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127510A - 재료를 위한 공압식 배관 이송시스템에서의 방법 및 장치, 및 쓰레기용 이송시스템 - Google Patents

재료를 위한 공압식 배관 이송시스템에서의 방법 및 장치, 및 쓰레기용 이송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127510A
KR20170127510A KR1020177028000A KR20177028000A KR20170127510A KR 20170127510 A KR20170127510 A KR 20170127510A KR 1020177028000 A KR1020177028000 A KR 1020177028000A KR 20177028000 A KR20177028000 A KR 20177028000A KR 20170127510 A KR20170127510 A KR 2017012751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annel
point
air
injection
intermediate vess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702800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31597B1 (ko
Inventor
괴란 순트홀름
Original Assignee
마리캡 오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마리캡 오이 filed Critical 마리캡 오이
Publication of KR2017012751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2751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3159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3159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FGATHERING OR REMOVAL OF DOMESTIC OR LIKE REFUSE
    • B65F5/00Gathering or removal of refuse otherwise than by receptacles or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FGATHERING OR REMOVAL OF DOMESTIC OR LIKE REFUSE
    • B65F5/00Gathering or removal of refuse otherwise than by receptacles or vehicles
    • B65F5/005Gathering or removal of refuse otherwise than by receptacles or vehicles by pneumatic means, e.g. by suc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53/00Conveying materials in bulk through troughs, pipes or tubes by floating the materials or by flow of gas, liquid or foam
    • B65G53/34Details
    • B65G53/40Feeding or discharging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53/00Conveying materials in bulk through troughs, pipes or tubes by floating the materials or by flow of gas, liquid or foam
    • B65G53/34Details
    • B65G53/52Adaptations of pipes or tubes
    • B65G53/521Adaptations of pipes or tubes means for preventing the accumulation or for removal of deposi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Refuse Collection And Transfer (AREA)
  • Air Transport Of Granular Materials (AREA)

Abstract

적어도 하나의 재료 이송수단(1)이 이송배관 내에 제공되고, 상기 배관 내에 압력 차이가 가해지고 상기 압력 차이의 영향 하에서 상기 이송수단이 이송배관 부분에서 재료를 이송하기 위하여 이동되는, 공압식 쓰레기 이송시스템의 배관에서의 재료 이송방법이다. 상기 방법에서는 하나의 이송수단(1) 또는 복수의 이송수단(1,1')의 조합이 상기 이송배관(100,101) 내에서 이동되고, 상기 이송수단(1) 또는 복수의 이송수단(1,1')의 조합이 트랜스미션 수단(transmission means:2)에 결합되어 상기 트랜스미션 수단에 의하여 상기 이송수단(1) 또는 복수의 이송수단(1,1')의 조합의 이송배관 내에서의 이동이 제한 또는 안내되며, 상기 이송수단(1)의 제1측으로부터 제2측으로 그 이송수단(1)을 관통하도록 덕트(16)가 배치되고 상기 덕트를 통하여 이송공기가 상기 이송배관 내에 도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대상은 또한 이송장치 및 공압식 쓰레기 이송시스템이다.

Description

재료를 위한 공압식 배관 이송시스템에서의 방법 및 장치, 및 쓰레기용 이송시스템
본 발명의 대상은 청구항 1의 전제부에 따른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대상은 또한 청구항 11에 한정된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또한 청구항 21에 한정된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공압식 부분 진공 이송시스템과 같은 재료 이송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가정쓰레기의 이송과 같은 쓰레기의 수집 및 이송에 관한 것이다. 그러한 시스템은 그 중에서도 국제공개공보 WO 2009/080880, WO 2009/080881, WO 2009/080882, WO 2009/080883, WO 2009/080884, WO 2009/080885, WO 2009/080886, WO 2009/080887, WO 2009/080888에 나타나 있다. 본 발명은 투입지점 또는 쓰레기 슈트(chute)와 같은 쓰레기 공급수단에 관한 것으로, 이러한 공급수단에 의하여 쓰레기는 예컨대 주거빌딩에서의 높은 투입구멍으로부터 낮은 수집공간 또는 이에 상응하는 컨테이너로 중력에 의하여 이송된다.
압력 차이 또는 흡인에 의하여 배관 내에서 쓰레기를 이송하는 시스템이 알려져 있다. 이러한 시스템에서, 쓰레기는 흡인에 의하여 이송 배관 내에서 장거리 이송된다. 이러한 시스템들은 압력 차이를 생성하기 위하여 부분 진공 장치가 사용되는 것이 통상적이며, 이 부분 진공 장치에서 부압이 팬, 진공펌프 또는 이젝터 장치와 같은 부분 진공 생성기에 의하여 이송배관 내에 생성된다. 재료 이송 배관은 통상 적어도 하나의 밸브 수단을 포함하며, 이 밸브를 개폐함에 의하여 상기 재료 이송배관 내로 도입되는 대체공기(replacement air)가 조절된다. 쓰레기 재료의 입력 끝단에서 쓰레기 컨테이너 또는 쓰레기 슈트와 같은 쓰레기 투입지점이 시스템 내에서 사용되며, 상기 쓰레기 투입지점으로 쓰레기와 같은 재료가 공급되고 또한 배출밸브수단을 개방함으로써 상기 쓰레기 투입지점으로부터 재료가 재료 이송 배관으로 이송되며, 이 경우 재료이송배관 내에 작용하는 부분 진공과 쓰레기 슈트를 통하여 작용하는 주위 공기 압력에 의하여 발생하는 흡인 효과에 의하여, 쓰레기 백에 채워진 쓰레기 재료와 같은 재료가 상기 쓰레기 슈트로부터 재료 이송 배관으로 이어서 수집 장소로 이송되며, 상기 수집 장소에서 이송된 재료는 반송공기로부터 분리되고 또한 추가적인 처리를 위한 예컨대 선적 컨테이너로 다시 이송된다. 상기 공압식 쓰레기 이송시스템은 특히 인구가 밀집된 도시 지역에서 특히 잘 활용될 수 있다. 이러한 지역에서는 높은 빌딩이 있고, 여기서 쓰레기용 공압식 이송시스템으로의 쓰레기의 공급이 빌딩 내에 배치된 쓰레기 슈트와 같은 투입지점을 통하여 수행된다.
쓰레기 슈트를 따라 재료는 투입지점으로부터 수직방향으로 낮은 위치에 있는 컨테이너로 도입될 수 있고 혹은, 중간용기(intermediate container)가 상기 투입지점과 연결될 수 있어 처음에는 투입지점으로부터 상기 중간용기로 재료가 공급되고 상기 중간용기로부터 쓰레기 재료는 이송되어 재료이송배관을 따라 수집 장소로 이송된다.
쓰레기 투입지점의 투입구멍과 배출밸브 사이의 상기 중간용기의 부피는 실시예에 따라 변한다. 전형적으로 상기 부피는 100~600 l일 수 있다. 중간용기를 사용하는 장점 중 하나는 투입지점의 용적을 증가시킬 수 있다는 것이고, 이 경우 실제의 이송시스템은 개방 준비를 할 필요가 없다. 적용장소에 따라서, 상기 이송시스템은 중간용기에 수집된 재료를 이송하기 위하여 하루에 1~3회 사용된다. 종래의 중간용기의 장점은 이송시스템의 에너지 소비를 저감할 수 있다는 것인데, 왜냐하면 더 많은 쓰레기를 동일한 이송 사이클로 이송할 수 있기 때문이다. 공지된 구성의 단점 중 하나는 중간용기의 요구 공간이, 특히 투입배관이 중간용기로서 사용될 때 크다는 점이다. 중간용기로서 투입배관을 수직자세로 적용한 경우 통상 길어지며, 이를 설치하기 위하여 지상에 보다 깊은 구덩이를 파야 한다. 이 땅파기 작업은 비싼 비용이 들고, 특히 암석이 많은 지역에서는 도랑을 얻기 위하여 폭파가 필요하다. 본 기술분야에서 공지된 구성에 따른 통상 중간용기의 설치 깊이는 2.5~3.5m 범위이다. 공압식 쓰레기 이송시스템의 재료이송배관의 통상적인 설치 깊이는 1~1.5m 범위이다.
중간용기와 재료이송배관의 접속을 개폐하는 배출밸브는 많은 경우 별도의 공간, 즉 이른바 구덩이(pit)를 필요로 하고, 이 구덩이로부터 상기 배출밸브와 그 액추에이터가 제공되고 설치될 수 있다.
별개의 배출밸브, 즉 쓰레기 밸브가 사용되는 경우에 발생되는 문제는, 투입지점과 재료이송배관 사이의 압력차이 및/또는 투입지점의 누설공기로 인하여 재료가 원하지 않는 방식으로 재료이송배관으로 이송될 수 있다는 점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투입지점의 중간용기와 쓰레기 이송시스템의 재료이송배관과 관련하여 완전히 새로운 타입의 구성을 제공하는 것이며, 이에 의하여 상기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소할 수 있는 구성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배출밸브, 즉 쓰레기 밸브가 투입지점의 중간용기와 재료이송배관 사이에서 필요없게 되는, 유효하고 작동적으로 신뢰성 있는 구성을 달성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재료를 위한 공압식 부압시스템의 중간용기의 압력차이로부터 발생하는 부피 변화를 보상하는 구성을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서, 이에 의하여 중간용기로 공급된 재료가 재료이송배관 쪽으로 원하지 않게 이동되는 것을 회피할 수 있다. 또 다른 목적은 투입지점의 중간용기의 누설공기를 보상하는 구성을 제공하는 것으로서, 이에 의하여 중간용기로 공급된 재료가 재료이송배관으로 원하지 않게 이동되는 것을 회피할 수 있다.
