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91025A - 정보처리장치, 정보처리장치의 제어방법 및 통신 시스템의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정보처리장치, 정보처리장치의 제어방법 및 통신 시스템의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91025A
KR20170091025A KR1020170010805A KR20170010805A KR20170091025A KR 20170091025 A KR20170091025 A KR 20170091025A KR 1020170010805 A KR1020170010805 A KR 1020170010805A KR 20170010805 A KR20170010805 A KR 20170010805A KR 20170091025 A KR20170091025 A KR 2017009102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munication
access point
information
communication unit
communication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108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30070B1 (ko
Inventor
카즈요시 스미우치
유키 와카바야시
Original Assignee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7009102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91025A/ko
Priority to KR102020007939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6602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3007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3007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10Connection setup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2Digital output to print unit, e.g. line printer, chain printer
    • G06F3/1201Dedicated interfaces to print systems
    • G06F3/1202Dedicated interfaces to print systems specifically adapted to achieve a particular effect
    • G06F3/1203Improving or facilitating administration, e.g. print management
    • G06F3/1204Improving or facilitating administration, e.g. print management resulting in reduced user or operator actions, e.g. presetting, automatic actions, using hardware token storing dat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8/00Access restriction; Network selection; Access point selection
    • H04W48/08Access restriction or access information delivery, e.g. discovery data deliver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2Digital output to print unit, e.g. line printer, chain printer
    • G06F3/1201Dedicated interfaces to print systems
    • G06F3/1223Dedicated interfaces to print systems specifically adapted to use a particular technique
    • G06F3/1224Client or server resources management
    • G06F3/1226Discovery of devices having required properti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2Digital output to print unit, e.g. line printer, chain printer
    • G06F3/1201Dedicated interfaces to print systems
    • G06F3/1278Dedicated interfaces to print systems specifically adapted to adopt a particular infrastructure
    • G06F3/1285Remote printer device, e.g. being remote from client or server
    • G06F3/1286Remote printer device, e.g. being remote from client or server via local network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2Digital output to print unit, e.g. line printer, chain printer
    • G06F3/1201Dedicated interfaces to print systems
    • G06F3/1278Dedicated interfaces to print systems specifically adapted to adopt a particular infrastructure
    • G06F3/1285Remote printer device, e.g. being remote from client or server
    • G06F3/1288Remote printer device, e.g. being remote from client or server in client-server-printer device configur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2Digital output to print unit, e.g. line printer, chain printer
    • G06F3/1201Dedicated interfaces to print systems
    • G06F3/1278Dedicated interfaces to print systems specifically adapted to adopt a particular infrastructure
    • G06F3/1292Mobile client, e.g. wireless print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1/00Arrangements for maintenance, administration or management of data switching networks, e.g. of packet switching networks
    • H04L41/08Configuration management of networks or network elements
    • H04W4/008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20Services signaling; Auxiliary data signalling, i.e. transmitting data via a non-traffic channe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80Services using short range communication, e.g. near-field communication [NFC], radio-frequency identification [RFID] or low energy communi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8/00Access restriction; Network selection; Access point selection
    • H04W48/16Discovering, processing access restriction or access inform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8/00Access restriction; Network selection; Access point selection
    • H04W48/18Selecting a network or a communication servi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30Connection release
    • H04W76/34Selective release of ongoing connec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00Network data management
    • H04W8/005Discovery of network devices, e.g. termin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4/00Network topologies
    • H04W84/02Hierarchically pre-organised networks, e.g. paging networks, cellular networks, WLAN [Wireless Local Area Network] or WLL [Wireless Local Loop]
    • H04W84/10Small scale networks; Flat hierarchical networks
    • H04W84/12WLAN [Wireless Local Area Networ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2Terminal devices
    • H04W88/06Terminal devices adapted for operation in multiple networks or having at least two operational modes, e.g. multi-mode termin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8Access point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정보처리장치의 제어방법은, 제2통신부가 접속하고 있는 액세스 포인트에 대한 정보를, 제1통신부가 접속하고 있는 통신 장치에 대하여, 상기 제1통신부에 의해 송신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통신 장치는, 상기 제2통신부가 접속하고 있는 액세스 포인트에 대한 정보를 수신했을 경우, 상기 제2통신부가 접속하고 있는 액세스 포인트와 제2의 무선통신 방식에 의해 접속 및 통신한다.

Description

정보처리장치, 정보처리장치의 제어방법 및 통신 시스템의 제어방법{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CONTROL METHOD FOR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FOR COMMUNICATION SYSTEM}
본 발명은, 정보처리장치, 정보처리장치의 제어방법 및 통신 시스템의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스마트 폰 등의 정보처리장치가 네트워크에서 사용 가능한 프린터 등의 통신 장치와 무선 근거리 통신망(LAN) 통신 등의 통신 방식에 의해 접속하는 방법으로서, 무선LAN라우터 등의, 통신 장치외의 액세스 포인트를 경유해서 접속하는 방법이 있다. 이 접속 방법을 인프라스트럭처 접속이라고 부른다. 정보처리장치와 통신 장치는, 인프라스트럭처 접속을 확립 함에 의해, 예를 들면, 쌍방향 통신이 가능해지거나, 인터넷에 접속해서 인터넷상에서 제공된 서비스를 이용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일본 특허공개 2007-048211호 공보에는, 통신 장치로부터 접속 가능한 액세스 포인트의 일람을 취득하고, 그 일람으로부터 1개의 액세스 포인트를 유저에 선택시켜, 선택된 액세스 포인트를 사용해서 통신 장치와 인프라스트럭처 접속하는 장치가 기재되어 있다.
일본 특허공개 2007-048211호 공보에 기재된 방법은, 인프라스트럭처 접속을 확립할 수 있다. 그렇지만, 최근, 장치간의 통신을 이용하는 구성이증대하는 경향으로 인해, 인프라스트럭처 접속의 확립을 보다 간편하게 행하는 것이 이전보다 더 요구되고 있다. 본 발명은, 인프라스트럭처 접속을 한층 더 보다 간편하게 행할 수 있는 정보처리장치, 정보처리장치의 제어방법 및 통신 시스템의 제어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일 실시예의 측면에 의하면, 제1의 무선통신 방식에 의해 통신 장치와 접속 및 통신하는 제1통신부와, 상기 제1의 무선통신 방식과 다른 제2의 무선통신 방식에 의해 액세스 포인트와 접속 및 통신하는 제2통신부를 구비하는 정보처리장치의 제어방법은, 상기 통신 장치와 상기 제1의 무선통신 방식에 의해 통신하기 위한 접속 정보를 포함하는 신호를, 상기 통신 장치로부터 수신하는 수신 단계와, 상기 신호에 근거하여, 상기 제1의 무선통신 방식에 의한 통신을 시작하기 위한 요구를 상기 통신 장치에 대하여 송신하고, 상기 제1의 무선통신 방식에 의한 상기 제1통신부와 상기 통신 장치간의 접속을 확립하는 확립 단계와, 상기 제2통신부가 접속하고 있는 액세스 포인트에 대한 정보를, 상기 제1통신부가 접속하고 있는 상기 통신 장치에 대하여, 상기 제1통신부에 의해 송신시키는 송신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통신 장치는, 상기 제2통신부가 접속하고 있는 액세스 포인트에 대한 정보를 수신했을 경우, 상기 제2통신부가 접속하고 있는 액세스 포인트와 상기 제2의 무선통신 방식에 의해 접속 및 통신하고, 상기 통신 장치가, 상기 제2통신부가 접속하고 있는 액세스 포인트와 상기 제2의 무선통신 방식에 의해 접속했을 경우, 상기 정보처리장치는, 상기 제2통신부가 접속하고 있는 액세스 포인트를 통한 상기 통신 장치와의 통신을 상기 제2통신부에 의해 실행 가능해진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들은,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이하의 실시예들의 설명으로부터 명백해질 것이다.
도 1은 실시예에 따른 정보처리장치 및 통신 장치의 구성의 예를 나타내는 블록도다.
도 2는 제1실시예에 따른 정보처리장치가 실행하는 처리를 나타내는 흐름도다.
도 3은 제1실시예에 따른 통신 장치가 실행하는 처리를 나타내는 흐름도다.
도 4는 인쇄용 애플리케이션의 기동시의 화면의 예를 나타낸다.
도 5는 패스워드 입력 화면의 예를 나타낸다.
도 6은 제2실시예에 따른 정보처리장치가 실행하는 처리를 나타내는 흐름도다.
도 7(도 7a와 7b로 이루어짐)은 제3실시예에 따른 정보처리장치가 실행하는 처리를 나타내는 흐름도다.
도 8은 광고 정보의 브로드 캐스트 및 접속 요구 정보의 수신의 처리를 나타낸다.
도 9는 블루투스(Bluetooth) 저 에너지에 있어서의 광고를 나타낸다.
도 10은 광고 정보의 구조를 나타낸다.
도 11(도 11a와 11b로 이루어짐)은 제4실시예에 따른 정보처리장치가 실행하는 처리를 나타내는 흐름도다.
도 12는 제4실시예에 따른 통신 장치가 실행하는 처리를 나타내는 흐름도다.
도 13(도 13a와 13b로 이루어짐)은 제5실시예에 따른 정보처리장치가 실행하는 처리를 나타내는 흐름도다.
도 14는 제5실시예에 따른 정보처리장치가 실행하는 처리를 나타내는 흐름도다.
도 15(도 15a와 15b로 이루어짐)는 제5실시예에 따른 통신 장치가 실행하는 처리를 나타내는 흐름도다.
도 16a 및 16b는 개인식별번호(PIN) 코드에 관한 화면의 예들을 나타낸다.
도 17(도 17a, 17b, 17c로 이루어짐)은 제6실시예에 따른 정보처리장치가 실행하는 처리를 나타내는 흐름도다.
도 18(도 18a, 18b, 18c로 이루어짐)은 제6실시예에 따른 통신 장치가 실행하는 처리를 나타내는 흐름도다.
도 19(도 19a, 19b, 19c로 이루어짐)는 제7실시예에 따른 정보처리장치가 실행하는 처리를 나타내는 흐름도다.
이하의 설명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실시예를 예들에 의해 설명한다. 단, 본 개시의 사상을 일탈하지 않는 범위내에서, 당업자의 통상의 지식에 근거하여, 이하에 기재하는 실시예들을 임의로 변경 또는 개량하여서 작성된 추가의 실시예들이 적용 가능하다.
제1실시예에 따른 통신 시스템에 포함된 정보처리장치 및 통신 장치에 대해서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정보처리장치로서 스마트 폰을 설명하지만, 그 정보처리장치는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이동 단말, 노트북 개인용 컴퓨터(PC), 타블렛 단말, 개인휴대단말(PDA), 및 디지털 카메라 등의 각종 장치는 정보처리장치로서 이용될 수 있다. 또한, 통신 장치로서, 본 실시예에서는 프린터를 예시하고 있지만,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정보처리장치와 무선통신을 행하는 것이 가능한 각종의 장치는, 통신장치로서 이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잉크젯 프린터, 풀 칼라 레이저 빔 프린터, 모노크롬 프린터 등의 어떠한 프리터이든 통신 장치로서 이용될 수 있다. 또한, 그 통신장치로서 이용 가능한 장치들은, 프린터뿐만 아니라 복사기나 팩시밀리 장치, 이동 단말, 스마트 폰, 노트북 PC, 타블렛 단말, PDA, 디지털 카메라, 음악재생 디바이스, 텔레비전 등도 포함한다. 그 외, 복사 기능, 팩시밀리(FAX) 기능, 인쇄 기능 등의 복수의 기능을 갖는 복합기도 통신 장치로서 이용될 수 있다.
우선, 본 실시예에 따른 정보처리장치와, 본 실시예에 따른 정보처리장치와 통신 가능한 통신 장치의 구성에 대해서, 도 1의 블록도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이하의 구성을 예로서 인용하는 정보처리장치와 통신 장치를 설명하지만, 본 실시예는 통신 장치와 통신 가능한 장치에 적용 가능하고, 그 기능들은 도 1에 나타낸 것처럼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정보처리장치(101)는, 본 실시예에 따른 정보처리장치다. 정보처리장치(101)는, 입력 인터페이스(102), CPU(103), 판독전용 메모리(ROM)(104), 랜덤 액세스 메모리(RAM)(105), 외부 기억장치(106), 출력 인터페이스(107), 표시부(108), 통신부(111), 근거리 무선통신부(112)를 구비한다.
입력 인터페이스(102)는, 마우스(110)와 키보드(109)상에서 행해진 조작에 근거한 유저로부터의 데이터 입력과 동작 지시를 접수하기 위한 인터페이스다.
CPU(103)는, 시스템 제어부이며, 정보처리장치(101) 전체를 제어한다.
ROM(104)은, CPU(103)가 실행하는 제어 프로그램이나 데이터 테이블, 및 임베디드 오퍼레이팅 시스템(이하, OS라고 한다.) 프로그램 등의 고정 데이터를 기억하고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ROM(104)에 기억된 각 제어 프로그램은, ROM(104)에 기억된 임베디드 OS의 관리하에서, 스케줄링, 태스크 스위칭 및 인터럽트 처리 등의 소프트웨어 실행 제어를 행한다.
RAM(105)은, 백업 전원을 필요로 하는 정적 랜덤 액세스 메모리(SRAM) 등을 사용하여 구체화 된다. RAM(105)은, 도시하지 않은 데이터 백업용의 1차 전지를 사용하여 데이터를 보유하므로, 프로그램 제어 변수 등의 중요한 데이터를 휘발시키지 않고 기억할 수 있다. 또한, 정보처리장치(101)의 설정 정보나 정보처리장치(101)의 관리 데이터 등을 기억하는 메모리 에어리어도 RAM(105)에 설치되어 있다. 또한, RAM(105)은, CPU(103)의 주 메모리와 워크 메모리로서도 사용된다.
외부 기억장치(106)는, 인쇄 실행 기능을 제공하는 애플리케이션, 통신 장치(151)가 해석 가능한 인쇄 정보를 생성하는 인쇄 정보 생성 프로그램 등을 보존하고 있다. 또한, 외부 기억장치(106)는, 정보처리장치(101)와, 정보처리장치(101)가 통신부(111)를 통해서 접속된 통신 장치(151)와의 사이에서 송수신 하는 정보 송/수신 제어 프로그램 등의 각종 프로그램이나, 이것들의 프로그램이 사용하는 각종 정보를 보존하고 있다.
출력 인터페이스(107)는, 데이터를 표시하고, 유저에게 정보처리장치(101)의 상태를 통지하기 위해 표시부(108)를 제어하는 인터페이스다.
표시부(108)는, 발광 다이오드(LED)나 액정 디스플레이(LCD)등을 사용하여 구체화되고, 데이터를 표시하고 상기 정보처리장치(101)의 상태를 유저에게 통지한다. 정보처리장치(101)는, 표시부(108)상에 설치된 수치입력 키, 모드 설정 키, 결정 키, 취소 키, 전원 키 등의 조작부를 구비함으로써, 표시부(108)를 통해 유저로부터의 입력을 접수해도 좋다.
통신부(111)는, 통신 장치(151)와 액세스 포인트(131)등의 장치와 정보처리장치(101)와 접속시키고, 데이터 통신을 실행하기 위한 부다. 예를 들면, 통신부(111)는, 통신 장치(151)내의 액세스 포인트(도시되지 않음)에 접속가능하다. 통신부(111)와 통신 장치(151)내의 액세스 포인트가 서로 접속하면, 이 접속에 의해, 정보처리장치(101)와 통신 장치(151)가 서로 통신 할 수 있다. 통신부(111)는 무선통신으로 통신 장치(151)와 직접 통신해도 좋거나, 정보처리장치(101)와 통신 장치(151)의 외부에 존재하는 외부장치를 통해 상기 통신 장치(151)와 통신해도 좋다. 상기 외부장치로서 가능한 장치들은, 정보처리장치(101)의 외부 및 통신 장치(151)의 외부에 존재하는 외부 액세스 포인트(액세스 포인트(131)등)와, 액세스 포인트이외의 통신을 중계 가능한 장치를 포함한다. 이 때문에, 무선통신 방식의 예들로서는, 무선 충실도(Wi-Fi)와 블루투스가 있다. 또한, 액세스 포인트(131)의 예들로서는, 무선 근거리 통신망(LAN0 라우터 등의 기기가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정보처리장치(101)와 통신 장치(151)가 외부 액세스 포인트를 거치지 않고 직접 접속하는 방식을, 다이렉트 접속 방식이라고 한다. 또한, 정보처리장치(101)와 통신 장치(151)가 외부 액세스 포인트를 통해서 서로 접속하는 방식을, 인프라스트럭처 접속 방식이라고 한다.
근거리 무선통신부(112)는, 통신 장치(151)등의 장치와 근거리로 무선접속하고, 데이터통신을 실행하기 위한 부이며, 통신부(111)와는 다른 통신 방식을 사용하여 통신을 행한다. 근거리 무선통신부 112는, 예를 들면, 통신 장치(151)내의 근거리 무선통신부 157과 접속가능하다. 따라서, 통신 방식의 예들로서는, 블루투스 저 에너지와, Wi-Fi Aware가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통신부(111)는 근거리 무선통신부(112)보다도 고속의 통신을 실현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으로 한다. 또한, 근거리 무선통신부(112)는, 통신부(111)에 의해 통신을 행하기 위한 통신 정보를, 통신 장치(151)등의 장치와 교환하는데 사용되도록 구성되는 것으로 한다.
통신 장치(151)는, 본 실시예에 따른 통신 장치다. 통신 장치(151)는, ROM(152), RAM(153), CPU(154), 프린트 엔진(155), 통신부(156), 및 근거리 무선통신부(157)를 구비한다.
통신부(156)는, 통신 장치(151)내부의 액세스 포인트로서, 정보처리장치(101)등의 장치와 접속하기 위한 액세스 포인트를 구비한다. 이 액세스 포인트는, 정보처리장치(101)의 통신부(111)에 접속가능하다. 통신부(156)는 무선통신으로 정보처리장치(101)와 직접 통신해도 좋거나, 액세스 포인트(131)를 통해 정보처리장치(101)와 통신해도 좋다. 따라서, 통신 방식의 예들로서는, Wi-Fi와 블루투스가 있다. 또한, 통신부(156)는, 액세스 포인트로서 기능하는 하드웨어를 구비하고 있어도 좋거나, 통신부(156)를 액세스 포인트로서 기능시키기 위한 소프트웨어에 의해 액세스 포인트로서 동작해도 좋다.
근거리 무선통신부 157은, 통신 장치(151)에 의해 정보처리장치(101)등의 장치와 근거리로 무선접속하기 위한 부이며, 예를 들면, 정보처리장치(101)내의 근거리 무선통신부 112와 접속가능하다. 따라서, 통신 방식의 예들로서는, 블루투스 저 에너지와 Wi-Fi Aware가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통신부(156)는, 근거리 무선통신부(157)보다도 고속의 통신을 실현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으로 한다. 또한, 근거리 무선통신부(157)는, 통신부(156)에 의해 통신을 행하기 위한 통신 정보를, 정보처리장치(101)등의 장치와 교환하기 위해서 사용되도록 구성되는 것으로 한다.
RAM(153)은, 백업 전원을 필요로 하는 SRAM등으로 구체화된다. RAM(153)은, 도시하지 않은 데이터 백업용의 1차 전지에 의해 데이터를 보유하므로, 프로그램 제어 변수등의 중요한 데이터를 휘발시키지 않고 기억할 수 있다. 또한, 통신 장치(151)의 설정 정보나 통신 장치(151)의 관리 데이터 등을 기억하는 메모리 에어리어도 RAM(153)에 설치된다. 또한, RAM(153)은, CPU(154)의 주 메모리와 워크 메모리로서도 사용되고, 정보처리장치(101)등으로부터 수신한 인쇄 정보를 일시적으로 기억하기 위한 수신 버퍼나 각종의 정보를 기억한다.
ROM(152)은, CPU(154)가 실행하는 제어 프로그램이나 데이터 테이블 및 OS프로그램 등의 고정 데이터를 기억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ROM(152)에 기억된 각 제어 프로그램은, ROM(152)에 기억된 임베디드OS의 관리하에서, 스케줄링, 태스크 스위칭, 및 인터럽트 처리 등의 소프트웨어 실행 제어를 행한다.
CPU(154)는, 시스템 제어부이며, 통신 장치(151) 전체를 제어한다.
