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137901A - 조작 장치, 제어 방법 및 x선 촬영 유닛 - Google Patents

조작 장치, 제어 방법 및 x선 촬영 유닛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137901A
KR20170137901A KR1020177033198A KR20177033198A KR20170137901A KR 20170137901 A KR20170137901 A KR 20170137901A KR 1020177033198 A KR1020177033198 A KR 1020177033198A KR 20177033198 A KR20177033198 A KR 20177033198A KR 20170137901 A KR20170137901 A KR 2017013790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perating device
holding mechanism
holder
control unit
notific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70331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52799B1 (ko
Inventor
고키치 도비타
고이치 후루사와
Original Assignee
오므론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므론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오므론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7013790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3790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5279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5279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6/00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combined with radiation therapy equipment
    • A61B6/56Details of data transmission or power supply, e.g. use of slip ring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6/00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combined with radiation therapy equipme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6/00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combined with radiation therapy equipment
    • A61B6/44Constructional features of apparatus for radiation diagnosis
    • A61B6/4405Constructional features of apparatus for radiation diagnosis the apparatus being movable or portable, e.g. handheld or mounted on a trolle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6/00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combined with radiation therapy equipment
    • A61B6/46Arrangements for interfacing with the operator or the patient
    • A61B6/467Arrangements for interfacing with the operator or the patient characterised by special input mea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6/00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combined with radiation therapy equipment
    • A61B6/54Control of 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 A61B6/547Control of 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involving tracking of position of the device or parts of the devic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6/00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combined with radiation therapy equipment
    • A61B6/54Control of 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 A61B6/548Remote control of the apparatus or device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18Status alarm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CTRANSMISSION SYSTEMS FOR MEASURED VALUES, CONTROL OR SIMILAR SIGNALS
    • G08C17/00Arrangements for transmitting signa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a wireless electrical link
    • G08C17/02Arrangements for transmitting signa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a wireless electrical link using a radio lin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9/00Arrangements in telecontrol or telemetry systems for selectively calling a substation from a main station, in which substation desired apparatus is selected for applying a control signal thereto or for obtaining measured values therefrom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2209/00Arrangements in telecontrol or telemetry systems
    • H04Q2209/40Arrangements in telecontrol or telemetry systems using a wireless architecture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Surgery (AREA)
  • High Energy & Nuclear Physic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Path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Biophysic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Apparatus For Radiation Diagnosis (AREA)
  • Selective Calling Equipment (AREA)
  • Transmitters (AREA)

Abstract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조작 장치(200)는, X선 촬영 장치(1)에 설치되는 홀더(100)에 의해 착탈 가능하게 유지되어, X선 촬영 장치(1)를 무선으로 조작하기 위한 조작 장치이며, 홀더(100)로부터 떼어내어진 상태에서, 소정의 조건이 된 것을 검출하면, 통지 동작을 행하는 제어부(211)를 구비한다. 이에 의해, 방치 및 분실을 방지하는 것을 포함하는 각종 통지를 가능하게 한다.

Description

조작 장치, 통지 방법 및 X선 촬영 유닛
본 발명은, 조작 장치의 도난을 방지하는 것을 포함하는 각종 통지를 행하는 조작 장치, 통지 방법, X선 촬영 유닛에 관한 것이다.
환자에게 X선을 조사하고, 환자를 투과한 X선을 검출하여 화상을 생성하는 X선 촬영 장치가 알려져 있다. 종래, X선 촬영 장치의 조작에는, 유선 타입의 조작 장치가 주로 사용되고 있었다. 이 때문에, 분실의 가능성은 낮았다.
한편, X선 촬영 장치는, 무선 타입의 조작 장치도 생산되고 있고, 예를 들어 특허문헌 1과 같이, 전파나 적외선으로 조작하는 리모컨을 사용하여, X선 촬영 장치를 조작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었다.
