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63562A - 가스 발생기 - Google Patents

가스 발생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63562A
KR20170063562A KR1020177006599A KR20177006599A KR20170063562A KR 20170063562 A KR20170063562 A KR 20170063562A KR 1020177006599 A KR1020177006599 A KR 1020177006599A KR 20177006599 A KR20177006599 A KR 20177006599A KR 20170063562 A KR20170063562 A KR 2017006356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as
chamber
annular
annular passage
are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70065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겐지 후쿠모토
도모하루 고바야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다이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다이셀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다이셀
Publication of KR2017006356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6356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characterised by the inflation fluid source or means to control inflation fluid flow
    • B60R21/268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characterised by the inflation fluid source or means to control inflation fluid flow using instantaneous release of stored pressurised gas
    • B60R21/272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characterised by the inflation fluid source or means to control inflation fluid flow using instantaneous release of stored pressurised gas with means for increasing the pressure of the gas just before or during liberation, e.g. hybrid infla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characterised by the inflation fluid source or means to control inflation fluid flow
    • B60R21/268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characterised by the inflation fluid source or means to control inflation fluid flow using instantaneous release of stored pressurised gas
    • B60R21/274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characterised by the inflation fluid source or means to control inflation fluid flow using instantaneous release of stored pressurised gas characterised by means to rupture or open the fluid sour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characterised by the inflation fluid source or means to control inflation fluid flow
    • B60R2021/26029Igni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characterised by the inflation fluid source or means to control inflation fluid flow
    • B60R21/264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characterised by the inflation fluid source or means to control inflation fluid flow using instantaneous generation of gas, e.g. pyrotechnic
    • B60R2021/2642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characterised by the inflation fluid source or means to control inflation fluid flow using instantaneous generation of gas, e.g. pyrotechnic comprising a plurality of combustion chambers or sub-chambers
    • B60R2021/2644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ir Bags (AREA)
  • Feeding, Discharge, Calcimining, Fusing, And Gas-Generation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통상 하우징에 있어서, 제1 단부측부터 순서대로 점화 수단실, 가스 배출구를 갖는 가스 유입실 및 가압 가스실이 배치되어 있고, 가압 가스실과 가스 유입실 사이가, 환상 고정부에 고정된 파열판으로 폐색되어 있고, 점화 수단실과 가스 유입실 사이에 파열판의 파괴 수단이 배치되고, 상기 파괴 수단이, 베이스부와, 베이스부로부터 파열판측으로 연장된 로드 본체부와, 그 선단부가 직경 확장부를 갖고, 작동 시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부가 축 방향으로 이동하고, 상기 직경 확장부가 상기 파열판을 펀칭한 후에 가압 가스실 내에 위치하고, 상기 로드 본체부가 상기 환상 고정부와 반경 방향에 대향하는 위치가 되고, 가압 가스가, 상기 직경 확장부와 상기 환상 고정부 사이의 폭이 변화하고 있는 제1 환상 통로와, 상기 로드 본체부와 상기 환상 고정부 사이의 제2 환상 통로를 포함하는 가스 통로를 통과한 후, 상기 가스 배출구로부터 배출되고, 상기 제2 환상 통로의 단면적이, 제1 환상 통로의 최소 폭 부분의 면적과 상기 가스 배출구의 총 개구 면적 중에서 최소가 되고, 상기 제2 환상 통로의 단면적이 Q, 펀칭된 파열판의 면적이 A1, 상기 제1 환상 통로의 최소 폭 부분의 면적이 A2일 때, Q<(A2-A1)을 만족하는, 가스 발생기이다.

Description

가스 발생기{GAS GENERATOR}
본 발명은 차량에 탑재하는 에어백 장치에 사용할 수 있는, 가압 가스를 사용한 가스 발생기에 관한 것이다.
US-A No. 5242194의 도 1에는 가압 가스를 사용한 인플레이터의 발명이 도시되어 있으며, 도 2 내지 도 5에 있어서, 작동 전(도 2), 작동 중(도 3, 도 4), 작동 후(도 5)의 상태가 도시되어 있다.
점화기(177)의 작동 개시에 의해, 도 3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피스톤(132)의 선단부(155)에 의해 파열판(52)의 중심부가 파괴된다.
그 후, 도 4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파열판(52)의 중심부에 피스톤(132)의 선단부(155)가 꽂힌 상태 그대로, 피스톤(132)의 환상 선단부(194)에 의해 파열판(52)이 도넛상으로 절취된 상태로 유지된다.
그 후, 도 5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피스톤(132)의 환상 선단부(194)는, 도넛상으로 절취된 파열판(52)을 유지한 상태에서 홀더(86)에 충돌한다. 이때, 피스톤(132)의 선단부(155)는 홀더(86)의 오리피스(102)에 감입되기 때문에, 도넛상으로 절취된 파열판(52)은 피스톤(132)의 환상 선단부(194)와 홀더(86) 사이에서 유지된다.
가압 가스는, 개구부(92)를 통과하여, 원형 개구부(66)와 피스톤(132)(피스톤 로드(154)) 사이의 환상 공간을 통과한 후, 배출구(62)로부터 배출된다.
이것과 병행하여, 점화기(177)의 화염 등이 피스톤(132) 내부의 실린더상 통로(156)를 통과하여, 보디(46) 내의 부스터(44)와 가스 발생제(42)를 착화하여 고온 가스를 발생시켜, 오리피스(116)로부터 실(22) 내에 고온 가스가 유입된다. 이 고온 가스가, 잔부의 가압 가스와 함께 배출구(62)로부터 배출된다.
<발명의 개시>
본 발명의 발명 1은,
제1 단부측의 개구부에 점화 수단이 고정되고, 축 방향으로 반대측의 제2 단부측이 폐색된 통상 하우징 내에서, 제1 단부측부터 순서대로 점화 수단을 구비한 점화 수단실, 가스 배출구를 갖는 가스 유입실 및 가압 가스실이 배치되어 있고,
가압 가스실과 가스 유입실 사이가, 통상 하우징의 내주벽면으로부터 반경 방향 내측으로 연장된 환상 고정부에 고정된 파열판으로 폐색되어 있고,
점화 수단실과 가스 유입실 사이에는, 파열판의 파괴 수단이 배치되어 있고,
상기 파괴 수단이, 상기 통상 하우징의 내벽면에 외주면이 맞닿아져, 작동 시에 있어서 소정 길이(길이 L)만큼 축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는 베이스부와, 베이스부로부터 파열판측으로 연장된 로드부를 포함하는 것이며,
상기 로드부가, 상기 베이스부로부터 연장된 로드 본체부와, 로드 본체부의 선단부가 반경 방향으로 직경 확장된 직경 확장부를 갖고 있는 것이며,
상기 파열판이, 상기 환상 고정부에 대하여 고정되어 있고,
또한 상기 직경 확장부의 선단면과 상기 파열판이 대향하고 있는 것이며,
작동 시에 있어서, 상기 파괴 수단의 베이스부가 길이 L만큼 축 방향으로 이동했을 때, 상기 파괴 수단의 직경 확장부가 상기 환상 고정부로부터 상기 파열판을 펀칭한 후에 가압 가스실 내에 위치하고, 상기 로드 본체부가 상기 환상 고정부와 반경 방향에 대향하는 위치가 되는 것이며,
가압 가스가 상기 가압 가스실부터 상기 가스 배출구까지 흘러갈 때, 상기 직경 확장부와 상기 환상 고정부 사이의 폭이 변화하고 있는 제1 환상 통로와, 상기 로드 본체부와 상기 환상 고정부 사이의 제2 환상 통로를 포함하는 가스 통로를 통과한 후, 상기 가스 배출구로부터 배출되는 것이며,
상기 제2 환상 통로의 단면적이, 제1 환상 통로의 최소 폭 부분의 면적과 상기 가스 배출구의 총 개구 면적 중에서 최소가 되는 것이며,
상기 제2 환상 통로의 단면적이 Q, 펀칭된 파열판의 면적이 A1, 상기 제1 환상 통로의 최소 폭 부분의 면적이 A2일 때, Q<(A2-A1)을 만족하는, 가스 발생기를 제공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발명 1의 가스 발생기에 있어서, 제1 환상 통로의 최소 폭 부분의 면적, 상기 제2 환상 통로의 단면적, 상기 가스 배출구의 총 개구 면적 중에서, 상기 제2 환상 통로의 단면적이 최소가 된다.
