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118622A - 종동 기구 - Google Patents

종동 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118622A
KR20170118622A KR1020170049125A KR20170049125A KR20170118622A KR 20170118622 A KR20170118622 A KR 20170118622A KR 1020170049125 A KR1020170049125 A KR 1020170049125A KR 20170049125 A KR20170049125 A KR 20170049125A KR 20170118622 A KR20170118622 A KR 2017011862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up
inner cup
disposed
shaft
outer cu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4912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931426B1 (ko
Inventor
스콧 아브라함슨
Original Assignee
코요 베어링즈 노쓰 아메리카 엘엘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코요 베어링즈 노쓰 아메리카 엘엘씨 filed Critical 코요 베어링즈 노쓰 아메리카 엘엘씨
Publication of KR2017011862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1862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3142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3142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LCYCLICALLY OPERATING VALVES FOR MACHINES OR ENGINES
    • F01L1/00Valve-gear or valve arrangements, e.g. lift-valve gear
    • F01L1/12Transmitting gear between valve drive and valv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53/00Cams ; Non-rotary cams; or cam-followers, e.g. rollers for gearing mechanisms
    • F16H53/06Cam-follow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LCYCLICALLY OPERATING VALVES FOR MACHINES OR ENGINES
    • F01L1/00Valve-gear or valve arrangements, e.g. lift-valve gear
    • F01L1/12Transmitting gear between valve drive and valve
    • F01L1/14Tappets; Push rod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LCYCLICALLY OPERATING VALVES FOR MACHINES OR ENGINES
    • F01L1/00Valve-gear or valve arrangements, e.g. lift-valve gear
    • F01L1/12Transmitting gear between valve drive and valve
    • F01L1/18Rocking arms or lev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MSUPPLYING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WITH COMBUSTIBLE MIXTURES OR CONSTITUENTS THEREOF
    • F02M59/00Pumps specially adapted for fuel-injection and not provided for in groups F02M39/00 -F02M57/00, e.g. rotary cylinder-block type of pumps
    • F02M59/02Pumps specially adapted for fuel-injection and not provided for in groups F02M39/00 -F02M57/00, e.g. rotary cylinder-block type of pumps of reciprocating-piston or reciprocating-cylinder type
    • F02M59/10Pumps specially adapted for fuel-injection and not provided for in groups F02M39/00 -F02M57/00, e.g. rotary cylinder-block type of pumps of reciprocating-piston or reciprocating-cylinder type characterised by the piston-drive
    • F02M59/102Mechanical drive, e.g. tappets or cam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CSHAFTS; FLEXIBLE SHAFTS; ELEMENTS OR CRANKSHAFT MECHANISMS; ROTARY BODIES OTHER THAN GEARING ELEMENTS; BEARINGS
    • F16C13/00Rolls, drums, discs, or the like; Bearings or mountings therefor
    • F16C13/006Guiding rollers, wheels or the like, formed by or on the outer element of a single bearing or bearing unit, e.g. two adjacent bearings, whose ratio of length to diameter is generally less than on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CSHAFTS; FLEXIBLE SHAFTS; ELEMENTS OR CRANKSHAFT MECHANISMS; ROTARY BODIES OTHER THAN GEARING ELEMENTS; BEARINGS
    • F16C13/00Rolls, drums, discs, or the like; Bearings or mountings therefor
    • F16C13/02Bearings
    • F16C13/022Bearings supporting a hollow roll mantle rotating with respect to a yoke or axl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CSHAFTS; FLEXIBLE SHAFTS; ELEMENTS OR CRANKSHAFT MECHANISMS; ROTARY BODIES OTHER THAN GEARING ELEMENTS; BEARINGS
    • F16C19/00Bearings with rolling contact, for exclusively rotary movement
    • F16C19/22Bearings with rolling contact, for exclusively rotary movement with bearing rollers essentially of the same size in one or more circular rows, e.g. needle bearings
    • F16C19/24Bearings with rolling contact, for exclusively rotary movement with bearing rollers essentially of the same size in one or more circular rows, e.g. needle bearings for radial load mainly
    • F16C19/26Bearings with rolling contact, for exclusively rotary movement with bearing rollers essentially of the same size in one or more circular rows, e.g. needle bearings for radial load mainly with a single row of rollers
    • F01L2105/00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LCYCLICALLY OPERATING VALVES FOR MACHINES OR ENGINES
    • F01L2305/00Valve arrangements comprising roll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CSHAFTS; FLEXIBLE SHAFTS; ELEMENTS OR CRANKSHAFT MECHANISMS; ROTARY BODIES OTHER THAN GEARING ELEMENTS; BEARINGS
    • F16C19/00Bearings with rolling contact, for exclusively rotary movement
    • F16C19/22Bearings with rolling contact, for exclusively rotary movement with bearing rollers essentially of the same size in one or more circular rows, e.g. needle bearings
    • F16C19/44Needle bearings
    • F16C19/46Needle bearings with one row or needles
    • F16C19/466Needle bearings with one row or needles comprising needle rollers and an outer ring, i.e. subunit without inner r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CSHAFTS; FLEXIBLE SHAFTS; ELEMENTS OR CRANKSHAFT MECHANISMS; ROTARY BODIES OTHER THAN GEARING ELEMENTS; BEARINGS
    • F16C2360/00Engines or pumps
    • F16C2360/18Camshaf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CSHAFTS; FLEXIBLE SHAFTS; ELEMENTS OR CRANKSHAFT MECHANISMS; ROTARY BODIES OTHER THAN GEARING ELEMENTS; BEARINGS
    • F16C2360/00Engines or pumps
    • F16C2360/22Internal combustion engin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Rolling Contact Bearings (AREA)
  • Fuel-Injection Apparatus (AREA)
  • Valve-Gear Or Valve Arrangements (AREA)
  • Gears, Cams (AREA)
  • Transmission Devices (AREA)

Abstract

종동 기구는 사실상 원통형인 측벽, 측벽의 제1 단부에 배치된 환형 립부, 및 측벽에 배치된 환형 레지를 포함하는 외부 컵을 포함하고, 환형 레지는 종동 기구의 종방향 중심 축을 횡단하는 평면에 배치된다. 내부 컵은 내부 컵으로부터 외향으로 연장되는 환형립 및 한 쌍의 샤프트 구멍을 포함하며, 그리고 립이 외부 컵의 환형 레지에 접하고 그리고 내부 컵의 립에 접하는 외부 컵의 환형 립에 의해 환형 레지에 회전불가능하게 고정되도록 외부 컵 내에 배치된다. 샤프트가 샤프트 구멍 내에 수납되며, 그리고 롤러 종동부는 롤러 종동부의 일부분이 외부 컵의 환형 립부를 넘어 축방향 외향으로 연장되도록 샤프트 상에 회전가능하게 수납된다.

Description

종동 기구{FOLLOWER MECHANISM}
[우선권 주장]
본 출원은 그 전체 내용이 본 명세서에서 원용되는 2016년 4월 15일자로 출원된 미국 특허 가출원 62/323,110호 및 2016년 8월 25일자로 출원된 미국 특허 가출원 62/379,505호의 우선권을 주장한다.
[기술분야]
본 발명은 일반적으로 종동 기구에 관한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종동 기구의 설계와 조립 방법, 및 종동 기구의 관련된 정렬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동 기구는 내연기관의 캠샤프트로부터의 운동을 하나 이상의 흡기 또는 배기 밸브로 전달하기 위해 내연기관의 밸브 트레인에 대체로 사용된다. 캠샤프트가 회전될 때, 종동 기구는 캠샤프트 상의 대응하는 로브로부터 측방향 힘과 하향 힘 양자 모두를 수용하지만, 밸브를 개방 및/또는 폐쇄하기 위해 하향 힘만을 밸브로 전달한다. 따라서, 종동 기구는 밸브의 밸브 스템을 굴곡시키거나 달리 손상시킬 가능성을 감소시킨다. 또한, 종동 기구는 가솔린 직접 분사 시스템에 사용되는 캠샤프트 구동식 고압 연료 펌프에 대체로 사용된다.
