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115828A - 수동변속기의 변속레버 어셈블리 - Google Patents

수동변속기의 변속레버 어셈블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115828A
KR20170115828A KR1020160043531A KR20160043531A KR20170115828A KR 20170115828 A KR20170115828 A KR 20170115828A KR 1020160043531 A KR1020160043531 A KR 1020160043531A KR 20160043531 A KR20160043531 A KR 20160043531A KR 20170115828 A KR20170115828 A KR 2017011582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ver
shift
housing
coupled
cab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435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905950B1 (ko
Inventor
민정선
김덕기
김영근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경창산업주식회사
기아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경창산업주식회사, 기아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04353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05950B1/ko
Priority to JP2016125795A priority patent/JP6655480B2/ja
Priority to US15/239,866 priority patent/US10100920B2/en
Priority to DE102016117292.8A priority patent/DE102016117292B4/de
Priority to CN201610832739.8A priority patent/CN107269822B/zh
Publication of KR2017011582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1582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0595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0595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20/00Arrangement or mounting of change-speed gearing control devices in vehicles
    • B60K20/02Arrangement or mounting of change-speed gearing control devices in vehicles of initiating me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59/00Control inputs to control units of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F16H59/02Selector apparatus
    • F16H59/0278Constructional features of the selector lever, e.g. grip parts, mounting or manufactur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59/00Control inputs to control units of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F16H59/02Selector apparatus
    • F16H59/04Ratio selector apparatu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59/00Control inputs to control units of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F16H59/02Selector apparatus
    • F16H59/0204Selector apparatus for automatic transmissions with means for range selection and manual shifting, e.g. range selector with tiptronic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61/00Control functions within control units of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Control of exclusively fluid gearing, friction gearing, gearings with endless flexible members or other particular types of gearing
    • F16H61/26Generation or transmission of movements for final actuating mechanisms
    • F16H61/36Generation or transmission of movements for final actuating mechanisms with at least one movement being transmitted by a cable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GCONTROL DEVICES OR SYSTEMS INSOFAR AS CHARACTERISED BY MECHANICAL FEATURES ONLY
    • G05G1/00Controlling members, e.g. knobs or handles; Assemblies or arrangements thereof; Indicating position of controlling members
    • G05G1/04Controlling members for hand actuation by pivoting movement, e.g. lev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59/00Control inputs to control units of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F16H59/02Selector apparatus
    • F16H2059/026Details or special features of the selector casing or lever suppor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59/00Control inputs to control units of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F16H59/02Selector apparatus
    • F16H2059/026Details or special features of the selector casing or lever support
    • F16H2059/0273Cardan or gimbal type joints for supporting the lev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Gear-Shifting Mechanisms (AREA)
  • 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Devices For Change-Speed Gearing (AREA)
  • Mechanical Control Devices (AREA)

Abstract

변속레버 하우징에 대해 전후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시프트케이블과 셀렉트케이블 중 어느 하나의 변속케이블이 결합되는 하부레버; 및 상기 하부레버에 좌우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나머지 하나의 변속케이블이 결합되는 상부레버;를 포함하는 수동변속기의 변속레버 어셈블리가 소개된다.

Description

수동변속기의 변속레버 어셈블리 {SHIFT-LEVER ASSEMBLY OF MANUAL TRANSMISSION}
본 발명은 차량의 주행시 변속을 위한 수동변속기에 있어서, 셀렉트 동작시 시프트케이블이 꺾여 내구성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수동변속기의 변속레버 어셈블리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차량의 변속기는 변속하는 방식에 따라 수동변속기, 자동변속기 및 무단변속기 등으로 구분되며, 주행상태에 따라 엔진의 토크 및 회전을 변환할 수 있는 장치이다.
이러한, 변속기는 변속 레버의 조작을 통해 원하는 변속단으로 변속을 수행할 수 있고, 사용자에 의하여 변속단을 바꿀 수 있는 수동 변속 모드와 사용자가 주행 모드을 선택시에 속도에 따라 자동으로 변속단을 바꾸는 자동 변속 모드로 구분되어 있다.