본 발명의 발명 2는,
제1 단부측의 개구부에 점화 수단이 고정되고, 축 방향으로 반대측의 제2 단부측이 폐색된 통상 하우징 내에서, 제1 단부측부터 순서대로 점화 수단을 구비한 점화 수단실, 복수의 가스 배출구를 갖는 가스 유입실 및 가압 가스실이 배치되어 있고,
가압 가스실과 가스 유입실 사이가, 통상 하우징의 내주벽면으로부터 반경 방향 내측으로 연장된 환상 고정부에 고정된 파열판으로 폐색되어 있고,
점화 수단실과 가스 유입실 사이에는, 파열판의 파괴 수단이 배치되어 있고,
상기 파괴 수단이, 상기 통상 하우징의 내벽면에 외주면이 맞닿아져, 작동 시에 있어서 소정 길이(길이 L)만큼 축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는 베이스부와, 베이스부로부터 파열판측으로 연장된 로드부를 포함하는 것이며,
상기 로드부가, 상기 베이스부로부터 연장된 로드 본체부와, 로드 본체부의 선단부가 반경 방향으로 직경 확장된 직경 확장부를 갖고 있는 것이며,
상기 파열판이, 상기 환상 고정부에 대하여 고정되어 있고,
또한 상기 직경 확장부의 선단면과 상기 파열판이 대향하고 있는 것이며,
작동 시에 있어서, 상기 파괴 수단의 베이스부가 길이 L만큼 축 방향으로 이동했을 때, 상기 파괴 수단의 직경 확장부가 상기 환상 고정부로부터 상기 파열판을 펀칭한 후에 가압 가스실 내에 위치하고, 상기 로드 본체부가 상기 환상 고정부와 반경 방향에 대향하는 위치가 되는 것이며,
가압 가스가 상기 가압 가스실부터 상기 가스 배출구까지 흘러갈 때, 상기 직경 확장부와 상기 환상 고정부 사이의 폭이 변화하고 있는 제1 환상 통로와, 상기 로드 본체부와 상기 환상 고정부 사이의 제2 환상 통로를 포함하는 가스 통로를 통과한 후, 상기 가스 배출구로부터 배출되는 것이며,
상기 제2 환상 통로의 단면적이, 제1 환상 통로의 최소 폭 부분의 면적과 상기 가스 배출구의 총 개구 면적 중에서 최소가 되는 것이며,
상기 제2 환상 통로의 단면적이 Q, 상기 가스 배출구의 총 개구 면적이 A3, 펀칭된 파열판에 의해 폐색된 가스 배출구의 면적이 Z일 때, Q<(A3-Z)를 만족하는, 가스 발생기를 제공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발명 2의 가스 발생기에 있어서, 제1 환상 통로의 최소 폭 부분의 면적, 상기 제2 환상 통로의 단면적, 상기 가스 배출구의 총 개구 면적 중에서, 상기 제2 환상 통로의 단면적이 최소가 된다.
본 발명은, 이하의 상세한 설명과 첨부된 도면에 의해, 더욱 완전히 이해되는 것이지만, 이들은 단지 설명을 위하여 첨부되는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본 발명의 가스 발생기의 축 X 방향의 단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부분 확대도이며, 작동 전의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도 3은 (a), (b), (c) 각각에 있어서, 도 1, 2에서 사용하는 파괴 수단을 포함하는 상이한 실시 형태의 파괴 수단의 부분 평면도를 나타내고 있다.
도 4는 도 2의 일부 사시도이며, 작동 후의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도 5는 도 1의 부분 확대도이며, 작동 후의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도 6은 도 1의 부분 확대도이며, 도 5에 도시하는 상태 후의 작동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도 7은 도 1의 부분 확대도이며, 도 6과는 상이한 작동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도 8은 도 1과는 다른 실시 형태의 가스 발생기의 부분 확대 단면도이며, 작동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도 9는 도 8의 부분 확대 단면도이며, 도 8에 도시된 상태 후의 작동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도 10은 도 8과는 다른 실시 형태의 가스 발생기의 부분 확대 단면도이며, 작동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발명의 상세한 설명>
US-A No. 5242194의 인플레이터는, 파열판(52)을 2단계의 동작으로 도넛상으로 잘라내고, 또한 도넛상으로 잘라낸 파열판(52)을 유지한 채로, 피스톤(132)의 선단부(155)를 홀더(86)의 오리피스(102)에 정확히 감입할 필요가 있다. 이와 같이 동작이 복잡하여, 동작의 신뢰성의 관점에서는 개선의 여지가 있다.
본 발명은, 차량에 탑재하는 에어백 장치용에 사용할 수 있는, 가압 가스를 사용한 가스 발생기이며, 차량의 내용 연수 동안, 작동의 확실성을 유지할 수 있는 가스 발생기를 제공한다.
점화 수단실은, 에어백 장치의 가스 발생기에서 사용되는 주지의 전기식 점화기를 포함하는 것이며, 필요에 따라 전화약(傳火藥)이나 가스 발생제를 병용할 수 있다.
가스 발생제로부터 발생하는 가스는 에어백 전개용으로 사용할 수 있다.
가압 가스실에는 아르곤, 헬륨, 질소 가스 등의 가스가 소요 압력으로 충전되어 있다.
가스 유입실을 형성하는 통상 하우징에는 가스 배출구가 형성되어 있고, 내측으로부터 시일 테이프로 폐색되어 있을 수도 있다. 또한, 가스 배출구를 내측으로부터 덮는 위치에는 통상 필터를 배치할 수도 있다.
점화 수단실과 가스 유입실은 대기압이며, 가압 가스실은 고압으로 유지되고 있다.
파열판은 통상 하우징의 내주벽면으로부터 반경 방향 내측으로 연장된 환상 고정부에 고정되어 있다.
파열판은,
환상 고정부에 대하여 가압 가스실측으로부터 용접 고정되어 있는 환상의 용접부와, 환상의 용접부의 내측에 있는 원형의 비용접부를 포함하는 것,
환상 고정부와 파열판이 일체로 형성되고, 취약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의 어느 것이든 좋다.
환상 고정부와 파열판이 일체로 형성되어 있는 것은, 파괴 수단으로 펀칭되는 부분이 파열판에 상당하고, 잔존하는 부분이 환상 고정부가 된다.
상기 환상 고정부는, 통상 하우징의 내주벽면으로부터 반경 방향 내측으로 연장된 환상 판면부와, 상기 환상 판면부의 내주부로부터 상기 가스 유입실측으로 연장된 통상 벽부를 갖고 있는 것으로 할 수도 있다.
환상 고정부가, 환상 판면부와 통상 벽부를 갖고 있는 것일 때, 파열판은 환상 판면부에 용접 고정되어 있고, 작동 후에는 로드 본체부와 통상 벽부 사이가 제2 환상 통로가 된다.
파괴 수단은 베이스부와 로드부를 포함하고, 로드부는 로드 본체부와 직경 확장부를 포함하는 것이다.
베이스부는 통상 하우징의 내벽면에 외주면이 맞닿아져 있어, 작동 시에 있어서 소정 길이(길이 L)만큼 축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게 되어 있다.
베이스부는, 점화 수단실 내에 가스 발생제를 충전하고 있을 때, 작동 시에 연소 가스를 통과시키기 위한 관통 구멍, 홈 등을 형성할 수 있다. 이들 관통 구멍이나 홈은, 작동 전에는 시일 테이프 등의 폐색 수단으로 폐색해 둔다.
직경 확장부는, 로드 본체부의 선단부가 반경 방향으로 직경 확장된 것이며, 형상은 특별히 제한되는 것은 아니고, 예를 들어 다음과 같은 형상의 것으로 할 수 있다.
(I) 로드 본체부의 선단부부터 직경 확장부의 선단면(파열판과 대향하고 있는 면)까지가 원뿔대 형상인 것.
(Ⅱ) 직경 확장부의 선단면(파열판과 대향하고 있는 면)이 원판 형상이며, 상기 원판형 부분부터 로드 본체부의 선단부까지가 원뿔대 형상인 것.
(Ⅲ) 로드 본체부의 선단부에 원판 형상의 직경 확장부를 갖고 있는 것.