미국 특허 제5,206,894호 명세서
그러나, 특허문헌 1과 같이 무선 타입의 리모컨의 경우, 본체 장치가 이동식 또는 고정식에 관계없이, 사용 후에 방치되는 일이 발생할 가능성이 있고, 또한 분실의 가능성도 있다. 예를 들어, 최근에는 병원 내를 순회하면서 사용하는 경우가 많아지고 있기 때문에, 방치 및 분실의 가능성은 높아지고 있다. 또한, 충전 고갈을 리모컨측에서 유저가 사전에 알고 싶은 경우나, 본체 장치에서 이상이 발생했을 때에 리모컨측에서 알고 싶은 경우가 있었지만, 그러한 리모컨은 종래에 없었다. 이러한 문제는, X선 촬영 장치에 한정되지 않고, 무선 타입의 리모컨을 갖는 장치라면 발생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이루어진 것이며, 본 발명의 목적은, 방치 및 분실을 방지하는 것을 포함하는 각종 통지가 가능한 조작 장치, 통지 방법 및 X선 촬영 유닛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의 조작 장치는, 본체 장치에 설치되는 유지 기구에 의해 착탈 가능하게 유지되어, 해당 본체 장치를 무선으로 조작하기 위한 조작 장치이며, 상기 유지 기구로부터 떼어내어진 상태에서 소정의 조건이 된 것을 검출하면, 통지 동작을 행하는 제어부를 구비한다.
본 발명은, 방치 및 분실을 방지하는 것을 포함하는 각종 통지를 할 수 있다고 하는 효과를 발휘한다.
도 1은,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X선 촬영 유닛의 외관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X선 촬영 유닛이 구비하는 조작 장치를 홀더와 함께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조작 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X선 촬영 유닛의 구성을 나타내는 기능 블록도이다.
도 5는,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조작 장치의 조작 수순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조작 장치 및 홀더의 내부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통지 처리의 흐름의 일례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X선 촬영 유닛의 외관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X선 촬영 유닛이 구비하는 조작 장치를 홀더와 함께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X선 촬영 유닛(300)은, 환자에게 X선을 조사하고, 환자를 투과한 X선을 검출하여 X선 화상을 생성하는 것이며, X선 촬영 장치(본체 장치)(1)와, 홀더(유지 기구)(100)와, 조작 장치(200)를 구비한다. X선 촬영 장치(1)에는, 홀더(100)가 설치되고, 홀더(100)에 의해 조작 장치(200)를 착탈 가능하게 유지한다.
도 3은,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조작 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조작 장치(200)는, X선 촬영 장치(1)에 대하여 무선으로 조작하기 위한 리모트 컨트롤러이다. 조작 장치(200)는 대략 원기둥 형상이며, 유저가 조작 장치(200)의 둘레면을 쥐면서, 메인 스위치(210)를 엄지 손가락으로, 옵션 스위치(220)를 집게 손가락으로 조작할 수 있도록, 조작 장치(200)의 상면에 설치된 메인 스위치(210)와, 둘레면의 상부에 설치된 옵션 스위치(220)를 포함한다.
메인 스위치(210)는, 유저에 의해 눌러지지 않은 원점 위치의 다른 제1, 제2 조작 부재(201, 202)를 구비한 2단계로 동작하는 스위치이다. 제1 조작 부재(201)는, 원점 위치로부터의 스트로크 거리가 제2 조작 부재(202)보다 길게 설정되어 있다.
도 4는,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X선 촬영 유닛의 구성을 나타내는 기능 블록도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작 장치(200)는, 조작 장치(200) 전체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211)와, 조작부(209)와, 통신부(240)와, 검출부(250)와, 통지부(260)를 포함한다.
조작부(209)는, 메인 스위치(210) 및 옵션 스위치(220)를 포함한다. 메인 스위치(210)의 누름에 의해, X선 촬영의 지시를 X선 촬영 장치(1)로 출력하고, 옵션 스위치(220)의 누름에 의해, X선 촬영 장치(1)가 갖는 조명 기구의 조명을 온 또는 오프하기 위한 지시를 X선 촬영 장치(1)로 출력한다.
