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21249A - 가스 발생기 - Google Patents

가스 발생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21249A
KR20190021249A KR1020187037209A KR20187037209A KR20190021249A KR 20190021249 A KR20190021249 A KR 20190021249A KR 1020187037209 A KR1020187037209 A KR 1020187037209A KR 20187037209 A KR20187037209 A KR 20187037209A KR 20190021249 A KR20190021249 A KR 2019002124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as
cup
surface portion
shaped deflector
wea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70372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이치로 우키타
도모하루 고바야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다이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다이셀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다이셀
Publication of KR2019002124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2124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characterised by the inflation fluid source or means to control inflation fluid flow
    • B60R21/268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characterised by the inflation fluid source or means to control inflation fluid flow using instantaneous release of stored pressurised gas
    • B60R21/272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characterised by the inflation fluid source or means to control inflation fluid flow using instantaneous release of stored pressurised gas with means for increasing the pressure of the gas just before or during liberation, e.g. hybrid infla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characterised by the inflation fluid source or means to control inflation fluid flow
    • B60R21/268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characterised by the inflation fluid source or means to control inflation fluid flow using instantaneous release of stored pressurised ga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3Inflatable members
    • B60R21/231Inflatable member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construction or spatial configuration
    • B60R21/2334Expansion control features
    • B60R21/2346Soft diffus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characterised by the inflation fluid source or means to control inflation fluid flow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characterised by the inflation fluid source or means to control inflation fluid flow
    • B60R21/261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characterised by the inflation fluid source or means to control inflation fluid flow with means other than bag structure to diffuse or guide inflation flui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characterised by the inflation fluid source or means to control inflation fluid flow
    • B60R21/268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characterised by the inflation fluid source or means to control inflation fluid flow using instantaneous release of stored pressurised gas
    • B60R21/274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characterised by the inflation fluid source or means to control inflation fluid flow using instantaneous release of stored pressurised gas characterised by means to rupture or open the fluid sour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characterised by the inflation fluid source or means to control inflation fluid flow
    • B60R2021/26029Igni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characterised by the inflation fluid source or means to control inflation fluid flow
    • B60R21/261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characterised by the inflation fluid source or means to control inflation fluid flow with means other than bag structure to diffuse or guide inflation fluid
    • B60R2021/2612Gas guiding means, e.g. duc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characterised by the inflation fluid source or means to control inflation fluid flow
    • B60R21/264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characterised by the inflation fluid source or means to control inflation fluid flow using instantaneous generation of gas, e.g. pyrotechnic
    • B60R2021/2642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characterised by the inflation fluid source or means to control inflation fluid flow using instantaneous generation of gas, e.g. pyrotechnic comprising a plurality of combustion chambers or sub-chamb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Air Bags (AREA)
  • Feeding, Discharge, Calcimining, Fusing, And Gas-Generation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통상 하우징의 제1 단부측이 점화기를 포함하는 점화 장치로 폐색된 점화 장치실을 갖고, 통상 하우징의 상기 제1 단부와는 축 방향 반대측의 제2 단부측이 가스 배출구를 갖는 디퓨저부로 폐색되어 있으며, 상기 디퓨저부와 상기 점화 장치실의 사이가 가스원이 되는 가압 가스가 충전된 가압 가스 충전실이고, 상기 점화 장치실과 상기 가압 가스 충전실의 사이가 제1 파열판으로 폐색되며, 상기 가압 가스 충전실과 상기 디퓨저부의 사이가 제2 파열판으로 폐색되어 있고, 상기 제2 파열판의 상기 가압 가스 충전실측에는 컵상 디플렉터가 배치되어 있고, 상기 컵상 디플렉터가 둘레면부에 가스 통과구를 갖고, 추가로 저면부 및 상기 둘레면부의 적어도 한쪽에 취약부를 갖고 있으며, 상기 저면부가 상기 제1 파열판측에 위치하고, 개구부가 상기 제2 파열판을 덮도록 하고, 또한 상기 둘레면부가 상기 통상 하우징의 내주벽면과의 사이에 통상 간극이 형성되도록 하여 배치되어 있는 가스 발생기이다.

Description

가스 발생기
본 발명은, 자동차의 에어백 장치에 사용할 수 있는 가스 발생기에 관한 것이다.
가스 발생기가 작동했을 때, 파괴된 내부 부품의 파편이 가스 배출구로부터 배출되지 않도록 하기 위해, 상기 파편의 포착 수단(필터)이 사용되고 있다.
JP2004-58984A는, 가스원으로서 가압 가스를 사용한 인플레이터의 발명이다. 도 7에 도시하는 인플레이터(110)는, 인플레이터 하우징(112)의 일단부에 가스 배출구(141)를 형성한 디퓨저부(116)가 형성되고, 하우징(112)의 내부가 가압 가스를 충전한 내부 공간(114)으로 되어 있다. 또한, 디퓨저부(116) 내부의 가압 가스 통로(144)와 내부 공간(114)이 제1 파열판(122)으로 폐색되어 있다. 가압 가스 통로(144) 내부에는, 둘레면부(145)에 원형의 연통 구멍(147)이 다수 형성된 필터(120)가 배치되어 있으며, 그의 개구 단부(143)가 가스 배출구(141)에 씌워져, 폐색부(142)가 제1 파열판(122)에 대향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필터(120)의 반경 방향 외측과 가압 가스 통로(144)의 사이에는 포켓부(140)가 형성되어, 제1 파열판(122)의 파편이나 제2 파열판(130)의 파편, 혹은 가스 발생제(125)로부터의 연소 잔사가 축적되는 것이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의 제1 양태(이하, 「제1 양태」라 한다)는, 통상(筒狀) 하우징의 제1 단부측이 점화기를 포함하는 점화 장치로 폐색된 점화 장치실을 갖고, 통상 하우징의 상기 제1 단부와는 축 방향 반대측의 제2 단부측이 가스 배출구를 갖는 디퓨저부로 폐색되어 있으며,
상기 디퓨저부와 상기 점화 장치실의 사이가 가스원이 되는 가압 가스가 충전된 가압 가스 충전실이고,
상기 점화 장치실과 상기 가압 가스 충전실의 사이가 제1 파열판으로 폐색되며, 상기 가압 가스 충전실과 상기 디퓨저부의 사이가 제2 파열판으로 폐색되어 있고,
상기 제2 파열판의 상기 가압 가스 충전실측에는 컵상 디플렉터가 배치되어 있고,
상기 컵상 디플렉터가 둘레면부에 가스 통과구를 갖고, 추가로 저면부 및 상기 둘레면부 중 적어도 한쪽에 취약부를 갖고 있으며, 상기 저면부가 상기 제1 파열판측에 위치하고, 개구부가 상기 제2 파열판을 덮도록 하고, 또한 상기 둘레면부가 상기 통상 하우징의 내주벽면과의 사이에 통상 간극이 형성되도록 하여 배치되어 있는 가스 발생기이다.
본 발명의 제2 양태(이하, 「제2 양태」라 한다)는, 통상 하우징의 제1 단부측이 점화기를 포함하는 점화 장치로 폐색된 점화 장치실을 갖고, 통상 하우징의 상기 제1 단부와는 축 방향 반대측의 제2 단부측이 가스 배출구를 갖는 디퓨저부로 폐색되어 있으며,
상기 디퓨저부와 상기 점화 장치실의 사이가 가스원이 되는 가스 발생제가 충전된 연소실이고,
상기 연소실과 상기 디퓨저부의 사이가 폐색 부재로 폐색되어 있고,
상기 폐색 부재의 상기 연소실측에는 컵상 디플렉터가 배치되어 있고,
상기 컵상 디플렉터가 둘레면부에 가스 통과구를 갖고, 추가로 저면부 및 상기 둘레면부 중 적어도 한쪽에 취약부를 갖고 있으며, 상기 저면부가 상기 제1 단부측에 위치하고, 개구부가 상기 폐색 부재를 덮도록 하고, 또한 상기 둘레면부가 상기 통상 하우징의 내주벽면과의 사이에 통상 간극이 형성되도록 하여 배치되어 있는 가스 발생기이다.