베이스부는, 작동 전에는 예를 들어 통상 하우징의 내벽면으로부터 돌출된 낮은 돌기 등에 의해 축 방향으로의 이동이 제한되어 있다.
베이스부는, 작동 시에는 점화 수단을 구비한 점화 수단실로부터 큰 압력이 가해지기 때문에, 상기한 낮은 돌기를 타고 넘어 축 방향으로 이동하지만, 길이 L만큼 이동했을 때, 예를 들어 통상 하우징의 내벽면으로부터 돌출된 돌기나, 통상 하우징의 내경이 축소되어 형성된 단차부에 의해 이동이 정지된다. 그 후, 고정되어 역행이 저지된다.
로드 본체부는, 베이스부부터 직경 확장부까지가 균일 외경인 것이며, 이동 후 고정된 상태에서는, 단면적이 항상 일정한 제2 환상 통로가 형성된다.
그리고, 베이스부가 길이 L만큼 축 방향으로 이동했을 때 로드 본체부의 선단에 있는 직경 확장부가 파열판을 펀칭한 후, 가압 가스실 내에 위치하도록 되어 있다.
이때, 로드 본체부는, 파열판이 고정되어 있던 환상 고정부(또는 통상 벽부)와 반경 방향에 대향하는 위치로 되어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하여 파열판이 펀칭됨으로써, 가압 가스실부터 가스 유입실의 가스 배출구까지의 가스 배출 경로가 개방되게 된다.
그리고, 가압 가스가 가압 가스실부터 가스 배출구까지 흘러갈 때, 가압 가스실 내에 있는 직경 확장부와 환상 고정부 사이의 환상 통로(제1 환상 통로)를 통과하고, 또한 로드 본체부와 환상 고정부 사이의 환상 통로(제2 환상 통로)를 통과한 후, 가스 유입실 내에 유입되어, 가스 배출구로부터 배출된다.
제1 환상 통로는, 로드 본체부의 선단부가 반경 방향으로 직경 확장된 직경 확장부와, 통상 하우징의 내주벽면으로부터 반경 방향 내측으로 연장된 환상 고정부(또는 통상 벽부) 사이의 환상 통로인 점, 직경 확장부의 형상은 특정되는 것이 아닌 점에서(예를 들어, 상기한 (I) 내지 (Ⅲ)), 직경 확장부의 표면과 환상 고정부의 간격(폭)이 복수 개소에서 상이한 것 이외에, 환상 통로의 방향도 하우징의 축 방향과는 일치하고 있지 않은 부분이 있다.
이로 인해, 제1 환상 통로는 직경 확장부부터 환상 고정부까지의 폭이 최소인 부분과 최대인 부분, 그들 사이의 폭을 갖는 부분이 존재하게 되고, 그들마다 환상 통로의 방향도 상이하게 되기 때문에, 제1 환상 통로는 최소 폭 부분의 「면적」에 의해 나타난다.
제2 환상 통로의 폭은 일정하고, 환상 통로의 방향은 하우징의 축 방향과 일치하기 때문에, 제2 환상 통로는 하우징 반경 방향의 「단면적」으로 나타난다.
본 발명의 가스 발생기는, 제2 환상 통로의 단면적이, 제1 환상 통로의 최소 폭 부분의 면적과 상기 가스 배출구의 총 개구 면적 중에서 최소가 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가스 발생기는 제2 환상 통로의 단면적을 최소로 함으로써, 제2 환상 통로에 있어서 가압 가스류의 유출량을 제어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가스 발생기는, 제2 환상 통로의 단면적이 Q, 펀칭된 파열판의 면적이 A1, 상기 제1 환상 통로의 최소 폭 부분의 면적이 A2일 때, Q<(A2-A1)을 만족하고 있다.
작동 시에는 파열판이 원형으로 펀칭되고, 펀칭된 파열판은 가압 가스실 내에 들어간다. 이때, 파열판은 펀칭되었을 때의 원형 상태를 유지하고 있는 것이 생각되지만, 펀칭될 때에 변형되어 있는 것도 생각된다.
그리고, 일단은 가압 가스실에 들어간 파열판이 가압 가스의 유출에 수반하여, 제1 환상 통로로 이동했을 때 통로의 일부를 막아 버려, 가스 유량을 감소시켜 버리는 것도 생각된다.
이때, 제1 환상 통로의 가스 유량이 제2 환상 통로의 가스 유량보다도 작아지면, 설계된 가스 유량보다도 작아져 버리는 점에서, 출력 성능이 떨어져 버려, 에어백 장치에 사용했을 때는 에어백의 팽창 속도가 느려져 버린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마찬가지로, Q<(A2-A1)을 만족함으로써, 펀칭된 파열판이 제1 환상 통로의 일부를 막아 버리는 사태가 되었을 때에도 제2 환상 통로에 있어서 가압 가스의 유출량을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가스 발생기는, 바람직하게는 상기 점화 수단실 내에 점화 수단으로서 전기식 점화기와 가스 발생제가 수용되어 있으며,
상기 점화 수단실과 상기 가스 유입실 사이가 상기 파괴 수단의 베이스부로 구획되어 있고,
상기 베이스부가 시일 테이프로 폐색된 두께 방향으로의 관통 구멍을 갖고 있는 것이며,
상기 관통 구멍의 총 개구 면적 Y와 가스 발생제 성형체의 총 표면적 B가 Y<B의 관계를 만족하고 있으며, 또한 상기 관통 구멍의 총 개구 면적 Y와 상기 가스 배출구의 총 개구 면적 A3이 Y<A3의 관계를 만족하고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가스 발생기는, 파괴 수단의 베이스부에 형성된 관통 구멍이나 홈 등의 총 개구 면적 Y와 가스 발생제 성형체의 총 표면적 B가 Y<B이며, Y<A3(가스 배출구의 총 개구 면적)의 관계를 만족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하여, Y<B이며 또한 Y<A3의 관계를 만족하도록 함으로써, 점화 수단실 내의 가스 발생제의 연소 성능을 독립적으로 제어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가스 발생기는, 상기한 Q<(A2-A1) 대신에, 제2 환상 통로의 단면적이 Q, 상기 가스 배출구의 총 개구 면적이 A3, 펀칭된 파열판에 의해 폐색된 가스 배출구의 면적이 Z일 때, Q<(A3-Z)를 만족하는 것이다.
펀칭된 파열판이 제1 환상 통로와 제2 환상 통로를 통과해 버려, 가스 유입실에 들어가 가스 배출구의 일부를 폐색한 경우에도 Q<(A3-Z)를 만족함으로써, 제2 환상 통로에 있어서 가압 가스의 유출량을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가스 발생기는, 상기한 Q<A2-A1과 Q<(A3-Z)의 양쪽을 만족하도록 할 수 있다. 즉, Q<(A2-A1) 외에, 상기 제2 환상 통로의 단면적이 Q, 상기 가스 배출구의 총 개구 면적이 A3, 펀칭된 파열판에 의해 폐색된 가스 배출구의 면적이 Z일 때, Q<(A3-Z)를 만족하도록 할 수 있다.
작동 시에 있어서, 펀칭된 파열판이 제1 환상 통로의 일부를 막은 후, 제1 환상 통로와 제2 환상 통로를 통과해 버려, 가스 유입실에 들어가 가스 배출구의 일부를 폐색하는 경우에도 제2 환상 통로에 있어서 가압 가스의 유출량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작동 시에 있어서, 펀칭된 파열판이 깨지고, 깨진 일부가 제1 환상 통로의 일부를 막고, 깨진 잔부가 제1 환상 통로와 제2 환상 통로를 통과하여, 가스 유입실에 들어가 가스 배출구의 일부를 폐색한 경우에도 제2 환상 통로에 있어서 가압 가스의 유출량을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가스 발생기는, 바람직하게는 상기 점화 수단실 내에 점화 수단으로서 전기식 점화기와 가스 발생제가 수용되어 있으며,
상기 점화 수단실과 상기 가스 유입실 사이가 상기 파괴 수단의 베이스부로 구획되어 있고,
상기 베이스부가 시일 테이프로 폐색된 두께 방향으로의 관통 구멍을 갖고 있는 것이며,
상기 관통 구멍의 총 개구 면적 Y와 가스 발생제 성형체의 총 표면적 B가 Y<B의 관계를 만족하고 있으며, 또한 상기 관통 구멍의 총 개구 면적 Y와 상기 가스 배출구의 총 개구 면적 A3이 Y<(A3-Z)의 관계를 만족하고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가스 발생기는, 파괴 수단의 베이스부에 형성된 관통 구멍이나 홈 등의 총 개구 면적 Y와 가스 발생제 성형체의 총 표면적 B가 Y<B이며, Y<(A3-Z)의 관계를 만족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하여, Y<B이며 또한 Y<(A3-Z)의 관계를 만족하도록 함으로써, 점화 수단실 내의 가스 발생제의 연소 성능을 독립적으로 제어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가스 발생기는, 차량의 에어백 장치에 사용했을 때 차량의 내용 연수 동안, 작동의 확실성을 유지할 수 있다.
