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77247A - 부직포 성분과 폼 재료 성분을 포함하는 시트 커버의 적층용 텍스타일 복합 재료 - Google Patents

부직포 성분과 폼 재료 성분을 포함하는 시트 커버의 적층용 텍스타일 복합 재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77247A
KR20170077247A KR1020177015700A KR20177015700A KR20170077247A KR 20170077247 A KR20170077247 A KR 20170077247A KR 1020177015700 A KR1020177015700 A KR 1020177015700A KR 20177015700 A KR20177015700 A KR 20177015700A KR 20170077247 A KR20170077247 A KR 2017007724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ponent
nonwoven
foam material
fibers
foa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701570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856917B1 (ko
Inventor
슈테피 스코엔펠더
Original Assignee
예.하. 지글러 게엠베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54541020&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20170077247(A)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예.하. 지글러 게엠베하 filed Critical 예.하. 지글러 게엠베하
Publication of KR2017007724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7724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5691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5691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5/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 B32B5/22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the presence of two or more layers which are next to each other and are fibrous, filamentary, formed of particles or foam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5/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 B32B5/02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structural features of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 B32B5/022Non-woven fabric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47C7/02Seat parts
    • A47C7/24Upholstered sea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5/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 B32B5/02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structural features of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 B32B5/06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structural features of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characterised by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mechanically connected, e.g. by needling to another layer, e.g. of fibres, of pap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5/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 B32B5/02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structural features of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 B32B5/08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structural features of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the fibres or filaments of a layer being of different substances, e.g. conjugate fibres, mixture of different fib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5/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 B32B5/18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features of a layer of foamed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5/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 B32B5/22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the presence of two or more layers which are next to each other and are fibrous, filamentary, formed of particles or foamed
    • B32B5/24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the presence of two or more layers which are next to each other and are fibrous, filamentary, formed of particles or foamed one layer being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 B32B5/245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the presence of two or more layers which are next to each other and are fibrous, filamentary, formed of particles or foamed one layer being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another layer next to it being a foam lay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7/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on between layer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ve orientation of features between layers, or by the relative values of a measurable parameter between layers, i.e. products comprising layers having different 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04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12Interconnection of layers using interposed adhesives or interposed materials with bonding propert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58Seat cover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58Seat coverings
    • B60N2/5891Seat coverings characterised by the manufacturing process; manufacturing seat cover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62/00Composition or structural features of fibres which form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or are present as additives
    • B32B2262/02Synthetic macromolecular fibres
    • B32B2262/0223Vinyl resin fib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62/00Composition or structural features of fibres which form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or are present as additives
    • B32B2262/02Synthetic macromolecular fibres
    • B32B2262/0223Vinyl resin fibres
    • B32B2262/0238Vinyl halide, e.g. PVC, PVDC, PVF, PVDF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62/00Composition or structural features of fibres which form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or are present as additives
    • B32B2262/02Synthetic macromolecular fibres
    • B32B2262/0246Acrylic resin fib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62/00Composition or structural features of fibres which form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or are present as additives
    • B32B2262/02Synthetic macromolecular fibres
    • B32B2262/0253Polyolefin fib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62/00Composition or structural features of fibres which form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or are present as additives
    • B32B2262/02Synthetic macromolecular fibres
    • B32B2262/0261Polyamide fib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62/00Composition or structural features of fibres which form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or are present as additives
    • B32B2262/02Synthetic macromolecular fibres
    • B32B2262/0276Polyester fibres
    • B32B2262/0284Polyethylene terephthalate [PET] or polybutylene terephthalate [PB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62/00Composition or structural features of fibres which form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or are present as additives
    • B32B2262/02Synthetic macromolecular fibres
    • B32B2262/0292Polyurethane fib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62/00Composition or structural features of fibres which form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or are present as additives
    • B32B2262/06Vegetal fibres
    • B32B2262/062Cellulose fibres, e.g. cotton
    • B32B2262/067Wood fib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62/00Composition or structural features of fibres which form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or are present as additives
    • B32B2262/14Mixture of at least two fibres made of different materia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66/00Composition of foam
    • B32B2266/02Organic
    • B32B2266/0214Materials belonging to B32B27/00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66/00Composition of foam
    • B32B2266/02Organic
    • B32B2266/0214Materials belonging to B32B27/00
    • B32B2266/0264Polyest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66/00Composition of foam
    • B32B2266/02Organic
    • B32B2266/0214Materials belonging to B32B27/00
    • B32B2266/0278Polyurethan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70Other properties
    • B32B2307/718Weight, e.g. weight per square met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70Other properties
    • B32B2307/72Densit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9/00Parameters for the laminating or treatment process; Apparatus details
    • B32B2309/08Dimensions, e.g. volume
    • B32B2309/10Dimensions, e.g. volume linear, e.g. length, distance, width
    • B32B2309/105Thicknes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601/00Upholster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605/00Vehicles
    • B32B2605/003Interior finish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Laminated Bodies (AREA)
  • Nonwoven Fabrics (AREA)
  • Seats For Vehicles (AREA)
  • Mattresses And Other Support Structures For Chairs And Beds (AREA)
  • Manufacturing Of Multi-Layer Textile Fabr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적어도 하나의 부직포 성분(12)과 상기 부직포 성분과 연결된 적어도 하나의 폼 재료 성분(14)를 가지고 7mm이하의 총 재료 두께(28)를 갖는 적층용 텍스타일 복합 재료 특히 시트커버의 적층용 텍스타일 복합 재료를 기반으로 한다. 상기 부직포 성분(12)이 150℃이상의 용융 온도를 가지는 적어도 하나의 바인더 섬유(38)를 포함하고, 상기 부직포 성분(12)이 50dtex 이하의 선형 질량 밀도 값을 가지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성 섬유(26)를 포함한다.
상기 기능성 섬유는 중공 섬유로 구성되는 것이 제안된다.

Description

부직포 성분과 폼 재료 성분를 포함하는 적층용 텍스타일 복합 재료{LAMINATED TEXTILE COMPOSITE MATERIAL CONTAINING A NON-WOVEN FABRIC COMPONENT AND A FOAM COMPONENT}
본 발명은 청구항 제 1 항의 전단에 따른 적층용 텍스타일 복합 재료에 관한 것이다.
WO 2014/150336 A2로부터, 7mm이하의 총 재료 두께를 가지며 서로 연결된 적어도 하나의 부직포 성분 및 적어도 하나의 폼 재료 성분을 포함하는 적층용 텍스타일 복합 재료가 공지되어 있다. 부직포 성분은 150℃ 이상의 용융 온도를 갖는 하나 이상의 바인더 섬유를 포함한다. 부직포 성분은 50 dtex 이하의 선형 질량 밀도 값을 특징으로하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성 섬유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목적은 바람직한 처리성 특히, 시간 절약 처리성을 가지는 적층용 일반 텍스타일 복합 재료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목적은 청구항 1의 특징에 의해 본 발명에 따라 달성되지만,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 및 추가적인 전개는 종속항으로 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은 7mm이하의 총 재료 두께, 적어도 하나의 부직포 성분, 상기 부직포 성분과 연결된 적어도 하나의 폼 재료 성분을 가지는 적층용 텍스타일 복합재료 특히 시트 커버의 적층용 텍스타일 복합재료를 기반으로 한다. 상기 부직포 성분은 150℃ 이상의 용융 온도를 갖는 하나 이상의 바인더 섬유를 포함한다. 부직포 성분은 50 dtex 이하의 선형 질량 밀도 값을 가지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성 섬유를 포함한다.