이와 더불어, 최근에는 하나의 변속기에서 수동 변속과 자동 변속을 수행할 수 있는 변속 모드가 적용되고 있다. 즉, 자동 변속을 수행하면서, 사용자에 의해 기어의 단수를 높이거나 낮추어서 수동 변속을 수행하거나 수동 변속을 하는 변속기 옆에 자동 변속을 할 수 있는 변속기를 구비하여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수동변속기의 경우에는, 사용자가 변속레버를 차량의 좌우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셀렉터와 셀렉터가 선택된 상태에서 차량의 전후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시프트 방향으로 구분되어 작동된다.
통상적인 수동변속기의 변속레버는 작동로드의 하방에 시프트케이블과 셀렉트케이블이 각각 연결된다. 따라서, 변속시 시프트케이블과 셀렉트케이블이 별도로 작동되어야 변속이 원활하게 수행되고, 조작감이 향상되는 등 가장 이상적이게 된다.
그러나 현재 적용되고 있는 변속레버 어셈블리의 경우에는 작동로드의 하방에 결합되는 하나의 볼힌지에 의해 시프트와 셀렉트가 작동되기 때문에 중앙에 위치되는 3/4단을 제외하고는 셀렉트시 시프트케이블이 꺾인 상태로 작동되어 불필요한 조작력이 증가되고, 변속케이블의 내구성이 저하되는 불리한 구조이다.
상기의 배경기술로서 설명된 사항들은 본 발명의 배경에 대한 이해 증진을 위한 것일 뿐,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게 이미 알려진 종래기술에 해당함을 인정하는 것으로 받아들여져서는 안 될 것이다.
KR 1999-005692 A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셀렉트시 시프트케이블이 꺾이는 것을 방지하여 조작감이 향상되고, 부품의 내구성을 증대시킬 수 있는 수동변속기의 변속레버 어셈블리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수동변속기의 변속레버 어셈블리는 변속레버 하우징에 대해 전후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시프트케이블과 셀렉트케이블 중 어느 하나의 변속케이블이 결합되는 하부레버; 및 상기 하부레버에 좌우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나머지 하나의 변속케이블이 결합되는 상부레버;를 포함한다.
상기 하부레버에는 상기 상부레버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레버홀더가 구비되고, 상기 레버홀더에는 레버축이 마련되어, 상기 상부레버가 상기 레버축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상부레버에는 상기 레버홀더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회전축부와 상기 회전축부에서 돌출되게 형성되고, 변속케이블이 결합되는 케이블돌기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레버축은 상기 레버홀더와 상기 회전축부를 전후방향으로 관통결합될 수 있다.
상기 회전축부는 상기 레버홀더의 내측에 삽입되고, 상기 케이블돌기는 상기 레버홀더에 형성된 홀더구멍을 통해 상기 레버홀더의 외측으로 돌출될 수 있다.
상기 레버홀더 좌우방향의 측면에는 상기 레버홀더의 회전중심이 되는 원형힌지부가 돌출형성되고, 상기 원형힌지부에는 부시가 결합될 수 있다.
상기 변속레버 하우징에는 상기 레버홀더가 삽입되는 하우징챔버가 상측이 개구되게 형성되고, 상기 변속레버 하우징의 양측면에는 상기 원형힌지부에 결합된 부시가 삽입되도록 상측이 개구된 하우징부시홈이 형성되며, 상기 변속레버 하우징에는 상기 하우징챔버의 개구된 상측을 커버할 수 있도록 하우징커버가 결합될 수 있다.
상기 하우징부시홈으로 삽입된 상기 부시의 테두리부는 상기 하우징부시홈으로부터 돌출되고, 상기 하우징커버의 좌우방향 양측면에는 상기 하우징부시홈으로부터 돌출된 상기 부시의 테두리부와 접촉하도록 상기 커버부시홈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하부레버에 결합되는 변속케이블은 시프트케이블일 수 있다.
