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92604A - 엘리베이터 장치 - Google Patents

엘리베이터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92604A
KR20170092604A KR1020177017722A KR20177017722A KR20170092604A KR 20170092604 A KR20170092604 A KR 20170092604A KR 1020177017722 A KR1020177017722 A KR 1020177017722A KR 20177017722 A KR20177017722 A KR 20177017722A KR 20170092604 A KR20170092604 A KR 2017009260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ight
hoistway
dimension
car
rai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701772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914891B1 (ko
Inventor
게이타 시마바야시
츠네히로 히가시나카
Original Assignee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7009260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9260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1489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1489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5/00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 B66B5/0043Devices enhancing safety during maintenance
    • B66B5/005Safety of maintenance personnel
    • B66B5/0081Safety of maintenance personnel by preventing falling by means of safety fences or handrails, being operable or not, mounted on top of the elevator ca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7/00Hoistway equipment
    • B66B17/12Counterpoi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5/00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 B66B5/0043Devices enhancing safety during maintenance
    • B66B5/005Safety of maintenance personne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7/00Other common features of elevators
    • B66B7/02Guideways; Guides
    • B66B7/023Mounting means therefor

Landscapes

  • Maintenance And Inspection Apparatuses For Elevators (AREA)
  • Cage And Drive Apparatuses For Elevators (AREA)
  • Lift-Guide Devices, And Elevator Ropes And Cables (AREA)

Abstract

엘리베이터 칸의 상면에는, 난간 높이 가변부를 가지는 엘리베이터 칸 상부 난간이 마련되어 있다. 난간 높이 가변부는, 높이 치수가 제1 치수가 되는 저난간 상태와, 높이 치수가 제1 치수 보다도 큰 제2 치수가 되는 고난간 상태와의 사이에서 변화 가능하게 되어 있다. 승강로 내에는, 판부를 가지는 승강로 내부 고정 부재가 고정되어 있다. 판부는, 승강로를 상부로부터 보았을 때, 승강로의 내벽면과 난간 높이 가변부와의 사이에 배치되어 있다. 특정층의 승강장의 바닥으로부터 제1 치수만큼 상부의 높이를 기준 높이로 하면, 판부의 상단부의 위치는, 특정층에 마련된 승강장 출입구의 상단부 보다도 낮은 위치이고 또한 기준 높이 이상의 위치이며, 판부의 하단부의 위치는, 특정층의 하부 인접층에 마련된 승강장 출입구의 상단부 보다도 높은 위치이고 또한 기준 높이 이하의 위치이다.

Description

엘리베이터 장치{ELEVATOR DEVICE}
본 발명은, 엘리베이터 칸의 상면에 난간이 마련되어 있는 엘리베이터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 승강로의 꼭대기부 근방으로부터 저부 근방까지 연장 마련된 승강로 내부 격벽을 승강로 내에 배치하여, 승강로 내를 엘리베이터 칸의 승강 통로와 균형추의 승강 통로로 구획한 엘리베이터 장치가 알려져 있다. 엘리베이터 칸을 상부로부터 보았을 때에는, 승강로 내부 격벽과 엘리베이터 칸의 둘레 가장자리부와의 간격이 300mm 이내로 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종래의 엘리베이터 장치에서는, 엘리베이터 칸 위에서 작업하는 보수 작업원의 낙하 방지가 도모되어 있다(특허 문헌 1 참조).
특허 문헌 1 : 국제공개 제2014-013600호
그러나, 승강로 내부 격벽의 설치 범위가 상하 방향으로 매우 길어져 버리므로, 승강로 내부 격벽을 승강로 내에 설치하기 위한 코스트(예를 들면, 재료 코스트 및 설치 코스트 등)가 커져 버린다.
또, 예를 들면 유럽 안전 규격의 EN81-20/50에서는, 사람(예를 들면 보수 작업원 등)이 엘리베이터 칸 위에 타는 경우, 엘리베이터 칸 위에는 난간을 마련하는 것이 규정되어 있다. 게다가, EN81-20/50에 의하면, 승강로의 내벽면과 엘리베이터 칸 상부 난간과의 수평 거리가 500mm 이하인 경우에는, 엘리베이터 칸 상부 난간의 높이 치수를 700mm 이상, 1100mm 미만의 범위로 할 수 있지만, 승강로의 내벽면과 엘리베이터 칸 상부 난간과의 수평 거리가 500mm를 넘고 있는 경우에는, 승강로 내에 낙하 방지판을 설치하지 않는 한, 엘리베이터 칸 상부 난간의 높이 치수를 1100mm 이상으로 하지 않으면 안 된다. 엘리베이터 칸 상부 난간의 높이 치수가 커지면, 승강로의 오버헤드 치수를 확보하기 위해서, 그만큼 승강로의 높이도 높아져 버려, 승강로의 높이 방향의 치수가 확대되어 버린다.
한편, EN81-20/50에 의하면, 승강로의 내벽면과 엘리베이터 칸 상부 난간과의 수평 거리가 500mm를 넘고 있는 경우,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낙하 방지판을 승강로 내에 설치하여 낙하 방지판과 엘리베이터 칸 상부 난간과의 수평 거리를 500mm 이하로 하는 것에 의해, 엘리베이터 칸 상부 난간의 높이 치수를 1100mm 보다도 낮게 할 수 있다. 그러나, 낙하 방지판과 엘리베이터 칸 상부 난간과의 수평 거리를 500mm 이하로 유지하기 위해서는, 승강로의 상단부로부터 하단부까지 연속하여 낙하 방지판을 설치할 필요가 있어, 특허 문헌 1의 승강로 내부 격벽과 마찬가지로, 낙하 방지판의 설치를 위한 코스트가 커져 버린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이루어진 것이며, 승강로의 확대를 방지하면서, 엘리베이터 칸 위에서의 안전성의 확보를 저비용으로 도모할 수 있는 엘리베이터 장치를 얻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엘리베이터 장치는, 승강로 내를 상하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엘리베이터 칸, 엘리베이터 칸의 상면으로부터의 높이 치수가 제1 치수가 되는 저(低)난간 상태와, 엘리베이터 칸의 상면으로부터의 높이 치수가 제1 치수 보다도 큰 제2 치수가 되는 고(高)난간 상태와의 사이에서 변화 가능한 난간 높이 가변부를 가지며, 엘리베이터 칸의 상면에 마련되어 있는 엘리베이터 칸 상부 난간, 및 승강로를 상부로부터 보았을 때에 승강로의 내벽면과 난간 높이 가변부와의 사이에 배치되어 있는 판부를 가지며, 최하층 이외의 적어도 어느 하나의 층인 특정층에 대응시켜 승강로 내에 고정되어 있는 승강로 내부 고정 부재를 구비하며, 특정층의 승강장의 바닥으로부터 제1 치수만큼 상부의 높이를 기준 높이로 하면, 판부의 상단부의 위치는, 특정층에 마련된 승강장 출입구의 상단부 보다도 낮은 위치이고, 또한 기준 높이 이상의 위치이며, 판부의 하단부의 위치는, 특정층의 하부 인접층에 마련된 승강장 출입구의 상단부 보다도 높은 위치이고, 또한 기준 높이 이하의 위치이다.
본 발명에 의한 엘리베이터 장치에 의하면, 보수 작업원이 엘리베이터 칸의 상면과 승강장과의 사이를 옮겨탈 때에 승강로의 내벽면 보다도 판부를 난간 높이 가변부에 가까운 위치에 배치시킬 수 있고, 높이 가변부의 상태가 저(低)난간 상태라도, 엘리베이터 칸의 상면의 보수 작업원의 안전을 확보할 수 있다. 또, 보수 작업원이 엘리베이터 칸의 상면에 타고 있을 때에 난간 높이 가변부의 상태를 고(高)난간 상태로 할 수 있으므로, 보수 작업원이 엘리베이터 칸의 상면에 탄 상태에서 엘리베이터 칸을 이동시켜도, 엘리베이터 칸의 상면의 보수 작업원의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다. 게다가, 통상 운전 모드시에 난간 높이 가변부의 상태를 저난간 상태로 할 수 있어, 승강로의 높이 방향의 확대를 방지할 수 있다. 게다가 또, 승강로의 상단부로부터 하단부까지 연속하여 판을 설치할 필요가 없게 되어, 승강로 내부 고정 부재의 설치 코스트의 저감화를 도모할 수 있다. 이러한 것으부터, 승강로의 확대를 방지하면서, 엘리베이터 칸 위에서의 안전성의 확보를 저비용으로 도모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에 의한 엘리베이터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엘리베이터 칸을 나타내는 확대도이다.
도 3은 도 2의 엘리베이터 칸을 나타내는 상면도이다.
도 4는 도 2의 제2 난간 구성부의 높이 치수를 크게 한 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5는 도 4의 엘리베이터 칸의 상면이 최상층의 승강장의 바닥의 높이에 있을 때의 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2에 의한 엘리베이터 장치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7은 도 6의 엘리베이터 장치를 나타내는 상면도이다.