또한, 메인 스위치(210)는, 제1, 제2 조작 부재(201, 202)를 포함하고, 제1 조작 부재(201)가 제2 조작 부재(202)의 원점 위치까지 눌러지면, X선 촬영 회로를 충전하는 지시를 (홀더(100)를 통해) X선 촬영 장치(1)로 출력한다(도 5의 (a) 내지 (c) 참조). 그 눌러진 상태가 소정 시간 유지되면 X선 촬영 회로의 충전이 완료되어, 촬영 가능한 상태로 된다. 그리고, 제1 조작 부재(201)와 함께 제2 조작 부재(202)가 압입되어, 풀 스트로크됨으로써, X선 촬영을 하라는 지시를 (홀더(100)를 통해) X선 촬영 장치(1)로 출력한다(도 5의 (d) 참조).
검출부(250)는, 조작 장치(200)가 홀더(100)에 장착되어 있는지 여부를 검출한다. 예를 들어, 조작 장치(200)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홀 IC를 검출부(250)로서 구비하고, 홀더(100)에는, 자석(120)이 구비된다. 이에 의해, 홀 IC는, 조작 장치(200)가 홀더(100)에 장착되어 있는 상태에서, 홀더의 자석(120)을 감지한다.
이 외에, 조작 장치(200) 및 홀더(100) 각각에 전극을 설치하고, 조작 장치(200)가 홀더(100)에 장착되어 있는 상태에서, 서로의 전극의 접촉을 감지했을 때, 조작 장치(200)가 홀더(100)에 장착되어 있는 것을 검출하도록 해도 된다.
통신부(240)는, 홀더가 구비하는 통신부(110)와의 사이에서 데이터를 송수신한다. 구체적으로, 통신부(240)는, 조작부(209)의 조작, 검출부(250)에 의한 검출 결과를 홀더(100)측으로 송신한다. 통지부(260)는, 예를 들어 버저나 발광 소자(LED)이면 되고, 소리나 광에 의해 통지 동작을 행한다.
제어부(211)는, 조작 장치(200)가 홀더(100)로부터 떼어지고 나서 소정 시간 T1 경과하면, 통지부(260)에 의해 통지 동작을 행한다. 구체적으로, 조작 장치(200)가 홀더(100)에 장착되어 있지 않은 것을 나타내는 비장착 상태인 것이 검출부(250)에 의해 검출되면 시간 계측을 개시한다. 여기서, 소정 시간 T1은, 예를 들어 10분 정도이다.
또한, 제어부(211)는, 통지 동작을 행하는 경우, 소정 시간 T2 계속해서 통지하고, 통지 동작과 동시에 또는 통지 동작 정지 후의 소정 시간 T3 경과 후에, 조작부(209)로부터 입력되는 조작을 무효로 설정한다.
한편, 제어부(211)는, 조작 장치(200)가 홀더(100)로부터 떼어내어진 후, 조작 장치(200)가 홀더(100)에 장착되어 있는 것을 나타내는 장착 상태가 검출부(250)에 의해 검출되면, 시간의 계측을 리셋한 다음 정지하고, 통지 동작을 행하고 있는 경우에는, 그 동작을 정지한다. 이 경우에 있어서, 조작부(209)의 조작이 무효로 설정되어 있는 경우, 조작의 무효 상태를 해제한다. 또한, 통지 동작은, 소정 시간 T2 계속해서 통지하는 형태 이외에도, 그 시간에 관계없이, 검출부(250)에 의해 장착 상태가 검출될 때까지 행해도 된다.
또한, 제어부(211)는, 조작 장치(200)가 홀더(100)로부터 떼어지고 나서 소정 시간 T1 경과 전에 조작부(209)가 조작된 경우에, 시간의 계측을 리셋한다. 이에 의해, 통지부(260)에 의한 통지 동작을 늦추고, 조작 장치(200)의 연속 사용을 가능하게 한다. 또한, 소정 시간 T1은, 상술한 시간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조작 장치(200)를 연속해서 사용하기에 적합한 시간이면 된다.
