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68117A - 차량용 입체 조명 계기판 - Google Patents

차량용 입체 조명 계기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68117A
KR20170068117A KR1020150174953A KR20150174953A KR20170068117A KR 20170068117 A KR20170068117 A KR 20170068117A KR 1020150174953 A KR1020150174953 A KR 1020150174953A KR 20150174953 A KR20150174953 A KR 20150174953A KR 20170068117 A KR20170068117 A KR 2017006811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cale system
transparent ring
led light
prism
illumination sour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749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798518B1 (ko
Inventor
이진영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17495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98518B1/ko
Priority to US15/136,491 priority patent/US10160323B2/en
Priority to CN201610391396.6A priority patent/CN106853774B/zh
Publication of KR2017006811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6811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9851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9851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04Prisms
    • B60K37/02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35/00Instrumen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f instruments in or on vehicles
    • B60K35/60Instruments characterised by their location or relative disposition in or on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35/00Instrumen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f instruments in or on vehicles
    • B60K35/50Instruments characterised by their means of attachment to or integration in the vehic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35/00Instrumen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f instruments in or on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35/00Instrumen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f instruments in or on vehicles
    • B60K35/20Output arrangements, i.e. from vehicle to user, associated with vehicle functions or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60K35/21Output arrangements, i.e. from vehicle to user, associated with vehicle functions or specially adapted therefor using visual output, e.g. blinking lights or matrix displays
    • B60K35/211Output arrangements, i.e. from vehicle to user, associated with vehicle functions or specially adapted therefor using visual output, e.g. blinking lights or matrix displays producing three-dimensional [3D] effects, e.g. stereoscopic imag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3/00Arrangement of lighting devices for vehicle interiors;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interiors
    • B60Q3/10Arrangement of lighting devices for vehicle interiors;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interiors for dashboards
    • B60Q3/14Arrangement of lighting devices for vehicle interiors;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interiors for dashboards lighting through the surface to be illuminate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13/00Producing particular characteristics or distribution of the light emitted by means of a combination of elements specified in two or more of main groups F21V1/00 - F21V11/00
    • F21V13/02Combinations of only two kinds of elements
    • F21V13/08Combinations of only two kinds of elements the elements being filters or photoluminescent elements and reflec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7/00Reflectors for light sources
    • F21V7/0025Combination of two or more reflectors for a single light source
    • F21V7/0033Combination of two or more reflectors for a single light source with successive reflections from one reflector to the next or follow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7/00Reflectors for light sources
    • F21V7/0066Reflectors for light sources specially adapted to cooperate with point like light sources; specially adapted to cooperate with light sources the shape of which is unspecified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DMEASURING NOT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VARIABLE; ARRANGEMENTS FOR MEASURING TWO OR MORE VARIABLES NOT COVERED IN A SINGLE OTHER SUBCLASS; TARIFF METERING APPARATUS; MEASURING OR TEST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D11/00Component parts of measuring arrangements not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variable
    • G01D11/28Structurally-combined illuminating devic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DMEASURING NOT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VARIABLE; ARRANGEMENTS FOR MEASURING TWO OR MORE VARIABLES NOT COVERED IN A SINGLE OTHER SUBCLASS; TARIFF METERING APPARATUS; MEASURING OR TEST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D13/00Component parts of indicators for measuring arrangements not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variable
    • G01D13/02Scales; Dials
    • G01D13/04Construction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0001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G02B6/0011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 light guides being planar or of plate-like form
    • G02B6/0066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 light guides being planar or of plate-like form characterised by the light source being coupled to the light guide
    • G02B6/0073Light emitting diode [LED]
    • B60K2350/203
    • B60K2350/2034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2360/0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groups B60K35/00 or B60K37/00 relating to details of instruments or dashboards
    • B60K2360/20Optical features of instruments
    • B60K2360/33Illumination featu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2360/0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groups B60K35/00 or B60K37/00 relating to details of instruments or dashboards
    • B60K2360/20Optical features of instruments
    • B60K2360/33Illumination features
    • B60K2360/332Light emitting diod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2360/0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groups B60K35/00 or B60K37/00 relating to details of instruments or dashboards
    • B60K2360/20Optical features of instruments
    • B60K2360/33Illumination features
    • B60K2360/338Light strip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2360/0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groups B60K35/00 or B60K37/00 relating to details of instruments or dashboards
    • B60K2360/20Optical features of instruments
    • B60K2360/33Illumination features
    • B60K2360/341Illumination of dia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W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USES OR APPLICATION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F21W2106/00Interior vehicle lighting devi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THE FORM OR THE KIND OF THE LIGHT SOURCES OR OF THE COLOUR OF THE LIGHT EMITTED
    • F21Y2101/00Point-like light sour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Details Of Measuring Devices (AREA)
  • Instrument Panels (AREA)

Abstract

본 실시예는 3차원 형상을 가진 원형의 투명링과 투명링의 전면에 소정의 간격으로 이격되어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대 눈금계와 투명링의 임의의 지점 하부에서 발생된 LED 빛의 진행 방향을 각각 바꾸어, 투명링을 따라 시계 방향과 반시계 방향으로 진행시키는 반사판과 진행중인 LED 빛의 일부가 소정의 각도를 갖는 적어도 하나의 프리즘으로부터 각각 반사되어, 상기 적어도 하나의 대 눈금계로 조사되도록 하는 프리즘부를 포함한다.