기존의 버킷식 종동 기구는 스탬핑된 또는 냉간 성형된 버킷을 통상적으로 포함한다. 롤러 종동부는 통상적으로 예컨대, 스테이킹(staking), 스웨이징(swaging) 등에 의해 버킷에 직접 고정되는 샤프트 상에 지지된다. 이와 같이, 버킷은 하중 지탱 부재이므로 연마와 같은 작업 및 열처리가 필요하게 된다. 또한, 종동 기구는 대응하는 보어 내에서의 종동 기구의 회전이 방지되도록 버킷에 의해 한정된 구멍 내에 유지된 임의 형태의 정렬 장치를 대체로 갖는다. 공지된 정렬 장치의 일례는 종동 기구의 버킷의 구멍 내에 고정되는 버섯 형상의 핀을 포함한다. 그런 핀은 복잡한 형상으로 인해 제조하는 것이 어려울 수 있다. 또한, 버킷의 필요 열처리가 정렬 장치를 수납하는 구멍의 뒤틀림을 야기함으로써 조립체를 열화시킬 수 있다. 그런 정렬 장치는 억지 끼워맞춤에 의해 대응하는 구멍 내에 대체로 고정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종래 기술의 구조와 방법에 대한 고려 사항을 인지하여 처리하는 것이다.
본 개시내용의 일 실시예는 보어의 종방향 중심 축을 따라 보어 내에서 이동가능한 종동 기구를 제공하는데, 종동 기구는 사실상 원통형인 측벽을 형성하는 내부면과 외부면, 측벽의 제1 단부에 배치되는 환형 립부, 및 측벽의 내부면에 배치되는 환형 레지를 갖는 외부 컵으로서, 환형 레지는 종동 기구의 종방향 중심 축을 횡단하는 평면에 배치되는, 외부 컵과; 내부 컵으로서, 내부 컵으로부터 외향으로 연장되는 환형 립 및 한 쌍의 샤프트 구멍을 포함하며, 내부 컵의 립이 외부 컵의 환형 레지에 접하고 그리고 내부 컵의 립에 접하는 외부 컵의 환형 립에 의해 환형 레지에 회전불가능하게 고정되도록 외부 컵 내에 배치되는, 내부 컵과; 샤프트 구멍들 중의 대응하는 하나의 샤프트 구멍 내에 각각 배치되는 제1 단부 및 제2 단부를 갖는 샤프트와; 롤러 종동부의 일부분이 외부 컵의 환형 립부를 넘어 축방향 외향으로 연장되도록 샤프트 상에 회전가능하게 수납되는 롤러 종동부를 포함한다.
본 개시내용의 다른 실시예는 보어의 종방향 중심 축을 따라 보어 내에서 이동가능한 종동 기구를 제공하는데, 종동 기구는 사실상 원통형인 측벽을 형성하는 내부면과 외부면, 측벽의 제1 단부에 배치되는 환형 립부, 및 측벽의 내부면에 배치되는 환형 레지를 갖는 외부 컵으로서, 환형 레지는 종동 기구의 종방향 중심 축을 횡단하는 평면에 배치되는, 외부 컵과; 내부 컵으로서, 내부 컵으로부터 외향으로 연장되는 환형 립을 포함하며, 내부 컵의 립이 외부 컵의 환형 레지에 접하고 그리고 내부 컵의 립에 접하는 외부 컵의 환형 립에 의해 환형 레지에 회전불가능하게 고정되도록 외부 컵 내에 배치되는, 내부 컵과; 내부 컵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지지되는 롤러 종동부를 포함한다.
본 명세서의 일부로 통합되어 이를 구성하는 첨부 도면은 본 발명의 원리를 설명하는 역할을 하도록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발명의 하나 이상의 실시예를 예시한다.
본 발명의 최상 모드를 포함하는 통상의 기술자에게 대한 본 발명의 완전한 수권 개시내용이 첨부 도면을 참조하는 본 명세서에 개시되어 있다.
도 1a 및 도 1b는 본 개시내용에 따른 종동 기구의 실시예의 사시도.
도 2는 도 1a 및 도 1b에 도시된 종동 기구의 분해 사시도.
도 3a, 도 3b 및 도 3c는 도 1a 및 도 1b에 도시된 종동 기구의 단면도.
도 4a 및 도 4b는 도 1a 및 도 1b에 도시된 종동 기구의 내부 컵의 사시도.
도 5는 도 1a 및 도 1b에 도시된 종동 기구의 외부 컵의 사시도.
도 6은 도 1a 및 도 1b에 도시된 종동 기구의 고압 연료 펌프의 부분 단면도.
도 7a 및 도 7b는 본 개시내용에 따른 종동 기구의 다른 대안적인 실시예의 사시도.
도 8은 도 7a 및 도 7b에 도시된 종동 기구의 분해 사시도.
도 9a, 도 9b, 도 9c 및 도 9d는 도 7a 및 도 7b에 도시된 종동 기구의 단면도.
도 10a 및 도 10b는 도 7a 및 도 7b에 도시된 종동 기구의 내부 컵의 사시도.
도 11은 도 7a 및 도 7b에 도시된 종동 기구의 외부 컵의 사시도.
도 12a 및 도 12b는 본 개시내용에 따른 종동 기구의 대안적인 실시예의 사시도.
도 13은 도 12a 및 도 12b에 도시된 종동 기구의 분해 사시도.
도 14a 및 도 14b는 도 12a 및 도 12b에 도시된 종동 기구의 단면도.
도 15a 및 도 15b는 도 12a 및 도 12b에 도시된 종동 기구의 내부 컵의 사시도.
도 16은 도 12a 및 도 12b에 도시된 종동 기구의 외부 컵의 사시도.
도 17a 및 도 17b는 본 개시내용에 따른 종동 기구의 다른 대안적인 실시예의 사시도.
도 18은 도 17a 및 도 17b에 도시된 종동 기구의 분해 사시도.
도 19a 및 도 19b는 도 17a 및 도 17b에 도시된 종동 기구의 단면도.
도 20은 도 17a 및 도 17b에 도시된 종동 기구의 내부 컵의 사시도.
도 21은 도 17a 및 도 17b에 도시된 종동 기구의 스페이서의 사시도.
도 22는 도 17a 및 도 17b에 도시된 종동 기구의 외부 컵의 사시도.
본 명세서와 도면에서 도면 부호를 반복 사용하는 것은 본 개시내용에 따른 발명의 동일하거나 유사한 특징부 또는 요소를 나타내기 위한 것이다.
하나 이상의 예가 첨부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이제 상세히 참조한다. 각각의 예는 본 발명에 대한 비제한적인 설명으로서 제공된다. 사실, 변형예와 변경예가 본 발명의 범주 및 기술사상을 벗어나지 않고 이루어질 수 있다는 것은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다. 예컨대, 일 실시예의 일부로서 도시 또는 기술된 특징부는 또 다른 실시예를 달성하도록 다른 실시예에 사용될 수도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첨부된 청구범위 및 그 등가물의 범주 내에 있는 한 그런 변형예와 변경예를 포함한다.
도면을 이제 참조하면, 도 1a 내지 도 3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개시내용에 따른 종동 기구(100)의 실시예는 사실상 원통형인 외부 컵(120), 외부 컵 내에 수납된 내부 컵(140), 내부 컵(140)에 의해 지지된 롤러 종동부(160), 및 외부 컵(120) 내에 형성된 구멍(122)을 통해 연장되는 정렬 장치(142)를 포함한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동 기구(100)는 내연기관의 고압 연료 펌프(180)에 사용되지만, 종동 기구(100)의 다른 용도도 가능하다. 내연기관의 캠샤프트(182)가 회전될 때, 캠샤프트(182)의 로브(184) 또는 캠샤프트(186)에 연결된 (도시 안 된) 로커 아암이 종동 기구(100)의 롤러 종동부(160)에 결합되어 캠샤프트(182)의 회전 운동을 대응하는 실린더 헤드(188)의 보어(186) 내에서의 종동 기구(100)의 선형 운동으로 변환한다. 종동 기구(100)가 보어(186) 내에서 선형 방향으로 이동될 때 펌프 스템(190)이 스프링(192)에 의해 (도시된 바와 같이) 좌측으로 그리고 종동 기구(100)에 의해 우측으로 교번식으로 이동되도록 펌프(180)의 펌프 스템(190)이 종동 기구(100) 내에 위치설정되어 종동 기구에 연결된다. 따라서, 펌프 스템(190)의 운동과 사실상 동일한 방향으로의 힘만이 펌프(180)에 작용하도록 캠샤프트(182)로부터의 힘이 종동 기구(100)를 통해 펌프(180)로 전달된다. 또한, 종동 기구(100)는 회전력이 전달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캠샤프트(182)와 펌프(180) 사이의 비틀림 진동 격리 장치로서 기능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정렬 장치(142)(도 1a)는 외향으로 연장된 탭인데, 이 탭의 일부분은 보어(186)의 내부 벽에 의해 형성된 (도시 안 된) 대응하게 성형된 정렬 홈 내에 활주가능하게 수납된다.
