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18566B1 - 변속 레버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차량 - Google Patents

변속 레버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차량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18566B1
KR102118566B1 KR1020180168893A KR20180168893A KR102118566B1 KR 102118566 B1 KR102118566 B1 KR 102118566B1 KR 1020180168893 A KR1020180168893 A KR 1020180168893A KR 20180168893 A KR20180168893 A KR 20180168893A KR 102118566 B1 KR102118566 B1 KR 10211856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ift
lever
magnet
shift lever
selec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688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동원
강용수
Original Assignee
경창산업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경창산업주식회사 filed Critical 경창산업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16889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18566B1/ko
Priority to DE102019133602.3A priority patent/DE102019133602A1/de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1856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1856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20/00Arrangement or mounting of change-speed gearing control devices in vehicles
    • B60K20/02Arrangement or mounting of change-speed gearing control devices in vehicles of initiat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30/00Purposes of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e.g. of systems using 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 B60W30/18Propelling the vehicle
    • B60W30/18009Propelling the vehicle related to particular drive situations
    • B60W30/18054Propelling the vehicle related to particular drive situations at stand still, e.g. engine in idling stat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59/00Control inputs to control units of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F16H59/02Selector apparatus
    • F16H59/0278Constructional features of the selector lever, e.g. grip parts, mounting or manufactur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59/00Control inputs to control units of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F16H59/02Selector apparatus
    • F16H59/04Ratio selector apparatus
    • F16H59/044Ratio selector apparatus consisting of electrical switches or sens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59/00Control inputs to control units of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F16H59/02Selector apparatus
    • F16H59/08Range selector apparatus
    • F16H59/10Range selector apparatus comprising levers
    • F16H59/105Range selector apparatus comprising levers consisting of electrical switches or sens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2510/00Input parameters relating to a particular sub-units
    • B60W2510/10Change speed gearings
    • B60W2510/1005Transmission ratio engaged
    • B60W2510/101Transmission neutral stat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59/00Control inputs to control units of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F16H59/02Selector apparatus
    • F16H2059/026Details or special features of the selector casing or lever support
    • F16H2059/0273Cardan or gimbal type joints for supporting the lev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59/00Control inputs to control units of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F16H59/68Inputs being a function of gearing status
    • F16H2059/6823Sensing neutral state of the transmiss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Devices For Change-Speed Gear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변속 레버 장치는 하우징, 레버 수용부, 변속 레버 및 센서부를 포함한다. 레버 수용부는 하우징에 결합되고, 원형 힌지부 및 셀렉트 축부를 포함한다. 변속 레버는 레버 수용부에 결합되고, 원형 힌지부를 기준으로 시프트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고, 셀렉트 축부를 기준으로 셀렉트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다. 센서부는 레버 수용부에 연결되고, 변속 레버가 시프트 방향으로 회전하여 변속단이 선택되는 경우, 선택된 변속단을 감지한다.

Description

변속 레버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차량{Shift Lever Device and Vehicle Having The Same}
본 발명은 변속 레버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좁은 공간에서 변속단을 감지할 수 있고. 공회전 제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변속 레버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차량에 관한 것이다.
변속 장치(transmission)는 엔진에서 생성한 동력을 회전력으로 변환하는 장치로, 내연 기관은 최대 토크를 얻을 수 있는 분당 회전수(Revolution Per Minute; RPM) 대역과 최대 출력을 얻을 수 있는 분당 회전수 대역이 상이하므로, 차량의 속도나 엔진의 회전수에 따라 적절한 기어를 선택해 동력을 회전력으로 변환할 필요가 있다.
여기서, 변속 레버 장치는 변속 장치를 제어하는 장치로, 변속 레버 장치는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수동으로 변속 레벨(즉, 변환에 사용되는 기어)을 변경하는 수동 변속 레버 장치(수동변속기)와 변속 레벨을 자동으로 조절해주는 자동 변속 레버 장치(자동변속기)로 나뉜다.
한편, 차량에 시동은 걸려있으나 주행하지 않는 상태를 공회전 상태라고 한다. 이러한 공회전 상태에서도 엄연히 엔진이 동작되고 있으므로 연료가 소모되고, 이로 인해 연비가 감소할 뿐만 아니라 대기오염을 일으키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공회전 상태를 감지하여 시동을 끄는 공회전 제한 기능(Idle Stop & Go; ISG)이 연구되고 있고, 이러한 기능을 탑재한 차량이 제조되고 있다.
종래의 공회전 제한 기능을 구현하는 수동 변속 레버 장치에는, 주행하지 않는 상태를 감지하는 센서의 구조가 크고 복잡하여 협소한 공간에 설치하기 어렵다는 문제점이 존재한다.
예를 들어, 아래의 선행기술문헌은 공회전 제한 기능을 설명하고 있으나, 주행하지 않는 상태를 감지하는 센서를 구체적으로 개시하고 있지 않아 좁은 공간에 설치할 수 있는 변속 레버 장치를 제시하지 못한다는 문제점을 여전히 갖는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4-0075175호 (공개일자 2014년 06월 19일)
본 발명의 목적은 간단한 구조로 차량의 변속단을 감지할 수 있는 변속 레버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공회전 제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차량을 제공하는 것이다.
다만,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 목적들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하게 확장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변속 레버 장치는 하우징, 레버 수용부, 변속 레버 및 센서부를 포함한다. 레버 수용부는 하우징에 결합되고, 원형 힌지부 및 셀렉트 축부를 포함한다. 변속 레버는 레버 수용부에 결합되고, 원형 힌지부를 기준으로 시프트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고, 셀렉트 축부를 기준으로 셀렉트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다. 센서부는 레버 수용부에 연결되고, 변속 레버가 시프트 방향으로 회전하여 변속단이 선택되는 경우, 선택된 변속단을 감지한다.
일 실시 예에 의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변속 레버 장치는 담력 생성부를 더 포함한다. 담력 생성부는 레버 수용부에 형성된 그루브, 그루브와 접촉하는 접촉부, 접촉부를 지지하는 지지부 및, 접촉부 또는 지지부를 탄성 지지하는 탄성부재를 포함한다. 변속 레버가 시프트 방향으로 회전하면, 접촉부는 탄성부재에 의해 그루브에 접촉하여 이동한다.
일 실시 예에 의하면, 접촉부는 롤러(Roller) 또는 블렛(Bullet)이다.
일 실시 예에 의하면, 센서부는 자석, 자석을 수용하고 레버 수용부에 연결되는 자석 수용부 및 자석에서 발생하는 자기장을 감지하는 감지부를 포함한다. 변속 레버가 시프트 방향으로 회전하면, 레버 수용부는 변속 레버와 연동하여 레버 수용부와 연결된 자석 수용부가 회전하므로 자석이 움직인다. 자석의 움직임에 따라 감지부가 변화되는 자기장을 측정하고, 측정된 자기장을 이용하여 차량의 중립 변속단을 감지한다.
