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138916A - 다이캐스트용 알루미늄 합금 및 이를 사용한 알루미늄 합금 다이캐스트 - Google Patents

다이캐스트용 알루미늄 합금 및 이를 사용한 알루미늄 합금 다이캐스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138916A
KR20170138916A KR1020167030544A KR20167030544A KR20170138916A KR 20170138916 A KR20170138916 A KR 20170138916A KR 1020167030544 A KR1020167030544 A KR 1020167030544A KR 20167030544 A KR20167030544 A KR 20167030544A KR 20170138916 A KR20170138916 A KR 2017013891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luminum alloy
die
content
casting
die cas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703054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아쓰오 가부라기
사토시 미야지리
나오토 오시로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다이키 알루미늄 코교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다이키 알루미늄 코교쇼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다이키 알루미늄 코교쇼
Publication of KR2017013891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3891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21/00Alloys based on aluminium
    • C22C21/02Alloys based on aluminium with silicon as the next major constituent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etallur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olds, Cores, And Manufacturing Methods Thereof (AREA)
  • Extrusion Of Metal (AREA)
  • Forging (AREA)

Abstract

기계적 성질의 향상 효과를 발휘할 수 있는 비율로 Cu를 함유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내식성을 현저하게 악화시키지 않고, 자동차의 중요 보안 부품 등에 적합한 다이캐스트용 알루미늄 합금과, 당해 합금으로 다이캐스트된 알루미늄 합금 다이캐스트를 제공한다.
즉, 본 발명은, 중량%로, 0.03%<Cu≤0.7%, 6.0%<Si≤11.0%, 0.15%≤Mg≤0.50%, 0.05%≤Fe≤0.6%, 0.05%≤Ti≤0.25%, Mn≤0.8%, 0.10%≤Cr≤0.40%를 함유하고, 잔부가 Al과 불가피 불순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이캐스트용 알루미늄 합금이다.

Description

다이캐스트용 알루미늄 합금 및 이를 사용한 알루미늄 합금 다이캐스트{ALUMINUM ALLOY FOR DIE CASTING, AND DIE-CAST ALUMINUM ALLOY USING SAME}
본 발명은, 기계적 특성과 내식성이 우수한 다이캐스트용 알루미늄 합금 및 당해 합금을 이용한 알루미늄 합금 다이캐스트에 관한 것이다.
알루미늄 합금은, 경량인 동시에, 성형성이나 양산성이 우수하여, 자동차나 산업 기계, 항공기, 가정 전화 제품 및 그 외 각종 분야에서, 그 구성 부품 소재로서 널리 사용되고 있다.
이 중, 자동차 용도에서는, 차체의 경량화나 그에 따른 연비 절약을 목적으로, 보디나 서스펜션 부품(suspension part) 등에 대한 알루미늄 합금 다이캐스트의 적용이 확대되고 있다. 이처럼 최근, 알루미늄 합금을 사용한 부품이 많이 채용되어 왔지만, 그 한편으로 이들 부품의 대부분은 중요 보안 부품이기 때문에, 내력이나 연성(延性)이라는 기계적 성질뿐만 아니라, 필요 내용(耐用) 년수나 사용 환경 등의 관점에서 장기간의 사용에 견딜 수 있을 만한 내식성이 요구된다. 따라서, 기존 합금에서는, 이러한 부품에 요구되는 기계적 특성은 충족할 수 있지만, 내식성을 만족시킬 수 없는 사태가 생기기 시작하고 있다.
그래서, 이러한 문제를 해결할 기술의 하나로서, 예를 들면, 하기의 특허문헌 1에는 자동차의 휠(차륜) 등의 안전 구성 요소에 적합한 재료로서 9.5 내지 11.5중량%의 규소, 0.1 내지 0.5중량%의 마그네슘, 0.5 내지 0.8중량%의 망간, 최대 0.15중량%의 철, 최대 0.03중량%의 구리, 최대 0.10중량%의 아연, 최대 0.15중량%의 티탄을 포함하고, 잔부가 알루미늄 및 영속적 미립화제로서의 30 내지 300ppm의 스트론튬으로 구성된 다이캐스트용 알루미늄 합금이 개시되어 있다.
이 기술에 의하면, 전지 작용에 의해 알루미늄 합금을 부식시키는 Cu의 함유 비율을 최대 0.03중량%로 억제하고 있기 때문에 높은 내식성을 갖는 다이캐스트용 알루미늄 합금을 제공할 수 있다.
