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82515A - 대차식 반송 장치 - Google Patents

대차식 반송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82515A
KR20170082515A KR1020177010626A KR20177010626A KR20170082515A KR 20170082515 A KR20170082515 A KR 20170082515A KR 1020177010626 A KR1020177010626 A KR 1020177010626A KR 20177010626 A KR20177010626 A KR 20177010626A KR 20170082515 A KR20170082515 A KR 2017008251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ndless chain
path portion
horizontal
turn
engag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70106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974929B1 (ko
Inventor
마사히로 이시바시
쥰이치 무라나가
시게루 바바
유키치 타무라
시게유키 쿠스하라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다이후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다이후쿠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다이후쿠
Publication of KR2017008251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8251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7492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7492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17/00Conveyors having an endless traction element, e.g. a chain, transmitting movement to a continuous or substantially-continuous load-carrying surface or to a series of individual load-carriers; Endless-chain conveyors in which the chains form the load-carrying surface
    • B65G17/12Conveyors having an endless traction element, e.g. a chain, transmitting movement to a continuous or substantially-continuous load-carrying surface or to a series of individual load-carriers; Endless-chain conveyors in which the chains form the load-carrying surface comprising a series of individual load-carriers fixed, or normally fixed, relative to traction element
    • B65G17/123Conveyors having an endless traction element, e.g. a chain, transmitting movement to a continuous or substantially-continuous load-carrying surface or to a series of individual load-carriers; Endless-chain conveyors in which the chains form the load-carrying surface comprising a series of individual load-carriers fixed, or normally fixed, relative to traction element arranged to keep the load-carriers horizontally during at least a part of the conveyor ru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35/00Mechanical conveyo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G35/06Mechanical conveyo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prising a load-carrier moving along a path, e.g. a closed path, and adapted to be engaged by any one of a series of traction elements spaced along the path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17/00Conveyors having an endless traction element, e.g. a chain, transmitting movement to a continuous or substantially-continuous load-carrying surface or to a series of individual load-carriers; Endless-chain conveyors in which the chains form the load-carrying surface
    • B65G17/002Conveyors having an endless traction element, e.g. a chain, transmitting movement to a continuous or substantially-continuous load-carrying surface or to a series of individual load-carriers; Endless-chain conveyors in which the chains form the load-carrying surface comprising load carriers resting on the traction ele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17/00Conveyors having an endless traction element, e.g. a chain, transmitting movement to a continuous or substantially-continuous load-carrying surface or to a series of individual load-carriers; Endless-chain conveyors in which the chains form the load-carrying surface
    • B65G17/06Conveyors having an endless traction element, e.g. a chain, transmitting movement to a continuous or substantially-continuous load-carrying surface or to a series of individual load-carriers; Endless-chain conveyors in which the chains form the load-carrying surface having a load-carrying surface formed by a series of interconnected, e.g. longitudinal, links, plates, or platfor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17/00Conveyors having an endless traction element, e.g. a chain, transmitting movement to a continuous or substantially-continuous load-carrying surface or to a series of individual load-carriers; Endless-chain conveyors in which the chains form the load-carrying surface
    • B65G17/26Conveyors having an endless traction element, e.g. a chain, transmitting movement to a continuous or substantially-continuous load-carrying surface or to a series of individual load-carriers; Endless-chain conveyors in which the chains form the load-carrying surface comprising a series of co-operating units, e.g. interconnected by pivo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PVEHICLES ADAPTED FOR LOAD TRANSPORTATION OR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1/00Vehicles predominantly for transporting loads and modified to facilitate loading, consolidating the load, or unloading
    • B60P1/36Vehicles predominantly for transporting loads and modified to facilitate loading, consolidating the load, or unloading using endless chains or belts there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17/00Conveyors having an endless traction element, e.g. a chain, transmitting movement to a continuous or substantially-continuous load-carrying surface or to a series of individual load-carriers; Endless-chain conveyors in which the chains form the load-carrying surface
    • B65G17/12Conveyors having an endless traction element, e.g. a chain, transmitting movement to a continuous or substantially-continuous load-carrying surface or to a series of individual load-carriers; Endless-chain conveyors in which the chains form the load-carrying surface comprising a series of individual load-carriers fixed, or normally fixed, relative to traction ele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17/00Conveyors having an endless traction element, e.g. a chain, transmitting movement to a continuous or substantially-continuous load-carrying surface or to a series of individual load-carriers; Endless-chain conveyors in which the chains form the load-carrying surface
    • B65G17/12Conveyors having an endless traction element, e.g. a chain, transmitting movement to a continuous or substantially-continuous load-carrying surface or to a series of individual load-carriers; Endless-chain conveyors in which the chains form the load-carrying surface comprising a series of individual load-carriers fixed, or normally fixed, relative to traction element
    • B65G17/126Bucket eleva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17/00Conveyors having an endless traction element, e.g. a chain, transmitting movement to a continuous or substantially-continuous load-carrying surface or to a series of individual load-carriers; Endless-chain conveyors in which the chains form the load-carrying surface
    • B65G17/12Conveyors having an endless traction element, e.g. a chain, transmitting movement to a continuous or substantially-continuous load-carrying surface or to a series of individual load-carriers; Endless-chain conveyors in which the chains form the load-carrying surface comprising a series of individual load-carriers fixed, or normally fixed, relative to traction element
    • B65G17/14Conveyors having an endless traction element, e.g. a chain, transmitting movement to a continuous or substantially-continuous load-carrying surface or to a series of individual load-carriers; Endless-chain conveyors in which the chains form the load-carrying surface comprising a series of individual load-carriers fixed, or normally fixed, relative to traction element with two spaced connections to traction ele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1/00Indexing codes relating to handling devices, e.g. conveyor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product or load being conveyed or handled
    • B65G2201/02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812/00Indexing codes relating to the kind or type of conveyors
    • B65G2812/01Conveyors composed of several types of conveyors
    • B65G2812/016Conveyors composed of several types of conveyors for conveying material by co-operating units in tandem
    • B65G2812/017Conveyors composed of several types of conveyors for conveying material by co-operating units in tandem using tilted or side by side conveyor sec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Intermediate Stations On Conveyors (AREA)
  • Handcart (AREA)
  • Escalators And Moving Walkways (AREA)
  • Chain Convey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대차식 반송 장치는, 승강 경로부(3)에서 서로 병렬 연동하는 제1 엔들리스 체인(27)과 제2 엔들리스 체인(28)에, 걸어맞춤부(55, 57)가 설치되고, 반송 대차(13)에는, 상기 양쪽 걸어맞춤부(55, 57)에 걸어맞추어지는 피걸어맞춤부(16a, 16b)가 설치되고, 수평 경로부(1)에서는, 반송 대차(13)의 피걸어맞춤부(16a, 16b)가 제1 엔들리스 체인(27)의 걸어맞춤부(55)에 걸어맞추어지는 대차식 반송 장치이며, 제1 엔들리스 체인(27)에는, 상기 양쪽 피걸어맞춤부(16a, 16b)가 동시에 끼워맞추어지는 걸어맞춤부(55)가 적당 간격으로 설치되고, 이 제1 엔들리스 체인(27)의 걸어맞춤부(55)와 반송 대차의 피걸어맞춤부(16a, 16b)는 수평 경로부(1)에서 반송 대차(13)를 상하 방향으로 착탈할 수 있도록, 서로 끼우고 빼기 자유롭게 구성된 것이다.

Description

대차식 반송 장치{CART-TYPE TRANSPORTING DEVICE}
본 발명은 주행 경로 중의 수평 경로부와 수직 경로부의 일방으로부터 타방으로, 반송 대차가 수평 정립 자세를 유지하고 주행하는 대차식 반송 장치에 관한 것이다.
상기와 같은 대차식 반송 장치로서, 수평 경로부와 승강 경로부의 일방으로부터 타방으로 연속하도록 좌우 한 쌍의 제1 엔들리스 체인이 연장 설치되고, 승강 경로부에는, 좌우 한 쌍의 제1 엔들리스 체인과 병렬하고 또한 당해 제1 엔들리스 체인과 연동하여 회동하는 좌우 한 쌍의 제2 엔들리스 체인이 연장 설치되고, 이들 제1 엔들리스 체인과 제2 엔들리스 체인에는, 상기 승강 경로부에 있어서 동일 높이에서 동일한 방향으로 병렬 승강 이동하는 걸어맞춤부가 설치되고, 반송 대차의 좌우 양측에는, 상기 승강 경로부에 있어서 동일 높이에서 동일한 방향으로 병렬 승강 이동하는 제1 엔들리스 체인의 걸어맞춤부와 제2 엔들리스 체인의 걸어맞춤부에 걸어맞추어지는 피걸어맞춤부가 설치되고, 수평 경로부에서는, 반송 대차의 피걸어맞춤부가 제1 엔들리스 체인의 걸어맞춤부에 걸어 맞추어져 구동되도록 구성된 대차식 반송 장치가 특허문헌 1 등에 의해 알려져 있다.
일본 특개 2011-79624호 공보
(발명의 개요)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
이러한 대차식 반송 장치에서는, 반송 대차는 일정한 간격을 유지하고 주행하므로, 예를 들면, 수평 경로부로부터 수직 경로부로 턴 경로부를 경유하여 반송 대차가 상승 이동하는 것과 같은 경우, 턴 경로부를 경유하여 상승 이동을 개시한 반송 대차는 수평 경로부를 주행하고 있을 때의 전진 방향의 단위시간당의 이동거리보다도, 전진 방향의 단위시간당의 이동거리가 짧아지므로, 턴 경로부를 경유하여 상승 이동을 개시한 반송 대차와, 아직 수평 경로부상을 전진 주행하고 있는 직후의 반송 대차 사이의 간격이 좁아지게 된다. 따라서, 턴 경로부의 입구 영역에서 전후의 반송 대차끼리 상호 서로 간섭하지 않도록, 반송 대차의 높이나 전후 양단의 측면 형상을 설계함과 아울러, 수평 경로부에서의 전후의 반송 대차간의 간격을 설정하게 된다.
당연히, 반송 대차에는 짐이 적재되는 것이므로, 짐이 적재되어 있지 않을 때의 반송 대차의 높이에 기초하여 수평 경로부에서의 전후의 반송 대차 간의 간격을 설정한 것에서는, 반송 대차에 짐이 적재되어 있는 경우에, 턴 경로부의 출입구 영역에서, 전후의 반송 대차의 일방과 타방의 반송 대차 상의 짐이 충돌하는 문제가 생긴다. 따라서, 이 종류의 대차식 반송 장치에서는, 취급하는 짐을 포함하는 반송 대차 전체의 높이에 기초하여, 수평 경로부에서의 전후의 반송 대차의 간격을 설정할 필요가 있었다. 바꾸어 말하면, 취급하는 짐 중 최대 높이의 짐을 반송하는 경우를 상정하고, 수평 경로부에서의 전후의 반송 대차의 간격을 설정하고 있었으므로, 높이가 낮은 짐을 취급하는 경우에는, 반송 효율이 저하되게 되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할 수 있는 대차식 반송 장치를 제안하는 것으로서, 본 발명에 따른 대차식 반송 장치는, 후술하는 실시예와의 관계를 이해하기 쉽게 하기 위하여, 당해 실시예의 설명에서 사용한 참조부호를 괄호를 붙여 나타내면, 서로 턴 경로부(2)를 통하여 접속된 수평 경로부(1)와 승강 경로부(3)의 일방으로부터 타방으로 연속하도록 좌우 한 쌍의 제1 엔들리스(無端) 체인(27)이 연장 설치(張設)되고, 승강 경로부(3)에는, 좌우 한 쌍의 제1 엔들리스 체인(27)과 병렬하고 또한 당해 제1 엔들리스 체인(27)과 연동하여 회동하는 좌우 한 쌍의 제2 엔들리스 체인(28)이 연장 설치되고, 이들 제1 엔들리스 체인(27)과 제2 엔들리스 체인(28)에는, 상기 승강 경로부(3)에 있어서 동일 높이에서 동일한 방향으로 병렬 승강 이동하는 걸어맞춤부(係合部)(55, 57)가 설치되고, 반송 대차(13)의 좌우 양측에는, 상기 승강 경로부(3)에 있어서 동일 높이에서 동일한 방향으로 병렬 승강 이동하는 제1 엔들리스 체인(27)의 걸어맞춤부(55)와 제2 엔들리스 체인(28)의 걸어맞춤부(57)에 걸어맞추어지는 전후 2개의 피걸어맞춤부(被係合部)(16a, 16b/17a, 17b)가 설치되고, 수평 경로부(1)에서는, 반송 대차(13)의 피걸어맞춤부(16a, 16b/17a, 17b)가 제1 엔들리스 체인(27)의 걸어맞춤부(55)에 걸어맞추어지도록 구성된 대차식 반송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1 엔들리스 체인(27)에는, 반송 대차(13)의 전후 2개의 피걸어맞춤부(16a, 16b/17a, 17b)가 동시에 끼워맞추어지는 걸어맞춤부(55)가 적당 간격으로 설치되고, 이 제1 엔들리스 체인(27)의 걸어맞춤부(55)와 반송 대차(13)의 피걸어맞춤부(16a∼17b)는 수평 경로부(1)에서 반송 대차(13)를 상하 방향으로 착탈할 수 있도록, 서로 끼우고 빼기 자유롭게 구성되고, 반송 대차(13)에 실리는 짐(荷)(W)의 높이에 따라, 수평 경로부(1)에서 반송 대차(13)의 피걸어맞춤부(16a∼17b)가 끼워맞추어지는 제1 엔들리스 체인(27)측의 걸어맞춤부(55)를 변경하여, 수평 경로부(1)에서의 반송 대차(13)의 간격을 변경할 수 있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또한, 상기의 본 발명에 따른 기본구성 A는 이하에 열기하는 것과 같이 구체화하여 실시할 수 있다.
