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120673A - 엘리베이터의 조작반 - Google Patents

엘리베이터의 조작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120673A
KR20170120673A KR1020177027057A KR20177027057A KR20170120673A KR 20170120673 A KR20170120673 A KR 20170120673A KR 1020177027057 A KR1020177027057 A KR 1020177027057A KR 20177027057 A KR20177027057 A KR 20177027057A KR 20170120673 A KR20170120673 A KR 2017012067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lding
front plate
screw member
vertical
vertical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702705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09100B1 (ko
Inventor
히로시 오쿠다
Original Assignee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7012067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2067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0910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0910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00Control systems of elevators in general
    • B66B1/34Details, e.g. call counting devices, data transmission from car to control system, devices giving information to the control system
    • B66B1/46Adaptations of switches or switchgear
    • B66B1/461Adaptations of switches or switchgear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or profile
    • B66B1/466Adaptations of switches or switchgear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or profile facilitating maintenance, installation, removal, replacement or repai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00Control systems of elevators in general
    • B66B1/34Details, e.g. call counting devices, data transmission from car to control system, devices giving information to the control system
    • B66B1/3469Details, e.g. call counting devices, data transmission from car to control system, devices giving information to the control system mechanic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00Control systems of elevators in general
    • B66B1/34Details, e.g. call counting devices, data transmission from car to control system, devices giving information to the control system
    • B66B1/46Adaptations of switches or switchgear
    • B66B1/461Adaptations of switches or switchgear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or profi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2201/00Aspects of control systems of elevator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BOARDS,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FOR THE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1/00Frameworks, boards, panels, desks, casings; Details of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 H02B1/015Boards, panels, desks; Part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 H02B1/06Boards, panels, desks; Part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having associated enclosures, e.g. for preventing access to live part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5/00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 H05K5/02Detai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age And Drive Apparatuses For Elevators (AREA)
  • Elevator Control (AREA)

Abstract

엘리베이터의 조작반에서, 케이스(5)의 표측 부분(12)은, 프레임체(14)와 정면판(15~17)을 가지고 있다. 프레임체(14)는, 제1 세로 프레임(18)과 제2 세로 프레임(19)을 가지고 있다. 제1 세로 프레임(18)과 제2 세로 프레임(19)과의 사이에는, 고정 부재(21~24)가 걸쳐 마련되어 있다. 고정 부재(21~24)에는, 정면판(15~17)을 프레임체(14)에 유지하기 위한 유지 부재(27~30)가 고정되어 있다. 유지 부재(27~30)는, 정면판(15~17)의 전면의 상하 방향 단부에 겹쳐져 있는 유지부(27a, 28a)와, 유지부(27a, 28a)로부터 후방으로 돌출되고, 고정 부재(21~24)에 나사 고정되어 있는 체결부(27c, 28c)를 가지고 있다.

Description

엘리베이터의 조작반
본 발명은, 예를 들면, 엘리베이터 칸 실 내에 마련되어 있는 엘리베이터 칸 조작반(操作盤), 또는 승강장에 마련되어 있는 승강장 조작반 등의 엘리베이터의 조작반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엘리베이터의 엘리베이터 칸 조작반에서는, 복수개의 스터드(stud) 나사가 화장판(化粧板)의 이면(裏面)에 용접되어 있다. 화장판으로서는, 스터드 용접에 의한 표면 영향을 받지 않는 두께 3mm인 판재가 이용되고 있다(예를 들면, 특허 문헌 1 참조).
또, 종래의 엘리베이터의 승강장 조작반에서는, 표판(表板)의 상하 단부가, 승강장 벽측으로 직각으로 절곡되어 있고, 승강장 벽에 고정된 장착판에 나사 고정되어 있다(예를 들면, 특허 문헌 2 참조).
특허 문헌 1 : 일본특허공개 평6-16348호 공보 특허 문헌 2 : 일본특허공개 평9-315711호 공보
특허 문헌 1에 나타내어진 종래의 엘리베이터 칸 조작반에서는, 용접 흔적이 표면에 생기는 것을 피하기 위해서 화장판의 판 두께를 크게 할 필요가 있었다.