일본 특허공보 제3255560호
그러나, 내식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상기한 바와 같이 Cu의 함유 비율을 제한하면, 실질적으로 스크랩 원료의 사용이 불가능해지고, 알루미늄 합금을 경제적으로 제조할 수 없게 될 뿐만 아니라, 순환형 사회를 구축함에 있어서 율속(律速)이 된다. 또한, Cu는 알루미늄 합금에 대해 인장 강도나 0.2% 내력이라는 기계적 성질을 향상시키는 효과를 갖고 있으나, Cu의 함유 비율을 0.03중량% 이하로 제한하면 이러한 효과도 기대할 수 없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주된 과제는 기계적 성질의 향상 효과를 발휘할 수 있는 비율로 Cu를 함유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내식성을 현저히 악화시키지 않고, 자동차의 중요 보안 부품 등에 적합한 다이캐스트용 알루미늄 합금과, 당해 합금으로 다이캐스트된 알루미늄 합금 다이캐스트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서의 제1 발명은, 「중량%로, 0.03%<Cu≤0.7%, 6.0%<Si≤11.0%, 0.15%≤Mg≤0.50%, 0.05%≤Fe≤0.6%, 0.05%≤Ti≤0.25%, Mn≤0.8%, 0.10%≤Cr≤0.40%를 함유하고, 잔부가 Al과 불가피 불순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이캐스트용 알루미늄 합금이다.
본 발명에서는, Cu를 0.03중량% 초과 내지 0.7중량% 이하의 범위 내로 함유시킬 수 있으므로, 재활용 원료의 사용이 가능해짐에 더해, 특히 인장 강도나 0.2% 내력이라는 기계적 성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범위 내에서의 Cu의 함유와 함께, Cr을 0.10중량% 이상이고, 또한, 0.40중량% 이하 함유하도록 함으로써, 내식성의 악화를 방지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서는, 7종류의 원소 성분을 소정의 비율로 함유시키는 것만으로 그것들의 상호적 작용에 의해 주조성이나 기계적 성질뿐만 아니라, 내식성도 우수한 다이캐스트용 알루미늄 합금의 잉곳을 안전하면서 또한 간편하게 제조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이캐스트용 알루미늄 합금에서는, Na, Sr 및 Ca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을 30 내지 200ppm 첨가하는 것이나, Sb를 0.05 내지 0.20중량% 첨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렇게 함으로써 공정(共晶) Si의 입자를 작게 할 수 있고, 알루미늄 합금의 인성이나 강도를 보다 한층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B를 1 내지 50ppm 첨가하는 것도 바람직하다. 이렇게 함으로써 특히, Si양이 적은 경우나 냉각 속도가 느린 주조 방법을 사용하는 경우에도 알루미늄 합금의 결정립을 미세화시킬 수 있고, 그 결과, 당해 알루미늄 합금의 연신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서의 제2 발명은 상기 제1 발명에 기재된 다이캐스트용 알루미늄 합금으로 다이캐스트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알루미늄 합금 다이캐스트이다.
본 발명의 다이캐스트용 알루미늄 합금으로 다이캐스트된 알루미늄 합금 다이캐스트는, 주조성 좋게 양산할 수 있는 동시에, 인장 강도나 경도라는 기계적 특성뿐만 아니라 내식성도 우수하기 때문에, 예를 들면 자동차의 중요 보안 부품 등의 용도에 최적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기계적 성질의 향상 효과를 발휘할 수 있는 비율로 Cu를 함유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내식성을 현저하게 악화시키지 않고, 자동차의 중요 보안 부품 등에 적합한 다이캐스트용 알루미늄 합금과, 당해 합금으로 다이캐스트된 알루미늄 합금 다이캐스트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다이캐스트용 알루미늄 합금에서의 Cu의 함유 비율과 기계적 성질의 관계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2는 다이캐스트용 알루미늄 합금에서의 Cu 및 Cr의 함유 비율과 내식성의 관계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3은 다이캐스트용 알루미늄 합금에서의 Ti의 함유 비율과 기계적 성질의 관계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대해 구체예를 나타내면서 상술한다.
