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120565A - 압축 가스용 건조기, 이러한 건조기를 구비한 압축기 설비 및 압축 가스의 건조 방법 - Google Patents

압축 가스용 건조기, 이러한 건조기를 구비한 압축기 설비 및 압축 가스의 건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120565A
KR20170120565A KR1020177019212A KR20177019212A KR20170120565A KR 20170120565 A KR20170120565 A KR 20170120565A KR 1020177019212 A KR1020177019212 A KR 1020177019212A KR 20177019212 A KR20177019212 A KR 20177019212A KR 20170120565 A KR20170120565 A KR 2017012056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zone
drying
dryer
gas
regener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70192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67999B1 (ko
Inventor
민네브루그젠 이완 반
대니 베르트리에스트
팀 세이센스
게에르트 헬레맨스
Original Assignee
아틀라스 캅코 에어파워, 남로체 벤누트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아틀라스 캅코 에어파워, 남로체 벤누트삽 filed Critical 아틀라스 캅코 에어파워, 남로체 벤누트삽
Publication of KR2017012056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2056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6799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6799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53/00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 B01D53/26Drying gases or vapours
    • B01D53/261Drying gases or vapours by adsorp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53/00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 B01D53/02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by adsorption, e.g. preparative gas chromatography
    • B01D53/06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by adsorption, e.g. preparative gas chromatography with moving adsorbents, e.g. rotating be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53/00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 B01D53/26Drying gases or vapours
    • B01D53/265Drying gases or vapours by refrigeration (condens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B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 F04B39/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pumps or pumping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F04B25/00 - F04B37/00
    • F04B39/16Filtration; Moisture separ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C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C29/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pumps or pumping installations, not provided for in groups F04C18/00 - F04C28/00
    • F04C29/0092Removing solid or liquid contaminants from the gas under pumping, e.g. by filtering or deposition; Purging; Scrubbing; Clean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3/00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 F24F3/12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 F24F3/14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dehumidification
    • F24F3/1411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dehumidification by absorbing or adsorbing water, e.g. using an hygroscopic desiccant
    • F24F3/1423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dehumidification by absorbing or adsorbing water, e.g. using an hygroscopic desiccant with a moving bed of solid desiccants, e.g. a rotary wheel supporting solid desicca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3/00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 F24F3/12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 F24F3/14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dehumidification
    • F24F3/153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dehumidification with subsequent heating, i.e. with the air, given the required humidity in the central station, passing a heating element to achieve the required temperatu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57/00Components to be removed
    • B01D2257/80Wat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59/00Type of treatment
    • B01D2259/40Further details for adsorption processes and devices
    • B01D2259/40083Regeneration of adsorbents in processes other than pressure or temperature swing adsorption
    • B01D2259/40088Regeneration of adsorbents in processes other than pressure or temperature swing adsorption by heating
    • B01D2259/4009Regeneration of adsorbents in processes other than pressure or temperature swing adsorption by heating using hot ga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C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C18/00Rotary-piston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 F04C18/02Rotary-piston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of arcuate-engagement type, i.e. with circular translatory movement of co-operating members, each member having the same number of teeth or tooth-equivalents
    • F04C18/0207Rotary-piston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of arcuate-engagement type, i.e. with circular translatory movement of co-operating members, each member having the same number of teeth or tooth-equivalents both members having co-operating elements in spiral form
    • F04C18/0215Rotary-piston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of arcuate-engagement type, i.e. with circular translatory movement of co-operating members, each member having the same number of teeth or tooth-equivalents both members having co-operating elements in spiral form where only one member is mov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C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C18/00Rotary-piston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 F04C18/08Rotary-piston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of intermeshing-engagement type, i.e. with engagement of co-operating members similar to that of toothed gearing
    • F04C18/12Rotary-piston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of intermeshing-engagement type, i.e. with engagement of co-operating members similar to that of toothed gearing of other than internal-axis type
    • F04C18/14Rotary-piston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of intermeshing-engagement type, i.e. with engagement of co-operating members similar to that of toothed gearing of other than internal-axis type with toothed rotary pistons
    • F04C18/16Rotary-piston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of intermeshing-engagement type, i.e. with engagement of co-operating members similar to that of toothed gearing of other than internal-axis type with toothed rotary pistons with helical teeth, e.g. chevron-shaped, screw typ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C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C23/00Combinations of two or more pumps, each being of 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type,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Pumping installation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Multi-stage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 F04C23/001Combinations of two or more pumps, each being of 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type,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Pumping installation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Multi-stage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of similar working principle
    • F04C23/003Combinations of two or more pumps, each being of 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type,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Pumping installation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Multi-stage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of similar working principle having complementary func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Drying Of Gases (AREA)
  • Drying Of Solid Materials (AREA)
  • Control Of Positive-Displacement Air Blowers (AREA)

Abstract

압축 가스용 건조기로서, 건조제 및 건조 구역(7) 및 재생 구역(8)을 갖는 용기(2); 드럼(3)의 회전 방향(R)에서 볼 때, 재생 구역(7)과 건조 구역(5) 사이에 위치되고 개별 입구(24) 및 재생 구역(8)의 출구(15)와 공유되거나 연결되는 출구를 구비하는 적어도 하나의 중간 구역(9); 건조 구역(8)의 출구(19)로부터 분기하고 중간 구역(9)의 전술된 개별 입구(24)에 연결되는 분기 파이프(22); 건조 구역(7)으로부터 분기 파이프(22)를 통해 중간 구역(9)으로 중간 유동을 실행하기 위한 수단을 구비하고, 여기서 건조기는 건조기에 공급된 건조될 가스의 전체 유동이 건조 구역(7)을 통해 유동하기 전에 재생 구역(8)을 통해 먼저 안내되는 것인 건조기에 있어서, 전술된 수단은 단지 전술된 분기 파이프(22) 내의 하나 이상의 송풍기(25)에 의해서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압축 가스용 건조기, 이러한 건조기를 구비한 압축기 설비 및 압축 가스의 건조 방법{DRYER FOR COMPRESSED GAS, COMPRESSOR INSTALLATION PROVIDED WITH SUCH A DRYER AND METHOD FOR DRYING GAS}
본 발명은 압축 가스용 건조기 및 압축기 설비 및 압축 가스의 건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압축 가스용 건조기는 이미 공지되어 있고, 여기서 이들 건조기는 그 내부에 건조 구역(drying zone) 및 재생 구역(regeneration zone) 및 필요하다면 냉각 구역을 갖는 용기; 건조될 압축 가스의 공급을 위한 건조 구역으로의 입구 및 건조된 가스의 제거를 위한 건조 구역으로부터의 출구; 고온 재생 가스의 공급을 위한 재생 구역으로의 입구 및 재생 구역으로부터의 출구; 그 내부에 재생 가능한 건조제를 갖는 용기 내의 회전형 드럼; 건조제가 건조 구역 및 재생 구역을 통해 연속적으로 이동되도록 전술된 드럼을 회전하기 위한 구동 수단을 구비하고, 여기서 재생 구역 및 임의의 냉각 구역의 전술된 출구는 그 내부에 냉각기 및 응축물 분리기를 갖는 연결 파이프에 의해 건조 구역의 전술된 입구에 연결되고, 여기서 이들 건조기는 건조기의 동작 중에, 재생 구역의 출구를 거쳐 재생 구역을 떠나는 가스 유량이 건조되기 위해 입구를 거쳐 건조 구역 내로 이후에 안내되는 가스 유량에 동일하거나 실질적으로 동일하도록 구성된다.
재생 구역을 떠나는 재생 가스의 유량이 건조 구역 내로 안내되는 건조될 가스의 유량에 정합하는 건조기의 예가 EP 2.332.631호에 설명되어 있다. 고온 압축 가스는 먼저 재생 구역을 통해 안내되고, 여기서 재생 가스로서 작용하고 이 건조제의 재생을 위해 건조제로부터 수분을 흡수한다. EP 2.332.631호에 설명된 실시예에서, 주위 공기가 예를 들어 공기 압축기에 의해 압축되고, 여기서 이 공기의 압축 중에 압력 증가를 경험할 뿐만 아니라, 또한 온도 증가를 경험하여, 이 공기의 상대 습도가 강하하게 되고 이 공기는 건조제로부터 수분을 흡수하는 것이 가능하다. 압축된 재생 가스 내에 존재하는 압축의 열을 사용하는 건조기는 '압축열(heat of compression)' 건조기 또는 HOC 건조기의 명칭으로 당 기술 분야에 공지되어 있다.
재생 구역을 통해 통과한 후에, 고온 재생 가스는 더 높은 상대 습도를 제시한다. 재생 구역을 떠나는 습한 가스는 이어서 연결 파이프 내의 냉각기를 통해 안내되어, 이 가스의 온도가 압력 이슬점 미만으로 강하하고 이 가스 내에 존재하는 수분의 응축이 발생한다. 이에 의해 형성된 액적은 이어서 응축물 분리기에 의해 제거되어, 이제 냉각된 압축 가스가 100% 포화되게 되고 건조 구역의 입구로 그리고 이 건조 구역을 통해 완전히 안내되게 되는 데, 이 건조 구역에서 건조제가 수착(sorption)(흡착 및/또는 흡수)에 의해 이 압축 가스로부터 수분을 추출한다.
