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44619B1 - 승강기 시스템의 가이드 레일 설치 - Google Patents

승강기 시스템의 가이드 레일 설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44619B1
KR100944619B1 KR1020077008558A KR20077008558A KR100944619B1 KR 100944619 B1 KR100944619 B1 KR 100944619B1 KR 1020077008558 A KR1020077008558 A KR 1020077008558A KR 20077008558 A KR20077008558 A KR 20077008558A KR 100944619 B1 KR100944619 B1 KR 10094461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uide rail
delete delete
doorway
members
do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700855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057947A (ko
Inventor
마이클 피. 플린
켄 워로노프
찰스 달링
스탠리 피. 어번
Original Assignee
오티스 엘리베이터 컴파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티스 엘리베이터 컴파니 filed Critical 오티스 엘리베이터 컴파니
Priority to KR102007700855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44619B1/ko
Publication of KR2007005794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5794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4461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4461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7/00Other common features of elevators
    • B66B7/02Guideways; Guides
    • B66B7/023Mounting means therefor
    • B66B7/027Mounting means therefor for mounting auxiliary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7/00Other common features of elevators
    • B66B7/02Guideways; Guides
    • B66B7/023Mounting means therefor
    • B66B7/026Interconnec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7/00Other common features of elevators
    • B66B7/02Guideways; Guides
    • B66B7/04Riding means, e.g. Shoes, Rollers, between car and guiding means, e.g. rails, ropes

Landscapes

  • Elevator Door Apparatuses (AREA)

Abstract

장치는 적어도 몇 개의 출입구(40)가 설치된 이후에 승강구 내에 승강기 가이드 레일의 설치를 용이하게 한다. 선택된 출입구 부재(42)는 가이드 레일(30)의 위치를 결정하기 위한 안내 혹은 기준을 제공한다. 장치는 선택된 출입구 부재(42)에 대하여 선택적으로 위치하기에 적합한 제1 부분(52)과, 상응하는 가이드 레일(30) 부분을 선택된 출입구 부재(42)에 대하여 원하는 위치와 정렬이 되도록 고정하는 제2 부위(54)를 포함한다.
승강기, 가이드 레일, 출입구, 문지방(sill), 랜딩(landing)