본 발명의 다이캐스트용 알루미늄 합금(이하, 단순히 「알루미늄 합금」이라고도 함)은, 중량%로, 0.03%<Cu(구리)≤0.7%, 6.0%<Si(규소)≤11.0%, 0.15%≤Mg(마그네슘)≤0.50%, 0.05%≤Fe(철)≤0.6%, 0.05%≤Ti(티탄)≤0.25%, Mn(망간)≤0.8%, 0.1%≤Cr(크롬)≤0.4%를 함유하고, 잔부가 Al(알루미늄)과 불가피 불순물로 대략 구성되어 있다. 이하, 각 원소의 특성에 대해 설명한다.
Cu(구리)는, 알루미늄 합금의 내마모성이나 기계적 강도나 경도를 향상시키기 위해 중요한 원소이다.
알루미늄 합금 전체의 중량에 대한 Cu의 함유 비율은, 상기한 바와 같이 0.03중량% 초과이고, 또한, 0.7중량% 이하의 범위 내인 것이 바람직하다. Cu의 함유 비율이 0.03중량% 이하인 경우에는, 상기한 기계적 성질 개선 효과를 얻을 수 없게 되고, 반대로 Cu의 함유 비율이 0.7중량%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내식성의 현저한 저하, 연신의 저하, 비중의 증대, 원재료 비용의 증가라는 문제가 생기게 되기 때문이다.
또한, 수득된 알루미늄 합금에 특별히 높은 내식성이 필요한 경우에는, 이 Cu의 함유 비율을 0.03중량% 초과 내지 0.2중량% 이하의 범위 내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Si(규소)는, 알루미늄 합금 용융 시에서의 유동성을 확보하고, 주조성을 향상시키는 중요한 원소이다.
알루미늄 합금 전체의 중량에 대한 Si의 함유 비율은, 상기한 바와 같이 6.0중량% 이상이고, 또한, 11.0중량% 이하의 범위 내인 것이 바람직하다. Si의 함유 비율이 6.0중량% 미만인 경우에는, 용탕(溶湯)의 유동성을 확보하는 것이 어렵고, 일반적으로 많이 사용되고 있는 통상의 다이캐스트로의 성형을 생각한 경우, 대형 부품에 대한 적용의 방해가 되고, 반대로 Si의 함유 비율이 11.0중량%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합금의 연신이 저하되게 되기 때문이다.
Mg(마그네슘)는, 주로 알루미늄 합금 중의 Al 모재에 고용(固溶)한 상태 또는 Mg2Si로서 존재하고, 알루미늄 합금에 내력 및 인장 강도를 부여하는 한편, 과대량 함유에 의해 주조성이나 내식성에 악영향을 미치는 성분이다.
알루미늄 합금 전체의 중량에 대한 Mg의 함유 비율은, 상기한 바와 같이 0.15중량% 이상이고, 또한, 0.5중량% 이하의 범위인 것이 바람직하다. Mg의 함유 비율이 0.15중량% 미만인 경우에는, 상기한 효과를 충분히 얻을 수 없게 되고, 반대로 Mg의 함유 비율이 0.5중량%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합금의 연신이나 내식성이 저하되게 되기 때문이다.
Fe(철)는, 다이캐스트 시의 소부(燒付) 방지 효과를 갖는 것이 알려져 있다. 그러나, 이 Fe는 Al-Si-Fe로 이루어진 바늘 모양 결정을 정출하고, 알루미늄 합금의 인성을 저하시키는 동시에, 대량으로 첨가하면 적온(適溫)에서의 용해를 곤란하게 한다.
알루미늄 합금 전체의 중량에 대한 Fe의 함유 비율은, 상기한 바와 같이 0.05 내지 0.6중량%의 범위 내인 것이 바람직하다. Fe의 함유 비율이 0.05중량% 미만인 경우에는, 다이캐스트 시의 소부 방지 효과가 충분하지는 않고, 반대로 Fe의 함유 비율이 0.6중량%보다 많은 경우에도, 상기 소부 방지 효과는 충분한 것이 되지만, 당해 합금의 인성이 저하되는 동시에, 용해 온도가 상승하여 주조성이 악화되기 때문이다.
Ti(티탄)는, 결정립을 미세화시키는 효과를 갖고 있고, 일반적으로는 주조 균열의 억제나 기계적 성질 중 특히 연신을 향상시킬 수 있는 원소라고 일컬어지고 있다.