이에, 본 실시예는 반사판과 프리즘으로 인하여, 조명원 개수를 최소화하면서도 시인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차량용 입체 조명 계기판{INSTRUMENT PANEL HAVING STEREOPHONIC LIGHT FOR VEHICLE}
본 실시예는 차량용 계기판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운전중 차량의 속도 등을 눈금 형태로 표시한 눈금계를 정확하고 간편하게 볼 수 있는 차량용 계기판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종래의 차량용 계기판은 차량의 주행속도를 표시하기 속도계, 냉각수의 온도를 표시하는 수온계 및 연료량을 표시하기 위한 연료 게이지들을 지칭한다.
이러한 차량용 계기판은 전술한 속도계, 수온계 및 연료 게이지 등을 통해 차량의 주행 상태 및 각종 차량 정보를 알려주어 안전 운전이 가능하도록 도와준다.
이중에서, 예컨대 차량용 속도계 계기판은 Km와 Mile 단위 속도계가 복합적으로 표현되야 할 경우, 계기판의 속도계 눈금의 혼재로 인해 시인성이 저하되고, 지침이 표시하더라도 현재 차량의 속도를 인지 하는데 어려움이 따랐다.
더욱이, 계기판의 속도계 눈금들로 이루어진 각 조명 구간에는 각각의 조명원이 구성되어 직접적인 발광에 의해 속도계 눈금들을 발광시킬 수 있는데, 조명의 균일도를 고려하면 눈금 형상에 따라 조명원의 수는 증가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국공개특허 : 제2007-0120736호, 공개일자 : 2007년12월26일, 발명의 명칭 : 차량용 계기판. 일본공개특허 : 제2010-085356호, 공개일자 : 2015년 4월15일, 발명의 명칭 : 미터장치.
본 실시예는 3차원 눈금계를 이용한 입체적인 정보 전달을 하고, 주간 및 역광 상태에서도 운전자에게 정확한 속도 정보를 표현하기 위한 차량용 입체 조명 계기판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하나의 실시예에 따르면, 3차원 형상을 가진 원형의 투명링; 상기 투명링의 전면에 소정의 간격으로 이격되어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대 눈금계; 상기 투명링의 임의의 지점 하부에서 발생된 LED 빛의 진행 방향을 각각 바꾸어, 상기 투명링을 따라 시계 방향과 반시계 방향으로 진행시키는 반사판; 및 상기 진행중인 LED 빛의 일부가 소정의 각도를 갖는 적어도 하나의 프리즘으로부터 각각 반사되어, 상기 적어도 하나의 대 눈금계로 조사되도록 하는 프리즘부를 포함하는 차량용 입체 조명 계기판을 제공한다.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리즘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대 눈금계에 대응하여 상기 투명링의 하부에 이웃하여 형성될 수 있다.
상기 LED 빛은 두개의 제1 조명원으로부터 발생될 수 있다.
상기 차량용 입체 조명 계기판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대 눈금계 사이마다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소 눈금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차량용 입체 조명 계기판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소 눈금계에 대응하여 적어도 하나의 제2 조명원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2 조명원에서 발생된 LED 빛은 직광으로 상기 소 눈금계로 조사될 수 있다.
상기 적어도 하나의 대 눈금계 및 소 눈금계는 속도 눈금계일 수 있다.
상기 차량용 입체 조명 계기판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2 조명원에서 발생된 LED 빛은 상기 소 눈금계의 하부에 형성된 도광판에서 반사되어 상기 직광으로 상기 소 눈금계로 조사될 수 있다.
상기 원형의 투명링의 배면에는 인쇄된 착색층이 형성될 경우,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리즘에서 반사된 적어도 하나의 LED 빛이 상기 착색층을 통과할 수 있다.
상기 대 눈금계 및 소 눈금계는 주행 속도를 표시하기 속도계, 냉각수의 온도를 표시하는 수온계 및 연료량을 표시하기 위한 연료 게이지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상기 반사판은 상기 제1 조명원의 개수와 동일한 개수를 가질 수 있다.
하나의 실시예에 따르면, 3차원 형상을 가진 원형의 제1 투명링; 상기 제1 투명링의 일측에 연결되어 형성된 제2 투명링; 상기 제1 투명링의 전면에 소정의 간격으로 이격되어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대 눈금계; 상기 제2 투명링의 임의의 지점 하부에서 발생된 LED 빛의 진행 방향을 각각 바꾸어, 상기 제2 투명링을 따라 시계 방향과 반시계 방향으로 진행시키는 반사판; 및 상기 진행중인 LED 빛의 일부가 소정의 각도를 갖는 적어도 하나의 프리즘으로부터 각각 반사되어, 상기 적어도 하나의 대 눈금계로 조사되도록 하는 프리즘부를 포함하는 차량용 입체 조명 계기판을 제공한다.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리즘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대 눈금계에 대응하여 상기 제1 투명링의 하부에 이웃하여 형성될 수 있다.
상기 LED 빛은 두개의 제1 조명원으로부터 발생될 수 있다.