도 7은,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통지 처리의 흐름의 일례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작 장치(200)가 구비하는 제어부(211)는, 검출부(250)에 의해 홀더(100)에 장착되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스텝 S01). 홀더(100)에 장착되어 있는 것이 검출되지 않으면 처리를 스텝 S02로 진행하지만, 검출되면 처리를 스텝 S07로 진행한다.
스텝 S02에 있어서, 제어부(211)는, 타이머 T=0으로 하여 시간 계측을 개시한다. 그리고, 조작부(209)의 조작이 있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스텝 S03). 조작부(209)의 조작이 있으면 처리를 스텝 S04로 진행하지만, 그렇지 않으면 처리를 스텝 S02로 복귀시킨다.
스텝 S04에 있어서, 제어부(211)는, 타이머 T=T1이 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타이머 T=T1이 되면 처리를 스텝 S05로 진행하지만, 그렇지 않으면 처리를 스텝 S08로 복귀시킨다.
스텝 S05에 있어서, 제어부(211)는, 통지 동작을 행한다. 그리고, 조작부(209)의 조작을 무효로 설정한다. 여기서, 조작의 무효화는, 통지 동작과 동시여도 되고, 유저가 조작 장치(200)를 홀더(100)로 복귀시킬는 유예를 주기 위해, 통지 동작 후의 소정 시간 T3 경과 후여도 된다.
한편, 스텝 S07은, 조작 장치(200)가 홀더(100)에 장착되어 있는 것을 검출한 경우이다. 스텝 S07에 있어서, 제어부(211)는, 조작부(209)의 조작이 무효 상태로 되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조작부(209)의 조작이 무효 상태로 설정되어 있으면 처리를 스텝 S08로 진행하지만, 그렇지 않으면 처리를 스텝 S01로 복귀시킨다.
스텝 S08에 있어서, 제어부는, 조작부(209)의 조작의 무효 상태를 해제하고, 처리를 스텝 S01로 복귀시킨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조작 장치(200)는, X선 촬영 장치(1)에 설치되는 홀더(100)에 의해 착탈 가능하게 유지되어, 해당 X선 촬영 장치(1)를 무선으로 조작하기 위한 조작 장치이며, 홀더(100)로부터 떼어내어진 상태가 소정 시간 T1 계속된 것을 검출하면, 경고음에 의해 통지 동작을 행하는 제어부(211)를 구비한다.
이 구성에 의하면, 통상적으로 사용하는 경우에 조작 장치(200)가 홀더(100)로부터 떼어내어져 있는 시간을 초과하여 홀더(100)로 복귀되지 않았음을, 조작 장치(200)의 소재와 함께 유저 및 기타 관계자에게 알릴 수 있다. 이에 의해, 조작 장치(200)의 도난이 있었던 경우에, 그것을 유저 및 기타 관계자가 빨리 알아차리기 쉽게 할 수 있다.
또한, 통지 동작과 동시에 또는 통지 동작 후에, 조작을 무효로 설정하므로, 제3자에 의해 도난당한 경우에도, 그 사람에 의한 조작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홀더(100)로부터 떼어내어진 상태가 소정 시간 T1 계속된 것을 검출하면, 경고음에 의해 통지 동작을 행하는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했지만, 홀더(100)로부터 떼어내어진 상태에서, 소정의 조건이 된 것을 검출하면, 통지 동작을 행하는 구성이면 된다.
이 구성에 의해, 통지 동작에 의해 조작 장치(200)를 홀더(100)로부터 떼어낸 상태로 되었음을 유저에게 알리고, 홀더(100)로의 장착을 촉구할 수 있다. 이에 의해, 방치 및 분실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조작 장치(200)가 홀더(100)로부터 떼어지고 나서 소정 시간 T1 경과 전에 조작부(209)가 조작된 경우에는, 시간의 계측을 리셋함으로써 통지부(260)에 의한 통지 동작을 늦추도록 했지만, 홀더측의 보기 어려운 개소, 예를 들어 배면측의 테두리부나 저면측에, 시간의 계측을 리셋하기 위한 리셋 버튼을 설치하도록 할 수도 있다. 이 경우, 홀더(100)가 통신부(110)를 통해 계측을 리셋하라는 지시를 조작 장치(200)로 송신한다.