상기 기능성 섬유는 중공 섬유로 구현된다. 바람직하게는 바인더 섬유는 용융 섬유로서 구현되며, 부분 또는 전체 용융으로 인해, 다른 성분을 연결하거나 부직포 성분의 개별 섬유를 서로 결합시키는 접착 수단으로서 작용하도록 구성된다.
"구성(Configured)"은 구체적으로 특별히 설계된 및/또는 구체적으로 갖추어 진 것을 의미한다. 특정 기능을 위해 구성된 요소 및/또는 유닛에 의해, 상기 요소 및/또는 상기 유닛은 적어도 하나의 적용 상태에서 상기 특정 기능을 수행/실행 및/또는 구현/수행하거나, 상기 요소 및/또는 유닛이 상기 특정 기능을 수행하도록 특별히 설계된다는 것을 이해해야 한다. 특히 바인더 섬유는 특히 1dtex보다 큰 선형 질량 밀도 값을 가지며, 바람직하게는 5dtex보다 크고 특히 바람직하게는 15dtex보다 작다. 매우 특히 바람직하게는, 바인더 섬유는 1dtex와 9dtex 사이의 값에 해당하는 선형 질량 밀도 값을 갖는다. 바람직하게는, 바인더 섬유는 160℃이상의 용융 온도를 가지며 특히 바람직하게는 200℃이하이다. 바인더 섬유는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하나의 추가 재료, 특히 접착 웹을 물질-물질 결합에 의해 부직포 성분에, 특히 후속하여 가열 공정에 연결시키는 부직포 성분의 연결 요소로서 구성된다. 여기서 추가 재료는 예를 들어 텍스쳐 재료, 날실-편직, 추가 부직포 성분, 편물 재료 등으로 구현된다. 제조 공정에서, 바인더 섬유의 열 활성화는 바람직하게는 오븐에서 수행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바인더 섬유는 추가 재료의 섬유와 열 결합을 형성하고, 추가 재료의 비 융융 섬유는 용융된 바인더 섬유에 접착 결합 가능하다. 추가의 복합체 및 적어도 부직포 성분의 재료 복합체는 바람직하게는 그 자체로 탄성 및 신축성을 유지한다.
부직포 성분은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하나의 바인더 섬유(용융 섬유) 이외에 적어도 하나의 기능성 섬유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기능성 섬유는 폴리에스테르 섬유, 특히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섬유로 구현된다. 그러나, 기능성 섬유는 당업자에 의해 적절하다고 생각되는 다른 실시예
예를들어 폴리아미드 섬유, 폴리올레핀 섬유, 폴리아크릴로니트릴 섬유, 폴리비닐크롤라이드 섬유, 폴리비닐 알콜 섬유, 폴리테트라 플루오르에틸렌 섬유, 폴리우레탄 섬유 등과 같은 실시예를 특징으로 하는 것으로 생각할 수 있다. 여기서, 기능성 섬유는 특히 1dtex보다 큰, 바람직하게는 15dtex보다 크고 특히 바람직하게는 30dtex보다 작은 선형 질량 밀도 값을 가진다. 매우 특히 바람직하게는, 기능성 섬유는 1.5dtex와 24dtex 사이의 값에 해당하는 선형 질량 밀도 값을 갖는다. 바람직하게는, 기능성 섬유는 40dtex보다 작고 특히 바람직하게는 30dtex보다 작은 선형 질량 밀도 값을 갖는다. 특히 바람직하게는, 기능성 섬유는 1.5dtex 내지 24dtex 범위의 값에 해당하는 선형 질량 밀도 값을 갖는다. 바람직하게는, 개방 공극 부직포 성분가 구현될 수 있다. 이는 통기성이있는 부직포 성분을 유리하게 실현할 수 있도록 한다.
바람직하게는 기능성 섬유는 높은 탄력성을 갖는다. 이러한 목적을 위해, 기능성 섬유는 우선적으로 나선형으로 주름 잡힌 형태로 구현된다. 특히 바람직하게는, 부직포 성분은 복수의 바인더 섬유 및 복수의 기능성 섬유를 포함하고, 이들은 서로 혼합된다. 여기서, 바인더 섬유 및/또는 기능성 섬유는 방사 섬유(스테이플 섬유) 또는 필라멘트(연속 섬유)로 구현될 수 있다. 혼입으로 인해, 부직포 성분의 바인더 섬유 및/또는 기능성 섬유는 폼-핏(form-fit) 연결(인터 레이싱에 의해), 응집 및/또는 접착을 통해 바람직하게 상호 연결된다. 부직포 성분을 구현하기 위해, 바인더 섬유 및/또는 기능성 섬유는 배향된 형태 또는 얽힌 형태로 배치될 수있다. 부직포 성분은 특히 30g/㎡ 크고, 바람직하게는 60g/㎡보다 크고 특히 바람직하게는 550g/㎡ 보다 작은 기본 중량을 갖는다. 부직포 성분은 특히 바람직하게는 50g/㎡ 내지 500g/㎡ 범위의 값에 해당하는 기본 중량을 갖는다.
폼 성분은 바람직하게는 폴리우레탄-폴리 에테르 폼 또는 폴리우레탄-폴리 에스테르 폼, 특히 폴리우레탄-폴리에테르 컷 폼 또는 폴리우레탄-폴리에스테르 컷 폼으로 구현된다. 그러나, 폼 재료 성분은 당업자에 의해 적절하다고 여겨지는 또 다른 실시예, 특히 부드러운 탄성을 가지는 섬유 특성을 갖는 폼으로서 당업자에 의해 적합하다고 여겨지는 또 다른 실시예가 말려질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높은 공기-투과성(예를 들어, 망상 폼)뿐만 아니라 높은 복원력을 나타낼 수 있ㄴ는 것도 생각할 수 있다.
적층용 텍스타일 복합 재료는 우선적으로 7mm보다 작은 총 재료 두께를 갖는다. 특히, 적층용 직물 복합 재료는 0.9mm보다 큰 총 재료 두께를 갖는다. 특히 적층용 텍스타일 복합 재료는 1mm와 6mm 사이의 값에 해당하는 총 재료 두께를 갖는다. 바람직하게는 적층용 텍스타일 복합 재료의 전체 재료 두께는 부직포 성분의 최대 부직포 두께 및 폼 재료 성분의 최대 폼 재료 두께로 이루어진다.
