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39383B1 - 이동가능한 측면 패널 부재들을 갖는 승객 수송기 - Google Patents

이동가능한 측면 패널 부재들을 갖는 승객 수송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39383B1
KR101439383B1 KR1020137011860A KR20137011860A KR101439383B1 KR 101439383 B1 KR101439383 B1 KR 101439383B1 KR 1020137011860 A KR1020137011860 A KR 1020137011860A KR 20137011860 A KR20137011860 A KR 20137011860A KR 101439383 B1 KR101439383 B1 KR 10143938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ansport
chain
elements
rollers
transport cha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70118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64137A (ko
Inventor
알로이스 젠거
Original Assignee
오티스 엘리베이터 컴파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티스 엘리베이터 컴파니 filed Critical 오티스 엘리베이터 컴파니
Publication of KR2013006413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6413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3938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3938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23/00Component parts of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23/08Carrying surfaces
    • B66B23/10Carrying bel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23/00Component parts of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23/02Driving gear
    • B66B23/024Chain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23/00Component parts of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23/02Driving gea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23/00Component parts of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23/08Carrying surfaces
    • B66B23/12Step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23/00Component parts of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23/14Guiding means for carrying surfa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23/00Component parts of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23/14Guiding means for carrying surfaces
    • B66B23/145Roller assemblies

Landscapes

  • Escalators And Moving Walkway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승객 수송기(10)에 관한 것이며, 상기 승객 수송기는 복수의 운송 요소들(12)을 포함하는 순환식 운송 밴드, 상기 운송 밴드에 구동가능하게 연결된 적어도 하나의 순환식 운송 체인(16)을 포함하고, 상기 운송 체인(16)은 제 1 및 제 2 전환 구간 주위에서 구동되고, 상기 운송 체인(16)은 복수의 운송 체인 연결부들(18), 복수의 운송 체인 롤러들(20) - 연이어진 상기 운송 체인 연결부들(18)은 상기 운송 체인 롤러들(20)의 각각을 통해 연결됨 -, 및 복수의 운송 체인 롤러 축들(26) - 상기 운송 체인 롤러 축들(26)의 각각은 상기 운송 체인(16)에 상기 운송 요소들(12)의 각각을 연결함 - 을 포함하며, 상기 운송 요소들(12)은 각각의 운송 체인 롤러 축(26)에 의해 지지되는 제 1 운송 요소들(12a), 및 운송 요소 축(28)에 의해 지지되는 제 2 운송 요소들(12b)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이동가능한 측면 패널 부재들을 갖는 승객 수송기{PASSENGER CONVEYOR WITH MOVABLE LATERAL PANEL MEMBERS}
본 발명은 승객 수송기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승객 수송기는, 예를 들어 에스컬레이터 또는 무빙 워크이다. 에스컬레이터는 통상적으로 상이한 층들의 승강장들 사이로 승객들을 이송하는 승객 수송기이다. 무빙 워크는 통상적으로 수평방향으로 또는 약간 경사진 채로 연장되는 층들을 따라 승객들을 이송시키는데 사용된다.
이러한 승객 수송기는 통상적으로 프레임, 이동가능한 핸드레일들을 갖는 난간들(handrails), 순환식 운송 밴드(endless transportation band)(예를 들어, 스텝 밴드 또는 팰릿 밴드), 및 상기 운송 밴드를 추진시키기 위한 운송 체인을 포함하는 구동 시스템을 포함한다.
상기 프레임은 프레임의 좌측 및 우측 둘 모두에 트러스 구간(truss section)을 포함한다. 각각의 트러스 구간은 경사진 또는 - 무빙 워크의 경우 - 수평일 수 있는 중간 구간에 의해 연결된, 승강장들을 형성하는 2 개의 단부 구간들을 갖는다. 흔히, 승강장들 중 하나는 트러스들 사이에 위치된 승객 수송기의 구동 시스템 또는 기계를 하우징한다.
운송 체인은 상류 승강장 및 하류 승강장에 각각 위치된 시브들 또는 스프로켓들(sheaves or sprockets) 사이에서 순환하는 방식으로 이동한다. 운송 체인은 복수의 운송 체인 연결부들을 포함하고, 운송 체인 연결부들의 각각은 각각의 운송 체인 롤러가 이에 연계되게 하며, 연이어진 운송 체인 연결부들은 각각의 운송 체인 롤러를 통해 연결된다. 운송 체인 요소들은 프레임에 고정된 운송 체인 안내 조립체에 의해 안내된다.
본 발명은 특히 수 개의 운송 요소들 또는 발판들(예를 들어, 스텝들 또는 팰릿들의 형태로 되어 있음)로 구성된 순환식 운송 밴드를 갖는 승객 수송기에 관한 것이다. 운송 요소는 앞면, 뒷면, 그리고 2 개의 측면들에 의해 정의된 발판면(tread surface)을 포함한다. 운송 밴드는 적어도 하나의 운송 체인(통상적으로, 스텝 체인 또는 팰릿 체인이라고 칭해짐)에 구동가능하게 연결된다. 다수의 경우에, 순환식 경로들을 따라 병렬로 진행하는(running in parallel) 2 개의 측면 운송 체인들이 제공되며, 운송 밴드는 두 운송 체인들에 구동가능하게 연결된다.
상당한 경사를 갖지 않고 상류 승강장과 하류 승강장 사이에서 이동하는 무빙 워크의 경우, 운송 밴드 및 운송 체인이 상류 및 하류 전환 구간 주위로 구동되는 것이 더 적절하다고 말할 수 있다. 에스컬레이터의 경우, 전환 구간들은 통상적으로 하부 및 상부 전환 구간들로 지정된다.
승객 수송기의 구동 시스템은 통상적으로 운송 체인, 운송 체인 구동 휠(예를 들어, 스프로켓 또는 톱니형 휠의 형태로 되어 있음), 및 구동 모터를 포함한다. 운송 체인은 하나의 승강장으로부터 다른 승강장으로, 또한 이와 반대로 진행하는 연속적인 폐쇄된 루프를 이동한다. 운송 체인은, 예를 들어 운송 체인의 각각의 운송 체인 롤러를 지지하는 운송 체인 롤러 축을 통해 운송 요소들에 구동가능하게 연결된다. 또한, 운송 체인 롤러 축은 운송 요소들의 각각을 피봇가능하게(pivotably) 지지한다. 구동 모터는 직접적으로 또는 추가 변속(further transmission)을 통해 운송 체인과 구동 연결되는 구동 시브를 구동한다. 통상적으로, 최종 구동은 전환 영역에 위치된 한 개 또는 한 쌍의 체인 전환 구동 휠들로서 실현된다. 구동 휠들은 운송 요소들 및 운송 체인의 크기에 기초하며, 일 예시로서 대부분의 에스컬레이터 시스템들에 대해 직경이 750 mm이다. 각각의 구동 휠 주위에 운송 체인이 안내되고 구동된다.
운송 체인(들)의 추진이 전환 구간들 부근에서 일어나는 것이 아니라, 예를 들어 중간 구간들(부하 구간 또는 복귀 구간)에서 일어나는 승객 수송기들이 또한 존재한다. 이러한 타입의 승객 수송기들에서는, 체인 전환 휠 대신에 전환 플레이트 또는 본질적으로 반원형의 가이드웨이(guideway)가 제공될 수 있어, 운송 체인 롤러들은 전환 플레이트 또는 가이드웨이에 의해 정의된 경로를 따른다. 운송 체인 롤러들은 전환 플레이트 또는 가이드웨이에서 승객 수송기의 부하 구간으로부터 복귀 구간 내로 반전된다. 이러한 점에서, 전환 구간이라는 용어는 모든 타입의 구성물들, 예를 들어 체인 전환 휠들, 전환 가이드웨이들 또는 전환 플레이트들을 포괄하도록 의도된다.