도 8은 도 6의 엘리베이터 칸의 상면이 보수시 승강 허용 범위의 상한의 위치에 배치되어 있는 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9는 도 6의 엘리베이터 칸의 상면이 보수시 승강 허용 범위의 하한의 위치에 배치되어 있는 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3에 의한 엘리베이터 장치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11은 도 10의 엘리베이터 장치를 나타내는 상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대해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실시 형태 1.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에 의한 엘리베이터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또, 도 2는, 도 1의 엘리베이터 칸(2)을 나타내는 확대도이다. 또한, 도 3은, 도 2의 엘리베이터 칸(2)을 나타내는 상면도이다. 도면에서, 승강로(1) 내에는, 엘리베이터 칸(2) 및 균형추(3)가 상하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마련되어 있다. 엘리베이터 칸(2) 및 균형추(3)는, 승강로(1) 내에 설치된 도시하지 않은 구동장치(이 예에서는, 권상기)의 구동력에 의해, 승강로(1) 내를 상하 방향으로 이동한다.
엘리베이터 칸(2)은, 저면(2a), 상면(2b), 정면(正面)(2c), 배면(2d) 및 한 쌍의 측면(2e)을 가지는 엘리베이터 칸실(室)을 가지고 있다. 엘리베이터 칸(2)의 정면(2c)에는, 엘리베이터 칸 도어에 의해 개폐되는 도시하지 않은 엘리베이터 칸 출입구가 마련되어 있다. 이 예에서는, 승강로(1)를 상부로부터 보았을 때에, 균형추(3)가 엘리베이터 칸(2)의 배면(2d)측에 배치되어 있다. 즉, 이 예의 엘리베이터는, 균형추 후방 낙하 타입의 엘리베이터이다.
승강로(1) 내에는, 한 쌍의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레일(4)과, 한 쌍의 균형추 가이드 레일(5)이 각각 상하 방향으로 설치되어 있다. 한 쌍의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레일(4) 사이에는 엘리베이터 칸(2)이 배치되고, 한 쌍의 균형추 가이드 레일(5) 사이에는 균형추(3)가 배치되어 있다. 일방의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레일(4)에는 엘리베이터 칸(2)의 일방의 측면(2e)이 대향하고, 타방의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레일(4)에는 엘리베이터 칸(2)의 타방의 측면(2e)이 대향하고 있다(도 3). 엘리베이터 칸(2) 및 균형추(3)가 이동할 때에는, 엘리베이터 칸(2)이 한 쌍의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레일(4)에 의해 안내되고, 균형추(3)가 한 쌍의 균형추 가이드 레일(5)에 의해 안내된다.
건물의 각 층에는, 승강로(1) 내와 승강장(6)을 연통(連通)하는 승강장 출입구(7)가 마련되어 있다. 승강장 출입구(7)는, 승강장 도어에 의해 개폐된다. 엘리베이터 칸(2)이 층에 정지하고 있는 상태에서는, 서로 대향하는 엘리베이터 칸 출입구 및 승강장 출입구(7)가 동시에 열리는 것에 의해, 승강장(6)과 엘리베이터 칸(2) 내와의 사이에서의 승강이 가능하게 된다.
엘리베이터의 운전은, 제어 장치(18)에 의해 제어된다. 제어 장치(18)에 의한 엘리베이터의 운전 모드는, 통상의 서비스 운전을 행하는 통상 운전 모드와, 통상 운전 모드시 보다도 엘리베이터 칸(2)을 저속으로 이동시키는 보수 운전 모드와의 사이에서 전환 가능하도록 되어 있다. 엘리베이터의 운전 모드의 전환은, 엘리베이터 칸(2)의 상면(2b)에서의 승강장(6)에 가까운 위치에 마련된 도시하지 않은 전환 스위치의 조작에 의해 행하여진다.
최하층 이외의 적어도 어느 하나의 층은, 보수 작업용 특정층으로 되어 있다. 특정층에는, 엘리베이터 칸(2)을 저속으로 이동시키는 승강장 수동 조작부가 마련되어 있다. 이 예에서는, 최하층 이외의 모든 층이 특정층이 되고, 각 특정층의 승강장(6)에 승강장 수동 조작부가 마련되어 있다. 승강장 수동 조작부의 조작은, 승강장 출입구(7)가 닫힌 상태에서만 유효하게 된다.
엘리베이터에서는, 보수 작업원(즉, 사람)(8)이 엘리베이터 칸(2)의 상면(2b)에 탄 상태에서 승강로(1) 내의 기기의 보수 작업을 행하는 경우가 있다. 보수 작업원(8)이 엘리베이터 칸(2)의 상면(2b)에 탈 때에는, 보수 작업원(8)은, 승강장 출입구(7)가 닫힌 상태에서 특정층의 승강장 수동 조작부를 조작하여 엘리베이터 칸(2)을 저속으로 이동시키면서, 엘리베이터 칸(2)의 정지 위치를 조정한다. 이것에 의해, 엘리베이터 칸(2)의 상면(2b)은, 특정층에 대응하는 보수시 승강 허용 범위 내에 정지된다. 보수시 승강 허용 범위는, 특정층의 승강장(6)의 바닥의 높이를 기준으로 하여 상하 방향으로 설정된 범위이다. 이 예에서는, 승강장(6)의 바닥의 높이로부터 상부로 500mm, 하부로 500mm의 범위가 보수시 승강 허용 범위로 되어 있다. 보수시 승강 허용 범위 내에 엘리베이터 칸(2)의 상면(2b)이 정지되어 있는 상태에서는, 승강장(6)과 엘리베이터 칸(2)의 상면(2b)과의 사이에서 보수 작업원(8)이 옮겨탈 수 있게 된다. 보수 작업원은, 엘리베이터 칸(2)을 정지시킨 후, 승강장 출입구(7)를 열어, 승강장(6)으로부터 전환 스위치를 조작하여 통상 운전 모드로부터 보수 운전 모드로 엘리베이터의 운전을 전환한다. 이 후, 보수 작업원(8)은, 특정층의 승강장(6)으로부터 엘리베이터 칸(2)의 상면(2b)으로 옮겨탄다.
엘리베이터 칸(2)의 상면(2b)에는, 도시하지 않은 보수시 엘리베이터 칸 상측 조작부가 마련되어 있다. 보수시 엘리베이터 칸 상측 조작부의 조작은, 승강장 출입구(7)가 열려 있을 때 및 통상 운전 모드시에는 무효이고, 보수 운전 모드에서 승강장 출입구(7)가 닫혀져 있을 때에 유효하게 된다. 엘리베이터 칸(2)의 상면(2b)에 탄 보수 작업원(8)은, 보수 운전 모드에서 승강장 출입구(7)가 닫혀져 있을 때에 보수시 엘리베이터 칸 상측 조작부를 조작하는 것에 의해서, 엘리베이터 칸(2)을 저속으로 이동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엘리베이터 칸(2)의 상면(2b)에는, 엘리베이터 칸 상부 난간(9)이 마련되어 있다. 엘리베이터 칸 상부 난간(9)은,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엘리베이터 칸(2)을 상부로부터 보았을 때, 엘리베이터 칸(2)의 한 쌍의 측면(2e)을 따라서 각각 배치된 한 쌍의 제1 난간 구성부(10)와, 한 쌍의 제1 난간 구성부(10)의 각각의 단부 사이에서 엘리베이터 칸(2)의 배면(2d)을 따라서 배치된 제2 난간 구성부(11)를 가지고 있다.
엘리베이터 칸(2)의 정면(2c)은, 엘리베이터 칸(2)의 배면(2d) 및 각 측면(2e)의 각각과 승강로(1)의 내벽면과의 사이의 수평 거리 보다도 작은 간극을 사이에 두고 승강로(1)의 내벽면에 대향하고 있다. 엘리베이터 칸(2)의 배면(2d)에 대향하는 승강로(1)의 내벽면과 제2 난간 구성부(11)와의 사이의 수평 거리(L1)는, 엘리베이터 칸(2)의 측면(2e)에 대향하는 승강로(1)의 내벽면과 제1 난간 구성부(10)와의 사이의 수평 거리(L2) 보다도, 크게 되어 있다.
이 예에서는, 수평 거리(L1)가, 엘리베이터 칸(2)으로부터의 낙하 방지의 기준이 되는 안전 기준 거리(예를 들면, 500mm) 보다도 큰 거리로 되어 있다. 또, 이 예에서는, 수평 거리(L2)가 안전 기준 거리(예를 들면, 500mm) 이하의 거리로 되어 있다.