바람직하게는, 부직포 성분은 중공 섬유로 구현된 기능성 섬유의 적어도 일부 및 중공 섬유로서 기능하지 않는 기능성 섬유의 일부를 포함한다. 용어 "중공 섬유"는 특히 적어도 하나의 중공 공간을 포함하는 섬유, 특히 섬유의 길이 방향 축을 따라 본 섬유를 적어도 실질적으로 섬유의 길이 방향 축을 중심으로 적어도 둘레 방향을 따라 볼 때, 섬유의 적어도 하나의 엔벌롭(envelope)에 의해 둘러싸인 섬유의 총 길이를 따라 실질적으로 연장되는 적어도 하나의 중공 공간을 포함한다. 섬유의 엔벌롭은 특히 고리형, 삼엽형, 다각형 형태 등의 중공 공간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중공 섬유로 구현되는 기능성 섬유는 전체 부피에 대하여 적어도 1% 이상,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5% 이상, 특히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8% 이상의 중공 공간 부분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매우 특히 바람직하게는 중공 섬유의 전체 부피 부분에 대해 중공 섬유로 구현되는 기능성 섬유는 15% 이하, 특히 10% 범위의 중공 공간 부분을 가진다.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에 의해, 나선형으로 주름진 섬유를 갖는 부직포 성분이 특히 바람직하게 구현될 수 있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적층용 텍스타일 복합 재료가 바람직한 처리성, 특히 시간 절약 처리성을 가지도록 한다. 바람직하게는 특히 적어도 바인더 섬유를 용융하기 위한 인접 가열, 특히 적층용 텍스타일 복합 재료의 제조 공정 중에 적층용 텍스타일 복합 재료의 두께와는 독립적으로 수행 될 수 있고 일정한 온도 설정을 가진 두껍거나 얇은 처리성이 제공될 수 있다. 이것은 바람직하게 짧은 기계 설정 기간을 허용하거나 심지어 기계 설정 기간의 분배를 허용한다. 또한, 특히, 적층용 얇은 텍스타일 복합 재료의 경우, 바람직하게는 높은 처리 속도가 유리하게 가능하고, 증가 된 공정 온도가 적층용 텍스타일 복합 재료, 특히 얇은 텍스타일 복합 재료의 적층 가열을 유리하게 허용하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그 결과, 바람직하게 적층용 텍스타일 복합 재료를 처리할 때 시간 절약이 가능해진다.
또한, 적어도 하나의 바인더 섬유의 용융 온도가 220℃이하인 것이 제안된다. 특히, 바인더 섬유는 160℃ 내지 190℃의 용융 온도를 갖는다. 그러나, 선택적인 실시예에서, 바인더 섬유는 220℃를 이상하는 용융 온도를 갖는 것도 생각할 수있다. 본 발명에 따른 구현을 통해, 생산 공정에서, 최대 총 재료 두께가 7 mm 이상인 적층용 텍스타일 복합 재료를 가열하기 위해 사용되는 온도 설정이 본 발명에 따른 적층용 텍스타일 복합 재료를 가열하기 위해 적용될 수 있다.
폼 재료 성분이 5 mm이하의 최대 폼 재료 두께를 갖는 것이 또한 제안된다. 특히, 폼 재료 성분은 3.5mm 이하, 바람직하게는 3.1mm 이하, 특히 바람직하게는 0.9 mm이상인 최대 폼 재료 두께를 갖는다. 특히 바람직하게는 폼 재료 성분은 1mm 내지 3mm 범위의 값에 해당하는 최대 폼 재료 두께를 갖는다. 본 발명에 따른 실시 예에 따르면, 폼 재료 성분이 추가로 부착된 접착 웹의 신속한 가열을 가능하게 하는 것이 유리하게 달성될 수 있으며, 폼 재료 성분의 얇은 구현으로 인해 폼 재료 성분과 부직포 성분 사이에 높은 열 흐름이 달성될 수 있다.
또한 부직포 성분이 5mm이하의 최대 부직포의 두께를 가지는 것이 제안된다. 특히, 부직포 성분은 3.5mm 이하, 바람직하게는 3.1mm 이하, 특히 바람직하게는 0.9mm 이상인 최대 부직포의 두께를 갖는다. 매우 특히 바람직하게는 부직포 성분은 1mm에서 5mm까지 범위의 값에 해당하는 최대 부직포 두께를 갖는다. 바람직하게는 적층용 텍스타일 복합 재료는 폼 재료 성분의 최대 폼 재료 두께 대 부직포 성분의 최대 부직포 두께의 비율이 적어도 1 이상이다. 그러나, 적층용 텍스타일 복합 재료는 폼 재료 성분의 최대 폼 재료 두께와 부직포 성분의 최대 부직포 두께의 비율이 적어도 1 이하인 것으로 생각할 수 있다. "부직포 성분의 최대 부직포 두께 "는 특히, 특히 부직포 성분의 주 연장 표면에 적어도 실질적으로 수직으로 이어지는 방향을 따라 본 부직포 성분의 최대 연장을 의미하며, 특히 적어도 폼 재료 성분의 연결 표면에 적어도 실질적으로 수직으로 배치되고, 부직포 성분의 상호 연결된 섬유의 총 개수의 70% 이상, 바람직하게는 80% 이상 및 특히 바람직하게는 90% 이상을 차지하며, 특히 단면으로 보았을 때 상호 섬유의 전체가 다각형 모양, 예를들어 직사각형, 정사각형 등이 될 수 있다. 특히, 다각형 형상을 넘어서 연장되는 단일 섬유는 부직포 성분의 최대 부직포 두께를 결정하기 위해 고려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서 "실질적으로 수직인"이란 용어는 특히, 참조 평면 방향에 대한 방향의 방향을 의미하는데, 방향 및 기준 방향은 특히 평면에서 보았을 때 90°를 포함하고, 각도는 특히 8°이하, 바람직게는 5°이하 및 특히 바람직하게는 2°이하의 최대 편차를 갖는다.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는 바람직하게는 부직포 성분을 통한, 따라서 부직포 성분의 바인더 섬유를 통한 열의 신속한 확산을 허용한다.
또한, 폼 재료 성분은 10kg/m3보다 큰 부피 중량을 갖는 것이 제안된다. 바람직하게는, 폼 재료 성분은 부피 중량이 15 kg/m3를 이상, 100kg/m3 이하인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매우 특히 바람직하게는 폼 재료 성분은 20kg/m3 내지 90kg/m3 범위의 값에 해당하는 체적 중량을 가진다.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에 따르면, 유리한 처리성에 더하여 쿠션 특성을 특징으로 하는 적층용 텍스타일 복합 재료가 유리하게 제공될 수 있다.
또한, 부직포 성분과 폼 재료 성분이 서로 기계적으로 연결되는 것이 제안된다. "기계적으로 서로 연결된"은 여기서 이해해야할 적어도 두 요소 사이의, 특히 폼-핏(formfit) 및/또는 포스-핏(force-fit) 연결, 특히 부직포 성분과 폼 재료 성분의 섬유들 사이의 폼-핏(formfit) 및/또는 포스-핏(force-fit) 연결이다. 바람직하게는, 부직포 성분과 폼 재료 성분은 물질-물질 결합없이 서로 기계적으로 연결된다. 특히 바람직하게는 부직포 성분의 섬유가 폼재료 성분내로 연결된다. 바람직하게는 적층용 텍스타일 복합 재료는 시트 커버, 특히 자동차 시트 커버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구현하도록 구성된다.