승객 수송기, 예를 들어 에스컬레이터 또는 무빙 워크의 운송 요소들은 통상적으로 "발판"이라고도 칭해지는 발판면을 갖는 본질적으로 박스형의 요소들, 그리고 에스컬레이터의 경사진 영역에 노출되고 "라이저(riser)"이라고 칭해지는 앞면을 포함한다. 무빙 워크의 경우, 라이저는 통상적으로 승객에게 절대로 노출되지 않는다. 박스의 나머지 측면, 바닥면 및 뒷면 - 이 또한 에스컬레이터 또는 무빙 워크의 작동 시에 승객들에게 절대로 노출되지 않음 - 은 폐쇄될 수 있지만, 흔히 개방된 채로 유지될 수도 있다. 이는 특히 운송 요소의 뒷면에 그리고 발판면의 반대쪽에 위치된 운송 요소의 아랫면에 적용된다. 운송 체인 쪽으로 지향된 운송 요소의 측벽들은 통상적으로 구조적 이유들로 규칙적으로 배열된다. 박스형 운송 요소의 뒷면이 앞면 반대쪽에 제공되지 않는 경우, 운송 체인들 쪽으로 지향된 박스의 측벽들은 흔히 바닥 쪽으로 경사진(tapered) 삼각형을 가지며, 운송 요소 자체는 앞면 부근에서의 운송 요소의 두께에 비해 그 뒷면 영역에서 비교적 적은 두께만을 갖는다. 무게 및 재료 요건은 이러한 조치(measures)로 인해 상당히 감소될 수 있다.
운송 요소들의 각각은 통상적으로 운송 체인 롤러 축에 의해 운송 체인(들)에 체결된다. 운송 체인 롤러 축은 통상적으로 운송 요소 몸체를 통해 연장되고, 측방향으로 배열된 2 개의 운송 체인들의 경우 그 두 자유 단부들과 운송 체인들에 연결된다. 운송 요소는 통상적으로 쉽게 처리될 수 있는 재료, 예를 들어 알루미늄, 알루미늄 합금, 또는 플라스틱과 같이 압출성형될(extruded) 수 있는 재료로 만들어진다. 운송 체인 롤러 축은 더 강한 재료, 예를 들어 철 또는 스틸로 만들어진다.
승객 수송기의 전환 구간들에서 두 운송 체인 연결부들 그리고 운송 요소들은 그들의 이동 방향을 반전시키기 위하여 전이 곡선을 따라 이동해야 한다. 통상적으로, 안내 수단이 전환 구간들에 제공되어, 전이 곡선을 따라 운송 요소들과 운송 체인 연결부들을 둘 다 안내한다. 그러므로, 운송 요소들 및 운송 체인 연결부들 중 더 큰 것이 전이 곡선을 따를 수 있는 방식으로 전이 곡선의 벤딩 반경(bending radius)이 선택되어야 한다. 운송 요소들의 통상적인 크기에 대하여, 운송 요소들은 전환 구간들에서 전이 곡선의 최소 벤딩 반경을 정의한다. 따라서, 이러한 최소 벤딩 반경은 바람직하지 않게 크게 된다.
승객 수송기에서, 개별 운송 요소들은 통상적으로 "스커트보드(skirt boards)"라고 칭해지는 패널 요소들에 의해 측방향으로 제한되는 "채널"에서 이동한다. 이러한 스커트 보드들은 승객 수송기의 프레임에 견고하게(rigidly) 배치되며, 운송 요소들은 이 (정지한) 스커트보드들에 대해 이동한다. (이동하는) 운송 요소들과 (정지한) 스커트보드들 사이에 형성된 갭은 안전상의 이유로 매우 작게 하여, 승객의 신체 일부분이나 물체들이 이 갭 안으로 빨려들어가 그 안에 끼이게 되지 않도록 확실히 보장할 필요가 있다.
매우 좁은 갭을 보장하기 위한 요건은 높은 유지보수 경비와 연관된다. 몇몇 경우들에서는, 좁은 갭에 대한 안전 요건들을 이행하는 것이 전적으로 불가능하다. 이 위험 잠재력을 낮추기 위한 한가지 선택은, 좁은 갭을 갖는 것 이외에, 운송 요소들에 고정되게 장착되어 운송 요소들과 함께 이동하는 저부 스커트 보드 패널을 제공하도록 구성되는 것이다. 이러한 이동가능한 저부 패널은, 예를 들어 US-A-4,470,497에 개시되어 있다. 종래 기술에 따른 이러한 저부 패널들은 저부 패널들이 에스컬레이터의 수평 영역들에서, 예를 들어 입구 지점 및 출구 지점에서 운송 요소의 발판면을 넘어서 비교적 멀리 위쪽으로 돌출되어 있거나 저부 패널들이 비교적 복잡한 디자인을 갖는 단점이 있다.
DE 23 46 266 A1은 피봇가능한 측면 스커트 패널들을 이용하는 또 다른 접근법을 개시한다. 여기서, 에스컬레이터의 각각의 스텝은 각각의 스텝 체인 롤러 축을 통해 스텝 체인에 연결되며, 한 쌍의 측면 스커트 패널들이 거기에 장착된다. 스커트 패널들은 스텝 체인 롤러 축들에 의해 지지되며, 이에 의하여 각각의 스텝 및 이에 인접한 스텝들이 스텝 체인에 연결된다. 이로 인해, 스텝들이 순환식 운송 경로의 경사진/수평 구간들에서 이동함에 따라, 측면 스커트 패널들은 스텝 라이저의 상승/하강에 대응하는 스텝의 각각의 발판면에 대하여 피봇 운동을 수행한다. 하지만, 이 구성은 측면 스커트 패널들과 스텝 체인 연결부들 둘 모두가 스텝들의 발판면들과 동일한 길이를 갖도록 요구하며, 결과적으로 전환 구간들의 큰 벤딩 반경을 유도한다.
US 6 450 316 B1은 각각의 스텝의 발판면에 고정되게 장착된 원형 저부 패널들과, 2 개의 연이어진 원형 저부 패널들 사이에 위치된 이동가능한 브릿지 부분들(movable bridge parts)의 조합에 의해 형성된 측면 패널들의 구성을 갖는 에스컬레이터를 개시한다. 스텝 체인이 순환식 운송 경로의 상이한 구간들을 통해 이동함에 따라, 이동가능한 브릿지 부분들은 스텝 체인의 대응하는 연결부와 연계되고 거기에 정지한 채로 유지된다. 브릿지 부분들의 각각은 인접한 저부 패널들의 원형 에지 부분들과 함께 작동하는 2 개의 오목한 계면 에지 부분들을 가져, 에스컬레이터 이동 경로를 따라서 스텝들의 각각의 측면을 따라 연속한 배리어를 제공하도록 상호작동한다. 또한, 이 구성은 각각의 스텝에 대해 각각의 측면에서 정확히 하나의 원형 저부 패널 및 하나의 브릿지 부분의 할당을 요구함에 따라, 결과적으로 DE 23 46 266 A1과 유사하므로, 전환 구간들의 큰 벤딩 반경을 유도한다.
운송 요소들과 함께 이동하는 측면 스커트 보드들이 사용되어야 하는 경우, 운송 요소들을 위한 공간에 추가적으로 측면 스커트 보드들을 위한 공간이 전환 구간들에서 요구되기 때문에, 전환 구간들에서 가능한 한 작은 벤딩 반경을 갖는 전이 곡선을 제공하는 앞서 설명된 목적은 훨씬 더 어렵게 된다.
승객 수송기의 적용가능한 대안적인 구성을 갖는 것이 유리할 것이며, 이 구성은 특히 운송 밴드의 전환 구간들에서 더 적은 공간을 필요로 한다. 특히, 측면 패널 부재들이 운송 요소의 측면들에 형성되는 갭의 충분한 폐쇄를 제공하는 운송 요소들을 갖는 승객 수송기에 대하여 이러한 해결책을 허용하는 것이 유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이전에 기술된 승객 수송기를 제공하지만, 앞서 언급된 종래의 스커트 패널 구성들의 단점들을 극복하기 위한 측면 패널 부재들의 대안적인 구성을 갖는다.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는 복수의 운송 요소들을 포함하는 순환식 운송 밴드, 상기 운송 밴드에 구동가능하게 연결된 적어도 하나의 순환식 운송 체인을 포함하는 승객 수송기를 제공하며, 상기 운송 체인은 구동기에 의하여 제 1 및 제 2 전환 구간 주위에서 구동되고, 상기 운송 체인은 복수의 운송 체인 연결부들, 복수의 운송 체인 롤러들 - 연이어진 상기 운송 체인 연결부들은 상기 운송 체인 롤러들의 각각을 통해 연결됨 -, 및 복수의 운송 체인 롤러 축들 - 상기 운송 체인 롤러 축들의 각각은 상기 운송 체인에 상기 운송 요소들의 각각을 연결함 - 을 포함하며, 상기 운송 요소들은 각각의 운송 체인 롤러 축에 의해 지지되는 제 1 운송 요소들, 및 운송 요소 축에 의해 지지되는 제 2 운송 요소들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특정 실시예는 이후 도면들을 참조하여 더 자세히 설명될 것이다. 본 발명의 도면들을 간단히 설명한다:
도 1: 순환식 이동 경로의 직선 구간에서 이동하는 대응적인 좌측 및 우측 측면 패널 부재들을 갖는 복수의 연이어진 스텝들 또는 발판들의 구성을 나타내는 일 실시예에 따른 에스컬레이터 형태의 승객 수송기의 평면도;
도 2: 도 1에서 Y로 표시된 부분의 상세도;
도 3: 도 1에서 X로 표시된 부분의 상세도;
도 4: 에스컬레이터의 상부 전이 영역에서 이동하는 복수의 연이어진 발판들 또는 스텝들을 나타내는 개략적인 측면도;
도 5: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은 단일 측면 패널 부재;
도 6: 에스컬레이터의 하부 전이 영역에서 이동하는 복수의 연이어진 발판들 또는 스텝들을 "후면"에서 바라본 개략적 측면도;
도 7: 에스컬레이터의 상부 전환 구간에서 이동하는 스텝 체인의 복수의 연이어진 연결부들 및 복수의 연이어진 측면 패널 부재들을 도 6과 유사하게 "후면"에서 바라본 측면도로, 대응하는 발판들 또는 스텝들은 보다 간명히 하기 위해 생략됨;
도 8: 스텝 밴드의 발판들 또는 스텝들을 포함하는 도 7에 대응하는 측면도.
