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132277A - 팽창기용 추진제 케이지, 이러한 추진제 케이지를 포함하는 팽창기, 작동 방법 및 팽창기의 충격파를 안내하는 방법 - Google Patents

팽창기용 추진제 케이지, 이러한 추진제 케이지를 포함하는 팽창기, 작동 방법 및 팽창기의 충격파를 안내하는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132277A
KR20190132277A KR1020190057983A KR20190057983A KR20190132277A KR 20190132277 A KR20190132277 A KR 20190132277A KR 1020190057983 A KR1020190057983 A KR 1020190057983A KR 20190057983 A KR20190057983 A KR 20190057983A KR 20190132277 A KR20190132277 A KR 2019013227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opellant
gas
gas flow
inflator
c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579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다니엘 힐만
크리스티안 정
로렌츠 자이들
게오르그 타우트슈니그
볼프강 텡글러
Original Assignee
티알더블유 에어백 시스템즈 게엠베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티알더블유 에어백 시스템즈 게엠베하 filed Critical 티알더블유 에어백 시스템즈 게엠베하
Publication of KR2019013227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3227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characterised by the inflation fluid source or means to control inflation fluid flow
    • B60R21/264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characterised by the inflation fluid source or means to control inflation fluid flow using instantaneous generation of gas, e.g. pyrotechnic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characterised by the inflation fluid source or means to control inflation fluid flow
    • B60R21/268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characterised by the inflation fluid source or means to control inflation fluid flow using instantaneous release of stored pressurised gas
    • B60R21/272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characterised by the inflation fluid source or means to control inflation fluid flow using instantaneous release of stored pressurised gas with means for increasing the pressure of the gas just before or during liberation, e.g. hybrid infla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characterised by the inflation fluid source or means to control inflation fluid flow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characterised by the inflation fluid source or means to control inflation fluid flow
    • B60R21/261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characterised by the inflation fluid source or means to control inflation fluid flow with means other than bag structure to diffuse or guide inflation flui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characterised by the inflation fluid source or means to control inflation fluid flow
    • B60R2021/26029Igni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characterised by the inflation fluid source or means to control inflation fluid flow
    • B60R21/261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characterised by the inflation fluid source or means to control inflation fluid flow with means other than bag structure to diffuse or guide inflation fluid
    • B60R2021/2612Gas guiding means, e.g. duc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characterised by the inflation fluid source or means to control inflation fluid flow
    • B60R21/264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characterised by the inflation fluid source or means to control inflation fluid flow using instantaneous generation of gas, e.g. pyrotechnic
    • B60R2021/2642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characterised by the inflation fluid source or means to control inflation fluid flow using instantaneous generation of gas, e.g. pyrotechnic comprising a plurality of combustion chambers or sub-chamb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characterised by the inflation fluid source or means to control inflation fluid flow
    • B60R21/268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characterised by the inflation fluid source or means to control inflation fluid flow using instantaneous release of stored pressurised gas
    • B60R21/274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characterised by the inflation fluid source or means to control inflation fluid flow using instantaneous release of stored pressurised gas characterised by means to rupture or open the fluid source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ir Bags (AREA)
  • Feeding, Discharge, Calcimining, Fusing, And Gas-Generation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팽창기용, 특히 에어백 모듈의 관형 팽창기용 추진제 케이지(10)에 관한 것이며, 실질적으로 관형인 기부(11)로, 그 종축선(L)을 따라 한편으로는 가스 유입 개구(12a) 및 다른 한편으로는 가스 유출 개구(12b)를 형성하는 기부를 포함하되, 적어도 하나의 측면 가스 유동 개구(13)가 기부(11)의 원주벽(12)에 구성되고, 기부(11)는 적어도 하나의 전방 가스 유동 개구(14)를 구비하며 반경 방향 외측으로 연장하는 칼라(11c)를 가스 유동 개구(12c)의 영역에 포함한다.

Description

인플레이터용 추진제 케이지, 이러한 추진제 케이지를 포함하는 인플레이터, 작동 방법 및 인플레이터의 충격파를 안내하는 방법{PROPELLANT CAGE FOR AN INFLATOR, INFLATOR COMPRISING SUCH PROPELLANT CAGE, OPERATING METHOD AND METHOD OF GUIDING A SHOCK WAVE OF AN INFLATOR}
본 발명은 특허청구범위 청구항 1의 전제부에 따른 인플레이터용 추진제 케이지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이러한 추진제 케이지를 포함하는 인플레이터에 관한 것이다. 더욱이 본 발명은 이러한 유형의 인플레이터를 포함하는 에어백 모듈을 다루고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인플레이터의 작동 방법 및 인플레이터 내의 충격파를 안내하는 방법을 나타내고 있다.
청구항 1의 전제부의 피처들을 포함하는 추진제 케이지가 예를 들어 EP 2 471 692 B1에 공지되어 있다.
일반적으로, 인플레이터의 추진제 케이지는 다양한 기능을 수행한다. 장착된 상태에서, 추진제 케이지는 파이로테크닉 추진제 바디(pyrotechnic propellant body)들이 위치되는 추진제 챔버를 특별히 획정한다. 추진제 바디들은, 예를 들어 EP 2 471 692 B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추진제 펠릿들을 포함할 수 있다. 이 점에서, 추진제 케이지는 추진제 바디들을 인플레이터 내부에 위치시키는 역할을 한다. 동시에, 추진제 케이지의 목적은, 추진제가, 확실한 연소에 의해, 예를 들어 인플레이터에 의해 에어백을 충전시키기 위해 제공될 수 있는 추진제 가스를 발생시킬 수 있도록, 점화 가스가 점화기 유닛으로부터 추진제 챔버로 유동하여 점화 가스에 의해 의도된 대로 추진제를 점화시킬 수 있게 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공지의 추진제 케이지는, 한편으로는 그 종축선을 따라 가스 유입 개구를 구비하는데, 이 가스 유입 개구는 점화기 유닛을 마주보는 추진제 케이스의 관형 베이스 부재의 축선방향 단부에 배열된다. 가스 유입 개구를 통해, 점화기 유닛으로부터 방출되는 점화 가스가 추진제 케이지의 내부로 먼저 유동할 수 있다. 또한, 공지의 추진제 케이지에는, 반경 방향으로 배열되는 통공들이 구비되고 유입되는 점화 가스의 일부가 이 통공들을 통해 추진제 케이지의 외부로, 구체적으로는 추진제 케이지의 둘레에 형성된 추진제 챔버로 유동할 수 있다. 이렇게 해서, 점화 가스가 추진제 챔버 내에 추진제 베드(propellant bed)로서 배열되는 추진제 바디들과 접촉하게 된다. 추진제 바디들은 고온의 점화 가스에 의해 점화되어 추진제 가스를 방출한다. 공지의 추진제 케이지에서, 점화 가스가 추진제 챔버로 들어가는 동일한 가스 유동 개구들을 통해, 추진제 가스가 추진제 케이지의 내부로 다시 유동하고 나서 가스 유입 개구와 축선 방향으로 반대쪽에 있는 가스 유출 개구를 통해 추진제 케이지의 외부로 안내된다.
추진제 케이지의 다른 기능은 가스 유입 개구의 영역에서 발생되는 충격파를 전달하는 것이다. 충격파는 점화기 유닛이 점화될 때 점화 챔버 내에서 발생되는 과도한 압력에 의해 형성된다. 점화 챔버가 파열 격막에 의해 축선 방향으로 길게 획정되어 있기 때문에, 점화기 유닛이 활성화된 후, 점화기 유닛이 작동한 점화 챔버 내부에서 압력이 증가되기 시작한다. 사전 결정된 압력을 초과하면 곧, 파열 격막이 파열되고 가압된 점화 가스가 추진제 케이지로 유동한다. 파열 격막의 갑작스러운 파열 및 점화 챔버에서 증가된 압력 레벨과 유동 방향으로 파열 격막의 하류에 위치된 압력 챔버의 압력 레벨 간의 압력차로 인해 추진제 케이지를 통해 종방향으로 안내될 충격파가 형성된다.
상술한 기능들은 EP 2 471 692 B1에 따른 공지의 추진제 케이지에 의해 실질적으로 충족된다. 그러나, 이러한 디자인에서, 추진제 케이지의 반경 방향 유동 개구들이 한편으로는 점화 가스를 추진제 챔버로 도입하고 다른 한편으로는 추진제 가스를 추진제 챔버로부터 배출하는 것이 단점일 수 있다. 이런 방식에서는, 예를 들어 지속적으로 발생되어 추진제 챔버로 유동하는 점화 가스가 이미 형성된 추진제 가스가 추진제 챔버를 빠져 나가는 것을 방지한다. 이 점에서, 추진제 가스를 전달하는 데 있어 시간 지연이 있을 수 있고, 이는 인플레이터의 활성화 및 추진제 가스에 의한 에어백 충전 사이의 시간을 연장할 수 있다.
이러한 배경에서, 본 발명의 목적은 추진제 바디들의 연소 시 시간 지연을 최소화하고, 추진제 바디들의 연소를 최적화할 가스 전도, 특히 점화 가스 전도를 개선할 수 있는 인플레이터용 추진제 케이지를 명시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이러한 유형의 추진제 케이지를 포함하는 인플레이터를 명시하는 것이다. 더욱이, 본 발명의 목적은 인플레이터를 포함하는 에어백 모듈 및 차량 안전 시스템, 그리고 인플레이터를 작동시키는 방법 및 인플레이터 내의 충격파를 안내하는 방법을 명시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이러한 목적은 추진제 케이지에 대해서는 특허청구범위 청구항 1의 요지에 의해, 인플레이터에 대해서는 청구항 9의 요지에 의해, 에어백 모듈에 대해서는 청구항 13의 요지에 의해, 차량 안전 시스템에 대해서는 청구항 14의 요지에 의해, 그리고 작동 방법 및 인플레이터 내의 충격파 안내 방법에 대해서는 청구항 15 및 청구항 16의 요지들에 의해 달성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인플레이터, 특히 에어백 모듈의 관형 인플레이터를 위한 추진제 케이지로, 실질적으로 관형인 베이스를 포함하되, 베이스가 그 종축선을 따라 한편으로는 가스 유입 개구를 그리고 다른 한편으로는 가스 유출 개구를 형성하는 추진제 케이지를 명시하는 사상에 기초하고 있다. 베이스의 원주벽에 적어도 하나의 측방 가스 유동 개구가 형성된다. 또한, 베이스는 반경 방향 외측으로 연장하는 칼라(collar)를 포함하되, 칼라는 가스 유출 개구의 영역에 적어도 하나의 전방 가스 유동 개구를 구비한다. 완벽을 기하기 위해, 본 명세서의 맥락에서 "외측으로(outwardly)"라는 용어는 베이스의 종축선으로부터 멀어지는 것을 가리키는 방향을 의미한다.
