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74875A - 화장 시트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화장 시트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74875A
KR20170074875A KR1020177010534A KR20177010534A KR20170074875A KR 20170074875 A KR20170074875 A KR 20170074875A KR 1020177010534 A KR1020177010534 A KR 1020177010534A KR 20177010534 A KR20177010534 A KR 20177010534A KR 20170074875 A KR20170074875 A KR 2017007487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ll
film
resin
temperature
cool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70105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40175B1 (ko
Inventor
가즈타카 유후
Original Assignee
리켄 테크노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리켄 테크노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리켄 테크노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7007487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7487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4017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4017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7/00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 B32B37/10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characterised by the pressing technique, e.g. using action of vacuum or fluid pressu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7/00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 B32B37/12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characterised by using adhesives
    • B32B37/1207Heat-activated adhesiv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3/00Lining or sheathing, i.e. applying preformed layers or sheathings of plastics; Apparatus therefor
    • B29C63/02Lining or sheathing, i.e. applying preformed layers or sheathings of plastics; Apparatus therefor using sheet or web-like material
    • B29C63/04Lining or sheathing, i.e. applying preformed layers or sheathings of plastics; Apparatus therefor using sheet or web-like material by folding, winding, bending or the lik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6/00General aspects of processes or apparatus for joining preformed parts
    • B29C66/01General aspects dealing with the joint area or with the area to be joined
    • B29C66/02Preparation of the material, in the area to be joined, prior to joining or welding
    • B29C66/024Thermal pre-treatments
    • B29C66/0244Cool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6/00General aspects of processes or apparatus for joining preformed parts
    • B29C66/01General aspects dealing with the joint area or with the area to be joined
    • B29C66/03After-treatments in the joint area
    • B29C66/034Thermal after-treatments
    • B29C66/0342Cooling, e.g. transporting through welding and cooling zon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0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0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 B32B27/0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of synthetic resi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7/00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 B32B37/06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characterised by the heating metho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7/00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 B32B37/08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characterised by the cooling metho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7/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on between layer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ve orientation of features between layers, or by the relative values of a measurable parameter between layers, i.e. products comprising layers having different 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04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12Interconnection of layers using interposed adhesives or interposed materials with bonding propert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7/00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 B32B37/12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characterised by using adhesives
    • B32B37/1207Heat-activated adhesive
    • B32B2037/1215Hot-melt adhesive
    • B32B2037/1223Hot-melt adhesive film-shap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9/00Parameters for the laminating or treatment process; Apparatus details
    • B32B2309/02Temperatu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451/00Decorative or ornamental articl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luid Mechan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Laminated Bodies (AREA)
  • Lining Or Joining Of Plastic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도공 스트리크나 주름 등의 외관 불량이 없고, 신장성이 뛰어난 수지 도막을 갖는 화장 시트(decorative-sheet)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으로서,
화장 시트의 제조방법으로서, (α) 예열된 회전하는 가열 드럼 위에, 열가소성 수지 필름(a)을 압착하고, 이어서 상기 필름(a) 위에, 최표층측으로부터 차례로, 핫멜트 접착제층, 수지 도막, 박리 코팅층, 및 필름 기재를 갖는 전사 필름(b)을, 상기 핫멜트 접착제층이 상기 필름(a)측이 되도록 압착하는 공정; (β) 상기 공정 (α)에서 얻은 압착체를, 회전하는 의장 부여 롤과 회전하는 받침 롤의 사이에, 전사 필름(b)이 의장 부여 롤측이 되도록 투입, 공급하는 공정; (γ) 상기 공정 (β)에서 얻은 적층 시트를, 온도 50℃∼90℃로 설정된 제 1 냉각 롤(chill roll), 및 온도 20∼70℃이고, 또한 제 1 냉각 롤 온도보다도 낮은 온도로 설정된 제 2 냉각 롤에 차례차례 통과시켜 냉각하는 공정; 을 포함하는 방법이다.

Description

화장 시트의 제조방법{DECORATIVE-SHEET MANUFACTURING METHOD}
본 발명은, 화장 시트(decorative-sheet)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도공 스트리크(塗工筋; coating streak)나 주름 등의 외관 불량이 없고, 신장성이 뛰어난 수지 도막을 갖는 화장 시트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부터, 장식 선반, 수납장, 식기찬장, 및 책상 등의 가구; 냉장고, 세탁기, 에어컨, 모바일폰, 및 PC 등의 가전제품; 또는 마루, 벽, 및 욕실 등의 건축 부재로서, 목재, 합판, 집성재, 파티클 보드, 및 하드 보드 등의 목질(木質)계 재료로 이루어지는 기재(基材)의 표면에; 또는 철, 및 알루미늄 등의 금속계 재료로 이루어지는 기재의 표면에 화장 시트를 맞붙(貼合)여서 가식(加飾) 화장된 것이 사용되고 있다. 화장 시트에는 장식성은 물론이거니와, 내흠집성, 내마모성, 및 내오염성 등을 높은 레벨로 골고루 갖는 것이 요구된다.
화장 시트에 상기와 같은 특성을 부여하기 위해, 기재가 되는 열가소성 수지 필름의 표면에 수지 조성물 도료를 도포하여 수지 도막을 형성하는 것이 널리 실시되고 있다. 그러나, 기재에 도료를 도포할 때에, 도공 스트리크가 들어가기 쉽다는 문제가 있었다. 특히, 상기 열가소성 수지 필름으로서 폴리올레핀계 수지 필름, 폴리에스테르계 수지 필름 등을 이용하는 경우에는, 도공 스트리크가 큰 문제가 되기 쉽다. 또 화장 시트를 멤브렌 프레스 성형, 진공압공 성형 등에 적용했을 때, 수지 조성물 도료로 이루어지는 수지 도막은 신장성이 낮기 때문에, 화장 시트의 변형에 의해, 갈라지기 쉽다는 문제가 있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가열 드럼 상에, 예열된 제 1 폴리염화비닐 시트를 압착하고, 또한 그 위에 예열된 적어도 1층의 다른 폴리염화비닐 시트를 압착하며, 또 그 위에 전사 필름을 압착하고, 이어서 의장 부여 롤에 거는 것으로 이루어지는, 멤브렌 프레스 성형용 폴리염화비닐 시트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해당 전사 필름이 표층측부터 차례차례 폴리에스테르 필름, 박리 코팅층, 수지 코팅층 및 핫멜트 코팅층을 적층한 구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조방법.」(특허문헌 1)이 제안되어 있다. 그러나, 이 기술에서도, 특히 고광택으로 경면(鏡面)에 가까운 마무리를 하는 경우에는 불충분한 것이었다.
일본국 특개평4-241943호 공보
본 발명의 과제는, 도공 스트리크나 주름 등의 외관 불량이 없고, 신장성이 뛰어난 수지 도막을 갖는 화장 시트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자는, 예의 연구한 결과, 특정의 제조방법에 의해 상기 과제를 달성할 수 있는 것을 발견했다.
즉, 본 발명은, 화장 시트의 제조방법으로서,
(α) 예열된 회전하는 가열 드럼 위에, 열가소성 수지 필름(a)을 압착하고, 이어서 상기 필름(a) 위에, 최표층측부터 차례로, 핫멜트 접착제층, 수지 도막, 박리 코팅층, 및 필름 기재를 갖는 전사 필름(b)을, 상기 핫멜트 접착제층이 상기 필름(a)측이 되도록 압착하는 공정;
(β) 상기 공정 (α)에서 얻은 압착체를, 회전하는 의장 부여 롤과 회전하는 받침 롤의 사이에, 전사 필름(b)이 의장 부여 롤측이 되도록 투입, 공급하는 공정;
(γ) 상기 공정 (β)에서 얻은 적층 시트를, 온도 50℃∼90℃로 설정된 제 1 냉각 롤(chill roll), 및 온도 20∼70℃이고, 또한 제 1 냉각 롤 온도보다도 낮은 온도로 설정된 제 2 냉각 롤에 차례차례 통과시켜 냉각하는 공정;을 포함하는 방법이다.