일 실시 예에 의하면, 센서부는 레버 수용부에 배치되는 자석 및 자석에서 발생하는 자기장을 감지하는 감지부를 포함한다. 변속 레버가 시프트 방향으로 회전하면, 레버 수용부는 변속 레버와 연동하여 레버 수용부에 배치된 자석이 움직인다. 자석의 움직임에 따라 감지부가 변화되는 자기장을 측정하고, 측정된 자기장을 이용하여 차량의 중립 변속단을 감지한다.
일 실시 예에 의하면, 변속 레버는 시프트 축부의 일측을 수용하는 시프트 축 수용부 및 셀렉트 축부를 수용하는 셀렉트 축 수용부를 포함한다. 시프트 축부의 일측에는 셀렉트 축부가 관통하는 홀이 형성된다.
상술한 실시 예들에 따른 변속 레버 장치를 포함하는 차량은 측정된 자기장에 기초하여 차량의 변속단이 중립 변속단인지 여부를 판단하고, 변속단이 중립 변속단이면 공회전 제한 기능(Idle Stop & Go; ISG)을 수행하는 전자 제어 장치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변속 레버 장치는 차량 내에서 변속 레버 장치가 차지하는 협소한 공간에서도 변속단을 감지할 수 있고, 구조가 간단하여 설계 공간을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변속 레버 장치가 포함된 차량은 변속단이 변화되는 도중에 변속 레버가 중립 변속단에 위치하는 경우를 판단할 수 있고, 나아가 이 경우에 공회전 제한 기능을 실행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의 효과는 상기 효과들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하게 확장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변속 레버 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변속 레버 장치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의 변속 레버, 레버 수용부, 담력 생성부 및 센서부(제1 실시 예)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에서 다른 센서부(제2 실시 예)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도 5는 롤러가 적용된 담력 생성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블렛이 적용된 담력 생성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구성요소 중 종래기술에 의하여 통상의 기술자가 명확하게 파악할 수 있고 용이하게 재현할 수 있는 것에 관하여는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리지 않기 위하여 그 구체적인 설명을 생략하도록 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변속 레버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차량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변속 레버 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변속 레버 장치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의 변속 레버, 레버 수용부, 담력 생성부 및 센서부(제1 실시 예)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변속 레버 장치는 하우징(100)(Housing), 변속 레버(200)(Shift lever), 레버 수용부(300) 및 센서부(500)를 포함할 수 있다.
레버 수용부(300)는 하우징(100)에 결합되고, 원형 힌지부(310-1, 310-2) 및 셀렉트(Select) 축부를 포함한다. 변속 레버(200)는 레버 수용부(300)에 결합되고, 원형 힌지부(310-1, 310-2)를 기준으로 시프트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고, 셀렉트 축부(350)를 기준으로 셀렉트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다. 센서부(500)는 레버 수용부(300)에 연결되고, 사용자가 변속 레버(200)를 시프트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경우, 사용자가 선택한 변속단을 감지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시프트 방향과 셀렉트 방향을 정의하고, 각 구성요소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여기서, 시프트(Shift) 방향과 셀렉트(Select) 방향은 변속 레버(200)가 회전하는 이동 방향을 나타낸다.
변속 레버(200)는 사용자가 변속단(수동 변속기의 경우, 후진, 1단, 2단 및 3단 등)을 선택할 수 있도록 하는 구성요소로서, 시프트 방향 또는 셀렉트 방향으로 움직일 수 있다. 시프트 방향은 변속단(후진, 1단, 2단, 3단 등)으로의 이동 방향을 나타내며, 셀렉트 방향은 시프트 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을 나타낸다.
사용자는 변속 레버(200)를 시프트 방향으로 이동시켜 원하는 변속단(후진, 1단, 2단, 3단 등)을 선택할 수 있다.
변속 레버(200)가 중립 변속단에 위치하는 경우 및 셀렉트 방향으로 이동하는 경우에는 변속단(후진, 1단, 2단, 3단 등)이 선택되지 않은 상태이다. 변속단(후진, 1단, 2단, 3단 등)이 선택되지 않은 상태에서는 엔진의 동력이 바퀴에 전달되지 않는다.
변속 레버(200)가 중립 변속단에 위치하는 경우는 변속 레버(200)가 시프트 방향으로 회전하여 변속단(후진, 1단, 2단, 3단 등) 위치에 있지 않은 경우 및/또는 셀렉트 방향으로 이동하지 않은 경우를 말한다.
<하우징(100)>
하우징(100)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변속 레버 장치의 외부를 구성한다.
하우징(100)은 차량 내에 장착되고,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변속 레버 장치의 각종 구성요소들이 수용되는 내부 공간을 갖는다.
하우징(100)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하우징(100)을 구성하는 여러 구성품들의 조합(결합)으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하우징(100)은 상부 하우징과 하부 하우징의 결합 또는 좌측 하우징과 우측 하우징의 결합 등 여러 구성품들을 조합(결합)하여 형성될 수 있다. 결합되는 방식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볼트 체결방식 등 다양한 방식이 적용될 수 있다.
하우징(100)의 내부 형상은 특별히 정해지지 않았으며, 하우징(100)의 내부는 변속 레버 장치를 구성하는 각종 구성요소들이 수용될 수 있는 수용부들을 가질 수 있고, 각종 구성요소들이 고정 및 결합될 수 있도록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하우징(100)의 외부 형상은 특별히 정해지지 않았으며, 변속 레버 장치를 구성하는 각종 구성요소들이 고정 및 결합될 수 있도록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변속 레버 장치의 하우징(100)은 하우징 덮개부(110)를 포함할 수 있다.
하우징 덮개부(110)는 상면을 포함하고, 상기 상면은 평평한 면으로 형성될 수 있고,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굴곡 또는 단차가 포함된 면으로 형성될 수 있다.
하우징 덮개부(110)의 상면에는 홀(hole)(113)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홀(113)에는 하기에서 설명하는 변속 레버(200)가 관통하여 배치된다. 상기 홀(113)을 위에서 바라본 형상은 특별히 정해지지 않으며, 변속 레버(200)가 시프트 방향 또는 셀렉트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허용하는 다양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변속 레버 장치의 하우징(100)은 부시(Bush) 안착부(130-1, 130-2)를 포함할 수 있다.
부시 안착부(130-1, 130-2)는 원형 홀 형상을 포함할 수 있고, 하우징(100)의 양 측면에 각각 형성될 수 있다.
부시 안착부(130-1, 130-2)에는 하기에서 설명하는 레버 수용부(300)의 원형 힌지(Hinge)부(310-1, 310-2) 및 힌지 부시(330-1, 330-2, 330'-1, 330'-2)(Hinge Bush)가 안착될 수 있다. 사용자가 변속 레버(200)를 시프트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레버 수용부(300)의 원형 힌지부(310-1, 310-2)는 부시 안착부(130-1, 130-2)에서 시프트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다.
