)의 중심선(43)과 평행하게 되어 있다. 이 때, 평행한 2변 중 예각 코너부(37)를 형성하는 일방의 변(36)이 타방의 변(35)에 대해 오프셋량이 큰 측(하측)에 위치하고 있다.
이 때, 훅 블록(10)이 감아올림력선(44)(톱 쉬브축(6)과 훅 쉬브축(7)을 연결하는 선(44))은, 신축 붐(1) 선단을 향해 상부로 경사(오프셋량이 감소하는 방향)져 있다. 또, 이 때 감아올림력선(44)은 격납 링크(3)의 맞닿음면(11b)과 거의 직각으로 교차하고 있다.
도 4에 나타내는 훅 블록(10)의 격납 위치에서는, 상기 훅 블록(10)의 훅 쉬브축(7)과 트러니언축(15)을 연결하는 훅 블록 중심선(42)이 신축 붐 중심선(43)과 대략 평행하게 되고, 또한 붐 헤드(2)의 톱 쉬브축(6)의 오프셋량이 훅 블록(10)의 훅 쉬브축(7)의 오프셋량보다 작다.
상기 격납 위치를 취하는 것에 의해, 신축 붐(1)에 대해서 훅 블록(10)이 보다 접근한 자세가 된다. 또, 상기 격납 위치에서는, 신축 붐(1)의 붐 헤드(2)의 톱 쉬브축(6)의 오프셋량이 작게 된다.
본 발명의 훅 블록 격납 장치는, 격납 위치에서는, 신축 붐 중심선(43)이 대략 수평이면, 훅 블록(10)의 맞닿음변(10a)과 맞닿는 격납 링크(3)의 맞닿음면(11b)이 훅 블록(10)측으로 경사지기 때문에, 마찰력 뿐만 아니라 수직 항력을 일으키게 하므로 험로 주행시의 훅 블록(10)의 튀어오름이 억제된다.
게다가, 격납 링크(3)의 맞닿음면(11b)과 맞닿는 훅 블록(10)의 맞닿음변(10a)이 종래보다도 길기 때문에, 험로 주행시의 훅 블록(10)의 상하 이동에 의해 발생하는 와이어 로프 장력이 작아져 느슨함이 발생하기 어려워짐과 아울러, 예로 와이어 로프(9)의 느슨함이 발생해도 훅 블록(10)의 격납 자세 변화(처짐)가 작게 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훅 블록 격납 장치는, 격납 위치에서 신축 붐(1)에 대해서 훅 블록(10)이 접근한 위치가 되므로, 신축 붐(1) 하측의 데드 스페이스를 줄일 수 있다.
게다가, 신축 붐(1)의 붐 헤드(2)의 톱 쉬브축(6)의 오프셋량이 작아지므로, 붐 헤드(2)를 작게 할 수 있어, 신축 붐(1)의 중량 증가를 억제할 수 있다.
또, 주행시의 훅 블록(10)의 튀어오름을 억제할 수 있으므로, 훅 블록(10)의 처짐에 대한 저항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격납 링크(3)의 맞닿음면(11b)으로부터 돌출되는 받침 플레이트(12)를 구비하는 것에 의해, 격납 위치의 오프셋 방향에서 훅 블록(10)을 받침 플레이트(12)와 가이드 쉬브 서포트(33)에 의해 사이에 넣어 지지하게 된다. 이 때문에, 오프셋 방향의 훅 블록(10)의 격납 위치 결정이 정확하게 됨과 아울러, 험로 주행시의 훅 블록(10)의 상하의 위치 어긋남이 억제된다. 그것에 의해, 훅 블록(10)의 처짐에 대한 저항력이 한층 증가한다.
또,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격납 링크(3)의 맞닿음면(11b)으로부터 돌출되어 대향하는 한 쌍의 가이드 서포트(40, 41)를 구비하는 것에 의해, 격납 위치에서는, 훅 블록(10)의 측판(13)의 양측이 가이드 서포트(40, 41) 사이에 넣어져 있다. 그 때문에, 험로 주행시의 훅 블록(10)의 좌우의 위치 어긋남이 억제된다.
