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105543A - 블리스터 시트 및 블리스터 포장기 - Google Patents

블리스터 시트 및 블리스터 포장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105543A
KR20170105543A KR1020177022134A KR20177022134A KR20170105543A KR 20170105543 A KR20170105543 A KR 20170105543A KR 1020177022134 A KR1020177022134 A KR 1020177022134A KR 20177022134 A KR20177022134 A KR 20177022134A KR 20170105543 A KR20170105543 A KR 2017010554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m
blister
pocket
cut
pocket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70221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887587B1 (ko
Inventor
?지 마루야마
šœ지 마루야마
츠요시 오오야마
노리히코 사카이다
Original Assignee
시케이디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시케이디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시케이디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7010554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0554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8758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8758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3/00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 B65D83/04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for dispensing annular, disc-shaped, or spherical or like small articles, e.g. tablets or pil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75/00Packages comprising articles or materials partially or wholly enclosed in strips, sheets, blanks, tubes, or webs of flexible sheet material, e.g. in folded wrappers
    • B65D75/28Articles or materials wholly enclosed in composite wrappers, i.e. wrappers formed by associating or interconnecting two or more sheets or blanks
    • B65D75/30Articles or materials enclosed between two opposed sheets or blanks having their margins united, e.g. by pressure-sensitive adhesive, crimping, heat-sealing, or welding
    • B65D75/32Articles or materials enclosed between two opposed sheets or blanks having their margins united, e.g. by pressure-sensitive adhesive, crimping, heat-sealing, or welding one or both sheets or blanks being recessed to accommodate contents
    • B65D75/36Articles or materials enclosed between two opposed sheets or blanks having their margins united, e.g. by pressure-sensitive adhesive, crimping, heat-sealing, or welding one or both sheets or blanks being recessed to accommodate contents one sheet or blank being recessed and the other formed of relatively stiff flat sheet material, e.g. blister packages, the recess or recesses being preformed
    • B65D75/367Articles or materials enclosed between two opposed sheets or blanks having their margins united, e.g. by pressure-sensitive adhesive, crimping, heat-sealing, or welding one or both sheets or blanks being recessed to accommodate contents one sheet or blank being recessed and the other formed of relatively stiff flat sheet material, e.g. blister packages, the recess or recesses being preformed and forming several compart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9/00Enclosing successive articles, or quantities of material, e.g. liquids or semiliquids, in flat, folded, or tubular webs of flexible sheet material; Subdividing filled flexible tubes to form packages
    • B65B9/02Enclosing successive articles, or quantities of material between opposed webs
    • B65B9/04Enclosing successive articles, or quantities of material between opposed webs one or both webs being formed with pockets for the reception of the articles, or of the quantities of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9/00Enclosing successive articles, or quantities of material, e.g. liquids or semiliquids, in flat, folded, or tubular webs of flexible sheet material; Subdividing filled flexible tubes to form packages
    • B65B9/02Enclosing successive articles, or quantities of material between opposed webs
    • B65B9/04Enclosing successive articles, or quantities of material between opposed webs one or both webs being formed with pockets for the reception of the articles, or of the quantities of material
    • B65B9/045Enclosing successive articles, or quantities of material between opposed webs one or both webs being formed with pockets for the reception of the articles, or of the quantities of material for single articles, e.g. table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75/00Packages comprising articles or materials partially or wholly enclosed in strips, sheets, blanks, tubes, or webs of flexible sheet material, e.g. in folded wrappers
    • B65D75/28Articles or materials wholly enclosed in composite wrappers, i.e. wrappers formed by associating or interconnecting two or more sheets or blanks
    • B65D75/30Articles or materials enclosed between two opposed sheets or blanks having their margins united, e.g. by pressure-sensitive adhesive, crimping, heat-sealing, or welding
    • B65D75/32Articles or materials enclosed between two opposed sheets or blanks having their margins united, e.g. by pressure-sensitive adhesive, crimping, heat-sealing, or welding one or both sheets or blanks being recessed to accommodate contents
    • B65D75/325Articles or materials enclosed between two opposed sheets or blanks having their margins united, e.g. by pressure-sensitive adhesive, crimping, heat-sealing, or welding one or both sheets or blanks being recessed to accommodate contents one sheet being recessed, and the other being a flat not- rigid sheet, e.g. puncturable or peelable foil
    • B65D75/327Articles or materials enclosed between two opposed sheets or blanks having their margins united, e.g. by pressure-sensitive adhesive, crimping, heat-sealing, or welding one or both sheets or blanks being recessed to accommodate contents one sheet being recessed, and the other being a flat not- rigid sheet, e.g. puncturable or peelable foil and forming several compart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75/00Packages comprising articles or materials partially or wholly enclosed in strips, sheets, blanks, tubes, or webs of flexible sheet material, e.g. in folded wrappers
    • B65D75/28Articles or materials wholly enclosed in composite wrappers, i.e. wrappers formed by associating or interconnecting two or more sheets or blanks
    • B65D75/30Articles or materials enclosed between two opposed sheets or blanks having their margins united, e.g. by pressure-sensitive adhesive, crimping, heat-sealing, or welding
    • B65D75/32Articles or materials enclosed between two opposed sheets or blanks having their margins united, e.g. by pressure-sensitive adhesive, crimping, heat-sealing, or welding one or both sheets or blanks being recessed to accommodate contents
    • B65D75/36Articles or materials enclosed between two opposed sheets or blanks having their margins united, e.g. by pressure-sensitive adhesive, crimping, heat-sealing, or welding one or both sheets or blanks being recessed to accommodate contents one sheet or blank being recessed and the other formed of relatively stiff flat sheet material, e.g. blister packages, the recess or recesses being preform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2230/00Aspects of the final package
    • B65B2230/02Containers having separate compartments isolated from one anoth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75/00Packages comprising articles or materials partially or wholly enclosed in strips, sheets, blanks, tubes or webs of flexible sheet material, e.g. in folded wrappers
    • B65D2575/28Articles or materials wholly enclosed in composite wrappers, i.e. wrappers formed by association or interconnecting two or more sheets or blanks
    • B65D2575/30Articles or materials enclosed between two opposed sheets or blanks having their margins united, e.g. by pressure-sensitive adhesive, crimping, heat-sealing, or welding
    • B65D2575/36One sheet or blank being recessed and the other formed or relatively stiff flat sheet material, e.g. blister packages
    • B65D2575/361Details
    • B65D2575/362Details with special means for gaining access to the contents

Abstract

차일드 레지스탕스 기능을 구비하면서, 각종 코스트의 증대 방지 등을 보다 확실하게 도모할 수 있는 블리스터 시트 등을 제공한다. 블리스터 시트(1)는, 포켓부(2)를 구비한 용기 필름(3)과, 포켓부(2)를 막도록 해서 용기 필름(3)에 취착{取着; attach}된 커버 필름(4)을 가진다. 양필름(3, 4)은 합성 수지제이고, 커버 필름(4)은 용기 필름(3)보다도 얇은 것{薄肉}이다. 블리스터 시트(1)에는, 양필름(3, 4)을 관통하여, 포켓부(2) 바로앞까지 연장하는 절개부{切入部; incision}(8)가, 각 포켓부(2)에 적어도 한쌍씩 형성된다. 한쌍의 절개부(8)로부터 포켓부(2) 측으로 비틀림 응력을 가함으로써, 절개부(8)로부터 포켓부(2) 측으로 양필름(3, 4)을 파단{破斷; rupture}함과 아울러, 포켓부(2)에 대응하는 위치에서 적어도 커버 필름(4)을 파단하여, 커버 필름(4)의 파단 부분으로부터 정제(5)가 취출{取出; remove} 가능하게 되어 있다.

Description

블리스터 시트 및 블리스터 포장기
본 발명은, 정제나 캡슐을 수용하는 블리스터 시트 및 블리스터 시트를 제조하기 위한 블리스터 포장기에 관한 것이다.
블리스터 시트는, 각종 내용물이 충전되는 포켓부가 형성된 용기 필름과, 그 용기 필름에 대해 포켓부의 개구측을 밀봉하도록 취착{取着; attach}되는 커버 필름을 구비한다. 또, 커버 필름을 구성하는 소재로서는, 비교적 찢어지기 쉬운 알루미늄박 등이 채용된다. 즉, 포켓부를 누르는 것에 의해, 알루미늄박이 찢어지고, 내용물(예를 들면, 정제나 캡슐 등)이 취출{取出; remove}된다.
그런데, 이와 같은 블리스터 시트는, 내용물을 매우 용이하게 취출할 수 있기 때문에, 편리성이 우수하지만, 그 한편으로, 작은 아이나 노인이더라도 내용물을 용이하게 취출할 수 있게 되어 버린다. 그 때문에, 내용물의 오음{誤飮) 등을 초래해 버릴 우려가 있다. 그래서, 블리스터 시트에 대해, 작은 아이 등이 용이하게 취출할 수 없는 기능(차일드 레지스탕스{Child Resistance} 기능)을 부여하기 위하여, 커버 필름에 대해 보호층을 설치하는 수법이 제안되어 있다(예를 들면, 특허 문헌 1 등 참조).
