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44729B1 - 부직포 구성요소와 폼 재료 구성요소를 포함하는 시트 커버의 적층용 텍스타일 복합 재료 - Google Patents

부직포 구성요소와 폼 재료 구성요소를 포함하는 시트 커버의 적층용 텍스타일 복합 재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44729B1
KR101844729B1 KR1020177015686A KR20177015686A KR101844729B1 KR 101844729 B1 KR101844729 B1 KR 101844729B1 KR 1020177015686 A KR1020177015686 A KR 1020177015686A KR 20177015686 A KR20177015686 A KR 20177015686A KR 101844729 B1 KR101844729 B1 KR 10184472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ponent
foam material
nonwoven
fibers
foa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70156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73703A (ko
Inventor
슈테피 스코엔펠더
Original Assignee
예.하. 지글러 게엠베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예.하. 지글러 게엠베하 filed Critical 예.하. 지글러 게엠베하
Publication of KR2017007370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7370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4472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4472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4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polyuretha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7/00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 B32B37/12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characterised by using adhesiv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5/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 B32B5/02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structural features of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 B32B5/022Non-woven fabric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5/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 B32B5/02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structural features of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 B32B5/06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structural features of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characterised by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mechanically connected, e.g. by needling to another layer, e.g. of fibres, of pap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5/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 B32B5/02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structural features of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 B32B5/08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structural features of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the fibres or filaments of a layer being of different substances, e.g. conjugate fibres, mixture of different fib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5/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 B32B5/18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features of a layer of foamed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5/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 B32B5/22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the presence of two or more layers which are next to each other and are fibrous, filamentary, formed of particles or foamed
    • B32B5/24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the presence of two or more layers which are next to each other and are fibrous, filamentary, formed of particles or foamed one layer being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 B32B5/245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the presence of two or more layers which are next to each other and are fibrous, filamentary, formed of particles or foamed one layer being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another layer next to it being a foam lay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7/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on between layer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ve orientation of features between layers, or by the relative values of a measurable parameter between layers, i.e. products comprising layers having different 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04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08Interconnection of layers by mechanical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58Seat coverings
    • B60N2/5891Seat coverings characterised by the manufacturing process; manufacturing seat cover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HMAKING TEXTILE FABRICS, e.g. FROM FIBRES OR FILAMENTARY MATERIAL; FABRICS MADE BY SUCH PROCESSES OR APPARATUS, e.g. FELTS, NON-WOVEN FABRICS; COTTON-WOOL; WADDING ; NON-WOVEN FABRICS FROM STAPLE FIBRES, FILAMENTS OR YARNS, BONDED WITH AT LEAST ONE WEB-LIKE MATERIAL DURING THEIR CONSOLIDATION
    • D04H1/0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 D04H1/4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 D04H1/44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the fleeces or layers being consolidated by mechanical means, e.g. by rolling
    • D04H1/46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the fleeces or layers being consolidated by mechanical means, e.g. by rolling by needling or like operations to cause entanglement of fibres
    • D04H1/498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the fleeces or layers being consolidated by mechanical means, e.g. by rolling by needling or like operations to cause entanglement of fibres entanglement of layered web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HMAKING TEXTILE FABRICS, e.g. FROM FIBRES OR FILAMENTARY MATERIAL; FABRICS MADE BY SUCH PROCESSES OR APPARATUS, e.g. FELTS, NON-WOVEN FABRICS; COTTON-WOOL; WADDING ; NON-WOVEN FABRICS FROM STAPLE FIBRES, FILAMENTS OR YARNS, BONDED WITH AT LEAST ONE WEB-LIKE MATERIAL DURING THEIR CONSOLIDATION
    • D04H3/0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yarns or like filamentary material of substantial length
    • D04H3/08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yarns or like filamentary material of substantial length characterised by the method of strengthening or consolidating
    • D04H3/1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yarns or like filamentary material of substantial length characterised by the method of strengthening or consolidating with bonds between yarns or filaments made mechanically
    • D04H3/102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yarns or like filamentary material of substantial length characterised by the method of strengthening or consolidating with bonds between yarns or filaments made mechanically by needl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62/00Composition or structural features of fibres which form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or are present as additives
    • B32B2262/02Synthetic macromolecular fibres
    • B32B2262/0223Vinyl resin fib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62/00Composition or structural features of fibres which form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or are present as additives
    • B32B2262/02Synthetic macromolecular fibres
    • B32B2262/0223Vinyl resin fibres
    • B32B2262/0238Vinyl halide, e.g. PVC, PVDC, PVF, PVDF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62/00Composition or structural features of fibres which form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or are present as additives
    • B32B2262/02Synthetic macromolecular fibres
    • B32B2262/0246Acrylic resin fib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62/00Composition or structural features of fibres which form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or are present as additives
    • B32B2262/02Synthetic macromolecular fibres
    • B32B2262/0253Polyolefin fib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62/00Composition or structural features of fibres which form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or are present as additives
    • B32B2262/02Synthetic macromolecular fibres
    • B32B2262/0261Polyamide fib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62/00Composition or structural features of fibres which form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or are present as additives
    • B32B2262/02Synthetic macromolecular fibres
    • B32B2262/0276Polyester fib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62/00Composition or structural features of fibres which form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or are present as additives
    • B32B2262/02Synthetic macromolecular fibres
    • B32B2262/0292Polyurethane fib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62/00Composition or structural features of fibres which form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or are present as additives
    • B32B2262/14Mixture of at least two fibres made of different materia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66/00Composition of foam
    • B32B2266/02Organic
    • B32B2266/0214Materials belonging to B32B27/00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66/00Composition of foam
    • B32B2266/02Organic
    • B32B2266/0214Materials belonging to B32B27/00
    • B32B2266/0264Polyest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66/00Composition of foam
    • B32B2266/02Organic
    • B32B2266/0214Materials belonging to B32B27/00
    • B32B2266/0278Polyurethan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5/00Condition, form or state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5/02Cellular or porous
    • B32B2305/022Foa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5/00Condition, form or state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5/10Fibres of continuous length
    • B32B2305/20Fibres of continuous length in the form of a non-woven ma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5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having particular mechanical properties
    • B32B2307/51Elastic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70Other properties
    • B32B2307/724Permeability to gases, adsorp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75/00Polyureas; Polyuretha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601/00Upholster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605/00Vehicles
    • B32B2605/003Interior finish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Laminated Bodies (AREA)
  • Nonwoven Fabrics (AREA)
  • Seats For Vehicles (AREA)
  • Mattresses And Other Support Structures For Chairs And Beds (AREA)
  • Woven Fabrics (AREA)
  • Manufacturing Of Multi-Layer Textile Fabr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적어도 하나의 부직포 구성요소(12) 및 적어도 하나의 폼 재료 구성요소(14)를 가지고 상기 부직포 구성요소(12)와 폼 재료 구성요소(14)가 기계적으로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 커버의 적층용 텍스타일 복합 재료에 관한 것이다. 부직포 구성요소(12)와 폼 재료 구성요소(14)는 서로 니들링되고, 폼-부직포 분리력에 대항하여 작용하는 부직포 구성요소(12)와 폼 재료 구성요소(14) 사이의 유지력은 1N보다 크다.

Description

부직포 구성요소와 폼 재료 구성요소를 포함하는 시트 커버의 적층용 텍스타일 복합 재료{LAMINATED TEXTILE COMPOSITE MATERIAL OF A SEAT COVER CONTAINING A NON-WOVEN FABRIC COMPONENT AND A FOAM COMPONENT}
본 발명은 청구항 제 1 항의 전단에 따른 적층용 텍스타일 복합 재료에 관한 것이다.
서로 연결된 적어도 하나의 부직포 구성요소 및 적어도 하나의 폼(foam) 재료 구성요소를 포함하는 적층용 텍스타일 복합 재료는 이미 공지되어 있다. 여기에서, 부직포 구성요소 및 폼 재료 구성요소는 접착제 결합 공정을 통해 각각의 다른 부분에 연결된 적층을 위해 이미 공지된 텍스타일 복합 재료에 존재한다.