1:신축 붐 2:붐 헤드
3:격납 링크 4:톱 쉬브
5:훅 쉬브 6:톱 쉬브축
7:훅 쉬브축 8:핀
9:와이어 로프 10a:맞닿음변
11b:맞닿음면 12:받침 플레이트
13:측판 15:트러니언축
33:가이드 쉬브 서포트 37:예각 코너부
40, 41:가이드 서포트 42:훅 블록 중심선
43:신축 붐 중심선

Claims (6)

  1. 붐(boom) 헤드의 오프셋 부분에 톱 쉬브(top sheave)가 회전 가능하게 배치된 신축 붐과,
    상기 신축(伸縮) 붐 기단부 근방에 배치된 윈치(winch)와,
    2매의 측판(側板) 사이에 훅 쉬브(hook sheave)와 해커(hacker)의 트러니언(trunnion)이 회전 가능하게 배치된 훅 블록과,
    톱 쉬브축보다 신축 붐 선단 방향 또한 오프셋량이 커지는 방향의 위치에서 붐 헤드에 핀 연결되고, 신축 붐 중심선을 포함하는 수직면에 평행하게 회동 가능한 격납 링크와,
    상기 윈치로부터 인출되고, 상기 톱 쉬브와 훅 쉬브에 걸어 돌려진 후, 그 단부가 붐 헤드 또는 훅 블록에 연결된 와이어 로프를 구비하며,
    붐 헤드로부터 상기 훅 블록과 상기 격납 링크를 매단 상태에서, 상기 윈치에 의해 상기 와이어 로프를 권취함으로써 상기 훅 블록의 측판의 맞닿음변을 상기 격납 링크의 맞닿음면에 맞닿게 한 후, 상기 윈치에 의해 상기 와이어 로프를 권취함으로써 일체가 된 상기 훅 블록과 상기 격납 링크를 신축 붐 기단측을 향해 더 회동시켜, 소정의 격납 위치에 격납하는, 이동식 크레인의 훅 블록 격납 장치에 있어서,
    상기 훅 블록은, 상기 측판이, 훅 쉬브축을 사이에 두고 대향하는 평행한 2변(邊)을 가지고, 훅 쉬브축을 둘러싸는 직선으로 이루어지는 맞닿음변이 상기 평행한 2변 중 일방의 변과 예각 코너부를 형성하고 있으며,
    상기 격납 위치에서는, 상기 훅 블록의 측판의 평행한 2변이 신축 붐 중심선과 평행하게 되고, 또한 평행한 2변 중 상기 예각 코너부를 형성하는 일방의 변이 타방의 변에 대해 오프셋량이 큰 측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크레인의 훅 블록 격납 장치.
  2. 붐 헤드의 오프셋 부분에 톱 쉬브가 회전 가능하게 배치된 신축 붐과,
    상기 신축 붐 기단부 근방에 배치된 윈치와,
    2매의 측판 사이에 훅 쉬브와 해커의 트러니언이 회전 가능하게 배치된 훅 블록과,
    톱 쉬브축보다 붐 선단 방향 또한 오프셋량이 커지는 방향의 위치에서 붐 헤드에 핀 연결되고, 신축 붐 중심선을 포함하는 수직면에 평행하게 회동 가능한 격납 링크와,
    상기 윈치로부터 인출되고, 상기 톱 쉬브와 훅 쉬브에 걸어 돌려진 후, 그 단부가 붐 헤드 또는 훅 블록에 연결된 와이어 로프를 구비하며,
    붐 헤드로부터 상기 훅 블록과 상기 격납 링크를 매단 상태에서, 상기 윈치에 의해 상기 와이어 로프를 권취함으로써 상기 훅 블록의 측판의 맞닿음변을 상기 격납 링크의 맞닿음면에 맞닿게 한 후, 상기 윈치에 의해 상기 와이어 로프를 권취함으로써 일체가 된 상기 훅 블록과 상기 격납 링크를 신축 붐 기단측을 향해 더 회동시켜, 소정의 격납 위치에 격납하는, 이동식 크레인의 훅 블록 격납 장치에 있어서,
    상기 격납 위치에서는, 상기 훅 블록의 훅 쉬브축과 트러니언축을 연결하는 훅 블록 중심선이 신축 붐 중심선과 대략 평행하게 되고, 또한 상기 붐 헤드의 톱 쉬브축의 오프셋량이 상기 훅 블록의 훅 쉬브축의 오프셋량보다도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크레인의 훅 블록 격납 장치.
  3.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격납 위치에서는, 신축 붐 중심선이 대략 수평하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크레인의 훅 블록 격납 장치.
  4.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격납 링크의 맞닿음면으로부터 돌출되는 받침 플레이트를 구비하며,
    상기 격납 위치에서는, 상기 훅 블록의 측판의 맞닿음변의 오프셋량이 큰 측의 단부에 상기 받침 플레이트가 맞닿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크레인의 훅 블록 격납 장치.