통신 장치(151)는, 프린트 엔진(155), RAM(153)에 기억된 정보나 정보처리장치(101)등으로부터 수신한 인쇄 잡에 근거하여, 잉크 등의 기록제를 종이 등의 기록 매체 위에 부가함으로써, 기록 매체 위에 화상을 형성하고, 인쇄 결과를 출력한다. 이때, 정보처리장치(101)등으로부터 송신된 인쇄 잡은 송신 데이터량이 크므로 고속 통신을 필요로 함으로써, 통신 장치(151)는 근거리 무선통신부(157)보다도 고속 통신가능한 통신부(156)를 통해 인쇄 잡을 수신한다.
통신 장치(151)에는, 외장형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HDD)와 보안 디지털(SD) 카드 등의 메모리가, 옵션 기기로서 장착되어도 좋고, 통신 장치(151)에 기억된 정보는 이 메모리에 기억되어도 좋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통신 장치는, 후술하는 접속 설정 처리에 의해 접속 모드가 설정되고, 통신 장치(151)는 그 설정된 접속 모드에 근거한 접속 형태로 접속하면서 정보처리장치(101)와 통신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통신 장치(151)는, 인프라스트럭처 접속에 의해 통신을 행할 경우, 접속 모드로서 인프라스트럭처 접속 모드가 설정되고, 직접 접속에 의해 통신을 행할 경우는, 접속 모드로서 다이렉트 접속 모드가 설정된다.
본 예에서는, 정보처리장치(101)와 통신 장치(151)간의 처리 분담을 상기한 바와 같이 예로 나타냈지만, 특별히 이 분담 구성에 한정되지 않고, 그 처리는 다른 형태로 분담되어도 좋다.
본 실시예에서는, 정보처리장치(101)와 통신 장치(151)가 인프라스트럭처 접속으로서 접속할 때에, 정보처리장치(101)가, 인프라스트럭처 접속에 이용하는 액세스 포인트를 통신 장치(151)에 등록하는 처리(접속 설정 처리)에 대해서 설명한다. 이 처리에 대해 아래에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정보처리장치(101)가 액세스 포인트(131)에 접속되고, 인프라스트럭처 접속에 이용하는 액세스 포인트로서 액세스 포인트(131)를 통신 장치(151)에 등록하는 것으로 가정하여 상기 접속 설정처리를 설명한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근거리 무선통신부 112 및 근거리 무선통신부 157이 블루투스 저 에너지에 의해 서로 통신을 행하는 것으로 가정하여 상기 접속 설정처리를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근거리 무선통신부 157이 후술의 광고 정보를 브로드 캐스트 하는 애드버타이저(또는 슬레이브)로서 기능하고, 근거리 무선통신부 112가 광고 정보를 수신하는 스캐너(또는 마스터)로서 기능한다. 또한, 통신부 111 및 통신부 156이 무선LAN(Wi-Fi)에 의해 서로 통신하는 것으로 가정하여, 상기 접속 설정처리를 설명한다. 또한, 정보처리장치(101)가 미리 액세스 포인트(131)에 접속되고, 통신 장치(151)가 액세스 포인트(131)에 접속되지 않은 상태로, 접속 설정 처리가 시작되는 것으로 가정하여, 상기 접속 설정처리를 설명한다.
이제, 도 8을 참조하여, 블루투스 저 에너지 규격에서 규정된 광고 정보의 송신 및 블루투스 저 에너지 접속 요구의 수신의 처리에 대해서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술한 것처럼 근거리 무선통신부(157)가 슬레이브 기기로서 동작하기 때문에, 근거리 무선통신부(157)가 상기 처리를 행하는 것으로 가정한다.
근거리 무선통신부(157)는, 블루투스 저 에너지 통신 방식에 있어서, 2.4GHz의 주파수대를 40채널(0∼39채널(ch))로 분할하면서 통신을 행한다. 근거리 무선통신부(157)는, 이들 채널 중에서, 37∼39번째의 채널을 광고 정보의 송신 및 블루투스 저 에너지 접속 요구의 수신에 이용하고, 0∼36번째의 채널을 블루투스 저 에너지 접속후의 데이터통신(일반 속성 프로파일(GATT)통신 등)에 이용한다. 도 8에서는, 종축이 근거리 무선통신부(157)의 소비 전력을, 횡축이 시간을 나타내고, 1개의 채널을 이용해서 광고 정보를 송신할 때의 소비 전력을 처리순서마다 나타내고 있다. 전력Tx(805)는, 광고 정보를 브로드 캐스트 하는 처리인 송신 처리에 있어서의 총 소비 전력을 나타내고, 전력Rx(806)는, 블루투스 저 에너지 접속 요구를 수신하기 위한 수신기를 유효하게 해 두는 처리인 수신 처리에 있어서의 총 소비 전력을 나타내고 있다. 송신 전력(802)은 송신 처리에 의해 소비된 순간 소비 전력을 나타내고 있다. 또한, 수신 전력(803)은 수신 처리에 의해 소비된 순간 소비 전력을 나타내고 있다. 또한, 마이크로컴퓨터 동작 전력(801)은, 근거리 무선통신부(157)내의 마이크로컴퓨터가 동작하고 있을 경우의 순간 소비 전력을 나타내고 있다. 또한, Tx(805)와 Rx(806)의 전후나 사이에도 마이크로컴퓨터가 동작하고 있는 것은, 송신처리와 수신 처리의 실행과 정지를 위해 사전에 마이크로컴퓨터가 기동하고 있어야 하기 때문이다. 또한, 광고 정보의 송신을 복수의 채널로 행할 경우에, 이에 따라, 광고 정보를 송신하는데 사용된 채널의 수만큼 많이 소비 전력이 증가하게 된다. 또한, 마이크로컴퓨터가 동작을 행하고 있지 않고, 근거리 무선통신부(157)가 전력 절약상태에 있는 동안은, 슬립(sleep) 전력(804)이 근거리 무선통신부(157)의 순간 소비 전력에 해당한다. 이렇게, 근거리 무선통신부(157)는, 소정의 채널을 사용해서 송신 처리를 행한 후, 동일한 채널을 사용해서 소정 시간 수신 처리를 행하여서 정보처리장치(101)로부터 블루투스 저 에너지 접속 요구가 송신되는 것을 기다린다. 근거리 무선통신부(157)는, 정보처리장치(101)로부터 블루투스 저 에너지 접속 요구를 수신할 때, 블루투스 저 에너지 접속을 확립하고, 정보처리장치(101)와 GATT통신을 행한다.
또한, 근거리 무선통신부(157)는,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광고 정보의 송신 처리와 수신 처리를, 채널별로 3회 반복한 후, 마이크로컴퓨터의 동작을 정지시켜 소정 시간 전력 절약상태가 된다. 이하의 설명에서는, 소정의 채널에 의한 광고 정보의 송신 처리와 수신 처리의 조합을 광고라고 한다. 또한, 소정의 채널에 의해 광고 정보를 송신하는 시간간격을 광고 시간간격이라고 한다. 1회째의 광고를 행하고 나서 전력 절약상태가 될 때까지 반복하는 광고의 횟수는, 3회이하이면 임의로 변경되어도 된다.
도 10은, 근거리 무선통신부(157)가 통신 장치(151)의 주변에 브로드 캐스트 하는 광고 정보의 구조의 일례를 나타낸다.
근거리 무선통신부(157)는, 전력의 공급이 시작되면 초기화처리를 행하고, 애드버타이징 상태가 된다. 근거리 무선통신부(157)는, 애드버타이징 상태가 되면, 광고 시간간격에 근거해서 정기적으로 광고 정보를 주변에 브로드 캐스트 한다. 광고 정보란, 기본적인 헤더 정보(즉, 해당 광고 정보를 송신하는 장치를 식별하기 위한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신호이며, 헤더(1001)와 페이로드(1002)로 구성된다. 정보처리장치(101)는, 이 광고 정보를 수신함으로써, 통신 장치(151)의 존재를 인식할 수 있다. 또한, 정보처리장치(101)는, 통신 장치(151)에 블루투스 저 에너지 접속 요구를 송신함으로써, 통신 장치(151)와 블루투스 저 에너지 접속으로서 접속할 수 있다. 헤더(1001)는, 광고 정보의 타입, 페이로드(1002)의 크기를 나타내는 정보등을 기억하기 위한 영역이다. 페이로드(1002)는, 식별 정보로서의 디바이스명(1003), 탑재 프로파일 정보, 통신 장치(151)와 블루투스 저 에너지 접속으로서 접속하기 위한 접속 정보(1004), 광고 정보가 송신되는 송신 전력(Tx 전력)(1005)등의 정보를 기억한다. 통신 장치(151)의 식별 정보(1006)는 광고 정보에 포함되어도 좋다. 통신 장치(151)의 식별 정보(1006)로서 사용된 정보의 예들은, 통신 장치(151)의 미디어 액세스 제어(MAC)어드레스나, 통신 장치(151)의 서비스를 나타내는 정보, 및 통신 장치(151)내의 액세스 포인트의 서비스 세트 식별자(SSID) 및 패스워드가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페어링 처리를 실시한다. 그 페어링 처리는, 정보처리장치(101)와 통신 장치(151) 사이에서 인증을 행하고, 장치간에 상기 GATT통신에 의해 데이터를 판독 및 기록하기 위해 행해진다. GATT는, 블루투스 저 에너지 규격에 있어서 정보의 판독 및 기록(송수신)을 주관하는 프로파일이다. 그리고, GATT통신은, 정보처리장치(101)가 GATT클라이언트, 통신 장치(151)가 GATT서버의 역할을 하고, GATT에 근거한 프로파일에 따라, 정보처리장치(101)가 통신 장치(151)에 대하여 정보를 판독 및 기록하는, 통신이다. 정보처리장치(101)와 통신 장치(151)가 서로 페어링이 실행되지 않은 상태에서, 통신 장치(151)는 정보처리장치(101)가 GATT통신에 의해 그 정보를 판독 및 기록하는 것을 금지하도록 구성된다고 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서로 페어링을 행하지 않고 있는 정보처리장치(101)와 통신 장치(151)간의 통신 확립을 방지할 수 있거나 부적절하게 할 가능성이 낮을 수 있고, 예를 들면, 통신 장치(151)에 보유된 정보가 통신 장치(151)와 페어링을 하지 않고 있는 정보처리장치(101)에 의한 부주의한 취득을 방지할 수 있다.
페어링 처리의 상세에 대해서 설명한다. 우선, 정보처리장치(101)는, 후술하는 인쇄 애플리케이션이 기동되어, 인쇄 애플리케이션에 의해 표시되는 초기 화면(홈 화면)이 표시부(108)에 표시되었을 경우, 특정한 장치정보를 가지는 광고 정보의 서치를 시작한다. 그 특정한 장치정보는, 예를 들면, 인쇄 애플리케이션에 대응하는 장치(프린터 등)의 범용 고유 식별자(UUID)나 MAC어드레스다. 그리고, 정보처리장치(101)는, 특정한 장치정보를 가지는 광고 정보를 수신하면, 해당 광고 정보를 송신한 장치(본 예에서는, 통신 장치(151))에, 블루투스 저 에너지 접속 요구(CONNECT_REQ)를 송신하고, 장치간에 상기 블루투스 저 에너지 접속을 확립한다. 그리고, 정보처리장치(101)는, 통신 장치(151)와의 페어링을 완료하지 않은 경우는, 유저에 페어링을 재촉하기 위한 화면을 표시부(108)에 표시한다. 그리고, 정보처리장치(101)는, 페어링의 실행이 유저에 의해 지시되었을 경우, 시큐리티 매니저 프로토콜에 따른 통신에 의해, 통신 장치(151)에, 페어링 요구를 송신한다. 페어링이 완료할 때까지, 장치간의 통신은, 시큐리티 매니저 프로토콜에 따라 실행되는 것으로 한다. 통신 장치(151)는, 페어링 요구를 수신하면, 통신 장치(151)에 설치된 표시부(도시되지 않음)에, 도 16a에 나타낸 예와 같은 개인식별번호(PIN)코드 표시 화면(1600)을 표시한다. PIN코드 표시 화면(1600)에는, PIN코드(1601)와, 페어링 처리를 캔슬하기 위한 캔슬 버튼(1602)이 표시된다. 그리고, 정보처리장치(101)는, 페어링 요구를 송신하면, 표시부(108)에, 도 16b에 나타낸 예와 같은 PIN코드 입력 화면(1610)을 표시한다. PIN코드 입력 화면(1310)에는, PIN코드 입력 영역(1611)과, OK버튼(1613)과, 캔슬버튼(1612)이 표시된다. PIN코드 입력 영역(1611)은, 유저로부터의 PIN코드(1601)의 입력을 접수하기 위한 영역이다. OK버튼(1613)은, 입력된 PIN코드(1601)를 통신 장치(151)에 송신하기 위한 버튼이다. 캔슬버튼(1612)은, 페어링 처리를 캔슬하기 위한 버튼이다. PIN코드 입력 영역(1611)에 PIN코드(1601)가 입력된 상태로, OK버튼(1613)이 눌리면, 정보처리장치(101)는, 입력된 PIN코드(1601)를 포함하는 정보를 통신 장치(151)에 송신한다. 통신 장치(151)는, 수신한 정보에 포함되는 PIN코드(1601)가 PIN코드 표시 화면(1600)에 표시한 PIN코드(1601)와 일치하는 것인가 아닌가를 판정하여, 일치한다고 판정했을 경우는, 정보처리장치(101)에 통신 장치(151)와의 페어링을 허가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통신 장치(151)는, PIN코드(1601)에 근거하여 소정의 방법으로 작성된 링크 키를, 블루투스 저 에너지 규격에 규정된 시큐리티 매니저 프로토콜(SMP)을 이용해서 정보처리장치(101)에 송신한다. 이렇게 하여, 링크 키는, 정보처리장치(101)에 설치된 기억 영역(ROM(104)등)과 통신 장치(151)에 설치된 기억 영역(ROM(152)등)에 각각 기억된다. 이에 따라 페어링이 완료하고, 이후, 장치간에 블루투스 저 에너지 통신을 실행하는 것이 허가된다. 정보처리장치(101)는, 페어링이 완료하면, PIN코드 표시 화면(1600)을 닫고 원래 표시된 화면을 다시 표시한다.
페어링 완료 후, 정보처리장치(101)는, 통신 장치(151)에 대하여 GATT통신 요구를 송신할 때는, 페어링 처리시에 기억 영역에 기억된 링크 키를 통신 장치(151)에 통지한다. 통신 장치(151)는, GATT통신 요구를 수신하면, 페어링 처리시에 기억 영역에 기억된 링크 키와 통신 장치(151)가 통지받은 링크 키를 비교하고, GATT통신 요구를 발신하고 있는 장치가, 이미 페어링된 장치인지를 확인한다. 그리고, 통신 장치(151)는, 이미 페어링된 장치라고 확인할 수 있었을 경우는, 정보처리장치(101)와의 GATT통신에 의한 정보의 판독 및 기록을 시작한다. 이러한 메카니즘으로 인해, 정보처리장치(101)는, 일단 통신 장치(151)와의 페어링 처리를 완료해 두면, 이후는 유저에 의한 PIN코드의 입력 필요 없이 통신 장치(151)와의 GATT통신을 실행할 수 있다. 상기 예에서는, 통신 시스템은, PIN코드 입력 영역(1611)에, PIN코드 표시 화면(1600)에 표시된 PIN코드(1601)를 유저에 입력시키도록 구성되는 것으로 하여 PIN코드(1601)의 취득을 설명했지만, 이 구성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통신 시스템은, PIN코드(1601)를 고정의 (유저가 임의로 변경할 수 없는) 정보로서 준비하고, 후술의 인쇄 애플리케이션의 인스톨과 함께 정보처리장치(101)에 기억하도록 구성되어도 좋다. 이 방법을 이용함으로써, 통신 시스템은, 유저의 입력 필요 없이 PIN코드(1601)가 통신 장치(151)에 통지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페어링 처리가 시작되는 타이밍도 상술한 구성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인쇄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유저가 인쇄를 지시한 타이밍이나, 후술하는 접속 설정 처리에 있어서 블루투스 저 에너지 접속이 행해지기 전의 타이밍이여도 좋다.
이하, 통신 장치(151)의 접속처인 액세스 포인트를 등록하는 처리(접속 설정 처리)에 대해서 설명한다. 정보처리장치(101)는, ROM(104)이나 외부 기억장치(106)등에 기억된 소정의 애플리케이션이 기동되는 동안에 접속 설정 처리를 행한다. 소정의 애플리케이션은, 통신 장치(151)의 접속처인 액세스 포인트를 설정하고, 통신 장치(151)에 정보처리장치(101)내의 화상 데이터나 문서 데이터 등을 인쇄시키기 위한 애플리케이션이며, 이후 인쇄용 애플리케이션이라고 한다. 또한, 인쇄용 애플리케이션은, 통신 장치(151)의 접속처인 액세스 포인트를 설정하는 기능이나 인쇄 기능이외에, 다른 기능을 갖추고 있어도 좋다. 예를 들면, 인쇄용 애플리케이션은, 통신 장치(151)가 스캔 기능을 갖추고 있는 경우에, 통신 장치(151)에 세트된 원고를 스캔시키는 기능이나, 통신 장치(151)의 다른 설정을 구성하는 기능, 통신 장치(151)의 상태를 확인하는 기능 등을 구비하고 있어도 좋다.
도 4는, 인쇄용 애플리케이션의 기동시에 표시부(108)에 표시된 화면의 일례를 나타낸다. 기동 화면(400)을 거쳐, 유저는, 원하는 화상의 인쇄나 통신 장치(151)의 설정 등, 통신 장치가 구비하는 기능을 이용할 수 있다. 정보처리장치(101)는, 프린트 버튼(401)의 누름을 검지하면, 통신 장치(151)에 인쇄를 실행시킨다. 스캔 버튼(402)의 누름을 검지하면, 정보처리장치(101)는 통신 장치(151)에 스캐닝을 실행시킨다. 프린터 셋업 버튼(403)의 누름을 검지하면, 정보처리장치(101)는 접속 설정 처리를 시작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통신 장치(151)에 대하여 접속 설정 처리를 행하기 위해서는, 통신 장치(151)를 접속 설정 모드에 이행시킬 필요가 있는 것으로 가정한다. 상기 접속 설정 모드는, 통신 장치(151)에 대하여 접속 모드를 설정할 경우에 통신 장치(151)에 설정된 모드이며, 통신 장치(151)가 구비하는 입력 인터페이스(도시되지 않음)에 대하여 유저로부터 소정의 입력이 행해졌을 경우 등에, 통신 장치(151)에 설정된다. 통신 장치(151)는, 접속 설정 모드일 경우, 근거리 무선통신부(157)를 통해 광고 정보의 송신을 시작한다. 통신 장치(151)가 광고 정보의 송신을 시작하는 타이밍은, 상술한 구성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통신 장치(151)의 전원이 온(on)이 된 타이밍이나, 블루투스 저 에너지 기능을 유효하게 하기 위한 소정의 조작이 행해진 타이밍 등이어도 좋다. 이 경우에, 통신 장치(151)에 대하여 접속 설정 처리를 행하기 위해서, 통신 장치(151)에 접속 설정 모드가 설정될 필요는 없다.
도 2는, 정보처리장치(101)가 행하는 접속 설정 처리의 흐름을 나타내는 흐름도다. 도 2에 나타낸 흐름도는, 예를 들면, CPU(103)가 ROM(104)이나 외부 기억장치(106)등에 기억된 프로그램을 RAM(105)에 판독해서 실행함에 의해 실현된다. 또한, 도 2의 흐름도가 나타낸 처리는, 정보처리장치(101)와 통신 장치(151)와의 사이에서 페어링이 완료하고 있는 상태로, 프린터 셋업 버튼(403)이 눌려졌을 경우에 시작되는 것으로 가정한다. 또한, 이때, 통신 장치(151)는, 접속 설정 모드에 이행하고 있는 것으로 가정한다.
우선, 단계 S201에서, CPU(103)는, 유저로부터 접속 설정 처리의 실행이 지시된 것을 검지하고, 광고 정보를 수신 가능한 상태인 스캐닝 상태가 된다.