도 5를 추가적으로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외부 컵(120)은 원통형 외부면(124), 원통형 외부면과 사실상 동심인 원통형 내부면(126), 및 정렬 장치(142)를 수납하도록 형성된 구멍(122)을 포함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구멍(122)은 대체로 원통형이지만, 타원형, 정사각형 등일 수도 있다. 외부 컵(120)은 바람직하게는 스탬핑 공정, 또는 다중스테이션 이송 또는 순차이송형 프레스를 사용하는 딥드로잉 공정에 의해 저탄소, 중탄소 또는 고탄소 보통강 또는 합금강의 시트 금속 블랭크로부터 형성되는데, 이 경우 구멍(122)은 예컨대, 천공, 기계가공 또는 다른 절삭에 의해 외부 컵(120)에 형성된다. 또한, 외부 컵(120)은 외부 컵의 대향하는 단부에 각각 형성된 환형 립(128, 134)을 포함한다. 환형 립(128)은 외부 컵(120)의 나머지 측벽보다 반경방향으로 더 얇아서 외부 컵의 나머지 측벽과 함께 환형 레지(130)를 형성한다. 초기 상태에서, 종동 기구(100)를 완전히 조립하기 전에, 환형 립(128)은 외부 컵(120)의 종방향 중심 축(132)에 평행하게 축방향 외향으로 연장되지만, 환형 레지(130)는 종방향 중심 축(132)을 횡단하는 평면에 존재한다. 외부 컵(120)의 형성시, 롤러 종동부의 다른 구성요소가 바람직하게는 환형 립(128)이 배치되는 단부로부터 외부 컵(120) 내로 배치되기 때문에 환형 립(134)은 초기에 반경방향 내향으로 현수된 상태로 형성될 수도 있다.
도 4a 및 도 4b를 추가적으로 참조하면, 내부 컵(140)은 바람직하게는 원통형 측벽(144), 반구형 바닥부(146), 측벽의 상부 주연부로부터 반경방향 외향으로 연장되는 상부 립(148), 측벽(144)에 의해 형성된 한 쌍의 샤프트 구멍(150), 및 측벽으로부터 외향으로 연장되는 정렬 탭(142)을 포함한다. 도 1a, 도 3a 및 도 3b에 가장 잘 도시된 바와 같이, 외부 컵(120)에 완전히 삽입될 때, 내부 컵(140)의 상부 립(148)은 외부 컵(120)의 환형 레지(130) 상에 안착되며 그리고 정렬 탭(142)은 정렬 구멍(122)으로부터 외향으로 연장된다. 외부 컵(120) 내에 완전히 삽입되어 정렬 탭(142)에 의해 회전식으로 위치설정되면, 내부 컵(140)은, 상부 립(148)이 환형 립(128)과 환형 레지(130) 사이에 회전불가능하게 압착되도록 예컨대, 크림핑(crimping), 스핀 컬링(spin curling), 펀치 성형 등을 이용하여 환형 립(128)을 내향으로 절첩함으로써 외부 컵 내에 보유된다. 외부 컵(120)은 롤러 종동부(160)의 샤프트(162)를 직접 지지하지 않기 때문에, 공지된 종동 기구의 외부 컵에 통상적으로 수행되는 열처리 공정이 필요가 없다는 것에 주목하자. 이와 같이, 환형 립(128)에 수행되는 절첩/크림핑 작업이 용이해진다. 그러나, 외부 컵(120)의 열처리가 마모 목적을 위해 요구되는 어플리케이션에서, 열처리 공정은 정렬 특징부(142)를 수납하기 위한 구멍(122)이 형성된 후에 수행된다. 다음에, 환형 립(128)의 내향으로의 절첩, 크림핑 등의 이전에, 환형 립(128)은 크래킹 방지에 도움을 주고 작업을 용이하게 하도록 템퍼링된다.
바람직하게는, 내부 컵(140)은 스탬핑 공정 또는 드로잉 공정에 의해 시트 금속 블랭크로부터 형성되며, 그리고 내부 컵은 종동 기구(100)의 샤프트(162)를 직접 지지하며 그리고 펌프 스템(190)(도 6)에 의해 내부 컵(140)의 바닥에 인가되는 주기적인 힘을 지탱하기 때문에 열처리 공정을 겪게 된다. 열처리 공정 이전에, 샤프트 구멍(150)이 내부 컵(140)의 측벽(144)에 천공되고 그리고 보스(152)가 각각의 샤프트 구멍(150) 주위에 형성되도록 압출성형된다. 유사하게, 윤활 구멍(154)이 임의의 열처리 공정 이전에 내부 컵(140)의 반구형 바닥부(146)에 또한 천공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정렬 탭(142)은 대응하는 원통형 헤드(188)(도 6) 내에 형성되는 (도시 안 된) 정렬 홈에 대응하게 성형되는 둥근 말단부를 포함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바람직하게는 반구형 바닥부(146)의 일부분이 평탄화되어 종동 기구(100)의 종방향 중심 축(132)에 수직인 바닥 벽(156)을 형성할 수도 있다. 바닥 벽(156)은 종동 기구(100)로부터의 힘을 대응하는 펌프 스템(190)으로 또는 대안적으로는 밸브 스템으로 전달하는 것을 용이하게 한다. 그러나, 대안적인 실시예에서 바닥부(146)의 단면 형상은 일정한 곡률 반경을 가질 수도 있음에 주목하자. 대안적으로, 바닥부(146)는 단순히 돔 형상일 수도 있다.
도 2에 가장 잘 도시된 바와 같이, 롤러 종동부(160)는 샤프트(162), 외부 레이스(166), 및 복수의 롤러(164)를 포함하고, 복수의 롤러는 레이스(166)가 샤프트(162) 주위로 자유 회전될 수 있도록 샤프트와 외부 레이스 사이에 배치된다. 샤프트(162)의 대향하는 단부는 롤러 종동부(160)가 내부 컵에 의해 종동 기구(100)의 외부 컵(120)에 장착되도록 내부 컵(140)의 샤프트 구멍(150) 내에 수납된다. 조립시, 롤러 종동부(160)는 레이스(166)의 외부면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캠샤프트(182)의 대응하는 로브(184)에 결합되도록 외부 컵(120)의 상부 에지를 넘어 축방향 외향으로 연장된다. 바람직하게는, 샤프트 구멍(150)의 직경은 샤프트(162)가 작동 중에 샤프트 구멍(150) 내에서 자유 회전되도록 샤프트(162)의 직경보다 약간 더 크다. 대안적으로, 샤프트(162)의 대향하는 단부는 내부 컵에 대한 회전이 방지되도록 내부 컵(140)에 대해 스테이킹되거나, 스웨이징되거나, 달리 처리될 수 있다. 샤프트(162)가 샤프트 구멍(150) 내에서 자유 회전될 때, 샤프트(162)의 축방향 운동은 어느 하나의 단부가 외부 컵(120)의 내부면(126)과 접함으로써 제한된다. 바람직하게는, 와셔(158)가 샤프트(162)를 따르는 레이스(160)와 롤러(164) 양자 모두의 운동을 제한하도록 레이스(160)의 각 단부에 배치된다. 바람직하게는, 환형의 경사진 에지(168)가 외부 레이스(166)의 대향하는 단부에 제공되어 외부 레이스(166)의 전체 크기가 최대한 활용되는 것을 가능케 하지만 내부 컵(140)의 반구형 바닥부(146)의 내부면과 접촉되지는 않게 한다.
도 7a 내지 도 9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개시내용에 따른 종동 기구(200)의 대안적인 실시예는 사실상 원통형인 외부 컵(220), 외부 컵 내에 수납된 내부 컵(240), 내부 컵(240)에 의해 지지된 롤러 종동부(260), 및 외부 컵(220) 내에 형성된 슬롯(222)을 통해 연장되는 정렬 장치(242)를 포함한다. 상술된 실시예와 유사하게, 종동 기구(200)는 내연기관의 고압 연료 펌프(180)(도 6)에 사용될 수도 있지만, 종동 기구(200)의 다른 용도도 가능하다.