제 2 발명은, 추가로 제 3 냉각 롤을 제 1 냉각 롤의 앞에 구비하며, 제 3 냉각 롤의 온도가, 제 1 냉각 롤의 온도를 넘고, 또한 상기 공정 (β)에서 얻은 적층 시트의 온도 미만으로 설정되어 있는, 제 1 발명에 기재한 방법이다.
제 3 발명은, 의장 부여 롤, 받침 롤, 가열 드럼, 제 1 냉각 롤, 제 2 냉각 롤, 및 제 3 냉각 롤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에, 스위퍼 롤이 압착되어 있는, 제 1 발명 또는 제 2 발명에 기재한 방법이다.
제 4 발명은, 제 1∼3 발명 중 어느 하나에 기재한 방법에 의해 생산된 화장 시트이다.
본 발명의 제조방법에 의해, 도공 스트리크나 주름 등의 외관 불량이 없고, 신장성이 뛰어난 수지 도막을 갖는 화장 시트를 용이하게 얻을 수 있다. 그 때문에 본 발명의 제조방법에 의해 얻어지는 화장 시트는, 멤브렌 프레스 성형성, 진공 성형성, 진공압공 성형성, 및 랩핑 성형성이 뛰어나서, 장식 선반, 수납장, 식기찬장, 및 책상 등의 가구; 냉장고, 세탁기, 에어컨, 모바일폰, 및 PC 등의 가전제품; 마루, 벽, 및 욕실 등의 건축 부재; 등의 가식 화장에 적합하게 이용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조방법의 바람직한 실시양태의 일례를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공정 (α)
본 발명의 제조방법은, 화장 시트의 제조방법으로서, (α) 예열된 회전하는 가열 드럼 위에, 열가소성 수지 필름(a)을 압착하고, 이어서 상기 필름(a) 위에, 최표층측부터 차례로, 핫멜트 접착제층, 수지 도막, 박리 코팅층, 및 필름 기재를 갖는 전사 필름(b)을, 상기 핫멜트 접착제층이 상기 필름(a)측이 되도록 압착하는 공정;을 포함한다.
상기 가열 드럼은, 다음 공정 (β)에 있어서, 상기 열가소성 수지 필름(a)과 상기 전사 필름(b)이 충분한 층간 강도로 접착되도록, 그리고 필름(b)의 수지 도막의 표면에 임의의 의장을 가할 수 있도록, 필름(a)과 필름(b)을 예열하는 기능을 한다. 그 때문에, 가열 드럼의 온도는, 이용하는 필름(a)의 종류에도 따르지만, 통상 100℃ 이상, 바람직하게는 130℃ 이상으로 설정된다. 또 필름(a)과 가열 드럼이 부착하여 떨어지지 않게 되는 등의 성형 트러블을 방지하는 관점에서, 가열 드럼의 온도는, 이용하는 필름(a)의 종류에도 따르지만, 통상 210℃ 이하, 바람직하게는 190℃ 이하로 설정된다.
압착하는 순번은, 우선 가열 드럼 위에 상기 열가소성 수지 필름(a), 이어서 그 위에 상기 전사 필름(b)이다. 이것에 의해 필름(a)과 필름(b)의 층간에 공기가 말려 들어간다는 트러블을 억제할 수 있다.
상기 열가소성 수지 필름(a)은, 본 발명의 제조방법에 의해 얻어지는 화장 시트의 기재가 되는 필름이다. 하기와 같이, 멤브렌 프레스 성형성, 진공 성형성, 진공압공 성형성, 및 랩핑 성형성의 관점에서, 폴리염화비닐계 수지 필름이나 비정성(非晶性) 또는 저결정성 방향족 폴리에스테르계 수지 필름이 특히 바람직하다. 폴리염화비닐계 수지 필름과 비정성 또는 저결정성 방향족 폴리에스테르계 수지 필름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상기 최표층측부터 차례로, 핫멜트 접착제층, 수지 도막, 박리 코팅층, 및 필름 기재를 갖는 전사 필름(b)은, 얻어지는 화장 시트에 도공 스트리크가 없고, 신장성이 뛰어난 도막을 부여하기 위해 이용한다.
또한 공정 (α) 후, 공정 (β)에 들어가기 전; 공정 (β) 후, 공정(γ)에 들어가기 전; 및 공정(γ) 후; 중 어디에서, 필름(b)의 박리 코팅층과 필름 기재는, 수지 도막과 박리 코팅층의 계면에 있어서, 박리·제거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제조방법에서 얻어지는 화장 시트는, 표층측부터 차례로, 수지 도막, 핫멜트 접착제층, 필름(a)을 갖는 적층 시트이다.
폴리염화비닐계 수지 필름이나 비정성 또는 저결정성 방향족 폴리에스테르계 수지 필름은, 멤브렌 프레스 성형성, 진공 성형성, 진공압공 성형성, 및 랩핑 성형성은 우수하지만, 그 표면에 수지 조성물 도료를 도포하여 도막을 형성하기 위한 필름 기재로는, 강성, 내열성, 및 내용제성이 불충분하고, 도공 스트리크가 들어가기 쉽다. 또 도료의 설계나 도료의 도포 조건에, 필름 기재의 강성 등을 고려하지 않으면 안 된다는 제약이 걸리기 때문에, 신장성이 뛰어난 도막을 얻는 것이 어렵다. 한편, 강성, 내열성, 및 내용제성이 뛰어나고, 그 표면에 양호한 도막을 형성할 수 있는 필름은, 멤브렌 프레스 성형성, 진공 성형성, 진공압공 성형성, 및 랩핑 성형성은 불충분하다.
그래서 본 발명의 제조방법에 있어서는, 강성, 내열성, 및 내용제성이 뛰어난 필름을 기재로 하여, 이것에 박리 코팅층, 수지 도막, 핫멜트 접착제층을 차례차례 형성한 전사 필름(b)을 이용하고, 이 필름(b)을 그 핫멜트 접착제층이 필름(a)측이 되도록 압착하고, 다음 공정 (β)에서 압압하여 적층함으로써, 도공 스트리크가 없고, 신장성이 뛰어난 수지 도막을 갖는 화장 시트를 얻을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예열된 회전하는 가열 드럼 위에, 상기 열가소성 수지 필름(a)을 압착할 때에, 사전에 필름(a)을 예열해 두어도 된다. 마찬가지로, 상기 전사 필름(b)을, 그 핫멜트 접착제층이 필름(a)측이 되도록, 압착할 때에, 사전에 필름(b)을 예열해 두어도 된다.
공정 (β)
본 발명의 제조방법은, (β) 상기 공정 (α)에서 얻은 압착체를, 회전하는 의장 부여 롤과 회전하는 받침 롤의 사이에, 상기 전사 필름(b)이 의장 부여 롤측이 되도록 투입, 공급하는 공정;을 포함한다.
상기 공정 (α)에서 형성된 압착체는, 회전하는 의장 부여 롤과 회전하는 받침 롤의 사이에, 상기 전사 필름(b)이 의장 부여 롤측이 되도록 투입, 공급됨으로써, 강하게 압압(押壓)되어 상기 열가소성 수지 필름(a)과 필름(b)이 충분한 층간 강도로 접착하여 필름(b)의 수지 도막의 박리 코팅측 면에는 임의의 의장이 가해진다. 그 때문에, 의장 부여 롤은, 통상 10℃ 이상, 바람직하게는 40℃ 이상으로 예열되어 있다. 또 성형 트러블을 방지하기 위해, 의장 부여 롤의 예열 온도는 통상 150℃ 이하, 바람직하게는 120℃ 이하이다. 받침 롤은, 통상은 예열되지 않지만, 제한되지 않고, 소망에 따라 예열해도 된다.
상기 의장 부여 롤로는, 통상, 금속 표면 롤이 사용되지만, 제한되지 않고, 세라믹 표면을 갖는 롤, 실리콘 고무 등의 내열 고무 표면을 갖는 롤 등 임의의 롤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의장 부여 롤로서 경면 롤을 사용하면, 상기 전사 필름(b)의 수지 도막의 박리 코팅측 면에는, 고광택인 경면형상 의장이 가해진다.