본 발명에 따른 추진제 케이지는 점화 가스의 추진제 챔버 내로의 유입 기능을 추진제 가스의 추진제 챔버 외부로의 유출 기능과 분리시킨다. 달리 말하면, 본 발명에 따른 추진제 케이지는 추진제 챔버에 대해 동시적이지만 위치상으로 분리된 가스 유입 및 가스 유출을 가능하게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추진제 케이지는 또한 추진제 가스가 추진제 챔버 외부로 유출되는 축선 방향과 다른, 즉 직교하는 실질적으로 반경 방향으로 점화 가스가 추진제 챔버 내로 유동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적어도 하나의 전방 가스 유동 개구가 구비되므로, 본 발명에 따른 추진제 케이지는 발생된 추진제 가스가 추진제 케이지에 의해 획정되는 추진제 챔버로부터 배출되는 동시에 점화 가스가 측방 가스 유동 개구를 통해 추진제 챔버 내로 유동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결과적으로, 유체 측면에서 고려할 때, 발생된 추진제 가스가 추진제 챔버로부터 유출되는 것이 점화 가스가 추진제 챔버 내로 유입되는 것에 의해 방해를 받거나 혹은 제약을 받지 않는다. 따라서 추진제 가스가 유의미한 시간 지연 없이 방출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추진제 케이지를 포함하는 인플레이터의 활성화 및 연결된 에어백의 충전 사이의 시간이 감소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점화 가스는 고온의 점화 입자 및 고온의 점화 플룸(plume)도 또한 포함하고 이에 따라 순수한 가스상 입자에만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은 측방 가스 유동 개구 및 전방 가스 유동 개구가 서로 다른 방향으로 배열된다는 점, 즉 측방 가스 유동 개구가 추진제 케이지의 원주벽에 배치되는 반면 전방 가스 유동 개구는 원주벽으로부터 반경 방향 외측으로 연장하는 칼라에 구비된다는 점에서 특히 유리하다. 따라서 추진제 케이지에 의해 획정된 추진제 챔버에서 발생되는 추진제 가스는, 추진제 케이지의 중앙을 관통하여 유동하고 가스 유출 개구를 통해 추진제 케이지를 빠져 나가는 점화 가스의 부분의 유동 방향과 평행하게 실질적으로 축선 방향으로 추진제 챔버를 빠져 나갈 수 있다. 상기 평행한 축선 방향은 대체로 하나의 또는 주된 가스 유동 방향 및 본 발명에 따른 추진제 케이지가 장착될 수 있는 인플레이터 내부에서 트리거될 충격파의 전파 방향에도 또한 상응하고, 상기 방향은 전방 점화기 유닛으로부터 시작하여 그 반대쪽에 있는 추진제 가스를 위한 인플레이터의 축선 방향 전방 유출 개구까지 연장한다. 따라서 발생된 추진제 가스의 인플레이터 내에서의 추가적인 편향이 방지될 수 있고, 이에 따라 추진제 챔버에서 발생된 추진제 가스가 아무런 방해를 받지 않고 정렬된 방식으로 본 발명에 따른 추진제 케이지의 칼라의 전방 가스 유동 개구를 통과하고 또한 인플레이터를 통과하여 유동할 수 있다. 한편으로, 이는 인플레이터의 활성화 과정을 가속시키는 결과 및 에어백 충전용 추진제 가스를 제공하기 위한 시간을 감소시키는 결과를 초래한다. 다른 한편으로, 이는 점화기 유닛의 파열 격막에서 방출되는 충격파가 유동 난류로 인해 약화될 수 있는 영역들에서 유동 난류를 방지하는 것을 돕는다.
설명의 목적으로, 특히 관형 인플레이터에서 의도대로 방출되는 충격파는 관형 인플레이터에서 제공되고 그리고/또는 형성되는 가스가 연결된 에어백 내로 유동할 수 있도록 관형 인플레이터의 유출 단부에 배치된 추가 파열 격막을 파괴하거나 혹은 개방하는 역할을 한다. 균일하고 안정적인 충격파가 형성되는 것은 이러한 관형 인플레이터의 기능과 특히 관련이 있다. 추가 파열 격막까지의 충격파의 전체 진행 경로를 따라 충격파의 안정성과 균질성 유지되는 것이 특히 요구된다. 본 발명에서 추진제 챔버에서 발생되는 추진제 가스가 추진제 케이지의 종축선과 평행하게 연장하고 추진제 케이지의 칼라에 위치되는 전방 가스 유동 개구를 통해 안내되므로, 추진제 가스가 충격파 안내 통로에 대해 반경 방향으로 또는 충격파의 전파 방향에 대해 반경 방향으로 도입되지 않는다는 점에 의해 충격파의 간섭 또는 약화가 방지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추진제 케이지의 베이스는 실질적으로 깔때기 형상인 깔때기 형상 부분을 포함한다. 깔때기 형상 부분은 특히 가스 유출 개구를 향해 확대된다. 적어도 하나의 측방 가스 유동 개구는 깔때기 형상 부분에 배열될 수 있다. 대안으로, 적어도 하나의 측방 가스 유동 개구는 가스 유입 개구를 포함하는 베이스의 중공 원통 부분에 또한 배열될 수도 있다. 깔때기 형상 부분에 의해, 특히 상기 깔때기 형상 부분이 가스 유출 개구를 향해 확대되는 경우, 발생 충격파의 특히 적절한 안정화가 얻어진다. 충격파는 추진제 케이지 내부에서 종축선 방향으로 매우 균질하게 전파되는데, 깔때기 형상 부분이 충격파를 안정화되게 한다. 따라서 깔때기 형상 부분을 따라 확대되는 충격파는 특히 강력하다. 더욱이, 놀랍게도 충격파가 추진제 케이지를 빠져 나갔을 때에도 충격파의 안정성이 유지되는 것으로 밝혀졌다. 따라서 가스 유출 개구를 향해 확대되는 깔때기 형상 부분은 충격파가 인플레이터, 특히 관형 인플레이터 내부에서 인플레이터의 유출측 파열 격막에 충돌할 때까지 더 진행할 때에도 특히 안정적이고 강력할 정도로 충격파를 안정화시키는 데 도움이 된다. 이는 이러한 인플레이터의 작동 안전성을 증가시킨다.
깔때기 형상 부분이 구비된 추진제 케이지의 베이스는 전체적으로 실질적으로 트럼펫 형상일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위 내에서, "깔때기 형상"이라는 용어는 반드시 매끄러운 원주 표면을 구비하는 원뿔대 형상을 지칭할 필요는 없다. 오히려, 깔때기 형상 부분의 원주벽은 종축선 방향으로 만곡될 수 있다. 충격파의 안정적인 디자인을 위해, 원주벽이 종축선 방향으로 만곡되는 경우라도 깔때기 형상 부분이 베이스의 가스 유출 개구를 향해 확대되면 어쨌든 이득이 될 것이다. 따라서 베이스의 내부 직경은 가스 유입 개구로부터 가스 유출 개구를 향해 증가할 것이다. 유리하게는, 베이스의 내부 직경이 적어도 깔때기 형상 부분에서 연속적으로 그리고 무단으로 증가한다. 반경 방향 외측으로 연장하는 칼라는 깔때기 형상 부분에 바로 인접할 수 있다. 칼라 부분은 특히 베이스의 안팎이 뒤집어진 부분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전체적으로, 베이스의 트럼펫 형상은 이렇게 해서 이루어질 수 있다.
추진제 케이지의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적어도 하나의 측방 가스 유동 개구가 원형 및/또는 슬롯형 및/또는 아가미형 디자인을 구비하도록 제공된다. 대안적으로 또는 부가적으로, 적어도 하나의 전방 가스 유동 개구가 원형 및/또는 슬롯형 및/또는 아가미형 디자인을 구비할 수 있다. 대체로, 측방 가스 유동 개구 및/또는 전방 가스 유동 개구에 대해 각기 다른 기하학적 형상이 가능하다. 특히, 측방 가스 유동 개구들은 관형 베이스의 종축선에 대해 실질적으로 반경 방향으로 연장할 수 있다. 그러나 측방 가스 유동 개구들이 관형 베이스의 종축선과 소정 각도로 배열되면 특히 유리한 것으로 밝혀졌다. 특히 아가미형 측방 가스 유동 개구가 점화 가스의 일부를 추진제 케이지를 둘러싸고 있는 추진제 베드로 효과적으로 배출시킨다. 따라서 처음에 추진제 케이지 내부에 제공되는 점화 가스를 아가미형 측방 가스 유동 개구를 통해 추진제 케이지의 외부 환경, 예를 들어 추진제 바디들을 포함하는 추진제 챔버로 안내하는 것이 특히 유리하다.
특히 아가미형인, 적어도 하나의 측방 가스 유동 개구는 바람직하게는 베이스 원주벽의 반경 방향 내측으로 형성되는 부분에 의해 형성된다. 달리 말하면, 베이스의 원주벽 일부가 베이스의 종축선 방향으로 압입됨으로써 베이스의 종축선에 대해 실질적으로 축선 방향으로 평행한 유입 영역을 구비하는 측방 가스 유동 개구가 기본적으로 형성된다. 따라서 베이스를 통해 유동하는 점화 가스는 종축선 방향으로 측방 가스 유동 개구에 도입될 수 있다. 따라서 원주벽의 반경 방향 내측으로 형성된 부분이 축선 방향 점화 가스의 일부를 외측방향으로 편향시킬 수 있는 유동 안내 요소를 형성할 수 있다. 이러한 아가미형 디자인의 측방 가스 유동 개구는 점화 가스의 분할 또는 분산과 관련하여 추진제 케이지의 효율을 증가시킨다. 한편으로, 점화 가스의 일부, 바람직하게는 점화 가스의 많은 부분이 추진제 케이지의 베이스를 통해 종축선 방향으로 안내된다. 점화 가스의 다른 부분, 바람직하게는 보다 적은 부분이 측방 가스 유동 개구를 통해 외부로 편향되지만, 이에 따라 원주벽의 형성부에 의해 가스 또는 가스들의 유동과 관련하여 거의 난류가 없는 가스 전도를 달성한다. 이 점에서 특히, 아가미형 측방 가스 유동 개구에 의한 충격파의 형성 및 충격파의 전진 또는 전파가 거의 약화되지 않는다.
일반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추진제 케이지가 단지 하나의 단일 측방 가스 유동 개구 및/또는 하나의 단일 전방 가스 유동 개구만을 나타낼 수 있는 것은 아니다. 오히려, 베이스의 원주벽, 특히 깔때기 형상 부분 및/또는 중공 원통 부분은 함께 구멍 패턴을 형성하는 다수의 측방 가스 유동 개구를 포함할 수 있다. 대안적으로 또는 부가적으로, 규칙적인 간격 및/또는 불규칙적인 간격으로 칼라의 원주 방향으로 배열될 수 있는 다수의 전방 가스 통공이 또한 구비될 수 있다. 다수의 측방 가스 유동 개구 및 적절한 구멍 패턴의 선택은 본 발명에 따른 추진제 케이지의 효율을 더 증가시키는 데 도움이 될 수 있다.특히, 다수의 측방 가스 유동 개구들에 의해, 추진제 케이지를 둘러싸는 추진제 베드에서 추진제 바디들의 균일한 점화가 달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구멍 패턴의 측방 가스 유동 개구들은 기하학적 형상이 서로 다르다. 특히, 구멍 패턴의 측방 가스 유동 개구들 각각은 원형 및/또는 슬롯형 및/또는 아가미형일 수 있다. 개별 측방 가스 유동 개구의 기하학적 형상 및 위치는 추진제 케이지 둘레에 배열되는 추진제 바디들의 점화 및 연소 거동에 영향을 미친다. 이 점에서, 추진제 바디들의 각각의 희망하는 점화 또는 연소 특성을 위해 각기 다른 구멍 패턴들이 사용될 수 있다. 구멍 패턴들은 기하학적 형상이 각기 다른 측방 가스 유동 개구들을 포함할 수 있고, 원형 및/또는 슬롯형 및/또는 아가미형 기하학적 형상이 서로 자유롭게 조합될 수 있다.
구멍 패턴의 측방 가스 유동 개구들은 원주 방향 및/또는 종방향으로 규칙적으로 또는 불규칙적으로 분포되도록 배열될 수 있다. 측방 가스 유동 개구들의 위치가 추진제 케이지 외부의 추진제 바디들의 점화 및 연소 거동에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통상의 기술자는 요건에 상응하는 측방 가스 유동 개구들 각각의 바람직한 위치들을 선택할 것이다.
상술한 사항은 실질적으로 전방 가스 유동 개구들에도 유사하게 적용될 수 있다. 칼라의 전방 가스 유동 개구들은 마찬가지로 각기 다른 기하학적 형상을 나타낼 수 있고, 각기 다른 기하학적 형상을 갖는 전방 가스 유동 개구들이 서로 조합될 수 있다. 전방 가스 유동 개구들은 마찬가지로 칼라에 불규칙적으로 그리고/또는 규칙적으로 분포되도록 배열될 수 있다.
