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57220A - 리튬이온 전지 - Google Patents

리튬이온 전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57220A
KR20170057220A KR1020170060531A KR20170060531A KR20170057220A KR 20170057220 A KR20170057220 A KR 20170057220A KR 1020170060531 A KR1020170060531 A KR 1020170060531A KR 20170060531 A KR20170060531 A KR 20170060531A KR 20170057220 A KR20170057220 A KR 2017005722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egative electrode
positive electrode
lithium
thin film
active materi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605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27417B1 (ko
Inventor
치앙 쩡
셩웨이 왕
챠오 까오
푸핑 루오
Original Assignee
동관 엠프렉스 테크놀로지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동관 엠프렉스 테크놀로지 리미티드 filed Critical 동관 엠프렉스 테크놀로지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17005722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5722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2741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27417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5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 H01M10/052Li-accumulators
    • H01M10/0525Rocking-chair batteries, i.e. batteries with lithium insertion or intercalation in both electrodes; Lithium-ion batteri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5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 H01M10/056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s used as electrolytes, e.g. mixed inorganic/organic electrolytes
    • H01M10/0564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s used as electrolytes, e.g. mixed inorganic/organic electrolytes the electrolyte being constituted of organic materials only
    • H01M10/0566Liquid materials
    • H01M10/0569Liquid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 solven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02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 H01M4/04Processes of manufacture in general
    • H01M4/0402Methods of deposition of the material
    • H01M4/0404Methods of deposition of the material by coating on electrode collecto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02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 H01M4/04Processes of manufacture in general
    • H01M4/043Processes of manufacture in general involving compressing or compacti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02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 H01M4/13Electrodes for 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e.g. for lithium-accumulators; Processes of manufacture thereof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02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 H01M4/13Electrodes for 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e.g. for lithium-accumulators; Processes of manufacture thereof
    • H01M4/139Processes of manufacture
    • H01M4/1391Processes of manufacture of electrodes based on mixed oxides or hydroxides, or on mixtures of oxides or hydroxides, e.g. LiCoOx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02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 H01M4/13Electrodes for 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e.g. for lithium-accumulators; Processes of manufacture thereof
    • H01M4/139Processes of manufacture
    • H01M4/1393Processes of manufacture of electrodes based on carbonaceous material, e.g. graphite-intercalation compounds or CFx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02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 H01M4/36Selection of substances as active materials, active masses, active liquids
    • H01M4/48Selection of substances as active materials, active masses, active liquids of inorganic oxides or hydroxides
    • H01M4/50Selection of substances as active materials, active masses, active liquids of inorganic oxides or hydroxides of manganese
    • H01M4/505Selection of substances as active materials, active masses, active liquids of inorganic oxides or hydroxides of manganese of mixed oxides or hydroxides containing manganese for inserting or intercalating light metals, e.g. LiMn2O4 or LiMn2OxFy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02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 H01M4/36Selection of substances as active materials, active masses, active liquids
    • H01M4/48Selection of substances as active materials, active masses, active liquids of inorganic oxides or hydroxides
    • H01M4/52Selection of substances as active materials, active masses, active liquids of inorganic oxides or hydroxides of nickel, cobalt or iron