본 발명은, 이하의 상세한 설명과 첨부된 도면에 의해 더욱 완전히 이해되는 것이지만, 이들은 단지 설명을 위해 첨부되는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본 발명의 가스 발생기의 장축 X 방향의 단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다른 실시 형태의 부분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가스 발생기에 있어서, 통상 하우징과 컵상 디플렉터의 위치 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반경 방향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1의 가스 발생기에서 사용할 수 있는 컵상 디플렉터의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1의 가스 발생기가 도 4의 컵상 디플렉터를 갖고 있을 때, 도 1의 가스 발생기의 동작 전후에 있어서의 컵상 디플렉터의 변화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며, (a)는 동작 전, (b)는 동작 후이다.
도 6은, 도 1의 가스 발생기가, 도 4의 컵상 디플렉터와는 상이한 실시 형태의 컵상 디플렉터를 갖고 있을 때, 도 1의 가스 발생기의 동작 전후에 있어서의 컵상 디플렉터의 변화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며, (a)는 동작 전, (b)는 동작 후이다.
도 7은, 도 1의 가스 발생기가, 도 4, 도 6의 컵상 디플렉터와는 상이한 실시 형태의 컵상 디플렉터를 갖고 있을 때, 도 1의 가스 발생기의 동작 전후에 있어서의 컵상 디플렉터의 변화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며, (a)는 동작 전, (b)는 동작 후이다.
도 8은, 도 1의 가스 발생기가 도 8의 (a)의 컵상 디플렉터를 갖고 있을 때, 도 1의 가스 발생기의 동작 전후에 있어서의 컵상 디플렉터의 변화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며, (a)는 동작 전, (b)는 동작 후이다.
도 9는, 도 8의 (a)의 컵상 디플렉터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정면도이다.
도 10은, (a) 및 (b)에 있어서, 각각 도 8의 (a)의 컵상 디플렉터와는 가스 통과구 형상 및 취약부 형상이 상이한 실시 형태의 부분 정면도이다.
본 발명의 가스 발생기는, 작동시에 있어서 파괴된 내부 부품의 파편이 가스 배출 경로의 일부를 폐색하는 경우에도, 가스 배출 경로를 확보할 수 있으며, 필요한 가스 배출 속도를 유지할 수 있는 가스 발생기를 제공한다.
통상 하우징은, 철 또는 스테인리스 등의 금속으로 이루어진 것이다.
점화기를 포함하는 점화 장치는, 점화기만, 점화기와의 전화약의 조합, 및 점화기와 가스 발생제의 조합 중 어느 것을 갖고 있는 것이다. 점화기는, 착화부와 도전 핀을 갖는 점화기 본체가 수지를 통해 금속제 컬러와 일체화되어 있으며, 상기 착화부는 금속제의 컵 내에 충전된 점화약을 갖고 있다. 점화 장치로서 전화약이나 가스 발생제를 사용한 경우에는, 이들이 다른 컵 부재 내에 수용되어, 점화약을 수용하는 금속제 컵에 인접한 상태로 배치되어 있어도 된다.
가압 가스 충전실은, 가스원으로서 아르곤, 헬륨 등의 공지된 가압 가스를 사용하고 있으며, 내부를 밀폐하기 위해 제1 파열판과 제2 파열판으로 폐색되어 있다. 제1 파열판과 제2 파열판은, 통상 하우징과 동일한 재질로 이루어진 것이 바람직하다.
컵상 디플렉터는, 철 또는 스테인리스 등의 금속으로 이루어진 것이며, 둘레면부에 가스 통과구를 갖고, 추가로 저면부 및 상기 둘레면부 중 적어도 한쪽에 취약부를 갖고 있다. 상기 취약부는, 취약부의 주위보다도 강도가 작아진 부분이며, 작동시에는 우선적으로 개열되거나 변형되거나 하는 부분이다. 취약부는, 홈, 박육부 등이다. 컵상 디플렉터는 개구부에 플랜지부를 갖고 있는 것이어도 되고, 저면부와 둘레면부의 경계 부분이 둥글게 되어 있는 것이어도 된다.
점화기가 작동하면 제1 파열판이 개열되고, 점화 장치실과 가압 가스 충전실이 연통되어, 고온의 연소 가스가 가압 가스 충전실에 유입된다. 연소 가스와 가압 가스는, 컵상 디플렉터의 가스 통과구를 통해 디플렉터 내측으로 들어가고, 또한 디퓨저부로 이동한 후, 가스 배출구로부터 배출된다. 이 과정에서 제1 파열판이 개열되었을 때에 파편이 발생하여, 상기 파편이 컵상 디플렉터의 가스 통과구의 일부를 막은 경우에는, 가스 배출 경로의 합계 단면적이 감소되어 필요한 가스 배출 속도를 확보할 수 없게 되고, 에어백의 팽창 속도의 지연으로도 이어진다.
또한, 점화 장치에 컵 부재가 포함되는 경우에는, 상기 컵 부재의 파편도 가스 통과구의 일부를 폐색하도록 작용하는 경우도 있을 뿐만 아니라, 점화기의 착화부를 덮는 금속제의 컵의 파편도 마찬가지로 작용할 가능성이 있다.
제1 양태의 가스 발생기는 컵상 디플렉터가 취약부를 갖고 있으며, 작동시에 제1 파열판의 파편 등이 발생한 경우에 그의 파편이 충돌함으로써 상기 취약부가 개열되어, 새로운 가스 배출 경로가 형성된다. 또한, 그의 파편이 컵상 디플렉터의 외측의 통상 간극에 감입하여 가스 통과구의 일부를 폐색할 때에, 파편이 닿은 충격으로, 혹은 파편의 폐색에 의한 하우징 내압력의 상승으로 컵상 디플렉터가 축 방향으로 압축되도록 변형됨으로써, 취약부가 변형되고, 가스 통과구가 넓어진다. 이 때문에, 상기한 바와 같은 가스 통과구의 일부가 폐색된 경우에도, 필요한 가스 배출 경로의 합계 단면적을 확보할 수 있기 때문에, 가스의 배출 속도(즉, 에어백의 팽창 속도)가 영향을 받지 않는다. 또한, 가스 통과구의 폐색에 의해 하우징 내가 과잉의 압력이 되는 것을 피할 수 있다. 즉 본건 발명의 가스 발생기는, 취약부에 하중이 가해짐으로써 변형 또는 개열되어, 가스 배출 경로의 단면적이 넓어지는 구조이다. 그 결과 가스 발생기 작동 전의 가스 통과구의 총 개구 면적 이상으로 가스 배출 경로가 확보된다. 또한 취약부는 통상(설계 내의) 작동에서는 변형이나 개열은 일어나지 않는다.
제2 양태의 가스 발생기는, 제1 양태의 가스 발생기와는 가스원이 상이하며, 그에 따라 일부 구조가 상이하다.
점화 장치와 연소실의 사이는 연통된 상태여도 되고, 필요에 따라 메쉬 부재 등으로 구획되어 있어도 된다. 또한 점화 장치는, 공지된 전화약이나 가스 발생제를 포함하고 있어도 된다. 연소실과 디퓨저부의 사이는, 방습을 위해 폐색 부재로 폐색되어 있다.