전사 필름(b)의 박리 코팅층과 필름 기재의 박리·제거를, 공정 (β)보다도 뒤에 실시하는 경우에는, 경면 롤에 의한 수지 도막의 압압은 박리 코팅층과 필름 기재를 개재하여 실시된다. 따라서, 수지 도막을 직접적으로 압압하는 것은, 박리 코팅층의 수지 도막측 면이 되므로, 박리 코팅층의 수지 도막측 면은, 고도로 평활한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면, 필름(b)의 제조 시에, 박리 코팅층을 형성 후, 수지 도막을 형성하기 전에 있어서, 박리 코팅층의 수지 도막 형성면(수지 도막측 면)의, JIS K 7105-1981에 따라 측정한 60°그로스는, 바람직하게는 80%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88%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90% 이상이다.
상기 의장 부여 롤로서 조각 롤을 사용하면, 상기 전사 필름(b)의 수지 도막의 박리 코팅측 면에는 요철 모양의 의장이 가해진다. 또 조각 롤의 요철 모양을 전사 필름(b)의 수지 도막의 박리 코팅측 면에 양호하게 조각하기 위해, 전사 필름(b)의 박리 코팅층과 필름 기재를, 공정 (α) 후, 공정 (β)에 들어가기 전에 제거하여 조각 롤이 수지 도막을 직접 압압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요철 모양은, 의장성의 관점에서 임의로 선택된다. 예를 들면, 나뭇결 무늬나 가죽 주름 등의 천연 소재를 본뜬 의장; 금속을 가공한 것 같은 헤어라인 모양; 격자무늬, 스트라이프 모양, 및 물방울 모양 등의 기하 추상무늬; 등을 들 수 있고, 이들을 단독으로 또는 복수의 조합으로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요철 모양을 조각 롤 표면에 조각하는 방법은 제한되지 않고 임의의 방법을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조각 밀롤(mill roll)에 의한 엠보싱법이나 산 부식에 의한 에칭법; 다이아몬드 스타일러스를 사용한 기계 조각법; CO2 레이저나 YAG 레이저 등을 사용한 레이저 조각법; 및 샌드 블라스트법; 등을 들 수 있다.
또 상기 의장 부여 롤의 표면에는, 부식이나 흠집으로부터의 보호를 목적으로 하여 크롬 도금이나 철-인 합금 도금, PVD법이나 CVD법에 의한 경질 카본 처리 등을 실시할 수 있다.
상기 받침 롤은, 통상, 실리콘 고무 등의 내열 고무 표면을 갖는 롤이 사용되지만, 제한되지 않고, 임의의 롤을 사용할 수 있다.
공정(γ)
본 발명의 제조방법은, (γ) 상기 공정 (β)에서 얻은 적층 시트를, 온도 50℃∼90℃로 설정된 제 1 냉각 롤, 및 온도 20∼70℃이고, 또한 제 1 냉각 롤 온도보다도 낮은 온도로 설정된 제 2 냉각 롤에 차례차례 통과시켜 냉각하는 공정;을 포함한다.
종래, 적층 시트의 냉각은, 제 1 냉각 롤을 충분히 낮은 온도로 설정하여 급속히 실시되고 있었다. 그러나, 본 발명자는, 수지 도막에 나타나는 주름 등의 외관 불량은, 열가소성인 상기 열가소성 수지 필름(a)과 상기 전사 필름(b)의 수지 도막의, 급냉했을 때의 수축 거동의 차이에 기인하는 것, 및, 냉각이 서서히 진행되도록 냉각 롤 온도를 높은 온도부터 낮은 온도로 차례차례 설정함으로써, 수축 거동의 차이에 기인하는 외관 불량이 해소되는 것을 발견했다.
상기 공정 (β)에서 얻은 적층 시트는, 상기 가열 드럼이 통상 100∼210℃, 바람직하게는 130∼190℃로, 상기 의장 부여 롤이 통상 10∼150℃, 바람직하게는 40∼120℃로 예열되어 있기 때문에, 공정(γ)에 들어가기 전에는, 통상, 90∼150℃ 정도, 바람직하게는 100∼120℃ 정도의 온도 상태에 있다. 그래서 상기 적층 시트를 최초로 통과시키는 제 1 냉각 롤은 온도 50∼90℃, 바람직하게는 온도 70∼80℃로 설정한다. 이어서 통과시키는 제 2 냉각 롤은 온도 20∼70℃, 바람직하게는 온도 50∼60℃이고, 또한 제 1 냉각 롤 온도보다도 낮은 온도로 설정한다.
또 더욱 천천히 냉각하기 위해, 제 1 냉각 롤 전에, 제 3 냉각 롤을 설치하여, 그 온도를 제 1 냉각 롤의 온도를 넘고, 또한 상기 적층 시트의 온도 미만으로 설정하는 것도 바람직하다.
또 제 1 냉각 롤은 반드시 1개의 냉각 롤일 필요는 없고, 연속하는 복수 개의 냉각 롤을 제 1 냉각 롤로서 사용해도 된다. 제 2 냉각 롤이나 제 3 냉각 롤에 대해서도 마찬가지이다.
본 발명의 제조방법을, 도 1에 의해 더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조방법의 바람직한 실시형태의 일례를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온도 100∼210℃, 바람직하게는 온도 130∼190℃로 예열되고, 화살표 방향으로 회전하는 가열 드럼(3) 위에, 열가소성 수지 필름(a)(1)은 압착 롤(9)에 의해 압착된다. 압착 롤(9)은 예열 롤을 겸해도 된다. 이어서 필름(a)(1) 위에, 최표층측부터 차례로, 핫멜트 접착제층, 수지 도막, 박리 코팅층, 및 필름 기재를 갖는 전사 필름(b)(2)이, 상기 핫멜트 접착제층이 필름(a)(1)측이 되도록 압착 롤(10)에 의해 압착된다. 압착 롤(10)은 예열 롤을 겸해도 된다. 이렇게 하여 얻어진 압착체는, 가이드 롤(11)에 있어서, 가열 드럼(3)으로부터 릴리스(release)된다.
릴리스된 압착체는, 온도 10∼150℃, 바람직하게는 온도 40∼120℃로 예열된 화살표 방향으로 회전하는 의장 부여 롤(4)과 화살표 방향으로 회전하는 받침 롤(5)의 사이에, 전사 필름(b)(2)이 의장 부여 롤(4)측이 되도록 투입, 공급되어 압압됨으로써, 열가소성 수지 필름(a)(1)과 전사 필름(b)(2)은 충분한 층간 강도로 접착하여 적층 시트(14)가 얻어진다. 또 필름(b)(2)의 수지 도막의 박리 코팅측 면에는, 의장 부여 롤(4)에 대응하는 의장이 가해진다.
이때, 가열 드럼(3)에 있어서의 라인 속도와, 의장 부여 롤(4)에 있어서의 라인 속도는 동조하고 있어도 되고, 동조하고 있지 않아도 된다. 소망에 따라, 가열 드럼(3)에 있어서의 라인 속도보다도 의장 부여 롤(4)에 있어서의 라인 속도를 1∼20% 정도 높여도 되고, 반대로 가열 드럼(3)에 있어서의 라인 속도보다도 의장 부여 롤(4)에 있어서의 라인 속도를 1∼3% 정도 늦춰도 된다.
또 의장 부여 롤(4)에는, 스위퍼 롤(15)이 압착되어 있다. 스위퍼 롤(15)은 부틸 고무, 실리콘 고무, 및 불소 고무 등의 고무 표면을 갖는 롤이며, 의장 부여 롤(4)에 부착한 이물을 제거하여 제품 수율을 향상시키는 기능을 한다. 마찬가지의 스위퍼 롤을, 가열 드럼(3), 받침 롤(5), 냉각 롤(6, 7, 8)에 설치해도 된다.