바람직하게는, 부직포 성분와 폼 재료 성분은 서로 니들링되고, 폼 재료 성분의 총 연결 표면의 적어도 5% 이상이 부직포 성분의 섬유에 의해 관통된다. 특히 바람직하게는, 부직포 성분과 폼 재료 성분은 부직포 성분의 섬유에 의해 피어싱되는 폼 재료 성분의 총 연결 표면의 적어도 15% 이상을 서로 니들링(needleding)하는 것이 제안된다. 바람직하게는, 부직포 성분의 섬유는 폼 재료 성분의 연결 표면의 적어도 15%, 특히 폼 재료 성분의 연결 표면에 대해 적어도 실질적으로 횡 방향으로 연장되는 방향을 따라 총 연결 표면에 걸쳐 분포되어 폼 재료 성분 내로 연장된다. 바람직하게는 폼 재료 성분의 연결 표면을 관통하는 섬유는 폼 재료 성분의 연결면에 적어도 실질적으로 동일하게 분포되도록 하는 방식으로 배치된다. 여기서 "적어도 실질적으로 횡 방향으로"는 특히 기준 방향 및/또는 기준 축에 대한 방향 및/또는 축의 방향을 의미하며, 방향 및/또는 축의 방향은 기준 방향 및/또는 기준 축에 대해 적어도 부분적으로 평행한 배향과는 적어도 상이하고, 특히 기준 방향 및/또는 기준 축에 비스듬하거나 수직이다.
용어 "니들드(needled)"는 특히 부직포 성분과 폼 재료 성분 사이의 기계적 연결을 정의하기 위한 것으로서, 부직포 성분이 폼 재료 성분에 연결된 상태에서 부직포 성분의 적어도 하나의 섬유, 특히 복수의 섬유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폼 재료 성분 내로 연장된다. "폼 재료 성분의 연결 표면"은 특히 부직포 성분에 연결된 상태의 부직포 성분에 인접한 폼 성분의 총 표면, 특히 푸영 평면에 투영되는 폼 재료의 표면을 의미한다. 바람직하게는, 부직포 성분과 폼 재료 성분은 니들링 공정을 통해 서로 연결된다. 따라서, 부직포 성분의 섬유는 바람직하게는 폼 재료 성분 내로 니들링된다. 바람직하게는 추가의 접착제가 도포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기계적 고정이 부직포 성분와 폼 재료 성분 사이에 설정되는데, 특히, 니들링에 이어서 폼 재료 성분으로부터 돌출하는 바인더 섬유는 용융될뿐만 아니라 부직포 성분으로부터 이격되어 면하는 폼 재료 성분의 측면에 배치되고 예를들어 가죽 재료에 연결되도록 구성되는 접착제 웹과 접착 결합된다.
바람직하게는, 부직포 성분과 폼 재료 성분이 서로 니들링되고, 폼 재료 성분의 연결 표면의 1㎠ 당 부직포 성분의 2개 이상의 섬유가 폼 재료 성분으로 들어가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폼 재료의 연결 표면의 1㎠ 당 부직포 성분의 적어도 3 개의 섬유, 바람직하게는 부직포 성분의 적어도 5 개의 섬유 및 특히 바람직하게는 부직포 성분의 적어도 10 개의 섬유가 폼 재료 성분으로 들어간다. 매우 바람직하게는, 폼 재료 성분의 연결 표면의 1㎠ 당 부직포 성분의 10개 이상의 섬유, 특히 20 내지 300개의 섬유가 폼 재료 성분으로 들어간다. "폼 재료 성분으로 들어가는"이라는 표현은 특히, 폼 재료 성분에 대한 부직포 성분의 섬유 배열을 의미하며, 부직포 성분과 폼 재료 성분의 연결 상태에서 부직포 성분의 섬유가 부직포 성분으로부터 시작하여 폼 재료 성분으로 연장된다.
특히, 부직포 성분과 폼 재표 성분이 서로 니들링되고, 폼 재표 성분으로 들어가는 부직포 성분의 섬유의 적어도 대부분이 폼 재료 성분의 최대 폼 재료 두께의 적어도 50%까지 폼 재료 성분으로 들어간다. "폼 재료 성분 내로 들어가는 섬유의 대부분"은 특히 여기서, 폼 재료 성분으로 들어가는 부직포 성분의 섬유의 총 수의 적어도 20% 이상, 바람직하게는 30% 이상, 특히 바람직하게는 50% 이상을 의미한다. 그러나, 부직포 성분의 단일 섬유가 폼 재료 성분의 최대 폼 재료 두께의 50%이상 폼 재료 성분 내로 연장되거나 폼 재료 성분을 완전히 관통하는 것으로 생각할 수도 있다. "폼 재료 성분의 최대 폼 재료 두께의 적어도 50%까지 폼 성분 내로 연장되는"이라는 표현은 부직포 성분의 섬유가, 부직포 성분의 주변 영역으로부터 시작하여, 폼 재료 성분의 최대 폼 재료 두께의 적어도 50%에 해당하는 돌출 연장부, 특히 폼 재료 성분 내로의 돌출 연장부를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에 따르면, 부직포 성분과 폼 재료 성분 사이의 특히 유리하고 안전한 연결이 가능해진다. 바람직하게는 폼 재료 성분의 높은 수준의 안정성이 유지될 수 있다. 따라서, 폼 재료 성분의 탄성 및 내구성이 유리하게 유지 될 수 있다. 또한, 폼 재료 성분의 표면 장력은 적층용 텍스타일 복합 재료, 특히 폼 재료의 유리한 적응을 허용하기 위해 니들링 공정 중에 니들이 적층용 텍스타일 복합 재료가 배치될 수 있는 대상의 형상으로 진입 및/또는 관통함으로써 유리하게 손상될 수 있다.
또한, 부직포 성분과 폼 재료 재료 성분이 서로 니들링되고, 폼-부직 분리 력에 대항하여 작용하는 부직포 성분과 폼 재료 성분 사이의 유지력이 특히 부직포 성분의 섬유와 폼 재료 구성 요소 사이의 폼-핏 및/또는 포스-핏 연결로 인해 1N이상이다. "폼-부직 분리력"은 하중의 적어도 하나의 경우에서 적층용 텍스타일 복합 재료 상에 작용하고, 특히 폼 재료 성분의 연결 표면에 대해 적어도 실질적으로 수직으로 연장되는 방향을 따라 볼 때 분리되는 폼 재료 성분과 부직포 성분 사이의 연결을 유도 할 수 있는 힘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특히, 폼-부직 분리력에 대항하여 작용하는 부직포 성분과 폼 재료 성분 사이의 유지력은 1 kN이하, 바람직하게는 0.8 kN이하, 특히 바람직하게는 10N이상, 특히 10N이하이고 2N이상이다. 부직포 성분과 폼 재료 성분 사이의 유지력은 폼-부직 분리력에 대항하여 작용하며, 여기서 바람직하게는 부직포 성분의 섬유의 연결 특히 부직포 성분의 섬유와 폼 재료 성분의 섬유 사이의 폼-핏 및/또는 포스-핏 연결로부터의 폼 재료 성분에 대한 연결을 초래한다.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는 바람직하게는 부직포 성분과 폼 재료 성분의 바람직하지 않은 분리를 차단하거나 적어도 실질적으로 방지할 수 있게한다.