도 11을 추가적으로 참조하면, 외부 컵(220)은 원통형 외부면(224), 원통형 외부면과 사실상 동심인 원통형 내부면(226), 및 정렬 장치(242)를 활주가능하게 수납하도록 환형 립(228)에 형성된 슬롯(222)을 포함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슬롯(222)은 편평한 바닥 에지(222a)를 갖는 대체로 U자 형상이다. 그러나, 바닥 에지(222a)는 또한 형상이 반원형, 만곡형 등일 수도 있다. 외부 컵(220)은 바람직하게는 스탬핑 공정, 또는 다중스테이션 이송 또는 순차이송형 프레스를 사용하는 딥드로잉 공정에 의해 저탄소, 중탄소 또는 고탄소 보통강 또는 합금강의 시트 금속 블랭크로부터 형성되는데, 이 경우 각각의 슬롯(222)은 바람직하게는 천공에 의해 형성되지만, 외부 컵(220)에 기계가공되거나 또는 달리 절삭될 수도 있다. 또한, 외부 컵(220)은 외부 컵의 대향하는 단부 각각에 형성된 환형 립(228, 234)을 포함한다. 환형 립(228)은 외부 컵(220)의 나머지 측벽보다 반경방향으로 더 얇아서 외부 컵의 나머지 측벽과 함께 환형 레지(230)를 형성한다. 종동 기구(200)를 완전히 조립하기 전에, 환형 립(228)은 외부 컵(220)의 종방향 중심 축(232)에 평행하게 축방향 외향으로 연장되지만, 환형 레지(230)는 종방향 중심 축(232)을 횡단하는 평면에 존재한다. 외부 컵(220)의 형성시, 롤러 종동부의 다른 구성요소가 바람직하게는 환형 립(228)이 배치되는 단부로부터 외부 컵(220) 내로 배치되기 때문에 환형 립(234)은 초기에 반경방향 내향으로 현수된 상태로 형성될 수도 있다.
도 10a 및 도 10b를 추가적으로 참조하면, 내부 컵(240)은 바람직하게는 2개의 평행한 측부(255)가 개재되어 연장되어 있는 2개의 대향하는 만곡부(243)를 포함하는 측벽(244), 반구형 바닥부(246), 측벽(244)의 상부 주연부로부터 반경방향 외향으로 연장되는 상부 립(248), 측벽(244)에 의해 형성된 한 쌍의 샤프트 구멍(250), 및 측벽으로부터 외향으로 연장되는 정렬 탭(242)을 포함한다. 도 7a, 도 9a 및 도 9b에 가장 잘 도시된 바와 같이, 외부 컵(220)에 완전히 삽입될 때, 내부 컵(240)의 상부 립(248)은 외부 컵(220)의 환형 레지(230) 상에 안착되며 그리고 정렬 탭(242)은 정렬 슬롯(222)으로부터 외향으로 연장된다. 슬롯(222)은 정렬 탭(242)이 슬롯 내에서 직접 활주될 수 있도록 환형 립(228)의 주연부에서 개방되기 때문에 내부 컵(240)은 기울일 필요 없이 외부 컵(220) 내에 직접 삽입될 수도 있다.
외부 컵(220) 내에 완전히 삽입되어 정렬 탭(242)에 의해 회전식으로 위치설정되면, 내부 컵(240)은 상부 립(248)이 환형 립(228)과 환형 레지(230) 사이에 회전불가능하게 압착되도록 예컨대, 크림핑, 스핀 컬링, 펀치 성형 등을 이용하여 환형 립(228)을 내향으로 절첩함으로써 외부 컵 내에 보유된다. 대안적인 실시예에서, 스페이서(229)가 환형 립(228)과 환형 레지(230) 사이에 위치설정될 수도 있음에 주목하자. 스페이서(229)는 립(228)과 레지(230) 사이의 임의의 잠재적인 간극이 최소화되는 것이 보장되는 것을 도와준다. 스페이서(229)는 바람직하게는 플라스틱 또는 유사 재료로 형성된다. 외부 컵(220)은 롤러 종동부(260)의 샤프트(262)를 직접 지지하지 않기 때문에, 공지된 종동 기구의 외부 컵에 통상적으로 수행되는 열처리 공정이 필요가 없다는 것에 주목하자. 이와 같이, 환형 립(228)에 수행되는 절첩/크림핑 작업이 용이해진다. 그러나, 외부 컵(220)의 열처리가 마모 목적을 위해 요구되는 어플리케이션에서, 열처리 공정은 정렬 슬롯(222)이 형성된 후에 수행된다. 다음에, 환형 립(228)의 내향으로의 절첩, 크림핑 등의 이전에, 환형 립(228)은 크래킹 방지에 도움을 주고 작업을 용이하게 하도록 템퍼링된다.
바람직하게는, 내부 컵(240)은 스탬핑 공정 또는 드로잉 공정에 의해 시트 금속 블랭크로부터 형성되며, 그리고 내부 컵은 종동 기구(200)의 샤프트(262)를 직접 지지하기 때문에 열처리 공정을 겪게 된다. 초기에, 측벽(244)은 내부 컵(240)의 형성시에는 사실상 원통형이다. 그러나, 열처리 공정 이전에, 편평한 측부(245)가 형성되어 2개의 대향하는 만곡부(243) 사이에서 연장되는 측부(245)가 된다. 또한, 열처리 공정 이전에, 샤프트 구멍(250)이 내부 컵(240)의 편평한 측부(245)에 천공된다. 윤활 구멍(254)이 임의의 열처리 공정 이전에 내부 컵(240)의 반구형 바닥부(246)에 또한 천공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정렬 탭(242)은 대응하는 원통형 헤드(188)(도 6) 내에 형성되는 (도시 안 된) 정렬 홈에 대응하게 성형되는 둥근 말단부를 포함한다. 도시되진 않았지만, 제1 실시예(도 1a 및 도 1b)와 유사하게, 반구형 바닥부(246)의 일부분이 평탄화되어 종동 기구(200)의 종방향 중심 축(232)에 수직인 바닥 벽을 형성할 수도 있다.
도 8에 가장 잘 도시된 바와 같이, 롤러 종동부(260)는 샤프트(262), 외부 레이스(266), 및 복수의 롤러(264)를 포함하고, 복수의 롤러는 레이스(266)가 샤프트(262) 주위로 자유 회전될 수 있도록 샤프트와 외부 레이스 사이에 배치된다. 샤프트(262)의 대향하는 단부는 내부 컵(240)의 샤프트 구멍(250) 내에 수납된다. 조립시, 롤러 종동부(260)는 레이스(266)의 외부면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캠샤프트(182)의 대응하는 로브(184)에 결합되도록 외부 컵(220)의 상부 에지를 넘어 축방향 외향으로 연장된다. 바람직하게는, 샤프트 구멍(250)의 직경은 샤프트(262)가 샤프트 구멍 내에서 자유 회전되도록 샤프트(262)의 직경보다 약간 더 크다. 대안적으로, 샤프트(262)의 대향하는 단부는 내부 컵에 대한 회전이 방지되도록 내부 컵(240)에 대해 스테이킹되거나, 스웨이징되거나, 달리 처리될 수 있다. 샤프트(262)가 샤프트 구멍(250) 내에서 자유 회전될 때, 샤프트(262)의 축방향 운동은 어느 하나의 단부가 외부 컵(220)의 내부면(226)과 접함으로써 제한된다는 것에 주목하자. 상술된 실시예와는 달리, 내부 컵(240)의 평행한 측부(255)의 편평한 내부면으로 인해 롤러(264)의 대향하는 단부에는 와셔가 필요 없다는 것에 주목하자. 바람직하게는, 환형의 경사진 에지(268)가 외부 레이스(266)의 대향하는 단부에 제공되어 외부 레이스(266)의 전체 크기가 최대한 활용되는 것을 가능케 하지만 내부 컵(240)의 둥근 바닥 코너와 접촉되지는 않게 한다.
도 12a 내지 도 1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개시내용에 따른 종동 기구(300)의 대안적인 실시예는 사실상 원통형인 외부 컵(320), 외부 컵 내에 수납된 내부 컵(340), 내부 컵(340)에 의해 지지된 롤러 종동부(360), 및 외부 컵(320)에 형성된 정렬 장치(342)를 포함한다. 상술된 실시예와 유사하게, 종동 기구(300)는 내연기관의 고압 연료 펌프(180)(도 6)에 사용될 수도 있지만, 종동 기구(300)의 다른 용도도 가능하다.
도 16을 추가적으로 참조하면, 외부 컵(320)은 원통형 외부면, 원통형 외부면과 사실상 동심인 원통형 내부면(324/326), 및 정렬 장치(342)를 포함한다. 외부 컵(320)은 바람직하게는 스탬핑 공정, 또는 다중스테이션 이송 또는 순차이송형 프레스를 사용하는 딥드로잉 공정에 의해 저탄소, 중탄소 또는 고탄소 보통강 또는 합금강의 시트 금속 블랭크로부터 형성된다. 반원형 정렬 특징부(342)가 바람직하게는 임의의 열처리 공정 이전에 외부 컵(320)의 측벽에 절개되거나 형성된다.