상기 상부레버에 결합되는 변속케이블은 셀렉트케이블일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조로 이루어진 수동변속기의 변속레버 어셈블리에 따르면 수동변속기의 변속레버 조작시 변속감에 있어서, 셀렉트 동작시 시프트케이블의 꺾임이 발생되지 않아 조작감이 향상된다. 또한, 시프트케이블의 꺾임을 근본적으로 개선하여 시프트케이블의 내구성의 증대되는 장점이 있다. 더구나, 기존의 볼힌지를 동일하게 이용함으로써, 복잡한 U조인트를 사용하는 형식 대비하여 부품증대를 최소화하고, 구성이 간단해지고 원가절감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동변속기의 변속레버 어셈블리의 사시도.
도 2는 도 1의 분해사시도.
도 3은 상부레버에서부터 하부레버까지를 상세하게 도시한 분해사시도.
도 4는 도 3의 결합도.
도 5는 하우징커버와 변속레버 하우징을 도시한 도면.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수동변속기의 변속레버 어셈블리에 대하여 살펴본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동변속기의 변속레버 어셈블리의 사시도 이고, 도 2는 도 1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3은 상부레버(100)에서부터 하부레버(600)까지를 상세하게 도시한 분해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의 결합도이다. 또한, 도 5는 하우징커버(400)와 변속레버 하우징(900)을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수동변속기의 변속레버 어셈블리는 변속레버 하우징(900)에 대해 전후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시프트케이블(210)과 셀렉트케이블(220) 중 어느 하나의 변속케이블(210,220)이 결합되는 하부레버(600); 및 상기 하부레버(600)에 좌우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나머지 하나의 변속케이블(210,220)이 결합되는 상부레버(100);를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는 셀렉트를 좌우방향으로의 회동으로 정의하고, 시프트를 전후방향으로의 회동으로 정의한다. 또한, 상기 상부레버(100)에는 셀렉트케이블(220)이 연결되고, 상기 하부레버(600)에는 시프트케이블(210)이 장착된 것으로 도시하고 예를 들어 설명하나, 이러한 예시는 설계나 환경에 따라 얼마든지 변경 가능할 것이다. 아래에서 본 발명의 수동변속기의 변속레버 어셈블리에 대해 보다 상세하게는 설명하도록 한다.
상기 상부레버(100)는 사용자가 변속단의 변경을 위하여 직접 조작하는 변속노브(미도시)의 하방에 연결되어 있다. 사용자가 변속단의 변경을 위하여 상기 변속노브를 조작하면, 사용자의 조작력이 상기 상부레버(100)를 통해 변속레버 어셈블리에 전달되게 된다.
상기 하부레버(600)에는 상기 상부레버(100)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레버홀더(500)가 마련된다. 상기 레버홀더(500)에는 레버축(800)이 마련되어, 상기 상부레버(100)가 상기 레버축(800)에 의해 상기 레버홀더(50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특히, 상기 레버축(800)은 상기 레버홀더(500)와 상기 회전축부(700)를 전후방향으로 관통결합된다. 도 3에 도시한 것처럼, 상기 레버축(800)은 상기 레버홀더(500)의 양측에서 복수의 레버축(800)이 각각 결합될 수도 있고, 하나의 축이 상기 레버홀더(500)와 상기 회전축부(700)를 관통할 수도 있다.
상기 상부레버(100)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상기 상부레버(100)에는 상기 레버홀더(50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회전축부(700)와 상기 회전축부(700)에서 돌출되게 형성되고, 변속케이블(210,220)이 결합되는 케이블돌기(310)가 구비된다. 도 3에 도시한 것처럼, 상기 상부레버(100)의 하단에는 상기 조작부재(300)가 이중사출 등의 방법으로 연결된다. 특히, 상기 상부레버(100)의 하단에는 측방으로 절곡되어 연장된 연장부(110)가 형성되고, 상기 연장부(110)는 상기 케이블돌기(310)에 삽입되어 이중사출됨으로써, 보다 강건한 구조를 갖게 된다.