또한, DE 20 2009 015 059 U1, WO 97/18 157 A2, DE 80 03 911 U1 및 DE 1 294 916 A는 각각 적어도 하나의 부직포 구성요소 및 적어도 하나의 폼 재료 구성요소를 포함하는 적층용 텍스타일 복합 재료를 개시하고 있으며, 상기 폼 재료 구성요소는 부직포 구성요소에 연결되고, 상기 부직포 구성요소와 폼 재료 구성요소는 서로 기계적으로 연결된다.
또한, WO 제 2014/150336 A2 호에 따르면, 2.5 mm의 두께를 갖는 부직포 구성요소를 포함하는 복합 재료가 이미 공지되어 있는데, 여기서 부직포 구성요소는 폴리아크릴로니트릴의 제 1 섬유 및 폴리에리미드의 제 2 섬유를 포함한다. 제 1 섬유 및 제 2 섬유는 각각 1-4 데니어의 선형 질량 밀도 값을 갖는다. 복합 재료는 2.5 mm의 두께 및 적어도 0.1 g/cm3 의 밀도를 갖는 폼 층을 추가로 포함한다. 부직포 구성요소와 폼 층은 니들링 공정에서 니들이 부직포 구성요소 내로 유입되고 폼 층 내로 cm2/1.55회의 속도로 들어간다.
유럽 특허 제 1 039 005 A1 호에는 30-95 중량%의 중공 섬유 및 5-70 중량%의 비-중공 섬유뿐만 아니라 다공성 커버 층을 함유하는 부직포 구성요소를 포함하는 신발용 합성 피혁이 이미 공지되어 있다.
US 2004/103970 A1로부터, 2 내지 6 데니어의 선형 질량 밀도 값을 갖는 2 성분 섬유 및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ET)로 제조된 2 내지 18 데니어의 선형 질량 밀도 값을 갖는 중공 섬유를 포함하는 부직포가 이미 공지되어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특히, 시트 커버의 적층을 위한 텍스타일 복합 재료의 바람직한 드레이프성(drapability)을 유지하는 동안 부직포 구성요소와 폼 재료 구성요소 사이의 고정된 연결, 특히 특히 적어도 실질적으로 접힘없는 배치에서의 시트 커버의 적층을 위한 텍스타일 복합 재료의 배치 가능성을 특징으로 하는 적층용 일반 텍스타일 복합 재료, 특히 시트 커버의 적층용 위조 방지 텍스타일 복합 재료를 제조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목적은 청구항 1의 특징에 의해 본 발명에 따라 달성되지만,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 및 추가적인 전개는 종속항으로 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적어도 하나의 부직포 구성요소 상기 및 부직포 구성요소에 연결된 적어도 하나의 폼 재료 구성요소를 갖는 시트 커버의 적층을 위한 텍스타일 복합 재료를 기반으로 한다. 상기 부직포 구성요소와 상기 폼 재료 구성요소는 서로 기계적으로 연결된다. 부직포 구성요소와 폼 재료 구성요소는 서로 니들링되고, 부직포 구성요소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성 섬유를 포함한다.
폼-부직포(foam-nonwoven) 분리력에 대항하여 작용하는 부직포 구성요소와 폼 재료 구성요소 사이의 유지력은 특히 부직포 구성요소와 폼 재료 구성요소의 섬유들 사이의 폼-핏(formfit) 및/또는 포스-핏(force-fit) 연결로 인해 1 N보다 큰 것이 제안된다. 폼 재료 구성요소는 1 내지 6 mm의 값 범위의 값에 해당하는 최대 폼 재료 두께를 가지며, 폼 재료 구성요소는 폴리우레탄 - 폴리에테르 폼 또는 폴리우레탄 - 폴리에스테르 폼으로 구성되며, 기능성 섬유는 1.5 dtex와 24 dtex 사이의 값과 등가인 선형 질량 밀도 값을 가지며, 바인더 섬유는 1 dtex와 9 dtex 사이의 값과 등가인 선형 질량 밀도 값을 갖는다.
"기계적으로 서로 연결된"은 여기서 이해해야할 적어도 두 요소 사이의, 특히 폼-핏(formfit) 및/또는 포스-핏(force-fit) 연결, 특히 부직포 구성요소와 폼 재료 구성요소의 섬유들 사이의 폼-핏(formfit) 및/또는 포스-핏(force-fit) 연결이다. 바람직하게는, 부직포 구성요소와 폼 재료 구성요소는 물질-물질 결합없이 서로 기계적으로 연결된다. 특히 바람직하게는 부직포 구성요소의 섬유가 폼재료 구성요소 내로 연결된다. 바람직하게는 시트 커버의 적층용 텍스타일 복합 재료는 시트 커버, 특히 자동차 시트 커버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구현하도록 구성된다. "구성(Configured)"은 구체적으로 특별히 설계된 및/또는 구체적으로 갖추어 진 것을 의미한다. 특정 기능을 위해 구성된 요소 및/또는 유닛에 의해, 상기 요소 및/또는 상기 유닛은 적어도 하나의 적용 상태에서 상기 특정 기능을 수행/실행 및/또는 구현/수행하거나, 상기 요소 및/또는 유닛이 상기 특정 기능을 수행하도록 특별히 설계된다는 것을 이해해야 한다.
부직포 구성요소는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하나의 바인더 섬유(용융 섬유) 및 적어도 하나의 기능성 섬유를 포함한다. 여기서 바인더 섬유는 특히 1 dtex보다 큰 선형 질량 밀도 값을 가지며, 바람직하게는 5 dtex보다 크고 특히 바람직하게는 15 dtex보다 작다. 매우 특히 바람직하게는, 바인더 섬유는 1 dtex와 9 dtex 사이의 값에 해당하는 선형 질량 밀도 값을 갖는다. 바람직하게는, 바인더 섬유는 100℃ 내지 190℃ 범위의 용융 온도를 갖는다. 특히 바람직하게는, 바인더 섬유는 130℃ 내지 160℃의 값 범위의 값에 상응하는 용융 온도를 갖는다.
기능성 섬유는 바람직하게는 폴리에스테르 섬유, 특히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섬유로 구성된다. 그러나, 기능성 섬유가 당업자에 의해 적절하다고 여겨지는 또 다른 구현예를 특징으로 하는 것도 고려될 수 있다. 폴리아미드 섬유, 폴리올레핀 섬유, 폴리아크릴로니트릴 섬유, 폴리염화비닐 섬유, 폴리비닐알콜 섬유, 폴리불화비닐리덴 섬유, 폴리테트라 플루오르 에틸렌 섬유, 폴리우레탄 섬유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기능성 섬유는 특히 1 dtex보다 큰 선형 질량 밀도 값을 가지며, 바람직하게는 15 dtex보다 크고 특히 바람직하게는 30 dtex보다 작다. 특히 우선적으로 기능성 섬유는 1.5 dtex와 24 dtex 사이의 값에 해당하는 선형 질량 밀도 값을 갖는다. 바람직하게는, 기능성 섬유는 큰 탄력성을 갖는다. 이러한 목적을 위해, 기능성 섬유는 바람직하게 나선형으로 크림핑된 형태로 구성된다. 특히, 바람직하게는, 부직포 요소는 서로 섞인 복수의 바인더 섬유 및 복수의 기능성 섬유를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바인더 섬유 및/또는 기능성 섬유는 방사 섬유(스테이플 섬유) 또는 필라멘트(연속 섬유)로 구성될 수 있다. 혼입으로 인해, 부직포 구성요소의 바인더 섬유 및/또는 기능성 섬유는 폼-핏 연결(인터 레이싱에 의해), 응집력 및/또는 접착에 의해 바람직하게 상호 연결된다. 여기서, 부직포 구성요소를 구성하기 위해, 바인더 섬유 및/또는 기능성 섬유는 배향되거나 얽힌 방식으로 배열될 수 있다. 부직포 구성요소는 특히 30g/㎡ 초과이고, 바람직하게는 60g/㎡ 보다 크고 특히 바람직하게는 550g/㎡보다 작은 기본 중량을 포함한다. 특히 바람직하게는, 부직포 구성요소는 50g/㎡ 내지 500g/㎡ 범위의 값에 해당하는 기본 중량을 갖는다.