알루미늄 합금 전체의 중량에 대한 Ti의 함유 비율은 0.05중량% 이상이고, 또한, 0.25중량% 이하의 범위 내인 것이 바람직하다. Ti의 함유 비율이 0.05중량% 미만인 경우에는, 알루미늄 합금 중의 결정립을 미세화하는 것이 곤란해지고, 반대로 Ti의 함유 비율이 0.25중량%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알루미늄 합금의 용해가 어려워져, 녹은 잔재가 생길 가능성이 생기기 때문이다.
또한, 본 발명 성분의 알루미늄 합금에서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그 성분 조성의 상호적 작용에 의해, Ti의 함유 비율이 대략 0.25중량% 이하인 범위 내에서 Ti의 함유 비율이 증가함에 따라 알루미늄 합금의 인장 강도 및 0.2% 내력이 향상하는 한편, 연신에 대해서는 거의 영향이 없는 것이 새로운 지견으로서 발견되었다.
Mn(망간)은, 상기한 Fe와 동일하게 주로 다이캐스트 시에서의 알루미늄 합금과 금형의 소부를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이 Mn도 Fe와 마찬가지로, 대량으로 함유시키면 적온에서의 용해가 곤란해지기 때문에, 본 발명에서는 알루미늄 합금 전체의 중량에 대한 Mn의 함유 비율을 0.8중량% 이하로 억제하고 있다.
또한, 이 Mn의 함유 비율의 하한에 대해서는 특별히 한정할 필요는 없으나, 상기 소부 방지 효과를 현저히 발휘시키기 위해서는 Mn을 0.2중량% 이상 함유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Cr(크롬)은, 상기한 Fe나 Mn과 동일하게 다이캐스트 시에서의 알루미늄 합금과 금형의 소부를 방지하는 것에 더해, 합금의 내식성을 향상시키는 효과를 갖는 원소이다.
알루미늄 합금 전체의 중량에 대한 Cr의 함유 비율은, 상기한 바와 같이 0.1중량% 이상이고, 또한, 0.4중량% 이하의 범위 내인 것이 바람직하다. Cr의 함유 비율이 0.1중량% 미만인 경우에는, 상기한 효과를 충분히 얻을 수 없어지고, 반대로 Cr의 함유 비율이 0.4중량%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이 이상 첨가량을 늘려도 첨가 효과가 올라가지 않게 되기 때문이다.
이상의 함유 비율에 따라, Cu, Si, Mg, Fe, Ti, Mn 및 Cr의 함유 비율을 조정하면, 안정성이 높은 간단한 처방이면서, 주조성이나 기계적 성질뿐만 아니라 내식성도 우수한 다이캐스트용 알루미늄 합금 지금를 수득할 수 있다.
또한, 상기한 각 원소 성분 외에 Na(나트륨), Sr(스트론튬), Ca(칼슘) 및 Sb(안티몬)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을 개량처리재로서 첨가하도록 해도 좋다. 이러한 개량처리재를 첨가함으로써 공정 Si의 입자를 작게 할 수 있고, 알루미늄 합금의 인성이나 강도를 보다 한층 향상시킬 수 있다.
여기서, 알루미늄 합금 전체의 중량에 대한 개량처리재의 첨가 비율은 당해 개량처리재가 Na, Sr 및 Ca인 경우에는 30 내지 200ppm, Sb인 경우에는 0.05 내지 0.20중량%의 범위인 것이 바람직하다. 개량처리재의 첨가 비율이 30ppm(Sb의 경우에는 0.05중량%) 미만인 경우에는, 알루미늄 합금 중의 공정 Si의 입자를 미세화하는 것이 곤란해지고, 반대로 개량처리재의 첨가 비율이 200ppm(sb의 경우에는 0.20중량%)보다 많은 경우에는, 알루미늄 합금 중의 공정 Si의 입자는 충분히 미세화되어 있고, 이 이상 첨가량을 늘려도 첨가 효과가 올라가지 않게 되기 때문이다.
또한, 상기 개량처리재를 대신해서, 또는 개량처리재와 함께 B(붕소)를 첨가하도록 해도 좋다. 이와 같이 B를 첨가함으로써 알루미늄 합금의 결정립이 미세화되고, 당해 합금의 연신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이러한 효과는 특히 Si양이 적은 경우나 냉각 속도가 느린 주조 방법을 사용하는 경우에 현저해진다.