건조 구역을 떠나는 건조된 가스는 공압식 컨베이어, 공압식 구동 도구의 드라이브 등을 위한 것과 같은 모든 유형의 용도로 건조기로부터 하류측에 위치된 압축 공기 네트워크에 사용될 수 있다.
이는 압축기로부터 발생하는 전체 또는 실질적으로 전체 압축 가스 유동이 먼저 재생 구역을 통해 안내되고 이어서 건조 구역을 통해 완전히 안내되는 EP 2.332.631호에서 전술된 건조기의 유형의 특징이다. 재생 구역 및 건조 구역을 통한 가스의 이러한 전체 유동(full flow)을 사용하는 건조기는 또한 전체 유동 건조기라 칭한다.
재생 구역의 출구와 건조 구역의 입구 사이의 연결 파이프 내에는, 건조 구역의 출구에서의 압력이 재생 구역의 입구에서의 압력보다 더 높아, 압축기로부터의 습한 가스가 건조 구역의 출구로 누설할 수 있는 것을 방지하게 되는 것을 보장하기 위해 가스 유동의 압력을 증가시키기 위한 송풍기가 존재하는 데, 이 건조 구역의 출구에서 습한 가스는 건조된 가스와 혼합할 수 있어, 건조기 출력부를 거쳐 소비자 네트워크로 하류측으로 진행하는 가스가 훨씬 덜 건조하게 될 것이다.
EP 2.332.631호는 또한 드럼의 회전 방향에서 재생 구역을 따르는 중간 냉각 구역이 재생 구역과 건조 구역 사이에 제공되고, 여기서 저온 건조 공기가 건조기의 출구에서 분기되고(tapped off) 냉각 구역을 통해 재생 구역의 출구로 안내되는 변형예를 설명하고 있다.
예를 들어 WO 00/74819호에 설명된 바와 같은 다른 배열에서, 압축기를 떠나는 고온 압축 가스의 벌크가 먼저 애프터쿨러를 통해 안내되고 이어서 건조 구역으로 운반된다. 고온 압축 가스의 단지 일부만이 압축기로부터 하류측으로 그리고 애프터쿨러로부터 상류측으로 분기되어 건조제의 재생을 위해 재생 구역으로 운반된다. WO 00/74819호에 설명된 바와 같은 이러한 건조기는 따라서 압축열 건조기이지만, 고온 압축 가스의 모든 유동이 재생 가스로서 사용되는 것이 아니기 때문에, 전체 유동 원리에 따라 동작하지 않는다.
전술된 전체 유동 원리에 따라 동작하지 않는 압축열 건조기가 WO 2011/017782호에 또한 설명되어 있다. WO 2011/017782호에 설명된 바와 같은 건조기는, 재생 구역이 2개의 서브구역, 즉 제1 재생 유동이 그를 통해 운반되는 제1 서브구역 및 제2 재생 유동이 그를 통해 운반되는 중간 구역 또는 제2 서브구역을 포함하고, 여기서 건조기는 전술된 제2 재생 유동의 상대 습도가 제1 서브구역을 통해 안내되는 전술된 제1 재생 유동의 상대 습도보다 낮도록 구성된다. 제2 서브구역은 바람직하게는 재생 구역의 종료부에 있다. 이 방식으로, 통상의 방식에서보다 더 많은 수분이 건조제로부터 흡수될 수 있어, 더 많은 수분이 건조제에 의해 건조 구역 내에서 건조될 가스로부터 흡수될 수 있게 된다.
WO 2011/017782호에 따른 이러한 건조기에서, 특정 상황에서, 예를 들어 건조기로 공급될 가스를 공급하는 압축기를 시동할 때, 건조 구역 내의 압력이 아직 충분히 축적되지 않았기 때문에, 제2 재생 유동의 원하는 유동이 실현될 수 없는 것이 발생할 수 있다. 몇몇 경우에, 가스는 심지어 재생 구역으로부터, 임의의 누설을 통해 또는 심지어 분기 파이프를 거쳐, 건조 구역의 출구 내로 일시적으로 진행할 수 있는 데, 이는 바람직하지 않은 이슬점 피크를 야기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이러한 상황을 가능한 한 많이 회피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건조기를 떠나는 압축 가스의 상대 습도가 가능한 한 작게 될 수 있도록, 최적으로 공급된 압축 가스 내의 고유열(intrinsic heat)을 이용함으로써, 그리고 또한 건조제의 심도 건조(deep drying)를 얻음으로써, 에너지 소비에 관하여 그리고 건조기 효율에 관하여, 최적 성능을 산출하는 개량된 건조기에 관한 것이다. 더욱이, 본 발명은 가능한 한 다수의 사용 조건에서 가능한 최적으로 높은 건조기 효율을 보장하고, 또한 시스템의 시동 중에 이슬점 피크를 방지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공급된 압축 가스용 건조기에 관한 것으로서, 여기서 이 건조기는 그 내부에 건조 구역 및 재생 구역을 갖는 용기; 또한 건조될 가스의 공급을 위한 입구인 재생 구역을 위한 입구 및 재생 구역을 위한 출구; 건조 구역을 위한 입구 및 건조된 압축 가스가 그로부터 하류측 소비자 네트워크를 위해 분기될 수 있는 또한 건조기의 출구인 건조 구역을 위한 출구; 그 내부에 재생 가능한 건조제를 갖는 용기 내의 회전형 드럼; 건조제가 건조 구역 및 재생 구역을 통해 연속적으로 이동되도록 전술된 드럼을 회전하기 위한 구동 수단; 재생 구역의 전술된 출구를 건조 구역의 전술된 입구에 연결하는 연결 파이프; 연결 파이프 내에 합체된 냉각기 및 응축물 분리기; 드럼의 회전 방향에서 볼 때, 재생 구역과 건조 구역 사이에 위치되고 개별 입구 및 재생 구역의 출구와 공유되거나 연결되는 출구를 구비하는 적어도 하나의 중간 구역; 건조 구역의 출구로부터 분기하고 중간 구역의 전술된 개별 입구에 연결되는 분기 파이프; 건조 구역으로부터 분기 파이프를 통해 중간 구역으로 중간 유동을 유발시키는 수단을 구비하고, 여기서 건조기는 건조기에 공급된 건조될 가스의 전체 유동이 건조 구역을 통해 유동하기 전에 재생 구역을 통해 먼저 안내되고, 여기서 전술된 수단은 단지 전술된 분기 파이프 내의 하나 이상의 송풍기에 의해서만 형성된다.
"송풍기"는 여기서 압축기와 같은, 가스 또는 공기와 같은 가스의 혼합물의 압력을 (능동적으로) 증가시키기 위한 디바이스를 의미한다. 압력을 증가시킨다는 것은 송풍기의 외부측의 압력이 송풍기의 동작 중에, 이 송풍기의 입구측의 압력보다 높은 것을 의미한다. 이 맥락에서, 벤추리(venturi) 이젝터가 송풍기로 고려되지 않는다.
"연결 파이프" 및 "분기 파이프"는 본 발명에 따라 상이한 방식으로, 그리고 예를 들어 파이프 구성의 형태 또는 일체화되는 등인 채널링의 다른 형태로, 유동이 채널링되게 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표현 "전술된 수단은 단지 전술된 분기 파이프 내의 하나 이상의 송풍이게 의해서만 형성된다"라는 것은, 어떠한 송풍기도 분기 파이프 내에서 이외의 다른 장소에 제공되지 않고 송풍기가 예를 들어 기존의 건조기에서와 같이 연결 파이프 내에 제공되지 않는다는 것을 의미한다.
상이한 조건에서 고효율을 보장하는 상기 목적을 성취하는 것에 병행하여, 이 경우에 송풍기는 단지 건조기를 통해 안내되는 총 가스 유동의 단지 분율인 중간 가스 유동의 압력 증가를 보장하기만 하면 되기 때문에, 수단의 특정 위치는 요구되는 덜 강력한 송풍기를 유도하여, 이 송풍기가 또한 공지의 건조기에서보다 적은 에너지를 소비하게 될 것이다. 송풍기는 또한 더 소형일 수 있는 데, 이는 공간을 절약하는 관점으로부터 유용할 수 있다.
중간 구역의 입구에서 증가된 압력에 기인하여, 이 중간 가스 유동은 제1 재생 구역의 입구에 공급된 습한 공기와 건조 구역의 출구 사이에서 그렇지 않으면 발생할 수 있는 누설에 대한 벽을 그대로 형성하는 것이 보장된다.