점화기가 작동하면 화염이나 고온 가스를 포함하는 연소 생성물이 발생한다. 상기 연소 생성물은 가스 발생제를 착화 연소시켜 연소 가스를 발생시킨다. 연소 가스는, 컵상 디플렉터의 가스 통과구를 통해 내측으로 들어가고, 또한 디퓨저부로 이동한 후, 가스 배출구로부터 배출된다. 이 과정에서 점화기의 착화부를 덮는 금속제의 컵의 파편, 점화 장치에 컵 부재가 포함되는 경우에는 상기 컵 부재의 파편 등이 발생하여, 상기 파편이 컵상 디플렉터의 가스 통과구의 일부를 막은 경우에는, 가스 배출 경로의 합계 단면적이 감소되어 필요한 가스 배출 속도를 확보할 수 없게 되고, 에어백의 팽창 속도의 지연으로도 이어진다.
제2 양태의 가스 발생기는 컵상 디플렉터가 취약부를 갖고 있으며, 작동시에 상기 파편 등이 발생한 경우에 그의 파편이 충돌함으로써 상기 취약부가 개열되어, 새로운 가스 배출 경로가 형성된다. 또한, 그의 파편이 컵상 디플렉터의 외측의 통상 간극에 감입하여 가스 통과구의 일부를 폐색할 때에, 파편이 닿은 충격으로, 혹은 파편의 폐색에 의한 하우징 내압력의 상승으로 컵상 디플렉터가 축 방향으로 압축되도록 변형됨으로써, 취약부가 변형되고, 가스 통과구가 넓어진다. 이 때문에, 상기한 바와 같은 가스 통과구의 일부가 폐색된 경우에도, 필요한 가스 배출 경로의 합계 단면적을 확보할 수 있게 되어, 가스의 배출 속도(즉, 에어백의 팽창 속도)가 영향을 받지 않는다. 또한, 가스 통과구의 폐색에 의해 하우징 내가 과잉의 압력이 되는 것을 피할 수 있다. 즉, 본건 발명의 가스 발생기는, 취약부에 하중이 가해짐으로써 변형 또는 개열되어, 가스 배출 경로의 단면적이 넓어지는 구조이다. 그 결과 가스 발생기 작동 전의 가스 통과구의 총 개구 면적 이상으로 가스 배출 경로가 확보된다. 따라서 취약부는 통상(설계 내의) 작동에서는 변형이나 개열은 일어나지 않는다.
제1 양태 및 제2 양태의 가스 발생기는, 상기 컵상 디플렉터가 둘레면부에 가스 통과구를 갖고, 저면부에 취약부를 갖고 있는 것이며,
상기 취약부가, 떨어진 위치에 있는 기점과 종점의 사이가 최단 거리(L)가 되지 않는 선으로 연결되어 있을 때, 상기 선을 따라 형성된 총 거리가 2L 내지 15L의 범위의 홈인 것(제3 양태)이 바람직하다.
둘레면부에 형성된 가스 통과구는, 원형 또는 타원형 등의 작은 구멍이 둘레 방향으로 균등 간격으로 형성된 것(일렬)이 길이 방향으로 복수열 형성된 것 등으로 할 수 있다(예를 들어, JP2004-58984A의 도 7에 도시하는 원형의 연통 구멍(147)의 배치 형태). 이러한 가스 통과구의 배치 상태로 함으로써, 가스 통과구가 형성된 둘레면부의 강도를 취약부보다도 높게 할 수 있다.
취약부는, 컵상 디플렉터의 저면부에만 형성되어 있다. 취약부가 되는 홈은, 폭 방향의 단면 형상이 V자상, U자상 또는 이들에 유사한 형상 등의 홈이다. 기점과 종점의 사이에는 취약부는 형성되어 있지 않다. 상기 취약부가 되는 기점과 종점을 연결하는 선은, 곡선, 직선 또는 곡선과 직선이 조합된 선이다. 이 경우, 취약부란 하중이 가해졌을 때에 우선적으로 절단되는 부위이며, 절단 후에는 기점과 종점을 연결하는 최단 거리 L 부분(접속부)에서 용이하게 절곡되도록 하기 위해, 이 접속부에 취약부보다도 깊이가 얕은 홈이나 점선상의 홈을 형성해도 된다.
취약부가 되는 홈의 거리는, 가스 통과구의 총 개구 면적과의 관계를 고려하여 2L 내지 15L의 범위로부터 선택할 수 있다. 여기서, 2L은 취약부가 개열되어 개구되었을 때의 면적이 최소가 되고, 15L은 취약부가 개열되어 개구되었을 때의 면적이 최대가 된다. 상기 취약부는, 원호상으로 형성된 홈을 포함하는 취약부, 삼각형의 2변을 따라 형성된 홈을 포함하는 취약부, 및 사각형의 3변을 따라 형성된 홈을 포함하는 취약부로부터 선택되는 것 등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취약부는, 상기한 총 거리 2L 내지 15L의 선으로 둘러싸인 박육부로 할 수도 있다.
제1 양태 및 제2 양태의 가스 발생기는, 상기 컵상 디플렉터가 둘레면부에 가스 통과구와 취약부를 갖고 있는 것이며,
상기 가스 통과구가, 상기 저면부로부터 상기 개구부의 사이에 형성된 가늘고 긴 구멍이며, 상기 가늘고 긴 구멍이 둘레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복수 형성되어 있는 것이고,
상기 취약부가, 상기 복수의 가늘고 긴 구멍의 둘레 방향의 사이에 남아 있는 복수의 둘레벽부로 이루어진 것(제4 양태)인 것이 바람직하다.
컵상 디플렉터의 가스 통과구로서, 둘레벽부에 가늘고 긴 구멍을 둘레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복수 형성하면, 복수의 가늘고 긴 구멍 중, 인접하는 구멍의 사이에는 가늘고 긴 둘레벽부가 형성되게 된다(예를 들어, 합계 8개의 가늘고 긴 구멍이 있는 경우, 가늘고 긴 둘레벽부가 8개소 형성된다). 가늘고 긴 구멍은, 직사각형, 직사각형의 짧은 변과 긴 변의 사이의 코너부가 둥글게 되어 있는 형상, 타원형, 마름모형, 마름모형으로 코너부가 둥글게 되어 있는 형상 등, 원주 방향보다도 통상 하우징의 축 방향으로 길게 개구된 형상을 들 수 있다. 이들 합계로 8개의 가늘고 긴 구멍의 사이에 있는 8개소의 가늘고 긴 둘레벽부 각각이 취약부로서 기능하는 것이다.
작동시에는, 가압 가스는 통상 하우징의 제1 단부측으로부터 제2 단부측으로 흐르기 때문에, 컵상 디플렉터의 축 방향으로 압력이 가해진다. 이때, 파편이 충돌하거나, 파편이 가스 통과구의 일부를 막아 통상 하우징 내의 압력이 상승하거나 하면, 가늘고 긴 둘레벽부 각각은 취약부로서 기능할 수 있도록 강도가 저하되어 있는 것이기 때문에, 가늘고 긴 둘레벽부 각각은 이들의 중간 길이 부근으로부터 외측으로 확경되도록, 혹은 내측으로 쓰러지도록 절곡되어, 컵상 디플렉터는 압궤되도록 변형된다. 이와 같이 컵상 디플렉터가 변형되면, 가늘고 긴 구멍 각각의 개구가 넓어지도록 변형된다. 이 때문에, 상기한 바와 같이 파편 등으로 가스 통과구의 일부가 폐색된 경우에도, 필요한 가스 배출 경로의 합계 단면적을 확보할 수 있게 되어, 가스의 배출 속도와 에어백의 팽창 속도가 영향을 받지 않는다.
제1 양태 및 제2 양태의 가스 발생기는, 상기 컵상 디플렉터가 둘레면부에 가스 통과구와 취약부를 갖고 있는 것이며,
상기 가스 통과구가, 상기 저면부로부터 상기 개구부의 사이에 형성된 폭 W1을 갖는 직사각형의 구멍이며, 상기 직사각형 구멍이 둘레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복수 형성되어 있는 것이고,
상기 취약부가, 상기 복수의 직사각형 구멍의 둘레 방향의 사이에 남아 있는, 폭 W2를 갖는 복수의 둘레벽부를 포함하는 것이고,
상기 직사각형의 구멍의 폭 W1과 상기 취약부가 되는 둘레벽부의 폭 W2가, W1>W2의 관계를 만족하고 있는 것(제5 양태)인 것이 바람직하다.