또한, 통지부(260)는, 조작 장치(200)가 홀더(100)에 장착되어 있는지 여부를 검출부(250)가 검출하는 것에 기초하여, 통지 동작을 행하는 구성이었지만, 그 구성 대신에, 또는 그 구성에 더하여, 조작 장치(200)와 홀더(100) 사이의 전파 강도에 기초하여, 홀더(100) 또는 X선 촬영 장치(1)와의 통신이 끊어진 것이 검출된 경우에, 통지 동작을 행하는 구성이어도 된다.
또한, 통지부(260)는, X선 촬영 장치(1) 및 홀더(100) 중 적어도 한쪽에라도 설치되어 있어도 된다. 이에 의해, 조작 장치(200)의 통신부(240)는, X선 촬영 장치(1)(홀더(100))와 통신하여, 통지 동작을 행하도록 한다.
또한, 통신부(240)는, 홀더(100) 및 X선 촬영 장치 이외의 정보 처리 장치 또는 휴대 단말기와 통신함으로써, 통지 동작을 행하도록 해도 된다.
또한, 조작 장치(200)가 홀더(100)에 장착됨으로써 충전 가능한 구성인 경우, 이하와 같은 통지 동작을 행해도 된다. 즉, 조작 장치(200)가 홀더(100)로부터 떼어내어진 상태에서, 당해 조작 장치(200)의 충전량이 소정의 레벨을 하회한 경우에, 통지부(260)가 그 취지를 통지해도 된다.
또한, 조작 장치(200)가 홀더(100)로부터 떼어내어진 상태에 있어서, X선 촬영 장치(1)의 이상이 발생한 경우에, 그 취지가 X선 촬영 장치(1)로부터 조작 장치(200)로 무선으로 전해져, 통지부(260)가 통지 동작을 행하도록 해도 된다.
[소프트웨어에 의한 실현예]
조작 장치(200)의 제어 블록(특히 제어부(211))은, 집적 회로(IC 칩) 등에 형성된 논리 회로(하드웨어)에 의해 실현해도 되고, CPU(Central Processing Unit)를 사용하여 소프트웨어에 의해 실현해도 된다.
후자의 경우, 조작 장치(200)는, 각 기능을 실현하는 소프트웨어인 프로그램의 명령을 실행하는 CPU, 상기 프로그램 및 각종 데이터가 컴퓨터(또는 CPU)에서 판독 가능하게 기록된 ROM(Read Only Memory) 또는 기억 장치(이들을 「기록 매체」라고 칭함), 상기 프로그램을 전개하는 RAM(Random Access Memory) 등을 구비하고 있다. 그리고, 컴퓨터(또는 CPU)가 상기 프로그램을 상기 기록 매체로부터 판독하여 실행함으로써, 본 발명의 목적이 달성된다. 상기 기록 매체로서는, 「일시적이 아닌 유형의 매체」, 예를 들어 테이프, 디스크, 카드, 반도체 메모리, 프로그래머블한 논리 회로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프로그램은, 해당 프로그램을 전송 가능한 임의의 전송 매체(통신 네트워크나 방송파 등)를 통해 상기 컴퓨터에 공급되어도 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프로그램이 전자적인 전송에 의해 구현화된, 반송파에 묻힌 데이터 신호의 형태로도 실현될 수 있다.
(정리)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본 발명 조작 장치는, 본체 장치에 설치되는 유지 기구에 의해 착탈 가능하게 유지되어, 해당 본체 장치를 무선으로 조작하기 위한 조작 장치이며, 상기 유지 기구로부터 떼어내어진 상태에서 소정의 조건이 된 것을 검출하면, 통지 동작을 행하는 제어부를 구비한다.