  5.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신축 붐을 구성하는 어느 하나의 붐단(段) 선단부의 붐 헤드의 오프셋측에 상기 와이어 로프의 가이드 쉬브 서포트를 구비하며,
    상기 격납 위치에서는, 상기 훅 블록의 측판에 상기 가이드 쉬브 서포트가 맞닿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크레인의 훅 블록 격납 장치.
  6.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격납 링크의 맞닿음면으로부터 돌출되어 대향하는 한 쌍의 가이드 서포트를 구비하며,
    상기 격납 위치에서는, 상기 훅 블록의 맞닿음변 외측이 되는 측판 양측을 상기 가이드 서포트 사이에 넣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크레인의 훅 블록 격납 장치.
KR1020160161510A 2016-06-10 2016-11-30 이동식 크레인의 훅 블록 격납 장치 KR10192469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6-116671 2016-06-10
JP2016116671A JP6727545B2 (ja) 2016-06-10 2016-06-10 移動式クレーンのフックブロック格納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40055A true KR20170140055A (ko) 2017-12-20
KR101924698B1 KR101924698B1 (ko) 2018-12-03

Family

ID=606572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61510A KR101924698B1 (ko) 2016-06-10 2016-11-30 이동식 크레인의 훅 블록 격납 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6727545B2 (ko)
KR (1) KR10192469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470439A (zh) * 2020-04-20 2020-07-31 三一帕尔菲格特种车辆装备有限公司 多功能臂头机构和起重机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620979U (ko) * 1979-07-23 1981-02-24
JPH053291U (ja) * 1991-06-28 1993-01-19 株式会社前田製作所 クレーンフツクブロツクの固定装置
JPH05155586A (ja) * 1991-10-09 1993-06-22 Furukawa Co Ltd フックブロックの格納装置
JPH05229783A (ja) * 1992-02-21 1993-09-07 Arai Jidosha Seibi Kojo:Kk 移動クレーン用フック固定装置
JPH0642891U (ja) * 1992-11-18 1994-06-07 株式会社加藤製作所 移動式クレーン装置
JP2003192278A (ja) * 2001-12-25 2003-07-09 Furukawa Co Ltd クレーンのフック格納装置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620979U (ko) * 1979-07-23 1981-02-24
JPH053291U (ja) * 1991-06-28 1993-01-19 株式会社前田製作所 クレーンフツクブロツクの固定装置
JPH05155586A (ja) * 1991-10-09 1993-06-22 Furukawa Co Ltd フックブロックの格納装置
JPH05229783A (ja) * 1992-02-21 1993-09-07 Arai Jidosha Seibi Kojo:Kk 移動クレーン用フック固定装置
JPH0642891U (ja) * 1992-11-18 1994-06-07 株式会社加藤製作所 移動式クレーン装置
JP2003192278A (ja) * 2001-12-25 2003-07-09 Furukawa Co Ltd クレーンのフック格納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24698B1 (ko) 2018-12-03
JP6727545B2 (ja) 2020-07-22
JP2017218322A (ja) 2017-12-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00031632A1 (en) Hook device and crane
US4976361A (en) Mobile crane comprising a telescopic boom
US10287144B2 (en) Jib connection structure
JP7275625B2 (ja) ストラットバックストップ装置
KR101924698B1 (ko) 이동식 크레인의 훅 블록 격납 장치
EP2711330A1 (en) Lifting or hoisting system and method of stabilizing a mobile elevating work platform
JP7027853B2 (ja) フロート
US9327948B2 (en) Telescopic boom
JP5121352B2 (ja) 移動式クレーン
JP5454308B2 (ja) クレーン
JP2009040600A (ja) 移動式クレーン
JP2018002043A (ja) 杭打機及び杭打機の積載方法
JP6607224B2 (ja) 起伏装置
WO2019132801A1 (en) Tow truck rotator with knuckle boom crane capable of turning the vehicle in air, mounted on the rear axis
JP4101941B2 (ja) トラック搭載型クレーン
JP2013014402A (ja) ガイドシーブ機構
US20220250880A1 (en) Crane
JP4287526B2 (ja) 脱着式ブームヘッドつきの移動式クレーン
JP7480548B2 (ja) ワイヤロープ絡み付き防止冶具
JP2004352467A (ja) ホイールクレーン
JP2009040599A (ja) 移動式クレーン
JPH07101693A (ja) フォークリフトにおけるラム装置
JP2007001354A (ja) 作業車両
JP3284104B2 (ja) ホイールクレーン
JP2021143068A (ja) ブーム起伏位置検出装置の取付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