알루미늄 합금 전체의 중량에 대한 B의 첨가 비율은 1 내지 50ppm의 범위인 것이 바람직하다. B의 첨가 비율이 1ppm 미만인 경우에는, 알루미늄 합금 중의 결정립을 미세화하는 것이 곤란해지고, 반대로 B의 첨가 비율이 50ppm보다 많은 경우에는, 알루미늄 합금 중의 결정립은 충분히 미세화되어 있고, 이 이상 첨가량을 늘려도 첨가 효과가 올라가지 않게 되기 때문이다.
본 발명의 다이캐스트용 알루미늄 합금을 제조할 때에는 우선, Al, Cu, Si, Mg, Fe, Ti, Mn 및 Cr의 각 원소 성분이 상기한 소정의 비율이 되도록 함유시킨 원료를 준비한다(필요에 따라 상기 개량처리재 등도 첨가). 계속해서, 이 원료를 전로(前爐) 부착 용해로나 밀폐 용해로 등의 용해로에 투입하여 이것들을 용해시킨다. 용해시킨 원료 즉, 알루미늄 합금의 용탕은 필요에 따라 탈수소 처리 및 탈개재물 처리 등의 정제 처리가 실시된다. 그리고 정제된 용탕을 소정의 주형 등에 흘려 넣고, 고화시킴으로써 알루미늄 합금의 용탕을 합금 지금(地金) 잉곳 등으로 성형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이캐스트용 알루미늄 합금을 사용하여 알루미늄 합금 다이캐스트를 주조한 후, 필요에 따라 용체화 처리 및 시효 처리 등이 실시된다. 이와 같이 알루미늄 합금 다이캐스트에 용체화 처리 및 시효 처리 등을 실시함으로써 알루미늄 합금 주물의 기계적 특성을 개량할 수 있다.
실시예
이하에 실시예를 들어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겠지만, 본 발명은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하기의 각종 합금에서의 기계적 특성(구체적으로는 인장 강도, 연신, 0.2% 내력)은 다음 방법으로 측정했다. 즉, 형체력(型締力) 135톤의 통상의 다이캐스트 머신(토시바 키카이(주)사 제조·DC135EL)을 사용하여 사출 속도 1.0m/초, 주조 압력 60㎫로 다이캐스트 주조하고, ASTM(American Society for Testing and Material) 규격에 준거한 환봉 시험편을 제작했다. 그리고, 주물 방치 상태의 이러한 환봉 시험편에 대해 (주)시마즈 세이사쿠쇼사 제조의 만능 시험기(AG-IS 100kN)를 사용하여 인장 강도, 연신, 0.2% 내력을 측정했다.
또한, 각종 합금의 합금 성분은 고체 발광 분광 분석기(서모피셔 사이언티픽사 제조 Thermo Scientific ARL 4460)를 사용하여 측정했다.
또한, 내식성에 대해서는 일본 공업 규격 JIS Z2371에 준거한 (중성) 염수 분무 시험으로 평가를 실시했다. 그때, 스가 시켄키(주)사 제조의 캐스 시험기 CASSER-ISO-3을 사용하여 당해 시험을 실시했다.
Cu의 알루미늄 합금 물성에 대한 영향
표 1은, Cu 이외의 합금 성분이 본 발명 범위 내에서의 어느 일정한 비율이 되도록 조정하는 동시에, Cu의 함유 비율을 변화시켜 제조한 다이캐스트용 알루미늄 합금의 성분 조성 및 각 기계적 특성(인장 강도, 연신, 0.2% 내력)을 나타낸 것이다.
Figure pct00001
이 표 1에 기재된 바와 같이, Cu의 함유 비율이 대략 1.0중량% 이하인 범위 내에서는, Cu의 함유 비율이 늘어남에 따라 알루미늄 합금의 인장 강도(도 1-1 참조) 및 0.2% 내력(도 1-2 참조)이 향상하는 것이 엿보인다.
이에 반해, 알루미늄 합금의 연신은, Cu의 함유 비율이 0.7중량%를 초과하면 저하되는 듯한 경향이 엿보인다.
또한, 표 1 중의 합금 3 내지 11은, 본 발명 범위 내의 합금 조성, 즉, 실시예 합금이다.
Cr 의 함유에 따른 내식성 향상 효과
표 2는, 주조 방법별 각 알루미늄 합금 조성과 내식성의 관계를 나타낸 표이다.