<레버 수용부(300)>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변속 레버 장치의 레버 수용부(300)는 하우징(100)에 결합되고, 시프트 축부(340), 셀렉트 축부(350) 및 상기 시프트 축부(340)의 일측을 수용하는 챔버(315)(Chamber)를 포함한다.
레버 수용부(300)는 셀렉트 방향을 길이 방향으로 하는 내부가 비어 있고, 상부가 개구된 원통 형상일 수 있다. 상기 상부가 개구되고 속이 빈 내부 공간을 챔버(315)로 정의할 수 있다.
레버 수용부(300)의 길이 방향에 대해 직교하는 방향으로 각각 형성된, 레버 수용부(300)의 양 측면(313, 313')에는 단면이 원형인 원형 힌지부(310-1, 310-2)가 형성될 수 있다. 원형 힌지부(310-1, 310-2)는 레버 수용부(300)가 시프트 방향으로 회전할 때 회전중심이 될 수 있다. 즉, 원형 힌지부(310-1, 310-2)는 레버 수용부(300)가 시프트 방향으로 회전할 때, 회전축이 될 수 있다.
원형 힌지부(310-1, 310-2)가 레버 수용부(300)의 시프트 방향의 회전축 역할을 수행할 때, 시프트 축부(340)도 시프트 방향의 회전축이 될 수 있다.
레버 수용부(300)의 양 측면에는 단면이 원형인 원형 힌지부(310-1, 310-2)가 형성되며, 상기 양 측면(313, 313') 중 제1 측면(313)에는 하기에서 설명하는 센서부(500)가 연결될 수 있고, 상기 양 측면 중 제2 측면(313')에는 시프트 축부(340)가 관통하는 홀(hole)(313'-1)이 형성될 수 있다.
원형 힌지부(310-1, 310-2)에는 원형 힌지부(310-1, 310-2)의 외주면을 감싸는 형상으로 힌지 부시(330-1, 330-2)가 결합(배치)될 수 있다. 힌지 부시(330-1, 330-2)는 레버 수용부(300)가 하우징(100)에 형성된 부시 안착부에서 시프트 방향으로 회전할 때, 회전이 원활하게 할 수 있다.
레버 수용부(300)의 양 측면에 각각 형성된 원형 힌지부(310-1, 310-2) 사이를 연결하는 부분인 레버 수용부(300)의 외부는 원통 형상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굴곡 또는 단차가 포함된 면을 가질 수 있다. 또한, 홀(hole) 또는 홈이 포함된 면을 가질 수 있다.
레버 수용부(300)의 양 측면에 각각 형성된 원형 힌지부(310-1, 310-2) 사이를 연결하는 부분인 양 측벽(317)에는 각각 상기 측벽(317)을 관통하는 홀(hole)인 셀렉트 축 수용홀(317-1)이 형성될 수 있다. 각각의 셀렉트 축 수용홀(317-1)은 레버 수용부(300)의 양 측벽에서 서로 마주보는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셀렉트 축 수용홀(317-1)에는 셀렉트 축부(350)가 삽입되어 배치된다.
레버 수용부(300)의 하면에는 케이블 바(360)(Cable bar)가 배치될 수 있다.
케이블 바(360)는 일 방향으로 긴 막대 형상이며, 특별한 형상으로 한정되지 않고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케이블 바(360)는 레버 수용부(300)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케이블 바(360)는 레버 수용부(300)의 하면에서 하측으로 돌출되거나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케이블 바(360)는 레버 수용부(300)와 각각 별개로 제작되어 서로 결합될 수도 있다. 구체적으로 케이블 바(360)의 일단이 레버 수용부(300)의 하면에 형성된 연결부(361)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연결부(361)는 홈이나 홀(hole)일 수 있고, 케이블 바(360)의 일단은 상기 홈이나 홀에 삽입되어 결합될 수 있다.
레버 수용부(300)에는 그루브(Groove)(410)가 형성될 수 있다. 그루브(410)는 레버 수용부(300)의 하면 일측에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대하여는 센서부(500)에서 설명하도록 한다.
레버 수용부(300)는 시프트 축부(340)를 포함한다. 시프트 축부(340)는 소정의 길이를 가진 막대 형상이고, 상기 소정 길이의 막대 형상은 셀렉트 방향으로 배치된다.
변속 레버(200)가 시프트 방향으로 회전할 때, 레버 수용부(300)의 원형 힌지부(310-1, 310-2)는 시프트 방향의 회전축 역할을 수행할 수 있고, 이때 시프트 축부(340)도 시프트 방향의 회전축 역할을 할 수 있다.
시프트 축부(340)는 부분적으로 원통, 타원통 및 다각통 형상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변속 레버(200)의 시프트 방향의 회전축 역할을 할 수 있다면 특정한 형상에 한정되지 않는다.
시프트 축부(340)의 일측은 하기에서 설명하는 변속 레버(200)의 회전축부(250)에 형성된 시프트 축 수용부(251)에 삽입되어 고정될 수 있고, 시프트 축부(340)의 타측은 레버 수용부(300)의 제2 측면(313')에 형성된 홀(313'-1)을 관통하여 측판부재(600)의 셀렉트 방향 유동부(610)에 수용될 수 있다. 측판부재(600)는 셀렉트 방향 유동부(610)에 의해 변속 레버(200)의 셀렉트 방향으로의 유동을 수용할 수 있다.
시프트 축부(340)의 일측에는 셀렉트 축부(350)가 관통하는 홀(hole)(341)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홀(341)의 단면 형상은 관통하는 셀렉트 축부(350)의 단면 형상과 대응될 수 있다.
사용자가 변속 레버(200)를 시프트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경우에는, 시프트 축부(340)는 변속 레버(200)의 시프트 방향의 회전축이 되므로 상하 방향으로는 움직이지 않는다. 이 경우에, 변속 레버(200)와 레버 수용부(300)는 셀렉트 축부(350)를 매개로 함께 시프트 방향으로 회전하므로, 레버 수용부(300)의 하면에 배치된 케이블 바(360)도 시프트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다. 이때 케이블 바(360)의 타단에 연결된 시프트 케이블(미도시)이 움직인다.
사용자가 변속 레버(200)를 셀렉트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경우에는, 변속 레버(200)는 셀렉트 축부(350)를 기준으로 회전하고, 변속 레버(200)의 회전축부(250)와 연결된 시프트 축부(340)는 상하 방향으로 움직인다. 이때, 측판부재(600)의 셀렉트 방향 유동부(610)에 수용된 시프트 축부(340)의 타측은 상하 방향으로 움직여 측판부재(600)를 움직이고, 측판부재(600)의 일측에 형성된 돌출부(미도시)에 연결된 셀렉트 케이블(미도시)이 움직인다.
레버 수용부(300)는 셀렉트 축부(350)를 포함한다. 셀렉트 축부(350)는 소정의 길이를 가진 원기둥 형상일 수 있고, 상기 소정 길이의 원기둥 형상은 시프트 방향으로 배치된다.