상기 차량용 입체 조명 계기판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대 눈금계 사이마다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소 눈금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차량용 입체 조명 계기판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소 눈금계에 대응하여 적어도 하나의 제2 조명원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2 조명원에서 발생된 LED 빛은 직광으로 상기 소 눈금계로 조사될 수 있다.
상기 적어도 하나의 대 눈금계 및 소 눈금계는 속도 눈금계일 수 있다.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2 조명원에서 발생된 LED 빛은 상기 소 눈금계의 하부에 형성된 도광판에서 반사되어 상기 직광으로 상기 소 눈금계로 조사될 수 있다.
상기 원형의 투명링의 배면에는 인쇄된 착색층이 형성될 경우,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리즘에서 반사된 적어도 하나의 LED 빛이 상기 착색층을 통과할 수 있다.
상기 대 눈금계 및 소 눈금계는 주행 속도를 표시하기 속도계, 냉각수의 온도를 표시하는 수온계 및 연료량을 표시하기 위한 연료 게이지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상기 반사판은 상기 제1 조명원의 개수와 동일한 개수를 가질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실시예는 반사판과 프리즘의 구비로 인하여, 조명원 개수를 최소화하면서도 시인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는 계기판에 표현된 2차원 눈금과 별도로 3차원 공간상에 눈금을 표현 가능케 함으로써, 디자인 자유도 및 상품성을 향상시키고, 차량 주행중 운전자가 속도계 눈금을 인지 하는데 필요한 시간을 줄여 줌으로써 차량 속도 인지 시간을 단축시켜 안전 운행을 도와줄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된 효과는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실시예들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이하에 첨부되는 도면들은 본 실시예에 관한 이해를 돕기 위한 것으로, 상세한 설명과 함께 실시예들을 제공한다. 다만, 본 실시예의 기술적 특징이 특정 도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각 도면에서 개시하는 특징들은 서로 조합되어 새로운 실시예로 구성될 수 있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계기판의 일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차량용 계기판에 추가되는 제2 조명원과 도광판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입체 조명 계기판의 다른 일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 및 도 5는 실시예들에 따른 프리즘부의 각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 및 도 7은 실시예들에 따른 차량용 계기판의 대 눈금계에 조사된 LED 빛의 크기를 측정한 결과를 나타낸 시뮬레이션도이다.
이하의 실시예들이 적용된 다양한 방법, 장치들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하의 본 명세서에서 개시되는 접미사인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이하의 실시예에서 개시되는 '및/또는'은 열거되는 관련 항목들 중 하나 이상의 항목에 대한 임의의 및 모든 가능한 조합들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의 실시예에서 개시되는 "포함하다", "구비하다", "배치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들은,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해당 구성 요소가 내재될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으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구비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의 실시예에서 개시되는 입체 조명 계기판은 대 눈금계를 전면의 평면뿐만 아니라 평면과 연장되어 둥근 모서리를 이루는 곡면상에 형성되는 3차원 계기판을 가리킨다. 그러나 소 눈금계는 전면의 평면상에 형성된다.
상기 대 눈금계 및 소 눈금계는 주행 속도를 표시하기 속도계, 냉각수의 온도를 표시하는 수온계 및 연료량을 표시하기 위한 연료 게이지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이하에서는, 전술한 대 눈금계 및 소 눈금계 중 속도계와 관련한 대 눈금계 및 소 눈금계를 포함한 차량용 입체 조명 계기판에 대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일례에 불과할 뿐, 수온계 및 연료 게이지와 관련한 대 눈금계 및 소 눈금계에도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계기판의 예>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계기판의 일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를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계기판(100)은 투명링(110), 소 눈금계(120), 대 눈금계(130), 제1 조명원(140), 반사판(150) 및 프리즘부(160)를 포함할 수 있다.
투명링(110)은 3차원 형상의 원형 형태로 제작된다. 3차원 형상은 평면 형상(전면에서의 형상이 평면)만을 갖는 것이 아니라, 평면 형상과 함께 상기 평면 형상으로부터 이웃하여 둥근면이 테두리를 이루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특히, 투명링(110)은 3차원 입체로 형성되는 눈금이나 문자가 외부에서 육안으로 확인되도록, 투명한 크리스탈 등의 유리 제품이나, 아크릴(PMMA) 수지를 사용하여 사출성형될 수 있다.
더 나아가, 투명링(110) 내에 눈금이나 문자의 3차원 입체는 엔디야그 레이저(Nd-YAG laser)를 이용하여 제작될 수 있다. 이는 통상적으로 널리 알려져 있으므로 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여기서, 평면 형상에는 소 눈금계(120)가 형성되고, 평면 형상 및 둥근면의 테두리 일부에는 대 눈금계(130)가 형성될 수 있다.
즉, 대 눈금계(130)는 투명링(110)의 평면을 이루는 전면과 함께 테두리를 이루는 측면 일부에 소정의 간격으로 이격되어 형성되는 복수개(적어도 하나)로 구비될 수 있다.
이런 경우, 소 눈금계(120)는 적어도 하나의 대 눈금계(130) 사이마다 복수개로 구비될 수 있는데, 대 눈금계(130)와 달리 평면을 이루는 전면에만 형성될 수 있다.
