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60307A - 애완동물용 한방약초 음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애완동물용 한방약초 음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60307A
KR20170060307A KR1020150164565A KR20150164565A KR20170060307A KR 20170060307 A KR20170060307 A KR 20170060307A KR 1020150164565 A KR1020150164565 A KR 1020150164565A KR 20150164565 A KR20150164565 A KR 20150164565A KR 20170060307 A KR20170060307 A KR 2017006030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gypsum
herbal
hot water
material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645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856297B1 (ko
Inventor
이진필
Original Assignee
이진필
손중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진필, 손중현 filed Critical 이진필
Priority to KR102015016456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56297B1/ko
Publication of KR2017006030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6030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5629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5629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KFODDER
    • A23K10/00Animal feeding-stuffs
    • A23K10/30Animal feeding-stuffs from material of plant origin, e.g. roots, seeds or hay; from material of fungal origin, e.g. mushroom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KFODDER
    • A23K50/00Feeding-stuff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nimals
    • A23K50/40Feeding-stuff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nimals for carnivorous animals, e.g. cats or dog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00Non-alcoholic beverages; Dry compositions or concentrates therefor; Their preparation
    • A23L2/02Non-alcoholic beverages; Dry compositions or concentrates therefor; Their preparation containing fruit or vegetable juices
    • A23L2/04Extraction of juic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05Plant extracts, their artificial duplicates or their derivativ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300/00Processes
    • A23V2300/14Extraction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300/00Processes
    • A23V2300/24Heat, thermal treatment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300/00Processes
    • A23V2300/38Multiple-step

Abstract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애완동물용 한방약초 음료 제조방법은, 각각 재료로 선별된 길경, 복령, 가시오가피, 갈근, 구기자, 하수오, 황기, 청미래덩굴, 감초의 이물질을 제거하고 세척한 후 건조하는 단계; 상기 건조된 상기 각 재료를 길이가 10cm 이하가 되도록 각각 절단하는 단계; 상기 절단된 상기 각 재료를 물 1800ℓ 내지 2000ℓ가 수용된 열수추출기에 투입하고, 상기 물의 온도를 100℃ 내지 105℃로 가온시켜 2시간 내지 4시간 동안 열수추출하여 상기 재료들로부터 한방약초 열수추출물을 획득하는 단계; 상기 열수추출물을 50mesh 내지 200mesh로 여과하여 한방약초 음료 조성물을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여과된 한방약초 음료 조성물을 멸균 처리된 지정 용기로 포장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애완동물용 한방약초 음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ORIENTAL HERB BEVERAGE COMPOSITION FOR PET AND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애완동물용 한방약초 음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길경, 복령, 가시오가피, 갈근, 구기자, 하수오, 황기, 청미래덩굴, 감초를 재료로 열수추출한 후 여과하여 획득하는 애완동물용 한방약초 음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국내 애완동물 중 개와 고양이 수는 총 556만 마리로 전체 가구수의 17.9%인 359만 가구가 개와 고양이를 기르고 있는데, 이 중 개는 440만 마리, 고양이는 116만 마리이다(애완동물 관련시장 동향과 전망, 농협경제연구소, 2013). 애완동물 관련산업의 시장규모도 매년 괄목할만한 성장을 거듭하여 2012년에는 연간 9,000억원(애완동물시장 제외)에 이르렀고, 향후 2020년에는 약 6조원 안팎의 규모로 확대될 전망이다. 이는 2012년 기준 연간 529억달러(57조원)에 달하는 미국의 애완동물용품시장 규모와 2011년 기준 연간 1조4,033억엔(15조8,991억원)에 이르는 일본의 애완동물관련시장의 규모를 통해서도 쉽게 예상할 수 있다.
애완동물 관련산업이란 사료산업, 용품산업, 수의업, 서비스업 등 애완동물과 관련하여 재화 용역을 제공하는 산업을 말한다. 우리나라는 최근들어 가구당 애완동물용품 및 서비스 지출에 연평균 44,664원을 지출하고 있으며, 애완동물용품의 경우 매년 14.3%의 높은 성장률을 보이고 있다. 애완동물 관련시장은 사료, 관련용품 및 수의진료가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으며, 미용서비스 등과 같은 서비스는 관련용품 시장과 수의진료 시장에 포함된 형태로 나타나고 있다.
이와 같은 시장구조에서 특이할 만한 사항은 애견 음식 관련하여 간식을 포함하는 사료시장이 존재할 뿐 음료시장은 형성되어 있지 않다. 실제로 국내 양대 애완동물 박람회라 할 수 있는 K-PET((사)펫사료협회 주최)과 KOPET(더페어스 주최)에서조차 애완동물 음료 업체는 찾아보기 힘든 실정이다.