다음에, 단계 S202에서는, CPU(103)는, 통신 장치(151)의 근거리 무선통신부(157)로부터 송신된 광고 정보를, 근거리 무선통신부(112)가 수신한 것인가 아닌가를 판정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CPU(103)는, 광고 정보를 근거리 무선통신부(112)가 수신한 것인가 아닌가와, 수신한 광고 정보에 통신 장치(151)를 나타내는 식별 정보가 포함된 것인가 아닌가를 판정한다. CPU(103)는, 광고 정보를 근거리 무선통신부(112)가 수신했다고 판정했을 경우(단계 S202에서 YES), 단계 S205의 처리에 진행된다. 한편, CPU(103)는, 광고 정보를 근거리 무선통신부(112)가 수신하지 않고 있다고 판정했을 경우(단계 S202에서 N0), 단계 S204의 처리에 진행된다. 단계 S204에서는, CPU(103)는, 접속 설정 처리를 시작하고 나서 소정의 시간이 경과했는가 아닌가(광고 정보의 수신이 타임아웃하고 있는가 아닌가)를 판정한다. CPU(103)는, 광고 정보의 수신이 타임아웃하지 않고 있다고 판정했을 경우(단계 S204에서 NO), 단계 S202의 처리에 다시 진행된다. 한편, CPU(103)는, 광고 정보의 수신이 타임아웃하고 있다고 판정했을 경우(단계 S204에서 YES), 처리를 종료한다. 이때, CPU(103)는, 광고 정보의 수신이 타임아웃하고 있다는 것을 유저에 통지하기 위한 화면을 표시부(108)에 표시해도 좋다.
단계 S205에서는, CPU(103)는, 수신한 광고 정보에 근거해 블루투스 저 에너지 접속을 확립하고, GATT통신의 시작 요구를 통신 장치(151)에 송신한다. GATT통신의 시작 요구가 통신 장치(151)에 접수할 때, 통신 장치(151)와 정보처리장치(101)간에 GATT통신이 시작된다. 이제, 블루투스 저 에너지 규격에 규정된 GATT통신에서는, 한쪽의 장치가 마스터, 또 한쪽의 장치가 슬레이브가 되는 것으로, 그 장치간의 쌍방향 통신을 가능하게 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통신 장치(151)가 슬레이브측이 되고, 정보처리장치(101)가 마스터측이 된다. 계속해서, 단계 S206에서는, CPU(103)는, 통신부(111)가 접속하고 있는 액세스 포인트(131)의 SSID를 정보처리장치(101)에 인스톨된 상기 OS로부터 취득한다. 통신부(111)가 접속하고 있는 액세스 포인트(131)에 대한 정보는, GATT통신이 시작되기 전에, 액세스 포인트(131)로부터 OS에 의해 취득된다. 통신부(111)가 접속하고 있는 액세스 포인트(131)에 대한 정보는, 예를 들면, 액세스 포인트(131)로부터 발행된 Wi-Fi규격에 따른 비콘으로부터 취득되어도 좋다. 또한, 액세스 포인트(131)에 대한 정보는, 해당 비콘을 취득하고 Wi-Fi접속을 확립한 후에, 액세스 포인트(131)에 문의해서 취득되어도 좋다. 통신부(111)가 접속하고 있는 액세스 포인트(131)에 대한 정보의 취득은, OS로부터 취득하는 구성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단계 S206에 있어서, CPU(103)는, 액세스 포인트(131)에 문의하여서 액세스 포인트(131)에 대한 정보를 취득해도 좋다.
계속해서, 단계 S207에서는, CPU(103)는, 단계 S206에서 OS로부터 취득한 SSID를 표시하고, 해당 SSID에 대응하는 액세스 포인트(본 예에서는, 액세스 포인트(131))를 이용하기 위한 패스워드의 입력 화면을 표시부(108)에 표시한다. 이때, 패스워드의 입력 화면으로서, 예를 들면 도 5에 나타낸 화면(500)이 표시된다. 단계 S208에서는, 정보처리장치(101)는, 액세스 포인트(131)를 이용하기 위한 패스워드의 입력을 유저로부터 접수한다. 이때, CPU(103)는, 입력부(501)에 유저에 의해 입력된 패스워드 정보를 취득한다.
계속해서, 단계 S209에서는, CPU(103)는, 액세스 포인트(131)를 통신 장치(151)의 접속처로서 등록하기 위한 접속 설정 정보를 GATT통신에 의해, 통신 장치(151)에 송신한다. 이 경우에, 접속 설정 정보에는, 단계 S206에서 취득한 액세스 포인트(131)의 SSID와, 단계 S208에서 취득한 패스워드, 및 통신 장치(151)의 접속 모드를 설정하기 위한 커맨드 등이 기억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통신 장치(151)의 접속 모드를 설정하기 위한 커맨드는, 통신 장치(151)에 인프라스트럭처 접속 모드를 설정하기 위한 커맨드다. 통신 장치(151)는, 접속 설정 정보를 수신하면, 액세스 포인트(131)와 접속한다. 이렇게, 정보처리장치(101) 및 통신 장치(151)가 동일한 액세스 포인트에 접속하는 것으로, 정보처리장치(101)와 통신 장치(151)는 인프라스트럭처 접속하여서, 무선LAN에 의해 고속통신을 실시한다. 그 때문에, 이후, 예를 들면, 정보처리장치(101)가 유저로부터 인쇄 잡의 송신 처리 등을 지시할 때, 이 지시에 의해 정보처리장치(101)와 통신 장치(151)간의 무선LAN통신이 실행된다. 계속해서, 단계 S210에서는, CPU(103)는, 통신 장치(151)와 정보처리장치(101)와의 사이의 GATT통신을 종료시키고 나서, 접속 설정 처리를 종료한다. 이때, 통신 장치(151)는, 이미 액세스 포인트(131)와 접속하고 있을 경우는, 액세스 포인트(131)와 접속하는 처리를 새롭게 실행할 필요는 없다. 다시 말해, 통신 장치(151)는, 어느 쪽의 액세스 포인트와도 접속하지 않고 있는 경우나, 액세스 포인트(131)이외의 액세스 포인트와 접속하고 있을 경우에, 액세스 포인트(131)와 접속하기 위한 처리를 실행해도 좋다.
이렇게, 본 실시예에서는, 정보처리장치(101)는, 통신 장치(151)의 접속처로서 등록하는 액세스 포인트(131)에 대한 정보를, 해당 액세스 포인트(131)와의 접속에 이용된 통신 방식이외의 통신 방식에 의해 통신 장치(151)에 송신한다. 이렇게 구성됨으로써, 정보처리장치(101)는, 액세스 포인트(131)와의 접속을 유지한 채, 통신 장치(151)와 인프라스트럭처 접속을 확립할 수 있다. 그 결과, 유저는, 정보처리장치(101)의 접속처를 변경하거나, 접속 설정 처리의 종료후에 접속처를 원래의 처에 설정하는 등의 번잡한 처리로 걱정하게 될 필요가 없어, 본 실시예는 접속 설정 처리시에 유저의 편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정보처리장치(101)는, 통신부(111)가 접속하고 있는 액세스 포인트(131)에 대한 정보를 통신 장치(151)에 송신하고, 통신 장치(151)에 해당 액세스 포인트(131)에 접속시켜서, 인프라스트럭처 접속을 확립한다. 이렇게, 정보처리장치(101)가 이미 접속하고 있는 액세스 포인트(131)를 인프라스트럭처 접속에 이용할 수 있음에 따라서, 정보처리장치(101)는 통신부(111)의 통신처를 바꾸지 않고 인프라스트럭처 접속을 확립할 수 있다. 또한, 통상, 유저는, 평소 이용하는 액세스 포인트에 정보처리장치(101)를 접속시키고 있고, 인프라스트럭처 접속에 있어서도 평소 이용된 액세스 포인트가 자주 이용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통신부(111)가 접속하고 있는 액세스 포인트를 사용해서 인프라스트럭처 접속하기 때문에, 적절한 액세스 포인트(유저가 평소 이용하는 액세스 포인트)를 사용해서 인프라스트럭처 접속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정보처리장치(101)는, 인프라스트럭처 접속에 사용하는 액세스 포인트를 유저에 선택시키는 등의 처리를 행할 필요가 없다. 이 때문에, 정보처리장치(101)는, 인프라스트럭처 접속에 부적절한 액세스 포인트의 유저의 부적절한 선택을 방지할 수 있거나 가능성이 적어서, 선택을 위한 번잡한 조작을 생략함으로써, 유저의 조작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다음에, 도 2에 나타낸 접속 설정 처리의 대상이 되는 통신 장치(151)가 실행하는 처리에 대해서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3은, 통신 장치(151)가 정보처리장치(101)로부터 접속 설정 처리된 경우에 통신 장치(151)가 행하는 처리의 흐름을 나타내는 흐름도다. 도 3에 나타낸 흐름도는, 예를 들면, CPU(154)가 ROM(152)이나 통신 장치(151)가 구비하는 외부 기억장치(도시되지 않음)등에 기억된 프로그램을 RAM(153)에 판독해서 실행하여서, 실현된다. 또한, 도 3의 흐름도에 나타낸 처리는, 정보처리장치(101)와 통신 장치(151)와의 사이에서 페어링이 완료하고 있는 상태로, 접속 설정 모드에 이행했을 경우에 시작되는 것으로 가정한다.
단계 S301에서는, CPU(154)는, 광고 정보를 근거리 무선통신부(157)에 의해 소정 시간이 경과할 때마다 브로드 캐스트 하는 상태인 광고 상태가 된다. 여기에서의 브로드 캐스팅은, 정보의 송신처를 특정하지 않고 소정의 범위내에 정보를 송신하는 것을 말한다. 또한, 이때, CPU(154)는, 광고 정보의 도달 범위를 한정하기 위해서, 소정의 강도로 광고 정보를 브로드 캐스트 한다. 이제, 블루투스 저 에너지 규격은, 작은 사이즈의 정보를 주위의 무선기기에 송신하는 기술이고, 정보의 최대 도달 거리는, 통신 장치(151)를 대략 중심으로 해서 30 내지 100m정도의 범위다. 이 때문에, 통신 장치(151)가 광고 정보를 송신할 때의 전파강도를 제한하지 않을 경우, 정보처리장치(101)는, 근방에 있는 통신 장치의 광고 정보뿐만 아니라, 먼 곳에 있는(유저가 이용할 가능성이 낮은) 통신 장치의 광고 정보도 헛되게 검지할 수도 있다. 또한, 통신 장치(151)는, 예를 들면, 통신 장치(151)가 접속 설정 처리를 허가하고 싶지 않은 정보처리장치에도 광고 정보를 무심코 도달시킬 수도 있다. 따라서, CPU(154)는, 도달 범위를 한정하기 위해서 소정의 강도로 광고 정보를 송신하므로, 통신 장치(151)의 근방에 있는 통신 정보처리장치만, 광고 정보를 검출하도록 허가할 수 있다.
계속해서, 단계 S302에서는, CPU(154)는, 근거리 무선통신부(157)가, 정보처리장치(101)로부터 GATT통신의 시작 요구를 접수한 것인가 아닌가를 판정한다. CPU(154)는, 근거리 무선통신부(157)가 GATT통신의 시작 요구를 접수했다고 판정했을 경우(단계 S302에서 YES), 단계 S304의 처리에 진행된다. 한편, CPU(154)는, 근거리 무선통신부(157)가 GATT통신의 시작 요구를 접수하지 않고 있다고 판정했을 경우(단계 S302에서 NO), 단계 S303의 처리에 진행된다. 단계 S303에서는, CPU(154)는, 통신 장치(151)의 전원이 오프(off)될 것인가 아닌가를 판정한다. 이때, CPU(154)는, 보다 구체적으로는, 통신 장치(151)가 구비하는 전원 버튼이 눌려져, 통신 장치(151)의 전원 오프 처리의 시작 지시가 내려졌는가 아닌가를 판정한다. CPU(154)는, 통신 장치(151)의 전원이 오프가 안된다고 판정했을 경우(단계 S303에서 NO), 단계 S302의 처리에 다시 진행된다. 한편, CPU(154)는, 통신 장치(151)의 전원이 오프가 된다고 판정했을 경우(단계 S303에서 YES), CPU(154)는 광고를 정지하고 처리를 종료한다. CPU(154)는, 단계 S303에서는, 접속 설정 모드의 종료 지시를 접수한 것인가 아닌가를 판정하고, 접속 설정 모드의 종료 지시를 접수했을 경우에 광고를 정지하고 처리를 종료해도 좋다.
단계 S304에서는, CPU(154)는, GATT통신을 행하기 위해서, 광고 정보의 송신을 일시적으로 정지한다.
계속해서, 단계 S305에서는, CPU(154)는, 근거리 무선통신부(157)에 의한 정보처리장치(101)와의 GATT통신을 시작시킨다. 이때, CPU(154)는, GATT통신을 행할 때는, 광고 정보의 송신시와 달리, 전파의 도달 범위를 한정하지 않는다. 이 때문에, GATT통신에 의한 통신 가능범위가 광고 정보의 도달 범위를 초과한다. 이것은, GATT통신이, 광고 정보의 도달 범위내에 액세스 가능하고, 통신 장치(151)가 자체를 접속 설정 처리되도록 허가할 수 있는 정보처리장치만으로 시작됨으로써, GATT통신이 시작된 상태가 시큐리티가 확보된 상태를 의미하기 때문이다. 상기 통신 가능 범위의 확장에 의해, 통신 장치(151)에 보다 가깝게 이동하고 광고 정보를 수신한 것에 의해 접속 설정 처리를 시작한 정보처리장치(101)는, 통신 장치(151)로부터 벗어날 때도, 정보처리장치(101)가 전파의 도달 범위내에 있으면, 접속 설정 처리를 계속할 수 있다.
계속해서, 단계 S306에서는, CPU(154)는, GATT통신을 거쳐, 통신 장치(151)의 접속처인 액세스 포인트(131)의 등록을 위한 접속 설정 정보(인프라스트럭처 접속 모드를 설정하기 위한 커맨드 등)을 수신한 것인가 아닌가를 판정한다. CPU(154)가 접속 설정 정보를 수신했다고 판정했을 경우(단계 S306에서 YES), 단계 S307의 처리에 진행된다. 한편, CPU(154)가 접속 설정 정보를 수신하지 않고 있다고 판정했을 경우(단계 S306에서 NO), 단계 S308의 처리에 진행된다. 단계 S308에서는, CPU(154)는, GATT통신을 시작하고 나서 소정의 시간이 경과했는가 아닌가(접속 설정 처리의 수신이 타임아웃하고 있는가)를 판정한다. CPU(154)는, 접속 설정 처리의 수신이 타임아웃하지 않고 있다고 판정했을 경우(단계 S308에서 NO), 단계 S306의 처리에 다시 진행된다. 한편, CPU(154)는, 접속 설정 처리의 수신이 타임아웃하고 있다고 판정했을 경우(단계 S308에서 YES), 단계 S309의 처리에 진행된다.
단계 S307에서는, CPU(154)는, 수신한 접속 설정 정보에 포함되는 인프라스트럭처 접속 모드를 설정하기 위한 커맨드를 적용하고, 인프라스트럭처 접속 모드에 이행한다. 이때, CPU(154)는, 접속 설정 정보에 기억된 SSID로 표시된 액세스 포인트(본 예에서는 액세스 포인트(131))를, 통신 장치(151)의 접속처로서 등록하는 처리를 행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CPU(154)는, 액세스 포인트(131)를, 통신부(156)를 통하여 인프라스트럭처 접속에 이용되는 액세스 포인트로서 RAM(153)에 설정한다. 또한, CPU(154)는, 액세스 포인트(131)를 이용하는데 필요한 패스워드를 등록한다. 이때, CPU(154)는, 지정된 액세스 포인트(131)와의 접속을 시도하고, 그 결과를 GATT통신으로 정보처리장치(101)에 통지해도 좋다. 한층 더, 정보처리장치(101)는, 통신 장치(151)로부터 액세스 포인트(131)와의 접속의 시도에 실패한 것의 통지를 접수했을 경우에는, 접속 설정 처리를 재개하도록 구성되어도 좋다. CPU(154)는, 적절하게 액세스 포인트(131)의 등록이 종료하면, 통신부(156)를 통해 액세스 포인트(131)와 접속하고, 무선LAN(Wi-Fi)으로 통신 가능한 상태에 설정된다. 이 결과, 액세스 포인트(131)를 통하여 정보처리장치(101)와 통신 장치(151)간의 인프라스트럭처 접속이 확립된다. 계속해서, 단계 S309에서는, CPU(154)는, 정보처리장치(101)와 통신 장치(151)간의 GATT통신을 종료시킨다. 그리고, 단계 S310에서는, CPU(154)는, 광고 정보의 송신을 재개한다.
이렇게, 본 실시예에 따른 통신 장치(151)는, 도달 범위를 한정하기 위해서 소정의 강도로 광고 정보를 송신한다. 이렇게 구성됨으로써, 통신 장치(151)는, 정보처리장치의 근방에 있고 유저가 이용할 가능성이 높은 통신 장치만을 접속 설정 처리의 대상으로 삼아서 정보처리장치(101)에 검출시킬 수 있어서, 유저의 편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이러한 구성은, 통신 장치(151)의 먼 곳에 있고, 통신 장치(151)가 접속 설정 처리되는데 부적절한 정보처리장치에, 광고 정보가 도달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거나 가능성이 낮아서, 통신 장치의 시큐리티를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통신 장치(151)는, 정보처리장치(101)와 통신 장치(151)간에 GATT통신을 행할 때, 전파의 도달 범위를 한정하지 않도록 구성됨으로써, 장치간의 거리가 변화될 때에도 통신을 유지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통신 장치(151)는, 통신 장치(151)가 전원이 온이면, 광고 정보를 소정 시간이 경과할 때마다 계속 송신하도록 구성되지만, 이 구성에 한정되지 않는다. 보다 구체적으로, 통신 장치(151)는, 유저가 광고 정보의 송신 시작 지시를 내리는데 이용 가능한 버튼 등을 구비하도록 구성됨과 아울러, GATT통신의 시작 요구를 접수하는 시간으로 타임아웃을 설정하도록 구성되어도 좋다. 이렇게 구성됨으로써, 통신 장치(151)는, 통신 장치(151)가 접속 설정 처리될 수 있는 시간을 소정의 시간내만으로 한정함으로써, 통신 장치(151)의 소비 전력을 절약할 수 있다.
상기 제1실시예에 있어서는, 통신 장치(151)의 접속처인 액세스 포인트(131)를, 통신 장치(151)에 등록하는 정보처리장치(101)의 예로서 설명했다.
예를 들면, 정보처리장치(101)가, 인프라스트럭처 접속으로서 접속된 통신 장치(151)에 대하여, 인쇄 잡의 송신 등의 통신을 행할 경우는, 통신처로서 통신 장치(151)를 정보처리장치(101)에 등록해야 한다. 이것은, 예를 들면, 인프라스트럭처 접속에 이용된 액세스 포인트(131)에, 복수의 통신 장치가 접속하고 있을 경우에, 정보처리장치(101)는, 통신을 시도하는 통신 장치(151)(통신처인 통신 장치)를 특정해야 하기 때문이다. 예를 들면, 도 4에 나타낸 것 같은 인쇄 애플리케이션의 기동 화면(400)에 있어서는, 통신처로서 등록된 통신 장치(151)의 이름이나 식별 정보가, 통신처 선택 버튼(404)에 표시된다. 그리고, 정보처리장치(101)는, 통신처 선택 버튼(404)에 표시된 통신 장치(151)와 통신할 수 있다.
따라서, 제2실시예에서는, 접속 설정 처리를 행했을 경우, 접속 설정 처리가 대상으로 삼은 통신 장치(151)를, 통신처로서 등록하는 정보처리장치(101)의 예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6은, 본 실시예에 따른 정보처리장치(101)가 행하는 접속 설정 처리의 흐름을 나타내는 흐름도다. 도 6에 나타낸 흐름도는, 예를 들면, CPU(103)가 ROM(104)이나 외부 기억장치(106)등에 기억된 프로그램을 RAM(105)에 판독해서 실행함으로써 실현된다. 또한, 도 6의 흐름도에 나타낸 처리는, 정보처리장치(101)와 통신 장치(151)와의 사이에서 페어링이 완료하고 있는 상태로, 프린터 셋업 버튼(403)이 눌렸을 경우에 시작되는 것으로 가정한다. 또한, 이때, 통신 장치(151)는, 접속 설정 모드에 이행하고 있는 것으로 가정한다.
단계S601∼단계S610의 처리는, 단계 S201∼단계 S210의 처리와 각각 같기 때문에, 여기서는 그 설명을 생략한다.
단계S611에서는, CPU(103)는, 단계S605에서 확립한 GATT통신에 의해, 네트워크 정보를 접속 설정 처리의 대상이 되는 통신 장치(151)로부터 취득한다. 네트워크 정보에는, 통신 장치(151)를, 액세스 포인트(131)를 통해 검출하기 위한 식별 정보(통신 장치(151)의 MAC어드레스 등)가 기억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통신 시스템이, 단계S611에서 취득된 네트워크 정보에 식별 정보가 기억되도록 구성되지만, 단계S602에서 취득된 광고 정보에, 식별 정보가 기억되도록 구성되어도 좋다. 또한, 통신 시스템은, 단계S605에 있어서 송신된 GATT통신의 시작 요구에 응답하여 통신 장치(151)로부터 송신된 레스폰스 데이터 등에, 식별 정보가 기억되도록 구성되어도 좋다.