외부 컵(320)은 그 대향하는 단부 각각에 형성된 환형 립(328, 334)을 포함한다. 환형 립(328)은 측벽의 제1 벽부(324)보다 반경방향으로 더 얇아서 제1 벽부와 함께 환형 레지(330)를 형성한다. 종동 기구(300)를 완전히 조립하기 전에, 환형 립(328)은 외부 컵(320)의 종방향 중심 축(332)에 평행하게 축방향 외향으로 연장되지만, 환형 레지(330)는 종방향 중심 축(332)을 횡단하는 평면에 존재한다. 외부 컵(320)의 형성시, 롤러 종동부의 다른 구성요소가 바람직하게는 환형 립(328)이 배치되는 단부로부터 외부 컵(320) 내로 배치되기 때문에 환형 립(334)은 초기에 반경방향 내향으로 현수된 상태로 형성될 수도 있다. 추가적으로, 내부 컵(340)의 외부면에 형성된 대응하는 쌍의 레지(348)를 수납하기 위한 레지(331) 또는 안착부가 외부 컵(320)의 내부면의 제1 벽부(324)와 제2 벽부(326) 사이에 배치된다. 레지(331)는 종동 기구(300)의 종방향 중심 축(332)에 수직인 평면에 존재한다.
도 15a 및 도 15b를 추가적으로 참조하면, 내부 컵(340)은 바람직하게는 2개의 평행한 측부(344)가 개재되어 연장되어 있는 2개의 대향하는 만곡부(346)를 포함하는 측벽(345), 바닥 벽(356), 측벽(344)에 의해 형성된 한 쌍의 샤프트 구멍(350), 및 측벽의 만곡부(346) 중의 하나의 만곡부에 배치된 보유 탭(352)을 포함한다. 도 14a에 가장 잘 도시된 바와 같이, 외부 컵(320)에 완전히 삽입될 때, 내부 컵(340)의 레지(348)는 외부 컵(320)의 환형 레지(331)에 안착되며 그리고 보유 탭(352)은 정렬 특징부(342)의 형성으로 인해 생성된 외부 컵(320)의 측벽의 구멍 내로 외향으로 연장된다. 정렬 탭(352)은 경사져 있어서 정렬 특징부(342)의 구멍에 결합될 때까지 외부 컵(320)의 측벽을 외향으로 캐밍하기 때문에 내부 컵(340)은 최소의 힘으로 외부 컵(320)에 직접 삽입될 수도 있음에 주목하자. 외부 컵(320)에 완전히 삽입되어 보유 탭(352)에 의해 회전식으로 위치설정되면, 내부 컵(340)은 환형 립(328)이 내부 컵의 만곡된 측벽부(346)의 상부면(341)에 결합될 때까지 예컨대, 크림핑, 스핀 컬링, 펀치 성형 등을 이용하여 환형 립(328)을 내향으로 절첩함으로써 외부 컵 내에 보유된다. 이와 같이, 내부 컵(340)은 환형 립(328)과 환형 레지(331) 사이에 회전불가능하게 압착된다. 외부 컵(320)은 롤러 종동부(360)의 샤프트(362)를 직접 지지하지 않기 때문에, 공지된 종동 기구의 외부 컵에 통상적으로 수행되는 열처리 공정이 필요가 없다는 것에 주목하자. 이와 같이, 환형 립(328)에 수행되는 절첩/크림핑 작업이 용이해진다. 그러나, 외부 컵(320)의 열처리가 마모 목적을 위해 요구되는 어플리케이션에서, 열처리 공정은 정렬 특징부(342)가 형성된 후에 수행된다. 다음에, 환형 립(328)의 내향으로의 절첩, 크림핑 등의 이전에, 환형 립(328)은 크래킹 방지에 도움을 주고 작업을 용이하게 하도록 템퍼링된다.
바람직하게는, 내부 컵(340)은 스탬핑 공정, 또는 다중스테이션 이송 또는 순차이송형 프레스를 사용하는 딥드로잉 공정에 의해 저탄소, 중탄소 또는 고탄소 보통강 또는 합금강의 시트 금속 블랭크로부터 형성되며, 그리고 내부 컵은 종동 기구(300)의 샤프트(362)를 직접 지지하기 때문에 열처리 공정을 겪게 된다. 열처리 공정 이전에, 샤프트 구멍(350)이 내부 컵(340)의 편평한 측벽부(344)에 천공된다. 윤활 구멍(354)이 임의의 열처리 공정 이전에 내부 컵(340)의 바닥 벽(356)에 또한 천공된다. 도시된 바와 같이, 바닥 벽(356)은 편평하며 그리고 종동 기구(300)의 종방향 중심 축(332)에 수직이다. 바닥 벽(356)은 종동 기구(300)로부터 대응하는 펌프 스템, 밸브 스템 등으로의 힘의 전달을 용이하게 한다.
도 13에 가장 잘 도시된 바와 같이, 롤러 종동부(360)는 샤프트(362), 외부 레이스(366), 및 복수의 롤러(364)를 포함하고, 복수의 롤러는 레이스(366)가 샤프트(362) 주위로 자유 회전될 수 있도록 샤프트와 외부 레이스 사이에 배치된다. 샤프트(362)의 대향하는 단부는 내부 컵(340)의 샤프트 구멍(350) 내에 수납된다. 조립시, 롤러 종동부(360)는 레이스(366)의 외부면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캠샤프트(182)의 대응하는 로브(184)에 결합되도록 외부 컵(320)의 상부 에지를 넘어 축방향 외향으로 연장된다. 바람직하게는, 샤프트 구멍(350)의 직경은 샤프트(362)가 샤프트 구멍 내에서 자유 회전되도록 샤프트(362)의 직경보다 약간 더 크다. 대안적으로, 샤프트(362)의 대향하는 단부는 내부 컵에 대한 회전이 방지되도록 내부 컵(340)에 대해 스테이킹되거나, 스웨이징되거나, 달리 처리될 수 있다. 샤프트(362)가 샤프트 구멍(350) 내에서 자유 회전될 때, 샤프트(362)의 축방향 운동은 어느 하나의 단부가 외부 컵(320)의 내부면(326)과 접함으로써 제한된다는 것에 주목하자. 바람직하게는, 내부 컵(340)의 평행한 측벽부(344)의 편평한 내부면이 롤러(364)의 단부에 대한 지탱면으로서 기능함으로써, 롤러(364)의 대향하는 단부에는 와셔가 필요 없다. 바람직하게는, 환형의 경사진 에지(368)가 외부 레이스(366)의 대향하는 단부에 제공되어 외부 레이스(366)의 전체 크기가 최대한 활용되는 것을 가능케 하지만 내부 컵(340)의 둥근 바닥 코너와 접촉되지는 않게 한다.
도 17a 내지 도 19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개시내용에 따른 종동 기구(400)의 대안적인 실시예는 사실상 원통형인 외부 컵(420), 외부 컵 내에 수납된 내부 컵(440), 스페이서 요소(470), 내부 컵(440)에 의해 지지된 롤러 종동부(460), 및 외부 컵(420)에 형성된 정렬 장치(442)를 포함한다. 상술된 실시예와 유사하게, 종동 기구(400)는 내연기관의 고압 연료 펌프(180)(도 6)에 사용될 수도 있지만, 종동 기구(400)의 다른 용도도 가능하다.
도 22를 추가적으로 참조하면, 외부 컵(420)은 원통형 외부면(424), 원통형 외부면과 사실상 동심인 원통형 내부면(426), 및 정렬 장치(442)를 포함한다. 외부 컵(420)은 바람직하게는 스탬핑 공정, 또는 다중스테이션 이송 또는 순차이송형 프레스를 사용하는 딥드로잉 공정에 의해 저탄소 또는 중탄소 보통강 또는 합금강의 시트 금속 블랭크로부터 형성된다. 반원형 정렬 특징부(442)가 바람직하게는 임의의 열처리 공정 이전에 외부 컵(420)의 측벽에 천공된다. 구체적으로는, 성형에 의해 반경방향 외향으로 추후에 굴곡되어 정렬 특징부(442)가 되는 2개의 돌출부를 제공하는 개뼈 형상의 구멍(422)이 측벽에 천공된다.
외부 컵(420)은 그 대향하는 단부 각각에 형성된 환형 립(428, 434)을 포함한다. 환형 립(428)은 외부 컵(420)의 측벽보다 반경방향으로 더 얇아서 외부 컵의 측벽과 함께 환형 레지(430)를 형성한다. 종동 기구(400)를 완전히 조립하기 전에, 환형 립(428)은 외부 컵(420)의 종방향 중심 축(432)에 평행하게 축방향 외향으로 연장되지만, 환형 레지(430)는 종방향 중심 축(432)을 횡단하는 평면에 존재한다. 외부 컵(420)의 형성시, 롤러 종동부의 다른 구성요소가 바람직하게는 환형 립(428)이 배치되는 단부로부터 외부 컵(420) 내로 배치되기 때문에 환형 립(434)은 초기에 반경방향 내향으로 현수된 상태로 형성될 수도 있다. 상술된 실시예와는 달리, 외부 컵(420)은 내부 컵(440)을 지지하도록 구성되는 외부 컵의 내부면(426)에 형성된 레지를 포함하지 않는다. 대신에, 종동 기구(400)는 후술되는 바와 같이 내부 컵(440)을 외부 컵(420) 내에 지지하는 스페이서 요소(470)를 포함한다.