중간 구역은 드럼의 회전 방향에서 볼 때, 재생 구역의 종료부에, 달리 말하면 재생 구역의 측면에 있고, 이 측면을 따라 건조제가 건조 구역 내로 진행하기 위해, 드럼의 회전 중에 재생 구역을 떠난다.
중간 구역은 드럼의 회전 방향에서 볼 때, 또한 재생 구역의 시작부에 있을 수 있고, 또는 중간 구역은 이 재생 구역의 종료부 및 시작부의 모두에 제공될 수 있고, 여기서 이 후자의 경우에 건조 구역은 재생 구역으로부터 비건조된 가스의 가능한 누설에 대항하여 양 측면을 따라 스크리닝된다.
분기된 건조되고 냉각된 가스가 중간 구역의 입력부에 미처리된 상태로 안내될 때, 중간 가스 유동은 고온 재생 구역과 냉각된 건조 구역 사이의 중간 온도 버퍼로서 작용하여, 건조제가 일 구역으로부터 다음 구역으로의 전이시에 경험하는 온도 충격이 덜 심해지게 되고, 건조된 공기의 이슬점의 피크 변동이 또한 건조될 공급된 가스의 온도, 압력, 상대 습도 및 유량의 변화시에 방지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바람직하게 관련된 중간 구역의 입구로의 관련된 분기 파이프 내의 가열 요소에 의해, 적어도 하나의 중간 구역으로의 분기된 중간 유동을 가열하기 위한 수단이 제공된다.
중간 가스 유동을 가열하는 것은 건조 구역의 출구에서 냉각되고 건조된 가스가 중간 구역에서 건조제와 접촉하게 될 때 더 많은 수분을 흡수하는 것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가열된 중간 가스 유동을 갖는 이러한 중간 구역이 건조 구역의 시작부와 재생 구역의 종료부 사이에 있을 때, 이미 완전한 재생 사이클을 통해 진행되어 있는 건조제는 건조제로부터 수분의 부가의 분율을 여전히 흡수할 수 있는 이 가열된 건조 중간 가스와 접촉하게 된다. 이는 이어서 건조제의 '심도 건조 처리'라 칭한다. 동작 신뢰성 및 높은 건조기 효율이 따라서 보장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건조기는 이하의 중간 구역:
- 건조 구역의 출구로부터 분기되고 가열 없이 전술된 송풍기에 의해 관련된 중간 냉각 구역의 입구로 안내되는 중간 가스 유동을 갖는 재생 구역의 종료부에서의 중간 냉각 구역;
- 건조 구역의 출구로부터 분기되고 가열된 후에 전술된 송풍기에 의해 관련된 중간 재생 구역의 입구로 안내되는 중간 가스 유동을 갖는 재생 구역의 종료부에서의 중간 재생 구역;
- 건조 구역의 출구로부터 분기되고 가열 없이 전술된 송풍기에 의해 관련된 중간 냉각 구역의 입구로 안내되는 중간 가스 유동을 갖는 재생 구역의 시작부에서의 중간 냉각 구역;
- 건조 구역의 출구로부터 분기되고 가열된 후에 전술된 송풍기에 의해 관련된 중간 재생 구역의 입구로 안내되는 중간 가스 유동을 갖는 재생 구역의 시작부에서의 중간 재생 구역
중 하나 이상으로 구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단지 하나의 단일의 공유된 송풍기가 다수의 또는 모든 중간 구역에 대해 사용되는 데, 이는 건조기의 비용 및 크기에 이익이 된다.
예를 들어, 서로로부터 분리되어 있는 상이한 중간 구역이 존재하는 경우에, 중간 구역으로의 분기 파이프 내에, 조정 가능한 그리고 제어 가능한 등인, 예를 들어 하나 이상의 구속부의 형태의 이들 중간 구역 위로 송풍기로부터 가스 유동의 분포를 위한 수단이 제공될 수 있다.
특정 실시예에 따르면, 전술된 송풍기는 예를 들어 한편으로는 건조 구역의 출구와 다른 한편으로는 재생 구역의 입구 사이의 압력차를 결정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센서가 접속되어 있는 제어 시스템에 접속되는 제어 가능 구동 수단을 구비하고, 여기서 전술된 제어 시스템은 전술된 압력차에 기초하여 전술된 구동 수단의 속도를 제어하는 알고리즘을 구비할 수 있다.
이 방식으로, 모든 상황 하에서 건조 구역의 출구 내로 습한 가스가 침입하는 것을 방지하는 능동 연속 제어가 적용될 수 있다. 건조기의 신뢰성의 추가의 증가가 따라서 얻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특정 특징에 따르면, 건조기는 건조 구역으로부터 연결 파이프를 거쳐 재생 구역으로 가스가 유동할 수 있는 것을 방지하는 구속 수단을 더 구비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이러한 구속 수단은 전술된 연결 파이프 내에 부착되고, 재생 구역으로부터 건조 구역으로의 가스 유동만을 허용하고, 그 반대의 유동은 허용하지 않도록 구성되는 체크 밸브를 포함할 수 있다.
이 방식으로, 건조기가 동작하지 않을 때에도 어떠한 건조될 가스도 공급되지 않기 때문에, 건조 구역은 적어도 특정 시간 동안 압력 하에 유지될 수 있고, 또한 건조기를 재차 시동할 때 전술된 압력차가 존재하거나 또는 적어도 더 신속하게 도달될 수 있는 것이 보장될 수 있다.
전술된 가열 요소는 또한 제어 가능하게 될 수 있다. 이는 이 가열 요소의 온도가 수동으로 조정될 수 있는 제어 수단을 제공함으로써, 또는 제어 유닛에 의해, 또는 양 방식으로 조정 가능하게 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원한다면, 가열 요소는 가열 요소 내의 온도를 측정하기 위한 온도 센서를 구비할 수 있고, 여기서 이 온도 센서는 예를 들어, 이러한 설정값에 측정된 온도값을 비교하고 이어서 이에 따라 가열 요소 내의 온도를 수동으로 또는 이러한 제어 유닛에 의해 자동으로 조정함으로써, PID 제어기에 의해 온도의 설정값을 목표로 하기 위해, 예를 들어 제어 유닛에 접속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또한 압축될 가스용 입구 및 압축 가스용 압력 파이프를 갖는 압축기를 구비하는 압축기 설비에 관한 것으로서, 여기서 압축기 설비는 건조 구역의 출구에서 분기점을 거쳐 소비자 네트워크로의 건조된 가스의 공급을 위해 건조기를 통해 안내되는 압축기에 의해 공급되는 압축 가스의 전체 유동을 건조하기 위한 전술된 바와 같은 건조기를 포함하고, 여기서 이를 위해 압력 파이프가 건조기의 재생 구역의 입구에 연결된다.
이러한 압축기 설비는 전체 유동 원리의 적용을 통해 높은 신뢰성, 건조제의 심도 건조의 최적화 및 에너지 절약 수단의 전술된 장점을 제시한다.
본 발명에 따른 압축기 설비의 부분을 형성하는 건조기는 다수의 방식으로 구성될 수 있고, 결과적인 부수 이익과 함께 전술된 바람직한 특징을 제시할 수도 있고 또는 제시하지 않을 수도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압축기 설비의 특정 실시예에서, 어떠한 분기 파이프도 전술된 압력 파이프에 연결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특정 양태에 따르면, 전술된 송풍기는 예를 들어 주파수 제어형 모터의 형태의 제어 가능 드라이브를 구비한다.
본 발명의 특정 양태에 따르면, 건조될 가스의 공급을 위한 압축기는 또한 예를 들어 주파수 제어형 모터의 형태의 제어 가능 드라이브를 구비할 수 있다.
압축기 및 송풍기의 모두가 이러한 제어 가능 드라이브를 구비하는 경우에, 양자 모두를 위한 공유된 제어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전술된 제어 시스템은 압축기가 정지할 때 송풍기를 정지하는 알고리즘을 구비할 수 있다.
적용 가능하면, 건조 구역으로부터 연결 파이프를 거쳐 재생 구역으로 가스가 유동할 수 있는 것을 방지하는 구속 수단이 또한 제공될 수 있다.
특정 실시예에 따르면, 이러한 구속 수단은 이 차단 밸브의 제어를 위해 전술된 제어 시스템 등에 접속되는 등인 제어 가능한 차단 밸브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또한 압축 가스를 건조하기 위한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여기서 이 방법은 이하의 단계:
- 압축기로부터 발생하는 전체 고온 압축 가스 유동을, 내부에 전술된 재생 구역에 추가하여 건조 구역을 갖는 용기 및 내부에 재생 가능 건조제를 갖는 용기 내의 회전형 드럼을 구비한 건조기의 재생 구역을 통과하도록 구동하는 단계;
- 건조제가 건조 구역 및 재생 구역을 통해 연속적으로 이동되도록 전술된 드럼을 회전시키는 단계;
- 전술된 재생 구역을 통해 통과한 후에 전술된 가스 유동을 냉각하고, 가스 유동으로부터 응축물을 분리하는 단계;
- 이후에 소비자 네트워크로의 공급을 위해 이 가스 유동을 건조하기 위해 전술된 건조 구역을 통해 관련된 가스 유동을 안내하는 단계;
- 건조 구역의 전술된 출구를 중간 구역의 입구에 연결하는 분기 파이프 내에 있는 하나 이상의 송풍기에 의해서만 건조 구역의 출구에서 분기되는 건조된 가스의 중간 가스 유동을, 건조 구역과 재생 구역 사이의 중간 구역을 통과하도록 지향시키는 단계
를 포함한다.