일본공개특허공보 특개{特開}2005-170464호
그렇지만, 상기 수법에서는, 보호층을 여분으로 설치할 필요가 있기 때문에, 재료비의 증대나 제조시의 공정의 복잡화를 초래해 버리고, 각종 코스트의 증대를 초래해 버릴 우려가 있다. 또, 보호층을 여분으로 설치하는 것은, 환경 면에서 결코 바람직하다고는 말할 수 없다.
본 발명은, 상기 사정을 감안해서 이루어진 것이며, 그 목적은, 차일드 레지스탕스 기능을 구비하면서, 각종 코스트의 증대 방지 등을 보다 확실하게 도모할 수 있는 블리스터 시트 및 블리스터 포장기를 제공하는 점에 있다.
이하, 상기 목적을 해결하기에 적합한 각 수단에 대해, 항목분류{項分}하여 설명한다. 또한, 필요에 따라서 대응하는 수단에 특유의 작용 효과를 부기한다.
수단 1 . 정제 및 캡슐의 적어도 한쪽인 내용물을 수용하는 복수의 포켓부를 구비한 용기 필름과,
상기 포켓부를 막도록 해서 상기 용기 필름에 취착된 커버 필름을 가지는 블리스터 시트로서,
상기 용기 필름 및 상기 커버 필름은, 각각 합성 수지제임과 아울러,
상기 커버 필름은, 상기 용기 필름보다도 얇은 것{薄肉}이고,
상기 용기 필름 및 상기 커버 필름을 관통하여, 상기 포켓부 바로앞까지 연장하는 절개부{切入部; incision}가, 개개의 상기 포켓부를 사이에 두도록{끼우도록} 해서 상기 포켓부마다 적어도 한쌍씩 형성되고,
상기 한쌍의 절개부로부터 상기 포켓부 측으로 비틀림 응력을 가함으로써, 상기 절개부로부터 상기 포켓부 측으로 상기 용기 필름 및 상기 커버 필름을 파단{破斷; rupture}함과 아울러, 상기 포켓부에 대응하는 위치에서 적어도 상기 커버 필름을 파단하고, 상기 커버 필름의 파단 부분으로부터 상기 내용물을 취출 가능하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리스터 시트.
수단 2 . 적어도 상기 용기 필름에는, 소정의 포켓부 단위의 시트 소편{小片}으로 절리{切離} 가능하게 하기 위한 절리용 슬릿 또는 절리용 미싱눈{perforated line; 점선 구멍}이 형성되고,
상기 절리용 슬릿 또는 상기 절리용 미싱눈은, 상기 절개부와 교차하도록 연장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단 1에 기재된 블리스터 시트.
수단 3 . 상기 절리용 슬릿 또는 상기 절리용 미싱눈 중 적어도 상기 절개부와 교차하는 부분은, 상기 용기 필름 및 상기 커버 필름을 관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단 2에 기재된 블리스터 시트.
수단 4 . 상기 한쌍의 절개부가, 하나의 포켓부에 대해 복수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단 1 내지 3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블리스터 시트.
수단 5 . 상기 한쌍의 절개부가, 거의 동일 직선상에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단 1 내지 4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블리스터 시트.
또한, 「거의 동일 직선상」이라고 하는 것은, 한쌍의 절개부가 엄밀하게 동일 직선상에 설치되어 있는 경우 뿐만 아니라, 양{兩}절개부가 동일 방향으로 연장하지만, 해당{當該}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을 따라 양절개부가 약간 어긋나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고 하는 취지이다.
수단 6 . 상기 절개부로부터 상기 포켓부 측으로 비틀림 응력을 가한다는 취지의 상기 내용물의 취출 방법에 관한 정보가 표시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단 1 내지 5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블리스터 시트.
수단 7 . 띠모양{帶狀}을 이루는 합성 수지제의 용기 필름에 형성된 포켓부에 대해 정제 및 캡슐의 적어도 한쪽인 내용물을 충전한 후, 상기 용기 필름에 대해 상기 포켓부를 막도록 해서, 띠모양을 이루며 상기 용기 필름보다도 얇은 것이며 합성 수지제의 커버 필름을 취착하는 것에 의해 띠모양의 블리스터 필름으로 하고, 해당 블리스터 필름을 시트 단위로 펀칭{打拔; punching}하는 것에 의해서 블리스터 시트를 제조하는 블리스터 포장기로서,
상기 용기 필름에 상기 포켓부를 형성하는 포켓부 형성 수단과,
상기 포켓부에 상기 내용물을 충전하는 충전 수단과,
상기 포켓부에 상기 내용물이 충전된 상기 용기 필름에 대해, 상기 포켓부를 막도록 해서 상기 커버 필름을 취착하는 취착 수단과,
상기 용기 필름에 대해 상기 커버 필름이 취착되어 이루어지는 상기 블리스터 필름을 시트 단위로 펀칭하는 펀칭수단을 구비함과 아울러,
상기 용기 필름 및 상기 커버 필름을 관통하여, 상기 포켓부 바로앞까지 연장하는 절개부를, 상기 블리스터 필름에 대해, 개개의 상기 포켓부를 사이에 두도록 해서 상기 포켓부마다 적어도 한쌍씩 형성하는 절개부 형성 수단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리스터 포장기.
수단 8 . 적어도 상기 용기 필름에 대해, 상기 절개부와 교차하는 방향으로 연장함과 아울러, 상기 블리스터 시트를 소정의 포켓부 단위의 시트 소편으로 절리하기 위한 절리용 슬릿 또는 절리용 미싱눈을 형성하는 절리부 형성 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단 7에 기재된 블리스터 포장기.
수단 9 . 상기 절개부 형성 수단을, 상기 절리부 형성 수단과 일체화시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단 8에 기재된 블리스터 포장기.
상기 수단 1에 의하면, 용기 필름 및 커버 필름은, 합성 수지제이고, 찢어지기 어려운 것으로 되어 있다. 그 때문에, 포켓부를 눌렀다고 해도, 커버 필름 등이 찢어져 버리는 일이 일어나기 어렵고, 내용물이 커버 필름 등을 찢고 튀어나가 버린다고 하는 사태를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가 있다. 이것에 의해, 블리스터 시트에, 차일드 레지스탕스 기능을 구비시킬 수가 있다.
또, 상기 수단 1에 의하면, 별도 부재{別材}(예를 들면 보호층)를 설치하거나 할 필요가 없다. 따라서, 차일드 레지스탕스 기능을 구비시키기 때문에, 각종 코스트가 증대해 버리거나, 환경 면에서의 악영향이 생겨 버리거나 하는 것을 보다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이에 더하여, 상기 수단 1에 의하면, 한쌍의 절개부로부터 포켓부 측으로 비틀림 응력을 가함으로써, 절개부로부터 포켓부 측으로 용기 필름 및 커버 필름이 파단됨과 아울러, 포켓부에 대응하는 위치에서는, 양필름 중 적어도 비교적 얇은 커버 필름이 파단된다. 그리고, 커버 필름의 파단 부분으로부터 내용물을 취출할 수가 있다. 따라서, 내용물의 취출에 과도하게 시간이 걸린다고 하는 일은 없고, 편리성을 충분히 확보할 수가 있다. 한편, 내용물을 취출하기 위해서는, 블리스터 시트에서의 절개부 근방 부분을 잡은{쥔} 다음, 또 포켓부 측에 비틀림 응력을 가할 필요가 있다. 즉, 내용물을 취출하기 위해서는 적어도 2개의 액션이 필요해진다[일반적인 블리스터 시트(PTP 시트)에서는, 포켓부를 누른다고 하는 1액션만으로 내용물을 취출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한층 우수한 차일드 레지스탕스 기능을 실현할 수가 있다.
상기 수단 2에 의하면, 절리용 슬릿 또는 절리용 미싱눈에서 블리스터 시트를 절리하고, 시트 소편으로 했을 때에, 시트 소편의 끝가장자리부{端緣部}에 절개부가 나타나게 된다. 그런 후, 시트 소편에서의 절개부 근방 부분을 잡은 다음, 또 포켓부 측에 비틀림 응력을 가하는 것에 의해, 내용물을 취출할 수가 있다. 따라서, 내용물을 취출하기 위해서, 절리용 슬릿 또는 절리용 미싱눈에서 블리스터 시트를 절리한다고 하는 액션이 여분으로 필요해진다. 바꾸어 말하면, 절리하지 않으면, 적어도 한쪽의 절개부가 가장자리부에 출현하지 않고, 비틀림 응력에 의한 파단은 행해지지 않는다. 그 때문에, 내용물의 취출에 보다 많은 액션이 필요해지며, 그 결과, 차일드 레지스탕스 기능을 보다 향상시킬 수가 있다.