또한, 적어도 부분적으로 텍스타일 복합 재료로 구현되는 시트 커버가 제안된다.
본 발명에 따른 적층용 텍스타일 복합 재료 및/또는 본 발명에 따른 시트 커버는 상술한 적용 및 구현 형태에 제한되지 않는다. 특히, 본 명세서에 설명된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적층용 텍스타일 복합 재료 및/또는 시트 커버는 본 명세서에서 언급된 번호와 다른 방법 단계들과 마찬가지로 다수의 각각의 요소, 구조 요소 및 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 표시된 값 범위와 관련하여, 언급한 범위 내의 값은 공개되고 요건에 따라 적용되는 것으로 간주되어야 한다.
추가적인 장점은 하기 도면의 설명으로부터 명백해질 수 있다. 도면에는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가 도시된다. 도면, 상세한 설명 및 청구 범위는 복수의 특징의 조합을 포함한다. 당업자는 의도적으로 그 특징들을 개별적으로 고려할 것이고 추가의 편리한 조합을 발견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적층용 텍스타일 복합 재료의 개략적 단면도,
도 2는 개략적으로 본 발명에 따라 적층용 텍스타일 복합 재료 상에 배치된 본 발명에 따른 시트 커버의 가죽과 함께 본 발명에 따른 적층용 텍스타일 복합 재료의 단면도, 및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적층용 텍스타일 복합 재료에 배치된 가죽과 개략적으로 가죽에 배치된 본 발명에 따른 시트 커버의 가죽 보강재와 함께 본 발명에 따른 적층용 텍스타일 복합 재료의 단면도.
도 1은 적어도 하나의 부직포 성분(12)과 상기 부직포 성분(12)에 연결된 적어도 하나의 폼 재료 성분(14)을 가지며 7mm이하의 총 재료 두께(28)를 가지는 적층용 텍스타일 복합 재료(10)를 도시한다. 부직포 성분(12) 및 폼 재료 성분(14)은 기계적으로 서로 연결된다. 부직포 성분(12)과 폼 재료 성분(14)은 서로 니들링되며, 폼 재료 성분(14)의 총 연결 표면(16)의 적어도 5% 이상이 부직포 성분(12)의 섬유(18, 20)에 의해 관통된다. 바람직하게는, 부직포 성분(12)과 폼 재료 성분(14)은 폼 재료 성분(14)의 총 연결 표면(16)의 적어도 15% 이상이 부직포 성분(12)의 섬유(18, 20)로 관통되는 방식으로 서로 니들링된다. 따라서, 폼 재료 성분(14)의 연결 표면(16)의 1㎠ 당 부직포 성분(12)의 2 개 이상의 섬유(18, 20)가 폼 재료 성분(14)으로 들어간다. 바람직하게는 폼 재료 성분(14)의 연결 표면(16)의 1㎠ 당 부직포 성분(12)의 적어도 10 개의 섬유(18, 20), 특히 부직포 성분(12)의 20 내지 300 개의 섬유(18, 20)가 폼 재료 성분(14)으로 들어간다. 그러나, 폼 재료 성분(14)의 연결 표면(16)의 1㎠ 당 부직포 성분(12)의 10개 이상, 특히 300 개 이상의 섬유(18, 20)가 폼 재료 성분(14)으로 들어간다고 생각할 수 있다.
또한, 폼 재료 성분(14)으로 들어가는 부직포 요소(12)의 섬유(18, 20)의 적어도 대부분은 폼 재료 성분(14)의 최대 폼 재료 두께(22)의 적어도 50%까지 폼 재료 성분(14)내로 연장된다. 그러나, 단일 섬유(18, 20) 또는 선택적으로 대부분의 섬유(18, 20)가 폼 재료 성분(14)을 완전히 관통하는 것으로 생각할 수도 있다. 또한, 단일 섬유(18, 20) 또는 선택적으로 대부분의 섬유(18, 20)가 폼 재료 성분(14)의 최대 폼 재료 두께(22)의 50%이상 폼 재료 성분(14) 내로 연장되거나, 또는 단일 섬유(18, 20) 또는 선택적으로 대부분의 섬유(18, 20)가 폼 재료 성분(14)의 최대 폼 재료 두께(22)의 50% 이하까지 폼 재료 성분(14) 내로 연장되는 것으로 생각할 수 있다. 부직포 성분(12)의 최대 부직포 두께(24)에 대한 폼 재료 성분(14)의 최대 폼 재료 두께(22)의 비율은 여기서 적어도 1 이상이다. 여기서 폼 재료 성분(14)은 4mm 이하의 최대 폼 재료 두께(22)를 가진다. 특히, 부직포 성분(12)은 1 및 3mm 사이의 값 범위에 해당하는 최대 부직포 두께(24)를 가진다. 적층용 텍스타일 복합재료의 총 재료 두께(28)는 적어도 부직포 성분(12)의 최대 부직포 두께(24)와 폼 재료 성분(14)의 최대 폼 재료 두께(22)로 통합된다.
또한, 부직포 성분(12)과 폼 재료 성분(14)은 폼-부직 분리력에 대항하여 작용하는 부직포 성분(12)과 폼 재료 성분(14) 사이의 유지력이 1N이상인 방식으로 서로 니들링된다. 이것은 부직포 성분(12)의 섬유(18, 20)가 폼 재료 성분(14)과 폼-핏 및/또는 포스 핏 연결을 달성함에 따라 부직포 성분(12)의 섬유(18, 20)가 니들링 기계(상세히 도시되지 않음)에 의해 폼 재료 성분(14) 내로 니들링되는 부직포 성분(12)과 폼 재료 성분(14)의 니들링 절차에 의해 달성된다. 따라서, 부직포 성분(12)은 폼 재료 성분(14)과 탈착 불가능하게, 즉 영구적으로 연결된다. 여기서 폼 재료 성분(14)은 10 ㎏/㎥ 이상의 부피 중량을 갖는다. 부직포 성분(12)은 45g/m2이상의 큰 평량을 갖는다.
