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137794A - 직물 복합 재료 - Google Patents

직물 복합 재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137794A
KR20170137794A KR1020177031184A KR20177031184A KR20170137794A KR 20170137794 A KR20170137794 A KR 20170137794A KR 1020177031184 A KR1020177031184 A KR 1020177031184A KR 20177031184 A KR20177031184 A KR 20177031184A KR 20170137794 A KR20170137794 A KR 2017013779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onwoven material
layer
material layer
additional
fiber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703118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스테피 숀펠더
무하메트 일디림
줄리아 슐츠
Original Assignee
예.하. 지글러 게엠베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예.하. 지글러 게엠베하 filed Critical 예.하. 지글러 게엠베하
Publication of KR2017013779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3779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5/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 B32B5/02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structural features of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 B32B5/06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structural features of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characterised by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mechanically connected, e.g. by needling to another layer, e.g. of fibres, of pap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5/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 B32B5/02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structural features of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5/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 B32B5/02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structural features of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 B32B5/022Non-woven fabric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5/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 B32B5/22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the presence of two or more layers which are next to each other and are fibrous, filamentary, formed of particles or foamed
    • B32B5/24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the presence of two or more layers which are next to each other and are fibrous, filamentary, formed of particles or foamed one layer being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 B32B5/26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the presence of two or more layers which are next to each other and are fibrous, filamentary, formed of particles or foamed one layer being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another layer next to it also being fibrous or filamentar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7/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on between layer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ve orientation of features between layers, or by the relative values of a measurable parameter between layers, i.e. products comprising layers having different 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04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05Interconnection of layers the layers not being connected over the whole surface, e.g. discontinuous connection or patterned connec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7/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on between layer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ve orientation of features between layers, or by the relative values of a measurable parameter between layers, i.e. products comprising layers having different 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04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12Interconnection of layers using interposed adhesives or interposed materials with bonding propert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9/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a particular substance not covered by groups B32B11/00 - B32B29/00
    • B32B9/02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a particular substance not covered by groups B32B11/00 - B32B29/00 comprising animal or vegetable substances, e.g. cork, bamboo, starch
    • B32B9/025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a particular substance not covered by groups B32B11/00 - B32B29/00 comprising animal or vegetable substances, e.g. cork, bamboo, starch comprising leath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9/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a particular substance not covered by groups B32B11/00 - B32B29/00
    • B32B9/04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a particular substance not covered by groups B32B11/00 - B32B29/00 comprising such particular substance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 B32B9/047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a particular substance not covered by groups B32B11/00 - B32B29/00 comprising such particular substance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made of fibres or filament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HMAKING TEXTILE FABRICS, e.g. FROM FIBRES OR FILAMENTARY MATERIAL; FABRICS MADE BY SUCH PROCESSES OR APPARATUS, e.g. FELTS, NON-WOVEN FABRICS; COTTON-WOOL; WADDING ; NON-WOVEN FABRICS FROM STAPLE FIBRES, FILAMENTS OR YARNS, BONDED WITH AT LEAST ONE WEB-LIKE MATERIAL DURING THEIR CONSOLIDATION
    • D04H1/0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 D04H1/4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 D04H1/44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the fleeces or layers being consolidated by mechanical means, e.g. by rolling
    • D04H1/46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the fleeces or layers being consolidated by mechanical means, e.g. by rolling by needling or like operations to cause entanglement of fibres
    • D04H1/498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the fleeces or layers being consolidated by mechanical means, e.g. by rolling by needling or like operations to cause entanglement of fibres entanglement of layered web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50/00Layers arrangement
    • B32B2250/20All layers being fibrous or filamentar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62/00Composition or structural features of fibres which form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or are present as additives
    • B32B2262/02Synthetic macromolecular fib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62/00Composition or structural features of fibres which form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or are present as additives
    • B32B2262/02Synthetic macromolecular fibres
    • B32B2262/0276Polyester fib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62/00Composition or structural features of fibres which form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or are present as additives
    • B32B2262/02Synthetic macromolecular fibres
    • B32B2262/0276Polyester fibres
    • B32B2262/0284Polyethylene terephthalate [PET] or polybutylene terephthalate [PB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597/00Tubular articles, e.g. hoses, pip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601/00Upholster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605/00Vehicles
    • B32B2605/003Interior finish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605/00Vehicles
    • B32B2605/08Ca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607/00Walls, pane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Laminated Bodies (AREA)
  • Nonwoven Fabr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하나 이상의 부직포 재료 층(12a; 12b; 12c) 및 하나 이상의 부직포 재료 층(12a; 12b; 12c)에 연결되는 하나 이상의 추가 부직포 재료 층(14a; 14b; 14c)을 포함하는 라미네이션용 직물 복합 재료에 관한 것으로, 하나 이상의 부직포 재료 층(12a; 12b; 12c) 및 하나 이상의 추가 부직포 재료 층(14a; 14b; 14c)은 서로 기계적으로 연결되고 하나 이상의 부직포 재료 층(12a; 12b; 12c)는 하나 이상의 결합제 섬유(36a; 36b; 36c)를 포함하고, 하나 이상의 추가 부직포 재료 층(14a; 14b; 14c)는 하나 이상의 결합제 섬유(38a; 38b; 38c)를 포함한다. 하나 이상의 추가 부직포 재료 층(14a; 14b; 14c)의 하나 이상의 결합제 섬유(38a; 38b; 38c)는 130°C 내지 190°C의 값과 동일한 용융 온도를 가지며, 하나 이상의 추가 부직포 재료 층(14a; 14b; 14c)의 하나 이상의 결합제 섬유(38a; 38b; 38c)는 하나 이상의 부직포 재료 층(12a; 12b; 12c)의 하나 이상의 결합제 섬유(36a; 36b; 36c)의 용융 온도보다 높은 용융 온도를 갖는다.

Description

직물 복합 재료
본 발명은 청구항 제1항의 전단부에 따른 직물 복합 재료에 관한 것이다.
서로 연결된 적어도 하나의 부직포 재료 층 및 적어도 하나의 추가 부직포 재료 층을 포함하는 직물 복합 재료는 이미 공지되었다. 본 발명은 직물 복합 재료의 선호되는 드레이프성, 특히 주름이 없는 배치를 유지하면서 직물 복합 재료의 선호되는 생산성 및 가공을 허용하며 부직포 재료 층과 추가 부직 재료 층 사이의 고정 연결을 특징으로 하는 일반적인 직물 복합 재료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은 청구항 제1항의 특징에 의해 본 발명에 따라 달성되지만,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 및 추가적인 전개는 종속항으로 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적어도 하나의 부직포 재료 층 및 상기 부직포 재료 층에 연결된 적어도 하나의 추가 부직포 재료 층을 포함하는, 라미네이션(lamination)을 위한 직물 복합 재료, 특히 직물 복합 재료를 기초로 하며, 부직포 재료 층 및 추가 부직포 재료 층은 기계적으로 서로 연결되고, 적어도 하나의 부직포 재료 층은 적어도 하나의 결합제 섬유를 포함하고, 적어도 하나의 부직포 재료 층은 적어도 하나의 결합제 섬유를 포함하고, 적어도 하나의 추가 부직포 재료 층은 적어도 하나의 결합제 섬유를 포함한다.
적어도 하나의 추가 부직포 재료 층의 결합제 섬유는 130°C 내지 190°C 범위의 값과 동일한 용융 온도를 가지며, 적어도 하나의 추가 부직포 재료 층의 결합제 섬유는 적어도 하나의 부직포 재료 층의 결합제 섬유의 용융 온도보다 높은 용융 온도를 갖는다.
부직포 재료 층 및 추가 부직포 재료 층은 바람직하게는 완성된 직물 제품으로서 각각 개별적으로 구성될 수 있고, 완성된 직물 제품은 특히 각각의 완성된 직물 제품의 개별적인 제주 이후에 직물 복합 재료를 구성하기 위해 서로 기계적으로 서로 연결된다. "기계적으로 서로 연결된"은 여기서 이해해야할 적어도 두 요소 사이의 폼-피트(form-fit) 및/또는 포스-피트(force-fit) 연결, 특히 부직포 재료 층과 추가 부직포 재료 층 사이의 폼-피트(form-fit) 및/또는 포스-피트(force-fit) 연결이다. 바람직하게는, 부직포 재료 층과 추가 부직포 재료 층은 물질-물질 결합없이 서로 기계적으로 연결된다. 특히 바람직하게는 부직포 재료 층과 추가 부직포 재료 층 사이의 기계적 연결을 형성하기 위한 목적으로, 부직포 재료 층의 섬유는 부직포 재료 층에 결합되고 및/또는 역으로도 가능하다. 직물 복합 재료는 바람직하게는 시트 커버, 특히 차량 시트 커버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구현하도록 구성된다. "구성(configured)"은 구체적으로 특별히 설계된 및/또는 구체적으로 갖추어진 것을 의미한다. 특정 기능을 위해 구성된 요소 및/또는 유닛에 의해, 상기 요소 및/또는 상기 유닛은 적어도 하나의 적용 상태에서 상기 특정 기능을 수행/실행 및/또는 구현/수행하거나, 상기 요소 및/또는 유닛이 상기 특정 기능을 수행하도록 특별히 설계된다는 것을 이해해야 한다. 부직포 재료 층은 바람직하게 완성된 직물 제품으로 구성된다. 부직포 재료 층은 바람직하게 적어도 하나의 기능성 섬유 및 적어도 하나의 결합제 섬유(용융 섬유)를 포함한다. 특히, 본원에서 부직포 재료 층의 결합제 섬유는 0.9 dtex 초과의 선형 질량 밀도값을 가지며, 바람직하게 5 dtex 초과, 더욱 바람직하게 15 dtex 미만이다. 특히 바람직하게 부직포 재료 층의 결합제 섬유는 1 dtex 내지 9 dtex의 값과 동일한 선형 질량 밀도값을 갖는다. 바람직하게 부직포 재료 층의 결합제 섬유는 100°C 내지 220°C의 범위의 값과 동일한 용융 온도를 갖는다. 특히 바람직하게 부직포 재료 층의 결합제 섬유는 130°C 내지 180°C의 범위의 값과 동일한 용융 온도를 갖는다.