단계S612에서는, CPU(103)는, 단계S611에서 취득한 네트워크 정보에 기억된 식별 정보에 근거하여 통신 장치(151)를 검출하여, 정보처리장치(101)의 통신처로서 등록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CPU(103)는, 정보처리장치(101)가 접속하고 있는 상기 접속된 네트워크에 있는 통신 장치에 대하여, 식별 정보를 보고하는 레스폰스의 요구를 브로드 캐스트 하고, 단계S611에서 취득한 식별 정보에 대응하는 레스폰스를 발행한 통신 장치를 검출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정보처리장치(101)는, 액세스 포인트(131)에 접속하고 있기 때문에, 액세스 포인트(131)를 통해서 접속된 통신 장치에 대하여 상기 요구를 브로드 캐스트 한다. 통신처의 등록으로 인해, 이후, 정보처리장치(101)는, 통신 장치(151)와 통신을 시작할 수 있다.
이렇게, 본 실시예에 따른 정보처리장치(101)는, 접속 설정 처리를 통신 장치(151)에 대하여 행하는 것에 따라, 접속 설정 처리가 대상으로 삼은 통신 장치(151)를 자신의 통신처로서도 등록한다. 이렇게 정보처리장치(101)를 구성하는 것에 의해, 정보처리장치(101)는 정보처리장치(101)의 통신처가 되는 통신 장치(151)의 검출 및 선택 등의 유저 조작을 생략할 수 있다. 이 때문에, 이 구성은, 정보처리장치(101)를 조작하는 유저가 행하는데 필요한 처리를 간략화함으로써, 유저의 편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술한 실시예들에 있어서는, 통신 장치(151)에 인프라스트럭처 접속 모드를 설정하고, 통신 장치(151)와 정보처리장치(101)간의 인프라스트럭처 접속을 확립하는 처리에 대해서 설명했다.
그렇지만, 예를 들면, 무선LAN라우터 등의 외부 액세스 포인트가 장치의 주위에 존재하지 않을 경우, 장치간에 인프라스트럭처 접속을 확립할 수는 없다. 이러한 경우에, 통신 장치(151) 및 정보처리장치(101)는, 다이렉트 접속에 의해 서로 통신을 행하는 것으로, 무선LAN라우터 등의 외부 액세스 포인트가 없을 때에도 장치간의 통신이 가능해진다.
이에 따라, 제3실시예에서는, 정보처리장치(101)가, 정보처리장치(101)의 네트워크 접속 상황을 판단하고, 통신 장치(151)에 대하여 접속 설정 처리를 행할 때에, 인프라스트럭처 접속 모드와 다이렉트 접속 모드 중 어느 하나를 설정하는 예로서 설명한다.
도 7(도 7a 및 7b를 포함)은, 본 실시예에 따른 정보처리장치(101)가 행하는 접속 설정 처리의 흐름을 나타내는 흐름도다. 도 7에 나타낸 흐름도는, 예를 들면, CPU(103)가 ROM(104)이나 외부 기억장치(106)등에 기억된 프로그램을 RAM(105)에 판독해서 실행함으로써 실현된다. 또한, 도 7의 흐름도에 나타낸 처리는, 정보처리장치(101)와 통신 장치(151)와의 사이에서 페어링이 완료하고 있는 상태에서, 프린터 셋업 버튼(403)이 눌렸을 경우에 시작되는 것으로 가정한다. 또한, 이때, 통신 장치(151)는, 접속 설정 모드에 이행하고 있는 것으로 가정한다.
단계 S701∼단계 S710의 처리는, 각각 단계 S201∼단계 S210의 처리와 같고, 단계 S711 및 S712의 처리는 각각 단계 S611 및 S612의 처리와 같다. 이 때문에, 여기서는 그에 대한 설명을 생략한다.
단계 S711에서는, 정보처리장치(101)는, 통신 장치(151)로부터 네트워크 정보를 취득하고, 본 실시예에서는, 네트워크 정보에는, 상술한 식별 정보뿐만 아니라, 통신 장치(151)와 직접 접속하기 위한 다이렉트 접속 정보도 기억되는 것으로 가정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다이렉트 접속 정보는, 예를 들면, 통신 장치(151)내에서 준비된 다이렉트 접속용의 액세스 포인트의 SSID와, 이 액세스 포인트에 접속하기 위한 패스워드다.
단계 S713에서는, CPU(103)는, 정보처리장치(101)의 네트워크 접속 상황을 판정하고, 통신 장치(151)에 다이렉트 접속 모드를 설정할 것인가 아닌가를 판정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우선, CPU(103)는, 단계 S706에서, 정보처리장치(101)에 인스톨되어 있는 OS로부터, 통신부(111)가 접속하고 있는 액세스 포인트의 SSID를 취득할 수 있는가 아닌가를 판정한다. 단계 S706에서는, CPU(103)는, 통신부(111)가 액세스 포인트에 접속하고 있을 경우에는, 그 OS로부터 이 액세스 포인트의 SSID명을 취득할 수 있다. 한편, CPU(103)는, 통신부(111)가 액세스 포인트에 접속하지 않고 있을 경우는, OS로부터, 통신부(111)가 액세스 포인트와 접속하지 않고 있는 것을 가리키는 정보를 취득한다. 그 때문에, CPU(103)는, OS로부터 취득된 정보에 근거하여, 통신부(111)가 액세스 포인트에 접속하고 있는 것인가 아닌가를 판정할 수 있다.
그 후, 통신부(111)가 액세스 포인트를 통해 네트워크에 접속하고 있을 경우는, 통신 장치(151)도 같은 액세스 포인트에 접속하고, 장치간에 인프라스트럭처 접속을 확립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것은, 보통, 다이렉트 접속에서는 무선LAN에 의한 인터넷 통신이 불가능한 한편, 인프라스트럭처 접속에서는 무선LAN에 의한 인터넷 통신이 가능하기 때문이다. 한편, 통신부(111)가 액세스 포인트와 접속하지 않고 있을 경우는, 장치의 주위에 외부 액세스 포인트가 존재하지 않을 가능성이 높아서, 장치간에 다이렉트 접속을 확립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CPU(103)는, OS로부터 액세스 포인트의 SSID명을 취득할 수 있었을 경우는, 인프라스트럭처 접속 모드를 통신 장치(151)에 설정한다고 판정하고 나서(단계 S713에서 NO), 단계 S707의 처리에 진행된다. 한편, CPU(103)는, OS로부터 액세스 포인트의 SSID명을 취득할 수 없었을 경우는, 다이렉트 접속 모드를 통신 장치(151)에 설정한다고 판정하고 나서(단계 S713에서 YES), 단계 S715의 처리에 진행된다.
단계 S714에서는, CPU(103)는, 통신 장치(151)에 인프라스트럭처 접속 모드를 설정하기 위한 정보를, 단계 S709에서 송신하는 접속 설정 정보에 기억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CPU(103)는, 통신부(111)가 현재 접속하고 있는 액세스 포인트의 SSID와 패스워드, 및 통신 장치(151)를 인프라스트럭처 접속 모드에 설정하기 위한(통신 장치(151)에 대해 통신부(111)가 현재 접속하고 있는 액세스 포인트에 접속시키기 위한) 커맨드 등을 기억한다.
단계 S715에서는, CPU(103)는, 통신 장치(151)에 다이렉트 접속 모드를 설정하기 위한 정보를, 단계 S709에서 송신하는 접속 설정 정보에 기억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CPU(103)는, 통신 장치(151)를 다이렉트 접속 모드에 설정하기 위한(통신 장치(151)내의 액세스 포인트를 유효하게 하기 위한) 커맨드 등을 기억한다.
단계 S709에서는, CPU(103)는 단계 S714 또는 S715에서 설정한 접속 설정 정보를 GATT통신으로 통신 장치(151)에 송신한다. 이에 따라, 통신 장치(151)에는, 접속 설정 정보에 기억된 내용에 따라, 인프라스트럭처 접속 모드와 다이렉트 접속 모드 중 어느 하나의 접속 모드가 설정된다. 이때, 보다 구체적으로는, 인프라스트럭처 접속 모드가 설정될 경우는, 단계 S307에서 설명한 처리가 실행되고, 다이렉트 접속 모드가 설정될 경우는, 통신 장치(151)내의 액세스 포인트가 유효하게 설정된다.
단계 S716에서는, CPU(103)는, 통신 장치(151)를 다이렉트 접속 모드에 설정한 것인가 아닌가를 판정한다. CPU(103)는, 다이렉트 접속 모드에 설정하지 않고 있는(즉, 인프라스트럭처 접속 모드에 설정한) 경우에는(단계 S716에서 NO), 단계 S712의 처리에 진행된다. 한편, CPU(103)는, 통신 장치(151)를 다이렉트 접속 모드에 설정했다고 판정한 경우에는(단계 S716에서 YES), 단계 S717의 처리에 진행된다.
단계 S717에서는, CPU(103)는, 단계 S711에서 취득한 네트워크 정보에 기억된, 통신 장치(151)내의 액세스 포인트의 SSID와 패스워드에 근거하여, 정보처리장치(101)의 접속처로서, 통신 장치(151)내의 액세스 포인트를 설정한다. 이 접속은, 통신부(111)를 통해 무선LAN통신 방식에 의해 행해진다. 이 접속에 의해, 정보처리장치(101)와 통신 장치(151)는 피어(peer) 투 피어 접속으로서 서로 접속시킬 수 있어서, 외부 액세스 포인트가 정보처리장치(101)와 통신 장치(151)의 주위에 존재하지 않는 환경하에서도, 장치간에 통신이 가능해진다. CPU(103)는, 정보처리장치(101)의 통신처의 등록이 완료한 후, 단계 S712의 처리에 진행된다.
이렇게, 본 실시예에 따른 정보처리장치(101)는, 정보처리장치(101)의 네트워크 접속 상황에 적합한 인프라스트럭처 접속 모드와 다이렉트 접속 모드 중 한쪽의 접속 모드를 통신 장치(151)에 설정할 수 있다. 이 때문에, 정보처리장치(101)를 사용하는 유저가 정보처리장치(101)의 네트워크 접속 상황을 의식할 필요 없이, 적절한 접속 모드가 자동으로 설정되기 때문에, 정보처리장치를 조작하는 유저가 행하는데 필요한 처리를 간략화하여서, 유저의 편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다이렉트 접속은, 통신 장치(151)내의 액세스 포인트에 정보처리장치(101)를 접속하는 접속으로 가정했지만, 이것에는 한정되지 않고, 정보처리장치(101)와 통신 장치(151)가 상기 피어 투 피어 접속으로서 서로 접속하는 한 어떠한 접속이어도 좋다. 달리 말하면, 정보처리장치(101)는, 애드 혹(ad hoc) 모드에 의한 무선 근거리 통신망(WLAN) 접속이나 블루투스에 의한 접속 등, 통신 장치(151)내의 액세스 포인트를 거치지 않고 피어 투 피어 접속으로서 접속해도 좋다. 또한, 다이렉트 접속을 위한 통신 방식으로서, Wi-Fi다이렉트등이 이용되어도 좋다.
상술한 실시예들에서는, 정보처리장치(101)는, 통신부(111)가 접속하고 있는 액세스 포인트(131)에 대한 정보를 통신 장치(151)에 제시하여서 인프라스트럭처 접속을 확립시켰다. 그렇지만, 예를 들면, 통신부(111)가 접속하고 있는 액세스 포인트(131)가, 통신 장치(151)의 통신 범위외에 있거나, 통신 장치(151)가 지원하지 않는 주파수를 사용하여 통신을 행하기 위해 설계된 액세스 포인트이어도 된다. 이러한 경우에, 정보처리장치(101)는, 통신 장치(151)와의 인프라스트럭처 접속을 확립시킬 수 없다. 따라서, 제4실시예는, 보다 확실하게 인프라스트럭처 접속을 확립시킬 수 있는 통신 시스템으로서 설명한다.
도 11은, 본 실시예에 따른 정보처리장치(101)가 행하는 접속 설정 처리의 흐름을 나타내는 흐름도다. 도 11에 나타낸 흐름도는, 예를 들면, CPU(103)가 ROM(104)이나 외부 기억장치(106)등에 기억된 프로그램을 RAM(105)에 판독해서 실행함으로써 실현된다. 또한, 도 11의 흐름도에 나타낸 처리는, 정보처리장치(101)와 통신 장치(151)와의 사이에서 페어링이 완료하고 있는 상태로, 프린터 셋업 버튼(403)이 눌렸을 경우에 시작되는 것으로 가정한다. 또한, 이때, 통신 장치(151)는, 접속 설정 모드에 이행하고 있는 것으로 가정한다.
단계 S1101∼단계 S1112의 처리는, 각각 단계 S601∼단계 S612의 처리와 같기 때문에, 여기서는 그에 대한 설명을 생략한다.
단계 S1113에서는, CPU(103)는, 단계 S1105에서 확립한 GATT통신에 의해, 통신 장치(151)로부터, 통신부(156)가 접속 가능한 액세스 포인트의 일람(일람을 가리키는 정보)을 취득한다(일람 취득).
단계 S1114에서는, CPU(103)는, 단계 S1113에서 취득한, 통신부(156)가 접속 가능한 액세스 포인트의 일람중에, 단계 S1106에서 취득한, 통신부(111)가 접속하고 있는 액세스 포인트(131)가 있는 것인가 아닌가를 판정한다. CPU(103)는, 통신부(111)가 접속하고 있는 액세스 포인트(131)가 있다고 판정했을 경우(단계 S1114에서 YES), 단계 S1107의 처리에 진행된다. 단계 S1107에서는, CPU(103)는, 통신부(111)가 접속하고 있는 액세스 포인트(131)에 대한 정보를 통신 장치(151)에 송신한다. 한편, CPU(103)는, 통신부(111)가 접속하고 있는 액세스 포인트(131)가 없다고 판정했을 경우(단계 S1114에서 NO), 단계 S1115의 처리에 진행된다.
단계 S1115에서는, CPU(103)는, 단계 S1113에서 통신 장치(151)로부터 취득한, 통신부(156)가 접속 가능한 액세스 포인트의 일람을 표시부(108)에 표시하고, 그 일람에서 어느 하나의 액세스 포인트의 선택을 유저로부터 접수한다.
단계 S1116에서는, CPU(103)는, 단계 S1115에서 선택된 액세스 포인트의 SSID를 표시하고, 이 SSID에 대응하는 액세스 포인트를 이용하기 위한 패스워드의 입력 화면을 표시부(108)에 표시한다. 이때, 패스워드의 입력 화면으로서, 예를 들면 도 5에 나타낸 화면(500)이 표시된다.
단계 S1117에서는, 정보처리장치(101)가 단계 S1115에서 선택된 액세스 포인트를 이용하기 위한 패스워드의 입력을 유저로부터 접수한다. 이때, CPU(103)는, 입력부(501)에 유저에 의해 입력된 패스워드 정보를 취득한다.
단계 S1118에서는, CPU(103)는, 통신 장치(151)의 접속처로서 단계 S1115에서 선택된 액세스 포인트를 등록하기 위한 접속 설정 정보를, 상기 GATT통신에 의해 상기 통신 장치(151)에 송신한다.
단계 S1119에서는, 상기 통신 장치(151)와 정보처리장치(101)간의 GATT통신을 종료시킨다.
단계 S1120에서는, CPU(103)는, 통신부(111)의 접속처를, 단계 S1115에서 선택된 액세스 포인트로 전환시킨다.
단계 S1121에서는, CPU(103)는, 단계 S1111에서 취득한 네트워크 정보에 기억된 식별 정보에 근거하여, 통신 장치(151)를 검출하고, 검출한 통신 장치(151)를 정보처리장치(101)의 통신처로서 등록한다.
단계 S1107에서는, CPU(103)는, 단계 S1106에서 OS로부터 취득한 SSID를 표시하고, 이 SSID에 대응하는 액세스 포인트를 사용할 것인가 아닌가를 유저에 확인하기 위한 화면을 표시부(108)에 표시해도 좋다. 그리고, CPU(103)는, 이 확인 화면에 대하여, 이 SSID에 대응하는 액세스 포인트(131)를 사용하는 의도가 입력되는 경우에, 패스워드의 입력 화면을 표시부(108)에 표시해도 좋다. 한편, CPU(103)는, 이 확인 화면에 대하여, 이 SSID에 대응하는 액세스 포인트(131)를 사용하는 의도가 입력되지 않은 경우에는, 단계 S1115의 처리에 진행되고, 유저에 의해 선택된 액세스 포인트를 사용해서 접속 설정을 행해도 좋다.
다음에, 도 11에 나타낸 접속 설정 처리의 대상이 되는 통신 장치(151)가 실행하는 처리에 대해서 도 12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2는, 정보처리장치(101)로부터 통신 장치(151)에 대해 접속 설정 처리가 행해지는 경우에 통신 장치(151)가 행하는 처리의 흐름을 나타내는 흐름도다. 도 12에 나타낸 흐름도는, 예를 들면, CPU(154)가 ROM(152)이나 통신 장치(151)가 구비하는 외부 기억장치(도시되지 않음)등에 기억된 프로그램을 RAM(153)에 판독해서 실행함으로써 실현된다. 또한, 도 12의 흐름도에 나타낸 처리는, 정보처리장치(101)와 통신 장치(151)와의 사이에서 페어링이 완료하고 있는 상태로, 접속 설정 모드에 이행하는 경우에 시작되는 것으로 가정한다.
단계 S1201∼단계 S1210의 처리는, 단계 S301∼단계 S310의 처리와 각각 같기 때문에, 여기서는 그에 대한 설명을 생략한다.
단계 S1211에서는, CPU(154)는, 단계 S1205에서 확립한 GATT통신에 의해, 정보처리장치(101)에, 통신부(156)가 접속 가능한 액세스 포인트의 일람을 송신한다. 통신부(156)가 접속 가능한 액세스 포인트의 일람은, 통신 장치(151)내의 OS에 문의하는 것으로 취득될 수 있다.
이렇게, 본 실시예에서는, 정보처리장치(101)는, 통신부(156)가 접속 가능한 액세스 포인트의 일람에서, 통신부(111)가 접속하고 있는 액세스 포인트가 없을 경우에는, 일람에서 액세스 포인트를 유저에 선택시킨다. 그리고, 선택된 액세스 포인트를 사용하여 인프라스트럭처 접속을 확립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이렇게 정보처리장치(101)를 구성하는 것은, 통신 장치(151)가 접속할 수 없는 액세스 포인트를 무심코 인프라스트럭처 접속에 이용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보다 확실하게 인프라스트럭처 접속을 확립할 수 있다. 그렇지만, 본 실시예는 이 구성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통신부(156)가 접속 가능한 액세스 포인트의 일람에서, 통신부(111)가 접속하고 있는 액세스 포인트가 없을 경우에는, CPU(103)는, 통신 장치(151)에 다이렉트 접속 모드를 설정해도 좋다. 또한, 접속 설정 처리의 트리거에 응답해서 상기 처리를 전환하여도 좋다. 이 경우, 접속 설정 처리의 트리거가, 유저로부터 인프라스트럭처 접속 모드의 설정 지시를 접수한 것이었을 경우에는, CPU(103)는, 일람에서 통신부(111)가 접속하고 있는 액세스 포인트(131)가 없을 경우에도 인프라스트럭처 접속 모드를 설정한다. 한편, 접속 설정 처리의 트리거가, 정보처리장치(101)의 접속 상태에 따라 접속 모드를 설정하는 자동 설정 지시이었을 경우에는, CPU(103)는, 일람에서 통신부(111)가 접속하고 있는 액세스 포인트(131)가 없을 경우에는, 다이렉트 접속 모드를 설정한다.
제4실시예에서는, 정보처리장치(101)는, 통신 장치(151)에 보유된 통신부(156)가 접속 가능한 액세스 포인트의 일람을 취득하였다. 그렇지만, 예를 들면, 취득된 일람이 오래된 정보일 경우에는, 정보처리장치(101)가 접속 설정 처리를 행하는 타이밍에서는, 일람에 포함된 일부의 액세스 포인트의 전원이 이미 오프가 되는 경우가 있다. 이러한 경우에, CPU(103)는, 통신부(156)가 접속 가능한 액세스 포인트의 일람에서, 통신부(111)가 접속하고 있는 액세스 포인트(131)가 있는 것인가 아닌가를 정확하게 판정할 수 없는 경우가 있다. 따라서, 제5실시예는, 보다 확실하게 인프라스트럭처 접속을 확립할 수 있는 통신 시스템으로서 설명한다.