베이스가 가스 유입 개구를 포함하는 중공 원통 부분을 포함하는, 위에서 추가로 언급한 본 발명에 따른 추진제 케이지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측방 가스 유동 개구가 중공 원통 부분에 배치되지 않는 경우일 수 있다. 측방 가스 유동 개구가 중공 원통 부분에 배치되는지 아닌지 여부에 관계없이, 중공 원통 부분은 깔때기 형상 부분에 합쳐질 수 있다. 중공 원통 부분은 바람직하게는 개방될 점화기 유닛의 단부면과 중공 원통 부분의 내부 사이에 유체 연통이 형성될 수 있도록 점화기 유닛에 연결되기에 또는 적어도 점화기 유닛에 대해 위치되기에 적합하다. 중공 원통 형상은 점화기 유닛에 대해 특히 적절한 밀봉을 보장한다. 상기 밀봉은 가스 기밀식일 필요는 없지만, 점화 에너지가 밀봉에 의해 거의 손실되지 않는 장점을 가져야 한다. 더욱이, 중공 원통 부분은 베이스의 후속하는 깔때기 형상 부분에서 안정화되는 충격파를 형성하는 데 기여한다.
측방 가스 유동 개구 및/또는 구멍 패턴은 중공 원통 부분 및/또는 깔때기 형상 부분 내로 연장할 수 있다. 이렇게 해서, 측방 가스 유동 개구 및 다수의 측방 가스 유동 개구들의 유동 단면적이 증가될 수 있다. 그 결과 추진제 케이지를 둘러싸는 추진제 챔버 내의 점화 추진제 바디들을 점화시키는 데 있어 효율을 보다 높일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다른 바람직한 변형예는 추진제 케이지의 베이스가 일체로 형성되게 하고 중공 원통 부분이 깔때기 형상 부분에 합쳐지게 한다. 특히, 중공 원통 부분, 깔때기 형상 부분 및 칼라가 함께 일체로 형성된다. 베이스는 점화 가스의 고온을 견딜 수 있도록 금속으로 만들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독립된 태양은 에어백 모듈을 위한, 인플레이터, 특히 관형 인플레이터에 관한 것이다. 인플레이터는 관형 하우징 및 추진제 케이지를 포함하며, 추진제 케이지는 본 발명에 따른 추진제 케이지와 관련하여 상술한 설명에 따라 구성될 수 있다. 추진제 케이지는 관형 하우징 내부에 배열되고, 관형 하우징에 의해 가스를 발생시키는 추진제 바디들을 포함하는 추진제 챔버를 획정한다. 추진제 챔버는 특히 중공 원통형일 수 있다. 추진제 바디들은 바람직하게는 압축된 추진제 펠릿들로 존재할 수 있지만, 또한 압축된 바디들로 그리고/또는 일체형 몰드 바디의 형태로 또는 축선 방향으로 나열되는 디스크들 또는 링들의 형태로 존재할 수도 있다.
추진제 케이지의 적어도 하나의 측방 가스 유동 개구는 추진제 케이지의 가스 유입구 및 추진제 챔버의 가스 유입구를 형성할 수 있다. 따라서, 가스 유입구 및 적어도 하나의 측방 가스 유동 개구를 통해, 점화 연기 및/또는 고온의 점화 입자들을 또한 포함할 수 있는 점화 가스가 추진제 챔버를 통과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전방 가스 유동 개구는 추진제 챔버의 가스 유출구를 또한 형성할 수 있다. 추진제 바디들의 연소에 의해 추진제 챔버에서 발생된 추진제 가스는 가스 유출구 및 전방 가스 유동 개구를 통해 추진제 챔버를 빠져 나갈 수 있다.
따라서 가스 유입구를 통해, 점화 가스 또는 전체 점화 가스 중 이용 가능한 일부가 추진제 케이지의 종축선에 대해, 반드시 직교할 필요는 없지만, 반경 방향으로 추진제 챔버 내로 유동할 수 있다. 추진제 챔버에서 발생된 추진제 가스는 추진제 케이지의 종축선에 실질적으로 평행한 가스 유출구를 통해 추진제 챔버를 빠져 나갈 수 있다. 따라서 실질적으로 이용 가능한 전체 점화 가스가 추진제 케이지 내부를 축선 방향으로 통과하는 점화 가스와, 추진제 바디들의 점화를 위해 가스 유입구를 통해 추진제 챔버 내로 측방 가스 유동 개구(들)를 관통하여 반경 방향으로 배출되는 나머지 부분(들)로 분할된다.
본 발명에 따른 인플레이터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추진제 케이지의 칼라가 인플레이터의 하우징의 원주상 테이퍼에, 특히 밀봉 가능하게 인접하도록 구비된다. 구체적으로, 인플레이터의 하우징은 바람직하게는 완전히 반경 방향 원주상이도록 디자인되는 테이퍼, 특히 내측을 향하는 테이퍼를 구비할 수 있다. 따라서 테이퍼는 하우징의 내주에 추진제 케이지의 칼라가 접할 수 있는 환형 비딩(beading)을 형성한다. 특히 이 경우 칼라는 밀봉 가능하게 접하는데, 인플레이터의 하우징에서 추진제 입자들과 같은 입자들이 추진제 케이지의 칼라와 테이퍼 사이를 통과하는 것이 방지되면 이미 충분하기 때문에 이런 식으로 접하는 것이 반드시 가스 밀봉식일 필요는 없다. 이렇게 해서, 추진제 케이지는 종축선 방향으로 하우징에 고정된다.
더욱이, 추진제 케이지의 가스 유입 개구와 유체 연통하고 있는 관형 하우징에 점화기 유닛이 배열될 수 있는데, 점화기 유닛은 특히 가스 유입 개구에 삽입되고 바람직하게는 가스 유입 개구를 폐쇄하기 위한 유입측 파열 격막을 포함한다. 이 경우 "유체 연통하고 있는"이라는 용어는 점화 유닛, 특히 유입측 파열 격막과 추진제 케이지의 가스 유입 개구 사이에 유체 봉쇄에 따른 어떠한 장애물도 없다는 것을 의미한다. 달리 말하면, 활성화 시, 점화 가스가 점화기 유닛으로부터 또는 점화기 유닛 외부로 가스 유입 개구로 그리고 추진제 케이지의 인접한 유동 통로로 바로 유동할 수 있도록, 적어도 점화기 유닛의 영역, 즉 인플레이터가 활성화되는 경우에 개방될 유입측 파열 격막이 가스 유입 개구와 연통된다. 따라서 특히 점화기 유닛이 추진제 케이지의 축선 방향 단부 부분에 삽입될 수 있다. 이렇게 함에 있어서, 바람직하게는 점화기 유닛 외부로 유동하는 점화 가스 및 고온의 점화 입자들 또는 점화 연기가 오로지 추진제 케이지 내로만 유동하도록 점화기 유닛과 추진제 케이지 사이에 실질적으로 밀봉식인 연결이 이루어진다.
달리 말하면, 점화기 유닛의 유입측 파열 격막은 점화 챔버를 추진제 케이지의 유동 통로와 분리하고, 유동 통로는 추진제 케이지 베이스의 가스 유입 개구와 가스 유출 개구 사이에 형성된다. 유동 개구는 베이스의 원주벽에 의해 원주 방향으로 획정된다.
바람직한 실시예들에서, 추진제 케이지는 압축 가스 영역에서 인플레이터 내부에 배열되도록 구비된다. 특히 추진제 챔버가 또한 압축 가스 영역에 배열될 수 있다. 따라서 인플레이터의 하우징 내부에 배치되는 압축 가스는 또한 추진제 바디들에 의해 둘러싸일 수 있다. 이 점에서, 점화기 유닛의 유입측 파열 격막이 점화 챔버를 인플레이터의 압축 가스 챔버와 분리시킨다. 상기 인플레이터의 작동 상태에서, 실온에서 250바 내지 800바 범위, 특히 550바인 압축 가스의 압력 값이 발생될 수 있고, 압축 가스는 하나의 단일 가스 또는 아르곤, 산소, 질소 또는 헬륨과 같은 다수 가스가 혼합된 가스일 수 있다.
위에서 이미 설명한 바와 같이, 가스를 발생시키는 추진제 바디들이 추진제 챔버 내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가스를 발생시키는 추진제 바디들은 특히, 압축된 추진제 펠릿들 또는 압출된 추진제 바디들에 의해 대략 이른바 추진제 베드로서 구성될 수 있다. 점화기 유닛으로부터의 점화 가스에 의해 점화되고 난 후, 연소 도중에 추진제 바디들은 에어백의 팽창을 초래하거나 보조하는 추진제 가스를 발생시킨다.
인플레이터의 하우징은 유리하게는 바이어스된 압축 가스로 채워지는 압축 가스 탱크를 형성한다. 인플레이터가 활성화된 후에, 압축 가스는 추진제 가스에 더하여 방출될 수 있고, 에어백에 도입될 수 있다. 이렇게 해서, 압축 가스는 에어백의 팽창을 보조한다.
본 발명의 다른 독립된 태양은 에어백 모듈로, 인플레이터, 인플레이터에 의해 팽창될 수 있는 에어백 및 에어백 모듈을 차량에 장착하기 위한 고정 수단을 포함하는 에어백 모듈에 관한 것이다. 인플레이터는 바람직하게는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디자인된다.
또한, 본 출원의 범위 내에서, 특히 사람, 예를 들어 차량 탑승객 또는 보행자를 보호하기 위한 차량 안전 시스템이 개시되고 청구된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 안전 시스템은 인플레이터, 에어백 모듈의 일부로 인플레이터에 의해 팽창 가능한 에어백, 및 트리거 상황 시 인플레이터가 활성화될 수 있게 하는 전자 제어 유닛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 안전 시스템에서, 인플레이터는 바람직하게는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디자인된다.
본 발명의 다른 독립된 태양은 인플레이터, 특히 관형 파이로테크닉 인플레이터를 작동시키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인플레이터는 특히 상술한 방식에 따라 디자인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작동 방법은,
- 점화 챔버 내부에 점화 가스를 발생시키기 위해 점화 유닛을 트리거시키는 단계;
- 점화 가스를 추진제 케이지에 의해 관형으로 둘러싸인 유동 통로 내로 축선 방향으로 도입시키는 단계;
- 점화 가스의 일부를 추진제 케이지의 측방 가스 유동 개구들을 통해 추진제 케이지에 의해 반경 방향 내측으로 획정된 추진제 챔버로 배출하는 단계;
- 점화 가스의 배출된 부분에 의해 추진제 챔버 내에 있는 추진제 바디들, 특히 추진제 펠릿들을 점화시키고, 이에 의해 추진제 가스가 발생되는 단계; 및
- 추진제 챔버의 추진제 가스가 추진제 케이지의 전방 가스 개구들을 통과하게 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더욱이, 본 발명은 바람직하게는 상술한 방식으로 디자인되는 인플레이터, 특히 관형 파이로테크닉 인플레이터 내부에서 충격파를 안내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충격파를 안내하는 방법은 바람직하게는,
- 점화 챔버 내부에 과도한 압력을 발생시키기 위해 점화 유닛을 트리거하는 단계;
- 과도한 압력을 이용하여 파열 격막이 추진제 케이지의 관형 베이스의 가스 유입 개구의 영역에 배치된 유입측 파열 격막을 파열시키는 것에 의해 충격파를 발생시키는 단계;
- 베이스를 따라 충격파를 안내하는 단계; 및
- 베이스의 깔때기 형상으로 확대되는 깔때기 형상 부분을 따라 충격파를 반경 방향으로 확대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예시적인 실시예에 의거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추진제 케이지를 포함하는 관형 인플레이터의 종방향 단면도를 도시한다.
도 2a는 도 1에 따른 추진제 케이지의 측면도를 도시한다.
도 2b는 도 2a에 따른 추진제 케이지의 정면도를 도시한다.
도 3a는 본 발명에 따른 추진제 케이지의 다른 바람직한 예시 실시예의 종방향 단면도를 도시한다.
도 3b는 도 3a에 따른 추진제 케이지의 정면도를 도시한다.