「구성 B」
반송 대차(13)의 각 피걸어맞춤부(16a∼17b)는 반송 대차(13)의 전후 좌우 4개소에 축지지된 차륜(18a∼19b)과, 이 차륜(18a∼19b)으로부터 동심 형상으로 돌출하는 돌출축(20a∼21b)으로 구성할 수 있다.
「구성 C」
제1 엔들리스 체인(27)의 각 걸어맞춤부(55)는 수평 경로부에서 제1 엔들리스 체인(27)으로부터 내측으로 돌출 설치된 것으로, 상기 반송 대차(13)의 각 피걸어맞춤부(16a∼17b)의 돌출축(20a∼21b)이 수평 경로부에서 상하 방향으로 끼우고 빼기 자유롭게 끼워맞추어지도록 설치된 오목부(56)를 구비하고, 제2 엔들리스 체인(28)의 걸어맞춤부(57)는, 수직 경로부(3)에서 수평으로 옆을 향하게 된 제1 엔들리스 체인(27)의 걸어맞춤부(55)와 마찬가지로, 당해 제2 엔들리스 체인(28)의 내측으로 돌출 설치된 것으로, 상기 반송 대차(13)의 각 피걸어맞춤부(16a∼17b)의 돌출축(20a∼21b)이 수평 횡방향으로 끼워맞추어지도록 수평으로 옆을 향하여 형성된 오목부(59)를 구비하고 있다. 이 구성 C는 구성 B와 조합하여 실시된다.
「구성 D」
제1 엔들리스 체인(27)의 모든 걸어맞춤부(55)는 반송 대차(13)의 피걸어맞춤부(16a∼17b)의 전후 방향의 간격과 동일한 등간격으로 배열되어 있다. 이 구성 C는 구성 A∼구성 C 중 적어도 어느 1개와 조합하여 실시할 수 있다.
상기의 본 발명의 구성에 의하면, 수평 경로부에서의 반송 대차의 주행 방향의 간격이 일정하게 고정되어 있는 것이 아니고, 제1 엔들리스 체인이 구비하는 걸어맞춤부의 배치에 의해 정해지는 단계적으로, 수평 경로부에서의 반송 대차의 주행 방향의 간격을 변경할 수 있다. 게다가 그 작업은, 모든 반송 대차를 수평 경로부에 위에서 재치하여 세팅할 때에, 반송 대차의 피걸어맞춤부가 끼워맞추어지는 제1 엔들리스 체인측의 걸어맞춤부를 선택 변경하는 것만으로 되어, 대단히 간단하고 용이하게 실행할 수 있다. 따라서, 취급하는 짐의 높이가 낮을 때는, 수평 경로부에서의 반송 대차의 주행 방향의 간격을 좁혀, 반송 효율을 높일 수 있고, 취급하는 짐의 높이가 높을 때는, 수평 경로부에서의 반송 대차의 주행 방향의 간격을 벌려, 턴 경로부의 출입구에 있어서, 선행하는 반송 대차와 후속의 반송 대차 사이에서, 일방의 반송 대차와, 타방의 반송 대차 위에 적재된 높이가 높은 짐이 충돌한다고 하는 것과 같은 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승강 경로부와 수평 경로부 사이의 상하 위치 관계나, 반송 대차가 수평 경로부와 승강 경로부 사이를 통과할 때의 주행 방향에 관계없이, 짐을 적재한 반송 대차가 수평 경로부와 승강 경로부 사이의 턴 경로부를 주행 통과할 때의 과제를 해결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을 실시하는 경우, 상기 구성 B를 채용하면, 턴 경로부에 필요한 보조 회전체, 즉 제1 엔들리스 체인의 걸어맞춤부와 제2 엔들리스 체인의 걸어맞춤부 사이에서 반송 대차의 피걸어맞춤부를 옮겨타게 하는 경우, 상황에 따라 차륜과 돌출축 중 어느 하나, 문제없이 사용할 수 있는 쪽을 선택하여, 턴 경로부를 구성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구성 C를 조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구성 D를 조합하여 실시함으로써, 반송 대차의 피걸어맞춤부의 전후 방향의 간격과 동일한 간격의 2개의 걸어맞춤부를 1세트로 하여, 각 세트의 2개의 걸어맞춤부를, 반송 대차의 피걸어맞춤부의 전후 방향의 간격과는 상이한 임의의 간격으로 배열하는 경우와 비교하여, 반송 대차를 수평 경로 위에 세팅할 때 필요하게 되는, 대상이 되는 걸어맞춤부의 확인 작업이 간단하고 용이하게 된다.
도 1은 반송 장치 전체의 반송 대차 주행 경로와 구동용 엔들리스 체인을 도시하는 개략 측면도이다.
도 2a는 반송 대차와 그 구동용 엔들리스 체인을 도시하는 측면도, 도 2b는 반송 대차의 저면도, 도 2c는 도 2b의 X-X선 단면도이다.
도 3은 반송 장치 전체의 가이드 레일 관계의 배치를 도시하는 개략 측면도이다.
도 4는 제1 턴 경로부를 설명하는 일부 절결 평면도이다.
도 5a는 제1 수평 경로부에 대한 반송 대차의 옮겨싣기 시의 상태를 도시하는 일부 종단 정면도, 도 5b는 제1 턴 경로부에서의 엔들리스 체인 턴부의 종단 정면도이다.
도 6a는 제4 수평 경로부로부터 제1 턴 경로부를 거쳐 제1 수평 경로부에 이르는 반송 대차의 주행을 설명하는 제1 단계의 측면도, 도 6b는 동 제2 단계의 측면도, 도 6c는 동 제3 단계의 측면도이다.
도 7a는 동 제4 단계의 측면도, 도 7b는 동 제5 단계의 측면도이다.
도 8은 제2 턴 경로부를 설명하는 일부 절결 평면도이다.
도 9a는 제1 수평 경로부로부터 제2 턴 경로부를 거쳐 제1 승강 경로부에 이르는 반송 대차의 주행을 설명하는 제1 단계의 측면도, 도 9b는 동 제2 단계의 측면도이다.
도 10은 제3 턴 경로부를 설명하는 일부 절결 평면도이다.
도 11은 제1 승강 경로부로부터 제3 턴 경로부를 거쳐 제2 수평 경로부에 이르는 반송 대차의 주행을 설명하는 제1 단계의 측면도이다.
도 12a는 동 제2 단계의 측면도, 도 12b는 동 제3 단계의 측면도이다.
도 13은 제4 턴 경로부를 설명하는 일부 절결 평면도이다.
도 14는 동 제4 턴 경로부에서의 엔들리스 체인 턴부의 종단 정면도이다.
도 15a는 제2 수평 경로부로부터 제4 턴 경로부를 거쳐 제3 수평 경로부에 이르는 반송 대차의 주행을 설명하는 제1 단계의 측면도, 도 15b는 동 제2 단계의 측면도, 도 15c는 동 제3 단계의 측면도이다.
도 16a는 동 제4 단계의 측면도, 도 16b는 동 제5 단계의 측면도이다.
도 17은 제5 턴 경로부를 설명하는 일부 절결 평면도이다.
도 18a는 제3 수평 경로부로부터 제5 턴 경로부를 거쳐 제2 승강 경로부에 이르는 반송 대차의 주행을 설명하는 제1 단계의 측면도, 도 18b는 동 제2 단계의 측면도이다.
도 19a는 동 제3 단계의 측면도, 도 19b는 동 제4 단계의 측면도이다.
도 20은 제6 턴 경로부를 설명하는 일부 절결 평면도이다.
도 21은 제2 승강 경로부로부터 제6 턴 경로부를 거쳐 제4 수평 경로부에 이르는 반송 대차의 주행을 설명하는 제1 단계의 측면도이다.
도 22a는 동 제2 단계의 측면도, 도 22b는 동 제3 단계의 측면도이다.
도 23은 반송 대차가 기본 피치로 배열되어 있는 경우의, 제1 수평 경로부에서 제2 턴 경로부를 거쳐 제1 승강 경로부에 이르는 반송 대차를 나타내는 개략 측면도이다.
도 24는 반송 대차가 기본 피치의 1.5배의 길이의 피치로 배열되어 있는 경우의, 제1 수평 경로부로부터 제2 턴 경로부를 거쳐 제1 승강 경로부에 이르는 반송 대차를 나타내는 개략 측면도이다.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형태)
이하, 첨부된 도면에 기초하여 본 발명의 1 실시예를 설명한다. 도 1 및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이 실시예의 반송 장치는 낮은 위치의 제1 수평 경로부(1), 이 제1 수평 경로부(1)의 일단에 제1 턴 경로부(2)를 통하여 위쪽을 향하여 연결되는 제1 승강 경로부(3), 이 제1 승강 경로부(3)에 대하여 제1 수평 경로부(1)가 있는 측과는 반대측에 배치되고 또한 제1 승강 경로부(3)의 상단에 제2 턴 경로부(4)를 통하여 연결되는 높은 위치의 제2 수평 경로부(5), 이 제2 수평 경로부(5)의 하측에 겹치고 또한 제2 수평 경로부(5)의 여유단에 제3 턴 경로부(6)를 통하여 연결되는 제3 수평 경로부(7), 이 제3 수평 경로부(7)의 여유단에 제4 턴 경로부(8)를 통하여 아래쪽으로 연결되는 제2 승강 경로부(9), 및 제1 수평 경로부(1)의 하측에 겹치고 또한 일단이 제5 턴 경로부(10)를 통하여 상기 제2 승강 경로부(9)의 하단에 연결됨과 아울러 타단이 제6 턴 경로부(11)를 통하여 상기 제1 수평 경로부(1)의 여유단에 연결되는 제4 수평 경로부(12)로 구성되어 있다. 이 반송 장치의 반송 대차(13)에 의한 짐(W)의 반송 경로는 제1 수평 경로부(1)→제1 승강 경로부(3)→제2 수평 경로부(5)로 되어 있고, 비워진 반송 대차(13)는 제3 수평 경로부(7)→제2 승강 경로부(9)→제4 수평 경로부(12)를 거쳐 제1 수평 경로부(1)의 시단부로 되돌려진다.
물론, 상기의 반송 대차(13)의 흐름을 역방향으로 하여, 반송 대차(13)에 의한 짐(W)의 반송 경로를 제2 수평 경로부(5)→제1 승강 경로부(3)→제1 수평 경로부(1)로 할 수도 있다. 어느 경우도, 제1 턴 경로부(2)∼제6 턴 경로부(11)에서는, 반송 대차(13)는 수평 정립(正立) 자세를 유지하여 원호 형상으로 턴함으로써, 모든 경로부에 있어서 반송 대차(13)는 수평 정립 자세를 유지하고 주행하게 된다.
반송 대차(13)는,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평면 형상이 직사각형인 천판(14)의 좌우 양측변 하측에 측판(15a, 15b)을 고착하여 연이어 설치하고, 이 좌우 양측판(15a, 15b)의 외측의 전후 2개소에, 피걸어맞춤부(16a∼17b)가 설치되어 있다. 각 피걸어맞춤부(16a∼17b)는 좌우 수평 방향의 지지축에 의해 지승된 차륜(18a∼19b)과, 이들 각 차륜(18a∼19b)으로부터 외향으로 동심 형상으로 돌출 설치된 돌출축(20a∼21b)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각 돌출축(20a∼21b)은 차륜(18a∼19b)을 지승하는 지지축을 차륜으로부터 돌출시켜 구성할 수 있다. 또한, 전후 2세트의 좌우 쌍을 이루는 차륜(18a, 19a) 및 차륜(18b, 19b)은 서로 동심 형상으로 배치되어 있다.