도 13은, 본 실시예에 따른 정보처리장치(101)가 행하는 접속 설정 처리의 흐름을 나타내는 흐름도다. 도 13에 나타낸 흐름도는, 예를 들면, CPU(103)가 ROM(104)이나 외부 기억장치(106)등에 기억된 프로그램을 RAM(105)에 판독해서 실행함으로써 실현된다. 또한, 도 13의 흐름도에 나타낸 처리는, 정보처리장치(101)와 통신 장치(151)와의 사이에서 페어링이 완료하고 있는 상태로, 프린터 셋업 버튼(403)이 눌렸을 경우에 시작되는 것으로 가정한다. 또한, 이때, 통신 장치(151)는, 접속 설정 모드에 이행하고 있는 것으로 가정한다. 단계 S1301∼단계 S1321의 처리는, 단계 S1101∼단계 S1121의 처리와 각각 같기 때문에, 여기서는 그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단계 S1322에서는, CPU(103)는, 수신한 광고 정보에 근거해서 블루투스 저 에너지 접속을 확립하고, 통신부(156)가 접속 가능한 외부 액세스 포인트의 일람을, 근거리 무선통신부(112)를 통한 GATT통신에 의해, 통신 장치(151)에 대하여 요구한다. 이때 요구된 일람은, 통신부(156)가 접속 가능한 외부 액세스 포인트를 식별하기 위한 정보의 일람이며, 외부 액세스 포인트를 식별하기 위한 정보는, 예를 들면, 상기 SSID다.
이제, 단계 S1322의 처리의 내용을 도 14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4는, 단계 S1322의 처리의 흐름을 나타내는 흐름도다. 도 14에 나타낸 흐름도는, 예를 들면, CPU(103)가 ROM(104)이나 외부 기억장치(106)등에 기억된 프로그램을 RAM(105)에 판독해서 실행함으로써 실현된다.
단계 S1401에서는, CPU(103)는, 수신한 광고 정보에 근거하여, GATT통신의 시작 요구를 통신 장치(151)에 송신한다. GATT통신의 시작 요구가 통신 장치(151)에 의해 접수될 때, 이 접수에 의해 통신 장치(151)와 정보처리장치(101)간에 GATT통신이 시작된다.
단계 S1402에서는, CPU(103)는, 통신부(156)가 접속 가능한 외부 액세스 포인트의 일람의 갱신 지시를, 근거리 무선통신부(112)를 통한 GATT통신에 의해, 통신 장치(151)에 대하여 송신한다(지시 송신). 계속해서, 단계 S1403에서는, CPU(103)는, 통신 장치(151)와 정보처리장치(101)와의 사이의 블루투스 저 에너지 접속을 종료(절단)하고, GATT통신을 종료시킨다. 통신 장치(151)와 정보처리장치(101)와의 사이의 블루투스 저 에너지 접속이 종료되면, 근거리 무선통신부(112)는, 광고 정보를 수신 가능한 상태인 스캐닝 상태가 된다.
통신 장치(151)에 있어서, 통신부(156)가 접속 가능한 외부 액세스 포인트의 일람의 갱신이 성공(완료)했을 경우, 이 성공을 나타내는 광고 정보(신호)가, 근거리 무선통신부(157)로부터 송신된다. 따라서, 단계 S1404에서는, CPU(103)는, 통신부(156)가 접속 가능한 외부 액세스 포인트의 일람의 갱신이 성공(완료)한 것을 나타내는 광고 정보(신호)를, 근거리 무선통신부(112)가 수신한(신호 수신한) 것인가 아닌가를 판정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CPU(103)는, 광고 정보를 근거리 무선통신부(112)가 수신한 것인가 아닌가와, 수신한 광고 정보에 통신 장치(151)를 나타내는 식별 정보 및 일람의 갱신이 성공한 것을 나타내는 정보가 포함되는 것인가 아닌가를 판정한다. CPU(103)는, 통신부(156)가 접속 가능한 외부 액세스 포인트의 일람의 갱신이 성공한 것을 나타내는 광고 정보를 근거리 무선통신부(112)가 수신했다고 판정했을 경우(단계 S1404에서 YES), 단계 S1406의 처리에 진행된다. 한편, CPU(103)는, 통신부(156)가 접속 가능한 외부 액세스 포인트의 일람의 성공이 완료한 것을 나타내는 광고 정보를 근거리 무선통신부(112)가 수신하지 않았다고 판정했을 경우(단계 S1404에서 NO), 단계 S1405의 처리에 진행된다. CPU(103)는, 단계 S1405에서는, 액세스 포인트의 일람의 갱신 지시를 송신하고 나서 소정의 시간이 경과했는가(이 갱신 지시가 타임아웃 되었는가) 아닌가를 판정한다. CPU(103)는, 그 갱신 지시가 타임아웃 하지 않고 있다고 판정했을 경우(단계 S1405에서 NO), 단계 S1404의 처리에 다시 진행된다. 한편, CPU(103)는, 그 갱신 지시가 타임아웃 되었다고 판정했을 경우(단계 S1405에서 YES), 단계 S1407의 처리에 진행되고 나서, 처리를 종료한다. 이때, CPU(103)는, 갱신 지시가 타임아웃된 것을 유저에 통지하기 위해 표시부(108)에 화면을 표시해도 좋다.
단계 S1406에서는, CPU(103)는, 통신부(156)가 접속 가능한 외부 액세스 포인트의 일람의 갱신이 성공한 것을 나타내는 판정 정보를, RAM(105)에 기억한다. 한편, 단계 S1407에서는, CPU(103)는, 통신부(156)가 접속 가능한 외부 액세스 포인트의 일람의 갱신이 실패한 것을 나타내는 판정 정보를, RAM(105)에 기억한다. 이것들의 판정 정보는, 후술할 판정 처리에 있어서 이용된다.
계속해서, 도 13에 나타낸 흐름도의 처리에 되돌아간다. 단계 S1323에서는, CPU(103)는, 통신부(156)가 접속 가능한 외부 액세스 포인트의 일람의 요구가 성공한 것인가 아닌가를 판정한다. 이때, CPU(103)는, 단계 S1322에서 RAM(105)에 보유된 판정 정보를 판독해서 판정을 행한다. CPU(103)는, 갱신이 성공했다고 판정했을 경우는(단계 S1323에서 YES), 단계 S1305의 처리에 진행된다. 이때, 통신 장치(151)와 정보처리장치(101)와의 사이의 블루투스 저 에너지 접속이 종료(절단)되어 있는 것은, CPU(103)가 단계 S1305에서, 블루투스 저 에너지 접속을 재확립하는 것을 의미한다(재확립). 한편, CPU(103)는, 갱신이 실패했다고 판단했을 경우는(단계 S1323에서 NO), 처리를 종료한다.
단계 S1324에서는, CPU(103)는, 단계 S1305에서 시작한 GATT통신에 의해, 접속 설정의 시작 지시를 통신 장치(151)에 송신한다.
다음에, 도 13에 나타낸 접속 설정 처리의 대상이 되는 통신 장치(151)가 실행하는 처리에 대해서, 도 15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5는, 통신 장치(151)에 대해 정보처리장치(101)로부터 접속 설정 처리가 행해지는 경우에 통신 장치(151)가 행하는 처리의 흐름을 나타내는 흐름도다. 도 15에 나타낸 흐름도는, 예를 들면, CPU(154)가 ROM(152)이나 통신 장치(151)가 구비하는 외부 기억장치(도시되지 않음)등에 기억된 프로그램을 RAM(153)에 판독해서 실행함으로써 실현된다. 또한, 도 15의 흐름도에 나타낸 처리는, 통신 장치(151)가 정보처리장치(101)와 통신 장치(151)와의 사이에서 페어링이 완료하고 있는 상태로, 접속 설정 모드에 이행했을 경우에 시작되는 것으로 가정한다. 단계 S1501∼단계 S1511의 처리는, 단계 S1201∼단계 S1211의 처리와 각각 같기 때문에, 여기서는 그에 대한 설명을 생략한다.
단계 S1512에서는, CPU(154)는, 단계 S1505에서 시작한 GATT통신에 의해 정보처리장치(101)로부터 수신된 지시의 내용을 판정한다. 본 예에서는, CPU(154)는, 수신한 지시가, 액세스 포인트의 일람의 갱신 지시와, 접속 설정의 시작 지시 중 어느 하나의 지시인지를 판정하는 것으로 가정한다. CPU(154)는, 접속 설정의 시작 지시를 수신했다고 판정했을 경우(단계 S1512에서 YES), 단계 S1511의 처리에 진행된다. 한편, CPU(154)는, 액세스 포인트의 일람의 갱신 지시를 수신했다고 판정했을 경우는(단계 S1512에서 NO), 단계 S1513의 처리에 진행된다. 단계 S1513에서는, CPU(154)는, 통신 장치(151)와 정보처리장치(101)와의 사이의 블루투스 저 에너지 접속을 종료하여서, GATT통신을 종료시킨다. 통신 장치(151)와 정보처리장치(101)와의 사이의 블루투스 저 에너지 접속이 종료되면, 근거리 무선통신부(157)는, 광고를 재개한다. 이 재개에 의해, 근거리 무선통신부(157)는, 통신부(156)가 접속 가능한 액세스 포인트의 일람의 갱신이 행해지고 있는 동안에, 정보처리장치(101)이외의 장치에도, 광고 정보를 검출시킬 수 있다. 통신 장치(151)는, 통신 장치(151)가 정보처리장치(101)이외의 장치로부터 처리의 인터럽트를 접수하지 않도록, 이때 송신된 광고 정보에 따라서는, 상기 통신 장치(151)와 정보처리장치(101)이외의 장치와의 사이에서 블루투스 저 에너지 접속이 확립되지 않도록 구성되어도 좋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통신 장치(151)는, 광고 정보의 송신뿐 유효하게 하고, 접속 요구의 수신을 무효로 해도 좋다. 또한, 통신 장치(151)는, 통신 장치(151)와 정보처리장치(101)와의 사이의 블루투스 저 에너지 접속이 종료된 후에도, 광고를 재개하지 않도록 구성되어도 좋다. 이 경우, 통신 장치(151)는, 액세스 포인트의 일람의 갱신이 행해지고 있는 동안에, 정보처리장치(101)이외의 장치에도 광고 정보를 검출시킬 수는 없게 되지만, 근거리 무선통신부(157)의 소비 전력을 절약할 수 있다.
단계 S1514에서는, CPU(154)는, 통신부(156)가 접속 가능한 액세스 포인트를 검출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이때, CPU(154)는, 통신부(156)에 의해, 액세스 포인트로부터 발행된 비콘을 검출한다. CPU(154)는, 비콘을 검출하면, 이 비콘에 포함된 액세스 포인트의 기기명이나 SSID등, 액세스 포인트를 식별 가능한 정보를 순차로 RAM(153)에 기억한다. 이렇게 동작함으로써, CPU(154)는, 통신부(156)가 접속 가능한 액세스 포인트의 일람의 갱신을 행한다.
단계 S1515에서는, CPU(154)는, 단계 S1514에서의 액세스 포인트의 일람의 갱신이 성공한 것인가 아닌가를 판정한다. 예를 들면, 통신 장치(151) 주위에 접속 가능한 액세스 포인트가 없고 비콘을 검출하지 않았을 경우에, CPU(154)는, 갱신이 실패했다고 판정하고 나서(단계 S1515에서 NO), 단계 S1510의 처리에 진행된다. 단계 S1510에서는, CPU(154)는, 통신부(156)가 접속 가능한 외부 액세스 포인트의 일람의 갱신이 실패한 것을 나타내는 정보를 기억하는 광고 정보의 송신을 재개해도 좋다.
한편, CPU(154)는, 갱신이 성공했다고 판정했을 경우는(단계 S1515에서 YES), 단계 S1516의 처리에 진행된다. 단계 S1516에서는, CPU(154)는, 이후에 송신하는 광고 정보의 내용을, 갱신 성공 상태에 설정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CPU(154)는, 이후에 송신할 광고 정보에, 통신부(156)가 접속 가능한 외부 액세스 포인트의 일람의 갱신이 성공한 것을 나타내는 정보를 기억한다. 그리고, 단계 S1510에서는, CPU(154)는, 갱신 성공 상태로 설정된 광고 정보의 송신을 재개한다.
이렇게, 본 실시예에서는, 정보처리장치(101)가 접속 설정 처리를 행하는 타이밍에서, 통신부(156)가 접속 가능한 액세스 포인트의 일람을 최신의 상태로 갱신할 수 있다. 이렇게 통신 시스템을 구성하는 것은, 접속 설정 처리를 행하는 타이밍에서, 통신부(156)가 접속할 수 없는 액세스 포인트를 일람에 추가하는 것을 방지하거나 추가할 가능성이 낮을 수 있다. 이 때문에, 정보처리장치(101)는, 보다 확실하게 통신 장치(151)와의 인프라스트럭처 접속을 확립할 수 있다.
제6실시예에서는, 정보처리장치(101)가 접속 설정 정보를 송신한 후, 통신 장치(151)로부터, 접속 설정의 성공 또는 실패에 관한 통지를 접수하는 구성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17은, 본 실시예에 따른 정보처리장치(101)가 행하는 접속 설정 처리의 흐름을 나타내는 흐름도다. 도 17에 나타낸 흐름도는, 예를 들면, CPU(103)가 ROM(104)이나 외부 기억장치(106)등에 기억된 프로그램을 RAM(105)에 판독해서 실행함으로써 실현된다. 또한, 도 17의 흐름도에 나타낸 처리는, 정보처리장치(101)와 통신 장치(151)와의 사이에서 페어링이 완료하고 있는 상태로, 프린터 셋업 버튼(403)이 눌렸을 경우에 시작되는 것으로 가정한다. 또한, 이때, 통신 장치(151)는, 접속 설정 모드에 이행하고 있는 것으로 가정한다. 단계 S1701∼단계 S1724의 처리는, 단계 S1301∼단계 S1324의 처리와 각각 같기 때문에, 여기서는 그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단계 S1709에서 접속 설정 정보를 송신한 후, CPU(103)는, 단계 S1725에서는, 송신한 접속 설정 정보를 사용하여 통신 장치(151)의 접속 설정이 성공한 것인가 아닌가를 판정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이때, 우선, CPU(103)는, 통신 장치(151)로부터, 접속 설정의 성공이나 실패에 관한 통지를 접수하는 것을 기다린다. 그리고, CPU(103)는, 이 통지를 접수한(성공 또는 실패를 통지한) 경우, 이 통지의 내용을 해석하고, 통신 장치(151)의 접속 설정이 성공한 것인가 아닌가를 판정한다.
통신 장치(151)의 접속 설정이 실패했을 경우(단계 S1725에서 NO), 단계 S1726의 처리에 진행된다. 단계 S1726에서는, CPU(103)는, 통신 장치(151)의 접속 설정을 리트라이 할 것인가 아닌가를 유저에 확인하기 위한 화면을, 표시부(108)에 표시한다. 그리고, CPU(103)는, 이 화면에 대한 유저의 입력에 근거하여, 통신 장치(151)의 접속 설정을 리트라이 할 것인가 아닌가를 판정한다. CPU(103)는, 통신 장치(151)의 접속 설정을 리트라이 할 경우(단계 S1727에서 YES), 단계 S1707의 처리에 진행된다. 단계 S1707에서는, CPU(103)는, 단계 S1707 이후의 처리를 다시 행한다. CPU(103)는, 통신 장치(151)의 접속 설정을 리트라이 하지 않는다고 판정한 경우(단계 S1727에서 NO), 처리를 종료한다.
한편, 통신 장치(151)의 접속 설정이 성공했을 경우(단계 S1725에서 YES), 단계 S1728의 처리에 진행된다. 단계 S1728에서는, CPU(103)는, 어느 한쪽의 통신 장치를 정보처리장치(101)의 통신처로서 등록하기 위한 화면(등록 화면)을 표시부(108)에 표시한다. 등록 화면에는, 공지의 디스커버리 프로세스를 실행함으로써 검출된, 액세스 포인트로서 동작하고 있는 통신 장치나, 정보처리장치(101)가 접속하고 있는 액세스 포인트(131)에 접속된 통신 장치로 이루어진 통신 장치들의 일람이 표시된다. 등록 화면에 표시된 일람(등록 가능한 통신 장치의 일람)에서 어느 한쪽의 통신 장치가 선택될 때, 이 선택에 의해 그 선택된 통신 장치가 정보처리장치(101)의 통신처로서 등록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접속 설정의 대상이 된 통신 장치(151)를 정보처리장치(101)의 통신처로서, 유저의 입력을 수신하지 않고 등록한다. 이 때문에, 우선, CPU(103)는, 단계 S1729에서, 단계 S1711에서 취득한 네트워크 정보에 기억된 식별 정보에 근거하여, 등록 가능한 통신 장치의 일람에서 접속 설정의 대상이 된 통신 장치(151)를 특정한다. 그리고, CPU(103)는, 단계 S1730에서, 특정한 통신 장치(본 예에서는 통신 장치(151))를, 정보처리장치(101)의 통신처로서 등록한다. 상술한 실시예에 따른 단계 S1112, 단계 S1121, 단계 S1312, 단계 S1321의 각 처리는, 단계 S1728∼단계 S1730의 처리가 실행됨으로써 실현되어도 좋다.
단계 S1731∼단계 S1736의 처리는, 단계 S1725∼단계 S1730과 각각 같다. 단계 S1733의 판정 후, CPU(103)는, 접속 설정을 리트라이 한다고 판정할 경우에, 단계 S1715로부터의 처리를 다시 실행해도 좋거나, 단계 S1716로부터의 처리를 다시 실행해도 좋다.
다음에, 도 17에 나타낸 접속 설정 처리의 대상이 되는 통신 장치(151)가 실행하는 처리에 대해서, 도 18을 참조해서 설명한다. 도 18은, 통신 장치(151)에 대해 정보처리장치(101)로부터 접속 설정 처리가 행해지는 경우에 통신 장치(151)가 행하는 처리의 흐름을 나타내는 흐름도다. 도 18에 나타낸 흐름도는, 예를 들면, CPU(154)가 ROM(152)이나 통신 장치(151)가 구비하는 외부 기억장치(도시되지 않음)등에 기억된 프로그램을 RAM(153)에 판독해서 실행함으로써 실현된다. 또한, 도 18의 흐름도에 나타낸 처리는, 정보처리장치(101)와 통신 장치(151)와의 사이에서 페어링이 완료하고 있는 상태로, 통신 장치(151)가 접속 설정 모드에 이행하는 경우에 시작되는 것으로 가정한다. 단계 S1801∼단계 S1816의 처리는, 단계 S1501∼단계 S1516의 처리와 각각 같기 때문에, 여기서는 그에 대한 설명을 생략한다.
단계 S1817에서는, CPU(154)는, 단계 S1807에 있어서의 수신한 접속 설정 정보에 포함되는 인프라스트럭처 접속 모드를 설정하기 위한 커맨드의 적용이 성공한 것인가 아닌가를 판정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CPU(154)는, 접속 설정 정보에 기억된 SSID로 표시된 액세스 포인트에의 접속이 성공한 것인가 아닌가를 판정한다.
CPU(154)는, 액세스 포인트에의 접속이 실패했다고 판정한 경우(단계 S1817에서 NO), 단계 S1818의 처리에 진행된다. 단계 S1818에서는, CPU(154)는, 통신 장치(151)의 접속 설정이 실패한 것(통신 장치(151)와 액세스 포인트간의 접속이 실패한 것)을 나타내는 통지를, GATT통신에 의해 정보처리장치(101)에 송신한다. 예를 들면, 접속 설정 정보에 기억된 패스워드가 틀린 경우에, 액세스 포인트와의 접속이 실패한다. 그 후, CPU(154)는, 단계 S1806이후의 처리를 다시 행하고, 접속 설정 정보를 다시 수신하는 것을 기다린다.
한편, CPU(154)는, 액세스 포인트에의 접속이 성공했다고 판정한 경우(단계 S1817에서 YES), 단계 S1819의 처리에 진행된다. CPU(154)는, 단계 S1819에서는, 통신 장치(151)의 접속 설정이 성공한 것(통신 장치(151)와 액세스 포인트와의 접속이 성공한 것)을 나타내는 통지를, GATT통신에 의해 정보처리장치(101)에 송신한다. 그 후, CPU(154)는, 단계 S1809이후의 처리를 행한다. CPU(154)는, 단계 S1809이후의 처리를 생략하고, 정보처리장치(101)와의 블루투스 저 에너지 접속을 유지하도록 구성되어도 좋다.