<발명의 실시 형태>
(1) 도 1의 가스 발생기
도 1에 도시하는 가스 발생기(1)는 통상 하우징(10) 내에 점화 수단실(30), 가스 유입실(40) 및 가압 가스실(50)이 배치되어 있다.
통상 하우징(10)은 점화 수단실 하우징(11)과 가압 가스실 하우징(12)을 포함하는 것이지만, 전체적으로 하나의 하우징을 포함하는 것일 수도 있다.
점화 수단실 하우징(11)은 제1 단부(11a)측의 개구부에 전기식 점화기(25)가 고정되어 있다.
가압 가스실 하우징(12)의 제2 단부(12a)측은 폐색되어 있다(폐색면(13)).
점화 수단실 하우징(11)의 제2 단부(11b)와 가압 가스실 하우징(12)의 제1 단부(12b)가 접합부(14)에 있어서 용접 일체화되어 있다.
통상 하우징(10)(점화 수단실 하우징(11)과 가압 가스실 하우징(12))은 철, 스테인리스 등을 포함하는 것이다.
가압 가스실(50) 내에는 아르곤, 헬륨 등의 가스가 고압으로 충전되어 있다.
가스는, 가압 가스실 하우징(12)의 폐색면(13)의 가스 충전 구멍으로부터 충전된다. 가스 충전 구멍은, 가압 가스실 하우징(12)의 주위벽면에 형성되어 있을 수도 있다.
가스 충전 구멍은, 가스 충전 후에 핀(15)을 삽입한 상태에서, 핀(15)과 폐색면(13)이 모두 용접됨으로써 폐색되어 있다.
가압 가스실(50)과 가스 유입실(40) 사이는 고정부(환상 고정부)(42)에 용접 고정된 파열판(47)으로 폐색되어 있다.
고정부(42)는, 점화 수단실 하우징(11)의 제2 단부(11b)로부터 하우징의 반경 방향 내측으로 연장된 환상 판면부(43)와, 환상 판면부(43)의 내주부로부터 가스 유입실(40)측으로 연장된 통상 벽부(44)를 갖고 있으며, 파열판(47)은 가압 가스실(50)측으로부터 환상 판면부(43)에 용접 고정되어 있다.
파열판(47)은 철, 스테인리스 등을 포함하는 것이며, 환상 판면부(43)에 용접 고정된 환상의 용접부(47a)와, 환상의 용접부(47a)의 내측에 있는 원형의 비용접부(47b)를 포함한다.
파열판(47)은, 가압 가스실(50)로부터의 압력을 받아 가스 유입실(40)측으로 돌출되도록 변형되어 있다.
가스 유입실(40)은 작동 시에 있어서 가압 가스실(50)로부터 가스가 유입되고, 점화 수단실(30)로부터 연소 가스가 유입되는 공간이다.
도 2에서는 가스 유입실(40)에 면한 점화 수단실 하우징(11)에는 복수의 가스 배출구(29)가 형성되어 있고, 내측으로부터 금속제의 시일 테이프(28)로 폐색되어 있다.
복수의 가스 배출구(29)는 점화 수단실 하우징(11)의 주위 방향으로 균등 간격을 두고 형성되어 있으나, 축 X 방향으로 2열로 주위 방향으로 배열되어 있을 수도 있고, 주위 방향으로 지그재그 배열로 되어 있을 수도 있다.
가스 유입실(30) 내의 가스 배출구(29)에 면한 위치에는 통상 필터를 배치할 수 있다.
가스 유입실(40)은 점화 수단실(30)로부터 파열판(47) 사이에 단차부(17)가 형성되어 있다.
단차부(17)는 점화 수단실 하우징(11)의 내경이 점화 수단실(30)로부터 파열판(47) 사이에서 작게 된 것에 의해 형성되어 있으나, 단차부(17) 대신에, 점화 수단실 하우징(11)의 내주벽면(11c)으로부터 내측으로 돌출된 복수의 돌기일 수도 있다.
가스 유입실(40)과 점화 수단실(30) 사이에는, 베이스부(32)와, 베이스부(32)로부터 파열판(47)측으로 연장된 로드부(33)를 포함하는 파괴 수단(31)이 배치되어 있다.
도 1, 도 2에 도시되어 있는 파괴 수단(31)은, 베이스부(32)와 로드부(33)가 일체로 되어 있는 것이지만, 도 8 내지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베이스부(32)에 로드부(137)가 감입되어, 작동 시에 분리되지 않도록 일체로 되어 있는 것일 수도 있다.
베이스부(32)는, 두께 방향으로 복수의 관통 구멍(34)을 갖고 있는 원판부(35)와, 원판부(35)의 외주로부터 점화기(25)측으로 연장된 통상 벽면부(36)를 포함하는 것이다.
관통 구멍(34)은 알루미늄, 철, 스테인리스, 수지로부터 선택되는 재질을 포함하는 시일 테이프로 점화 수단실(30)측으로부터 폐색되어 있다.
베이스부(32)는, 축 X 방향으로 접동할 수 있도록 통상 벽면부(36)의 외주면(36a)이 점화 수단실 하우징(11)의 내주벽면(11c)에 맞닿아져 있다. 통상 벽면부(36)의 축 X 방향의 길이가 원판부(35)의 두께보다 크기 때문에, 로드부(33)가 축 X에 대하여 기울지 않고, 베이스부(32)가 축 X에 평행하게 접동한다.
통상 벽면부(36)는 점화 수단실 하우징(11)의 내주벽면(11c)으로부터 내측으로 축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돌출된 2개소의 돌기(16a, 16b)에 의해 두께 방향의 양측으로부터 끼워져 있다.
또한, 통상 벽면부(36)의 외주면(36a)과 점화 수단실 하우징(11)의 내주벽면(11c) 사이에는 기밀성을 유지하기 위한 시일제가 도포되어 있다.
로드부(33)는 베이스부(32)로부터 연장된 로드 본체부(37)와, 로드 본체부(37)로부터 반경 방향 외측으로 직경 확장된 직경 확장부(38)를 갖고 있다.
로드부(33)는 도 3의 (a) 내지 (c)에 도시한 바와 같은 형상의 것을 사용할 수 있다.
도 3의 (a)에 도시한 로드부(33)는, 로드 본체부(37)의 선단부(37a)로부터 연장되는 원뿔대 형상의 직경 확장부(38)를 갖고 있다. 직경 확장부(38)의 선단면(39)은 파열판(47)과 대향하여 배치된다.
도 3의 (b)에 도시한 로드부(33)는, 로드 본체부(37)의 선단부(37a)로부터 연장되는 원뿔대 형상부(38a)와, 거기에 이어지는 원판부(38b)를 포함하는 직경 확장부(38)를 갖고 있다. 직경 확장부(38)(원판부(38b))의 선단면(39)은 파열판(47)과 대향하여 배치된다.
도 3의 (c)에 도시한 로드부(33)는, 로드 본체부(37)의 선단부(37a)에 있어서 원판 형상의 직경 확장부(38)를 갖고 있는 것이다. 직경 확장부(38)의 선단면(39)은 파열판(47)과 대향하여 배치된다.
점화 수단실(30)에는, 제1 단부(11a)측에 점화기(25)가 고정되어 있고, 축 X 방향의 반대측은 베이스부(32)로 구획되어 있다.
점화 수단실(30) 내에는, 소요량의 가스 발생제 성형체(26)가 충전되어 있다.