도 19a, 도 19b 및 도 21을 추가적으로 참조하면, 스페이서 요소(470)는 바람직하게는 내부에 형성된 복수의 구멍(472)을 포함하는 원통형 측벽(474), 및 내부에 형성된 복수의 윤활 구멍(478)을 포함하는 상부 벽(476)을 포함한다. 도 19a 및 도 19b에 가장 잘 도시된 바와 같이, 외부 컵(420)에 완전히 삽입될 때, 측벽(474)의 바닥 에지는 상부 벽(476)이 종방향 중심 축(432)을 횡단하여 내부 컵(440)을 외부 컵(420) 내에 지지하도록 위치설정되게 환형 립(434)에 접한다.
바람직하게는, 스페이서 요소(470)는 스탬핑 공정, 또는 다중스테이션 이송 또는 순차이송형 프레스를 사용하는 딥드로잉 공정에 의해 저탄소, 중탄소 또는 고탄소 보통강 또는 합금강의 시트 금속 블랭크로부터 형성되며, 그리고 스페이서 요소는 종동 기구(400)의 샤프트(462)를 직접 지지하지 않기 때문에 열처리 공정을 겪지 않는다. 구멍(472)이 종동 기구(400)의 전체 중량을 저감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스페이서 요소(470)의 측벽(474)에 천공된다. 윤활 구멍(478)이 내부 컵(440)의 바닥 벽(456)에 형성된 윤활 구멍(454)과 적어도 부분적으로 정렬되도록 스페이서 요소(470)의 상부 벽(476)에 또한 천공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 벽(476)은 종동 기구(400)로부터 대응하는 펌프 스템, 밸브 스템 등으로의 힘의 전달을 용이하게 위해 편평하며 그리고 종동 기구(400)의 종방향 중심 축(432)에 수직이다.
도 20을 추가적으로 참조하면, 내부 컵(440)은 바람직하게는 2개의 평행한 측부(444)가 개재되어 연장되어 있는 2개의 대향하는 만곡부(446)를 포함하는 측벽(445), 측벽 내에 형성된 복수의 구멍(451), 바닥 벽(456), 측벽(444)에 의해 형성된 한 쌍의 샤프트 구멍(450), 및 측벽의 만곡부(446) 중의 하나의 만곡부에 배치된 보유 탭(452)을 포함한다. 도 19a에 가장 잘 도시된 바와 같이, 외부 컵(420)에 완전히 삽입될 때, 내부 컵(440)의 바닥 벽(456)은 스페이서 요소(470)의 상부 벽(476)에 안착되며 그리고 보유 탭(452)은 정렬 특징부(442)의 형성으로 인해 생성된 외부 컵(420)의 측벽의 구멍(422) 내로 외향으로 연장된다. 정렬 탭(452)은 경사져 있어서 정렬 특징부(442)의 구멍에 결합될 때까지 외부 컵(420)의 측벽을 외향으로 캐밍하기 때문에 내부 컵(440)은 최소의 힘으로 외부 컵(420)에 직접 삽입될 수도 있음에 주목하자. 외부 컵(420)에 완전히 삽입되어 보유 탭(452)에 의해 회전식으로 위치설정되면, 내부 컵(440)은 환형 립(428)이 내부 컵의 만곡된 측벽부(446)의 상부면(441)에 결합될 때까지 예컨대, 크림핑, 스핀 컬링, 펀치 성형 등을 이용하여 환형 립(428)을 내향으로 절첩함으로써 외부 컵 내에 보유된다. 이와 같이, 내부 컵(440)은 환형 레지(434)에 접하는 환형 립(428)과 스페이서 요소(470) 사이에 회전불가능하게 압착된다. 외부 컵(420)은 롤러 종동부(460)의 샤프트(462)를 직접 지지하지 않기 때문에, 공지된 종동 기구의 외부 컵에 통상적으로 수행되는 열처리 공정이 필요가 없다는 것에 주목하자. 이와 같이, 환형 립(428)에 수행되는 절첩/크림핑 작업이 용이해진다. 그러나, 외부 컵(420)의 열처리가 마모 목적을 위해 요구되는 어플리케이션에서, 열처리 공정은 정렬 특징부(442)의 구멍(422)이 형성된 후에 수행된다. 다음에, 환형 립(428)의 내향으로의 절첩, 크림핑 등의 이전에, 환형 립(428)은 크래킹 방지에 도움을 주고 작업을 용이하게 하도록 템퍼링된다.
바람직하게는, 내부 컵(440)은 스탬핑 공정, 또는 다중스테이션 이송 또는 순차이송형 프레스를 사용하는 딥드로잉 공정에 의해 저탄소, 중탄소 또는 고탄소 보통강 또는 합금강의 시트 금속 블랭크로부터 형성되며, 그리고 내부 컵은 종동 기구(400)의 샤프트(462)를 직접 지지하기 때문에 열처리 공정을 겪게 된다. 열처리 공정 이전에, 샤프트 구멍(450)이 만곡된 측벽부(446) 내의 구멍(451)과 같이 내부 컵(440)의 편평한 측벽부(444)에 천공된다. 윤활 구멍(454)이 임의의 열처리 공정 이전에 내부 컵(440)의 바닥 벽(456)에 또한 천공된다. 도시된 바와 같이, 바람직하게는 바닥 벽(456)은 편평하며 그리고 종동 기구(400)의 종방향 중심 축(432)에 수직이다. 바닥 벽(456)은 롤러 종동부(460)로부터 스페이서 요소(470)로의 그리고 이에 따라 대응하는 펌프 스템, 밸브 스템 등으로의 힘의 전달을 용이하게 한다.
도 18에 가장 잘 도시된 바와 같이, 롤러 종동부(460)는 샤프트(462), 외부 레이스(466), 및 복수의 롤러(464)를 포함하고, 복수의 롤러는 레이스(466)가 샤프트(462) 주위로 자유 회전될 수 있도록 샤프트와 외부 레이스 사이에 배치된다. 샤프트(462)의 대향하는 단부는 내부 컵(440)의 샤프트 구멍(450) 내에 수납된다. 조립시, 롤러 종동부(460)는 레이스(466)의 외부면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캠샤프트(182)의 대응하는 로브(184)에 결합되도록 외부 컵(420)의 상부 에지를 넘어 축방향 외향으로 연장된다. 바람직하게는, 샤프트 구멍(450)의 직경은 샤프트(462)가 샤프트 구멍 내에서 자유 회전되도록 샤프트(462)의 직경보다 약간 더 크다. 대안적으로, 샤프트(462)의 대향하는 단부는 내부 컵에 대한 회전이 방지되도록 내부 컵(440)에 대해 스테이킹되거나, 스웨이징되거나, 달리 처리될 수 있다. 샤프트(462)가 샤프트 구멍(450) 내에서 자유 회전될 때, 샤프트(462)의 축방향 운동은 어느 하나의 단부가 외부 컵(420)의 내부면(426)과 접함으로써 제한된다는 것에 주목하자. 내부 컵(440)의 평행한 측벽부(444)의 편평한 내부면으로 인해 롤러(464)의 대향하는 단부에는 와셔가 필요 없다는 것에 주목하자. 바람직하게는, 환형의 경사진 에지(468)가 외부 레이스(466)의 대향하는 단부에 제공되어 외부 레이스(466)의 전체 크기가 최대한 활용되는 것을 가능케 하지만 내부 컵(440)의 둥근 바닥 코너와 접촉되지는 않게 한다.
본 발명의 하나 이상의 바람직한 실시예가 상술되었지만, 다양한 변형예와 변경예가 본 발명의 범주 및 기술사상을 벗어나지 않고 이루어질 수 있다는 것을 통상의 기술자는 알아야 한다. 본 발명은 첨부된 청구범위 및 그 등가물의 범주 내에 있는 한 그런 변형예와 변경예를 포함한다.