이를 통해, 대 눈금계(130)는 3차원 입체 눈금이라할 수 있고, 소 눈금계(120)는 기존의 눈금계와 마찬가지로 2차원 눈금일 수 있다.
제1 조명원(140)은 LED 빛을 발광시키는 LED로서, 투명링(110)의 일측 하부, 예컨대 PCB(인쇄회로기판, Printed Circuit Board) 상에 적어도 하나로 배치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두개로 이루어진 LED의 제1 조명원(140)으로 구성될 수 있다.
두개의 제1 조명원(140)을 두는 이유는 기존에 비하여 LED 개수를 줄여도 충분히 눈금계의 시인성을 높일 수 있기 때문이다.
반사판(150)은 제1 조명원(140)의 개수와 동일한 개수를 가지며, 투명링(110)의 임의의 지점 하부, 예컨대 투명링(110)과 제1 조명원(140)의 사이에 구비되며, 제1 조명원(140)에서 발생된 LED 빛의 진행 방향을 각각 바꾸는 역할을 한다.
예를 들면, 반사판(150)은 우측의 제1 조명원(140)으로부터 발생된 LED 빛이 반시계 방향으로 방향을 틀도록 제1 조명원(140)으로부터 발생된 LED 빛을 좌측으로 반사시킬 수 있다. 이러면, 반사판(150)으로부터 반사된 LED 빛은 투명링(110)을 따라 반시계 방향으로 진행할 수 있다.
반면, 반사판(150)은 좌측의 제1 조명원(140)으로부터 발생된 LED 빛이 시계 방향으로 방향을 틀도록 LED 빛을 우측으로 반사시킬 수 있다. 이러면, 반사판(150)으로부터 반사된 LED 빛은 투명링(110)을 따라 시계 방향으로 진행할 수 있다.
프리즘부(160)는 투명링(110)의 하부에서 소정의 간격만큼 이격되어, 복수개로 배치될 수 있는데, 바람직하게는 소정의 대 눈금계(130)에 대응하여 PCB 상에 복수개의 프리즘(161)이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임의의 대 눈금계(130)에 대응하여 PCB 상에 프리즘(161)이 배치되고, 상기 임의의 대 눈금계(130)로부터 세번째, 다섯번째 및 일곱번째 등에 위치한 대 눈금계(130)에 대응하여 PCB 상에 적어도 하나의 프리즘(161)이 배치될 수 있다.
그러나, 이는 일례에 불과할 뿐, 다른 순서로 프리즘(161)들이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각 프리즘(161)은 반사판(150)으로부터 반사된 LED 빛이 투명링(110)을 따라 해당하는 방향(하나는 시계 방향, 다른 하나는 반시계 방향)으로 계속하여 진행할 경우, 진행중인 LED 빛의 일부를 반사시켜 적어도 하나의 대 눈금계(120)로 조사되도록 소정의 각도를 가질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대략 90도 내지 160도의 각도를 가질 수 있다. 소정의 각도는 프리즘부(160) 및 대 눈금계(130)가 만나는 일직선상으로부터 어는 정도 떨어져 있는가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한편, 언급한 원형 형태를 갖는 투명링(110)의 배면에는 착색층(미도시)이 인쇄되어 형성될 수 있다.
복수개의 프리즘(161)에서 반사된 적어도 하나의 LED 빛이 착색층을 통과하면, 착색층의 색깔에 따라 다양한 LED 색을 띨 수 있다.
게다가, 착색층은 두가지 색을 함께 원형의 투명링(110)의 배면에 인쇄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착생층은 파란색과 빨간색을 함께, 투명링(110)의 배면에 인쇄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는 반사판과 프리즘의 구비로 인하여, 조명원 개수를 최소화하면서도 시인성을 향상시킬 수 있을 것이다.
도 2는 도 1의 차량용 계기판에 추가되는 제2 조명원과 도광판 구성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계기판(100)은 제2 조명원(170) 및 도광판(18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2 조명원(170)은 제1 조명원(140)과 마찬가지로, LED 빛을 발광시키는 LED로서, 투명링(110)의 하부, 예컨대 PCB 상(190)에 적어도 하나로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제2 조명원(170)은 제1 조명원(140)의 개수보다 많을 수 있다. 즉, 제2 조명원(170)은 소 눈금계(120)의 개수와 동일하거나 소 눈금계(120)의 소정 구간을 하나로 묶을 때, 소정 구간의 개수만큼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적어도 하나의 제2 조명원(170)에서 발생된 LED 빛은 도광판(180)을 통해 직광 형태로 투명링(110)에 형성된 소 눈금계(120)로 조사될 수 있다.
즉, 도광판(180)은 적어도 하나의 제2 조명원(170)으로부터 발생된 LED 빛을 반사시키면 직광 형태로 LED 빛이 소 눈금계(120)에 도달하게 된다. 이러한 도광판(180)은 PCB(190)의 상부에 형성됨과 동시에 제2 조명원(170)을 중앙 하부에 위치되도록 격벽 형태로 제작될 수 있다.