이렇게, 본 실시예에서는, 접속 설정 정보의 적용이 성공한 것인가 아닌가를 나타내는 통지를 GATT통신에 의해 교환함으로써, 정보처리장치(101)는, 접속 설정 정보의 적용이 성공한 것인가 아닌가를 파악할 수 있다. 그리고, 이 파악으로, 정보처리장치(101)는, 접속 설정 정보의 적용이 실패했을 경우에는 접속 설정 처리의 리트라이를 행할 수 있다.
제7실시예는, 접속 설정 처리의 대상이 되는 통신 장치(대상장치)를 유저가 선택 가능한 구성으로서 설명한다.
도 19는, 본 실시예에 따른 정보처리장치(101)가 행하는 접속 설정 처리의 흐름을 나타내는 흐름도다. 도 19에 나타낸 흐름도는, 예를 들면, CPU(103)가 ROM(104)이나 외부 기억장치(106)등에 기억된 프로그램을 RAM(105)에 판독해서 실행함으로써 실현된다. 또한, 도 19의 흐름도에 나타낸 처리는, 정보처리장치(101)와 통신 장치(151)와의 사이에서 페어링이 완료하고 있는 상태로, 프린터 셋업 버튼(403)이 눌렸을 경우에 시작되는 것으로 가정한다. 또한, 이때, 통신 장치(151)는, 접속 설정 모드에 이행하고 있는 것으로 가정한다. 단계 S1901∼단계 S1936의 처리는, 단계 S1701∼단계 S1736의 처리와 각각 같기 때문에, 여기서는 그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단계 S1937에서는, CPU(103)는, 접속 설정 처리의 대상이 되는 통신 장치의 후보를 발견하고, 발견된 장치의 일람을 표시부(108)에 표시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CPU(103)는, 우선, 단계 S1905에서 블루투스 저 에너지 접속을 확립한 통신 장치(151)를, 그 일람에 추가한다. 또한, CPU(103)는, 공지의 디스커버리(discovery) 프로세스에 의해 발견된 접속 설정 모드로 설정된 통신 장치를 상기 일람에 추가한다. 예를 들면, 일부의 통신 장치에 대해, 블루투스 저 에너지를 통한 접속 설정 처리가 아닌 Wi-Fi를 통한 접속 설정 처리가 행해질 수 있다. 이러한 통신 장치가 접속 설정 모드로 설정된 경우는, 예를 들면, 통신 장치가 접속 설정 모드 시에만 활성화된 내부 액세스 포인트를 유효화하고 있다. 이 때문에, CPU(103)는, 해당 내부 액세스 포인트로부터 Wi-Fi규격에 준해서 송신된 비콘을 검지함으로써, 접속 설정 모드로 설정된 통신 장치를 발견할 수 있다. 또한, 해당 내부 액세스 포인트는, 예를 들면, 유저가 임의로 변경할 수 없는 고정의 SSID를 갖는다. 이 때문에, CPU(103)는, 검지한 비콘 중에서 고정의 SSID를 갖는 비콘을 특정하고, 특정한 비콘을 발신하고 있는 내부 액세스 포인트를 구비하는 통신 장치를 일람에 추가한다. 다시 말해, 본 실시예에서는, 접속 설정 처리의 대상이 되는 통신 장치로서, 정보처리장치(101)가 블루투스 저 에너지에 의해 접속하고 있는 통신 장치(151)와, 접속 설정 모드로 설정되고 유효화된 특정한 내부 액세스 포인트를 구비한 통신 장치를, 일람에 병렬로 표시한다. 일람에 추가된 통신 장치는 이 구성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접속 설정 모드로 설정되어 특정한 광고 정보를 송신하고 있는 통신 장치가 일람에 추가되어도 좋다. 또한, 단계 S1937의 처리가 실행되는 타이밍은 이 구성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단계 S1902의 직후에 단계 S1937의 처리가 실행되어도 좋다. 이 경우, 단계 S1902에서 수신된 광고 정보를 송신하고 있는 통신 장치가 일람에 추가된다. 또한, CPU(103)는, 예를 들면, 통신 장치의 디스커버리를 소정 시간 계속한 결과, 1개의 통신 장치만 일람에 추가되는 경우, 일람을 표시하지 않고 단계 S1938에 진행되고, 해당 1개의 통신 장치를 대상 장치로서 특정해도 좋다. 또한, 예를 들면, CPU(103)는, 소정 시간 통신 장치의 디스커버리 처리 후 상기 일람에 통신 장치가 추가되지 않는 경우, 표시부(108)에 오류 화면을 표시하고 접속 설정 처리를 종료하여도 된다. 또한, 표시부(108)에 표시된 일람에 포함된 정보는, 일람이 일람에 추가된 통신 장치에 대응하는 정보를 포함하는 한 어떠한 정보이어도 좋다. 예를 들면, 통신 장치에 대응하는 정보는, 통신 장치의 MAC어드레스나 인터넷 프로토콜(IP) 어드레스이여도 좋거나, 통신 장치가 구비하는 내부 액세스 포인트의 SSID이여도 좋다.
단계 S1938에서는, CPU(103)는, 유저의 선택을 접수하여서 일람에 추가된 통신 장치 중에서, 접속 설정 처리의 대상이 되는 통신 장치(대상장치)를 특정한다. 예를 들면, 통신 장치의 디스커버리를 소정 시간 계속한 결과, 1개의 통신 장치만 일람에 추가되는 경우, CPU(103)는, 유저의 선택을 접수하지 않고 해당 1개의 통신 장치를 자동적으로 선택해도 좋다. CPU(103)는, 대상장치를 특정했을 경우, 이후의 접속 설정 처리를 특정한 대상장치에 대하여 실행한다.
이 구성에 의해, 예를 들면, 정보처리장치(101)의 주변에, 접속 설정 처리의 대상이 되는 장치의 후보가 복수 있을 경우에는, 접속 설정 처리의 대상이 되는 장치를 유저는 선택할 수 있다.
상술한 것처럼, 접속 설정 처리의 대상이 되는 통신 장치의 후보의 일람을 표시하는 타이밍과, 접속 설정 처리의 대상이 되는 통신 장치의 후보를 발견하는 타이밍은, 상술한 구성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 밖의 구성을 상세히 설명한다.
예를 들면, CPU(103)는, 접속 설정 처리의 대상이 되는 통신 장치의 후보의 일람을 표시하여도 되고, 및/또는 상기 통신 장치(151)와 GATT통신으로 시작하기 전에 상기 접속 설정 처리의 대상이 되는 통신 장치의 후보를 발견하여도 된다. 이 경우에, 공지의 디스커버리 프로세스에 의해 검색되는 상기 접속 설정 모드로 설정된 통신 장치와, 정보처리장치(101)가 수신한 광고 정보의 송신원으로서 동작하는 통신 장치는, 서로 병렬로 일람에 표시된다.
이때, CPU(103)는, 정보처리장치(101)가 수신한 광고 정보의 송신원으로서 각각 동작하는 통신 장치 전부를 표시할 필요는 없다.
예를 들면, 광고 정보에는, 해당 광고 정보의 송신원으로서 동작하는 통신 장치가 제공할 수 있는 서비스에 관한 정보, 및/또는 해당 통신 장치의 모델 및/또는 벤더에 관한 정보를 기억하고 있다. 이 경우에, 예를 들면, 수신한 광고 정보가 통신 장치가 프린트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것을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하는 경우, CPU(103)는, 해당 광고 정보의 송신원으로서 동작하는 통신 장치를 일람에 표시한다. 상기 수신한 광고 정보가 이 정보를 포함하지 않는 경우, CPU(103)는, 해당 광고 정보의 송신원으로서 동작하는 통신 장치를 일람에 표시하지 않는다. 또한, 또는 이와는 달리, 예를 들면, 수신한 광고 정보가 인쇄용 애플리케이션에 대응한 모델 및/또는 벤더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는 경우, CPU(103)는, 해당 광고 정보의 송신원으로서 동작하는 통신 장치를 일람에 표시한다. 상기 수신한 광고 정보가 이 정보를 포함하지 않는 경우, CPU(103)는, 해당 광고 정보의 송신원으로서 동작하는 통신 장치를 일람에 표시하지 않는다.
또한, 또는 이와는 달리, 예를 들면, 상기 광고 정보에는, 해당 광고 정보의 송신원으로서 동작하는 통신 장치의 상태에 관한 정보를 기억하고 있어도 된다. 이 경우에, 예를 들면, 수신한 광고 정보가 통신 장치가 비지(busy) 상태나 오류 상태에 있는 것을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하지 않는 경우, CPU(103)는, 해당 광고 정보의 송신원으로서 동작하는 통신 장치를 일람에 표시한다. 상기 수신한 광고 정보가 이 정보를 포함하는 경우, CPU(103)는, 해당 광고 정보의 송신원으로서 동작하는 통신 장치를 일람에 표시하지 않는다. 이것은, 통신 장치가 비지 상태나 오류 상태에 있는 경우, 통신 장치는 접속 설정 처리를 행할 수 없다. 이 비지 상태를, 예를 들면, 통신 장치가 인쇄 또는 스캐닝 처리를 행하고 있는 중인 상태와, 통신 장치가 구비한 조작부상에서 조작을 행하고 있는 중인 상태를 말한다.
또한, 또는 이와는 달리, 예를 들면, 수신한 광고 정보의 송신원으로서 동작하는 통신 장치가 이미 페어링된 통신 장치이면, CPU(103)는, 해당 광고 정보의 송신원으로서 동작하는 통신 장치를 일람에 표시한다. 수신한 광고 정보의 송신원으로서 동작하는 통신 장치가 이미 페어링된 통신 장치가 아니면, CPU(103)는, 해당 광고 정보의 송신원으로서 동작하는 통신 장치를 일람에 비표시한다.
또한, 예를 들면, 공지의 디스커버리 프로세스에 의해 검색되는 상기 접속 설정 모드로 설정된 통신 장치는 블루투스 저 에너지에 의해 광고 정보를 송신하여도 좋다. 이 때문에, 접속 설정모드로 설정된 통신장치를 상기 일람에 추가한 후, 해당 광고 정보의 송신원으로서 동작하는 통신 장치를 일람에 추가하는 구성에서는, 그 일람에 동일한 통신 장치를 중복적으로 표시하여도 된다. 따라서, CPU(103)는, 동일한 통신 장치가 그 일람에 중복적으로 표시되지 않도록 제어를 행하여도 된다. 예를 들면, 상기 광고 정보에는, 해당 광고 정보의 송신원으로서 동작하는 통신 장치의 식별 정보를 기억하고 있어도 된다. 또한, 공지의 디스커버리 프로세스에 의해 통신 장치를 발견하는 경우, CPU(103)는, 발견된 통신 장치의 식별 정보를 취득할 수 있다. 이 때문에, CPU(103)는, 해당 광고 정보의 송신원으로서 동작하는 통신 장치의 식별 정보와 공지의 디스커버리 프로세스에 의해 발견된 통신 장치의 식별 정보가 서로 일치하는 경우, 동일한 통신 장치가 중복적으로 표시되지 않도록 제어를 행한다.
또한, CPU(103)는, 특정한 내부 액세스 포인트를 유효하게 한 통신 장치를 일람에 표시된 통신 장치들로부터 선택하는 경우, 블루투스 저 에너지를 통해 접속 설정 처리 대신에 Wi-Fi를 통해 접속 설정 처리를 행하여도 된다. 이 경우에, CPU(103)는, 특정한 내부 액세스 포인트와 접속하는 접속 정보를 상기 선택된 통신 장치에 송신한다.
예를 들면, 이 접속 정보는, 특정한 내부 액세스 포인트의 SSID나 특정한 내부 액세스 포인트와 접속하기 위한 패스워드를 포함한다. CPU(103)는, 특정한 내부 액세스 포인트와 접속하기 위한 패스워드를 유저로부터의 입력을 수신하여서 취득하여도 되거나, 이 패스워드를 인쇄용 애플리케이션으로부터 취득하여서 유저로부터의 입력을 수신하지 않고 취득하여도 된다.
접속 정보를 송신하면, 정보처리장치(101)와 상기 선택된 통신 장치는, Wi-Fi 통신방식에 의해 특정한 내부 액세스 포인트를 통해 서로 접속된다. 그리고, CPU(103)는, 그 액세스 포인트를 상기 선택된 통신 장치의 접속처로서 등록하기 위한 접속 설정 정보를 Wi-Fi 통신방식에 의해 상기 선택된 통신 장치에 송신한다. 따라서, 인프라스트럭처 접속 모드를 상기 선택된 통신 장치에 설정한다.
이렇게, CPU(103)는, 블루투스 저 에너지를 통해 접속 설정 처리를 행할 것인가, 또는 일람을 통해 유저가 통신 장치를 선택하는 Wi-Fi를 거쳐 접속 설정 처리를 행할 것인가를 전환하여도 된다. 달리 말하면, 그 선택된 통신 장치가, 정보처리장치(101)가 수신한 광고 정보의 송신원으로서 동작하는 통신 장치 또는, 정보처리장치(101)가 블루투스 저 에너지에 의해 접속되는 통신 장치인 경우, CPU(103)는, 블루투스 저 에너지에 의해 접속 설정 처리를 행한다. 한편, 그 선택된 통신 장치가, 특정한 내부 액세스 포인트가 유효화되는 통신 장치인 경우, CPU(103)는, Wi-Fi에 의한 접속 설정 처리를 행한다.
(그 밖의 실시예)
상술한 실시예에 있어서는, 접속 설정 처리의 대상이 된 통신 장치(151)를 정보처리장치(101)의 통신처로서 등록하고 있지만, 통신 장치(151)의 등록은 이 구성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정보처리장치(101)는, 취득한 통신 장치(151)의 식별 정보등에 근거하여, 접속 설정 처리의 대상이 된 통신 장치(151)가, 이미 통신처로서 정보처리장치(101)에 등록된 것을 검지했을 경우는, 접속 설정 처리를 중단하고, 이 사실을 나타내는 표시를 정보처리장치(101)의 표시부(108)에 제시해도 좋다.
상술한 실시예에 있어서는, 통신 시스템은, 다이렉트 접속에 있어서, 통신 장치(151)내의 액세스 포인트에 정보처리장치(101)가 접속하도록 구성되지만, 그 다이렉트 접속은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통신 시스템은, 정보처리장치(101)내의 액세스 포인트에 통신 장치(151)가 접속하도록 구성되어도 좋다. 이 경우, 정보처리장치(101)는, 정보처리장치(101)내의 액세스 포인트의 SSID나 패스워드를 기억하는 접속 설정 정보를 통신 장치(151)에 송신한다. 그리고, 통신 장치(151)는, 수신한 접속 설정 정보에 포함되는 정보처리장치(101)내의 액세스 포인트의 SSID나 패스워드를 이용하여, 정보처리장치(101)내의 액세스 포인트에 무선LAN통신 방식에 의해 접속한다.
상술한 실시예에는, 접속 설정 처리가 완료한 후에, GATT통신을 종료하는 구성이 포함되지만, 이 GATT통신을 취급하는 것은 이 구성에 한정되지 않는다. 보다 구체적으로, 통신 시스템은, 접속 설정 처리가 완료한 후도, GATT통신이 실시 가능한 상태를 유지시켜, GATT통신에 의해 필요할 때 정보를 취득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도 좋다. 이 경우, 예를 들면, 통신 시스템은, 제6실시예의 설명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정보처리장치(101)와 통신 장치(151)가 접속 설정이 성공한 것인가 아닌가를 나타내는 통지를 GATT통신으로 교환하고, 예를 들면, 그 결과에 따른 처리(접속 설정의 리트라이 처리)를 행하도록 구성되어도 좋다.
상술한 실시예에는, 정보처리장치(101)가 접속하고 있는 액세스 포인트(131)이외의 액세스 포인트에 통신 장치(151)를 접속시키기 위한 접속 설정 처리를 실행했을 경우에, 통신부(111)의 접속처를 바꾸는 구성이 포함된다. 그렇지만, 이 접속처를 바꾸는 것은 이 구성에 한정되지 않는다. 보다 구체적으로, 정보처리장치(101)는, 정보처리장치(101)가 자동으로 통신부(111)의 접속처를 바꾸지 않고, 유저가 적절하게 수동으로 통신부(111)의 접속처를 바꾸는 것으로, 통신 장치(151)와 정보처리장치(101)가 통신 가능하게 구성되어도 좋다. 그렇지만, 이 경우, 예를 들면, 접속 설정 처리의 직후는, 등록 가능한 통신 장치의 일람 중에는, 접속 설정의 대상이 된 통신 장치(151)가 누락될 수도 있다. 이 때문에, 등록 가능한 통신 장치의 일람에서, 접속 설정의 대상이 된 통신 장치(151)를 특정하는 처리의 결과는 에러가 될 경우가 있다. 이 경우, 유저는 우선, 수동으로 통신부(111)의 접속처를 전환하고, 통신 장치(151)에 접속시킨 액세스 포인트에 정보처리장치(101)를 접속시킨다. 이 전환에 의해, 등록 가능한 통신 장치의 일람이 갱신됨으로써, 유저는, 갱신된 일람에서, 접속 설정의 대상이 된 통신 장치(151)를 선택하여서 통신 장치(151)와 정보처리장치(101)를 통신 가능하게 할 수 있다.
상술한 실시예에서는, 통신 장치(151)와 정보처리장치(101)간에 블루투스 저 에너지 접속이 확립되지 않고 유저로부터 접속 설정 처리의 실행 지시가 내려지는 것으로 가정한다. 그렇지만, 이 지시가 내려지는 것은, 이 구성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미리 통신 장치(151)와 정보처리장치(101)와의 블루투스 저 에너지 접속이 확립하고 있는 상태로, 유저로부터 접속 설정 처리의 실행 지시가 내려져도 좋다. 이 경우, 블루투스 저 에너지 접속을 확립하기 위한 처리(단계 S202, S204, S205, S302, S304, S305등)가 생략된다.
상술한 실시예에서는, 접속 설정 처리가, 유저에 의해 프린터 셋업 버튼(403)이 눌렸을 경우에 시작되는 것으로 가정했다. 그렇지만, 접속 설정 처리의 시작은 이 구성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통신 시스템은, 페어링이 행해진 후, 자동으로 접속 설정 처리가 시작되도록 구성되어도 좋다. 이 경우, 페어링에 의해 통신 장치(151)와 정보처리장치(101)와의 블루투스 저 에너지 접속이 확립하여서, 블루투스 저 에너지 접속을 확립하기 위한 처리(단계 S202, S204, S205, S302, S304, S305등)가 생략된다. 또한, 예를 들면, 이 구성이 제7실시예에 적용될 경우, 페어링이 행해진 후, 자동으로 시작되는 접속 설정 처리에 있어서는, 단계 S1937 및 단계 S1938의 처리(선택 처리)가 생략되어도 좋다. 다시 말해, 통신 시스템은, 페어링이 행해진 후, 자동으로 시작되는 접속 설정 처리에 있어서는, 선택 처리를 생략하고, 유저에 의해 프린터 셋업 버튼(403)이 눌렸을 경우에 시작되는 접속 설정 처리에 있어서는, 선택 처리를 실행하도록 구성되어도 좋다. 이것은, 페어링이 행해진 후, 자동으로 시작되는 접속 설정 처리의 대상이 되는 장치는, 페어링에 의해 접속한 통신 장치일 가능성이 높아, 유저의 선택을 접수하지 않고서도 대상장치를 결정할 수 있기 때문이다.
상기 실시예의 1개 이상의 기능(들)을 실현 가능한 프로그램을, 네트워크 또는 기억매체를 통해 시스템 혹은 장치에 공급하고, 그 시스템 혹은 장치의 컴퓨터에 있어서 1개 이상의 프로세서(들)가 그 프로그램을 읽어 실행하는 처리에 의해서도 실시예들을 이룰 수 있다. 또한, 1개 이상의 기능(들)을 이룰 수 있는 회로(예를 들면, 주문형 반도체(ASIC))를 사용해서 실시예들을 실현할 수도 있다.