가스를 건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의 바람직한 특징은, 이 구역이 건조제의 심도 건조를 위해 사용될 수 있도록, 건조된 가스의 분기된 부분이 중간 구역에 안내되기 전에 먼저 가열되는 것으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특정 양태는 중간 구역을 위한 건조 구역의 출구로부터 분기된 가스 유동이 중간 구역의 입구에서의 압력이 재생 구역의 입구에서의 압력보다 높도록 압력 증가를 받게 되는 것으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특징을 더 양호하게 나타내는 의도로, 본 발명에 따른 건조기 및 압축기 설비의 몇몇 바람직한 실시예, 및 압축 가스를 건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몇몇 바람직한 방식이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어떠한 한정의 성질 없이, 예로서 이하에 설명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건조기의 섹션의 사시도를 개략적으로 도시하고 있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압축기 설비를 개략적으로 도시하고 있고;
도 3 내지 도 10은 도 2에 따른 압축기 설비의 변형예를 도시하고 있다.
도 1은 압축 가스용 본 발명에 따른 건조기의 섹션(1)을 도시하고 있다. 건조기의 섹션(1)은 도 1에 개략적으로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그 축(X-X') 주위로 회전 가능하고 공지되어 있는 바와 같이, 그를 통해 유동 채널(4)이 본질적으로 축방향으로 연장하는 드럼(3)을 그 내부에 갖는 용기(2)의 형태의 하우징을 구비한다.
드럼(3)은 건조제(5), 더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어 실리카겔, 활성 알루미나, 활성탄 또는 가스 유동으로부터 수분이 흡수되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다른 재료의 형태의 건조제로 충전된다.
건조기는 화살표(R)에 의해 지시된 회전 방향에서 드럼(3)을 회전시키기 위한, 예를 들어 모터의 형태의 구동 수단(6)을 또한 구비한다.
전술된 구동 수단(6)은 용기(2) 또는 그 부분에 의해 완전히 또는 부분적으로 둘러싸일 수도 있고 또는 둘러싸이지 않을 수도 있다. 이 방식으로, 이들 구동 수단(6)은 예를 들어 전술된 용기(2)의 저부 플랜지를 통해 연장할 수 있다. 구동 수단(6)은 드럼(3)의 회전 속도가 조정되거나 변경되는 등을 가능하게 할 수도 있다.
용기(2)는 건조 구역(7), 재생 구역(8) 및 건조 구역(7)과 재생 구역(8) 사이에 위치된 중간 구역(9)을 형성하기 위해 섹터로 분할된다.
도 1의 예에서, 건조제(5)는 건조 구역(7), 재생 구역(8) 및 중간 구역(9)을 통해 연속적으로 순환 방식으로 화살표(R)의 방향으로 드럼(3)의 구동에 의해 이동한다.
건조제(5)는 이에 의해 건조 구역(7)의 종료부(7")로부터 재생 구역의 시작부(8')로, 이어서 재생 구역(8)의 종료부(8")로부터 중간 구역(9)의 시작부(9')로, 그리고 중간 구역(9)의 종료부(9")로부터 건조 구역(7)의 시작부(7')로, 그리고 건조 구역(7)을 통해 진행한 후에 재차 또한 재생 구역(8)으로 진행한다.
도 2는 전술된 섹션(1)에 추가하여, 압축기(12)의 출구와 재생 구역(8)의 입구(13) 사이의 연결부를 형성하는 압력 파이프(11)를 포함하는, 본 발명에 따른 압축기 설비(10)를 개략적으로 도시하고 있는데, 여기서 이 입구(13)는 또한 건조기의 입구이다. 압축기(12)는 또한 압축기 설비(10)의 부분을 형성한다.
전술된 압축기(12)는 상이한 유형, 예를 들어 다단 기계 등으로서 구성될 수 있는 스크류 압축기(screw compressor), 투스 압축기(tooth compressor) 또는 스크롤 압축기(scroll compressor)일 수 있는 데, 다단 기계의 경우에, 이는 각각의 압력 스테이지 사이에 인터쿨러를 구비하는 등이 명백하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양태에 따르면, 어떠한 분기부도 전술된 압력 파이프(11)에 연결되지 않아, 동작 중에 압축기(12)로부터 발생하는 고온 압축 가스의 전체 유동이 입구(13)를 거쳐 재생 구역(8)으로 안내되게 된다.
더욱이, 연결 파이프(14)가 재생을 위해 사용된 가스 유동을 위해 제공되고, 여기서 이 연결 파이프(14)는 재생 구역(8) 및 중간 구역(9)의 공통 출구(15)를 건조 구역(7)의 입구(16)에 연결한다. 이 연결 파이프(14) 내의 냉각기(17) 및 응축물 분리기(18)가 존재하는 데, 여기서 상기 응축물 분리기(18)는 냉각기(15) 등에 일체화될 수 있다.
건조 구역(7)의 출구(19)에는, 한편으로는 건조기의 출구를 형성하고 건조된 가스가 그를 통해 미래의 사용을 위해 소비자 네트워크(21)로 제거될 수 있는 취출점(take-off point)(20)이 제공되고, 다른 한편으로는 관련된 분기 파이프(22) 내에 부착될 수 있는 선택적 가열 요소(23)를 통해 건조된 가스의 일부를 구동하고 이어서 중간 가스 유동으로서 중간 구역(9)을 통해 이 분기된 가스의 일부를 안내하는 분기 파이프(22)가 제공된다. 가열 요소(23)의 존재는 본 발명에 바람직하지만, 필수적인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특정 양태에 따르면, 건조기는 건조 구역(7)의 출구(19)로부터 중간 구역(9)의 입구(24)로 제2 재생 유동을 실행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하는데, 여기서 이들 수단은 드라이브(26)를 갖는 송풍기(25)를 포함한다.
도 2에 따른 압축기 설비(10)의 동작은 매우 간단하고 이하와 같다.
유동의 방향은 도면에 지시되어 있다. 화살표(A)는 건조기의 건조 구역(7)을 통한 유동의 유동 방향을 도시하고 있다. 재생 구역(8) 및 중간 구역(9)을 통한 다른 가스 유동의 유동 방향은 도시되어 있는 예에서, 화살표(B, C)에 의해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건조 구역(7)을 통한 유동의 유동 방향(A)에 반대 방향이다.
압축기(12)로부터 발생하는 건조될 고온 압축 가스는 이 경우에 먼저 재생 구역(8) 내의 건조제(5)를 통해 출구(15)로 "전체 유동"의 형태로 유동한다. 이에 의해, 이 가스는 건조제(5)로부터 수분을 흡수하는 재생 유동으로서 작용하여, 이 제1 재생 유동 내에 존재하는 압축열을 사용한다.
압축기(12)로부터 발생하는 건조될 압축 가스 내의 열은 압축기(12)에 의해 건조될 가스의 압축 중에 발생된다. 이는 따라서 '압축열'이다.
본 발명의 특정 특징에 따르면, 재생 구역(8)을 통한 건조제(5)의 이동의 종료시에, 이 건조제(5)는 이러한 분기된 건조된 가스의 상대 습도를 감소시키기 위해, 분기 파이프(22) 내의 가열 요소(23)에 의해 먼저 가열된 후에, 분기 파이프(22)를 거쳐 건조 구역(7)의 출구(19)로부터 분기되는 건조된 가스와 건조제(5)를 접촉하게 함으로써, 중간 구역(9) 내에서 더 건조된다.
이 방식으로, 건조제(5)의 수분 함량은 매우 낮은 상대 습도를 갖는 고온 건조 가스를 사용함으로써 중간 구역(7) 내에서 더 건조되는 건조제(5)에 기인하여 실질적으로 감소될 수 있는 것이 명백하다.
이 경우에, 중간 구역은 따라서 건조제(5)의 심도 건조라 또한 칭하는, 건조제(5)가 더 건조되는 부가의 재생 구역의 역할을 충족한다.
드럼(3)이 더 회전함에 따라, 건조제(5)가 건조 구역(7)에 도달할 때까지 더욱 더 많은 수분이 건조제(5)로부터 추출되고, 흡수된 수분을 제거하여, 이와 같이 재생된 건조제(5)가 건조 구역(7) 내에서 건조를 위해 사용될 수 있게 된다.