상기 구성에 의하면, 통지 동작에 의해 조작 장치를 유지 기구로부터 떼어낸 상태로 소정의 조건이 되면, 유저에게 알리므로, 유지 기구로의 장착을 촉구할 수 있다. 이에 의해, 방치 및 분실을 방지함과 함께, 각종 통지가 가능하다. 따라서, 방치 및 분실을 방지하는 것을 포함하는 각종 통지가 가능한 조작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조작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유지 기구로부터 떼어내어진 상태가 소정 시간 계속된 것을 상기 소정의 조건으로서 검출하면, 상기 통지 동작을 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조작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경고음에 의해 상기 통지 동작을 행한다.
상기 구성에 의하면, 도난이 있는 경우에, 유저 또는 사용 장소와는 떨어진 다른 관계자에게 조기에 알아차리게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조작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통지 동작과 동시에 또는 상기 통지 동작 후에, 상기 조작을 무효로 설정한다.
상기 구성에 의하면, 도난당한 경우에, 제3자에 의한 조작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조작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조작을 무효로 설정한 후에 당해 조작 장치가 상기 유지 기구에 재장착됨으로써, 상기 조작의 무효 상태를 해제한다.
상기 구성에 의하면, 유저의 관리 하에 있음으로써, 통상대로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조작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소정 시간이 경과하기 전에, 상기 조작을 검출하면, 상기 유지 기구로부터 떼어내어진 상태의 시간의 계측을 리셋한다.
상기 구성에 의하면, 유지 기구로 복귀시키지 않고, 연속해서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조작 장치는, 상기 유지 기구 또는 상기 본체 장치와 무선으로 통신하는 통신부를 더 구비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유지 기구 또는 상기 본체 장치와의 통신이 끊어진 경우에, 상기 통지 동작을 행한다.
상기 구성에 의하면, 통신 가능한 범위를 초과하면 통지 동작을 행하므로, 도난되어 멀어지기 전에, 그것을 알아차릴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X선 촬영 유닛은, 상기 조작 장치와, 상기 본체 장치로서, X선을 검출하여 X선 화상을 생성하는 X선 촬영 장치를 구비한다.
상기 구성에 의하면, 방치 및 분실을 방지하는 것을 포함하는 각종 통지가 가능한 X선 촬영 유닛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통지 방법은, 본체 장치에 설치되는 유지 기구에 의해 착탈 가능하게 유지되어, 해당 본체 장치를 무선으로 조작하기 위한 조작 장치에 있어서 실행되는 통지 방법이며, 상기 유지 기구로부터 떼어내어진 상태가 소정 시간 계속된 것을 검출하면, 통지 동작을 행하는 스텝을 포함한다.
상기 구성에 의하면, 방치 및 분실을 방지하는 것을 포함하는 각종 통지가 가능한 통지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각 실시 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청구항에 나타낸 범위에서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고, 다른 실시 형태에 각각 개시된 기술적 수단을 적절히 조합하여 얻어지는 실시 형태에 대해서도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에 포함된다.
1: X선 촬영 장치(본체 장치)
100: 홀더(유지 기구)
110, 240: 통신부
200: 조작 장치
209: 조작부
260: 통지부
210: 메인 스위치
211: 제어부
220: 옵션 스위치
250: 검출부
300: X선 촬영 유닛

Claims (9)

  1. 본체 장치에 설치되는 유지 기구에 의해 착탈 가능하게 유지되어, 해당 본체 장치를 무선으로 조작하기 위한 조작 장치이며,
    상기 유지 기구로부터 떼어내어진 상태에서, 소정의 조건이 된 것을 검출하면, 통지 동작을 행하는 제어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작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유지 기구로부터 떼어내어진 상태가 소정 시간 계속된 것을 상기 소정의 조건으로서 검출하면, 상기 통지 동작을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작 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경고음에 의해 상기 통지 동작을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작 장치.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통지 동작과 동시에 또는 상기 통지 동작 후에, 상기 조작을 무효로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작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조작을 무효로 설정한 후에 당해 조작 장치가 상기 유지 기구에 재장착됨으로써, 상기 조작의 무효 상태를 해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작 장치.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소정 시간이 경과하기 전에, 상기 조작을 검출하면, 상기 유지 기구로부터 떼어내어진 상태의 시간의 계측을 리셋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작 장치.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유지 기구 또는 상기 본체 장치와 무선으로 통신하는 통신부를 더 구비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유지 기구 또는 상기 본체 장치와의 통신이 끊어진 경우에, 상기 통지 동작을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작 장치.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조작 장치와,
    상기 본체 장치로서, X선을 검출하여 X선 화상을 생성하는 X선 촬영 장치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X선 촬영 유닛.