폼 재료 구성요소는 바람직하게는 폴리우레탄-폴리에테르 폼(폼 또는 폴리우레탄-폴리에스테르 폼, 특히 폴리우레탄-폴리에테르 절단 폼 또는 폴리우레탄-폴리에스테르 절단 폼으로 구성된다. 그러나, 연신성, 전연성이 있으며 높은 복원력뿐만 아니라 높은 공기 침투성(예: 망상 폼)이 특징인 폼 재료로서 당업자에 의해 적절하다고 생각되는 다른 구현예, 특히 당 업계의 숙련자에 의해 적절하다고 인정되는 다른 구현예가 섬유 성질을 갖는 폼으로 생각할 수 있다. 특히, 폼 재료 구성요소는 10mm 미만, 바람직하게는 8mm 미만, 특히 바람직하게는 0.9mm 초과의 최대 폼 두께를 갖는다. 매우 특히 바람직하게는 폼 재료 구성요소는 1 내지 6mm 범위의 값과 동일한 최대 폼 재료 두께를 특징으로 한다.
"폼-부직포 분리력"은 여기서 특히 부직포 구성요소와 분리된 폼 재료 구성요소 사이의 연결을 유도할 수 있는 적어도 한 하중의 경우 적층을 위해 텍스타일 복합 재료 상에 작용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는 특히 폼 재료 구성요소의 연결 면에 적어도 실질적으로 수직으로 연장되는 방향을 따라 보여지는 힘이다. 특히, 폼-부직포 분리력에 대항하여 작용하는 부직포 구성요소와 폼 재료 구성요소 사이의 유지력은 1 kN 미만, 바람직하게는 0.8 kN 미만 및 특히 바람직하게는 10 N 초과이다. 폼-부직포 분리력에 대항하여 작용하는 부직포 구성요소와 폼 구성요소 사이의 유지력은 바람직하게는 폼 재료 구성요소에서 부직포 구성요소의 섬유의 결합, 특히 폼-부직포 구성요소의 섬유와 폼 재료 구성요소 사이의 적절한 폼-핏 및/또는 포스-핏 연결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는 유리하게는 부직포 구성요소와 폼 구성요소의 불특정 다수의 분리를 방지하거나 적어도 실질적으로 방지한다.
시트 커버의 적층용 텍스타일 복합 재료의 유익한 드레이프성(drapability), 특히 적어도 실질적으로 접히지 않는 방식으로 시트 커버의 적층용 텍스타일 복합 재료의 배치 가능성을 유지하는동안, 시트 커버의 적층용 텍스타일 복합 재료는 부직포 구성요소와 폼 재료 구성요소 사이의 고정된 연결을 통해 이용가능하게 될 수 있다. 또한, 부직포 구성요소와 폼 재료 구성요소를 연결하기 위한 부가적인 접착 수단이 유리하게 사용될 수 있다. 이는 바람직하게 유리한 가공 특성을 갖는 시트 커버의 적층을 위한 텍스타일 복합 재료를 이용할 수 있게 한다. 시트 커버의 적층용 텍스타일 복합 재료는 물체의 표면, 특히 시트 커버의 적층용 텍스타일 복합 재료가 배치될 수 있는 대상 특히 시트의 표면의 임의의 이동-팽창/굽힘(볼록 또는 오목)에 유리하게 적용될 수 있다.
또한, 부직포 구성요소와 폼 재료 구성요소가 서로 니들링되고, 폼 재료 구성요소의 총 연결 면의 적어도 5% 이상이 부직포 구성요소의 섬유에 의해 관통되는 것이 제안된다. 용어 "니들링된(needled)"는 특히 부직포 요소와 폼 재료 구성요소 사이의 기계적 연결을 정의하는데, 여기서 부직포 구성요소가 폼 재료 구성요소에 연결될 때, 적어도 하나의 섬유, 특히 복수의 부직포 구성요소의 섬유가 폼 재료 구성요소로 적어도 부분적으로 연장/연장되는 상태이다. "폼 재료 구성요소의 연결 면"은, 특히, 폼 재료 구성요소의 전체 표면으로 이해되는데 부직포 구성요소에 연결될때, 부틱포 구성요소에 인접한 특히 투영 평면으로 투영되는 폼 재료 구성요소의 표면에 인접한 표면이다. 바람직하게는, 부직포 구성요소와 폼 재료 구성요소는 니들링(needling) 공정을 통해 서로 연결된다. 따라서, 부직포 구성요소의 섬유는 바람직하게는 폼 재료 구성요소 내로 니들링된다. 바람직하게는, 부직포 구성요소의 섬유는 특히 폼 재료 구성요소의 연결 면에 대해 적어도 실질적으로 횡 방향으로 연장되는 방향을 따라 총 연결 면에 걸쳐 분포되는 폼 재료 구성요소의 전체 연결 면의 적어도 5% 이상으로 폼 재료 연결 면 내로 연장된다. 여기서 "적어도 실질적으로 횡 방향으로"는 특히 기준 방향 및/또는 이해될 기준 축에 대한 방향 및/또는 축의 배향이며, 방향 및/또는 축은 기준 방향 및/또는 기준 축에 대해 적어도 실질적으로 평행한 배향과는 적어도 상이하고, 특히 기준 방향 및/또는 기준 축에 비스듬히 또는 수직이다.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는 부직포 구성요소와 폼 재료 구성요소 사이의 특히 유리하고 신뢰성있는 연결을 허용한다. 유리하게는 폼 재료 구성요소의 고도의 안정성이 유지될 수 있다. 이는 유리하게는 폼 재료 구성요소의 탄성 및 내구성을 유지시킨다. 또한, 폼 재료 구성요소의 표면 장력은 특히 시트 커버의 적층을 위한 텍스타일 복합재료가 배치될 수 있는 대상의 형태에 폼 재료 구성요소의 적층을 위한 텍스타일 복합 재료의 바람직한 적응성을 허용할 목적으로 니들링 공정 중에 니들 진입 및/또는 침투에 의해 유리하게 손상될 수 있다.
특히 바람직하게는, 부직포 구성요소와 폼 재료 재료 구성요소가 서로 니들링되고, 폼 재료 구성요소의 총 연결 면의 15% 이상이 부직포 구성요소의 섬유에 의해 관통되는 것이 제안된다. 바람직하게는, 부직포 구성요소의 섬유는 특히 폼 재료 구성요소의 연결 면에 대해 적어도 실질적으로 횡 방향으로 연장되는 방향을 따라 총 연결 면에 걸쳐 분포되는 폼 재료 구성요소의 연결 면의 적어도 15% 이상으로 폼 재료 구성요소 내로 연장된다. 바람직하게는 폼 재료 구성요소의 연결 면을 관통하는 섬유는 폼 재료 구성요소의 연결 표면 상에 적어도 실질적으로 균질하게 분포되는 방식으로 배치된다.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는 유리하게는 부직포 구성요소와 폼 재료 구성요소 사이의 특히 안전한 연결을 구현할 수 있게 하며, 이는 바람직하게는 분리력의 충격에 대해 내성을 갖는다. 또한, 시트 커버의 적층용 텍스타일 복합 재료의 후퇴는, 가죽 커팅으로 구현되는 추가의 재료에 유리하게 작용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대상 특히 시트 커버의 적층용 텍스타일 복합 재료가 가죽 커팅과 함께 배치될 수 있는 시트의 여러 가죽 절단부의 교차점에 평평한 이음매를 허용한다.