절리용 슬릿 또는 절리용 미싱눈에서 블리스터 시트를 절단{切斷}하고 있을 때에, 블리스터 시트가 절개부까지 절단된 상태로 되면, 해당 절단 부분의 선단으로부터 해당 절단 부분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절개부가 연장한 바와 같은 상태로 된다. 이 상태에서, 블리스터 시트의 절리를 더욱더 진행하기 위하여 블리스터 시트에 힘을 가하면, 절개부는 양필름을 관통하는 것이기 때문에, 절리용 슬릿 또는 절리용 미싱눈에 힘이 잘 가해지지 않아, 절개부 측으로 힘이 도망쳐{달아나} 버리기 쉽다. 그 때문에, 블리스터 시트의 절리에 시간이 걸려 버리거나, 도망친 힘에 의해서 블리스터 시트가 잘못해서 절단되어 버리거나 할 우려가 있다.
이 점, 상기 수단 3에 의하면, 절리용 슬릿 또는 절리용 미싱눈 중 적어도 절개부와 교차하는 부분은, 용기 필름 및 커버 필름을 관통하고 있다. 따라서, 절리용 슬릿 또는 절리용 미싱눈에서 블리스터 시트를 절단하고 있을 때에, 블리스터 시트가 절리용 슬릿 또는 절리용 미싱눈의 상기 관통 부분까지 절단된 상태로 되면, 해당 관통 부분과 절개부가 교차한 상태로 된다. 그리고, 이 상태에서는, 블리스터 시트의 절리를 더욱더 진행하기 위하여 블리스터 시트에 힘을 가했을 때에, 절리용 슬릿 또는 절리용 미싱눈(의 상기 관통 부분)에 힘이 가해지기 쉬워지고, 절개부로 힘이 도망치기 어렵게 된다. 이것에 의해, 블리스터 시트의 절리를 보다 용이하게 행할 수 있어, 편리성을 보다 높일 수가 있다.
또, 블리스터 시트의 절리 시에, 블리스터 시트가 잘못해서 절단되어 버린다고 하는 사태를 보다 생기기 어렵게 할 수가 있다. 이것에 의해, 블리스터 시트가 잘못해서 절단되어 버리는 것에 수반하는 문제점(예를 들면, 내용물이 외기에 노출되어 버리거나, 내용물이 튀어나와 버리거나 하는 것 등)을 보다 확실하게 방지할 수가 있다.
상기 수단 4에 의하면, 하나의 포켓부에 대해 복수 쌍의 절개부가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임의의 절개부로부터 비틀림 응력을 가할 수가 있다. 따라서, 내용물을 취출할 때의 편리성을 한층 더 높일 수가 있다.
상기 수단 5에 의하면, 절개부로부터 포켓부 측에 대해 비틀림 응력을 보다 가하기 쉬워져, 용기 필름 및 커버 필름을 보다 용이하게 파단할 수가 있다. 따라서, 내용물을 한층 용이하게 취출할 수가 있다. 또, 절개부를 형성하기 위한 기구를 간소화할 수 있어, 코스트의 증대 억제를 보다 도모할 수가 있다.
상기 수단 6에 의하면, 블리스터 시트에는, 절개부로부터 포켓부 측으로 비틀림 응력을 가하는 것에 의해서 내용물을 취출할 수 있다는 취지의 정보가 표시되고 있다. 따라서, 해당 블리스터 시트를 처음으로 취급하는 사람은, 해당 정보를 확인함으로써, 올바른 취출 방법을 용이하게 이해할 수가 있다. 이것에 의해, 편리성의 가일층{더 높은} 향상을 도모할 수가 있다. 또, 잘못된 취출 방법(예를 들면, 포켓부를 누르는 방법 등)이 행해지는 것에 의한 문제점(예를 들면, 내용물의 파손 등)을 보다 확실하게 방지할 수가 있다.
상기 수단 7에 의하면, 상기 수단 1에 의한 작용 효과가 얻어지는 블리스터 시트를 제조할 수가 있다.
상기 수단 8에 의하면, 상기 수단 2에 의한 작용 효과가 얻어지는 블리스터 시트를 제조할 수가 있다.
상기 수단 9에 의하면, 절개부 형성 수단과 절리부 형성 수단이 일체화되어 있기 때문에, 장치의 소형화를 도모할 수가 있다.
[도 1] 블리스터 시트의 평면도이다.
[도 2] 블리스터 시트의 확대 단면도이다.
[도 3] 블리스터 필름의 평면도이다.
[도 4] 블리스터 포장기의 개략 구성을 도시하는 모식도이다.
[도 5] 슬릿 형성 장치 등의 구성을 도시하는 단면 모식도이다.
[도 6] 슬릿 형성 장치 등의 구성을 도시하는 사시 모식도이다.
[도 7] 절리용 슬릿의 형성 시에 있어서의, 슬릿 형성칼날{形成刃}이나 용기 필름 등을 도시하는 단면 모식도이다.
[도 8] 절개부의 형성 시에 있어서의, 절개부 형성칼날이나 용기 필름 등을 도시하는 단면 모식도이다.
[도 9] 페어 소편{쌍으로 된 소편}으로 절리한 상태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10] 정제를 취출할 때의 취출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페어 소편의 사시도이다.
[도 11] 정제를 취출할 때의 취출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페어 소편의 단면 모식도이다.
[도 12] 다른 실시 형태에서의 절개부의 구성을 도시하는 부분 확대 평면도이다.
[도 13] 다른 실시 형태에서의 절개부의 구성을 도시하는 부분 확대 평면도이다.
[도 14] 다른 실시 형태에서의 블리스터 시트를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도 15] 다른 실시 형태에서, 교차 절개부가 형성된 블리스터 시트를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도 16] 다른 실시 형태에서의 절개부 형성 장치를 도시하는 사시 모식도이다.
[도 17] 다른 실시 형태에서의 슬릿·절개부 형성 장치를 도시하는 사시 모식도이다.
[도 18] 다른 실시 형태에서의 슬릿·절개부 형성 장치를 도시하는 사시 모식도이다.
이하, 일실시 형태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우선, 블리스터 시트의 구성에 대해서 자세하게 설명한다. 도 1 및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블리스터 시트(1)는, 복수의 포켓부(2)를 구비한 용기 필름(3)과, 포켓부(2)를 막도록 해서 용기 필름(3)에 취착된 커버 필름(4)을 가지고 있다. 각 포켓부(2)에는, 내용물로서의 정제(5)가 1개씩 수용되어 있다. 본 실시 형태의 블리스터 시트(1)에서는, 5개의 포켓부(2)로 이루어지는 포켓열이 2열 형성되어 있다.
용기 필름(3)은, 소정의 합성 수지[예를 들면 PP(폴리프로필렌)나 PVC(폴리염화 비닐) 등의 열가소성 수지 재료]에 의해서 형성되어 있다.
커버 필름(4)은, 소정의 합성 수지(예를 들면, 용기 필름(3)이 PP제이면, PP 등이, 용기 필름(3)이 PVC이면, 폴리아미드계의 합성 수지가 매우 적합{好適}하게 이용된다)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또, 용기 필름(3)에는, 2개의 포켓부(2)가 포함되도록 페어 소편(6)(시트 소편에 상당한다)으로 절리할 수 있도록 복수의 절리용 슬릿(7)이 형성되어 있다. 본 실시 형태에서, 절리용 슬릿(7)은, 블리스터 시트(1)의 짧은변 방향과 평행한 방향으로 연장하는 홈모양{溝狀}을 이루고 있다.
또, 블리스터 시트(1)에는, 용기 필름(3) 및 커버 필름(4)을 관통하는 절개부(8)가 설치되어 있다. 절개부(8)는, 절리용 슬릿(7)과 직교하는 방향을 따라 포켓부(2) 바로앞(직전)까지 연장해 있다. 또, 절개부(8)는, 절리용 슬릿(7)과 교차한 상태, 또는, 블리스터 시트(1)의 끝가장자리{端緣}에 관통한 상태로 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블리스터 시트(1)가 페어 소편(6)으로 절리되었을 때, 절개부(8)는, 각 포켓부(2)의 긴쪽 방향{長手方向}의 대략 중앙에서, 페어 소편(6)의 양끝가장자리{兩端緣}로부터 포켓부(2) 바로앞(직전: 예를 들면 포켓부(2)로부터 10mm 이내의 위치)까지 연장하도록 되어 있다. 다시 말해, 절개부(8)는, 개개의 포켓부(2)를 사이에 두도록 해서 포켓부(2)마다 적어도 한쌍씩 형성되어 있다. 또, 한쌍의 절개부(8)는, 동일 직선상에 형성되어 있다. 또한, 블리스터 시트(1)의 끝부{端部}에는, 로트 넘버 등의 식별 정보가 각인된 태그부가 설치되어 있다.