특허 문헌 2에 나타내어진 종래의 승강장 조작반에서는, 외부로 노출하고 있는 의장재인 표판에 휨 등의 가공이 필요하고, 또, 표판의 강도 확보를 위해서, 표판의 판 두께를 크게 하거나, 다른 보강 부재를 추가할 필요가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이루어진 것이며, 정면판에 용접 흔적이 생기는 것을 방지하면서, 정면판의 판 두께를 작게 할 수 있는 엘리베이터의 조작반을 얻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관한 엘리베이터의 조작반은, 이측(裏側) 부분과, 이측 부분에 결합되어 있는 표측(表側) 부분을 가지고 있는 케이스를 구비하며, 표측 부분은, 프레임체와, 프레임체의 이측 부분과는 반대측에 배치되어 있는 정면판(正面板)을 가지고 있고, 프레임체는, 폭방향의 일측에 배치되어 있는 제1 세로 프레임과, 폭방향의 타측에 배치되어 있는 제2 세로 프레임을 가지고 있고, 제1 세로 프레임과 제2 세로 프레임과의 사이에는, 고정 부재가 걸쳐 마련되어 있고, 고정 부재에는, 정면판을 프레임체에 유지하기 위한 유지 부재가 고정되어 있으며, 유지 부재는, 정면판의 전면(前面)의 상하 방향 단부에 겹쳐져 있는 유지부와, 유지부로부터 후방으로 돌출되고, 고정 부재에 나사 고정되어 있는 체결부를 가지고 있다.
또, 본 발명에 관한 엘리베이터의 조작반은, 이측 부분과, 이측 부분에 결합되어 있는 표측 부분을 가지고 있는 케이스, 및 케이스 내에 마련되어 있는 조작반 기기를 구비하며, 표측 부분은, 프레임체와, 프레임체의 이측 부분과는 반대측에 배치되어 있는 정면판을 가지고 있고, 프레임체는, 폭방향의 일측에 배치되어 있는 제1 세로 프레임과, 폭방향의 타측에 배치되어 있는 제2 세로 프레임을 가지고 있고, 제1 세로 프레임과 제2 세로 프레임과의 사이에는, 고정 부재가 걸쳐 마련되어 있고, 조작반 기기는, 고정 부재에 장착되어 있고, 제1 및 제2 세로 프레임에는, 나사 부재 유지홈이 각각 마련되어 있고, 나사 부재 유지홈에는, 제1 나사 부재가 각각 유지되어 있고, 제1 나사 부재에는, 제2 나사 부재를 각각 단단히 조여져 있으며, 이것에 의해 고정 부재가 제1 및 제2 세로 프레임에 고정되어 있다.
본 발명의 엘리베이터의 조작반은, 정면판에 용접 흔적이 생기는 것을 방지하면서, 정면판의 판 두께를 작게 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에 의한 엘리베이터의 엘리베이터 칸 조작반의 설치 상태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엘리베이터 칸 조작반을 확대하여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3은 도 2의 케이스를 개방한 상태를 나타내는 개략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의 표측 부분의 일부를 확대하여 나타내는 배면도이다.
도 5는 도 4의 V-V선을 따르는 단면도이다.
도 6은 도 4의 VI-VI선을 따르는 단면도이다.
도 7은 도 5의 제2 유지 부재의 요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2에 의한 엘리베이터의 조작반의 표측 부분의 요부를 나타내는 배면도이다.
도 9는 도 8의 IX-IX선을 따르는 단면도이다.
도 10은 도 6의 양면 테이프를 생략한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1은 도 6의 세로 프레임의 변형예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2는 도 7의 유지 부재의 제1 변형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3은 도 7의 유지 부재의 제2 변형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형태에 대해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실시 형태 1.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에 의한 엘리베이터의 엘리베이터 칸 조작반(操作盤)의 설치 상태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면에서, 엘리베이터 칸 실의 전면(前面)에는, 엘리베이터 칸 출입구(1)를 개폐하는 한 쌍의 엘리베이터 칸 도어(2a, 2b)가 마련되어 있다. 엘리베이터 칸 출입구(1)의 양측에는, 한 쌍의 돌출벽(3a, 3b)이 마련되어 있다. 돌출벽(3a)에는, 엘리베이터 칸 조작반(4)이 고정되어 있다.
도 2는 도 1의 엘리베이터 칸 조작반(4)를 확대하여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엘리베이터 칸 조작반(4)은, 케이스(5)와, 케이스(5) 내에 조립된 복수의 조작반 기기를 가지고 있다. 조작반 기기에는, 인디케이터(indicator, 6), 엘리베이터 칸 조작 버튼 장치(7), 및 제어 박스(도시하지 않음) 등이 포함되어 있다. 인디케이터 (6)로서는, 예를 들면 LED 인디케이터가 이용되고 있다. 엘리베이터 칸 조작 버튼 장치(7)에는, 엘리베이터 칸 실 내로부터 조작되는 복수의 행선지층 지정 버튼이 마련되어 있다.