부직포 재료 층의 기능성 섬유 는 바람직하게 폴리에스테르 섬유, 특히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섬유로 구현된다. 또한, 그러나 부직포 재료 층의 기능성 섬유는 당업자가 적절한 것으로 여기는 다양한 방식으로 구현되며, 예를 들어 폴리아미드 섬유, 폴리올레핀 섬유, 폴리아크릴로니트릴 섬유, 폴리비닐 클로라이드 섬유, 폴리비닐 알콜 섬유, 폴리테트라플루오르에틸렌 섬유, 폴리우레탄 섬유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특히 부직포 재료 층의 기능성 섬유는 특히 1 dtex보다 큰, 바람직하게는 15 dtex보다 크고 특히 바람직하게는 30dtex보다 작은 선형 질량 밀도값을 가진다. 특히 바람직하게는, 부직포 재료 층의 기능성 섬유는 1.5 dtex와 24 dtex 사이의 값에 해당하는 선형 질량 밀도 값을 갖는다. 바람직하게는, 부직포 재료 층의 기능성 섬유는 바람직하게 큰 탄력성(resiliency capability)을 갖는다. 특히 또한 부직포 재료 층의 기능성 섬유는 나선형으로 주름잡힌 형태로 구현된다. 그러나 또한 부직포 재료 층의 기능성 섬유는 큰 탄성 인자를 갖는 섬유의 구현을 허용하고 당업자에게 유리한 것으로 여겨지는 다양한 방식으로 구현된다. 특히 바람직하게는, 부직포 재료 층은 복수의 결합제 섬유 및 복수의 기능성 섬유를 포함하고, 이들은 서로 혼합된다. 여기서, 결합제 섬유 및/또는 부직포 재료 층의 기능성 섬유는 방사 섬유(스테이플 섬유) 또는 필라멘트(연속 섬유)로 구현될 수 있다. 혼입으로 인해, 부직포 재료 층의 결합제 섬유 및/또는 기능성 섬유는 폼-피트 연결(인터레이싱에 의해), 응집 및/또는 접착을 통해 바람직하게 상호 연결된다. 부직포 재료 층을 구현하기 위해, 결합제 섬유 및/또는 부직포 재료 층의 기능성 섬유는 배향된 형태 또는 얽힌 형태로 배치될 수 있다. 특히 부직포 재료 층은 특히 30g/㎡ 보다 크고, 바람직하게는 60g/㎡ 보다 크고 특히 바람직하게는 550g/㎡ 보다 작은 기본 중량을 갖는다. 부직포 재료 층은 특히 바람직하게는 50g/㎡ 내지 500g/㎡ 범위의 값에 해당하는 기본 중량을 갖는다.
추가 부직포 재료 층은 바람직하게 스티치-본드 절차를 통해 제조될 수 있는 완성된 직물 제품으로 구현된다. 추가 부직포 재료 층은 바람직하게 적어도 하나의 기능성 섬유 및 적어도 하나의 결합제 섬유(용융 섬유)를 포함한다. 본원에서 추가 부직포 재료 층의 결합제 섬유는 특히 0.9 dtex 초과, 바람직하게 5 dtex 초과, 및 특히 바람직하게 15 dtex 미만의 선형 질량 밀도값을 갖는다. 특히 바람직하게 추가 부직포 재료 층의 결합제 섬유는 1 dtex 내지 9 dtex의 값과 동일한 선형 질량 밀도값을 갖는다. 바람직하게 추가 부직포 재료 층의 결합제 섬유는 100°C 내지 240°C의 범위의 값과 동일한 용융 온도를 갖는다. 특히 바람직하게 결합제 섬유는 130°C 내지 190°C의 범위의 값과 동일한 용융 온도를 갖는다. 바람직하게 추가 부직포 재료 층의 결합제 섬유(용융 섬유)는 부직포 재료 층의 결합제 섬유(용융 섬유)의 용융 온도보다 높은 용융 온도를 갖는다. 대안의 실시예에서, 또한 추가 부직포 재료 층의 결합제 섬유(용융 섬유)는 부직포 재료 층의 결합제 섬유(용융 섬유)의 구현과 유사한 구현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추가 부직포 재료 층의 기능성 섬유는 폴리에스테르 섬유, 특히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섬유로 구현된다. 또한, 그러나 추가 부직포 재료 층의 기능성 섬유는 당업자가 적절한 것으로 여기는 다양한 방식으로 구현되며, 예를 들어 폴리아미드 섬유, 폴리올레핀 섬유, 폴리아크릴로니트릴 섬유, 폴리비닐 클로라이드 섬유, 폴리비닐 알콜 섬유, 폴리테트라플루오르에틸렌 섬유, 폴리우레탄 섬유, 울 등으로 구현될 수 있고, 특히 당업자가 적절한 것으로 여기는 방식으로 직물 특성(특히 나선형으로 주름잡힌 구현으로 인해 연-탄성 고 반발력)을 갖는 섬유로 구현될 수 있고, 스티치-본드 절차에서 처리될 수 있다. 특히 추가 부직포 재료 층의 기능성 섬유는 특히 1 dtex보다 큰, 바람직하게는 15 dtex보다 크고 특히 바람직하게는 30dtex보다 작은 선형 질량 밀도값을 가진다. 특히 바람직하게는, 추가 부직포 재료 층의 기능성 섬유는 1.5 dtex 내지 24 dtex 사이의 값에 해당하는 선형 질량 밀도 값을 갖는다. 바람직하게는, 추가 부직포 재료 층의 기능성 섬유는 바람직하게 큰 탄력성을 갖는다. 특히, 추가 부직포 재료 층의 기능성 섬유는 나선형으로 주름잡힌 형태로 구현된다. 그러나, 또한 추가 부직포 재료 층의 기능성 섬유는 큰 탄력성을 갖는 섬유를 구현할 수 있고 당업자가 적절한 것으로 여기는 다양한 방식으로 구현된다. 특히 바람직하게 추가 부직포 재료 층은 서로 얽히는 복수의 결합제 섬유 및 복수의 기능성 섬유를 포함한다. 추가 부직포 재료 층의 기능성 섬유 및/또는 결합제 섬유는 방사 섬유(스테이플 섬유) 또는 필라멘트(연속 섬유)로 구현될 수 있다. 얽힘(meshing)으로 인해, 추가 부직포 재료 층의 결합제 섬유 및/또는 기능성 섬유는 폼-피트 연결(인터레이싱에 의해)에 의해 서로 연결된다.
추가 부직포 재료 층 및/또는 부직포 재료 층의 기능성 섬유는 중공 섬유로 구현된다. 바람직하게 부직포 재료 층 및/또는 추가 부직포 재료 층은 중공 섬유로 구현되지 않은 기능성 섬유의 일부 및 중공 섬유로 구현되는 기능성 섬유의 적어도 일부를 포함한다.
용어 "중공 섬유"는 특히 적어도 하나의 중공 공간을 갖는 섬유, 특히 섬유의 길이방향 축을 따라 본 섬유의 총 길이를 따라 적어도 실질적으로 연장되는 적어도 하나의 중공 공간을 포함하는 섬유를 정의하는 것으로 구성되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중공 공간은 섬유의 길이방향 축 주위에서 이어지는 적어도 하나의 주변방향으로 볼 때 섬유의 적어도 하나의 엔벨로프에 의해 둘러싸인다. 섬유의 엔벨로프는 고리형, 삽엽형, 다각형 또는 유사한 방식의 중공 공간을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중공 섬유로 구성되는 기능성 섬유는 중공 섬유의 총 부피 부분에 대해 특히 적어도 1% 초과,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5% 초과, 더욱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8% 초과의 중공 공간 부분을 갖는다. 특히 바람직하게는 중공 섬유의 전체 부피 부분에 대해 중공 섬유로 구성되는 기능성 섬유는 15% 미만, 특히 약 10%의 중공 공간 부분을 갖는다.