상기 조작부재(300)의 상측은 상기 상부레버(100)의 하단부를 일부 높이만큼 감싸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케이블돌기(310)에는 셀렉트를 위한 셀렉트케이블(220)이 결합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변속단의 선택을 위해 좌우방향으로 상기 변속노브를 조작하면, 상기 상부레버(100)가 상기 회전축부(700)인 축 A를 중심으로 좌우방향으로 회동되어 1/2단, 3/4단 및 5/R단 중에서 하나를 선택하게 된다.
상기 레버홀더(500)는 차량의 좌우방향을 길이방향으로 하는 내측이 빈 원기둥 형상으로써, 상기 레버홀더(500)의 양측면에는 단면이 원형이되, 외측으로 돌출형성된 원형힌지부(550)가 형성된다. 상기 원형힌지부(550)는 상기 레버홀더(500)의 축 B를 중심으로 하는 회전중심이 된다. 상기 원형힌지부(550)에는 상기 원형힌지부(550)의 외주면을 감싸는 형상으로 부시(590)가 결합된다.
상기 부시(590)는 상기 변속레버 하우징(900) 내에서 상기 레버홀더(500)가 전후방향으로의 회동시, 회동이 원활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구조를 적용하는 것은 상기 레버홀더(500)의 전후방향으로의 회동시 회전축을 확보하면서도 동시에 회전축 상에 상기 케이블돌기(310)가 위치되어야 하기 때문이며, 따라서, 상기 변속레버 하우징(900)과 하우징커버(400)에 의해 상기 레버홀더(500)가 지지됨으로써, 보다 강건한 구조을 확보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이, 상기 부시(590)는 상기 하부레버(600)의 회전시 상기 변속레버 하우징(900)과 상기 레버홀더(500) 사이에 발생되는 마찰을 감소시키고, 상기 원형힌지부(550)가 상기 변속레버 하우징(900)에 대하여 회전이 가능하도록 하는 것이다. 더불어, 마모를 감소시키고 소음을 저감하는 효과가 있다.
상기 레버홀더(500)의 내측에는 상기 회전축부(700)가 삽입되고, 상기 케이블돌기(310)는 상기 레버홀더(500)에 형성된 홀더구멍(510)을 통해 상기 레버홀더(500)의 외측으로 돌출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상부레버(100)는 전후방향으로의 회동시 원기둥인 상기 레버홀더(500)의 길이방향 즉, 차량의 좌우방향인 축 B를 회전중심으로 하여, 상기 상부레버(100)의 회동에 따라 상기 레버홀더(500)가 전후방향으로 회전하여 시프트 동작을 수행하게 된다.
상기 레버홀더(500)의 하방에는 시프트케이블(210)이 연결되는 상기 하부레버(600)가 연결된다. 특히, 상기 하부레버(600)는 별물로 형성되어 상기 레버홀더(500)에 결합되는 것이 강건성 확보가 용이할 것이다. 따라서, 상기 레버홀더(500)의 하측에 하방으로 연장형성된 끼움부(570)가 마련되고, 상기 하부레버(600)는 상기 끼움부(570)에 결합되게 된다.
따라서, 실질적으로 상기 레버홀더(500) 내에서 상기 회전축부(700)와 상기 하부레버(600)가 이격되어 서로 연결되지 않으므로, 독립된 서로의 회전중심을 각각 갖게 되어, 시프트 혹은 셀릭트 동작시 상대 동작에 영향을 끼치지 않게 되는 것이다. 즉, 상기 상부레버(100)의 좌우방향으로의 회동시인 셀렉트시에는 축 A인 상기 회전축부(700)을 중심으로 상기 케이블돌기(310)만 상기 삽입홀(510) 내에서 상하방향으로 작동된다.