케이스(5)는, 폭치수(도 2의 좌우 방향의 치수) 보다도 높이 치수(도 2의 상하 방향의 치수)가 크고, 두께 치수(도 3의 좌우 방향의 치수)가 폭치수 보다도 작은 세로로 긴 박형(薄型)의 외형을 가지고 있다.
도 3은 도 2의 케이스(5)를 개방한 상태를 나타내는 개략의 사시도이며, 도 3에서는 조작반 기기를 생략하고 있다. 케이스(5)는, 돌출벽(3a)에 고정된 이측(裏側) 부분(11)과, 이측 부분(11)에 결합되어 있는 표측(表側) 부분(12)을 가지고 있다. 표측 부분(12)은, 폭방향의 일측에서, 복수의 힌지(13)를 매개로 하여 이측 부분(11)에 회전 가능하게 접속되어 있다.
도 4는 도 3의 표측 부분(12)의 일부를 확대하여 나타내는 배면도, 도 5는 도 4의 V-V선을 따르는 단면도, 도 6은 도 4의 VI-VI선을 따르는 단면도이다. 표측 부분(12)은, 프레임체(14)와, 프레임체(14)의 이측 부분(11)과는 반대측에 배치되어 있는 제1 내지 제3 정면판(15, 16, 17)을 가지고 있다. 제2 정면판(16)은, 제1 정면판(15)의 하측에 배치되어 있다. 제3 정면판(17)은,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2 정면판(16)의 하측에 배치되어 있다.
제1 내지 제3 정면판(15, 16, 17)의 정면 형상은, 모두 장방형(長方形)이다. 제1 및 제3 정면판(15, 17)으로서는, 금속제의 평판이 이용되고 있다. 제2 정면판(16)으로서는, 광을 투과하는 수지제의 평판이 이용되고 있다.
프레임체(14)는, 표측 부분(12)의 폭방향의 일측에 배치되어 있는 금속제의 제1 세로 프레임(18)과, 표측 부분(12)의 폭방향의 타측에 배치되어 있는 금속제의 제2 세로 프레임(19)을 가지고 있다. 제1 및 제2 세로 프레임(18, 19)은, 서로 평행하게 배치되어 있다. 도 6에서는, 제2 세로 프레임(19)의 수평 단면 형상을 나타내고 있지만, 이것에 대해서 제1 세로 프레임(18)의 수평 단면 형상은 좌우 대칭이다.
제1 및 제2 세로 프레임(18, 19)에는, 나사 부재 유지홈(20)이 각각 마련되어 있다. 나사 부재 유지홈(20)은, 제1 및 제2 세로 프레임(18, 19)가 길이 방향, 즉 상하 방향을 따라서 연속하여 마련되어 있다.
또, 나사 부재 유지홈(20)은,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이측 부분(11)에 대향하는 개구부(20a)와, 개구부(20a)의 이측 부분(11)과는 반대측에 위치하는 안쪽부(20b)를 가지고 있다. 개구부(20a)의 폭치수(도 6의 좌우 방향의 치수)는, 안쪽부(20b)의 폭치수 보다도 작다.
제1 세로 프레임(18)과 제2 세로 프레임(19)과의 사이에는, 제1 내지 제4 고정 부재(21, 22, 23, 24)가 걸쳐 마련되어 있다. 제1 내지 제4 고정 부재(21, 22, 23, 24)는, 단면 L자형의 금속제의 부재이다. 또, 제1 내지 제4 고정 부재(21, 22, 23, 24)는, 서로 평행, 또한 수평, 즉 제1 및 제2 세로 프레임(18, 19)에 대해서 직각으로 배치되어 있다. 고정 부재(21, 22, 23, 24)에는, 조작반 기기가 장착되어 있다.
제1 고정 부재(21)는, 제1 및 제2 세로 프레임(18, 19)의 상단부 사이에 걸쳐 마련되어 있다. 제2 고정 부재(22)는, 제1 고정 부재(21)의 하부에 배치되어 있다. 제3 고정 부재(23)는,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2 고정 부재(22)의 하부에 배치되어 있다. 제4 고정 부재(24)는, 제1 및 제2 세로 프레임(18, 19)의 하단부 사이에 걸쳐 마련되어 있다.