여기서, 표 2에 있어서 다이캐스트한 것은 상기한 기계적 성질 측정에 제공한 시료와 동일한 방법으로 주조한 것이다. 한편, 표 2에 있어서 중력 주조한 것은 소정의 성분으로 조정한 알루미늄 합금을 금형에 투입하여 중력 주조를 실시하고, 그 후에는 다이캐스트와 동일하게 JIS Z2371에 준거한 염수 분무 시험용 시료(내식성 평가 시험편)로 가공하여, 염수 분무 시험을 실시했다.
Figure pct00002
이 표 2에 기재된 바와 같이, 다이캐스트에 의해 수득된 주조품에서 Cu의 함유 비율을 0.10중량%로 일정하게 한 경우, Cr의 함유 비율이 0.10중량% 이상이 되면 부식 감량이 감소하고, 내식성이 좋아지는 것이 엿보인다(도 2-1 참조).
또한, 다이캐스트에 의해 수득한 주조품에서, Cr의 함유 비율을 0.20중량%로 일정하게 한 경우, Cu의 함유 비율을 0.10중량%로부터 0.73중량%까지 증가시킴에 따라 부식 감량도 증가하고, 내식성이 악화되는 경향이 나타났다(도 2-3 참조).
또한, 중력 주조에 의해 수득한 주조품에서도, Cu의 함유 비율의 증가에 따라 합금의 내식성이 악화되지만, Cr을 0.20중량% 함유시킴으로써, 부식 감량을 현저히 저하시켜 내식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것이 분명해졌다(도 2-2 참조).
또한, 표 2 중의 합금 15 내지 20, 26 및 27은 본 발명 범위 내의 합금 조성, 즉, 실시예 합금이다.
Ti 의 알루미늄 합금 물성에 대한 영향
표 3은, Ti 이외의 합금 성분이 본 발명 범위 내에서의 어느 일정한 비율이 되도록 조정하는 동시에, Ti의 함유 비율을 변화시켜 제조한 다이캐스트용 알루미늄 합금의 성분 조성 및 각 기계적 특성(인장 강도, 연신, 0.2% 내력)을 나타낸 것이다.
Figure pct00003
이 표 3이 나타내는 바와 같이, Ti의 함유 비율이 대략 0.25중량% 이하인 범위 내에서는, Ti의 함유 비율이 늘어남에 따라 알루미늄 합금의 인장 강도(도 3-1 참조) 및 0.2% 내력(도 3-2 참조)이 향상하는 것이 엿보인다.
이에 반해, 알루미늄 합금의 연신은, Ti의 함유 비율이 대략 0.25중량% 이하인 범위 내에서 Ti의 함유 비율과의 사이에 현저한 차이는 확인되지 않았다(도 3-3).
또한, 표 3 중의 합금 30 내지 32는 본 발명 범위 내의 합금 조성, 즉, 실시예 합금이다.

Claims (5)

  1. 중량%로, 0.03%<Cu≤0.7%, 6.0%<Si≤11.0%, 0.15%≤Mg≤0.50%, 0.05%≤Fe≤0.6%, 0.05%≤Ti≤0.25%, Mn≤0.8%, 0.10%≤Cr≤0.40%를 함유하고, 잔부가 Al과 불가피 불순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이캐스트용 알루미늄 합금.
  2. 제1항에 있어서, Na, Sr 및 Ca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을 30 내지 200ppm 첨가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이캐스트용 알루미늄 합금.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Sb를 0.05 내지 0.20중량% 첨가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이캐스트용 알루미늄 합금.
  4.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B를 1 내지 50ppm 첨가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이캐스트용 알루미늄 합금.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다이캐스트용 알루미늄 합금으로 다이캐스트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알루미늄 합금 다이캐스트.