Claims (21)

  1. 보어의 종방향 중심 축을 따라 보어 내에서 이동가능한 종동 기구이며,
    외부 컵으로서, 사실상 원통형인 측벽을 형성하는 내부면과 외부면, 측벽의 제1 단부에 배치되는 환형 립부, 및 측벽의 내부면에 배치되는 환형 레지를 포함하며, 환형 레지는 종동 기구의 종방향 중심 축을 횡단하는 평면에 배치되는, 외부 컵,
    내부 컵으로서, 내부 컵으로부터 외향으로 연장되는 환형 립 및 한 쌍의 샤프트 구멍을 포함하며, 내부 컵의 립이 외부 컵의 환형 레지에 접하고 그리고 내부 컵의 립에 접하는 외부 컵의 환형 립에 의해 환형 레지에 회전불가능하게 고정되도록 외부 컵 내에 배치되는, 내부 컵,
    샤프트로서, 상기 샤프트 구멍들 중의 대응하는 하나의 샤프트 구멍 내에 각각 배치되는 제1 단부 및 제2 단부를 갖는, 샤프트, 및
    롤러 종동부의 일부분이 외부 컵의 환형 립부를 넘어 축방향 외향으로 연장되도록 샤프트 상에 회전가능하게 수납되는 롤러 종동부
    를 포함하는, 종동 기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 컵은 2개의 대향하는 만곡부를 포함하는 측벽, 2개의 대향하는 만곡부 사이에서 연장되는 한 쌍의 평행한 측부, 및 측벽의 제2 단부에 배치되는 반구형부를 추가로 포함하며,
    상기 환형 립은 측벽의 전방 단부로부터 반경방향 외향으로 연장되는, 종동 기구.
  3. 제2항에 있어서, 샤프트 구멍이 내부 컵의 평행한 측부 각각에 형성되는, 종동 기구.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 컵은 제1 단부 및 제2 단부를 포함하는 원통형 측벽, 및 원통형 측벽의 제2 단부에 배치되는 반구형부를 추가로 포함하며,
    상기 환형 립은 원통형 측벽의 제1 단부로부터 반경방향 외향으로 연장되는, 종동 기구.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샤프트 구멍은 내부 컵의 측벽에 형성되고,
    원통형 보스가 각각의 샤프트 구멍의 둘레에 형성되며,
    상기 원통형 보스는 측벽으로부터 종동 기구의 종방향 중심 축을 향해 내향으로 연장되는, 종동 기구.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샤프트의 제1 및 제2 단부는 샤프트 구멍 내에 회전가능하게 수납되는, 종동 기구.
  7.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 컵의 반구형부는, 원통형 측벽을 관통하며 그리고 종동 기구의 종방향 중심 축을 횡단하는 평면에서 취하는 경우, 내부 컵의 단면의 반경과 동일한 곡률 반경을 갖는, 종동 기구.
  8.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 컵은 외부 컵의 측벽에 형성된 구멍을 통해 내부 컵으로부터 반경방향 외향으로 연장되는 정렬 장치를 추가로 포함하는, 종동 기구.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정렬 장치는 내부 컵과 일체로 형성되는 탭을 추가로 포함하는, 종동 기구.
  10.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롤러 종동부는 샤프트 주위로 회전가능하게 수납되는 외부 레이스, 및 외부 레이스와 샤프트 사이에 배치되는 복수의 롤러를 포함하며,
    상기 외부 레이스는 각각의 단부에 환형 경사면을 포함하는, 종동 기구.
  11.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환형 레지는 환형 립부에 인접한 외부 컵의 제1 단부에 배치되는, 종동 기구.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환형 립부는 종동 기구의 종방향 중심 축에 대해 반경방향으로 외부 컵의 측벽보다 얇은, 종동 기구.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컵의 측벽은 제1 원통형 측벽부 및 제2 원통형 측벽부를 포함하며,
    상기 환형 레지는 제1 원통형 측벽부와 제2 원통형 측벽부 사이에 배치되는, 종동 기구.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원통형 측벽부는 종동 기구의 종방향 중심 축에 대해 반경방향으로 제2 원통형 측벽부보다 얇은, 종동 기구.
  15. 보어의 종방향 중심 축을 따라 보어 내에서 이동가능한 종동 기구이며,
    외부 컵으로서, 사실상 원통형인 측벽을 형성하는 내부면과 외부면, 측벽의 제1 단부에 배치되는 환형 립부, 및 측벽의 내부면에 배치되는 환형 레지를 포함하며, 환형 레지는 종동 기구의 종방향 중심 축을 횡단하는 평면에 배치되는, 외부 컵,
    내부 컵으로서, 내부 컵으로부터 외향으로 연장되는 환형 립을 포함하며, 내부 컵의 립이 외부 컵의 환형 레지에 접하고 그리고 내부 컵의 립에 접하는 외부 컵의 환형 립에 의해 환형 레지에 회전불가능하게 고정되도록 외부 컵 내에 배치되는, 내부 컵, 및
    상기 내부 컵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지지되는 롤러 종동부를 포함하는, 종동 기구.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 컵은 한 쌍의 샤프트 구멍을 추가로 포함하며,
    상기 롤러 종동부는 샤프트 구멍들 중의 대응하는 하나의 샤프트 구멍 내에 각각 배치되는 제1 단부 및 제2 단부를 갖는 샤프트, 및 외부 레이스의 일부분이 외부 컵의 환형 립부를 넘어 축방향 외향으로 연장되도록 샤프트 상에 회전가능하게 수납되는 외부 레이스를 추가로 포함하는, 종동 기구.
  17.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 컵은 제1 단부 및 제2 단부를 포함하는 원통형 측벽, 및 원통형 측벽의 제2 단부에 배치되는 반구형부를 추가로 포함하며,
    상기 환형 립은 원통형 측벽의 제1 단부로부터 반경방향 외향으로 연장되는, 종동 기구.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 컵의 반구형부는, 원통형 측벽을 관통하며 그리고 종동 기구의 종방향 중심 축을 횡단하는 평면에서 취하는 경우, 내부 컵의 단면의 반경과 동일한 곡률 반경을 갖는, 종동 기구.
  19.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 컵은 한 쌍의 만곡된 측벽, 및 한 쌍의 만곡된 측벽 사이에서 연장되는 한 쌍의 평행한 측벽을 추가로 포함하며,
    상기 만곡된 측벽은 내부 컵의 내부면의 인접한 부분들의 곡률과 동일한 곡률을 갖는, 종동 기구.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 컵의 립은 만곡된 측벽들 중의 하나에 배치되는, 종동 기구.
  21.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환형 레지는 환형 립부에 인접한 외부 컵의 제1 단부에 배치되는, 종동 기구.