나사 부재 유지홈(20)에는, 제1 나사 부재로서의 복수의 육각 볼트(25)가 각각 유지되어 있다. 각 육각 볼트(25)의 머리부는, 안쪽부(20b)에 수용되어 있다. 또, 각 육각 볼트(25)의 나사부는, 개구부(20a)를 통과하여 나사 부재 유지홈(20) 밖으로 돌출되고, 대응하는 고정 부재(21, 22, 23 또는 24)의 단부를 관통하고 있다.
육각 볼트(25)에는, 제2 나사 부재로서의 너트(26)가 각각 단단히 조여져 있다. 이것에 의해, 제1 내지 제4 고정 부재(21, 22, 23, 24)는, 제1 및 제2 세로 프레임(18, 19)에 고정되어 있다. 육각 볼트(25)의 축방향으로의 이동 및 회전은, 나사 부재 유지홈(20)의 내벽면에 의해 규제되어 있다. 육각 볼트(25)는, 너트(26)의 육각 볼트(25)로의 조임을 느슨하게 하는 것에 의해, 나사 부재 유지홈(20)을 따라서 상하 방향으로 슬라이드 가능하게 된다.
제1 고정 부재(21)에는, 제1 정면판(15)의 상단부를 프레임체(14)에 유지하기 위한 제1 유지 부재(27)가 고정되어 있다. 제2 고정 부재(22)에는, 제1 정면판(15)의 하단부와 제2 정면판(16)의 상단부를 프레임체(14)에 유지하기 위한 제2 유지 부재(28)가 고정되어 있다.
제3 고정 부재(23)에는, 제2 정면판(16)의 하단부와 제3 정면판(17)의 상단부를 프레임체(14)에 유지하기 위한 제3 유지 부재(29)가 고정되어 있다. 제4 고정 부재(24)에는, 제3 정면판(17)의 하단부를 프레임체(14)에 유지하기 위한 제4 유지 부재(30)가 고정되어 있다.
제1 내지 제4 유지 부재(27, 28, 29, 30)는, 수지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각 유지 부재(27, 28, 29, 30)는, 복수의 장착 나사(31)를 이용하여, 대응하는 고정 부재(21, 22, 23 또는 24)에 표측 부분(12)의 이측으로부터 나사 고정되어 있다.
제1 및 제4 유지 부재(27, 30)의 단면 형상은, L자형이다. 제1 유지 부재(27)는, 프레임체(14)의 상단 캡을 겸하고 있다. 제4 유지 부재(30)는, 제1 유지 부재(27)에 대해서 상하 반대 방향으로 배치되어 있고, 프레임체(14)의 하단 캡을 겸하고 있다.
제1 유지 부재(27)는, 제1 정면판(15)의 전면(이측 부분(11)과는 반대측의 면)의 상단부에 겹쳐져 있는 유지부(27a)와, 유지부(27a)로부터 후방(이측 부분(11)측)으로 직각으로 돌출되며, 제1 고정 부재(21)에 나사 고정되어 있는 체결부(27b)를 가지고 있다. 체결부(27b)에는, 나사 구멍을 가지는 복수의 보스(27c)가 마련되어 있다.
제4 유지 부재(30)의 형상은, 제1 유지 부재(27)의 형상과 동일하다. 즉, 제4 유지 부재(30)는, 제3 정면판(17)의 전면의 하단부에 겹쳐져 있는 유지부와, 유지부로부터 후방으로 직각으로 돌출되고, 제4 고정 부재(24)에 나사 고정되어 있는 체결부를 가지고 있다.
제2 및 제3 유지 부재(28, 29)의 단면 형상은, T자형이다. 제2 유지 부재(28)는, 제1 정면판(15)의 전면의 하단부에 겹쳐져 있는 제1 유지부(28a)와, 제2 정면판(16)의 전면의 상단부에 겹쳐져 있는 제2 유지부(28b)와, 제1 및 제2 유지부(28a, 28b)로부터 후방으로 직각으로 돌출되며, 제2 고정 부재(22)에 나사 고정되어 있는 체결부(28c)를 가지고 있다.
도 7은 도 5의 제2 유지 부재(28)의 요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체결부(28c)에는, 나사 구멍(28d)을 가지는 복수의 보스(28e)가 마련되어 있다.
제3 유지 부재(29)의 형상은, 제2 유지 부재(28)의 형상과 동일하다. 즉, 제3 유지 부재(29)는, 제2 정면판(16)의 전면의 하단부에 겹쳐져 있는 제1 유지부와, 제3 정면판(17)의 전면의 상단부에 겹쳐져 있는 제2 유지부와, 제3 고정 부재(23)에 나사 고정되어 있는 체결부를 가지고 있다.