KR1020167030544A 2015-04-15 2015-04-15 다이캐스트용 알루미늄 합금 및 이를 사용한 알루미늄 합금 다이캐스트 KR20170138916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JP2015/002086 WO2016166779A1 (ja) 2015-04-15 2015-04-15 ダイカスト用アルミニウム合金およびこれを用いたアルミニウム合金ダイカスト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38916A true KR20170138916A (ko) 2017-12-18

Family

ID=556482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7030544A KR20170138916A (ko) 2015-04-15 2015-04-15 다이캐스트용 알루미늄 합금 및 이를 사용한 알루미늄 합금 다이캐스트

Country Status (10)

Country Link
US (1) US20170121793A1 (ko)
EP (1) EP3121302B1 (ko)
JP (1) JP5898819B1 (ko)
KR (1) KR20170138916A (ko)
CN (1) CN106255770A (ko)
MX (1) MX2016010352A (ko)
MY (1) MY183152A (ko)
PH (1) PH12017500237A1 (ko)
PL (1) PL3121302T3 (ko)
WO (1) WO2016166779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239715A (zh) * 2016-12-27 2018-07-03 格朗吉斯铝业(上海)有限公司 裂纹敏感铝合金的铸造工艺及其应用
ES2753164T3 (es) * 2016-12-28 2020-04-07 Befesa Aluminio S L Aleación de aluminio para fundición
US10927436B2 (en) * 2017-03-09 2021-02-23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Aluminum alloys
JP6852146B2 (ja) * 2017-04-13 2021-03-31 株式会社大紀アルミニウム工業所 ダイカスト用アルミニウム合金およびこれを用いたアルミニウム合金ダイカスト
CN110709526A (zh) * 2017-06-23 2020-01-17 株式会社大纪铝工业所 铝合金及铝合金铸造品
JP6943968B2 (ja) * 2017-09-20 2021-10-06 アイシン軽金属株式会社 ダイカスト鋳造用アルミニウム合金及びそれを用いた機能性部品
CN107604219A (zh) * 2017-09-26 2018-01-19 辽宁忠旺集团有限公司 一种高强铝合金车体部件的配方及其生产工艺
CN107881379A (zh) * 2017-11-01 2018-04-06 道然精密智造无锡有限公司 一种高强度无链条自行车壳体制造方法
CN107858565A (zh) * 2017-12-13 2018-03-30 浙江诺达信汽车配件有限公司 一种高强高韧性的压铸用铝合金材料
JP7147647B2 (ja) * 2019-03-20 2022-10-05 日本軽金属株式会社 アルミニウム合金及びアルミニウム合金ダイカスト材
CN110629079A (zh) * 2019-10-25 2019-12-31 江苏铭利达科技有限公司 用于新能源汽车的铝合金材料
CN112795820A (zh) * 2019-10-28 2021-05-14 晟通科技集团有限公司 建筑用铝合金模板压铸材料
CA3172052A1 (en) * 2020-06-01 2021-12-09 Xinyan Yan Al-si-fe casting alloys
CN113549791A (zh) * 2020-08-24 2021-10-26 山东弗泽瑞金属科技有限公司 压铸用高导热铝合金制造装置
JP2022072574A (ja) * 2020-10-30 2022-05-17 昭和電工株式会社 自動車のホイール用アルミニウム合金及び自動車のホイール
WO2023167312A1 (ja) * 2022-03-03 2023-09-07 日本軽金属株式会社 鋳物用Al-Si合金及びAl-Si合金鋳物並びにAl-Si合金鋳物接合体
CN116657005B (zh) * 2023-06-01 2023-12-12 保定市立中车轮制造有限公司 一种再生铝合金材料及其制备方法
JP7401080B1 (ja) 2023-08-31 2023-12-19 新陽株式会社 鋳造用Al合金の製造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842748A (ja) * 1981-09-08 1983-03-12 Furukawa Alum Co Ltd ダイカスト用アルミニウム合金
CH689143A5 (de) 1994-06-16 1998-10-30 Rheinfelden Aluminium Gmbh Aluminium-Silizium Druckgusslegierung mit hoher Korrosionsbestaendigkeit, insbesondere fuer Sicherheitsbauteile.