재생 구역(8)의 출구를 거쳐 연결 파이프(14) 내로 진행하는 가스는 냉각기(17)에 의해 냉각된다. 이에 의해 형성된 응축물은 응축물 분리기(18)에 의해 제거된다. 100% 포화된 가스가 이어서 건조 구역(7)을 통해 운반되고, 이 건조 구역에서 건조제(5)에 의해 건조된다. 이와 같이 건조된 가스는 취출점(20)을 거쳐 하류측에 위치된 소비자 네트워크(21)로 분기될 수 있다.
전술된 방식으로, 건조제(5)는 건조 구역(7)을 통해 그리고 이어서 제1 재생 구역(8) 및 제2 재생 구역(9)을 통해 연속적인 또는 불연속적인 회전 이동으로 교대로 안내된다.
분기 파이프(22) 내의 송풍기(25)에 의해, 동작 신뢰성 및 건조기 효율이 증가될 뿐만 아니라, 이 송풍기(25)는 또한 중간 구역(9)의 입구(24)에서의 압력이 재생 구역(8)의 입구(13)에서보다 더 높게 유지될 수 있어, 중간 구역(9)은 그대로 재생 구역(8)의 입구(13)로부터 건조 구역(7)의 출구(19)에서 건조된 가스로 임의의 바람직하지 않은 누설의 발생을 위한 배리어를 형성하게 되고, 따라서 건조된 가스 유동의 오염의 발생이 제한된다.
건조 구역의 출구(19)에서 분기된 가스 유동은 건조기를 통해 안내되는 압축기(12)로부터 총 가스 유동의 단지 분율이기 때문에, 송풍기는 제한된 용량을 가질 수 있다.
공유된 출구(15)는 함께 그리고 냉각기(17)에 연결된 2개의 출구로 분할된다는 것이 명백하다.
도 3은 분기된 건조된 및 가열된 가스가 그를 통해 안내되는 도 2의 중간 구역(9a)에 추가하여, 제2 중간 구역(9b)이 제1 중간 구역(9a)과 건조 구역(7) 사이에 제공되고, 여기서 이 제2 중간 구역(9b)은 개별 입구(24b)를 갖고, 중간 구역(9a) 및 재생 구역(8)과 함께 공유된 출구(15)로 이어지는 사실에서, 도 2의 실시예와는 상이한 본 발명에 따른 압축기 설비(10)의 변형 실시예를 도시하고 있다.
이 제2 중간 구역을 통해 안내되는 가스는 도시되어 있는 예에서, 송풍기(25) 다음에 분기되고, 분기 파이프(22b)를 거쳐 입구(24b)로 재차 이송된다.
이 경우에, 이 가스는 냉각기(17) 내에서의 냉각의 견지에서, 또한 저온 가스인 건조된 가스에 관련된다.
이 방식으로, 고온 건조제(5)는 제1 중간 구역(9a)을 떠날 때 건조 구역(7) 내의 주 유동과 접촉하게 되기 전에 냉각된다. 제1 중간 구역(9a)은 이어서 설명된 바와 같이 재생 구역으로서 작용하고, 반면에 제2 중간 구역(9b)은 냉각 구역으로서 작용한다.
이러한 냉각 구역은 고온 건조제(5)가 수분을 흡착하는 것이 가능하지 않기 때문에 건조의 최적화를 유도하는데, 이는 습한 가스가 건조기를 통해 누설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이는 따라서 냉각 구역으로서 배열된 제2 중간 구역(9b)을 사용함으로써 방지된다.
도 3의 실시예에서, 송풍기(25)의 드라이브(26)는 예를 들어, 주파수 제어형 모터의 형태로 제어 가능하게 되는데, 여기서 이 드라이브(26)는 한편으로는 건조 구역(7)의 출구(19)와 다른 한편으로는 재생 구역(8)의 입구(13) 사이의 압력차를 결정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센서(28)가 접속되어 있는 제어 시스템(27)('제어기')에 접속되고, 여기서 전술된 제어 시스템(27)은 전술된 압력차에 기초하여 전술된 드라이브(26)의 속도를 변화시키는 알고리즘을 구비한다.
본 예에서, 압축기(12)는 이 경우에, 필수적인 것은 아니지만, 그 제어를 위해 전술된 제어 시스템(27)에 또한 접속되는 제어 가능 드라이브(29)를 또한 구비한다. 이는 압축기(12)가 정지할 때 예를 들어 송풍기(25)를 정지하는 가능성을 제공한다.
이러한 실시예에서, 도 3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중간 구역(9a, 9b)을 통한 유량은 이들 유동이 건조 구역(7)의 출구(19)에서의 압력에 관하여 항상 약간 과압으로 유지될 수 있도록 제어될 수 있다.
양 중간 구역(9a, 9b)에 대해 하나의 단일의 공유된 송풍기(25)를 제공하는 대신에, 각각의 분기 파이프 내에 개별 송풍기를 제공하는 것도 또한 가능한데, 이는 이들 구역으로의 유량을 개별적으로 제어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유량의 조정 또는 제어를 위해, 대안적으로 제어 시스템(27)에 의해 조정 가능하거나 제어 가능한 등인 분기 파이프(22a, 22b) 내에 구속부 또는 다른 유량 제어기를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압축기 설비(10)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하고 있는데, 여기서 이 경우에 도 3의 실시예에 관하여, 냉각 구역으로서 작용하는 제2 중간 구역(9b)은 이 구역(8)의 종료부(8")에서 대신에 재생 구역(8)의 시작부(8')로 이동되어, 이 경우에 양 건조 구역(7) 및 재생 구역(8)이 건조 구역의 출구(19)에서 압력에 관하여 증가된 압력을 갖고 중간 구역(9a, 9b)에 의해 서로로부터 분리되게 된다.
이는 따라서 습한 가스가 재생 구역(8)의 입구(13)로부터 건조 구역(7)의 출구(19) 내의 건조된 가스로 그리고 건조 구역(7)의 시작부(7')에서 그리고 종료부(7")에서의 모두에서 누설 가능한 것을 방지한다.
도 5는 이 경우에 양 중간 구역(9)이 건조 구역(7)의 출구(19)로부터 분기되어 있고 송풍기(25) 내의 압력 증가 후에, 가열 요소(23) 내에서 가열되는 건조 가스를 구비하고, 이와 같이 함으로써 양자 모두가 재생 기능을 갖고 중간 구역(9a)으로서 역할을 하는 것에 의해 도 4의 압축기 설비(10)와는 상이한, 본 발명에 따른 압축기 디바이스(10)의 다른 변형예를 도시하고 있다.
도 6은 다른 변형예를 도시하고 있고, 여기서 이 경우에 도 3의 실시예에 관하여, 제3 중간 구역(9)이 건조 구역(7)의 종료부(7")와 재생 구역(8)의 시작부(8') 사이에 삽입되고, 여기서 이 제3 중간 구역은 송풍기(25)로부터 하류측 및 가열 요소(23)로부터 상류측의 분기 파이프(22a)로부터 분기되는 건조되고 냉각된 가스를 구비하는 부가의 냉각 구역(9b)으로서 작용하고, 여기서 2개의 중간 구역(9b)은 분기 파이프(22b)에 의해 병렬로 공급된다.
다른 가능한 변형예가 도 7에 도시되어 있는데, 여기서 이 경우에 건조 구역(7)의 종료부(7")와 재생 구역(8)의 시작부(8') 사이의 제3 중간 구역(9)은 건조 구역(7)의 출구(19)로부터 분기된 건조 가열된 공기가 제공되고 송풍기(25)에 의해 압력이 증가되어, 이 구역(9)은 또한 재생 구역(9a)으로서 작용하게 된다.
도시되어 있지 않은 변형예에 따르면, 건조 구역(7) 및 재생 구역(8)이 매번 2개의 중간 구역(9a, 9b), 즉 재생 기능을 갖는 중간 구역(9a) 및 냉각 기능을 갖는 중간 구역(9b) 각각에 의해, 이들 구역의 시작부 및 종료부의 모두에서 서로로부터 분리되도록 제4 중간 구역(9)을 삽입하는 것이 배제되지 않는 데, 여기서 재생 기능을 갖는 중간 구역(9a)은 바람직하게는 재생 구역(9)에 접경하고 중간 구역(9b)은 건조 구역(7)에 접경한다.
도 8 내지 도 10에서, 도 2의 압축기 설비로의 연장부로서 몇몇 부가의 특징부가 다루어지지만, 도 3 내지 도 7의 압축기 설비에도 마찬가지로 적용된다.
도 8은 다른 실시예를 도시하고 있고, 여기서 이 경우에 분기 파이프(22) 내의 분기된 가스를 가열하기 위해, 서로 바로 이어지는 등의 압축기의 2개의 압력 스테이지(12a, 12b) 사이에 제공된 인터쿨러(30)가 사용된다. 적용 가능하면, 이 인터쿨러(30)는 예를 들어 점선에 의해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개별 전기 가열 요소(23)의 형태의, 분기 파이프(22) 내의 부가의 가열에 의해 보충될 수 있다.