여기서, 엘리베이터 칸 상부 난간(9)으로부터 승강로(1)의 내벽면까지의 수평 거리가 안전 기준 거리 이하인 경우에는, 엘리베이터 칸 상부 난간(9)의 높이 치수가 작아도(예를 들면, 엘리베이터 칸 상부 난간(9)의 높이 치수가 700mm 이상, 1100mm 미만의 치수라도), 보수 작업원(8)의 손이 승강로(1)의 내벽면에 용이하게 닿기 때문에, 엘리베이터 칸(2)의 상면(2b)의 보수 작업원(8)의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다. 이것에 대해서, 엘리베이터 칸 상부 난간(9)으로부터 승강로(1)의 내벽면까지의 수평 거리가 안전 기준 거리 보다도 큰 경우에는, 보수 작업원(8)의 손이 승강로(1)의 내벽면에 닿기 어렵게 되기 때문에, 엘리베이터 칸(2)의 상면(2b)의 보수 작업원(8)의 안전성을 확보하기 위해서, 엘리베이터 칸 상부 난간(9)의 높이 치수를 크게 할 필요가 있다(예를 들면, 엘리베이터 칸 상부 난간(9)의 높이 치수가 1100mm 이상의 치수로 할 필요가 있다).
엘리베이터 칸(2)의 상면(2b)으로부터의 각 제1 난간 구성부(10)의 높이 치수(H0)는, 700mm 이상, 1100mm 미만의 치수로 고정되어 있다. 이 예에서는, 각 제1 난간 구성부(10)의 높이 치수(H0)가 700mm로 되어 있다. 이 예에서는, 엘리베이터 칸(2)의 측면(2e)에 대향하는 승강로(1)의 내벽면과 제1 난간 구성부(10)와의 사이의 수평 거리(L2)가 안전 기준 거리 이하의 거리로 되어 있기 때문에, 각 제1 난간 구성부(10)의 높이 치수(H0)가 700mm로 작게 되어 있어도, 엘리베이터 칸(2)의 상면(2b)의 보수 작업원(8)의 안전성이 확보된다.
도 4는, 도 2의 제2 난간 구성부(11)의 높이 치수를 크게 한 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제2 난간 구성부(11)는, 엘리베이터 칸(2)의 상면(2b)으로부터의 높이 치수가 변화 가능한 난간 높이 가변부로 되어 있다. 즉, 제2 난간 구성부(11)의 상태는, 엘리베이터 칸(2)의 상면(2b)으로부터의 높이 치수가 제1 치수(H1)가 되는 저(低)난간 상태와, 엘리베이터 칸(2)의 상면(2b)으로부터의 높이 치수가 제1 치수(H1) 보다도 큰 제2 치수(H2)가 되는 고(高)난간 상태와의 사이에서 변화 가능하게 되어 있다. 제2 난간 구성부(11)의 제1 치수(H1)는, 700mm 이상, 1100mm 미만의 치수로 설정되고, 제2 난간 구성부(10)의 제2 치수(H2)는, 1100mm 이상의 치수로 설정되어 있다. 이 예에서는, 제1 치수(H1)가, 제1 난간 구성부(10)의 높이 치수(H0)와 동일한 700mm의 치수로 설정되고, 제2 치수(H2)가 1100mm의 치수로 설정되어 있다.
제2 난간 구성부(11)는, 엘리베이터 칸(2)의 상면(2b)에 고정된 고정 난간부(11a)와, 고정 난간부(11a)에 상하 방향으로 슬라이드 가능하게 마련된 가동 난간부(11b)를 가지고 있다.
가동 난간부(11b)는, 고정 난간부(11a)로부터 상부로 돌출하는 돌출 위치(도 4)와, 돌출 위치 보다도 하부에 위치하는 퇴피(退避) 위치(도 2)와의 사이에서 고정 난간부(11a)에 대해서 변위 가능하게 되어 있다. 제2 난간 구성부(11)의 상태는, 가동 난간부(11b)의 퇴피 위치로의 변위에 의해 저난간 상태가 되고, 가동 난간부(11b)의 돌출 위치로의 변위에 의해 고난간 상태가 된다.
제2 난간 구성부(11)에는, 제2 난간 구성부(11)가 저난간 상태로 되어 있는지 아닌지를 검출하는 도시하지 않은 제1 난간 검출부인 제1 난간 센서와, 제2 난간 구성부(11)가 고난간 상태로 되어 있는지 아닌지를 검출하는 도시하지 않은 제2 난간 검출부인 제2 난간 센서가 마련되어 있다. 이 예에서는, 가동 난간부(11b)가 퇴피 위치에 이르면 제1 난간 센서가 가동 난간부(11b)를 검출하고, 가동 난간부(11b)가 돌출 위치에 이르면 제2 난간 센서가 가동 난간부(11b)를 검출한다.
승강로(1) 내에는,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복수의 승강로 내부 고정 부재(12)가 각 특정층에 대응시켜 고정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승강로(1) 내에는, 복수의 승강로 내부 고정 부재(12)가 엘리베이터 칸(2)의 이동 방향에 대해 서로 떨어져 고정되어 있다. 각 승강로 내부 고정 부재(12)는,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한 쌍의 균형추 가이드 레일(5)에 각각 장착된 지지 부재인 한 쌍의 지지 브라켓(13)과, 한 쌍의 지지 브라켓(13)에 장착된 공통의 판부(板部)(14)를 가지고 있다.
지지 브라켓(13)은, 균형추 가이드 레일(5)의 배면에 레일 클립에 의해 장착되어 있다. 또, 지지 브라켓(13)은, 승강로(1)를 상부로부터 보았을 때, 균형추(3)의 범위 보다도 엘리베이터 칸(2)에 가까운 위치에까지 균형추 가이드 레일(5)로부터 연장되어 있다.
판부(14)는, 수평면에 대해서 세워서 배치되어 있다. 또, 판부(14)는, 승강로(1)를 상부로부터 보았을 때, 제2 난간 구성부(11)와 평행하게 배치되어 있다. 게다가, 상부로부터 보았을 때의 판부(14)의 길이는, 제2 난간 구성부(11)의 길이와 거의 동일하게 되어 있다. 판부(14)는, 승강로(1)를 상부로부터 보았을 때, 엘리베이터 칸(2)과 균형추(3)와의 사이에 배치되어 있다. 즉, 판부(14)는, 승강로(1)를 상부로부터 보았을 때, 엘리베이터 칸(2)의 배면(2d)에 대향하는 승강로(1)의 내벽면 보다도 제2 난간 구성부(11)에 가까운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이 예에서는, 제2 난간 구성부(11)와 판부(14)와의 사이의 수평 거리(L3)가 500mm 이하로 되어 있다.
특정층의 승강장(6)의 바닥으로부터 제1 치수(H1)만큼 상부의 높이를 기준 높이(P)로 하면, 판부(14)의 상단부의 위치는, 대응하는 특정층에 마련된 승강장 출입구(7)의 상단부 보다도 낮은 위치이고, 또한 기준 높이(P) 이상의 위치로 되어 있다. 또, 판부(14)의 하단부의 위치는, 대응하는 특정층의 하부 인접층에 마련된 승강장 출입구(7)의 상단부 보다도 높은 위치이고, 또한 기준 높이(P) 이하의 위치로 되어 있다. 따라서, 제2 난간 구성부(11)가 제1 치수(H1)로 되어 있는 저난간 상태에서 엘리베이터 칸(2)의 상면(2b)이 특정층의 승강장(6)의 바닥의 높이로 이동하면,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2 난간 구성부(11)의 상단부가 판부(14)의 상단부와 하단부와의 사이의 높이로 이동한다. 이 예에서는, 판부(14)의 하단부의 위치가, 대응하는 특정층의 승강장(6)의 바닥보다도 상부의 높이의 위치(즉, 승강장 출입구(7)의 하단부 보다도 상부의 높이의 위치)로 되어 있다.
각 특정층 중 최상에 위치하는 특정층, 즉 건물의 최상층에 대응하는 승강로 내부 고정 부재(12)의 높이 치수는,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최상층 이외의 특정층에 대응하는 승강로 내부 고정 부재(12)의 높이 치수 보다도 크게 되어 있다. 최상층에 대응하는 승강로 내부 고정 부재(12)의 판부(14)에는, 스위치(15)가 마련되어 있다.
도 5는, 도 4의 엘리베이터 칸(2)의 상면(2b)이 최상층의 승강장(6)의 바닥의 높이에 있을 때의 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엘리베이터 칸(2)이 최상층 부근에 존재하는 상태에서 보수 작업원(8)이 엘리베이터 칸(2)의 상면(2b)에 타고 작업을 할 때에는, 캠(16)이 제2 난간 구성부(11)에 장착된다. 캠(16)은, 승강로(1)를 상부로부터 보았을 때, 제2 난간 구성부(11)로부터 판부(14)를 향해서 돌출되어 있다. 또, 캠(16)은, 가동 난간부(11b)에 장착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제2 난간 구성부(11)가 고난간 상태로 되어 있을 때에는, 엘리베이터 칸(2)의 상면(2b)으로부터 제1 치수(H1)만큼 상부의 위치 보다도 높은 위치에 캠(16)이 배치된다.