도 1 내지 도 8은 에스컬레이터(10) 형태의 일 실시예의 다양한 예시들을 나타내며, 예를 들어 무빙 워크 형태의 다른 실시예들도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것이다.
도 1은 발판들 또는 스텝들(12)의 이동 경로의 직선 구간에서의 에스컬레이터(10)의 평면도를 나타낸다. 도 1로부터, 피봇가능한 측면 스커트 보드 형태로 된 대응하는 좌측 및 우측 측면 패널 부재들(14)을 갖는 복수의 연이어진 발판들 또는 스텝들(12a, 12b)의 구성이 연상될 수 있다(이에 대해서는 아래에 더 자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특히, 측면 패널 부재들(14)은 연이어진 스텝들(12a, 12b)의 하나 또는 두 개의 측면들과 연계된다. 이후, 도면 부호 12 및 14는 각각 스텝들 및 패널 부재들을 일반적으로 나타내는데 사용될 것이다.
스텝들(12a 및 12b)은 에스컬레이터의 프레임에 지지되는 방식이 다르다: 스텝들(12a)은 스텝 체인 롤러 축들(26)을 통해 지지되는 반면, 스텝들(12b)은 운송 요소 축(28)을 통해 지지되며, 이에 대해서는 이후에 더 자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와 다르게, 스텝들(12a) 및 스텝들(12b)은 동일한 구성들을 가질 수 있다. 이후의 설명에서, 스텝들(12a)은 "제 1 스텝들"로서 설명될 것이고, 스텝들(12b)은 "제 2 스텝들"로서 설명될 것이며, 스텝들이 각각 스텝 체인 롤러 축들(26) 또는 운송 요소 축들(28)을 통해 지지된다는 점에서 제 1 스텝들(12a)은 제 2 스텝들(12b)과 상이하다는 것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4는 에스컬레이터(10)의 상부 전이 구간에서 이동하는 복수의 연이어진 측면 패널 부재들(14)의 구성을 유사한 형태로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6은 에스컬레이터(10)의 하부 전이 구역에서 이동하는 복수의 연이어진 측면 패널 부재들(14)의 구성을 도시한 단면 측면도이고, 도 7 및 도 8 또한 에스컬레이터(10)의 상부 전환 구간에서 이동하는 발판들 또는 스텝들(12a, 12b) 및 복수의 연이어진 측면 패널 부재들(14)의 구성을 도시한 단면 측면도이다.
도면들 전반에 걸쳐, 대응하는 요소들 및 특징부들은 동일한 참조 번호들에 의해 식별된다. 그러므로, 특정 도면에 관한 설명들은 일반적으로 각기 다른 도면에도 적용된다. 이 설명들은 모든 도면들에 대하여 명시적으로 반복되지 않는다.
도 1 내지 도 8은 수 개의 상호연결된 발판들 또는 스텝들(12a, 12b)로 구성된 순환식 스텝 밴드를 갖는 에스컬레이터(10)를 도시한다. 스텝 밴드의 스텝들(12a)은 운송 또는 스텝 체인(16)에 측방향으로 연결된다. 에스컬레이터(10)는 스텝들(12)의 측면에 각각 배치된 2 개의 스텝 체인들(16)을 갖는다. 스텝들(12)에 "측방향으로" 연결된다는 것은, 평면도에서 봤을 때 스텝 체인들(16)이 스텝 밴드의 스텝들(12)에 인접하여 측방향으로 배치된 실시예들(도 1에 도시되어 있음)뿐만 아니라, 평면도에서 봤을 때 스텝 체인들(16)이 스텝 밴드의 스텝들(12)의 발판면들 밑에서 완전히 또는 부분적으로 측방향으로 배치된 실시예들(도시되지 않음)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스텝 체인들(16)의 각각은 일련의 스텝 체인 연결부들(18)[대안적으로는, 여러 쌍의 외측 스텝 체인 연결부들(18') 및 여러 쌍의 내측 스텝 체인 연결부들(18")]로 구성된다. 스텝 체인 연결부들(18)은 그들의 반대쪽 길이방향 단부들에서 각각의 결합부들을 갖는다. 각각 2 개의 인접한 스텝 체인 연결부들(18)은 각각의 결합부들에서 서로에 대해 피봇가능하게 연결된다(도면들에서, 이러한 결합부들의 피봇 축선들은 "A"로 표시되어 있다). 또한, 에스컬레이터 프레임(도시되지 않음)에 고정된 스텝 체인 가이드들의 그 순환식 이동 경로를 따라 스텝 체인(16)을 안내하는 스텝 체인 롤러들(20)이 이 결합부들에 지지된다.
스텝 체인을 갖는 톱니형 구동 스프로켓 메싱(toothed drive sprocket meshing)을 이용하여 또는 스텝 체인을 갖는 순환식의 회전하는 톱니형 구동 벨트 메싱을 이용하여 실현될 수 있는 구동 유닛(도시되지 않음)에 의해 에스컬레이터(10)가 구동된다.
예를 들어, 도 1 내지 도 4는 "라이저(24)"에 인접한 앞면, 앞면 반대쪽의 발판면에 배치된 뒷면, 그리고 앞면과 뒷면을 연결하는 2 개의 측면들에 의해 정의되는 발판면 또는 "발판(22)"을 포함한다.
또한, 도 1은 순환식 경로를 따라 스텝이 이동하는 내내 대응하는 스텝에 대하여 정지한 상태로 유지되도록, 스텝들(12)과 함께 이동하는 측면 패널 부재들 또는 스커트 패널들(14)을 도시한다. 각각의 스텝(12)은 거기에 한 쌍의 또는 측면(좌측 및 우측) 패널 부재들(14)이 지지되게 한다. 패널 부재들(14)은 스텝들(12)에 대하여 피봇가능하게 지지되며, 따라서 스텝들이 경사긴 구간 내로 이동할 때에는 그들의 대응하는 스텝의 발판면에 대하여 상승하고, 스텝이 수평 구간 내로(즉, 상부 및 하부 승강장 부분들에서) 이동할 때에는 발판면에 대하여 하강한다.
제 1 스텝들(12a)은 스텝 체인 롤러 축(26)에 의하여 스텝 체인들(16)에 연결된다. 스텝 체인 롤러 축(26)은 각 스텝(12a)의 앞면 부근에 배치되며, 스텝 체인 연결부들(18)의 대응하는 결합부의 축선 A와 일치한다. 또한, 스텝 체인 롤러 축(26)은 그 각각의 자유 단부들에서 대응하는 스텝 체인 롤러들(20)을 지지한다. 상기 실시예에서는 좌측 및 우측 스텝 체인들(16)에 스텝(12)을 연결하기 위해 공통 스텝 레인 롤러 축(26)이 제공되지만, 대안적으로 2 개의 별도 스텝 체인 롤러 축들(26)이 스텝의 좌측 및 우측 편에 제공될 수도 있음을 이해할 수 있다.