천판(14)의 바닥부에는, 그 좌우 폭 방향의 중앙 위치에 전후 방향의 중앙 보강판(22)이 부착되고, 이 중앙 보강판(22)의 전후 양단의 좌우 서로 반대측의 측면과 천판(14)에 베어링판(23a, 23b)이 부착되고, 이들 양쪽 베어링판(23a, 23b)의, 보강판(22)이 있는 측과는 반대측에, 보조 피지지부(24a, 24b)가 부착되어 있다. 이들 각 보조 피지지부(24a, 24b)는 좌우 수평 방향의 지지축에 의해 지승된 캠 종동 롤러(25a, 25b)로 구성된 것으로, 이들 캠 종동 롤러(25a, 25b)는 차륜(18a∼19b)과 비교하여 충분히 작은 직경이며, 차륜(18a∼19b)보다 하측으로 돌출하지 않는 범위에서, 천판(14)으로부터는 가능한 한 하방으로 떨어지도록 배치되어 있다. 각 베어링판(23a, 23b)의 캠 종동 롤러(25a, 25b)가 있는 측이며 또한 캠 종동 롤러(25a, 25b)보다도 내측의 측면과 좌우 양측판(15a, 15b) 사이에는, 이 천판(14)의 좌우 폭 방향과 평행하게, 높이가 낮은 가로 방향 보강판(26a, 26b)이 고착되어 있다. 상기 구성에 의해, 전측의 캠 종동 롤러(25a)와 천판(14)의 후단 사이의 천판 하공간은 하측이 개방되어 있을 뿐만 아니라 후방으로도 개방되어, 반송 대차(13)의 후방으로부터 전측의 캠 종동 롤러(25a)의 적어도 하반부를 직시할 수 있음과 아울러, 후측의 캠 종동 롤러(25b)와 천판(14)의 전단 사이의 천판 하공간은 하측이 개방되어 있을 뿐만 아니라 전방으로도 개방되어, 반송 대차(13)의 전방으로부터 후측의 캠 종동 롤러(25b)의 적어도 하반부를 직시할 수 있게 되어 있다.
도 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낮은 위치의 제1 수평 경로부(1)로부터 제1 승강 경로부(3), 높은 위치의 제2 수평 경로부(5), 제3 수평 경로부(7), 제2 승강 경로부(9), 및 제4 수평 경로부(12)를 경유하여 원래의 제1 수평 경로부(1)로 되돌아오는 엔들리스 형상의 반송 대차 주행 경로를 따라 제1 엔들리스 체인(27)이 연장 설치되어 있다. 제1 승강 경로부(3)에서는, 제1 엔들리스 체인(27)이 제1 수평 경로부(1)로부터 먼 측을 수직으로 연장 설치되어 있으므로, 이 제1 승강 경로부(3)의 수직의 제1 엔들리스 체인(27)과 쌍을 이루도록, 제1 수평 경로부(1)에 가까운 측에, 제2 엔들리스 체인(28)이 수직으로 연장 설치되어 있다. 또한, 제2 승강 경로부(9)에서는, 제1 엔들리스 체인(27)이 제1 수평 경로부(1)에 가까운 측을 수직으로 연장 설치되어 있으므로, 이 제2 승강 경로부(9)의 수직의 제1 엔들리스 체인(27)과 쌍을 이루도록, 제1 수평 경로부(1)로부터 먼 측에, 제2 엔들리스 체인(29)이 수직으로 연장 설치되어 있다. 제1 승강 경로부(3) 및 제2 승강 경로부(9)에서의 수직의 제1 엔들리스 체인(27)과, 당해 제1 엔들리스 체인(27)과 쌍을 이루는 당해 제1 엔들리스 체인(27)과 동일한 방향으로 이동하는 수직의 제2 엔들리스 체인(28) 및 제2 엔들리스 체인(29) 사이의 수평 간격은 반송 대차(13)의 전후 쌍을 이루는 피걸어맞춤부(16a, 16b 및 17a, 17b) 사이의 간격(이하, 반송 대차(13)에 대한 지지 간격이라고 함)과 동일하다.
제1 엔들리스 체인(27)은, 제6 턴 경로부(11)에 축지지된 턴부 톱니바퀴(齒輪)(30)로부터, 제1 턴 경로부(2)의 외측에 축지지된 턴부 톱니바퀴(31), 제2 턴 경로부(4)의 내측에 축지지된 턴부 톱니바퀴(32), 제3 턴 경로부(6)에 축지지된 턴부 톱니바퀴(33), 제4 턴 경로부(8)의 외측에 축지지된 턴부 톱니바퀴(34), 및 제5 턴 경로부(10)의 내측에 축지지된 턴부 톱니바퀴(35)를 경유하여 원래의 턴부 톱니바퀴(30)로 돌아가도록 연장 설치되고, 제2 엔들리스 체인(28)은, 제1 턴 경로부(2)의 내측에 축지지된 하단 안내 톱니바퀴(36)와 제2 턴 경로부(4)의 외측에 축지지된 상단 안내 톱니바퀴(37)를 통하여 수직으로 연장 설치되고, 제2 엔들리스 체인(29)은 제4 턴 경로부(8)의 내측에 축지지된 상단 안내 톱니바퀴(38)와 제5 턴 경로부(10)의 외측에 축지지된 하단 안내 톱니바퀴(39)를 통하여 수직으로 연장 설치되어 있다. 또한, 제2 엔들리스 체인(28)의 상단측의 턴부에는, 테이크업용 톱니바퀴(40a)와 이것에 제2 엔들리스 체인(28)을 인도하기 위한 복수의 안내 톱니바퀴(40b)가 병설되어 있다.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각 경로부에는, 반송 대차(13)의 수평 정립 자세를 유지한 주행을 가능하게 하기 위한 각종 가이드 레일 등이 병설되어 있다. 도 3에 기초하여 개략의 구성을 설명하면, 각 수평 경로부(1, 5, 7, 12)에는, 반송 대차(13)의 차륜(18a∼19b)을 지지 안내하는 수평 가이드 레일(41∼44)이 부설되어 있다. 각 승강 경로부(3, 9)에는, 승강하는 반송 대차(13)의 전측의 차륜(18a, 19a)을 사이에 끼고 흔들림 방지하는 전후 한 쌍의 수직 가이드 레일(45a, 45b 및 46a, 46b)과, 후측의 차륜(18b, 19b)을 사이에 끼고 흔들림 방지하는 전후 한 쌍의 수직 가이드 레일(47a, 47b 및 48a, 48b)이 가설되어 있다. 제6 턴 경로부(11)와 제3 턴 경로부(6)는 전후 대칭 구조이며, 각각에, 내측의 턴부 톱니바퀴(30, 33)에 대하여 외측으로 수평으로, 반송 대차(13)에 대한 지지 간격만큼 떨어진 위치에 축지지되는 좌우 한 쌍의 보조 회전체(49, 50)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제1 턴 경로부(2)의 제2 엔들리스 체인(28)에 걸어맞추어지는 하단 안내 톱니바퀴(36)와, 제2 턴 경로부(4)의 제2 엔들리스 체인(28)에 걸어맞추어지는 상단 안내 톱니바퀴(37), 및 제4 턴 경로부(8)의 제2 엔들리스 체인(29)에 걸어맞추어지는 상단 안내 톱니바퀴(38)에는, 그 내측에서 동심 형상으로 보조 회전체(51∼53)가 설치되고, 제5 턴 경로부(10)의 제1 엔들리스 체인(27)에 걸어맞추어지는 턴부 톱니바퀴(35)로부터 외측으로, 반송 대차에 대한 지지 간격만큼 떨어진 위치에, 보조 회전체(54)가 축지지되어 있다.
상기의 모든 엔들리스 체인(27∼29)은 반송 대차(13)의 주행 경로의 좌우 양측에 위치하도록 좌우 한 쌍 연장 설치되어 있다. 따라서, 이들 엔들리스 체인에 걸어맞추어지는 모든 톱니바퀴(30∼40b)나 각 보조 회전체(49∼54)도, 반송 대차(13)의 주행 경로의 좌우 양측에 위치하도록 좌우 한 쌍 동심 형상으로 축지지되어 있다. 물론, 수평 가이드 레일(41∼44)이나 수직 가이드 레일(45a∼48b) 등, 보조적으로 병설되는 각종 가이드 레일류도 반송 대차(13)의 좌우 양측에 위치하도록 좌우 한 쌍 설치되어 있다.
제1 엔들리스 체인(27)에는, 도 2a, 도 4∼도 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반송 대차(13)에 대한 지지 간격과 동일한 간격으로, 걸어맞춤부(55)가 부착되어 있다. 이들 각 걸어맞춤부(55)는 반송 대차(13)의 각 피걸어맞춤부(16a∼17b)의 돌출축(20a∼21b)을 상대 회전 및 끼우고 빼기 자유롭게 끼워맞출 수 있는 오목부(56)를 구비한 부재로 이루어지는 것으로서, 제1 수평 경로부(1)와 제2 수평 경로부(5)에서, 상기 걸어맞춤부(55)의 오목부(56)가 위쪽을 향하여 개구되고, 반송 대차(13)의 각 피걸어맞춤부(16a∼17b)의 돌출축(20a∼21b)을 위에서 끼워맞출 수 있는 방향으로, 제1 엔들리스 체인(27)의 내측에 부설되어 있다. 반송 대차(13)의 전체 길이는 반송 대차(13)에 대한 지지 간격의 2배의 길이보다 조금 짧다. 따라서, 도 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수평 경로부(1, 5, 7, 12) 위에서 각 반송 대차(13)가 전후에 인접하여 연속하도록, 반송 대차(13)의 각 피걸어맞춤부(16a∼17b)와 제1 엔들리스 체인(27)의 각 걸어맞춤부(55)를 통하여, 각 반송 대차(13)를 제1 엔들리스 체인(27)에 걸어맞추어지게 할 수 있다. 각 제2 엔들리스 체인(28, 29)에도, 도 8∼도 12, 및 도 18∼도 2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각 승강 경로부(3, 9)에서 병렬하는 제1 엔들리스 체인(27)의 각 걸어맞춤부(55)와 동일 높이에서 대칭 방향으로, 걸어맞춤부(57, 58)가 설치되어 있다. 물론, 이들 걸어맞춤부(57, 58)는 상기 걸어맞춤부(55)와 동일 구조의 것이며, 반송 대차(13)의 각 피걸어맞춤부(16a∼17b)의 돌출축(20a∼21b)을 끼워맞출 수 있는 오목부(59, 60)를 구비한 부재로 구성되어 있다.
이하, 각 턴 경로부의 구성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4∼도 7과 도 13∼도 1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6 턴 경로부(11)와 제3 턴 경로부(6)는 전후 대칭 구조이며, 제3 턴 경로부(6)의 참조부호를 괄호 쓰기로 병기하면, 보조 회전체(49(50))는 반송 대차(13)의 각 피걸어맞춤부(16a∼17b)의 돌출축(20a∼21b)을 끼워맞출 수 있는 오목부로 이루어지는 걸어맞춤부(49a, 49b(50a, 50b))를 직경 방향 양측에, 바깥쪽을 향하여 구비한 것이며, 이 보조 회전체(49(50))의 회전 궤적의 외측 반원 영역을 따라, 외측 반원형 가이드 레일(61(62))이 설치되고, 이 외측 반원형 가이드 레일(61(62))의 상단으로부터 수평 가이드 레일(41(42))의 단부 영역에 덮이는 길이의 상측 수평 가이드 레일(63(64))이 연이어 설치되고, 외측 반원형 가이드 레일(61(62))의 하단은 수평 가이드 레일(43(44))과 연결된다. 턴부 톱니바퀴(30(33))의 하측의 좌우 폭 방향의 중앙부에는, 반송 대차(13)의 바닥부의 캠 종동 롤러(25a(25b))에 작용하는, 원호형 캠면을 갖는 하측 돌기 형상 캠(65(66))이, 하측의 수평 경로부(12(7))와 턴 경로부(11(6))의 사이를 출입하는 반송 대차(13)의 천판(14)의 이동 궤적의 하측에 위치하도록, 바닥면측에서 위쪽을 향하여 돌출 설치되어 있다.
또한 턴부 톱니바퀴(30(33))에 대하여 보조 회전체(49(50))가 있는 측에는, 중간 가이드 레일(67(68))이 가설되고, 당해 중간 가이드 레일(67(68))에는, 수평 경로부(1(5))의 수평 가이드 레일(41(42))과 동일 레벨의 보조 수평 가이드 레일부(67a(68a))와, 턴부 톱니바퀴(30(33))를 따른 원호형 가이드 레일부(67b(68b))가 형성되어 있다. 이들 외측 반원형 가이드 레일(61(62)) 상측 수평 가이드 레일(63(64)), 및 중간 가이드 레일(67(68))은 반송 대차(13)의 좌우 양측의 피걸어맞춤부(16a∼17b)의 차륜(18a∼19b)이 전동(轉動)하므로, 반송 대차(13)의 주행 경로의 좌우 양측에 위치하도록, 각각 좌우 한 쌍 설치되어 있다. 또한, 수평 가이드 레일(41(42))의 턴부 톱니바퀴(30(33))에 인접하는 위치에는, 반송 대차(13)의 좌우 양측판(15a, 15b)을 지지하는 보조 지지용 가이드 롤러(69(70))가 축지지되어 있다.