상기에서 얻어진 적층 시트는, 냉각 롤(6, 7, 8)에 차례로 통과됨으로써 서서히 냉각되어 외관이 양호한 화장 시트가 얻어진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냉각 롤(7)이 제 1 냉각 롤에 상당하고, 온도 50∼90℃, 바람직하게는 온도 70∼80℃로 설정되어 있다. 냉각 롤(8)이 제 2 냉각 롤에 상당하고, 온도 20∼70℃, 바람직하게는 온도 50∼60℃이고, 또한 냉각 롤(7)보다도 낮은 온도로 설정되어 있다. 냉각 롤(6)이 제 3 냉각 롤에 상당하고, 냉각 롤(7)의 온도를 넘고, 또한 적층 시트(14)의 온도(통상, 90∼150℃ 정도, 바람직하게는 100∼120℃ 정도이다.) 미만으로 설정되어 있다.
전사 필름(b)(2)의 필름 기재와 박리 코팅층의 박리·제거는, 가이드 롤(12)을 이용하여 공정 (α) 후, 공정 (β)에 들어가기 전; 가이드 롤(13)을 이용하여 공정 (β) 후, 공정(γ)에 들어가기 전; 및 공정(γ) 후; 중 어디에서 실시되어, 표면부터 차례로 수지 도막, 핫멜트 접착제층, 열가소성 수지 필름(a)(1)을 갖는 적층 시트로서 화장 시트가 얻어진다.
열가소성 수지 필름(a)
상기 열가소성 수지 필름(a)으로는, 제한되지 않고, 임의의 필름을 이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폴리염화비닐, 및 염화비닐·초산비닐 공중합체 등의 폴리염화비닐계 수지; 방향족 폴리에스테르, 및 지방족 폴리에스테르 등의 폴리에스테르계 수지;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및 폴리메틸펜텐 등의 폴리올레핀계 수지; 폴리스티렌,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티렌 공중합 수지(ABS 수지), 스티렌·에틸렌·부타디엔·스티렌 공중합체, 스티렌·에틸렌·프로필렌·스티렌 공중합체, 및 스티렌·에틸렌·에틸렌·프로필렌·스티렌 공중합체 등의 스티렌계 수지; 폴리(메타)아크릴산 메틸 등의 아크릴계 수지; 폴리카보네이트계 수지; 셀로판, 트리아세틸셀룰로오스, 디아세틸셀룰로오스, 및 아세틸셀룰로오스부틸레이트 등의 셀룰로오스계 수지; 폴리염화비닐리덴계 수지; 폴리불화비닐리덴 등의 함불소계 수지; 그 외, 폴리비닐알코올, 에틸렌비닐알코올, 폴리에테르에테르케톤, 나일론, 폴리아미드, 폴리이미드, 폴리우레탄, 폴리에테르이미드, 폴리술폰, 및 폴리에테르술폰; 등의 수지, 및 이들의 1종 또는 2종 이상의 수지 혼합물, 및 이들의 수지 조성물의 필름을 들 수 있다. 이러한 필름은, 무연신 필름, 1축 연신 필름, 및, 2축 연신 필름을 포함한다. 또한 이러한 필름은, 이러한 필름의 1종 이상을 2층 이상 적층한 적층 필름을 포함한다.
또 상기 열가소성 수지 필름(a)의 제막(製膜)에 이용하는 열가소성 수지에는, 본 발명의 목적에 반하지 않는 범위 내에 있어서, 안료, 무기 필러, 유기 필러, 수지 필러; 활제(滑劑), 산화 방지제, 내후성 안정제, 열안정제, 이형제, 핵제, 대전 방지제, 및 계면활성제 등의 첨가제; 가소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들 중에서, 폴리염화비닐계 수지 필름; 비정성 또는 저결정성 방향족 폴리에스테르계 수지 필름; 및 폴리올레핀계 수지 필름;이 바람직하다. 화장 시트를 멤브렌 프레스 성형성, 진공 성형성, 진공압공 성형성, 및 랩핑 성형성 등에 적용할 때는, 폴리염화비닐계 수지 필름; 및 비정성 또는 저결정성 방향족 폴리에스테르계 수지 필름;이 특히 바람직하다.
상기 폴리염화비닐계 수지 필름의 제막에 이용하는 폴리염화비닐계 수지로는, 예를 들면, 폴리염화비닐(염화비닐 단독중합체); 염화비닐·초산비닐 공중합체, 염화비닐·(메타)아크릴산 공중합체, 염화비닐·(메타)아크릴산 메틸 공중합체, 염화비닐·(메타)아크릴산 에틸 공중합체, 염화비닐·말레인산 에스테르 공중합체, 염화비닐·에틸렌 공중합체, 염화비닐·프로필렌 공중합체, 염화비닐·스티렌 공중합체, 염화비닐·이소부틸렌 공중합체, 염화비닐·염화비닐리덴 공중합체, 염화비닐·스티렌·무수말레인산 삼원공중합체, 염화비닐·스티렌·아크릴로니트릴 삼원공중합체, 염화비닐·부타디엔 공중합체, 염화비닐·이소프렌 공중합체, 염화비닐·염소화 프로필렌 공중합체, 염화비닐·염화비닐리덴·초산비닐 삼원공중합체, 염화비닐·아크릴로니트릴 공중합체, 염화비닐·각종 비닐에테르 공중합체 등의 염화비닐과 염화비닐과 공중합 가능한 다른 모노머와의 염화비닐계 공중합체; 후(後)염소화비닐 공중합체 등의 폴리염화비닐이나 염화비닐계 공중합체를 개질(염소화 등)한 것; 등을 들 수 있다. 더 나아가서는 염소화 폴리에틸렌 등의, 화학 구조가 폴리염화비닐과 유사한 염소화 폴리올레핀을 포함한다. 폴리염화비닐계 수지로는, 이들의 1종 또는 2종 이상의 혼합물을 이용할 수 있다.
또 상기 폴리염화비닐계 수지에는, 폴리염화비닐계 수지 조성물에 통상 사용되는 다른 수지를 추가로 포함시킬 수 있다. 폴리염화비닐계 수지에 있어서의 다른 수지의 배합 비율은, 본 발명의 목적에 반하지 않는 한 임의이지만, 일반적으로는 0∼40 질량%이며, 바람직하게는 0∼30 질량%, 보다 바람직하게는 5∼25 질량%이다.
상기 다른 수지로는, 예를 들면, 에틸렌·초산비닐 공중합체; 에틸렌·(메타)아크릴산 공중합체, 에틸렌·(메타)아크릴산 메틸 공중합체; 에틸렌·(메타)아크릴산 에틸 공중합체; 메타크릴산 에스테르·스티렌/부타디엔 고무 그래프트 공중합체, 아크릴로니트릴·스티렌/부타디엔 고무 그래프트 공중합체, 아크릴로니트릴·스티렌/에틸렌·프로필렌 고무 그래프트 공중합체, 아크릴로니트릴·스티렌/아크릴산 에스테르 그래프트 공중합체, 메타크릴산 에스테르/아크릴산 에스테르 고무 그래프트 공중합체, 메타크릴산 에스테르·아크릴로니트릴/아크릴산 에스테르 고무 그래프트 공중합체 등의 코어셸 고무; 등을 들 수 있다. 다른 수지로는, 이들의 1종 또는 2종 이상의 혼합물을 이용할 수 있다.
또 상기 폴리염화비닐계 수지에는, 폴리염화비닐계 수지 조성물에 통상 사용되는 가소제를 추가로 포함시킬 수 있다. 상기 가소제의 배합량은, 상기 폴리염화비닐계 수지와 상기 다른 수지와의 합계를 100 질량부로 하여 통상 0∼40 질량부 정도이다.