애완동물 또한 사람과 마찬가지로 깨끗한 물과 함께 건강을 담보할 수 있기 때문에 소비자들도 이에 대한 관심이 남다르며 일부 업체에서 애완동물 전용 정수기를 선보이기도 하였다. 그러나 정수기 사용 또한 미네랄을 제거한다는 측면에서 소비자의 의혹을 불러일으켜 애완동물을 위한 적당한 음용수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가정에서는 보리차, 결명자차 등과 같은 나름대로 건강에 도움이 될 수 있는 차 재료를 선정하여 끓임으로써 수돗물을 대신하고 있다. 이에 애완동물이 걸릴 수 있는 질병의 예방과 완화에 도움이 될 수 있는 다양한 한방약초를 선별하여, 애완동물이 기호성을 갖고 음용할 수 있는 애완동물 한방 전용차(全用茶) 음료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을 개선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길경, 복령, 가시오가피, 갈근, 구기자, 하수오, 황기, 청미래덩굴, 감초를 재료로 열수추출한 후 여과하여 획득하는 애완동물용 한방약초 음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의 목적을 이루고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애완동물용 한방약초 음료 제조방법은, 각각 재료로 선별된 길경, 복령, 가시오가피, 갈근, 구기자, 하수오, 황기, 청미래덩굴, 감초의 이물질을 제거하고 세척한 후 건조하는 단계; 상기 건조된 상기 각 재료를 길이가 10cm 이하가 되도록 각각 절단하는 단계; 상기 절단된 상기 각 재료를 물 1800ℓ 내지 2000ℓ가 수용된 열수추출기에 투입하고, 상기 물의 온도를 100℃ 내지 105℃로 가온시켜 2시간 내지 4시간 동안 열수추출하여 상기 재료들로부터 한방약초 열수추출물을 획득하는 단계; 상기 열수추출물을 50mesh 내지 200mesh로 여과하여 한방약초 음료 조성물을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여과된 한방약초 음료 조성물을 멸균 처리된 지정 용기로 포장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열수추출기에 투입되는 상기 각 재료의 양은 상기 길경 0.5kg 내지 7.5kg, 상기 복령 0.5kg 내지 7.5kg, 상기 가시오가피 0.5kg 내지 5.0kg, 상기 갈근 0.5kg 내지 5.0kg, 상기 구기자 0.5kg 내지 5.0kg, 상기 하수오 0.5kg 내지 5.0kg, 상기 황기 0.5kg 내지 7.5kg, 상기 청미래덩굴 0.5kg 내지 5.0kg, 상기 감초 0.5kg 내지 10.0kg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열수추출기에 투입되는 상기 각 재료는 상기 길경 7 내지 11 중량%, 상기 복령 4 내지 8 중량%, 상기 가시오가피 13 내지 17 중량%, 상기 갈근 13 내지 17 중량%, 상기 구기자 7 내지 11 중량%, 상기 하수오 7 내지 11 중량%, 상기 황기 7 내지 11 중량%, 상기 청미래덩굴 13 내지 17 중량%, 상기 감초 13 내지 17 중량%의 비율로 투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열수추출기에 투입되는 상기 각 재료의 양은 상기 길경 3.0kg, 상기 복령 2.0kg, 상기 가시오가피 5.0kg, 상기 갈근 5.0kg, 상기 구기자 3.0kg, 상기 하수오 3.0kg, 상기 황기 3.0kg, 상기 청미래덩굴 5.0kg, 상기 감초 5.0kg 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애완동물 한방약초 음료 조성물은 상기 길경 0.5kg 내지 7.5kg, 상기 복령 0.5kg 내지 7.5kg, 상기 가시오가피 0.5kg 내지 5.0kg, 상기 갈근 0.5kg 내지 5.0kg, 상기 구기자 0.5kg 내지 5.0kg, 상기 하수오 0.5kg 내지 5.0kg, 상기 황기 0.5kg 내지 7.5kg, 상기 청미래덩굴 0.5kg 내지 5.0kg, 상기 감초 0.5kg 내지 10.0kg를 100℃ 내지 105℃의 물에서 2시간 내지 4시간 동안 열수추출한 후, 상기 열수추출물을 50mesh 내지 200mesh로 여과하여 획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애완동물 한방약초 음료 조성물은 상기 길경 7 내지 11 중량%, 상기 복령 4 내지 8 중량%, 상기 가시오가피 13 내지 17 중량%, 상기 갈근 13 내지 17 중량%, 상기 구기자 7 내지 11 중량%, 상기 하수오 7 내지 11 중량%, 상기 황기 7 내지 11 중량%, 상기 청미래덩굴 13 내지 17 중량%, 상기 감초 13 내지 17 중량%의 비율로 투입된 상기 각 재료들을 100℃ 내지 105℃의 물에서 2시간 내지 4시간 동안 열수추출한 후, 상기 열수추출물을 50mesh 내지 200mesh로 여과하여 획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애완동물용 한방약초 음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에 따르면, 수돗물을 애완동물 음용수로 사용하는 소비자가 갖는 각종 불신을 불식시키고, 각 가정에서 가족의 건강을 위해 다양한 한방약초로 차를 끓여 물처럼 간편하게 음용 하듯이, 애완동물이 물처럼 매일 음용함으로써 애완동물의 면역력을 증가시키고 애완동물에게서 빈번하게 발생할 수 있는 각종 질병에 대한 예방효과를 볼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애완동물용 한방약초 음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에 따르면, 기존에 판매되고 있는 고가의 애완동물 음료를 대체함으로써 애완동물 보호자의 경제적 부담을 해소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애완동물용 한방약초 음료 제조방법의 흐름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애완동물용 한방약초 음료 제조방법에 따라 제조된 애완동물용 한방약초 음료를 실제 애완동물에게 섭취 제공하고 그에 따른 애완동물의 섭취 제공량 정보를 측정한 분석결과를 도시한 그래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애완동물용 한방약초 음료 조성물은 길경(도라지), 복령, 가시오가피, 갈근, 구기자, 하수오, 황기, 청미래덩굴, 감초를 재료로 한다. 상기 애완동물용 한방약초 음료 조성물은 상기 재료 모두를 포함하여 제조될 수도 있고, 상기 재료들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재료만을 포함하여 제조될 수도 있다. 상기 각 재료의 포함여부는 맛이나 효능을 고려한 제조자의 선택에 따라 다양한 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애완동물용 한방약초 음료 조성물에 포함되는 길경(도라지)는 식용과 약용에 모두 쓰인다. 도라지 뿌리는 당질, 칼슘, 철분이 많아 날것으로 먹거나 나물로 만들어 먹고, 사포닌이 함유되어 있어 약재로도 쓰인다. 한방에서는 뿌리를 캐서 껍질을 벗기거나 그대로 햇볕에 말린 것을 길경(桔梗)이라고 하는데, 인후통, 치통, 설사, 편도선염, 거담, 진해, 기관지염 등에 쓴다고 알려져 있다. 도라지의 성미는 쓰고(苦), 매우며(莘), 무독(無毒)하고, 주로 작용하는 장기는 폐, 위장이다. 효능은 폐를 도와 담을 없애고 농을 배출시키며 기(氣) 순환을 도와주는 기능을 갖고 있다. 도라지는 거담작용이 신속하고 혈당 강하, 간장내의 콜레스테롤 강하 등의 약리보고가 있고, 임상 보고로는 항염증 작용, 면역기능향상, 항궤양작용, 진정, 진통작용, 해열작용, 혈당강하작용, 항암작용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도라지 뿌리에는 약2%의 사포닌이 함유되어 있는데 이 사포닌은 겉껍질을 벗기지 않는 것, 재배한 것보다는 야생의 도라지에 더 많은 것으로 보고된다.