  9. 본체 장치에 설치되는 유지 기구에 의해 착탈 가능하게 유지되어, 해당 본체 장치를 무선으로 조작하기 위한 조작 장치에 있어서 실행되는 통지 방법이며,
    상기 유지 기구로부터 떼어내어진 상태가 소정의 조건이 된 것을 검출하면, 통지 동작을 행하는 스텝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지 방법.
KR1020177033198A 2015-08-06 2016-07-25 조작 장치, 제어 방법 및 x선 촬영 유닛 KR10215279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5-156475 2015-08-06
JP2015156475A JP6736847B2 (ja) 2015-08-06 2015-08-06 操作装置、制御方法およびx線撮影ユニット
PCT/JP2016/071774 WO2017022550A1 (ja) 2015-08-06 2016-07-25 操作装置、報知方法およびx線撮影ユニット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37901A true KR20170137901A (ko) 2017-12-13
KR102152799B1 KR102152799B1 (ko) 2020-09-07

Family

ID=579440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7033198A KR102152799B1 (ko) 2015-08-06 2016-07-25 조작 장치, 제어 방법 및 x선 촬영 유닛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10433806B2 (ko)
JP (1) JP6736847B2 (ko)
KR (1) KR102152799B1 (ko)
CN (1) CN107635466B (ko)
AU (1) AU2016303740B2 (ko)
BR (1) BR112017024096B1 (ko)
DE (1) DE112016003575B4 (ko)
WO (1) WO201702255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879130B2 (ja) * 2017-08-31 2021-06-02 オムロン株式会社 操作装置およびx線撮影ユニット
JP2019198001A (ja) * 2018-05-10 2019-11-14 斉香 鈴木 端末装置用スタンド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206894A (en) 1992-04-16 1993-04-27 Remote Technologies, Inc., A Ct Corp. X-ray system accessory
JPH05344560A (ja) * 1992-06-08 1993-12-24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設備器具の操作装置
JP2008306246A (ja) * 2007-06-05 2008-12-18 Sanyo Electric Co Ltd リモートコントロール機能付き電子機器
JP2009052846A (ja) * 2007-08-28 2009-03-12 Panasonic Electric Works Co Ltd 電気堀こたつの異常報知システム及び異常報知方法
JP2012130370A (ja) * 2010-12-20 2012-07-12 Toshiba Corp X線撮影システム
US20130094628A1 (en) * 2011-10-12 2013-04-18 Carestream Health, Inc. Portable digital radiography detector loss prevention
JP2014079570A (ja) * 2012-09-28 2014-05-08 Canon Inc 移動型放射線撮影装置、放射線撮影システム、及び制御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397984U (ko) * 1986-12-16 1988-06-24
JP2749828B2 (ja) * 1988-09-06 1998-05-13 キヤノン株式会社 リモコン操作可能なカメラ
JPH0715461U (ja) * 1990-12-29 1995-03-14 デルタ工業株式会社 オートチェンジ
JP3551439B2 (ja) * 1992-12-15 2004-08-04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着脱式リモコンユニット
KR100239572B1 (ko) 1997-12-17 2000-01-15 윤종용 공기조화기의 리모콘 분실 방지장치 및 그 방법
DE19905172A1 (de) 1999-02-09 2000-08-10 Knorr Bremse Systeme Drahtloses Fernbediensystem zum Fernbedienen von Funktionen in Kraftfahrzeugen
JP2003210445A (ja) * 2002-01-24 2003-07-29 Shimadzu Corp 回診用x線撮影装置
DE10336731A1 (de) * 2003-08-11 2005-03-17 Siemens Ag Funk-Bediensystem und Verfahren zum Betrieb eines Funksystems
JP4457885B2 (ja) * 2004-12-22 2010-04-28 パナソニック電工株式会社 調光機能付スイッチ