보스(28e)를 포함하는 제2 체결부(28c)와, 제1 정면판(15)의 하단부 및 제2 정면판(16)의 상단부와의 사이에는,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하 방향의 간극(32)이 마련되어 있다. 이들 간극(32)을 마련하는 것에 의해, 제작 오차 및 열에 의한 팽창 수축을 흡수할 수 있다.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1 및 제2 세로 프레임(18, 19)에는, 정면판(15, 16, 17)의 폭방향으로의 이동을 규제하는 규제 돌기(33)가 마련되어 있다. 또, 제1 및 제2 세로 프레임(18, 19)과 정면판(15, 16, 17)과의 사이에는, 각각 양면 테이프(34)가 개재되어 있다.
이러한 엘리베이터의 조작반(4)에서는, 제1 세로 프레임(18)과 제2 세로 프레임(19)과의 사이에 고정 부재(21, 22, 23, 24)가 걸쳐 마련되어 있고, 고정 부재(21, 22, 23, 24)에 유지 부재(27, 28, 29, 30)가 각각 나사 고정되어 있으며, 유지 부재(27, 28, 29, 30)에 의해 정면판(15, 16, 17)이 각각 프레임체(14)에 유지되므로, 정면판(15, 16, 17)을 고정하기 위한 용접이 불필요하여, 정면판(15, 16, 17)에 용접 흔적이 생기는 것을 방지하면서, 정면판(15, 16, 17)의 판 두께를 작게 할 수 있다(예를 들면, 1mm 이하).
또, 제1 및 제2 세로 프레임의 나사 부재 유지홈에 유지된 제1 나사 부재에 제2 나사 부재를 각각 단단히 조이는 것에 의해, 고정 부재(21, 22, 23, 24)가 제1 및 제2 세로 프레임(18, 19)에 고정되어 있으며, 조작반 기기는 고정 부재(21, 22, 23, 24)에 장착되어 있으므로, 조작반 기기를 장착하기 위한 용접이 불필요하고, 정면판(15, 16, 17)에 용접 흔적이 생기는 것을 방지하면서, 정면판(15, 16, 17)의 판 두께를 작게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정면판(15, 16, 17)의 판 두께를 작게 함으로써, 의장면에 사용하는 스테인리스 강판 등의 금속판의 코스트를 저감할 수 있다. 또, 의장면에 사용하는 정면판(15, 16, 17)에, 금속 또는 수지제의 단판(單板)을 사용할 수 있어, 가공 시간을 단축할 수 있다.
또, 유지 부재(27, 28, 29, 30)에 의해 정면판(15, 16, 17)의 상하의 엣지(edge)를 덮을 수 있다.
게다가, 제2 유지 부재(28)에는, 제1 유지부(28a)와 제2 유지부(28b)가 마련되어 있으므로, 제1 및 제2 정면판(15, 16) 양쪽 모두를 누를 수 있어, 부품수를 줄일 수 있다. 또, 조립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게다가 또, 제1 및 제2 세로 프레임(18, 19)에는 규제 돌기(33)가 마련되어 있으므로, 유지 부재(27, 28, 29, 30)에 의해 정면판(15, 16, 17)을 강하게 밀어 붙이지 않아도, 정면판(15, 16, 17)의 폭방향으로의 어긋남을 방지할 수 있다.
또, 양면 테이프(34)에 의해, 정면판(15, 16, 17)이 제1 및 제2 세로 프레임(18, 19)에 붙여져 있으므로, 유지 부재(27, 28, 29, 30)를 고정 부재(21, 22, 23, 24)에 고정하기 전에 정면판(15, 16, 17)을 가(假)고정할 수 있어, 조립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정면판(15, 16, 17)의 위치 어긋남을 보다 확실히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육각 볼트(25)의 축방향으로의 이동 및 회전이 나사 부재 유지홈(20)에 의해 규제되어 있고, 너트(26)의 육각 볼트(25)로의 조임을 느슨하게 하는 것에 의해, 육각 볼트(25)는 나사 부재 유지홈(20)을 따라서 상하 방향으로 슬라이드 가능하게 되므로, 상하 방향의 중간부에 위치하는 고정 부재(22, 23)의 상하 방향으로의 위치 조정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실시 형태 2.