상기 가소제로는, 예를 들면, 디-2-에틸헥실프탈레이트, 디부틸프탈레이트, 부틸헥실프탈레이트, 디헵틸프탈레이트, 디옥틸프탈레이트, 디이소노닐프탈레이트, 디이소데실프탈레이트, 디라우릴프탈레이트, 디시클로헥실프탈레이트, 디옥틸테레프탈레이트 등의 프탈레이트계 가소제; 디(2-에틸헥실)아디페이트, 디옥틸아디페이트, 디이소노닐아디페이트, 디이소데실아디페이트디(부틸디글리콜)아디페이트 등의 아디페이트계 가소제; 다가 알코올로서, 에틸렌글리콜, 디에틸렌글리콜, 트리에틸렌글리콜, 1,2-프로필렌글리콜, 1,3-프로필렌글리콜, 1,3-부탄디올, 1,4-부탄디올, 1,5-헥산디올, 1,6-헥산디올, 네오펜틸글리콜 등을 이용하고, 이염기산으로서, 옥살산, 말론산, 호박산, 글루타르산, 아디핀산, 피멜린산, 수베린산, 아젤라인산, 세바신산, 프탈산, 이소프탈산, 테레프탈산 등을 이용하고, 필요에 따라 일가 알코올, 모노카르본산을 스토퍼로 사용한 폴리에스테르계 가소제; 에폭시화 대두유, 에폭시화 아마인유 등의 식물유의 에폭시화물; 에폭시스테아린산 에틸헥실 등의 에폭시계 가소제; 그 외, 트리멜리트산계 가소제, 시클로헥산디카르복시레이트계 가소제, 테트라히드로프탈산 디에스테르계 가소제, 글리세린 에스테르계 가소제, 에폭시헥사히드로프탈산 디에스테르계 가소제, 이소소르바이드 디에스테르계 가소제, 포스페이트계 가소제, 아젤라인산계 가소제, 세바신산계 가소제, 스테아린산계 가소제, 구연산계 가소제, 피로멜리트산계 가소제, 비페닐테트라카르본산 에스테르계 가소제, 염소계 가소제 등을 들 수 있다. 가소제로는, 이들의 1종 또는 2종 이상의 혼합물을 이용할 수 있다.
또 상기 폴리염화비닐계 수지에는, 폴리염화비닐계 수지 조성물에 통상 사용되는 물질을 소망에 따라 추가로 포함시킬 수 있다. 포함할 수 있는 임의 성분으로는, 안료, 무기 필러, 유기 필러, 수지 필러; 활제, 산화 방지제, 내후성 안정제, 열안정제, 핵제, 이형제, 대전 방지제, 요소-포름알데히드 왁스, 및 계면활성제 등의 첨가제; 등을 들 수 있다. 이러한 임의 성분의 배합량은, 폴리염화비닐계 수지와 상기 다른 수지와의 합계를 100 질량부로 했을 때, 통상 0.01∼50 질량부 정도이다.
상기 비정성 또는 저결정성 방향족 폴리에스테르계 수지 필름의 제막에 이용하는 비정성 또는 저결정성 방향족 폴리에스테르계 수지로는, 예를 들면, 테레프탈산, 이소프탈산, 오르토프탈산, 나프탈렌디카르본산 등의 방향족 다가 카르본산 성분과 에틸렌글리콜, 디에틸렌글리콜, 네오펜틸글리콜, 1,2-부탄디올, 1,3-부탄디올, 1,4-부탄디올, 1,5-펜탄디올, 3-메틸-1,5-펜탄디올, 2-메틸-1,3-프로판디올, 1,4-시클로헥산디메탄올 등의 다가 알코올 성분과의 폴리에스테르계 공중합체를 들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모노머의 총화를 100 몰%로 하여, 테레프탈산 45∼50 몰% 및 에틸렌글리콜 30∼40 몰%, 1,4-시클로헥산디메탄올 10∼20 몰%를 포함하는 글리콜 변성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ETG); 테레프탈산 45∼50 몰%, 에틸렌글리콜 16∼21 몰% 및 1,4-시클로헥산디메탄올 29∼34 몰%를 포함하는 글리콜 변성 폴리시클로헥실렌디메틸렌 테레프탈레이트(PCTG); 테레프탈산 25∼49.5 몰%, 이소프탈산 0.5∼25 몰% 및 1,4-시클로헥산디메탄올 45∼50 몰%를 포함하는 산 변성 폴리시클로헥실렌디메틸렌 테레프탈레이트(PCTA); 테레프탈산 30∼45 몰%, 이소프탈산 5∼20 몰% 및 에틸렌글리콜 35∼48 몰%, 네오펜틸글리콜 2∼15 몰%, 디에틸렌글리콜 1 몰% 미만, 비스페놀A 1 몰% 미만을 포함하는 산 변성 및 글리콜 변성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테레프탈산 45∼50 몰%, 이소프탈산 0∼5 몰%, 및 1,4-시클로헥산디메탄올 25∼45 몰%, 2,2,4,4-테트라메틸-1,3-시클로부탄디올 5∼25 몰%를 포함하는 공중합체; 등의 1종 또는 2종 이상의 혼합물을 들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는, 가부시키가이샤 퍼킨 엘머 재팬의 Diamond DSC형 시차주사(示差走査) 열량계를 사용하고, 시료를 320℃에서 5분간 보관한 후, 20℃/분의 강온(降溫)속도로 -50℃까지 냉각하고, -50℃에서 5분간 보관한 후, 20℃/분의 승온(昇溫)속도로 320℃까지 가열한다는 온도 프로그램으로 DSC 측정을 실시하여 얻어지는 융해 곡선에 있어서의 융해 열량이, 10J/g 이하의 폴리에스테르를 비결정성, 10J/g를 초과하고 60J/g 이하의 폴리에스테르를 저결정성이라고 정의했다.
상기 비정성 또는 저결정성 방향족 폴리에스테르계 수지에는, 필요에 따라 그 외의 성분을 포함시킬 수 있다. 포함할 수 있는 임의 성분으로는, 비정성 또는 저결정성 방향족 폴리에스테르계 수지 이외의 열가소성 수지; 안료, 무기 필러, 유기 필러, 수지 필러; 활제, 산화 방지제, 내후성 안정제, 열안정제, 이형제, 핵제, 대전 방지제, 및 계면활성제 등의 첨가제;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임의 성분의 배합량은, 비정성 또는 저결정성 방향족 폴리에스테르계 수지를 100 질량부로 했을 때, 통상 0.01∼50 질량부 정도이다.
바람직한 임의 성분으로는 코어셸 고무를 들 수 있다. 이것을 이용함으로써 내충격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코어셸 고무로는, 예를 들면, 메타크릴산 에스테르·스티렌/부타디엔 고무 그래프트 공중합체, 아크릴로니트릴·스티렌/부타디엔 고무 그래프트 공중합체, 아크릴로니트릴·스티렌/에틸렌·프로필렌 고무 그래프트 공중합체, 아크릴로니트릴·스티렌/아크릴산 에스테르 그래프트 공중합체, 메타크릴산 에스테르/아크릴산 에스테르 고무 그래프트 공중합체, 메타크릴산 에스테르·아크릴로니트릴/아크릴산 에스테르 고무 그래프트 공중합체 등을 들 수 있다. 코어셸 고무로는 이들의 1종 또는 2종 이상의 혼합물을 이용할 수 있다.
코어셸 고무의 배합량은, 비정성 또는 저결정성 방향족 폴리에스테르계 수지를 100 질량부로 했을 때, 내충격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바람직하게는 0.5 질량부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1 질량부 이상이다. 또 통상은, 50 질량부 이하, 바람직하게는 45 질량부 이하이다.
상기 전사 필름(b)에 이용하는 상기 필름 기재로는, 예를 들면, 두께 10∼200㎛, 바람직하게는 두께 10∼50㎛의 2축 연신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필름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박리 코팅층의 형성에 이용하는 박리 코팅제로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지만, 폴리에틸렌 왁스, 및 파라핀 왁스 등의 왁스계 코팅제, 실리콘계 코팅제, 불소계 코팅제, 알킬아크릴레이트계 코팅제, 무기계 코팅제, 및 유기 무기 하이브리드계 코팅제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박리 코팅제를 이용하여 박리 코팅층을 형성하는 방법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고, 공지의 웹 도포 방법을 사용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롤 코트, 그라비아 코트, 리버스 코트, 롤 브러시, 스프레이 코트, 에어 나이프 코트 및 다이 코트 등의 방법을 들 수 있다.