<계기판의 다른 예>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입체 조명 계기판의 다른 일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계기판(200)은 제1 투명링(210), 소 눈금계(220), 대 눈금계(230), 제2 투명링(240), 제1 조명원(250), 반사판(260) 및 프리즘부(270)를 포함할 수 있다.
먼저, 제1 투명링(210)은 3차원 형상의 원형 형태로 제작된다. 3차원 형상은 평면 형상(전면에서의 형상이 평면)만을 갖는 것이 아니라, 평면 형상과 함께 상기 평면 형상으로부터 이웃하여 둥근면이 테두리를 이루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특히, 제1 투명링(210)은 3차원 입체로 형성되는 눈금이나 문자가 외부에서 육안으로 확인되도록, 투명한 크리스탈등의 유리제품이나, 아크릴(PMMA) 수지를 사용하여 사출 성형될 수 있다.
더 나아가, 제1 투명링(210)내에 눈금이나 문자를 3차원 입체는 엔디야그 레이저(Nd-YAG laser)를 이용하여 제작될 수 있다. 이는 통상적으로 널리 알려져 있으므로 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여기서, 평면 형상에는 소 눈금계(220)가 형성되고, 평면 형상 및 둥근면의 테두리 일부에는 대 눈금계(230)가 형성될 수 있다.
즉, 대 눈금계(230)는 제1 투명링(210)의 평면을 이루는 전면과 함께 테두리를 이루는 측면 일부에 소정의 간격으로 이격되어 형성되는 복수개(적어도 하나)로 구비될 수 있다.
이런 경우, 소 눈금계(220)는 적어도 하나의 대 눈금계(230) 사이마다 복수개로 구비될 수 있는데, 대 눈금계(230)와 달리 평면을 이루는 전면에만 형성될 수 있다.
이를 통해, 대 눈금계(230)는 3차원 입체 눈금이라할 수 있고, 소 눈금계(220)는 기존의 눈금계와 마찬가지로, 2차원 눈금일 수 있다.
제2 투명링(240)은 제1 투명링(210)의 일측에 형성되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이러한 제2 투명링(240)은 제1 투명링(210)과 마찬가지로 3차원 입체로 형성되는 눈금이나 문자가 외부에서 육안으로 확인되도록, 투명한 크리스탈등의 유리제품이나, 아크릴(PMMA) 수지를 사용하여 사출 성형될 수 있다.
더 나아가, 제2 투명링(240) 내에 눈금이나 문자의 3차원 입체는 엔디야그 레이저(Nd-YAG laser)를 이용하여 제작될 수 있다. 이는 통상적으로 널리 알려져 있으므로 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제1 조명원(250)은 LED 빛을 발광시키는 LED로서, 제1 투명링(210) 및/또는 제2 투명링(240)의 일측 하부, 예컨대 PCB 상에 적어도 하나로 배치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두개로 이루어진 LED의 제1 조명원(250)으로 구성될 수 있다.
두개의 제1 조명원(250)을 두는 이유는 기존에 비하여 LED 개수를 줄여도 충분히 눈금계의 시인성을 높일 수 있기 때문이다.
반사판(260)은 제1 조명원(250)의 개수와 동일한 개수를 가지며, 제2 투명링(240)의 임의의 지점 하부, 예컨대 제2 투명링(240)과 제1 조명원(250)의 사이에 구비되며, 제1 조명원(250)에서 발생된 LED 빛의 진행 방향을 각각 바꾸는 역할을 한다.
예를 들면, 반사판(260)은 우측의 제1 조명원(250)으로부터 발생된 LED 빛을 제2 투명링(240)을 따라 진행될 경우 제2 투명링(240)을 따라 좌측으로 진행된 LED 빛을 우측으로 반사시킬 수 있다.
이러면, 반사판(260)으로부터 반사된 LED 빛은 제1 투명링(210)을 따라 반시계 방향으로 진행할 수 있다.
반면, 반사판(260)은 좌측의 제1 조명원(250)으로부터 발생된 LED 빛을 제2 투명링(240)을 따라 진행될 경우, 시계 방향으로 방향을 틀도록 LED 빛을 우측으로 반사시킬 수 있다.
이러면, 반사판(260)으로부터 반사된 LED 빛은 제1 투명링(210)을 따라 시계 방향으로 진행할 수 있다.
프리즘부(270)는 제1 투명링(210) 및/또는 제2 투명링(240)의 하부에서 소정의 간격만큼 이격되어, 복수개로 배치될 수 있는데, 바람직하게는 소정의 대 눈금계(230)에 대응하여 PCB 상에 복수개의 프리즘(271)이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임의의 대 눈금계(230)에 대응하여 PCB 상에 적어도 하나의 프리즘(271)이 배치되고, 상기 임의의 대 눈금계(230)로부터 세번째, 다섯번째 및 일곱번째 등에 위치한 대 눈금계(230)에 대응하여 PCB 상에 적어도 하나의 프리즘(271)이 배치될 수 있다.