본 예에서, 응축물 분리기(18)가 인터쿨러(30)와 압축기의 제2 압력 스테이지(12b) 사이에 제공된다.
이러한 실시예의 동작은 실제로 도 2의 것과 유사하다. 여기서도, 송풍기(19)는 재생 유동이 보증 유지되는 것을 보장할 것이고, 반면에 더욱이 재생 구역(7)으로부터의 입구(13)로부터 건조 구역(3)의 출구(19)로의 바람직하지 않은 누설이 방지된다.
본 실시예의 가장 중요한 부가의 장점은, 압축열이 제1 압력 스테이지(12a) 후로부터 회수되기 때문에, 적은 에너지가 가열 요소(23)에 공급되어야 한다는 것이다.
필요하다면, 소형 부가의 냉각기가 압축 가스의 충분한 인터쿨링을 항상 실현하기 위해 압력 스테이지(12a, 12b) 사이에 제공될 수 있다.
도 9에 도시되어 있는 예에서, 압축기(12) 및 송풍기(25)는 예를 들어 변속기(31) 등을 거쳐 관련된 압축기(12) 및 송풍기(25)를 구동하는 하나의 전기 모터의 형태의 단일의 드라이브(26)를 구비한다.
본 예에서, 건조 구역으로부터 연결 파이프(14)를 거쳐 재생 구역(9)으로 가스가 유동할 수 있는 것을 방지하는 구속 수단(32)이 연결 파이프(14) 내에 제공된다. 일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전술된 구속 수단(32)은 이 연결 파이프(14) 내에 부착되는 비-리턴 밸브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의 동작은 전술된 실시예의 것과 동일하다. 본 실시예에 관한 흥미있는 것은 단지 하나의 드라이브만이 제공되어야 하여, 제조, 구매 및 유지보수에 비용이 절약될 수 있고, 제어가 간단화될 수 있다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방법에서, 중간 구역(9)을 통해 구동되는 가스는 반드시 건조기 자체로부터 발생할 필요는 없고, 건조된 가스의 외부 소스로부터 또한 발생할 수 있다. 외부 소스는 '압력 스윙(pressure swing)', '진공 스윙(vacuum swing)' 및/또는 냉각 건조 원리와 같은, 다양한 이슬점 억제 수단을 받게 되는 공기 또는 다른 가스 또는 혼합물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압축기 설비(10)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하고 있는 데, 여기서 이 경우에 전술된 구속 수단(32)은 제어 시스템(27)에 연결되는 제어 가능 차단 밸브의 형태로 구성된다. 본 예에서, 건조 구역(7)의 출구 및 재생 구역(8)의 입구가 센서(28)를 구비할 뿐만 아니라, 이러한 센서(28)는 또한 전술된 제어 시스템(27)에 또한 접속되는 압력 센서의 형태로, 중간 구역(7)의 입구에 제공된다.
3개의 센서(28)를 사용함으로써, 건조기 내의 상이한 구역들 사이의 최적 압력 균형은 이에 응답함으로써, 예를 들어, 송풍기(25)의 속도를 제어함으로써 유지된다. 이 방식으로, 구역(7, 8, 9) 사이의 바람직하지 않은 누설 손실은 함께 방지될 수 있고 또는 건조기의 효율을 최소로 영향을 미치는 방향에서만 누설이 발생하는 것이 보장될 수 있다.
특정 양태에 따르면, 어떠한 송풍기 또는 다른 압력 증가 수단도 분기 파이프(14) 내에 제공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다른 특정 양태에 따르면, 건조기는 벤추리 이젝터를 포함하지 않는다.
본 발명은 예로서 설명되고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실시예에 결코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에 따른 건조기 및 압축기 설비, 및 압축 가스를 건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은 본 발명의 범주로부터 벗어나지 않고 다수의 형태 및 치수 및 상이한 방식으로 실현될 수 있다.
1: 섹션 2: 용기
3: 드럼 5: 건조제
6: 구동 수단 7: 건조 구역
8: 재생 구역 9: 중간 구역
10: 압축기 설비 12: 압축기
13: 입구 14: 연결 파이프

Claims (23)

  1. 공급된 압축 가스용 건조기로서, 상기 건조기는 그 내부에 건조 구역(7) 및 재생 구역(8)을 갖는 용기(2); 또한 건조될 가스의 공급을 위한 입구인 상기 재생 구역(8)을 위한 입구(13) 및 상기 재생 구역(8)을 위한 출구(15); 상기 건조 구역(7)을 위한 입구(16) 및 건조된 압축 가스가 그로부터 하류측 소비자 네트워크(21)를 위해 분기될 수 있는 또한 상기 건조기의 출구인 상기 건조 구역(7)을 위한 출구(19); 그 내부에 재생 가능한 건조제(5)를 갖는 상기 용기(2) 내의 회전형 드럼(3); 상기 건조제(5)가 상기 건조 구역(7) 및 상기 재생 구역(8)을 통해 연속적으로 이동되도록 상기 드럼(3)을 회전하기 위한 구동 수단(6); 상기 재생 구역(8)의 상기 출구(15)를 상기 건조 구역(7)의 상기 입구(16)에 연결하는 연결 파이프(14); 상기 연결 파이프(14) 내에 합체된 냉각기(17) 및 응축물 분리기(18); 상기 드럼(3)의 회전 방향(R)에서 볼 때, 상기 재생 구역(7)과 상기 건조 구역(5) 사이에 위치되고 개별 입구(24) 및 상기 재생 구역(8)의 출구(15)와 공유되거나 연결되는 출구를 구비하는 적어도 하나의 중간 구역(9); 상기 건조 구역(7)의 출구(19)로부터 분기하고 상기 중간 구역(9)의 상기 개별 입구(24)에 연결되는 분기 파이프(22); 상기 건조 구역(7)으로부터 상기 분기 파이프(22)를 통해 상기 중간 구역(9)으로 중간 유동을 유발시키는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건조기는 상기 건조기에 공급된 건조될 가스의 전체 유동이 상기 건조 구역(7)을 통해 유동하기 전에 상기 재생 구역(8)을 통해 먼저 안내되는 것인 건조기에 있어서,
    상기 수단은 단지 상기 분기 파이프(22) 내의 하나 이상의 송풍기(25)에 의해서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조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드럼(3)의 회전 방향(C)에서 볼 때, 상기 중간 구역(9)은 상기 건조 구역(7)의 시작부(7')에, 달리 말하면 상기 건조 구역의 측면에 있고, 이 측면을 따라 상기 건조제(5)가 상기 드럼(3)의 회전 중에 상기 재생 구역(8)을 떠나 상기 건조 구역(7) 내로 들어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조기.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드럼(3)의 회전 방향(C)에서 볼 때, 상기 중간 구역(9)은 상기 건조 구역(7)의 종료부(7")에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조기.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예를 들어 관련된 상기 중간 구역(9)의 입구(24)에 관련된 상기 분기 파이프(22) 내의 가열 요소(23)에 의해, 적어도 하나의 중간 구역(9)으로의 분기된 중간 유동의 가열을 가능하게 하기 위한 수단이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조기.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이하의 중간 구역(9):
    - 상기 건조 구역(7)의 출구(19)로부터 분기되고 가열 없이 상기 송풍기(25)에 의해 관련된 중간 냉각 구역(9b)의 입구(24b)로 안내되는 중간 가스 유동을 갖는 상기 재생 구역(8)의 종료부(8")에서의 중간 냉각 구역(9b);
    - 상기 건조 구역(7)의 출구(19)로부터 분기되고 가열된 후에 상기 송풍기(25)에 의해 관련된 중간 재생 구역(9a)의 입구(24a)로 안내되는 중간 가스 유동을 갖는 상기 재생 구역(8)의 종료부(8")에서의 중간 재생 구역(9a);
    - 상기 건조 구역(7)의 출구(19)로부터 분기되고 가열 없이 상기 송풍기(25)에 의해 관련된 중간 냉각 구역(9b)의 입구(24b)로 안내되는 중간 가스 유동을 갖는 상기 재생 구역(8)의 시작부(8')에서의 중간 냉각 구역(9b);
    - 상기 건조 구역(7)의 출구(19)로부터 분기되고 가열된 후에 상기 송풍기(25)에 의해 관련된 중간 재생 구역(9a)의 입구(24a)로 안내되는 중간 가스 유동을 갖는 상기 재생 구역(8)의 시작부(8')에서의 중간 재생 구역(9a)
    중 하나 이상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조기.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재생 구역(8)의 시작부(8') 또는 종료부(8")에 중간 냉각 구역(9b) 및 중간 재생 구역(9a)의 모두가 존재할 때, 상기 중간 냉각 구역(9b)은 상기 건조 구역(7)에 접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조기.
  7. 제5항 또는 제6항에 있어서, 모든 중간 구역(9)에 대해 단지 하나의 송풍기(25)만이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조기.