셀렉트 축부(350)는 변속 레버(200)가 셀렉트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회전축 역할을 할 수 있다.
셀렉트 축부(350)는 변속 레버(200)의 회전축부(250)에 형성된 셀렉트 축 수용부(253)에 삽입되어 배치될 수 있다.
셀렉트 축부(350)의 배치관계를 좀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셀렉트 축부(350)는 레버 수용부(300)의 양 측벽(317) 중 어느 하나의 측벽(317)에 형성된 셀렉트 축 수용홀(317-1), 레버 수용부(300)의 챔버(315)에 수용되는 변속 레버(200)의 회전축부(250)에 형성된 셀렉트 축 수용부(253)와, 변속 레버(200)의 회전축부(250)에 형성된 시프트 축 수용부(251)에 배치된 시프트 축부(340)의 일단을 관통하는 홀(341) 및, 레버 수용부(300)의 양 측벽(317) 중 나머지 하나의 측벽(317)에 형성된 셀렉트 축 수용홀(317-1)을 차례로 관통하여 배치될 수 있다.
변속 레버(200)가 셀렉트 방향 또는 시프트 방향으로 회전하는 경우에 레버 수용부(300)와 회전축의 움직임을 정리하면, 변속 레버(200) 및 레버 수용부(300)는 시프트 방향으로의 회동시와 셀렉트 방향으로의 회동시 각각의 회전축이 분리되어 움직인다.
사용자가 변속 레버(200)를 셀렉트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경우, 변속 레버(200)는 셀렉트 축부(350)를 기준으로 셀렉트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다. 이때 변속 레버(200)가 셀렉트 방향으로 회전하더라도 레버 수용부(300)는 셀렉트 방향으로 회전하지 않는다. 이는 레버 수용부(300)를 상대로 셀렉트 축부(350)가 관통된 변속 레버(200)의 회전축부(250)가 회전하므로, 레버 수용부(300)는 회전하지 않는 것이다.
사용자가 변속 레버(200)를 시프트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경우, 변속 레버(200)는 원형 힌지부(310-1, 310-2)를 기준으로 시프트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다. 이때 변속 레버(200)와 레버 수용부(300)는 함께 시프트 방향으로 회전한다. 이는 셀렉트 축부(350)가 레버 수용부(300)와 변속 레버(200)의 회전축부(250)를 연결시키고 있고, 사용자가 변속 레버(200)를 시프트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변속 레버(200)의 회전축부(250)에 형성된 셀렉트 축 수용부(253)에 배치된 셀렉트 축부(350)가 레버 수용부(300)를 시프트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가압하기 때문이다. 이 경우 시프트 축부(340)는 변속 레버(200)와 함께 시프트 방향으로 회전하되, 시프트 방향 회전축의 연장선을 벗어나는 움직임을 나타내지는 않는다.
<변속 레버(200)>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변속 레버 장치의 변속 레버(200)는 레버 수용부(300)에 결합되고, 원형 힌지부(310-1, 310-2)를 기준으로 시프트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고, 셀렉트 축부(350)를 기준으로 셀렉트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다.
변속 레버(200)는 소정의 길이로 하나로 형성될 수 있고, 두 개 이상으로 분리되어 제작된 후 서로 결합될 수도 있다. 도 2에는 제1 부재(210), 제2 부재(230) 및 제3 부재(250)로 도시되어 있고, 이는 세 개로 분리되어 제작된 경우를 나타내며, 서로 연결될 수 있다. 제1 부재(210) 상에는 노브(knob)(미도시)가 배치될 수 있다. 사용자는 노브를 잡고 변속 레버(200)를 회전시켜 원하는 변속단을 선택할 수 있다.
변속 레버(200)는 회전축부(250)를 포함할 수 있다. 회전축부(250)는 도 2에 도시된 제3 부재(250)를 나타낸다.
변속 레버(200)의 회전축부(250)는 레버 수용부(300)의 챔버(315)에 수용될 수 있다.
변속 레버(200)의 회전축부(250)는 레버 수용부(300)의 챔버(315)에 수용되어, 셀렉트 축부(350)에 의해 레버 수용부(300)와 연결(결합)될 수 있다.
회전축부(250)는 시프트 축 수용부(251) 및 셀렉트 축 수용부(253)를 포함할 수 있다. 시프트 축 수용부(251)에는 시프트 축부(340)의 일측이 배치되고, 셀렉트 축 수용부(253)에는 셀렉트 축부(350)가 배치된다.
회전축부(250)에 형성된 시프트 축 수용부(251)에는 시프트 축부(340)의 일측이 삽입되어 고정(연결)될 수 있다.
시프트 축 수용부(251)는 회전축부(250)의 일측에 셀렉트 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
시프트 축 수용부(251)는 홈 또는 홀(hole)일 수 있다. 시프트 축부(340)의 일측이 삽입되어 고정될 수 있다면 특정한 형상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변속 레버(200)가 시프트 방향으로 회전할 때, 레버 수용부(300)의 원형 힌지부(310-1, 310-2)는 시프트 방향의 회전축 역할을 할 수 있고, 변속 레버(200)의 회전축부(250)는 시프트 축 수용부(251)에 연결된 시프트 축부(340)를 기준으로도 시프트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다.
회전축부(250)에 형성된 셀렉트 축 수용부(253)에는 셀렉트 축부(350)가 삽입되어 배치될 수 있다.
셀렉트 축 수용부(253)는 회전축부(250)의 일측에 시프트 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
셀렉트 축 수용부(253)는 홀(hole)일 수 있다. 셀렉트 축 수용부(253)의 홀의 단면 형상은 셀렉트 축부(350)의 단면 형상과 동일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셀렉트 축부(350)가 원기둥 형상일 경우, 셀렉트 축 수용부(253)의 단면 형상은 동일하게 원형일 수 있다.
변속 레버(200)의 회전축부(250)는 셀렉트 축 수용부(253)에 연결된 셀렉트 축부(350)를 기준으로 셀렉트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다.
시프트 축 수용부(251)와 셀렉트 축 수용부(253)는 변속 레버(200)의 회전축부(250)에 서로 교차하여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시프트 축 수용부(251)와 셀렉트 축 수용부(253)는 변속 레버(200)의 회전축부(250)의 일측에 가로로 서로 직교하여 형성될 수 있다.
시프트 축부(340)의 일측은 회전축부(250)의 시프트 축 수용부(251)에 삽입되고, 셀렉트 축부(350)는 회전축부(250)의 셀렉트 축 수용부(253)와 시프트 축부(340)의 일측을 관통하는 홀(341)을 관통하여 회전축부(250)에 배치될 수 있다.
<센서부(500)(제1 실시 예)>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변속 레버 장치의 센서부(500)는 레버 수용부(300)에 연결되고, 사용자가 변속 레버(200)를 시프트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경우, 사용자가 선택한 변속단을 감지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사용자가 변속 레버(200)를 시프트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경우, 센서부(500)는 변속 레버(200)가 시프트 방향(전과 후 방향)으로 회전하였는지 여부 및 중립 변속단에 위치하는지를 감지할 수 있다.