그러나, 이는 일례에 불과할 뿐, 다른 순서로 프리즘(271)들이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각 프리즘(270)은 반사판(260)으로부터 반사된 LED 빛이 제1 투명링(210)을 따라 해당하는 방향(하나는 시계 방향, 다른 하나는 반시계 방향)으로 계속하여 진행할 경우, 진행중인 LED 빛의 일부를 반사시켜 적어도 하나의 대 눈금계(230)로 조사되도록 소정의 각도를 가질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대략 90도 내지 160도의 각도를 가질 수 있다. 소정의 각도는 프리즘부(270) 및 대 눈금계(230)가 만나는 일직선상으로부터 어는 정도 떨어져 있는가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한편, 언급한 원형 형태를 갖는 제1 투명링(210) 또는 제1 투명링(210)과 제2 투명링(240)의 배면에는 착색층(미도시)이 인쇄되어 형성될 수 있다.
복수개의 프리즘(271)에서 반사된 적어도 하나의 LED 빛이 착색층을 통과하면, 착색층의 색깔에 따라 다양한 LED 색을 띨 수 있다.
게다가, 착색층은 두가지 색을 함께 원형의 제1 투명링(210) 또는 제1 투명링(210)과 제2 투명링(240)의 배면에 인쇄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착생층은 파란색과 빨간색을 함께, 제1 투명링(210)의 배면에 인쇄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는 반사판과 프리즘의 구비로 인하여, 조명원 개수를 최소화하면서도 시인성을 향상시킬 수 있을 것이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도 도 2에서 밝힌바와같이, 소 눈금계로 LED 빛을 조사하기 위한 도광판, 제2 조명원 등이 더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각 구성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지만 도 2에서 설명한 각 구성들도 본 실시예에서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프리즘의 각도 예>
도 4 및 도 5는 실시예들에 따른 프리즘부의 각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에 도시된 차량용 계기판(100,200)으로부터 A-A를 절단하면, 도 5에 도시된 A-A 단면도와 같이 될 수 있다.
도 5에서와 같이, A-A 단면은 PCB에 형성된 프리즘(160, 270)은 소정의 각도 예컨대 90도 내지 160도로 기울어져 있다. 프리즘(160, 270)의 상부에는 투명링(110) 또는 제1 투명링(210)이 형성된다.
이런 경우, 90도 내지 160도로 기울어진 프리즘(161, 271)을 통해 반사되는 LED 빛(300)은 투명링(110)의 전면에 형성된 대 눈금계(130) 또는 제1 투명링(210)의 전면에 형성된 대 눈금계(230)을 향하여 조사될 수 있다.
여기서, 도 1 내지 도 3에서 설명한 LED 빛이 투명링(110) 또는 제1 투명링(210)을 따라 반대 방향으로 각각 이동(진행)할 경우, 이동중인 LED 빛 중 일부만(300)이 전술한 프리즘(161, 271)의 각도를 통해 반사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는 프리즘부의 각도로 인하여, 조명원 개수를 최소화하면서도 시인성을 향상시킬 수 있을 것이다.
<측정예>
도 6 및 도 7은 실시예들에 따른 차량용 계기판의 대 눈금계에 조사된 LED 빛의 크기를 측정한 결과를 나타낸 시뮬레이션도이다.
도 6에서 측정된 대 눈금계에 조사된 LED 빛의 크기는 주간일때 대략 1600의 최대 조도값을 가지며, 대략 327의 평균 조도값을 가지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반면, 도 7에서 측정된 대 눈금계에 조사된 LED 빛의 크기는 야간일때 343의 최대 조도값을 가지며, 대략 68의 평균 조도값을 가지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 알 수 있듯이, 본 실시예들에서 설명된 차량용 계기판은 기존에 비하여 조명원의 개수를 줄이면서도 시인성을 향상시킬 수 있었으며, 3차원적인 입체 조명을 실현할 수 있었다.
이상에서와 같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는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이다.
100, 200 : 차량용 계기판 110 : 투명링
120, 220 : 소 눈금계 130, 230 : 대 눈금계
140, 250 : 조명원 150, 260 : 반사판
160, 270 : 프리즘부 161,271 : 프리즘
170 : 제2 조명원 180 : 도광판
190 : PCB 210 : 제1 투명링
240 : 제2 투명링 300 : LED 빛

Claims (20)

  1. 3차원 형상을 가진 원형의 투명링;
    상기 투명링의 전면에 소정의 간격으로 이격되어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대 눈금계;
    상기 투명링의 임의의 지점 하부에서 발생된 LED 빛의 진행 방향을 각각 바꾸어, 상기 투명링을 따라 시계 방향과 반시계 방향으로 진행시키는 반사판; 및
    상기 진행중인 LED 빛의 일부가 소정의 각도를 갖는 적어도 하나의 프리즘으로부터 각각 반사되어, 상기 적어도 하나의 대 눈금계로 조사되도록 하는 프리즘부
    를 포함하는 차량용 입체 조명 계기판.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리즘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대 눈금계에 대응하여 상기 투명링의 하부에 이웃하여 형성된 차량용 입체 조명 계기판.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LED 빛은, 두개의 제1 조명원으로부터 발생되는, 차량용 입체 조명 계기판.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대 눈금계 사이마다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소 눈금계를 더 포함하는 차량용 입체 조명 계기판.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소 눈금계에 대응하여 적어도 하나의 제2 조명원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2 조명원에서 발생된 LED 빛은 직광으로 상기 소 눈금계로 조사되는 차량용 입체 조명 계기판.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대 눈금계 및 소 눈금계는, 속도 눈금계인 것인 차량용 입체 조명 계기판.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2 조명원에서 발생된 LED 빛은 상기 소 눈금계의 하부에 형성된 도광판에서 반사되어 상기 직광으로 상기 소 눈금계로 조사되는 차량용 입체 조명 계기판.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원형의 투명링의 배면에는 인쇄된 착색층이 형성될 경우,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리즘에서 반사된 적어도 하나의 LED 빛이 상기 착색층을 통과하는 차량용 입체 조명 계기판.