도 4a 내지 도 4h는 본 발명에 따른 추진제 케이지의 바람직한 예시 실시예의 측면도들을 도시하며, 이 도면들에는 측방 가스 유동 개구들의 각기 다른 구멍 패턴들이 예시되어 있다.
도 5a는 본 발명에 따른 추진제 케이지의 다른 바람직한 예시 실시예의 종방향 단면도를 도시하며, 이 도면에서 측방 가스 유동 개구들이 외부로 개방되는 바이패스 채널들을 형성한다.
도 5b는 도 5a에 따른 추진제 케이지의 정면도를 도시한다.
도 5c는 도 5a에 따른 추진제 케이지의 측면도를 도시한다.
도 6a는 본 발명에 따른 추진제 케이지의 다른 바람직한 예시 실시예의 종방향 단면도를 도시하며, 이 도면에서 측방 가스 유동 개구들이 종축선 방향으로 테이퍼진 바이패스 채널들을 형성한다.
도 6b는 도 6a에 따른 추진제 케이지의 배면도를 도시한다.
도 6c는 도 6a에 따른 추진제 케이지의 측면도를 도시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추진제 케이지(10)의 장착 상태를 나타내는 인플레이터의 종방향 단면도를 도시한다. 인플레이터는 관형 인플레이터의 형태이며, 인플레이터의 하우징(31)을 형성하는 압축 가스 탱크(30)를 포함한다. 압축 가스 탱크(30)는 실질적으로 관 형상을 취한다. 예컨대 크림핑부(crimping) 또는 롤링부(rolling)일 수 있는 하우징(31)의 테이퍼(32)가 압축 가스 탱크(30)를 점화기 유닛(20)과 추진제 케이지(10)가 배치되는 제1 부분으로 분할한다. 압축 가스 탱크(30)의 제2 부분은 내장 부품들이 실질적으로 없고 바이어스된 압축 가스를 수용하는 역할을 실질적으로 한다. 압축 가스는 실온에서 550바의 압력으로 압축 가스 탱크(30)에 배치될 수 있다.
압축 가스 탱크(30) 및 하우징(31)의 유출측 단부에, 유출측 파열 격막(34)이 배치된다. 유출측 파열 격막(34)은 압축 가스 탱크(30)를 가스밀봉식으로 폐쇄한다. 필터 스크린(35)이 가스 유동 방향으로 유출측 파열 격막(34) 상류에 배열된다. 필터 스크린(35)은 연소된 입자들을 걸러 인플레이터와 연결된 에어백에 들어가지 않게 한다.
압축 가스 탱크(30)의 유출측 단부에는 디퓨저(33)가 또한 배열된다. 디퓨저(33)는 예컨대 크림핑, 롤링 또는 용접에 의해 인플레이터의 하우징(31)에 연결되는 디퓨저 캡(36)을 포함한다. 디퓨저 캡(36)은 실질적으로 반경 방향 외측으로 연장하는 유출 개구(37)들을 포함한다. 유출 개구(37)들을 통해, 추진제 가스 및/또는 바이어스된 압축 가스와 같은 방출 가스가 유출측 파열 격막(34)이 개방된 후에 연결된 에어백으로 유동할 수 있다.
압축 가스 탱크(30) 및 하우징(31)의 유입측 단부에는, 점화기 유닛(20)이 배열된다. 구체적으로, 점화기 유닛(20)은 테이퍼(32)에 의해 압축 가스 탱크의 제2 부분으로부터 분리된 압축 가스 탱크(30)의 제1 부분에 삽입된다. 점화기 유닛(20)은 금속으로 만들어지고 그리고 반경 방향 둘레로 압축 가스 탱크(30)의 축선 방향 단부에 용접됨에 따라 압축 가스 탱크(30)의 유입측 단부를, 잠금 피스의 유형에 따라, 폐쇄하는 점화기 캐리어(21)를 포함한다. 또한, 점화기 유닛(20)은 바람직하게는 파이로테크닉 전기 점화기로 형성되고 이에 따라 전기 단자들 및 전자 제어 유닛에 접속하기 위한 단자 접점들을 포함하는 점화기(29)를 포함한다. 전자 제어 유닛은 바람직하게는 인플레이터가 장착되는 차량에 구비되어 사전 결정된 트리거 상황에서 인플레이터가 활성화될 수 있게 한다. 점화기(29)는 점화기의 불꽃(pyrotechnics)에 인접할 수 있는, 바람직하게는 브리지 와이어의 형태로 된, 점화 요소(미도시)를 더 포함하며, 점화기는 점화 요소를 가열하는 것에 의해 트리거 상황 시에 활성화되고 점화될 수 있고 그리고 점화기를 개방하는 것에 의해 고온의 점화 에너지, 점화 입자들 및/또는 점화 가스를 방출할 수 있다. 명료성을 위해, 도 1은 점화기(29)를 감싸는 외관만을 도시하며 상술한 내부 컴포넌트들은 도시하지 않는다. 점화기(29)는 점화기 캐리어(21)에 삽입되고 캐리어에 포지티브하게 그리고/또는 비포지티브하게 체결된다.
점화기 챔버 캡(22)이 점화기 캐리어(21)에 부착되고 반경 방향 둘레로 점화기 캐리어에 특히 점화기 캐리어(21)를 향하는 플랜지형 구조체에 의해 압력 밀폐식으로 용접된다. 점화기 챔버 캡(22)은 이 경우에 점화기 유닛(20)의 구성 부품으로 이해되어야 하고, 점화기(29)가 그 내로 돌출되는 점화 챔버(23)를 획정한다.
점화기 캐리어(21) 반대쪽의 점화기 챔버 캡(22)의 단부에, 유입측 파열 격막(24)이 구비된다. 여기서, 한편으로는, 유입측 파열 격막(24)은, 예컨대 점화기 챔버 캡과 일체로 형성되고 그리고 그것이 연장하는 영역에서 그리고/또는 점화기 챔버 캡(22) 내에서 내부 압력이 증가될 때 파열 격막(24)이 개방될 수 있는 사전 결정된 파괴점들 또는 파괴선들을 나타냄으로써 점화기 챔버 캡(22)의 나머지 부분보다 얇은 소재 두께를 갖는 의해, 점화기 챔버 캡(22)에 일체인 부분일 수 있다. 다른 한편으로, 유입측 파열 격막(24)은, 필요한 경우 사전 결정된 파괴점들을 또한 구비할 수 있고 점화기 챔버 캡(22)의 전방 단부에, 바람직하게는 그 중앙 개구에 접착식으로, 특히 용접에 의해 체결될 수 있는 별도의 컴포넌트일 수 있다. 유입측 파열 격막(24)은 점화 챔버(23)를 압축 가스 탱크(30)의 가스로 충전된 내부로부터 분리시킨다. 인플레이터를 활성화시키고 그리고 점화 챔버(23) 내에서 점화기를 활성화 및 점화시킬 때, 점화기 불꽃의 연소에 의해 고온의 연소 가스 및/또는 연소 입자들이 형성되고 이에 따라 과도한 압력이 형성되어 최종적으로 유입측 파열 격막(24)의 개방, 파괴 및/또는 파열을 초래한다. 점화 챔버(23)에서 형성된 점화 가스 및 점화 입자들은 유출측 파열 격막(34)의 방향으로 점화 챔버(23)를 빠져나갈 수 있다.
추진제 케이지(10)는 점화기 챔버 캡(22)에 부착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고, 그리고 인플레이터의 제조 중에, 전방에 위치되는 점화기 챔버 캡(22)을 구비하는 점화기 유닛(20)의 전체 조립체가 테이퍼(32)에 의해 축선 방향으로 사전 위치된 추진제 케이지(10)에 삽입된다. 추진제 케이지(10)는 관형 베이스에 삽입될 내부 챔버 캡(22)의 외부 직경 값보다 내부 직경 값이 약간 더 큰 관형 베이스(11)를 포함한다. 적어도 점화 가스 및 점화 입자들이 유입측 파열 격막(24)이 개방된 후에 점화기 캐리어(21) 방향으로 점화기 챔버 캡(22)과 관형 베이스(11) 사이에서 빠져나가는 것이 방지되는 한, 삽입된 점화기 챔버 캡(22) 및 점화기 챔버 캡을 둘러싸는 관형 베이스(11)의 각각의 접촉면들은 축선 방향으로 중첩되고 있다. 특히, 베이스(11)는 점화기 챔버 캡(22)에 직접 부착되는 중공 원통 부분(11a)을 포함한다. 깔때기 형상 부분(11b)이 중공 원통 부분(11a)에 인접해 있다. 깔때기 형상 부분(11b)은 점화 가스의 유동 방향, 즉 유출측 파열 격막(34)의 방향으로 확대된다. 구체적으로, 깔때기 형상 부분(11b)은 그 단면 직경이 중공 원통 부분(11a)을 향하는 측면에서 중공 원통 부분(11a)로부터 멀리 떨어져 있는 영역에서보다 작다. 달리 말하면, 깔때기 형상 부분(11b)의 직경은 추진제 케이지(10)의 가스 유입 개구(12a)로부터의 거리에 따라 연속적으로 증가한다.
깔때기 형상 부분(11b)은 또한 실질적으로 반경 방향 외측으로 연장하는 칼라(11c)에 합쳐진다. 구체적으로, 칼라(11c)는 뒤집어져서 적어도 부분들에서 반경 방향 외측으로 연장하도록 구비된다. 칼라(11c)는 또한 추진제 케이지(10)의 플랜지형 전방 단부로 생각될 수 있다. 중공 원통 부분(11a), 깔때기 형상 부분(11b) 및 칼라(11c)는 베이스(11)에 실질적으로 트럼펫 형상을 부여한다.
추진제 케이지(10)의 장착 상태에서, 칼라(11c)는 인플레이터의 압축 가스 탱크(30)의 테이퍼(32)에 인접해 있고, 작동하는 경우에 추진제 입자들 또는 연소물들이 통과하는 것을 막는 특별한 밀봉부를 형성할 수 있다. 따라서 추진제 케이지(10)는 하우징(31) 내에서 종축선 방향으로 고정된다. 추진제 케이지(10), 특히 추진제 케이지(10)의 원주벽(12)과 인플레이터의 하우징(31) 사이에, 특히 환형이거나 혹은 중공 원통형인 추진제 챔버(17)가 형성된다. 추진제 챔버(17)는 스프링 패킹(25)에 의해 축선 방향으로 바이어스된 전방 디스크(26)에 의해 점화기 캐리어(21)를 향하는 축선 방향으로 더 획정되고, 전방 디스크(26)는 스프링 패킹(26)에 단단하게, 특히 접착적으로 연결될 수 있고, 심지어는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추진제 챔버(17)는 추진제 바디들, 특히 추진제 팰릿들로 채워진다. 상기 추진제 바디들은 명료성을 위해 도 1의 추진제 챔버(17)에서는 도시되어 있지 않다. 인플레이터의 대기 상태에서, 즉 그 활성화 전에는, 축선 방향 연장부에서 볼 때, 즉 추진제 케이지(10)의 칼라로부터 전방 디스크(26)로 볼 때 실질적으로 추진제 챔버(17) 전체가 상기 추진제 바디들로 채워져 있다. 전방 디스크(26)는 또한, 유동 방향에서 볼 때, 도 1에 도시된 위치, 즉 점화 지지체(21)의 방향으로 측방 유동 개구(13)들 바로 전방의 위치로부터 점화 캐리어에 체결되는 점화 챔버 캡(22)의 플랜지형 형성부 가까이까지 다소 편의된 축선 방향 위치를 가질 수 있고, 전방 디스크(26)의 후자의 위치에서 추진제 챔버를 위한 가능한 한 큰 체적 및 이에 따라 추진제 바디들을 위한 최대 충전 양이 실행될 수 있다. 스프링 패킹(25)에 의해 스프링 바이어스된 전방 디스크(26)에 의해, 추진제 챔버(17)를 추진제 바디들로 채울 때 추진제 챔버(17) 내에서의 추진제 바디들의 압착 및/또는 체적 균형화 수단의 기능이 인플레이터의 제조 중에 달성된다.