    • H01M4/525Selection of substances as active materials, active masses, active liquids of inorganic oxides or hydroxides of nickel, cobalt or iron of mixed oxides or hydroxides containing iron, cobalt or nickel for inserting or intercalating light metals, e.g. LiNiO2, LiCoO2 or LiCoOxFy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02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 H01M4/36Selection of substances as active materials, active masses, active liquids
    • H01M4/58Selection of substances as active materials, active masses, active liquids of inorganic compounds other than oxides or hydroxides, e.g. sulfides, selenides, tellurides, halogenides or LiCoFy; of polyanionic structures, e.g. phosphates, silicates or borates
    • H01M4/5825Oxygenated metallic salts or polyanionic structures, e.g. borates, phosphates, silicates, olivin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02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 H01M4/36Selection of substances as active materials, active masses, active liquids
    • H01M4/58Selection of substances as active materials, active masses, active liquids of inorganic compounds other than oxides or hydroxides, e.g. sulfides, selenides, tellurides, halogenides or LiCoFy; of polyanionic structures, e.g. phosphates, silicates or borates
    • H01M4/583Carbonaceous material, e.g. graphite-intercalation compounds or CFx
    • H01M4/587Carbonaceous material, e.g. graphite-intercalation compounds or CFx for inserting or intercalating light meta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02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 H01M2004/021Physical characteristics, e.g. porosity, surface area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42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rvicing or maintenance of secondary cells or secondary half-cells
    • H01M2010/4292Aspects relating to capacity ratio of electrodes/electrolyte or anode/cathod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02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 H01M4/13Electrodes for 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e.g. for lithium-accumulators; Processes of manufacture thereof
    • H01M4/131Electrodes based on mixed oxides or hydroxides, or on mixtures of oxides or hydroxides, e.g. LiCoOx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02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 H01M4/13Electrodes for 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e.g. for lithium-accumulators; Processes of manufacture thereof
    • H01M4/133Electrodes based on carbonaceous material, e.g. graphite-intercalation compounds or CFx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02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 H01M4/13Electrodes for 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e.g. for lithium-accumulators; Processes of manufacture thereof
    • H01M4/136Electrodes based on inorganic compounds other than oxides or hydroxides, e.g. sulfides, selenides, tellurides, halogenides or LiCoFy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02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 H01M4/13Electrodes for 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e.g. for lithium-accumulators; Processes of manufacture thereof
    • H01M4/139Processes of manufacture
    • H01M4/1397Processes of manufacture of electrodes based on inorganic compounds other than oxides or hydroxides, e.g. sulfides, selenides, tellurides, halogenides or LiCoFy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 Y02E60/122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Secondary Cells (AREA)
  • Battery Electrode And Active Subsutan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양극 집전체, 및 양극 집전체 상에서 도포, 건조, 압축, 배치되고 양극 활물질, 양극 도전재, 양극 바인더를 함유하는 양극 박막을 포함하는 양극 극판; 음극 집전체, 및 음극 집전체 상에서 도포, 건조, 압축, 배치되고 음극 활물질, 음극 도전재, 음극 바인더를 함유하는 음극 박막을 포함하는 음극 극판; 분리막; 전해액; 및 포장막을 포함하는 리튬이온 전지를 제공한다. 양극 박막의 압축 밀도가 3.9g/cm3~4.4g/cm3이고; 음극 박막의 압축 밀도가 1.55g/cm3~1.8g/cm3이며; 음극 활물질의 용량과 양극 활물질의 용량의 비율(CB)이 1~1.4이다. 본 발명의 리튬이온 전지는 고율에서 쾌속 충전할 수 있고, 안전성능이 우수하며, 동시에 순환성능이 우수하다.

Description

리튬이온 전지{LITHIUM-ION BATTERY}
본 발명은 전지 기술분야에 관한 것으로, 특히 리튬이온 전지에 관한 것이다.
리튬이온 전지는 에너지 밀도가 높고, 작업 전압이 높으며, 사용수명이 길고, 기억효과가 없으며, 환경 보호 등의 장점이 있기 때문에, 현재 이미 이동장비의 이상적인 전원이 되어 전통적인 전원을 대체하였다. 이동장비의 지능화 및 다기능화에 따라 그 전력소모가 급격하게 증가하였고, 리튬이온 전지의 에너지 밀도에 대해 더 높은 요구가 표출되었다.
1991년 소니 회사가 흑연 계통의 리튬이온 전지를 개발한 이후, 20여년간의 발전을 거치면서 그 에너지 밀도는 이미 한계에 근접했다. 하지만 새로운 화학 계통의 개발에 있어서 여전히 몇몇 중요한 문제를 해결해야 하는데, 예를 들어, 실리콘계 음극 활물질이 순환 후에 팽창하면서 수반하는 자체 분말화, 고전압하에서 양극 활물질의 고온 순환성능 저하, 전해액의 고전압 시스템에서의 안정성 저하, 양극 활물질 및 전해액의 반응에 의한 기체 생성 등이 있다.
에너지 밀도의 향상은 정체에 이르렀는데, 사용자 체험을 제고하기 위하여, 고율의 쾌속 충전 리튬이온 전지의 개발은 에너지 밀도의 부족을 적절히 보완할 수 있다. 그러나 리튬이온 전지가 고율에서 쾌속으로 충전되면, 리튬이온 전지의 분극화가 심해지고, 단위면적 전류가 커지며, 음극이 곧 리튬 석출 전위에 도달하게 되어, 양극으로부터 음극으로 확산되는 대량의 리튬이온이 제때에 음극에 접수되지 못해, 리튬 덴드라이트가 음극 표면에서 석출되며, 리튬이온 전지의 용량이 급속도로 감소하고, 리튬 덴드라이트가 용이하게 분리막을 뚫어 심각한 안전 위험을 야기한다.
