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14941B1 - 엘리베이터 카의 위치 검출 장치 - Google Patents

엘리베이터 카의 위치 검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14941B1
KR100714941B1 KR1020040076979A KR20040076979A KR100714941B1 KR 100714941 B1 KR100714941 B1 KR 100714941B1 KR 1020040076979 A KR1020040076979 A KR 1020040076979A KR 20040076979 A KR20040076979 A KR 20040076979A KR 100714941 B1 KR100714941 B1 KR 10071494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vator car
attached
reaction member
sensing member
boar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769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028004A (ko
Inventor
김정오
김연훈
왕광식
서희주
이수철
전현재
박선용
유병삼
신영식
브루스 훕스
리치 페루지
레스 왓슨
Original Assignee
오티스 엘리베이터 컴파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티스 엘리베이터 컴파니 filed Critical 오티스 엘리베이터 컴파니
Priority to KR102004007697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14941B1/ko
Priority to PCT/KR2005/003152 priority patent/WO2006080633A1/en
Publication of KR2006002800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2800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1494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14941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00Control systems of elevators in general
    • B66B1/34Details, e.g. call counting devices, data transmission from car to control system, devices giving information to the control system
    • B66B1/36Means for stopping the cars, cages, or skips at predetermined levels
    • B66B1/40Means for stopping the cars, cages, or skips at predetermined levels and for correct levelling at land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Indicating And Signalling Devices For Elevators (AREA)
  • Elevator Door Apparatu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엘리베이터 카의 위치 검출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엘리베이터 카가 정지할 경우에 승장(elevator hall)의 바닥부와 엘리베이터 카의 바닥부가 정확히 일치되도록 하고, 보다 간단한 방식으로 엘리베이터 카 및 승장에 설치될 수 있는 엘리베이터 카의 위치 검출 장치에 관한 것이다. 반응 부재와, 상기 반응 부재를 검출하기 위한 감지 부재에 의해 승장측 실에 대한 엘리베이터 카측 실의 정렬 위치를 파악할 수 있는 본 발명에 따른 엘리베이터 카의 위치 검출 장치는, 승장측 도어의 개폐를 안내하는 승장측 실에 상기 반응 부재와 감지 부재 중 하나가 부착되고, 엘리베이터 카측 도어의 개폐를 안내하는 엘리베이터 카측 실에 상기 반응 부재와 감지 부재 중 다른 하나가 부착된다.

Description

엘리베이터 카의 위치 검출 장치 {APPARATUS FOR DETECTING POSITION OF ELEVATOR CAR}
본 발명은 엘리베이터 카의 위치 검출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엘리베이터 카가 정지할 경우에 승장(elevator hall)의 바닥부와 엘리베이터 카의 바닥부가 정확히 일치되도록 하고, 보다 간단한 방식으로 엘리베이터 카 및 승장에 설치될 수 있는 엘리베이터 카의 위치 검출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엘리베이터는 승강로를 상하로 이동하는 엘리베이터 카를 이용해 승객을 건물의 소정의 층으로 수송하는 수단으로써, 엘리베이터 카가 소정 층에 정지하는 경우에 승객은 엘리베이터 카로부터 승장으로, 또는 승장으로부터 엘리베이터 카로 이동한다. 이와 같은 승객의 이동의 편의를 위해서 엘리베이터 카의 정지시 승장의 바닥부와 엘리베이터 카의 바닥부는 나란히 정렬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해, 엘리베이터는 일반적으로 엘리베이터 카의 위치를 검출하기 위한 위치 검출 장치와 위치 검출 장치로부터 발생한 신호에 따라 엘리베이터 카의 속도를 조절하거나 정지 또는 이동시키는 엘리베이터 제어부를 포함한다. 엘리베이터 제어부는 엘리베이터 카가 소정의 승장에 도달하면 위치 검출 장치에 의해 승장측의 도어와 엘리베이터 카측의 도어와의 정확한 착상 위치를 검출하여 엘리베이터 카를 정지시킨다.