또한, 상기 상부레버(100)의 전후방향으로의 회동시인 시프트시에는 축 B인 상기 레버홀더(500)을 중심으로 회동되어 상기 회전축부(700)가 상기 레버홀더(500)을 가압한다. 따라서, 상기 레버홀더(500)는 회동되되, 상기 케이블돌기(310)는 축 B상에 위치되어 상하방향으로 회동되지 않게 된다. 즉, 본 발명에서는 시프트와 셀렉트 동작시 서로의 회전중심인 축을 분리함으로써, 좌우방향으로의 회동과 전후방향으로의 회동이 각각 독립적으로 구현되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상부레버(100)의 좌우방향으로의 회동시 상기 회전축부(700)가 상기 레버홀더(500)의 내측면과 상대회전된다. 또한, 상기 상부레버(100)의 전후방향으로의 회동시 축 B를 중심으로 상기 레버홀더(500)가 회동되므로, 상기 회전축부(700)이 상기 레버홀더(500)을 가압하여 상기 레버홀더(500)가 전후방향으로 회동되어 상기 하부레버(600)가 셀렉트된 단에서 하나를 선택하도록 시프트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이, 상기 회전축부(700)의 보다 원활한 회전을 위하여 상기 회전축부(700)에는 내측에 길이방향으로 관통홀(730)이 형성되고, 상기 관통홀(730)에는 바형상의 레버축(800)이 삽입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레버홀더(500)의 내측에는 상기 레버축(800)과 대응되는 지점에 회동홈(530)이 형성됨으로써, 상기 상부레버(100)의 좌우방향 회동시 상기 회전축부(700)는 상기 레버축(800)에 의해 상기 회동홈(530) 내에서 상기 레버홀더(500)에 대하여 상대회전된다. 반대로 상기 상부레버(100)의 전후방향 회동시 상기 레버축(800)이 상기 레버홀더(500)를 전후방향으로 가압하여 상기 레버홀더(500)가 전후방향으로 회동되게 되는 것이다.
또한, 도 5에 도시한 것처럼, 상기 변속레버 하우징(900)에는 상기 레버홀더(500)가 삽입되는 하우징챔버(930)가 상측이 개구되게 형성된다. 상기 변속레버 하우징(900)의 양측면에는 상기 원형힌지부(550)에 결합된 부시(590)가 삽입되도록 상측이 개구된 하우징부시홈(910)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변속레버 하우징(900)에는 상기 하우징챔버(930)의 개구된 상측을 커버할 수 있도록 하우징커버(400)가 결합된다.
상기 하우징부시홈(910)으로 삽입된 상기 부시(590)의 테두리부는 상기 하우징부시홈(910)으로부터 돌출되고, 상기 하우징커버(400)의 좌우방향 양측면에는 상기 하우징부시홈(910)으로부터 돌출된 상기 부시(590)의 테두리부와 접촉하도록 상기 커버부시홈(430)이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레버홀더(500)는 상기 변속레버 하우징(900)과 상기 하우징커버(400)에 결합되되, 상기 부시(590)에 의해 상대회전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레버홀더(500)는 상기 하우징커버(400)에 의해 하방으로 가압됨으로써, 상기 레버홀더(500)가 고정되어, 작동의 강건성이 확보되는 효과가 있다. 상기 하우징커버(400)에는 끼움홀(410)이 형성되어 상기 상부레버(100)가 관통된다. 또한, 상기 변속레버 하우징(900)에는 상기 하우징커버(400)와의 체결을 위한 복수의 체결홀(미도시)이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하우징커버(400)와 상기 변속레버 하우징(900)은 체결부재(미도시)에 의해 체결되되, 스냅핀, 스크류 등 다양한 방식으로 체결할 수 있을 것이다.
도면에서 볼 수 있는 것처럼, 상기 조작부재(300)와 상기 하부레버(600)는 별물로 형성되고, 전후방향으로의 회동시와 좌우방향으로의 회동시 각각의 회전축이 분리되어 작동되는 더블샤프트 형태로 회전축이 구성된다. 따라서, 상기 상부레버(100)의 좌우방향으로의 회동시에는 축 A를 중심으로 회전되되, 상기 레버홀더(500)를 상대로 상기 레버축(800)이 관통된 상기 회전축부(700)가 상대회전하므로, 상기 하부레버(600)는 전혀 회동되지 않는다. 또한, 반대로 상기 상부레버(100)의 전후방향으로의 회동시에는 축 B를 중심으로 회전되기 때문에 축B의 연장선상에 상기 케이블돌기(310)가 형성되어 상기 케이블돌기(310)는 축 B와 동일하게 회동되되, 축 B를 벗어나서는 회동되지 않게 되는 것이다.