배경기술 중에 존재하는 문제를 감안하여, 본 발명의 목적은 고율에서 쾌속으로 충전할 수 있고, 안전성능이 우수하며, 동시에 순환성능이 우수한 리튬이온 전지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실현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양극 집전체, 및 양극 집전체 상에서 도포, 건조, 압축, 배치되고 양극 활물질, 양극 도전재, 양극 바인더를 함유하는 양극 박막을 포함하는 양극 극판; 음극 집전체, 및 음극 집전체 상에서 도포, 건조, 압축, 배치되고 음극 활물질, 음극 도전재, 음극 바인더를 함유하는 음극 박막을 포함하는 음극 극판; 분리막; 전해액; 및 포장막을 포함하는 리튬이온 전지를 제공한다. 양극 박막의 압축 밀도가 3.9g/cm3~4.4g/cm3이고; 음극 박막의 압축 밀도가 1.55g/cm3~1.8g/cm3이며; 음극 활물질의 용량과 양극 활물질의 용량의 비율(CB)이 1~1.4이다.
종래기술과 비교했을 때, 본 발명의 유익한 효과는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리튬이온 전지는 고율에서 쾌속 충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리튬이온 전지는 안전성능이 우수하며, 동시에 순환성능이 우수하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리튬이온 전지와, 실시예, 비교예 및 측정결과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먼저, 본 발명에 따른 리튬이온 전지를 설명하면, 상기 리튬이온 전지는, 양극 집전체, 및 양극 집전체 상에서 도포, 건조, 압축, 배치되고 양극 활물질, 양극 도전재, 양극 바인더를 함유하는 양극 박막을 포함하는 양극 극판; 음극 집전체, 및 음극 집전체 상에서 도포, 건조, 압축, 배치되고 음극 활물질, 음극 도전재, 음극 바인더를 함유하는 음극 박막을 포함하는 음극 극판; 분리막; 전해액; 및 포장막을 포함한다. 양극 박막의 압축 밀도가 3.9g/cm3~4.4g/cm3이고; 음극 박막의 압축 밀도가 1.55g/cm3~1.8g/cm3이며; 음극 활물질의 용량과 양극 활물질의 용량의 비율(CB)이 1~1.4이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리튬이온 전지는, 한편으로는 음극 분극화를 감소시킴으로써 리튬이온이 음극에서 확산하는 것을 가속하고, 다른 한편으로는 양극 분극화를 증가시킴으로써 리튬이온의 양극에서의 확산속도를 완화시켜, 충전과정을 정전류 충전에서 정전압 충전으로 신속하게 전환시키고, 나아가 점차적으로 전류를 감소시켜 단위시간 내에 양극으로부터 음극으로 확산되는 리튬이온 양을 감소시키며, 이에 따라 음극 표면의 리튬 덴드라이트 석출을 효과적으로 방지하고, 나아가 리튬이온 전지가 우수한 안전성능을 가지는 동시에 우수한 순환성능을 갖게 된다.
음극 분극화를 감소시키기 위하여, (1) 도포 공정 단계에서, 음극 활물질의 용량과 양극 활물질의 용량의 비율(CB)을 최대한 크게 제어하는데, 전체 전지가 동일한 SOC에 있을 때, CB가 작을수록 음극의 리튬 인터칼레이션이 더 충분해지고, 음극 전위가 더 낮으며, 충전과정에서 음극이 매우 빨리 리튬 석출 전위에 도달하여, 음극 표면이 더 용이하게 리튬을 석출하게 되지만, CB가 커질 때, 음극 전위가 높아져서 음극 표면의 리튬 석출을 효과적으로 방지하고, 리튬이온 전지의 고율에서의 쾌속 충전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기 때문이다. 그러나 CB가 너무 크면 리튬이온 전지의 에너지 밀도가 비교적 낮게 되도록 유도하기 쉽기 때문에, 본 발명의 CB는 1~1.4이다. (2) 냉압 공정 단계에서, 음극 극판의 압축 밀도를 감소시키면 음극 극판의 공극율이 증가하고, 이에 따라 음극 표면 분극화를 감소시켜, 그 두께 방향에서의 전류 분포를 더 균일하게 함으로써, 고율 쾌속 충전시에 더 많은 음극 활물질이 동시에 Li+의 수용에 참여하여, 음극 표면의 리튬 석출을 효과적으로 방지하게 된다. 그러나 음극 극판의 압축 밀도가 너무 작으면, 음극 극판의 공극률이 너무 크게 되고, 이에 따라 리튬이온 전지의 에너지 밀도가 비교적 낮게 되기 때문에, 본 발명의 음극 극판의 압축 밀도는 1.55g/cm3~1.8g/cm3이다.