특히, 추가 부직포 재료 층은 특히 30 g/m2 초과, 바람직하게 60 g/m2 초과 및 특히 바람직하게 550 g/m2 미만의 평량을 갖는다. 특히 바람직하게는, 추가 부직포 재료 층은 50 g/m2 내지 500 g/m2의 값과 동일한 평량을 갖는다. 특히, 추가 부직포 재료 층은 스티치-본드(stitch-bonded) 부직포 재료 층, 예컨대 Malimo® 부직포 재료 층, Mali 부직포 재료 층, Multiknit 부직포 재료 층, Kunit 부직포 재료 층, Optiknit 부직포 재료 층, Maliwatt 부직포 재료 층 등으로 구성된다. 스티치-본드 부직포 재료 층, 예컨대, Malimo® 부직포 재료 층, Mali 부직포 재료 층, Multiknit 부직포 재료 층, Kunit 부직포 재료 층, Optiknit 부직포 재료 층, Maliwatt 부직포 재료 층 등과 같은 추가 부직포 재료 층의 구현의 경우에, 직물 복합 재료의 대안의 실시예에서 추가 부직포 재료 층은 특히 접착제 접합 공정 또는 용융 절차를 통해 화학적으로 및/또는 열적으로 부직포 재료 층에 연결된다.
특히, 추가 부직포 재료 층은 15 mm 미만, 바람직하게 8 mm 미만, 및 특히 바람직하게 0.9 mm 초과의 최대 부직포 재료 층 두께를 갖는다. 특히 바람직하게, 추가 부직포 재료 층은 1 mm 내지 10 mm 범위의 값과 동일한 최대 부직포 재료 층 두께를 갖는다. 그러나, 또한 부직포 재료 층의 최대 부직포 재료 층 두께에 대한 추가 부직포 재료 층의 최대 부직포 재료 층 두께의 비율은 적어도 1 이상이다. 본원에서 "최대 부직포 재료 층 두께"는 부직포 재료 층의 주 연장 표면에 적어도 실질적으로 수직, 특히 부직포 재료 층의 연결 표면에 대해 적어도 실질적으로 수직인 방향을 따라 볼 때 부직포 재료 층의 최대 연장부를 의미하며, 상기 최대 연장부는 부직포 재료 층의 상호연결된 섬유의 총 개수의 특히 적어도 70%, 바람직하게 적어도 80%, 특히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90%로 구성되며, 특히 단면을 볼 때 상호연결된 섬유 전체는 사각형 형상, 예를 들어 직사각형, 정사각형 등을 형성한다. 특히, 다각형 형상을 넘어서 연장되는 각각의 섬유는 부직포 재료 층의 최대 부직포 재료 층 두께를 결정하기 위해 고려되지 않는다. 본원에서 "실질적으로 수직인"이란 용어는 특히, 기준 방향에 대한 방향의 배향을 정의하는 것으로 의도되며, 여기서 방향 및 기준 방향은 특히 평면에서 볼 때 90°를 포함하고, 각도는 특히 8°미만, 바람직하게는 5°미만 및 특히 바람직하게는 2°미만의 최대 편차를 갖는다.
직물 복합 재료가 적어도 하나의 위조 방지 유닛을 포함하는 것으로 고려된다. 위조 방지 유닛은 적어도 실질적으로 비분리가능하게 부직포 재료 층 및/또는 추가 부직포 재료 층에 연결될 수 있다. 본원에서 "적어도 실질적으로 비-분리가능하게"는 분리 공구, 예를 들어 기계 톱 등의 도움으로 및/또는 화학적 분리제, 예를 들어 용해제 등에 의해 서로 분리될 수 있는 2개 이상의 요소의 연결을 의미한다. 위조 방지 유닛은 전자 위조 방지 유닛으로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위조 방지 유닛은 적어도 실질적으로 비분리가능하게 부직포 재료 층 및/또는 추가 부직포 재료 층에 연결되는 적어도 하나의 위조 방지 요소를 포함하고, 위조 방지 유닛의 판독 장치를 통해 판독될 수 있다. 위조 방지 요소는 RFID 칩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당업자가 적절한 것으로 여기는 전자 위조 방지 유닛의 추가 실시예는 또한 바코드 위조 방지 유닛 등과 같은 실시예인 것으로 여겨진다. 또한, 위조 방지 유닛은 기계적 위조 방지 유닛으로서 대안으로 또는 추가로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착색된 섬유로 구성되는 위조 방지 유닛의 위조 방지 요소가 부직포 재료 층 내에 통합되거나 또는 예를 들어 UV 광 하에서 빛나는 섬유로 구성되는 위조 방지 유닛의 위조 방지 요소가 부직포 재료 층 내에 통합된다. 당업자가 적절한 것으로 여기는 추가 구현이 또한 고려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구현에 의해, 바람직하게 직물 복합 재료의 우수한 가공 특성뿐만 아니라 선호되는 제조가능성이 구현될 수 있다. 이 이외에도, 본 발명에 따른 직물 복합 재료의 구현은 직물 복합 재료의 선호되는 드레이프성, 특히 적어도 실질적으로 주름없는 배열가능성을 유지하면서 부직포 재료 층과 추가 부직포 재료 층 사이에 선호되는 고정 연결을 달성할 수 있다. 또한, 부직포 재료 층과 추가 부직포 재료 층을 연결하기 위한 부가적인 접착제가 바람직하지 않을 수 있다. 이는 우수한 가공 특성을 갖는 직물 복합 재료를 유리하게 제공할 수 있다. 직물 복합 재료는 물체, 특히 복합 재료가 배치가능한 시트의 표면의 임의의 이동/라운딩/굴곡(볼록 또는 오목)에 적어도 실질적으로 적응할 수 있는 것이 유리하다.
또한, 부직포 재료 층과 추가 부직포 재료 층이 서로 니들링되고, 추가 부직포 재료 층의 전체 연결 표면의 적어도 5 % 초과가 상기 부직포 재료 층의 섬유에 의해 관통되는 것이 제안된다. 여기서 "니들링된(needled)"이라는 용어는 부직포 재료 층과 추가 부직포 재료 층 사이의 기계적 연결을 정의하기 위한 것으로, 부직포 재료 층이 추가 부직포 재료 층에 연결되는 상태에서, 특히 부직포 재료 층의 복수의 섬유는 추가 부직포 재료 층 내로 적어도 일부분으로 연장된다.
"추가 부직포 재료 층의 전체 연결 표면"은 특히 추가 부직포 재료 층의 전체 표면, 특히 추가 부직포 재료 층이 부직포 재료 층에 인접한 부직포 재료 층에 연결된 상태에서 투영 평면으로 투영되는 추가 부직포 재료 층의 표면이다. 바람직하게 부직포 재료 층과 추가 부직포 재료 층은 니들링 공정을 통해 서로 연결된다. 부직포 재료 층의 개별 섬유는 바람직하게 추가 부직포 재료 층에 니들링된다. 부직포 재료 층의 개별 섬유는 바람직하게 추가 부직포 재료 층의 전체 연결 표면의 적어도 5% 초과로 추가 부직포 재료 층 내로 연장되어 특히 이는 추가 부직포 재료 층의 연결 표면에 적어도 실질적으로 횡방향으로 연장되는 방향을 따라 전체 연결 표면에 걸쳐 분포된다. 본 명세서에서 "실질적으로 횡방향으로"는 기준 방향 및/또는 기준 축에 대해 이해되는 축 및/또는 방향의 배향이며, 축 및/또는 방향의 배향은 기준 방향 및/또는 기준 축에 대해 적어도 실질적으로 평행한 배향과 적어도 상이하며, 기준 방향 및/또는 기준 축에 대해 수직이거나 또는 기울어져 있다. 바람직하게 부직포 재료 층 및 추가 부직포 재료 층은 서로 니들링되며, 부직포-부직포 분리력에 대항하여 작용하는 부직포 재료 층과 추가 부직포 재료 층 사이의 고정력이 특히 추가 부직포 재료 층 및 부직포 재료 층의 섬유들 간의 폼-피트 및/또는 포스-피트으로 인해 1 N 초과이다. "부직포-부직포 분리력"은 특히 추가 부직포 재료 층의 연결 표면에 적어도 실질적으로 수직으로 연장되는 방향을 따라 볼 때 분리될 부직포 재료 층과 추가 부직포 재료 층 사이의 연결을 유도할 수 있고 하중의 적어도 하나의 경우에 직물 복합 재료 상에 작용하는 힘이다. 특히, 부직포-부직포 분리력에 대항하여 작용하는 부직포 재료 층과 추가 부직포 재료 층 사이의 고정력은 DIN 53357 A에 지시된 것으로 결정된 바와 같이 1 kN 미만이고 바람직하게는 0.8 kN 미만이며, 특히 바람직하게는 5 N 초과이다. 바람직하게 부직포-부직포 분리력에 대항하여 작용하는 부직포 재료 층과 추가 부직포 재료 층 사이의 고정력은 추가 부직포 재료 층 내로 결합된 부직포 재료 층의 섬유, 특히 추가 부직포 재료 층과 부직포 재료 층의 섬유들 사이의 폼-피트로부터 야기된다.
본 발명에 따른 니들링에 따라 부직포 재료 층과 추가 부직포 재료 층 사이에 특히 선호되고 확고한 연결이 허용된다. 바람직하게 특히 추가 부직포 재료 층이 이의 기본적 구조가 적어도 실질적으로 유지되고 부직포 재료 층의 단지 일부 스트레이 섬유만이 추가 부직포 재료 층 내로 연장됨에 따라 부직포 재료 층과의 니들링 이후에 추가 부직포 재료 층의 높은 수준의 안정성을 유지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추가 부직포 재료 층이 연결되지 않을 때의 상태에 대해 추가 부직포 재료 층의 수명 및 탄성을 적어도 실질적으로 유지시킬 수 있다.