턴부 톱니바퀴(30(33))는 엔들리스 체인(27)과의 걸어맞춤에 의해 회전구동되므로, 좌우의 동일측에 있는 턴부 톱니바퀴(30(33))와 보조 회전체(49(50))는, 각각 평기어열(71∼73(74∼76))에 의해, 양자가 동일한 방향으로 동일 속도로 회전하도록 연동 연결함과 아울러, 좌우 양측에 있는 턴부 톱니바퀴(30(33))와 보조 회전체(49(50))가 동기 회전하도록, 1개의 전동축(77(78))과, 상기 평기어열(71∼73(74∼76)) 중 1개에 교합하는 평기어(79(80))를 설치하고 있다. 상기 전동축(77(78))은 제1 수평 경로부(1)(제2 수평 경로부(5))와 제4 수평 경로부(12)(제3 수평 경로부(7)) 사이를 횡단하고 있다. 그리고, 도 13, 도 1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3 턴 경로부(6)의 좌우 한 쌍의 턴부 톱니바퀴(33) 중, 한쪽의 턴부 톱니바퀴(33)의 지지축은 외측으로 연장되어, 감속기 부착 모터(81)의 출력축과 직결되고, 이 감속기 부착 모터(81)의 가동에 의해, 좌우 한 쌍의 제1 엔들리스 체인(27)이 전체 주행 경로에 걸쳐 정속 회동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보조 회전체(49, 50)는, 턴부 톱니바퀴(30, 33)로부터 외측에, 반송 대차(13)에 대한 지지 간격만큼 수평으로 떨어져 위치함과 아울러, 앞에 설명한 기어 기구를 통하여 당해 턴부 톱니바퀴(30, 33)와 동일한 방향으로 연동 회전하는 것으로서, 그 양단의 걸어맞춤부(49a, 49b 및 50a, 50b)의 회전 반경이 턴부 톱니바퀴(30, 33)의 주위를 회동하는 제1 엔들리스 체인(27)의 걸어맞춤부(55)의 회전 반경과 동일한 것이며, 그 양단의 걸어맞춤부(49a, 49b 및 50a, 50b)가 회전축심을 통과하는 수직축선 상에 있을 때, 제1 엔들리스 체인(27)의, 반송 대차(13)에 대한 지지 간격과 동일한 간격을 두고 위치하는 2개의 걸어맞춤부(55)도 턴부 톱니바퀴(30, 33)의 회전축심을 통과하는 수직축선 상에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제4 수평 경로부(12)에서는, 제1 엔들리스 체인(27)의 걸어맞춤부(55)는 아래쪽을 향하여, 반송 대차(13)의 각 피걸어맞춤부(16a∼17b)(돌출축(20a∼21b))에 끼워맞추어져 있고, 제1 엔들리스 체인(27)이 감속기 부착 모터(81)에 의해 구동됨으로써, 수평 가이드 레일(44) 상에 차륜(18a∼19b)을 통하여 지지되어 있는 반송 대차(13)를, 제6 턴 경로부(11)를 향하여 수평으로 주행시킬 수 있다. 이 반송 대차(13)가 제6 턴 경로부(11) 내에 진입하면, 도 6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걸어맞춤부(55)가 턴부 톱니바퀴(30)의 주위를 상방으로 회동함에 따라, 전진 방향측의 피걸어맞춤부(16b, 17b)가 걸어맞춤부(55)로부터 벗어나고, 그대로 후측의 걸어맞춤부(55)에 의해 뒤에서 밀어 구동되어, 전진 주행한다. 그리고, 전진 방향측의 피걸어맞춤부(16b, 17b)가 보조 회전체(49)의 축심의 바로 아래 위치에 도착하는 과정에서, 당해 피걸어맞춤부(16b, 17b)에 보조 회전체(49)의 일단의 걸어맞춤부(49a)가 전5진 방향측의 피걸어맞춤부(16b, 17b)에 위에서 끼워맞추어진다. 이후의 턴부 톱니바퀴(30) 및 보조 회전체(49)의 회전에 의해, 반송 대차(13)의 전진 방향측의 피걸어맞춤부(16b, 17b)가 보조 회전체(49)에 의해 상방으로 떠올려짐과 동시에, 당해 반송 대차(13)의 후측의 피걸어맞춤부(16b, 17b)가 턴부 톱니바퀴(30)의 주위를 회동하는 걸어맞춤부(55)에 의해, 동기하여 상방으로 떠올려진다.
상기의 반송 대차(13)의 떠올림 동작시에는, 보조 회전체(49)의 수직 하향의 걸어맞춤부(49a)와 제1 엔들리스 체인(27)의 수직 하향의 걸어맞춤부(55)로부터, 각각에 끼워맞추어져 있는 반송 대차(13)의 피걸어맞춤부(16a∼17b)가 전방으로 밀어내지는 경향이 되지만, 도 6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전측의 피걸어맞춤부(16b, 17b)는 외측 반원형 가이드 레일(61)을 따라 보조 회전체(49)의 걸어맞춤부(49a)가 회동함으로써, 당해 외측 반원형 가이드 레일(61)로 받아진 상태에서 상방으로 떠올려진다. 한편, 반송 대차(13)의 후측의 피걸어맞춤부(16a, 17a)가 턴부 톱니바퀴(30)의 회전축심의 바로 아래 위치에 도달했을 때, 당해 반송 대차(13)의 바닥부의 후측에 위치하는 보조 피지지부(24a)의 캠 종동 롤러(25a)가 하측 돌기 형상 캠(65)의 직전에 도달해 있으므로, 이러한 상태로부터 반송 대차(13)가 상기한 바와 같이 떠올려짐에 따라, 상기 캠 종동 롤러(25a)가 하측 돌기 형상 캠(65)의 원호형 캠면을 따라 상방으로 이동하게 된다. 바꾸어 말하면, 후측의 피걸어맞춤부(16a, 17a)가 제1 엔들리스 체인(27)의 걸어맞춤부(55)로부터 전방으로 밀어내지는 것을, 상기 하측 돌기 형상 캠(65)이 상기 캠 종동 롤러(25a)를 통하여 억지하므로, 반송 대차(13)는 동일 레벨에서 회동하는 보조 회전체(49)의 걸어맞춤부(49a)와 제1 엔들리스 체인(27)의 걸어맞춤부(55)에 의하여, 수평으로 지지된 상태에서 상방으로 확실하게 떠올려지게 된다.
반송 대차(13)의 바닥부의 후측에 위치하는 보조 피지지부(24a)의 캠 종동 롤러(25a)가 하측 돌기 형상 캠(65)이 도달하는 과정에서는, 당해 반송 대차(13)는 하측 돌기 형상 캠(65)의 위치를 전방으로 통과하지 않으면 안 되지만, 이때 캠 종동 롤러(25a)의 전방의 천판(14)의 하측 공간은 전방으로 개방되어 있으므로, 하측 돌기 형상 캠(65)의 높이가 천판(14)의 바닥면의 높이보다도 낮으면, 상호 서로 간섭하지 않아, 반송 대차(13)가 하측 돌기 형상 캠(65) 위를 주행할 수 있다. 이때, 전측의 보조 피지지부(24b)의 캠 종동 롤러(25b)는 하측 돌기 형상 캠(65)의 횡측방 위치를 통과 이동하게 된다.
반송 대차(13)의 바닥부의 후측에 위치하는 보조 피지지부(24a)의 캠 종동 롤러(25a)가 하측 돌기 형상 캠(65)의 상단을 상방으로 넘었을 때, 도 6c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반송 대차(13)의 후측의 피걸어맞춤부(16a, 17a)의 차륜(18a, 19a)이 중간 가이드 레일(67)의 원호형 가이드 레일부(67b)를 따라 상동하는 상태로 되어 있으므로, 반송 대차(13)의 전후 양쪽 차륜(18a∼19b)이 외측 반원형 가이드 레일(61)과 중간 가이드 레일(67)의 원호형 가이드 레일부(67b)를 따르는 상태에서, 보조 회전체(49)의 걸어맞춤부(49a)와 제1 엔들리스 체인(27)의 걸어맞춤부(55)에 의해, 반송 대차(13)는 수평 자세를 유지하고 제1 수평 경로부(1)의 레벨까지 확실하게 떠올려진다. 또한, 반송 대차(13)의 캠 종동 롤러(25a)가 하측 돌기 형상 캠(65)의 상단을 상방으로 넘었을 때에는, 당해 반송 대차(13)의 후측의 피걸어맞춤부(16a, 17a)(돌출축(20a, 21a))에 끼워맞추어져 있는 제1 엔들리스 체인(27)의 걸어맞춤부(55)는 전방 수평 방향에 가까운 각도까지 상방으로 회동하여, 피걸어맞춤부(16a, 17a)를 통하여 반송 대차(13)의 후측을 지지할 수 있는 상태로 되어 있고, 게다가, 외측 반원형 가이드 레일(61)에 의해 반송 대차(13)가 전방으로 밀어내지는 일은 없으므로, 캠 종동 롤러판(67)의 원호형 가이드 레일부(67b)는 필수적인 것은 아니다.
상기의 반송 대차(13)의 떠올림 과정은, 도 7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보조 회전체(49)의 걸어맞춤부(49a)와 제1 엔들리스 체인(27)의 걸어맞춤부(55)가 각각의 회전축심의 바로 위 위치에 도달함으로써 종료하지만, 이때, 반송 대차(13)의 전진 방향측의 차륜(18a, 19a)은 제1 수평 경로부(1)의 수평 가이드 레일(41) 위에 도달해 있고, 반송 대차(13)의 후측의 차륜(18a, 19b)은 중간 가이드 레일(67)의 보조 수평 가이드 레일부(67a) 위에 도달해 있다. 따라서, 반송 대차(13)의 전진 방향측의 차륜(18a, 19a)은 턴부 톱니바퀴(30)로부터 떨어져 제1 수평 경로부(1)와 평행하게 진행하는 제1 엔들리스 체인(27)의 걸어맞춤부(55)에 돌출축(20a, 21a)이 끼워맞추어진 상태 그대로, 제1 수평 경로부(1) 내로 보내지고, 이것에 따라, 당해 반송 대차(13)의 후측의 피걸어맞춤부(16b, 17b)의 돌출축(20b, 21b)이 보조 회전체(49)의 걸어맞춤부(49a)로부터 떨어짐과 아울러, 차륜(18b, 19b)이 중간 가이드 레일(67)의 보조 수평 가이드 레일부(67a) 위를 전동하면서, 반송 대차(13)는 수평으로 주행하여 제1 수평 경로부(1) 내로 보내진다.
또한, 중간 가이드 레일(67)의 보조 수평 가이드 레일부(67a)와, 제1 수평 경로부(1)의 수평 가이드 레일(41) 사이에는, 턴부 톱니바퀴(30)의 주위를 회동하는 제1 엔들리스 체인(27)의 걸어맞춤부(55)가 통과하기 위한 공간이 존재하므로, 반송 대차(13)의 후측의 차륜(18b, 19b)이 중간 가이드 레일(67)의 보조 수평 가이드 레일부(67a) 위에서 전방으로 떨어졌을 때, 당해 후측의 차륜(18b, 19b)이 보조 수평 가이드 레일부(67a)와 제1 수평 경로부(1)의 수평 가이드 레일(41) 사이에 빠져 들어가는 것이 생각되지만, 이 상황이 되었을 때, 도 7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반송 대차(13)의 좌우 양측판(15a, 15b)을 전진 방향측의 차륜(18a, 19a)보다 후방에서 보조 지지용 가이드 롤러(69)가 지지함과 아울러, 전진 방향측의 차륜(18a, 19a)의 위를 상측 수평 가이드 레일(63)이 덮어지는 상태로 되어 있다. 따라서, 반송 대차(13)의 무게중심 위치가 보조 지지용 가이드 롤러(69)로 지지되는 위치보다 후방에 있는 동안은, 반송 대차(13)가 보조 지지용 가이드 롤러(69)를 지지점으로 후측의 차륜(18b, 19b)이 빠져 들어가는 방향으로 경동하는 것을, 전진 방향측의 차륜(18a, 19a)을 통하여 상측 수평 가이드 레일(63)이 저지하여, 반송 대차(13)의 주행이 진행되고, 반송 대차(13)의 무게중심 위치가 보조 지지용 가이드 롤러(69)로 지지되는 위치보다 전방으로 이동한 상태에서는, 반송 대차(13)가 전진 방향측의 차륜(18a, 19a)를 지지점으로 후측의 차륜(18b, 19b)이 빠져 들어가는 방향으로 경동하는 것을, 보조 지지용 가이드 롤러(69)에 의해 저지할 수 있다.
반송 대차(13)의 후측의 차륜(18b, 19b)이 턴부 톱니바퀴(30)의 바로 위 위치에 도달했을 때에는, 도 6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이 턴부 톱니바퀴(30)의 주위를 상방으로 회동하는 빈 걸어맞춤부(55), 즉 상기한 바와 같이 하여, 제4 수평 경로부(12)로부터 제1 수평 경로부(1)로 떠올려진 반송 장치(3)의 다음 반송 대차(13)의, 전진 방향의 피걸어맞춤부(16b, 17b)로부터 떨어져서 턴부 톱니바퀴(30)의 주위를 상방으로 회동하는 빈 걸어맞춤부(55)가 상기한 바와 같이 제1 수평 경로부(1)에 보내지는 반송 대차(13)의 후측의 피걸어맞춤부(16b, 17b)의 돌출축(20ab, 21b)에 끼워맞추어진다. 따라서, 제1 수평 경로부(1)에 보내진 반송 대차(13)는 그 모든 피걸어맞춤부(16a∼17b)의 돌출축(20a∼21b)이 제1 엔들리스 체인(27)의 전후에 이웃하는 각 걸어맞춤부(55)에 끼워맞추어짐과 아울러, 모든 차륜(18a∼19b)이 수평 가이드 레일(41) 위에서 지지된 상태에서, 수평 자세로 다음 제1 턴 경로부(2)를 향하여 주행 구동되게 된다.