양극 분극화를 증가시키기 위하여, 냉압 공정 단계에서, 양극 극판의 압축 밀도를 증가시키고, 리튬이온의 확산 통로를 감소시킴으로써, 충전을 빠르게 정전압 충전으로 전환시키고 전류를 낮추어, 음극 표면의 리튬 석출을 효과적으로 방지하게 된다. 그러나 양극 극판의 압축 밀도가 너무 크면, 쉽게 양극 극판 파열을 야기하여, 리튬이온 전지의 안전성능 및 순환성능에 불리하게 되기 때문에, 본 발명의 양극 극판의 압축 밀도는 3.9g/cm3~4.4g/cm3이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리튬이온 전지에 있어서, 상기 양극 박막의 압축 밀도가 3.95g/cm3~4.35g/cm3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리튬이온 전지에 있어서, 상기 음극 박막의 압축 밀도가 1.55g/cm3~1.75g/cm3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리튬이온 전지에 있어서, 상기 음극 활물질의 용량과 양극 활물질의 용량의 비율 (CB)이 1.03~1.2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리튬이온 전지에 있어서, 상기 리튬이온 전지의 충전율이 1.3C~5C이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리튬이온 전지에 있어서, 상기 음극 박막 도포시의 도포 중량이 120mg/1540.25mm2 ~ 190mg/1540.25mm2일 수 있고, 상기 양극 박막 도포시의 도포 중량이 230mg/1540.25mm2 ~ 380mg/1540.25mm2일 수 있다. 리튬이온 전지를 설계할 때, 박막의 도포 중량을 감소시킬 수 있는데, 왜냐하면 박막의 도포 중량이 감소하면, 단위면적의 전류가 감소하고, 동시에 극판 두께 방향으로의 농도차 편극이 완화되며, 이에 따라 쾌속 충전시 음극 표면의 리튬 석출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기 때문이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리튬이온 전지에 있어서, 상기 양극 활물질이 리튬 코발트 산화물(LiCoO2), 리튬 망간 산화물(LiMn2O4), 리튬 인산철(LiFePO4) 및 삼원계 물질(NCM) 중의 하나 이상으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리튬이온 전지에 있어서, 상기 음극 활물질이 탄소 물질일 수 있고, 상기 탄소 물질이 소프트 카본, 하드 카본, 인조 흑연, 천연 흑연 및 메조카본 마이크로비드 중의 하나 이상으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리튬이온 전지에 있어서, 상기 분리막은 폴리에틸렌(PE)막 및 폴리프로필렌(PP)막 중의 하나로부터 선택될 수 있고, 그 두께는 5㎛~30㎛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리튬이온 전지에 있어서, 상기 전해액이 비수 전해질 용액일 수 있고, 상기 비수 전해질 용액이 비수 유기용매 및 리튬염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리튬이온 전지에 있어서, 상기 비수 유기용매가 사슬형 에스테르 및 고리형 에스테르의 조합으로부터 선택될 수 있고; 상기 사슬형 에스테르가 디메틸 카보네이트(DMC), 디에틸 카보네이트(DEC), 에틸 메틸 카보네이트(EMC), 메틸 프로필 카보네이트(MPC), 디프로필 카보네이트(DPC), 및 기타 불소 함유, 황 함유 또는 불포화 결합 함유의 사슬형 에스테르 중의 하나 이상으로부터 선택될 수 있으며; 상기 고리형 에스테르가 에틸렌 카보네이트(EC), 프로필렌 카보네이트(PC), 비닐렌 카보네이트(VC), γ-부티로락톤(γ-BL), 트리메틸렌 설파이트, 및 기타 불소 함유, 황 함유 또는 불포화 결합 함유의 고리형 에스테르 중의 하나 이상 이상으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리튬이온 전지에 있어서, 상기 리튬염이 LiPF6, LiBF4, LiClO4, LiCF3SO3, LiN(SO2CF3)2 및 LiN(SO2C2F5)2 중의 하나 이상으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리튬이온 전지 및 그 전해액의 실시예 및 비교예를 설명한다.