특히 바람직하게 부직포 재료 층 및 추가 부직포 재료 층이 서로 니들링되고, 추가 부직포 재료 층의 전체 연결 표면의 적어도 15% 초과가 부직포 재료 층의 섬유에 의해 관통된다. 바람직하게 부직포 재료 층의 개개의 섬유는 추가 부직포 재료 층의 연결 표면의 적어도 15% 초과로 추가 부직포 재료 층 내로 연장되어 이는 추가 부직포 재료 층의 연결 표면에 적어도 실질적으로 횡방향으로 이어지는 방향을 따라 전체 연결 표면에 걸쳐 분포된다. 바람직하게는, 추가의 부직포 재료 층의 연결 표면을 관통하는 섬유는 추가의 부직포 재료 층의 연결 표면 상에 적어도 실질적으로 균질하게 분포되는 방식으로 배치된다. 본 발명에 따른 구현은 바람직하게 분리력의 충격에 대해 바람직하게 대항하는 부직포 재료 층과 추가의 부직포 재료 층 사이의 특히 신뢰성 있는 연결을 구현할 수 있게 한다. 또한, 직물 복합 재료의 후퇴는 가죽 절단으로서 구성되는 추가 재료에 바람직하게 작용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 특히 직물 복합 재료가 가죽 절단과 함께 상부에 배열될 수 있는 시트 상에서 물체 상의 몇몇의 가죽 절단의 상호교차 지점에서의 평평한 이음매(flat seam)를 허용한다.
부직포 재료 층 및 추가 부직포 재료 층이 서로 니들링되고, 추가 부직포 재료 층의 연결 표면의 1 cm2당 부직포 재료 층의 적어도 2개의 섬유가 추가 부직포 재료 층 내로 삽입된다. 특히, 추가 부직포 재료 층의 연결 표면의 1 cm2당 부직포 재료 층의 적어도 3개, 특히 바람직하게 부직포 재료 층의 적어도 10개의 섬유가 부직포 재료 층 내로 삽입된다. 매우 특히 바람직하게, 추가 부직포 재료 층의 연결 표면의 1 cm2당 부직포 재료 층의 10개 초과의 섬유, 특히 적어도 20 내지 300개의 섬유가 추가 부직포 재료 층 내로 삽입된다. 본원에서 용어 "추가 부직포 재료 층 내로 삽입"은 특히 추가 부직포 재료 층에 대한 부직포 재료 층의 섬유의 배열을 의미하고, 부직포 재료 층 및 추가 부직포 재료 층이 연결되는 상태에서 부직포 재료 층의 섬유가 부직포 재료 층으로부터 시작하여 추가 부직포 재료 층 내로 연장된다. 본 발명에 따른 구현에서, 추가 부직포 재료 층에 대한 부직포 재료 층의 확고한 고정이 구현될 수 있다.
부직포 재료 층 및 추가 부직포 재료 층이 서로 니들링되고, 추가 부직포 재료 층 내로 삽입되는 부직포 재료 층의 섬유의 적어도 상당한 부분이 추가 부직포 재료 층의 최대 부직포 재료 층 두께의 적어도 최대 50%까지 추가 부직포 재료 층 내로 연장된다. "추가 부직포 재료 층 내로 삽입되는 섬유의 상당한 부분"은 본원에서 적어도 20% 초과, 바람직하게는 30% 초과, 특히 바람직하게 추가 부직포 재료 층 내로 삽입되는 부직포 재료 층의 섬유의 총 개수의 50% 초과를 의미한다. 그러나, 또한, 부직포 재료 층의 개개의 섬유는 추가 부직포 재료 층의 최대 부직포 재료 층 두께의 적어도 50% 초과로 추가 부직포 재료 층 내로 연장되거나 또는 추가 부직포 재료 층을 완벽히 관통한다. 용어 "추가 부직포 재료 층의 최대 부직포 재료 층 두께의 적어도 50% 초과로 추가 부직포 재료 층 내로 연장되는"은 여기서 부직포 재료 층의 에지 영역으로부터 시작하여 부직포 재료 층의 섬유가 추가 부직포 재료 층 또는 최대 부직포 재료 층 두께의 적어도 50%인 추가 부직포 재료 층 내로의 돌출 연장부를 갖는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에 따른 구현에 따라 바람직하게 부직포 재료 층과 추가 부직포 재료 층 사이의 특히 확고한 연결을 구현할 수 있다.
또한 직물 복합 재료는 부직포 재료 층으로부터 이격되는 방향으로 향하는 추가 부직포 재료 층의 측면에 배열되는 적어도 하나의 접착제 층을 포함한다. 접착제 층은 접착제 부직포/접착제 웨브, 자가-접착제 글루, 특히 자가-접착제, 감압 글루 등으로 구성된다. 또한, 접착제 층은 당업자가 적절한 것으로 여기는 직물 복합 재료 또는 부직포 재료 층의 또 다른 측면에 배열된다. 접착제 부직포/접착제 웨브로서 접착제 층의 구현에 있어서, 접착제 층은 바람직하게 추가 부직포 재료 층의 결합제 섬유 및/또는 부직포 재료 층의 결합제 섬유의 재료와 유사한 재료로 구성되고 망상 구조를 갖는다. 특히, 접착제 부직포/접착제 웨브의 구현에서, 접착제 층은 50°C 내지 140°C, 바람직하게 90°C 내지 100°C의 값과 동일한 용융 온도를 갖는다. 본 발명에 따른 구현에 의해, 바람직하게 확고하고 단순한 옵션이 추가 재료 층을 배열하기 위해 구현될 수 있다. 특히, 라미네이션을 위한 특히 선호되는 옵션이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직물 복합 재료는 부직포 재료 층으로부터 이격되는 방향으로 향하는 추가 부직포 재료 층의 측면 상에 배열된 적어도 하나의 커버 층을 포함한다. 추가 부직포 재료 층은 예를 들어, 평판 라미네이션 장치, 가죽 고정 장치, 또는 당업자가 적절한 것으로 여기는 또 다른 유형의 장치에 의해 커버 층에 연결될 수 있다. 커버 층은 가죽 커버 층, 인조 가죽 커버 층, 직물 커버 층 또는 당업자가 적절한 것으로 여기는 또 다른 유형의 층으로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구현에 따라 바람직하게 직물 복합 재료의 고품질의 표면을 구현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직물 복합 재료는 시트 커버, 내부 도어 라이닝, 차량 등의 일부로서 특히 바람직하게 적용될 수 있다.
특히, 직물 복합 재료의 적어도 하나의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커버 층은 추가 부직포 재료 층에 기계적으로 연결된다. 바람직하게 커버 층은 추가 부직포 재료 층과 재봉된다. 특히 직물 복합 재료의 적어도 하나의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커버 층은 추가 부직포 재료 층에 기계적으로 연결된다. 바람직하게 커버 층은 추가 부직포 재료 층과 재봉된다. 그러나, 또한 커버 층은 당업자가 적절한 것으로 여기는 다양한 방법을 통해 추가 부직포 재료 층에 기계적으로 연결된다. 그러나, 또한 커버 층은 초음파 용접 또는 엠보싱 공정을 통해 추가 부직포 재료 층에 기계적으로 및/또는 열적으로 연결된다. 본 발명에 따른 구현은 바람직하게 신뢰성 있고 확고한 추가 부직포 재료 층과 커버 층 사이의 연결을 형성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내마모성 연결이 추가 부직포 재료 층과 커버 층 사이에서 구현될 수 있다. 특히, 직물 복합 재료의 적어도 하나의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커버 층은 접착제 층을 통해 추가 부직포 재료 층에 고정된다. 또한, 접착제 층, 추가 또는 추가 글루 점 및/또는 글루 분말에 대안으로 또는 추가로, 용융 인쇄 절차, 핫멜트 글루, 접착제 호일 또는 다른 접착-결합 수단 또는 접착-결합 절차, 특히 직물 복합 재료의 직물 특성을 바람직하게 유지하는 당업자가 적절한 것으로 여기는 열간 용융 또는 냉간 용융 절차가 추가 부직포 재료 층에 커버 층을 연결하는 목적으로 적용된다. 본 발명에 따른 구현은 바람직하게 커버 층과 추가 부직포 재료 층 사이의 용이하게 제조가능한 연결을 구현할 수 있다.
또한, 적어도 하나의 부직포 재료 층은 15 dtex 초과의 선형 질량 밀도값을 갖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성 섬유를 포함하고, 적어도 하나의 부직포 재료 층의 적어도 하나의 결합제 섬유는 5 dtex 초과의 선형 질량 밀도값을 가지며, 및/또는 적어도 하나의 추가 부직포 재료 층은 15 dtex 초과의 선형 질량 밀도값을 갖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성 섬유를 포함하고, 적어도 하나의 추가 부직포 재료 층의 적어도 하나의 결합제 섬유는 5 dtex 초과의 선형 질량 밀도값을 갖는다. 이는 직물 복합 재료의 선호되는 우수한 가공 특성 및 선호되는 드레이프성을 구현할 수 있다.