상기 실시예들에 의하면, 인프라스트럭처 접속의 확립을 보다 간편하게 행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는, 기억매체(보다 완전하게는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억매체'라고도 함)에 레코딩된 컴퓨터 실행가능한 명령어들(예를 들면, 하나 이상의 프로그램)을 판독하고 실행하여 상술한 실시예(들)의 하나 이상의 기능을 수행하는 것 및/또는 상술한 실시예(들)의 하나 이상의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회로(예를 들면, 주문형 반도체(ASIC))를 구비하는 것인, 시스템 또는 장치를 갖는 컴퓨터에 의해 실현되고, 또 예를 들면 상기 기억매체로부터 상기 컴퓨터 실행가능한 명령어를 판독하고 실행하여 상기 실시예(들)의 하나 이상의 기능을 수행하는 것 및/또는 상술한 실시예(들)의 하나 이상의 기능을 수행하는 상기 하나 이상의 회로를 제어하는 것에 의해 상기 시스템 또는 상기 장치를 갖는 상기 컴퓨터에 의해 행해지는 방법에 의해 실현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는,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예를 들면, 중앙처리장치(CPU), 마이크로처리장치(MPU))를 구비하여도 되고, 컴퓨터 실행 가능한 명령어를 판독하여 실행하기 위해 별개의 컴퓨터나 별개의 프로세서의 네트워크를 구비하여도 된다. 상기 컴퓨터 실행가능한 명령어를, 예를 들면 네트워크나 상기 기억매체로부터 상기 컴퓨터에 제공하여도 된다. 상기 기억매체는, 예를 들면, 하드 디스크, 랜덤액세스 메모리(RAM), 판독전용 메모리(ROM), 분산형 컴퓨팅 시스템의 스토리지, 광디스크(콤팩트 디스크(CD), 디지털 다기능 디스크(DVD) 또는 블루레이 디스크(BD)TM등), 플래시 메모리 소자, 메모리 카드 등 중 하나 이상을 구비하여도 된다.
상기 실시예들을 기재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기 개시된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는다는 것을 알 것이다. 아래의 청구항의 범위는, 모든 변형예, 동등한 구조 및 기능을 포함하도록 폭 넓게 해석해야 한다.

Claims (20)

  1. 제1의 무선통신 방식에 의해 통신 장치와 접속 및 통신하는 제1통신부와, 상기 제1의 무선통신 방식과 다른 제2의 무선통신 방식에 의해 액세스 포인트와 접속 및 통신하는 제2통신부를 구비하는 정보처리장치의 제어방법으로서,
    상기 통신 장치와 상기 제1의 무선통신 방식에 의해 통신하기 위한 접속 정보를 포함하는 신호를, 상기 통신 장치로부터 수신하는 단계;
    상기 신호에 근거하여, 상기 제1의 무선통신 방식에 의한 통신을 시작하기 위한 요구를 상기 통신 장치에 대하여 송신하는 단계;
    상기 제1의 무선통신 방식에 의한 상기 제1통신부와 상기 통신 장치간의 접속을 확립하는 단계; 및
    상기 제2통신부가 접속하고 있는 액세스 포인트에 대한 정보를, 상기 제1통신부가 접속하고 있는 상기 통신 장치에 대하여, 상기 제1통신부에 의해 송신시키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통신 장치는, 상기 제2통신부가 접속하고 있는 액세스 포인트에 대한 정보를 수신했을 경우, 상기 제2통신부가 접속하고 있는 액세스 포인트와 상기 제2의 무선통신 방식에 의해 접속 및 통신하고,
    상기 통신 장치가, 상기 제2통신부가 접속하고 있는 액세스 포인트와 상기 제2의 무선통신 방식에 의해 접속했을 경우, 상기 정보처리장치는, 상기 제2통신부가 접속하고 있는 액세스 포인트를 통한 상기 통신 장치와의 통신을 상기 제2통신부에 의해 실행하는, 제어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통신부가 액세스 포인트와 접속하고 있는 것인가 아닌가를 판정하는 단계와,
    상기 제2통신부가 액세스 포인트와 접속하고 있다고 판정되었을 경우, 상기 제2통신부가 접속하고 있는 액세스 포인트에 대한 정보를 상기 제1통신부에 의해 상기 통신 장치에 송신하는 단계와,
    상기 제2통신부가 액세스 포인트와 접속하지 않고 있다고 판정되었을 경우, 상기 통신 장치내의 내부 액세스 포인트를 유효하게 하기 위한 커맨드를 상기 제1통신부에 의해 상기 통신 장치에 송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통신 장치내의 내부 액세스 포인트를 유효하게 하기 위한 커맨드가 송신되었을 경우, 상기 통신 장치내의 내부 액세스 포인트를 통한 상기 통신 장치와의 통신이, 상기 제2통신부에 의해 실행되는, 제어방법.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2통신부가 액세스 포인트와 접속하지 않고 있다고 판정되었을 경우, 상기 제1통신부에 의해, 상기 통신 장치내의 내부 액세스 포인트에 대한 정보가 취득되고, 취득된 정보에 근거하여, 상기 통신 장치내의 내부 액세스 포인트를 통한 상기 통신 장치와의 통신이, 상기 제2통신부에 의해 실행되는, 제어방법.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통신부가 통신 가능한 통신 장치 중에서, 상기 제1통신부가 접속한 통신 장치를, 상기 제2통신부의 통신처인 통신 장치로서 등록하는 단계; 및
    상기 제1통신부가 접속하고 있는 통신 장치의 식별 정보를 상기 제1통신부에 의해 취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취득된 식별 정보에 대응하는 통신 장치가, 상기 제2통신부의 통신처인 통신 장치로서 등록되는, 제어방법.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통신부에 의해, 상기 제2통신부가 접속하고 있는 액세스 포인트에 대한 정보가 송신되는 경우에, 상기 제2통신부가 접속하고 있는 액세스 포인트와 상기 통신 장치와의 접속이 성공한 것인가 아닌가를 나타내는 통지를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통지가, 상기 제2통신부가 접속하고 있는 액세스 포인트와 상기 통신 장치와의 접속이 성공하지 않고 있는 것을 나타낼 경우, 상기 제2통신부가 접속하고 있는 액세스 포인트에 대한 정보가, 상기 제1통신부가 접속하고 있는 상기 통신 장치에 대하여, 상기 제1통신부에 의해 다시 송신되는, 제어방법.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통신부에 의해, 상기 통신 장치로부터 상기 통신 장치가 접속 가능한 액세스 포인트의 일람을 나타내는 정보를 취득하는 단계; 및
    상기 통신 장치가 접속 가능한 액세스 포인트의 취득된 일람이, 상기 제2통신부가 접속하고 있는 액세스 포인트를 포함하는 것인가 아닌가를 판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통신 장치가 접속 가능한 액세스 포인트의 취득된 일람이 상기 제2통신부가 접속하고 있는 액세스 포인트를 포함한다고 판정되었을 경우, 상기 제2통신부가 접속하고 있는 액세스 포인트에 대한 정보가, 상기 제1통신부가 접속하고 있는 상기 통신 장치에 대하여, 상기 제1통신부에 의해 송신되고, 상기 통신 장치가 접속 가능한 액세스 포인트의 취득된 일람에, 상기 제2통신부가 접속하고 있는 액세스 포인트가 포함되지 않는다고 판정되었을 경우, 상기 통신 장치가 접속 가능한 액세스 포인트 중에서, 상기 제2통신부가 접속하고 있는 액세스 포인트와 다른 임의의 액세스 포인트에 대한 정보가, 상기 제1통신부가 접속하고 있는 상기 통신 장치에 대하여, 상기 제1통신부에 의해 송신되는, 제어방법.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 장치가 접속 가능한 액세스 포인트 중에서, 상기 제2통신부가 접속하고 있는 액세스 포인트와 다른 상기 임의의 액세스 포인트에 대한 정보가, 상기 제1통신부가 접속하고 있는 상기 통신 장치에 대하여, 상기 제1통신부에 의해 송신되었을 경우, 상기 제1통신부에 의해, 상기 제2통신부가 접속하고 있는 액세스 포인트와 다른 상기 임의의 액세스 포인트와 상기 통신 장치와의 접속이 성공한 것인가 아닌가를 나타내는 통지를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통지가, 상기 제2통신부가 접속하고 있는 액세스 포인트와 다른 임의의 액세스 포인트와 상기 통신 장치와의 접속이 성공하지 않은 것을 나타낼 경우, 상기 통신 장치가 접속 가능한 액세스 포인트 중에서, 임의의 액세스 포인트에 대한 정보가, 상기 제1통신부가 접속하고 있는 상기 통신 장치에 대하여, 상기 제1통신부에 의해 다시 송신되는, 제어방법.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1통신부에 의해, 일람 정보를 갱신하기 위한 지시를 상기 통신 장치에 송신하는 단계;
    상기 일람 정보를 갱신하기 위한 지시를 송신했을 경우, 상기 제1의 무선통신 방식에 의한 상기 제1통신부와 상기 통신 장치와의 접속을 종료하는 단계;
    상기 제1의 무선통신 방식에 의해, 상기 일람 정보의 갱신이 완료한 것을 나타내는 신호를, 상기 통신 장치로부터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일람 정보의 갱신이 완료한 것을 나타내는 신호를 수신했을 경우, 상기 제1의 무선통신 방식에 의한 상기 제1통신부와 상기 통신 장치와의 접속을 재확립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의 무선통신 방식에 의한 상기 제1통신부와 상기 통신 장치와의 접속이 재확립했을 경우, 상기 제1통신부에 의해, 상기 통신 장치로부터 상기 일람 정보가 취득되는, 제어방법.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의 무선통신 방식은 블루투스 저 에너지이고, 상기 제2의 무선통신 방식은 Wi-Fi인, 제어방법.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통신부가 접속하고 있는 액세스 포인트에 대한 정보의 송신처로서 설정되는 상기 통신 장치의 후보에 관한 정보의 일람을 표시하는 단계; 및
    상기 후보 중에서, 상기 제2통신부가 접속하고 있는 액세스 포인트에 대한 정보의 송신처로서 설정되는 상기 통신 장치의 선택을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2통신부가 접속하고 있는 액세스 포인트에 대한 정보의 송신처로서 설정되는 상기 통신 장치의 선택을 수신했을 경우, 상기 제2통신부가 접속하고 있는 액세스 포인트에 대한 정보를, 상기 제1통신부가 접속하고 있는 상기 통신 장치에 송신하는, 제어방법.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처리장치가 수신한 신호의 송신원으로서 동작하는 상기 통신 장치에 관한 정보와, 소정의 액세스 포인트를 유효하게 하는 통신 장치에 관한 정보를, 서로 병렬로 상기 일람에 표시하는, 제어방법.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처리장치가 수신한 신호의 송신원으로서 각각 동작하는 통신 장치에 관한 정보 중에서, 소정의 기능을 갖는 통신 장치에 관한 정보는 일람에 표시하는 한편, 상기 소정의 기능을 갖지 않는 통신 장치에 관한 정보는 일람에 표시하지 않는, 제어방법.
  13.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처리장치가 수신한 신호의 송신원으로서 각각 동작하는 통신 장치에 관한 정보 중에서, 오류 상태에 있지 않는 통신 장치에 관한 정보를 일람에 표시하는 한편, 오류 상태에 있는 통신 장치에 관한 정보를 일람에 표시하지 않는, 제어방법.
  14.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처리장치가 수신한 신호의 송신원으로서 동작하는 통신 장치가, 상기 제2통신부가 접속하고 있는 액세스 포인트에 대한 정보의 송신처로서 설정되는 상기 통신 장치로서 선택되는 경우, 상기 제2통신부가 접속하고 있는 액세스 포인트에 대한 정보를, 상기 제1통신부에 의해, 상기 정보처리장치가 수신한 신호의 송신원으로서 동작하는 통신 장치에 송신하고,
    상기 소정의 액세스 포인트를 유효하게 하는 상기 통신 장치가, 상기 제2통신부가 접속하고 있는 액세스 포인트에 대한 정보의 송신처로서 설정되는 상기 통신 장치로서 선택되는 경우, 상기 제2통신부가 접속하고 있는 액세스 포인트에 대한 정보를, 상기 제2통신부에 의해, 상기 소정의 액세스 포인트를 유효하게 하는 통신 장치에 송신하는, 제어방법.
  15.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처리장치가 수신한 신호의 송신원으로서 동작하는 통신 장치와 상기 소정의 액세스 포인트를 유효하게 하는 상기 통신 장치가 서로 동일한 통신 장치일 경우, 상기 동일한 통신 장치에 관한 정보를 상기 일람에 중복 표시되지 않게 하는, 제어방법.
  16.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의 무선통신 방식에 근거하여 상기 정보처리장치와 상기 통신 장치를 서로 페어링을 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정보처리장치가 수신한 신호의 송신원으로서 각각 동작하는 통신 장치에 관한 정보 중에서, 상기 정보처리장치와 페어링된 통신 장치에 관한 정보를 상기 일람에 표시하는 한편, 상기 정보처리장치와 페어링되지 않은 통신 장치에 관한 정보를 상기 일람에 표시하지 않는, 제어방법.
  1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처리장치는, 인쇄를 상기 통신 장치에 실행시키기 위한 인쇄 잡을, 상기 제2통신부가 접속하고 있는 액세스 포인트를 통해 상기 통신 장치에 대하여 송신하는, 제어방법.
  18. 제1의 무선통신 방식에 의해 통신 장치와 접속 및 통신하는 제1통신부와,
    상기 제1의 무선통신 방식과 다른 제2의 무선통신 방식에 의해 액세스 포인트와 접속 및 통신하는 제2통신부를 구비하는 정보처리장치로서,
    상기 통신 장치와 상기 제1의 무선통신 방식에 의해 통신하기 위한 접속 정보를 포함하는 신호를, 상기 통신 장치로부터 수신하는 수신부;
    상기 신호에 근거하여, 상기 제1의 무선통신 방식에 의한 통신을 시작하기 위한 요구를 상기 통신 장치에 대하여 송신하고, 상기 제1의 무선통신 방식에 의한 상기 제1통신부와 상기 통신 장치간의 접속을 확립하는 확립부; 및
    상기 제2통신부가 접속하고 있는 액세스 포인트에 대한 정보를, 상기 제1통신부가 접속하고 있는 상기 통신 장치에 대하여, 상기 제1통신부에 의해 송신시키는 송신부를 구비하고,
    상기 통신 장치는, 상기 제2통신부가 접속하고 있는 액세스 포인트에 대한 정보를 수신했을 경우, 상기 제2통신부가 접속하고 있는 액세스 포인트와 상기 제2의 무선통신 방식에 의해 접속 및 통신하고,
    상기 통신 장치가, 상기 제2통신부가 접속하고 있는 액세스 포인트와 상기 제2의 무선통신 방식에 의해 접속했을 경우, 상기 정보처리장치는, 상기 제2통신부가 접속하고 있는 액세스 포인트를 통한 상기 통신 장치와의 통신을 상기 제2통신부에 의해 실행하는, 정보처리장치.
  19. 제1의 무선통신 방식에 의해 통신 장치와 접속 및 통신하는 제1통신부와, 상기 제1의 무선통신 방식과 다른 제2의 무선통신 방식에 의해 액세스 포인트와 접속 및 통신하는 제2통신부로 이루어진 정보처리장치를 구비하며, 상기 통신 장치가, 상기 제1의 무선통신 방식에 의해 상기 정보처리장치와 접속 및 통신하는 제3통신부와, 상기 제2의 무선통신 방식에 의해 액세스 포인트와 접속 및 통신하는 제4통신부로 이루어지는, 통신 시스템의 제어방법으로서,
    상기 통신 장치와 상기 제1의 무선통신 방식에 의해 통신하기 위한 접속 정보를 포함하는 신호를, 상기 통신 장치로부터 수신하는 단계;
    상기 신호에 근거하여, 상기 제1의 무선통신 방식에 의한 통신을 시작하기 위한 요구를 상기 통신 장치에 대하여 송신하는 단계;
    상기 제1의 무선통신 방식에 의한 상기 제1통신부와 상기 통신 장치간의 접속을 확립하는 단계;
    상기 제2통신부가 접속하고 있는 액세스 포인트에 대한 정보를, 상기 통신 장치에 대하여, 상기 제1통신부에 의해 송신하는 단계;
    상기 제2통신부가 접속하고 있는 액세스 포인트에 대한 정보를 상기 제3통신부에 의해 상기 정보처리장치로부터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제2통신부가 접속하고 있는 액세스 포인트에 대한 정보가 상기 제3통신부에 의해 수신되었을 경우, 상기 제2통신부가 접속하고 있는 액세스 포인트와 상기 제4통신부를 서로 접속시키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2통신부가 접속하고 있는 액세스 포인트와 상기 제4통신부가 서로 접속했을 경우, 상기 정보처리장치는, 상기 제2통신부가 접속하고 있는 액세스 포인트를 통한 상기 통신 장치와의 통신을 상기 제2통신부에 의해 실행하는, 제어방법.
  20.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 장치와 상기 제1의 무선통신 방식에 의해 통신하기 위한 접속 정보를 포함하는 신호를 상기 제3통신부에 의해 브로드 캐스트 하는 단계; 및
    상기 제3통신부에 의해 브로드 캐스트된 상기 신호를 상기 제1통신부에 의해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통신부는, 상기 제3통신부에 의해 브로드 캐스트된 상기 신호가 상기 제1통신부에 의해 수신되었을 경우, 상기 제1의 무선통신 방식에 의해 상기 통신 장치와 통신 가능하게 되는, 제어방법.
KR1020170010805A 2016-01-29 2017-01-24 정보처리장치, 정보처리장치의 제어방법 및 통신 시스템의 제어방법 KR10213007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79393A KR102366028B1 (ko) 2016-01-29 2020-06-29 정보처리장치, 정보처리장치의 제어방법 및 통신 시스템의 제어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6016485 2016-01-29
JPJP-P-2016-016485 2016-01-29
JP2016072785 2016-03-31
JPJP-P-2016-072785 2016-03-31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79393A Division KR102366028B1 (ko) 2016-01-29 2020-06-29 정보처리장치, 정보처리장치의 제어방법 및 통신 시스템의 제어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91025A true KR20170091025A (ko) 2017-08-08
KR102130070B1 KR102130070B1 (ko) 2020-07-03

Family

ID=57708499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10805A KR102130070B1 (ko) 2016-01-29 2017-01-24 정보처리장치, 정보처리장치의 제어방법 및 통신 시스템의 제어방법
KR1020200079393A KR102366028B1 (ko) 2016-01-29 2020-06-29 정보처리장치, 정보처리장치의 제어방법 및 통신 시스템의 제어방법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79393A KR102366028B1 (ko) 2016-01-29 2020-06-29 정보처리장치, 정보처리장치의 제어방법 및 통신 시스템의 제어방법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5) US9999077B2 (ko)
EP (3) EP3416428B1 (ko)
JP (1) JP6184580B1 (ko)
KR (2) KR102130070B1 (ko)
CN (2) CN107025083B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017644A1 (ko) 2017-07-18 2019-01-24 주식회사 엘지화학 배터리 모듈, 배터리 팩 및 이를 포함하는 자동차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6012910A (ja) * 2014-06-06 2016-01-21 キヤノン株式会社 通信装置および制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JP6184580B1 (ja) * 2016-01-29 2017-08-23 キヤノン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制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JP6619682B2 (ja) 2016-03-31 2019-12-11 キヤノン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制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JP6676469B2 (ja) * 2016-05-20 2020-04-08 キヤノン株式会社 通信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プログラム
US10244477B2 (en) * 2016-08-01 2019-03-26 Ricoh Company, Ltd. Communication apparatus, communication terminal, and communication system
JP6635978B2 (ja) * 2017-05-11 2020-01-29 キヤノン株式会社 プログラム、通信方法、および通信システム
JP6667476B2 (ja) * 2017-06-30 2020-03-18 キヤノン株式会社 通信装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6918628B2 (ja) * 2017-08-10 2021-08-11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処理装置、通信装置およびそれらの制御方法、並びにプログラム
JP2019121875A (ja) * 2017-12-28 2019-07-22 キヤノン株式会社 端末装置、情報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7052560B2 (ja) * 2018-03-27 2022-04-12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システム、端末装置、デバイス及びプログラム
CN110312293B (zh) * 2018-03-27 2022-04-08 精工爱普生株式会社 终端装置、无线通信设备、包括它们的系统、存储介质
JP7176258B2 (ja) 2018-07-05 2022-11-22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端末装置のための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端末装置、及び、通信装置
JP7179520B2 (ja) 2018-07-31 2022-11-29 キヤノン株式会社 通信装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7095504B2 (ja) * 2018-09-05 2022-07-05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端末装置、無線接続制御方法および無線接続制御プログラム
JP7159761B2 (ja) 2018-09-28 2022-10-25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アプリケーションプログラム及び携帯端末
JP7159803B2 (ja) * 2018-11-16 2022-10-25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端末装置、無線接続制御方法および無線接続制御プログラム
US10667316B1 (en) * 2018-11-22 2020-05-26 Shimano Inc.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having plural protocols and pedaling sensing device
JP7279353B2 (ja) * 2018-12-14 2023-05-23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表示装置の制御方法、表示装置および表示システム
JP6888037B2 (ja) * 2019-01-31 2021-06-16 キヤノン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制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JP2020145557A (ja) 2019-03-05 2020-09-10 キヤノン株式会社 プログラム、情報処理装置、および制御方法
JP7358074B2 (ja) 2019-05-31 2023-10-10 キヤノン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2020198503A (ja) 2019-05-31 2020-12-10 キヤノン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2020198505A (ja) * 2019-05-31 2020-12-10 キヤノン株式会社 装置、およびそのプログラム
JP2020205497A (ja) 2019-06-14 2020-12-24 キヤノン株式会社 通信システム
JP2021024120A (ja) * 2019-07-31 2021-02-22 キヤノン株式会社 印刷装置、通信装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2021158528A (ja) * 2020-03-27 2021-10-07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電子機器及び通信システム
JP2023005903A (ja) * 2021-06-29 2023-01-18 キヤノン株式会社 通信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プログラム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1793531A1 (en) * 2005-11-30 2007-06-06 Sony Corporatio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communication apparatus, setting information providing method, setting information obtaining method, and computer program.