이러한 구조를 갖도록 구성하는 이유는, 구조의 단순화를 위해서는 셀렉트케이블(220)이 연결되는 케이블돌기(310)가 전후방향으로의 회동시 회전축을 관통하는 축에 형성되어야 하나, 볼트 등을 관통 조립해야하는 체결부재(미도시)의 적용시 체결부재와 케이블돌기(310)가 간섭을 일으키게 되어 적용이 불가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상기 변속레버 하우징(900)과 하우징커버(400)를 통해 상기 레버홀더(500)를 고정하는 구조를 이용함으로써, 그러한 간섭을 제거하되, 동시에 보다 강건한 동작을 확보할 수 있게 되는 장점이 있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수동변속기의 변속레버 어셈블리에 의하면, 수동변속기의 변속레버 조작시 변속감에 있어서, 셀렉트 동작시 시프트케이블(210)의 꺾임이 발생되지 않아 조작감이 향상된다. 또한, 시프트케이블(210)의 꺾임을 근본적으로 개선하여 시프트케이블(210)의 내구성의 증대되는 장점이 있다. 더구나, 기존의 볼힌지를 동일하게 이용함으로써, 복잡한 U조인트를 사용하는 형식 대비하여 부품증대를 최소화하고, 구성이 간단해지고 원가절감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특정한 실시예에 관련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제공되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본 발명이 다양하게 개량 및 변화될 수 있다는 것은 당 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자명할 것이다.
100 : 상부레버 110 : 연장부
210 : 시프트케이블 220 : 셀렉트케이블
300 : 조작부재 310 : 케이블돌기
400 : 하우징커버 410 : 끼움홀
430 : 커버부시홈 500 : 레버홀더
510 : 홀더구멍 530 : 회동홈
550 : 원형힌지부 570 : 끼움부
590 : 부시 600 : 하부레버
700 : 회전축부 730 : 관통홀
800 : 레버축 900 : 변속레버 하우징
910 : 하우징부시홈 930 : 하우징챔버

Claims (10)

  1. 변속레버 하우징에 대해 전후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시프트케이블과 셀렉트케이블 중 어느 하나의 변속케이블이 결합되는 하부레버; 및
    상기 하부레버에 좌우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나머지 하나의 변속케이블이 결합되는 상부레버;를 포함하는 수동변속기의 변속레버 어셈블리.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하부레버에는 상기 상부레버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레버홀더가 구비되고, 상기 레버홀더에는 레버축이 마련되어, 상기 상부레버가 상기 레버축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동변속기의 변속레버 어셈블리.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상부레버에는 상기 레버홀더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회전축부와 상기 회전축부에서 돌출되게 형성되고, 변속케이블이 결합되는 케이블돌기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동변속기의 변속레버 어셈블리.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레버축은 상기 레버홀더와 상기 회전축부를 전후방향으로 관통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동변속기의 변속레버 어셈블리.
  5.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회전축부는 상기 레버홀더의 내측에 삽입되고, 상기 케이블돌기는 상기 레버홀더에 형성된 홀더구멍을 통해 상기 레버홀더의 외측으로 돌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동변속기의 변속레버 어셈블리.
  6.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레버홀더 좌우방향의 측면에는 상기 레버홀더의 회전중심이 되는 원형힌지부가 돌출형성되고, 상기 원형힌지부에는 부시가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동변속기의 변속레버 어셈블리.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변속레버 하우징에는 상기 레버홀더가 삽입되는 하우징챔버가 상측이 개구되게 형성되고, 상기 변속레버 하우징의 양측면에는 상기 원형힌지부에 결합된 부시가 삽입되도록 상측이 개구된 하우징부시홈이 형성되며, 상기 변속레버 하우징에는 상기 하우징챔버의 개구된 상측을 커버할 수 있도록 하우징커버가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동변속기의 변속레버 어셈블리.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부시홈으로 삽입된 상기 부시의 테두리부는 상기 하우징부시홈으로부터 돌출되고, 상기 하우징커버의 좌우방향 양측면에는 상기 하우징부시홈으로부터 돌출된 상기 부시의 테두리부와 접촉하도록 상기 커버부시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동변속기의 변속레버 어셈블리.