또한, 적어도 하나의 부직포 재료 층은 중공 섬유로 구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성 섬유를 포함한다. 이 방식으로 바람직하게 직물 복합 재료의 경량 구현이 달성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부직포 재료 층은 별 형상, 사각형, 삼엽형, 편자(horseshoe)형 또는 원형 단면을 갖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성 섬유를 포함한다. 이 방식으로 다양한 요건에 대한 선호되는 우수한 적응이 구현될 수 있다.
추가 부직포 재료 층 및/또는 부직포 재료 층과 커버 층 사이의 바람직하게 단순하고 신뢰성 있는 연결이 달성됨에 따라 커버 층이 적어도 하나의 추가 부직포 재료 층 및/또는 적어도 하나의 부직포 재료 층에 재봉된다.
또한, 직물 복합 재료는 적어도 하나의 추가 보강 층을 포함한다. 이에 따라 직물 복합 재료의 바람직하게 신뢰성 있는 구현이 달성될 수 있다.
또한 직물 복합 재료는 적어도 하나의 추가 부직포 재료 층과 적어도 하나의 커버 층 사이에 배여되는 적어도 하나의 추가 보강 층을 포함한다. 이 방식으로, 선호되는 드레이프성 및 바람직하게 직물 복합 재료의 확고한 구현이 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직물 복합 재료를 갖는 시트 커버가 제안된다. 또한, 직물 복합 재료는 당업자가 적절한 것으로 여기는 다른 응용 분야, 예를 들어, 특히 라미네이션이 중요시 되는, 가구 분야, 사무 장비 분야, 보트 장비 분야, 비행기 장비 분야 등에서의 응용 분야에 적합하다. 본 발명에 따른 구현은 본 발명에 따른 시트 커버에 의해 덮인 시트의 높은 수준의 표면 품질을 바람직하게 달성할 수 있게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직물 복합 재료 및/또는 본 발명에 따른 시트 커버는 본 명세서에서 전술한 적용 및 구현 형태로 제한되지 않는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른 직물 복합 재료 및/또는 본 발명에 따른 시트 커버는 본 명세서에 기술된 기능을 달성하기 위해 본원에서 제시된 개수와 상이한 개수의 다수의 개별 요소, 구조 부품 및 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개시에 표시된 값 범위에 관해서는, 명기된 한계치 내에 있는 값은 개시된 바와 같이 요구 사항에 따라 적용가능한 것으로 간주되어야 한다.
추가적인 장점은 하기 도면의 설명으로부터 명백해질 수 있다. 도면에는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가 도시된다. 도면, 상세한 설명 및 청구 범위는 복수의 특징의 조합을 포함한다. 당업자는 의도적으로 그 특징들을 개별적으로 고려할 것이고 추가의 편리한 조합을 발견할 것이다.
도 1은 추가 부직포 재료 층 및 적어도 하나의 부직포 재료 층을 포함하는 본 발명에 따른 직물 복합 재료의 단면도.
도 2는 추가 부직포 재료 층에 배열되는 본 발명에 따른 직물 복합 재료의 커버 층을 포함한 본 발명에 따른 직물 복합 재료의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대안의 직물 복합 재료의 추가 부직포 재료 층과 커버 층 사이에 배열되는 대안의 직물 복합 재료의 보강 층을 포함하는 본 발명에 따른 대안의 직물 복합 재료의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대안의 직물 복합 재료의 추가 부직포 재료 층에 재봉되는 본 발명에 따른 대안의 직물 복합 재료의 커버 층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른 추가 대안의 직물 복합 재료의 단면도.
도 1은 부직포 재료 층(12a)에 연결되는 적어도 하나의 추가 부직포 재료 층(14a) 및 적어도 하나의 부직포 재료 층(12a)을 갖는 직물 복합 재료(10a)를 도시한다. 직물 복합 재료(10a)시트 커버 직물 복합 재료로 구성된다. 직물 복합 재료(10a)는 특히 시트 커버(30a), 특히 차량 시트 커버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구현하도록 구성된다. 그러나, 또한 직물 복합 재료(10a)는 다양한 직물 대상물, 예를 들어 차량의 내부 도어 라이닝, 암레스트 커버 등을 구현하도록 구성된다.
부직포 재료 층(12a)은 특히 완성된 직물 제품으로 구성된다. 추가 부직포 재료 층(14a)은 바람직하게 스티치-본드 공정에 의해 제조될 수 있는 완성된 직물 제품으로 구성된다. 부직포 재료 층(12a) 및 추가 부직포 재료 층(14a)은 직물 복합 재료(10a)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구현하기 위해 서로 기계적으로 연결된다. 부직포 재료 층(12a) 및 추가 부직포 재료 층(14a)은 서로 니들링되고, 추가 부직포 재료 층(14a)의 전체 연결 표면(16a)의 적어도 5% 초과가 부직포 재료 층(12a)의 섬유(18a, 20a)에 의해 관통된다. 바람직하게 부직포 재료 층(12a) 및 추가 부직포 재료 층(14a)은 서로 니들링되고, 추가 부직포 재료 층(14a)의 전체 연결 표면(16a)의 적어도 15% 초과가 부직포 재료 층(12a)의 섬유(18a, 20a)에 의해 관통된다. 특히, 추가 부직포 재료 층(14a)의 연결 표면(16a)의 1 cm2당 부직포 재료 층(12a)의 적어도 2개의 섬유(18a, 20a)가 추가 부직포 재료 층(14a) 내로 삽입된다. 바람직하게, 추가 부직포 재료 층(14a)의 연결 표면(16a)의 1 cm2당 부직포 재료 층(12a)의 20개 내지 300개의 섬유(18a, 20a)가 추가 부직포 재료 층(14a) 내로 삽입된다. 그러나 또한, 10개 초과의 추가 부직포 재료 층(14a)의 연결 표면(16a)의 1 cm2당 특히 부직포 재료 층(12a)의 300개 초과의 섬유(18a, 20a)가 추가 부직포 재료 층(14a) 내로 삽입된다.
부직포 재료 층(12a)의 섬유(18a, 20a)가 추가 부직포 재료 층(14a) 내로 삽입됨에 따라 적어도 대부분이 추가 부직포 재료 층(14a)의 최대 부직포 재료 층 두께(22a)의 적어도 최대 50%까지 추가 부직포 재료 층(14a) 내로 연장된다. 또한, 부직포 재료 층(12a)의 개별 섬유(18a, 20a) 또는 대안으로 부직포 재료 층(12a)의 섬유(18a, 20a)의 대부분이 전체적으로 추가 부직포 재료 층(14a) 내로 관통한다. 이외에도, 부직포 재료 층(12a)의 개개의 섬유(18a, 20a) 또는 대안으로 부직포 재료 층(12a)의 섬유(18a, 20a)의 상당한 부분이 추가 부직포 재료 층(14a)의 최대 부직포 재료 층 두께(22a)의 50% 초과로 추가 부직포 재료 층(14a) 내로 연장된다. 또한, 부직포 재료 층(12a)의 개개의 섬유(18a, 20a) 또는 대안으로 부직포 재료 층(12a)의 섬유(18a, 20a)의 상당한 부분이 추가 부직포 재료 층(14a)의 최대 부직포 재료 층 두께(22a)의 50% 미만으로 추가 부직포 재료 층(14a) 내로 연장된다. 부직포 재료 층(12a)의 최대 부직포 재료 층 두께(24a)에 대한 추가 부직포 재료 층(14a)의 최대 부직포 재료 층 두께(22a)의 비율이 적어도 1 이상이다. 그러나, 또한 직물 복합 재료(10a)는 적어도 1 이하인 부직포 재료 층(12a)의 최대 부직포 재료 층 두께(24a)에 대한 추가 부직포 재료 층(14a)의 최대 부직포 재료 층 두께(22a)의 비율을 갖는다. 부직포 재료 층(12a) 및 추가 부직포 재료 층(14a)는 부직포-부직포 분리력에 대항하여 작용하는 부직포 재료 층(12a)과 추가 부직포 재료 층(14a) 사이의 고정력이 1 N 초과이도록 서로 니들링된다. 추가 부직포 재료 층(14a)과 부직포 재료 층(12a)의 기계적 연결은 부직포 재료 층(12a)의 섬유(18a, 20a)가 니들링 장치(도시되지 않음)에 의해 추가 부직포 재료 층(14a) 내로 니들링되는 니들링 공정에 의해 구현된다. 서로에 대한 추가 부직포 재료 층(14a)와 부직포 재료 층(12a)의 니들링으로 인해, 부직포 재료 층(12a)의 섬유(18a, 20a)가 추가 부직포 재료 층(14a)의 섬유와 폼-피트 및/또는 포스-피트 연결을 형성한다. 부직포 재료 층(12a)은 특히 고정되게, 즉 영구적으로 추가 부직포 재료 층(14a)에 연결된다. 부직포 재료 층(12a) 및 추가 부직포 재료 층(14a)은 각각 45 g/m2 초과의 평량을 갖는다. 그러나 또한 부직포 재료 층(12a) 및 추가 부직포 재료 층(14a)은 각각 45 g/m2 이하의 평량을 갖는다.