본 발명의 애완동물용 한방약초 음료 조성물에 포함되는 복령은 구멍장이 버섯과에 속하는 복령균을 말린 것으로 죽은지 3년 이상된 소나무나 산잣나무의 뿌리에 버섯균이 들어가 자라면서 생긴 것인데 한약재로 많이 사용되고 있으며, 색이 하얀 것을 백복령, 붉은색인 것을 적복령이라 부른다. 성질은 평하고 맛은 달고 담백하며, 독이 없어 임산부가 먹어도 아무런 탈이 없을 정도로 매우 안전한 약재 중 하나이다. 마른 복령 속에는 다당류인 베타 파키만(β-pachyman)이 무게의 약 93%나 들어 있고, 트리테르펜스(triterpenes)류 화합물인 pachymic acid, tumulosic acid, 3-β-hydroxylanosta-7,9(11), 24-trien-21-o9l acid가 들어 있다.
또한 칼륨, 마그네슘, 칼슘, 나트륨, 에르고스테롤이 들어 있다. 복령은 마음을 안정시키고 건망증이나 두려움을 줄여 주며, 소변배설을 촉진해서 부종을 줄여주고 설사도 그치게 한다. 또한 소화기능을 정상화시켜서 위를 편안하게 해주기도 하며, 몸 속 당 수치를 조절해주기 때문에 당뇨병예방과 치료에 매우 유용하다. 특히 정신적 긴장으로 인한 신경과민을 해소하면서 깊은 잠을 자도록 도와준다. 복령의 파키만 함량은 최고 75%나 되는데, 파키만은 항암활성이 없지만 파기마란은 흰쥐에 사르코마 180을 이식한 암에 대한 억제율이 96.88%였다고 한다. 복령에는 상당한 항암활성 물질이 들어있는데, 중국에서는 복령이 들어간 한약재를 자궁근육암 환자 100명에게 투여한 결과 46명의 환자에게서 종양이 많이 없어지고, 34명의 환자에게서는 종양이 반 이상 줄어들었다는 보고도 있듯이 항암 효과도 있다.
본 발명의 애완동물용 한방약초 음료 조성물에 포함되는 오가피는 가시오갈피 나무라고 불리고 나무 전체에 가늘고 긴 가시가 나 있고 잎자루 밑부분에도 많은 가시가 있으며 두릅나무과에 속하는 식물로 껍질과 뿌리, 줄기, 잎, 열매 꽃 모두 약용으로 사용하고 있다. 허준의 동의보감에 의하면 맛이 맵고 쓰며 따뜻한 성질의 오가피는 간경(刊經), 신경(神經)에 작용하고 풍습을 없애고 기를 돋우며 정수를 불러준다. 힘줄과 뼈를 튼튼하게 하고 의지를 강하게 하여준다고 한다. 또한 이시진의 본초강목에 의하면 장복하면 몸이 가벼워지고 늙는 것을 방지해 주며, 몸 안의 나쁜 피를 맑고 깨끗이 다스려 준다. 종기 부스럼 등의 피부병, 오로(오장이 허약하여 생기는 허로병)와 칠상(남자가 허약해서 생기는 일곱가지 증상)을 보해주며, 풍을 맞아 사지가 뒤틀리고 마비되어 거동이 불편할 때 치료해준다고 적고 있듯이 그 효능의 효과는 크다. 가시오가피를 이용한 동물실험이 다양하게 이뤄지고 있는데, 면역세포가 증가하고 독성 물질의 해독작용에도 뛰어난 효과가 있다는 보고가 있다.