스위치(15)는, 엘리베이터 칸(2)이 상부로 이동하여, 승강로(1)의 꼭대기부와 제2 난간 구성부(11)의 상단부와의 사이의 꼭대기부 간극 치수가 설정 최소치가 되면 캠(16)에 눌려 조작된다. 이것에 의해, 꼭대기부 간극 치수가 설정 최소치가 된 것이 스위치(15)에 의해 검출된다. 즉, 승강로(1)의 꼭대기부와 제2 난간 구성부(11)의 상단부와의 사이의 꼭대기부 간극 치수가 설정 최소치가 되었는지 아닌지를 검출하는 안전 검출기(17)는, 스위치(15) 및 캠(16)을 가지고 있다.
엘리베이터의 운전을 제어하는 제어 장치(18)에는, 제1 난간 센서, 제2 난간 센서 및 안전 검출기(17)의 각각으로부터의 정보가 보내어진다. 제어 장치(18)는, 제1 난간 센서, 제2 난간 센서 및 안전 검출기(17)의 각각으로부터의 정보에 근거하여, 엘리베이터의 운전을 제어한다.
제어 장치(18)는, 제1 난간 센서로부터의 정보에 근거하여 제2 난간 구성부(11)가 저난간 상태로 되어 있는지 아닌지를 판정하고, 제2 난간 센서로부터의 정보에 근거하여 제2 난간 구성부(11)가 고난간 상태로 되어 있는지 아닌지를 판정한다. 또, 제어 장치(18)는, 제2 난간 구성부(11)가 고난간 상태로 되어 있다고 판정했을 때에 보수 운전 모드시의 엘리베이터 칸 상측 조작부의 조작을 유효하게 하고, 제2 난간 구성부(11)가 고난간 상태로 되어 있지 않다고 판정했을 때에 보수 운전 모드시의 엘리베이터 칸 상측 조작부의 조작을 무효로 한다. 게다가, 제어 장치(18)는, 제2 난간 구성부(11)가 저난간 상태로 되어 있다고 판정했을 때에 엘리베이터의 운전에 대해 보수 운전 모드로부터 통상 운전 모드로의 전환을 가능하게 한다. 게다가 또, 제어 장치(18)는, 안전 검출기(17)로부터의 정보에 근거하여 꼭대기부 간극 치수가 설정 최소치가 되었다고 판정했을 때에, 구동장치로의 급전(給電)을 정지하여 엘리베이터 칸(2)의 이동을 정지시킨다.
다음으로, 엘리베이터의 보수 작업의 절차에 대해서 설명한다. 엘리베이터의 서비스 운전은, 통상 운전 모드로 행하여진다. 엘리베이터가 통상 운전 모드로 운전되고 있을 때에는, 제2 난간 구성부(11)가 저난간 상태로 되어 있다.
보수 작업원(8)이 엘리베이터 칸(2)의 상면(2b)에 타고 보수 작업을 행할 때에는, 보수 작업원(8)은, 먼저 특정층의 승강장(6)에서 승강장 수동 조작부를 조작하면서 엘리베이터 칸(2)을 저속으로 이동시키고, 엘리베이터 칸(2)의 상면(2b)이 특정층의 승강장(6)의 바닥의 높이에 맞도록 엘리베이터 칸(2)을 정지시킨다. 이 때, 승강장 출입구(7)는 닫혀 있다. 이것에 의해, 승강로 내부 고정 부재(12)의 판부(14)의 상단부와 하단부와의 사이의 높이에 제2 난간 구성부(11)의 상단부가 정지한다. 즉, 제2 난간 구성부(11)의 상단부가 수평 방향에 대해 판부(14)에 대향한 상태가 된다.
이 후, 보수 작업원(8)은, 특정층의 승강장 출입구(7)를 열어, 엘리베이터 칸(2)의 상면에 설치된 전환 스위치를 승강장(6)으로부터 조작한다. 이것에 의해, 엘리베이터의 운전이 통상 운전 모드로부터 보수 운전 모드로 전환된다.
이 후, 보수 작업원(8)은, 엘리베이터 칸(2)의 정지 위치를 유지한 채로, 승강장(6)으로부터 엘리베이터 칸(2)의 상면(2b)으로 옮겨탄다. 이 때, 제2 난간 구성부(11)의 상단부로부터 판부(14)까지의 거리가, 엘리베이터 칸(2)의 상면(2b)의 보수 작업원(8)의 손이 닿는 짧은 거리로 되어 있으므로, 제2 난간 구성부(11)가 저난간 상태로 되어 있어도, 엘리베이터 칸(2)의 상면(2b)의 보수 작업원(8)의 안전성이 확보된다. 이 예에서는, 제2 난간 구성부(11)의 상단부로부터 판부(14)까지의 수평 거리가 500mm 이하로 되어 있는 상태에서, 보수 작업원(8)이 승강장(6)으로부터 엘리베이터 칸(2)의 상면(2b)으로 옮겨탄다.
보수 작업원(8)은, 엘리베이터 칸(2)의 상면(2b)에 타면, 열려 있는 승강장 출입구(7)를 닫음과 동시에, 가동 난간부(11b)를 들어 올려 제2 난간 구성부(11)의 상태를 고난간 상태로 한다(즉, 제2 난간 구성부(11)의 높이 치수를 제2 치수(H2)로 한다). 이것에 의해, 엘리베이터 칸(2)의 상면(2b)에 마련된 보수시 엘리베이터 칸 상측 조작부의 조작이 유효하게 된다. 이 후, 엘리베이터 칸(2)의 상면(2b)의 보수 작업원(8)은, 제2 난간 구성부(11)의 높이 치수를 제2 치수(H2)로 한 채로, 보수시 엘리베이터 칸 상측 조작부를 조작하여 엘리베이터 칸(2)을 저속으로 이동시킨다. 이 때, 엘리베이터 칸(2)의 이동에 의해서 제2 난간 구성부(11)의 상단부가 판부(14)로부터 서서히 멀어져 가지만, 제2 난간 구성부(11)의 근처에 판부(14)가 없어도, 제2 난간 구성부(11)의 높이 치수가 제2 치수(H2)로 되어 있는 것에 의해, 엘리베이터 칸(2)의 상면(2b)의 보수 작업원(8)의 안전성이 확보된다. 이것에 의해, 승강로(1) 내의 기기에 대한 보수 작업원(8)의 보수 작업이 가능하게 된다.
보수 작업원(8)은, 승강로(1) 내의 기기에 대한 보수 작업이 끝나면, 보수시 엘리베이터 칸 상측 조작부를 조작하면서 엘리베이터 칸(2)을 저속으로 이동시켜, 엘리베이터 칸(2)의 상면(2b)이 특정층의 승강장(6)의 바닥의 높이에 맞도록 엘리베이터 칸(2)을 정지시킨다. 이것에 의해, 제2 난간 구성부(11)의 상단부가 수평 방향에 대해 판부(14)에 대향한 상태가 된다.
이 후, 보수 작업원(8)은, 가동 난간부(11b)를 내려 제2 난간 구성부(11)의 높이 치수를 제1 치수(H1)로 한 후, 특정층의 승강장 출입구(7)를 열어, 엘리베이터 칸(2)의 상면(2b)으로부터 승강장(6)으로 옮겨탄다. 이 후, 전환 스위치를 승강장(6)으로부터 조작하여 엘리베이터의 운전을 보수 운전 모드로부터 통상 운전 모드로 전환한다. 이 후, 승강장 출입구(7)를 닫는 것에 의해, 엘리베이터의 보수 작업이 종료된다.
이러한 엘리베이터 장치에서는, 엘리베이터 칸 상부 난간(9)의 제2 난간 구성부(11)의 높이 치수가 제1 치수(H1)와 제2 치수(H2)와의 사이에서 변화 가능하게 되어 있고, 특정층의 승강장(6)의 바닥으로부터 제1 치수(H1)만큼 상부의 높이를 기준 높이(P)로 하면, 판부(14)의 상단부의 위치가 기준 높이(P) 이상의 위치이고, 판부(14)의 하단부의 위치가 기준 높이(P) 이하의 위치로 되어 있으므로, 보수 작업원(8)이 엘리베이터 칸(2)의 상면(2b)과 승강장(6)과의 사이를 옮겨탈 때에는, 제2 난간 구성부(11)에 대향하는 승강로(1)의 내벽면 보다도 제2 난간 구성부(11)에 가까운 위치에 판부(14)를 배치시킬 수 있다. 이것에 의해, 제2 난간 구성부(11)의 높이 치수가 제1 치수(H1)로 되어 있어도, 엘리베이터 칸(2)의 상면(2b)의 보수 작업원(8)의 안전성을 판부(14)에 의해서 확보할 수 있다. 또, 보수 작업원(8)이 엘리베이터 칸(2)의 상면(2b)에 타고 있는 상태에서는, 제2 난간 구성부(11)의 높이 치수를 제2 치수(H2)로 하여 제2 난간 구성부(11)의 상태를 고난간 상태로 할 수 있으므로, 보수 운전 모드시에 엘리베이터 칸(2)을 이동시켜도, 엘리베이터 칸(2)의 상면(2b)의 보수 작업원(8)의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다. 게다가, 통상 운전 모드시에는 제2 난간 구성부(11)를 저난간 상태로 할 수 있어, 승강로(1)의 높이 방향의 확대를 방지할 수 있다. 게다가 또, 판부(14)를 포함하는 승강로 내부 고정 부재(12)가 특정층에 대응시켜 개별로 설치되어 있으므로, 승강로(1)의 상단부로부터 하단부까지 연속하여 판을 설치할 필요가 없게 된다. 이것에 의해, 승강로(1) 내에 승강로 내부 고정 부재(12)를 저비용으로 설치할 수 있다.