점화 수단실(30)에 있어서의 가스 발생제 성형체(26)의 연소 성능은, 베이스부(32)에 형성된 관통 구멍(34)의 총 개구 면적 Y와 가스 발생제 성형체(26)의 총 표면적 B가 Y<B가 되도록 함으로써 컨트롤된다. 이때, Y<A3(가스 배출구(29)의 총 개구 면적)의 관계를 만족하고 있다.
이어서, 도 1, 도 2에 도시하는 가스 발생기(1)를 차량의 에어백 시스템용의 가스 발생기로서 사용할 때의 동작을 도 4 내지 도 7에 의해 설명한다. 또한, 가스 발생기(1)는 파괴 수단(31)으로서, 도 3의 (b)에 도시하는 직경 확장부(38)를 갖는 것을 사용하고 있다.
도 1,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작동 전의 상태에서는, 로드부(33)의 선단부인 직경 확장부(38)는 환상 고정부(42)의 통상 벽부(44)로 포위되도록 배치되어 있다. 이때, 직경 확장부(38)의 외주부와 통상 벽부(44)의 내주면(44a) 사이에는 약간의 간극이 형성되어 있다.
점화기(25)가 작동하여 발생한 연소 생성물에 의해, 가스 발생제 성형체(26)가 착화 연소되어, 고온의 연소 가스를 발생시킨다.
연소 가스에 의해 점화 수단실(20) 내의 압력이 상승하면, 파괴 수단(31)의 베이스부(32)가 돌기(16b)를 넘어, 축 X 방향으로 점화 수단실 하우징의 내주벽면(11c)을 접동하면서 이동한다.
그 후, 베이스부(32)는, 내경이 작아진 단차부(17)에 충돌하여 정지한다. 이때, 베이스부(32) 및 직경 확장부(38)는 길이 L만큼 축 X 방향으로 이동하고 있다.
베이스부(32)가 길이 L만큼 이동했을 때, 로드부(33)의 직경 확장부(38)의 선단면(39)은 파열판(47)의 비용접부(47b)에 충돌하여, 환상 판면부(43)에 용접되어 있는 환상의 용접부(47a)를 남기고 원형의 비용접부(47b)를 펀칭한다. 이 상태에서, 점화 수단실(30)측에 면한 환상 벽면부(36)의 주연(周緣)이 돌기(16b)와 부딪쳐, 파괴 수단(31)의 역행이 저지된다.
환상 벽면부(36)의 축 X 방향의 길이나, 돌기(16a, 16b) 및 단차부(17)의 위치는 이러한 동작을 할 수 있도록 길이나 위치가 조정되어 있다.
도 4 및 도 5는 파열판(47)의 비용접부(47b)가 펀칭되어, 직경 확장부(38)의 선단면(39) 위에 비용접부(47b)가 남아 있는 상태가 도시되어 있다.
도 4 및 도 5에 도시하는 상태일 때, 직경 확장부(38)는 가압 가스실(50) 내에 위치하고 있으며, 로드 본체부(37)는 통상 벽부(44)와 하우징 반경 방향에 대향하는 위치에 있다.
이때, 환상 고정부(42)(환상 판면부(43)와 통상 벽부(44))와 직경 확장부(38) 사이에는, 폭이 변화하고 있는 제1 환상 통로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환상 고정부(42)(환상 판면부(43)와 통상 벽부(44))에 잔존하는 파열판의 용접부(47a)의 상태에 따라서는, 용접부(47a)와 직경 확장부(38) 사이가 제1 환상 통로를 형성하는 경우도 포함된다.
제1 환상 통로는, 직경 확장부(38)의 원판부(38b)와 원뿔대부(38a)의 경계부와 환상 고정부(42)(환상 판면부(43)와 통상 벽부(44))의 최소 거리 P1을 폭으로 하는 제1a 환상 통로와, 로드부 본체부(37)와 직경 확장부(38)의 경계부(로드 본체부의 선단부(37a))와 환상 고정부(42)(환상 판면부(43)와 통상 벽부(44))의 최소 거리 P2를 폭으로 하는 제1b 환상 통로를 갖고 있다.
통상 벽부(44)와 로드 본체부(37) 사이에는 폭 P3의 제2 환상 통로가 형성되어 있다.
P1, P2 및 P3의 크기는, P1>P2>P3이 되고, 제1a 환상 통로부터 제2 환상 통로에 이르기까지, 그 폭이 변화하고 있다.
여기서, 제2 환상 통로(폭 P3)의 단면적이 Q, 원형으로 펀칭된 비용접부(47b)의 면적이 A1, 제1 환상 통로의 최소 폭 부분인 제1b 환상 통로(폭 P2)의 면적이 A2일 때, Q<(A2-A1)을 만족하고 있다.
또한 제2 환상 통로(폭 P3)의 단면적이 Q, 가스 배출구(29)의 총 개구 면적이 A3, 펀칭된 비용접부에 의해 폐색된 가스 배출구의 면적이 Z일 때, Q<(A3-Z)를 만족하고 있다.
가압 가스실(50) 내의 가압 가스는, 제1a 환상 통로(폭 P1), 제1b 환상 통로(P2), 제2 환상 통로(폭 P3)를 통과한 후, 가스 유입실(40) 내에 유입한다.
이것과 병행하여, 베이스부(32)의 관통 구멍(34)을 막는 시일 테이프가 찢어져, 관통 구멍(34)으로부터 가스 유입실(40) 내에 연소 가스가 유입된다.
가스 유입실(40) 내에 유입된 연소 가스와 가압 가스는, 가스 배출구(29)로부터 배출된다. 가스 유입실(40) 내도 가스 통로가 되지만, 최소의 통로 부분(폭 P4: 통상 벽부(44)의 선단부와 베이스부(32)의 거리)이라도, P1, P2 및 P3과 비교하면 충분히 크게 되어 있다.
또한, 연소 가스와 가압 가스의 배출 상태는, 어느 한쪽의 가스의 일부가 가스 배출구(29)로부터 배출된 후, 잔부 가스가 혼합 가스로서 배출되는 것도 생각되지만, 가스의 배출 상태나 타이밍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5의 상태 후, 직경 확장부(38)의 선단면(39)에 있는 펀칭된 파열판의 비용접부(47b)는, 선단면(39)으로부터 이격되어, 가압 가스실(50) 내로 이동한다. 이때, 환상 판면부(43)로부터의 선단면(39)의 돌출량에 따라서는, 비용접부(47b)가 제1a 환상 통로(폭 P1)의 일부를 막아, 면적 A2가 감소되어 (A2-A1)이 되어 버린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마찬가지로, Q<(A2-A1)을 만족하고 있기 때문에, 도 6에 도시하는 상태가 되었다고 해도, 제2 환상 통로(폭 P3)의 단면적 Q가 최소인 점에서, 가스 유량은 제2 환상 통로(폭 P3)로 제어되기 때문에, 가스 발생기(1)의 성능에는 전혀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또한 예를 들어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펀칭된 파열판의 비용접부(47b)가 펀칭된 상태(원형)를 유지한 채(또는 다소 변형된 상태로), 제1 환상 통로와 제2 환상 통로를 통과하여 가스 유입실(40) 내에 들어가, 가스 배출구(29)의 일부를 폐색해 버리면, 가스 배출구(29)의 총 개구 면적이 감소되어 버린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마찬가지로, Q<(A3-Z)를 만족하고 있기 때문에, 도 7에 도시하는 상태가 되었다고 해도, 제2 환상 통로(폭 P3)의 단면적 Q가 최소인 점에서, 가스 유량은 제2 환상 통로(폭 P3)로 제어되기 때문에, 가스 발생기(1)의 출력 성능에는 전혀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기타, 펀칭된 파열판의 비용접부(47b)가 일단은 제1 환상 통로를 막은 후에, 제1 환상 통로와 제2 환상 통로를 통과하여 가스 유입실(40)에 들어가, 가스 배출구(29)의 일부를 막은 경우에도 Q<(A2-A1)과 Q<(A3-Z)의 양쪽을 만족하고 있기 때문에, 가스 유량은 제2 환상 통로(폭 P3)로 제어되는 점에서, 가스 발생기(1)의 출력 성능에는 전혀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또한 펀칭된 파열판의 비용접부(47b)가 복수로 깨지는 경우에도, 마찬가지로 가스 유량은 제2 환상 통로(폭 P3)로 제어되는 점에서, 가스 발생기(1)의 출력 성능에는 전혀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2) 도 8 내지 도 10의 실시 형태
도 8 내지 도 10의 가스 발생기는, 도 1의 가스 발생기(1)에 있어서, 파괴 수단(31)으로서, 도 8 내지 도 10에 도시하는 것(도 3의 (c)에 도시한 것과 동일한 것)을 사용한 것 이외에는, 도 1에 도시하는 가스 발생기(1)와 동일한 것이다.