  8. 제7항에 있어서, 다수의 중간 구역(9)에 걸쳐 상기 송풍기(25)로부터 가스 유동의 분배를 위한 수단이 마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조기.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수단은 상기 중간 구역(9)으로의 분기 파이프(22) 내에 조정 가능한 또는 제어 가능한 등의 하나 이상의 구속부에 의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조기.
  10.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송풍기(25)는 한편으로는 상기 건조 구역(7)의 출구(19)와 다른 한편으로는 상기 재생 구역(8)의 입구(13) 사이의 압력차를 결정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센서(28)가 접속되어 있는 제어 시스템(27)에 접속되는 제어 가능 드라이브(26)를 구비하고, 상기 제어 시스템(27)은 상기 압력차에 기초하여 상기 드라이브(26)의 속도를 변화시키는 알고리즘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조기.
  11.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건조기는 예를 들어 상기 연결 파이프(14) 내에 부착된 체크 밸브의 형태의 또는 제어 가능 차단 밸브의 형태의, 상기 건조 구역(7)으로부터 상기 연결 파이프(14)를 거쳐 상기 재생 구역(8)으로 가스가 유동할 수 있는 것을 방지하는 구속 수단(32)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조기.
  12. 제4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가열 요소(23)는 조정 가능하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조기.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가열 요소(23)는 상기 가열 요소(23) 내의 온도를 측정하기 위한 온도 센서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조기.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온도 센서는 제어 유닛에 접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조기.
  15. 제10항 또는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유닛은 상기 제어 시스템(27)에 의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조기.
  16. 제1항 내지 제1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건조기는 벤추리 이젝터를 포함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조기.
  17. 압축될 가스용 입구 및 압축 가스용 압력 파이프(11)를 갖는 압축기(12)를 구비하는 압축기 설비에 있어서,
    상기 압축기 설비(10)는 건조 구역(7)의 출구(19)에서 분기점(20)을 거쳐 소비자 네트워크(21)로의 건조된 가스의 공급을 위해 건조기를 통해 안내되는 상기 압축기(12)에 의해 공급되는 압축 가스의 전체 유동을 건조하기 위한 제1항 내지 제16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건조기를 포함하고, 이를 위해 상기 압력 파이프(11)는 상기 건조기의 재생 구역(8)의 입구(24)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축기 설비.
  18. 제10항 또는 제17항에 있어서, 건조될 가스의 공급을 위한 상기 압축기(12)는 제어 가능 드라이브(29)를 구비하고, 송풍기(25)의 그리고 상기 압축기(12)의 양 제어 가능 드라이브(26, 29) 각각에 대한 상기 압축기 설비(10)는 공유된 제어 시스템(27)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축기 설비.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송풍기(25)의 드라이브(26)의 상기 제어 시스템(27)은 상기 압축기(12)가 정지할 때 상기 송풍기(25)를 정지하는 알고리즘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축기 설비.
  20. 제17항 내지 제1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분기 파이프는 상기 압력 파이프(11)에 연결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축기 설비.
  21. 압축 가스의 건조 방법에 있어서,
    - 압축기(12)로부터 발생하는 전체 고온 압축 가스 유동을, 내부에 재생 구역(8)에 추가하여 건조 구역(7)을 갖는 용기(2) 및 내부에 재생 가능 건조제(5)를 갖는 상기 용기(2) 내의 회전형 드럼(3)을 구비한 건조기의 재생 구역(8)을 통과하도록 구동하는 단계;
    - 상기 건조제(5)가 상기 건조 구역(7) 및 상기 재생 구역(8)을 통해 연속적으로 이동되도록 상기 드럼(3)을 회전시키는 단계;
    - 상기 재생 구역(7)을 통과한 후에 상기 가스 유동을 냉각하고, 상기 가스 유동으로부터 응축물을 분리하는 단계;
    - 이후에 소비자 네트워크(21)로의 공급을 위해 상기 가스 유동을 건조하기 위해 상기 건조 구역(7)을 통해 관련된 가스 유동을 안내하는 단계;
    - 상기 건조 구역(7)의 출구(19)를 상기 중간 구역(9)의 입구(24)에 연결하는 분기 파이프(22) 내에 있는 하나 이상의 송풍기(25)에 의해 상기 건조 구역(7)의 출구(19)에서 분기되는 건조된 가스의 중간 가스 유동을, 상기 건조 구역(7)과 상기 재생 구역(8) 사이에 위치된 중간 구역(9)을 통과하도록 지향시키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축 가스의 건조 방법.
  22.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건조된 가스의 분기된 부분은 상기 중간 구역(9)으로 안내되기 전에 먼저 가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축 가스의 건조 방법.
  23. 제21항 또는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중간 구역(9)을 위한 상기 건조 구역(7)의 출구(19)로부터 분기된 가스 유동은, 상기 건조 구역(7)의 출구(19)에서의 압력이 상기 재생 구역(8)의 입구(13)에서의 압력보다 높아지도록 압력이 증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축 가스의 건조 방법.
KR1020177019212A 2014-12-16 2015-04-28 압축 가스용 건조기, 이러한 건조기를 구비한 압축기 설비 및 압축 가스의 건조 방법 KR10226799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BE20140843A BE1022637A9 (nl) 2014-12-16 2014-12-16 Droger voor samengeperst gas compressorinstallatie voorzien van zulke droger en werkwijze voor het drogen van gas
BE2014/0843 2014-12-16
PCT/BE2015/000016 WO2016094968A1 (en) 2014-12-16 2015-04-28 Dryer for compressed gas, compressor installation provided with such a dryer and method for drying ga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20565A true KR20170120565A (ko) 2017-10-31
KR102267999B1 KR102267999B1 (ko) 2021-06-22

Family

ID=530154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7019212A KR102267999B1 (ko) 2014-12-16 2015-04-28 압축 가스용 건조기, 이러한 건조기를 구비한 압축기 설비 및 압축 가스의 건조 방법

Country Status (19)

Country Link
US (2) US10478771B2 (ko)
EP (3) EP3593891A1 (ko)
JP (2) JP6574253B2 (ko)
KR (1) KR102267999B1 (ko)
CN (1) CN107257707B (ko)
AU (2) AU2015367230B2 (ko)
BE (1) BE1022637A9 (ko)
BR (1) BR112017012802B1 (ko)
CA (1) CA2970701C (ko)
DK (1) DK3233247T3 (ko)
ES (1) ES2734177T3 (ko)
HU (1) HUE045370T2 (ko)
MX (1) MX2017007860A (ko)
NZ (1) NZ733520A (ko)
PL (1) PL3233247T3 (ko)
PT (1) PT3233247T (ko)
RU (1) RU2690351C2 (ko)
TR (1) TR201908002T4 (ko)
WO (1) WO201609496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BE1022637A9 (nl) * 2014-12-16 2016-10-06 Atlas Copco Airpower Nv Droger voor samengeperst gas compressorinstallatie voorzien van zulke droger en werkwijze voor het drogen van gas
BE1024396B1 (nl) 2016-10-25 2018-02-13 Atlas Copco Airpower Naamloze Vennootschap Compressorinstallatie met drooginrichting voor samengeperst gas en werkwijze voor het drogen van samengeperst gas.
CN108554133A (zh) * 2018-05-25 2018-09-21 广州市君望机器人自动化有限公司 气体干燥装置
CN109200776B (zh) * 2018-09-30 2024-04-09 国网河南省电力公司方城县供电公司 一种地下变电站设备间防凝露系统
BE1027110B1 (nl) * 2019-03-12 2020-10-12 Atlas Copco Airpower Nv Compressorinstallatie en werkwijze voor het leveren van samengeperst gas.
PL3959444T3 (pl) * 2019-04-24 2024-02-26 Atlas Copco Airpower, Naamloze Vennootschap Instalacja sprężarki oraz sposób dostarczania sprężonego gazu
BE1027361B1 (nl) * 2019-06-12 2021-01-20 Atlas Copco Airpower Nv Compressorinstallatie en werkwijze voor het leveren van samengeperst gas
BE1027505B1 (nl) * 2019-08-16 2021-03-15 Atlas Copco Airpower Nv Droger voor samengeperst gas, compressorinstallatie voorzien van droger en werkwijze voor het drogen van samengeperst gas.