JP2008124681A (ja) * 2006-11-10 2008-05-29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リモコン
CN102385792B (zh) 2010-08-30 2014-11-05 联想(北京)有限公司 电子设备及其操作方法
JP6048374B2 (ja) 2013-11-12 2016-12-21 株式会社デンソー 車載ドック、電子機器、盗難検知プログラム、盗難検知方法
CN203720572U (zh) * 2014-02-27 2014-07-16 美的集团股份有限公司 遥控器及其电源控制装置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206894A (en) 1992-04-16 1993-04-27 Remote Technologies, Inc., A Ct Corp. X-ray system accessory
JPH05344560A (ja) * 1992-06-08 1993-12-24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設備器具の操作装置
JP2008306246A (ja) * 2007-06-05 2008-12-18 Sanyo Electric Co Ltd リモートコントロール機能付き電子機器
JP2009052846A (ja) * 2007-08-28 2009-03-12 Panasonic Electric Works Co Ltd 電気堀こたつの異常報知システム及び異常報知方法
JP2012130370A (ja) * 2010-12-20 2012-07-12 Toshiba Corp X線撮影システム
US20130094628A1 (en) * 2011-10-12 2013-04-18 Carestream Health, Inc. Portable digital radiography detector loss prevention
JP2014079570A (ja) * 2012-09-28 2014-05-08 Canon Inc 移動型放射線撮影装置、放射線撮影システム、及び制御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BR112017024096A2 (pt) 2018-07-24
JP6736847B2 (ja) 2020-08-05
AU2016303740B2 (en) 2019-08-29
DE112016003575T5 (de) 2018-05-03
CN107635466B (zh) 2021-02-02
US20180116624A1 (en) 2018-05-03
AU2016303740A1 (en) 2017-12-07
CN107635466A (zh) 2018-01-26
KR102152799B1 (ko) 2020-09-07
JP2017035136A (ja) 2017-02-16
DE112016003575B4 (de) 2023-03-09
BR112017024096B1 (pt) 2023-03-28
US10433806B2 (en) 2019-10-08
WO2017022550A1 (ja) 2017-02-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20151838A1 (en) Moisture Sensing Garment
KR102460543B1 (ko) 전자 펜을 갖는 전자 장치 및 전자 펜 삽입 인식 방법
KR102507744B1 (ko) 웨어러블 전자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JP2017500833A (ja) 端末異常の処理方法、端末異常の処理装置、電子装置、プログラム、及び記録媒体
ES2666347T3 (es) Transiciones activadas por evento en la gestión de artículo absorbente
CN114258622B (zh) 具有外来对象检测的无线功率系统
KR20170137901A (ko) 조작 장치, 제어 방법 및 x선 촬영 유닛
US20190137145A1 (en) Heating case for a portable electronic device
JP2010108368A (ja) 無線端末
US20170106789A1 (en) Alert Assembly
WO2018014974A1 (en) Alarm triggering device and circuitry therefor
JP2015141491A (ja) 現在位置特定プログラム、および現在位置特定装置
JP2008518575A5 (ko)
JP2019022592A (ja) 歩行補助装置及びプログラム
JP2015228943A (ja) ウエアラブルデバイス
JP2012054769A (ja) 位置情報取得装置、そ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6318192B2 (ja) 緊急通報装置及びそのシステム
WO2018145430A1 (zh) 可穿戴设备及可穿戴设备防丢的方法
JP6222405B2 (ja) 動作検出システム、動作検出装置、動作検出方法、および動作検出プログラム
TW201941214A (zh) 資訊終端顯示部之顯示方法
JP2002302811A (ja) Gps付き衣服
CN113163881A (zh) 警示服装及警示方法
JP2020057351A (ja) 通知制御装置、情報収集装置、通知制御システム、通知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2014165896A (ja) 携帯端末
JP2018063641A (ja) 記録媒体、コンピュータ、ビーコンユニット及び見守り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