본 발명의 애완동물용 한방약초 음료 조성물에 포함되는 갈근은 우리 몸에 효용성이 있는 약용식물로 칡은 콩과에 속한 다년생 덩굴나무로, 한약재료는 뿌리를 갈근(葛根), 보라색 꽃을 갈화(葛花)라고 한다. 갈근은 2천여년 전 중국 후한시대에 최초로 갈근탕의 재료로 사용되어 왔으며 맛은 맵고 달며, 성질은 서늘하다. 동의보감에는 “생 칡뿌리를 ‘갈생근’이라 하는데 어혈을 헤치며 헌데를 아물게 하고 유산을 시키며 술독으로 열이 나거나 황달이 생겨 소변이 붉고 잘 나가지 않는 것을 낫게 한다. 씨는 ‘갈곡(葛穀)’이라 하는데, 10년 이상 된 설사를 멎게 합니다. 잎은 ‘갈엽(葛葉)’라 하는데 쇠붙이에 상한 것을 낫게 하며 피를 멎게 합니다.
꽃은 ‘갈화(葛花)’라 하여 술독을 없앤다. 가루는 ‘갈분(葛粉)’이라 하는데 성질은 몹시 차고 맛은 달며 독이 없다고 한다. 번갈을 멎게 하고 대소변을 잘 나가게 한다. 어린이가 열이 나면서 명치 밑이 답답한데 쓴다”라고 하여 칡의 부위에 따른 효능을 자세히 기록하고 있다. 칡은 70% 정도의 수분과 탄수화물, 단백질, 철분, 인 및 식물성 에스트로겐이 풍부한 알칼리성 식품으로 항산화 및 항암효과가 있으며 독성분의 인체 흡수를 막고 노폐물을 배출시키며 콜레스테롤의 분해를 촉진한다. 또한 칡은 열을 발산하여 해열시키며, 목과 어깨근육의 긴장을 이완시켜 주는 작용이 있어 초기 감기증상에 활용빈도가 높다. 또 홍역 초기에 고열이 나고, 호흡기와 결막에 염증이 생긴 증상을 치유하는 효능이 있으며, 비위가 허약하여 발생하는 설사와 이질을 치료한다. 최근에는 약리학적으로 혈관확장 작용이 있어 고혈압과 협심증, 두통에도 사용되고 있다.
본 발명의 애완동물용 한방약초 음료 조성물에 포함되는 구기자는 아주 오랜 옛날부터 약용 및 식용으로 많이 사용했으며, 그 약성은 평범하고 독이 없어 장복하여도 부작용이 없으며 근육과 뼈의 발달을 튼튼히 하고 정력을 증진시켜주며 정신적, 육체적 피로회복은 물론 위장, 간장, 심장, 신장병 등에 치료 효과가 있으며 눈을 밝게 한다. 또한 구기자를 오래 복용하면 몸이 가벼워지고 기력이 왕성해지며, 다리, 허리 등의 힘이 강해지고 세포의 노화를 억제하는 효과가 있다. 최근의 약학적 성분 연구로 밝혀진 것만 보더라도 구기자에는 혈관강화제인 루틴을 비롯하여 비타민 C, 필수 아미노산, 미네랄 등 인체에 이로운 성분이 많이 함유되어 있음이 밝혀졌으며, 또한 간장 기능 장애의 예방 효과도 입증되었고, 강장제가 되는 베타인이 들어있는 것으로도 밝혀졌다. 동물을 실험한 결과, 베타인 성분은 생체 내 대사물질의 하나인 친 지질물질로 밝혀졌다. 이것은 또 간장에서 지방의 축적을 억제하고 간세포의 신생을 촉진하며, 혈압을 내려주는 작용도 한다.
본 발명의 애완동물용 한방약초 음료 조성물에 포함되는 하수오(何首烏)의 뜻은 하씨 ‘성’을 가진 사람이 하수오를 먹어서 머리카락이 까마귀처럼 되어 붙여진 이름이라고 한다. 하수오는 성질이 따뜻하고 독이 없으며 맛은 쓰고 떫다. 동의보감에서 하수오의 효능은 기와 혈을 보충해주며, 뼈를 튼튼하게 하고, 머리카락을 검게 해주고 오래 먹으면 늙지 않는다라고 쓰여져 있으며, 인삼, 구기자와 더불어 하수오를 3대 명약으로 꼽고 있다. 또한 가래와 담을 없애고 염증을 삭히고 신장, 간을 보호하며 피를 맑게 하는 효능이 있으며 해독 효능이 있어 심혈관질환, 고혈압, 뇌출혈 등을 예방하는데 도움이 된다. 가장 잘 알려진 효능은 역시 신장을 튼튼하게 해주어 정력을 높이고 머리카락을 검게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애완동물용 한방약초 음료 조성물에 포함되는 황기는 성질이 따뜻하고 독이 없으며 맛은 달다. 오래된 황기는 약효가 좋아서 홍삼보다 비싼데, 보통은 3-5년 근을 약재로 사용한다. 황기는 독을 배출하고 나트륨을 몸 밖으로 배출하여 이뇨작용을 좋게 하며, 땀이 많이 흐르는 것을 멈추게 하는 등 땀 조절 효능이 탁월하다. 또한 비위(비장과 위장) 기능을 좋게 하고 전신의 기운을 북돋워 주어 민간에서 널리 사랑받고 있다. 식욕부진이나 소화불량, 얼굴빛이 창백하고 광택이 없을 때, 변이 묽거나 설사를 할 때, 피로와 권태감을 자주 느낄 때, 식은땀, 기운이 없어 혈액순환이 잘 되지 않아서 발생되는 감각마비, 부종, 피부질환, 소갈증에 황기를 쓰면 효험을 볼 수 있다. 황기는 모든 허약한 증상을 치료하는 약초로 어린 아이나 질병을 앓고 체력을 보강하는데 좋은 약초로 활용되어 왔으며, 최근에는 골다공증과 관절염 개선 효과 등에 관한 연구결과가 보고되기도 했다. 이러한 다양한 활성은 황기가 플라보노이드, 사포닌, 다당체와 같은 다양한 생리활성 화합물들을 다량 함유하고 있기 때문이다.