본 발명은 투입지점의 중간용기의 압력 차이로부터 발생하는 부피 변화를 보상하기 위하여 투입지점의 중간용기의 채널 부분에 바이패스 채널을 배치하는 기술적사상에 기초한 것이다. 상기 바이패스 채널은 중간용기 내로 공급된 재료를 우회하여 투입지점에서 발생할 수 있는 누설공기를 재료이송배관으로 유도하기 위하여 사용될 수 있다. 상술한 구성은 예컨대 투입지점의 중간용기를 비우길 원하지 않는 경우에 적용된다. 바이패스 채널은 투입지점의 중간용기를 비우기를 원할 때는 대체공기를 도입하기 위하여 또한 사용될 수 있다. 중간용기로 공급된 재료는 중간용기 내에서 압축되면 피스톤 모양의 플러그(plug)를 형성할 수 있으며, 이 경우 대체공기와 흡인의 조합된 효과로 재료를 이동시키고자 하지 않는다면, 상기 바이패스 채널에 의하여, 투입지점의 중간용기의 압력 차이에 의하여 발생되는 재료의 부피 변화 뿐만 아니라, 중간용기로 공급된 재료를 이동시키고자 상기 재료상에 작용하는 이송배관으로부터의 흡인 및 투입지점에서 발생된 누설공기의 조합된 효과도 회피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은 청구항 1의 특징부에 기술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은 청구항 2~10에 서술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장치는, 청구항 11의 특징부에 기술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장치는 청구항 12~20에 서술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은, 청구항 21에 기술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구성은 많은 중요한 장점들을 가진다. 본 발명에 의하여 채널 부분인 중간용기의 재료의 부피 변화 및 그에 따른 단점들은 보상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여 채널 부분인 중간용기에 있는 재료가 원하지 않는 방식으로 상기중간용기로부터 재료이송배관으로 이동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재료가 중간용기에서 피스톤과 비슷한 플러그를 형성하였을 경우, 중간용기로 공급된 재료의 다른 측 상에 작용하는 상기 채널 공간에서의 압력 차이를 상기 바이패스 채널에 의하여 보상함으로써, 또한 재료의 제1측 즉, 투입구멍측의 채널 공간으로부터 재료의 제2측, 즉 재료이송배관 측의 채널공간을 향하여 바이패스 채널로 누설공기를 유도함으로써, 재료의 이동을 방지할 수 있다. 이는 특히 다른 투입지점들의 중간용기들이 비워질 때, 이송배관 측으로부터 상기 채널 공간으로 흡인력이 작용할 때 유용하다. 이 경우 재료이송배관에서 다른 범주의 쓰레기 재료가 섞이는 것을 피할 수 있다. 투입지점 또는 채널부의 실제의 대체공기 밸브가 열렸을 때, 바이패스 채널은 또한 대체공기를 채널부인 중간용기의 전달 단부로 유도하기 위하여 사용될 수 있으며, 이 경우 중간용기의 재료는 재료이송배관으로 이동하기 시작하고 이어서 공압식 재료 이송시스템의 전달 단부로, 분리기구로 및/또는 쓰레기 컨테이너로 이송된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바이패스 채널의 유로 횡단면 면적은 상기 채널 공간의 유로 횡단면 면적보다 작게 형성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바이패스 채널의 횡단면 면적은 쓰레기 배관과 같은 재료이송배관의 횡단면 면적의 약 10~25%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바이패스 채널은 실제의 중간용기의 채널 공간 바깥에 배치된 파이프 부분으로 형성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중간용기에 의하여 형성되는 채널 부분들과 상기 바이패스 채널은 하나의 구조요소로서 일체화된다. 상기 바이패스 채널의 제1단부가 결합되는 채널 부분의 지점에 확장된 적절한 스크린부를 설치함으로써, 큰 크기의 입자들이 상기 바이패스 채널로 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상기 채널 부분의 상부로부터 바이패스 채널까지 누설공기 또는 대체공기 일부를 위한 신뢰성있게 작동하는 통로를 얻을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바이패스 채널에 예컨대 청정수단 또는 흡인/송풍수단을 결합하기 위한 결합 지점이 상기 바이패스 채널에 배치되며, 이 경우 필요하다면 상기 바이패스 채널을 청소하기 위한 유효한 장치를 얻을 수 있다. 한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바이패스 채널의 결합 지점은 마개를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구성은 소형 및 대형 시스템 모두에 잘 적용된다. 본 발명은 재료를 이송하기 위하여 흡인과 대체공기가 함께 사용되는, 그리고 투입지점의 중간용기와 재료이송배관 사이에 별도의 배출밸브가 사용되지 않는, 재료이송시스템에 적합하다. 또한, 상기 바이패스 채널은 대체공기의 일부를 상기 이송배관 측의 중간용기의 단부 쪽으로 유도하기 위하여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많은 종류의 중간용기들과 관련하여 적용될 수 있다. 중간용기는 예컨대 수평으로 배치될 수 있고 혹은 수평의 부분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이 경우 중간용기를 위한 깊은 설치 구덩이가 불필요하며 대신 쓰레기 이송배관을 위한 통상의 땅파기 깊이로 사용할 수 있다. 하나의 재료 범주를 가지는 중간용기의 채널 부분을 배치하고, 적어도 하나의 다른 투입지점, 통상은 모든 투입지점들, 공급 스테이션의 중간용기의 채널 부분들을 이와 연결하여 배치함으로써, 수집 배관 조립체가 달성되며, 이 조립체에서는 가장 큰 중간용기 체적을 요구하는 재료 범주의 중간용기가 형성될 수 있고, 한편으로는 얕은 공간이지만 체적은 큰 중간용기가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그 재료 범주에 대한 투입지점들의 수는 동시에 제한될 수 있다. 재료이송단계에서 대체공기의 도입은 예컨대 투입지점의 용기 부분에 배치된 별도의 대체공기 밸브로 조절될 수 있다. 부분진공 공급원의 흡인측이 이송배관 방향으로부터 상기 채널 부분에 연결되어 작용할 때, 상기 대체공기 밸브를 개폐함으로써 중간용기 내의 재료의 이동 개시를 효율적으로 조절할 수 있다. 대체공기 도입용 바이패스 채널을 사용함으로써, 대체공기가 재료 몸체로 도입되어 상기 중간용기로부터 재료를 이송할 수 있으며, 이에 의하여 이송배관 내의 재료 이동효율이 향상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쓰레기통 또는 쓰레기 슈트와 같은 쓰레기 투입지점을 재료의 공급용으로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방법 및 장치는 예를 들어 가정용 쓰레기 또는 재활용 재료와 같이 쓰레기 백(bag)에 들어있는 쓰레기 재료와 같은 재료 이송시스템과 관련하여 특히 적합하게 적용된다.
도 1은 제1 작동상태에 있는 본 발명에 따른 장치의 개략적인 부분단면도의 실시예이다.
도 1a는 도 1의 화살표 A방향에서 본 상세도이다.
도 2는 제2 작동상태에 있는 본 발명에 따른 장치의 개략적인 부분단면도의 실시예이다.
도 2a는 도 2의 화살표 A방향에서 본 상세도이다.
도 3은 제3 작동상태에 있는 본 발명에 따른 장치의 개략적인 부분단면도의 실시예이다.
도 3a는 도 3의 화살표 A방향에서 본 상세도이다.
도 4는 제4 작동상태에 있는 본 발명에 따른 장치의 개략적인 부분단면도의 실시예이다.
도 4a는 도 4의 화살표 A방향에서 본 상세도이다.
도 5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기구의 부분단면 상세도이다.
도 5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기구의 부분단면 상세도이다.
도 5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기구의 부분단면 상세도이다.
도 6은 도 7의 C방향에서 본 본 발명 장치 도면이다.
도 7은 도 6의 A방향에서 본 본 발명 장치 도면이다.
도 8은 도 7의 B방향에서 본 본 발명 장치 도면이다.
도 9는 제1방향에서 본 본 발명 장치 도면으로서, 하나의 투입지점의 둘레벽부가 부분적으로 단면으로 도시되어 있는 도면이다.
도 10은 제2방향에서 본 본 발명 장치 도면으로서, 하나의 투입지점의 둘레벽부가 부분적으로 단면으로 도시되어 있는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 실시예에 기초하여 더욱 자세하게 본 발명을 설명하기로 한다.
도 1~4는 한 투입지점(1)과 그 중간 용기(intermediate container)와 연결되어 있는 본 발명에 따른 장치의 개략도이다. 상기 장치는 공압식 재료 이송시스템과 재료 이송배관(100)(이송배관의 시작 끝단이 화살표로 도해적으로 표시됨)에 연결되는 것으로서, 상기 이송배관을 통하여 상기 장치는 분리기구로 또한 진공펌프나 팬(fan)과 같은 공압식 재료이송시스템의 부분진공생성기로 연결되며, 부분진공생성기의 흡인측은 분리기구에 연결될 수 있고, 이 부분진공생성기에 의하여 이송배관으로 이어서 이송배관을 경유하여 채널부를 통하여 상기 투입지점의 재료공간 및 중간용기의 재료공간으로 흡인이 작용하게 된다.
도 1~4는 투입지점들의 작동을 단순화한 방식으로 나타내고 있다. 각 투입지점(1)에는 쓰레기 재료 또는 재활용 가능한 재료와 같은 공급 재료(w)를 투입지점의 공급 컨테이너(10)로 공급하기 위한 투입구멍(2)이 있고, 이어서 중간용기(20,21,22)를 통하여 재료는 재료이송배관(100)으로 반송되고, 그 후 공압식 재료이송시스템의 전달 단부로 다시 분리기구 및/또는 쓰레기 용기로 이송된다. 개폐 가능한 해치(hatch:3) 또는 이에 상응하는 부재가 본 도면의 실시예의 투입구멍(2)에 결합되며, 상기 해치가 닫혔을 때는 상기 투입구멍(2)을 해치가 덮고 해치가 개방되었을 때는 상기 투입구멍을 통하여 재료(w)를 투입지점의 용기 공간 내로 공급하여 이어서 중간용기로의 이송이 가능하게 된다. 예컨대 실린더-피스톤 조합과 같은 액츄에이터가 투입구멍의 해치(3)를 구동하기 위하여 배치되며, 액추에이터에 의하여 해치(3)는 적어도 2개의 위치 사이에서 이동가능하게 배치되어, 제1위치에서는 해치가 투입구멍(2)를 덮고, 제2위치에서는 투입구멍이 개방된다. 어떤 실시예에서는 상기 해치를 수동으로 개폐할 수 있다는 것도 상정할 수 있다.
도 1~4 및 도 1a~4a에서, 상기 투입지점(1)은 지면 또는 바닥높이 보다 위에 위치한 탑재면(s) 위에 배치된다. 결합부와 같은 채널이 투입지점의 공급용기(10)로부터 탑재면(s) 아래에 있는 채널부(20)로 연장된다. 상기 공급용기(10)와 채널부(20)로 형성되는 중간용기 사이에 결합부(15)가 위치하며, 이 결합부에 의하여 상기 공급용기와 중간용기(20)가 결합된다
투입지점은 그 투입지점의 외벽을 구성하는 둘레벽부(enclosure:13)를 가진다. 투입구멍(2)은 상기 둘레벽부(13)에 형성되며, 또한 대체공기를 둘레벽부 내로 유도하는 구멍(14)(도 6~10에 보다 상세하게 도시됨)도 둘레벽부(13)에 형성된다.
도 1~4는 하나의 투입지점(1)의 부분단면도이고, 도 1a~4a는 도 1~4의 A방향에서 투입구멍 측으로부터 본 투입지점을 나타낸 것이다. 도 6~10과 같이 적어도 2개의, 복수의 더 많은 투입지점이 있을 수 있으며, 이 도면들에서는 4개의 투입지점이 나타나있다. 상기 도면의 투입지점은, 그 투입지점과 재료이송배관 사이에 이른바 쓰레기 밸브라고 하는 배출밸브를 구비하지 않고 재료이송배관을 통하여 투입지점과 분리기 수단이 연결될 수 있다는 점이 특징이다.
도 1은 한 작동상태를 나타내는데, 이 상태에서 쓰레기 투입지점의 투입구멍(2)은 개방되어 재료(w)는 상기 투입구멍(2)을 통하여 투입지점의 채널 공간(10')으로 공급될 수 있고 이어서 채널 공간의 연장부인 채널부(20,21,22)에 의해 형성되는 중간용기로 공급된다. 통상 투입구멍(2)을 닫고 있는 해치와 같은 제1 차단수단(3)은 재료공급단계에서 제2 위치가 되면 상기 투입구멍(2)은 개방된다. 대체공기를 투입지점의 채널 공간(10')으로 보내기 위한 별도의 통로(60)는 도 1에서는 상기 제1 차단수단(3)에 의하여 닫혀있다. 투입지점(1)의 기능들은 이후 더 자세히 기술될 것이다. 다른 종류의 투입지점도 본 발명과 관련하여 적용될 수 있다.