  9.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하부레버에 결합되는 변속케이블은 시프트케이블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동변속기의 변속레버 어셈블리.
  10.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상부레버에 결합되는 변속케이블은 셀렉트케이블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동변속기의 변속레버 어셈블리.
KR1020160043531A 2016-04-08 2016-04-08 수동변속기의 변속레버 어셈블리 KR101905950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43531A KR101905950B1 (ko) 2016-04-08 2016-04-08 수동변속기의 변속레버 어셈블리
JP2016125795A JP6655480B2 (ja) 2016-04-08 2016-06-24 手動変速機の変速レバーアセンブリー
US15/239,866 US10100920B2 (en) 2016-04-08 2016-08-18 Shift-lever assembly of manual transmission
DE102016117292.8A DE102016117292B4 (de) 2016-04-08 2016-09-14 Schalthebelvorrichtung eines handschaltgetriebes
CN201610832739.8A CN107269822B (zh) 2016-04-08 2016-09-14 手动变速器的换挡杆组件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43531A KR101905950B1 (ko) 2016-04-08 2016-04-08 수동변속기의 변속레버 어셈블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15828A true KR20170115828A (ko) 2017-10-18
KR101905950B1 KR101905950B1 (ko) 2018-10-08

Family

ID=599298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43531A KR101905950B1 (ko) 2016-04-08 2016-04-08 수동변속기의 변속레버 어셈블리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10100920B2 (ko)
JP (1) JP6655480B2 (ko)
KR (1) KR101905950B1 (ko)
CN (1) CN107269822B (ko)
DE (1) DE102016117292B4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18566B1 (ko) * 2018-12-26 2020-06-03 경창산업주식회사 변속 레버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차량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698043B2 (ja) * 2017-03-14 2020-05-27 株式会社東海理化電機製作所 シフト装置
US10704673B1 (en) * 2019-10-01 2020-07-07 Midwest Truck & Auto Parts, Inc. Transmission with configurable shifter

Family Cites Families (2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333360A (en) * 1980-07-03 1982-06-08 Borg-Warner Corporation Transmission shift control apparatus
US4458549A (en) * 1981-08-12 1984-07-10 Toyota Jidosha Kogyo Kabushiki Kaisha Select return mechanism for a transmission
US4583417A (en) * 1984-06-25 1986-04-22 Cablecraft, Inc. Two-cable shifting mechanism for transmissions
US4671131A (en) * 1986-02-18 1987-06-09 Cablecraft, Inc. Transmitter for use with a two-cable shifting mechanism for a transmission
KR960010463U (ko) 1994-09-30 1996-04-12 수동변속레버
US5560253A (en) 1994-10-13 1996-10-01 Tsuda Kogyo Kabushiki Kaisha Shift lever assembly for manual transmission
IT235836Y1 (it) * 1995-04-14 2000-07-18 Fiat Auto Spa Gruppo leva comando cambio e dispositivo per il suo correttoposizionamento.