제1 환상 통로는, 직경 확장부(138)의 로드 본체부(137)측의 코너부와 환상 고정부(42)(환상 판면부(43)와 통상 벽부(44))의 최소 거리 P11을 폭으로 하는 제1a 환상 통로와, 로드부 본체부(137)와 직경 확장부(138)의 경계부와 고정부(42)(환상 판면부(43)와 통상 벽부(44))의 최소 거리 P12를 폭으로 하는 제1b 환상 통로를 갖고 있다.
통상 벽부(44)와 로드 본체부(137) 사이에는, 폭 P13의 제2 환상 통로가 형성되어 있다.
P11, P12 및 P13의 크기는, P12>P11>P13으로 되어 있다.
가스 유입실(40) 내도 가스 통로가 되지만, 최소의 통로 부분(폭 P14: 통상 벽부(44)의 선단부와 베이스부(32)의 거리))이어도, P11, P12 및 P13과 비교하면 충분히 크게 되어 있다.
제2 환상 통로(폭 P13)의 단면적이 Q, 원형으로 펀칭된 비용접부(47b)의 면적이 A1, 제1 환상 통로 중에서 최소 폭 부분인 가스 통로(폭 P11의 제1a 환상 통로)의 면적이 A2일 때, Q<(A2-A1)을 만족하고 있다.
또한 제2 환상 통로(폭 P13)의 단면적이 Q, 가스 배출구(29)의 총 개구 면적이 A3, 펀칭된 비용접부에 의해 폐색된 가스 배출구의 면적이 Z일 때, Q<(A3-Z)를 만족하고 있다.
이로 인해, 도 9에 도시하는 상태(도 6과 마찬가지의 상태) 및 도 10에 도시하는 상태(도 7과 마찬가지의 상태)가 되었다고 해도, 제2 환상 통로(폭 P13)의 단면적 Q가 최소인 점에서, 가스 유량은 제2 환상 통로(폭 P13)로 제어되기 때문에, 가스 발생기(1)의 출력 성능에는 전혀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또한, 펀칭된 파열판의 비용접부(47b)가 일단은 제1 환상 통로를 막은 후에, 제1 환상 통로와 제2 환상 통로를 통과하여 가스 유입실(40)에 들어가, 가스 배출구(29)의 일부를 막은 경우, 펀칭된 파열판의 비용접부(47b)가 복수로 깨지는 경우에도 마찬가지로 가스 유량은 제2 환상 통로(폭 P3)로 제어되는 점에서, 가스 발생기(1)의 출력 성능에는 전혀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도 8 내지 도 10에 도시하는 실시 형태의 것이라도, 도 1, 도 5 내지 도 7에 도시하는 것과 마찬가지로, 점화 수단실(30)에 있어서의 가스 발생제 성형체(26)의 연소 성능은, 베이스부(32)에 형성된 관통 구멍(34)의 총 개구 면적 Y와 가스 발생제 성형체(26)의 총 표면적 B가 Y<B가 되도록 함으로써 컨트롤된다. 이때, Y<(A3-Z)의 관계를 만족하고 있다.
본 발명의 가스 발생기는, 작동 시에 있어서, 가압 가스실(50) 내로부터의 가압 가스의 배출량을 제2 환상 통로의 단면적을 조정함으로써 제어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가스 발생기는, 작동 시에 있어서, 파괴 수단의 베이스부(32)의 관통 구멍(34)의 총 개구 면적 Y, 가스 배출구(29)의 총 개구 면적 A3(또는 A3-Z) 및 가스 발생제(26)의 총 표면적 B를 관련지음으로써, 가스 발생제(26)의 연소 성능을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가스 발생기는, 작동 상태와 상관없이, 가압 가스실(50) 내로부터의 가스의 배출량을 독립적으로 제어할 수 있고, 점화 수단실(30) 내의 가스 발생제(26)의 연소 성능도 독립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을 이상과 같이 기재했다. 당연히, 본 발명은 다양한 형태의 변형을 그 범위에 포함하고, 이들 변형은 본 발명의 범위로부터의 일탈이 아니다. 또한 당해 기술 분야에 있어서의 통상의 지식을 갖는 사람이 명백하게 본 발명의 변형으로 간주할 모두는, 이하에 기재하는 청구항의 범위에 있다.

Claims (6)

  1. 제1 단부측의 개구부에 점화 수단이 고정되고, 축 방향으로 반대측의 제2 단부측이 폐색된 통상 하우징 내에서, 제1 단부측부터 순서대로 점화 수단을 구비한 점화 수단실, 가스 배출구를 갖는 가스 유입실 및 가압 가스실이 배치되어 있고,
    가압 가스실과 가스 유입실 사이가, 통상 하우징의 내주벽면으로부터 반경 방향 내측으로 연장된 환상 고정부에 고정된 파열판으로 폐색되어 있고,
    점화 수단실과 가스 유입실 사이에는 파열판의 파괴 수단이 배치되어 있고,
    상기 파괴 수단이, 상기 통상 하우징의 내벽면에 외주면이 맞닿아져, 작동 시에 있어서 소정 길이(길이 L)만큼 축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는 베이스부와, 베이스부로부터 파열판측으로 연장된 로드부를 포함하는 것이며,
    상기 로드부가, 상기 베이스부로부터 연장된 로드 본체부와, 로드 본체부의 선단부가 반경 방향으로 직경 확장된 직경 확장부를 갖고 있는 것이며,
    상기 파열판이, 상기 환상 고정부에 대하여 고정되어 있고,
    또한 상기 직경 확장부의 선단면과 상기 파열판이 대향하고 있는 것이며,
    작동 시에 있어서, 상기 파괴 수단의 베이스부가 길이 L만큼 축 방향으로 이동했을 때, 상기 파괴 수단의 직경 확장부가 상기 환상 고정부로부터 상기 파열판을 펀칭한 후에 가압 가스실 내에 위치하고, 상기 로드 본체부가 상기 환상 고정부와 반경 방향에 대향하는 위치가 되는 것이며,
    가압 가스가 상기 가압 가스실부터 상기 가스 배출구까지 흘러갈 때, 상기 직경 확장부와 상기 환상 고정부 사이의 폭이 변화하고 있는 제1 환상 통로와, 상기 로드 본체부와 상기 환상 고정부 사이의 제2 환상 통로를 포함하는 가스 통로를 통과한 후, 상기 가스 배출구로부터 배출되는 것이며,
    상기 제2 환상 통로의 단면적이, 제1 환상 통로의 최소 폭 부분의 면적과 상기 가스 배출구의 총 개구 면적 중에서 최소가 되는 것이며,
    상기 제2 환상 통로의 단면적이 Q, 펀칭된 파열판의 면적이 A1, 상기 제1 환상 통로의 최소 폭 부분의 면적이 A2일 때, Q<(A2-A1)을 만족하는, 가스 발생기.