Description

승강기 시스템의 가이드 레일 설치 {INSTALLING GUIDE RAILS IN AN ELEVATOR SYSTEM}
본 발명은 일반적으로 승강기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본 발명은 승강기 시스템의 가이드 레일 설치에 관한 것이다.
승강기 시스템은 일반적으로 승강구 내로 수직 방향으로 이동하는 승강기 객차(car)를 포함한다. 가이드 레일은 승강구 내에 위치하여 승강기 객차의 이동을 유도한다. 승강기 객차 조립체에 장착된 가이드 롤러는 공지된 방법에 따라 가이드 레일을 따라서 따라온다.
효율적이고 경제적인 승강기 시스템 설치에 있어 한 부분은 가이드 레일 설치이다. 전형적인 설치 순서는 승강구 건축, 가이드 레일 설치에 이어서 가이드 레일을 따라 이동하는 승강기 플랫폼을 이용하여 출입구 부분을 설치하여 출입구 부분과 가이드 레일을 따라 이동할 승강기 객차 사이의 적절한 정렬을 제공하는 것을 포함한다. 이 방법은 시간이 많이 소비된다. 더욱이, 출입구 부분의 설치는 다른 계약자가 출입구 가장자리 장식이나 바닥 마감과 같은 건물 내장의 설치를 완료할 수 있기 전에 이루어질 것이 요구된다. 일반적으로 이러한 작업들은 승강기 출입구 부분이 설치될 때까지 기다려야 한다. 따라서, 건축 과정 중에 이러한 비 효율을 경험하게 된다.
가이드 레일의 배치를 간단하게 하고, 보다 효율적으로 건물을 제조하는 대안이 요구된다. 본 발명은 이러한 요구에 관한 것이다.
승강기 시스템의 가이드 레일 설치에 유용한 예시적인 장치는 미리 설치된 출입구 부재에 대하여 선택적으로 위치하기에 적합한 제1 부분을 포함한다. 제2 부분은 출입구 부재에 대하여 선택된 위치에서 적어도 하나의 가이드 레일의 상응하는 부분을 고정한다.
예시적인 장치는 일 단부 부근에 출입구 부재를 결합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표면이 있는 제1 부분을 갖는 프레임을 포함한다. 제2 부분은 프레임의 반대편 단부 부근이고, 상응하는 가이드 레일 부분을 고정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표면을 갖는다.
일실시예는 출입구 부재에 대하여 장치를 제자리에 고정하도록 고정용 부재를 포함한다. 일실시예에 있어서, 문지방 부재가 일반적으로 승강구 내의 승강기 객차 위치에 가장 결정적인 관계를 가지기 때문에, 문지방 부재가 장치와 가이드 레일을 위치시키는 기준점으로 사용된다.
승강기 시스템의 가이드 레일을 설치하는 예시적 방법은 각각의 복수의 랜딩(landing)에 복수의 출입구 부재를 설치하는 것을 포함한다. 상기 방법은 적어도 몇 개의 랜딩에 결합한 하나 이상의 출입구 부재의 위치에 기초하여 가이드 레일을 원하는 위치에 위치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여러 가지 특징과 장점은 현재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한 아래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될 것이다. 상세한 설명에 첨부된 도면은 아래와 같이 간단히 설명될 수 있다.
도1은 승강기 시스템의 선택된 부분을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2는 승강기 시스템의 가이드 레일 설치를 위한 예시적인 장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3은 도2의 실시예의 평면도이다.
도4는 도2 및 도3의 실시예에 있어서 선택된 부분의 측면도이다.
도5는 조정 형상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2 및 도3의 실시예에 있어서 선택된 부분의 측면도이다.
도1은 승강기 시스템(20)의 선택된 부분을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승강구(22)는 정면 벽(24), 후면 벽(26), 측면 벽(28)을 포함한다. 가이드 레일(30)은 측면 벽(28)에 대하여 공지된 방법에 의하여 지지된다.
복수의 출입구(40)는 승강구(22)에 입구를 제공한다. 출입구(40)는 결국 승강기 시스템에 의해 제공되는 각각의 랜딩과 결합된다.
각 출입구(40)는 문지방 부재(42), 헤더 부재(44), 문설주(jamb) 부재(46)와 같은 복수의 출입구 부재를 포함한다.
하나의 예시적인 설치 기법에 따르면, 출입구 부재(42,44,46)는 가이드 레 일(30)의 설치에 앞서 설치된다. 이는 승강구(22) 내에 가이드 레일(30)을 위치시키는 다른 기법을 사용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또한, 출입구(40)를 가이드 레일(30)에 앞서 설치하는 것은 승강기 시스템이 아직 설치 중인 동안 다른 계약자가 건설 작업을 계속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도2는 이미 설치된 적어도 몇 개의 출입구(40)의 하나 이상의 출입구 부재의 위치에 기초하여 승강구(22) 내에서 가이드 레일(30)의 위치를 결정하는데 유용한 예시적인 장치(50)를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예시적인 장치(50)는 적어도 하나의 출입구 부재에 대하여 선택적으로 위치하기에 적합한 제1 부분(52)을 포함한다. 예를 들면, 제2 부분(54)은 선택된 출입구 부재에 대하여 적절한 위치에서 가이드 레일(30)의 상응하는 부분을 고정하는데 적합하여 가이드 레일(30)은 승강구 벽(28)에 대하여 제자리에 고정될 수 있다. 일실시예에 있어서, 공지된 가이드 레일 장착 브라켓은 승강구(22) 내에 가이드 레일(30)을 제자리에 고정하는데 사용된다.