컵상 디플렉터의 가스 통과구로서, 둘레벽부에 직사각형의 구멍을 둘레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복수 형성하면, 복수의 직사각형 구멍 중 인접하는 구멍의 사이에는 직사각형의 둘레벽부가 형성되게 된다(예를 들어, 합계 8개의 직사각형 구멍이 있는 경우, 직사각형의 둘레벽부가 8개소 형성된다). 이때, 직사각형 구멍의 폭 W1과 직사각형의 둘레벽부의 폭 W2가 W1>W2의 관계를 만족하고 있기 때문에, 복수의 직사각형 구멍의 사이에 있는 직사각형의 둘레벽부 각각이 취약부로서 기능한다. 상기한 W1과 W2가 W1<W2의 관계를 만족하고 있으면, 직사각형의 둘레벽부의 강도가 커지기 때문에, 취약부로서 충분히 기능할 수 없게 된다.
작동시에는, 가압 가스는 통상 하우징의 제1 단부측으로부터 제2 단부측으로 흐르기 때문에, 컵상 디플렉터의 축 방향으로 압력이 가해진다. 이때, 파편이 충돌하거나, 파편이 가스 통과구의 일부를 막아 통상 하우징 내의 압력이 상승하거나 하면, 직사각형의 둘레벽부 각각은 취약부로서 기능할 수 있도록 강도가 저하되어 있는 것이기 때문에, 직사각형의 둘레벽부 각각은 이들의 중간 길이 부근으로부터 외측으로 확경되도록, 혹은 내측으로 쓰러지도록 절곡되어, 컵상 디플렉터는 압궤되도록 변형된다. 이와 같이 컵상 디플렉터가 변형되면, 가늘고 긴 구멍 각각의 개구가 넓어지도록 변형된다. 이 때문에, 상기한 바와 같이 파편 등으로 가스 통과구의 일부가 폐색된 경우에도, 필요한 가스 배출 경로의 합계 단면적을 확보할 수 있게 되어, 가스의 배출 속도와 에어백의 팽창 속도가 영향을 받지 않는다.
제1 양태 및 제2 양태의 가스 발생기는, 상기 컵상 디플렉터가 둘레면부에 가스 통과구와 취약부를 갖고 있는 것이며,
상기 가스 통과구가, 상기 저면부로부터 상기 개구부의 사이에 형성된 가늘고 긴 구멍이며, 상기 가늘고 긴 구멍이 길이 방향 중간 부분의 폭 길이(단축 길이) W11이 최대가 되고, 둘레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복수 형성되어 있는 것이고,
상기 취약부가, 상기 복수의 가늘고 긴 구멍의 둘레 방향의 사이에 남아 있는, 상기 가늘고 긴 구멍의 길이 방향 중간부의 폭 길이 W12가 최소가 되는 둘레벽부로 이루어진 것이며, W12/W11≤0.5의 관계를 만족하고 있는 것(제6 양태)인 것이 바람직하다.
컵상 디플렉터의 가스 통과구로서, 둘레벽부에 특정한 가늘고 긴 구멍을 둘레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복수 형성하면, 복수의 가늘고 긴 구멍 중, 인접하는 구멍의 사이에는 특정한 가늘고 긴 둘레벽부가 형성되게 된다(예를 들어, 합계 8개의 특정한 가늘고 긴 구멍이 있는 경우, 특정한 가늘고 긴 둘레벽부가 8개소 형성된다). 상기한 특정한 가늘고 긴 구멍은, 길이 방향 중간 부분의 폭 길이(단축 길이) W11이 최대가 되는 형상의 구멍이며, 예를 들어 타원형, 마름모형, 마름모형으로 코너부가 둥글게 되어 있는 형상의 구멍이다. 예를 들어, 합계 8개의 타원형의 구멍이 둘레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형성되어 있을 때, 합계 8개의 타원형의 구멍의 사이에는, 길이 방향의 중간 부분의 폭 길이(W12)가 최소폭이 되는 8개소의 둘레벽부가 형성되게 된다. 이 때문에, 8개소의 둘레벽부는, 상기 최소폭 W12의 부분에 있어서 절곡되기 쉬워져 있으며, 이 부분이 취약부로서 기능한다.
작동시에는, 가압 가스는 통상 하우징의 제1 단부측으로부터 제2 단부측으로 흐르기 때문에, 컵상 디플렉터의 축 방향으로 압력이 가해진다. 이때, 파편이 충돌하거나, 파편이 가스 통과구의 일부를 막아 통상 하우징 내의 압력이 상승하거나 하면, 최소폭 W12를 갖는 둘레벽부 각각은 취약부로서 기능할 수 있도록 강도가 저하되어 있는 것이기 때문에, 최소폭 W12를 갖는 둘레벽부 각각은 이들의 최소폭 W12 부근으로부터 외측으로 확경되도록, 혹은 내측으로 쓰러지도록 절곡되어, 컵상 디플렉터는 압궤되도록 변형된다. 이와 같이 컵상 디플렉터가 변형되면, 가늘고 긴 구멍 각각의 개구가 넓어지도록 변형된다. 이 때문에, 상기한 바와 같이 파편 등으로 가스 통과구의 일부가 폐색된 경우에도, 필요한 가스 배출 경로의 합계 단면적을 확보할 수 있게 되어, 에어백의 팽창 속도가 영향을 받지 않는다.
제4 양태 내지 제6 양태의 가스 발생기는, 상기 컵상 디플렉터가 둘레면부에 가스 통과구와 취약부를 갖고 있는 것이며,
상기 컵상 디플렉터의 개구부로부터 저면부까지의 길이 L1과 상기 가스 통과구의 길이 L2의 비(L2/L1)가 0.5 내지 0.9의 범위인 것(제7 양태)인 것이 바람직하다.
L2/L1이 상기 범위일 때, 작동시에 있어서 취약부가 되는 둘레벽부가 변형되기 쉬워지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제1 양태 내지 제7 양태의 가스 발생기는, 상기 통상 하우징의 내경 D1과 상기 컵상 디플렉터의 외경 D2가, D2/D1이 0.5 내지 0.8의 범위이며, (D1-D2)/2가 상기 컵상 디플렉터의 둘레면부와 상기 통상 하우징의 내주벽면 사이에 형성된 통상 간극의 폭인 것이 바람직하다.
D2/D1이 상기 범위일 때 통상 간극의 폭이 소정 범위가 되기 때문에, 충분한 가스 배출 경로를 확보할 수 있다. 특히 컵상 디플렉터의 둘레면부에 취약부가 형성되어 있는 경우에도, 충분한 가스 배출 경로를 확보할 수 있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가스 발생기는, 작동시에 있어서 파괴된 내부 부품의 파편이 가스 배출 경로의 일부를 폐색하는 경우에도, 가스 배출 경로가 확보되기 때문에, 필요한 가스 배출 속도가 유지됨과 함께, 가스 발생기의 내압성을 초과하여 압력이 상승하는 경우도 없다.
본 발명의 가스 발생기는, 자동차에 탑재되는 에어백 장치용으로서 이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 도 1 내지 도 5의 가스 발생기
도 1에 도시하는 가스 발생기(1)는, 스테인리스제의 통상 하우징(10)의 제1 단부(10a)측의 점화 장치실(30)과, 축 방향 반대측의 제2 단부(10b)측의 디퓨저부(20)와, 이들 사이의 가압 가스 충전실(40)을 갖고 있다. 도 1에 도시하는 가스 발생기(1)는, 가스원으로서 가압 가스와 가스 발생제가 병용된 것이다.