주행중 또는 정지 및 기동중인 엘리베이터 카의 위치를 검출하는 기술은 정확하고 안전한 운송 서비스를 제공하고, 또한 기동 및 제동 중 우수한 승차감을 확보하기 위하여 매우 중요하며, 이를 위하여 여러 가지 기술들이 사용되고 있다. 예를 들어, 일정한 간격으로 구멍이 천공된 금속 테이프(steel tape)를 승강로 전체 높이에 걸쳐 카와 함께 이동시키며 구멍의 이동 개수를 검출하여, 엘리베이터 카의 위치를 파악하는 방법이 종래 기술의 하나이며, 승강로 최하부와 최상부에는 추가로 리미트 스위치와 경사형 캠 플레이트 등이 설치되어, 엘리베이터의 안전한 운행 구간을 확보 한다. 이에 추가로 구동 모터에 연결된 엔코더를 통하여 카의 위치를 추정하는 보조 수단이 병행으로 사용된다.
위와 같은 천공 금속 테이프 대신에 최근의 가장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방법은 유도 센서를 카에 부착하고, 철제형 베인 브라켓(vane bracket), 즉, 차폐판을 매 층마다 승강로의 가이드 레일의 특정 위치에 부착하여, 차폐판과 상호 작용하여 형성되는 유도 센서의 신호로 카의 위치를 검출하는 방식이다. 차폐판이 가이드레일에 부착되기 때문에, 이에 대응되는 유도 센서는 카의 상부에 설치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와 관련하여, 차폐판 및 유도 센서를 포함한 위치 검출 장치 관련 부품들을 각 층마다 설치하는데 요구되는 작업 시간 및 오차의 조정 시간 단축과, 설치 품질의 향상, 그리고 재료비의 절감을 위한 노력이 엘리베이터 업계에서 경쟁적으로 진행되고 있다.
도8a 내지 도8c는 엘리베이터 카측 및 승장측에 설치되는 종래의 엘리베이터 카 위치 검출 장치를 개략적으로 보인 도면이다.
도8a 및 도8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철제 베인형 브라켓(130)은 각 층의 정지 위치마다 가이드 레일(140)에 특정한 형태로 설치되고, 철제 베인형 브라켓(130)에 대응되는 "ㄷ"자형의 유도 센서(125)는 엘리베이터 카의 상부에 설치된다. 도8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엘리베이터 카가 이동하던 중 가이드 레일에 설치된 브라켓(130)이 엘리베이터 카 상부에 설치된 유도 센서(125)의 중앙부를 통과하게 되면 유도 센서(125)는 이를 감지하여 소정의 신호를 발생시키고, 이러한 신호는 엘리베이터의 제어부(도시 안됨)로 전송된다. 제어부는 상기 신호에 기초하여 엘리베이터 카의 속도를 줄여서 엘리베이터 카의 바닥부가 승장의 바닥부와 일치되도록, 즉, 승장측 도어와 엘리케이터 카측 도어가 정확히 착상되도록 제어한다.
위와 같은 종래 기술에서 차폐판은 철제판으로 취부용 브라켓과 볼트 등에 의하여 가이드 레일에 고정되는데, 승장에 대한 엘리베이터 카의 정확한 착상을 위하여 차폐판의 부착 위치를 결정하는 것이 매우 중요한 관리 항목이 된다.
차폐판 부착 위치의 결정을 위하여, 엘리베이터 설치 작업 중 작업자는 2인 1조로 구성되어, 1인은 엘리베이터 카의 상부에 탑승하여 차폐판의 위치를 가조립한 후 엘리베이터를 저속 주행 운전하고, 다른 한 사람은 카 내에 탑승하거나 승장에 위치하여 엘리베이터 카측 실(sill)과 승장측 실의 일치 여부를 관찰하여 엘리베이터 카의 착상 정밀도 기준 만족 여부를 판단하여 카 상부 작업자가 차폐판의 위치를 상하 방향으로 얼마만큼 수정 이동하여야 하는지 알려준다. 실(sill)이란 엘리베이터 카의 바닥부와 승장 바닥부에 설치되어 엘리베이터의 도어와 승장 도어의 개폐를 안내하는 소정의 홈(groove)을 가지는 부재로서, 엘리베이터 카측의 실과 승장측의 실이 일치하는지 여부에 따라 엘리베이터 카가 정확히 착상했는지를 판단할 수 있기 때문에, 엘리베이터 설치시 차폐판의 위치를 조정하는데 있어 기준점으로 작용한다.