본 발명의 애완동물용 한방약초 음료 조성물에 포함되는 청미래덩굴은 우리나라 산야에서 흔히 자라는 백합과·덩굴성 떨기 나무로 지역마다 이름이 다르다. 경상도는 명감나무덩굴, 강원도는 참열매덩굴, 전라도는 종가시덩굴 등으로 불리며, 한자로는 토복령(土茯岺) 또는 산귀래(山歸來)라고 쓴다. 청미래덩굴 뿌리에 대해서 북한의 [동의학사전]에는 “맛은 담담하고 성질은 평하다. 위경과 간경에 작용한다. 열을 내리고 습한 것을 없애며 독을 푼다. 뼈마디가 아픈데, 매독, 연주창, 헌데, 악창, 수은 중독 등에 쓴다.”라고 적혀 있다. 전남산림자원연구소에서도 청미래덩굴의 활용가치를 실험하기 위해 중금속이 체내에 축적된 실험용 쥐에 청미래덩굴 뿌리에서 추출한 농도별 추출물질을 투여하고 1~3주 동안 배출정도를 혈장, 심장, 간, 신장, 모발 등 5개 신체기관에서 측정했다.
그 결과 대부분 3주째 배출효과가 뚜렷하게 나타났다는 실험을 통해서도 증명되듯이 청미래덩굴은 수은이나 니켈, 카드뮴 같은 중금속 독을 비롯한 온갖 독을 푸는 작용이 있다. 특히 수은 중독을 해소하는 토종약초로 최고의 명약으로 알려져 있다. 청미래덩굴 뿌리 성분 사포닌이 약4%, 알칼로이드, 페놀류, 아미노산, 유기산, 당질, 정유성분이 들어있고 씨앗에는 조지방10%, 잎은 루틴이 들어있어 고혈압 치료에 좋다. 항암본초(抗癌本草)에 의하면 청미래덩굴은 항암 작용이 상당히 세다라고 기술하고 있으며, 청미래덩굴을 달인물이 암세포를 억제하는 힘이 있다고 하였고, 중국이나 북한에서는 암 치료에 청미래덩굴을 흔히 쓰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본 발명의 애완동물용 한방약초 음료 조성물에 포함되는 감초는 시베리아 동부와 중국 동북부가 원산인 콩과의 다년생 약초로서 뿌리를 건조시켜서 약재로 사용하게 되며 맛이 달기 때문에 감초라 부르게 되었다. “약방 의 감초” 라는 말도 있을 정도로 감초는 우리에게 익숙한 한약재이기도 하지만 한약재의 쓴 맛을 중화시켜주기 때문이다. 그래서 각 한약재에 쓴맛을 중화시켜 애완동물이 더 많은 양의 약초를 이용한 음료를 섭취를 할 수 있도록 감초를 첨가한다. 이는 일반 설탕이나 소르비틀을 쓰는 경우도 있는데, 그에 비해 같은 한약재를 사용함으로 치료 및 관리의 번거로움을 피하고,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화학 약품이나 인공첨가제 등이 배제된 전형적인 자연식 제품으로 애완동물의 건강 증진에 도움을 주어 더욱 건강에 유익하다.
감초는 동의보감에 의하면 “오장육부의 한열(寒熱)을 다스리고 사기(邪氣)를 다스리며 눈, 코, 입, 귀와 대소변의 생리를 정상으로 되게 하고 모든 혈액을 소통시키며, 근육과 뼈를 튼튼하게 하고 영양 상태를 좋게 할 뿐만 아니라 모든 약의 독성을 해독하고 72가지 석약(石藥)과 1200가지의 초약(草藥)을 서로 조화하여 약효를 잘 나타나게 하므로 별명을 국노(國老)라 한다.”고 적혀 있듯이 여러 가지 약효가 많아 한약방에 거의 포함되는 매우 중요한 생약이다. 감초에는 항산화/항염증에 효과가 있는 리퀴리틴(liquiritin) 및 리퀴리티게닌(liquiritigenin)과 같은 플라보노이드 성분을 다량 함유하고 있어 해독작용과 함께 다른 한약재와 섞일 때 서로 조화될 수 있도록 돕고 그 약효를 높이며 중화하는 작용을 하게 된다. 그러므로 한약재에 감초의 첨가는 중요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감초에는 부신피질 호르몬과 비슷한 그리틸리틴 배당체인 구루크론산이 들어 있으며 장을 조절하여 대사를 원활하게 하고 신경을 안정시키는 작용이 있다. 따라서 위궤양, 노이로제에 효과적이고 통증과 경련을 완화시키는 효능도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애완동물용 한방약초 음료 제조방법의 흐름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우선 각각 재료로 선별된 길경, 복령, 가시오가피, 갈근, 구기자, 하수오, 황기, 청미래덩굴, 감초의 이물질을 제거하고 세척한 후 건조한다(단계(110)). 단계(110)에서 상기 재료들 모두가 사용될 수도 있고, 상기 재료들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재료만이 사용될 수도 있다. 이러한 재료의 선택은 맛이나 기호 등을 고려하여 제조자의 선택에 따라 다양하게 실시될 수 있다.