BE1027511B1 (nl) * 2019-08-16 2021-03-17 Atlas Copco Airpower Nv Droger voor samengeperst gas, compressorinstallatie voorzien van droger en werkwijze voor het drogen van samengeperst gas
BE1027507B1 (nl) * 2019-08-16 2021-03-17 Atlas Copco Airpower Nv Droger voor samengeperst gas, compressorinstallatie voorzien van droger en werkwijze voor het drogen van samengeperst gas
CN114659341B (zh) * 2022-03-02 2023-07-07 上海兰钧新能源科技有限公司 一种用于锂离子电池烘烤的控制方法
BE1030810A1 (nl) 2022-09-12 2024-03-19 Atlas Copco Airpower Nv Vrije luchtlevering (fad) droger regelsysteem en werkwijze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3902977A1 (de) * 1988-02-01 1989-08-10 Seibu Giken Kk Sorptionsgeraet zum sorbieren von aktivem gas
JP2007517663A (ja) * 2004-01-12 2007-07-05 ユーオーピー エルエルシー 精製圧縮ガスを生成する方法及び吸着剤ホイールシステム
CN101829477A (zh) * 2010-06-07 2010-09-15 瑞立集团瑞安汽车零部件有限公司 电控空气干燥器
KR20120062740A (ko) * 2009-08-11 2012-06-14 아틀라스 캅코 에어파워, 남로체 벤누트삽 압축 가스용 건조기, 압축 가스를 건조하는 방법 및 건조기를 구비한 압축기 설비
KR20120066628A (ko) * 2009-08-11 2012-06-22 아틀라스 캅코 에어파워, 남로체 벤누트삽 건조기를 구비한 압축기 설비 및 압축 가스 건조 방법
DE202014007507U1 (de) * 2013-09-18 2014-12-12 Atlas Copco Airpower N.V. Trockner für verdichtetes Gas und mit einem Trockner ausgestattete Verdichteranlage

Family Cites Families (2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409006A (en) 1981-12-07 1983-10-11 Mattia Manlio M Removal and concentration of organic vapors from gas streams
US4729774A (en) 1986-03-10 1988-03-08 Gas Research Institute Nonuniform regeneration system for desiccant bed
US4783432A (en) 1987-04-28 1988-11-08 Pall Corporation Dryer regeneration through heat of compression and pressure swing desorption
JPH0824816B2 (ja) 1991-10-29 1996-03-13 株式会社神戸製鋼所 乾式除湿装置
JPH05200233A (ja) 1992-01-29 1993-08-10 Kobe Steel Ltd 乾式除湿装置
JPH06343818A (ja) 1993-06-04 1994-12-20 Kobe Steel Ltd 乾式除湿装置
US5667560A (en) 1993-10-25 1997-09-16 Uop Process and apparatus for dehumidification and VOC odor remediation
JPH09173758A (ja) 1995-12-21 1997-07-08 Toho Kako Kensetsu Kk 高沸点溶剤回収装置
JP3881067B2 (ja) 1996-09-12 2007-02-14 高砂熱学工業株式会社 低露点空気供給システム
JP3594463B2 (ja) 1997-10-15 2004-12-02 株式会社西部技研 ガス吸着装置
JP3581255B2 (ja) * 1998-07-14 2004-10-27 株式会社西部技研 ガス吸着濃縮装置
AU5466400A (en) * 1999-06-04 2000-12-28 Flair Corporation Rotating drum adsorber process and system
US6294000B1 (en) 1999-09-24 2001-09-25 Durr Environmental, Inc. Rotary concentrator and method of processing adsorbable pollutants
JP4424803B2 (ja) 1999-12-27 2010-03-03 株式会社西部技研 除湿装置
US6375722B1 (en) 2000-08-22 2002-04-23 Henderson Engineering Co., Inc. Heat of compression dryer
BE1013828A3 (nl) 2000-11-08 2002-09-03 Atlas Copco Airpower Nv Werkwijze voor het regelen van een compressorinstallatie met een droger en daarbij gebruikte compressorinstallatie.
JP2002186822A (ja) 2000-12-21 2002-07-02 Daikin Ind Ltd 吸脱着装置
TW493056B (en) 2001-10-16 2002-07-01 Su Jia Ching Processing system for exhaust containing volatile organic compounds
JP3896343B2 (ja) * 2003-04-25 2007-03-22 東京エレクトロン株式会社 乾燥空気供給装置
US7338548B2 (en) 2004-03-04 2008-03-04 Boutall Charles A Dessicant dehumidifer for drying moist environments
BE1016149A3 (nl) 2004-08-04 2006-04-04 Atlas Copco Airpower Nv Werkwijze voor het drogen van een gas en inrichting daarbij toegepast.
BE1016939A3 (nl) 2006-01-12 2007-10-02 Atlas Copco Airpower Nv Verbeterde werkwijze voor het drogen van een gas en inrichting daarbij toegepast.
DE102006022293B4 (de) 2006-05-11 2011-02-03 Beko Systems Gmbh Trocknung von Druckluft unter Nutzung der Verdichterwärme mit geschlossenem Regenerationskreislauf
US7886986B2 (en) * 2006-11-08 2011-02-15 Semco Inc. Building, ventilation system, and recovery device control
US8328904B2 (en) 2009-05-04 2012-12-11 Bry-Air, Inc. Method and system for control of desiccant dehumidifier
EP2332631B1 (de) 2009-12-03 2012-11-14 Kaeser Kompressoren GmbH Adsorptionstrocknungsvorrichtung sowie Adsorptionstrocknungsverfahren
US20120145000A1 (en) * 2010-12-10 2012-06-14 L'air Liquide Societe Anonyme Pour L'etude Et L'exploitation Des Procedes Georges Claude Drying Process For Flue Gas Treatment
JP5824677B2 (ja) * 2011-02-18 2015-11-25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有機溶剤ガス処理装置および処理方法
BE1022637A9 (nl) * 2014-12-16 2016-10-06 Atlas Copco Airpower Nv Droger voor samengeperst gas compressorinstallatie voorzien van zulke droger en werkwijze voor het drogen van gas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3902977A1 (de) * 1988-02-01 1989-08-10 Seibu Giken Kk Sorptionsgeraet zum sorbieren von aktivem gas
JP2007517663A (ja) * 2004-01-12 2007-07-05 ユーオーピー エルエルシー 精製圧縮ガスを生成する方法及び吸着剤ホイールシステム
KR20120062740A (ko) * 2009-08-11 2012-06-14 아틀라스 캅코 에어파워, 남로체 벤누트삽 압축 가스용 건조기, 압축 가스를 건조하는 방법 및 건조기를 구비한 압축기 설비
KR20120066628A (ko) * 2009-08-11 2012-06-22 아틀라스 캅코 에어파워, 남로체 벤누트삽 건조기를 구비한 압축기 설비 및 압축 가스 건조 방법
CN101829477A (zh) * 2010-06-07 2010-09-15 瑞立集团瑞安汽车零部件有限公司 电控空气干燥器
DE202014007507U1 (de) * 2013-09-18 2014-12-12 Atlas Copco Airpower N.V. Trockner für verdichtetes Gas und mit einem Trockner ausgestattete Verdichteranlag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10478771B2 (en) 2019-11-19
JP6574253B2 (ja) 2019-09-11
EP3233247A1 (en) 2017-10-25
CN107257707B (zh) 2021-06-11
AU2019203213A1 (en) 2019-05-30
BE1022637A1 (nl) 2016-06-22
CN107257707A (zh) 2017-10-17
RU2690351C2 (ru) 2019-05-31
PL3233247T3 (pl) 2019-09-30
PT3233247T (pt) 2019-06-06
EP3233247B1 (en) 2019-04-10
MX2017007860A (es) 2017-09-18
CA2970701C (en) 2019-11-26
US20170348634A1 (en) 2017-12-07
BR112017012802A2 (pt) 2018-04-10
NZ733520A (en) 2019-09-27
AU2015367230A1 (en) 2017-07-13
BR112017012802B1 (pt) 2022-08-16
CA2970701A1 (en) 2016-06-23
EP3593891A1 (en) 2020-01-15
TR201908002T4 (tr) 2019-06-21
ES2734177T3 (es) 2019-12-04
AU2015367230B2 (en) 2019-08-01
WO2016094968A1 (en) 2016-06-23
KR102267999B1 (ko) 2021-06-22
JP2019162630A (ja) 2019-09-26
EP3488913A1 (en) 2019-05-29
JP2018500159A (ja) 2018-01-11
HUE045370T2 (hu) 2019-12-30
JP6820377B2 (ja) 2021-01-27
US11173448B2 (en) 2021-11-16
RU2017124918A3 (ko) 2019-01-17
BE1022637A9 (nl) 2016-10-06
DK3233247T3 (da) 2019-05-20
BE1022637B1 (nl) 2016-06-22
RU2017124918A (ru) 2019-01-17
US20200054992A1 (en) 2020-02-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70120565A (ko) 압축 가스용 건조기, 이러한 건조기를 구비한 압축기 설비 및 압축 가스의 건조 방법
US10322369B2 (en) Dryer for compressed gas, compressor installation equipped with a dryer and method for drying gas
CN106268199B (zh) 用于干燥压缩气体的装置和设置有这种装置的压缩机设备
AU2020262381A1 (en) Compressor installation and method for delivering a compressed gas
EP3959444B1 (en) Compressor installation and method for delivering a compressed gas
KR101964502B1 (ko) 압축 가스용 건조기, 건조기를 구비한 압축기 설비 및 가스의 건조 방법
BE1022217B1 (nl) Droger voor samengeperst gas, compressorinstallatie voorzien van een droger en werkwijze voor het drogen van ga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