도 2는 상기 차단수단이 투입지점(1)의 투입구멍(2)을 덮고 있는 제1위치, 즉 닫힘위치에 있는 작동상태를 나타내며, 이 상태에서는 투입구멍으로부터 투입지점의 채널 공간(10')으로의 재료의 공급이 방지된다. 또한 본 도면에서는 대체공기용 통로(60)가 제2 차단수단에 의하여 닫혀있으며, 상기 제2 차단수단은 도 1의 위치로부터 도 2의 위치로 이동되었다. 이 작동상태에서는 투입지점에 새로운 재료가 공급될 수 없고 또한 투입지점의 중간용기 내로 공급된 재료(w)를 실제 재료이송배관(100) 내로 이송하기를 원하지 않는 경우이다. 이른바 쓰레기 밸브라고 하는 별도의 배출밸브가 본 발명에 따른 투입지점 및 중간용기와 관련해서는 불필요하기 때문에, 공압식 쓰레기 이송시스템의 부분진공생성기에 의하여 형성되는 흡인은, 이송배관측 상의 중간용기 부분(22)에 있어서 상기 재료이송배관(100)의 방향으로 작용할 수 있다.
흡인은 재료이송배관(100) 측으로부터 통상 대기압 하에 있는 중간용기의 재료(w)와 투입지점(1) 측 상의 채널에 작용한다. 이 경우 압력 차이에 의한 부피 변화가 재료상에 작용하며, 상기 재료는 더 큰 압력측으로부터 더 작은 압력측, 즉 이송배관 쪽으로의 부피 변화의 결과에 따라 팽창하려고 한다. 이때 재료는 이송배관 내로 이동될 수 있다. 이는 바람직하지 않을 수 있는바, 왜냐하면 투입지점의 중간용기의 재료(w)가 동시에 비워지는 또 다른 투입지점의 재료 범주와는 다른 이송대상 재료의 범주에 속할 수 있으며, 이 경우 서로 다른 범주의 재료들이 이송배관 내에서 함께 섞일 수 있기 때문이다. 압력 차이에 의하여 발생하는 부피 변화를 보상하기 위하여, 도 1~4의 실시예에는 바이패스 채널(17)이 배치된다. 상기 바이패스 채널(17)은 도 2의 실시예에서 제1 단부(16) 및 제2 단부(18)에서 채널 공간에 연결되고, 이때 상기 채널 공간은 상기 바이패스 채널(17)의 제1 단부(16)가 결합된 지점으로부터 상기 바이패스 채널의 제2 단부(18)가 결합된 지점으로 상기 바이패스 채널(17)을 통한 매체 유통(medium connection) 상태에 있다. 상기 바이패스 채널(17)은 상기 채널 공간 내로 공급되는 재료(w)에 의하여 발생하는 플러그(plug)를 우회할 수 있으며, 이 경우 중간용기의 재료의 서로 다른 측에 작용하는 압력의 압력차이에 의해서 야기되는 부피 변화가 상기 바이패스 채널에 의하여 보상될 수 있다. 중간용기의 채널 공간 내에 재료에 의하여 발생하는 플러그와 같은 장애물이 존재하더라도, 바이패스 채널의 제1 단부 결합지점과 제2 단부 결합지점 사이에 있어서 압력 차이에 의하여 발생하는 부피 변화는 상기 바이패스 채널(17)에 의하여 보상될 수 있다.
예컨대 재료가 투입지점으로부터 공급될 때, 중간용기 내에서 압축되어 플러그를 형성할 수 있으며, 또한 투입지점(1) 측으로부터 작용하는 누설공기(leakage air)가 이송배관(100) 방향으로부터 작용하는 흡인과 함께 재료(w)에 의해 형성되는 플러그를 재료이송배관(100) 쪽으로 이동시키고자 할 수 있다. 이는 바람직하지 않을 수 있는바, 왜냐하면 투입지점의 중간용기의 재료(w)가 동시에 비워지는 또 다른 투입지점의 재료 범주와는 다른 이송대상 재료의 범주에 속할 수 있으며, 이 경우 서로 다른 범주의 재료들이 이송배관 내에서 함께 섞일 수 있기 때문이다. 이러한 이유로 바이패스 채널(17)이 본 발명에 따라 배치되며, 상기 바이패스 채널은 중간용기의 채널 공간의 제1단부로부터 제2단부로 연장되어, 중간용기의 재료 수집공간을 우회하도록 배치되고, 이때 발생되는 누설공기 흐름은 주로 상기 바이패스 채널(17)을 통하여 이동하게 된다. 이로 인하여, 중간용기 내에 모여진 재료가, 상기 누설공기와 재료이송배관 방향으로 작용하는 흡인의 결합효과로 인하여 중간용기로부터 상기 재료이송배관으로 바람직하지 않은 방식으로 이동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3은 제3의 작동상태를 나타내며 이 상태에서는 투입지점의 중간용기 내에 수집된 재료(w)가 재료이송배관으로 이송되고 이어서 상기 재료이송배관을 따라 재료이송시스템의 분리수단 및/또는 쓰레기 용기로 이송되도록 되어 있다. 이 경우 도 2의 상태로부터 제2 차단수단(61)을 제2위치로 이동시킴으로써 대체공기용 통로(60)가 열렸고, 이때 대체공기가 투입지점의 재료 채널(10) 내로 이동할 수 있다. 상기 대체공기와 재료이송배관(100) 방향으로부터 작용하는 흡인효과가 함께 재료(w)를 재료이송배관(100) 쪽으로 이동시키려고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바이패스 채널(17)은 또한 그 바이패스 채널의 제2단부(18)로부터 이송되고 있는 재료(w) 몸체로 대체공기를 공급하기 위하여 활용될 수 있다. 상기 바이패스 채널(17)에 의하여, 대체공기의 적어도 일부가 중간용기의 채널 공간에 있는 재료(w)를 우회하도록 유도된다. 상기 바이패스 채널(17)에 의하여 재료 몸체로 유도된 일부의 대체공기는 재료 이동을 용이하게 하여 막힘 발생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도 4에서 상기 쓰레기는 도 3의 상태로부터 이미 이동되어 재료이송배관(1000 방향으로 더욱 이동되었다. 상기 바이패스 채널(17)로부터 대체공기가 이송되고 있는 재료 몸체로 공급된다. 도면에서 화살표들은 공기의 흐름을 나타내고 있다.
도 1~4의 투입지점의 작동은 이하에서 더 자세히 기술할 것이다. 투입지점(1)은 그 투입지점의 벽을 형성하는 둘레벽부(13)를 포함한다. 상기 투입지점의 둘레벽부(13)에 투입구멍(2)이 형성되며, 도면에서는 투입구멍이 둘레벽부의 앞벽에 구비되어 있다. 차단수단(3)이 상기 투입구멍(2)에 결합되어 배치되고, 이 차단수단은 적어도 2개의 위치 사이에서 이동될 수 있으며, 제1위치에서는 투입구멍(2)을 통하여 투입지점의 둘레벽부 내로 재료가 공급되는 것을 방지하고, 제2위치에서는 투입구멍(2)이 개방된다. 도 1a,1b,1c,1d의 실시예에서 투입지점(1)의 앞벽은 만곡되게 형성되어 있다. 상기 앞벽은 측벽과 연결된다. 투입지점의 뒷벽은 상기 앞벽에 대하여 반대측에서 상기 측벽과 연결된다. 투입지점의 상부벽은 본 도면의 실시예에서 상기 앞벽으로부터 뒷벽을 향하여 아래로 경사지도록 형성된다. 도 1~4의 실시예에서 투입지점(1)의 바닥부 상에 고정지점(136)이 위치하며, 이 고정지점에서 투입지점이 그 탑재면(s)에 고정될 수 있다. 상기 도면에서는 투입지점의 둘레벽부(13) 내로 대체공기를 도입하기 위한 구멍(14)이 투입지점(1)의 둘레벽부(13)의 격자(grating) 또는 창살(grille)부에 형성되어 있다(도 6~10에 더 자세히 도시됨). 투입지점 내에는 수직채널부(10)가 위치하고, 수직채널부는 그 하부에서 중간용기와 같은 재료이송채널(20) 또는 재료이송배관(100)과 연결될 수 있다. 도 1은 투입지점(1)의 한 실시예를 나타낸 것으로서, 투입지점이 결합부(15,151)에 의해서 상기 채널(20)과 결합된 것을 도시하고 있다. 상기 구멍(14)이 형성된 격자 또는 창살부는 도면에서 투입지점(1)의 둘레벽부(13)의 측벽과 뒷벽 상에 형성되며, 도 6~10에 자세히 나타나있다.
도 1~4는 일 실시예에 따른 투입지점(1)을 수직면으로 자른 개략단면도이다. 상기 투입지점은 고정부(136)에 의하여 탑재면(s) 상에 배치된다. 도면에서는 수직 채널부로 도시된 투입지점의 공급 컨테이너(10)는 그 바닥부에서 결합부(15)에 의하여 재료이송채널(20)과 결합된다. 투입지점은 따라서 수직의 채널부(10)를 가지며, 수직 채널부의 벽에는 투입지점의 투입구멍(2) 위치에 구멍(201)이 형성된다. 본 도면의 실시예에서, 상기 구멍은 코너부가 둥근 대략 장방형으로 되어 있다. 상기 채널부(10)가 투입지점의 외벽 또는 그 외벽의 일부를 구성하는 실시예에서는 상기 채널부의 구멍(201)이 투입구멍(2)이 될 수 있다. 본 도면의 실시예에서 채널부(10)의 벽은 그 길이방향축에 수직인 단면방향의 횡단면형상이 도우넛모양 더 상세하게는 원형이기 때문에, 상기 구멍은 만곡된 벽형상의 둘레벽부에 형성된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채널의 횡단면 형상은 또한 타원, 다각형 또는 다른 적절한 모양의 다른 형상일 수 있다. 상기 채널부(10)에는 제2구멍, 대체공기통로(60), 즉 투입지점으로부터 채널부(10)를 통하여 재료이송채널(20)로 이어서 재료이송배관(100)으로 대체공기를 유도하기 위한 대체공기밸브가 형성된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대체공기는 대체공기 통로(60)의 대체공기 구멍(63)(도 3)으로부터 도입되며, 이때 팬 또는 진공펌프와 같은 공압식 재료이송시스템의 부분진공생성기의 흡인력이 재료이송배관(1000을 통하여 투입지점 내, 그 투입지점의 재료이송채널 내에 작용한다. 상기 채널부(10)는 벽(112)에 의하여 상부에서 닫혀져 있으며, 채널부 바닥부에서 재료이송채널(20)과 연결되어 있다. 제1 차단수단(3)과 그 구동수단(4,5)이 투입지점(1)에 배치되고, 제1 차단수단이 제1위치(도 2)에 있을 때 투입구멍(2)을 통한 투입지점 내로의 접속, 즉 채널부(10)에 의하여 구획되는 공간인 투입지점의 공급 컨테이너(10') 내로의 접속이 차단된다. 상기 제1 차단수단(3)이 제2위치(도 1)에 있으면, 상기 차단수단은 투입구멍(2)을 통하여 채널부의 채널공간에 의하여 구획되는 공급 컨테이너(10') 내로의 재료의 공급을 방해하지 않는다. 도 1의 실시예에서 제1 차단수단의 제2위치는 제1위치로부터 하향이동되어 있다. 도 1의 실시예에서 제2위치에 있는 상기 제1 차단수단(3)은 대체공기구멍(63)을 폐쇄하도록, 즉 채널부(10) 외부로부터 내부로의 대체공기 통로(60)를 차단하도록 배치된다.
도 1~4의 실시예에서, 제2 차단수단(61)이 투입지점에 배치되며, 상기 제2 차단수단이 제1 위치에 있을 때(도 2) 대체공기의 출입 개구를 통하여 채널부(10) 내로 들어오는 대체공기를 위한 통로(60)를 폐쇄한다. 상기 제2 차단수단(61)이 제2 위치에 있으면, 상기 제2 차단수단은 대체공기의 출입 개구를 통하여 채널부(10) 내로 들어오는 대체공기의 통행을 방해하지 않는다. 제2 차단수단(61)의 제2 위치는 도 1에 도시되어 있으며, 이 제2 위치는 제1 위치로부터 하향이동되어 있다. 구동기구(62,621)가 상기 제2 차단수단(61)을 구동하기 위하여 설치된다.