부직포 구성요소와 폼 재료 구성요소가 서로 니들링되고, 폼 재료 구성요소의 연결 면의 1㎠ 당 부직포 구성요소의 2 개 이상의 섬유가 폼 재료 구성요소로 들어가는 것이 제안된다. 특히, 폼 재료 구성요소의 연결 표면의 1㎠ 당 부직포 구성요소의 3개 이상의 섬유, 바람직하게는 부직포 구성요소의 5개 이상의 섬유, 특히 바람직하게는 부직포 구성요소의 10개 이상의 섬유가 폼 재료 구성요소로 들어간다. 매우 특히 바람직하게는, 폼 재료 구성요소의 연결 표면의 1㎠ 당 부직포 구성요소의 10 개 이상의 섬유, 특히 적어도 20 내지 300 개의 섬유가 폼 재료 구성요소 내로 들어간다. 여기서, "폼 재료 구성요소로 들어가는"이라는 용어는 폼 재료 구성요소에 대한 부직포 구성요소의 섬유 배치를 의미하며, 부직포 구성요소와 폼 재료 구성요소의 연결 상태에서, 부직포 구성요소의 섬유는 폼 재료 구성요소 내로 연장된다.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에 의해, 폼 재료 구성요소 상에 부직포 구성요소의 확실한 고정이 달성될 수 있다.
상술한 바 외에, 부직포 구성요소와 폼 재료 구성요소가 서로 니들링되고, 폼 재료 구성요소로 들어가는 부직포 구성요소의 섬유의 적어도 대부분이 폼 재료 구성요소의 최대 폼 재료 두께의 적어도 50%까지 폼 재료 구성요소 내로 연장되는 것이 제안된다. "폼 재료 구성요소 내로 들어가는 섬유의 대부분"은 특히 폼 재료 구성요소로 들어가는 부직포 구성요소의 총 섬유 수의 20% 초과, 바람직하게는 30% 초과, 특히 바람직하게는 50% 초과를 의미하는 것이다. 그러나, 부직포 구성요소의 단일 섬유가 폼 재료 구성요소의 최대 폼 재료 두께의 50%이상 폼 재료 구성요소 내로 연장되거나 폼 재료 구성요소를 완전히 관통하는 것으로 생각할 수도 있다. "폼 재료 구성요소의 최대 폼 재료 두께의 적어도 50% 이상으로 폼 재료 구성요소로 들어가는"라는 용어는 여기서 특히, 부직포 구성요소의 에지 영역으로부터 시작하여, 부직포 구성요소의 섬유가 폼 재료 구성요소의 최대 폼 재료 두께의 적어도 50%에 해당하는 폼 재료 구성요소로의 돌출 연장부를 갖는다.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는 바람직하게는 부직포 구성요소와 폼 구성요소 사이에 특히 견고한 연결이 구현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부직포 구성요소의 최대 부직포 두께에 대한 폼 재료 구성요소의 최대 폼 재료 두께의 비율이 적어도 1 이상인 것이 제안된다. "부직포 구성요소의 최대 부직포 두께"는 특히 부직포 구성요소의 주 연장 표면에 적어도 실질적으로 수직으로 이어지는 방향을 따라, 특히 폼 재료 구성요소에 적어도 실질적으로 수직인 부직포 구성요소의 최대 연장을 의미하며, 상기 최대 연장은 부직포 구성요소의 상호 연결된 섬유의 총수의 70% 이상, 바람직하게는 80% 이상, 특히 바람직하게는 90% 이상으로 구현되며 특히 단면으로 보았을 때 상호 연결된 섬유의 전체는 예를 들어 직사각형, 정사각형 등의 다각형 모양을 형성한다. 특히, 다각형 형태를 넘어 연장되는 특히 단일 섬유는 부직포 구성요소의 최대 부직포 두께를 결정하는 데 고려되지 않는다. 용어 "실질적으로 수직으로"는 특히 기준 방향에 대한 방향의 배향을 정의하는데, 방향 및 기준 방향은 특히 평면에서 보았을 때 90도 각도를 포함하고, 상기 각도는 특히 8° 미만, 유리하게는 5° 미만, 특히 유리하게는 2° 미만의 최대 편차를 갖는다.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는 유리하게도 편안한 쿠션을 허용한다. 따라서, 시트 쿠션용 폼 코어를 제외하고, 추가적인 재봉 또는 접착된 쿠션 재료가 유리하게 제공되지 않을 수 있다.
특히 매우 바람직하게는, 기능성 섬유는 1.5 dtex 내지 24 dtex 범위의 값에 해당하는 선형 질량 밀도 값을 갖는다.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는 개방된 공극 부직포 구성요소를 유리하게 실현한다. 따라서, 통기성 부직포 구성요소가 달성될 수 있다.
또한 기능성 섬유가 중공 사로 구성되는 것이 제안된다. 바람직하게는, 부직포 구성요소는 중공 섬유로서 구성되는 기능성 섬유의 적어도 일부 및 중공 섬유로 구현되지 않는 기능성 섬유의 일부를 포함한다. 용어 "중공 섬유"는 특히 적어도 하나의 중공 공간을 포함하는 섬유, 특히 섬유의 전체 길이를 따라 적어도 실질적으로 연장하는 적어도 하나의 중공 공간을 포함하는 섬유를 정의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섬유의 길이 방향 축선 주위로 연장되는 적어도 하나의 원주 방향은 상기 섬유의 적어도 하나의 포락선(envelope)에 의해 통과된다. 섬유의 포락선은 특히 고리형, 삼엽형 또는 다각형 또는 유사한 방식으로 중공 공간을 둘러쌀 수 있다. 여기서, 중공 사로 구성된 기능성 섬유는 바람직하게는 중공 섬유의 총 부피에 대하여 적어도 1% 이상,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5% 이상, 특히 바람직하게는 8%이상의 중공 부분을 가진다. 매우 특히 바람직하게 중공 섬유로 구성되는 기능성 섬유는 중공 섬유의 전체 체적 부분에 대해 15% 미만, 특히 10% 범위의 중공-공간 부분을 가진다.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는 특히 바람직하게는 나선으로 주름진 섬유로 부직포 구성요소를 달성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폼 재료 구성요소는 10kg/m3보다 큰 부피 중량을 갖는 것이 제안된다. 바람직하게는, 폼 재료 구성요소는 체적 기준 중량이 15 kg/m3를 초과하고, 100kg/m3 보다 작은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매우 특히 우선적으로 폼 재료 구성요소는 20kg/m3 내지 90kg/m3 범위의 값에 해당하는 체적 기준 중량을 가진다.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에 따르면, 유리한 쿠션 특성을 특징으로 하는 적층용 텍스타일 복합 재료가 유리하게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시트 커버의 적층용 텍스타일 복합 재료가 하나 이상의 위조 방지 유닛을 포함하는 것이 제안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시트 커버의 적층용 텍스타일 복합 재료의 높은 수준의 위조 안전성이 유리하게 달성될 수 있다.
상술한 바 외에 위조 방지 유닛이 부직포 구성요소 및/또는 폼 재료 구성요소에 적어도 실질적으로 비 탈착 가능하게 연결되는 것이 제안되어있다. "적어도 실질적으로 비 탈착 가능하게"는 본 명세서에서 특히, 분리 도구(sepa-rating tool)에 의해 서로 분리될 수 있는 적어도 두 개의 요소의 연결을 의미하며 톱, 특히 기계톱 등, 및/또는 화학적 분리 수단, 예를 들어 기계에 의한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는 바람직하게 위조 방지 유닛이 시트 커버의 적층용 텍스타일 복합 재료로부터 제거되지 않도록 한다.
또한 위조 방지 유닛이 전자적 위조 방지 유닛으로 구성되도록 제안된다. 상기 위조 방지 유닛은 부직포 구성요소 및/또는 폼 재료 구성요소에 적어도 실질적으로 비 분리 식으로 연결되고 위조 방지 유닛의 판독 장치를 통해 판독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위조 방지 요소를 포함한다. 위조 방지 요소는 본 명세서에서 RFID 칩 또는 이와 유사한 것으로 구성될 수 있다. 당업자에 의해 적절하다고 생각되는 예를 들어 바코드 위조 방지 유닛(barcode counterfeit protection unit)등으로 구성되는 전자 위조 방지 유닛의 다른 실시예도 또한 고려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에 따라, 우회하기 어려운 위조 방지 유닛을 구성하는 것이 유리하게 가능하다.