상기 수지 도막의 형성에 이용하는 도료로는, 본 발명의 방법에 의해 얻어지는 화장 시트를, 멤브렌 프레스 성형, 진공 성형, 및 진공압공 성형 등의 소위 삼차원 성형에 적용하는 경우에는,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도료를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도료는, 열가소성 수지를 유기용제에 용해시켜 조제되는 도료이며, 이것을 도포 건조함으로써 수지 도막을 형성하는 것이 가능한 것이다.
상기 열가소성 수지로는, 예를 들면, 우레탄계 수지, 폴리에스테르계 수지, 아크릴계 수지, 초산비닐계 수지, 염화비닐계 수지, 실리콘계 수지, 및 불소계 수지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중에서, 우레탄계 수지, 폴리에스테르계 수지, 및 아크릴계 수지가 바람직하다. 열가소성 수지로는, 이들의 1종 또는 2종 이상의 혼합물을 이용할 수 있다.
상기 유기용제로는, 예를 들면, 1-메톡시-2-프로판올, 초산에틸, 초산n-부틸, 톨루엔, 메틸에틸케톤, 메틸이소부틸케톤, 다이아세톤알코올, 및 아세톤 등을 들 수 있다. 유기용제로는, 이들의 1종 또는 2종 이상의 혼합물을 이용할 수 있다.
상기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도료에는, 필요에 따라, 대전 방지제, 계면활성제, 레벨링제, 칙소성 부여제, 오염 방지제, 인쇄성 개량제, 산화 방지제, 내후성 안정제, 내광성 안정제, 자외선 흡수제, 열안정제, 착색제, 필러 등의 첨가제를 1종, 또는 2종 이상 포함시켜도 된다.
상기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도료는, 이러한 성분을 혼합, 교반함으로써 얻어진다.
상기 수지 도막의 형성에 이용하는 도료로는, 본 발명의 방법에 의해 얻어지는 화장 시트를, 랩핑 가공 등의 소위 이차원 성형에 적용하는 경우에는, 활성 에너지선 경화성 수지 조성물을 이용해도 된다. 또 근년에는, 멤브렌 프레스 성형, 진공 성형, 및 진공압공 성형에의 적용이 가능한 활성 에너지선 경화성 수지 조성물도 제안되어 있다(예를 들면, 일본국 특개 2013-064098호 공보.).
상기 활성 에너지선 경화성 수지 조성물은, 자외선이나 전자선 등의 활성 에너지선에 의해 중합·경화하여 하드 코트를 형성하는 것이 가능한 것이며, 활성 에너지선 경화성 수지를, 1 분자 중에 2 이상의 이소시아네이트기(-N=C=O)를 갖는 화합물 및/또는 광중합 개시제와 함께 포함하는 조성물을 들 수 있다.
상기 활성 에너지선 경화성 수지로는, 예를 들면, 폴리우레탄(메타)아크릴레이트, 폴리에스테르(메타)아크릴레이트, 폴리아크릴(메타)아크릴레이트, 에폭시(메타)아크릴레이트, 폴리알킬렌글리콜 폴리(메타)아크릴레이트, 및 폴리에테르(메타)아크릴레이트 등의 (메타)아크릴로일기 함유 프리폴리머 또는 올리고머; 메틸(메타)아크릴레이트, 에틸(메타)아크릴레이트, n-부틸(메타)아크릴레이트, 헥실(메타)아크릴레이트, 2-에틸헥실(메타)아크릴레이트, 라우릴(메타)아크릴레이트, 이소보닐(메타)아크릴레이트, 디시클로펜테닐(메타)아크릴레이트, 디시클로펜테닐옥시에틸(메타)아크릴레이트, 페닐(메타)아크릴레이트, 페닐셀로솔브(메타)아크릴레이트, 2-메톡시에틸(메타)아크릴레이트, 히드록시에틸(메타)아크릴레이트, 히드록시프로필(메타)아크릴레이트, 2-아크릴로일옥시에틸 하이드로겐프탈레이트, 디메틸아미노에틸(메타)아크릴레이트, 트리플루오로에틸(메타)아크릴레이트, 및 트리메틸실록시에틸 메타크릴레이트 등의 (메타)아크릴로일기 함유 단관능 반응성 모노머; N-비닐피롤리돈, 스티렌 등의 단관능 반응성 모노머; 디에틸렌글리콜디(메타)아크릴레이트, 네오펜틸글리콜디(메타)아크릴레이트, 1,6-헥산디올디(메타)아크릴레이트, 폴리에틸렌글리콜디(메타)아크릴레이트, 2,2'-비스(4-(메타)아크릴로일옥시폴리에틸렌옥시페닐)프로판, 및 2,2'-비스(4-(메타)아크릴로일옥시폴리프로필렌옥시페닐)프로판 등의 (메타)아크릴로일기 함유 2관능 반응성 모노머; 트리메틸올프로판트리(메타)아크릴레이트, 트리메틸올에탄트리(메타)아크릴레이트 등의 (메타)아크릴로일기 함유 3관능 반응성 모노머; 펜타에리스리톨테트라(메타)아크릴레이트 등의 (메타)아크릴로일기 함유 4관능 반응성 모노머; 및 디펜타에리스리톨헥사아크릴레이트 등의 (메타)아크릴로일기 함유 6관능 반응성 모노머 등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을, 또는 상기 1종 이상을 구성 모노머로 하는 수지를 들 수 있다. 활성 에너지선 경화성 수지로는, 이들의 1종 또는 2종 이상의 혼합물을 이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 있어서, (메타)아크릴레이트란, 아크릴레이트 또는 메타크릴레이트의 의미이다.
상기 1 분자 중에 2 이상의 이소시아네이트기를 갖는 화합물로는, 예를 들면, 메틸렌비스-4-시클로헥실이소시아네이트; 톨릴렌디이소시아네이트의 트리메틸올프로판 어덕트체, 헥사메틸렌디이소시아네이트의 트리메틸올프로판 어덕트체, 이소포론디이소시아네이트의 트리메틸올프로판 어덕트체, 톨릴렌디이소시아네이트의 이소시아누레이트체, 헥사메틸렌디이소시아네이트의 이소시아누레이트체, 이소포론디이소시아네이트의 이소시아누레이트체, 헥사메틸렌디이소시아네이트의 뷰렛체 등의 폴리이소시아네이트; 및 상기 폴리이소시아네이트의 블록형 이소시아네이트 등의 우레탄 가교제 등을 들 수 있다. 이들을 각각 단독으로 또는 2종 이상을 조합하여 이용할 수 있다. 또, 가교 시에는, 필요에 따라 디부틸주석 디라우레이트, 디부틸주석 디에틸헥소에이트 등의 촉매를 첨가해도 된다.
상기 광중합 개시제로는, 예를 들면, 벤조페논, 메틸-o-벤조일벤조에이트, 4-메틸벤조페논, 4,4'-비스(디에틸아미노)벤조페논, o-벤조일안식향산메틸, 4-페닐벤조페논, 4-벤조일-4'-메틸디페닐설파이드, 3,3',4,4'-테트라(tert-부틸퍼옥시카르보닐)벤조페논, 2,4,6-트리메틸벤조페논 등의 벤조페논계 화합물; 벤조인, 벤조인메틸에테르, 벤조인에틸에테르, 벤조인이소프로필에테르, 벤질메틸케탈 등의 벤조인계 화합물; 아세토페논, 2,2-디메톡시-2-페닐아세토페논, 1-히드록시시클로헥실페닐케톤 등의 아세토페논계 화합물; 메틸안트라퀴논, 2-에틸안트라퀴논, 2-아밀안트라퀴논 등의 안트라퀴논계 화합물; 티오크산톤, 2,4-디에틸티오크산톤, 2,4-디이소프로필티오크산톤 등의 티오크산톤계 화합물; 아세토페논디메틸케탈 등의 알킬페논계 화합물; 트리아진계 화합물; 비이미다졸 화합물; 아실포스핀옥사이드계 화합물; 티타노센계 화합물; 옥심에스테르계 화합물; 옥심페닐 초산에스테르계 화합물; 히드록시 케톤계 화합물; 및 아미노벤조에이트계 화합물 등을 들 수 있다. 이들을 각각 단독으로 또는 2종 이상을 조합하여 이용할 수 있다.