상기 건조된 상기 각 재료를 길이가 적당한 길이가 되도록 예를 들어 10cm 이하가 되도록 각각 절단한다(단계(120)). 상기 크기로 절단된 상기 각 재료를 물 1800ℓ 내지 2000ℓ가 수용된 열수추출기에 투입한다. 상기 열수추출기에 수용된 물의 온도는 100℃ 내지 105℃로 유지한다. 상기 재료의 투입이후 2시간 내지 4시간 동안 상기 물의 온도를 유지하여 열수추출 공정을 수행하여 상기 재료들로부터 한방약초 열수추출물을 획득한다(단계(130)).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단계(130)에서 상기 열수추출기에 투입되는 각 재료의 양은 상기 길경 0.5kg 내지 7.5kg, 상기 복령 0.5kg 내지 7.5kg, 상기 가시오가피 0.5kg 내지 5.0kg, 상기 갈근 0.5kg 내지 5.0kg, 상기 구기자 0.5kg 내지 5.0kg, 상기 하수오 0.5kg 내지 5.0kg, 상기 황기 0.5kg 내지 7.5kg, 상기 청미래덩굴 0.5kg 내지 5.0kg, 상기 감초 0.5kg 내지 10.0kg로 조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단계(130)에서 상기 열수추출기에 투입되는 상기 각 재료는 상기 길경 7 내지 11 중량%, 상기 복령 4 내지 8 중량%, 상기 가시오가피 13 내지 17 중량%, 상기 갈근 13 내지 17 중량%, 상기 구기자 7 내지 11 중량%, 상기 하수오 7 내지 11 중량%, 상기 황기 7 내지 11 중량%, 상기 청미래덩굴 13 내지 17 중량%, 상기 감초 13 내지 17 중량%의 비율로 투입될 수 있다. 특히, 상기 열수추출기에 투입되는 상기 각 재료의 양은 상기 길경 3.0kg, 상기 복령 2.0kg, 상기 가시오가피 5.0kg, 상기 갈근 5.0kg, 상기 구기자 3.0kg, 상기 하수오 3.0kg, 상기 황기 3.0kg, 상기 청미래덩굴 5.0kg, 상기 감초 5.0kg로 조합될 수 있다.
단계(130)에서 획득한 상기 열수추출물을 50mesh 내지 200mesh로 구성된 여과지(filter) 또는 체(net)로 여과한다. 이러한 여과공정을 통해 상기 열수추출물로부터 한방약초 음료 조성물을 획득한다(단계(140)). 상기 획득한 한방약초 음료 조성물을 멸균 처리된 지정 용기로 포장하여 애완동물용 한방약초 음료를 제조할 수 있다(단계(150)).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애완동물용 한방약초 음료 제조방법에 따라 제조된 애완동물용 한방약초 음료를 실제 애완동물에게 섭취 제공하고 그에 따른 애완동물의 생체정보를 측정하고 예후에 대한 애완동물 보호자의 소견을 조사한 실시예를 설명한다.
상술한 애완동물용 한방약초 음료 제조방법에 따라 제조된 애완동물 한방 전용차(全用茶) 음료의 기호성을 조사하기 위하여 다양한 종류와 체중(1.4kg~41kg), 연령층(1세~13세)의 애완동물 15마리에게 20일 동안 급여를 실시하였다. 매일 개봉하지 않은 새로운 파우치를 개봉하여 급여하였고, 애완동물의 몸무게 및 기호에 따라 급여량을 조절하였다. 애완동물 한방 전용차 (全用茶) 음료의 섭취량 측정은 당일 먹지 않고 그릇에 남아있는 음료의 잔량을 측정하여 산정하였다.
이러한 측정에 따라 기호성을 확인한 결과, 애완동물 15마리중 12마리는 체중대비 섭취량을 분석한 결과 체중 1kg당 20mL 이상으로 산정되어 기호성이 양호한 것으로 분석되고, 3마리는 체중대비 섭취량을 분석한 결과 체중 1kg당 20mL 이하로 산정되어 기호성이 미흡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상기 기호성 측정결과는 아래의 표 1과 같고, 그에 따른 분석결과는 도 2와 같이 도식화되었다.
반려견
구분
체중
(kg)
연령
(세)
견종
성별
섭취량(mL) 섭취량/체중
(mL/kg)
기호성평가
평균 최소 최대
A 1.4 3 요크셔테리어 암컷 162 155 170 116 양호
B 1.5 4 말티즈 암컷 177 120 320 118 양호
C 3.0 2 비숑프리제 암컷 106 50 160 35 양호
D 3.2 4 말티즈 수컷 179 130 310 56 양호
E 3.2 13 포메라니언 암컷 42 30 60 13 미흡
F 3.4 1 말티즈 암컷 111 60 180 33 양호
G 3.5 1 말티즈 암컷 197 100 310 56 양호
H 3.8 4 포메라니언 수컷 221 90 310 58 양호
I 4.4 4 포메라니언 암컷 49 10 100 11 미흡
J 4.8 1 시추 암컷 106 70 130 22 양호
K 5.2 1 포메라니언 암컷 116 80 200 22 양호
L 5.3 5 푸들믹스 암컷 88 20 115 17 미흡
M 5.8 1 슈나우져 수컷 571 180 1,025 98 양호
N 7.9 3 셔틀랜드쉽독 암컷 215 90 360 27 양호
O 41.0 2 골든리트리버 수컷 880 360 1,220 21 양호
또한, 상기 실시예에서 기호성 확인을 위하여, 애완동물 한방 전용차(全用茶) 음료를 애완동물에게 급여한 후 나타난 변화에 대해 애완동물 보호자들이 관찰일지를 작성하였고, 그 작성결과에 따른 보호자들의 소견은 아래의 표 2와 같다. 애완동물 보호자들의 공통적인 의견으로 배변냄새의 감소, 활동량 증가, 털 윤기 증가를 제시하였고, 일부 질병이 있는 애완동물은 귀염증 및 피부질환의 감소의 의견도 제시하였음을 확인할 수 있다.