부직포 재료 층(12a)은 50 dtex 이하인 선형 질량 밀도값을 갖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성 섬유(26a)를 포함한다. 기능성 섬유(26a)는 특히 부직포 재료 층(12a)의 섬유(18a, 20a)들 중 하나의 섬유에 의해 구현된다. 기능성 섬유(26a)는 중공 섬유로 구성될 수 있다. 기능성 섬유(26a)는 당업자가 적절한 것으로 여기는 임의의 단면, 예를 들어 별 형상의 단면, 사각형 단면, 삼엽형 단면, 편자형 단면, 고리형 단면 등을 가질 수 있다. 즉, 부직포 재료 층(12a)은 특히 중공 섬유로 구성되고 50 dtex 이하의 선형 질량 밀도값를 갖는 복수의 기능성 섬유(26a)를 포함한다.
부직포 재료 층(12a)는 적어도 하나의 결합제 섬유(36a)(용융 섬유)를 포함한다. 결합제 섬유(36a)는 부직포 재료 층(12a)의 섬유(18a, 20a)들 중 하나의 섬유에 의해 구현된다. 즉, 부직포 재료 층(12a)는 복수의 결합제 섬유(36a)를 포함한다. 혼입으로 인해, 부직포 재료 층(12a)의 결합제 섬유(36a) 및/또는 기능성 섬유(26a)는 폼-피트 연결(인터레이싱에 의해), 응집 및/또는 접착을 통해 상호연결된다. 부직포 재료 층(12a)을 형성하기 위한 목적으로, 결합제 섬유(36a) 및/또는 기능성 섬유(26a)는 배향된 또는 얽힌 방식으로 배열된다.
특히, 부직포 재료 층(12a)의 결합제 섬유(36a)는 0.9 dtex 초과, 바람직하게 5 dtex 초과 및 특히 바람직하게는 15 dtex 미만의 선형 질량 밀도값을 갖는다. 특히 바람직하게 부직포 재료 층(12a)의 결합제 섬유(36a)는 1 dtex 내지 9 dtex 사이의 값과 동일한 선형 질량 밀도값을 갖는다. 바람직하게 부직포 재료 층(12a)의 결합제 섬유(36a)는 100°C 내지 220°C의 값과 동일한 용융 온도를 갖는다. 더욱 바람직하게 부직포 재료 층(12a)의 결합제 섬유(36a)는 130°C 내지 180°C의 값과 동일한 용융 온도를 갖는다.
부직포 재료 층(12a)의 기능성 섬유(26a)는 바람직하게 폴리에스테르 섬유, 특히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섬유로 구성된다. 또한, 그러나 부직포 재료 층(12a)의 기능성 섬유(26a)는 당업자가 적절한 것으로 여기는 다양한 방식으로 구현되며, 예를 들어 폴리아미드 섬유, 폴리올레핀 섬유, 폴리아크릴로니트릴 섬유, 폴리비닐 클로라이드 섬유, 폴리비닐 알콜 섬유, 폴리테트라플루오르에틸렌 섬유, 폴리우레탄 섬유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특히 부직포 재료 층(12a)의 기능성 섬유(26a)는 특히 1 dtex 초과, 바람직하게는 15 dtex 초과, 특히 바람직하게는 30dtex 미만의 선형 질량 밀도값을 가진다. 특히 바람직하게는, 부직포 재료 층(12a)의 기능성 섬유(26a)는 1.5 dtex와 24 dtex 사이의 값에 해당하는 선형 질량 밀도 값을 갖는다. 바람직하게는, 부직포 재료 층(12a)의 개개의 기능성 섬유(26a)는 바람직하게 큰 탄력성을 갖는다. 특히 부직포 재료 층(12a)의 기능성 섬유(26a)는 나선형으로 주름잡힌 형태로 구성된다. 그러나 또한 부직포 재료 층(12a)의 기능성 섬유(26a)는 큰 탄성 인자를 갖는 섬유의 구현을 허용하고 당업자에게 유리한 것으로 여겨지는 다양한 방식으로 구현된다.
추가 부직포 재료 층(14a)는 바람직하게 적어도 하나의 기능성 섬유(40a) 및 적어도 하나의 결합제 섬유(38a)(용융 섬유)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 추가 부직포 재료 층(14a)은 복수의 결합제 섬유(38a) 및/또는 기능성 섬유(40a)를 포함한다.
특히, 추가 부직포 재료 층(14a)의 결합제 섬유(38a)는 0.9 dtex 초과, 바람직하게 5 dtex 초과 및 특히 바람직하게는 15 dtex 미만의 선형 질량 밀도값을 갖는다. 특히 바람직하게 추가 부직포 재료 층(14a)의 결합제 섬유(38a)는 1 dtex 내지 9 dtex 사이의 값과 동일한 선형 질량 밀도값을 갖는다. 바람직하게 추가 부직포 재료 층(14a)의 결합제 섬유(38a)는 100°C 내지 240°C의 값과 동일한 용융 온도를 갖는다. 더욱 바람직하게 추가 부직포 재료 층(14a)의 결합제 섬유(38a)는 130°C 내지 190°C의 값과 동일한 용융 온도를 갖는다. 바람직하게 추가 부직포 재료 층(14a)의 결합제 섬유(38a)는 부직포 재료 층(12a)의 결합제 섬유(36a)의 용융 온도 초과의 용융 온도를 갖는다. 대안으로, 추가 부직포 재료 층(14a)의 결합제 섬유(38a)는 부직포 재료 층(12a)의 결합제 섬유(36a)와 유사하게 구현될 수 있다.
추가 부직포 재료 층(14a)의 기능성 섬유(40a)는 바람직하게 폴리에스테르 섬유, 특히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섬유로 구현된다. 또한, 그러나 추가 부직포 재료 층(14a)의 기능성 섬유(40a)는 당업자가 적절한 것으로 여기는 다양한 방식으로 구현되며, 예를 들어 폴리아미드 섬유, 폴리올레핀 섬유, 폴리아크릴로니트릴 섬유, 폴리비닐 클로라이드 섬유, 폴리비닐 알콜 섬유, 폴리테트라플루오르에틸렌 섬유, 폴리우레탄 섬유, 울 등으로 구현되고, 특히 당업자가 적절한 것으로 여기는 방식으로 직물 특성(특히 나선형으로 주름잡힌 구현으로 인해 연-탄성 고 반발력)을 갖는 섬유로 구현될 수 있고, 스티치-본드 절차에서 처리될 수 있다. 추가 부직포 재료 층(14a)의 결합제 섬유(36a) 및/또는 기능성 섬유(40a)는 서로 얽히고, 부직포 재료 층(12a)과 추가 부직포 재료 층(14a)의 연결 이전에 특히 얽힌다.
직물 복합 재료(10a)는 특히 시트 커버(30a)를 부분적으로 구현하기 위하여 부직포 재료 층(12a)과 추가 부직포 재료 층(14a)이 서로 연결되고 부직포 재료 층(12a)(도 2)으로부터 이격되는 방향으로 향하는 추가 부직포 재료 층(14a)의 측면 상에 배열된 상태에서 적어도 커버 층(32a)을 포함한다. 커버 층(32a)은 바람직하게 가죽 커버 층으로 구성된다. 그러나 또한, 커버 층(32a)은 예를 들어 직물 커버 층, 인조 가죽 커버 층 등과 같이 당업자가 적절한 것으로 여기는 다양한 방식으로 구현된다.
커버 층(32a)과 추가 부직포 재료 층(14a)을 연결하기 위한 목적으로, 직물 복합 재료(10a)는 적어도 하나의 접착제 층(28a)을 포함한다. 특히, 부직포 재료 층(12a)과 추가 부직포 재료 층(14a)이 서로 연결된 상태에서 접착제 층(28a)은 부직포 재료 층(12a)으로부터 이격되는 방향으로 향하는 추가 부직포 재료 층(14a)의 측면 상에 배열된다. 접착제 층(28a)은 접착제 부직포/접착제 웨브, 자가-접착제 글루, 특히 자가-접착제, 감압 글루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접착제 부직포/접착제 웨브로서 접착제 층(28a)의 구현에 있어서, 접착제 층(28a)은 바람직하게 망상 구조를 갖는다. 접착제 층(28a)은 특히 추가 부직포 재료 층(14a)의 결합제 섬유(36a)의 재료와 유사하거나 또는 동일한 재료로 구성된다. 접착제 층(28a)은 바람직하게 50°C 내지 140°C, 바람직하게 90°C 내지 100°C의 값과 동일한 용융 온도를 갖는다.