추진제 챔버(17)는 가스 유입구 및 가스 유출구를 포함한다. 점화 가스가 가스 유입구를 통해 추진제 챔버(17)로 유동하여 그 안에 존재하는 추진제 바디들을 점화시키는 것은 확실하다. 추진제 바디들의 연소에 의해 형성되는 추진제 가스는 가스 유입구와 다르고 특히 가스 유입구로부터 이격되어 있는 가스 유출구를 통해 추진제 챔버(17)를 빠져 나간다.
추진제 챔버(17)의 가스 유입구 및 가스 유출구는 본 발명에 따른 인플레이터 내의 추진제 케이지(10) 내의 적절한 가스 유동 개구들에 의해 형성된다. 이러한 목적으로, 추진제 케이지(10)는 원주벽(12)에 적어도 하나의, 바람직하게는 다수의 가스 유동 개구(13)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측방 가스 유동 개구(13)들은 적어도 베이스(11)의 깔때기 형상 부분(11b)에 배열된다. 측방 가스 유동 개구(13)들은 중공 원통 부분(11a) 내로도 또한 더 연장할 수 있지만, 다수의 측방 가스 유동 개구(13) 중 몇 개가 중공 원통 부분(11a)에 구비되는 것도 또한 가능하다. 측방 가스 유동 개구(13)들은 각기 다른 기하학적 디자인을 가질 수 있고, 베이스(11)의 영역에 각기 다르게 위치될 수 있다. 특히, 다수의 측방 가스 유동 개구(13)들은 각기 다른 구멍 패턴을 형성할 수 있다. 이는 아래에서 몇몇 예시 실시예들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추진제 챔버(17)의 가스 유출구가 추진제 케이지(10) 내에 존재하는 적어도 하나의, 바람직하게는 다수의 전방 가스 유동 개구(14)들에 의해 형성되는 것이 모든 예시 실시예들에 적용 가능하다. 전방 가스 유동 개구(14)들은 베이스(11)의 칼라(11c) 내에 배열된다. 특히 전방 가스 유동 개구(14)들은 압축 가스 탱크(30)의 종축선과 실질적으로 평행한 추진제 챔버(17) 외부로의 가스 유동을 초래한다. 전방 가스 유동 개구(14)들은 마찬가지로 각기 다른 기하학적 형상과 위치를 가질 수 있다. 다수의 전방 가스 유동 개구(14)는 마찬가지로 함께 구멍 패턴을 형성하며, 각기 다른 구멍 패턴들이 구현될 수 있다. 추진제 챔버를 위한 가스 유출구의 기능은 생각할 수 있는 모든 구멍 패턴들에 의해 달성된다.
도 1에 따른 예시 실시예를 이용하여, 아래에서 그 기능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인플레이터의 활성화시, 먼저 점화기(29)가 활성화되고 이에 따라 점화 챔버(23) 내에서 점화되는데, 점화기 불꽃의 점화 및 연소 생성물이 형성된다. 그 결과로 발생되는 압력 증가가 유입측 파열 격막(24)이 파열되게 한다. 이는 두 가지 효과를 갖는다. 한편으로, 고온의 점화 가스가 점화 챔버(23)로부터 추진제 케이지(10)의 내부로 안내된다. 다른 한편으로, 유입측 파열 격막(24)이 파열될 때의 갑작스러운 압력차가 압축 가스 탱크(30)를 통해 종축선 방향으로 이동하고 그리고 전파되는 충격파를 초래한다. 충격파의 형성은 점화기(29)의 활성화시에 이미 촉발되고 의도되어 있는데, 이는 충격파가 유출측 파열 격막(34)에 충격할 때 유출측 파열 격막(34)을 개방시켜고 그리고 파열시켜서 연결된 에어백과의 유체 연통을 확립시킬 것이기 때문이다. 구체적으로, 유출측 파열 격막(34)을 개방한 후에, 압축 가스는 압축 가스 탱크(30)로부터 디퓨저(33)와 유출측 개구(37)들을 통해 에어백으로 유동할 수 있다. 여기서, 마찬가지로, 추진제 바디들의 연소로부터 나오는 추진제 가스가 바이어스된 압축 가스와 동시에 유출측 파열 격막(34)의 외부로 유동하는 것이 가능하다.
유출측 파열 격막(34)이 특히 사전 결정된 시점에 파열될 것을 신뢰성 있게 보장하기 위하여, 인플레이터의 전체 연장부를 따라 신뢰성 있게 생성될 수 있는 안정적인 충격파가 유용하다. 놀랍게도, 유동 방향으로 확대되는 유동 통로(12b)를 형성하는 깔때기 형상 부분(11b)이 충격파의 안정화를 초래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따라서 추진제 케이지(10)의 트럼펫 형상 디자인은 유출측 파열 격막(34)의 파열이 안전하게 보장될 수 있도록 충격파의 강력하게 형성되는 것을 보장한다.
충격파의 형성과 별도로, 유입측 파열 격막(24)의 파열 및 개방은 고온의 점화 가스가 추진제 케이지(10)의 내부로, 특히 그 유동 통로(12b)로 유동하게 한다. 점화 가스는 가스 유입 개구(12a)를 거쳐 유동 통로(12b)로 들어가고 유동 통로를 통해 가스 유출 개구(12c)로 안내된다. 그러나 고온 점화 가스의 일부는 추진제 케이지(10)의 원주벽(12)에 구비된 측방 가스 유동 개구(13)들을 통해 추진제 챔버(17)로 안내된다. 고온 점화 가스는 추진제 챔버(17) 내에서 연소 중에 추진제 가스를 방출하는 추진제 바디들을 점화시킨다. 이제 추진제 가스는, 특히 점화 가스의 유동이 추진제 챔버(17) 내로 더 유동하는 것과 동시에, 전방 가스 유동 개구(14)들을 통해 추진제 챔버(17)를 빠져나갈 수 있다. 따라서 추진제 케이지(10)의 내부를 통해 종축선 방향으로 안내되는 점화 가스의 일부가 압축 가스 탱크(30)로 들어가는 유동과 동일한 방향으로 추진제 가스가 유동하기 때문에, 가스 유동의 원치 않는 난류 및/또는 이에 상응하는 에너지 손실이 방지된다. 이렇게 해서, 추진제 가스의 방출 효율이 증가된다. 구체적으로 유동 난류로 인해 일어날 수 있는 손실들이 이에 따라 방지된다.
추가적인 유동에서 그리고 인플레이터 기능의 추가적인 과정에서 전방 가스 유동 개구(14)들을 통해 압축 가스 탱크(30)의 주 영역으로 유동하는 추진 가스는 압축 가스 탱크(30) 내에 배치된 압축 가스와 함께 디퓨저(33)를 거쳐 인플레이터를 빠져나가서, 에어백으로 유동한다.
도 2a 및 도 2b는 도 1에 따른 인플레이터에 삽입되는 추진제 케이지(10)를 상세하게 도시한다. 이러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예시 실시예에서, 다수의 측방 가스 유동 개구(13)들이 베이스(11)의 깔때기 형상 부분(11b)에 배치되도록 구비된다. 측방 가스 유동 개구(13)들은 아가미형이거나 혹은 아가미형 유동 개구(13c)를 형성한다. 아가미형 유동 개구(13c)는 특히 원주벽(12)을 특히 베이스(11)의 내부 방향으로 쉐이핑하는 것에 의해 형성된다. 구체적으로, 쉐이핑 부분(15)들이 형성되도록 원주벽(12)이 부분적으로 내측을 향한다. 예를 들어, 예컨대 밀링 또는 레이저 가공에 의한 소재 마모에 의해 베이스(11)의 전체 벽 두께를 관통하여 연장하는 적절한 컷(cut)들 또는 슬릿들을 처음에 생성하고 나서 적절한 압입을 수행하는 것에 의해, 측방 가스 유동 개구(13)들이 제조될 수 있다. 그러나 아가미형 가스 유동 개구(13c)들을 하나의 단일 단계로 생성하도록 베이스의 벽에 가압되는, 특히 상술한 컷들 또는 슬릿들을 구현하기에 적합한 날카로운 절단부를 구비하는 적당한 공구에 의해 상술한 두 개의 제조 단계들을 하나의 단일 단계로 수행하는 것도 마찬가지로 가능하다. 쉐이핑 부분(15)들은 점화 가스의 일부를 축선 방향으로 수용하고 그것을 추진제 챔버(17)까지 비스듬하게 외측으로 안내하는 흐름 분할기들을 실질적으로 형성한다. 상기와 같이 점화 가스의 일부를 유동 편향시키는 것은 특히 효과적으로 가스를 안내할 수 있게 하는 손실이 매우 낮은 방식이다.
도 2a에 명확하게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다수의 아가미형 측방 가스 유동 개구(13, 13c)들은 베이스(11)의 원주 방향으로 규칙적인 간격으로 배열될 수 있다. 더욱이, 추가 측방 가스 유동 개구(13)들이 종축선 방향으로 오프셋되게 구비될 수 있다. 달리 말하면, 특히 아가미형인, 측방 가스 유동 개구(13, 13c)들이 도 2a 및 도 2b의 예시 실시예에서의 구멍 패턴을 형성하는데, 측방 가스 유동 개구(13)들로 이루어진 두 개의 원주상 열(18)이 형성된다. 제1 원주상 열(18a)은 원주 방향으로 규칙적인 간격으로 이격된 다수의 측방 가스 유동 개구(13)들을 포함한다. 추진제 케이지(10)의 종축선 방향으로 그리고 제1 원주상 열(18a)에 대해서 반경 방향으로 오프셋되어 있는 제2 원주상 열(18b)은 동일한 수의 측방 가스 유동 개구(13)들을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두 개의 원주상 열(18a, 18b) 각각이 아가미형 가스 유동 개구(13c)들의 형태로 된 네 개의 측방 가스 유동 개구(13)를 포함한다. 제1 원주상 열(18a)의 측방 가스 유동 개구(13)들은 원주 방향으로 제2 원주상 열(18b)의 측방 가스 유동 개구(13)들에 대해 오프셋되고 그리고 회전되도록 배열되고 이에 따라 이른바 측방 가스 유동 개구(13)들로 이루어진 주변 패턴이 형성된다. 이는 도 2b에 따른 정면도에서 명확하게 볼 수 있다.
도 2a에 명확하게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측방 가스 유동 개구(13)들로 된 제1 원주상 열(18a)이 적어도 중공 원통 부분(11a)을 마주보는 깔때기 형상 부분(11b)의 단부에 직접 배열된다. 특히, 제1 원주상 열(18a)은 중공 원통 부분(11a)과 깔때기 형상 부분(11b) 사이의 전이 영역에 배열된다. 제2 원주상 열(18b)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추진제 케이지(10)의 장착 상태와 관련하여, 제1 원주상 열(18a)에 대해 오프셋되게 유동 방향으로 축선 방향 하류에 배열된다. 아가미형 가스 유동 개구(13c)들은 특히, 점화 가스가 아마기형 유동 개구(13)들까지 축선 방향으로 유동하여 가스 안내 표면(19)을 따라 외측으로, 특히 추진제 챔버(17)로 안내되도록 구성된다. 가스 안내 표면(19)은 특히 점화 가스의 유동 방향으로 유동 편향이 거의 생성되지 않도록 추진제 케이지(10)의 종축선과 평각을 이룬다. 달리 말하면, 점화 가스가 아가미형 가스 유동 개구(13c)들로 유동 방향으로 유동할 수 있도록 아가미형 가스 유동 개구(13c)들이 점화기 유닛(20)을 향해 개방되어 있다(도 1에 따른 장착 상태).