또 상기 활성 에너지선 경화성 수지 조성물은, 필요에 따라, 대전 방지제, 계면활성제, 레벨링제, 칙소성 부여제, 오염 방지제, 인쇄성 개량제, 산화 방지제, 내후성 안정제, 내광성 안정제, 자외선 흡수제, 열안정제, 착색제, 필러 등의 첨가제를 1종, 또는 2종 이상 포함하고 있어도 된다.
또 상기 활성 에너지선 경화성 수지 조성물은, 도공하기 쉬운 농도로 희석하기 위해, 필요에 따라 용제를 포함하고 있어도 된다. 용제는 경화성 수지 조성물의 성분, 및, 그 외의 임의 성분과 반응하거나, 이들 성분의 자기 반응(열화 반응을 포함한다)을 촉매(촉진)하거나 하지 않는 것이면,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1-메톡시-2-프로판올, 초산에틸, 초산n-부틸, 톨루엔, 메틸에틸케톤, 메틸이소부틸케톤, 다이아세톤알코올, 및 아세톤 등을 들 수 있다.
활성 에너지선 경화성 수지 조성물은, 이들 성분을 혼합, 교반함으로써 얻어진다.
상기 수지 도막 형성용 도료를 이용하여 수지 도막을 형성하는 방법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고, 공지의 웹 도포 방법을 사용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롤 코트, 그라비아 코트, 리버스 코트, 롤 브러시, 스프레이 코트, 에어 나이프 코트 및 다이코트 등의 방법을 들 수 있다.
상기 수지 도막의 두께는, 의장성의 관점에서, 5㎛ 이상이 바람직하고, 10㎛ 이상이 보다 바람직하다. 한편, 웹의 핸들링성이나 수지 도막 형성의 작업성의 관점에서, 수지 도막의 두께는, 100㎛ 이하가 바람직하고, 50㎛ 이하가 보다 바람직하다.
상기 핫멜트 접착제층에 이용하는 핫멜트 접착제로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고, 임의의 핫멜트 접착제를 이용할 수 있다. 핫멜트 접착제로는, 예를 들면, 에틸렌·초산비닐 공중합 수지, 폴리에스테르계 수지, 폴리우레탄계 수지, 및 폴리아미드계 수지 등의 핫멜트 접착제를 들 수 있다. 핫멜트 접착제로는, 이들의 1종 또는 2종 이상의 혼합물을 이용할 수 있다.
실시예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에 의해 설명하지만, 본 발명은 이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사용한 원재료
(A) 열가소성 수지 필름(a)
(A-1) 200㎛ 두께의 백색 폴리염화비닐계 수지 필름과 80㎛ 두께의 투명 폴리염화비닐계 수지 필름의 적층 필름.
(A-2) 이스트만 케미컬 컴퍼니의 비정성 방향족 폴리에스테르계 수지 「KODAR PETG GS1(상품명)」 100 질량부, 가부시키가이샤 카네카의 코어셸 고무(메타크릴산에스테르·아크릴로니트릴/부틸아크릴레이트 그래프트 공중합체) 「카네 에이스FM-40(상품명)」 2 질량부, 코그니스 재팬 가부시키가이샤의 활제 「록시올 G78(상품명)」 0.5 질량부, 및 이시하라 산교 가부시키가이샤의 산화 티탄(백색 안료) 「타이페크 CR-60-2(상품명)」 12 질량부의 폴리에스테르계 수지 조성물로 이루어지는 두께 200㎛의 백색 수지 필름과, 이스트만 케미컬 컴퍼니의 비정성 방향족 폴리에스테르계 수지 「KODAR PETG GS1(상품명)」로 이루어지는 두께 80㎛의 투명 수지 필름의 적층 필름.
(B) 전사 필름(b)
(B-1) 두께 12㎛의 2축 연신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계 수지 필름의 한쪽 면에, 폴리에틸렌 왁스로 이루어지는 박리 코팅층을 0.2㎛ 두께로 형성하고, 박리 코팅층 위에, 열가소성 우레탄계 수지 도막을 0.4㎛ 두께로 형성하고, 수지 도막 위에, 폴리에스테르계 핫멜트 접착제층을 0.4㎛ 두께로 형성한 전사 필름.
실시예 1
도 1에 개념도를 나타내는 장치를 사용했다. 180℃로 설정한 가열 드럼(3)에, 상기 (A-1)을, 백색 폴리염화비닐계 수지 필름이 가열 드럼(3)측이 되도록 압착 롤(9)에 의해 압착한 후, 상기 (B-1)을, 상기 (A-1) 위에, 핫멜트 접착제층이 (A-1)측이 되도록 압착 롤(10)에 의해 압착하여 압착체를 얻었다. 이렇게 하여 얻어진 압착체는, 가이드 롤(11)에 있어서, 가열 드럼(3)으로부터 릴리스했다. 다음으로, 상기에서 얻은 압착체를, 온도 110℃로 예열된 화살표 방향으로 회전하는 의장 부여 롤(4)과 화살표 방향으로 회전하는 받침 롤(5)의 사이에, 상기 (B-1)이 의장 부여 롤(4)측이 되도록 투입하고, 압압하여 적층 시트(14)를 얻었다. 여기에서는 고광택 의장을 부여하기 위해, 의장 부여 롤(4)로서 경면 금속 롤을 사용했다. 또 니폰 아비오닉스 가부시키가이샤의 적외선 서모그래피 「Handy Thermo TVS-200(상품명)」을 이용하여 측정한 적층 시트(14)의 온도는 105℃였다. 계속해서, 온도 90℃로 설정된 냉각 롤(6), 온도 75℃로 설정된 냉각 롤(7), 및 온도 50℃로 설정된 냉각 롤(8)을 차례로 통과시켜 외관이 양호한 화장 시트를 얻을 수 있었다.
실시예 2
상기 (A-1) 대신에, 상기 (A-2)를 이용한 것 이외에는, 모두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실시했다. 외관이 양호한 화장 시트를 얻을 수 있었다.
비교예 1
냉각 롤(6)을 사용하지 않고, 냉각 롤(7) 및 냉각 롤(8)의 설정 온도를 30℃로 변경한 것 이외에는, 모두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실시했다. 수지 도막에 주름 등의 외관 불량이 생겨 버렸다.
비교예 2
냉각 롤(6)을 사용하지 않고, 냉각 롤(7) 및 냉각 롤(8)의 설정 온도를 30℃로 변경한 것 이외에는, 모두 실시예 2와 마찬가지로 실시했다. 수지 도막에 주름 등의 외관 불량이 생겨 버렸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대해 설명했지만, 상술의 설명에 의거하여 당업자에게 있어서 여러 가지의 대체예, 수정 또는 변형이 가능하고, 본 발명은 그 취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상술의 여러 가지의 대체예, 수정 또는 변형을 포함하는 것이다.