KR970061598A (ko) * 1996-02-29 1997-09-12 야마베 미찌히꼬 자동차용 수동 변속기의 조작 레버 장치
DE19817166B4 (de) 1998-04-17 2008-01-31 Fico Triad S.A., Rubi Schalthebelelement
KR100311453B1 (ko) 1999-02-20 2001-11-02 차인석 금속판 도금장치
KR200247093Y1 (ko) 1999-06-01 2001-09-26 이계안 수동 변속 레버의 조작성 향상장치
JP2001114071A (ja) * 1999-10-19 2001-04-24 Fuji Kiko Co Ltd キーインターロック機構付きコラムシフト装置
KR100398182B1 (ko) 2000-11-30 2003-09-19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의 수동변속기 변속조작기구
ATE294344T1 (de) * 2001-02-12 2005-05-15 Zf Ansa Lemfoerder S L Schalthebel für kraftfahrzeuge
DE10231015B4 (de) * 2002-07-09 2006-08-31 ZF Lemförder Metallwaren AG Bewegungsübersetzer für eine isodistante Schaltsensorik
DE10353240A1 (de) * 2003-11-13 2005-06-16 Zf Friedrichshafen Ag Schalteinrichtung
DE102005001818B4 (de) * 2005-01-13 2006-11-30 Zf Friedrichshafen Ag Schaltvorrichtung für ein Automatikgetriebe eines Kraftfahrzeuges
EP1998083A1 (en) 2007-05-30 2008-12-03 Kongsberg Automotive AB Gear shift system for operating a pair of transmission cables
JP5086130B2 (ja) * 2008-02-28 2012-11-28 デルタ工業株式会社 自動車用変速機のシフト装置
DE102008052377B4 (de) 2008-10-20 2013-10-31 Jopp Gmbh Schalthebelanordnung
JP5167185B2 (ja) * 2009-03-31 2013-03-21 富士機工株式会社 シフトレバー装置
JP5225937B2 (ja) * 2009-06-08 2013-07-03 デルタ工業株式会社 自動変速機のシフト装置
JP6126910B2 (ja) * 2013-05-24 2017-05-10 株式会社東海理化電機製作所 シフト装置
KR101459957B1 (ko) * 2013-10-11 2014-11-10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변속기 차량용 변속레버 조립체
KR101462919B1 (ko) * 2013-11-15 2014-11-19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공용변속레버와 브라켓 체결구조
KR101519264B1 (ko) * 2013-12-18 2015-05-12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의 변속레버 장치
JP6292945B2 (ja) * 2014-03-31 2018-03-14 株式会社アツミテック 車両用変速操作装置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18566B1 (ko) * 2018-12-26 2020-06-03 경창산업주식회사 변속 레버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차량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7269822B (zh) 2020-06-19
CN107269822A (zh) 2017-10-20
US20170292603A1 (en) 2017-10-12
JP6655480B2 (ja) 2020-02-26
KR101905950B1 (ko) 2018-10-08
DE102016117292B4 (de) 2023-09-28
US10100920B2 (en) 2018-10-16
DE102016117292A1 (de) 2017-10-12
JP2017187161A (ja) 2017-10-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05950B1 (ko) 수동변속기의 변속레버 어셈블리
KR100380059B1 (ko) 자동변속기용 셀렉터 레버유닛의 쉬프트 스위치 조작장치
KR101691843B1 (ko) 차량용 변속 장치
KR20150076496A (ko) 수동변속기의 기어 액추에이터
KR101459957B1 (ko) 자동변속기 차량용 변속레버 조립체
KR101806711B1 (ko) 수동변속기의 변속레버 어셈블리
US10711882B2 (en) Operating shift apparatus for manual transmission
CN101275672A (zh) 用于变速器的换档控制设备
US20190211926A1 (en) Manual transmission
KR101418869B1 (ko) 차량용 수동 변속기 레버 조립체
JP6008008B1 (ja) 手動変速機のチェンジ操作機構
CN106481807A (zh) 变速器换挡机构、变速器及汽车
KR20090048835A (ko) 자동차의 수동변속기용 컨트롤 샤프트 유닛
KR101316165B1 (ko) 수동변속기의 변속 조작 디텐트 기구
KR100836919B1 (ko) 수동변속기의 변속레버용 셀렉트 레버
KR100345121B1 (ko) 자동변속기용 셀렉터 레버의 디턴트 장치
KR100568822B1 (ko) 수동변속기의 변속조작기구
KR100311138B1 (ko) 매뉴얼 모드를 구비한 자동변속기용 셀렉터 레버유닛
KR970008496B1 (ko) 자동차용 수동 변속기의 변속장치
JP2607222Y2 (ja) 乗用移動農機における変速装置
KR20130108933A (ko) 수동변속기용 변속 조작기구
KR100642545B1 (ko) 수동변속기의 변속조작기구
KR20210138972A (ko) 자동변속기 차량용 변속레버 조립구조
JP2005067339A (ja) 歩行型作業機の変速操作装置
KR100946505B1 (ko) 수동 변속기의 디텐트 앗세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