도 1~4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1 차단수단(3)이 채널부(10)의 벽에 의하여 구획되는 공간 내에 배치된다. 제1 차단수단의 외벽은 채널부(10)의 내벽 쪽으로 향해있다. 본 도면에서는 상기 제1 차단수단은 그 횡단면 형상이 도우넛형인 차단수단이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1 차단수단은 부싱수단(bushing means)이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차단수단은 대략 튜브형(tubular) 수단이다. 제1 차단수단(3)의 상부(301)에는 방사방향으로 안쪽을 향하여 베벨 형상 경사면이 형성되어 있다. 이는 본 도면의 실시예에서 투입구멍(2)의 가장자리 상부 또는 채널부 구멍(201)의 가장자리 상부의 높이방향으로 동일한 지점에 형성된 투입지점 벽(111)의 대향면(countersurface)과 부합하도록 형성된다.
본 도면의 실시예에서 제1 차단수단(3)의 구동수단(4,5)은 실린더-피스톤 조합기구와 같은 액츄에이터를 포함한다. 피스톤(501)은 실린더(4)의 실린더 공간 내에 배치되고, 피스톤의 피스톤 로드(5)는 상기 피스톤(501)에 대하여 반대측 단부에서 결합장치에 의하여 상기 차단수단(3)에 고정된다. 도면의 실시예에서 지지부(303)가 상기 차단수단의 바닥부(302) 상에 배치되고, 상기 지지부는 채널부의 벽 밖으로 연장된다. 상기 지지부(303)는 고정부(304)에 의하여 상기 피스톤 로드(5) 상에 배치된다. 도 1~4의 실시예에서 상기 채널부(10)의 내면은 상기 제1 차단수단(3)의 가이드 면으로서 기능할 수 있다. 도면의 실시예에서 상기 지지부(303)는 제1 차단수단(3)의 바닥부(302)상 예컨대 상기 차단수단의 단부면 상에 배치된다. 상기 도면의 실시예에서, 상기 지지부(303)는 차단수단의 바닥 단부면 상에 배치되는 도우넛형 부분을 포함하며, 실제의 지지부는 그 도우넛형 부분으로부터 방사방향으로 외측으로 연장된다. 상기 지지부는 채널부의 벽에 형성된 구멍으로부터 연장되는데, 상기 도면에서는 대체공기 구멍으로부터 채널부(10) 외부로 연장된다. 도면의 실시예에서는 제1 차단수단(3)의 구동기구(4,5)는 채널부(10)의 외벽과 투입지점의 둘레벽부(13) 사이 공간에 배치된다. 상기 구동기구는 투입지점의 구조 상에서, 예컨대 채널부(10)의 벽 상에서 지지된다.
상기 제1 차단수단(3)을 예컨대 부싱수단과 같은 도우넛형 수단으로 구성함으로써, 공압식 재료이송시스템의 투입지점의 채널에 작용하는, 그 재료이송시스템의 부분진공생성기에 의하여 발생하는 흡인력과 반송 공기 흐름에 의하여 발휘되는 힘들에 대하여 상기 차단수단을 이동시키기 위한 유용한 구성이 얻어진다. 상기 장치에 의하여, 차단수단에 있어서 상대적으로 실질적으로 작은 표면 영역을 얻을 수 있고, 이 표면 영역에 상기 압력 차이에 의한 힘의 합력들이 작용한다(왜냐하면 도우넛형 부싱수단의 림(rim) 상에 작용하는 반경방향 힘의 일부가 다른 힘들을 보상하기 때문이다). 이 경우 차단수단의 표면 영역에 대하여 상기 투입 구멍을 원하는 대로 형성할 수 있고, 또한 부싱타입 차단수단을 이동시키기 위하여 본 발명 실시예에서는 상대적으로 작은 힘들이 필요하기 때문에 상기 차단수단의 액추에이터는 상대적으로 작게 형성할 수 있다.
도 1~4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2 차단수단(61)이 채널부(10)의 벽에 의하여 구획되는 공간 내에 배치된다. 제2 차단수단(61)의 외벽은 채널부(10)의 내벽 쪽으로 향해있다. 본 도면에서는 상기 제2 차단수단은 그 횡단면 형상이 도우넛형인 차단수단이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2 차단수단은 부싱수단이다. 제2 차단수단(61)의 상부(601)는 제1 차단수단(3)의 바닥부(302)의 대향면에 맞물리도록 구성된다. 상기 제2 차단수단의 상부(601)는 그 제1위치에서 제2구멍, 즉 대체공기 구멍의 상부 가장자리와 높이방향으로 근접하게 배치된다.
본 도면의 실시예에서 제2 차단수단(61)의 구동수단(62,621)은 실린더-피스톤 조합기구와 같은 액츄에이터를 포함한다. 피스톤(622)은 실린더(62)의 실린더 공간 내에 배치되고, 피스톤의 피스톤 로드(621)는 상기 피스톤(622)에 대하여 반대측 단부에서 결합장치에 의하여 상기 제2 차단수단(61)에 고정된다. 도면의 실시예에서 지지부(603)가 상기 차단수단의 상부(601) 상에 배치되고, 상기 지지부는 채널부의 벽 밖으로 연장된다. 상기 지지부(603)는 고정부(604)에 의하여 상기 피스톤 로드(621) 상에 배치된다. 도 2a~2c의 실시예에서 상기 채널부(10)의 내면은 상기 제2 차단수단(61)의 가이드 면으로서 기능할 수 있다. 도면의 실시예에서 상기 지지부(603)는 제2 차단수단(61)의 상부(601)상 예컨대 상기 차단수단의 단부면 상에 배치된다. 상기 도면의 실시예에서, 상기 지지부(603)는 차단수단의 상부 단부면 상에 배치되는 도우넛형 부분을 포함하며, 실제의 지지부는 그 도우넛형 부분으로부터 방사방향으로 외측으로 연장된다. 상기 지지부(603)는 채널부의 벽에 형성된 구멍으로부터 연장되는데, 상기 도면에서는 대체공기 구멍(63)으로부터 채널부(10) 외부로 연장된다. 도면의 실시예에서는 제2 차단수단(61)의 구동기구(62,621)는 채널부(10)의 외벽과 투입지점의 둘레벽부(13) 사이 공간에 배치된다. 상기 구동기구는 투입지점의 구조 상에서, 예컨대 채널부(10)의 벽 상에서 지지된다.
상기 제2 차단수단(61)을 예컨대 부싱수단과 같은 도우넛형 수단으로 구성함으로써, 공압식 재료이송시스템의 투입지점의 채널에 작용하는, 그 재료이송시스템의 부분진공생성기에 의하여 발생하는 흡인력과 반송 공기 흐름에 의하여 발휘되는 힘들에 대하여 상기 차단수단을 이동시키기 위한 유용한 구성이 얻어진다. 상기 장치에 의하여, 차단수단에 있어서 상대적으로 실질적으로 작은 표면 영역(예컨대 차단수단의 단부 표면)을 얻을 수 있고, 이 표면 영역에 상기 압력 차이에 의한 힘의 합력들이 작용한다(왜냐하면 도우넛형 부싱수단의 림(rim) 상에 작용하는 반경방향 힘의 일부가 다른 힘들을 보상하기 때문이다). 이 경우 차단수단의 표면 영역에 대하여 상기 대체공기 구멍을 원하는 대로 형성할 수 있고, 또한 부싱타입 차단수단을 이동시키기 위하여 본 발명 실시예에서는 상대적으로 작은 힘들이 필요하기 때문에 상기 차단수단의 액추에이터는 상대적으로 작게 형성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O링 시일과 같은 링형상 돌출부가 상기 제2 차단수단(61)의 바닥부(602) 상에 배치되고, 상기 돌출부는 상기 수단의 측면으로부터 연장되며 또한, 상기 돌출부는 상대적으로 작은 표면 영역을 가지고 이 표면 영역에 상기 차단수단의 이동방향에 저항하는 혹은 그 차단수단의 이동에 저항하는 힘의 효과가 발휘된다.
도 1~4는 명확성을 위하여 도해적이고 단순한 방식으로 도시되어, 양 구동수단과 그들의 작동상태들을 동일한 도면에 도시하고 있다.
도 2는 제1 차단수단(3)과 제2 차단수단(61)의 양 차단수단이 제1 위치에 있는 상태를 나타낸다. 이 경우 투입구멍(2)과 대체공기용 통로(60)의 출입 개구는 모두 닫혀있다. 이때는 재료가 투입구멍(2)으로부터 투입지점의 채널부(10) 내로 공급될 수 없다. 이때는 대체공기 구멍으로부터 채널부(10)의 채널공간(10') 내로 향하는 대체공기 통로가 닫혀있다. 이 작동상태에서는 도면에 도시된 투입지점을 제외하고, 시스템의 다른 투입지점의 중간용기들은 비워질 수 있다. 도 2의 투입지점의 중간용기의 용기 공간 내에 있는 재료는 정지된 상태로 유지되어야만 한다. 이때 상기 바이패스 채널(17)에 의하여, 재료이송배관 방향으로부터 작용하는 흡인력과 투입지점의 대기압과의 압력 차이에 의하여 발생하는 부피 변화 효과가 보상되고 동시에 투입지점 외부로부터 채널 공간 내로 누설되는 공기도 보상되는바, 이 보상효과가 없다면 상기 채널 공간 내 재료가 재료이송배관(100) 쪽으로 이동되어 버리게 된다.
도 3은 상기 제2 차단수단(61)이 구동수단(62,621)에 의하여 채널부(10) 내에서 제1 위치(도 2)로부터 제2 위치(도 3)으로 이동된 상태를 나타낸다. 이 경우 대체공기가 상기 채널부(10) 벽의 대체공기 구멍을 통하여 채널부의 채널 공간(10')으로 흐를 수 있다. 도 3에서 상기 대체공기 흐름은 대체공기 구멍을 통과하여 지나는 화살표로 표시되어 있다. 대체공기가 공급될 때, 상기 제1 차단수단(3)은 투입구멍(2)을 닫는 제1 위치에 있다. 재료(w)는 중간용기로부터 재료이송배관으로 이동되고 동시에 대체공기의 일부가 상기 바이패스 채널(17)을 통하여 이송되는 재료의 몸체로 유도된다.
투입지점(1)으로 더 많은 재료를 공급하고자 할 때는, 상기 제1 차단수단(3)이 구동수단(4,5)에 의하여 제2 위치(도 1)로 이동된다. 이 경우 상기 제1 차단수단(3)은 투입구멍(2)의 위치로부터 멀어지게 이동되어 재료가 투입구멍으로부터 투입지점(1)의 공급 컨테이너, 즉 채널부(10)의 채널 공간(10') 내로 이동될 수 있다. 도 1의 실시예에서 상기 제1 차단수단(3)은 제2 위치로 이동되어 있고, 상기 제1 차단수단(3)의 바닥부(302)는 제2 위치에 있는 제2 차단수단(61)의 상부(601)와 접해있다.