센서부(500)는 자석(510), 상기 자석(510)을 수용하고 상기 레버 수용부(300)에 연결되는 자석 수용부(520) 및, 상기 자석(510)에서 발생하는 자기장을 감지하는 감지부(530)를 포함할 수 있다.
자석(510)은 자기장을 생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자석(510)은 영구자석일 수 있고, 전자석일 수 있다. 전자석인 경우, 자석(510)이 생성하는 자기장의 세기가 자석(510)에 공급되는 전류에 크기에 의해 조절될 수 있다.
자석(510)의 크기와 형상은 실시 예에 따라 달리할 수 있고, 특정한 크기와 형상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자석 수용부(520)는 자석(510)을 수용할 수 있다.
자석 수용부(520)의 크기와 형상은 특정한 크기와 형상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자석 수용부(520)의 크기와 형상은 자석(510)의 크기와 형상에 따라 달리할 수 있고, 자석(510)의 크기와 형상과는 별개로 다양한 크기와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자석 수용부(520)의 일측에는 자석(510)이 배치될 수 있고, 자석 수용부(520)의 타측은 레버 수용부(300)와 연결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자석 수용부(520)의 타측은 레버 수용부(300)의 제1 측면(313)과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레버 수용부(300)가 시프트 방향으로 회전하면, 자석 수용부(520)도 시프트 방향으로 회전하고, 자석 수용부(520)에 배치된 자석(510)도 시프트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다.
레버 수용부(300)의 제1 측면(313)에서 자석 수용부(520)가 연결되는 위치는 레버 수용부(300)의 시프트 방향 회전시 함께 회전할 수 있는 위치라면 어디든 가능하고,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감지부(530)는 자석(510)에서 발생하는 자기장을 감지할 수 있고, 자석(510)과 마주보는 위치에 자석(510)으로부터 소정 거리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감지부(530)는 자석(510)에서 발생된 자기장을 감지할 수 있는 감지 센서 및 기타 회로기판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감지부(530)는 홀 집적 회로(Hall Integrate Circuit; Hall IC)일 수 있다. 홀 집적 회로는 홀 효과(hall effect)에 기초하여 자기장의 세기를 측정할 수 있다.
감지부(530)는 자석 수용부(520)에 배치된 자석(510)에서 생성된 자기장을 홀 효과에 기초하여 측정할 수 있다. 감지부(530)가 상대적으로 고정된 위치를 유지함에 반해, 자석(510)은 자석 수용부(520)와 함께 움직일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변속 레버(200)를 시프트 방향으로 움직일 경우, 자석(510)은 자석 수용부(520)와 함께 움직일 수 있다. 그 결과, 감지부(530)가 측정하는 자기장의 세기가 변화될 수 있다. 이렇게 측정된 자기장의 세기에 기초하여 변속 레버(200)의 현재 위치, 즉 현재의 변속단이 추정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사용자가 변속 레버(200)를 시프트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경우, 감지부(530)는 변속 레버(200)가 시프트 방향(전과 후 방향)으로 회전하였는지 여부 및 중립 변속단에 위치하는지를 감지할 수 있다.
또한, 측정된 자기장에 기초하여 차량의 변속단이 중립 변속단인지를 판단할 수 있고, 상기 변속단이 중립 변속단이면 공회전 제한 기능(Idle Stop & Go; ISG)이 구동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차량에 포함되는 전자 제어 장치(Electronic Control Unit; ECU)는 측정된 자기장에 기초하여 차량의 변속단이 중립 변속단인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고, 상기 변속단이 중립 변속단이면 공회전 제한 기능을 실행시킬 수 있다.
정리하면, 변속 레버(200)가 시프트 방향으로 회전하면, 레버 수용부(300)는 변속 레버(200)와 연동하여, 레버 수용부(300)와 연결된 자석 수용부(520)가 회전하므로 자석(510)이 움직이고, 자석(510)의 움직임에 따라 감지부(530)가 변화되는 자기장을 측정하고, 측정된 자기장을 이용하여 차량의 변속단을 감지할 수 있다. 특히, 감지부(530)는 측정된 자기장을 이용하여 차량의 중립 변속단을 감지할 수 있다. 여기서 중립 변속단은 변속 레버(200)가 시프트 방향으로 회전하여 변속단(후진, 1단, 2단, 3단 등) 위치에 있지 않은 경우 및/또는 셀렉트 방향으로 이동하지 않은 경우를 포함한다.
센서부(500)가 차량의 변속단이 중립 변속단인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으면, 이를 공회전 제한 기능(Idle Stop & Go; ISG)을 실현하는데 이용할 수 있다.
센서부(500)는 센서 케이스(540-1, 540-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센서 케이스(540-1, 540-2)는 하우징(100) 외부에 결합될 수 있다.
센서 케이스(540-1, 540-2)는 좌측 케이스(540-1)와 우측 케이스(540-2)의 결합 등 여러 구성품들을 조합(결합)하여 형성될 수 있다. 결합되는 방식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결합나사 등과 같은 체결수단에 의해 서로 결합될 수 있고, 하우징(100)에 고정될 수 있다.
도 3에서와 같이, 센서 케이스(540-1, 540-2)는 좌측 케이스(540-1)와 우측 케이스(540-2)로 형성될 수 있다.
감지부(530)는 좌측 케이스(540-1)에 배치되고, 자석(510) 및 자석 수용부(520)는 좌측 케이스(540-1)와 우측 케이스(540-2) 사이(센서 케이스(540-1, 540-2)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우측 케이스(540-2)에는 홀(hole)이 형성될 수 있고, 상기 홀에는 자석 수용부(520)의 타측과 레버 수용부(300)의 제1 측면(313)을 연결하는 연결부재(521)가 배치될 수 있다. 우측 케이스(540-2)는 하우징(100)에 결합되어 고정되고, 연결부재(521)는 레버 수용부(300)가 시프트 방향으로 회전할 때 함께 회전하여야 하므로, 연결부재(521)가 배치된 상기 홀은 연결부재(521)가 시프트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우측 케이스(540-2)는 생략될 수 있다. 즉 센서 케이스(540-1, 540-2)는 좌측 케이스(540-1)만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감지부(530)는 좌측 케이스(540-1)에 배치되고, 자석(510) 및 자석 수용부(520)는 우측 케이스(540-2)가 없는 상태에서 레버 수용부(300)의 제1 측면(313)에 연결될 수 있다.
<센서부(500')(제2 실시 예)>
도 4는 도 3에서 다른 센서부(제2 실시 예)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변속 레버 장치의 센서부(500')는 레버 수용부(300)에 연결되고, 사용자가 변속 레버(200)를 시프트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경우, 사용자가 선택한 변속단을 감지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사용자가 변속 레버(200)를 시프트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경우, 센서부(500')는 변속 레버(200)가 시프트 방향(전과 후 방향)으로 회전하였는지 여부 및 중립 변속단에 위치하는지를 감지할 수 있다.