도2의 실시예는 긴 부재(56) 사이에 뻗어 있는 일반적으로 긴 안정용 부재(58)가 있는 긴 부재(56)를 갖는 프레임을 포함한다. 안정용 부재(58)는 각각에 대하여 긴 부재(56)의 평행하고 안정된 위치를 유지한다. 긴 부재(56)는 완벽하게 각각에 대하여 평행을 유지하여 선택된 출입구 부재에 대하여 가이드 레일(30)의 정확한 위치를 제공한다.
도2의 실시예에서, 제1 부분(52)은 긴 부재(56)의 일 단부 부근에 위치한다. 상기 실시예에서 제2 부분은 긴 부재(56)의 반대쪽 단부 부근에 위치한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고정용 부재(60)는 가이드 레일 위치 결정 기준으로 사용되는 선택된 출입구 부재로부터 말단에 있는 긴 부재(56)의 단부 부근에 지지된다. 상기 실시예에서 고정용 부재(60)는 가이드 레일(30)의 블레이드 부위(64)를 수용할 수 있는 크기의 슬롯(62)을 포함한다. 도2 및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실시예에서 슬롯(62)은 반대 방향을 향하는 개구부를 갖고 있어 반대로 향하고 있는 가이드 레일 블레이드 부분(64)을 수용한다.
도시된 실시예는 장치(50)의 수평 위치의 시각적 표시을 제공하는 레벨 표시기(70)를 포함하여, 가이드 레일(30)의 정확한 배치를 용이하게 한다.
일실시예에 있어서, 제1 부분(52)은 가이드 레일(30)을 제자리에 위치시키는데 사용하는 선택된 출입구 각각에 있는 문지방 부재(42)의 적절한 부위에 접촉기에 적합하다. 상기 실시예에 있어서, 문지방 부재(42)는 승강구(22)에 결합한 다른 문지방 부재에 대한 수평 및 수직 방향에서 미리 설치된다. 제1 부분과 제2 부분 사이의 거리를 고정되도록 하고 몇 개의 출입구에서의 (표시기(70)에 의해 지시되는) 수평 위치에 장치(50)를 정렬함으로써, 승강구 입구 또는 출입구(40)에 대하여 가이드 레일(30)의 적절한 정렬이 도시된 예의 장비에 의해 쉽게 이루어진다.
도4는 위치 결정 형상(72)이 선택된 문지방 부재(42)에 대하여 제1 부분(52)을 정확하게 위치시키는 것을 용이하게 하는 일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상기 실시예에서, 위치 결정 형상(72)은 각각의 긴 부재(56)의 일 단부 부근에 고정되는 일반적으로 L자 형상의 브라켓을 포함한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이드 레일(30)의 상응하는 부분에 정확히 위치시키기 위하여 제2 부분(54)을 적절한 방향으로 하는 조작을 가능하게 하는 방법으로, 긴 부재(56)와 위치 결정 형상(72)의 일 표면은 문지방 부재(42)에 대하여 수용된다.
도4의 실시예는 상응하는 랜딩에서 설치 공정 중에 제1 부분(52)을 문지방 부재(42)에 대하여 원하는 위치에 고정하기 위한 고정용 부재(76)를 포함한다. 상기 고정용 부재(76)는 제1 부분(52)에 형성된 관통 홀(100) 내로, 그리고 문지방 부재(42)에 형성된 관통 홀(200) 내로 삽입된다.
예를 들면, 설치 장비(50)의 일실시예는 길이를 조정할 수 있는 형상을 가지고 있어, 문지방 부재와 상응하는 가이드 레일 사이의 다른 거리를 수용하여 다양한 승강기 시스템에 사용 가능하다. 도3의 이점 쇄선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도3의 예의 긴 부재(56)는 선택적으로 늘어나거나 줄어들 수 있어 다른 설치시의 별개의 요구를 수용할 수 있다. 문지방 부재(42')가 문지방 부재(42)보다 가이드 레일(30)로부터 더 멀어진 경우, 긴 부재(56)는 그 상황에 적응하기 위하여 도시된 바와 같이 56'으로 길어진다.
도5는 긴 부재 부분(56A,56B) 간의 신축적 배열을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고정용 부재(78) 선택된 위치로 신축적 부분을 고정하여 주어진 가이드 레일(30) 세트의 전체 설치 공정을 통하여 제1 부분(52)과 제2 부분(54) 사이의 거리가 일정하도록 유지한다. 일실시예에 있어서, 고정용 부재(78)는 긴 부재(56)의 신축적 부위에서 상응하는 개구부를 통해 수용하는 볼트와 너트를 포함한다.
개시된 실시예는 승강기 출입구 부분이 설치된 이후에 가이드 레일을 설치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이점이 있다. 적어도 몇 개의 출입구의 문지방 요소만 적절히 설치된다면, 도시된 예는 정확한 방법으로 보다 효율적으로 승강기 가이드 레일을 설치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순차적으로 위에서 아래로 이동하거 나 동시에 가이드 레일의 다양한 부위를 위치시키는 것은 설치를 보다 효율적으로 만든다. 또한 도시된 실시예는 다른 계약자들이 종래 필요한 정도만큼 승강기 시스템 설치가 완료되기 전에 건물 공사를 계속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이상에서의 설명은 본래 제한적이라기보다 예시적이다. 본 발명의 본질을 벗어나지 않는 개시된 실시예에 대한 변형과 변경은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주어진 법률적인 보호 범위는 이하의 청구 범위를 해석함으로써 정해질 수 있다.