블리스터 시트(1)는, 띠모양의 용기 필름(3) 및 띠모양의 커버 필름(4)으로 형성된 띠모양의 블리스터 필름(9)(도 3 참조)이 시트모양으로 펀칭{打拔; punching}됨으로써 제조된다.
다음에, 상기 블리스터 시트(1)를 제조하기 위한 블리스터 포장기(10)의 개략 구성에 대하여 도 4를 참조해서 설명한다.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블리스터 포장기(10)의 최상류 측에서는, 띠모양의 용기 필름(3)의 원단{原反; orignal, raw}이 롤모양으로 권회{捲回; wind around}되어 있다. 롤모양으로 권회된 용기 필름(3)의 인출단{引出端} 측은, 가이드 롤(13)로 안내되고 있다. 용기 필름(3)은, 가이드 롤(13)의 하류 측에서 간헐 이송 롤(14)에 걸어 장착{掛裝}되어 있다. 간헐 이송 롤(14)은, 간헐적으로 회전하는 모터에 연결되어 있고, 용기 필름(3)을 간헐적으로 반송한다.
가이드 롤(13)과 간헐 이송 롤(14) 사이에는, 용기 필름(3)의 반송 경로를 따라, 가열 장치(15) 및 포켓부 형성 장치(16)가 차례로 배설{配設}되어 있다. 그리고, 가열 장치(15)에 의해서 용기 필름(3)이 가열되어 그 용기 필름(3)이 비교적 유연하게 된 상태에서, 포켓부 형성 장치(16)에 의해서 용기 필름(3)의 소정 위치에 복수의 포켓부(2)가 성형된다. 포켓부(2)의 형성은, 간헐 이송 롤(14)에 의한 용기 필름(3)의 반송 동작 간의 인터벌 시에 행해진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가열 장치(15) 및 포켓부 형성 장치(16)가, 포켓부 형성 수단에 상당한다.
간헐 이송 롤(14)로부터 내보내진{송출된} 용기 필름(3)은, 텐션 롤(18), 가이드 롤(19) 및 필름 받침 롤(20)의 순으로 걸어 장착되어 있다. 필름 받침 롤(20)은, 일정{一定} 회전하는 모터에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용기 필름(3)을 연속적으로 또한 일정 속도로 반송한다. 텐션 롤(18)은, 용기 필름(3)을 탄성력에 의해서 긴장하는 측으로 잡아당긴{인장한} 상태로 되어 있고, 상기 간헐 이송 롤(14)과 필름 받침 롤(20)의 반송 동작의 상위{相違}에 의한 용기 필름(3)의 느슨해짐{弛; slack}을 방지하여 용기 필름(3)을 상시 긴장 상태로 보유{保持}한다.
가이드 롤(19)과 필름 받침 롤(20) 사이에는, 용기 필름(3)의 반송 경로를 따라, 정제 충전 장치(21)가 배설되어 있다. 정제 충전 장치(21)는, 포켓부(2)에 정제(5)를 자동적으로 충전하는 충전 수단으로서의 기능을 가진다. 정제 충전 장치(21)는, 필름 받침 롤(20)에 의한 용기 필름(3)의 반송 동작과 동기하여, 소정 간격마다 셔터를 여는 것에 의해 정제(5)를 낙하시키는 것이며, 이 셔터 개방 동작에 수반하여 각 포켓부(2)에 정제(5)가 충전된다.
정제 충전 장치(21)와 필름 받침 롤(20) 사이에는, 용기 필름(3)의 반송 경로를 따라, 검사 장치(22)가 배설되어 있다. 이 검사 장치(22)는, 예를 들면 정제(5)가 각 포켓부(2)에 확실하게 충전되어 있는지 여부, 정제(5)의 이상 유무, 포켓부(2)로의 이물 혼입 유무 등, 주로 정제 불량에 관한 검사를 행하기 위한 것이다.
한편, 띠모양으로 형성된 커버 필름(4)의 원단은, 최상류 측에서 롤모양으로 권회되어 있다.
롤모양으로 권회된 커버 필름(4)의 인출단은, 가이드 롤(24)에 의해서 가열 롤(25) 쪽으로 안내되고 있다. 가열 롤(25)은, 상기 필름 받침 롤(20)에 압접{壓接} 가능하게 되어 있고, 양롤(20, 25) 사이에 용기 필름(3) 및 커버 필름(4)이 들여보내지도록{송입되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용기 필름(3) 및 커버 필름(4)이, 양롤(20, 25) 사이를 가열 압접 상태에서 통과함으로써, 용기 필름(3)에 커버 필름(4)이 융착{融着}되고, 포켓부(2)가 커버 필름(4)으로 막힌다. 이것에 의해, 정제(5)가 각 포켓부(2)에 충전된 띠모양의 블리스터 필름(9)이 제조된다.
필름 받침 롤(20)로부터 내보내진 블리스터 필름(9)은, 텐션 롤(27) 및 간헐 이송 롤(28)의 순으로 걸어 장착되어 있다.
간헐 이송 롤(28)은, 간헐적으로 회전하는 모터에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블리스터 필름(9)을 간헐적으로 반송한다. 텐션 롤(27)은, 블리스터 필름(9)을 탄성력에 의해서 긴장하는 측으로 잡아당긴 상태로 되어 있고, 상기 필름 받침 롤(20)과 간헐 이송 롤(28)의 반송 동작의 상위에 의한 블리스터 필름(9)의 느슨해짐을 방지해서 블리스터 필름(9)을 상시 긴장 상태로 보유한다.
필름 받침 롤(20)과 텐션 롤(27) 사이에는, 블리스터 필름(9)의 반송 경로를 따라, 검사 장치(29)가 배설되어 있다. 이 검사 장치(29)는, 주로 커버 필름(4)에서의 균열{龜裂}이나 파단{破斷} 등의 파손{破損}에 대한 검사를 행하는 것이다.
간헐 이송 롤(28)로부터 내보내진 블리스터 필름(9)은, 텐션 롤(31) 및 간헐 이송 롤(32)의 순으로 걸어 장착되어 있다.
간헐 이송 롤(32)은, 간헐적으로 회전하는 모터에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블리스터 필름(9)을 간헐적으로 반송한다. 텐션 롤(31)은, 블리스터 필름(9)을 탄성력에 의해서 긴장하는 측으로 잡아당긴 상태로 되어 있고, 상기 간헐 이송 롤(28, 32) 사이에서의 블리스터 필름(9)의 느슨해짐을 방지한다.
간헐 이송 롤(28)과 텐션 롤(31) 사이에서의 블리스터 필름(9)의 이송 경로를 따라, 슬릿 형성 장치(33)와, 절개부 형성 장치(34)와, 각인 장치(35)가 차례로 배설되어 있다. 슬릿 형성 장치(33)는, 절리부 형성 수단을 구성하고, 블리스터 필름(9)의 소정 위치에 상기 절리용 슬릿(7)을 형성하는 기능을 가진다. 절개부 형성 장치(34)는, 절개부 형성 수단을 구성하고, 블리스터 필름(9)의 소정 위치에 절개부(8)를 형성하는 기능을 가진다. 또, 각인 장치(35)는 블리스터 필름(9)의 소정 위치(예를 들면 상기 태그부)에 각인을 새기는 기능을 가진다.
간헐 이송 롤(32)로부터 내보내진 블리스터 필름(9)은, 그의 하류 측에서 텐션 롤(36) 및 연속 이송 롤(37)의 순으로 걸어 장착되어 있다. 간헐 이송 롤(32)과 텐션 롤(36) 사이에는, 블리스터 필름(9)의 반송 경로를 따라, 펀칭 수단으로서의 시트 펀칭 장치(38)가 배설되어 있다. 시트 펀칭 장치(38)는, 블리스터 필름(9)을 블리스터 시트(1) 단위로 그의 바깥가장자리{外緣}를 펀칭하는 기능을 가진다.
시트 펀칭 장치(38)에 의해서 펀칭된 블리스터 시트(1)는, 취출 컨베이어(39)에 의해서 반송되고, 완성품용 호퍼(40)에 일단 저장된다. 또한, 상기 각 검사 장치(22, 29)에 의해서 불량품으로 판정된 블리스터 시트(1)는, 도시하지 않는 불량 시트 배출 기구에 의해서 별도 배출된다.