제 1 스텝들(12a)은 거기에 측면 패널 부재들(14)이 지지되게 한다. 이러한 제 1 측면 패널 부재들(14)은 스텝 체인 롤러 축들(26)에 의해 지지되며, 이에 의하여 대응하는 스텝(12a)이 스텝 체인들(16)에 연결된다.
스텝 체인 롤러 축들(26)을 통하여 스텝 체인들(16)에 제 1 스텝들(12a) 그리고 대응하는 측면 패널 부재들(14)을 연결한 것이 도 2에 더욱 자세히 도시되어 있으며, 이는 도 1에서 "Y"로 표시된 부분을 확대하여 상세히 나타낸 도면이다.
제 2 스텝들(12b)은 측면 스텝 체인들(16)에 연결되지 않는다. 그보다 이러한 스텝들(12b)은 운송 요소 축(28)에 의하여 거기에 측면 패널 부재들(14)이 피봇가능하게 지지되게 한다. 제 1 스텝들(12a)에 스텝 체인 롤러 축들(26)을 배치하는 것에 대응하여, 운송 요소 축(28)은 각각의 제 2 스텝(12b)의 앞면 부근에 배치된다. 순환식 이동 경로의 직선 구간을 이동할 때,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운송 요소 축(28)은 스텝 체인(16)의 대응하는 스텝 체인 롤러(20)와 동축으로 배치되며, 운송 요소 축(28)의 축선 B는 스텝 체인 연결부들(18)의 대응하는 결합부의 축선 A와 일치한다. 하지만, 운송 요소 축(28)과 대응하는 스텝 체인 롤러(20) 사이에 기계적인 연결이 존재하지 않는다. 그보다 도 1에서 "X"로 표시된 영역의 상세도인 도 3에 더 명확히 예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운송 요소 축(28)의 단부와 대응하는 스텝 체인 롤러(20) 사이에 갭(32)이 존재한다. 도 3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스텝 체인 롤러(20)의 축(21)은 갭(32)을 통하여 운송 요소 축(28)으로부터 분리된다.
도 1의 실시예에서는, 제 2 스텝(12b)의 두 측면에 측면 패널 부재들(14)을 피봇가능하게 지지하기 위해 공통 운송 요소 축(28)이 제공된다. 하지만, 대안적으로 별도의 운송 요소 축들(28)이 스텝의 좌측 및 우측 편들에 제공될 수 있음을 이해할 것이다.
도 1로부터, 운송 요소 축들(28)의 각각은 그 축선의 단부에서 각각의 운송 요소 롤러(30)를 지지하는 것을 알 수 있다. 운송 요소 롤러들(30)은 에스컬레이터의 정지한 프레임(도시되지 않음)에 제공된 패널 부재 가이드 조립체에 맞물린다. 이에 의해, 운송 요소 롤러들(30)은 스텝 체인 롤러들(20)의 이동 경로와 상이한 이동 경로를 따라 안내될 수 있다. 이는 이동 경로의 전환 구간들에서 중요하다.
도 1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운송 요소 롤러들(30)은 스텝 체인 롤러들(20)을 갖는 스텝 체인들(16)의 내부에 측방향으로 위치된다. 이는 운송 요소 롤러들(30)의 이동 경로 및 스텝 체인 롤러들(20)의 이동 경로가 간섭을 받지 않고 서로 진행(cross)되게 한다[도 7 및 도 8 참조, 여기서 운송 요소 롤러들의 이동 경로는 점선으로 표시되어 있으며, 스텝 체인 롤러들의 이동 경로는 스텝 체인 연결부들(18)의 반경방향 "내측" 에지들을 연결한 라인을 근사적으로 따른다].
도 4는 에스컬레이터의 일 측면 쪽에서 본 스텝들(12)의 측면도(즉, "정면"의 측면도)를 도시한다. 도 4는 스텝들(12a, 12b)과 함께 이동하는 다수의 측면 패널 부재들(14) 뿐만 아니라, 패널 부재들(14)의 최상부를 덮으며 위쪽으로 이어진 정지한 난간 패널(34)을 도시한다. 예를 들어, 유리로 된 난간(도시되지 않음)이 패널(34)에 배치될 수 있으며, 핸드 레일(도시되지 않음)은 본질적으로 스텝 밴드와 동기적으로 상기 난간의 외측 에지를 따라 이동한다. 또한, 도 4는 각각의 스텝들(12a, 12b)에 의해 각각 지지되는 복수의 스텝 롤러들(36)을 도시한다. 이동 경로의 경사진 구간으로부터 수평 구간으로 또는 이와 반대로 스텝들이 이동하는 때에, 서로에 대하여 연이어진 스텝들을 정확하게 피봇하기 위해 스텝 롤러들(36)이 제공된다. 도 4에 도시된 구간 전역에서, 스텝 체인 롤러들(20)의 각각의 축선 A는 대응하는 운송 요소 축(28) 및 운송 요소 롤러(30)의 축선 B와 거의 일치한다. 그러므로, 스텝 체인 롤러들(20)만 도 4에서 볼 수 있다.
도 5는 측면 패널 부재들(14) 중 하나를 자세히 도시한 도면이다. 모든 측면 패널 부재들(14)은 동일한 지오메트리를 갖는다. 측면 패널 부재(14)는 일부가 디스크 형태인 정면부(141) 그리고 거의 삼각형 형태의 주요부(142)를 갖는다. 주요부는 정면부(141)의 반대쪽 측면에 후방 에지(143)를 갖는다. 후방 에지(143)는 디스크형 정면부의 반경과 동일한 반경의 원의 부채꼴 형태를 가지며, 오목한 곡선 형태를 갖는다. 그러므로, 연이어진 패널 부재(14)의 디스크형 정면부(141)는 후방 에지(143)에 의해 남겨진 자유 공간에 끼워지고, 후방 에지(143)에 딱 맞닿아, 본질적으로 어떠한 갭도 개방된 채로 유지되지 않는다. 원의 둘레의 일부분의 형태로 되어 있는 맞닿은 에지들의 형상은 2 개의 연이어진 패널 부재들(14, 14)이 맞닿은 에지들 사이의 갭을 개방시키지 않고 디스크형 정면부(141)의 중심 주위에서 서로에 대하여 회전할 수 있게 한다.
정면부(141)는 개구부(144)를 포함한다. 패널 부재(14)가 제 1 패널 부재(14a)인 경우, 대응하는 스텝 체인 롤러 축(26)은 개구부(144)에 끼워진다. 대안적으로, 패널 부재(14)가 제 2 패널 부재(14b)인 경우에는, 대응하는 이송 요소 축(28)이 개구부(144)에 끼워진다. 또한, 패널 부재(14)는 개구부가 축의 단부 구간에 형성된 러그(lug: 145)를 갖는 앞면의 반대쪽 측면에 제공된다. 이 개구부는 디스크형 정면부(141)의 반경에 대응하는, 후방 에지(143)로부터의 소정 거리에 위치된다. 이에 의해, 2 개의 연이어진 패널 부재들(14)은, 패널 부재들이 제 1 또는 제 2 패널 부재들(14a, 14b)인지에 관계없이, 축(26 또는 28)[인접한 패널 부재가 제 1 패널 부재(14a)인 경우 스텝 체인 롤러 축(26), 또는 인접한 패널 부재가 제 2 패널 부재(14b)인 경우 운송 요소 축(28) 중 어느 하나] - 이에 의해 인접한 패널 부재(14)가 그 각각의 스텝에 연결됨 - 을 러그(145)에 형성된 개구부 내에 끼워넣음으로써 서로 연결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패널 부재들(14)은 상호연결된 패널 부재들의 체인을 형성한다.
도 6은 에스컬레이터의 일 측면 쪽에서 난간의 외측을 본 단면 측면도이다. 도 6의 도면에서, 대응하는 측면 패널 부재들(14)을 갖는 복수의 연이어진 스텝들(12a, 12b)은 에스컬레이터의 하부 전이 구역에서 이동한다. 또한, 복수의 스텝 체인 연결부들(18)을 갖는 스텝 체인(16)이 도 6에 도시되어 있다[교번하는 여러 쌍의 외측 스텝 체인 연결부들(18') 및 여러 쌍의 내측 스텝 체인 연결부들(18")은 도 1에 도시된 스텝 체인 롤러들(20)을 통하여 서로 연결됨]. 또한, 도 6에 도시된 이동 경로 구간에서 운송 요소 축들의 축선들 B는 스텝 체인 롤러들(20)의 축선들 A와 일치함에 따라, 스텝 체인 롤러들의 축선들 A만이 도시될 수 있다.