  2. 제1 단부측의 개구부에 점화 수단이 고정되고, 축 방향으로 반대측의 제2 단부측이 폐색된 통상 하우징 내에서, 제1 단부측부터 순서대로 점화 수단을 구비한 점화 수단실, 복수의 가스 배출구를 갖는 가스 유입실 및 가압 가스실이 배치되어 있고,
    가압 가스실과 가스 유입실 사이가, 통상 하우징의 내주벽면으로부터 반경 방향 내측으로 연장된 환상 고정부에 고정된 파열판으로 폐색되어 있고,
    점화 수단실과 가스 유입실 사이에는 파열판의 파괴 수단이 배치되어 있고,
    상기 파괴 수단이, 상기 통상 하우징의 내벽면에 외주면이 맞닿아져, 작동 시에 있어서 소정 길이(길이 L)만큼 축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는 베이스부와, 베이스부로부터 파열판측으로 연장된 로드부를 포함하는 것이며,
    상기 로드부가, 상기 베이스부로부터 연장된 로드 본체부와, 로드 본체부의 선단부가 반경 방향으로 직경 확장된 직경 확장부를 갖고 있는 것이며,
    상기 파열판이, 상기 환상 고정부에 대하여 고정되어 있고,
    또한 상기 직경 확장부의 선단면과 상기 파열판이 대향하고 있는 것이며,
    작동 시에 있어서, 상기 파괴 수단의 베이스부가 길이 L만큼 축 방향으로 이동했을 때, 상기 파괴 수단의 직경 확장부가 상기 환상 고정부로부터 상기 파열판을 펀칭한 후에 가압 가스실 내에 위치하고, 상기 로드 본체부가 상기 환상 고정부와 반경 방향에 대향하는 위치가 되는 것이며,
    가압 가스가 상기 가압 가스실부터 상기 가스 배출구까지 흘러갈 때, 상기 직경 확장부와 상기 환상 고정부 사이의 폭이 변화하고 있는 제1 환상 통로와, 상기 로드 본체부와 상기 환상 고정부 사이의 제2 환상 통로를 포함하는 가스 통로를 통과한 후, 상기 가스 배출구로부터 배출되는 것이며,
    상기 제2 환상 통로의 단면적이, 제1 환상 통로의 최소 폭 부분의 면적과 상기 가스 배출구의 총 개구 면적 중에서 최소가 되는 것이며,
    상기 제2 환상 통로의 단면적이 Q, 상기 가스 배출구의 총 개구 면적이 A3, 펀칭된 파열판에 의해 폐색된 가스 배출구의 면적이 Z일 때, Q<(A3-Z)를 만족하는, 가스 발생기.
  3. 제1항에 있어서, Q<(A2-A1) 외에, 상기 제2 환상 통로의 단면적이 Q, 상기 가스 배출구의 총 개구 면적이 A3, 펀칭된 파열판에 의해 폐색된 가스 배출구의 면적이 Z일 때, Q<(A3-Z)를 더 만족하는, 가스 발생기.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환상 고정부가, 상기 통상 하우징의 내주벽면으로부터 반경 방향 내측으로 연장된 환상 판면부와, 상기 환상 판면부의 내주부로부터 상기 가스 유입실측으로 연장된 통상 벽부를 갖고 있는 것이며,
    상기 로드 본체부와 상기 통상 벽부 사이가 제2 환상 통로가 되는 것인, 가스 발생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점화 수단실 내에 점화 수단으로서 전기식 점화기와 가스 발생제가 수용되어 있으며,
    상기 점화 수단실과 상기 가스 유입실 사이가 상기 파괴 수단의 베이스부로 구획되어 있고,
    상기 베이스부가 시일 테이프로 폐색된 두께 방향으로의 관통 구멍을 갖고 있는 것이며,
    상기 관통 구멍의 총 개구 면적 Y와 가스 발생제 성형체의 총 표면적 B가 Y<B의 관계를 만족하고 있으며, 또한 상기 관통 구멍의 총 개구 면적 Y와 상기 가스 배출구의 총 개구 면적 A3이 Y<A3의 관계를 만족하는, 가스 발생기.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점화 수단실 내에 점화 수단으로서 전기식 점화기와 가스 발생제가 수용되어 있으며,
    상기 점화 수단실과 상기 가스 유입실 사이가 상기 파괴 수단의 베이스부로 구획되어 있고,
    상기 베이스부가 시일 테이프로 폐색된 두께 방향으로의 관통 구멍을 갖고 있는 것이며,
    상기 관통 구멍의 총 개구 면적 Y와 가스 발생제 성형체의 총 표면적 B가 Y<B의 관계를 만족하고 있으며, 또한 상기 관통 구멍의 총 개구 면적 Y와 상기 가스 배출구의 총 개구 면적 A3이 Y<(A3-Z)의 관계를 만족하는, 가스 발생기.
KR1020177006599A 2014-09-29 2015-08-24 가스 발생기 KR20170063562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4197896A JP6251662B2 (ja) 2014-09-29 2014-09-29 ガス発生器
JPJP-P-2014-197896 2014-09-29
PCT/JP2015/073650 WO2016051998A1 (ja) 2014-09-29 2015-08-24 ガス発生器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63562A true KR20170063562A (ko) 2017-06-08

Family

ID=556300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7006599A KR20170063562A (ko) 2014-09-29 2015-08-24 가스 발생기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10214176B2 (ko)
JP (1) JP6251662B2 (ko)
KR (1) KR20170063562A (ko)
CN (1) CN107074190B (ko)
DE (1) DE112015004430T5 (ko)
WO (1) WO201605199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312571B2 (ja) * 2014-09-29 2018-04-18 株式会社ダイセル ガス発生器

Family Cites Families (8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897962A (en) * 1971-03-16 1975-08-05 Allied Chem Gas generator nozzle
US3869143A (en) * 1973-06-25 1975-03-04 Gen Motors Corp Inflator for occupant restraint cushion
US3901530A (en) * 1973-08-08 1975-08-26 Allied Chem Multiple mini hybrid with direct bag connection
US5230531A (en) * 1990-10-22 1993-07-27 Oea, Inc. Gas generator ignition assembly using a projectile
US5242194A (en) * 1992-10-23 1993-09-07 Trw Vehicle Safety Systems Inc. Air bag inflator
US5456492A (en) * 1992-12-14 1995-10-10 Morton International, Inc. Hybrid (augmented) gas generator
US5345876A (en) * 1993-02-04 1994-09-13 Atlantic Research Corporation Hybrid inflator
US5406889A (en) * 1993-09-03 1995-04-18 Morton International, Inc. Direct laser ignition of ignition products
US5437188A (en) * 1994-01-31 1995-08-01 Alliedsignal Inc. Tell tale device for a pressure vessel
US5482315A (en) * 1994-06-07 1996-01-09 Morton International, Inc. Large L/D ratio tubular hybrid gas generator for the inflation of air bags
CA2156362C (en) * 1994-09-12 1998-06-30 Jess A. Cuevas Mini inflator assembly
ES2158149T3 (es) * 1994-12-12 2001-09-01 Atlantic Res Corp Inflador hibrido.