Claims (29)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13. 삭제
  14. 삭제
  15. 삭제
  16. 일 단부 부근에 미리 설치된 출입구 부재를 결합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표면이 있는 제1 부분과,
    제1 부분이 각각의 출입구에서 출입구 부재와 결합할 때 제1 부분과 제2 부분 사이의 고정된 거리가 승강구를 따라 각각의 복수 개의 출입구에서 출입구 부재에 대하여 가이드 레일을 정렬하게 작동하도록, 반대편 단부 부근에 출입구 부재에 대하여 선택된 위치에 하나 이상의 가이드 레일의 상응하는 부분을 고정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표면이 있는 제2 부분을 갖는 프레임을 포함하는 승강기 시스템의 가이드 레일 설치 장치.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은 일 단부 부근에 제1 부분을 갖고 반대쪽 단부 부근에 제2 부분을 갖는 두 개의 공간적으로 이격되고, 대체로 평행한 긴 부재들을 포함하는 승강기 시스템의 가이드 레일 설치 장치.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부분은 긴 부재들의 반대쪽 단부들 부근에 각각 지지되는 고정용 부재들을 포함하고,
    상기 각각의 고정용 부재는 상기 상응하는 가이드 레일 부분을 수용하는 크기의 슬롯을 포함하는 승강기 시스템의 가이드 레일 설치 장치.
  19. 제17항에 있어서, 긴 부재들이 출입구 부재에 대하여 원하는 방향으로 위치하는지 여부의 표시를 제공하는 레벨 표시기를 포함하는 승강기 시스템의 가이드 레일 설치 장치.
  20. 제17항에 있어서, 긴 부재들은 선택적으로 길이가 조정 가능한 승강기 시스템의 가이드 레일 설치 장치.
  21. 제20항에 있어서, 선택된 길이로 긴 부재들을 고정하는 고정용 부재를 포함하는 승강기 시스템의 가이드 레일 설치 장치.
  22. 제16항에 있어서, 제1 부분을 출입구 부재에 대하여 선택된 위치에 고정하기 위한 고정용 부재를 포함하는 승강기 시스템의 가이드 레일 설치 장치.
  23. 제16항에 있어서, 장치의 수평 표시를 제공하는 레벨 표시기를 포함하는 승강기 시스템의 가이드 레일 설치 장치.
  24. 제16항에 있어서, 제2 부분은 복수 개의 고정용 부재들을 포함하고,
    각각의 고정용 부재는 상응하는 가이드 레일 부분을 수용하기 위한 슬롯을 포함하는 승강기 시스템의 가이드 레일 설치 장치.
  25. 제24항에 있어서, 하나의 슬롯은 다른 슬롯에 대하여 반대쪽을 향하는 방향으로 열려 있는 승강기 시스템의 가이드 레일 설치 장치.
  26.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은 대체로 평행한 긴 부재들 사이에 뻗어 있는 안정용 부재를 포함하는 승강기 시스템의 가이드 레일 설치 장치.
  27. 출입구 부재를 결합하기 위한 제1 부분과 가이드 레일의 상응하는 부분을 고정하기 위한 제2 부분을 갖는 장치를 사용하는 승강기 시스템의 가이드 레일 설치 방법이며,
    승강구를 따라 복수 개의 랜딩에서 하나 이상의 출입구 부재를 설치하는 단계와,
    상기 장치의 제1 및 제2 부분 사이의 거리를 고정하는 단계와,
    하나 이상의 출입구 부재가 설치되어 있는 둘 이상의 랜딩에서 제1 부분과 선택된 출입구 부재를 결합하는 단계와,
    하나 이상의 출입구 부재가 설치되어 있는 둘 이상의 각각의 랜딩에서 제1 부분과 선택된 출입구 부재를 결합하는 동안, 고정된 거리에 기초하여 원하는 위치로 가이드 레일을 위치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승강기 시스템의 가이드 레일 설치 방법.
  28. 제27항에 있어서, 하나 이상의 출입구 부재가 설치되어 있는 둘 이상의 각각의 랜딩에서 선택된 출입구 부재로써 설치된 문지방 부재를 선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승강기 시스템의 가이드 레일 설치 방법.
  29. 제27항에 있어서, 하나 이상의 출입구 부재가 설치되어 있는 둘 이상의 랜딩에서 제1 부분과 선택된 출입구 부재를 결합하는 단계는 가이드 레일의 일 단부 부근에서 가이드 레일의 설치를 시작하고 순차적으로 제1 부분과 추가적인 선택된 출입문 부재들과 결합하여 가이드 레일의 반대쪽 단부 쪽의 위치에서 가이드 레일의 설치를 완료하는 것을 포함하는 승강기 시스템의 가이드 레일 설치 방법.
KR1020077008558A 2004-11-16 2004-11-16 승강기 시스템의 가이드 레일 설치 KR10094461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7008558A KR100944619B1 (ko) 2004-11-16 2004-11-16 승강기 시스템의 가이드 레일 설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7008558A KR100944619B1 (ko) 2004-11-16 2004-11-16 승강기 시스템의 가이드 레일 설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57947A KR20070057947A (ko) 2007-06-07
KR100944619B1 true KR100944619B1 (ko) 2010-02-26