또한, 위조 방지 유닛이 선택적으로 또는 추가로 기계적 위조 방지 유닛으로 구현되는 것이 제안된다. 예를 들어, 상이한 색의 섬유로 구성되는 위조 방지 유닛의 위조 방지 요소가 부직포 구성요소에 통합되거나, 예를 들어 UV 광 하에서 광선을 내는 섬유로서 구성되는 위조 방지 유닛의 위조 방지 요소가 부직포 구성요소에 통합되는 것을 생각할 수 있다. 당업자에 의해 적절하다고 생각되는 다른 실시예도 또한 고려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는 유리하게 구조적으로 간단한 위조 방지 유닛을 구성할 수 있다.
또한, 적층용 텍스타일 복합 재료의 적어도 부분적으로 구성되는 시트 커버가 제안된다.
본 발명에 따른 시트 커버의 적층용 텍스타일 복합 재료 및/또는 본 발명에 따른 시트 커버는 상술한 적용 및 구현 형태에 제한되지 않는다. 특히, 본 명세서에 설명된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시트 커버의 적층용 텍스타일 복합 재료 및/또는 시트 커버는 본 명세서에서 언급된 번호와 다른 방법 단계들과 마찬가지로 다수의 각각의 요소, 구조 요소 및 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 표시된 값 범위와 관련하여, 언급한 범위 내의 값은 공개되고 요건에 따라 적용되는 것으로 간주되어야 한다.
추가적인 장점은 하기 도면의 설명으로부터 명백해질 수 있다. 도면에는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가 도시된다. 도면, 상세한 설명 및 청구 범위는 복수의 특징의 조합을 포함한다. 당업자는 의도적으로 그 특징들을 개별적으로 고려할 것이고 추가의 편리한 조합을 발견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시트 커버의 적층용 텍스타일 복합 재료의 개략적 단면도,
도 2는 개략적으로 본 발명에 따라 시트 커버의 적층용 텍스타일 복합 재료 상에 배치된 본 발명에 따른 시트 커버의 가죽과 함께 본 발명에 따른 시트 커버의 적층용 텍스타일 복합 재료의 단면도, 및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시트 커버의 적층용 텍스타일 복합 재료에 배치된 가죽 및 상기 가죽에 배치된 본 발명에 따른 시트 커버의 가죽 보강재와 함께 본 발명에 따른 시트 커버의 적층용 텍스타일 복합 재료의 개략적 단면도.
도 1은 적어도 하나의 부직포 구성요소(12)와 상기 부직포 구성요소(12)에 연결된 적어도 하나의 폼 재료 구성요소(14)를 갖는 시트 커버의 적층용 텍스타일 복합 재료(10)를 도시한다. 부직포 구성요소(12) 및 폼 재료 구성요소(14)는 기계적으로 서로 연결된다. 부직포 구성요소(12)와 폼 재료 구성요소(14)는 서로 니들링되며, 폼 재료 구성요소(14)의 총 연결 표면(16)의 적어도 5% 이상이 부직포 구성요소(12)의 섬유(18, 20)에 의해 관통된다. 바람직하게는, 부직포 구성요소(12)와 폼 재료 구성요소(14)는 폼 재료 구성요소(14)의 총 연결 표면(16)의 적어도 15% 이상이 섬유로 관통되는 방식으로 서로 니들링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폼 재료 구성요소(14)의 연결 표면(16)의 1㎠ 당 부직포 구성요소(12)의 2 개 이상의 섬유(18, 20)가 폼 재료 구성요소로 들어간다. 바람직하게는 폼 재료 구성요소(14)의 연결 표면(16)의 1㎠ 당 부직포 구성요소(12)의 적어도 10 개의 섬유(18, 20), 특히 부직포 구성요소(12)의 20 내지 300 개의 섬유(18, 20)가 폼 재료 구성요소(14)로 들어간다. 그러나, 10개 이상의 폼 재료 구성요소(14)의 연결 표면(16)의 1㎠ 당 부직포 구성요소(12)의 특히 300 개 이상의 섬유(18, 20)가 폼 재료 구성요소(14)로 들어간다고 생각할 수 있다.
또한, 폼 재료 구성요소(14)로 들어가는 부직포 요소(12)의 섬유(18, 20)의 적어도 대부분은 폼 재료 구성요소(14)의 최대 폼 재료 두께(22)의 적어도 50%까지 폼 재료 구성요소(14) 내로 연장된다. 그러나, 단일 섬유(18, 20) 또는 선택적으로 대부분의 섬유(18, 20)가 폼 재료 구성요소(14)를 완전히 관통하는 것으로 생각할 수도 있다. 또한, 단일 섬유(18, 20) 또는 선택적으로 대부분의 섬유(18, 20)가 폼 재료 구성요소(14)의 최대 폼 재료 두께(22)의 50%이상 폼 재료 구성요소(14) 내로 연장되거나, 또는 단일 섬유(18, 20) 또는 선택적으로 대부분의 섬유(18, 20)가 폼 재료 구성요소(14)의 최대 폼 재료 두께(22)의 50% 미만까지 폼 재료 구성요소(14) 내로 연장되는 것으로 생각할 수 있다. 부직포 구성요소(12)의 최대 부직포 두께(24)에 대한 폼 재료 구성요소(14)의 최대 폼 재료 두께(22)의 비율은 여기서 적어도 1 이상이다. 그러나, 시트 커버의 적층용 텍스타일 복합 재료가 적어도 1 이하인 부직포 구성요소의 최대 부직포 두께에 대한 폼 재료 구성요소(14)의 최대 폼 재료 두께의 비율을 가지는 것도 생각할 수 있다.
또한, 부직포 구성요소(12)와 폼 재료 구성요소(14)는 폼-부직포 분리력에 대항하여 작용하는 부직포 구성요소(12)와 폼 재료 구성요소(14) 사이의 유지력이 1N보다 큰 방식으로 서로 니들링된다. 이것은 부직포 구성요소(12)의 섬유(18, 20)가 폼 재료 구성요소(14)와 폼-핏 및/또는 포스 핏 연결을 달성함에 따라 부직포 구성요소(12)의 섬유(18, 20)가 니들링 기계(상세히 도시되지 않음)에 의해 폼 재료 구성요소(14) 내로 니들링되어 달성된다. 따라서, 부직포 구성요소(12)는 폼(foam) 재료 구성요소(14)와 탈착 불가능하게, 즉 영구적으로 연결된다. 여기서 폼 재료 구성요소(14)는 10 ㎏/㎥보다 큰 부피 중량을 갖는다. 부직포 구성요소(12)는 45g/m2보다 큰 평량을 갖는다.
부직포 구성요소(12)는 적어도 50 dtex 이하의 선형 질량 밀도 값을 갖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성 섬유(26)를 더 포함한다. 기능성 섬유(26)는 여기서 부직포 구성요소(12)의 섬유(18, 20) 중 하나에 의해 구성된다. 기능성 섬유(26)는 중공 섬유로 구성된다. 여기서, 기능성 섬유(26)는 예를 들어 별형 단면, 정방 단면, 삼엽 단면, 말굽형 단면, 고리형 단면 등의 당업자에 의해 적절하다고 간주되는 임의의 단면을 가질 수 있다. 대체로, 부직포 구성요소(12)는 50 dtex 이하의 선형 질량 밀도 값을 갖는 다수의 기능성 섬유(26)를 포함하고, 특히 중공 섬유로 구성된다.