실시예 1
(1) 양극 극판의 제조
N-메틸피롤리돈(NMP)을 용매로 하여, 양극 바인더인 폴리비닐리덴 플루오라이드(PVDF)를 용해시켜 질량 분율이 8%인 바인더 용액으로 조제하였다. 그 후, 교반하면서 양극 활물질인 LiCoO2(그램당 용량이 160mAh/g임) 및 양극 전도재인 카본 블랙을 첨가하였고, 그 후 더욱 교반하여 균일한 양극 슬러리를 형성하였고, LiCoO2, PVDF 및 카본 블랙의 중량비는 97:1.5:1.5이었다. 그 후, 양극 슬러리를 양극 집전체인 알루미늄 호일 상에 균일하게 도포하였는데, 도포 중량은 334mg/1540.25mm2이었다. 이후 120℃에서 건조하여 양극 극판을 수득하였고, 그 후 냉압을 진행하고 양극 극판의 두께를 제어하여, 그 압축 밀도를 3.95g/cm3로 하였고, 끝으로 컷팅하여 72mm×1024mm의 양극 극판을 제조하였다.
(2) 음극 극판의 제조
음극 활물질인 인조 흑연(그램당 용량이 360mAh/g임), 증점제인 나트륨카르복시메틸 셀룰로스 (CMC), 양극 바인더인 스티렌 부타디엔 고무(SBR) 및 양극 전도재인 카본 블랙을 96:1.5:1.5:1의 중량비로 용매인 탈이온수에 가하여 혼합하고, 그 후 교반하여 균일한 음극 슬러리를 형성하였고, 그 후 음극 슬러리를 음극 집전체인 알루미늄 호일 상에 균일하게 도포하였는데, 도포 중량은 155mg/1540.25mm2이었다. 이후 90℃에서 건조하여 음극 극판을 수득하였고, 그 후 냉압을 진행하고 음극 극판의 두께를 제어하여, 그 압축 밀도를 1.75g/cm3로 하였고, 끝으로 컷팅하여 73.5mm×1036mm의 음극 극판을 제조하였다.
(3) 전해액의 제조
전해액으로서, 농도가 1몰/L인 LiPF6를 리튬염으로, 에틸렌 카보네이트(EC) 및 디메틸 카보네이트(DMC)의 혼합물(질량비는 1:1임)을 비수 유기용매로 하였다.
(4) 리튬이온 전지의 제조
상기 양극 극판, 음극 극판 및 두께가 16㎛인 PE의 분리막을 감아서 하나의 사각형 베어 배터리칩을 형성하였고, 이어서 알루미늄 플라스틱 외부 포장막에 넣고, 전해액을 붓고, 밀봉하고 화성하여 CB가 1.03인 리튬이온 전지를 제조하였다.
여기서, CB = 음극 활물질의 용량 / 양극 활물질의 용량
= (단위면적의 음극 도포 중량 × 음극 활물질 중량비 × 음극 활물질의 그램당 용량) / (단위면적의 양극 도포 중량 × 양극 활물질 중량비 × 양극 활물질의 그램당 용량)이다.
실시예 2
이하의 차이점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의 방법에 따라 리튬이온 전지를 제조하였다:
(1) 양극 박막 도포시의 도포 중량이 314mg/1540.25mm2이었고,
(4) CB가 1.1이었다.
실시예 3
이하의 차이점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의 방법에 따라 리튬이온 전지를 제조하였다:
(1) 양극 박막 도포시의 도포 중량이 288mg/1540.25mm2이었고,
(4) CB가 1.2이었다.
실시예 4
이하의 차이점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의 방법에 따라 리튬이온 전지를 제조하였다:
(1) 양극 박막 도포시의 도포 중량이 265mg/1540.25mm2이었고,
(4) CB가 1.3이었다.
실시예 5
이하의 차이점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의 방법에 따라 리튬이온 전지를 제조하였다:
(1) 양극 박막 도포시의 도포 중량이 325mg/1540.25mm2이었고, 양극 박막의 압축 밀도가 4g/cm3이었으며,
(4) CB가 1.06이었다.
실시예 6
이하의 차이점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5의 방법에 따라 리튬이온 전지를 제조하였다:
(2) 음극 박막의 압축 밀도가 1.65g/cm3이었다.
실시예 7
이하의 차이점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5의 방법에 따라 리튬이온 전지를 제조하였다:
(2) 음극 박막의 압축 밀도가 1.55g/cm3이었다.
실시예 8
이하의 차이점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의 방법에 따라 리튬이온 전지를 제조하였다:
(1) 양극 박막 도포시의 도포 중량이 300mg/1540.25mm2이었고, 양극 박막의 압축 밀도가 3.95g/cm3이었으며,
(2) 음극 박막의 압축 밀도가 1.6g/cm3이었고,
(4) CB가 1.15이었다.