KR1020170049125A 2016-04-15 2017-04-17 종동 기구 KR10193142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01662323110P 2016-04-15 2016-04-15
US62/323,110 2016-04-15
US201662379505P 2016-08-25 2016-08-25
US62/379,505 2016-08-25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18622A true KR20170118622A (ko) 2017-10-25
KR101931426B1 KR101931426B1 (ko) 2018-12-20

Family

ID=599804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49125A KR101931426B1 (ko) 2016-04-15 2017-04-17 종동 기구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2) US10119607B2 (ko)
JP (1) JP6445611B2 (ko)
KR (1) KR101931426B1 (ko)
CN (2) CN111622819B (ko)
DE (1) DE102017206523B4 (ko)
FR (1) FR305023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380132B2 (ja) * 2015-01-29 2018-08-29 株式会社デンソー 駆動機構搭載部品
EP3173591B1 (en) * 2015-11-24 2018-07-11 Aktiebolaget SKF Cam follower roller device with spacer
US10119607B2 (en) 2016-04-15 2018-11-06 Koyo Bearings North America Llc Follower mechanism
DE102018128384B3 (de) * 2018-11-13 2019-11-07 Schaeffler Technologies AG & Co. KG Rollenstößel für eine Kraftstoffpumpe
US10941737B2 (en) * 2019-01-14 2021-03-09 Koyo Bearings North America Llc Follower mechanism with anti-rotation feature
JP2020118156A (ja) * 2019-01-25 2020-08-06 コーヨー ベアリングス ノース アメリカ エルエルシー カムシャフト・フォロワ機構
US11143059B2 (en) 2019-10-03 2021-10-12 Koyo Bearings North America Llc Tappet assembly with unground outer cup
US11149593B2 (en) 2019-10-03 2021-10-19 Koyo Bearings North America Llc Tappet assembly with formed anti-rotation alignment device
WO2022006517A1 (en) * 2020-07-02 2022-01-06 Koyo Bearings North America Llc Anti-rotation feature on a drawn cup tappet
CN116507800A (zh) * 2020-12-11 2023-07-28 伊顿智能动力有限公司 冲压泵致动器及其组装方法
CN114701181B (zh) * 2022-03-15 2023-08-25 株洲时代瑞唯减振装备有限公司 一种金属与高分子材料结合的产品的快速装配方法和装置

Family Cites Families (4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613117A (en) 1923-04-23 1927-01-04 Jacob C Miller Cushioned valve tappet
US1848083A (en) 1929-08-07 1932-03-01 Gen Motors Corp Method of forming valve tappets
US2891525A (en) 1955-08-01 1959-06-23 Thompson Ramo Wooldridge Inc Tappet barrel
DE2063819A1 (de) 1970-12-24 1972-07-06 Motomak Motorenbau Maschinen- und Werkzeugfabrik, Konstruktionen GmbH, 8070 Ingolstadt Sich selbsttätig hydraulisch einstellendes Spielausgleichselement für die Ventilsteuerung von Brennkraftmaschinen
IT940087B (it) 1971-10-29 1973-02-10 Piv Skf Spa Punteria per il comando delle valvole di motori a combustione interna e procedimento per la sua fabbricazione
DE2835912C2 (de) 1978-08-16 1981-12-03 M.A.N. Maschinenfabrik Augsburg-Nürnberg AG, 8500 Nürnberg Flachstößel für Ventilantriebe
JPS5540269A (en) 1978-09-16 1980-03-21 Suzuki Motor Co Ltd Manufacturing method of tappet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 by press
US4335685A (en) 1979-10-19 1982-06-22 Caterpillar Tractor Co. Lifter assembly
DE3149356A1 (de) 1981-12-12 1983-06-16 INA Wälzlager Schaeffler KG, 8522 Herzogenaurach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s ventilstoessels fuer brennkraftmaschinen
JPS62255507A (ja) 1986-04-30 1987-11-07 Hitachi Ltd バルブリフタ−の製造方法
DE3820645A1 (de) 1988-06-18 1989-12-21 Herzing & Schroth Gmbh & Co Becherfoermiges gehaeuse
JP3268463B2 (ja) 1992-03-03 2002-03-25 フジオーゼックス株式会社 内燃機関用油圧式タペット
US5280771A (en) 1992-09-23 1994-01-25 Eaton Corporation Direct acting hydraulic tappet
DE4428309A1 (de) 1993-08-24 1995-03-02 Schaeffler Waelzlager Kg Tassenförmiger Ventilstößel
US5553512A (en) 1993-09-14 1996-09-10 Ntn Corporation Roller tappet having yoke member with flat top plate
DE19542697A1 (de) 1995-11-16 1997-05-22 Schaeffler Waelzlager Kg Stößel für einen Ventiltrieb einer Brennkraftmaschine
DE19602012A1 (de) 1996-01-20 1997-07-24 Schaeffler Waelzlager Kg Durch einen Nocken einer Brennkraftmaschine betätigter Ventilstößel
DE19603916A1 (de) 1996-02-03 1997-08-07 Schaeffler Waelzlager Kg Stößel für den Ventiltrieb einer Brennkraftmaschine
US5904123A (en) 1997-05-26 1999-05-18 Ina Walzlager Schaeffler Ohg Mechanical valve tappet
DE19730200A1 (de) 1997-07-15 1999-01-21 Schaeffler Waelzlager Ohg Gehäuse für einen schaltbaren Tassenstößel
DE10106983A1 (de) 2001-02-15 2002-08-29 Ina Schaeffler Kg Stößel
JP2003065021A (ja) 2001-08-29 2003-03-05 Fuji Oozx Inc 内燃機関用タペット
JP2004257286A (ja) 2003-02-25 2004-09-16 Nsk Ltd タペットローラ及びカムフォロア装置
DE10360467B4 (de) 2003-12-22 2011-11-10 Trw Deutschland Gmbh Mechanischer Ventilstößel
DE102004025532A1 (de) 2004-05-25 2005-12-15 Ina-Schaeffler Kg Tassenstößel eines Ventiltriebs einer Brennkraftmaschine
DE102004039705A1 (de) 2004-08-17 2006-03-23 Ina-Schaeffler Kg Schaltbarer Stößel
DE102004056457A1 (de) 2004-11-23 2006-06-08 Schaeffler Kg Tassenstößel für eine Brennkraftmaschine
JP5303468B2 (ja) 2006-12-05 2013-10-02 シャエフラー カーゲー 特に内燃機関の燃料ポンプのためのメカニカルタペット
US7793583B2 (en) * 2006-12-06 2010-09-14 Schaeffler Kg Mechanical tappet in particular for a fuel pump of an internal combustion engine
DE102006059716A1 (de) 2006-12-18 2008-06-26 Mahle International Gmbh Verdrehgesicherter Stößel eines Ventiltriebes
DE102009013130A1 (de) 2009-03-13 2010-09-16 Schaeffler Technologies Gmbh & Co. Kg Stössel
DE102009013132A1 (de) 2009-03-13 2010-09-16 Schaeffler Technologies Gmbh & Co. Kg Stössel
FR2946406B1 (fr) 2009-06-05 2016-07-01 Skf Ab Dispositif de rouleau suiveur de came, notamment pour pompe d'injection de carburant.
JP2011094596A (ja) 2009-11-02 2011-05-12 Denso Corp タペット装置およびそのタペット装置を用いた燃料供給ポンプ
DE102010026360B4 (de) * 2010-07-07 2020-12-03 Schaeffler Technologies AG & Co. KG Stößel mit einer Verdrehsicherung
DE102010032254A1 (de) 2010-07-26 2012-01-26 Schaeffler Technologies Gmbh & Co. Kg Tassenstößel und Verfahren zu dessen Herstellung
BR112013014653B1 (pt) 2010-12-13 2021-01-05 Eaton Coporation tucho e método para fabricar um tucho
PT2466159E (pt) 2010-12-15 2013-11-19 Agustawestland Spa Sistema de fixação
CN107084014B (zh) * 2012-02-08 2020-06-19 光洋轴承北美有限责任公司 从动机构
JP2013217304A (ja) 2012-04-10 2013-10-24 Ntn Corp ポンプ用タペット、および高圧燃料ポンプ
DE102012210176A1 (de) 2012-06-18 2013-12-19 Schaeffler Technologies AG & Co. KG Stößel
JP6110080B2 (ja) 2012-06-20 2017-04-05 株式会社オティックス 内燃機関用のローラリフタ
DE102013216562A1 (de) 2013-08-21 2015-02-26 Schaeffler Technologies Gmbh & Co. Kg Verfahren zum Tiefziehen von Tassenstößeln
EP2853698B1 (en) * 2013-09-27 2016-06-01 Aktiebolaget SKF Cam follower, injection pump and valve actuator comprising such a cam follower and manufacturing method
EP2853738B1 (en) 2013-09-27 2016-04-27 Aktiebolaget SKF Mechanical system, injection pump and valve actuator comprising such a mechanical system and manufacturing method
EP2853699B1 (en) 2013-09-27 2016-05-25 Aktiebolaget SKF Tappet, injection pump and valve actuator comprising such a tappet and manufacturing method for such a tappet
WO2015106051A1 (en) 2014-01-12 2015-07-16 Eaton Corporation Engine valve lifter oil flow control and anti-rotation feature
EP2947307A1 (en) 2014-05-23 2015-11-25 Aktiebolaget SKF Cam follower roller device with integrated sealing elements, notably for a fuel injection pump
US10119607B2 (en) 2016-04-15 2018-11-06 Koyo Bearings North America Llc Follower mechanis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90063580A1 (en) 2019-02-28
JP6445611B2 (ja) 2018-12-26
CN111622819B (zh) 2022-05-31
CN107859541A (zh) 2018-03-30
CN111622819A (zh) 2020-09-04
US10385957B2 (en) 2019-08-20
CN107859541B (zh) 2020-05-01
DE102017206523B4 (de) 2019-09-12
DE102017206523A1 (de) 2017-10-19
JP2017207202A (ja) 2017-11-24
US20170299037A1 (en) 2017-10-19
FR3050230A1 (ko) 2017-10-20
US10119607B2 (en) 2018-11-06
KR101931426B1 (ko) 2018-12-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31426B1 (ko) 종동 기구
US9982767B2 (en) Follower mechanism
KR102210446B1 (ko) 팰릿 상에 수용된 내부 컵을 갖는 태핏
KR102294206B1 (ko) 회전-방지 특징부를 갖는 종동 기구
US11143059B2 (en) Tappet assembly with unground outer cup
EP3443206B1 (en) Tappet with sliding inner cup
US11149593B2 (en) Tappet assembly with formed anti-rotation alignment device
US20200240501A1 (en) Camshaft follower mechanism
WO2022006517A1 (en) Anti-rotation feature on a drawn cup tappe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