위와 같은 종래 기술은 엘리베이터의 카 위치를 검출하는 차폐판 및 유도 센서가 각각 부착되는 위치인 가이드 레일 및 엘리베이터의 카 상부가 착상 정밀도를 확인하는 기준이 되는 엘리베이터 카측 실과 승장측 실로부터 크게 떨어져 있기 때문에, 항상 작업자 2인이 필요하여 1인만으로는 설치 작업이 불가능하며 착상 정밀도의 오차가 발생할 가능성이 높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차폐판을 미리 가조립 한 상태에서 엘리베이터 카 상부에 있는 작업자가 엘리베이터를 운행하면서 차폐판 위치를 재조정하는 시행착오 방식으로 위치 검출 장치가 설치되기 때문에, 작업 효율이 낮을 수밖에 없다. 엘리베이터를 계속적으로 사용함에 따라, 엘리베이터 카의 본체를 구성하는 측판, 천장판 등 관련 부품들에 변형이 발생하거나 정렬 위치에 변화 등이 발생하여 이로 인한 오차가 필연적으로 발생되기 때문에 일정 기간 사용후 차폐판의 위치를 재조정하여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이보다 개선된 기술로서 차폐판을 가이드 레일이 아닌 승장측 도어 상부에 부착하는 위치 검출 장치가 있다.(GB 2 166 711 A) 도9를 참조하면, 차폐판(130)은 승장측 도어(110) 상부에 부착되고 유도 센서(125)는 엘리베이터 카(101)측 도어(105) 상부에 위치하기 때문에 엘리케이터 카(101) 내에 있는 작업자와 카 상부에 있는 작업자의 밀접한 업무 협조가 가능하지만, 여전히 2인 1 조 작업이 필요하다. 또한, 차폐판(130)과 유도 센서(125)가 종래 기술과 마찬가지로 엘리베이터 카(101)의 상부에 배치되기 때문에, 위에 언급한 문제점들이 해결될 수 없다.
이에 대하여 종전의 차폐판과 유도 센서 방식이 아니라 근접 센서 원리를 이용하여 문설주(jamb) 프레임에 엘리베이터 카의 위치 검출 장치를 부착하는 방법이 고안되었다. 즉, 엘리베이터 카의 위치를 검출하는데 사용되는 반응 부재와 감지 부재를 종래 기술과 같이 엘리베이터 카의 상부에 배치하는 것이 아니라 승장측 도어와 엘리베이터 카측 도어의 문설주 프레임 사이에 배치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기술은 문설주 프레임에 충분한 부착 공간이 허용되는 측방 개방 도어식(side open) 엘리베이터에는 적용될 수 있으나, 문설주 프레임에 반응 부재 및 감지 부재를 배치하기 위한 충분한 공간이 허용되지 않는 중앙 개방식(center open door) 엘리베이터에는 사용될 수 없다. 또한, 여전히 엘리베이터 카의 착상 정밀도를 판단하는 기준이 되는 실(sill)로부터 이격되어 있는 문설주 프레임에 위치 검출 장치를 구성하는 반응 부재 및 감지 부재가 부착되기 때문에, 설치 작업시 오차가 발생할 수 있으며, 문설주 프레임 등 관련 부품의 변동 및 변형으로 인한 위치 검출 장치의 위치 재조정 작업이 필요하게 된다.
본 발명은 이러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착상 정밀도가 확보되어야 하는 엘리베이터 카와 승장측의 실로부터 가장 인접한 위치에 위치 검출 장치가 부착됨으로써 위치 검출 성능을 향상시키는 엘리베이터 카 위치 검출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1인 작업자만으로도 엘리베이터 카의 위치 검출 장치의 설치가 가능하고, 설치 현장에서 위치 검출 장치의 조정 작업을 생략하여 설치 작업성을 향상시키는 엘리베이터 카 위치 검출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기존 구성 장치에 큰 변형을 초래하지 않고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는 엘리베이터 카 위치 검출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엘리베이터 카의 위치 검출 장치는 반응 부재와 반응 부재를 검출하기 위한 감지 부재에 의해 승장측 실에 대한 엘리베이터 카측 실의 정렬 위치를 파악한다. 승장측 도어의 개폐를 안내하는 승장측 실에 반응 부재와 감지 부재 중 하나가 부착되고, 엘리베이터 카측 도어의 개폐를 안내하는 엘리베이터 카측 실에 반응 부재와 감지 부재 중 다른 하나가 부착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반응 부재는 승장측 실에 부착되고, 감지 부재는 엘리베이터 카측 실에 부착된다.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따르면, 반응 부재 및 감지 부재는 실 하면에 부착된다.
반응 부재 및 감지 부재는 엘리베이터 카의 에이프런 및 승장의 토가드의 측방에 설치된다.
또한, 엘리베이터 카의 위치 검출 장치의 반응 부재는 마그네트 부재이고, 감지 부재는 홀 센서이다.