도 1~4의 실시예에서 상기 차단수단(3,61)의 내벽은 공급 컨테이너인 채널 공간(10')의 내표면 또는 적어도 그 내표면의 일부를 형성한다. 상기 도면의 실시예에서 상기 제1 차단수단(3)은 예컨대 부싱수단과 같은 도우넛형 차단수단이다. 도면의 실시예에서 상기 제2 차단수단(61)은 예컨대 부싱수단과 같은 도우넛형 차단수단이다. 차단수단(3,61)의 구동수단은 그 작동원리의 관점에서, 적용분야에 따라 예컨대 전기작동 액추에이터, 유압식 액추에이터, 공압식 액추에이터 또는 다른 적절한 액추에이터일 수 있다.
도 5a,5b,5c는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채널부(20,21,22)와 바이패스 채널(17)의 조합의 상세를 도시하고 있다. 도면의 실시예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평의 채널부(22)가 중간용기에 배치된다. 이 경우 재료는 중력에 의하여 이송되어 중간용기의 수직채널부(20) 내로, 그리고 이후의 만곡채널부(21)로, 또한 수평채널부(22) 내의 일정범위까지 이송된다. 상기 재료는 재료이송배관(100) 방향측으로부터의 중간용기 내에 미치는 부압효과와, 투입지점(1) 방향으로부터의 대체공기에 의하여 중간용기로부터 이송되며, 이 경우 상기 쓰레기 재료는 이들 효과를 합친 효과 하에서 재료이송배관(100) 쪽으로 채널부 내에서 이송된다.
상기 수평채널부는 본 발명에 따른 장치에 장점을 제공하는데, 그 중에서도 상기 중간용기의 크기를 이전의 수직 중간용기에 비하여 쉽고 현저하게 증가시킬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상기 채널부의 횡단면 직경보다 확장된 부분(151)이 상기 채널부(20)의 투입지점쪽의 단부 상에 형성되며, 상기 부분은 제1 끝단으로부터 제2 끝단 쪽으로 일정 거리만큼 연장된다. 바이패스 채널(17)의 제1단부(16)는 확장된 벽의 지점에 형성된 구멍에서 상기 채널부에 연결된다. 바이패스 채널(17)의 제2단부(18)는 상기 제1 단부로부터 일정 거리 떨어진 채널부(20)에 배치되는데, 도 5a에서는 상기 채널부의 제2 단부 근처의 측벽에 형성된 구멍에 연결되어 있다. 벽부(152)는 구멍(153)을 구비하고, 도면상에서 상기 벽부는 본질적으로 상기 채널부(20)의 직경과 동일하며, 상기 채널부의 확장된 부분 내에 배치된다. 지지부(154)(도 5c)가 상기 벽부(152)외 외부에 배치되며, 상기 지지부는 칼라(collar)와 함께 상기 벽부(152)를 상기 확장부(151)의 벽에 대하여 중심에 위치(centering)하도록 하게 한다. 도 5b에는 예컨대 청정수단(cleaning means) 또는 흡인/송풍수단을 상기 바이패스 채널에 연결하기 위한 결합지점(161)이 상기 바이패스 채널의 제1 단부에 형성되며, 이 경우 필요하다면 예컨대 상기 바이패스 채널(17)을 청소하기 위한 유효한 장치를 얻을 수 있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결합지점(161)에는 마개(plug:162)가 제공된다.
도 6~10은 쓰레기를 위한 공압식 배관 이송시스템의 공급 스테이션(feed-in station)을 도시한 것으로, 상기 스테이션은 적어도 2개의 투입지점(1)을 포함한다. 원하는 수의 투입지점을 둘 수 있다. 도 6~10의 실시예에서는 예컨대 4개의 투입지점이 있다. 상기 투입지점(1)들은 전형적으로 복수의 다른 범주의 재료들을 위한 것이다. 도 6~10에서는 4개의 투입지점(1)이 나타나있고, 이 실시예는 각각 다른 범주의 재료를 위한 것일 수 있다. 적용장소에 따라서, 공급 스테이션에 더 많거나 적은 투입지점들을 둘 수 있다. 또한 더 많거나 적은 수의 재료 범주들을 공급 스테이션의 투입지점(1)에 공급할 수 있다. 다른 재료 범주들을 위한 상기 투입지점(1)은 도 6~10에서 다른 참조부호 101,102,103,104로 표시되어 있다. 상기 재료 범주들은 예컨대, 혼합 쓰레기, 종이, 생물폐기물 및 판지(cardboard)일 수 있다. 적용장소에 따라서 예컨대 플라스틱, 유리, 금속 등과 같은 다른 재료 범주가 될 수 있다.
도 6~10은 따라서 4개의 평행한 투입지점(1)을 나타내며, 각 투입지점은 재료이송방향으로 공급 컨테이너(10)의 연장부로서 그 자신의 중간용기 부분(20)을 가지고 있다. 여러 투입지점의 중간용기 부분은 이후 숫자 20(Ⅰ), 20(Ⅱ), 20(Ⅲ) 및 20(Ⅳ)로 표시된다. 상기 투입지점들의 중간용기를 형성하는 채널부분들이 한 장치에 형성되는데, 이 장치에서는 제1 투입지점(101)의 중간용기가 그 투입지점(101)과 실제의 재료이송배관(100) 사이에서 채널부 20(Ⅰ),21(Ⅰ),22(Ⅰ)로 형성된다. 도면의 실시예에서 상기 중간용기 20(Ⅰ)는 우선 투입지점의 결합부(15)에 결합되는 수직채널부 20(Ⅰ)와, 상기 수직채널부와 중간용기의 수평채널부 22(Ⅰ)를 연결하는 만곡채널부 21(Ⅰ)를 포함한다.
상기 도면에서 수평채널부(23)는 재료이송방향으로 상기 재료이송배관(100)으로부터 가장 멀리 위치한 제4 투입지점(104)의 중간용기 부분의 연장부로서 배치됨과 동시에, 투입지점(1)과 재료이송배관(100) 사이의 수평채널부 22(Ⅳ)에 연결되며, 상기 채널부(23)에는 인접한 투입지점들(101,102,103)이 결합된다.
제1 투입지점(101)의 중간용기 22(Ⅰ)는 제4 중간용기 20(Ⅳ)와 재료이송배관(100) 사이의 채널부(23)에 연결된다. 제2 투입지점(102)의 중간용기 20(Ⅱ)는 제1 투입지점(101)의 중간용기 20(Ⅰ)와 제4 투입지점(104)의 중간용기 20(Ⅳ) 사이 부분인 채널부(23)에 연결된다. 제3 투입지점(103)의 중간용기 20(Ⅲ)는 제2 투입지점(102)의 중간용기 20(Ⅱ)와 제4 투입지점(104)의 중간용기 20(Ⅳ) 사이 부분인 채널부(23)에 연결된다. 상기 도면에 따르면 따라서 상기 투입지점들(101,102,103,104)은 재료이송배관(100)과 매체 연결되도록 배치되지만, 서로에 대해서는 연결되지 않는다. 이에 따라서, 하나의 투입지점의 중간용기가 재료(w)를 비움과 동시에 다른 투입지점들의 중간용기는 비워지지 않도록 할 수 있으며, 각 투입지점(101,102,103,104)의 중간용기 20(Ⅰ), 20(Ⅱ), 20(Ⅲ), 20(Ⅳ)에는 바이패스 채널(17)이 연결된다. 상기 바이패스 채널(17)에 의하여, 비우기를 원하지 않는 투입지점의 중간용기의 압력 차이에 의해서 발생하는 부피 변화의 효과, 즉 이른바 재료의 피스톤 효과와, 재료이송배관(100) 방향으로부터 흡인이 작용할 때 발생할 수 있는 누설공기의 효과가 보상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비우기를 원하지 않는 투입지점의 중간용기로부터 재료이송배관(100)으로 재료가 의도치 않게 이동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는 그 중에서도 도 2에 잘 도시되어 있다.
이에 상응하게, 비우기를 원하는 투입지점의 중간용기부에서는, 상기 바이패스 채널의 제2단부(18)로부터 대체공기의 일부를 재료이송채널에 있는 이송대상의 재료 몸체로 유도하기 위하여 상기 바이패스 채널(17)이 사용될 수 있다. 이는 그 중에서도 도 3 및 4에 잘 도시되어 있다.
도 9 및 도 10은 한 투입지점(101)의 둘레벽부(13)의 부분단면도이다. 둘레벽부(13)의 격자 또는 창살(14)과, 채널부(10)에 형성된 대체공기 구멍(63)을 통한 대체공기 통로(60)가 도 10에 도시되어 있다. 명확하게 나타내기 위하여, 도 10에서는 차단수단(61)의 구동수단을 생략하고 제1 투입지점(101)을 단면으로 하여 단순화하여 도시하고 있다.
충분한 재료가 공급될 때 또는 그렇지 않은 경우라도 공급 스테이션의 투입지점의 중간용기를 비우는 공정, 예컨대 비움 시퀀스(sequence)가 행해진다. 투입지점의 투입구멍은 제1 차단수단에 의하여, 대체공기용 통로(60)는 제2 차단수단에 의하여 닫혀진다.
부분진공 공급원의 흡인측이 예컨대 분리수단을 경유하여 재료이송배관(100)에 작용하기 위하여 연결되며, 상기 재료이송배관은 투입지점들(101,102,103,104)의 중간용기들과 연결된다. 제1 투입지점(101)의 대체공기 밸브(60)가 개방되면, 흡인효과와 대체공기 흐름에 의하여 재료가 재료이송배관(100) 쪽으로 이동하기 시작한다. 대체공기는 또한 제1 투입지점(101)의 바이패스 채널(17)의 제2단부로부터 중간용기의 채널 22(Ⅰ)로 도입된다. 다른 투입지점(102,103,104)의 누설 공기에 의한 효과는 각 투입지점(102,103,104)의 바이패스 채널(17)에 의하여 보상되며, 이때 제1 투입지점(101)의 중간용기 20(Ⅰ),21(Ⅰ),22(Ⅰ)의 재료(w)가 원하지 않는 중간용기 20(Ⅱ),20(Ⅲ),20(Ⅳ)...22(Ⅱ),22(Ⅲ),22(Ⅳ)의 재료(w)와 함께 재료이송배관으로 이동되는 것이 회피된다.
비움 대상인 제1 투입지점(101)의 중간용기 20(Ⅰ),21(Ⅰ),22(Ⅰ)에서 재료(w)가 재료이송배관(100)으로 비워지면, 두 번째로 비워지는 투입지점(102)의 대체공기 밸브(60)가 개방되고, 제1 투입지점(101)의 대체공기 밸브는 닫혀지며, 이 경우 제2 투입지점(102)의 중간용기 20(Ⅱ),21(Ⅱ),22(Ⅱ)에 수집된 재료가 재료이송배관으로 이동하기 시작한다. 또한, 제2 투입지점(102)의 바이패스 채널(17)의 제2 단부(18)로부터 매체 채널 22(Ⅱ)로 대체공기가 도입된다. 다른 투입지점(101,103,104)의 누설 공기에 의한 효과는 각 투입지점(101,103,104)의 바이패스 채널(17)에 의하여 보상되며, 이때 제2 투입지점(102)의 중간용기의 재료가 원하지 않는 중간용기의 재료와 함께 재료이송배관으로 이동되는 것이 회피된다.
모든 원하는 투입지점(101,102,103,104)과 그들의 중간용기 20(Ⅰ),20(Ⅱ),20(Ⅲ),20(Ⅳ)...22(Ⅰ),22(Ⅱ),22(Ⅲ),22(Ⅳ)가 비워질 때까지 상기 공정은 계속된다. 마지막에 비워지는 투입지점의 대체공기 통로(60)가 닫힌다.