또, 제2 난간 구성부(11)와 승강로(1)의 내벽면과의 사이의 수평 거리(L1)가 500mm 보다도 크고, 제2 난간 구성부(11)와 판부(14)와의 사이의 수평 거리(L2)가 500mm 이하로 되어 있으며, 제2 난간 구성부(11)의 제1 치수(H1)가 700mm 이상, 1100mm 미만의 치수이고, 제2 난간 구성부(11)의 제2 치수(H2)가 1100mm 이상의 치수이므로, 엘리베이터 칸(2)의 상면(2b)의 보수 작업원(8)의 안전성을 보다 확실히 확보할 수 있다.
또, 판부(14)의 하단부는, 특정층의 승강장(6)의 바닥보다도 상부의 높이에 위치하고 있으므로, 승강로 내부 고정 부재(12)의 높이 치수를 더 작게 할 수 있어, 승강로(1) 내에 승강로 내부 고정 부재(12)를 설치하기 위한 코스트를 더 저감시킬 수 있다.
또, 제어 장치(18)는, 제2 난간 센서로부터의 정보에 근거하여, 제2 난간 구성부(11)가 고난간 상태로 되어 있다고 판정했을 때에, 보수시 엘리베이터 칸 상측 조작부의 조작을 유효하게 하므로, 보수 운전 모드시에 제2 난간 구성부(11)가 고난간 상태로 되지 않은 채로 엘리베이터 칸(2)이 이동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엘리베이터 칸(2)의 상면(2b)의 보수 작업원(8)의 안전성을 보다 확실히 확보할 수 있다.
또, 제어 장치(18)는, 제1 난간 센서로부터의 정보에 근거하여, 제2 난간 구성부(11)가 저난간 상태로 되어 있다고 판정했을 때에, 보수 운전 모드로부터 통상 운전 모드로의 전환을 가능하게 하므로, 통상 운전 모드시에 제2 난간 구성부(11)가 저난간 상태로 되지 않은 채로 엘리베이터 칸(2)이 이동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통상 운전 모드시에서의 승강로(1)의 꼭대기부 간극 치수를 보다 확실히 확보할 수 있다.
또, 제어 장치(18)는, 안전 검출기(17)로부터의 정보에 근거하여, 승강로(1)의 꼭대기부와 제2 난간 구성부(11)의 상단부와의 사이의 꼭대기부 간극 치수가 설정 최소치가 되었다고 판정했을 때에, 엘리베이터 칸(2)의 이동을 정지하므로, 엘리베이터 칸(2)의 상부로의 이동에 의해서 엘리베이터 칸(2)이 승강로(1)의 꼭대기부에 충돌하는 것을 보다 확실히 방지할 수 있다.
또, 안전 검출기(17)는, 최상층에 대응하는 승강로 내부 고정 부재(12)에 마련된 스위치(15)와, 제2 난간 구성부(11)에 마련되며, 꼭대기부 간극 치수가 설정 최소치가 되었을 때에 스위치(15)를 조작하는 캠(16)을 가지고 있으므로, 꼭대기부 간극 치수가 설정 최소치가 된 것을 간단한 구성으로 또한 보다 확실히 검출할 수 있다.
또, 승강로 내부 고정 부재(12)는, 균형추 가이드 레일(5)에 장착되어 있으므로, 승강로(1) 내에 승강로 내부 고정 부재(12)를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다.
또, 상기의 예에서는, 한 쌍의 제1 난간 구성부(10) 및 제2 난간 구성부(11) 중, 제2 난간 구성부(11)만이 난간 높이 가변부로 되어 있지만, 제1 난간 구성부(10)를 난간 높이 가변부로 해도 괜찮다. 이 경우, 제1 난간 구성부(10)와 승강로(1)의 내벽면과의 사이의 수평 거리(L2)는, 안전 기준 거리(예를 들면, 500mm) 보다도 큰 거리가 된다.
실시 형태 2.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2에 의한 엘리베이터 장치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또, 도 7은, 도 6의 엘리베이터 장치를 나타내는 상면도이다. 균형추(3)는,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승강로(1)를 위로부터 보았을 때, 엘리베이터 칸(2)의 일방의 측면(2e)측에 배치되어 있다. 즉, 이 예의 엘리베이터는, 균형추 측면 낙하 타입의 엘리베이터이다.
승강로(1)를 위로부터 보았을 때에는, 엘리베이터 칸(2)을 안내하는 한 쌍의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레일(4) 중, 일방의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레일(4)이 엘리베이터 칸(2)의 일방의 측면(2e)에 대향하고, 타방의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레일(4)이 엘리베이터 칸(2)의 타방의 측면(2e)에 대향하고 있다. 또, 승강로(1)를 위로부터 보았을 때에는, 균형추(3)를 안내하는 한 쌍의 균형추 가이드 레일(5)이, 엘리베이터 칸(2)의 일방의 측면(2e)을 따른 방향에 대해 균형추(3)를 매개로 하여 서로 대향하고 있다.
이 예에서는, 엘리베이터 칸(2)의 균형추(3)측의 측면(2e), 즉 엘리베이터 칸(2)의 일방의 측면(2e)에 대향하는 승강로(1)의 내벽면과 일방의 제1 난간 구성부(10)와의 사이의 수평 거리(L4)가, 안전 기준 거리(예를 들면, 500mm) 보다도 큰 거리로 되어 있다. 또, 이 예에서는, 엘리베이터 칸(2)의 타방의 측면(2e)에 대향하는 승강로(1)의 내벽면과 타방의 제1 난간 구성부(10)와의 사이의 수평 거리(L5), 및 엘리베이터 칸(2)의 배면(2d)에 대향하는 승강로(1)의 내벽면과 제2 난간 구성부(11)와의 사이의 수평 거리(L6)가, 안전 기준 거리(예를 들면, 500mm) 이하의 거리로 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이 예에서는, 한 쌍의 제1 난간 구성부(10) 및 제2 난간 구성부(11) 중, 균형추(3)에 가까운 측의 일방의 제1 난간 구성부(10)가 난간 높이 가변부로 되어 있고, 타방의 제1 난간 구성부(10) 및 제2 난간 구성부(11)의 각각의 높이 치수는 변화하지 않고 고정되어 있다.
난간 높이 가변부인 일방의 제1 난간 구성부(10)의 구성은, 실시 형태 1에서의 난간 높이 가변부인 제2 난간 구성부(11)의 구성과 동일하다. 따라서, 일방의 제1 난간 구성부(10)의 높이 치수는, 제1 치수(H1)와, 제1 치수(H1) 보다도 큰 제2 치수(H2)와의 사이에서 변화 가능하게 되어 있다. 제1 치수(H1) 및 제2 치수(H2)의 각각의 설정치는, 실시 형태 1에서의 제2 난간 구성부(11)의 높이 치수의 설정치와 동일하다. 즉, 일방의 제1 난간 구성부(10)의 제1 치수(H1)는, 700mm 이상, 1100mm 미만의 치수로 설정되고, 일방의 제1 난간 구성부(10)의 제2 치수(H2)는, 1100mm 이상의 치수로 설정되어 있다.
타방의 제1 난간 구성부(10) 및 제2 난간 구성부(11)의 각각의 높이 치수의 설정치는, 실시 형태 1에서의 제1 난간 구성부(10)의 높이 치수(H0)의 설정치와 동일하다. 즉, 타방의 제1 난간 구성부(10) 및 제2 난간 구성부(11)의 각각의 높이 치수는, 700mm 이상, 1100mm 미만의 치수로 설정되어 있다.
승강로(1) 내에는, 복수의 승강로 내부 고정 부재(12)가 각 특정층에 대응시켜 고정되어 있다. 각 승강로 내부 고정 부재(12)는, 한 쌍의 균형추 가이드 레일(5)에 각각 장착된 한 쌍의 지지 브라켓(13)과, 한 쌍의 지지 브라켓(13)에 장착된 공통의 판부(14)를 가지고 있다.