도 7 및 도 8은 에스컬레이터(10)의 상부 전환 구간에서 이동하는 스텝 체인의 복수의 연이어진 연결부들(18) 및 복수의 연이어진 측면 패널 부재들(14)을, 도 6과 유사하게 난간의 외측에서 본 측면도들이다. 도 7은 도 8에 도시되어 있는 대응하는 스텝들(12a, 12b)이 간명함을 위해 도 7에 생략되어 있다는 점만이 도 8과 다른 점이다.
도 7 및 도 8 둘 모두에서, 스텝 체인 연결부들(18) 및 스텝 체인 롤러들(20)은 스텝 체인 가이드 조립체(도시되지 않음)에 의해 사전설정된 바와 같이 제 1 이동 경로를 따른다는 것을 명확히 알 수 있다[도 7 및 도 8에서, 스텝 체인 롤러들의 이동 경로는 스텝 체인 연결부들(18)의 반경방향 "내측" 에지들에 의해 형성된 다각형 라인과 거의 동일함]. 제 1 스텝들(12a) 및 패널 부재들(14)은 스텝 체인 롤러 축들(26)에 의해 지지되기 때문에, 제 1 스텝들(12a) 및 대응하는 패널 부재들(14) 또한 스텝 체인 가이드 조립체에 의해 정의된 바와 같은 이동 경로를 따른다. 하지만, 제 2 스텝 부재들(12b) 및 그들의 패널 부재들(14)은 운송 요소 롤러(30)를 지지하는 운송 요소 축(28)에 의해 지지되기 때문에, 제 2 스텝들(12b) 및 그들의 패널 부재들(14)은 스텝 체인 롤러들(20)의 이동 경로와 상이한 이동 경로를 따른다.
상부 전환 구간에서와 같이 전이 곡선을 따라 그 각각의 패널 부재들(14)과 함께하는 스텝들(12a, 12b)의 이동은 다음과 같이 정의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체인 연결부들의 주어진 피치(pitch)를 갖는 체인에 대하여, 체인 연결부들은 전이 곡선의 벤딩 반경이 최소 벤딩 반경보다 큰 경우에만 전이 곡선을 근사하게 따를 수 있다. 이러한 최소 벤딩 반경은 체인 연결부들의 피치에 의존할 것이다: 이는 체인 연결부들의 더 작은 피치에 대하여 더 작을 것이며, 체인 연결부들의 더 큰 피치에 대하여 더 클 것이다.
스텝 체인(16)은 [각각의 측면 패널 부재들(14)을 포함하는] 제 1 및 제 2 스텝들(12a, 12b)의 체인보다 스텝 체인 연결부들(18)의 더 작은 피치를 갖는다[도 7 및 도 8에는 패널 부재들(14)만이 도시되어 있음을 유의한다]. 나타낸 예시에서, 스텝 체인 연결부들(18)의 피치는 제 1 및 제 2 스텝들(12a, 12b)의 피치의 거의 1/3이다. 그러므로, 스텝 체인 연결부들(18)과 제 1 및 제 2 스텝들(12a, 12b) 둘 모두가 전환 구간에서 전이 곡선을 근사하게 따르게 하려면, 원칙적으로는 스텝 체인 스프로켓에 의해 정의된 바와 같이 전이 곡선의 벤딩 반경이 제 1 및 제 2 스텝들(12a, 12b)의 체인에 대한 최소 벤딩 반경보다 커야 할 것이다. 하지만, 이러한 벤딩 반경이 크므로, 바람직하지 않다.
상기 실시예에서는, 스텝 체인 연결부들(18)이 벤딩 반경을 근사하게 따를 수 있지만, 스텝들(12a, 12b)의 각각이 동일한 체인 연결부인 체인으로서 배치되는 경우에는 이를 따르지 못했을, 전환 구간에서의 전이 곡선의 벤딩 반경이 선택된다. 스텝들(12a, 12b)이 전환 구간을 여전히 통과하도록 하기 위하여, 제 1 스텝들(12a)만이 각각의 스텝 체인 롤러 축(26)을 통해 스텝 체인(16)에 연결되는 반면, 제 2 스텝들(12b)은 각각의 롤러들(30)을 통해 운송 요소 축들(28)에 지지되는 효과에 의하여 보상이 이루어진다. 롤러들(30)은 전환 구간에서가 아니라 순환식 경로의 중간 구간들에서만 에스컬레이터 프레임의 안내 수단과 맞물린다. 운송 요소 축(28)은 [도 3에서 갭(32)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스텝 체인(16)에 연결되지 않고 사실상 전환 구간에서 전혀 안내되지 않기 때문에, 이는 전환 구간 주위의 임의의 경로를 따라 이동할 수 있다. 전환 구간에서, 제 1 및 제 2 스텝들(12a, 12b)의 체인은 각각 2번째 마다 있는(each second of its chain links) 체인 연결부들, 즉 제 1 체인 연결부들(12a)만이 안내 수단과 맞물리는 체인의 특성을 갖는다. 이는 전환 구간에 훨씬 더 높은 유연성을 유도한다.
도 1 내지 도 8에 도시된 실시예들에서, 각각 2번째 마다 있는 스텝("홀수 스텝들")은 그들의 대응하는 패널 부재들(14a)과 함께 스텝 체인 롤러 축(26)에 의해 지지되는 제 1 타입의 스텝들(12)로 구성되도록 선택된다. 대응적으로, 각각 2번째 마다 있는 스텝("짝수 스텝들")은 그들의 대응하는 패널 부재들(14b)과 함께 스텝 체인으로부터 분리된 운송 요소 축(28)에 의해 지지되는 제 2 타입의 스텝들(12b)로 구성되도록 선택된다. 다른 실시예들에서, 제 1 타입의 스텝들 및 제 2 타입의 스텝들에 대한 스텝들의 할당은 변동될 수 있다.
또한, 도 1 내지 도 8에 도시된 예시에서, 인접한 스텝들(12)의 대응하는 지점들 사이의 거리에 의해 정의되는 바와 같이 운송 밴드의 피치는 운송 체인들(16)의 피치의 3 배이다. 부연하면, 매 스텝(12)에 대하여 3 개의 스텝 체인 연결부들(18)이 존재한다. 그러므로, 각각 2번째 마다 있는 스텝만이 제 1 타입의 스텝들(12a)로 구성되도록 선택되는 경우, 각각 6번째 마다 있는 체인 롤러(20)만이 스텝 체인 롤러 축(26)에 의해 지지된다. 다른 실시예들이 또한 고려될 수 있으며, 이 실시예들에서는 스텝 체인들의 피치에 대해 운송 밴드의 또 다른 피치가 선택될 것이다.
앞서 설명된 실시예들은 순환식 운송 밴드 및 운송 체인을 갖는 승객 수송기를 제공하며, 상기 승객 수송기는 종래 구성들의 단점들을 극복하는 대안적인 구성을 갖는다. 특정 실시예들은, 특히 전환 구간들에서 더 적은 공간을 요구하는 승객 수송기의 운송 요소들의 구성을 제공한다.
일 실시예에서는, 복수의 운송 요소들을 포함하는 순환식 운송 밴드, 상기 운송 밴드에 구동가능하게 연결된 적어도 하나의 순환식 운송 체인을 포함하는 승객 수송기가 제공되며, 상기 운송 체인은 제 1 및 제 2 전환 구간 주위에서 구동되고, 상기 운송 체인은 복수의 운송 체인 연결부들, 복수의 운송 체인 롤러들 - 연이어진 상기 운송 체인 연결부들은 상기 운송 체인 롤러들의 각각을 통해 연결됨 -, 및 복수의 운송 체인 롤러 축들 - 상기 운송 체인 롤러 축들의 각각은 상기 운송 체인에 상기 운송 요소들의 각각을 연결함 - 을 포함하며, 상기 운송 요소들은 각각의 운송 체인 롤러 축에 의해 지지되는 제 1 운송 요소들, 및 운송 요소 축에 의해 지지되는 제 2 운송 요소들을 포함한다.
통상적으로, 운송 밴드는 운송 체인과 함께 제 1 및 제 2 전환 구간들 주위에서 구동될 것이다.