원하는 투입지점이 비워졌을 때, 이동을 위한 부분진공생성기의 흡인은 중단될 수 있고, 상기 투입지점(101,102,103,104) 내로의 재료(w) 공급은 상기 차단수단(3)을 개방함으로써 그들의 투입구멍(2)으로부터 계속될 수 있다. 이러한 공정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투입지점들의 중간용기 비움 시작이 다시 요구될 때까지 계속된다.
상기 비움 시퀀스가 완수되면, 도 1이 상태로 다시 돌아와 투입지점(101,102,103,104)의 중간용기는 다시 채워지기 시작한다. 다른 비움 시퀀스가 사용될 수 있으며, 예컨대 더 빨리 채워지는 투입지점의 중간용기들이 다른 것들보다 더 자주 비워지는 시퀀스가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장치는 따라서 중간용기의 채널부 내로 대체공기를 유도하는 수단을 포함하고 있다. 투입지점의 외벽을 형성하는 투입지점(1)의 둘레벽부(13)에는 투입지점의 공급 컨테이너로 재료를 이송하기 위한 투입구멍(2)과, 또한 둘레벽부 내로 대체공기를 도입하는 구멍(14)(도 9)이 형성된다. 상기 대체공기는 격자형 구멍(14)을 통하여 둘레벽부(13) 내로 도입되어 이어서 대체공기 밸브(60)를 통하여 용기(10)로 흘러간다. 도 9는 대체공기를 둘레벽부(13) 내로 도입하기 위하여 투입지점의 둘레벽부(13)에 구멍(14)이 형성된 것을 도시하고 있다. 대체공기의 대부분은 공급 컨테이너(10)를 통하여 중간용기(20,21,22)의 채널 공간 내로 도입되어 재료이송배관(100)으로 가고, 이때 쓰레기용 공압식 이송시스템의 부분진공생성기의 흡인력이 재료이송배관(100)으로부터 공급 컨테이너로 작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르면 바이패스 채널(17)이 투입지점에 배치되는데, 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바이패스 채널은 투입지점(1)으로부터, 투입지점의 공급 컨테이너(10)의 채널공간(10')으로부터, 또는 투입지점의 연장부인 중간용기(20)의 채널공간으로부터, 상기 중간용기인 채널부(22)로 배치된다.
상기 장치는 적어도 2개의 투입지점(1), 투입지점(1)으로부터 이송되는 쓰레기 재료의 중간용기로서 기능하는 채널부(20,21,22), 및 투입지점으로부터 중간용기로 쓰레기 재료를 이송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중간용기로서 기능하는 채널부로부터 상기 쓰레기 재료는 쓰레기 재료용 공압식 이송시스템의 재료이송배관(100)으로 이송된다. 상기 재료이송배관(100)에서 상기 쓰레기 재료는 반송공기와 함께 시스템의 쓰레기 스테이션과 같은 수집장소로 이송되고, 분리기구에서 상기 반송된 쓰레기는 반송공기로부터 분리되어 처리 컨테이너 또는 선적 컨테이너로 다시 이송된다. 공압식 쓰레기 이송시스템의 작동은 본 명세서에서 더 자세히 기술하지는 않는다. 공압식 쓰레기 이송시스템의 여러 예들이 예컨대, 국제공개공보 WO 2009/080880, WO 2009/080881, WO 2009/080882, WO 2009/080883, WO 2009/080884, WO 2009/080885, WO 2009/080886, WO 2009/080887, WO 2009/080888 및 WO 2011/110740에 나타나 있다.
본 발명은 따라서 공압식 배관 재료 수집시스템의 투입지점의 중간용기의 압력 차이에 의하여 발생되는 부피 변화의 보상방법 및/또는 중간용기로부터의 원하지 않는 재료 이송을 방지하기 위한 방법에 관한 것이다. 상기 방법에서 투입지점(1)의 중간용기에 의하여 형성되는 채널부분(20,21,22)에 바이패스 채널(17)을 배치하여, 재료(w)의 다른 측 상에 작용하는 크기가 다른 압력의 압력 차이로부터 발생하는 부피 변화를 보상 및/또는 채널부(20,21,22)로부터 재료이송배관(100) 내로의 원하지 않는 재료 이동을 방지할 수 있다.
한 실시예의 방법에 따르면, 투입지점(1)으로부터 흘러나온 적어도 발생 가능한 누설공기가 상기 바이패스 채널(17)로 주로 흐르도록 배치된다.
한 실시예의 방법에 따르면, 상기 바이패스 채널(17)은 상기 중간용기 내로 공급된 적어도 대부분의 재료(w) 축적물을 우회하도록 배치된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바이패스 채널(17)의 제1단부(16)가 상기 채널부분(20,21,22)의 시작 부분에 배치되고, 바이패스 채널(17)의 제2단부(18)가 상기 채널의 끝단 부분에 배치되며, 상기 채널부분에 의해 형성되는 중간용기 내의 대부분의 재료(w)가 상기 시작 부분과 끝단 부분 사이의 채널부분(20,21,22)의 공간 내에 위치한다.
한 실시예의 방법에 따르면, 쓰레기 재료 또는 재활용 가능한 재료를 공압식 배관 재료이송시스템의 적어도 2개의 투입지점(1)의 투입구멍(2)으로부터 공급 컨테이너(10) 내로 공급하고 이어서 상기 공급 컨테이너와 재료이송배관(100) 사이에 있는 채널 부분(20,21,22)으로 이송하고, 상기 채널 부분은 중간용기로서 기능하며, 재료의 공압식 배관 수집시스템의 부분진공생성기에 의하여 발생되어 재료이송배관(100) 방향으로부터 재료에 작용하는 흡인력과, 대체공기 통로를 개방함으로써 주위 공기 압력의 효과에 의하여 투입지점의 방향으로부터 작용하는 대체공기의 조합효과에 의하여 상기 중간채널로부터 재료(w)가 상기 재료이송배관(100)으로 이송되고, 이어서 반송공기를 따라 상기 재료이송배관(100)을 통하여 공압식 재료이송시스템의 전달 단부로 재료가 이송되고, 이 전달 단부에서 재료가 반송공기로부터 분리된다. 한 실시예의 방법에 있어서, 흡인력이 상기 재료이송배관(100)을 통하여 상기 투입지점의 채널 부분(20,21,22)에 작용하고, 상기 채널 부분은 중간용기로서 기능하며, 상기 투입지점의 투입구멍(2)과, 투입지점 방향으로부터 채널 부분(20,21,22)으로의 대체공기용 통로(60)는 필수적으로 닫혀져 유지되고, 공급된 재료(w)는 상기 채널 부분(20,21,22)의 중간용기 내에 유지되며, 재료(w)의 다른 측 상에 작용하는 크기가 다른 압력의 압력 차이로부터 발생하는 부피 변화를 보상하기 위하여 및/또는 채널부(20,21,22)로부터 재료이송배관(100)으로의 원하지 않는 재료 이동을 방지하기 위하여, 투입지점(1)의 채널 부분(20,21,22)에 바이패스 채널(17)이 배치된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투입지점의 방향으로부터 중간용기로의 대체공기의 통행을 허용함에 의하여 또한 상기 재료이송배관 방향으로부터의 흡인을 유지함에 의하여, 적어도 하나의 다른 투입지점(1)의 중간용기가 동시에 비워진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투입지점의 채널 부분(20,21,22)의 중간용기를 비울 때, 상기 대체공기의 일부가 상기 바이패스 채널(17) 내를 흐르도록 유도된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재료이송단계에 있어서, 상기 대체공기의 도입이 예컨대 대체공기 밸브(60)에 의하여 일정시간 동안 허용된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적어도 재료 이동을 원하지 않을 때, 투입지점에서 발생할 수 있는 누설공기가 바이패스 채널(17)로 유도되며, 상기 바이패스 채널의 유로 구멍은 공압식 재료이송시스템의 부분진공생성기의 흡인력이 작용하는 상기 채널 부분(20,21,22)의 유로 횡단면 면적보다 작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다수의 투입지점(1,101,102,103,104)이 구비되고, 제1단계에서 재료(w)가 제1 투입지점 및/또는 적어도 하나의 다른 투입지점으로부터 재료의 중간용기를 형성하는 각 투입지점의 채널 부분(20(Ⅰ),21(Ⅰ),22(Ⅰ)...20(Ⅳ),21(Ⅳ),22(Ⅳ))으로 주로 중력에 의하여 공급되며, 제2단계에서 투입지점 중 하나의 투입지점으로부터 이송된 재료가 흡인력과 대체공기의 조합 효과에 의하여 상기 채널 부분(20(Ⅰ),21(Ⅰ),22(Ⅰ)...20(Ⅳ),21(Ⅳ),22(Ⅳ))으로부터 재료이송배관(100)으로 이송되고 이어서 공압식 재료이송시스템의 재료 전달 단부 쪽으로 이송되고, 또한 다른 투입지점들의 대체공기용 통로(60)는 닫힌 채 유지되며, 상기 채널 부분(20(Ⅰ),21(Ⅰ),22(Ⅰ)...20(Ⅳ),21(Ⅳ),22(Ⅳ))에서의 압력 차이에 의하여 발생하는 부피 변화 및/또는 누설공기 효과가 각 투입지점의 바이패스 채널(17)에 의하여 보상된다.
본 발명은 또한 공압식 배관 재료수집시스템의 투입지점(1)의 재료 채널(20,21,22)인 중간용기의 압력 차이에 의하여 발생되는 부피 변화의 보상장치 및/또는 중간용기로부터의 원하지 않는 재료 이송을 방지하기 위한 장치에 관한 것이다. 상기 장치는, 재료(w)의 다른 측 상에 작용하는 크기가 다른 압력의 압력 차이로부터 발생하는 부피 변화를 보상하기 위하여 및/또는 채널부(20,21,22)로부터 재료이송배관(100)으로의 원하지 않는 재료 이동을 방지하기 위하여, 투입지점(1)의 중간용기에 의하여 형성되는 채널부분(20,21,22)에 바이패스 채널(17)을 포함하고, 이 바이패스 채널은 상기 중간용기의 재료공간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우회하는 가스 매체용 통로를 형성한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바이패스 채널(17)은, 투입지점(1)으로부터 흘러나온 누설공기를 위한 통로가 되도록 적용된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바이패스 채널(17)의 제1단부(16)가 상기 채널부분(20,21,22)의 시작 부분에 배치되고, 바이패스 채널(17)의 제2단부(18)가 상기 채널부분(20,21,22)의 끝단 부분에 배치되며, 상기 채널부분에 의하여 중간용기 내에 형성되는 재료공간의 대부분이 상기 시작 부분과 끝단 부분 사이의 채널부분(20,21,22)의 공간과 부합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바이패스 채널(17)은 중간용기가 비워질 때 대체공기의 일부를 위한 통로가 되도록 적용된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장치는 쓰레기용 공압식 배관 이송시스템의 적어도의 하나의 투입지점(1)의 채널 부분에 장착되고, 상기 공압식 배관 이송시스템은 공급 컨테이너(10)로 개구되며 이어서 공급 컨테이너와 재료이송배관(100) 사이에 배치된 채널 부분(20,21,22)으로 연결되는 투입구멍(2)을 가지는 적어도 하나의 투입지점(1)을 포함하고, 상기 채널 부분은 중간용기로서 기능하며, 상기 채널 부분으로부터 재료가 재료이송배관(100)을 경유하여 공압식 쓰레기 이송시스템의 전달 단부로 이송되고, 상기 전달 단부에서 재료가 반송공기로부터 분리되며, 상기 장치는 부분진공생성기의 흡인측이 연결되어 작용하는 재료이송배관(100)과 연결될 수 있어, 상기 재료가 상기 부분진공생성기에 의해서 발생하는 흡인력과 재료의 다른 쪽, 즉 투입지점 쪽으로부터 작용하는 대체공기의 조합 효과에 의하여 이동된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다수의 투입지점(1,101,102,103,104)이 구비되고, 제1단계에서 재료(w)가 제1 투입지점 및/또는 적어도 하나의 다른 투입지점으로부터 재료의 중간용기를 형성하는 각 투입지점의 채널 부분(20(Ⅰ),21(Ⅰ),22(Ⅰ)...20(Ⅳ),21(Ⅳ),22(Ⅳ))으로 주로 중력에 의하여 공급되며, 제2단계에서 투입지점 중 하나의 투입지점으로부터 이송된 재료가 흡인력과 대체공기의 조합 효과에 의하여 상기 채널 부분(20(Ⅰ),21(Ⅰ),22(Ⅰ)...20(Ⅳ),21(Ⅳ),22(Ⅳ))으로부터 재료이송배관(100)으로 이송되고 이어서 공압식 재료이송시스템의 재료 전달 단부 쪽으로 이송되고, 또한 다른 투입지점들의 대체공기용 통로(60)는 닫힌 채 유지되며, 상기 채널 부분(20(Ⅰ),21(Ⅰ),22(Ⅰ)...20(Ⅳ),21(Ⅳ),22(Ⅳ))에서의 압력 차이에 의하여 발생하는 부피 변화 및/또는 누설공기 효과가 각 투입지점의 바이패스 채널(17)에 의하여 보상된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장치는 투입지점과 재료(w) 사이의 채널 부분(20,21,22)으로 조절된 방식으로 대체공기를 도입하기 위한 대체공기 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수단은 대체공기용 통로를 개폐한다.