마그네트 부재는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브라켓과, 상기 브라켓에 부착되는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마그네트를 포함한다.
홀 센서에는 복수의 유도 코일이 소정 간격으로 배치되어, 상기 엘리베이터 카가 상승하거나 하강하는 경우 마그네트 부재에 의해 홀 센서 내의 유도 코일에서 엘리베이터 카의 속도를 조정하기 위한 유도 신호가 발생한다.
또한, 승장측 실과 엘리베이터 카측 실 중 하나 이상에 홈이 형성되고, 위치 결정용 고정 장치가 상기 홈에 부착되며, 상기 반응 부재나 감지 부재는 위치 결정용 고정 장치에 의해 실에 부착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위치 결정용 고정 장치는 볼트로 구성된다.
또한, 위치 결정용 고정 장치의 길이는 조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따르면, 엘리베이터 카측 도어의 개폐를 안내하는 엘리베이터 카측 실에 상기 반응 부재와 감지 부재 중 하나가 부착되고, 승장측 도어의 개폐를 안내하는 승장측 실에 대응 높이의 승장로 벽면에 반응 부재와 감지 부재 중 다른 하나가 부착된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엘리베이터 위치 검출 장치가 부착된 엘리베이터 카의 구조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2 및 도3은 도1에 도시된 위치 검출 장치의 확대 측면도 및 확대 사시도이다.
도1 내지 도3을 참조하면, 승장측 도어(10)는 승장측 바닥부에 배치된 승장측 실(20)의 홈(20')을 따라 개방되거나 폐쇄되고, 엘리베이터 카(1)측 도어(5)는 카(1)측 바닥부에 배치된 카측 실(15)의 홈(15')을 따라 개방되거나 폐쇄된다. 엘리베이터 카(1)가 정확한 착상 위치에 있는 지 여부는 승장측 실(20)과 엘리베이터 카측 실(15)이 서로 정렬되어 있는 지 여부에 의해 판단된다.
엘리베이터 카(1)가 정확한 착상 위치에 있는 지 여부를 검출하는 반응 부재(30), 예를 들어 마그네트 부재와, 감지 부재(25), 예를 들어 홀 센서는 각각 승장측 실(20) 및 엘리베이터 카측 실(15)에 부착된다. 본 명세서에 첨부된 도면에서는 반응 부재(30)와 감지 부재(25)가 실 하면에 부착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지만, 그 위치는 변경될 수 있다. 즉, 반응 부재(30) 와 감지 부재(25)는 실의 전면에 부착될 수도 있으며, 실 단부에 브라켓을 사용하여 부착될 수도 있다. 또한, 반응 부재(30)와 감지 부재(25)는 마그네트 부재와 홀 센서로 제한되지 않는다.
도3을 참조하면, 반응 부재(30)와 감지 부재(25)는 토가드(27) 및 에이프런(26)의 측방에 배치된다. 여기서, 에이프런(26) 및 토가드(27)는 각각 엘리베이터 카측 실(15) 하부 및 승장측 실(20) 하부에 설치되는 부재로서 엘리베이터 카가 정확한 착상 위치에 정지되지 않은 상태에서 정지하여 엘리베이터 도어가 개방되었을 경우에, 탑승자나 물건의 추락 등을 방지하기 위해 설치된 안전 부재이다. 위와 같은 경우에는 반응 부재(30)와 감지 부재(25)를 실에 부착하기 위해 토가드(27)와 에이프런(26)에 구멍을 뚫는 등의 가공을 할 필요가 없다. 또한, 엘리베이터 카측 실과 승장측 실에 설치된 에이프런과 토가드의 간섭이 없는 공간에 설치되기 때문에, 보다 자유로운 공간 활용이 가능하다.