원칙적으로, 전환 구간들에서 운송 체인의 벤딩 반경은 인접한 운송 체인 롤러들의 축들 사이의 거리에 의해 정의되는 바와 같이 더 작은 피치를 갖는 운송 체인을 이용함으로써 감소될 수 있을 것이다. 운송 체인의 피치가 작을수록 운송 체인 연결부들이 더 단축되어, 운송 체인이 더 작은 벤딩 반경을 갖는 이동 경로를 따라 안내될 수 있다. 하지만, 각각의 패널 부재가 운송 요소들의 각 측면에서 피봇가능하게 지지되는 승객 수송기 구성들에서는, 측면 패널 부재들이 운송 체인의 연이어진 체인 롤러들의 운송 체인 롤러 축들에 장착됨에 따라, 운송 체인은 운송 요소들 및 그들의 측면 패널 부재들과 동일한 경로를 이동해야 한다. 이러한 이유로, 운송 체인은 전환 구간들에서 가능한 최소 벤딩 반경을 정의하는 운송 요소들과 동일한 피치를 갖는다.
운송 요소들 및 그들의 대응하는 측면 패널 부재들을 지지하는 운송 체인 롤러 축들이 각각 n 번째 마다 있는(도 7 및 도 8에서, 각각 3번째 마다 있는) 운송 체인 롤러에만 연계되도록, 운송 요소들의 피치에 대하여 운송 체인의 피치를 단순히 감소시키는 것은 자체적으로 어떠한 장점도 가져오지 못하는데, 이는 운송 체인 롤러 축들을 통해 운송 체인에 연결된 운송 요소들의 시퀀스가 여전히 더 작은 벤딩 반경을 따라 안내될 수 없기 때문이다.
또한, 제 1 운송 요소들이라 칭해지는 운송 요소들의 서브세트만이 운송 체인의 운송 체인 롤러들을 지지하는 운송 체인 롤러 축들에 의해 지지된다는 점에서, 본 발명은 상이한 구성을 제안한다. 운송 체인 롤러 축들에 의해 지지되는 것이 아니라 그 대신 그들 자체의 운송 요소 축들에 의해 피봇가능하게 지지되는, 제 2 운송 요소들이라 칭해지는 운송 요소들의 또 다른 서브세트가 존재한다. 제 1 운송 요소들은 스텝 체인 롤러 축들을 통해 운송 체인에 연결되는 한편, 제 2 운송 요소들은 운송 체인에 어떠한 직접적인 연결을 갖지 않는다는 것을 제외하고, 제 1 및 제 2 운송 요소들은 동일할 수 있다. 설명된 바와 같은 제 1 및 제 2 운송 요소들을 갖는 구성은 제 1 운송 요소들의 이동 경로로부터 갈라져 나올 수 있는 이동 경로를 따를 가능성을 제공한다. 한쪽 편의 제 1 운송 요소들 및 다른 한쪽 편의 제 2 운송 요소들은 전환 구간들에서 상이한 이동 경로들을 따를 수 있기 때문에, 이러한 구성은 승객 수송기의 전환 구간들에서 더 작은 벤딩 반경을 달성할 수 있는 것이 입증되었다. 제 2 운송 요소들은 제 1 운송 요소들의 경로로부터 갈라져 나오게 되며, 이는 전환 구간들에서 운송 체인 요소들의 경로를 여전히 따른다.
각각의 패널 부재가 운송 요소들의 각 측면에서 피봇가능하게 지지되는 종래의 승객 수송기 구성들에서는, 측면 패널 부재들이 운송 체인의 연이어진 체인 롤러들의 운송 체인 롤러 축들에 장착됨에 따라, 운송 체인은 운송 요소들 및 그들의 측면 패널 부재들과 동일한 경로를 이동해야 한다. 이러한 이유로, 운송 체인은 전환 구간들에서 가능한 최소 벤딩 반경을 정의하는 운송 요소들과 동일한 피치를 갖는다.
제 1 및 제 2 운송 요소들을 갖는 구성은, 앞서 설명된 바와 같이 운송 요소들이 각각 운송 요소의 측면에 위치된 적어도 하나의 패널 부재를 더 포함하는 승객 수송기의 경우에 특히 유익하다. 각각의 운송 요소에 대해 정지해 있고 각각의 운송 요소에 대해 피봇가능하도록, 이러한 구성들에서 적어도 하나의 패널 부재가 지지될 수 있다. 제 1 운송 요소들과 연계된 패널 부재들은 각각의 운송 체인 롤러 축에 의하여 운송 요소에 대해 지지될 수 있다. 제 2 운송 요소와 연계된 패널 부재들은 각각의 운송 요소 축에 의하여 운송 요소에 대해 지지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특징들의 조합들 중 어느 것에 추가적으로, 예를 들어 스텝 체인 롤러 축들이 운송 요소 축들을 넘어서 측방향으로 연장되는 방식으로, 운송 요소 축들의 각각은 대응하는 운송 체인 연결부의 운송 체인 롤러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운송 요소들 및 운송 체인의 순환식 이동 경로의 상당한 부분들에서, 특히 직선 구간들 또는 약간 곡선화된 전이 구간들에서, 운송 요소들 및 운송 체인은 동일한 또는 평행한 이동 경로를 이동할 것이지만, 운송 요소 축들이 이러한 구간들에서 운송 체인 롤러들에 동축으로 정렬될 수 있다 하더라도, 운송 요소 축들과 대응하는 운송 체인 축들 사이에 연결이 존재하지 않는다. 이는, 더 강한 곡률을 갖는 이동 경로의 구간들에서, 특히 전환 구간들에서, 대응하는 운송 체인 롤러들에 대해 운송 요소 축들의 정렬의 일탈이 일어나게 한다. 이 일탈은 거기에 각각의 제 2 측면 패널 부재들이 지지되게 하는 제 2 운송 요소들의 "외향 회전(swivel out)" 운동에 대응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특징들의 조합들 중 어느 것에 추가적으로, 제 1 및 제 2 전환 구간들 주위에서 순환 경로를 따라 운송 체인을 안내하는 운송 체인 가이드 조립체가 제공된다. 제 1 및 제 2 전환 구간들 주위에서 순환식 경로를 따라 운송 체인 롤러들을 안내하기 위해, 이러한 운송 체인 가이드 조립체는 운송 체인 롤러들과 상호작용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운송 체인은 여러 쌍의 내측 연결 부재들 및 여러 쌍의 외측 연결 부재들을 가질 수 있으며, 한 쌍의 내측 연결 부재들은 운송 체인 롤러들에 의하여 한 쌍의 외측 연결 부재들에 연결된다. 운송 체인 가이드 조립체는 통상적으로 운송 체인 롤러들의 반경방향으로 연장되는 부분들과 맞물릴 것이다. 상기에 언급된 제 1 운송 요소들에 대하여, 대응하는 운송 체인 롤러들은 각각의 운송 체인 롤러 축에 의해 지지된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 상기 특징들의 조합들 중 어느 것에 추가적으로, 운송 요소 축들의 각각은 대응하는 운송 요소 롤러를 지지할 수 있다. 이러한 운송 요소 롤러들의 제공은 운송 요소 가이드 조립체가 운송 요소 롤러들과 상호작용하게 하여, 적어도 제 1 및 제 2 전환 구간들에서 순환식 경로의 부분들을 따라 운송 요소 롤러들을 안내하게 한다. 일반적으로, 적어도 운송 요소들 및 운송 체인의 순환식 이동 경로의 곡선화된 구간들에서(예를 들어, 제 1 및 제 2 전환 구간들에서), 운송 체인 가이드 조립체 및 운송 요소 가이드 조립체는 운송 체인 롤러들 및 운송 요소 롤러들에 대해 각각 상이한 이동 경로들을 정의할 것이며, 따라서 운송 요소 가이드 조립체는 이러한 구간들에서 운송 체인 가이드 조립체와 상이할 것이다. 일 실시예에서는, 운송 요소 롤러들이 전환 구간들에서 완전히 안내되지 않고 이동할 수도 있다. 하지만, 적어도 순환식 이동 경로의 본질적으로 직선 부분들에서 운송 요소 롤러들 및 운송 체인 롤러들은 동일한 또는 거의 동일한 이동 경로를 이동할 것이며, 따라서 운송 체인 가이드 조립체는 이러한 구간들에서 운송 요소 롤러들을 안내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고 고려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특징들의 조합들 중 어느 것에 추가적으로, 운송 요소 롤러들은 운송 체인 롤러들의 내부에서 측방향으로, 즉 운송 체인 롤러들보다 발판들의 측면들에 더 가깝게 위치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서, 운송 요소 롤러들 및 운송 체인 롤러들의 경로들은 방해 없이 서로 진행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특징들의 조합들 중 어느 것에 추가적으로, n 개(n은 1보다 큰 정수)의 운송 요소들이 각각의 운송 체인 롤러 축을 통해 운송 체인에 연결될 수 있으며, m 개(m은 1보다 큰 정수)의 운송 요소들이 각각의 운송 요소 축을 통해 지지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n + m은 운송 요소들의 전체 개수일 것이며, 각각의 운송 요소는 운송 체인 롤러 축 또는 운송 요소 축 중 어느 하나에 의해 지지된다.