실시예 9
이하의 차이점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8의 방법에 따라 리튬이온 전지를 제조하였다:
(1) 양극 박막의 압축 밀도가 4.1g/cm3이었다.
실시예 10
이하의 차이점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8의 방법에 따라 리튬이온 전지를 제조하였다:
(1) 양극 박막의 압축 밀도가 4.25g/cm3이었다.
실시예 11
이하의 차이점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8의 방법에 따라 리튬이온 전지를 제조하였다:
(1) 양극 박막의 압축 밀도가 4.35g/cm3이었다.
실시예 12
이하의 차이점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의 방법에 따라 리튬이온 전지를 제조하였다:
(1) 양극 박막 도포시의 도포 중량이 380mg/1540.25mm2이었고, 양극 박막의 압축 밀도가 4.1g/cm3이었으며,
(2) 음극 박막 도포시의 도포 중량이 185mg/1540.25mm2이었고, 음극 박막의 압축 밀도가 1.65g/cm3이었으며,
(4) CB가 1.08이었다.
실시예 13
이하의 차이점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2의 방법에 따라 리튬이온 전지를 제조하였다:
(1) 양극 박막 도포시의 도포 중량이 340mg/1540.25mm2이었고,
(2) 음극 박막 도포시의 도포 중량이 165mg/1540.25mm2이었다.
실시예 14
이하의 차이점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2의 방법에 따라 리튬이온 전지를 제조하였다:
(1) 양극 박막 도포시의 도포 중량이 290mg/1540.25mm2이었고,
(2) 음극 박막 도포시의 도포 중량이 141mg/1540.25mm2이었다.
실시예 15
이하의 차이점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2의 방법에 따라 리튬이온 전지를 제조하였다:
(1) 양극 박막 도포시의 도포 중량이 250mg/1540.25mm2이었고,
(2) 음극 박막 도포시의 도포 중량이 121mg/1540.25mm2이었다.
마지막으로 본 발명에 따른 리튬이온 전지의 성능 측정 과정 및 측정 결과를 설명한다.
(1) 리튬이온 전지의 순환성능 측정
25℃에서 5C의 배율로 4.35V까지 정전류 충전하고, 이후 4.35V에서 정전압 충전하고, 차단전류는 0.05C이었다. 그 후 1C의 배율로 정전류 방전하고, 차단전압은 3V이었다. 이를 하나의 충전 방전 순환 과정으로 하여, 상기 충전 방전 순환 과정을 350회 반복하였다.
350회 순환 후의 용량 유지율(%) = 제350회 순환의 방전 용량 / 제1회 순환의 방전 용량 × 100%
(2) 음극 극판의 리튬 석출 상태 측정
25℃에서 5C의 배율로 4.35V까지 정전류 충전하고, 이후 4.35V에서 정전압 충전하고, 차단전류는 0.05C이었다. 그 후 1C의 배율로 정전류 방전하고, 차단전압은 3V이었다. 이를 하나의 충전 방전 순환 과정으로 하여, 상기 충전 방전 순환 과정을 10회 반복하였다. 완료한 후 리튬이온 전지는 완충하였고, 그 후 해체하여 음극 극판 표면의 리튬 석출 상태를 관찰하였다. 여기서 리튬 석출 정도는 리튬 미석출, 경미한 리튬 석출, 중간 정도 리튬 석출 및 심각한 리튬 석출로 구분하였는데, 리튬 미석출은 음극 극판 표면의 리튬 석출 구역이 0%인 것, 경미한 리튬 석출은 음극 극판 표면의 리튬 석출 구역이 전체 구역의 20%보다 작은 것, 중간 정도 리튬 석출은 음극 극판 표면의 리튬 석출 구역이 전체 구역의 20% ~ 70%인 것, 심각한 리튬 석출은 음극 극판 표면의 리튬 석출 구역이 전체 구역의 70%를 초과한 것을 의미한다.
표 1은 실시예 1-15의 파라미터 및 성능 측정 결과를 보여준다.