도면에 도시되지 않은 직물 커버 층 또는 인조 가죽 커버 층으로서 커버 층(32a)의 대안의 구현에서, 직물 복합 재료(10a)는 접착제 층(28a)에 대한 대안으로서 추가 폼 재료 층으로 구성되는 연결 구성요소(도면에 도시되지 않음)를 포함할 수 있고 연결 구성요소는 전술된 구현 둘 모두에서 플레임-라미네이팅될 수 있다(flame-laminated). 추가 부직포 재료 층으로서 연결 구성요소의 구현에서, 당업자에게 이미 공지된 로스트-폼 공정(lost-foam process)이 바람직하게 적용될 수 있다. 연결 구성요소는 플레임 라미네이션을 통해 추가 부직포 재료 층(14a) 상에 배열될 수 있고, 커버 층(32a), 특히 직물 커버 층 또는 인조 가죽 커버 층으로 구성된 커버 층(32a)이 추가 부직포 재료 층(14a)에 이미 배열된 연결 구성요소에 플레임 라미네이션을 통해 배열될 수 있다. 플레임 라미네이션 이후에, 추가 부직포 재료 층으로 구성되는 연결 구성요소는 얇은 코팅으로 제공될 수 있다. 또한, 글루 점 및/또는 글루 분말에 대안으로 또는 추가로, 당업자가 적절한 것으로 여기는 용융 인쇄 절차, 핫멜트 글루, 접착제 호일 또는 다른 접착-결합 수단 또는 접착-결합 절차, 특히 직물 복합 재료(10a)의 직물 특성을 바람직하게 유지하는 열간 용융 또는 냉간 용융 절차가 추가 부직포 재료 층(14a)에 커버 층(32a)을 연결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직물 복합 재료(10a)는 바람직하게 시트(도면에 도시되지 않음), 특히 예를 들어 시트의 볼록하게 구현된 쿠셔닝 상에, 예를 들어 시트의 접근 측면의 횡방향 윙 등의 상이한 시트 윤곽 상에 시트 커버(30a) 및/또는 직물 복합 재료(10a)의 매끄럽고 주름없는 배열을 허용한다. 또한, 직물 복합 재료(10a)는 바람직하게 반경방향으로 고도로 드레이프가능하고, 예를 들어, 직물 복합 재료(10a) 및/또는 시트 커버(30a)가 직물 복합 재료(10a)가 직물 복합 재료(10a)의 부분 영역에서 볼록하게 형성되고 부분 영역에 직접 인접한 직물 복합 재료(10a)의 추가 부분 영역에서 오목하게 형성되는 시트 상에 배열된다. 또한, 직물 복합 재료(10a)는 각각 FMVSS 302, 또는 ISO 3795에 따라 연소되기가 어렵도록 구성된다. 게다가, 바람직하게 자동차 산업의 모든 관련 문헌은 방출/포깅/냄새, 수명이 종료되는 차량 규제 등에 관한 요구사항을 고려해야 한다.
본 발명의 추가 예시적인 실시예가 도 3 및 도 4에 도시된다. 이하의 설명 및 도면은 예시적인 실시예들 간의 차이점에 실질적으로 제한되며, 동일한 명칭을 갖는 구조적 구성 요소, 특히 동일한 도면 부호를 갖는 구조적 구성 요소, 특히 동일한 도면 부호를 갖는 구조적 구성요소에 관하여 특히 도 1 및 도 2의 다른 예시적인 실시예의 도면 및/또는 설명이 원칙적으로 잘 언급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 예들을 구별하기 위해, 문자 a는 도 1 및 도 2의 예시적인 실시예의 도면부호에 추가된다. 도 3 및 도 4의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문자는 문자 b 및 c로 각각 대체된다.
도 3은 부직포 재료 층(14b)에 연결되는 적어도 하나의 추가 부직포 재료 층(14b) 및 적어도 하나의 부직포 재료 층(12b)을 갖는 직물 복합 재료(10b)를 도시한다. 도 3에 도시된 직물 복합 재료(10b)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직물 복합 재료(10b)과 적어도 실질적으로 유사한 방식으로 구현된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직물 복합 재료(10b)의 차이로서 도 3에 도시된 직물 복합 재료(10b)와 추가로 적어도 하나의 보강 층(34b)을 포함한다. 보강 층(34b)은 추가 부직포 재료 층(14b)의 커버 층(32b)을 보강하도록 구성된다. 도 3에 도시된 직물 복합 재료(10b)의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보강 층(34b)은 가죽 보강 재료로 구성된다. 또한, 보강 층(34b)은 당업자가 적절한 것으로 여기는 다양한 방식, 특히 커버 층(32b)의 구현에 따른 방식으로 구성된다. 보강 층(34b)은 부직포 재료 층(12b)으로부터 이격되는 방향으로 향하는 추가 부직포 재료 층(14b)의 측면 상에 배열된다. 보강 층(34b)은 추가 부직포 재료 층(14b)과 커버 층(32b) 사이에 배열된다. 특히, 보강 층(34b)은 직물 복합 재료(10b)의 접착제 층(28b)과 추가 부직포 재료 층(14b) 사이에 배열된다. 그러나, 또한 보강 층(34b)이 당업자가 적절한 것으로 여기는 다양한 방식으로 구현 및/또는 배열된다. 보강 층(34b)은 커버 층 지지, 특히 가죽 지지를 위해 텍스쳐링된 재료, 날실-직조 재료, 직조 재료, 격자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보강 층(34b)은 바람직하게 접착제 웨브(도면에 도시되지 않음)에 의해 추가 부직포 재료 층(14b)에 고정될 수 있다. 따라서, 직물 복합 재료(10b) 상의 하중의 경우 커버 층(32b)의 스트레칭, 특히 가족 스트레칭이 바람직하게 적어도 실질적으로 방지되거나 또는 적어도 감소될 수 있다. 또한, 직물 복합 재료(10b)를 포함하는 시트 커버(30b)의 특히 스트레싱된 영역, 특히 측면 에어백용 시트 커버(30b)의 출구 지점은 적절한 보강부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보강 층(34b)의 적절한 선택에 의해, 직물 복합 재료(10b)의 적어도 스트레칭 특성, 재료 특성, 특히 견딜 수 있는 최대 인장력이 구체적으로 변경가능하다. 인조 가죽 커버 층 또는 직물 커버 층으로 커버 층(32b)의 대안의 구현(도시되지 않음)에서, 또한 연결 구성요소, 화학적 결합제(도시되지 않음), 예를 들어 글루가 직물 복합 재료(10b) 및/또는 커버 층(32b) 상에 배열될 수 있다. 이 결합제는 바람직하게 커버 층(32b) 상의 추가 부직포 재료 층(14b)의 섬유 재료의 접착 및/또는 커버 층(32b)의 섬유의 섬유 먼지를 적어도 감소시키거나 또는 적어도 실질적으로 방지할 수 있고, 특히 그 후에 결합제가 경화 공정이 수행된다. 바람직하게 보풀 보호가 달성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직물 복합 재료(10b)의 다른 기능 및 특성에 관해서는, 도 1 및 도 2의 기재에서 기술된 직물 복합 재료(10a)가 언급될 수 있다.
도 4는 부직포 재료 층(12c)에 연결되는 적어도 하나의 추가 부직포 재료 층(14c) 및 적어도 하나의 부직포 재료 층(12c)을 갖는 직물 복합 재료(10c)를 도시한다. 도 4에 도시된 직물 복합 재료(10c)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직물 복합 재료(10c)와 적어도 실질적으로 유사한 방식으로 구현된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직물 복합 재료(10c)에 대한 차이로서 도 4에 도시된 직물 복합 재료(10c)는 추가 부직포 재료 층(14c) 및/또는 부직포 재료 층(12c)에 기계적으로 연결되는 적어도 하나의 커버 층(32c)을 포함한다. 커버 층(32c)은 추가 부직포 재료 층(14c) 및/또는 부직포 재료 층(12c)에 재봉된다. 추가 부직포 재료 층(14c) 및/또는 부직포 재료 층(12c)에 커버 층(32c)을 고정하기 위하여 직물 복합 재료(10c)는 적어도 하나의 이음매 연결 요소(42c)를 포함한다. 도 4에 도시된 직물 복합 재료(10c)의 추가 기능 및 특성에 대해 도 1 및 도 2의 기재에 기술된 직물 복합 재료(10a)가 언급될 수 있다.
10 직물 복합 재료
12 부직포 재료 층
14 추가 부직포 재료 층
16 연결 표면
18 섬유
20 섬유
22, 24 부직포 재료 층 두께
26 기능성 섬유
28 접착제 층
30 시트 커버
32 커버 층
34 보강 층
36, 38 결합제 섬유
40 기능성 섬유
42 이음매 연결 요소

Claims (15)

  1. 하나 이상의 부직포 재료 층(12a; 12b; 12c) 및 하나 이상의 부직포 재료 층(12a; 12b; 12c)에 연결되는 하나 이상의 추가 부직포 재료 층(14a; 14b; 14c)을 포함하는 라미네이션용 직물 복합 재료로서,
    하나 이상의 부직포 재료 층(12a; 12b; 12c) 및 하나 이상의 추가 부직포 재료 층(14a; 14b; 14c)은 서로 기계적으로 연결되고 하나 이상의 부직포 재료 층(12a; 12b; 12c)는 하나 이상의 결합제 섬유(36a; 36b; 36c)를 포함하고, 하나 이상의 추가 부직포 재료 층(14a; 14b; 14c)는 하나 이상의 결합제 섬유(38a; 38b; 38c)를 포함하며,
    하나 이상의 추가 부직포 재료 층(14a; 14b; 14c)의 하나 이상의 결합제 섬유(38a; 38b; 38c)는 130°C 내지 190°C의 값과 동일한 용융 온도를 가지며, 하나 이상의 추가 부직포 재료 층(14a; 14b; 14c)의 하나 이상의 결합제 섬유(38a; 38b; 38c)는 하나 이상의 부직포 재료 층(12a; 12b; 12c)의 하나 이상의 결합제 섬유(36a; 36b; 36c)의 용융 온도보다 높은 용융 온도를 갖는 직물 복합 재료.