판부(14)는, 수평면에 대해서 세워서 배치되어 있다. 또, 판부(14)는, 승강로(1)를 상부로부터 보았을 때, 균형추(3)측의 일방의 제1 난간 구성부(10)와 평행하게 배치되어 있다. 게다가, 상부로부터 보았을 때의 판부(14)의 길이는, 제1 난간 구성부(10)의 길이와 거의 동일하게 되어 있다. 판부(14)는, 승강로(1)를 상부로부터 보았을 때, 엘리베이터 칸(2)의 일방의 측면(2e)에 대향하는 승강로(1)의 내벽면 보다도 일방의 제1 난간 구성부(10)에 가까운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이 예에서는, 승강로(1)를 상부로부터 보았을 때, 엘리베이터 칸(2)의 일방의 측면(2e)에 대향하는 승강로(1)의 내벽면과 균형추(3)와의 사이에 판부(14)가 배치되어 있다. 또, 이 예에서는, 일방의 제1 난간 구성부(10)와 판부(14)와의 사이의 수평 거리(L7)가 안전 기준 거리(예를 들면, 500mm) 이하의 거리로 되어 있다.
특정층의 승강장(6)의 바닥으로부터 제1 치수(H1)만큼 상부의 높이를 기준 높이(P)로 하면, 판부(14)의 상단부의 위치는, 대응하는 특정층에 마련된 승강장 출입구(7)의 상단부 보다도 낮은 위치이고, 또한 기준 높이(P) 이상의 위치로 되어 있다. 또, 판부(14)의 하단부의 위치는, 대응하는 특정층의 하부 인접층에 마련된 승강장 출입구(7)의 상단부 보다도 높은 위치이고, 또한 기준 높이(P) 이하의 위치로 되어 있다. 따라서, 일방의 제1 난간 구성부(10)가 제1 치수(H1)로 되어 있는 저난간 상태에서 엘리베이터 칸(2)의 상면(2b)이 특정층의 승강장(6)의 바닥의 높이로 이동하면,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1 난간 구성부(10)의 상단부는, 판부(14)의 상단부와 하단부와의 사이의 높이로 이동한다. 이 예에서는, 판부(14)의 하단부의 위치가, 대응하는 특정층의 승강장(6)의 바닥보다도 상부의 높이의 위치(즉, 승강장 출입구(7)의 하단부 보다도 상부의 높이의 위치)로 되어 있다.
도 8은, 도 6의 엘리베이터 칸(2)의 상면(2b)이 보수시 승강 허용 범위의 상한의 위치에 배치되어 있는 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또, 도 9는, 도 6의 엘리베이터 칸(2)의 상면(2b)이 보수시 승강 허용 범위의 하한의 위치에 배치되어 있는 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보수시 승강 허용 범위의 상한의 위치는 특정층의 승강장(6)의 바닥의 높이 보다도 치수 Hu만큼 높은 위치이며, 보수시 승강 허용 범위의 하한의 위치는 특정층의 승강장(6)의 바닥의 높이 보다도 치수 Hd만큼 낮은 위치이다. 이 예에서는, 치수 Hu 및 치수 Hd가 모두 500mm로 설정되어 있다.
판부(14)의 상단부의 위치는, 기준 높이(P)로부터 치수 Hu(즉, 500mm)만큼 상부의 높이 보다도 높은 위치로 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엘리베이터 칸(2)의 상면(2b)이 보수시 승강 허용 범위의 상한의 위치로까지 이동된 경우라도,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일방의 제1 난간 구성부(10)가 판부(14)의 상단부의 높이를 넘지는 않는다.
또, 이 예에서는, 도 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엘리베이터 칸(2)의 상면(2b)이 보수시 승강 허용 범위의 하한의 위치에 정지된 경우, 일방의 제1 난간 구성부(10)의 상단부의 위치가 판부(14)의 하단부의 높이 보다도 간극 치수(A)만큼 하부가 된다. 간극 치수(A)는, 엘리베이터 칸(2)의 상면(2b)의 보수 작업원(8)의 안전성의 확보의 관점으로부터 결정된 치수이다. 일방의 제1 난간 구성부(10)의 상단부와 판부(14)의 하단부와의 사이의 높이의 차이가 간극 치수(A)의 범위 내이면, 일방의 제1 난간 구성부(10)의 상단부의 위치가 판부(14)의 하단부의 높이 보다도 하부가 되어도, 엘리베이터 칸(2)의 상면(2b)의 보수 작업원(8)의 손이 판부(14)에 용이하게 닿아 보수 작업원(8)의 안전성이 확보된다. 이 예에서는, 간극 치수(A)가 300mm로 설정되어 있다.
따라서, 판부(14)의 하단부의 위치는, 치수 Hd(즉, 500mm)로부터 간극 치수(A)(즉, 300mm)를 뺀 치수, 즉 200mm만큼, 기준 높이(P)로부터 하부의 높이의 위치로 되어 있다. 다른 구성 및 동작은 실시 형태 1과 동일하다.
이러한 엘리베이터 장치에서는, 판부(14)의 상단부의 위치가 기준 높이(P)로부터 500mm만큼 상부의 높이 보다도 높은 위치로 되어 있으므로, 보수 작업원(8)이 엘리베이터 칸(2)의 상면(2b)과 승강장(6)과의 사이를 옮겨탈 때에, 엘리베이터 칸(2)의 상면(2b)이 특정층의 승강장(6)의 바닥의 높이로부터 상부로 어긋나 있어도, 승강로(1)의 내벽면 보다도 일방의 제1 난간 구성부(10)에 가까운 위치에 판부(14)를 배치시킬 수 있어, 엘리베이터 칸(2)의 상면(2b)의 보수 작업원(8)의 안전성을 보다 확실히 확보할 수 있다.
또, 판부(14)의 하단부의 위치가 기준 높이(P)로부터 200mm만큼 하부의 높이의 위치로 되어 있으므로, 보수 작업원(8)이 엘리베이터 칸(2)의 상면(2b)과 승강장(6)과의 사이를 옮겨탈 때에, 엘리베이터 칸(2)의 상면(2b)이 특정층의 승강장(6)의 바닥의 높이로부터 하부로 어긋나 있어도, 승강로(1)의 내벽면 보다도 일방의 제1 난간 구성부(10)에 가까운 위치에 판부(14)를 배치시킬 수 있어, 엘리베이터 칸(2)의 상면(2b)의 보수 작업원(8)의 안전성을 보다 확실히 확보할 수 있다. 또, 기준 높이(P)로부터 판부(14)의 하단부까지의 치수를 작게 할 수 있어, 판부(14)의 소형화를 더 도모할 수 있다.
또, 상기의 예에서는, 판부(14)의 상단부의 위치가 기준 높이(P)로부터 500mm만큼 상부의 높이 보다도 높은 위치로 되어 있지만, 판부(14)의 상단부의 위치를, 기준 높이(P)로부터 500mm만큼 상부의 높이의 위치로 해도 괜찮다. 이와 같이 해도, 엘리베이터 칸(2)의 상면(2b)의 보수 작업원(8)의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다.
또, 상기의 예에서는, 판부(14)의 하단부가 기준 높이(P)로부터 200mm만큼 하부의 높이의 위치에 배치되어 있지만, 판부(14)의 하단부의 위치를, 기준 높이(P)로부터 200mm만큼 하부의 높이 보다도 낮은 위치로 해도 괜찮다. 이 경우, 판부(14)의 하단부의 위치를, 보수시 승강 허용 범위의 치수 Hd에 맞추어, 기준 높이(P)로부터 500mm만큼 하부의 높이의 위치로 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하면, 엘리베이터 칸(2)의 상면(2b)의 보수 작업원(8)의 안전성을 보다 확실히 확보할 수 있다.
또, 상기의 예에서는, 한 쌍의 제1 난간 구성부(10) 및 제2 난간 구성부(11) 중, 일방의 제1 난간 구성부(10)만이 난간 높이 가변부로 되어 있지만, 타방의 제1 난간 구성부(10) 및 제2 난간 구성부(11)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난간 높이 가변부로 해도 괜찮다. 타방의 제1 난간 구성부(10)가 난간 높이 가변부가 되는 경우에는, 타방의 제1 난간 구성부(10)와 승강로(1)의 내벽면과의 사이의 수평 거리(L5)가 안전 기준 거리(예를 들면, 500mm) 보다도 큰 거리가 되고, 제2 난간 구성부(11)가 난간 높이 가변부가 되는 경우에는, 제2 난간 구성부(11)와 승강로(1)의 내벽면과의 사이의 수평 거리(L6)가 안전 기준 거리(예를 들면, 500mm) 보다도 큰 거리가 된다.
또, 보수시 승강 허용 범위가, 특정층의 승강장(6)의 바닥의 높이로부터 상부로 500mm, 하부로 500mm의 범위로 설정되어 있는 것을 고려하여, 판부(14)의 상단부의 위치를 기준 높이(P)로부터 500mm만큼 상부의 높이의 위치로 하고, 또한 판부(14)의 하단부의 위치를 기준 높이(P)로부터 500mm만큼 하부의 높이의 위치로 해도 좋다. 이와 같이 하면, 판부(14)의 치수를 작게 할 수 있어, 승강로 내부 고정 부재(12)의 설치의 용이화 및 코스트의 저감화를 도모할 수 있다.