반려견 구분 체중
(kg)
연령
(세)
견종 애완동물 보호자의 소견
A 1.4 3 요크셔테리어 활동량 증가, 배변냄새 감소
B 1.5 4 말티즈 귀염증 감소, 배변냄새 감소, 구강냄새 감소
C 3.0 2 비숑프리제 배변냄새 감소
D 3.2 4 말티즈 배변냄새 감소, 귀염증 감소, 털 윤기 증가
E 3.2 13 포메라니언 털 윤기 증가
F 3.4 1 말티즈 배변량 증가, 활동량 증가, 배변냄새 감소
G 3.5 1 말티즈 털 윤기 증가, 배변냄새 감소
H 3.8 4 포메라니언 배변냄새 감소, 구강냄새 감소, 귀염증 감소
I 4.4 4 포메라니언 털 색깔이 진해짐, 피부병 완화
J 4.8 1 시추 활동량 증가, 배변냄새 감소
K 5.2 1 포메라니언 배변냄새 감소
L 5.3 5 푸들 배변냄새 감소
M 5.8 1 슈나우져 배변냄새 감소, 털 윤기 증가, 활동량 증가
N 7.9 3 셔틀랜드쉽독 배변냄새 감소, 활동량 증가
O 41.0 2 골든리트리버 배변냄새 감소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210: 세척 및 건조 단계
220: 세절 단계
230: 열수추출 단계
240: 여과 단계
250: 포장 단계

Claims (6)

  1. 각각 재료로 선별된 길경, 복령, 가시오가피, 갈근, 구기자, 하수오, 황기, 청미래덩굴, 감초의 이물질을 제거하고 세척한 후 건조하는 단계;
    상기 건조된 상기 각 재료를 길이가 10cm 이하가 되도록 각각 절단하는 단계
    상기 절단된 상기 각 재료를 물 1800ℓ 내지 2000ℓ가 수용된 열수추출기에 투입하고, 상기 물의 온도를 100℃ 내지 105℃로 가온시켜 2시간 내지 4시간 동안 열수추출하여 상기 재료들로부터 한방약초 열수추출물을 획득하는 단계;
    상기 열수추출물을 50mesh 내지 200mesh로 여과하여 한방약초 음료 조성물을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여과된 한방약초 음료 조성물을 멸균 처리된 지정 용기로 포장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애완동물용 한방약초 음료 제조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열수추출기에 투입되는 상기 각 재료의 양은 상기 길경 0.5kg 내지 7.5kg, 상기 복령 0.5kg 내지 7.5kg, 상기 가시오가피 0.5kg 내지 5.0kg, 상기 갈근 0.5kg 내지 5.0kg, 상기 구기자 0.5kg 내지 5.0kg, 상기 하수오 0.5kg 내지 5.0kg, 상기 황기 0.5kg 내지 7.5kg, 상기 청미래덩굴 0.5kg 내지 5.0kg, 상기 감초 0.5kg 내지 10.0kg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애완동물용 한방약초 음료 제조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열수추출기에 투입되는 상기 각 재료는 상기 길경 7 내지 11 중량%, 상기 복령 4 내지 8 중량%, 상기 가시오가피 13 내지 17 중량%, 상기 갈근 13 내지 17 중량%, 상기 구기자 7 내지 11 중량%, 상기 하수오 7 내지 11 중량%, 상기 황기 7 내지 11 중량%, 상기 청미래덩굴 13 내지 17 중량%, 상기 감초 13 내지 17 중량%의 비율로 투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애완동물용 한방약초 음료 제조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열수추출기에 투입되는 상기 각 재료의 양은 상기 길경 3.0kg, 상기 복령 2.0kg, 상기 가시오가피 5.0kg, 상기 갈근 5.0kg, 상기 구기자 3.0kg, 상기 하수오 3.0kg, 상기 황기 3.0kg, 상기 청미래덩굴 5.0kg, 상기 감초 5.0kg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애완동물용 한방약초 음료 제조방법.
  5. 상기 제2항의 제조방법에 따라 상기 길경 0.5kg 내지 7.5kg, 상기 복령 0.5kg 내지 7.5kg, 상기 가시오가피 0.5kg 내지 5.0kg, 상기 갈근 0.5kg 내지 5.0kg, 상기 구기자 0.5kg 내지 5.0kg, 상기 하수오 0.5kg 내지 5.0kg, 상기 황기 0.5kg 내지 7.5kg, 상기 청미래덩굴 0.5kg 내지 5.0kg, 상기 감초 0.5kg 내지 10.0kg를 100℃ 내지 105℃의 물에서 2시간 내지 4시간 동안 열수추출한 후, 상기 열수추출물을 50mesh 내지 200mesh로 여과하여 획득하는 애완동물 한방약초 음료 조성물.