상기의 제6 턴 경로부(11)와 대칭 구조의 제3 턴 경로부(6)에서는, 도 15a∼도 16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6 턴 경로부(11)에서 제1 엔들리스 체인(27)을, 제1 수평 경로부(1)로부터 제4 수평 경로부(12)로 이동하도록 역전 회동시켰을 때에 동일한 작용이 행해진다. 즉 제1 엔들리스 체인(27)에 의해 제2 수평 경로부(5)로부터 제3 턴 경로부(6)를 경유하여 제3 수평 경로부(7)로 주행하는 반송 대차(13)는 그 전측의 차륜(18a, 19a)이 수평 가이드 레일(42)과 중간 가이드 레일(68)의 보조 수평 가이드 레일부(68a)의 사이에 빠져 들어가는 것을, 상측 수평 가이드 레일(64)과 보조 지지용 가이드 롤러(70)에 의해 저지할 수 있다. 그리고, 반송 대차(13)가 하방으로 턴을 마치기 직전의, 후측의 피지지구(16b, 17b)의 돌출축(20b, 21b)이 전방 비스듬히 아래쪽을 향하여 경사지는 제1 엔들리스 체인(27)의 걸어맞춤부(55)에 의해 지지되지 않게 될 때, 당해 반송 대차(13)의 바닥부의 후측의 보조 피지지부(24b)의 캠 종동 롤러(25b)를 하측 돌기 형상 캠(66)에 의해 지지 안내함으로써, 반송 대차(13)의 후측의 차륜(18b, 19b)이 수평 가이드 레일(43) 위에 도달할 때까지, 반송 대차(13)를 수평 정립 자세를 유지하고 확실하게 또한 원활하게 턴 시킬 수 있다. 또한, 이 제3 턴 경로부(6)는 제6 턴 경로부(11)와 대칭 구조이기 때문에, 제1 엔들리스 체인(27)을 역회전시키면, 제3 수평 경로부(7)로부터 제3 턴 경로부(6)를 경유하여 제2 수평 경로부(5)에, 수평 정립 자세를 유지하고 반송 대차(13)를 주행시킬 수 있다.
다음에 도 8 및 도 9에 기초하여, 제2 턴 경로부(4)의 구성과 작용에 대해 설명하면, 이 제2 턴 경로부(4)의 위에 있는 제1 승강 경로부(3)의 제2 엔들리스 체인(28)의 하단의 하단 안내 톱니바퀴(36)는 제1 수평 경로부(1)를 따라 이동하는 제1 엔들리스 체인(27)의 바로 위에 위치하게 되므로, 하단 안내 톱니바퀴(36)의 주위를 회동하는 제2 엔들리스 체인(28)의 걸어맞춤부(57)와, 제1 수평 경로부(1)를 따라 이동하는 제1 엔들리스 체인(27)의 걸어맞춤부(55)가 상호 서로 간섭하는 것을 피하기 위해, 하단 안내 톱니바퀴(36)는 제1 수평 경로부(1)를 따라 이동하는 제1 엔들리스 체인(27)으로부터 상방으로 떼어 놓고 축지지하지 않으면 안 된다. 한편, 제1 엔들리스 체인(27)은 턴부 톱니바퀴(31)를 경유하여 제1 승강 경로부(3)로 끌어올려지는데, 이 턴부 톱니바퀴(31)는 제2 엔들리스 체인(28)의 하단 안내 톱니바퀴(36)와 동일 레벨에서 축지지하지 않으면 안 되므로, 하단 안내 톱니바퀴(36)의 하측을 통과하는 제1 엔들리스 체인(27)은 턴부 톱니바퀴(31)를 향하여 위쪽을 향하여 경사지게 된다. 이 제1 엔들리스 체인(27)의 오르막 구배를 따라, 반송 대차(13)의 전진 방향의 피걸어맞춤부(16a, 17a)를 이동시키기 위해, 당해 피걸어맞춤부(16a, 17a)의 차륜(18a, 19a)을 지지 안내하는 좌우 한 쌍의 하측 경사 가이드 레일(82)이 부설되어 있다.
하측 경사 가이드 레일(82)의 상단부는 턴부 톱니바퀴(31)와 동심 형상의 원호형으로 형성된 원호형 레일부(82a)를 구비하고, 이 원호형 레일부(82a)에, 제1 승강 경로부(3)의 제1 엔들리스 체인(27)의 이동 경로를 사이에 끼는 상기 수직 가이드 레일(45a, 45b) 중의 외측의 수직 가이드 레일(45a)의 하단이 접속되어 있다. 한편, 제2 엔들리스 체인(28)의 이동 경로를 사이에 끼는 상기 수직 가이드 레일(46a, 46b) 중, 제1 엔들리스 체인(27)측의 수직 가이드 레일(46a)의 하단부와, 상기 수직 가이드 레일(45a, 45b) 중의 내측의 수직 가이드 레일(46b)의 하단부는 연결판재(83)에 의해 일체화되고, 이 연결판부(83)에, 턴부 톱니바퀴(31)의 주위를 회동하는 피걸어맞춤부(16a, 17a)의 차륜(18a, 19a)을 상기 하측 경사 가이드 레일(82)의 원호형 레일부(82a)와의 사이에서 끼워서 안내하는 원호형 레일부(83a)와, 제2 엔들리스 체인(28)의 하단 안내 톱니바퀴(36)의 주위를 상승하는, 반송 대차(13)의 후측 피걸어맞춤부(16b, 17b)의 차륜(18b, 19b)을 안내하는 원호형 레일부(83b)가 형성되어 있다.
제2 엔들리스 체인(28)의 하단 안내 톱니바퀴(36)의 내측에는, 이 하단 안내 톱니바퀴(36)의 주위를 회동하는 제2 엔들리스 체인(28)의 걸어맞춤부(57)의 회전 반경과 거의 동일 반경의, 원형 판 형상의 보조 회전체(51)가 일체로 회전하도록 연이어 설치되고, 이 보조 회전체(51)의 주변의 직경 방향의 양측에, 제2 엔들리스 체인(28)의 걸어맞춤부(57)와 겹치도록, 반송 대차(13)의 후측의 차륜(18b, 19b)에 끼워맞추어지는 오목부로 이루어지는 걸어맞춤부(51a, 51b)가 설치되어 있다. 제1 엔들리스 체인(27)의 턴부 톱니바퀴(31)와 보조 회전체(51)는 반송 대차(13)에 대한 지지 간격과 동일 간격을 두고 수평으로 병렬해 있고, 제1 엔들리스 체인(27)과의 걸어맞춤에 의해 회전 구동되는 턴부 톱니바퀴(31)와 상기 제2 엔들리스 체인(28)의 하단 안내 톱니바퀴(36) 및 보조 회전체(51)를, 평기어열(84, 85, 86)에 의해, 동일한 방향으로 동일 속도로 회전하도록 연동 연결되어 있다. 또한 제2 엔들리스 체인(28)의 좌우 한 쌍의 하단 안내 톱니바퀴(36)(보조 회전체(51))의 중간 하측 위치에는, 반송 대차(13)의 후측의 보조 피지지부(24b)의 캠 종동 롤러(25b)에 작용하는 하측 돌기 형상 캠(87)이 돌출 설치되어 있다. 이 하측 돌기 형상 캠(87)은 제6 턴 경로부(11)(제3 턴 경로부(6))에 배열 설치된 하측 돌기 형상 캠(65, 66)과 동일 높이의 것이며, 하측 경사 가이드 레일(82)의 상단의 원호형 레일부(82a)를 하측 돌기 형상 캠(87)의 상단과 동일 높이로 자른 것과 동일 형상의 것이다.
상기 구성의 제2 턴 경로부(4)에서는, 제1 엔들리스 체인(27)에 의해, 제1 수평 경로부(1) 위를 수평으로 주행하는 반송 대차(13)가 제2 턴 경로부(4)에 도달하면, 제1 엔들리스 체인(27)의 걸어맞춤부(55)에 걸어맞추어지는 전측의 피걸어맞춤부(16a, 17a)의 차륜(18a, 19a)은 하측 경사 가이드 레일(82)에 안내되어 비스듬하게 전측 전방으로 이동하게 되는데, 이 차륜(18a, 19a)이 하측 경사 가이드 레일(82) 위에 진입할 때, 당해 반송 대차(13)의 바닥부의 후측의 보조 피지지부(24b)의 캠 종동 롤러(25b)가 하측 돌기 형상 캠(87) 위에 진입하도록, 당해 하측 돌기 형상 캠(87)이 배치되어 있다. 따라서, 반송 대차(13)는 하측 경사 가이드 레일(82)과 하측 돌기 형상 캠(87)에 안내되어, 수평 자세를 유지하고 전방 비스듬히 상방으로 주행하게 된다.
반송 대차(13)의 전후의 피걸어맞춤부(16a∼17b)가 제1 엔들리스 체인(27)의 턴부 톱니바퀴(31)와 제2 엔들리스 체인(28)의 하단 안내 톱니바퀴(36)(보조 회전체(51))의 각각 직하 위치에 도달했을 때, 제1 엔들리스 체인(27)과 연동하고 있는 좌우 한 쌍의 보조 회전체(51) 중 1개의 걸어맞춤부(51a)가 당해 반송 대차(13)의 후측의 피걸어맞춤부(16b, 17b)의 차륜(18b, 19b)에 위에서 끼워맞추어지고, 도 9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전측의 피걸어맞춤부(16a, 17a)의 차륜(18a, 19a)이 하측 경사 가이드 레일(82)의 원호형 레일부(82a)를 따라 떠올려지는 것과 동기하여, 후측의 피걸어맞춤부(16b, 17b)의 차륜(18b, 19b)이 보조 회전체(51)의 걸어맞춤부(51a)에 의해 떠올려진다. 이 때, 보조 회전체(51)의 걸어맞춤부(51a)에 의해 떠올려지는 차륜(18b, 19b)은 연결판재(83)의 원호형 레일부(83b)의 내측으로 들어가, 보조 회전체(51)의 걸어맞춤부(51a)로부터 차륜(18b, 19b)이 벗어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하여, 도 9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반송 대차(13)의 전후의 피걸어맞춤부(16a∼17b)가, 제1 엔들리스 체인(27)의 턴부 톱니바퀴(31)와 제2 엔들리스 체인(28)의 하단 안내 톱니바퀴(36)(보조 회전체(51))의 각각 바로 옆 높이까지 떠올려진 후는, 반송 대차(13) 전측의 피걸어맞춤부(16a, 17a)의 돌출축(20a, 21a)이 제1 엔들리스 체인(27)의 걸어맞춤부(55)에 의해 끌어올려짐과 아울러, 전측의 차륜(18a, 19a)이 전후 한 쌍의 수직 가이드 레일(45a, 45b) 사이를 상승하고, 당해 반송 대차(13)의 후측의 피걸어맞춤부(16b, 17b)의 돌출축(20b, 21b)이 제2 엔들리스 체인(28)의 걸어맞춤부(57)에 의해 끌어올려짐과 아울러, 후측의 차륜(18b, 19b)이 전후 한 쌍의 수직 가이드 레일(46a, 46b) 사이를 상승하게 되어, 당해 반송 대차(13)는 제1 승강 경로부(3)를 수평 정립 자세를 유지하고 상승하게 된다.
제1 승강 경로부(3)를 상승 이동하는 반송 대차(13)는 제1 승강 경로부(3)로부터 제2 턴 경로부(4)를 경유하여 높은 위치의 제2 수평 경로부(5)로 주행하게 되는데, 다음에 제2 턴 경로부(4)의 구성과 작용을 설명한다. 도 10∼도 1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1 엔들리스 체인(27)의 턴부 톱니바퀴(32)에 대하여, 반송 대차(13)에 대한 지지 간격과 동일 간격만큼 후측으로 떨어져서 축지지되어 있는 제2 엔들리스 체인(28)의 좌우 한 쌍의 상단 안내 톱니바퀴(37)의 내측에는, 제1 턴 경로부(2)의 하단 안내 톱니바퀴(36)와 일체로 설치된 보조 회전체(51)와 동일 구조의 보조 회전체(52)가, 그 걸어맞춤부(52a, 52b)가 제2 엔들리스 체인(28)의 걸어맞춤부(57)와 겹치는 상태에서, 일체 회전하도록 연이어 설치되어 있다.