또, 보수 작업원(8)이 승강장(6)과 엘리베이터 칸(2)의 상면(2b)과의 사이를 옮겨탈 때에, 특정층의 승강장(6)의 바닥의 높이에 대한 엘리베이터 칸(2)의 상면(2b)의 정지 위치의 어긋남량이 통상, 상하 100mm의 범위 내가 되는 것을 고려하여, 판부(14)의 상단부의 위치를 기준 높이(P)로부터 100mm만큼 상부의 높이의 위치로 하고, 또한 판부(14)의 하단부의 위치를 기준 높이(P)로부터 100mm만큼 하부의 높이의 위치로 해도 좋다. 이와 같이 하면, 판부(14)의 치수를 더 작게 할 수 있어, 승강로 내부 고정 부재(12)의 설치의 용이화 및 코스트의 저감화를 더 도모할 수 있다.
실시 형태 3.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3에 의한 엘리베이터 장치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또, 도 11은, 도 10의 엘리베이터 장치를 나타내는 상면도이다. 이 예의 엘리베이터는, 실시 형태 2와 동일한 균형추 측면 낙하 타입의 엘리베이터이다.
승강로(1)를 위로부터 보았을 때에는, 엘리베이터 칸(2)을 안내하는 한 쌍의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레일(4) 중, 일방의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레일(4)이 엘리베이터 칸(2)의 일방의 측면(2e)에 대향하고, 타방의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레일(4)이 엘리베이터 칸(2)의 타방의 측면(2e)에 대향하고 있다. 일방의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레일(4)은, 승강로(1)를 위로부터 보았을 때, 엘리베이터 칸(2)과 균형추(3)와의 사이의 공간에 배치되어 있다.
엘리베이터 칸(2)의 균형추(3)측의 측면(2e), 즉 엘리베이터 칸(2)의 일방의 측면(2e)에 대향하는 승강로(1)의 내벽면에는, 일방의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레일(4) 및 한 쌍의 균형추 가이드 레일(5)의 각각을 지지하는 승강로 내부 고정 부재로서의 레일 브라켓(21)이 고정되어 있다.
레일 브라켓(21)은, 각 특정층에 대응시켜 승강로(1) 내에 각각 고정되어 있다. 또, 레일 브라켓(21)은, 한 쌍의 균형추 가이드 레일(5)을 개별로 지지하는 한 쌍의 제1 레일 브라켓부(211)와, 한 쌍의 제1 레일 브라켓부(211) 사이에 장착되어 일방의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레일(4)을 지지하는 제2 레일 브라켓부(212)를 가지고 있다.
한 쌍의 제1 레일 브라켓부(211)는, 승강로(1)의 내벽면을 따라서 수평 방향으로 서로 떨어져 배치되어 있다. 균형추(3)는, 한 쌍의 제1 레일 브라켓부(211) 사이의 공간에 배치되어 있다.
제2 레일 브라켓부(212)는, 승강로(1)를 상부로부터 보았을 때, 엘리베이터 칸(2)과 균형추(3)와의 사이의 공간을 횡단하여 배치되어 있다. 또, 제2 레일 브라켓부(212)는, 승강로(1)를 위로부터 보았을 때, 일방의 제1 난간 구성부(10)와 평행하게 배치되어 있다. 게다가, 제2 레일 브라켓부(212)는, 일방의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레일(4)이 장착된 판부로서의 레일 장착판을 가지고 있다. 제2 레일 브라켓부(212)의 레일 장착판은, 수평면에 대해서 세워서 배치되어 있다. 이 예에서는, 도 1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2 레일 브라켓부(212)의 길이가 제1 난간 구성부(10)의 길이 보다도 짧게 되어 있다.
제2 레일 브라켓부(212)의 레일 장착판의 상단부의 위치는, 특정층에 마련된 승강장 출입구(7)의 상단부 보다도 낮은 위치이고, 또한 기준 높이(P) 이상의 위치로 되어 있다. 또, 제2 레일 브라켓부(212)의 레일 장착판의 하단부의 위치는, 특정층의 하부 인접층에 마련된 승강장 출입구(7)의 상단부 보다도 높은 위치이고, 또한 기준 높이(P) 이하의 위치로 되어 있다. 이 예에서는, 제2 레일 브라켓부(212)의 레일 장착판의 상단부의 위치가 기준 높이(P) 보다도 높은 위치로 되어 있고, 제2 레일 브라켓부(212)의 레일 장착판의 하단부의 위치가 기준 높이(P)와 동일 높이의 위치로 되어 있다.
이 예에서는, 엘리베이터 칸(2)의 균형추(3)측의 측면(2e), 즉 엘리베이터 칸(2)의 일방의 측면(2e)에 대향하는 승강로(1)의 내벽면과 제1 난간 구성부(10)와의 사이의 수평 거리(L4)가, 엘리베이터 칸(2)의 타방의 측면(2e)에 대향하는 승강로(1)의 내벽면과 제1 난간 구성부(10)와의 사이의 수평 거리(L5), 및 엘리베이터 칸(2)의 배면(2d)에 대향하는 승강로(1)의 내벽면과 제2 난간 구성부(11)와의 사이의 수평 거리(L6) 보다도, 크게 되어 있다. 또, 이 예에서는, 수평 거리(L4)가 안전 기준 거리(예를 들면, 500mm) 보다도 큰 거리로 되어 있고, 수평 거리(L5 및 L6)가 안전 기준 거리(예를 들면, 500mm) 이하의 거리로 되어 있다.
따라서, 이 예에서는, 한 쌍의 제1 난간 구성부(10) 및 제2 난간 구성부(11) 중, 균형추(3)에 가까운 측의 일방의 제1 난간 구성부(10)가 난간 높이 가변부로 되어 있고, 타방의 제1 난간 구성부(10) 및 제2 난간 구성부(11)의 각각의 높이 치수는 변화하지 않게 고정되어 있다.
난간 높이 가변부인 일방의 제1 난간 구성부(10)의 구성은, 실시 형태 2에서의 일방의 제1 난간 구성부(10)의 구성과 동일하다. 또, 타방의 제1 난간 구성부(10) 및 제2 난간 구성부(11)의 각각의 구성은, 실시 형태 1에서의 제1 난간 구성부(10)의 구성과 동일하다. 다른 구성 및 동작은 실시 형태 1과 동일하다.
이러한 엘리베이터 장치에서는,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레일(4) 및 균형추 가이드 레일(5)을 지지하는 레일 브라켓(21)이 승강로 내부 고정 부재로서 특정층에 대응시켜 설치되어 있으므로, 보수 운전 모드시에 엘리베이터 칸(2)의 상면(2b)의 보수 작업원(8)의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음과 아울러, 통상 운전 모드시에 엘리베이터 칸 상부 난간(9)의 높이 치수를 낮게 할 수 있어, 승강로(1)의 높이 방향에 대한 축소화를 도모할 수 있다. 또, 엘리베이터 칸(2)의 상면(2b)의 보수 작업원(8)의 안전성을 확보하기 위해서 승강로 내부 고정 부재로서 레일 브라켓(21)을 이용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승강로(1) 내의 부품수를 줄일 수 있어, 엘리베이터 장치의 코스트의 저감화를 도모할 수 있다.
또, 각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승강장(6)과 엘리베이터 칸(2)의 상면(2b)과의 사이에서 보수 작업원(8)이 옮겨탈 수 있는 특정층이 최하층 이외의 모든 층으로 되어 있지만,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최하층 이외의 적어도 어느 하나의 층이 특정층으로 되어 있으면 좋다.
또, 각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최상층의 승강장 출입구(7)에 대응하는 승강로 내부 고정 부재(12)에 스위치(15)가 마련되고, 제2 난간 구성부(11)에 캠(16)이 마련되어 있지만, 제2 난간 구성부(11)에 스위치(15)를 마련하고, 최상층의 승강장 출입구(7)에 대응하는 승강로 내부 고정 부재(12)에 캠(16)을 마련해도 좋다.
또, 각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제1 및 제2 난간 구성부(10, 11)의 적어도 어느 하나가 난간 높이 가변부로 되어 있고, 난간 높이 가변부에서 가동 난간부가 고정 난간부에 대해서 슬라이드 가능하게 되어 있지만, 고정 난간부에 대해서 가동 난간부를 착탈 가능하도록 해도 괜찮다. 이 경우, 가동 난간부를 고정 난간부로부터 떼어 내는 것에 의해 난간 높이 가변부의 높이 치수가 제1 치수(H1)가 되고, 가동 난간부를 고정 난간부에 장착하는 것에 의해 난간 높이 가변부의 높이 치수가 제2 치수(H2)가 된다. 또, 고정 난간부에 대한 가동 난간부의 회동에 의해 난간 높이 가변부가 접힘 가능하게 되어 있어도 괜찮다.