점화 장치실(30)은, 스테인리스제의 통상의 점화 장치실 하우징(31)을 갖고 있으며, 내부에 점화기(32)와 가스 발생제(36)가 수용되어 있다. 점화 장치실 하우징(31)의 제2 단부(31b)와 통상 하우징(10)의 제1 단부(10a)의 접촉 부분은 용접 고정되어 있다. 점화 장치실 하우징(31)의 두께는 통상 하우징(10)의 두께보다도 크기 때문에, 상기 접촉 부분에는 가압 가스 충전실(40)측에 면한 제1 환상면(35)이 형성되어 있다.
점화기(32)는, 점화기 본체(착화부(33)와 도전 핀)와 점화기 컬러(34)가 수지를 통해 일체화된 것이다. 점화기(32)는, 점화 장치실 하우징(31)의 제1 단부(31a)의 개구부로부터 감입되어 있으며, 제1 단부(31a)의 개구 단부가 코오킹됨으로써 점화 장치실 하우징(31)에 대하여 고정됨과 함께 폐색되어 있다.
가스 발생제(36)는, 공지된 가스 발생기에서 사용하고 있는 것을 사용할 수 있다.
스테인리스제의 디퓨저부(20)는, 컵부(21)와, 컵부(21)의 개구부로부터 플랜지상으로 신장된 환상부(22)를 갖고 있다. 컵부(21)의 둘레벽부(23)에 복수의 가스 배출구(24)가 형성되어 있다. 환상부(22)의 가압 가스 충전실(40)에 면한 부분에는, 제2 파열판(42)을 고정하기 위한 환상 단차면(22a)이 형성되어 있다. 디퓨저부(20)는, 환상부(22)와 통상 하우징(10)의 제2 단부(10b)의 단부면의 접촉 부분에 있어서 용접 고정되어 있다. 환상부(22)의 폭은 통상 하우징(10)의 두께보다 크기 때문에, 상기 접촉 부분에는 가압 가스실(40)에 면한 제2 환상면(25)이 형성되어 있다.
디퓨저부(20)와 점화 장치실(30)의 사이가, 가스원이 되는 아르곤, 헬륨 등의 가압 가스가 충전된 가압 가스 충전실(40)이다. 가압 가스 충전실(40)로의 가스의 충전은, 통상 하우징(10)에 형성된 가스 충전 구멍(도시하지 않음)으로부터 충전되어 있으며, 충전 후의 가스 충전 구멍은 폐색 핀(도시하지 않음)과 함께 통상 하우징(10)에 용접되어 있다.
점화 장치실(30)과 가압 가스 충전실(40)의 사이는 스테인리스제의 제1 파열판(41)으로 폐색되고, 가압 가스 충전실(40)과 디퓨저부(20)의 사이는 스테인리스제의 제2 파열판(42)으로 폐색되어 있다. 제1 파열판(41)은 제1 환상면(35)에 맞닿은 상태에서 주연부가 용접 고정되어 있으며, 제2 파열판(42)은 환상 단차면(22a)에 맞닿은 상태에서 주연부가 용접 고정되어 있다.
제2 파열판(42)의 가압 가스 충전실(40)측에는 컵상 디플렉터(50)가 배치되어 있다. 컵상 디플렉터(50) 내에도 가압 가스가 충전되어 있다. 컵상 디플렉터(50)는 둘레면부(51)와 저면부(52)를 갖고 있으며, 개구부(53)에는 플랜지부(54)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도 4에서는, 컵상 디플렉터(50)의 둘레면부(51)와 저면부(52)의 경계 부분은 둥글게 되어 있지 않지만, 상기 경계 부분이 둥글게 되어 있는 것이어도 된다.
컵상 디플렉터(50)는, 중심축이 통상 하우징(10)의 중심축 X와 일치하도록 하여, 저면부(52)가 제1 파열판(41)측에 위치하고, 개구부(53)가 제2 파열판(42)을 덮도록 하여 배치되어 있다.
도 4에 도시하는 컵상 디플렉터(50)는, 둘레면부(51)에 둘레 방향으로 등간격을 두고 복수의 가스 통과구(55)를 갖고 있으며, 저면부(52)에 취약부(56)를 갖고 있다. 취약부(56)는, 폭 방향의 단면 형상이 V자상의 홈을 포함하는 것이다. 기점(56a)으로부터 종점(56b)까지를 직선적으로 연결하는 최단 거리를 L로 하면, 기점(56a)과 종점(56b)을 최단 거리(L)가 되지 않도록 선(원호상의 선)으로 연결했을 때, 취약부(56)는 상기 선을 따라 형성된 것이다. 도 3의 실시 형태에서는, 기점(56a)과 종점(56b)을 연결하는 원호상의 선(취약부)의 거리는 약 5L이다. 기점(56a)으로부터 종점(56b)의 사이(최단 거리 L)에는 취약부는 형성되어 있지 않다.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컵상 디플렉터(50)의 외경(D2)은 통상 하우징(10)의 내경(D1)보다도 작아져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D2/D1이 0.5 내지 0.8의 관계를 만족하고 있다. 이 때문에, 컵상 디플렉터(50)의 둘레면부(51)의 외주면과 통상 하우징(10)의 내주벽면(10c) 사이에는, (D1-D2)/2로부터 구해지는 간격의 통상 간극(59)이 형성되어 있다. 가스 통과구(55)는, 통상 간극(59)에 면하고 있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컵상 디플렉터(50)는 플랜지부(54)가 제2 환상면(25)과 통상 하우징(10)의 내주벽면(10c)에 맞닿은 상태에서 통상 하우징(10) 내에 대하여 고정되어 있다.
컵상 디플렉터(50)는,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통상 하우징(10)의 제2 단부(10b)측에 축경부(11)를 형성함으로써 제3 환상면(15)을 형성하여, 플랜지부(54)가 제3 환상면(15)과 통상 하우징(10)의 내주벽면(10c)에 맞닿은 상태에서 통상 하우징(10) 내에 대하여 고정되도록 해도 된다. 또한, 도 2에 도시하는 실시 형태의 경우에는, 환상 단차면(22a)은 불필요하다.
도 1에 도시하는 가스 발생기(1)는, 가스원으로서 가스 발생제만을 사용한 실시 형태로 할 수도 있다. 가스원으로서 가스 발생제만을 사용한 실시 형태에서는, 도 1에 있어서 제1 파열판(41)이 없고, 점화 장치실(30)과 가압 가스 충전실(40)이 연소실이 된다. 그 때문에 점화 장치실(30)과 통상 하우징(10)을 하나의 부재로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제2 파열판(42) 대신에, 방습을 위해 상기 연소실과 디퓨저부(20)의 사이가 폐색 부재(예를 들어, 알루미늄으로 이루어진 점착 테이프)로 폐색되어 있다.
가스 배출구(24)의 총 개구 면적 (A1), 가스 통과구(55)의 총 개구 면적 (A2) 및 취약부(56)가 개열되어 개구된 개구 면적 (A3)의 관계는, A1<A2, A1<A3이다. 즉, 가스의 배출량을 조정하는 부분은 가스 배출구(24)이며, 그보다도 상류측에서 가스가 폐색된 경우에도, A2 및 A3에 의해 가스 배출구(24)로부터의 가스의 배출량에 영향을 주지 않는다.
도 1, 도 4, 도 5에 의해 가스 발생기(1)를 사용한 에어백 장치의 동작을 설명한다.
점화기(32)의 작동 전, 컵상 디플렉터(50)의 저면부(51)에 있는 취약부(56)는, 도 4, 도 5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폐쇄된 상태로 되어 있다.