또한, 제6 턴 경로부(11)에 설치된 상측 수평 가이드 레일(63)에 상당하는 상측 수평 가이드 레일(88), 제6 턴 경로부(11)에 설치된 보조 지지용 가이드 롤러(69)에 상당하는 보조 지지용 가이드 롤러(89), 제6 턴 경로부(11)에 설치된 중간 가이드 레일(67)의 보조 수평 가이드 레일부(67a)에 상당하는 보조 수평 가이드 레일부(90a), 및 제6 턴 경로부(11)에 설치된 중간 가이드 레일(67)의 원호형 가이드 레일부(67b)의 상반부에 상당하는 원호형 가이드 레일부(90b)가 각각 설치됨과 아울러, 제2 엔들리스 체인(28)의 외측의 수직 가이드 레일(46b)의 상단과 상기 상측 수평 가이드 레일(88)을 연결하는, 제2 엔들리스 체인(28)의 상단 안내 톱니바퀴(37)와 동심 형상의 외측 원호형 가이드 레일(91)이 설치되어 있다. 상기 보조 수평 가이드 레일부(90a)와 원호형 가이드 레일부(90b)는 제1 엔들리스 체인(27)의 외측의 수직 가이드 레일(45b)의 상단에 형성되어 있다. 또한, 제1 엔들리스 체인(27)의 내측의 수직 가이드 레일(45a)의 상단은 턴부 톱니바퀴(32)와 동심 형상의 내측 원호형 가이드 레일(97)을 통하여, 제2 수평 경로부(5)의 수평 가이드 레일(42)에 접속되어 있다.
이 제2 턴 경로부(4)의 제2 엔들리스 체인(28)을 안내하는 좌우 한 쌍의 상단 안내 톱니바퀴(37)와, 제1 엔들리스 체인(27)과 걸어맞추어지는 좌우 한 쌍의 턴부 톱니바퀴(32)는, 제6 턴 경로부(11)의 구성과 동일하게, 도 10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좌우 각각 별도로 평기어열(92∼94)에 의해 연동 연결됨과 아울러, 양단에 평기어(95)를 구비한 1개의 전동축(96)에 의해 서로 연동 연결되어 있다. 이 전동축(96)은 제2 수평 경로부(5)의 하측을 횡단하고 있다. 또한, 상단 안내 톱니바퀴(37)를 경유한 제2 엔들리스 체인(28)은, 안내 톱니바퀴(40b)와 테이크업용 톱니바퀴(40a)를 경유하여, 제1 승강 경로부(3)의 하단의 하단 안내 톱니바퀴(36)쪽으로 돌아오게 되는데, 당해 제2 엔들리스 체인(28)의 걸어맞춤부(57)가 반송 대차(13)측의 후측의 피걸어맞춤부(16b, 17b)의 돌출축(20b, 21b)으로부터 상방으로 이탈하는 위치는 상기 피걸어맞춤부(16b, 17b)의 돌출축(20b, 21b)이 보조 수평 가이드 레일부(90a)의 위에 도달한 위치이다.
상기 구성의 제2 턴 경로부(4)의 구성에 의하면, 제1 승강 경로부(3)를 상승 이동하는 반송 대차(13)가 제2 턴 경로부(4)의 보조 회전체(52)와 제1 엔들리스 체인(27)의 턴부 톱니바퀴(32)의 축심 높이에 도달했을 때, 도 1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당해 반송 대차(13)의 후측의 피걸어맞춤부(16b, 17b)의 차륜(18b, 19b)이 보조 회전체(52)의 걸어맞춤부(52a)에 끼워맞추어져 있다. 이후의 보조 회전체(52)의 회전과 턴부 톱니바퀴(32)의 회전에 의해, 도 12a 및 도 12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1 엔들리스 체인(27)의 걸어맞춤부(55)에 끼워맞추어져 있는 전측의 피걸어맞춤부(16a, 17a)의 차륜(18a, 19a)은 내측 원호형 가이드 레일(97) 위를 경유하여 제2 수평 경로부(5) 위로 보내짐과 아울러, 후측의 피걸어맞춤부(16b, 17b)의 차륜(18b, 19b)은 보조 회전체(52)의 걸어맞춤부(52a)로부터 떨어져 보조 수평 가이드 레일부(90a) 위로 옮겨탄다. 이때, 후측의 피걸어맞춤부(16b, 17b)의 돌출축(20b, 21b)에 끼워맞추어져 있던 제2 엔들리스 체인(28)의 걸어맞춤부(57)는 보조 수평 가이드 레일부(90a)의 상측 위치에서 돌출축(20b, 21b)으로부터 비스듬히 상방으로 이탈하게 된다. 이 다음은, 제1 엔들리스 체인(27)의 걸어맞춤부(55)에 의해, 전측의 피걸어맞춤부(16a, 17a)의 돌출축(20a, 21a)을 통하여 반송 대차(13)가 제2 수평 경로부(5) 내로 보내진다. 이 과정에서, 후측의 피걸어맞춤부(16b, 17b)의 돌출축(20b, 21b)에, 턴부 톱니바퀴(32)의 주위를 회동하는 제1 엔들리스 체인(27)의 걸어맞춤부(55)가 반송 대차(13)의 후측의 피걸어맞춤부(16b, 17b)의 돌출축(20b, 21b)에 끼워맞추어진다. 이렇게 하여, 반송 대차(13)는 수평 정립 자세를 유지하고 제1 승강 경로부(3)로부터 제2 턴 경로부(4)를 경유하여 제2 수평 경로부(5) 내로 보내진다.
제2 수평 경로부(5) 내에서는, 반송 대차(13)의 전후의 피걸어맞춤부(16a∼17b)의 돌출축(20a∼21b)에 끼워맞추는 제1 엔들리스 체인(27)의 걸어맞춤부(55)에 의해, 수평 가이드 레일(42) 위에서 수평으로 주행 구동된다. 그리고 제3 턴 경로부(6)에 도달한 반송 대차(13)는, 당해 제3 턴 경로부(6)에서 앞에 설명한 대로의 작용에 의해, 제3 수평 경로부(7) 내에 수평 정립 자세를 유지하고 유턴하고, 이 제3 수평 경로부(7)를, 제1 엔들리스 체인(27)에 의해 제4 턴 경로부(8)측으로 주행 구동된다. 그리고, 제4 턴 경로부(8)를 경유하여 제2 승강 경로부(9) 내로 보내지는데, 다음에 이 제4 턴 경로부(8)의 구성과 작용을 설명한다.
도 17∼도 19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이 제4 턴 경로부(8)에서는, 제2 승강 경로부(9)의 제2 엔들리스 체인(29)의 상단의 상단 안내 톱니바퀴(38)는 제3 수평 경로부(7)를 주행하는 반송 대차(13) 전측의 피걸어맞춤부(16b, 17b)와 간섭하지 않는 높이로 내려져 있다. 그리고 제1 엔들리스 체인(27)의 턴부 톱니바퀴(34)는 상기 상단 안내 톱니바퀴(38)와 동일 레벨로 축지지되어 있으므로, 이 턴부 톱니바퀴(34)의 위쪽에는 제1 엔들리스 체인(27)의 내리막 구배부가 형성되어 있다. 제3 수평 경로부(7)의 수평 가이드 레일(43)의 단부에는, 앞에 설명한 제6 턴 경로부(11), 제2 턴 경로부(4), 및 제3 턴 경로부(6)에 병설한 보조 지지용 가이드 롤러(69, 70, 89)에 상당하는 보조 지지용 가이드 롤러(98)가 축지지되어 있다. 또한, 제3 수평 경로부(7)에는, 그 적어도 제4 턴 경로부(8)측의 단부 영역에서, 제3 수평 경로부(7)로부터 제4 턴 경로부(8)에 진입하는 반송 대차(13)의 차륜(18a∼19b) 위에 덮이는 상측 수평 가이드 레일(101)이 가설되어 있다.
제2 엔들리스 체인(29)의 상단의 좌우 한 쌍의 상단 안내 톱니바퀴(38)에는, 그 내측에, 제2 턴 경로부(4)의 보조 회전체(52)와 동일한, 직경 방향 양측에 차륜(18a∼19b)이 끼워맞추어지는 오목부로 이루어지는 걸어맞춤부(53a, 53b)를 구비한, 보조 회전체(53)가 동심 일체로 연이어 설치되어 있다. 제2 승강 경로부(9)의 제1 엔들리스 체인(27)측에 설치된 전후 한 쌍의 수직 가이드 레일(47a, 47b) 중의 수직 가이드 레일(47b)의 상단과, 제2 엔들리스 체인(29)측에 설치된 전후 한 쌍의 수직 가이드 레일(48a, 48b) 중의 수직 가이드 레일(48a)의 상단은 내측 보조 가이드 레일(99)에 의해 일체로 연결되고, 이 내측 보조 가이드 레일(99)에는, 수직 가이드 레일(47b)의 상단에 접속되고 또한 상단 안내 톱니바퀴(38)와 동심의 원호형 가이드 레일부(99a)와, 반송 대차(13)의 전측의 차륜(18b, 19b)을, 제1 엔들리스 체인(27)측의 수직 가이드 레일(48a, 48b) 사이로 인도하는 하측 가이드 레일부(99b)가 형성되고, 수직 가이드 레일(48b)의 상단에는, 상기 하측 가이드 레일부(99b)와의 사이에서 반송 대차(13) 전측 차륜(18b, 19b)을 수직 가이드 레일(48a, 48b) 사이로 인도하는 외측 보조 가이드 레일(100)이 연이어 설치되어 있다. 하측 가이드 레일부(99b)와 외측 보조 가이드 레일(100)의 사이에서 형성되는 차륜 통로는, 제3 수평 경로부(7)를 전진 주행해 온 반송 대차(13) 전측 차륜(18b, 19b)을, 내리막 구배의 경사통로와, 제1 엔들리스 체인(27)의 턴부 톱니바퀴(34)와 동심 형상의 원호형 통로를 통하여, 제1 엔들리스 체인(27)측의 수직 가이드 레일(48a, 48b) 사이로 인도하는 것이다.
또한, 좌우 양측 각각에 있는 턴부 톱니바퀴(34)와 상단 안내 톱니바퀴(38)를 동일한 방향으로 동일 속도로 연동하도록, 각각 평기어열(102∼104)에 의해 연동 연결함과 아울러, 좌우 양측의 턴부 톱니바퀴(34)와 상단 안내 톱니바퀴(38)를 서로 연동시키기 위해, 각 평기어열(102∼104)의 평기어(102)와 교합하는 평기어(105)를 양단에 구비한 1개의 전동축(106)을 설치하고 있다. 이 전동축(106)은 제2 승강 경로부(9)와 제3 수평 경로부(7) 사이의 내측 모서리부를 횡단하도록 지승되어 있다.
제3 수평 경로부(7)의 수평 가이드 레일(43)에 차륜(18a∼19b)을 통하여 지지된 각 반송 대차(13)는 그 각 피걸어맞춤부(16a∼17b)의 돌출축(20a∼21b)에 위에서 아래쪽을 향하여 끼워맞추어져 있는 걸어맞춤부(55)를 통하여, 제1 엔들리스 체인(27)에 의해 제4 턴 경로부(8)를 향하여 주행 구동되고 있다. 이 반송 대차(13) 전측의 차륜(18b, 19b)이 수평 가이드 레일(43) 위에서 떨어질 때, 당해 반송 대차(13)의 좌우 양측판(15a, 15b)의 하측변이, 도 18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좌우 한 쌍의 보조 지지용 가이드 롤러(98)에 의해 지지됨과 아울러, 후측의 차륜(18a, 19a)의 위에 상측 수평 가이드 레일(101)이 덮여 있기 때문에, 반송 대차(13) 전측의 차륜(18b, 19b)은, 도 18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3 수평 경로부(7)의 수평 가이드 레일(43)과 내측 보조 가이드 레일(99)의 하측 가이드 레일부(99b) 사이에 빠져 들어가지 않고, 내측 보조 가이드 레일(99)의 하측 가이드 레일부(99b) 위로 옮겨탈 수 있다. 그리고, 당해 반송 대차(13)의 후측 차륜(18a, 19a)이 수평 가이드 레일(43)로부터 떨어졌을 때, 제1 엔들리스 체인(27)과 연동하고 있는 보조 회전체(53)의 1개의 걸어맞춤부(53a)가, 도 19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당해 후측 차륜(18a, 19a)의 바로 아래에 위치하도록 보조 회전체(53)가 회전하고 있으므로, 당해 후측 차륜(18a, 19a)은 수평 가이드 레일(43)로부터 떨어짐과 동시에 조금 빠져 들어가게 하여, 보조 회전체(53)의 걸어맞춤부(53a)에 끼워맞추어지게 된다.