한 실시예의 장치에 따르면, 상기 장치는 투입지점(1)과 재료이송배관(100) 사이에 배치된 채널 부분(20,21,22)을 포함하고, 상기 채널 부분은 주로 수평의 채널 부분과 같은 수직방향으로부터 벗어난 채널 부분을 포함하고 이 수평의 채널 부분은 중간용기로서 기능한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바이패스 채널(17)의 유로 구멍은, 공압식 재료 이송시스템의 부분진공생성기의 흡인력이 작용하는 상기 채널 부분(20,21,22)의 유로 횡단면적보다 작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바이패스 채널(7)의 횡단면 면적은 재료이송배관의 횡단면 면적의 약 10~25%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대상은 또한 쓰레기 이송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상술한 특징의 어느 하나 또는 청구항 제11항 내지 제20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장치를 포함하는 쓰레기 이송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통상 상기 재료는 주머니에 들어있는 쓰레기 재료와 같은 쓰레기 재료이다. 투입지점과 중간용기는 공압식 쓰레기 이송시스템의 일부이거나 별개의 부분일 수 있고, 이 시스템에서 쓰레기 재료는 쓰레기 방, 쓰레기 용기 또는 그에 상응하는 곳으로 이동된다.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이하에 첨부된 청구범위의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다는 것은 당해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자명하다. 다른 특징들과 결합된 발명의 상세한 설명 내에 개시된 특징들은, 필요하다면 서로 별개로 사용될 수 있다.

Claims (21)

  1. 공압식 배관 재료 수집시스템의 투입지점의 중간용기의 압력 차이에 의하여 발생되는 부피 변화의 보상(compensating)방법 및/또는 중간용기로부터의 원하지 않는 재료 이송을 방지하기 위한 방법에 있어서,
    투입지점(1)의 중간용기에 의하여 형성되는 채널부분(20,21,22)에 바이패스 채널(17)을 배치하여, 재료(w)의 다른 측 상에 작용하는 크기가 다른 압력의 압력 차이로부터 발생하는 부피 변화를 보상 및/또는 채널부(20,21,22)로부터 재료이송배관(100) 내로의 원하지 않는 재료 이동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투입지점(1)으로부터 흘러나온 발생 가능한 누설공기가 상기 바이패스 채널(17)로 주로 흐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바이패스 채널(17)은 상기 중간용기 내로 공급된 적어도 대부분의 재료(w) 축적물을 우회하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바이패스 채널(17)의 제1단부(16)가 상기 채널부분(20,21,22)의 시작 부분에 배치되고, 바이패스 채널(17)의 제2단부(18)가 상기 채널의 끝단 부분에 배치되며, 상기 채널부분에 의해 형성되는 중간용기 내의 대부분의 재료(w)가 상기 시작 부분과 끝단 부분 사이의 채널부분(20,21,22)의 공간 내에 위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쓰레기 재료 또는 재활용 가능한 재료를 공압식 배관 재료이송시스템의 적어도 2개의 투입지점(1)의 투입구멍(2)으로부터 공급 컨테이너(feed-in container:10) 내로 공급하고 이어서 상기 공급 컨테이너와 재료이송배관(100) 사이에 있는 채널 부분(20,21,22)으로 이송하고, 상기 채널 부분은 중간용기로서 기능하며, 재료의 공압식 배관 수집시스템의 부분진공생성기에 의하여 발생되어 재료이송배관(100) 방향으로부터 재료에 작용하는 흡인력과, 대체공기 통로를 개방함으로써 주위 공기 압력의 효과에 의하여 투입지점의 방향으로부터 작용하는 대체공기의 조합효과에 의하여 상기 중간채널로부터 재료(w)가 상기 재료이송배관(100)으로 이송되고, 이어서 반송공기를 따라 상기 재료이송배관(100)을 통하여 공압식 재료이송시스템의 전달 단부로 재료가 이송되고, 이 전달 단부에서 재료가 반송공기로부터 분리되는 방법에 있어서,
    흡인력이 상기 재료이송배관(100)을 통하여 상기 투입지점의 채널 부분(20,21,22)에 작용하고, 상기 채널 부분은 중간용기로서 기능하며, 상기 투입지점의 투입구멍(2)과, 투입지점 방향으로부터 채널 부분(20,21,22)으로의 대체공기용 통로(60)는 필수적으로 닫혀져 유지되고, 공급된 재료(w)는 상기 채널 부분(20,21,22)의 중간용기 내에 유지되며, 재료(w)의 다른 측 상에 작용하는 크기가 다른 압력의 압력 차이로부터 발생하는 부피 변화를 보상하기 위하여 및/또는 채널부(20,21,22)로부터 재료이송배관(100)으로의 원하지 않는 재료 이동을 방지하기 위하여, 투입지점(1)의 채널 부분(20,21,22)에 바이패스 채널(17)을 배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투입지점의 방향으로부터 중간용기로의 대체공기의 통행을 허용함에 의하여 또한 상기 재료이송배관 방향으로부터의 흡인을 유지함에 의하여, 적어도 하나의 다른 투입지점(1)의 중간용기가 동시에 비워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투입지점의 채널 부분(20,21,22)의 중간용기를 비울 때, 상기 대체공기의 일부가 상기 바이패스 채널(17) 내를 흐르도록 유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재료이송단계에 있어서, 상기 대체공기의 도입이 예컨대 대체공기 밸브(60)에 의하여 일정시간 동안 허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9.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적어도 재료 이동을 원하지 않을 때, 투입지점에서 발생할 수 있는 누설공기가 바이패스 채널(17)로 유도되며, 상기 바이패스 채널의 유로 구멍은 공압식 재료이송시스템의 부분진공생성기의 흡인력이 작용하는 상기 채널 부분(20,21,22)의 유로 횡단면 면적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0.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다수의 투입지점(1,101,102,103,104)이 구비되고, 제1단계에서 재료(w)가 제1 투입지점 및/또는 적어도 하나의 다른 투입지점으로부터 재료의 중간용기를 형성하는 각 투입지점의 채널 부분(20(Ⅰ),21(Ⅰ),22(Ⅰ)...20(Ⅳ),21(Ⅳ),22(Ⅳ))으로 주로 중력에 의하여 공급되며, 제2단계에서 투입지점 중 하나의 투입지점으로부터 이송된 재료가 흡인력과 대체공기의 조합 효과에 의하여 상기 채널 부분(20(Ⅰ),21(Ⅰ),22(Ⅰ)...20(Ⅳ),21(Ⅳ),22(Ⅳ))으로부터 재료이송배관(100)으로 이송되고 이어서 공압식 재료이송시스템의 재료 전달 단부 쪽으로 이송되고, 또한 다른 투입지점들의 대체공기용 통로(60)는 닫힌 채 유지되며, 상기 채널 부분(20(Ⅰ),21(Ⅰ),22(Ⅰ)...20(Ⅳ),21(Ⅳ),22(Ⅳ))에서의 압력 차이에 의하여 발생하는 부피 변화 및/또는 누설공기 효과가 각 투입지점의 바이패스 채널(17)에 의하여 보상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1. 공압식 배관 재료수집시스템의 투입지점(1)의 재료 채널(20,21,22)인 중간용기의 압력 차이에 의하여 발생되는 부피 변화의 보상장치 및/또는 중간용기로부터의 원하지 않는 재료 이송을 방지하기 위한 장치에 있어서,
    재료(w)의 다른 측 상에 작용하는 크기가 다른 압력의 압력 차이로부터 발생하는 부피 변화를 보상하기 위하여 및/또는 채널부(20,21,22)로부터 재료이송배관(100)으로의 원하지 않는 재료 이동을 방지하기 위하여, 투입지점(1)의 중간용기에 의하여 형성되는 채널부분(20,21,22)에 바이패스 채널(17)을 포함하고, 이 바이패스 채널은 상기 중간용기의 재료공간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우회하는 가스 매체용 통로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바이패스 채널(17)은, 투입지점(1)으로부터 흘러나온 누설공기를 위한 통로가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3. 제11항 또는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바이패스 채널(17)의 제1단부(16)가 상기 채널부분(20,21,22)의 시작 부분에 배치되고, 바이패스 채널(17)의 제2단부(18)가 상기 채널부분(20,21,22)의 끝단 부분에 배치되며, 상기 채널부분에 의하여 중간용기 내에 형성되는 재료공간의 대부분이 상기 시작 부분과 끝단 부분 사이의 채널부분(20,21,22)의 공간과 부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4. 제11항 내지 제1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바이패스 채널(17)은 중간용기가 비워질 때 대체공기의 일부를 위한 통로가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5. 제11항 내지 제1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는 쓰레기용 공압식 배관 이송시스템의 적어도의 하나의 투입지점(1)의 채널 부분에 장착되고, 상기 공압식 배관 이송시스템은 공급 컨테이너(10)로 개구되며 이어서 공급 컨테이너와 재료이송배관(100) 사이에 배치된 채널 부분(20,21,22)으로 연결되는 투입구멍(2)을 가지는 적어도 하나의 투입지점(1)을 포함하고, 상기 채널 부분은 중간용기로서 기능하며, 상기 채널 부분으로부터 재료가 재료이송배관(100)을 경유하여 공압식 쓰레기 이송시스템의 전달 단부로 이송되고, 상기 전달 단부에서 재료가 반송공기로부터 분리되며, 상기 장치는 부분진공생성기의 흡인측이 연결되어 작용하는 재료이송배관(100)과 연결될 수 있어, 상기 재료가 상기 부분진공생성기에 의해서 발생하는 흡인력과 재료의 다른 쪽, 즉 투입지점 쪽으로부터 작용하는 대체공기의 조합 효과에 의하여 이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6. 제11항 내지 제1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다수의 투입지점(1,101,102,103,104)이 구비되고, 제1단계에서 재료(w)가 제1 투입지점 및/또는 적어도 하나의 다른 투입지점으로부터 재료의 중간용기를 형성하는 각 투입지점의 채널 부분(20(Ⅰ),21(Ⅰ),22(Ⅰ)...20(Ⅳ),21(Ⅳ),22(Ⅳ))으로 주로 중력에 의하여 공급되며, 제2단계에서 투입지점 중 하나의 투입지점으로부터 이송된 재료가 흡인력과 대체공기의 조합 효과에 의하여 상기 채널 부분(20(Ⅰ),21(Ⅰ),22(Ⅰ)...20(Ⅳ),21(Ⅳ),22(Ⅳ))으로부터 재료이송배관(100) 내로 이송되고 이어서 공압식 재료이송시스템의 재료 전달 단부 쪽으로 이송되고, 또한 다른 투입지점들의 대체공기용 통로(60)는 닫힌 채 유지되며, 상기 채널 부분(20(Ⅰ),21(Ⅰ),22(Ⅰ)...20(Ⅳ),21(Ⅳ),22(Ⅳ))에서의 압력 차이에 의하여 발생하는 부피 변화 및/또는 누설공기 효과가 각 투입지점의 바이패스 채널(17)에 의하여 보상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7. 제11항 내지 제1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투입지점과 재료(w) 사이의 채널 부분(20,21,22)으로 조절된 방식으로 대체공기를 도입하기 위한 대체공기 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수단은 대체공기용 통로를 개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8. 제11항 내지 제1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투입지점(1)과 재료이송배관(100) 사이에 배치된 채널 부분(20,21,22)을 포함하고, 상기 채널 부분은 주로 수평의 채널 부분과 같은 수직방향으로부터 벗어난 채널 부분을 포함하고 이 수평의 채널 부분은 중간용기로서 기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9. 제11항 내지 제1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바이패스 채널(17)의 유로 구멍은, 공압식 재료 이송시스템의 부분진공생성기의 흡인력이 작용하는 상기 채널 부분(20,21,22)의 유로 횡단면적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20. 제11항 내지 제1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바이패스 채널(7)의 횡단면 면적은 쓰레기 배관과 같은 재료이송배관의 횡단면 면적의 약 10~25%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21. 제11항 내지 제20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장치를 포함하는 쓰레기 이송시스템.