JPH1112705A (ja) * 1997-06-20 1999-01-19 Sumitomo Light Metal Ind Ltd 切削性に優れた高強度アルミニウム合金鍛造品の製造方法
JP4191370B2 (ja) * 2000-03-02 2008-12-03 株式会社大紀アルミニウム工業所 高熱伝導加圧鋳造用合金と該合金鋳物
JP2002105611A (ja) * 2000-09-26 2002-04-10 Ahresty Corp ダイカスト鋳造による自動車部品の製造方法
JP2002339030A (ja) * 2001-05-17 2002-11-27 Yamaha Motor Co Ltd ダイカスト用アルミニウム合金
WO2005024079A1 (ja) * 2003-09-01 2005-03-17 Aisin Keikinzoku Co., Ltd. 切削性・かしめ性・耐磨耗性に優れたアルミニウム合金押出材
WO2005049896A1 (ja) * 2003-11-21 2005-06-02 Showa Denko K.K. アルミニウム合金、棒状材、鍛造成形品、機械加工成形品、それを用いた陽極酸化皮膜硬さに優れた耐摩耗性アルミニウム合金、摺動部品、及びそれらの製造方法
PL1612286T3 (pl) * 2004-06-29 2011-12-30 Rheinfelden Aluminium Gmbh Odlewniczy stop aluminium
JP5469100B2 (ja) * 2009-01-27 2014-04-09 株式会社大紀アルミニウム工業所 加圧鋳造用アルミニウム合金および同アルミニウム合金鋳物
ES2507865T3 (es) * 2010-12-28 2014-10-15 Casa Maristas Azterlan Método para obtener propiedades mecánicas mejoradas en moldeos de aluminio reciclado libres de fases beta con forma de plaqueta
CN102676887B (zh) * 2012-06-11 2014-04-16 东莞市闻誉实业有限公司 加压铸造用铝合金及该铝合金的铸件
JP5985973B2 (ja) * 2012-12-07 2016-09-06 株式会社Uacj アルミニウム合金ブレージングシート及びその製造方法、ならびに、当該アルミニウム合金ブレージングシートを用いた熱交換器
JP6233916B2 (ja) * 2013-04-17 2017-11-22 株式会社Uacj アルミニウム合金ろう材およびアルミニウム合金複合材
CN103540811A (zh) * 2013-10-17 2014-01-29 常熟市良益金属材料有限公司 一种铝合金
WO2016063320A1 (ja) * 2014-10-23 2016-04-28 株式会社大紀アルミニウム工業所 ダイカスト用アルミニウム合金およびこれを用いたアルミニウム合金ダイカスト
JP5797360B1 (ja) * 2015-01-29 2015-10-21 株式会社大紀アルミニウム工業所 ダイカスト用アルミニウム合金およびこれを用いたアルミニウム合金ダイカスト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121302A4 (en) 2017-05-31
JP5898819B1 (ja) 2016-04-06
JPWO2016166779A1 (ja) 2017-04-27
EP3121302B1 (en) 2018-09-19
MY183152A (en) 2021-02-16
PH12017500237B1 (en) 2017-07-03
CN106255770A (zh) 2016-12-21
MX2016010352A (es) 2018-02-09
WO2016166779A1 (ja) 2016-10-20
US20170121793A1 (en) 2017-05-04
PL3121302T3 (pl) 2019-03-29
EP3121302A1 (en) 2017-01-25
PH12017500237A1 (en) 2017-07-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70138916A (ko) 다이캐스트용 알루미늄 합금 및 이를 사용한 알루미늄 합금 다이캐스트
US11359264B2 (en) Aluminum alloy and die casting method
JP5469100B2 (ja) 加圧鋳造用アルミニウム合金および同アルミニウム合金鋳物
CA3021397C (en) Die casting alloy
JP6943968B2 (ja) ダイカスト鋳造用アルミニウム合金及びそれを用いた機能性部品
US20180010214A1 (en) High strength high creep-resistant cast aluminum alloys and hpdc engine blocks
WO2018189869A1 (ja) ダイカスト用アルミニウム合金およびこれを用いたアルミニウム合金ダイカスト
EP3216884B1 (en) Aluminum alloy for die casting and aluminum-alloy die cast obtained therefrom
JP7152977B2 (ja) アルミニウム合金
KR101935243B1 (ko) 다이캐스트용 알루미늄 합금 및 이것을 사용한 알루미늄 합금 다이캐스트
JP4994734B2 (ja) 鋳造用アルミニウム合金および同アルミニウム合金鋳物
JP2021021138A (ja) ダイカスト鋳造用アルミニウム合金及びそれを用いた鋳造製品の製造方法
KR101274089B1 (ko) 주조성이 우수한 다이캐스팅용 고강도 알루미늄 합금
JP6267408B1 (ja) アルミニウム合金およびアルミニウム合金鋳物品
JP2016204711A (ja) 高強度過共晶Al−Si合金及びこれを用いたダイカスト
JP2006316341A (ja) 鋳造用アルミニウム合金および同アルミニウム合金鋳物
US11959155B2 (en) Heat-resistant magnesium alloy for casting
KR20130012651A (ko) 반응고 성형용 고강도 및 고인성 알루미늄 합금
WO2013150700A1 (ja) ダイカスト用アルミニウム合金およびこれを用いたアルミニウム合金ダイカス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