상기 연속 이송 롤(37)의 하류 측에는, 재단{裁斷} 장치(41)가 배설되어 있다. 그리고, 시트 펀칭 장치(38)에 의한 펀칭 후에 띠모양으로 남은 스크랩부(42)는, 상기 텐션 롤(36) 및 연속 이송 롤(37)로 안내된 후, 재단 장치(41)로 인도된다. 또한, 상기 연속 이송 롤(37)은 종동{從動} 롤이 압접되어 있고, 상기 스크랩부(42)를 협지{挾持; 사이에 끼워 유지}하면서 반송 동작을 행한다. 재단 장치(41)는, 스크랩부(42)를 소정 치수로 재단하고 스크랩 처리하는 기능을 가진다. 재단된 스크랩부(42)는, 스크랩용 호퍼(43)에 저류{貯留}된 후, 별도 폐기 처리된다.
또한, 상기 각 롤(14, 19, 20, 28, 31, 32) 등은, 그 롤 표면과 포켓부(2)가 대향하는 위치 관계로 되어 있지만, 각 롤(14) 등의 표면에는, 포켓부(2)가 수용되는 오목부{凹部}가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포켓부(2)가 찌그러져 버리는 일이 없다. 또, 포켓부(2)가 각 롤(14) 등의 오목부에 수용되면서 이송 동작이 행해짐으로써, 간헐 이송 동작이나 연속 이송 동작이 확실하게 행해진다.
블리스터 포장기(10)의 개략 구성은 이상과 같지만, 그 다음에, 슬릿 형성 장치(33) 및 절개부 형성 장치(34)의 구성에 대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우선, 슬릿 형성 장치(33) 및 절개부 형성 장치(34)가, 각각 공통해서{공통으로} 가지고 있는 기구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슬릿 형성 장치(33) 및 절개부 형성 장치(34)는, 각각 기대{基台}(51)와, 기대(51)에 세워설치{立設}된 한쌍의 마스트{mast}(52)와, 마스트(52)의 상부에 고정된 고정 플레이트(53)를 구비하고 있다. 고정 플레이트(53)에는, 받침판{受板}(54)이 아래로 늘어뜨려진{垂下} 상태로 지지되어 있다. 또한, 슬릿 형성 장치(33)가 가지는 받침판(54)은, 하단면{下端面}이 플랫면으로 되어 있지만, 절개부 형성 장치(34)가 가지는 받침판(54)은, 하단면에 움푹 들어간 모양{窪狀}의 구멍부{穴部}(55)를 복수 구비하고 있다(도 8 참조). 또, 각 받침판(54) 내에는 냉각 기구를 구성하는 냉각수 통로(도시하지 않음)가 형성되어 있으며, 해당 냉각수 통로를 순환하는 냉각수에 의해서, 받침판(54)이 평소에는 냉각 상태로 유지{維持}되도록 되어 있다.
마스트(52)는, 슬라이드 베이스(56)의 베어링 기구에 삽입관통{揷通}되어 있으며, 슬라이드 베이스(56)는, 도시하지 않는 구동 장치에 의해서 상하이동{上下動; vertical motion} 가능하게 되어 있다. 슬라이드 베이스(56)의 상면에는 가열 기구를 구비하는 히터 블록(57)이 재치{載置} 고정되어 있다. 해당 히터 블록(57) 및 받침판(54) 사이에서, 블리스터 필름(9)은 간헐 반송된다. 또, 히터 블록(57)의 양끝가장자리에는, 스토퍼(58)가 세워 설치되어 고정되어 있다.
계속해서, 슬릿 형성 장치(33) 및 절개부 형성 장치(34)의 상위점{相違点}에 대하여 설명한다.
우선, 슬릿 형성 장치(33)에서는, 도 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히터 블록(57)의 상면에 복수의 슬릿 형성칼날{形成刃}(59)이 배설되어 있다. 각 슬릿 형성칼날(59)은, 블리스터 필름(9)의 반송 방향을 따라 연장함과 아울러, 해당 반송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을 따라 등간격으로 배치되어 있다. 또, 슬릿 형성칼날(59)은, 상기 히터 블록(57)으로부터의 전달열에 의해서 평소에는 가열 상태로 유지되도록 되어 있다. 또한, 슬릿 형성칼날(59)은, 스토퍼(58)의 상면보다도 아주 조금 만 돌출되어 있으며, 그 돌출량은, 용기 필름(3)의 두께보다도 작은 것으로 되어 있다.
한편, 절개부 형성 장치(34)에서는, 히터 블록(57)의 상면에 복수의 절개부 형성칼날(60)이 배설되어 있다. 각 절개부 형성칼날(60)은, 블리스터 필름(9)의 반송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연장함과 아울러, 해당 직교하는 방향을 따라 등간격으로 나란히 설치되어 있다. 또, 절개부 형성칼날(60)은, 히터 블록(57)으로부터의 전달열에 의해서 평소에는 가열 상태로 유지되도록 되어 있다. 또한, 절개부 형성칼날(60)은, 스토퍼(58)의 상면보다도 돌출되어 있으며, 그 돌출량은, 용기 필름(3) 및 커버 필름(4)의 두께보다도 충분히 큰 것으로 되어 있다. 또한, 각 절개부 형성칼날(60)과 상대하는 위치에, 전술한 받침판(54)의 구멍부(55)가 각각 형성되어 있다.
그 다음에, 상기 블리스터 포장기(10)에 의해 블리스터 시트(1)를 제조하는 공정 중, 특히, 정제(5)가 포켓부(2)에 투입되어 블리스터 필름(9)이 형성된 후의 주요한 공정에 대하여 설명한다.
형성된 블리스터 필름(9)은, 우선 슬릿 형성 공정을 거친다. 이러한 슬릿 형성 공정에서는 상술한 슬릿 형성 장치(33)가 사용된다. 이 공정에서는, 우선, 간헐 반송되는 블리스터 필름(9)이 소정 위치에서 정지시켜지면, 슬라이드 베이스(56)가 마스트(52)를 따라 상측으로 이동{上動}시켜진다. 그리고, 스토퍼(58)가 받침판(54)에 닿고, 슬라이드 베이스(56)의 그 이상의 상측으로의 이동이 규제된 상태로 되면, 블리스터 필름(9)은, 도 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슬릿 형성칼날(59) 및 받침판(54) 사이에 끼워넣어진 모습으로 된다. 이 때, 슬릿 형성칼날(59)의 선단이 용기 필름(3)에서의 포켓부(2)를 사이에 두는{끼우는} 부분으로 들어가고, 용기 필름(3)이 소정량만큼 잘린다. 이것에 의해, 용기 필름(3)에 대해 절리용{切離用} 슬릿(7)이 형성된다. 절리용 슬릿(7)의 형성 후, 슬라이드 베이스(56)는 원래의 위치로 되돌아간다.
다음에, 절리용 슬릿(7)이 형성된 블리스터 필름(9)은 절개부 형성 공정을 거친다. 절개부 형성 공정에서는, 상술한 절개부 형성 장치(34)가 사용된다. 이 공정에서는, 상기 슬릿 형성 공정과 마찬가지로, 간헐 반송되는 블리스터 필름(9)이 소정 위치에서 정지시켜지면, 스토퍼(58)가 받침판(54)에 접촉할 때까지, 슬라이드 베이스(56)가 상측으로 이동시켜진다. 이것에 의해, 도 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절개부 형성칼날(60)의 선단부는, 블리스터 필름(9) 중 포켓부(2)를 사이에 두는 부분을 관통하여, 구멍부(55)로 들어간다. 그 결과, 블리스터 필름(9)에서의 절리용 슬릿(7)과 교차하는 부분에, 양필름(3, 4)을 관통하는 절개부(8)가 형성된다. 절개부(8)의 형성 후, 슬라이드 베이스(56)는 원래의 위치로 되돌아간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각 장치(33, 34)의 슬라이드 베이스(56)가 같은 시기{同時期}에 이동함으로써, 절리용 슬릿(7) 및 절개부(8)가 인접하는 블리스터 시트(1) 단위로 같은 시기에 형성되도록 되어 있다.
또한, 슬릿 형성칼날(59) 및 절개부 형성칼날(60)은, 히터 블록(57)으로부터의 전달열에 의해서 가열되고 있기 때문에, 슬릿 형성칼날(59) 및 절개부 형성칼날(60)의 원활한 절개가 촉진되어, 절리용 슬릿(7) 및 절개부(8)를 보다 정밀도좋게 형성할 수가 있다. 또, 받침판(54)은 냉각수로 냉각되기 때문에, 슬릿 형성칼날(59) 및 절개부 형성칼날(60)로부터의 열이 용기 필름(3) 및 커버 필름(4) 전반{全般}에 널리 퍼져 버리는 것이 억제된다. 따라서, 각각 수지로 이루어지는 용기 필름(3) 및 커버 필름(4)이 절단되거나, 융해{融解}되거나 한다고 하는 사태가 회피된다.
슬릿 형성 공정 및 절개부 형성 공정이 종료하면, 각인 공정으로 이행한다. 이 각인 공정에서는, 각인 장치(35)가 사용된다. 이 각인 공정에서는, 각인 장치(35)가 가지는 가동금형{可動型; movable die}이 소정의 대기 위치로부터 소정의 작업 위치로 이동하는 것에 수반하여, 블리스터 필름(9)에서의 상기 태그부에 대응하는 위치에 로트 넘버 등의 식별 정보가 각인된다.