예를 들어, 각각 2번째 또는 3번째 마다 있는 운송 요소들은 각각의 운송 체인 롤러 축을 통해 운송 체인에 연결될 수 있다. 운송 체인 롤러 축을 통해 운송 체인에 직접 연결되지 않은 운송 요소들은 전환 구간들에서 운송 체인에 대하여 "바깥쪽으로 회전"할 수 있게 할 것이다. 각각 2번째 마다 있는 운송 요소가 각각의 운송 체인 롤러 축을 통해 운송 체인에 연결되는 특정 예시에서는, 하나 걸러 있는 운송 요소가 전환 구간들에서 바깥쪽으로 회전할 수 있을 것이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특징들의 조합들 중 어느 것에 추가적으로, 운송 체인의 피치는 운송 체인 롤러 축들의 피치보다 상당히 작을 수 있다. 부연하면, 운송 체인 롤러들의 개수(또는 동등하게 운송 체인 연결부들의 개수)는 운송 체인 롤러 축들의 개수의 k 배(k는 1보다 큰 정수)일 수 있다. 특정 실시예에서, 각각 6번 째 마다 있는 운송 체인 롤러만이 운송 체인 롤러 축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운송 요소들이 전환 구간들에서 이동할 때 상당한 유연성이 달성될 수 있다. 통상적으로, 운송 체인의 피치는 운송 요소들의 피치보다 훨씬 더 작을 것이다. 각각의 운송 요소는 거기에 연계된 2 이상의 운송 체인 연결부들을 가질 것이다. 이는, 운송 요소들이 전환 구간에서 상이한 이동 경로를 따르게 함에 따라, 전환 구간들에서 전이 곡선의 벤딩 반경을, 운송 체인 연결부들이 전이 곡선을 근사하게 따르게 하는 곡률 반경으로 감소하게 할 수 있다. 일 예시에서, 운송 체인의 피치는 운송 요소들의 피치의 1/3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특징들의 조합들 중 어느 것에 추가적으로, 운송 요소들의 각각은 앞면, 뒷면 그리고 2 개의 측면들에 의해 정의되는 발판면을 포함할 수 있으며, 운송 요소가 각각의 운송 체인 롤러 축에 의해 또는 각각의 운송 요소 축에 의해 지지되는 위치는 운송 요소의 앞면 부근에 위치된다. 앞면에서, 발판면은 통상적으로 "라이저"라 칭해지는 본질적으로 수직으로 연장되는 면과 맞대어진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 상기 특징들의 조합들 중 어느 것에 추가적으로, 패널 부재들의 시퀀스가 정지해 있는 측면 패널 요소들의 하부 에지들과 운송 요소들의 발판면들 사이에서 운송 요소들의 측면에 연장되는 개방된 공간을 덮는 방식으로, 복수의 패널 부재들은 연이어 배치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 상기 특징들의 조합들 중 어느 것에 추가적으로, 복수의 패널 부재들은 운송 요소들의 각각의 측면에 연이어 배치될 수 있다. 복수의 연이어진 패널 부재들은 운송 요소들의 하나의 측면에 배치될 수 있으며, 복수의 연이어진 패널 부재들은 운송 요소들의 반대쪽 측면에 배치될 수 있어, 측면 패널 부재들 사이에서 이동하는 운송 요소들에 의해 운송 채널이 형성된다.
승객 수송기의 또 다른 실시예에서, 상기 특징들의 조합들 중 어느 것에 추가적으로, 운송 요소들의 이동 경로를 따라 운송 요소들의 측면에 연장되는 개방된 수직 공간이 패널 부재들의 시퀀스에 의해 덮이는 방식으로, 복수의 패널 부재들이 연이어 배치될 수 있다.
승객 수송기는 병렬로 진행하고 운송 요소들의 각각의 측면들에 배치되는 제 1 및 제 2 운송 체인들을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제 1 및 제 2 운송 체인들의 각각은 제 1 및 제 2 전환 구간 주위에서 구동된다.
운송 요소들의 제 1 서브세트에 할당된 각각의 운송 요소들은 (공통) 운송 체인 롤러 축을 통해 제 1 및 제 2 운송 체인들에 연결될 수 있다.

Claims (16)

  1. 승객 수송기(10)에 있어서,
    복수의 운송 요소들(12)을 포함하는 순환식 운송 밴드 - 상기 복수의 운송 요소들(12)은 제 1 운송 요소들(12a)과 제 2 운송 요소들(12b)을 포함하고, 상기 제 1 운송 요소들(12a)은 각각의 운송 체인 롤러 축(26)에 의해 지지되고, 상기 제 2 운송 요소들(12b)은 각각의 운송 요소 축(28)에 의해 지지됨 - 및
    상기 운송 밴드에 구동가능하게 연결된 적어도 하나의 순환식 운송 체인(16)
    을 포함하며,
    상기 운송 체인(16)은 제 1 및 제 2 전환 구간 주위에서 구동되고,
    상기 운송 체인(16)은,
    복수의 운송 체인 연결부들(18),
    복수의 운송 체인 롤러들(20) - 연이어진 상기 운송 체인 연결부들(18)은 상기 운송 체인 롤러들(20)의 각각을 통해 연결됨 -, 및
    복수의 운송 체인 롤러 축들(26) - 상기 운송 체인 롤러 축들(26)의 각각은 상기 운송 체인(16)에 상기 제 1 운송 요소들(12a)의 각각을 연결함 -
    을 포함하는 승객 수송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운송 요소들(12)의 각각은 상기 운송 요소(12)의 측면에 배치된 적어도 하나의 패널 부재(14)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패널 부재(14)는 각각의 운송 요소(12)와 함께 이동하며, 각각의 운송 요소(12)에 대하여 피봇가능하게 지지되는 승객 수송기.
  3. 제 1 항에 있어서,
    운송 요소 축들(28)의 각각은 대응하는 운송 체인 연결부(18)의 운송 체인 롤러(20)에 연결되지 않는 승객 수송기.
  4. 제 1 항에 있어서,
    제 1 및 제 2 전환 구간들 주위에서 순환식 경로를 따라 상기 운송 체인(16)을 안내하는 운송 체인 가이드 조립체를 더 포함하는 승객 수송기.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운송 체인 가이드 조립체는 상기 운송 체인 롤러들(20)과 상호작용하도록 구성되어, 상기 제 1 및 제 2 전환 구간들 주위에서 순환식 경로를 따라 상기 운송 체인 롤러들(20)을 안내하는 승객 수송기.
  6. 제 1 항에 있어서,
    복수의 운송 요소 롤러들(30)을 포함하고, 상기 운송 요소 롤러들(30)의 각각은 각각의 운송 요소 축(28)에 의해 지지되는 승객 수송기.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운송 요소 롤러들(30)과 상호작용하여, 상기 운송 요소 롤러들(30)을 안내하도록 운송 요소 가이드 조립체를 포함하는 승객 수송기.
  8. 제 7 항에 있어서,
    적어도 상기 제 1 및 제 2 전환 구간들에서, 상기 운송 체인 가이드 조립체 및 상기 운송 요소 가이드 조립체는 상기 운송 체인 롤러들(20) 및 상기 운송 요소 롤러들(30)에 대해 각각 상이한 이동 경로들을 정의하는 승객 수송기.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운송 요소 롤러들(30)은 상기 제 1 및 제 2 전환 구간들을 통과할 때 안내없이 이동하도록 구성되는 승객 수송기.
  10.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운송 요소 롤러들(30)은 상기 운송 체인 롤러들(20)의 내부에서 측방향으로 위치되는 승객 수송기.
  11. 제 1 항에 있어서,
    n 개의 상기 운송 요소들(12a)이 각각의 운송 체인 롤러 축(26)을 통해 상기 운송 체인(16)에 연결되고, m 개의 상기 운송 요소들(12b)이 각각의 운송 요소 축을 통해 지지되며, n + m은 운송 요소들의 전체 개수인 승객 수송기.