제2 실시 예에 따른 센서부(500')의 구성들은 제1 실시 예에 따른 센서부(500)의 구성들과 유사하다. 이하에서는 제2 실시 예에 따른 센서부(500')를 설명함에 있어서, 제1 실시 예에 따른 센서부(500)와 구별되는 구성 또는 부분을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하고,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 또는 부분은 제1 실시 예에 따른 센서부(500)에서 설명한 내용으로 대체한다.
센서부(500')는 레버 수용부(300)에 배치되는 자석(510') 및 상기 자석(510')에서 발생하는 자기장을 감지하는 감지부(530')를 포함할 수 있다.
자석(510')은 레버 수용부(300)에 배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자석(510')은 레버 수용부(300)의 제1 측면(313)에 배치될 수 있다. 레버 수용부(300)의 제1 측면(313)에는 자석(510')이 배치될 수 있는 홈이나 홀(hole)이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레버 수용부(300)가 시프트 방향으로 회전하면 자석(510')도 회전할 수 있다.
레버 수용부(300)의 제1 측면(313)에 형성된 자석(510')이 배치되는 홈이나 홀은 어디든 가능하고, 특정한 위치로 한정되지 않는다.
감지부(530')는 자석(510')과 마주보는 위치에 자석(510')으로부터 소정 거리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감지부(530')는 레버 수용부(300)의 제1 측면(313)에 배치된 자석(510')에서 생성된 자기장을 홀 효과에 기초하여 측정할 수 있다. 감지부(530')가 상대적으로 고정된 위치를 유지함에 반해, 사용자가 변속 레버(200)를 시프트 방향으로 움직일 경우 자석(510')은 레버 수용부(300)와 함께 움직일 수 있다. 그 결과, 감지부(530')가 측정하는 자기장의 세기가 변화될 수 있다. 이렇게 측정된 자기장의 세기에 기초하여 변속 레버(200)의 현재 위치, 즉 현재의 변속단이 추정될 수 있다.
변속 레버(200)가 시프트 방향으로 회전하면, 레버 수용부(300)는 변속 레버(200)와 연동하여 레버 수용부(300)에 배치된 자석(510')이 움직이고, 자석(510')의 움직임에 따라 감지부(530')가 변화되는 자기장을 측정하고, 측정된 자기장을 이용하여 차량의 변속단을 감지할 수 있다. 감지부(530')는 측정된 자기장을 이용하여 차량의 중립 변속단을 감지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사용자가 변속 레버(200)를 시프트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경우, 감지부(530')는 변속 레버(200)가 시프트 방향(전과 후 방향)으로 회전하였는지 여부 및 중립 변속단에 위치하는지를 감지할 수 있다.
감지부(530')는 힌지 부시(330'-1)에 배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감지부(530')는 레버 수용부(300)의 제1 측면(313)에 형성된 원형 힌지부(310-1, 310-2)에 배치되는 힌지 부시(330'-1)에 배치될 수 있다.
감지부(530')가 배치되는 힌지 부시(330'-1)는 원형 힌지부(310-1, 310-2)의 외주면을 감싸는 링(Ring)부(330'-1-a)와 상기 링부(330'-1-a)를 연결하는 측벽인 부시 측벽(330'-1-b)을 포함할 수 있다. 감지부(530')는 상기 부시 측벽(330'-1-b)의 내측면에 배치될 수 있다.
레버 수용부(300)의 제1 측면(313)에 배치된 자석(510')이 시프트 방향으로 회전할 때 감지부(530')가 배치된 힌지 부시(330'-1)는 회전하지 않고 고정된 위치를 유지할 수 있다.
<담력 생성부(400)>
도 5는 롤러가 적용된 담력 생성부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6은 블렛이 적용된 담력 생성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변속 레버 장치는 담력 생성부(4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담력 생성부(400)는 레버 수용부(300)에 형성된 그루브(410), 그루브(410)와 접촉하는 접촉부(420), 접촉부(420)를 지지하는 지지부(430) 및, 접촉부(420) 또는 지지부(430)를 탄성 지지하는 탄성부재(440)를 포함할 수 있다.
담력 생성부(400)는 변속 레버(200)가 시프트 방향으로 회전하면, 접촉부(420)가 그루브(410)를 따라 이동함으로써 담력을 생성할 수 있다. 사용자가 변속 레버(200)를 시프트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담력으로 인해 사용자는 변속 절도감을 느낄 수 있다.
그루브(410)는 레버 수용부(300)에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그루브(410)는 레버 수용부(300) 하면 일측에 형성될 수 있다.
그루브(410)는 복수의 홈들과 홈들 사이에 형성된 턱들을 포함할 수 있다.
그루브(410)는 레버 수용부(300)의 하면 일측에 하방으로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고, 레버 수용부(300)의 하면 일측에 상방으로 오목되게 형성될 수 있다.
접촉부(420)는 그루브(410)와 접촉하여 이동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접촉부(420)는 그루브(410)의 복수의 홈들과 홈들 사이에 형성된 턱들을 접촉한 상태에서 이동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접촉부(420)는 롤러(420-1)(Roller)일 수 있고, 블렛(420-2)(Bullet)일 수 있다.
롤러(420-1)는 소정의 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물체를 말한다.
롤러(420-1)는 지지부(430)에 의해 지지될 수 있고, 지지부(430)는 탄성부재(440)에 의해 탄성 지지될 수 있다. 이때 탄성부재(440)는 지지부(430)를 매개로 롤러(420-1)를 탄성 지지할 수 있다.
블렛(420-2)은 소정 길이의 막대 형상일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라, 블렛(420-2)이 지지부(430)에 의해 지지되는 경우에는, 블렛(420-2)의 일측은 그루브(410)에 접촉하여 이동할 수 있고, 블렛(420-2)의 타측은 지지부(430)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지지부(430)는 탄성부재(440)에 의해 탄성 지지될 수 있다. 이때 탄성부재(440)는 지지부(430)를 매개로 블렛(420-2)을 탄성 지지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라, 블렛(420-2)을 지지하는 지지부(430)가 없는 경우에는, 블렛(420-2)의 일측은 그루브(410)에 접촉하여 이동할 수 있고, 블렛(420-2)의 타측은 탄성부재(440)에 의해 탄성 지지될 수 있다.