도4 및 도5는 엘리베이터 카(1)가 상향으로 이동하는 경우에 마그네트 부재로 이루어진 반응 부재(30)와 홀 센서로 이루어진 감지 부재(25)의 작용에 의해 엘리베이터 카(1)의 위치를 검출하는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4를 참조하면, 엘리베이터 카측 실(15)에 부착된 감지 부재(25)는 상하 방향으로 소정의 간격으로 배치된 복수의 유도 코일(25a, 25b, 25c)을 포함한다. 도4에는 감지 부재(25)가 상하 방향으로 3개의 유도 코일을 포함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유도 코일의 개수는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으며 상하 방향으로만 배치되지 않고 좌우로도 중첩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엘리베이터 카(1)가 상향으로 이동하는 경우에, 엘리베이터 카(1)가 착상 위치(정지 위치)에 가까워지게 되면 먼저 감지 부재(25)의 최상부에 배치된 유도 코일(25a)이 반응 부재(30)의 자기장에 의해 영향을 받는다. 즉, 감지 부재(25)의 최상부에 배치된 유도 코일(25a)에서 유도 신호가 발생하게 된다. 이러한 유도 신호는 엘리베이터 카(1)의 속도를 조절하는 제어부(도시 안됨)로 전송되고, 급격한 제동에 의해 승객에게 불편을 주지 않도록 제어부에서는 엘리베이터 카(1)의 속도를 점진적으로 감소시킨다. 그 후, 승장측 실(20)과 엘리베이터 카측 실(15)이 정렬되면, 즉, 엘리베이터 카(1)가 원하는 소정의 층에 정확히 착상하게 되면 감지 부재(25)에 배치된 유도 코일 전부(25a, 25b, 25c)에서 유도 신호가 발생하게 되고, 이러한 유도 신호는 제어부로 전송되어 제어부는 엘리베이터 카(1)를 정지시킨다.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엘리베이터 카(1)가 상향으로 이동할 때와 마찬가지로 엘리베이터 카(1)가 하향으로 이동할 경우에, 엘리베이터 카(1)가 소정의 원하는 층에 가까워지게 되면 먼저 감지 부재(25)의 최하부에 배치된 유도 코일(25c)이 마그네트 부재인 반응 부재(30)의 자기장에 의해 영향을 받아 유도 신호를 발생시킨다. 제어부는 상기 신호에 기초하여 엘리베이터 카(1)의 속도를 점진적으로 감소시킨다. 엘리베이터 카(1)가 정확한 착상 위치에 도달하는 경우에, 즉 감지 부재(25)의 모든 유도 코일(25a, 25b, 25c)이 마그네트 부재인 반응 부재(30)에 의해 유도 신호를 발생시키는 경우에 제어부는 엘리베이터 카(1)를 정지시킨다.
이와 같이, 엘리베이터 카(1)의 위치를 검출하는 위치 검출 장치, 즉 반응 부재(30) 및 감지 부재(25)는 모두 엘리베이터 카(1)의 착상 여부를 판단하는 기준점인 실(15, 20)에 부착된다. 따라서, 승장측 실(20) 및 엘리베이터 카측 실(15)로부터 멀리 이격된 위치에 위치 검출 장치를 설치하였던 종래 기술에 비해 실과 위치 검출 장치 간의 이격 거리가 무시할 수 있을 정도로 짧아지게 되기 때문에, 승장측 실(20)과 엘리베이터 카측 실(15)의 정렬 여부를 정확히 검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위치 검출 장치는 엘리베이터 착상 여부를 판단하는 기준이 되는 실(15, 20)에 부착되기 때문에, 엘리베이터의 장기간 사용으로 엘리베이터 카(1) 본체의 측판, 천장판 등 관련 부품들에 탄성 변형과 경년 변화 등이 발생하더라도 엘리베이터 카(1)의 위치 검출에 있어서 오차가 발생하지 않는다.
본 실시예에서 반응 부재(30) 또는 감지 부재(25)는 승장측 실에 부착되지만, 승장측 실이 아니라 승장측 실과 대응되는 높이의 승장로 벽면에 브라켓 등을 사용하여 부착할 수도 있으며, 이러한 경우에도 앞서 언급한 작용 효과가 동일하게 제공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하여야 한다.