Claims (13)

  1. 승강로 내를 상하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는 엘리베이터 칸,
    상기 엘리베이터 칸의 상면으로부터의 높이 치수가 제1 치수가 되는 저(低)난간 상태와, 상기 엘리베이터 칸의 상면으로부터의 높이 치수가 상기 제1 치수 보다도 큰 제2 치수가 되는 고(高)난간 상태와의 사이에서 변화 가능한 난간 높이 가변부를 가지며, 상기 엘리베이터 칸의 상면에 마련되어 있는 엘리베이터 칸 상부 난간, 및
    상기 승강로를 상부로부터 보았을 때에 상기 승강로의 내벽면과 상기 난간 높이 가변부와의 사이에 배치되어 있는 판부를 가지며, 최하층 이외의 적어도 어느 하나의 층인 특정층에 대응시켜 상기 승강로 내에 고정되어 있는 승강로 내부 고정 부재를 구비하며,
    상기 특정층의 승강장의 바닥으로부터 상기 제1 치수만큼 상부의 높이를 기준 높이로 하면,
    상기 판부의 상단부의 위치는, 상기 특정층에 마련된 승강장 출입구의 상단부 보다도 낮은 위치이고, 또한 상기 기준 높이 이상의 위치이며,
    상기 판부의 하단부의 위치는, 상기 특정층의 하부 인접층에 마련된 승강장 출입구의 상단부 보다도 높은 위치이고, 또한 상기 기준 높이 이하의 위치인 엘리베이터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난간 높이 가변부와 상기 승강로의 내벽면과의 사이의 수평 거리는 500mm 보다도 크고, 상기 난간 높이 가변부와 상기 판부와의 사이의 수평 거리는 500mm 이하로 되어 있으며,
    상기 제1 치수는, 700mm 이상, 1100mm 미만의 치수이고,
    상기 제2 치수는, 1100mm 이상의 치수인 엘리베이터 장치.
  3.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판부의 상단부의 위치는, 상기 기준 높이로부터 500mm만큼 상부의 높이 이상의 위치인 엘리베이터 장치.
  4.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3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판부의 하단부의 위치는, 상기 기준 높이로부터 200mm만큼 하부의 높이 이하의 위치인 엘리베이터 장치.
  5.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판부의 상단부의 위치는 상기 기준 높이로부터 500mm만큼 상부의 높이의 위치이고, 또한, 상기 판부의 하단부의 위치는 상기 기준 높이로부터 500mm만큼 하부의 높이의 위치인 엘리베이터 장치.
  6.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판부의 상단부의 위치는 상기 기준 높이로부터 100mm만큼 상부의 높이의 위치이고, 또한, 상기 판부의 하단부의 위치는 상기 기준 높이로부터 100mm만큼 하부의 높이의 위치인 엘리베이터 장치.
  7.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6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판부의 하단부는, 상기 특정층의 승강장의 바닥보다도 상부의 높이에 위치하고 있는 엘리베이터 장치.
  8.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7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난간 높이 가변부가 상기 저난간 상태로 되어 있는지 아닌지를 검출하는 제1 난간 검출부, 및
    상기 제1 난간 검출부로부터의 정보에 근거하여, 상기 난간 높이 가변부가 상기 저난간 상태로 되어 있다고 판정했을 때에, 엘리베이터의 운전에 대해 보수 운전 모드로부터 통상 운전 모드로의 전환을 가능하게 하는 제어 장치를 구비하고 있는 엘리베이터 장치.
  9.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8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난간 높이 가변부가 상기 고난간 상태로 되어 있는지 아닌지를 검출하는 제2 난간 검출부, 및
    상기 제2 난간 검출부로부터의 정보에 근거하여, 상기 난간 높이 가변부가 상기 고난간 상태로 되어 있다고 판정했을 때에, 상기 엘리베이터 칸의 상면에 마련된 보수시 엘리베이터 칸 상측 조작부의 조작을 유효하게 하는 제어 장치를 구비하고 있는 엘리베이터 장치.
  10.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9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로의 꼭대기부와 상기 난간 높이 가변부의 상단부와의 사이의 꼭대기부 간극 치수가 설정 최소치가 되었는지 아닌지를 검출하는 안전 검출기, 및
    상기 안전 검출기로부터의 정보에 근거하여, 상기 꼭대기부 간극 치수가 상기 설정 최소치가 되었다고 판정했을 때에, 상기 엘리베이터 칸의 이동을 정지시키는 제어 장치를 구비하고 있는 엘리베이터 장치.
  11.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안전 검출기는, 스위치와, 상기 스위치를 조작하는 캠을 가지며,
    상기 특정층인 최상층에 대응하는 상기 승강로 내부 고정 부재, 및 상기 난간 높이 가변부 중, 일방에 상기 스위치가 마련되고, 타방에 상기 캠이 마련되어 있는 엘리베이터 장치.
  12.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11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로 내를 상하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균형추를 구비하며,
    상기 승강로 내부 고정 부재는, 상기 균형추를 안내하는 가이드 레일에 장착되어 있는 엘리베이터 장치.
  13.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11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로 내를 상하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균형추를 구비하며,
    상기 승강로 내부 고정 부재는, 상기 엘리베이터 칸 및 상기 균형추를 안내하는 가이드 레일을 지지하는 레일 브라켓인 엘리베이터 장치.
KR1020177017722A 2014-12-22 2014-12-22 엘리베이터 장치 KR10191489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JP2014/083883 WO2016103318A1 (ja) 2014-12-22 2014-12-22 エレベータ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92604A true KR20170092604A (ko) 2017-08-11
KR101914891B1 KR101914891B1 (ko) 2018-11-02

Family

ID=561494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7017722A KR101914891B1 (ko) 2014-12-22 2014-12-22 엘리베이터 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JP (1) JP6203430B2 (ko)
KR (1) KR101914891B1 (ko)
CN (1) CN107000976B (ko)
DE (1) DE112014007275T5 (ko)
WO (1) WO201610331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4077187B1 (en) * 2019-12-17 2023-11-22 Inventio Ag Method for operating an elevator for an inspection
EP4328165A1 (en) * 2022-08-25 2024-02-28 Otis Elevator Company Safety system for an elevator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18575A (ja) * 1989-06-16 1991-01-28 Mitsubishi Electric Corp エレベータの運転回路
CN1247428C (zh) * 2001-04-17 2006-03-29 三菱电机株式会社 电梯厢及其电梯装置
JP2008230724A (ja) * 2007-03-16 2008-10-02 Mitsubishi Electric Corp かご上安全手摺装置
JP5081751B2 (ja) * 2008-07-15 2012-11-28 株式会社日立製作所 エレベーターの保守時安全装置
JP5117457B2 (ja) 2009-08-17 2013-01-16 株式会社日立ビルシステム エレベータ昇降路内機器の点検台装置
JP2011042423A (ja) 2009-08-19 2011-03-03 Mitsubishi Electric Corp エレベータのかご装置
CN201785104U (zh) * 2010-08-23 2011-04-06 苏州巨立电梯有限公司 电梯轿顶智能护栏
WO2014013600A1 (ja) * 2012-07-20 2014-01-23 株式会社 日立製作所 エレベーター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7000976A (zh) 2017-08-01
WO2016103318A1 (ja) 2016-06-30
DE112014007275T5 (de) 2017-10-12
JP6203430B2 (ja) 2017-09-27
CN107000976B (zh) 2019-05-07
KR101914891B1 (ko) 2018-11-02
JPWO2016103318A1 (ja) 2017-04-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15746B1 (ko) 엘리베이터의 제어장치
JP4742591B2 (ja) エレベータの終端安全装置
CN110914183B (zh) 电梯系统
EP2558393B1 (en) Retractable stop for low overhead elevators
CN109890737B (zh) 电梯安全装置和电梯
CN108883904B (zh) 电梯轿厢、电梯系统和维护电梯系统的方法
EP3257803B1 (en) Elevator car and elevator system
JP6272507B2 (ja) エレベータ装置
KR101914891B1 (ko) 엘리베이터 장치
KR100934310B1 (ko) 엘리베이터 장치
KR20180097150A (ko) 엘리베이터 안전 시스템 및 엘리베이터 시스템 모니터링 방법
US11161716B2 (en) Elevator car toe guard system
KR20090084977A (ko) 엘리베이터 장치
JP6336224B1 (ja) エレベータ装置
CN114599598B (zh) 电梯装置以及电梯装置的门位置检测装置
JP6351851B2 (ja) エレベータ装置
KR100714941B1 (ko) 엘리베이터 카의 위치 검출 장치
JP6261459B2 (ja) エレベータの制御装置およびエレベータの制御方法
US11577936B2 (en) Elevator apron
JP2010105804A (ja) エレベータのかご床制御装置
KR100750010B1 (ko) 엘리베이터 장치
JP2004142853A (ja) エレベータ装置
KR20070065354A (ko) 엘리베이터 장치
WO2005073120A1 (ja) エレベータ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