블렛(420-2)의 일측은 그루브(410)를 따라 이동하므로, 이동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반구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지지부(430)는 접촉부(420)를 지지할 수 있다. 지지부(430)의 형상은 접촉부(420)를 지지할 수 있다면 특정한 형상으로 한정되지 않으며, 다양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탄성부재(440)는 접촉부(420) 또는 지지부(430)를 탄성 지지할 수 있다. 탄성부재(440)는 외부 힘에 의하여 변형된 후, 외부 힘이 제거되었을 때 원래의 형상으로 되돌아가려는 성질인 탄성을 지닌 물체이다. 탄성부재(440)는 스프링과 같은 탄성체일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라, 접촉부(420)(예로 블렛(420-2) 또는 롤러(420-1))를 지지하는 지지부(430)가 있는 경우에는, 탄성부재(440)는 지지부(430)를 탄성 지지할 수 있다. 이때 탄성부재(440)는 지지부(430)를 매개로 접촉부(420)(예로 블렛(420-2) 또는 롤러(420-1))를 탄성 지지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라, 접촉부(420)(예로 블렛(420-2))를 지지하는 지지부(430)가 없는 경우에는, 탄성부재(440)는 접촉부(420)(예로 블렛(420-2))를 탄성 지지할 수 있다.
사용자가 변속 레버(200)를 시프트 방향으로 회전시키기 전에 접촉부(420)는 그루브(410)의 복수의 홈들 중 중앙에 위치하는 하나의 홈(이하 '중앙홈'이라 칭함)에 접촉하여 수용될 수 있다.
사용자가 변속 레버(200)를 시프트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탄성부재(440)에 의해 접촉부(420)는 그루브(410)의 중앙홈, 상기 중앙홈과 이웃하는 턱 및, 상기 중앙홈과 이웃하는 홈을 차례로(또는 이와 반대로) 접촉하면서 이동할 수 있다. 이때, 탄성부재(440)는 그루브(410)의 홈의 깊이 또는 턱의 높이만큼 수축 및 이완(복원)하여 접촉부(420)를 탄성 지지할 수 있다. 탄성부재(440)의 수축 및 이완(복원) 과정은 탄성력(담력)을 생성할 수 있고, 이는 사용자에게 변속 절도감을 제공할 수 있다.
담력 생성부(400)는 사용자가 변속 레버(200)를 셀렉트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경우에는 담력을 생성하지 않는다. 변속 레버(200)의 셀렉트 방향 회전시, 레버 수용부(300)는 회전하지 않기 때문이다.
담력 생성부(400)의 접촉부(420), 지지부(430) 및 탄성부재(440)는 하우징(100) 내부의 소정의 공간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하우징(100) 내부의 소정의 공간은 레버 수용부(300) 하면 일측에 형성된 그루브(410)의 하측에 위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변속 제어 장치를 포함하는 차량은 전자 제어 장치(Electronic Control Unit; ECU)를 포함할 수 있다.
전자 제어 장치는 측정된 자기장에 기초하여 차량의 변속단이 중립 변속단인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고, 변속단이 중립 변속단이면 공회전 제한 기능(Idle Stop & Go; ISG)을 실행시킬 수 있다. 이를 위해, 전자 제어 장치는 엔진을 기계적 및/또는 전기적으로 제어하는 제어 방법에 의해 엔진의 시동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제어 장치는 엔진의 동력이 최종적으로 바퀴에 전달되지 않는 중립 변속단에서 측정된 자기장에 기초하여 공회전 제한 기능을 구동시킬 수 있다. 즉, 전자 제어 장치는 중립 변속단에서 엔진의 시동을 끌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변속 레버 장치는 차량 내에서 변속 레버 장치가 차지하는 협소한 공간에서도 변속단을 감지할 수 있고, 구조가 간단하여 설계 공간을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변속 레버 장치가 포함된 차량은 변속단이 변화되는 도중에 변속 레버(200)가 중립 변속단에 위치하는 경우를 판단할 수 있고, 나아가 이 경우에 공회전 제한 기능을 실행할 수 있다.
또한, 구조가 간단한 변속 레버 장치를 이용하여 공회전 제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으므로, 공회전 제한 기능이 포함된 변속 레버 장치를 제조하는 데 있어 제조 공정이 간소화되고, 제조 단가를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상에서 실시 형태들에 설명된 특징, 구조, 효과 등은 본 발명의 적어도 하나의 실시 형태에 포함되며, 반드시 하나의 실시 형태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나아가, 각 실시 형태에서 예시된 특징, 구조, 효과 등은 실시 형태들이 속하는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지는 자에 의해 다른 실시 형태들에 대해서도 조합 또는 변형되어 실시 가능하다. 따라서 이러한 조합과 변형에 관계된 내용들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이상에서 실시 형태를 중심으로 설명하였으나 이는 단지 예시일 뿐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실시 형태의 본질적인 특성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이상에 예시되지 않은 여러 가지의 변형과 응용이 가능함을 알 수 있을 것이다. 즉, 실시 형태에 구체적으로 나타난 각 구성 요소는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이러한 변형과 응용에 관계된 차이점들은 첨부된 청구 범위에서 규정하는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하우징 110: 하우징 덮개부
130-1, 130-2: 부시 안착부 200: 변속 레버
210: 제1 부재 230: 제2 부재
250: 제3 부재(회전축부) 300: 레버 수용부
310-1, 310-2: 원형 힌지부
330-1, 330-2, 330'-1, 330'-2: 힌지 부시
340: 시프트 축부 350: 셀렉트 축부
360: 케이블 바 400: 담력 생성부
410: 그루브 420: 접촉부
420-1: 롤러 420-2: 블렛
430: 지지부 440: 탄성부재
500, 500': 센서부 510, 510': 자석
520: 자석 수용부 530, 530': 감지부
540-1, 540-2: 센서 케이스 600: 측판부재
610: 셀렉트 방향 유동부

Claims (7)

  1. 하우징;
    상기 하우징에 결합되고, 원형 힌지부 및 셀렉트 축부를 포함하는 레버 수용부;
    상기 레버 수용부에 결합되고, 상기 원형 힌지부를 기준으로 시프트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고, 상기 셀렉트 축부를 기준으로 셀렉트 방향으로 회전 가능한 변속 레버; 및
    상기 레버 수용부에 연결되고, 상기 변속 레버가 상기 시프트 방향으로 회전하여 변속단이 선택되는 경우, 상기 선택된 변속단을 감지하는 센서부;를 포함하고,
    상기 센서부는,
    자석;
    상기 자석을 수용하고, 상기 레버 수용부의 일 측면과 직접 연결되는 자석 수용부; 및
    상기 자석에서 발생하는 자기장을 감지하는 감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변속 레버가 상기 시프트 방향으로 회전하면, 상기 레버 수용부는 상기 변속 레버와 연동하여 상기 레버 수용부와 연결된 상기 자석 수용부가 회전하므로 상기 자석이 움직이고, 상기 자석의 움직임에 따라 상기 감지부가 변화되는 자기장을 측정하고, 측정된 상기 자기장을 이용하여 차량의 중립 변속단을 감지하는, 변속 레버 장치.