또한, 부직포 구성요소(12)는 적어도 하나의 바인더 섬유(38)(용융 섬유)를 추가로 포함한다. 바인더 섬유(38)는 부직포 구성요소(12)의 섬유(18, 20) 중 하나로 구성된다. 부직포 구성요소(12)는 복수의 바인더 섬유(38)를 포함한다. 혼입으로 인해 바인더 섬유(38) 및/또는 부직포 요소(12)의 기능성 섬유(26)는 폼-핏 연결(인터 레이싱에 의해), 응집 및/또는 접착을 통해 상호 연결된다. 부직포 구성요소(12)를 구성하기 위해, 바인더 섬유(38) 및/또는 기능성 섬유(26)는 배향되는 방식으로 또는 얽힌 방식으로 배치될 수 있다.
시트 커버의 적층용 텍스타일 복합 재료(10)는 시트 커버의 적층을 위한 텍스타일 복합 재료로 구성된다. 따라서, 적층용 텍스타일 복합 재료(10)는 시트 커버(30), 특히 자동차 시트 커버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구성하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목적을 위해, 시트 커버의 적층용 텍스타일 복합 재료(10)는 적어도 하나의 추가 재료(32), 예를 들어, 섬유, 가죽, 합성 피혁 등을 포함할 수 있다(도 2 및 도 3). 따라서, 시트 커버(30)는 적어도 적층용 텍스타일 복합 재료(10)와 추가 재료(32)의 연결을 통해 적어도 부분적으로 구현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예시적인 실시 예에서, 추가 재료(32)는 시트 커버(30)를 구성하기 위해 시트 커버의 적층용 텍스타일 복합 재료(10)에 연결될 수 있는 가죽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목적을 위해 추가 재료(32)는 부직포 구성요소(12)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폼 재료 구성요소(14)의 측면에 배치될 수 있다. 시트 커버의 적층용 텍스타일 복합 재료(10)와 추가 재료(32)를 연결하기 위해, 시트 커버의 적층용 텍스타일 복합 재료(10) 또는 시트 커버(30)는 적어도 하나의 연결 구성요소(36)를 포함한다. 연결 구성요소(36)는 접착 구성요소로서 기능한다. 연결 구성요소(36)는 자기 접착성 접착제, 특히 자기-접착제, 압력 - 민감성 접착제 등으로서 접착성 부직/접착 웹으로 구현되는 것을 생각할 수 있다. 접착성 부직/접착 웹으로서의 연결 구성요소(36)의 구현에서, 연결 구성요소(36)는 망상 구조를 가지며, 특히 바인더 섬유(38)와 유사하거나 동일한 재료로 구성되며, 연결 구성요소(36)는 50℃ 내지 140℃, 바람직하게는 90℃ 내지 100℃의 값 범위의 값에 해당하는 융점을 가진다.
텍스타일 또는 합성 피혁과 같은 추가 재료(32)의 선택적인 실시예에서, 연결 구성요소(36)는 폼 재료 구성요소(14)와 함께 적어도 부분적으로 구성되거나 또는 연결 구성요소(36)가 추가 폼 재료 구성요소를 포함하며, 연결 구성요소(36)는 상기 두 실시예에서 화염-적층(flame-laminatable)가능하다. 추가적인 폼 재료 구성요소로서의 연결 요소(36)의 구현에서, 당업자에게 이미 공지된 로스트-폼(lost-foam) 절차가 유리하게 적용 가능하다. 여기서, 연결 구성요소(36)는 화염 적층을 통해 폼 재료 구성요소(14) 상에 배치가능하고 추가 재료(32)는 화염 적층을 통해 폼 재료 구성요소(14) 상에 이미 배치된 연결 구성요소(36) 상에 배치가능하다. 화염 적층에 이어서, 추가 폼 재료 구성요소로서 구성된 연결 구성요소(36)는 얇은 접착제 층으로 존재한다. 유리하게는 시트 커버의 적층용 텍스타일 복합 재료(10)의 본래 두께가 적어도 실질적으로 유지될 수 있다. 또한, 선택적으로 또는 부가적으로, 시트 커버의 적층용 텍스타일 복합 재료(10)의 텍스타일 특성을 바람직하게 유지하는 당업자에게 적절하다고 간주되는 접착 지점 및/또는 접착 분말, 멜트프린트 절차, 핫멜트 접착제, 접착 포일 또는 다른 접착-결합 방법 또는 접착-결합 프로 절차, 특히 핫-멜트 또는 콜드-멜트 절차는 추가 재료(32)를 폼 재료 구성요소(14)에 연결시키는데 사용된다.
시트 커버의 적층용 텍스타일 복합 재료(10)는 예를 들어 평판 적층 플랜트 또는 가죽 고정 플랜트에 의해 추가 재료(32)에 연결될 수 있다. 여기서, 시트 커버의 적층용 텍스타일 복합 재료(10)와 추가 재료(32)를 연결하기 위한 처리 온도는 바람직하게는, 특히 접착성 부직/접착 웹으로서 연결 구성요소(36)의 구현에서 낮게 유지될 수 있다.
도 3에서, 시트 커버(30)는 시트 커버의 적층용 텍스타일 복합 재료(10) 및 추가 재료(32)에 더하여 적어도 하나의 보강재(34)를 포함한다. 보강재(34)는 추가 재료(32)를 보강하도록 구성된다. 도 3에 도시된 시트 커버의 적층용 텍스타일 복합 재료(10)의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보강재(34)는 가죽 보강재로 구성된다. 그러나, 보강재(34)는 당업자에 의해 적절하다고 여겨지는 다른 실시예, 특히 추가 재료(32)의 구현에 의존하는 실시예를 특징으로 하는 것도 고려할 수 있다. 보강재(34)는 시트 커버의 적층용 텍스타일 복합 재료(10)와 추가 재료(32) 사이에 배치된다. 여기서, 보강재(34)는 부직포 구성요소(12)와 이격되어 면하는 폼 재료 구성요소(14)의 측면, 특히 폼 재료 구성요소(14)와 연결 구성요소(36) 사이에 배치된다. 그러나, 보강재(34)가 당업자에 의해 적절하다고 간주되는 다른 배치를 특징으로 하는 것도 고려될 수 있다. 보강재(34)는 가죽을 지지하기 위해 직조 재료, 날실-편물 재료, 니트 재료, 격자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보강재(34)는 접착 웹(상세히 도시되지 않음)에 의해 폼 재료 구성요소(14)와 고정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하중의 경우에 가죽의 신장은 유리하게는 실질적으로 방지가능하거나 적어도 감소 가능하다. 또한 특히 응력이 가해진 시트 커버(30) 영역, 예를 들어 측면 에어백의 출구 지점에는 적절한 보강재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보강재(34)의 적절한 선택에 의해, 시트 커버의 적층용 텍스타일 복합 재료(10)의 적어도 신장 특성, 재료 특성, 특히 견딜 수 있는 최대 인장력 등이 구체적으로 변경 가능하다. 여기에 상세히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섬유 재료 또는 합성 가죽과 같은 추가 재료(32)의 다른 실시예에서, 연결 구성요소(36) 이외에, 예를 들어 접착제와 같은 화학 결합제(여기서는 도시되지 않음)가 추가 재료(32) 및/또는 시트 커버의 적층용 텍스타일 복합 재료(10) 상에 배열 가능하록 제공된다. 상기 결합제는 유리하게는 특히 결합제의 경화 공정에 이어서 추가 재료(32) 섬유의 섬유 먼지 및/또는 추가 재료(32)상에 부직포 구성요소(12)의 섬유 재료의 접착을 적어도 실질적으로 방지하거나 또는 적어도 감소시킬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보풀(fluff) 보호가 달성될 수 있다.