다음으로 엘리베이터 카의 위치 검출 장치의 설치 과정에 대해서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위치 검출 장치를 설치하기 위해서, 먼저 작업자는 감지 부재(25)를 엘리베이터 카측 실(15)에 부착한다. 그 후, 작업자는 엘리베이터 카(1)의 상부에서 엘리베이터 카(1)를 저속으로 운행한다. 엘리베이터 카(1)를 상승 또는 하강시키는 중 엘리베이터 카(1)가 승장 하부에 가까워지게 되면 작업자는 엘리베이터 카(1)의 운행을 일시 정지시키고 승장측 실(20) 또는 승장측 실(20)과 동일한 높이의 승장로 벽면에 반응 부재(30)를 설치한다. 반응 부재(30)와 감지 부재(25)는 각각 승장측 실(20)과 엘리베이터 카측 실(15)의 정해진 위치에 부착되기 때문에, 작업자는 반응 부재(30)와 감지 부재(25)의 부착을 위해 승장측 실(20)과 카측 실(15)을 서로 정렬시킬 필요가 없으며, 각 부재들의 부착 위치를 조정하는 작업을 거칠 필요가 없다. 즉, 종래 기술에서는 엘리베이터 카측 실(115)을 승장측 실(120)과 일치시킨 상태에서 차폐판(130)의 위치를 조정하여야 했지만, 본원 발명에 따른 반응 부재(30) 및 감지 부재(25)를 설치할 때에는 실(20, 15)의 정렬 여부를 고려할 필요가 없다. 따라서, 설치 작업시 엘리베이터 카(1)에는 승장측 실(20)과 카측 실(15)의 일치 여부를 확인하는 작업자가 탑승할 필요가 없으며, 이에 따라 위치 검출 장치의 설치 작업은 1인의 작업자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또한, 위치 검출 장치의 초기 설치시 위치 검출 장치를 가조립한 상태에서 엘리베이터 카를 저속 운행하며 실(20, 15)의 정렬에 따라 위치 검출 장치의 부착 위치를 재조정하며 위치 검출 장치를 부착하는 시행착오 방식을 거치지 않고 승장측 실(20) 및 엘리베이터 카측 실(15)에 반응 부재(30) 및 감지 부재(25)를 바로 부착하기 때문에 보다 간단히 위치 검출 장치를 설치할 수 있다.
도6은 승장측 실(20)에 부착된 반응 부재(30)의 사시도이고, 도7은 반응 부재(30)를 구성하는 "L"자형 마그네트 브라켓(32)의 사시도이다.
도6 및 도7을 참조하면, 반응 부재(30)는 중앙부에 홈(32')이 형성된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L"자형 브라켓(32)과 마그네트 브라켓(32)을 따라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마그네트(31)로 구성된다. 마그네트(31)는 자성을 갖기 때문에 다른 고정 장치의 사용없이 브라켓(32)의 길이방향 홈(32')에 용이하게 부착될 수 있다. 승장측 실(20) 또는 엘리베이터 카측 실(15)에는 홈이 형성되고, 반응 부재(30) 또는 감지 부재(25)의 위치를 결정하는 위치 결정용 고정 장치(18)가 상기 홈에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작업자는 위치 결정용 고정 장치(18)를 이용하여 반응 부재(30) 또는 감지 부재(25)를 각각 승장측 실(20) 또는 엘리베이터 카측 실(15)에 용이하게 부착할 수 있다.(도2 참조) 위치 결정용 고정 장치(18)로는 주로 볼트가 사용되지만 그 외의 다른 고정 장치도 사용 가능하다. 반응 부재(30) 및 감지 부재(25)의 부착 위치는 실(20, 15)에 이미 고정되어 있는 위치 결정용 고정 장치(18)에 의하여 결정되기 때문에, 엘리베이터 위치 검출 장치의 설치시 작업자는 반응 부재(30) 및 감지 부재(25)를 위치 결정용 고정 장치(18)에 밀착시키고 단순 고정 작업만 하면 된다. 이에 따라, 반응 부재(30) 및 감지 부재(25)를 별도의 위치 조정 작업에 의해 부착시킬 필요가 없다.
또한, 위치 결정용 고정 장치는 엘리베이터 카측 실과 승장측 실에 부착된 감지 부재 및 반응 부재의 위치를 조정할 수 있는 조정 부재를 포함함으로써, 엘리베이터 카의 착상에 오차가 발생하여 보정이 필요할 경우 감지 부재 및 반응 부재의 부착 위치에 있어서의 미세한 오차를 용이하게 보정할 수 있다.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엘리베이터 카의 위치 검출 장치는 반응 부재와 반응 부재를 검출하기 위한 감지 부재를 각각 승장측 실과 엘리베이터 카측 실에 부착하여 승장측 실에 대한 엘리베이터 카측 실의 정렬 위치를 파악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엘리베이터 카의 착상 여부를 보다 정확히 검출할 수 있으며, 엘리베이터의 장기간 사용으로 인해 엘리베이터 카의 구성 요소들이 변형되거나 정렬 위치가 변하는 등의 변동 요인이 발생하더라도 위치 검출에 있어 오차가 발생하지 않는다.