점화기(32)가 작동하여 연소 생성물(화염, 고온 가스 등)이 발생하고, 점화 장치실(30) 내의 가스 발생제(36)가 착화 연소되어, 고온의 연소 가스가 발생한다. 고온의 연소 가스의 발생에 의한 압력의 상승에 의해 제1 파열판(41)이 개열됨으로써, 점화 장치실(30)과 가압 가스 충전실(40)의 사이의 가스 배출 경로가 개방되어, 고온의 연소 가스가 가압 가스 충전실(40) 내에 유입된다. 가압 가스 충전실(40) 내에 유입된 고온의 연소 가스는, 가스 통과구(55)를 통해 컵상 디플렉터(50)의 내부 공간에도 들어간다. 고온의 연소 가스의 유입에 의해 가압 가스 충전실(40) 내의 압력이 상승하면, 제2 파열판(42)이 개열되어, 가압 가스 충전실(40)과 디퓨저부(20)의 사이의 가스 배출 경로가 개방되고, 가압 가스와 연소 가스의 혼합 가스는 가스 배출구(24)로부터 배출되어 에어백을 팽창시킨다.
또한 도 5의 (a) 내지 도 5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파열판(41)이 개열되어 파편이 발생한 경우, 그의 파편의 충돌에 의해 취약부(56)도 개열되어 개구된다.
상기 파편은 통상 간극(59)에 체류하여 포착된다. 그러나, 상기 파편의 양이 많을 때, 및 상기 파편의 최대 길이가 통상 간극(59)의 폭보다도 클 때에는, 통상 간극(59) 내에 들어간, 또는 걸린 파편에 의해 컵상 디플렉터(50)의 가스 통과구(55)의 일부가 폐색되어버릴 우려가 있다. 이와 같이 가스 통과구(55)의 일부가 폐색되어버리면, 가스류가 원활하게 배출되지 않게 되어, 에어백의 팽창 시간에도 영향을 주거나, 내압이 과도하게 상승하여 통상 하우징(10)이 손상되거나 할 우려도 있다. 그러나, 도 1의 가스 발생기(1)는, 파편의 충돌에 의해 취약부(56)가 개열되어 개구되어 있으며, 가압 가스 충전실(40)로부터 컵상 디플렉터(50)의 저면부(52)의 개구 부분을 통해 디퓨저부(20)에 이르는 가스 배출 경로도 개방되기 때문에, 가스 통과구(55)의 일부가 폐색된 영향을 받지 않고, 정상적으로 동작할 수 있다.
또한, 가스 발생기(1)로부터의 가스 유출 속도는 가스 배출구(24)에 의해 제어되기 때문에, 가스 통과구(55)의 일부가 폐색되어도 취약부(56)의 개구에 의해 영향을 받지 않는다.
이어서, 도 6에 도시하는 컵상 디플렉터(50A)를 사용한 경우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6의 (a)에 도시하는 취약부(56)는, 도 4에 도시하는 기점(56a)과 종점(56b)을 통하는 부분을 포함하는 면이 외측으로 돌출된 상태(돌기부(57))가 되어 있으며, 취약부(56)로 둘러싸인 부분을 포함하는 면이 경사면(57a)이 되어 있기 때문에, 도 5의 (a)의 실시 형태와 비교하면, 취약부(56)로 둘러싸인 부분의 면적이 크게 되어 있고, 압력(가스압 및 파편의 충돌에 의한 압력)을 받는 면적이 크게 되어 있다. 이 때문에, 도 5의 (a)에 도시하는 실시 형태의 취약부(56)와 비교하면, 도 6의 (a)의 취약부(56)쪽이 개열되기 쉬워져 있다. 또한, 도 6의 (a)에 도시하는 실시 형태에서는, 저면부(52) 전체를 경사면으로 하여, 도 4, 도 5의 (a)와 마찬가지로 취약부(56)를 형성해도 된다.
이어서, 도 7에 도시하는 컵상 디플렉터(50B)를 사용한 경우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7의 (a)에 도시하는 취약부(56)는, 취약부(56)로 둘러싸인 영역 내에 환상 벽면(58a)으로 둘러싸인 대상 돌기(58)를 갖고 있다. 환상 벽면(58a)은, 저면부(52)에 대하여 수직으로 되어 있다. 대상 돌기(58)가 파편의 충돌에 의한 압력을 받았을 때, 환상 벽면(58a)이 저면부(52)를 누르도록 작용하기 때문에, 도 5의 (a)에 도시하는 실시 형태의 취약부(56)와 비교하면, 도 7의 (a)의 취약부(56)쪽이 개열되기 쉬워져 있다.
(2) 도 1, 도 8 내지 도 10의 가스 발생기
도 1에 도시하는 가스 발생기(1)에 있어서, 컵상 디플렉터(50) 대신에 도 8의 (a)에 도시하는 컵상 디플렉터(150)를 사용할 수 있다.
컵상 디플렉터(150)는 둘레면부(151)와 저면부(152)를 갖고 있으며, 개구부(153)에는 플랜지부(154)가 형성되어 있다. 컵상 디플렉터(150)는, 둘레면부(151)에 있어서 저면부(152)로부터 개구부(153)을 향해 직사각형의 가스 통과구(155)를 갖고 있다. 직사각형의 가스 통과구(155)는, 둘레 방향으로 등간격을 두고 복수 형성되어 있으며, 복수의 직사각형의 가스 통과구(155)의 사이에 남아 있는 둘레벽부(151)가 복수의 취약부(156)가 되어 있다.
직사각형의 가스 통과구(155)의 폭(W1)과 취약부(156)의 폭(W2)은, 취약부(156)의 변형되기 쉬움으로부터 W1>W2의 관계를 만족하고 있으며, W2/W1은 0.1 내지 0.5가 바람직하다.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컵상 디플렉터(150)의 개구부(153)로부터 저면부(152)까지의 길이 L1과 가스 통과구(155)의 길이 L2의 비(L2/L1)는, 취약부(156)의 변형되기 쉬움으로부터 0.5 내지 0.9의 범위이다.
또한, 도 9에서는, 컵상 디플렉터(150)의 둘레벽부(151)와 저면부(152)의 경계 부분이 둥글게 된 상태로 도시되어 있지만, 도 8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경계부가 둥글게 되어 있지 않은 것이어도 된다.
도 10의 (a)의 실시 형태는, 도 8의 (a), 도 9의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직사각형의 가스 통과구(155) 대신에, 타원형의 가스 통과구(255)가 형성된 것이다. 타원형의 가스 통과구(255)는, 길이 방향의 중간 위치의 단축 길이가 최대(W11)가 되기 때문에, 인접하는 타원형의 가스 통과구(255)에 끼워진 둘레벽부(251)로 이루어진 취약부(256)는, 길이 방향의 중간 부분의 폭이 최소(W12)가 된다. W12/W11≤0.5의 관계를 만족하고 있다. 이 때문에 도 10의 (a)의 실시 형태의 취약부(256)는, 도 8의 (a), 도 9의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취약부(156)와 비교해도 보다 변형되기 쉬워져 있다.
도 10의 (b)의 실시 형태는, 도 8의 (a), 도 9의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직사각형의 가스 통과구(155) 대신에, 마름모형의 가스 통과구(355)가 형성된 것이다. 마름모형의 가스 통과구(355)는 길이 방향의 중간 위치의 단축 길이가 최대(W11)가 되기 때문에, 인접하는 마름모형의 가스 통과구(355)에 끼워진 둘레벽부(351)로 이루어진 취약부(356)는, 길이 방향의 중간 부분의 폭이 최소(W12)가 된다. W12/W11≤0.5의 관계를 만족하고 있다. 이 때문에 도 10의 (b)의 실시 형태의 취약부(356)는, 도 8의 (a), 도 9의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취약부(156)와 비교해도 보다 변형되기 쉬워져 있다.
도 1에 도시하는 가스 발생기(1)에 있어서, 도 4에 도시하는 컵상 디플렉터(50) 대신에 도 8의 (a)에 도시하는 컵상 디플렉터(150)를 사용한 에어백 장치의 동작을 설명한다.