  9.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대 눈금계 및 소 눈금계는,
    주행 속도를 표시하기 속도계, 냉각수의 온도를 표시하는 수온계 및 연료량을 표시하기 위한 연료 게이지 중 어느 하나인 것인 차량용 입체 조명 계기판.
  10.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반사판은, 상기 제1 조명원의 개수와 동일한 개수를 가지는, 차량용 입체 조명 계기판.
  11. 3차원 형상을 가진 원형의 제1 투명링;
    상기 제1 투명링의 일측에 연결되어 형성된 제2 투명링;
    상기 제1 투명링의 전면에 소정의 간격으로 이격되어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대 눈금계;
    상기 제2 투명링의 임의의 지점 하부에서 발생된 LED 빛의 진행 방향을 각각 바꾸어, 상기 제2 투명링을 따라 시계 방향과 반시계 방향으로 진행시키는 반사판; 및
    상기 진행중인 LED 빛의 일부가 소정의 각도를 갖는 적어도 하나의 프리즘으로부터 각각 반사되어, 상기 적어도 하나의 대 눈금계로 조사되도록 하는 프리즘부
    를 포함하는 차량용 입체 조명 계기판.
  12. 제10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리즘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대 눈금계에 대응하여 상기 제1 투명링의 하부에 이웃하여 형성된 차량용 입체 조명 계기판.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LED 빛은, 두개의 제1 조명원으로부터 발생되는, 차량용 입체 조명 계기판.
  14.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대 눈금계 사이마다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소 눈금계를 더 포함하는 차량용 입체 조명 계기판.
  15.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소 눈금계에 대응하여 적어도 하나의 제2 조명원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2 조명원에서 발생된 LED 빛은 직광으로 상기 소 눈금계로 조사되는 차량용 입체 조명 계기판.
  16.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대 눈금계 및 소 눈금계는, 속도 눈금계인 것인 차량용 입체 조명 계기판.
  17.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2 조명원에서 발생된 LED 빛은 상기 소 눈금계의 하부에 형성된 도광판에서 반사되어 상기 직광으로 상기 소 눈금계로 조사되는 차량용 입체 조명 계기판.
  18.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원형의 투명링의 배면에는 인쇄된 착색층이 형성될 경우,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리즘에서 반사된 적어도 하나의 LED 빛이 상기 착색층을 통과하는 차량용 입체 조명 계기판.
  19.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대 눈금계 및 소 눈금계는,
    주행 속도를 표시하기 속도계, 냉각수의 온도를 표시하는 수온계 및 연료량을 표시하기 위한 연료 게이지 중 어느 하나인 것인 차량용 입체 조명 계기판.
  20.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반사판은, 상기 제1 조명원의 개수와 동일한 개수를 가지는, 차량용 입체 조명 계기판.
KR1020150174953A 2015-12-09 2015-12-09 차량용 입체 조명 계기판 KR101798518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74953A KR101798518B1 (ko) 2015-12-09 2015-12-09 차량용 입체 조명 계기판
US15/136,491 US10160323B2 (en) 2015-12-09 2016-04-22 Vehicle instrument panel having three-dimensional illumination effect
CN201610391396.6A CN106853774B (zh) 2015-12-09 2016-06-03 具有三维照明效果的车辆仪表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74953A KR101798518B1 (ko) 2015-12-09 2015-12-09 차량용 입체 조명 계기판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68117A true KR20170068117A (ko) 2017-06-19
KR101798518B1 KR101798518B1 (ko) 2017-12-12

Family

ID=590194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74953A KR101798518B1 (ko) 2015-12-09 2015-12-09 차량용 입체 조명 계기판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10160323B2 (ko)
KR (1) KR101798518B1 (ko)
CN (1) CN106853774B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55334A (ko) 2019-11-07 2021-05-17 (주)대신크리에이티브 자동차용 3d 계기명판의 제조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578319B2 (en) * 2015-10-01 2020-03-03 Samsung Electronics Co., Ltd. Air conditioner
JP6711265B2 (ja) * 2016-12-27 2020-06-17 日亜化学工業株式会社 照明装置
US10723262B1 (en) * 2019-06-11 2020-07-28 Continental Automotive Systems, Inc. Light guide for ring gauge illumination
US11014381B2 (en) 2019-07-09 2021-05-25 Xerox Corporation Honeycomb core platen for media transport
US10987952B1 (en) 2019-11-21 2021-04-27 Xerox Corporation Chambered vacuum transport platen enabled by honeycomb core

Family Cites Families (2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831453A (en) * 1956-07-26 1958-04-22 George K C Hardesty Illuminated panel, dial and/or pointer by geometrical surfaces
DE3066371D1 (en) * 1979-11-27 1984-03-08 Combined Optical Ind Ltd Laminar light guide and an instrument display means comprising such a light guide
DE3872084T2 (de) * 1987-06-29 1992-12-03 Japan Engine Valve Mfg Zeichnungsapparat.