위치 검출 장치의 설치시 1인의 작업자에 의해서 설치가 가능하며, 반응 부재를 가조립한 상태에서 엘리베이터를 시험 운행하면서 그 위치를 재조정하는 시행착오 방식을 거칠 필요가 없기 때문에 위치 검출 장치를 보다 간단히 설치할 수 있다. 또한, 실에 형성된 홈에 부착된 위치 결정용 고정 장치에 의해 마그네트 부재 또는 홀 센서를 부착하기 때문에, 위치 검출 장치를 더욱 간단히 설치할 수 있으며, 위치 결정용 고정 장치의 길이의 조정에 의해 위치 결정 장치의 미세한 오차 발생시 이를 용이하게 보정할 수 있다.
도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엘리베이터 카의 위치 검출 장치가 부착된 엘리베이터 카 및 승장의 측면도,
도2는 본 발명의 일시시예에 따른 엘리베이터 카의 위치 검출 장치의 확대 측면도,
도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엘리베이터 카의 위치 검출 장치의 확대 사시도,
도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엘리베이터 카 위치 검출 장치의 작동 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
도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엘리베이터 카 위치 검출 장치의 작동 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
도6은 승장측 실에 부착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엘리베이터 카 위치 검출 장치의 마그네트 부재의 사시도,
도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엘리베이터 카 위치 검출 장치의 마그네트 브라켓의 사시도,
도8a는 엘리베이터 카를 안내하는 가이드 레일에 종래의 엘리베이터 카 위치 검출 장치의 차폐판이 부착된 도면,
도8b는 엘리베이터 카의 상부에 부착된 종래의 엘리베이터 카 위치 검출 장치의 유도 센서의 사시도,
도8c는 종래의 엘리베이터 카 위치 검출 장치의 차폐판 및 유도 센서의 사시도, 그리고
도9는 종래의 엘리베이터 카의 위치 검출 장치가 설치된 엘리베이터 카의 측면도이다.

Claims (11)

  1. 반응 부재와, 상기 반응 부재를 검출하기 위한 감지 부재에 의해 승장측 실에 대한 엘리베이터 카측 실의 정렬 위치를 파악할 수 있는 엘리베이터 카의 위치 검출 장치이며,
    승장측 도어의 개폐를 안내하는 승장측 실 하면에 상기 반응 부재와 감지 부재 중 하나가 부착되고,
    엘리베이터 카측 도어의 개폐를 안내하는 엘리베이터 카측 실 하면에 상기 반응 부재와 감지 부재 중 다른 하나가 부착되고,
    상기 반응 부재는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마그네트를 포함하고,
    상기 감지 부재는 홀 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승장측 실과 엘리베이터 카측 실은 하면에 하나 이상의 홈과 상기 홈에 부착된 위치 결정용 고정 장치를 가지며,
    상기 반응 부재와 감지 부재는 상기 위치 결정용 고정 장치에 의해 상기 승장측 실 하면 또는 엘리베이터 카측 실 하면에 부착되는
    엘리베이터 카의 위치 검출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반응 부재는 승장측 실 하면에 부착되고, 상기 감지 부재는 엘리베이터 카측 실 하면에 부착되는 엘리베이터 카의 위치 검출 장치.
  3. 삭제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엘리베이터 카측 실 또는 승장측 실에 부착되는 반응 부재와 감지 부재는 엘리베이터 카측 실 하부에 부착되는 에이프런 및 승장측 실 하부에 부착되는 토가드의 측방에 위치되는 엘리베이터 카의 위치 검출 장치.
  5. 삭제
  6.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반응 부재는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마그네트가 부착되는 브라켓을 더 포함하는 엘리베이터 카의 위치 검출 장치.
  7.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홀 센서에는 복수의 유도 코일이 소정 간격으로 배치되어, 상기 엘리베이터 카가 상승하거나 하강하는 경우 반응 부재에 의해 홀 센서 내의 유도 코일에서 엘리베이터 카의 속도를 조정하기 위한 유도 신호가 발생하는 엘리베이터 카의 위치 검출 장치.
  8. 삭제
  9.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 결정용 고정 장치는 볼트인 엘리베이터 카의 위치 검출 장치.
  10.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 결정용 고정 장치는 반응 부재나 감지 부재의 부착 위치를 조정할 수 있는 조정 부재를 포함하는 엘리베이터 카의 위치 검출 장치.