상기의 후측 차륜(18a, 19a)이 보조 회전체(53)의 걸어맞춤부(53a)에 빠져 들어가도록 끼워맞추어질 때, 전측의 차륜(18b, 19b)은 외측 보조 가이드 레일(100)과 내측 보조 가이드 레일(99)의 하측 가이드 레일부(99b) 사이의 내리막 구배부를 이동함으로써, 반송 대차(13)는 거의 수평의 자세를 유지할 수 있다. 이후, 반송 대차(13) 전측 차륜(18b, 19b)에 위에서 끼워맞추어져 있는, 제1 엔들리스 체인(27)의 걸어맞춤부(55)와, 당해 반송 대차(13)의 후측 차륜(18a, 19a)에 아래에서 끼워맞추어져 있는 제2 엔들리스 체인(29)의 걸어맞춤부(58)가, 턴부 톱니바퀴(34)와 보조 회전체(53)의 동기 회전에 의해, 동일 레벨을 유지하고 원호형으로 강하한 후, 제2 승강 경로부(9)를 수직하게 강하 이동함으로써, 반송 대차(13)는 수평 정립 자세를 유지하고 제4 턴 경로부(8)를 원호형으로 강하한 후, 제2 승강 경로부(9)를 수직하게 강하 이동하게 된다.
제2 승강 경로부(9)를 강하하는 반송 대차(13)는, 제1 승강 경로부(3)를 상승 이동할 때와 동일하게, 전후 양측으로부터 차륜(18a∼19b)을 사이에 끼우도록, 각 차륜(18a∼19b)에 수평 방향으로 끼워맞추는 제1 엔들리스 체인(27)의 걸어맞춤부(55)와 제2 엔들리스 체인(29)의 걸어맞춤부(58)에 의해 지지된 수평 자세로, 제5 턴 경로부(10)를 향하여 강하 이동한다. 이후, 당해 제5 턴 경로부(10)를 경유하여, 원래의 제4 수평 경로부(12) 내로 보내지게 되는데, 다음에 이 제5 턴 경로부(10)의 구성과 작용을 도 20∼도 22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제5 턴 경로부(10)에는, 제1 엔들리스 체인(27)을 제4 수평 경로부(12)쪽으로 전향시키는 턴부 톱니바퀴(35)에 대하여, 반송 대차(13)에 대한 지지 간격만큼 외측(제4 수평 경로부(12)가 있는 측과는 반대측)으로 수평으로 떨어진 위치에, 제4 턴 경로부(8)에 설치된 보조 회전체(53)와 동일한, 직경 방향 양측에 반송 대차(13)의 후측의 차륜(18a, 19a)에 끼워맞추는 오목부로 이루어지는 걸어맞춤부(54a, 54b)를 구비한 보조 회전체(54)가 축지지되어 있다. 이 보조 회전체(54)와 턴부 톱니바퀴(35)는 각 턴 경로부의 턴부 톱니바퀴(30)와 보조 회전체(49), 턴부 톱니바퀴(32)와 보조 회전체(52), 턴부 톱니바퀴(33)와 보조 회전체(50), 및 턴부 톱니바퀴(34)와 보조 회전체(53)와 완전히 동일한 작용에 의해, 제2 승강 경로부(9)를 강하해 온 반송 대차(13)를 수평 정립 자세를 유지하고 원호형으로 턴 시켜, 제4 수평 경로부(12) 내로 보내는 것이며, 제1 엔들리스 체인(27)에 의해 회전 구동되고 있는 좌우 한 쌍의 턴부 톱니바퀴(35)와 좌우 한 쌍의 보조 회전체(54)를 좌우 각 별도로 연동 연결하기 위한 평기어열(107∼109)을 설치하고 있다. 또한, 제2 승강 경로부(9)의 제2 엔들리스 체인(29)은 그 걸어맞춤부(58)가 수직하게 강하하여, 당해 걸어맞춤부(58)가 끼워맞추어져 있는 반송 대차(13)의 후측 차륜(18a, 19a)을, 동기 회전하고 있는 보조 회전체(54)의 걸어맞춤부(54a, 54b)에 이어받게 할 수 있도록, 하단 안내 톱니바퀴(39)에 의해 걸쳐져 뻗어 있다.
또한, 좌우 한 쌍의 턴부 톱니바퀴(35) 사이의 중앙부 하측에는, 제3 턴 경로부(6)에 설치된 하측 돌기 형상 캠(66)과 동일한 작용을 하는 하측 돌기 형상 캠(110)이 돌출 설치되어 있다. 제2 승강 경로부(9)의 제1 엔들리스 체인(27)측의 전후 한 쌍의 수직 가이드 레일(48a, 48b) 중, 외측의 수직 가이드 레일(48b)의 하단에는, 반송 대차(13)의 전측 차륜(18b, 19b)을 턴부 톱니바퀴(35)의 주위를 경유하여 제4 수평 경로부(12)의 수평 가이드 레일(44) 위로 인도하기 위한 내측 코너부용 가이드 레일(111)이 연이어 설치되어 있다. 제4 수평 경로부(12)의 수평 가이드 레일(44)은 보조 회전체(54)의 하측 영역까지 연장 설치되어 있고, 상기 수직 가이드 레일(48b)과 쌍을 이루는 내측의 수직 가이드 레일(48a)의 하단은 상기 수평 가이드 레일(44) 위에서의 반송 대차(13)의 후측 차륜(18a, 19a)의 수평 이동에 영향을 주지 않는 높이까지 내려져 있고, 그 턴부 톱니바퀴(35)측에는, 이 턴부 톱니바퀴(35)의 주위를 경유하여 수평 가이드 레일(44) 위로 보내지는 전측 차륜(18b, 19b)을, 내측 코너부용 가이드 레일(111)과의 사이에서, 제4 수평 경로부(12)쪽으로 안내하기 위한 원호형 레일부(112)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제2 승강 경로부(9)의 제2 엔들리스 체인(29)측의 전후 한 쌍의 수직 가이드 레일(47a, 47b) 중, 외측의 수직 가이드 레일(47a)의 하단에는, 보조 회전체(54)의 걸어맞춤부(54a, 54b)에 끼워맞추어져 수평 가이드 레일(44) 위로 보내지는 후측 차륜(18a, 19a)을 안내하는, 보조 회전체(54)와 동심 형상의 외측 원호형 가이드 레일(113)이 연이어 설치되어 있다.
상기의 제5 턴 경로부(10)의 구성에 의하면, 도 2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2 승강 경로부(9)를 강하해 오는 반송 대차(13)의 후측 차륜(18a, 19a)은, 도 22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2 엔들리스 체인(29)의 걸어맞춤부(58)가 하단 안내 톱니바퀴(39)의 주위를 회동하기 직전에, 이 제2 엔들리스 체인(29)과 제1 엔들리스 체인(27)에 연동하여 동기 회전하고 있는 보조 회전체(54) 중 1개의 걸어맞춤부(54a)가 끼워맞추어지므로, 외측 원호형 가이드 레일(113)에 의해 걸어맞춤부(54a)로부터 탈락하는 것이 저지되면서, 제4 수평 경로부(12)의 수평 가이드 레일(44) 위로 옮겨탄다. 한편, 제1 엔들리스 체인(27)의 걸어맞춤부(55)에 끼워맞추어지고, 수직 가이드 레일(48a, 48b) 사이를 강하하는 전측 차륜(18b, 19b)은 당해 반송 대차(13)의 수직 가이드 레일(48b)의 하단의 내측 코너부용 가이드 레일(111)과, 수직 가이드 레일(48a)의 하단의 원호형 레일부(112) 사이에서 안내되어, 턴부 톱니바퀴(35)의 주위를 강하하는데, 당해 차륜(18b, 19b)이 수직 가이드 레일(48a)의 하단의 원호형 레일부(112)로부터 벗어나면, 당해 차륜(18b, 19b)을 직접 안내할 수단이 없다. 이 때, 도 22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당해 반송 대차(13)의 바닥부 전측의 캠 종동 롤러(25b)가 하측 돌기 형상 캠(110) 위에 받아진다.
이 하측 돌기 형상 캠(110)의 원호면은 턴부 톱니바퀴(35)의 주위에서의 걸어맞춤부(55)의 회동 궤적과 동일 반경의 원호면에 형성되어 있으므로, 캠 종동 롤러(25b)가 하측 돌기 형상 캠(110)으로 받아져서 강하함으로써, 차륜(18b, 19b)은 제1 엔들리스 체인(27)의 걸어맞춤부(55)에 끼워맞춘 상태를 유지하고, 원활하게 강하하게 된다. 이 하측 돌기 형상 캠(110)은 다른 제6 턴 경로부(11) 및 제3 턴 경로부(6)의 하측 돌기 형상 캠(65, 66)이나, 제2 턴 경로부(4)의 하측 돌기 형상 캠(87)과 마찬가지로, 반송 대차(13)의 천판(14)의 아래로 들어가게 되는데, 반송 대차(13)의 천판(14)의 하측이 도 2에 기초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구성되어 있으므로, 제4 수평 경로부(12)의 수평 가이드 레일(44) 위에서 수평 주행을 개시하는 반송 대차(13)는 하측 돌기 형상 캠(110) 위를 문제없이 주행 통과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반송 대차(13)는 4개의 수평 경로부(1, 5, 7, 12)와 2개의 승강 경로부(3, 9)로 이루어지는 닫힌 순환 주행 경로를, 수평 정립 자세를 유지하고 정속 주행하게 되는데, 하측 돌기 형상 캠(65, 66, 87, 110)을 구비한 턴 경로부(2, 6, 10, 11)에서는, 지지가 불안정하게 되는 턴 개시시 또는 턴 종료시에, 반송 대차(13)의 전후좌우 4개의 피걸어맞춤부(16a∼17b) 중, 전후 어느 좌우 한 쌍의 피걸어맞춤부와, 이 피걸어맞춤부와는 전후 반대측에 위치하는, 전후 2개의 보조 피지지부(24a, 24b)(캠 종동 롤러(25a, 25b)) 중의 일방의 보조 피지지부의 반송 대차(13)의 3개소를 안정적으로 지지한 상태에서 원활하게 턴을 개시 또는 종료시킬 수 있다.
또한, 앞에 설명한 바와 같이, 제1 엔들리스 체인(27)의 걸어맞춤부(55)와, 제2 엔들리스 체인(28, 29)의 걸어맞춤부(57, 58)는 반송 대차(13)에 대한 지지 간격(L)(차륜(18a∼19b)의 전후 간격)과 동일한 피치로 부착되고, 반송 대차(13)의 전체 길이(L2)는 반송 대차(13)에 대한 지지 간격(L)의 2배보다 조금 짧아지도록 구성되어 있으므로, 수평 경로부(1, 5, 7, 12)에서는, 천판(14)의 전후 양단이 서로 인접하는 연속 상태에서 각 반송 대차(13)를 주행시킬 수 있다. 그리고 승강 경로부(3, 9)에서는, 반송 대차(13)의 차륜(18a, 19a)이 전후로 나뉘어, 각각이 제1 엔들리스 체인(27)의 걸어맞춤부(55)와, 제2 엔들리스 체인(28, 29)의 걸어맞춤부(57, 58)에 지지된 상태에서, 수평 정립 자세를 유지하고 평행하게 승강 이동하게 된다. 이와 같이, 반송 대차(13)가 승강 경로부(3, 9)를 승강 이동할 때는, 도 23에 나타내는 참고도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반송 대차(13) 간의 상하 간격은 반송 대차(13)에 대한 지지 간격(L)의 2배의 간격이 된다.
상기의 반송 장치는, 예를 들면, 도 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낮은 위치의 제1 수평 경로부(1)의 시단부에 위치하는 반송 대차(13)의 위에 짐(W)을 싣고, 높은 위치의 제2 수평 경로부(5)의 종단부에 위치하는 반송 대차(13)로부터 짐(W)을 내리도록, 짐(W)의 반송에 사용할 수 있다. 물론, 상기 구성의 반송 장치는, 제1 엔들리스 체인(27) 및 제2 엔들리스 체인(28, 29)을 역방향으로 회동시켜, 높은 위치의 제2 수평 경로부(5) 위로부터 낮은 위치의 제1 수평 경로부(1) 위로 짐(W)을 반송하도록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어느 경우도, 반송 대차(13)에 대한 짐(W)의 쌓고 내리기는, 제6 턴 경로부(11)의 턴부 톱니바퀴(30)와 보조 회전체(49)(제3 턴 경로부(6)의 턴부 톱니바퀴(33)와 보조 회전체(50))에 의해, 제1 수평 경로부(1)와 동일 레벨에서 지지되어 있는 반송 대차(13)나 또는 제6 턴 경로부(11)보다 아래쪽의 제1 수평 경로부(1)(제3 턴 경로부(6)보다 위쪽의 제2 수평 경로부(5))에서 지지되어 있는 반송 대차(13)에 대하여 행할 수 있다.