  2. 제1항에 있어서, 하나 이상의 부직포 재료 층(12a; 12b; 12c) 및 하나 이상의 추가 부직포 재료 층(14a; 14b; 14c)은 서로 니들링되고 하나 이상의 추가 부직포 재료 층(14a; 14b; 14c)의 전체 연결 표면(16a; 16b; 16c)의 적어도 5% 초과가 하나 이상의 부직포 재료 층(12a; 12b; 12c)의 섬유(18a, 20a; 18b, 20b; 18c, 20c)에 의해 관통되는 직물 복합 재료.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하나 이상의 부직포 재료 층(12a; 12b; 12c)과 하나 이상의 추가 부직포 재료 층(14a; 14b; 14c)이 서로 니들링되고, 하나 이상의 추가 부직포 재료 층(14a; 14b; 14c)의 연결 표면의 1 cm2당 하나 이상의 부직포 재료 층(12a; 12b; 12c)의 2개의 섬유(18a, 20a; 18b, 20b; 18c, 20c)가 하나 이상의 추가 부직포 재료 층(14a; 14b; 14c) 내로 삽입되는 직물 복합 재료.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하나 이상의 부직포 재료 층(12a; 12b; 12c)과 하나 이상의 추가 부직포 재료 층(14a; 14b; 14c)이 서로 니들링되고, 하나 이상의 추가 부직포 재료 층(14a; 14b; 14c) 내로 삽입되는 부직포 재료 층(12a; 12b; 12c)의 섬유(18a, 20a; 18b, 20b; 18c, 20c) 중 대부분이 하나 이상의 추가 부직포 재료 층(14a; 14b; 14c)의 최대 부직포 재료 층 두께(22a; 22b; 22c)의 최대 50%까지 하나 이상의 추가 부직포 재료 층(14a; 14b; 14c) 내로 연장되는 직물 복합 재료.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하나 이상의 접착제 층(28a; 28b)이 하나 이상의 부직포 재료 층(12a; 12b)으로부터 이격되는 방향으로 향하는 하나 이상의 추가 부직포 재료 층(14a; 14bc)의 측면에 배열되는 직물 복합 재료.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하나 이상의 커버 층(32a; 32b; 32c)이 하나 이상의 부직포 재료 층(12a; 12b; 12c)으로부터 이격되는 방향으로 향하는 하나 이상의 추가 부직포 재료 층(14a; 14b; 14c)의 측면에 배열되는 직물 복합 재료.
  7. 제6항에 있어서, 하나 이상의 커버 층(32c)이 하나 이상의 추가 부직포 재료 층(14c)에 기계적으로 연결되는 직물 복합 재료.
  8. 제5항 또는 제6항에 있어서, 하나 이상의 커버 층(32a; 32b)이 하나 이상의 접착제 층(28a; 28b)을 통하여 하나 이상의 추가 부직포 재료 층(14a; 14b)에 고정되는 직물 복합 재료.
  9.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하나 이상의 부직포 재료 층(12a; 12b; 12c)은 15 dtex 초과의 선형 질량 밀도값을 갖는 하나 이상의 기능성 섬유(26a, 26b, 26c)를 포함하고, 하나 이상의 부직포 재료 층(12a; 12b; 12c)의 하나 이상의 결합제 섬유(36a; 36b; 36c)가 5 dtex 초과의 선형 질량 밀도값을 가지며, 및/또는 하나 이상의 추가 부직포 재료 층(14a; 14b; 14c)은 15 dtex 초과의 선형 질량 밀도값을 갖는 하나 이상의 기능성 섬유(40a; 40b; 40c)를 포함하고, 하나 이상의 추가 부직포 재료 층(14a; 14b; 14c)의 하나 이상의 결합제 섬유(38a; 38b; 38c)는 5 dtex 초과의 선형 질량 밀도값을 갖는 직물 복합 재료.
  10.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하나 이상의 부직포 재료 층(12a)는 중공 섬유로 구성되는 하나 이상이 기능성 섬유(26a)를 포함하는 직물 복합 재료.
  11.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하나 이상의 부직포 재료 층(12a)은 별 형상, 사각형, 삼엽형, 편자(horseshoe)형 또는 원형 단면을 갖는 하나 이상의 기능성 섬유(26a)를 포함하는 직물 복합 재료.
  12. 제7항에 있어서, 하나 이상의 커버 층(32c)은 하나 이상의 부직포 재료 층(12c) 및/또는 하나 이상의 추가 부직포 재료 층(14c)에 재봉되는 직물 복합 재료.
  13. 제1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하나 이상의 추가 보강 층(34b)을 포함하는 직물 복합 재료.
  14. 제6항에 있어서, 하나 이상의 추가 보강 층(34b)은 하나 이상의 추가 부직포 재료 층(14b)과 하나 이상의 커버 층(32b) 사이에 배열되는 직물 복합 재료.
  15. 제1항 내지 제14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하나 이상의 직물 복합 재료를 갖는 시트 커버.
KR1020177031184A 2015-04-16 2016-04-15 직물 복합 재료 KR20170137794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2015105845.6 2015-04-16
DE102015105845.6A DE102015105845A1 (de) 2015-04-16 2015-04-16 Textilverbundmaterial
PCT/EP2016/058402 WO2016166322A1 (de) 2015-04-16 2016-04-15 Textilverbundmaterial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37794A true KR20170137794A (ko) 2017-12-13

Family

ID=558023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7031184A KR20170137794A (ko) 2015-04-16 2016-04-15 직물 복합 재료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20180104929A1 (ko)
EP (1) EP3283288A1 (ko)
JP (1) JP2018513037A (ko)
KR (1) KR20170137794A (ko)
CN (1) CN107810109A (ko)
DE (1) DE102015105845A1 (ko)
WO (1) WO2016166322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96789B1 (ko) * 2016-11-03 2018-09-0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외관 품질 및 내구성이 우수한 하이브리드 천연가죽의 제조방법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NL295050A (ko) * 1962-07-09
DD75295A1 (de) * 1969-08-11 1970-08-12 Nadelvliesstoff für wand- und deckenauskleidung
US6030907A (en) * 1996-07-29 2000-02-29 Sowa Chemical Co., Ltd. Composite substrate for plastic reinforcement, and fiber-reinforced plastic using such composite substrate
DE10314552A1 (de) * 2003-03-31 2004-10-14 Rieter Automatik Gmbh Verfahren und Vorrichtung zur Herstellung eines Verbundvlieses
WO2006066601A1 (de) * 2004-12-15 2006-06-29 Carl Freudenberg Kg Thermoformbares trägerteil
DE102006006405A1 (de) * 2006-02-11 2007-08-23 HÄNSEL VERBUNDTECHNIK GmbH Vliesstoffträger für textile Klebebänder
DE102009014290A1 (de) * 2009-03-25 2010-09-30 Carl Freudenberg Kg Thermisch fixierbarer Einlagevliesstoff, Verfahren zu dessen Herstellung und Verwendung
DE102009022647B4 (de) * 2009-05-26 2017-08-24 Tenowo GmbH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s voluminösen Polstervliesstoffes
DE102012108308A1 (de) * 2012-03-26 2013-09-26 Car Trim Gmbh Sitzbezug für Flugzeugsitz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102015105845A1 (de) 2016-10-20
WO2016166322A1 (de) 2016-10-20
EP3283288A1 (de) 2018-02-21
US20180104929A1 (en) 2018-04-19
JP2018513037A (ja) 2018-05-24
CN107810109A (zh) 2018-03-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44729B1 (ko) 부직포 구성요소와 폼 재료 구성요소를 포함하는 시트 커버의 적층용 텍스타일 복합 재료
JP7201579B2 (ja) 平面状複合材料
KR101494507B1 (ko) 보강된 부직포
US20230068055A1 (en) Liner for upholstered furniture
US20080070465A1 (en) High loft nonwoven for foam replacement
CN108698361A (zh) 多层声学和/或增强非织造织物
US20180363183A1 (en) Cross-lapped multilayer fibrous batt and method of making the same
KR101856917B1 (ko) 부직포 성분과 폼 재료 성분을 포함하는 시트 커버의 적층용 텍스타일 복합 재료
EP1304409B1 (en) Two-layer laminate
JP2013099936A (ja) 繊維基材及びこれを用いた内装材
KR20170137794A (ko) 직물 복합 재료
KR101117779B1 (ko) 인조 잔디용 기포지에 이용되는 폴리에스테르계 부직포 및 직물의 이중층 합성 직물
JP5538232B2 (ja) 吸音材固定板
JP4908916B2 (ja) 自動車用内装基材
JP2011120926A5 (ko)
KR102200418B1 (ko) 에어백 쿠션 및 그 제조방법
JP5183159B2 (ja) 自動車用内装材及び自動車用内装基材
JP2010188894A (ja) 自動車内装材用基材及び自動車内装材
JP5705464B2 (ja) 靴中敷
KR101866290B1 (ko) 차량용 커버링 셀프 및 그 제조방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