다음으로,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2에 의한 엘리베이터의 조작반의 표측 부분의 요부를 나타내는 배면도, 도 9는 도 8의 IX-IX선을 따르는 단면도이며, 도 8 및 도 9에서는 조작반 기기를 생략하고 있다. 실시 형태 2의 프레임체(41)는, 제1 및 제2 세로 프레임(18, 19)과, 상부 프레임(42)과, 하부 프레임(도시하지 않음)을 가지고 있다. 상부 프레임(42)은, 제1 및 제2 세로 프레임(18, 19)의 상단부사이에 고정되어 있다. 하부 프레임은, 제1 및 제2 세로 프레임(18, 19)의 하단부사이에 고정되어 있다.
상부 프레임(42)에는, 제1 정면판(15)의 전면의 상단부에 겹쳐져 있는 상부 프레임측 유지부(42a)가 마련되어 있다. 하부 프레임에는, 제3 정면판(17)의 전면의 하단부에 겹쳐져 있는 하부 프레임측 유지부가 마련되어 있다. 다른 구성은, 실시 형태 1과 동일하다.
이러한 프레임체(41)을 이용한 경우에서도, 실시 형태 1과 동일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 상기의 예에서는, 제1 나사 부재로서 육각 볼트(25)를 이용하고, 제2 나사 부재로서 너트(26)를 이용했지만, 제1 나사 부재로서 너트를 이용하고, 제2 나사 부재로서 볼트를 이용해도 괜찮다.
또, 조작반 기기는, 유지 부재가 고정되어 있는 고정 부재에 장착해도 괜찮고, 유지 부재가 고정되어 있는 고정 부재와는 다른 고정 부재에 장착해도 괜찮다.
또한, 정면판, 고정 부재 및 유지 부재 등의 수 및 재료는, 상기의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게다가 또, 상기의 예에서는, 이측 부분(11)과 표측 부분(12)을 힌지(13)에 의해 접속했지만, 표측 부분의 이측 부분으로의 조립 구조는 특별히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예를 들면, 표측 부분을 이측 부분에 나사 고정하는 구조라도 좋다.
또, 상기의 예에서는, 세로 프레임(18, 19)과 정면판(15, 16, 17)과의 사이에 양면 테이프(34)를 개재시켰지만, 도 1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양면 테이프를 개재시키지 않아도 좋다.
또한, 유지 부재에 의해 정면판을 강고하게 밀어 붙일 수 있으면, 규제 돌기(33)은 생략해도 괜찮다.
게다가 또, 도 1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규제 돌기(33)의 선단으로부터 케이스(5)의 폭방향 내측으로 돌출된 유지 돌기(35)를 마련해도 좋다. 이것에 의해, 정면판을 보다 확실히 프레임체에 유지할 수 있다.
또, 유지 부재의 강도를 충분히 확보할 수 있으면, 예를 들면 도 1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1개 또는 2개 이상의 보스(27c)만에 의해 체결부(28c)를 구성해도 괜찮다. 반대로, 도 1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보스를 마련하지 않고, 체결부(28c)전체의 두께 치수를 크게 해도 괜찮다.
게다가, 본 발명은, 엘리베이터의 승강장 조작반에도 적용할 수 있다.

Claims (8)

  1. 이측(裏側) 부분과, 상기 이측 부분에 결합되어 있는 표측(表側) 부분을 가지고 있는 케이스를 구비하며,
    상기 표측 부분은, 프레임체와, 상기 프레임체의 상기 이측 부분과는 반대측에 배치되어 있는 정면판(正面板)을 가지고 있고,
    상기 프레임체는, 폭방향의 일측에 배치되어 있는 제1 세로 프레임과, 폭방향의 타측에 배치되어 있는 제2 세로 프레임을 가지고 있고,
    상기 제1 세로 프레임과 상기 제2 세로 프레임과의 사이에는, 고정 부재가 걸쳐 마련되어 있고,
    상기 고정 부재에는, 상기 정면판을 상기 프레임체에 유지하기 위한 유지 부재가 고정되어 있으며,
    상기 유지 부재는, 상기 정면판의 전면(前面)의 상하 방향 단부에 겹쳐져 있는 유지부와, 상기 유지부로부터 후방으로 돌출되고, 상기 고정 부재에 나사 고정되어 있는 체결부를 가지고 있는 엘리베이터의 조작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정면판은, 제1 정면판과, 상기 제1 정면판의 하측에 배치되어 있는 제2 정면판을 포함하며,
    상기 유지부는, 상기 제1 정면판의 전면의 하단부에 겹쳐져 있는 제1 유지부와, 상기 제2 정면판의 전면의 상단부에 겹쳐져 있는 제2 유지부를 가지고 있는 엘리베이터의 조작반.