부직포 성분(12)은 또한 50dtex 이하의 선형 질량 밀도 값을 갖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성 섬유(26)를 더 포함한다. 기능성 섬유(26)는 여기서 부직포 성분(12)의 섬유(18, 20) 중 하나에 의해 구현된다. 기능성 섬유(26)는 중공 섬유로 구현된다. 여기서, 기능성 섬유(26)는 예를들어 별형 단면, 정방 단면, 삼엽 단면, 말굽형 단면, 고리형 단면 등의 당업자에 의해 적절하다고 간주되는 임의의 단면을 가질 수 있다. 대체로, 부직포 성분(12)은 50dtex 이하의 선형 질량 밀도 값을 갖는 다수의 기능성 섬유(26)를 포함하고, 특히 중공 섬유로 구현된다.
그외에도, 부직포 성분(12)은 150℃ 이상의 용융온도를 가지는 적어도 하나의 바인더 섬유(38)(용융 섬유)를 포함한다. 여기서 적어도 하나의 바인더 섬유(38)의 용융온도는 220℃ 이하이다. 바인더 섬유(38)의 용융온도는 160-180℃ 사이의 값 범위에 해당한다. 바인더 섬유(38)는 부직포 성분(12)의 섬유(18, 20) 중 하나로 구현된다. 부직포 성분(12)은 복수의 바인더 섬유(38)를 포함한다. 혼입으로 인해 바인더 섬유(38) 및/또는 부직포 요소(12)의 기능성 섬유(26)는 폼-핏 연결(인터 레이싱에 의해), 응집 및/또는 접착을 통해 상호 연결된다. 여기서, 바인더 섬유(38) 및/또는 기능성 섬유(26)는 배향되는 방식으로 또는 얽힌 방식으로 배치될 수 있다.
적층용 텍스타일 복합 재료(10)는 시트 커버의 적층을 위한 텍스타일 복합 재료로 구현된다. 따라서, 적층용 텍스타일 복합 재료(10)는 시트 커버(30), 특히 자동차 시트 커버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구현하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목적을 위해, 적층용 텍스타일 복합 재료(10)는 적어도 하나의 추가 재료(32), 예를 들어, 섬유, 가죽, 합성 피혁 등을 포함할 수 있다(도 2 및 도 3). 따라서, 시트 커버(30)는 적어도 적층용 텍스타일 복합 재료(10)와 추가 재료(32)의 연결을 통해 구현가능하다. 도 2에 도시된 예시적인 실시 예에서, 추가 재료(32)는 시트 커버(30)를 구현하기 위해 적층용 텍스타일 복합 재료(10)에 연결될 수 있는 가죽으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목적을 위해 추가 재료(32)는 부직포 성분(12)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폼 재료 성분(14)의 측면에 배치될 수 있다. 적층용 텍스타일 복합 재료(10)와 추가 재료(32)를 연결하기 위해, 적층용 텍스타일 복합 재료(10) 또는 시트 커버(30)는 적어도 하나의 연결 성분(36)를 포함한다. 연결 성분(36)는 접착 성분으로서 구현된다. 연결 성분(36)은 자기 접착성 접착제, 특히 자기-접착제, 압력-민감성 접착제 등으로서 접착성 부직/접착 웹으로 구현되는 것을 생각할 수 있다. 접착성 부직/접착 웹으로서의 연결 성분(36)의 구현에서, 연결 성분(36)는 망상 구조를 가지며, 특히 바인더 섬유(38)와 유사하거나 동일한 재료로 구현되며, 연결 성분(36)은 50℃ 내지 140℃, 바람직하게는 90℃ 내지 100℃의 값 범위의 값에 해당하는 융점을 가진다. 여기서 연결 성분(36)은 예를들어 코-폴리아미드로 구셩되는것을 생각할 수 있다.
텍스타일 또는 합성 피혁과 같은 추가 재료(32)의 선택적인 실시예에서, 연결 성분(36)은 폼 재료 성분(14)과 함께 적어도 부분적으로 구현되거나 또는 연결 성분(36)이 추가 폼 재료 성분으로 구현되며, 연결 성분(36)은 상기 두 실시예에서 화염-적층(flame-laminatable)가능하다. 추가적인 폼 재료 성분으로서의 연결 요소(36)의 구현에서, 당업자에게 이미 공지된 로스트-폼(lost-foam) 절차가 유리하게 적용 가능하다. 여기서, 연결 성분(36)은 화염 적층을 통해 폼 재료 성분(14) 상에 배치가능하고 추가 재료(32)는 화염 적층을 통해 폼 재료 성분(14) 상에 이미 배치된 연결 성분(36) 상에 배치가능하다. 화염 적층에 이어서, 추가 폼 재료 성분으로서 구현된 연결 성분(36)은 얇은 접착제 층으로 존재한다. 유리하게는 적층용 텍스타일 복합 재료(10)의 본래 두께가 적어도 실질적으로 유지될 수 있다. 또한, 선택적으로 또는 부가적으로, 적층용 텍스타일 복합 재료(10)의 텍스타일 특성을 바람직하게 유지하는 당업자에게 적절하다고 간주되는 접착 지점 및/또는 접착 분말, 멜트프린트 절차, 핫멜트 접착제, 접착 포일 또는 다른 접착-결합 방법 또는 접착-결합 프로 절차, 특히 핫-멜트 또는 콜드-멜트 절차는 추가 재료(32)를 폼 재료 성분(14)에 연결 시키는데 사용된다.
적층용 텍스타일 복합 재료(10)는 예를 들어 평판 적층 플랜트 또는 가죽 고정 플랜트에 의해 추가 재료(32)에 연결될 수 있다. 여기서, 적층용 텍스타일 복합 재료(10)와 추가 재료(32)를 연결하기 위한 처리 온도는 바람직하게는, 특히 접착성 부직/접착 웹으로서 연결 성분(36)의 구현에서 낮게 유지될 수 있다.
도 3에서, 시트 커버(30)는 적층용 텍스타일 복합 재료(10) 및 추가 재료(32)에 더하여 적어도 하나의 보강재(34)를 포함한다. 보강재(34)는 추가 재료(32)를 보강하도록 구성된다. 도 3에 도시된 적층용 텍스타일 복합 재료(10)의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보강재(34)는 가죽 보강재로 구현된다. 그러나, 보강재(34)는 당업자에 의해 적절하다고 여겨지는 다른 실시예, 특히 추가 재료(32)의 구현에 의존하는 실시예를 특징으로 하는 것도 고려할 수 있다. 보강재(34)는 적층용 텍스타일 복합 재료(10)와 추가 재료(32) 사이에 배치된다. 여기서, 보강재(34)는 부직포 성분(12)과 이격되어 면하는 폼 재료 성분(14)의 측면, 특히 폼 재료 성분(14)과 연결 성분(36) 사이에 배치된다. 그러나, 보강재(34)가 당업자에 의해 적절하다고 간주되는 다른 배치를 특징으로 하는 것도 고려될 수 있다. 보강재(34)는 가죽을 지지하기 위해 직조 재료, 날실-편물 재료, 니트 재료, 격자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보강재(34)는 접착 웹(상세히 도시되지 않음)에 의해 폼 재료 성분(14)과 고정될 수 있다. 따라서, 하중의 경우에 가죽의 신장은 유리하게는 실질적으로 방지가능하거나 적어도 감소 가능하다. 또한 특히 응력이 가해진 시트 커버(30) 영역, 예를들어 측면 에어백의 출구 지점에는 적절한 보강재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보강재(34)의 적절한 선택에 의해, 적층용 텍스타일 복합 재료(10)의 적어도 신장 특성, 재료 특성, 특히 견딜 수 있는 최대 인장력 등이 구체적으로 변경 가능하다. 여기에 상세히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섬유 재료 또는 합성 가죽과 같은 추가 재료(32)의 다른 실시예에서, 연결 성분(36) 이외에, 예를들어 접착제와 같은 화학 결합제(상세히 도시되지 않음)가 추가 재료(32) 및/또는 적층용 텍스타일 복합 재료(10) 상에 배열 가능하록 제공된다. 상기 결합제는 유리하게는 특히 결합제의 경화 공정에 이어서 추가 재료(32) 섬유의 섬유 먼지 및/또는 추가 재료(32)상에 부직포 성분(12)의 섬유 재료의 접착을 적어도 실질적으로 방지하거나 또는 적어도 감소시킬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보풀(fluff) 보호가 달성될 수 있다.