US5462307A (en) * 1994-12-27 1995-10-31 General Motors Corporation Supplemental inflation restraint inflator
US5533751A (en) * 1995-02-22 1996-07-09 Morton International, Inc. Hybrid inflator with elongated housing and center discharge
US5542702A (en) * 1995-03-27 1996-08-06 Morton International, Inc. Pressurized gas inflator for vehicle occupant protection systems
US5518268A (en) * 1995-06-19 1996-05-21 Morton International, Inc. Flow-through heat-enhanced hybrid inflator
KR0155087B1 (ko) * 1995-06-30 1998-10-15 배순훈 장착이 용이한 차량용 에어백
US6273462B1 (en) * 1995-09-22 2001-08-14 Trw Vehicle Safety Systems Inc. Air bag inflator
US5582426A (en) * 1995-10-24 1996-12-10 Trw Vehicle Safety Systems Inc. Vented ignition cup in stored fluid inflator
US5607181A (en) * 1995-11-30 1997-03-04 Morton International, Inc. Liquid-fueled inflator with a porous containment device
US5732972A (en) * 1996-04-10 1998-03-31 Morton International, Inc. Cold deployment pyrotechnic inflator for air bag systems
US5762368A (en) * 1996-06-20 1998-06-09 Trw Vehicle Safety Systems Inc. Initiator for air bag inflator
US5763817A (en) * 1996-08-14 1998-06-09 Bendix-Atlantic Inflator Company Center gas fill inflator
JPH1095300A (ja) * 1996-09-20 1998-04-14 Daicel Chem Ind Ltd エアバッグ用ガス発生器
DE19654315A1 (de) * 1996-12-24 1998-06-25 Dynamit Nobel Ag Hybrid-Gasgenerator
US6010153A (en) * 1997-02-21 2000-01-04 Breed Automotive Technology, Inc. Hybrid inflator for airbags
DE19723260A1 (de) * 1997-06-03 1998-12-10 Temic Bayern Chem Airbag Gmbh Gasgenerator
US6499764B2 (en) * 1997-06-17 2002-12-31 Dynamit Nobel Gmbh Explosivstoff-Und Systemtechnik Gas generator
US6116641A (en) * 1998-01-22 2000-09-12 Atlantic Research Corporation Dual level gas generator
US5941563A (en) * 1998-01-28 1999-08-24 Illinois Tool Works, Inc. Airbag diffuser
US6095556A (en) * 1998-07-20 2000-08-01 Autoliv Asp, Inc. Inflator disk actuator backer plate
FR2793748B1 (fr) * 1999-05-21 2001-06-22 Livbag Snc Generateur hybride a pilier perforateur
US6237950B1 (en) * 1999-07-26 2001-05-29 Trw Vehicle Safety Systems Inc. Staged air bag inflator
DE10028168A1 (de) * 2000-06-09 2001-12-20 Peter Lell Gasgenerator, insbesondere zum Befüllen eines Gassacks
US6382668B1 (en) * 2000-11-16 2002-05-07 Trw Vehicle Safety Systems Inc. Air bag inflator
JP2002276896A (ja) * 2001-03-14 2002-09-25 Takata Corp ストアーガスインフレータ
US7134689B2 (en) * 2001-11-30 2006-11-14 Daicel Chemical Industries, Ltd. Inflator
US20040084884A1 (en) * 2002-02-18 2004-05-06 Masayuki Yamazaki Hybrid inflator
US7044501B2 (en) * 2002-06-17 2006-05-16 Daicel Chemical Industries, Ltd. Inflator
US7328914B2 (en) * 2003-05-29 2008-02-12 Daicel Chemical Industries, Ltd. Inflator
US7438313B2 (en) * 2003-08-06 2008-10-21 Arc Automotive, Inc. Compact multi-level output gas generator
US20050062273A1 (en) * 2003-08-07 2005-03-24 Naoki Matsuda Inflator
US20050077713A1 (en) * 2003-08-11 2005-04-14 Naoki Matsuda Hybrid inflator
DE20318283U1 (de) * 2003-11-26 2004-04-01 Trw Airbag Systems Gmbh Gasgenerator
DE20319564U1 (de) * 2003-12-17 2004-04-15 Trw Airbag Systems Gmbh Gasgenerator
US20050189750A1 (en) * 2004-02-02 2005-09-01 Yuzo Gotoh Hybrid inflator
US7419183B2 (en) * 2004-02-04 2008-09-02 Daicel Chemical Industries, Ltd. Inflator
JP2005225346A (ja) * 2004-02-12 2005-08-25 Daicel Chem Ind Ltd エアバッグ用インフレータ
US7140638B2 (en) * 2004-04-06 2006-11-28 Trw Vehicle Safety Systems, Inc. Inflator filter retainer
US7588265B2 (en) * 2004-04-12 2009-09-15 Automotive Systems Laboratory, Inc. Pressurized gas release mechanism
US20050230948A1 (en) * 2004-04-20 2005-10-20 Trw Vehicle Safety Systems Inc. Inflator with weld spatter collection
US20050230950A1 (en) * 2004-04-20 2005-10-20 Trw-Vehicle Safety Systems Inc. Inflator with stamped end cap
US20060006632A1 (en) * 2004-06-03 2006-01-12 Daicel Chemical Industries, Ltd. Gas generator for air bag
JP2005350020A (ja) * 2004-06-14 2005-12-22 Takata Corp インフレータ及びエアバッグ装置
JP2006007815A (ja) * 2004-06-22 2006-01-12 Takata Corp インフレータ及びエアバッグ装置
GB2417066B (en) * 2004-08-13 2006-12-06 Autoliv Dev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an inflator for an air-bag
US7338073B2 (en) * 2004-08-18 2008-03-04 Daicel Chemical Industries, Ltd. Inflator
JP2006111257A (ja) * 2004-09-17 2006-04-27 Daicel Chem Ind Ltd ガス発生器
US20060103123A1 (en) 2004-11-12 2006-05-18 Trw Vehicle Safety Systems Inc. Inflator with shock wave focusing structure
US20060157960A1 (en) * 2004-12-22 2006-07-20 Daicel Chemical Industries, Ltd. Gas generator for air bag
US7540306B2 (en) * 2005-02-14 2009-06-02 Daicel Chemical Industries, Ltd. Pressurized gas charging method
US20060249938A1 (en) * 2005-04-15 2006-11-09 Daicel Chemical Industries, Ltd. Gas generator for air bag
JP4907931B2 (ja) * 2005-09-15 2012-04-04 日本化薬株式会社 ガス発生器
US20070069511A1 (en) 2005-09-29 2007-03-29 Daicel Chemical Industries, Ltd. Gas generator
US7341276B2 (en) * 2005-10-03 2008-03-11 Key Safety Systems, Inc. Airbag module with external venting
US20070200326A1 (en) * 2006-02-24 2007-08-30 Daicel Chemical Industries, Ltd. Gas generator for restraining device for vehicle
JP2007223485A (ja) 2006-02-24 2007-09-06 Daicel Chem Ind Ltd 車両の人員拘束装置用ガス発生器
US20080023948A1 (en) * 2006-07-27 2008-01-31 Daicel Chemical Industries, Ltd. Gas generator for restraining device for vehicle
JP4916855B2 (ja) * 2006-12-01 2012-04-18 株式会社ダイセル インフレータ
JP4953983B2 (ja) * 2007-08-23 2012-06-13 株式会社ダイセル 筒状部品
JP4953998B2 (ja) * 2007-09-18 2012-06-13 株式会社ダイセル 人員拘束装置用ガス発生器
JP5098841B2 (ja) * 2008-06-20 2012-12-12 豊田合成株式会社 インフレーターの製造方法
JP5292983B2 (ja) * 2008-08-07 2013-09-18 豊田合成株式会社 インフレーター
JP5181971B2 (ja) * 2008-09-25 2013-04-10 豊田合成株式会社 ガス発生装置
JP4955834B2 (ja) * 2009-05-11 2012-06-20 タカタ・ペトリ アーゲー 車両乗員拘束システムのガスバッグ膨張用ガスジェネレータ
JP5769943B2 (ja) 2010-10-01 2015-08-26 株式会社ダイセル ガス発生器
DE102011009309B4 (de) * 2011-01-24 2024-02-08 Zf Airbag Germany Gmbh Gasgenerator
JP5985960B2 (ja) * 2012-11-08 2016-09-06 株式会社ダイセル ガス発生器
JP6154147B2 (ja) * 2013-01-30 2017-06-28 株式会社ダイセル ガス発生器
DE102015200914A1 (de) * 2014-01-28 2015-07-30 Robert Bosch Gmbh Vorrichtung zum Steuern eines Volumenstroms eines unter Druck gespeicherten Mediums zum Aktivieren einer Aufprallschutzeinrichtung sowie Vorrichtung zum Aktivieren einer Aufprallschutzeinrichtung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112015004430T5 (de) 2017-07-06
CN107074190A (zh) 2017-08-18
JP2016068657A (ja) 2016-05-09
US20170282843A1 (en) 2017-10-05
JP6251662B2 (ja) 2017-12-20
US10214176B2 (en) 2019-02-26
CN107074190B (zh) 2019-09-13
WO2016051998A1 (ja) 2016-04-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944250B2 (en) Gas generator
KR101757509B1 (ko) 가스 발생기
WO2014119361A1 (ja) ガス発生器
KR20190021249A (ko) 가스 발생기
US20170043743A1 (en) Gas generator
US5335940A (en) Air bag inflator having flow control for slowing and filtering inflation gas
US5700030A (en) Inflator with combustion chamber pressure regulator
KR20190132277A (ko) 팽창기용 추진제 케이지, 이러한 추진제 케이지를 포함하는 팽창기, 작동 방법 및 팽창기의 충격파를 안내하는 방법
WO2018088134A1 (ja) ガス発生器
US10870409B2 (en) Gas generator
KR20170040190A (ko) 가스 발생기
KR102562691B1 (ko) 가스 발생기, 에어백 모듈 및 모터 차량 안전 시스템
WO2016170968A1 (ja) ガス発生器
KR20170063562A (ko) 가스 발생기
US10308211B2 (en) Support structure of closing member for gas generator and gas generator using same
KR20190032349A (ko) 가스 발생기
JP6312571B2 (ja) ガス発生器
US9566938B2 (en) Gas generator
US6068293A (en) Vehicle occupant protection apparatus
WO2022244294A1 (ja) ガス発生器及びガス排出方法
JP2022179278A (ja) ガス発生器及びガス排出方法
JP2005329783A (ja) ガス発生器
JP2004058930A (ja) インフレータ用スクリーンの製造方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