한편, 도 2b는 유동 통로(12b)로 돌출해 있으며 깔때기 형상 부분(11b)에 있는 아가미형 가스 유동 개구(13)들을 도시하고 있다. 이로부터, 유동 통로(12b)를 통과하는 점화 가스가 측방 가스 유동 개구(13)들을 형성하는 원주벽(12)의 형성 부품(15)들에 의해 분할되는 것이 명백하다. 이렇게 해서, 유동이 분할되고, 점화 가스 유동의 일부가 종축선 방향으로 추진제 케이지(10)의 내부를 통과한다. 다른 한편으로, 다른 부분은 측방 가스 유동 개구(13)들을 통해 추진제 챔버(17) 내로 배출된다.
또한, 도 2b에서 명확하게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칼라(11c)는 다수의 전방 가스 유동 개구(14)를 포함한다. 전방 가스 유동 개구(14)들은 예시 실시예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형 가스 유동 개구(14)들의 형태이다. 구체적으로, 도시된 예시 실시예에서는 20개의 원형 가스 유동 개구(14)가 서로 규칙적인 간격으로 이격되도록 배열되어 있고 공동의 원 위에 위치되어 있다.
일반적으로, 전방 가스 유동 개구(14)들이 기본적으로 동일하게 아가미형, 슬롯형 또는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은 원형일 수 있다. 단순화하기 위해, 도 3a 내지 도 5c에 따른 추가적인 예시 실시예들에서는 전방 가스 유동 개구(14)들을 나타내지 않았다. 그러나 전방 가스 유동 개구(14)들이 칼라(11c)에 배치되는 것은 모든 실시예들에 적용될 수 있다.
도 3a 및 도 3b에, 본 발명에 따른 추진제 케이지(10)의 다른 예시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도 3a 및 도 3b에 따른 추진제 케이지(10)의 베이스(11)는 도 2a 및 도 2b에 따른 추진제 케이지의 베이스(11)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도 3a 및 도 3b에 따른 추진제 케이지(10)는 아가미형 측방 가스 유동 개구(13)들의 배열 형태가 다르다. 도 3a 및 도 3b에 따른 예시 실시예에서, 측방 가스 유동 개구(13)들은 중공 원통 부분(11a)로부터 이격되고 그리고 도 2a 및 도 2b에서보다 더 멀리 이격되게 배열된다. 구체적으로, 측방 가스 유동 개구(13)들은 중공 원통 부분(11a)과 비교하여 베이스(11)의 가스 유동 개구(12c)에 더 가깝게 배열된다. 구체적으로, 아가미형 가스 유동 개구(13c)들의 형태로 된 4개의 측방 가스 유동 개구(13)가 깔때기 부분(11b)의 주변을 따라 규칙적인 간격으로 분포되도록 배열된다. 도 3a는 아가미형 가스 유동 개구(13c)들이 원주벽(12)을 부분적으로 쉐이핑(shaping)하는 것에 의해 반경 방향 내측으로 형성되는 것을 명확하게 도시한다. 쉐이핑 부분(15)은 (도 1에 도시된 장착 상태에서) 유동 가스 또는 추진제 케이지(10)의 내부에서 가스 안내 표면(19)을 거슬러 유동하는 가스를 추진제 챔버(17)까지 비스듬하게 외측으로 안내하는 가스 안내 표면(19)을 구비하는 유동 분할기를 형성한다. 당연히, 측방 가스 유동 개구(13)의 개수가 다를 수 있다.
도 4a 내지 도 4h에는 추진제 케이지(10)의 측방 가스 유동 개구(13)들을 위한 각기 다른 구멍 패턴들이 도시되어 있다. 도시된 예시 실시예들은 본 발명에 따른 추진제 케이지(10)들을 위한 구멍 패턴들이 디자인될 수 있는 방식들에 대한 옵션들을 선택하는 예에 불과하다. 도 4a 내지 도 4h에 따른 예시 실시예들의 실질적으로 전부가 동일한 베이스(11)들을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도시된 추진제 케이지(10)들 각각의 베이스(11)는 중공 원통 부분(11a), 깔때기 형상 부분(11b) 및 칼라(11c)를 포함한다. 베이스(11)는 일체로 형성되며, 깔때기 형상 부분(11b)이 중공 원통 부분(11a)과 칼라(11c) 사이에서 연장한다. 구체적으로, 깔때기 형상 부분(11b)이 중공 원통 부분(11a)을 칼라(11c)에 연결한다.
칼라(11c)는 안팎이 뒤집어져 있고, 원주벽(12a)이 추가 연장부에서 반경 방향 외측으로 그리고 동축으로 실질적으로 복귀된다.
도 4a는 구멍 패턴을 도시하는데, 측방 가스 유동 개구(13)들이 원형 가스 유동 개구(13a)들로 구성되어 있다. 원형 가스 유동 개구(13a)들로 이루어지는 원주상 열(18)이 다수 구비되어 있다. 구체적으로, 도 4a에 따른 예시 실시예는 5개의 원주상 열을 도시하고 있으며, 각각의 열은 8개의 측방 가스 유동 개구(13)를 포함한다. 원주상 열(18)들과 각각의 원주상 열(18) 내에 있는 측방 가스 유동 개구(13)는 모두 서로 규칙적인 간격으로 이격되게 배열된다. 5개의 원주상 열(18) 중 2개의 원주상 열(18)은 중공 원통 부분(11a)에 배열되고, 3개의 원주상 열(18)은 깔때기 형상 부분(11b)에 배열된다.
도 4b는 2개의 원주상 열(18)을 구비하는 구멍 패턴을 도시하는데, 각각의 원주상 열(18)은 원형 가스 유동 개구(13a)들의 형태로 된 4개의 측방 가스 유동 개구(13)를 포함한다. 측방 가스 유동 개구(13)들은 각각의 원주상 열(18)을 따라 규칙적인 간격으로 배열된다. 원주상 열(18)들 중 하나의 원주상 열은 중공 원통 부분(11a)에 배열되고, 다른 원주상 열(18)은 깔때기 형상 부분(11b)에 배열된다.
도 4c는 측방 가스 유동 개구(13)들이 슬롯형 가스 유동 개구(13b)들인 구멍 패턴을 도시한다. 구체적으로, 슬롯형 가스 유동 개구(13b)들을 각각 형성하는 측방 가스 유동 개구(13)들로 된 2개의 원주상 열(18)이 구비된다. 슬롯형 가스 유동 개구(13b)는 추진제 케이지(10)의 종축선에 대해 비스듬하게 연장한다. 슬롯형 가스 유동 개구(13b)들은 실질적으로 직사각형인 기하학적 형상을 갖는다. 인접한 원주상 열(18)의 측방 가스 유동 개구(13)들은 원주 방향으로 서로 오프셋되고 그리고 회전되어 배열된다. 도 4c에 따른 예시 실시예에서, 하나의 원주상 열(18)이 중공 원통 부분(11a)의 영역에 배열되는 반면, 다른 원주상 열(18)은 깔때기 형상 부분(11b)에 배열된다.
마찬가지로 도 4d는 슬롯형 가스 유동 개구(13b)들인 측방 가스 유동 개구(13)들을 구비하는 구멍 패턴을 도시한다. 전부 합해서, 측방 가스 유동 개구(13)들로 이루어지는 원주상 열(18)이 4개 구비되는데, 3개의 원주상 열(18)이 중공 원통 부분(11a)의 영역에 배열되고 하나의 원주상 열(18)은 깔때기 형상 부분(11b)에 배열된다. 도 4d에 따른 예시 실시예에서, 중공 원통 부분(11a)의 영역에 배열된 측방 가스 유동 개구(13)들은 깔때기 형상 부분(11b)에 배열된 측방 가스 유동 개구(13)들과 그 정렬 방식이 다르다. 깔때기 형상 부분(11b)에서, 슬롯형 가스 유동 개구(13b)들의 형태로 된 측방 가스 유동 개구(13)들은 추진제 케이지(10)의 종축선과 실질적으로 평행한 방향으로 배열된다. 깔때기 형상 부분(11b)에 있는 측방 가스 유동 개구(13)들의 원주상 열(18)은 8개 내지 10개, 특히 9개의 슬롯형 가스 유동 개구(13b)를 포함한다. 그러나 중공 원통 부분(11a)에 있는 측방 가스 유동 개구(13)들은 베이스(11)의 원주 방향으로 슬롯이 이어지는 방향으로 배열된다. 달리 말하면, 슬롯형 가스 유동 개구(13b)들은 중공 원통 부분(11a)에서 깔때기 형상 부분(11b)에 있는 슬롯형 가스 유동 개구(13b)와 직각으로 연장한다. 중공 원통 부분(11a)에 있는 슬롯형 가스 유동 개구(13b)들의 원주상 열(18) 3개 각각은 4개의 측방 가스 유동 개구(13)를 포함한다. 중공 원통 부분(11a)에 있는 인접한 원주상 열(18)들의 측방 가스 유동 개구(13)들은 원주 방향으로 서로 오프셋되거나 혹은 회전되는 방향으로 배열된다.
도 4e는 도 4d의 구멍 패턴과 실질적으로 거꾸로 형성된 구멍 패턴을 도시한다. 구체적으로, 측방 가스 유동 개구(13)들로 이루어진 원주상 열(18)이 마찬가지로 4개가 구비되는데, 추진제 케이지(10)의 종축선과 실질적으로 평행하게 연장하는 슬롯형 가스 유동 개구(13b)로 이루어지는 원주상 열(18)이 중공 원통 부분(11a)에 형성된다. 다른 한편으로, 깔때기 형상 부분(11b)의 영역에는, 슬롯형 가스 유동 개구(13b)들을 형성하며 중공 원통 부분(11a)에 있는 가스 유동 개구(13)들과 직각인 방향으로 배열되는 측방 가스 유동 개구(13)들로 이루어진 원주상 열(18)이 3개 구비된다. 3개의 원주상 열(18) 각각은 4개의 측방 가스 유동 개구(13)를 포함하며, 바로 인접한 원주상 열(18)들의 측방 가스 유동 개구(13)들은 베이스(11)의 원주 방향으로 서로 오프셋되고 그리고 회전되어 배열된다. 중공 원통 부분(11a)에 있는 측방 가스 유동 개구(13)들의 원주상 열(18) 만이 8개 내지 10개, 바람직하게는 9개의 슬롯형 가스 유동 개구(13b)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추진제 케이지(10)의 도 4f에 따른 예시 실시예에서, 측방 가스 유동 개구(13)들로 이루어진 원주상 열(18)이 2개가 구비된다. 하나의 원주상 열(18)은 중공 원통 부분(11a) 둘레로 연장하고, 아가미형 가스 유동 개구(13c)들을 포함한다. 다른 원주상 열(18)은 깔때기 형상 부분(11b)에 배열되고, 추진제 케이지(10)의 중축선과 실질적으로 평행하게 연장하는 슬롯형 가스 유동 개구(13b)들을 포함한다. 깔때기 형상 부분(11b)에는 구체적으로 6개의 슬롯형 가스 유동 개구(13b)가 구비된다. 중공 원통 부분(11a)에는 4개의 아가미형 가스 유동 개구(13)가 도 4f에 따른 예시 실시예에서는 원주 방향으로 규칙적인 간격으로 구비된다.
도 4g에 따른 예시 실시예는 도 2a에 따른 예시 실시예에 실질적으로 기초하고 있다. 도 4g에 따른 실시예의 추진제 케이지(10)는 도 2a에 따른 예시 실시예의 베이스(11)와 유사하게 형성되는 베이스(11)를 구비한다. 더욱이, 도 2a에 따른 예시 실시예의 아가미형 가스 유동 개구(13c)들이 도 4a에 따른 실시예에 동일하게 적용되고, 이에 대해서는 도 2a에 따른 예시 실시예를 참조한다. 또한, 도 4g에 따른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추가 측방 가스 유동 개구(13)들을 깔때기 형상 부분(11b)에 배치하는 것이 제시되는데, 추가 측방 가스 유동 개구(13)들은 원형 가스 유동 개구(13a)들의 형태이다. 특히, 2개의 추가 원주상 열(18)이 깔때기 형상 부분(11b)에 구비되며, 각각의 추가 원주상 열은 원주 방향으로 서로 균일하게 이격된 다수의 원형 가스 유동 개구(13a)를 구비한다. 특히, 추가 원주상 열(18) 각각은 4개의 원형 가스 유동 개구(13a)를 포함한다. 따라서 2개의 원주상 열(18)의 원형 가스 유동 개구(13a)들은 원주 방향으로 서로 오프셋되고 그리고 회전되어 배열된다.