  12. 제 11 항에 있어서,
    각각 2번째 또는 3번째 마다 있는 운송 요소(each second or third transportation element: 12)는 각각의 운송 체인 롤러 축(26)을 통해 상기 운송 체인(16)에 연결되는 승객 수송기.
  1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운송 체인 롤러들(30)의 개수는 운송 체인 롤러 축들(26)의 개수의 k 배인 승객 수송기.
  14. 제 13 항에 있어서,
    k = 6인 승객 수송기.
  1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운송 요소들(12)의 각각은 앞면, 뒷면 그리고 2 개의 측면들에 의해 정의된 발판면(22)을 포함하고, 상기 운송 요소(12)가 각각의 운송 체인 롤러 축(26)에 의해 또는 각각의 운송 요소 축(28)에 의해 지지되는 위치는 상기 운송 요소(12)의 앞면 부근에 위치되는 승객 수송기.
  16. 제 1 항에 있어서,
    패널 부재들(14)의 시퀀스가 정지해 있는 측면 패널 요소들(34)의 하부 에지들과 상기 운송 요소들(12)의 발판면들(22) 사이에서 상기 운송 요소들(12)의 측면에 연장되는 개방된 공간을 덮는 방식으로, 복수의 패널 요소들(14)이 연이어 배치되는 승객 수송기.
KR1020137011860A 2010-10-08 2010-10-08 이동가능한 측면 패널 부재들을 갖는 승객 수송기 KR10143938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IB2010/002573 WO2012046091A1 (en) 2010-10-08 2010-10-08 Passenger conveyor with movable lateral panel member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64137A KR20130064137A (ko) 2013-06-17
KR101439383B1 true KR101439383B1 (ko) 2014-09-11

Family

ID=459272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7011860A KR101439383B1 (ko) 2010-10-08 2010-10-08 이동가능한 측면 패널 부재들을 갖는 승객 수송기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8931614B2 (ko)
JP (1) JP2013538770A (ko)
KR (1) KR101439383B1 (ko)
CN (1) CN103124685B (ko)
DE (1) DE112010005926B4 (ko)
HK (1) HK1185856A1 (ko)
WO (1) WO201204609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574667B (zh) * 2009-10-16 2015-11-25 奥的斯电梯公司 带有可移动的侧面板部件的乘客输送机
ES2713684T3 (es) * 2015-04-16 2019-05-23 Inventio Ag Escalera mecánica con carriles de retorno comunes
EP3292068B1 (en) 2015-05-06 2019-05-01 Otis Elevator Company Tread element for people conveyor comprising a cantilever arm
EP3231760A1 (en) 2016-04-15 2017-10-18 Otis Elevator Company Fixing modules and pallets for a pallet conveyor
EP3231761B1 (en) * 2016-04-15 2019-02-20 Otis Elevator Company Pallet conveyor
CN109715545B (zh) * 2016-09-06 2020-08-21 弗兰克·M·圣塞维罗 具有垂直竖板及侧面护板的电扶梯系统
EP3360838A1 (en) * 2017-02-09 2018-08-15 Otis Elevator Company People conveyor, conveying band and conveying element of a people conveyor
EP3511284B1 (en) 2018-01-10 2021-09-15 Otis Elevator Company Moving walkway
EP3511282B1 (en) 2018-01-15 2020-07-22 Otis Elevator Company Moving walkway
EP3569554B1 (en) * 2018-05-16 2021-02-24 Otis Elevator Company Drive system for a people conveyor
ES2929830T3 (es) * 2018-10-30 2022-12-01 Inventio Ag Cadena impulsora para una cinta de plataformas de un pasillo mecánico con pequeña altura total
ES2968825T3 (es) * 2018-10-30 2024-05-14 Inventio Ag Procedimiento para montar una cadena transportadora para una cinta de plataformas de un pasillo móvil
JP7451525B2 (ja) * 2018-11-27 2024-03-18 インベンテイオ・アクテイエンゲゼルシヤフト 動く歩道のパレットベルト用コンベヤチェーンの取付方法
EP3851403B1 (en) * 2020-01-15 2022-09-28 Otis Elevator Company Support member for a drive belt of a passenger conveyor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19004B1 (ko) 1993-10-06 2002-11-29 코네 코퍼레이션 에스컬레이터또는이동보도용구동시스템
JP2003327381A (ja) 2002-05-14 2003-11-19 Hitachi Ltd 乗客コンベア
KR100827049B1 (ko) 2000-11-28 2008-05-02 오티스 엘리베이터 컴파니 계단 플랜지를 구비하는 에스컬레이터
JP2008120513A (ja) 2006-11-10 2008-05-29 Toshiba Elevator Co Ltd 乗客コンベア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25905A (en) * 1899-05-30 Moving stairway or elevator
US4064986A (en) * 1976-04-30 1977-12-27 Westinghouse Electric Corporation Escalator having guide wheels and guide track with cooperative non-flat surfaces
US4470497A (en) * 1982-02-26 1984-09-11 Westinghouse Electric Corp. Escalator
KR920007805B1 (ko) 1988-06-09 1992-09-17 미쯔비시 덴끼 가부시기가이샤 휠체어 승용계단이 부가된 에스컬레이터
JPH0735237B2 (ja) * 1988-06-17 1995-04-19 三菱電機株式会社 乗客コンベア
US5072821A (en) * 1990-12-07 1991-12-17 Otis Elevator Company Escalator/people mover bearing
JPH0735237A (ja) 1993-07-21 1995-02-07 Koyo Seiko Co Ltd ピストンとその製造方法
JPH10120351A (ja) 1996-10-22 1998-05-12 Mitsubishi Denki Bill Techno Service Kk エスカレーター装置
KR100445362B1 (ko) * 1999-04-26 2004-08-21 가부시끼가이샤 히다치 세이사꾸쇼 에스컬레이터장치
JP4688276B2 (ja) * 2000-11-09 2011-05-25 東芝エレベータ株式会社 乗客コンベア装置
DE10063844B4 (de) * 2000-12-21 2004-07-22 Kone Corp. Antriebssystem für Rolltreppen und Rollsteige
US6640957B2 (en) * 2001-12-21 2003-11-04 Otis Elevator Company Racetrack style passenger conveyor
US6607064B2 (en) * 2002-01-11 2003-08-19 Fujitec America Inc. Shallow wellway moving walk
US20070137980A1 (en) * 2002-12-13 2007-06-21 Helmut Meyer Stepchain link for a passenger conveyor system
JP2007238328A (ja) * 2006-03-03 2007-09-20 Inventio Ag 新規な非常案内手段を有するエスカレータ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19004B1 (ko) 1993-10-06 2002-11-29 코네 코퍼레이션 에스컬레이터또는이동보도용구동시스템
KR100827049B1 (ko) 2000-11-28 2008-05-02 오티스 엘리베이터 컴파니 계단 플랜지를 구비하는 에스컬레이터
JP2003327381A (ja) 2002-05-14 2003-11-19 Hitachi Ltd 乗客コンベア
JP2008120513A (ja) 2006-11-10 2008-05-29 Toshiba Elevator Co Ltd 乗客コンベア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64137A (ko) 2013-06-17
DE112010005926T5 (de) 2013-08-08
CN103124685A (zh) 2013-05-29
HK1185856A1 (en) 2014-02-28
US20130180822A1 (en) 2013-07-18
WO2012046091A1 (en) 2012-04-12
DE112010005926B4 (de) 2016-11-17
US8931614B2 (en) 2015-01-13
JP2013538770A (ja) 2013-10-17
CN103124685B (zh) 2015-04-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39383B1 (ko) 이동가능한 측면 패널 부재들을 갖는 승객 수송기
US7665595B2 (en) Drive system with step chain or pallet chain for a transportation device and transportation device with a corresponding drive system
CN107580584B (zh) 包括悬臂的用于人员输送机的踏板元件
EP3257804B1 (en) Belt-driven people conveyor
FI123880B (fi) Liukukäytävä
US9227818B2 (en) Passenger conveyor with movable lateral panel members
US10214389B2 (en) Drive chain and drive chain mechanism and conveyor comprising such a drive chain mechanism
KR101953400B1 (ko) 사람 운송 장치
US20150259177A1 (en) Passenger Conveyor Systems with Separate Chain and Pallet Tracks
US10647549B2 (en) Chain drive for a people conveyor
EP3569554B1 (en) Drive system for a people conveyor
US9550655B2 (en) Pallet return in moving walkways
CN107618968B (zh) 人输送机的运输元件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