점화기(32)의 작동 전, 컵상 디플렉터(150)는 도 8의 (a)의 상태에 있다.
상기한 도 1 및 도 4의 가스 발생기(1)와 마찬가지의 동작 과정에 있어서, 제1 파열판(41)이 개열되어 파편이 발생했을 때, 상기 파편은 통상 간극(59)에 체류하여 포착된다. 그러나, 가령 상기 파편의 양이 많을 때, 및 상기 파편의 최대 길이가 통상 간극(59)의 폭보다도 클 때에는, 통상 간극(59) 내에 들어간, 또는 걸린 파편에 의해 컵상 디플렉터(150)의 가스 통과구(155)의 일부가 폐색되어버릴 우려가 있다. 그러나, 도 1(도 8의 (a))의 가스 발생기(1)는, 둘레 방향으로 등간격으로 형성된 복수의 취약부(156)를 갖고 있기 때문에, 저면부(152)에 대하여 파편의 충돌에 의한 압력을 받아, 도 8의 (a) 내지 도 8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컵상 디플렉터(150)는 압궤되도록 변형된다. 이와 같이 컵상 디플렉터(150)가 압궤되도록 변형되면, 직사각형의 가스 통과구(155)는 반경 방향 외측으로 넓어지도록 변형되어 개구 면적을 증가시킨다. 또한, 반경 방향 외측으로 넓어지도록 변형되는 과정에서, 직사각형의 가스 통과구(155)를 막고 있었던 파편을 통상 간극(59) 내에 흔들어 떨어뜨리도록 작용하기도 한다.
또한, 가스 발생기(1)로부터의 가스 유출 속도는 가스 배출구(24)에 의해 제어되기 때문에, 가스 통과구(55)의 일부 폐색과 취약부(56)의 개구에 의해 영향은 받지 않는다.
본 발명을 이상과 같이 기재하였다. 당연히 본 발명은 다양한 형태의 변형을 그의 범위에 포함하며, 이들 변형은 본 발명의 범위로부터 벗어나지 않는다. 또한 당해 기술 분야에 있어서의 통상의 지식을 갖는 자가 명백하게 본 발명의 변형으로 간주할 전부는, 이하에 기재하는 청구항의 범위에 있다.

Claims (8)

  1. 통상(筒狀) 하우징의 제1 단부측이 점화기를 포함하는 점화 장치로 폐색된 점화 장치실을 갖고, 통상 하우징의 상기 제1 단부와는 축 방향 반대측의 제2 단부측이 가스 배출구를 갖는 디퓨저부로 폐색되어 있으며,
    상기 디퓨저부와 상기 점화 장치실의 사이가 가스원이 되는 가압 가스가 충전된 가압 가스 충전실이고,
    상기 점화 장치실과 상기 가압 가스 충전실의 사이가 제1 파열판으로 폐색되며, 상기 가압 가스 충전실과 상기 디퓨저부의 사이가 제2 파열판으로 폐색되어 있고,
    상기 제2 파열판의 상기 가압 가스 충전실측에는 컵상 디플렉터가 배치되어 있고,
    상기 컵상 디플렉터가 둘레면부에 가스 통과구를 갖고, 추가로 저면부 및 상기 둘레면부 중 적어도 한쪽에 취약부를 갖고 있으며, 상기 저면부가 상기 제1 파열판측에 위치하고, 개구부가 상기 제2 파열판을 덮도록 하고, 또한 상기 둘레면부가 상기 통상 하우징의 내주벽면과의 사이에 통상 간극이 형성되도록 하여 배치되어 있는 가스 발생기.
  2. 통상 하우징의 제1 단부측이 점화기를 포함하는 점화 장치로 폐색된 점화 장치실을 갖고, 통상 하우징의 상기 제1 단부와는 축 방향 반대측의 제2 단부측이 가스 배출구를 갖는 디퓨저부로 폐색되어 있으며,
    상기 디퓨저부와 상기 점화 장치의 사이가 가스원이 되는 가스 발생제가 충전된 연소실이고,
    상기 연소실과 상기 디퓨저부의 사이가 폐색 부재로 폐색되어 있고,
    상기 폐색 부재의 상기 연소실측에는 컵상 디플렉터가 배치되어 있고,
    상기 컵상 디플렉터가 둘레면부에 가스 통과구를 갖고, 추가로 저면부 및 상기 둘레면부 중 적어도 한쪽에 취약부를 갖고 있으며, 상기 저면부가 상기 제1 단부측에 위치하고, 개구부가 상기 폐색 부재를 덮도록 하고, 또한 상기 둘레면부가 상기 통상 하우징의 내주벽면과의 사이에 통상 간극이 형성되도록 하여 배치되어 있는 가스 발생기.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컵상 디플렉터가 둘레면부에 가스 통과구를 갖고, 저면부에 취약부를 갖고 있는 것이며,
    상기 취약부가, 떨어진 위치에 있는 기점과 종점의 사이가 최단 거리(L)가 되지 않는 선으로 연결되어 있을 때, 상기 선을 따라 형성된 총 거리가 2L 내지 15L의 범위의 홈인 가스 발생기.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컵상 디플렉터가 둘레면부에 가스 통과구와 취약부를 갖고 있는 것이며,
    상기 가스 통과구가, 상기 저면부로부터 상기 개구부의 사이에 형성된 가늘고 긴 구멍이며, 상기 가늘고 긴 구멍이 둘레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복수 형성되어 있는 것이고,
    상기 취약부가, 상기 복수의 가늘고 긴 구멍의 둘레 방향의 사이에 남아 있는 복수의 둘레벽부로 이루어진 것인 가스 발생기.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컵상 디플렉터가, 둘레면부에 가스 통과구와 취약부를 갖고 있는 것이며,
    상기 가스 통과구가, 상기 저면부로부터 상기 개구부의 사이에 형성된 폭 W1을 갖는 직사각형의 구멍이며, 상기 직사각형 구멍이 둘레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복수 형성되어 있는 것이고,
    상기 취약부가, 상기 복수의 직사각형 구멍의 둘레 방향의 사이에 남아 있는, 폭 W2를 갖는 복수의 둘레벽부로 이루어진 것이고,
    상기 직사각형 구멍의 폭 W1과 상기 취약부가 되는 둘레벽부의 폭 W2가 W1>W2의 관계를 만족하고 있는 것인 가스 발생기.
  6.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컵상 디플렉터가, 둘레면부에 가스 통과구와 취약부를 갖고 있는 것이며,
    상기 가스 통과구가, 상기 저면부로부터 상기 개구부의 사이에 형성된 가늘고 긴 구멍이며, 상기 가늘고 긴 구멍이 길이 방향 중간 부분의 폭 길이(단축 길이) W11이 최대가 되고, 둘레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복수 형성되어 있는 것이고,
    상기 취약부가, 상기 복수의 가늘고 긴 구멍의 둘레 방향의 사이에 남아 있는, 상기 가늘고 긴 구멍의 길이 방향 중간부의 폭 길이 W12가 최소가 되는 둘레벽부로 이루어진 것이며, W12/W11≤0.5의 관계를 만족하고 있는 것인 가스 발생기.
  7. 제4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컵상 디플렉터가 둘레면부에 가스 통과구와 취약부를 갖고 있는 것이며,
    상기 컵상 디플렉터의 개구부로부터 저면부까지의 길이 L1과 상기 가스 통과구의 길이 L2의 비(L2/L1)가 0.5 내지 0.9의 범위인 가스 발생기.
  8. 제4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통상 하우징의 내경 D1과 상기 컵상 디플렉터의 외경 D2가, D2/D1이 0.5 내지 0.8의 범위이며, (D1-D2)/2가 상기 컵상 디플렉터의 둘레면부와 상기 통상 하우징의 내주벽면의 사이에 형성된 통상 간극의 폭인 가스 발생기.