각인 공정이 종료하면, 시트 펀칭 공정으로 이행한다. 시트 펀칭 공정에서는, 시트 펀칭 장치(38)가 사용된다. 이 시트 펀칭 공정에서는, 시트 펀칭 장치(38)가 가지는 가동금형이 소정의 대기 위치로부터 작업 위치로 이동하는 것에 의해, 블리스터 필름(9)을 시트 단위로 펀칭한다. 그 결과, 블리스터 시트(1)를 얻을 수가 있다.
다음에, 이와 같이 해서 얻어진 블리스터 시트(1)가, 그 사용 시에 어떻게 다루어지는지에 대하여 설명한다.
사용함에 있어서, 우선, 블리스터 시트(1)는, 도 9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절리용 슬릿(7)에서, 소정의 (본 실시 형태에서는 2개의) 포켓부(2) 단위의 페어 소편(6)으로 절리된다. 이러한 페어 소편(6)에서, 절개부(8)는, 페어 소편(6)의 양측 끝가장자리로부터 포켓부(2) 쪽으로 연장하고 있다.
그리고, 상기 페어 소편(6)에서의 절개부(8)의 근방 부분이 오퍼레이터(사용자)의 손에 의해서 쥐어진{잡힌} 상태에서, 비틀림 응력이 가해진다. 이것에 의해, 도 10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절개부(8)의 선단으로부터 포켓부(2) 측을 향해 용기 필름(3) 및 커버 필름(4)이 파단된다. 그리고, 또 비틀림 응력이 가해짐으로써, 도 1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포켓부(2)에 대응하는 위치에서 용기 필름(3) 및 커버 필름(4)(적어도 커버 필름(4))이 파단된다. 그 결과, 포켓부(2) 내로부터 정제(5)가 용이하게 취출된다{꺼내진다}.
이상 상세하게 기술{詳述}한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에 의하면, 용기 필름(3) 및 커버 필름(4)은, 합성 수지제이고, 찢어지기 어려운 것으로 되어 있다. 그 때문에, 포켓부(2)를 눌렀다고 해도, 커버 필름(4) 등이 찢어져 버리는 일이 일어나기 어렵고, 정제(5)가 커버 필름(4) 등을 찢고 튀어나가 버린다고 하는 사태를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가 있다. 이것에 의해, 블리스터 시트(1)에, 차일드 레지스탕스 기능을 구비시킬 수가 있다.
또, 차일드 레지스탕스 기능을 구비시키기 위해서, 별도 부재(예를 들면 보호층)를 설치하거나 할 필요가 없다. 따라서, 각종 코스트가 증대해 버리거나, 환경면에서의 악영향이 생겨 버리거나 하는 것을 보다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이에 더하여, 상기 실시 형태에 의하면, 정제(5)의 취출에 과도하게 시간이 걸린다고 하는 일은 없고, 편리성을 충분히 확보할 수가 있다. 한편, 정제(5)를 취출하기 위해서는, 블리스터 시트(1)에서의 절개부(8)의 근방 부분을 쥔{잡은} 다음, 또 포켓부(2) 측에 비틀림 응력을 가할 필요가 있다. 즉, 정제(5)를 취출하기 위해서는 적어도 2개의 액션이 필요하게 된다. 이것에 의해, 한층 우수한 차일드 레지스탕스 기능을 실현할 수가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정제(5)를 취출하기 위해서, 절리용 슬릿(7)에서 블리스터 시트(1)를 절리한다고 하는 액션이 여분으로 필요하게 된다. 바꾸어 말하면, 절리하지 않으면, 적어도 한쪽의 절개부(8)가 가장자리부에 출현하지 않고, 비틀림 응력에 의한 파단은 행해지지 않는다. 그 때문에, 정제(5)의 취출에 보다 많은 액션이 필요하게 되며, 그 결과, 차일드 레지스탕스 기능을 보다 향상시킬 수가 있다.
아울러, 한쌍의 절개부(8)가 거의 동일 직선상에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절개부(8)로부터 포켓부(2) 측에 대해 비틀림 응력을 보다 가하기 쉬워지고, 양필름(3, 4)을 보다 용이하게 파단할 수가 있다. 따라서, 정제(5)를 한층 용이하게 취출할 수가 있다. 또, 절개부 형성 장치(34)에서는, 절개부 형성칼날(60)이 거의 동일 직선상에 늘어서도록 배치된다. 따라서, 절개부 형성 장치(34)의 구성을 간소화할 수가 있고, 코스트의 증대 억제를 보다 도모할 수가 있다.
또한, 상기 실시 형태의 기재 내용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다음과 같이 실시해도 좋다. 물론, 이하에서 예시하지 않는 다른 응용예, 변경예도 당연히 가능하다.
(a) 상기 실시 형태에서, 한쌍의 절개부(8)는, 페어 소편(6)의 양측 끝가장자리로부터 포켓부(2) 쪽으로 동일 직선상에 연장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렇지만, 절개부의 구성은, 반드시 상기와 같은 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절개부는, 포켓부(2) 측에 비틀림 응력을 가함으로써 커버 필름(4) 등을 파단 가능하게 하는 것이면 좋다.
따라서, 예를 들면, 도 1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평면 원형모양{平面圓形狀}의 포켓부(71)를 가지는 바와 같은 경우, 하나의 포켓부(71)에 대해 복수 쌍의 절개부(72, 73)를 형성하는 것으로 해도 좋다. 이 경우, 오퍼레이터의 소망하는 임의의 절개부(72, 73)로부터 비틀림 응력을 가할 수가 있다. 결과로서, 취급성의 향상을 도모할 수가 있다.
또, 예를 들면, 도 1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페어 소편(6)의 코너부 또는 그 근방 등으로부터, 절개부(74)가, 그의 연장선이 포켓부(75)의 긴쪽 방향 대략 중심을 통과하도록 해서, 비스듬하게 연장하도록 형성해도 좋다. 이와 같이 구성해도, 기본적으로는 상기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 작용 효과가 얻어진다.
(b) 상기 실시 형태에서, 블리스터 시트(1)는, 5개의 포켓부(2)로 이루어지는 포켓열이 2열 형성된 것으로 되어 있지만, 블리스터 시트에서의 포켓부의 배열은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예를 들면, 도 1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블리스터 시트(76)가, 소정 개수의 포켓부(77)로 이루어지는 포켓열이 1열 형성되어 이루어지는 것이더라도 좋다. 이 경우, 절개부(78)는, 블리스터 시트(76)의 양끝가장자리부로부터 포켓부(77) 바로앞까지 연장함과 아울러, 포켓부(77)를 사이에 두도록{끼우도록} 해서 형성되어 있으면 좋다. 즉, 절개부는, 적어도 사용시(정제(5)를 취출할 때)에, 용기 필름(3) 및 커버 필름(4)으로 이루어지는 시트 부분의 끝가장자리로부터 포켓부측으로 연장하도록 구성되는 것이면 좋다.
(c) 상기 실시 형태에서, 절리용 슬릿(7)은 홈모양을 이루고 있으며, 용기 필름(3) 및 커버 필름(4)을 각각 관통하지 않는 구성으로 되어 있지만, 도 1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절리용 슬릿(7) 중 절개부(8)와 교차하는 부분을, 양필름(3, 4)을 관통하는 교차 절개부(79)(도 15중, 굵은 선{太線}으로 나타내는 부위)로 해도 좋다. 이 경우에는, 절리용 슬릿(7)에서 블리스터 시트(1)를 절단하고 있을 때에, 블리스터 시트(1)가 교차 절개부(79)까지 절단된 상태로 되면, 해당 교차 절개부(79)와 절개부(8)가 교차한 상태로 된다. 그리고, 이 상태에서는, 블리스터 시트(1)의 절리를 더욱더 진행하기 위하여 블리스터 시트(1)에 힘을 가했을 때에, 절리용 슬릿(7)(교차 절개부(79))에 힘이 가해지기 쉬어지고, 절개부(8)로 힘이 도망치기{달아나기} 어렵게 된다. 이것에 의해, 블리스터 시트(1)의 절리를 보다 용이하게 행할 수 있어, 편리성을 보다 높일 수가 있다.
또, 블리스터 시트(1)의 절리 시에, 블리스터 시트(1)가 잘못해서 절단되어 버린다고 하는 사태를 보다 생기기 어렵게 할 수가 있다. 이것에 의해, 블리스터 시트(1)가 잘못해서 절단되어 버리는 것에 수반하는 문제점(예를 들면, 정제(5)가 외기에 노출되어 버리거나, 정제(5)가 튀어나와 버리거나 하는 것 등)을 보다 확실하게 방지할 수가 있다.