  3.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세로 프레임에는, 상기 정면판의 폭방향으로의 이동을 규제하는 규제 돌기가 마련되어 있는 엘리베이터의 조작반.
  4.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3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부와 상기 정면판과의 사이에 상하 방향의 간극이 마련되어 있는 엘리베이터의 조작반.
  5.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4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세로 프레임에는, 나사 부재 유지홈이 각각 마련되어 있으며,
    상기 나사 부재 유지홈에는, 제1 나사 부재가 각각 유지되어 있고,
    상기 제1 나사 부재에는, 제2 나사 부재가 각각 단단히 조여져 있고, 이것에 의해 상기 고정 부재가 상기 제1 및 제2 세로 프레임에 고정되어 있는 엘리베이터의 조작반.
  6. 이측 부분과, 상기 이측 부분에 결합되어 있는 표측 부분을 가지고 있는 케이스, 및 상기 케이스 내에 마련되어 있는 조작반 기기를 구비하며,
    상기 표측 부분은, 프레임체와, 상기 프레임체의 상기 이측 부분과는 반대측에 배치되어 있는 정면판을 가지고 있고,
    상기 프레임체는, 폭방향의 일측에 배치되어 있는 제1 세로 프레임과, 폭방향의 타측에 배치되어 있는 제2 세로 프레임을 가지고 있고,
    상기 제1 세로 프레임과 상기 제2 세로 프레임과의 사이에는, 고정 부재가 걸쳐 마련되어 있고,
    상기 조작반 기기는, 상기 고정 부재에 장착되어 있고,
    상기 제1 및 제2 세로 프레임에는, 나사 부재 유지홈이 각각 마련되어 있고,
    상기 나사 부재 유지홈에는, 제1 나사 부재가 각각 유지되어 있으며,
    상기 제1 나사 부재에는, 제2 나사 부재가 각각 단단히 조여져 있고, 이것에 의해 상기 고정 부재가 상기 제1 및 제2 세로 프레임에 고정되어 있는 엘리베이터의 조작반.
  7. 청구항 5 또는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제1 나사 부재의 축방향으로의 이동 및 회전은, 상기 나사 부재 유지홈에 의해 규제되어 있고,
    상기 제2 나사 부재의 상기 제1 나사 부재로의 조임을 느슨하게 하는 것에 의해, 상기 제1 나사 부재는, 상기 나사 부재 유지홈을 따라서 상하 방향으로 슬라이드 가능하게 되는 엘리베이터의 조작반.
  8.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7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세로 프레임과 상기 정면판과의 사이에는, 양면 테이프가 개재되어 있는 엘리베이터의 조작반.
KR1020177027057A 2015-03-03 2015-03-03 엘리베이터의 조작반 KR10200910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JP2015/056205 WO2016139750A1 (ja) 2015-03-03 2015-03-03 エレベータの操作盤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20673A true KR20170120673A (ko) 2017-10-31
KR102009100B1 KR102009100B1 (ko) 2019-08-08

Family

ID=568487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7027057A KR102009100B1 (ko) 2015-03-03 2015-03-03 엘리베이터의 조작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10336574B2 (ko)
JP (1) JP6289730B2 (ko)
KR (1) KR102009100B1 (ko)
CN (1) CN107406219B (ko)
DE (1) DE112015006248B4 (ko)
WO (1) WO201613975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994966B2 (en) 2018-06-25 2021-05-04 Otis Elevator Company Fixture plate and housing
JP7209038B2 (ja) * 2021-04-28 2023-01-19 東芝エレベータ株式会社 エレベータ操作盤用センサ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17816Y2 (ja) * 1980-05-27 1985-05-30 株式会社明電舎 コネクタ
JPS61291385A (ja) * 1985-06-17 1986-12-22 三菱電機株式会社 エレベ−タのかご室
JPH0616348A (ja) 1992-06-30 1994-01-25 Toshiba Corp エレベータかごの操作盤
JPH09315711A (ja) 1996-06-04 1997-12-09 Mitsubishi Electric Corp エレベーター乗場の表示器付き操作盤
JP2011246205A (ja) * 2010-05-24 2011-12-08 Hitachi Ltd エレベータ用操作盤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998500A (en) * 1958-08-11 1961-08-29 Smith Kline French Lab Push button panel cover
JPS6122938Y2 (ko) 1981-05-08 1986-07-09