KR1020177028000A 2015-03-09 2016-03-08 재료를 위한 공압식 배관 이송시스템에서의 방법 및 장치, 및 쓰레기용 이송시스템 KR10253159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FI20155152A FI126379B (fi) 2015-03-09 2015-03-09 Menetelmä ja laitteisto materiaalin pneumaattisessa putkikuljetusjärjestelmässä ja jätteidensiirtojärjestelmä
FI20155152 2015-03-09
PCT/FI2016/050137 WO2016142581A1 (en) 2015-03-09 2016-03-08 Method and apparatus in a pneumatic pipe transport system for material, and a conveying system for waste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27510A true KR20170127510A (ko) 2017-11-21
KR102531597B1 KR102531597B1 (ko) 2023-05-10

Family

ID=568792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7028000A KR102531597B1 (ko) 2015-03-09 2016-03-08 재료를 위한 공압식 배관 이송시스템에서의 방법 및 장치, 및 쓰레기용 이송시스템

Country Status (12)

Country Link
US (1) US10625936B2 (ko)
EP (1) EP3268295A4 (ko)
JP (2) JP7093634B2 (ko)
KR (1) KR102531597B1 (ko)
CN (1) CN107406193B (ko)
AU (1) AU2016231019B2 (ko)
CA (1) CA2978512A1 (ko)
DK (1) DK3268295T1 (ko)
FI (1) FI126379B (ko)
RU (1) RU2695453C2 (ko)
SG (1) SG11201706591QA (ko)
WO (1) WO201614258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I127098B (fi) * 2016-01-07 2017-11-15 Maricap Oy Menetelmä, laitteisto ja järjestelmä jätemateriaalin käsittelemiseksi
EP3939910B1 (en) * 2020-07-14 2022-09-07 Urban Refuse Development, Slu Package collection device through at least one retractable hollow column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3158180U (ko) * 1977-05-18 1978-12-12
JPS55113302U (ko) * 1979-02-01 1980-08-09
KR100661149B1 (ko) * 1999-02-05 2006-12-26 센트랄서그 악티에볼라그 쓰레기 이송 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2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1199917A (en) * 1966-07-29 1970-07-22 Centralsug Ab Conveyance of Material Requiring Hygienic Disposal
SE380231B (sv) * 1973-03-27 1975-11-03 Svenska Flaektfabriken Ab Anordning vid anleggningar for pneumatisk transport av paketerat avfall
JPS5338173A (en) * 1976-09-18 1978-04-07 Ishikawajima Harima Heavy Ind Co Ltd Waste post for equipment of vacuum collecting and transporting city waste
JPS53139369A (en) 1977-05-11 1978-12-05 Ishikawajima Harima Heavy Ind Co Ltd Device for transporting pipe line for waste or the like
JPS5715848Y2 (ko) * 1977-11-16 1982-04-02
DE3779917T2 (de) * 1986-12-22 1992-12-10 Shimizu Construction Co Ltd Verfahren und vorrichtung zum sammeln von muell.
US4995765A (en) * 1986-12-22 1991-02-26 Shimizu Construction Co., Ltd. Method of collecting wastes and system therefor
TW223613B (ko) * 1992-11-05 1994-05-11 Shinmaywa Ind Ltd
JP2669767B2 (ja) * 1992-11-05 1997-10-29 新明和工業株式会社 ゴミ吸引輸送装置
JPH11278660A (ja) 1998-03-27 1999-10-12 Mitsubishi Heavy Ind Ltd 粉体の空気輸送装置
FI20085143L (fi) 2007-12-21 2009-06-22 Maricap Oy Menetelmä ja laitteisto pneumaattisessa materiaalinsiirtojärjestelmässä
FI124408B (fi) 2007-12-21 2014-08-15 Maricap Oy Menetelmä ja laitteisto pneumaattisessa materiaalinsiirtojärjestelmässä
FI20085146L (fi) 2007-12-21 2009-06-22 Maricap Oy Menetelmä ja laitteisto pneumaattisessa materiaalinsiirtojärjestelmässä
US20100296880A1 (en) 2007-12-21 2010-11-25 Sundholm Goeran Pneumatic material conveying system
FI124507B (fi) 2007-12-21 2014-09-30 Maricap Oy Menetelmä pneumaattisessa materiaalinsiirtojärjestelmässä ja pneumaattinen materiaalinsiirtojärjestelmä
FI20085149L (fi) 2007-12-21 2009-06-22 Maricap Oy Menetelmä ja laitteisto pneumaattisessa materiaalinsiirtojärjestelmässä
FI20085145L (fi) 2007-12-21 2009-06-22 Maricap Oy Menetelmä ja laitteisto pneumaattisessa materiaalinsiirtojärjestelmässä
FI123765B (fi) 2007-12-21 2013-10-31 Maricap Oy Menetelmä pneumattisessa materiaalinsiirtojärjestelmässä ja pneumaattinen materiaalinsiirtojärjestelmä
FI123782B (fi) 2007-12-21 2013-10-31 Maricap Oy Menetelmä ja laitteisto pneumaattisessa materiaalinsiirtojärjestelmässä
FI124910B (fi) * 2008-04-22 2015-03-31 Maricap Oy Menetelmä pneumaattisen jätteensiirtojärjestelmän syöttösäiliön säiliötilan tyhjentämiseksi ja pneumaattisen jätteidensiirtojärjestelmän syöttösäiliö
JP5479780B2 (ja) 2009-05-29 2014-04-23 スリーエム イノベイティブ プロパティズ カンパニー 除電装置及び静電気除去システム
FI122103B (fi) 2010-03-12 2011-08-31 Maricap Oy Menetelmä ja laitteisto pneumaattisessa materiaalinsiirtojärjestelmässä ja jätteensiirtojärjestelmä
FI126930B (fi) * 2012-05-07 2017-08-15 Maricap Oy Menetelmä ja laitteisto materiaalin käsittelemiseksi pneumaattisessa materiaalinkäsittelyjärjestelmässä
EP2875883B1 (en) 2012-07-19 2017-08-16 Nof Corporation Method for producing silver nanoparticles and silver nanoparticle dispersion liquid
FI124837B (fi) * 2013-07-30 2015-02-13 Maricap Oy Menetelmä ja laitteisto jätemateriaalin syöttämiseksi ja käsittelemiseksi
FI125194B (fi) 2013-07-30 2015-06-30 Maricap Oy Menetelmä ja laitteisto jätemateriaalin syöttämiseksi ja käsittelemiseksi
WO2015140403A1 (en) 2014-03-17 2015-09-24 Maricap Oy Method and apparatus for feeding in and conveying material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3158180U (ko) * 1977-05-18 1978-12-12
JPS55113302U (ko) * 1979-02-01 1980-08-09
KR100661149B1 (ko) * 1999-02-05 2006-12-26 센트랄서그 악티에볼라그 쓰레기 이송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RU2017131067A3 (ko) 2019-05-28
CN107406193A (zh) 2017-11-28
JP7093634B2 (ja) 2022-06-30
DK3268295T1 (da) 2018-05-07
FI20155152A (fi) 2016-09-10
FI126379B (fi) 2016-10-31
WO2016142581A1 (en) 2016-09-15
JP2018510827A (ja) 2018-04-19
EP3268295A1 (en) 2018-01-17
CA2978512A1 (en) 2016-09-15
KR102531597B1 (ko) 2023-05-10
SG11201706591QA (en) 2017-09-28
EP3268295A4 (en) 2018-11-14
US10625936B2 (en) 2020-04-21
JP2021035886A (ja) 2021-03-04
AU2016231019B2 (en) 2020-05-14
AU2016231019A1 (en) 2017-09-21
CN107406193B (zh) 2021-06-15
RU2695453C2 (ru) 2019-07-23
RU2017131067A (ru) 2019-04-09
US20180237219A1 (en) 2018-08-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97303B1 (ko) 공압식 재료 이송시스템을 위한 분리기구 및 방법
FI124910B (fi) Menetelmä pneumaattisen jätteensiirtojärjestelmän syöttösäiliön säiliötilan tyhjentämiseksi ja pneumaattisen jätteidensiirtojärjestelmän syöttösäiliö
RU2654870C2 (ru) Способ и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подачи и обращения с отходами
KR102242807B1 (ko) 폐기물을 공급 및 취급하기 위한 방법과 장치
KR102531597B1 (ko) 재료를 위한 공압식 배관 이송시스템에서의 방법 및 장치, 및 쓰레기용 이송시스템
US11498756B2 (en) Method for handling material in a material conveying system, a separating device arrangement and a material conveying system
RU2662286C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манипулирования материалом и контейнер для отходов/разделяющее устройство
RU2668098C2 (ru) Способ подачи материала в системе транспортировки материала, пункт ввода системы транспортировки материала и система транспортировки материала
US20150274419A1 (en) Method for handling material in a material conveying system, input point of a material conveying system, and a material conveying system
JP2018510827A5 (ko)
FI20197011A1 (fi) Menetelmä ja laitteisto materiaalin syöttämiseksi ja siirtämiseksi
RU2795595C2 (ru) Способ перемещения материала в системе транспортировки материала, блок разделительных устройств и система транспортировки материала
FI126185B (fi) Menetelmä materiaalin käsittelemiseksi materiaalinsiirtojärjestelmässä, materiaalinsiirtojärjestelmä ja materiaalinsiirtojärjestelmän erotinlaite
CN105745163A (zh) 用于投放和处理材料的方法、输入点和废物传送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