실시예 1-15의 파라미터 및 성능 측정 결과
  CB 양극 극판 음극 극판 음극 극판의 리튬 석출 상태 350회 순환 후의 용량 유지율
압축 밀도 g/cm3 도포 중량 mg/1540.25mm2 압축 밀도 g/cm3 도포 중량mg/1540.25mm2
실시예 1 1.03 3.95 334 1.75 155 심각한 리튬 석출 50%
실시예 2 1.1 3.95 314 1.75 155 중간 정도 리튬 석출 70%
실시예 3 1.2 3.95 288 1.75 155 경미한 리튬 석출 82%
실시예 4 1.3 3.95 265 1.75 155 리튬 미석출 93%
실시예 5 1.06 4 325 1.75 155 심각한 리튬 석출 56%
실시예 6 1.06 4 325 1.65 155 중간 정도 리튬 석출 72%
실시예 7 1.06 4 325 1.55 155 경미한 리튬 석출 83%
실시예 8 1.15 3.95 300 1.6 155 중간 정도 리튬 석출 73%
실시예 9 1.15 4.1 300 1.6 155 경미한 리튬 석출 84%
실시예 10 1.15 4.25 300 1.6 155 리튬 미석출 93%
실시예 11 1.15 4.35 300 1.6 155 리튬 미석출 96%
실시예 12 1.08 4.1 380 1.65 185 심각한 리튬 석출 55%
실시예 13 1.08 4.1 340 1.65 165 중간 정도 리튬 석출 71%
실시예 14 1.08 4.1 290 1.65 141 경미한 리튬 석출 84%
실시예 15 1.08 4.1 250 1.65 121 리튬 미석출 95%
실시예 1-4의 대비로부터 알 수 있듯이, 양극 박막 도포시의 도포 중량이 감소함에 따라, CB가 증가하고, 음극 박막 표면의 리튬 석출 상태가 뚜렷하게 개선되며, 리튬이온 전지의 350회 순환 이후의 용량 유지율이 증가하였다. 하지만 CB가 너무 작으면, 리튬이온 전지의 350회 순환 이후의 용량 유지율이 낮은 쪽으로 치우쳤다.
실시예 5-7의 대비로부터 알 수 있듯이, 음극 박막의 압축 밀도가 낮아짐에 따라, 음극 박막 표면의 리튬 석출 상태가 뚜렷하게 개선되고, 리튬이온 전지의 350회 순환 이후의 용량 유지율이 증가하였다. 하지만 음극 박막의 압축 밀도가 너무 크면, 리튬이온 전지의 350회 순환 이후의 용량 유지율이 낮은 쪽으로 치우쳤다.
실시예 8-11의 대비로부터 알 수 있듯이, 양극 박막의 압축 밀도가 증가함에 따라, 음극 박막 표면의 리튬 석출 상태가 뚜렷하게 개선되고, 리튬이온 전지의 350회 순환 이후의 용량 유지율이 증가하였다. 하지만 양극 박막의 압축 밀도가 너무 작으면, 리튬이온 전지의 350회 순환 이후의 용량 유지율이 낮은 쪽으로 치우쳤다.
실시예 12-15의 대비로부터 알 수 있듯이, 양극 박막 및 음극 박막의 도포시의 도포 중량이 모두 감소함에 따라, 음극 박막 표면의 리튬 석출 상태가 뚜렷하게 개선되고, 리튬이온 전지의 350회 순환 이후의 용량 유지율이 증가하였다. 하지만 양극 박막 및 음극 박막의 도포시의 도포 중량이 너무 크면, 리튬이온 전지의 350회 순환 이후의 용량 유지율이 낮은 쪽으로 치우쳤다.