Family

ID=383550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7008558A KR100944619B1 (ko) 2004-11-16 2004-11-16 승강기 시스템의 가이드 레일 설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44619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1998040303A1 (en) * 1997-03-07 1998-09-17 Kone Oyj Procedure and apparatus for the installation of an elevator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1998040303A1 (en) * 1997-03-07 1998-09-17 Kone Oyj Procedure and apparatus for the installation of an elevato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57947A (ko) 2007-06-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481538B2 (en) Elevator guide rail mounting assembly
US8397437B2 (en) Method for installing the guide rails of an elevator and system for installing the guide rails of an elevator
EP1812328B1 (en) Installing guide rails in an elevator system
US20170001842A1 (en) Method and device for installing an elevator system
US20130025236A1 (en) Aligning shaft doors of an elevator
US9790057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alignment of elevator guide rails
KR100944619B1 (ko) 승강기 시스템의 가이드 레일 설치
CN210150552U (zh) 电梯的侯梯厅设备
WO2006080633A1 (en) Apparatus for detecting the position of an elevator car
JP5676496B2 (ja) ガイドレールを支持するエレベータシステムドアフレーム
US20240034596A1 (en) Elevator system with an installation bracket
JPS6214057Y2 (ko)
JPH09227056A (ja) エレベータのかご枠
JP4867285B2 (ja) エレベータ昇降路用配線装置
JPH089469B2 (ja) 乗場出入口装置の取付方法
JP5146076B2 (ja) エレベータの乗場装置
CN116513919A (zh) 用于将横梁紧固在电梯设备中的装置
JPS60242282A (ja) エレベ−タの乗場側出入口装置
JPH06255935A (ja) ユニット型エレベーターのユニットブロック
WO2006011871A2 (en) Landing-mounted entrances that reduce total elevator installation time
JPH08217358A (ja) エレベータ昇降路の出入口装置
JP2011157149A (ja) エレベータの乗場敷居の据付具
JPH1149464A (ja) エレベータ乗場出入口の据付方法及びその装置
JPH07137953A (ja) エレベータの出入口部品の据付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0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0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2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0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13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12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