도 4h는 측방 가스 유동 개구(13)들로 이루어진 원주상 열(18)이 단 하나 구비되는 본 발명에 따른 추진제 케이지(10)의 예시 실시예를 도시한다. 이 예시 실시예의 측방 가스 유동 개구(13)들은 추진제 케이지(10)의 종축선과 실질적으로 평행하게 연장하는 슬롯형 가스 유동 개구(13b)로 구성된다. 슬롯형 가스 유동 개구(13b)들은 깔때기 형상 부분(11b) 및 중공 원통 부분(11a) 둘 다를 통해 연장한다. 달리 말하면, 측방 가스 유동 개구(13)들은 중공 원통 부분(11a)로부터 깔때기 형상 부분(11b)까지 연장한다. 도 4h에 따른 예시 실시예에서, 전부 합하여 8개의 슬롯형 가스 유동 개구(13b)가 구비되며 이 슬롯형 가스 유동 개구들은 원주 방향으로 규칙적인 간격으로 배열된다. 슬롯형 가스 유동 개구(13b)들 각각은 그 길이가 동일하다. 그러나 특히 슬롯형 가스 유동 개구(13b)들의 형태로 된 측방 가스 유동 개구(13)들이 각기 다른 크기, 특히 각기 다른 길이를 갖는 것도 생각할 수 있다. 이는 예시 실시예들 전부에 적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추진제 케이지의 다른 예시 실시예가 도 5a 내지 도 5c에 도시된다. 추진제 케이지의 기본적인 구조는 앞서의 예시 실시예들에 상응한다. 구체적으로, 추진제 케이지는 중공 원통 부분(11a), 깔때기 형상 부분(11b) 및 칼라(11c)를 포함하는 베이스(11)를 구비한다. 깔때기 형상 부분(11b)은 측방 가스 유동 개구(13)들을 포함한다. 도 5c에 따른 예시 실시에의 특별한 피처는 측방 가스 유동 개구(13)들이 반경 방향 외측으로 개방된 바이패스 채널(16)들로 실질적으로 구성되는 점에 있다. 도 5b로부터 명백한 바와 같이, 원주 방향으로 규칙적인 간격으로 배열되는 총 4개의 바이패스 채널(16)이 구비된다. 특히, 바이패스 채널(16)들은 깔때기 형상 부분(11b)의 12시 위치, 3시 위치, 6시 위치 및 9시 위치에 배열된다. 실질적으로 바이패스 채널(16)들은 깔때기 형상 부분(11b) 반경 방향 내측으로 낮아진 홈을 형성하고, 홈은 중공 원통 부분(11a)(도 5a, 도 5c)을 향해 개방된다. 명료성을 이유로 도시되지 않은 칼라(11c)의 전방 가스 유동 개구(14)들은 바람직하게는 바이패스 채널(16)들 사이의 칼라 영역에 배열된다. 대안적으로, 전방 가스 유동 개구(14)들을 칼라(11c)에서 바이패스 채널(16)들과 실질적으로 정렬하는 것도 또한 가능하다. 이렇게 해서, 바이패스 채널(16)들에 도달하는 점화 가스가 유동 통로(12b)를 통해 유동하는 점화 가스와 완전히 평행하게 안내될 수 있고, 추진제 챔버(17) 내에 있는 추진제 바디들(도 1에 따른 추진제 케이지(10)의 장착 상태)의 점화를 실시할 수 있다. 바이패스 채널(16)들이 반경 방향 외측으로 개방되어 있기 때문에, 추진제 챔버(17)와 유체 연통한다.
바이패스 채널(16)들의 형태로 된 측방 가스 유동 개구(13)들을 구비하는 유사한 예시 실시예가 도 6a 내지 도 6c에 도시된다. 이 실시예에서, 바이패스 채널(16)들은 홈 형상이며, 홈 또는 바이패스 채널(16)은 중공 원통 부분(11a)로부터 칼라(11c)를 향해 테이퍼진다. 대체로, 원주 방향으로 균일하게 이격된 4개의 바이패스 채널(16)들이 구비된다. 칼라(11c)는 바이패스 채널(16)들 사이에 원주 방향으로 전방 가스 유동 개구(14)들을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칼라(11c)는 실질적으로 아가미형 또는 홈형 가스 유동 개구(13c)의 형태로 된 전방 가스 유동 개구(14)들을 형성한다. 칼라(11c) 내의 가스 유동 개구(13c)들은 구체적으로 칼라(11c) 외주에 오목부들로 디자인된다. 베이스(11)의 트럼펫 형상 디자인으로 인해, 오목부들은 또한 깔때기 형상 부분(11b)까지 연장하지만, 본 발명에 따른 칼라(11c)의 전방 가스 유동 개구(14)들로 간주된다. 도 6a 내지 도 6c에 따른 예시 실시예에서, 전부 합해서 8개의 전방 가스 유동 개구(14)가 구비되고, 이 전방 가스 유동 개구들은 베이스(11)의 원주 방향으로 규칙적인 간격으로 배열된다.
본 발명에 따른 추진제 케이지(10)들을 위한 각기 다른 예시 실시예들을 비교하면, 특별히 측방 가스 유동 개구(13)들이 깔때기 형상 부분(11b)에 아가미형 가스 유동 개구(13c)로 구성된 예시 실시예들이 인플레이터를 기동시키는 데 있어 특히 유리한 효과를 나타내는 것으로 밝혀졌다. 구체적으로, 원주벽(12)의 쉐이핑 부분(15)에 의해 형성되는 측방 가스 유동 개구(13)들이 예컨대 순전히 원형인 가스 유동 개구(13a)들에 비해 유리하다. 놀랍게도, 추진제 케이지(10)의 쉐이핑 부분(15)을 형성하는 것에 의해, 상기 아가미형 측방 가스 유동 개구(13c)들에서와 같이, 최적의 유동 안내 요소가 생성되는 것으로 밝혀졌다. 아가미형 가스 유동 개구(13c)들은 실질적으로 점화 가스의 일부를 수용하고 그것을 추진제 챔버(17)로 방출하는 고정날(fixed blade)의 원리에 따라 작동한다.
10: 추진제 케이지
11: 베이스
11a: 중공 원통 부분
11b: 깔때기 형상 부분
11c: 칼라
12: 원주벽
12a: 가스 유입 개구
12b: 유동 통로
12c: 가스 유출 개구
13: 측방 가스 유동 개구
13a: 원형 가스 유동 개구
13b: 슬롯형 가스 유동 개구
13c: 아가미형 가스 유동 개구
14: 전방 가스 유동 개구
15: 쉐이핑 부분
16: 바이패스 채널
17: 추진제 챔버
18: 원주상 열
18a: 제1 원주상 열
18b: 제2 원주상 열
19: 가스 안내 표면
20: 점화기 유닛
21: 점화기 캐리어
22: 점화기 챔버 캡
23: 점화기 챔버
24: 유입측 파열 격막
25: 스프링 패킹
26: 전방 디스크
27: 오목부
29: 점화기
30: 압축 가스 탱크
31: 하우징
32: 테이퍼
33: 디퓨저
34: 유출측 파열 격막
35: 필터 스크린
36: 디퓨저 캡
37: 유출 개구들
L: 종축선

Claims (16)

  1. 인플레이터, 특히 에어백 모듈의 관형 인플레이터를 위한 추진제 케이지(10)로,
    실질적으로 관형인 베이스(11)를 포함하되, 베이스가 그 종축선(L)을 따라 한편으로는 가스 유입 개구(12a)를 그리고 다른 한편으로는 가스 유출 개구(12b)를 형성하고, 적어도 하나의 측방 가스 유동 개구(13)가 베이스(11)의 원주벽(12)에 형성되는, 추진제 케이지에 있어서,
    베이스(11)가 반경 방향 외측으로 연장하는 칼라(11c)를 포함하되, 칼라가 가스 유출 개구(12c)의 영역에 적어도 하나의 전방 가스 유동 개구(14)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추진제 케이지.
  2. 청구항 1에 있어서,
    베이스(11)가 가스 유출 개구(12c)를 향해 확대되는 실질적으로 깔때기 형상인 깔때기 형상 부분(11b)을 포함하되, 적어도 하나의 가스 유동 개구(13)가 깔때기 형상 부분(11b)에 배열되거나, 혹은 적어도 하나의 가스 유동 개구(13)가 가스 유입 개구(12a)를 포함하는 베이스(11)의 중공 원통 부분(11a)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추진제 케이지.
  3.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측방 가스 유동 개구(13) 및/또는 적어도 하나의 전방 가스 유동 개구(14)가 원형 및/또는 슬롯형 및/또는 아가미형으로 디자인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추진제 케이지.
  4. 선행하는 청구항들 중 어느 하나의 청구항에 있어서,
    특히 아가미형인, 적어도 하나의 측방 가스 유동 개구(13)가 베이스(11)의 원주벽(12)의 반경 방향 내측으로 쉐이핑되는 부분(15)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추진제 케이지.
  5. 청구항 4에 있어서,
    원주벽(12)의 쉐이핑 부분(15)이 축선 방향 점화 가스 유동의 일부가 외부로 편향될 수 있게 하는 유동 안내 요소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추진제 케이지.
  6. 선행하는 청구항들 중 어느 하나의 청구항에 있어서,
    원주벽(12), 특히 깔때기 형상 부분(11b) 및/또는 중공 원통 부분(11a)이 함께 구멍 패턴을 형성하는 다수의 측방 가스 유동 개구(13)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추진제 케이지.
  7. 청구항 6에 있어서,
    구멍 패턴의 측방 가스 유동 개구(13)들은 기하학적으로 각기 다르게, 특히 원형 및/또는 슬롯형 및/또는 아가미형으로 구성되되, 바람직하게는 측방 가스 유동 개구(13)들이 베이스(11)의 원주 방향 및/또는 종방향으로 규칙적으로 또는 불규칙적으로 분포되도록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추진제 케이지.
  8. 선행하는 청구항들 중 어느 하나의 청구항에 있어서,
    베이스(11)가 일체로 형성되고, 중공 원통 부분(11a)이 깔때기 형상 부분(11b)에 합쳐지되, 특히 측방 가스 유동 개구(13) 및/또는 구멍 패턴이 중공 원통 부분(11a) 및/또는 깔때기 형상 부분(11b)로 연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추진제 케이지.
  9. 에어백 모듈을 위한 인플레이터, 특히 관형 인플레이터로, 관형 하우징(31) 및 관형 하우징 내부에 배치되는, 선행하는 청구항들 중 어느 하나의 청구항에 따른 추진제 케이지(10)를 포함하며, 관형 하우징(31)이 가스 발생 추진제 바디들을 포함하는 추진제 챔버(17)를 획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플레이터.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측방 가스 유동 개구(13)가 추진제 챔버(17)의 가스 유입구를 형성하고, 적어도 하나의 전방 가스 유동 개구(14)가 추진제 챔버(17)의 가스 유출구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플레이터.
  11. 청구항 9 또는 청구항 10에 있어서,
    관형 하우징(42)에, 추진제 케이지(10)의 가스 유입 개구(12a)와 유체 연통하는 점화기 유닛(20)이 배열되되, 점화기 유닛(20)은 특히 가스 유입 개구(12a)에 삽입되고 바람직하게는 가스 유입 개구(12a)를 폐쇄하는 유입측 파열 격막(24)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플레이터.
  12. 청구항 9 내지 청구항 11 중 어느 하나의 청구항에 있어서,
    하우징(31)이 바이어스된 압축 가스로 충전된 압축 가스 탱크(30)를 형성하고, 추진제 케이지(10)의 칼라(11c)가 바람직하게는 하우징(31)의 원주상 테이퍼(32)에, 특히 밀봉 가능하게 인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플레이터.