KR1020187037209A 2016-06-27 2017-05-16 가스 발생기 KR20190021249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6-126595 2016-06-27
JP2016126595A JP6691442B2 (ja) 2016-06-27 2016-06-27 ガス発生器
PCT/JP2017/018279 WO2018003327A1 (ja) 2016-06-27 2017-05-16 ガス発生器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21249A true KR20190021249A (ko) 2019-03-05

Family

ID=607852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7037209A KR20190021249A (ko) 2016-06-27 2017-05-16 가스 발생기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10953843B2 (ko)
JP (1) JP6691442B2 (ko)
KR (1) KR20190021249A (ko)
CN (1) CN109311445B (ko)
DE (1) DE112017003196T5 (ko)
WO (1) WO201800332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880505B2 (ja) * 2017-07-14 2021-06-02 株式会社ダイセル 放出装置、及びガス発生器
JP6888228B2 (ja) * 2017-07-20 2021-06-16 株式会社ダイセル ガス発生器
DE102017116868A1 (de) * 2017-07-26 2019-01-31 Trw Airbag Systems Gmbh Gasgenerator, Gassackmodul und Fahrzeugsicherheitssystem
JP7442266B2 (ja) 2019-03-01 2024-03-04 日本化薬株式会社 ガス発生器の製造方法およびガス発生器
US11198411B2 (en) * 2019-04-18 2021-12-14 Autoliv Asp. Inc. Energy-absorbing airbag diffusers and related airbag assemblies
CN110398420B (zh) * 2019-08-19 2021-11-12 艾尔希庆华(西安)汽车有限公司 一种气体发生器液爆复检测试方法
JP7354033B2 (ja) * 2020-03-19 2023-10-02 株式会社ダイセル ガス発生器
CN112061072A (zh) * 2020-08-13 2020-12-11 均胜汽车安全系统(湖州)有限公司 一种可缩小环境温度对性能影响的气体发生器
CN114084094B (zh) * 2021-10-26 2023-03-24 湖北航天化学技术研究所 一种低成本的柱状安全气囊气体发生器

Family Cites Families (3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068862A (en) * 1974-11-20 1978-01-17 Nissan Motor Co., Ltd. Safety bag inflation apparatus with extendible guard member against contact of bag with heated gas generator
US5803492A (en) * 1994-05-31 1998-09-08 Morton International, Inc. Fuel containment for fluid fueled airbag inflators
US5584504A (en) * 1995-03-24 1996-12-17 Trw Inc. Inflator assembly
US5779266A (en) * 1995-10-10 1998-07-14 Morton International, Inc. Fluid fueled inflator with flow reversal
ZA969583B (en) * 1995-12-14 1997-06-02 Morton Int Inc Fuel containment for fluid fueled airbag inflators
US5941563A (en) * 1998-01-28 1999-08-24 Illinois Tool Works, Inc. Airbag diffuser
US7134689B2 (en) * 2001-11-30 2006-11-14 Daicel Chemical Industries, Ltd. Inflator
US7052039B2 (en) 2002-06-05 2006-05-30 Daicel Chemical Industries, Ltd. Inflator
JP4209184B2 (ja) 2002-06-05 2009-01-14 ダイセル化学工業株式会社 インフレータ
US20050029788A1 (en) * 2003-05-28 2005-02-10 Nobuyuki Katsuda Inflator
CN1863695A (zh) * 2003-08-06 2006-11-15 日本化药株式会社 气体发生器
US7419183B2 (en) * 2004-02-04 2008-09-02 Daicel Chemical Industries, Ltd. Inflator
US20050189753A1 (en) * 2004-02-10 2005-09-01 Kazuhiro Kato Gas generator
JP2005225346A (ja) * 2004-02-12 2005-08-25 Daicel Chem Ind Ltd エアバッグ用インフレータ
GB2417066B (en) * 2004-08-13 2006-12-06 Autoliv Dev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an inflator for an air-bag
US20060249938A1 (en) * 2005-04-15 2006-11-09 Daicel Chemical Industries, Ltd. Gas generator for air bag
US20070085314A1 (en) * 2005-10-14 2007-04-19 Daicel Chemical Industries, Ltd. Gas generator for airbag
US7658406B2 (en) * 2007-07-22 2010-02-09 Key Safety Systems, Inc. Venting device for an airbag inflator
JP4953983B2 (ja) * 2007-08-23 2012-06-13 株式会社ダイセル 筒状部品
JP2010012957A (ja) * 2008-07-04 2010-01-21 Daicel Chem Ind Ltd インフレータ
DE102008050763A1 (de) 2008-10-08 2010-04-29 Takata-Petri Ag Gasgenerator für ein Airbagmodul
JP4955834B2 (ja) * 2009-05-11 2012-06-20 タカタ・ペトリ アーゲー 車両乗員拘束システムのガスバッグ膨張用ガスジェネレータ
JP5436036B2 (ja) * 2009-05-12 2014-03-05 株式会社ダイセル ガス発生器
JP5769943B2 (ja) * 2010-10-01 2015-08-26 株式会社ダイセル ガス発生器
JP5965334B2 (ja) 2013-02-18 2016-08-03 株式会社ダイセル ガス発生器
JP6313031B2 (ja) * 2013-02-22 2018-04-18 株式会社ダイセル ガス発生器
JP6095463B2 (ja) 2013-04-22 2017-03-15 株式会社ダイセル ガス発生器
JP2015080987A (ja) * 2013-10-22 2015-04-27 株式会社ダイセル 破裂板およびそれを使用したインフレータ
JP6284420B2 (ja) * 2014-04-23 2018-02-28 株式会社ダイセル インフレータ
JP6374811B2 (ja) * 2014-05-16 2018-08-15 株式会社ダイセル ガス発生器
JP6454143B2 (ja) * 2014-12-03 2019-01-16 株式会社ダイセル ガス発生器
US20180043854A1 (en) * 2015-04-24 2018-02-15 Daicel Corporation Gas generator
JP6683455B2 (ja) * 2015-10-23 2020-04-22 日本化薬株式会社 ガス発生器
JP6710167B2 (ja) * 2017-02-09 2020-06-17 株式会社ダイセル ガス発生器
JP6835313B2 (ja) * 2017-04-21 2021-02-24 株式会社ダイセル ガス発生器、及びガス発生器の組立方法
JP6835315B2 (ja) * 2017-05-18 2021-02-24 株式会社ダイセル ガス発生器、及び収容容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8003327A1 (ja) 2018-01-04
US10953843B2 (en) 2021-03-23
JP2018001782A (ja) 2018-01-11
CN109311445B (zh) 2022-04-05
US20190126886A1 (en) 2019-05-02
CN109311445A (zh) 2019-02-05
JP6691442B2 (ja) 2020-04-28
DE112017003196T5 (de) 2019-03-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90021249A (ko) 가스 발생기
US8087693B2 (en) Gas generator
EP2957468B1 (en) Gas generator
KR102309123B1 (ko) 가스 발생기
KR101757509B1 (ko) 가스 발생기
CN110497876B (zh) 推进剂笼、充气机、充气机的操作方法以及引导冲击波的方法
EP2552753B1 (en) Gas generator
US9102303B2 (en) Gas generator
JP2006248372A (ja) エアバッグ用ガス発生器
JP2007015675A (ja) エアバッグ用ガス発生器
KR20190039708A (ko) 가스 발생기
US20070057496A1 (en) Gas generator for air bag
KR20190141647A (ko) 가스 발생기
CN109476274B (zh) 气体发生器
US11383671B2 (en) Gas generator
US8225719B2 (en) Gas generator
US7487995B2 (en) Gas generator for air bag
JP2002337655A (ja) エアバック用ガス発生器
US10214176B2 (en) Gas generator
JP2007118788A (ja) エアバッグ用ガス発生器
JP7270793B2 (ja) ガス発生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