시트 커버의 적층용 텍스타일 복합 재료(10)는 시트 특히 자동차 시트 예를 들어 시트의 심하게 변형된 영역의 시트의 볼록한 구션, 예를 들어 시트 등의 접근 측면의 측면 윙상의 난해한 시트 윤곽에서 조차 텍스타일 복합 재료의 부드럽고 접힘없는 배치를 허용한다. 이 외에도, 시트 커버의 적층용 텍스타일 복합 재료(10)는, 바람직하게는 예를 들어 시트 커버의 적층용 텍스타일 복합 재료(10)가 상기 적층용 텍스타일 복합 재료에 볼록하게 형성되고 시트 커버의 적층용 텍스타일 복합 재료가 부분 영역에 직접 접하는 시트 커버의 적층용 텍스타일 복합 재료(10)의 다른 부분 영역에 오목하게 형성되는 시트에 배치되는 경우 작은 반경으로 드레이프가능하다. 또한, 시트 커버의 적층용 텍스타일 복합 재료(10)는 각각 FMVSS(302) 또는 ISO 3795에 따라 점화되기 어렵다. 또한, 자동차 산업의 모든 관련 문서는 예를 들어 방출/포깅/냄새에 관한 요건, 수명 말기 차량 규제 등에 관한 요구 사항이 고려된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또한, 시트 커버의 적층용 텍스타일 복합 재료(10)는 적어도 하나의 위조 방지 유닛(28)을 포함한다. 위조 방지 유닛(28)은 부직포 구성요소(12) 및/또는 폼 재료 구성요소(14)에 적어도 실질적으로 비 분리형태로 연결된다. 위조 방지 유닛(28)의 실시예에서, 위조 방지 유닛(28)은 전자 위조 방지 유닛으로 구성된다. 따라서 위조 방지 유닛(28)은 예를 들어 전자 제품 코드 유닛(EPC 유닛)으로서 구성될 수 있거나 또는 당업자에 의해 적절하다고 간주되는 다른 실시예를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또는 추가적으로, 위조 방지 유닛(28)은 기계적 위조 방지 유닛으로 구성된다. 이 경우, 다른 색상의 섬유(본 명세서에서는 상세히 나타내지는 않음)로 구성되는 위조 방지 유닛(28)의 위조 방지 요소가 위조 방지 유닛(28)에 통합되는 것도 생각할 수 있다. 당업자에 의해 적절하다고 간주되는 기계적 위조 방지 유닛으로 구성된 위조 방지 유닛(28)의 구성도 역시 고려될 수 있다.
10: 적층용 텍스타일 복합 재료 12: 부직포 구성요소
14: 폼 재료 구성요소 16: 연결 표면
18: 섬유 20: 섬유
22: 폼 재료 두께 24: 부직포 두께
26: 기능성 섬유 28: 위조 방지 유닛
30: 시트 커버 32: 추가 재료
34: 보강재 36: 연결 구성요소
38: 바인더 섬유

Claims (14)

  1. 하나 이상의 부직포 구성요소(12)와 상기 부직포 구성요소와 연결된 하나 이상의 폼 재료 구성요소(14)를 가지고, 상기 부직포 구성요소(12)와 상기 폼 재료 구성요소(14)는 이들 사이에 폼-핏(formfit) 또는 포스-핏(force-fit) 연결이 형성되도록 서로 기계적으로 연결되고, 부직포 구성요소(12)와 폼 재료 구성요소(14)가 니들링되며, 부직포 구성요소(12)가 하나 이상의 바인더 섬유(38)와 하나 이상의 기능성 섬유(26)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시트 커버의 적층용 텍스타일 복합 재료로서,
    폼-부직포 분리력에 대항하여 작용하는 부직포 구성요소(12)와 폼 재료 구성요소(14) 사이의 유지력이 1 N보다 크고, 폼 재료 구성요소(14)는 1 mm 내지 6 mm 범위의 값에 해당하는 최대 폼 재료 두께를 가지며, 폼 재료 구성요소(14)는 폴리우레탄-폴리에테르 폼 또는 폴리우레탄-폴리에스테르 폼으로 구성되며, 기능성 섬유(26)는 1.5 dtex와 24 dtex 사이의 값에 해당하는 선형 질량 밀도 값을 가지며, 바인더 섬유(38)는 1 dtex와 9 dtex 사이의 값에 해당하는 선형 질량 밀도 값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 커버의 적층용 텍스타일 복합 재료.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부직포 구성요소(12)와 상기 폼 재료 구성요소(14)가 서로 니들링되고, 폼 재료 구성요소(14)의 총 연결 표면(16)의 적어도 5% 이상이 부직포 구성요소(12)의 섬유(18, 20)에 의해 관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 커버의 적층용 텍스타일 복합 재료.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부직포 구성요소(12)와 폼 재료 구성요소(14)가 서로 니들링되고, 폼 재료 구성요소(14)의 총 연결 표면(16)의 적어도 15% 이상이 부직포 구성요소(12)의 섬유(18, 20)에 의해 관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 커버의 적층용 텍스타일 복합 재료.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부직포 구성요소(12) 및 상기 폼 재료 구성요소(14)가 서로 니들링되고, 폼 재료 구성요소(14)의 연결 표면(16)의 1cm2 당 부직포 구성 요소(12)의 2개 이상의 섬유(18, 20)가 폼 재료 구성 요소(14) 내로 들어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 커버의 적층용 텍스타일 복합 재료.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부직포 구성요소(12)와 상기 폼 재료 구성요소(14)는 서로 니들링되고, 폼 재료 구성요소(14) 내로 들어가는 부직포 섬유 구성요소(12)의 섬유(18, 20)의 총 섬유 수의 20% 초과가 폼 재료 구성요소(14)의 최대 폼 재료 두께(22)의 적어도 50 %까지 폼 재료 구성요소(14) 내로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 커버의 적층용 텍스타일 복합 재료.
  6. 제 1항에 있어서, 부직포 구성요소(12)의 최대 부직포 두께(24)에 대한 폼 재료 구성요소(14)의 최대 폼 재료 두께(22)의 비율이 1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 커버의 적층용 텍스타일 복합 재료.
  7. 제 1항에 있어서, 기능성 섬유(26)가 중공 섬유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 커버의 적층용 텍스타일 복합 재료.
  8. 제 1항에 있어서, 폼 재료 구성요소(14)는 10 kg/m3 초과의 부피 중량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 커버의 적층용 텍스타일 복합 재료.
  9. 제 1항에 있어서, 하나 이상의 위조 방지 유닛(28)을 포함하는 특징으로 하는 시트 커버의 적층용 텍스타일 복합 재료.
  10. 삭제
  11. 제 9항에 있어서, 위조 방지 유닛(28)은 전자 위조 방지 유닛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 커버의 적층용 텍스타일 복합 재료.
  12. 제 9항에 있어서, 위조 방지 유닛(28)은 기계적 위조 방지 유닛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 커버의 적층용 텍스타일 복합 재료.
  13. 제 1항에 따른 시트 커버의 적층용 텍스타일 복합 재료로 구성되는 시트 커버.