  11. 삭제
KR1020040076979A 2004-09-24 2004-09-24 엘리베이터 카의 위치 검출 장치 KR100714941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76979A KR100714941B1 (ko) 2004-09-24 2004-09-24 엘리베이터 카의 위치 검출 장치
PCT/KR2005/003152 WO2006080633A1 (en) 2004-09-24 2005-09-23 Apparatus for detecting the position of an elevator ca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76979A KR100714941B1 (ko) 2004-09-24 2004-09-24 엘리베이터 카의 위치 검출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28004A KR20060028004A (ko) 2006-03-29
KR100714941B1 true KR100714941B1 (ko) 2007-05-07

Family

ID=367406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76979A KR100714941B1 (ko) 2004-09-24 2004-09-24 엘리베이터 카의 위치 검출 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0714941B1 (ko)
WO (1) WO2006080633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4118428A1 (en) * 2013-02-01 2014-08-07 Kone Corporation Elevator system and method for installing an elevator
US9567188B2 (en) 2014-02-06 2017-02-14 Thyssenkrupp Elevator Corporation Absolute position door zone device
US11535488B2 (en) 2017-08-28 2022-12-27 Otis Elevator Company Elevator position detection systems
WO2020035936A1 (ja) * 2018-08-17 2020-02-20 三菱電機株式会社 エレベータ及びその改修方法
CN114590662B (zh) * 2022-02-22 2024-05-03 中控技术股份有限公司 一种往复式提升机控制方法及往复式提升机
CN116202398B (zh) * 2023-05-06 2023-07-21 蒂升电梯(中国)有限公司成都分公司 一种电梯安装间隙测量装置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20005430B1 (ko) * 1990-07-31 1992-07-03 금성산전 주식회사 엘리베이터의 정지위치 검출장치 및 방법
JPH07157220A (ja) * 1993-12-08 1995-06-20 Hitachi Ltd エレベータの位置検出装置
JPH11246139A (ja) * 1993-12-28 1999-09-14 Kone Oy エレベータカーの位置決定方法および装置
KR20000022575A (ko) * 1998-09-07 2000-04-25 니시무로 타이죠 엘리베이터의 착상 장치
JP2001039639A (ja) * 1999-07-29 2001-02-13 Hitachi Ltd エレベータの位置検出装置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20005430B1 (ko) * 1990-07-31 1992-07-03 금성산전 주식회사 엘리베이터의 정지위치 검출장치 및 방법
JPH07157220A (ja) * 1993-12-08 1995-06-20 Hitachi Ltd エレベータの位置検出装置
JPH11246139A (ja) * 1993-12-28 1999-09-14 Kone Oy エレベータカーの位置決定方法および装置
KR20000022575A (ko) * 1998-09-07 2000-04-25 니시무로 타이죠 엘리베이터의 착상 장치
JP2001039639A (ja) * 1999-07-29 2001-02-13 Hitachi Ltd エレベータの位置検出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28004A (ko) 2006-03-29
WO2006080633A1 (en) 2006-08-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15746B1 (ko) 엘리베이터의 제어장치
CA2181882C (en) Method and equipment for the measurement of the load in a lift cage
EP2075210B1 (en) Position detection device for elevator
CN104828684B (zh) 电梯设备
JP2000072353A (ja) エレべーター調速機
KR100714941B1 (ko) 엘리베이터 카의 위치 검출 장치
CN112384462A (zh) 电梯诊断系统
EP1916214A1 (en) Elevator device
EP1812328B1 (en) Installing guide rails in an elevator system
WO2009093317A1 (ja) エレベータシステム及びそれに用いる着床位置検出装置
US6230846B1 (en) Elevator apparatus with control panel located within elevator hoistway
JP2001039639A (ja) エレベータの位置検出装置
CN113548559B (zh) 电梯装置
KR900004973Y1 (ko) 엘리베이터의 위치 검출장치
KR101914891B1 (ko) 엘리베이터 장치
CN114599598B (zh) 电梯装置以及电梯装置的门位置检测装置
WO2014170964A1 (ja) エレベータ装置
JP5832676B2 (ja) エレベータのドア装置、及び、エレベータのドアの据付方法
WO2022224405A1 (ja) 乗場側着床装置調整部材、かご側着床装置調整部材およびかご側着床装置
JP7471894B2 (ja) 工事用エレベータの安全装置
KR20230170452A (ko) 자기센서를 이용한 위치 검출 시스템 및 방법
JP4390952B2 (ja) エレベーターの位置検出装置
JP6294252B2 (ja) エレベータ装置
KR100944619B1 (ko) 승강기 시스템의 가이드 레일 설치
KR200348733Y1 (ko) 엘리베이터의 착상구간 검출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