적층용 텍스타일 복합 재료(10)는 시트 특히 자동차 시트 예를들어 시트의 심하게 변형된 영역의 시트의 볼록한 구션, 예를들어 시트 등의 접근 측면의 측면 윙상의 난해한 시트 윤곽에서 조차 텍스타일 복합 재료의 부드럽고 접힘없는 배치를 허용한다. 이 외에도, 적층용 텍스타일 복합 재료(10)는, 바람직하게는 예를들어 적층용 텍스타일 복합 재료(10)가 상기 적층용 텍스타일 복합 재료에 볼록하게 형성되고 적층용 텍스타일 복합 재료가 부분 영역에 직접 접하는 적층용 텍스타일 복합 재료(10)의 다른 부분 영역에 오목하게 형성되는 시트에 배치되는 경우 작은 반경으로 드레이프가능하다. 또한, 적층용 텍스타일 복합 재료(10)는 각각 FMVSS(302) 또는 ISO 3795에 따라 점화되기 어렵다. 또한, 자동차 산업의 모든 관련 문서는 예를들어 방출/포깅/냄새에 관한 요건, 수명 말기 차량 규제 등에 관한 요구 사항이 고려된다.
10: 적층용 텍스타일 복합 재료 12: 부직포 성분
14: 폼 재료 성분 16: 연결 표면
18: 섬유 20: 섬유
22: 폼 재료 두께 24: 부직포 두께
26: 기능성 섬유 28: 총 재료 두께
30: 시트 커버 32: 추가 재료
34: 보강재 36: 연결 성분
38: 바인더 섬유

Claims (8)

  1. 적어도 하나의 부직포 성분(12)과 상기 부직포 성분과 연결된 적어도 하나의 폼 재료 성분(14)를 가지고 7mm이하의 총 재료 두께(28)를 갖는 적층용 텍스타일 복합 재료 특히 시트커버의 적층용 텍스타일 복합 재료에 있어서,
    상기 부직포 성분(12)이 150℃이상의 용융 온도를 가지는 적어도 하나의 바인더 섬유(38)를 포함하고, 상기 부직포 성분(12)이 50dtex 이하의 선형 질량 밀도 값을 가지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성 섬유(26)를 포함하며, 상기 기능성 섬유가 중공 섬유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층용 텍스타일 복합 재료.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의 바인더 섬유(38)의 용융온도가 220℃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층용 텍스타일 복합 재료.
  3. 전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폼 재료 성분(14)이 5mm이하의 최대 폼 재료 두께(22)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층용 텍스타일 복합 재료.
  4. 전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부직포 성분(12)이 5mm이하의 최대 부직포 두께(22)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층용 텍스타일 복합 재료.
  5. 전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폼 재료 성분(14)은 10 kg/m3 이상의 부피 중량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층용 텍스타일 복합 재료.
  6. 전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부직포 성분(12)과 폼 재료 성분(14)은 서로 기계적으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층용 텍스타일 복합 재료.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부직포 성분(12)과 폼 재료 성분(14)이 서로 니들링되고, 폼-부직 분리력에 대항하여 작용하는 부직포 성분과 폼 재료 성분 사이의 유지력은 1N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층용 텍스타일 복합 재료.
  8. 전항 중 어느 한항에 따른 적층용 텍스타일 복합 재료에 의해 적어도 부분적으로 구현되는 시트 커버.
KR1020177015700A 2014-11-10 2015-10-23 부직포 성분과 폼 재료 성분을 포함하는 시트 커버의 적층용 텍스타일 복합 재료 KR10185691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2014116356.7A DE102014116356A1 (de) 2014-11-10 2014-11-10 Kaschierungstextilverbundmaterial
DE102014116356.7 2014-11-10
PCT/EP2015/074621 WO2016074908A1 (de) 2014-11-10 2015-10-23 Kaschierungstextilverbundmaterial enthaltend eine vliesstoffkomponente und eine schaumstoffkomponent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77247A true KR20170077247A (ko) 2017-07-05
KR101856917B1 KR101856917B1 (ko) 2018-05-10

Family

ID=545410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7015700A KR101856917B1 (ko) 2014-11-10 2015-10-23 부직포 성분과 폼 재료 성분을 포함하는 시트 커버의 적층용 텍스타일 복합 재료

Country Status (11)

Country Link
US (1) US10821702B2 (ko)
EP (1) EP3218181B2 (ko)
JP (1) JP6228352B1 (ko)
KR (1) KR101856917B1 (ko)
CN (1) CN107107531B (ko)
DE (1) DE102014116356A1 (ko)
ES (1) ES2694277T5 (ko)
PL (1) PL3218181T5 (ko)
PT (1) PT3218181T (ko)
SI (1) SI3218181T2 (ko)
WO (1) WO201607490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627921A (zh) * 2017-09-11 2018-01-26 姚元 一种汽车座椅套及其制作工艺
DK180904B1 (en) * 2018-12-21 2022-06-21 Ecco Sko As A leather-based footwear
US11878613B2 (en) 2022-04-20 2024-01-23 Lear Corporation Retention clip for a seat assembly and method of assembly

Family Cites Families (3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451885A (en) * 1962-07-09 1969-06-24 Union Carbide Corp Needled composite web and method of making the same
US3352739A (en) * 1962-11-09 1967-11-14 Reeves Bros Inc Foam and fiber combination product and method of making same
DE4021628A1 (de) 1990-07-06 1992-01-16 Kiha Textilien Gmbh Faserstruktur und daraus erhaltenes formteil sowie verfahren zu dessen herstellung
US5298321A (en) * 1991-07-05 1994-03-29 Toyo Boseki Kabushiki Kaisha Recyclable vehicular cushioning material and seat
DE9415040U1 (de) * 1994-09-16 1995-10-26 Mayser Gmbh & Co Schweißband für Kopfbedeckungen
US5882794A (en) * 1994-09-30 1999-03-16 E. I. Du Pont De Nemours And Company Synthetic fiber cross-section
EP0753402A3 (en) 1995-07-13 1998-09-02 Bridgestone Corporation Laminate form
JP3351677B2 (ja) 1996-03-14 2002-12-03 東リ株式会社 防音木床材、及び防音床構造
DE19845735A1 (de) 1998-10-05 2000-04-06 Bayerische Motoren Werke Ag Echtleder-Verkleidung für ein Fahrzeug-Innenausstattungsteil