또한, 교차 절개부(79)는, 예를 들면, 도 1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절개부 형성 장치(34)에서, 절개부 형성칼날(60)과 교차하고, 또한, 슬릿 형성칼날(59)과 동일 방향으로 연장하는 교차칼날(61)을 설치하는 것에 의해, 절개부(8)와 동시에 형성되도록 해도 좋다.
(d) 상기 실시 형태에서, 슬릿 형성 장치(33) 및 절개부 형성 장치(34)는, 블리스터 필름(9)의 반송 방향을 따라 직렬적으로 설치되어 있지만, 양자를 일체화해도 좋다. 예를 들면, 도 1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슬릿 형성칼날(59) 및 절개부 형성칼날(63)을 서로 교차하도록 배치함으로써, 슬릿 형성 장치 및 절개부 형성 장치가 일체화되어 이루어지는 슬릿·절개부 형성 장치(62)로 해도 좋다. 이 경우에는, 슬릿 형성 장치 및 절개부 형성 장치를 따로 따로 설치한 경우에 비하여, 블리스터 포장기(10)의 소형화를 도모할 수가 있다.
또, 교차 절개부(79)를 설치하는 경우에는, 도 1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교차 절개부(79)를 형성하기 위한 교차칼날(64)을 슬릿 형성칼날(59)과 일체로 설치하는 것으로 해도 좋다.
(e)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특별히 언급하고 있지 않지만, 정제(5)의 취출 방법에 관한 정보를 블리스터 시트(1)에 표시하는 것으로 해도 좋다. 구체적으로는, 블리스터 시트(1)의 소정 부위(예를 들면, 상기 태그부 등)에, 절개부(8)로부터 포켓부(2) 측으로 비틀림 응력을 가함으로써 커버 필름(4) 등을 파단하는 것에 의해, 정제(5)가 취출된다는 취지의 문자{文字}, 그림{繪} 등을 설치하는 것으로 해도 좋다. 이 경우, 블리스터 시트(1)를 처음으로 취급하는 사람은, 해당 정보를 확인함으로써, 올바른 취출 방법을 용이하게 이해할 수가 있다. 이것에 의해, 편리성의 가일층{더 높은} 향상을 도모할 수가 있다. 또, 잘못된 취출 방법(예를 들면, 포켓부(2)를 누르는 방법 등)이 행해지는 것에 의한 문제점(예를 들면, 정제(5)의 파손 등)을 보다 확실하게 방지할 수가 있다.
또한, 상기 정보와 아울러, 포켓부(2)의 압압{押壓; press} 금지를 나타낸다는 취지의 정보를 블리스터 시트(1)에 표시시키는 것으로 해도 좋다. 이 경우에는, 포켓부(2)가 압압되는 것에 수반하는 문제점(예를 들면, 정제(5)의 파손 등)을 한층 확실하게 방지할 수가 있다.
또, 이들 정보는, 예를 들면, 상기 각인 장치(35)에 의해 설치하는 것으로 해도 좋고, 예를 들면, 소정의 인쇄 장치에 의해 설치하는 것으로 해도 좋다.
(f) 상기 실시 형태의 블리스터 시트(1)에는 절리용 슬릿(7)이 설치되어 있지만, 절리용 슬릿(7) 대신에, 미싱눈모양의 관통 자름선{切線}인 절리용 미싱눈을 설치하는 것으로 해도 좋다. 또, 절리용 미싱눈을 설치하는 경우, 절리용 미싱눈을 형성하기 위한 절리부 형성 수단으로서의 미싱눈 형성 장치를 블리스터 포장기(10)에 설치해도 좋다. 또한, 미싱눈 형성 장치로서는, 예를 들면, 슬릿 형성 장치(33)에서, 슬릿 형성칼날(59) 대신에, 블리스터 필름(9)에 대해 절리용 미싱눈을 관통 형성하기 위한 미싱눈 형성칼날(예를 들면, 톱니모양{鋸狀}의 칼날 등)이 설치된 것을 들 수가 있다.
(g)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내용물이 정제(5)인 경우에 대해서 구체화하고 있지만, 내용물은, 캡슐(의약품이나 영양 식품 등)이더라도 좋다.
(h) 용기 필름(3) 및 커버 필름(4)의 재료는 상기 실시 형태에서 든 것에 한정되지 않고, 적당히{適宜} 변경 가능하다.
1…블리스터 시트, 2…포켓부, 3…용기 필름, 4…커버 필름, 5…정제(내용물), 6…페어 소편(시트 소편), 7…절리용 슬릿, 8…절개부, 9…블리스터 필름, 10…블리스터 포장기, 15…가열 장치(포켓부 형성 수단), 16…포켓부 형성 장치(포켓부 형성 수단), 20…필름 받침 롤(취착 수단), 21…정제 충전 장치(충전 수단), 25…가열 롤(취착 수단), 33…슬릿 형성 장치(절리부 형성 수단), 34…절개부 형성 장치(절개부 형성 수단), 38…시트 펀칭 장치(펀칭 수단), 79…교차 절개부.

Claims (9)

  1. 정제 및 캡슐의 적어도 한쪽인 내용물을 수용하는 복수의 포켓부를 구비한 용기 필름과,
    상기 포켓부를 막도록 해서 상기 용기 필름에 취착{取着; attach}된 커버 필름을 가지는 블리스터 시트로서,
    상기 용기 필름 및 상기 커버 필름은, 각각 합성 수지제임과 아울러,
    상기 커버 필름은, 상기 용기 필름보다도 얇은 것{薄肉}이고,
    상기 용기 필름 및 상기 커버 필름을 관통하여, 상기 포켓부 바로앞까지 연장하는 절개부{切入部; incision}가, 개개의 상기 포켓부를 사이에 두도록 해서 상기 포켓부마다 적어도 한쌍씩 형성되고,
    상기 한쌍의 절개부로부터 상기 포켓부 측으로 비틀림 응력을 가함으로써, 상기 절개부로부터 상기 포켓부 측으로 상기 용기 필름 및 상기 커버 필름을 파단{破斷; rupture}함과 아울러, 상기 포켓부에 대응하는 위치에서 적어도 상기 커버 필름을 파단하고, 상기 커버 필름의 파단 부분으로부터 상기 내용물을 취출{取出; remove} 가능하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리스터 시트.
  2. 제1항에 있어서,
    적어도 상기 용기 필름에는, 소정의 포켓부 단위의 시트 소편{小片}으로 절리{切離} 가능하게 하기 위한 절리용 슬릿 또는 절리용 미싱눈{perforated line}이 형성되고,
    상기 절리용 슬릿 또는 상기 절리용 미싱눈은, 상기 절개부와 교차하도록 연장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리스터 시트.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절리용 슬릿 또는 상기 절리용 미싱눈 중 적어도 상기 절개부와 교차하는 부분은, 상기 용기 필름 및 상기 커버 필름을 관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리스터 시트.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항에 있어서,
    상기 한쌍의 절개부가, 하나의 포켓부에 대해 복수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리스터 시트.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항에 있어서,
    상기 한쌍의 절개부가, 거의 동일 직선상에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리스터 시트.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항에 있어서,
    상기 절개부로부터 상기 포켓부 측으로 비틀림 응력을 가한다는 취지의 상기 내용물의 취출 방법에 관한 정보가 표시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리스터 시트.
  7. 띠모양{帶狀}을 이루는 합성 수지제의 용기 필름에 형성된 포켓부에 대해 정제 및 캡슐의 적어도 한쪽인 내용물을 충전한 후, 상기 용기 필름에 대해 상기 포켓부를 막도록 해서, 띠모양을 이루며 상기 용기 필름보다도 얇은 것이며 합성 수지제의 커버 필름을 취착하는 것에 의해 띠모양의 블리스터 필름으로 하고, 해당{當該} 블리스터 필름을 시트 단위로 펀칭{打拔; punching}하는 것에 의해서 블리스터 시트를 제조하는 블리스터 포장기로서,
    상기 용기 필름에 상기 포켓부를 형성하는 포켓부 형성 수단과,
    상기 포켓부에 상기 내용물을 충전하는 충전 수단과,
    상기 포켓부에 상기 내용물이 충전된 상기 용기 필름에 대해, 상기 포켓부를 막도록 해서 상기 커버 필름을 취착하는 취착 수단과,
    상기 용기 필름에 대해 상기 커버 필름이 취착되어 이루어지는 상기 블리스터 필름을 시트 단위로 펀칭하는 펀칭수단을 구비함과 아울러,
    상기 용기 필름 및 상기 커버 필름을 관통하여, 상기 포켓부 바로앞까지 연장하는 절개부를, 상기 블리스터 필름에 대해, 개개의 상기 포켓부를 사이에 두도록 해서 상기 포켓부마다 적어도 한쌍씩 형성하는 절개부 형성 수단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리스터 포장기.