US5703612A (en) * 1995-01-20 1997-12-30 Nu-Tech & Engineering, Inc. Illuminated pointer for an analog gauge and related method of use and manufacture
DE19630734C2 (de) * 1995-07-31 2001-01-25 Toyoda Gosei Kk LED-Anzeigeeinrichtung
JP3156836B2 (ja) * 1995-12-07 2001-04-16 矢崎総業株式会社 指針式表示装置
KR20070120736A (ko) 2006-06-20 2007-12-26 씨멘스브이디오한라 주식회사 차량용 계기판
JP2002012056A (ja) 2000-06-29 2002-01-15 Calsonic Kansei Corp 車両用計器
JP3966122B2 (ja) * 2001-09-25 2007-08-29 株式会社デンソー 車両用指針計器
JP2003214914A (ja) 2002-01-29 2003-07-30 Yazaki Corp 文字板およ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メータ
US6718906B2 (en) * 2002-06-03 2004-04-13 Volvo Trucks North America, Inc. Dual scale vehicle gauge
JP2004325829A (ja) * 2003-04-25 2004-11-18 Nippon Seiki Co Ltd 照明装置
US7216997B2 (en) * 2004-10-26 2007-05-15 Federal-Mogul World Wide, Inc. Phosphor reactive instrument panel and gauges
JP4665691B2 (ja) * 2005-02-24 2011-04-06 株式会社デンソー 表示装置
JP2008536107A (ja) * 2005-03-17 2008-09-04 シーメンス ヴィディーオー オートモーティヴ コーポレイション リング状指針の照明
US7374323B1 (en) * 2005-07-28 2008-05-20 Yazaki North America, Inc. Self-illumination applique system and method
US7874689B2 (en) * 2006-10-03 2011-01-25 Denso Corporation Display device
WO2009128516A1 (ja) * 2008-04-17 2009-10-22 株式会社フジクラ 表示装置
JP5227725B2 (ja) 2008-10-02 2013-07-03 カルソニックカンセイ株式会社 メータ装置
JP5373081B2 (ja) * 2009-06-22 2013-12-18 日本精機株式会社 計器装置
JP5578918B2 (ja) * 2010-04-07 2014-08-27 矢崎総業株式会社 導光板及びそれを備えた指針計器
DE102010026773A1 (de) 2010-07-10 2012-01-12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N.D.Ges.D. Staates Delaware) Skalenelement für ein Anzeigeinstrument, Kombiinstrument und Fahrzeug mit einem Skalenelement
EP2669639B1 (en) * 2011-01-26 2016-03-30 Yazaki Corporation Indicator member, indicator unit and indicator instrument
JP5848954B2 (ja) * 2011-11-09 2016-01-27 矢崎総業株式会社 表示装置
JP5955739B2 (ja) * 2012-10-16 2016-07-20 カルソニックカンセイ株式会社 ライトガイド装置
MX341222B (es) * 2014-03-24 2016-08-11 Magneti Marelli Spa Panel de instrumentos de vehiculo equipado con un dispositivo de retroiluminacion de led para iluminar un area grafica.
JP6363456B2 (ja) * 2014-09-30 2018-07-25 矢崎総業株式会社 車両用計器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55334A (ko) 2019-11-07 2021-05-17 (주)대신크리에이티브 자동차용 3d 계기명판의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98518B1 (ko) 2017-12-12
CN106853774A (zh) 2017-06-16
US20170166119A1 (en) 2017-06-15
US10160323B2 (en) 2018-12-25
CN106853774B (zh) 2020-12-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98518B1 (ko) 차량용 입체 조명 계기판
US7494256B1 (en) Illuminated instrument cluster with perceived 3-D display segments
US20160189345A1 (en) Display device
JP5955739B2 (ja) ライトガイド装置
JP5846228B2 (ja) 計器パネル用照明表示装置
EP2543976B1 (en) Instrument illumination device
JP5816052B2 (ja) 計器
JP2013062074A (ja) 車両用灯具のコンビネーションランプ
US20160091162A1 (en) Optical system for a motor vehicle
JP6412397B2 (ja) 表示装置
JP2011221182A (ja) 照明用導光板及び車両用表示装置
JP2009151251A (ja) 表示装置
KR20070120736A (ko) 차량용 계기판
JP2009186400A (ja) 車両用計器照明構造
JP2010134276A (ja) 車両用表示装置
JP5343895B2 (ja) 表示装置
EP3174035A1 (en) Light-emitting device
US10807472B2 (en) Vehicular display device
JP5392271B2 (ja) 車両用表示装置
JP6118171B2 (ja) 計器用導光板
JP2006176121A (ja) 指針計器
JP2006194892A (ja) 指針計器
JP4628023B2 (ja) 車両用計器の照明構造
JP6154210B2 (ja) 車載用計器
JP2003083777A (ja) 自発光指針及び指針式表示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