  14. 삭제
KR1020177015686A 2014-11-10 2015-10-23 부직포 구성요소와 폼 재료 구성요소를 포함하는 시트 커버의 적층용 텍스타일 복합 재료 KR10184472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2014116354.0A DE102014116354A1 (de) 2014-11-10 2014-11-10 Kaschierungstextilverbundmaterial
DE102014116354.0 2014-11-10
PCT/EP2015/074617 WO2016074906A1 (de) 2014-11-10 2015-10-23 Kaschierungstextilverbundmaterial enthaltend eine vliesstoffkomponente und eine schaumstoffkomponent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73703A KR20170073703A (ko) 2017-06-28
KR101844729B1 true KR101844729B1 (ko) 2018-05-14

Family

ID=545450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7015686A KR101844729B1 (ko) 2014-11-10 2015-10-23 부직포 구성요소와 폼 재료 구성요소를 포함하는 시트 커버의 적층용 텍스타일 복합 재료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10894383B2 (ko)
EP (1) EP3218182B1 (ko)
JP (1) JP6227848B1 (ko)
KR (1) KR101844729B1 (ko)
CN (1) CN107810107B (ko)
DE (2) DE202014010385U1 (ko)
WO (1) WO2016074906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071943A1 (en) * 2015-10-30 2017-05-04 Adient Luxembourg Holding S.à.r.l. Cover and method for producing a cover
JP6997563B2 (ja) * 2017-09-08 2022-01-17 株式会社イノアックコーポレーション 透湿防水シート及び衣料用生地
DK180904B1 (en) * 2018-12-21 2022-06-21 Ecco Sko As A leather-based footwear
DE102019110494A1 (de) * 2019-04-23 2020-10-29 Adler Pelzer Holding Gmbh Absorptiver vernadelter Schichtverbund
CN111648035B (zh) * 2020-06-13 2023-10-27 郑西双 Es纤维芯材制品及其制备方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83033B1 (ko) 2007-12-03 2009-02-09 한일이화주식회사 자동차 내장용 천정재 기재
WO2014150336A2 (en) 2013-03-15 2014-09-25 National Nonwovens Inc. Composites comprising nonwoven structures and foam

Family Cites Families (3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294916U (ko)
NL295050A (ko) * 1962-07-09
US3451885A (en) * 1962-07-09 1969-06-24 Union Carbide Corp Needled composite web and method of making the same
US3352739A (en) * 1962-11-09 1967-11-14 Reeves Bros Inc Foam and fiber combination product and method of making same
BE668528A (ko) * 1964-08-19 1900-01-01
NL137642C (ko) * 1966-07-05
US3532588A (en) * 1967-04-12 1970-10-06 Kendall & Co Needled nonwoven textile laminate
DE8003911U1 (de) * 1980-02-14 1980-07-17 Johann Borgers Gmbh & Co Kg, 4290 Bocholt Bahn- oder plattenfoermige polsterauflage fuer sitze, lehnen, verkleidungen o.dgl.
EP0088191A3 (en) * 1982-03-08 1986-02-19 Imperial Chemical Industries Plc Polyester fibrefill blend
US4426414A (en) * 1982-09-08 1984-01-17 Beacon Manufacturing Company Laminated non-woven fabric
DE3335669C2 (de) * 1983-09-30 1986-05-07 Konrad Hornschuch Ag, 7119 Weissbach Hinterspritzbares bahnförmiges Kunststoff-Verbundmaterial und Verfahren zu seiner Herstellung
US5298321A (en) * 1991-07-05 1994-03-29 Toyo Boseki Kabushiki Kaisha Recyclable vehicular cushioning material and seat
US5646077A (en) * 1993-01-07 1997-07-08 Unitika Ltd Binder fiber and nonwoven fabrics using the fiber
US5882794A (en) * 1994-09-30 1999-03-16 E. I. Du Pont De Nemours And Company Synthetic fiber cross-section
DE19542210C2 (de) * 1995-11-13 1997-11-27 Sandler Helmut Helsa Werke Polsterteil, insbes. Sitzpolster
US6030907A (en) * 1996-07-29 2000-02-29 Sowa Chemical Co., Ltd. Composite substrate for plastic reinforcement, and fiber-reinforced plastic using such composite substrate
US5974150A (en) * 1997-09-30 1999-10-26 Tracer Detection Technology Corp. System and method for authentication of goods
WO2000022217A1 (fr) * 1998-10-14 2000-04-20 Teijin Limited Textile non tisse et cuir synthetique obtenu avec ce textile
DE59915153D1 (de) * 1999-01-04 2010-05-27 Ident Technology Gmbh X Verbundmaterialeinheiten mit transponder
US6102482A (en) * 1999-05-07 2000-08-15 Collins & Aikman Products Co. Lightweight suspension panel for vehicle seats and door panels
JP4204716B2 (ja) * 1999-10-15 2009-01-07 株式会社クラレ 自立性多孔性繊維集積体およびその製造方法
DE19956319A1 (de) * 1999-11-23 2001-06-13 Wolfgang Sannwald Textiles Flächengebilde mit magnetischen oder magnetisierbaren Fasern,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s derartigen textilen Flächengebildes sowie Verwendung eines derartigen textilen Flächengebildes
DE29921499U1 (de) * 1999-12-07 2001-04-12 Johnson Controls Gmbh Einrichtung zum Abdecken eines Spaltes zwischen einer Rückenlehne und einem unteren Sitzteil eines Fahrzeugsitzes
DE10019370C2 (de) * 2000-04-18 2002-02-14 Sandler Helmut Helsa Werke Sitzkomfortsystem, insbesondere für ein Kraftfahrzeug
US7279065B1 (en) * 2001-01-30 2007-10-09 L&P Property Management Company Method for forming bi-layered fiber and foam carpet underlay
US20040103970A1 (en) * 2001-06-29 2004-06-03 Mabrouk Quederni Air-laid web with hollow synthetic fibers
US20080131648A1 (en) * 2003-06-23 2008-06-05 Solid Water Holdings Waterproof/breathable, moisture transfer, soft shell alpine boots and snowboard boots, insert liners and footbeds
DE20213228U1 (de) * 2002-08-23 2002-10-31 Carcoustics Tech Ct Gmbh & Co Mehrlagiges Schall- und Wärmeisolationsteil
JP5385529B2 (ja) * 2004-04-22 2014-01-08 ハイランド インダストリーズ,インコーポレーテッド スペーサファブリック
DE102004051929A1 (de) * 2004-10-25 2006-04-27 Trocellen Gmbh Elektrisch leitfähige Laminate aus Vliesen und einer elastischen Dämmschicht
JP5003028B2 (ja) * 2006-06-15 2012-08-15 東洋紡績株式会社 発泡ウレタン補強材
US20080070465A1 (en) * 2006-09-18 2008-03-20 Thomas Cobbett Wiles High loft nonwoven for foam replacement
DE202009015059U1 (de) * 2009-11-05 2010-01-21 Weller, Jürgen Verbundmaterial
JP5780040B2 (ja) * 2010-08-31 2015-09-16 東レ株式会社 研磨布およびその製造方法
DE202010018588U1 (de) * 2010-10-01 2017-12-15 Sandler Ag Mehrschichtiges Vliesverbundmaterial mit elastischen Eigenschaften
FR2979308B1 (fr) * 2011-08-24 2013-09-27 Faurecia Automotive Ind Ensemble d'insonorisation, notamment pour un vehicule automobile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83033B1 (ko) 2007-12-03 2009-02-09 한일이화주식회사 자동차 내장용 천정재 기재
WO2014150336A2 (en) 2013-03-15 2014-09-25 National Nonwovens Inc. Composites comprising nonwoven structures and foa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7810107A (zh) 2018-03-16
DE102014116354A1 (de) 2016-05-12
CN107810107B (zh) 2020-06-09
JP2017536272A (ja) 2017-12-07
KR20170073703A (ko) 2017-06-28
EP3218182B1 (de) 2018-10-17
DE202014010385U1 (de) 2015-06-17
US10894383B2 (en) 2021-01-19
US20180050514A1 (en) 2018-02-22
WO2016074906A1 (de) 2016-05-19
JP6227848B1 (ja) 2017-11-08
EP3218182A1 (de) 2017-09-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44729B1 (ko) 부직포 구성요소와 폼 재료 구성요소를 포함하는 시트 커버의 적층용 텍스타일 복합 재료
JP7201579B2 (ja) 平面状複合材料
US20200238659A1 (en) Planar composite material
CN110177688B (zh) 相异的织物之间改善的剥离强度
CA2602556A1 (en) Process for producing elastic and/or water degradable webs from composite filaments
US20230068055A1 (en) Liner for upholstered furniture
JP2021501298A (ja) 可変面密度交差重ね繊維強化複合弾道材料
KR20180095007A (ko) 시트 물질 및 이를 포함하는 펀칭 테이프
KR101856917B1 (ko) 부직포 성분과 폼 재료 성분을 포함하는 시트 커버의 적층용 텍스타일 복합 재료
KR20170137794A (ko) 직물 복합 재료
JPH06207362A (ja) 繊維材料
JP4908916B2 (ja) 自動車用内装基材
KR102200418B1 (ko) 에어백 쿠션 및 그 제조방법
CN109196299B (zh) 高浮力复合材料
JP2012051428A (ja) 車両外装材用積層体及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車両外装材
JP2005177198A (ja) シート用パッド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