US20100232408A1 (en) * 2009-03-12 2010-09-16 Lim Jin-Mook Method of connecting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s and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using the same
EP2725774A2 (en) * 2012-10-29 2014-04-30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apparatus, image forming apparatus and wireless connection method
WO2015175436A1 (en) * 2014-05-12 2015-11-19 Flir Systems, Inc. Proximity-based camera configuration

Family Cites Families (13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325182A (ja) * 2000-03-10 2001-11-22 Ricoh Co Ltd 印刷システム、印刷方法及び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コンピュータ読取可能な記録媒体並びに該印刷システムにおける携帯通信機器、プリンタ、プリントサーバー及びクライアント
EP1421804A4 (en) * 2001-08-10 2007-11-21 Strix Systems Inc VIRTUAL LINK USING A WIRELESS DEVICE
US7797204B2 (en) * 2001-12-08 2010-09-14 Balent Bruce F Distributed personal automation and shopping method, apparatus, and process
US7746834B1 (en) * 2003-03-17 2010-06-29 3Com Corporation Method of dynamically locating and connecting to a wireless device
JP4125172B2 (ja) * 2003-04-23 2008-07-30 キヤノン株式会社 無線通信システム、無線通信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並びに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EP1489502A3 (en) 2003-06-20 2006-03-08 Canon Kabushiki Kaisha Device and method for enabling the use of a device through a wireless interface.
US20050097046A1 (en) * 2003-10-30 2005-05-05 Singfield Joy S. Wireless electronic check deposit scanning and cashing machine with web-based online account cash management computer application system
US7392046B2 (en) * 2004-02-10 2008-06-24 Microsoft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automatic diagnosis and resolution of wireless network malfunctions
US20060154642A1 (en) * 2004-02-20 2006-07-13 Scannell Robert F Jr Medication & health, environmental, and security monitoring, alert, intervention, information and network system with associated and supporting apparatuses
JP4475639B2 (ja) * 2004-04-14 2010-06-09 キヤノン株式会社 無線端末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と通信制御方法
DE102004021321B8 (de) * 2004-04-30 2011-11-10 Siemens Ag Verfahren und Einheit zum Ermitteln nutzbarer Dienste
US7580398B2 (en) * 2004-06-30 2009-08-25 Canon Kabushiki Kaisha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printing device, printing system, system setting method, storage medium storing computer-readable program, and program
JP4425084B2 (ja) 2004-07-23 2010-03-03 株式会社技研製作所 オーガヘッド交換装置
JP4498067B2 (ja) * 2004-08-27 2010-07-07 キヤノン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及び情報処理方法
US7940744B2 (en) * 2004-09-16 2011-05-10 Seiko Epson Corporation System, apparatus and method for automated wireless device configuration
JP4107303B2 (ja) * 2005-03-31 2008-06-25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無線接続設定プログラム、記録媒体、コンピュータ、及び無線ネットワーク
US8532304B2 (en) * 2005-04-04 2013-09-10 Nokia Corporation Administration of wireless local area networks
US7805382B2 (en) * 2005-04-11 2010-09-28 Mkt10, Inc. Match-based employment system and method
US8244179B2 (en) * 2005-05-12 2012-08-14 Robin Dua Wireless inter-device data processing configured through inter-device transmitted data
JP5074677B2 (ja) 2005-08-12 2012-11-14 キヤノン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方法、周辺装置、制御プログラム
KR100765768B1 (ko) * 2005-12-07 2007-10-15 삼성전자주식회사 무선 통신 네트워크상에서의 연결 자동 설정 방법 및 장치,그를 이용한 무선 통신 네트워크
US20070237102A1 (en) * 2006-04-07 2007-10-11 Trott Gary R System and method for transferring data to and from mobile devices
US20070264991A1 (en) * 2006-05-15 2007-11-15 Microsoft Corporation Services near me: discovering and connecting to available wireless services utilizing proximity discovery
KR101085905B1 (ko) * 2007-03-13 2011-11-23 삼성전자주식회사 무선 네트워크 인쇄시스템
US20080261526A1 (en) * 2007-04-23 2008-10-23 Narashima Suresh Identifying and reaching users through mobile devices to provide relevant and real-time information
US20080288423A1 (en) * 2007-05-15 2008-11-20 Jon Eastman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access to a network
US8331334B2 (en) * 2007-07-20 2012-12-11 Broadcom Corporation Method and system for a handheld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for configuring connection to and use of local and remote resources
US8159706B2 (en) * 2007-09-12 2012-04-17 Ricoh Company, Ltd.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and information communication method
US9246924B2 (en) * 2007-12-13 2016-01-26 Sonim Technologies, Inc. Method for sharing service identity among multiple client devices in a real-time communications network
US9047743B2 (en) * 2008-03-18 2015-06-02 Sony Corporation Sophisticated automated relationship alerter
JP4748196B2 (ja) * 2008-09-17 2011-08-17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無線通信装置、識別子出力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4844612B2 (ja) * 2008-09-30 2011-12-28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無線通信装置、接続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4844611B2 (ja) * 2008-09-30 2011-12-28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無線通信装置、接続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4670946B2 (ja) * 2008-12-04 2011-04-13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無線通信装置及びプログラム
EP2373073B1 (en) * 2008-12-26 2016-11-09 Panasonic Intellectual Property Corporation of America Communication device
JP4981826B2 (ja) * 2009-01-28 2012-07-25 シャープ株式会社 通信システム、画像形成装置及び携帯情報端末装置
US8712688B2 (en) * 2009-12-10 2014-04-29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Method for providing interactive site map
US20110177780A1 (en) * 2010-01-15 2011-07-21 Kabushiki Kaisha Toshiba Wireless communication apparatus
US10394570B2 (en) * 2010-02-26 2019-08-27 Hp Printing Korea Co., Ltd. Method of generating boot image for fast booting and image forming apparatus for performing the method, and method of performing fast booting and image forming apparatus for performing the method
JP5839776B2 (ja) * 2010-03-11 2016-01-06 キヤノン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US20120062734A1 (en) * 2010-03-12 2012-03-15 Mironichev Sergei Y Coordinator Module
US10223866B2 (en) * 2010-06-14 2019-03-05 Automated Cashless Systems, Inc. Electronic transaction systems and methods for gaming or amusement credit purchases
EP2402860B1 (en) * 2010-06-29 2020-10-07 Brother Kogyo Kabushiki Kaisha Data processing apparatus
JP2012022576A (ja) * 2010-07-15 2012-02-02 Brother Ind Ltd 情報処理プログラム
US20130006750A1 (en) * 2010-11-04 2013-01-03 Simmons Jr Lawrence David Consumer created coupons
KR101817593B1 (ko) * 2010-12-09 2018-01-12 에스프린팅솔루션 주식회사 화상형성장치 및 호스트 장치와 그 연결 방법
US8699948B2 (en) * 2011-01-25 2014-04-15 Sony Corporation Connection method for near field communication
CN102681798A (zh) * 2011-03-17 2012-09-19 东友科技股份有限公司 便携式通信装置的打印系统与方法
JP5644639B2 (ja) * 2011-03-31 2014-12-24 富士通株式会社 プログラム、システムおよび連携方法
JP5929210B2 (ja) * 2011-06-24 2016-06-01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情報処理プログラム、情報処理装置および情報処理装置の制御方法
US20130018960A1 (en) * 2011-07-14 2013-01-17 Surfari Inc. Group Interaction around Common Online Content
WO2013052678A2 (en) * 2011-10-04 2013-04-11 Advanergy, Inc. Battery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US9215649B2 (en) * 2011-11-30 2015-12-15 Intel Corporation Techniques for assisted network acquisition
US9013729B2 (en) * 2011-12-06 2015-04-21 Ricoh Company, Ltd. Mobile terminal apparatus and mobile print application
JP5899919B2 (ja) * 2011-12-27 2016-04-06 富士ゼロックス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及びプログラム
US20130227647A1 (en) * 2012-02-28 2013-08-29 Apple Inc. Shared network access via a peer-to-peer link
JP5981733B2 (ja) * 2012-03-05 2016-08-31 キヤノン株式会社 システムおよび制御方法
JP5941300B2 (ja) * 2012-03-05 2016-06-29 キヤノン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装置の制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EP3012981B1 (en) * 2012-03-15 2019-11-13 Intel Corporation Near field communication (nfc) and proximity sensor for portable devices
KR101997577B1 (ko) * 2012-03-23 2019-10-01 삼성전자주식회사 근거리 무선 통신 리더를 구비한 모바일 단말 장치와 근거리 무선 통신 태그를 구비한 디바이스 및 그 ap 연결 방법
JP2013214807A (ja) * 2012-03-30 2013-10-17 Brother Ind Ltd 画像出力装置、通信装置のプログラム、および、情報管理装置
MX342724B (es) * 2012-04-10 2016-10-10 Sony Corp Aparato de comunicación, método de control de comunicaciones y programa.
US9198204B2 (en) * 2012-04-11 2015-11-24 Google Inc. Apparatus and method for seamless commissioning of wireless devices
TWI587226B (zh) * 2012-04-17 2017-06-11 台灣開發建設股份有限公司 電子標籤及用於確保電子標籤的處理系統與方法
US20130288601A1 (en) * 2012-04-26 2013-10-31 Apple Inc. Automatic configuration of electronic devices
US9485102B2 (en) * 2012-06-27 2016-11-01 Intel Corporation Techniques for user-validated close-range mutual authentication
US20140002338A1 (en) * 2012-06-28 2014-01-02 Intel Corporation Techniques for pose estimation and false positive filtering for gesture recognition
US9258712B2 (en) * 2012-09-04 2016-02-09 Nokia Technologies Oy Method, apparatus,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for sharing wireless network configurations
KR101888650B1 (ko) * 2012-09-07 2018-08-14 삼성전자주식회사 애플리케이션 실행 방법 및 이를 위한 단말
CN104662873B (zh) * 2012-09-25 2018-06-26 汤姆逊许可公司 用于减少由迁移引起的核心网络流量的方法和装置
KR101658495B1 (ko) * 2012-10-29 2016-09-21 후아웨이 디바이스 컴퍼니 리미티드 통신 접속을 구축하는 방법 및 장치
US20140127994A1 (en) * 2012-11-07 2014-05-08 Microsoft Corporation Policy-based resource access via nfc
US9112844B2 (en) * 2012-12-06 2015-08-18 Audible, Inc. Device credentialing for network access
KR102069876B1 (ko) * 2012-12-21 2020-01-23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기기, 개인 클라우드 기기, 개인 클라우드 시스템 및 이들의 개인 클라우드 기기 등록 방법
JP5994627B2 (ja) * 2012-12-26 2016-09-21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情報処理プログラム、情報処理装置および情報処理装置の制御方法
US9477690B2 (en) * 2013-02-04 2016-10-25 Nokia Technologies Oy Method and apparatus for measuring information associated with another device
US10271200B2 (en) * 2013-03-15 2019-04-23 Mars, Incorporated Provisioning wireless device profiles
JP5838988B2 (ja) * 2013-03-28 2016-01-06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通信プログラムおよび通信装置
JP5962564B2 (ja) * 2013-03-28 2016-08-03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通信制御プログラムおよび通信装置
US9538561B2 (en) * 2013-05-22 2017-01-03 Intel IP Corporation Systems and methods for enabling service interoperability functionality for WiFi Direct devices connected to a network via a wireless access point
JP6282046B2 (ja) * 2013-05-23 2018-02-21 キヤノン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装置の制御方法、プログラム
JP6368989B2 (ja) * 2013-06-11 2018-08-08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通信装置
JP6136620B2 (ja) * 2013-06-18 2017-05-31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情報処理プログラム、情報処理装置および情報処理装置の制御方法
US20140376049A1 (en) * 2013-06-19 2014-12-25 Werner von Stein Direct Printing of Photos from Mobile Devices
JP6344893B2 (ja) 2013-07-19 2018-06-20 キヤノン株式会社 通信装置、通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JP2015073231A (ja) * 2013-10-03 2015-04-16 キヤノン株式会社 通信装置、通信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6305023B2 (ja) * 2013-11-13 2018-04-04 キヤノン株式会社 通信装置、通信装置の制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CA2934784A1 (en) * 2013-12-27 2015-07-02 Panasonic Intellectual Property Corporation Of America Visible light communication method, identification signal, and receiver
JP6252172B2 (ja) * 2013-12-27 2017-12-27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通信システム、通信装置、および情報処理プログラム
CN105850095B (zh) * 2014-01-08 2019-04-12 华为技术有限公司 认证关联方法及系统
US20150201443A1 (en) * 2014-01-10 2015-07-16 Qualcomm Incorporated Point and share using ir triggered p2p
JP2015142243A (ja) * 2014-01-29 2015-08-03 ソニー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5980258B2 (ja) * 2014-03-11 2016-08-31 キヤノン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装置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6333032B2 (ja) * 2014-04-09 2018-05-30 キヤノン株式会社 通信方法、通信端末、及びプログラム
US20150327069A1 (en) * 2014-05-07 2015-11-12 Altek Corporation Method of establishing wireless connection and wireless access point device
US9679310B1 (en) * 2014-06-10 2017-06-13 Cocoanut Manor, LLC Electronic display with combined human and machine readable elements
JP6071949B2 (ja) * 2014-06-25 2017-02-01 キヤノン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そ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US9578511B2 (en) * 2014-06-30 2017-02-21 Libre Wireless Technologies, Inc. Systems and techniques for wireless device configuration
JP6401523B2 (ja) * 2014-07-04 2018-10-10 キヤノン株式会社 通信装置及び端末装置及びそれら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並びに、ネットワーク処理システム
JP6204882B2 (ja) * 2014-07-16 2017-09-27 キヤノン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制御方法、並びにプログラム
JP6341785B2 (ja) * 2014-07-24 2018-06-13 キヤノン株式会社 印刷装置、印刷装置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US10681591B2 (en) * 2014-07-31 2020-06-09 Lg Electronic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electronic device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supporting Bluetooth communication
KR102306271B1 (ko) * 2014-07-31 2021-09-28 엘지전자 주식회사 블루투스 통신을 지원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전자기기를 제어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WO2016017909A1 (ko) * 2014-07-31 2016-02-04 엘지전자(주) 블루투스 통신을 지원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전자기기를 제어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JP6149822B2 (ja) * 2014-08-21 2017-06-21 コニカミノルタ株式会社 情報処理システム、情報処理装置、携帯端末装置およびプログラム
JP6614763B2 (ja) * 2014-09-03 2019-12-04 キヤノン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装置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2016082576A (ja) * 2014-10-10 2016-05-16 株式会社リコー 通信装置、通信方法、システム、およびプログラム
US9362988B2 (en) * 2014-10-28 2016-06-07 Qualcomm Incorporated WWAN and WLAN cooperative support of multi-SIM devices
JP6537255B2 (ja) * 2014-12-04 2019-07-03 キヤノン株式会社 通信装置、通信装置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6521618B2 (ja) * 2014-12-04 2019-05-29 キヤノン株式会社 通信装置の制御方法、プログラム
JP2016111634A (ja) * 2014-12-09 2016-06-20 キヤノン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装置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KR20170092648A (ko) * 2014-12-12 2017-08-11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통신 장치, 통신 장치의 제어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
JP2016127455A (ja) * 2015-01-05 2016-07-11 キヤノン株式会社 通信装置、通信装置の制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JP6482279B2 (ja) * 2015-01-07 2019-03-13 キヤノン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制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US20160227474A1 (en) * 2015-02-03 2016-08-04 Vizio Inc Multi-device network setup
JP6562660B2 (ja) * 2015-03-04 2019-08-21 キヤノン株式会社 通信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と、プログラム
US20160338120A1 (en) * 2015-05-14 2016-11-17 Smart Technologies, Ulc System And Method Of Communicating Between Interactive Systems
JP6558965B2 (ja) * 2015-06-04 2019-08-14 キヤノン株式会社 通信装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6509051B2 (ja) * 2015-06-17 2019-05-08 キヤノン株式会社 携帯端末装置、プログラム、情報処理方法
JP6608190B2 (ja) * 2015-06-23 2019-11-20 キヤノン株式会社 情報端末、そ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6525771B2 (ja) * 2015-06-30 2019-06-05 キヤノン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制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JP6560559B2 (ja) * 2015-08-10 2019-08-14 キヤノン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装置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6578913B2 (ja) * 2015-12-01 2019-09-25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電子機器、端末、無線通信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6184580B1 (ja) * 2016-01-29 2017-08-23 キヤノン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制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US10045354B2 (en) * 2016-03-24 2018-08-07 Starkey Laboratories, Inc. Adaptive channel mapping for wireless communications
JP6619682B2 (ja) * 2016-03-31 2019-12-11 キヤノン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制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JP6676469B2 (ja) * 2016-05-20 2020-04-08 キヤノン株式会社 通信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プログラム
US11160688B2 (en) * 2016-11-10 2021-11-02 Samsung Electronics Co., Ltd. Visual aid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operating the same
US10356650B2 (en) * 2017-05-19 2019-07-16 Alliance Laundry Systems Llc Method, system, device, and program for remotely communicating with and controlling laundry units
JP6667476B2 (ja) * 2017-06-30 2020-03-18 キヤノン株式会社 通信装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2020145557A (ja) * 2019-03-05 2020-09-10 キヤノン株式会社 プログラム、情報処理装置、および制御方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1793531A1 (en) * 2005-11-30 2007-06-06 Sony Corporatio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communication apparatus, setting information providing method, setting information obtaining method, and computer program.
US20100232408A1 (en) * 2009-03-12 2010-09-16 Lim Jin-Mook Method of connecting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s and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using the same
EP2725774A2 (en) * 2012-10-29 2014-04-30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apparatus, image forming apparatus and wireless connection method
WO2015175436A1 (en) * 2014-05-12 2015-11-19 Flir Systems, Inc. Proximity-based camera configuratio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017644A1 (ko) 2017-07-18 2019-01-24 주식회사 엘지화학 배터리 모듈, 배터리 팩 및 이를 포함하는 자동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2256212A (zh) 2021-01-22
US20170223748A1 (en) 2017-08-03
EP3944674A2 (en) 2022-01-26
EP3209065A3 (en) 2018-01-17
KR102130070B1 (ko) 2020-07-03
US9999077B2 (en) 2018-06-12
JP6184580B1 (ja) 2017-08-23
US20200322999A1 (en) 2020-10-08
US11882607B2 (en) 2024-01-23
KR102366028B1 (ko) 2022-02-22
EP3416428B1 (en) 2021-07-28
EP3209065A2 (en) 2017-08-23
US20220086925A1 (en) 2022-03-17
JP2017188869A (ja) 2017-10-12
EP3416428A1 (en) 2018-12-19
US20180132305A1 (en) 2018-05-10
US20190200399A1 (en) 2019-06-27
KR20200080216A (ko) 2020-07-06
US10701742B2 (en) 2020-06-30
US11229068B2 (en) 2022-01-18
CN107025083B (zh) 2020-11-06
EP3944674A3 (en) 2022-03-30
EP3209065B1 (en) 2019-09-04
US10244563B2 (en) 2019-03-26
CN107025083A (zh) 2017-08-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66028B1 (ko) 정보처리장치, 정보처리장치의 제어방법 및 통신 시스템의 제어방법
US11659128B2 (en) Wireless communication processing in an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US10397963B2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control method, and non-transitory computer-readable storage medium
JP7230124B2 (ja) プログラム、通信装置、制御方法
JP2017184166A (ja) プログラム、情報処理方法、および情報処理装置
CN112019996A (zh) 执行通信的装置及其控制方法
CN116684997A (zh) 系统及其控制方法
EP3690632B1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US20240078053A1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control method, and storage medium
JP2017212502A (ja) 通信装置、そ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KR20230046981A (ko) 정보 처리 장치, 그 제어 방법, 및 저장 매체
JP2023044218A (ja) 情報処理装置、通信装置、その制御方法、並びにプログラム
JP2019205191A (ja) 情報処理装置、制御方法、プログラ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