JPH0617816Y2 (ja) * 1987-08-12 1994-05-11 フジテック株式会社 エレベ−タ用機器
JP2829163B2 (ja) 1991-09-30 1998-11-25 株式会社東芝 エレベータの操作盤装置
JP3109264B2 (ja) 1992-06-30 2000-11-13 スズキ株式会社 クランクシャフトのカウンタウエイト
US5216576A (en) * 1992-08-13 1993-06-01 General Electric Company Panel board with adjustable frame and side rails
US5463533A (en) * 1994-06-24 1995-10-31 Siemens Energy & Automation, Inc. Variable depth load center enclosure
US6302240B1 (en) * 2000-06-19 2001-10-16 Kuei-Tang Shih Auxiliary safety lift device for the cab of an elevator
FI120645B (fi) * 2008-02-11 2010-01-15 Kone Corp Hissin kutsu- ja näyttölaitejärjestely
JP5377485B2 (ja) * 2008-07-10 2013-12-25 三菱電機株式会社 エレベータの操作パネル装置
JP6017816B2 (ja) * 2012-03-30 2016-11-02 テイ・エス テック株式会社 エアバッグモジュール装備シート
DE102014101404B4 (de) * 2014-02-05 2017-11-16 Rittal Gmbh & Co. Kg Rahmengestell für einen Schalt- oder Verteilerschrank
CN107406230B (zh) * 2015-03-13 2019-10-11 三菱电机株式会社 电梯操作盘
EP3309101B1 (en) * 2016-10-17 2020-06-03 Otis Elevator Company Elevator car, elevator system and method of checking, maintaining and/or repairing an elevator system
EP3315444A1 (en) * 2016-10-26 2018-05-02 Otis Elevator Company Support assembly for elevator car operating panel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17816Y2 (ja) * 1980-05-27 1985-05-30 株式会社明電舎 コネクタ
JPS61291385A (ja) * 1985-06-17 1986-12-22 三菱電機株式会社 エレベ−タのかご室
JPH0616348A (ja) 1992-06-30 1994-01-25 Toshiba Corp エレベータかごの操作盤
JPH09315711A (ja) 1996-06-04 1997-12-09 Mitsubishi Electric Corp エレベーター乗場の表示器付き操作盤
JP2011246205A (ja) * 2010-05-24 2011-12-08 Hitachi Ltd エレベータ用操作盤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7406219B (zh) 2019-03-15
JPWO2016139750A1 (ja) 2017-05-25
US10336574B2 (en) 2019-07-02
US20170327343A1 (en) 2017-11-16
WO2016139750A1 (ja) 2016-09-09
JP6289730B2 (ja) 2018-03-07
CN107406219A (zh) 2017-11-28
DE112015006248B4 (de) 2020-04-16
KR102009100B1 (ko) 2019-08-08
DE112015006248T5 (de) 2017-11-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284355B2 (en) Wall fastener
US10246886B2 (en) Adjustable shim and pre-hung door with the same
KR20170120673A (ko) 엘리베이터의 조작반
KR20190127128A (ko) 커튼월 유닛의 설치 구조
JP2008265902A (ja) エレベータの出入口装置
JP7056736B2 (ja) エレベーターの乗場位置表示器
WO2019153528A1 (zh) 用于淋浴房的上轨道和淋浴房
JP5653226B2 (ja) エレベータ設備およびその設置方法
JP7498615B2 (ja) 建具
JP2660890B2 (ja) カーテンウオールユニットの取付構造
JP7295735B2 (ja) 可動間仕切用レール設置構造
CN219081394U (zh) 一种连接结构、门框和淋浴门
JP7448432B2 (ja) ふかし枠取付構造および建具
JP6070457B2 (ja) エレベーターの乗場装置
JP2780599B2 (ja) エレベーター用窓付扉
JP2014009099A (ja) エレベータの戸の案内装置
JP7199316B2 (ja) 枠体の取付構造及び枠体の取付方法
JP2007262803A (ja) 門形枠体の取付け構造
JP5436159B2 (ja) エレベータの三方枠
JPH0455180Y2 (ko)
CA2953514C (en) Adjustable shim and pre-hung door with the same
US20220024726A1 (en) Elevator door arrangement with door panel adjustability in at least two dimensions
JP4367144B2 (ja) 出隅用外壁パネルの取付構造
JP2014040291A (ja) エレベータ用操作表示器
JP2014218839A (ja) 枠材の固定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