  8. 제7항에 있어서,
    적어도 상기 용기 필름에 대해, 상기 절개부와 교차하는 방향으로 연장함과 아울러, 상기 블리스터 시트를 소정의 포켓부 단위의 시트 소편으로 절리하기 위한 절리용 슬릿 또는 절리용 미싱눈을 형성하는 절리부 형성 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리스터 포장기.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절개부 형성 수단을, 상기 절리부 형성 수단과 일체화시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리스터 포장기.
KR1020177022134A 2015-08-04 2016-02-01 블리스터 시트 및 블리스터 포장기 KR10188758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5-154112 2015-08-04
JP2015154112A JP6040295B1 (ja) 2015-08-04 2015-08-04 ブリスタシート及びブリスタ包装機
PCT/JP2016/052870 WO2017022253A1 (ja) 2015-08-04 2016-02-01 ブリスタシート及びブリスタ包装機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05543A true KR20170105543A (ko) 2017-09-19
KR101887587B1 KR101887587B1 (ko) 2018-08-10

Family

ID=574832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7022134A KR101887587B1 (ko) 2015-08-04 2016-02-01 블리스터 시트 및 블리스터 포장기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10589914B2 (ko)
EP (1) EP3333098B1 (ko)
JP (1) JP6040295B1 (ko)
KR (1) KR101887587B1 (ko)
CN (1) CN107848688B (ko)
WO (1) WO2017022253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169127B2 (ja) * 2015-01-27 2017-07-26 Ckd株式会社 ポケット成形装置及びブリスター包装機
JP6306230B1 (ja) * 2017-02-09 2018-04-04 Ckd株式会社 半田印刷検査装置、半田印刷検査方法、及び、基板の製造方法
JP6943812B2 (ja) * 2018-06-12 2021-10-06 Ckd株式会社 検査装置、ptp包装機及びptpシートの製造方法
WO2020091827A1 (en) * 2018-10-30 2020-05-07 Juul Labs, Inc. Cartridge packaging for vaporizer cartridges
KR102154310B1 (ko) 2019-04-30 2020-09-21 쓰리애플즈코스메틱스 주식회사 블리스터 커팅라인 가공장치
WO2020261155A1 (en) * 2019-06-25 2020-12-30 Mylan Pharma Uk Limited System and method of manufacture for inhalation device
JP6944984B2 (ja) * 2019-10-29 2021-10-06 Ckd株式会社 ブリスター包装機及びブリスターパックの製造方法
JP7184840B2 (ja) * 2020-03-19 2022-12-06 Ckd株式会社 ブリスタ包装機及びブリスタパックの製造方法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502611A (ja) * 2000-07-06 2004-01-29 ワーナー−ランバート・カンパニー、リミテッド、ライアビリティ、カンパニー キー穴形状開口部を有する単位投与量ブリスタ包装
JP2005170464A (ja) 2003-12-11 2005-06-30 Toyo Aluminium Kk プレススルーパック包装体
WO2008146836A1 (ja) * 2007-06-01 2008-12-04 Shionogi & Co., Ltd. ブリスター包装体、ブリスター包装体製造装置及びブリスター包装体製造方法
JP2010254315A (ja) * 2009-04-22 2010-11-11 Toyo Aluminium Kk プレススルーパック包装体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2011213387A (ja) * 2010-03-31 2011-10-27 Sumitomo Bakelite Co Ltd 包装シート

Family Cites Families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4722929Y1 (ko) * 1969-10-11 1972-07-24
US5046618A (en) * 1990-11-19 1991-09-10 R. P. Scherer Corporation Child-resistant blister pack
ES2296331T3 (es) * 1997-04-01 2008-04-16 Cima Labs Inc. Envase de tipo blister y comprimido envasado.
DE69833041T2 (de) * 1997-10-02 2006-07-06 Kyowa Hakko Kogyo Co., Ltd. Durchdrückpackung sowie verfahren zum entnehmen und zum teilen von tabletten
US6036016A (en) * 1998-04-20 2000-03-14 Pinnacle Intellectual Property Services, Inc. Blister package with easy tear blister
US6422391B1 (en) * 1999-12-20 2002-07-23 L. Perrigo Company Child-resistant medicament package and method of opening
JP2001315725A (ja) * 2000-05-12 2001-11-13 Takeda Chem Ind Ltd ブリスター包装体用切離線加工装置
JP2001341776A (ja) * 2000-05-31 2001-12-11 Ckd Corp Ptpシート及びその製造装置
US20020166790A1 (en) * 2000-06-28 2002-11-14 Aylward Enterprises, Inc. Multi-cell blister package having a thermoformed cap and associated methods
JP3910522B2 (ja) * 2002-11-06 2007-04-25 シーケーディ株式会社 Ptpシート及びその製造装置
US7607834B2 (en) * 2004-08-02 2009-10-27 R.P. Scherer Technologies, Inc. Peelable pouch containing a single or multiple dosage forms and process of making same
US20070289893A1 (en) * 2004-08-20 2007-12-20 Perrigo Company Child-Resistant Medicament Package
DE102004062864A1 (de) * 2004-12-21 2006-06-22 Boehringer Ingelheim Pharma Gmbh & Co. Kg Folienbehälter
US7395928B2 (en) * 2005-07-14 2008-07-08 Abbott Laboratories Child-resistant blister package
TWI453150B (zh) * 2007-10-29 2014-09-21 Toyo Aluminium Kk 壓穿型包裝體及其製造方法
CN101293582B (zh) * 2007-12-17 2012-09-26 浙江金石包装有限公司 安全型泡罩包装
EP2589365A1 (en) * 2011-11-03 2013-05-08 LEK Pharmaceuticals d.d. Child resistant and senior friendly unit dose blister package
US9682012B2 (en) * 2014-11-26 2017-06-20 Mylan, Inc. Container for storage of a medicament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502611A (ja) * 2000-07-06 2004-01-29 ワーナー−ランバート・カンパニー、リミテッド、ライアビリティ、カンパニー キー穴形状開口部を有する単位投与量ブリスタ包装
JP2005170464A (ja) 2003-12-11 2005-06-30 Toyo Aluminium Kk プレススルーパック包装体
WO2008146836A1 (ja) * 2007-06-01 2008-12-04 Shionogi & Co., Ltd. ブリスター包装体、ブリスター包装体製造装置及びブリスター包装体製造方法
JP2010254315A (ja) * 2009-04-22 2010-11-11 Toyo Aluminium Kk プレススルーパック包装体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2011213387A (ja) * 2010-03-31 2011-10-27 Sumitomo Bakelite Co Ltd 包装シート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10589914B2 (en) 2020-03-17
JP2017030824A (ja) 2017-02-09
CN107848688B (zh) 2020-02-11
WO2017022253A1 (ja) 2017-02-09
CN107848688A (zh) 2018-03-27
KR101887587B1 (ko) 2018-08-10
JP6040295B1 (ja) 2016-12-07
EP3333098A4 (en) 2019-01-23
EP3333098B1 (en) 2020-08-19
EP3333098A1 (en) 2018-06-13
US20180162618A1 (en) 2018-06-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87587B1 (ko) 블리스터 시트 및 블리스터 포장기
JP4030600B2 (ja) 印刷ラベルを製造するための装置と方法
JP5727972B2 (ja) ブリスターパック、ブリスターパック製造装置及びブリスターパックの製造方法
EP1449770B1 (en) Machine for producing strip packages
WO2010095102A1 (en) Method and device for the commissioning of piece goods
JP2014118192A (ja) Ptpシートの製造装置及びptpシートの製造方法
JP5922602B2 (ja) Ptpシート及びその製造装置
KR101647833B1 (ko) 티어탭을 구비한 캡 필름 커팅 장치
JP6152080B2 (ja) シール装置及びptp包装機
JP3917070B2 (ja) Ptpシートの製造方法及びptpシートの製造装置
JP3910522B2 (ja) Ptpシート及びその製造装置
JP2015227172A (ja) シュリンク包装体及びその包装方法
JP2013099493A (ja) 薬液収納容器用薬袋
JP5535153B2 (ja) Ptpシート及びその製造装置
JP2013049453A (ja) Ptpシート及びその製造装置
JP2016137930A (ja) 包装袋
JP2020147294A (ja) ブリスタシート集積移送装置及びブリスタシートの集積移送方法
JP3753999B2 (ja) Ptpシート製造装置
JP2024002723A (ja) ポケット部形成装置及びブリスタ包装機
TW202337772A (zh) 泡鼓包裝機
JP2003012031A (ja) プレス・スルー性を付与したptp包装体及びその製造方法
JP2022117576A (ja) Ptpシート及びptp包装機
JP5174884B2 (ja) 薬剤分包体、薬剤分包体製造用刃体、薬剤分包体製造装置
JP2015217969A (ja) 包装体
JP2022114730A (ja) ブリスタ包装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