  6. 상기 제3항의 제조방법에 따라 상기 길경 7 내지 11 중량%, 상기 복령 4 내지 8 중량%, 상기 가시오가피 13 내지 17 중량%, 상기 갈근 13 내지 17 중량%, 상기 구기자 7 내지 11 중량%, 상기 하수오 7 내지 11 중량%, 상기 황기 7 내지 11 중량%, 상기 청미래덩굴 13 내지 17 중량%, 상기 감초 13 내지 17 중량%의 비율로 투입된 상기 각 재료들을 100℃ 내지 105℃의 물에서 2시간 내지 4시간 동안 열수추출한 후, 상기 열수추출물을 50mesh 내지 200mesh로 여과하여 획득하는 애완동물 한방약초 음료 조성물.
KR1020150164565A 2015-11-24 2015-11-24 애완동물용 한방약초 음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185629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64565A KR101856297B1 (ko) 2015-11-24 2015-11-24 애완동물용 한방약초 음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64565A KR101856297B1 (ko) 2015-11-24 2015-11-24 애완동물용 한방약초 음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60307A true KR20170060307A (ko) 2017-06-01
KR101856297B1 KR101856297B1 (ko) 2018-05-09

Family

ID=592220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64565A KR101856297B1 (ko) 2015-11-24 2015-11-24 애완동물용 한방약초 음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56297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16735A (ko) * 2019-04-02 2020-10-13 김택 한방약재를 이용한 고양이 간식 및 이의 제조방법
KR20200139282A (ko) * 2019-06-03 2020-12-14 노현준 녹용, 당귀, 산수유, 침향, 배청을 주 원료로 하는 면역력 및 활력 증진을 위한 한방 영양제 및 그 제조방법
KR102241429B1 (ko) * 2020-07-21 2021-04-16 전성원 인삼 및 두릅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사료첨가제
KR102254820B1 (ko) 2021-01-15 2021-05-24 주식회사 펫21 한방약재를 포함하는 동물사료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289449B1 (ko) 2021-02-09 2021-08-11 윤구 고양이 방광염 개선용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10360A (ko) 2021-01-29 2022-08-08 주식회사 제주펫 조릿대 추출물을 포함하는 반려동물용 식품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20230099280A (ko) 2021-12-27 2023-07-04 농업회사법인 유한회사 나우리 반려동물의 면역력 강화 및 염증 개선에 도움이 되는 영양간식 제조방법
KR20240040503A (ko) 2022-09-21 2024-03-28 농업회사법인 유한회사 나우리 반려동물 감염질환 예방을 위한 한약재가 첨가된 면역 강화 영양간식 개껌 제조방법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16735A (ko) * 2019-04-02 2020-10-13 김택 한방약재를 이용한 고양이 간식 및 이의 제조방법
KR20200139282A (ko) * 2019-06-03 2020-12-14 노현준 녹용, 당귀, 산수유, 침향, 배청을 주 원료로 하는 면역력 및 활력 증진을 위한 한방 영양제 및 그 제조방법
KR102241429B1 (ko) * 2020-07-21 2021-04-16 전성원 인삼 및 두릅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사료첨가제
KR102254820B1 (ko) 2021-01-15 2021-05-24 주식회사 펫21 한방약재를 포함하는 동물사료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289449B1 (ko) 2021-02-09 2021-08-11 윤구 고양이 방광염 개선용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56297B1 (ko) 2018-05-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56297B1 (ko) 애완동물용 한방약초 음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1090284B1 (ko) 홍삼과 녹용 추출물을 포함하는 드링크제 및 그의 제조방법
CN102934745B (zh) 鲤鱼、鲫鱼中草药诱食剂及其制备方法
KR20150040392A (ko) 스테비아 음료원액제조방법
KR100703897B1 (ko) 약초 성분을 주원료로 한 음료 및 그 제조방법
KR20090032158A (ko) 가압전이(加壓轉移)에 의한 과일 침출 및 액상 차 조성물과 그 제조방법
KR20090098024A (ko) 약주의 제조방법
KR20100082689A (ko) 월드 인삼 조성물과 그 제조방법
CN106259098A (zh) 一种龙虾的养殖方法
CN106234822A (zh) 蛋鸡产蛋期饲料及加工方法
CN105767994A (zh) 一种抗衰老大樱桃果酱
CN104352542A (zh) 一种海参雪莲的组合物制剂及其制备方法
CN104824451B (zh) 一种促进非洲雏鸵鸟生长的中草药添加剂及应用
KR20100077781A (ko) 발기부전에 효과적인 기능성 분말의 제조 방법, 이에 의한 기능성 분말을 포함하는 기능성 보조식품
CN103330137A (zh) 全营养元素天然绿色食品米果
CN105768053A (zh) 一种榄角辣椒酱的制作方法
CN104970220A (zh) 一种哺乳期母猪配合饲料及其制备方法
CN104397282A (zh) 一种安神补脑的刺五加保健茶及其制备方法
CN108497169A (zh) 一种畜禽用中草药添加剂及其制备方法
CN104430720A (zh) 黄秋葵、菌、藻植物组合物制作功能性饼干的方法
KR20090057342A (ko) 황토와 칡을 이용한 전통 종가 장류 간장 조성물과 그 제조방법
KR20100082688A (ko) 월드 홍삼 조성물과 그 제조방법
KR20130047288A (ko) 옥수수 감자 백숙의 제조방법 및 그 백숙
KR20100072143A (ko) 월드 인삼 조성물과 그 제조방법
CN105815738A (zh) 一种辅助降血糖的制品及其制备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