WO2000022217A1 (fr) * 1998-10-14 2000-04-20 Teijin Limited Textile non tisse et cuir synthetique obtenu avec ce textile
US6102482A (en) * 1999-05-07 2000-08-15 Collins & Aikman Products Co. Lightweight suspension panel for vehicle seats and door panels
WO2000070133A1 (fr) * 1999-05-18 2000-11-23 Kaneka Corporation Fibre creuse thermoretractable pour tissu a poils, procede de production de celle-ci et produit a poils
DE29921499U1 (de) * 1999-12-07 2001-04-12 Johnson Controls Gmbh Einrichtung zum Abdecken eines Spaltes zwischen einer Rückenlehne und einem unteren Sitzteil eines Fahrzeugsitzes
US6984445B1 (en) 2000-02-28 2006-01-10 Sekisui Kagaku Kogyo Kabushiki Kaisha Multi-layer sheet, a manufacturing method of the multi-layer sheet and a molding method of the multi-layer sheet
CN1323207C (zh) 2000-06-12 2007-06-27 阿尔斯特罗姆温莎洛克斯公司 适用于浸渍式包装的纺粘热密封网状材料
US7279065B1 (en) * 2001-01-30 2007-10-09 L&P Property Management Company Method for forming bi-layered fiber and foam carpet underlay
US20040103970A1 (en) * 2001-06-29 2004-06-03 Mabrouk Quederni Air-laid web with hollow synthetic fibers
JP3993456B2 (ja) 2002-04-10 2007-10-17 マルヰ産業株式会社 主として自動車用に好適な防音性材料
JP5385529B2 (ja) * 2004-04-22 2014-01-08 ハイランド インダストリーズ,インコーポレーテッド スペーサファブリック
US20050266229A1 (en) * 2004-05-26 2005-12-01 Richard Porticos Nonwoven with attached foam particles
DE102005048603A1 (de) 2005-10-06 2007-04-26 J.H. Ziegler Gmbh & Co. Kg Mit Kunststoff infiltrierbares Vlieslaminat für die Herstellung von faserverstärkten Kunststoffteilen
AT503351B1 (de) 2006-02-20 2015-04-15 Greiner Perfoam Gmbh Schichtkörper
KR100883033B1 (ko) 2007-12-03 2009-02-09 한일이화주식회사 자동차 내장용 천정재 기재
BRPI1006777A2 (pt) 2009-03-31 2019-09-24 3M Innovative Properties Co "mantas, artigo, lençol cirúrgico, avental cirúrgico, invólucro de esterilização, material de contato para ferimentos e métodos para fabricação de uma manta"
DE202009015059U1 (de) * 2009-11-05 2010-01-21 Weller, Jürgen Verbundmaterial
BR112012014963A2 (pt) 2009-12-17 2018-06-05 3M Innovative Properties Co mantas fibrosas não tecidas dimensionalmente estáveis e métodos de fabricação e uso das mesmas
JP5780040B2 (ja) * 2010-08-31 2015-09-16 東レ株式会社 研磨布およびその製造方法
DE202010018588U1 (de) 2010-10-01 2017-12-15 Sandler Ag Mehrschichtiges Vliesverbundmaterial mit elastischen Eigenschaften
DE202011004408U1 (de) 2011-03-26 2011-06-09 J.H. Ziegler GmbH, 77855 Kaschiervorrichtung, insbesondere Lederkaschiervorrichtung
CN103781955B (zh) * 2012-05-22 2016-05-25 三井化学株式会社 发泡成型用非织造布层叠体、使用该非织造布层叠体的氨基甲酸酯发泡成型体复合物、以及发泡成型用非织造布层叠体的制造方法
US9314995B2 (en) * 2013-03-15 2016-04-19 National Nonwovens Inc. Composites comprising nonwoven structures and foam
DE202013012568U1 (de) 2013-05-07 2017-07-17 Johann Borgers GmbH Hinterschäumbares Akustikelement eines Kraftfahrzeugkarosserieverkleidungsbauteil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7107531A (zh) 2017-08-29
EP3218181B2 (de) 2023-01-04
WO2016074908A1 (de) 2016-05-19
ES2694277T5 (es) 2023-05-09
EP3218181B1 (de) 2018-08-29
KR101856917B1 (ko) 2018-05-10
ES2694277T3 (es) 2018-12-19
US10821702B2 (en) 2020-11-03
PL3218181T5 (pl) 2023-05-08
SI3218181T1 (sl) 2019-03-29
PL3218181T3 (pl) 2019-02-28
EP3218181A1 (de) 2017-09-20
CN107107531B (zh) 2020-08-04
US20170313023A1 (en) 2017-11-02
JP2017535385A (ja) 2017-11-30
DE102014116356A1 (de) 2016-05-12
SI3218181T2 (sl) 2023-04-28
PT3218181T (pt) 2018-12-05
JP6228352B1 (ja) 2017-11-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44729B1 (ko) 부직포 구성요소와 폼 재료 구성요소를 포함하는 시트 커버의 적층용 텍스타일 복합 재료
JP4919881B2 (ja) 複合吸音材
US5669799A (en) Vehicle seat, in particular for aircraft
US20080070465A1 (en) High loft nonwoven for foam replacement
KR101856917B1 (ko) 부직포 성분과 폼 재료 성분을 포함하는 시트 커버의 적층용 텍스타일 복합 재료
US20230068055A1 (en) Liner for upholstered furniture
ES2405547T3 (es) Estructura de forma plana termofijable
JP2021501298A (ja) 可変面密度交差重ね繊維強化複合弾道材料
US20040185239A1 (en) Interior member for vehicl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interior member for vehicle
ES2728779T3 (es) Estructura laminada de dos capas
JP5538232B2 (ja) 吸音材固定板
JP2006160197A (ja) 吸音性能に優れた車両用内装材
KR20170137794A (ko) 직물 복합 재료
WO2020149361A1 (ja) 熱融着可能な織物製面ファスナー
JP2004122545A (ja) 熱成形性芯材及びこれを用いた自動車用内装材
JP2007302212A (ja) 自動車用内装基材
KR102456971B1 (ko) 후크 체결기능을 부여한 기저귀용 고중량 캐리어 시트
JP2003301360A5 (ko)
KR20160072666A (ko) 차량 시트용 쿠션커버지
JPH01111053A (ja) 繊維質積層体の製造方法
JP2013252660A (ja) インテリア用表装材
JP2004237497A (ja) 布帛を用いた複合材の製造方法
JPH10305180A (ja) 車両シート用表面材およびその製造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