  13. 인플레이터 및 고정 유닛을 포함하는 에어백 모듈로, 인플레이터에 의해 팽창 가능하고 그리고 고정 유닛에 의해 차량에 부착될 수 있는 에어백 모듈에 있어서,
    인플레이터가 청구항 9 내지 청구항 12 중 어느 하나의 청구항에 따라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백 모듈.
  14. 특히 사람, 예를 들어 차량 탑승객 또는 보행자를 보호하기 위한 차량 안전 시스템으로, 인플레이터, 에어백 모듈의 일부로 인플레이터에 의해 팽창 가능한 에어백, 및 트리거 상황이 주어질 때 인플레이터가 활성화될 수 있게 하는 전자 제어 유닛을 포함하는 차량 안전 시스템에 있어서,
    인플레이터가 청구항 9 내지 청구항 12 중 어느 하나의 청구항에 따라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안전 시스템.
  15. 인플레이터, 특히, 바람직하게는 청구항 9 내지 청구항 12 중 어느 하나의 청구항에 따른, 관형 파이로테크닉 인플레이터를 작동시키는 방법으로,
    - 점화 챔버(23) 내부에 점화 가스를 발생시키기 위해 점화 유닛(20)을 트리거시키는 단계;
    - 점화 가스를 추진제 케이지(10)에 의해 관형으로 둘러싸인 유동 통로(12b) 내로 축선 방향으로 도입시키는 단계;
    - 점화 가스의 일부를 추진제 케이지(10)의 측방 가스 유동 개구(13)들을 통해 추진제 케이지(10)에 의해 반경 방향 내측으로 획정된 추진제 챔버(17)로 배출하는 단계;
    - 점화 가스의 배출된 부분에 의해 추진제 챔버(14) 내에 있는 추진제 바디들, 특히 추진제 펠릿들을 점화시키고, 이에 의해 추진제 가스가 발생되는 단계; 및
    - 추진제 챔버(17)의 추진제 가스가 추진제 케이지(10)의 전방 가스 개구(14)들을 통과하게 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6. 인플레이터, 특히, 바람직하게는 청구항 9 내지 청구항 12 중 어느 하나의 청구항에 따른, 관형 파이로테크닉 인플레이터 내에서 충격파를 안내하는 방법으로,
    - 점화 챔버(23) 내부에 과도한 압력을 발생시키기 위해 점화 유닛(20)을 트리거하는 단계;
    - 과도한 압력을 이용하여 파열 격막이 추진제 케이지(10)의 관형 베이스(11)의 가스 유입 개구(12a)의 영역에 배치된 유입측 파열 격막(24)을 파열시키는 것에 의해 충격파를 생성하는 단계;
    - 베이스(11)를 따라 충격파를 안내하는 단계; 및
    - 베이스(11)의 깔때기 형상으로 확대되는 깔때기 형상 부분(11b)을 따라 충격파를 반경 방향으로 확대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KR1020190057983A 2018-05-18 2019-05-17 팽창기용 추진제 케이지, 이러한 추진제 케이지를 포함하는 팽창기, 작동 방법 및 팽창기의 충격파를 안내하는 방법 KR20190132277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2018112010.9A DE102018112010A1 (de) 2018-05-18 2018-05-18 Treibstoffkäfig für einen gasgenerator, gasgenerator mit einem solchen treibstoffkäfig, betriebsverfahren und verfahren zum führen einer schockwelle eines gasgenerators
DE102018112010.9 2018-05-18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32277A true KR20190132277A (ko) 2019-11-27

Family

ID=684192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57983A KR20190132277A (ko) 2018-05-18 2019-05-17 팽창기용 추진제 케이지, 이러한 추진제 케이지를 포함하는 팽창기, 작동 방법 및 팽창기의 충격파를 안내하는 방법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11077820B2 (ko)
JP (1) JP7420483B2 (ko)
KR (1) KR20190132277A (ko)
CN (1) CN110497876B (ko)
DE (1) DE10201811201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16123312A1 (de) * 2016-12-02 2018-06-07 Trw Airbag Systems Gmbh Gasgenerator, gassackmodul und fahrzeugsicherheitssystem
DE102017100857A1 (de) * 2017-01-18 2018-07-19 Trw Airbag Systems Gmbh Hybridgasgenerator, Verfahren zum Betreiben eines Hybridgasgenerators, Gassackmodul und Fahrzeugsicherheitssystem
DE102018112011A1 (de) * 2018-05-18 2019-11-21 Trw Airbag Systems Gmbh Treibstoffkäfig für einen rohrgasgenerator, füllkörperelement für einen rohrgasgenerator, rohrgasgenerator für ein gassackmodul, gassackmodul, fahrzeugsicherheitssystem, verfahren zum betreiben und herstellen eines rohrgasgenerators
DE102018131323A1 (de) * 2018-12-07 2020-06-10 Trw Airbag Systems Gmbh Gasgenerator, Gassackmodul, Fahrzeugsicherheitssystem und Verfahren zum Betreiben eines Gasgenerators
DE102019112290A1 (de) * 2019-05-10 2020-11-12 Trw Automotive Gmbh Gassack-Entlüftungsvorrichtung und Fahrzeugsitz
US11912231B2 (en) 2020-10-27 2024-02-27 Arc Technology Holding Limited Inflator with open center generant holder
CN114604196B (zh) * 2022-03-23 2024-02-09 宁波保税区艾尔希汽车有限公司 用于气囊的气体发生器

Family Cites Families (3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584506A (en) * 1995-12-18 1996-12-17 Trw Inc. Filter assembly for an air bag inflator
DE29804004U1 (de) * 1998-03-06 1998-07-02 Trw Repa Gmbh Verbindungsleitung für ein Gassack-Insassenschutzsystem
JP2001151071A (ja) * 1999-11-29 2001-06-05 Daicel Chem Ind Ltd エアバッグ用ガス発生器及びエアバッグ装置
GB2361217B (en) * 2000-04-14 2003-05-21 Autoliv Dev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a gas duct
JP4587558B2 (ja) * 2000-11-22 2010-11-24 ダイセル化学工業株式会社 ハイブリッドインフレータ
DE20107130U1 (de) * 2001-04-25 2001-06-21 Trw Airbag Sys Gmbh & Co Kg Gassackmodul
JP2002321587A (ja) * 2001-04-27 2002-11-05 Toyota Motor Corp 頭部保護エアバッグ装置
JP4701557B2 (ja) * 2001-08-03 2011-06-15 タカタ株式会社 インフレータ及び乗員頭部保護装置
US6860510B2 (en) * 2001-08-21 2005-03-01 Daicel Chemical Industries, Ltd. Multistage inflating-type hybrid inflator
US7134689B2 (en) * 2001-11-30 2006-11-14 Daicel Chemical Industries, Ltd. Inflator
DE20300500U1 (de) * 2003-01-13 2003-06-18 Trw Repa Gmbh Gasgenerator und Gassackmodul
DE10342975B4 (de) * 2003-09-17 2013-02-21 Trw Airbag Systems Gmbh Gasgenerator
JP4280161B2 (ja) * 2003-12-22 2009-06-17 ダイセル化学工業株式会社 エアバッグ用ガス発生器
US7404574B2 (en) * 2003-12-22 2008-07-29 Daicel Chemical Industries, Ltd. Gas generator for airbag
US20060249938A1 (en) * 2005-04-15 2006-11-09 Daicel Chemical Industries, Ltd. Gas generator for air bag
JP4576282B2 (ja) * 2005-04-15 2010-11-04 ダイセル化学工業株式会社 エアバッグ用ガス発生器
FR2890022B1 (fr) * 2005-09-01 2007-10-12 Livbag Soc Par Actions Simplif Generateur pyrotechnique de gaz renfermant des moyens de stockage temporaire d'une partie des gaz
US7341276B2 (en) * 2005-10-03 2008-03-11 Key Safety Systems, Inc. Airbag module with external venting
DE102006041611A1 (de) * 2006-09-05 2008-03-06 Trw Automotive Gmbh Gasgenerator und Gassackmodul
EP2146875B1 (en) * 2007-05-08 2011-01-26 Autoliv Asp, Inc. Axial flow inflator device for inflatable restraint installations
JP4955834B2 (ja) * 2009-05-11 2012-06-20 タカタ・ペトリ アーゲー 車両乗員拘束システムのガスバッグ膨張用ガスジェネレータ
US8047569B2 (en) * 2010-03-12 2011-11-01 Autoliv Asp, Inc. Multi-stage inflator
FR2959006A1 (fr) * 2010-04-20 2011-10-21 Livbag Generateur de gaz a deux chargements pyrotechniques
DE102011115516B4 (de) * 2011-10-11 2023-02-23 Zf Airbag Germany Gmbh Gasgenerator mit Kühlflüssigkeitsbehälter und Schneideinrichtung
CN203391727U (zh) * 2013-07-10 2014-01-15 百利得(湖州)汽车安全系统有限公司 一种侧气囊用气体发生器
EP3046812B1 (en) * 2013-09-19 2018-05-02 Key Safety Systems, Inc. Inflator with flow wash strainer
JP6261458B2 (ja) * 2014-06-23 2018-01-17 株式会社ダイセル ガス発生器
DE102014018603A1 (de) * 2014-12-17 2016-06-23 Trw Airbag Systems Gmbh Gasgenerator, Gassackmodul und Fahrzeugsicherheitssystem
JP6494105B2 (ja) * 2015-08-06 2019-04-03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インフレータ及びエアバッグ装置
JP6543560B2 (ja) * 2015-11-26 2019-07-10 株式会社ダイセル ガス発生器
DE202016001333U1 (de) * 2016-02-12 2017-05-17 Trw Airbag Systems Gmbh Hybridgasgenerator, Gassackmodul und Fahrzeugsicherheitssystem
DE102017108798A1 (de) * 2017-04-25 2018-10-25 Trw Airbag Systems Gmbh Gasgenerator, gassackmodul, fahrzeugsicherheitssystem, und verfahren zum reinigen eines pyrotechnisch erzeugten gase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0497876A (zh) 2019-11-26
JP7420483B2 (ja) 2024-01-23
DE102018112010A1 (de) 2019-11-21
US20190351864A1 (en) 2019-11-21
JP2019214358A (ja) 2019-12-19
CN110497876B (zh) 2024-02-20
US11077820B2 (en) 2021-08-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90132277A (ko) 팽창기용 추진제 케이지, 이러한 추진제 케이지를 포함하는 팽창기, 작동 방법 및 팽창기의 충격파를 안내하는 방법
EP2349794B2 (en) Gas generator for inflating a gas bag of a vehicle occupant restraint system and method of inflating a gas bag
KR100589993B1 (ko) 팽창기
KR920007843B1 (ko) 승객보호 에어백용 자동 가스발생기
KR100748007B1 (ko) 천공 필러와 두 튜브 몸체를 갖는 하이브리드 가스 발생기
US6237950B1 (en) Staged air bag inflator
US7527289B2 (en) Gas generator for an air bag
US7712778B2 (en) Dual stage cylindrical inflator with outside to inside axial flow
US8087693B2 (en) Gas generator
JPH06191372A (ja) インフレータ
KR100351224B1 (ko) 하이브리드 가스 발생기
US20020001785A1 (en) Gas generating apparatus
EP2621764B1 (en) Gas generator
JP7365788B2 (ja) 管状インフレータのための推進剤ケージ、管状インフレータのためのパッキン要素、エアバッグモジュールのための管状インフレータ、エアバッグモジュール、自動車安全システム、管状インフレータの動作および製造方法
JP2007015675A (ja) エアバッグ用ガス発生器
KR20190021249A (ko) 가스 발생기
EP0616927B1 (en) Inflator assembly
EP1568548A1 (en) Gas generator for an air bag
EP1375265B1 (en) Gas generating apparatus for air bag apparatus
CA2118476C (en) Inflator assembl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