1: 열가소성 수지 필름(a) 2: 전사 필름(b)
3: 가열 드럼 4: 의장 부여 롤
5: 받침 롤 6: 냉각 롤
7: 냉각 롤 8: 냉각 롤
9: 압착 롤 10: 압착 롤
11: 가이드 롤 12: 가이드 롤
13: 가이드 롤 14: 적층 시트 15: 스위퍼 롤

Claims (4)

  1. 화장 시트의 제조방법으로서,
    (α) 예열된 회전하는 가열 드럼 위에, 열가소성 수지 필름(a)을 압착하고, 이어서 상기 필름(a) 위에, 최표층측부터 차례로, 핫멜트 접착제층, 수지 도막, 박리 코팅층, 및 필름 기재를 갖는 전사 필름(b)을, 상기 핫멜트 접착제층이 상기 필름(a)측이 되도록 압착하는 공정;
    (β) 상기 공정 (α)에서 얻은 압착체를, 회전하는 의장 부여 롤과 회전하는 받침 롤의 사이에, 전사 필름(b)이 의장 부여 롤측이 되도록 투입, 공급하는 공정;
    (γ) 상기 공정 (β)에서 얻은 적층 시트를, 온도 50℃∼90℃로 설정된 제 1 냉각 롤(chill roll), 및 온도 20∼70℃이고, 또한 제 1 냉각 롤 온도보다도 낮은 온도로 설정된 제 2 냉각 롤에 차례차례 통과시켜 냉각하는 공정;을 포함하는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추가로 제 3 냉각 롤을 제 1 냉각 롤의 앞에 구비하며, 제 3 냉각 롤의 온도가, 제 1 냉각 롤의 온도를 넘고, 또한 상기 공정 (β)에서 얻은 적층 시트의 온도 미만으로 설정되어 있는 방법.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의장 부여 롤, 받침 롤, 가열 드럼, 제 1 냉각 롤, 제 2 냉각 롤, 및 제 3 냉각 롤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에, 스위퍼 롤이 압착되어 있는 방법.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한 방법에 의해 생산된 화장 시트.
KR1020177010534A 2014-10-21 2015-10-21 화장 시트의 제조방법 KR10234017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4214123 2014-10-21
JPJP-P-2014-214123 2014-10-21
PCT/JP2015/079736 WO2016063920A1 (ja) 2014-10-21 2015-10-21 化粧シートの製造方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74875A true KR20170074875A (ko) 2017-06-30
KR102340175B1 KR102340175B1 (ko) 2021-12-16

Family

ID=557609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7010534A KR102340175B1 (ko) 2014-10-21 2015-10-21 화장 시트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10596795B2 (ko)
JP (1) JP6530420B2 (ko)
KR (1) KR102340175B1 (ko)
CN (1) CN107073833B (ko)
WO (1) WO201606392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995342B (zh) * 2017-06-06 2020-08-04 陆钉毅 塑胶地板的辊压成型设备
CN109487982B (zh) * 2017-09-13 2021-03-02 陆钉毅 具数码打印的塑胶发泡地板及其制造设备与成型方法
KR102229204B1 (ko) * 2020-06-25 2021-04-09 주식회사 유니크라미 자동차 내장재의 접착조성물과 이를 이용한 내장재의 제조방법 및 제조장치
KR102497766B1 (ko) * 2022-09-14 2023-02-07 정진서 파우치형 포장지 제조장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3222838A (ja) * 1987-03-12 1988-09-16 Sumitomo Bakelite Co Ltd 多層シ−トの製造方法
JPH04241943A (ja) 1991-01-16 1992-08-28 Riken Viny Kogyo Kk メンブレンプレス成形用ポリ塩化ビニルシートの製造方法
JP2005271349A (ja) * 2004-03-24 2005-10-06 Sumitomo Bakelite Co Ltd 積層板の連続製造方法および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496059A (en) * 1969-02-28 1970-02-17 Phillips Petroleum Co Laminated oriented film material and method of producing the same
JPS5390382A (en) 1977-01-20 1978-08-09 Takiron Co Synthetic resin corrugated sheet with surface having color * pattern
JPS5390832A (en) * 1977-01-21 1978-08-10 Hitachi Ltd Microorder bus time-division controller
DE4035873A1 (de) * 1990-11-12 1992-05-14 Hoechst Ag Vorrichtung und verfahren zum herstellen eines mehrschichtigen folienverbundes
JPH0556427A (ja) 1991-08-22 1993-03-05 Nec Corp テレビ会議装置
JPH0644668Y2 (ja) * 1992-01-08 1994-11-16 株式会社ムサシノキカイ プレッシャーロールの清掃装置
JPH06297570A (ja) * 1993-04-20 1994-10-25 Dainippon Printing Co Ltd 化粧シートの製造方法
JPH07329266A (ja) 1994-06-08 1995-12-19 Toyo Alum Kk 押付ローラ用クリーニング装置
CN2218636Y (zh) * 1995-02-21 1996-01-31 王增田 复合装饰板制板机
JPH10146940A (ja) * 1996-11-15 1998-06-02 Aica Kogyo Co Ltd 化粧シートの製造方法
DE19727385C2 (de) * 1997-06-27 2002-10-10 Bosch Gmbh Robert System zum Betreiben einer Brennkraftmaschine mit Direkteinspritzung insbesondere eines Kraftfahrzeugs
CN2359090Y (zh) * 1999-02-09 2000-01-19 杨云杰 一种生产装饰板的辊压机
US6375776B1 (en) * 2000-01-24 2002-04-23 Avery Dennison Corporation Method for forming multi-layer laminates with microstructures
JP3429265B2 (ja) 2000-10-03 2003-07-22 リケンテクノス株式会社 非晶質ポリエステル樹脂化粧シート及びその製造方法
CN1387994A (zh) * 2002-07-22 2003-01-01 陈勇奇 金属贴面装饰板材及其制造方法
JP4674149B2 (ja) 2005-11-02 2011-04-20 リケンテクノス株式会社 自動車用樹脂シート及びその製造方法
JP2010131856A (ja) * 2008-12-04 2010-06-17 C I Kasei Co Ltd 積層シートの製造方法
CN102642352A (zh) * 2012-04-19 2012-08-22 厦门恒萃新材料科技有限公司 一种无胶复合轻质装饰板及其制造方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3222838A (ja) * 1987-03-12 1988-09-16 Sumitomo Bakelite Co Ltd 多層シ−トの製造方法
JPH04241943A (ja) 1991-01-16 1992-08-28 Riken Viny Kogyo Kk メンブレンプレス成形用ポリ塩化ビニルシートの製造方法
KR0145285B1 (ko) * 1991-01-16 1998-07-01 이또 미야끼 멤브레인 프레스 성형용 폴리염화비닐 시이트의 제조방법
JP2005271349A (ja) * 2004-03-24 2005-10-06 Sumitomo Bakelite Co Ltd 積層板の連続製造方法および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7073833B (zh) 2021-10-08
CN107073833A (zh) 2017-08-18
JP6530420B2 (ja) 2019-06-12
US20170217145A1 (en) 2017-08-03
KR102340175B1 (ko) 2021-12-16
WO2016063920A1 (ja) 2016-04-28
US10596795B2 (en) 2020-03-24
JPWO2016063920A1 (ja) 2017-10-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70074875A (ko) 화장 시트의 제조방법
JP2007098592A (ja) 化粧材
JP5882756B2 (ja) 活性エネルギー線硬化性樹脂組成物
JP6084104B2 (ja) 高鮮鋭性加飾シート
JP2008110515A (ja) 金属調シート及びそれを用いた金属調化粧材
JP6857452B2 (ja) 化粧シート
JP2008110513A (ja) 金属調シート及びそれを用いた金属調化粧材
TWI577733B (zh) Active energy ray hardening resin composition
JP2003136646A (ja) 化粧シート用部材、それを用いた化粧シート及び成形品
US11459489B2 (en) Pressure-sensitive adhesive and articles including same
JP6045068B2 (ja) 高鮮鋭性加飾シート
JP2019142989A (ja) 耐黄変性に優れたポリ塩化ビニル系樹脂組成物
JP7109288B2 (ja) 塗料、及びこれを用いた化粧シート
JP7109284B2 (ja) 汚れ除去性塗膜形成用塗料、及びこれを用いた化粧シート
JP6639878B2 (ja) ポリエステル系樹脂積層体、及び加飾フィルム
JP7479132B2 (ja) 化粧板の製造方法
JP7157060B2 (ja) 汚れ除去性塗膜形成用塗料、及びこれを用いた化粧シート
JP4171485B2 (ja) 積層シート
WO2016180610A1 (en) Process for preparing a multi-layer coated substrate
JP2019093582A (ja) 加飾フィルム、加飾成形品及び加飾成形品の製造方法
JP3207136U (ja) ガラス調意匠を有する物品
EP4263218A1 (en) Laminate comprising plasticizer-containing layer and ink layer, and radiation curable ink
JP5229340B2 (ja) 化粧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