상기 구성의 반송 장치에 있어서, 각 반송 대차(13)에 적재되는 짐(W)의 허용높이는, 반송 대차(13)의 정전 회동과 역전 회동에 관계없이, 수평 경로부(1) 또는 수평 경로부(5)와 제1 승강 경로부(3)의 사이를, 제1 턴 경로부(2) 또는 제2 턴 경로부(4)를 경유하여 이동하는, 전후에 이웃하는 2대의 반송 대차(13) 사이에서, 일방의 반송 대차(13)와, 타방의 반송 대차(13)에 적재되어 있는 짐(W)이 서로 충돌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정해진다. 예를 들면, 도 23에 도시하는 장소에서는, 반송 대차(13)에 적재되는 짐(W)이 도시된 것보다 높아지면, 제1 턴 경로부(2)에서 제1 승강 경로부(3)로의 상승 동작 중인 전측의 반송 대차(13)에, 그 직후에 있어서, 제1 수평 경로부(1)로부터 제1 턴 경로부(2)로 진입하려고 하는 후측의 반송 대차(13) 위에 적재되어 있는 짐(W)이 충돌하게 된다. 상기 실시예의 구성의 반송 장치에 있어서, 상기의 허용 범위를 초과하는 높이의 짐(W)를 취급하는 경우에는, 도 2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수평 경로부(1, 5, 7, 12)에서의 반송 대차(13)의 수평 주행 방향의 피치를, 반송 대차(13)에 대한 지지 간격의 2배=2L로부터 3배=3L로 하면, 반송 대차(13)에 대한 지지 간격(L)과 동일한 정도의 높이의 짐(W2)이어도, 문제없이 반송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반송 대차(13)의 수평 주행 방향의 피치를 변경하는 경우, 이 실시예의 반송 장치에서는, 도 2a에서 나타내는 바와 같이, 반송 대차(13)의 각 피걸어맞춤부(16a∼17b)의 돌출축(20a∼21b)은 제1 엔들리스 체인(27)의 각 걸어맞춤부(55)에 대하여 상하 방향으로 끼우고 빼기 자유롭기 때문에, 반송 대차(13)를, 예를 들면, 낮은 위치의 제1 수평 경로부(1)에 있어서, 순환 주행 경로에 대하여 자유롭게 착탈할 수 있다. 따라서, 취급하는 짐(W)의 높이에 따라, 반송 대차(13)를 그 수평 주행 방향의 피치가 지지 간격(L)의 2배=2L 또는 3배=3L이 되도록 세팅하면 된다. 또한, 반송 대차(13)는 수평 경로부에서 상하 방향으로 자유롭게 착탈할 수 있으므로, 순환 주행 경로에 대한 짐(W)의 쌓고 내리기는, 짐(W)을 적재한 반송 대차(13) 그 자체를, 전체가 경량이면 수작업으로, 중량물이 되는 경우에는, 포크 리프트와 같은 자동 기계로 쌓고 내리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상기 실시예에 제시한 반송 대차(13)의 순환 주행 경로는 일례이며,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즉 제1 턴 경로부(2)∼제6 턴 경로부(11) 중의 일부 또는 전부와 임의의 길이의 수평 경로부를 조합함으로써, 여러 다양한 레이아웃의 반송 장치를 구성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실시예에서의 제4 턴 경로부(8)를 전후 역방향으로 하여, 제2 승강 경로부(9)의 상단을 높은 위치의 제2 수평 경로부(5)에 직접 접속한 레이아웃이나, 제2 턴 경로부(4)를 전후 역방향으로 하여, 제1 승강 경로부(3)의 하단을 제4 수평 경로부(12)에 직접 접속한 레이아웃, 이 양쪽 레이아웃을 조합하여, 제3 턴 경로부(6)와 제3 수평 경로부(7), 및 제6 턴 경로부(11)와 제1 수평 경로부(1)를 없앤, 직사각형 형상으로 반송 대차(13)가 순환하는 레이아웃 등도 용이하게 실현할 수 있고, 더욱이, 오목형 또는 볼록형으로 반송 대차(13)가 순환 주행하는 레이아웃 등도 필요에 따라 실현할 수 있다.
(산업상의 이용가능성)
본 발명의 대차식 반송 장치는, 반송 대차의 순환 주행 경로 중에 설치된 승강 경로부에 있어서, 전용의 리프터를 사용하지 않고, 수평 경로부에서 반송 대차를 추진시키는 체인 컨베이어를 그대로 활용하여, 반송 대차를 안정적이고 또한 원활하게 승강 이동시킬 수 있는, 반송 장치로서 활용할 수 있다.
1, 5, 7, 12 수평 경로부
2, 4, 6, 8, 10, 11 턴 경로부
3, 9 승강 경로부
13 반송 대차
14 천판
15a, 15b 좌우 양측판
16a∼17b 피걸어맞춤부
18a∼19b 차륜
20a∼21b 돌출축
24a, 24b 보조 피지지부
25a, 25b 캠 종동 롤러
27 제1 엔들리스 체인
28, 29 제2 엔들리스 체인
30∼35 제1 엔들리스 체인의 턴부 톱니바퀴
36∼39 제2 엔들리스 체인의 상단 또는 하단의 안내 톱니바퀴
41∼44 수평 가이드 레일
45a∼48b 수직 가이드 레일
49∼54 보조 회전체
49a∼54b, 55, 57, 58 걸어맞춤부
65, 66, 87, 110 하측 돌기 형상 캠
69, 70, 89, 98 보조 지지용 가이드 롤러
81 감속기 부착 모터

Claims (4)

  1. 서로 턴 경로부를 통하여 접속된 수평 경로부와 승강 경로부의 일방으로부터 타방으로 연속하도록 좌우 한 쌍의 제1 엔들리스 체인이 연장 설치되고, 승강 경로부에는, 좌우 한 쌍의 제1 엔들리스 체인과 병렬하고 또한 당해 제1 엔들리스 체인과 연동하여 회동하는 좌우 한 쌍의 제2 엔들리스 체인이 연장 설치되고, 이들 제1 엔들리스 체인과 제2 엔들리스 체인에는, 상기 승강 경로부에서 동일 높이에서 동일한 방향으로 병렬 승강 이동하는 걸어맞춤부가 설치되고, 반송 대차의 좌우 양측에는, 상기 승강 경로부에서 동일 높이에서 동일한 방향으로 병렬 승강 이동하는 제1 엔들리스 체인의 걸어맞춤부와 제2 엔들리스 체인의 걸어맞춤부에 걸어맞추어지는 전후 2개의 피걸어맞춤부가 설치되고, 수평 경로부에서는, 반송 대차의 전후 2개의 피걸어맞춤부 중 적어도 1개가 제1 엔들리스 체인의 걸어맞춤부에 걸어맞추어지도록 구성된 대차식 반송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1 엔들리스 체인에는, 반송 대차의 전후 2개의 피걸어맞춤부가 동시에 끼워맞추어지는 걸어맞춤부가 적당 간격으로 설치되고, 이 제1 엔들리스 체인의 걸어맞춤부와 반송 대차의 피걸어맞춤부는, 수평 경로부에서 반송 대차를 상하 방향으로 착탈할 수 있도록, 서로 끼우고 빼기 자유롭게 구성되고, 반송 대차에 실리는 짐의 높이에 따라, 수평 경로부에서 반송 대차의 피걸어맞춤부가 끼워맞추어지는 제1 엔들리스 체인측의 걸어맞춤부를 변경하여, 수평 경로부에서의 반송 대차의 간격을 변경할 수 있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차식 반송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반송 대차의 각 피걸어맞춤부는 반송 대차의 전후 좌우 4개소에 축지지된 차륜과, 이 차륜으로부터 동심 형상으로 돌출하는 돌출축으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차식 반송 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제1 엔들리스 체인의 각 걸어맞춤부는 수평 경로부에서 제1 엔들리스 체인으로부터 내측에 돌출 설치된 것으로, 상기 반송 대차의 각 피걸어맞춤부의 돌출축이 수평 경로부에서 상하 방향으로 끼우고 빼기 자유롭게 끼워맞추어지도록 설치된 오목부를 구비하고, 제2 엔들리스 체인의 걸어맞춤부는, 수직 경로부에서 수평으로 옆을 향하게 된 제1 엔들리스 체인의 걸어맞춤부와 마찬가지로, 당해 제2 엔들리스 체인의 내측에 돌출 설치된 것으로, 상기 반송 대차의 각 피걸어맞춤부의 돌출축이 수평 횡방향으로 끼워맞추어지도록 수평으로 옆을 향하여 형성된 오목부를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차식 반송 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제1 엔들리스 체인의 모든 걸어맞춤부는 반송 대차의 피걸어맞춤부의 전후 방향의 간격과 동일한 등 간격으로 배열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차식 반송 장치.
KR1020177010626A 2014-11-11 2015-10-15 대차식 반송 장치 KR10197492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4-228731 2014-11-11
JP2014228731A JP6332753B2 (ja) 2014-11-11 2014-11-11 台車式搬送装置
PCT/JP2015/079133 WO2016076062A1 (ja) 2014-11-11 2015-10-15 台車式搬送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82515A true KR20170082515A (ko) 2017-07-14
KR101974929B1 KR101974929B1 (ko) 2019-05-03

Family

ID=559541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7010626A KR101974929B1 (ko) 2014-11-11 2015-10-15 대차식 반송 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9969557B2 (ko)
JP (1) JP6332753B2 (ko)
KR (1) KR101974929B1 (ko)
CN (1) CN107000942B (ko)
TW (1) TWI621577B (ko)
WO (1) WO2016076062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241750B2 (ja) * 2014-11-11 2017-12-06 株式会社ダイフク 台車式搬送装置
JP6478059B2 (ja) * 2016-03-31 2019-03-06 株式会社ダイフク 台車利用の搬送装置
CN206367803U (zh) * 2016-11-01 2017-08-01 合肥鑫晟光电科技有限公司 产品转移装置
CN110434075B (zh) * 2019-07-19 2024-05-14 上海欣巴科技设备有限公司 多层交叉带分拣机
WO2021133684A1 (en) * 2019-12-28 2021-07-01 Avery Dennison Retail Information Services, Llc Shopping cart/basket reader systems and methods
TWI830574B (zh) * 2023-01-10 2024-01-21 源創食品機械有限公司 乾燥設備及其盤式循環輸送帶系統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179233A (ja) * 2000-10-04 2002-06-26 Nakanishi Nobuo 搬送装置
JP2011079624A (ja) 2009-10-06 2011-04-21 Ishihara Giken:Kk パレット作業台循環搬送装置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82206A (en) * 1933-12-29 1937-06-01 Lamson Co Conveyer system
US3850106A (en) * 1973-11-30 1974-11-26 Rexnord Inc Elevator apparatus
US4627530A (en) * 1983-10-20 1986-12-09 Universal Conveyor Co., Inc. Elevating chain conveyor
US4883167A (en) * 1986-09-19 1989-11-28 Katsuaki Shibata Continuous conveyor apparatus
US5263574A (en) * 1993-04-06 1993-11-23 T.K.F., Inc. Interlocking flight for conveyor systems
JP3253052B2 (ja) * 1996-03-08 2002-02-04 矢崎総業株式会社 電気コネクタ
KR101094797B1 (ko) * 2007-01-30 2011-12-16 가부시키가이샤 다이후쿠 대차를 이용하는 반송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179233A (ja) * 2000-10-04 2002-06-26 Nakanishi Nobuo 搬送装置
JP2011079624A (ja) 2009-10-06 2011-04-21 Ishihara Giken:Kk パレット作業台循環搬送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74929B1 (ko) 2019-05-03
US20170240359A1 (en) 2017-08-24
TW201623122A (zh) 2016-07-01
WO2016076062A1 (ja) 2016-05-19
JP2016088736A (ja) 2016-05-23
CN107000942B (zh) 2019-05-03
CN107000942A (zh) 2017-08-01
TWI621577B (zh) 2018-04-21
JP6332753B2 (ja) 2018-05-30
US9969557B2 (en) 2018-05-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12867B1 (ko) 대차식 반송 장치
KR101974929B1 (ko) 대차식 반송 장치
EP2039580B1 (en) Carriage type conveyance device
KR101439383B1 (ko) 이동가능한 측면 패널 부재들을 갖는 승객 수송기
JP4182475B2 (ja) 昇降荷台付き搬送装置
JP4317059B2 (ja) 車両入出庫方法及びエレベータ式駐車装置
JPS586673B2 (ja) ジヨウキヤクイソウソウチ
TW201741215A (zh) 利用台車之搬運裝置
RU2284958C1 (ru) Комплекс для подъема автомобилей-самосвалов на борт карьера
JP5470307B2 (ja) 作業ライン用コンベヤ設備
JP4317078B2 (ja) エレベータ式駐車装置
RU2313481C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подъема автомобилей-самосвалов на борт карьера
JP4369823B2 (ja) エレベータ式駐車装置
RU2285655C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подъема автомобилей-самосвалов на борт карьера
JP2015059019A (ja) ワーク搬送設備
JP5831721B2 (ja) スラットコンベヤ
JPS5846987B2 (ja) 水平循環式駐車設備
RU2287477C1 (ru) Карьерный подъемник для автомобилей-самосвалов
JPH0932336A (ja) 多塔型エレベータ式立体駐車装置
JPH0227069A (ja) 多層循環式駐車設備
JPH05330608A (ja) 立体搬送装置
JPH0978875A (ja) 車両搬送台車及び該台車を備えた駐車装置
JPS621066B2 (ko)
JPH09228677A (ja) 格納庫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