  2. 하우징;
    상기 하우징에 결합되고, 원형 힌지부 및 셀렉트 축부를 포함하는 레버 수용부;
    상기 레버 수용부에 결합되고, 상기 원형 힌지부를 기준으로 시프트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고, 상기 셀렉트 축부를 기준으로 셀렉트 방향으로 회전 가능한 변속 레버; 및
    상기 레버 수용부에 연결되고, 상기 변속 레버가 상기 시프트 방향으로 회전하여 변속단이 선택되는 경우, 상기 선택된 변속단을 감지하는 센서부;를 포함하고,
    상기 센서부는,
    상기 레버 수용부의 일 측면에 형성된 홈 또는 홀에 배치되는 자석; 및
    상기 자석에서 발생하는 자기장을 감지하고, 힌지 부시에 배치되는 감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변속 레버가 상기 시프트 방향으로 회전하면, 상기 레버 수용부는 상기 변속 레버와 연동하여 상기 레버 수용부에 배치된 상기 자석이 움직이고, 상기 자석의 움직임에 따라 상기 감지부가 변화되는 자기장을 측정하고, 측정된 상기 자기장을 이용하여 차량의 중립 변속단을 감지하고,
    상기 힌지 부시는 상기 레버 수용부의 원형 힌지부에 배치되고,
    상기 자석이 시프트 방향으로 회전할 때, 상기 힌지 부시는 회전하지 않고 고정된 위치를 유지하는, 변속 레버 장치.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담력 생성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담력 생성부는,
    상기 레버 수용부에 형성된 그루브;
    상기 그루브와 접촉하는 접촉부;
    상기 접촉부를 지지하는 지지부; 및
    상기 접촉부 또는 상기 지지부를 탄성 지지하는 탄성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변속 레버가 상기 시프트 방향으로 회전하면, 상기 접촉부는 상기 탄성부재에 의해 상기 그루브에 접촉하여 이동하는, 변속 레버 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접촉부는 롤러(Roller) 또는 블렛(Bullet)인, 변속 레버 장치.
  5. 삭제
  6.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변속 레버는 시프트 축부의 일측을 수용하는 시프트 축 수용부 및 상기 셀렉트 축부를 수용하는 셀렉트 축 수용부를 포함하고,
    상기 시프트 축부의 일측에는 상기 셀렉트 축부가 관통하는 홀이 형성된, 변속 레버 장치.
  7.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따른 변속 레버 장치를 포함하는 차량에 있어서,
    측정된 상기 자기장에 기초하여 상기 차량의 변속단이 중립 변속단인지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변속단이 중립 변속단이면 공회전 제한 기능(Idle Stop & Go; ISG)을 수행하는 전자 제어 장치를 포함하는, 차량.
KR1020180168893A 2018-12-26 2018-12-26 변속 레버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차량 KR102118566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68893A KR102118566B1 (ko) 2018-12-26 2018-12-26 변속 레버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차량
DE102019133602.3A DE102019133602A1 (de) 2018-12-26 2019-12-09 Schalthebelvorrichtung und fahrzeug mit derselb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68893A KR102118566B1 (ko) 2018-12-26 2018-12-26 변속 레버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차량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18566B1 true KR102118566B1 (ko) 2020-06-03

Family

ID=710795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68893A KR102118566B1 (ko) 2018-12-26 2018-12-26 변속 레버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차량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118566B1 (ko)
DE (1) DE102019133602A1 (ko)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062664A (ja) * 2005-09-01 2007-03-15 Tokai Rika Co Ltd シフト装置
JP2008239057A (ja) * 2007-03-28 2008-10-09 Tokai Rika Co Ltd 変速機用操作レバーのレバー操作位置判定装置
JP2010261348A (ja) * 2009-05-01 2010-11-18 Manabu Suzuki アイドリングストップ制御装置
KR101199070B1 (ko) * 2009-12-03 2012-11-0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변속레인지 검출장치
KR101395996B1 (ko) * 2009-04-01 2014-05-16 이씨에스 엔지니어드 콘트롤 시스템 아게 기어 스텝 선택기 레버의 위치를 검지하는 장치 및 이 장치가 장착된 자동차
KR20140075175A (ko) 2012-12-11 2014-06-19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화수동변속기 차량의 내리막구간 isg 제어방법
KR101662548B1 (ko) * 2015-05-08 2016-10-14 현대자동차주식회사 2 웨이 전자식 변속레버
KR20170115828A (ko) * 2016-04-08 2017-10-1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수동변속기의 변속레버 어셈블리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062664A (ja) * 2005-09-01 2007-03-15 Tokai Rika Co Ltd シフト装置
JP2008239057A (ja) * 2007-03-28 2008-10-09 Tokai Rika Co Ltd 変速機用操作レバーのレバー操作位置判定装置
KR101395996B1 (ko) * 2009-04-01 2014-05-16 이씨에스 엔지니어드 콘트롤 시스템 아게 기어 스텝 선택기 레버의 위치를 검지하는 장치 및 이 장치가 장착된 자동차
JP2010261348A (ja) * 2009-05-01 2010-11-18 Manabu Suzuki アイドリングストップ制御装置
KR101199070B1 (ko) * 2009-12-03 2012-11-0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변속레인지 검출장치
KR20140075175A (ko) 2012-12-11 2014-06-19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화수동변속기 차량의 내리막구간 isg 제어방법
KR101662548B1 (ko) * 2015-05-08 2016-10-14 현대자동차주식회사 2 웨이 전자식 변속레버
KR20170115828A (ko) * 2016-04-08 2017-10-1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수동변속기의 변속레버 어셈블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102019133602A1 (de) 2020-07-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112876B2 (ja) スロットル開度検出装置
US20080043354A1 (en) Mirror Angle Controller
CN2839960Y (zh) 用于检测沿着两个方向的转动的装置和换档杆装置
KR101954191B1 (ko) 이중 힌지를 이용한 변속제어장치
JP2019119324A (ja) シフト装置
EP2534396B1 (fr) Dispositif de detection de la position neutre d&#39;un levier de commande du passage et de la selection des vitesses d&#39;une boite de vitesses d&#39;un vehicule automobile
US6920805B2 (en) Throttle-opening detecting apparatus
JP4886606B2 (ja) レバー装置
KR102484912B1 (ko) 차량용 변속 장치
JP2006283585A (ja) スロットルボディ
JP4846705B2 (ja) 車両のスロットル装置
JP2018091202A (ja) スロットルグリップ装置
KR102118566B1 (ko) 변속 레버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차량
JP7146216B2 (ja) スロットルグリップ装置
JP4906596B2 (ja) 軸動機器の取付構造
JP2018090065A (ja) スロットルグリップ装置
KR102042466B1 (ko) 변속 제어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차량
JP2019082151A (ja) スロットルグリップ装置
JP6153453B2 (ja) 電動ステアリングロック装置
JP2020122406A (ja) スロットルグリップ装置
JP2011157886A (ja) スロットル装置
KR101724959B1 (ko) 전자식 변속시스템
KR20090110167A (ko) 회전각도 감지 장치
JP2018177053A (ja) スロットルグリップ装置
JP7337340B2 (ja) スロットルグリップ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