Claims (10)

  1. 양극 집전체, 및 양극 집전체 상에서 양극 활물질, 양극 도전재, 양극 바인더를 함유하는 양극 슬러리를 도포, 건조, 압축, 배치하여 형성된 양극 박막을 포함하는 양극 극판;
    음극 집전체, 및 음극 집전체 상에서 음극 활물질, 음극 도전재, 음극 바인더를 함유하는 음극 슬러리를 도포, 건조, 압축, 배치하여 형성된 음극 박막을 포함하는 음극 극판;
    분리막;
    전해액; 및
    포장막을 포함하고,
    양극 박막의 압축 밀도가 3.9g/cm3~4.4g/cm3이고;
    음극 박막의 압축 밀도가 1.55g/cm3~1.8g/cm3이며;
    양극 활물질의 용량에 대한 음극 활물질의 용량의 비율(CB)이 1~1.4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튬이온 전지.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양극 박막의 압축 밀도가 3.95g/cm3~4.35g/cm3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튬이온 전지.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음극 박막의 압축 밀도가 1.55g/cm3~1.75g/cm3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튬이온 전지.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양극 활물질의 용량에 대한 음극 활물질의 용량의 비율(CB)이 1.03~1.2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튬이온 전지.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리튬이온 전지의 충전율이 1.3C~5C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튬이온 전지.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음극 박막 형성시, 상기 음극 집전체 상에서의 상기 음극 슬러리의 도포 중량이 120mg/1540.25mm2 ~ 190mg/1540.25mm2이고,
    상기 양극 박막 형성시, 상기 양극 집전체 상에서의 상기 양극 슬러리의 도포 중량이 230mg/1540.25mm2 ~ 380mg/1540.25mm2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튬이온 전지.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양극 활물질이 리튬 코발트 산화물(LiCoO2), 리튬 망간 산화물(LiMn2O4), 리튬 인산철(LiFePO4) 및 삼원계 물질(NCM) 중의 하나 이상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튬이온 전지.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음극 활물질이 탄소 물질이고, 상기 탄소 물질이 소프트 카본, 하드 카본, 인조 흑연, 천연 흑연 및 메조카본 마이크로비드 중의 하나 이상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튬이온 전지.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해액이 비수 전해질 용액이고, 상기 비수 전해질 용액이 비수 유기용매 및 리튬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튬이온 전지.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비수 유기용매가 사슬형 에스테르 및 고리형 에스테르의 조합으로부터 선택되고;
    상기 사슬형 에스테르가 디메틸 카보네이트(DMC), 디에틸 카보네이트(DEC), 에틸 메틸 카보네이트(EMC), 메틸 프로필 카보네이트(MPC), 디프로필 카보네이트(DPC), 및 기타 불소 함유, 황 함유 또는 불포화 결합 함유의 사슬형 에스테르 중의 하나 이상으로부터 선택되며;
    상기 고리형 에스테르가 에틸렌 카보네이트(EC), 프로필렌 카보네이트(PC), 비닐렌 카보네이트(VC), γ-부티로락톤(γ-BL), 트리메틸렌 설파이트, 및 기타 불소 함유, 황 함유 또는 불포화 결합 함유의 고리형 에스테르 중의 하나 이상 이상으로부터 선택되고;
    상기 리튬염이 LiPF6, LiBF4, LiClO4, LiCF3SO3, LiN(SO2CF3)2 및 LiN(SO2C2F5)2 중의 하나 이상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튬이온 전지.
KR1020170060531A 2014-09-25 2017-05-16 리튬이온 전지 KR10222741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1410500074.1A CN105514350A (zh) 2014-09-25 2014-09-25 锂离子电池
CN201410500074.1 2014-09-25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26989A Division KR20160036482A (ko) 2014-09-25 2015-09-08 리튬이온 전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57220A true KR20170057220A (ko) 2017-05-24
KR102227417B1 KR102227417B1 (ko) 2021-03-15

Family

ID=55585429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26989A KR20160036482A (ko) 2014-09-25 2015-09-08 리튬이온 전지
KR1020170060531A KR102227417B1 (ko) 2014-09-25 2017-05-16 리튬이온 전지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26989A KR20160036482A (ko) 2014-09-25 2015-09-08 리튬이온 전지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2) US20160093912A1 (ko)
JP (1) JP6124954B2 (ko)
KR (2) KR20160036482A (ko)
CN (1) CN105514350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180160A1 (ko) * 2019-03-07 2020-09-10 주식회사 엘지화학 리튬 이차전지
KR20220053968A (ko) 2020-10-23 2022-05-02 한국과학기술연구원 전고체 전지용 양극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229543A (zh) * 2016-08-31 2016-12-14 深圳市沃特玛电池有限公司 一种钛酸锂电池及制作方法
KR102064459B1 (ko) * 2017-01-05 2020-01-09 주식회사 엘지화학 이차 전지의 저전압 불량 검사 방법 및 장치
US10727487B2 (en) 2017-10-04 2020-07-28 Honda Motor Co., Ltd. Anode for fluoride ion battery
CN110208716B (zh) * 2018-02-28 2020-07-03 宁德时代新能源科技股份有限公司 电池及电池放电后负极极片中剩余活性锂容量的测试方法
CN108808006B (zh) * 2018-04-28 2020-12-11 宁德时代新能源科技股份有限公司 负极极片及电池
CN108807974B (zh) * 2018-06-29 2021-07-09 宁德时代新能源科技股份有限公司 锂离子电池
CN110660955B (zh) 2018-06-29 2021-11-23 宁德时代新能源科技股份有限公司 负极极片、其制备方法及电化学装置
CN110165284B (zh) * 2018-07-04 2020-09-11 宁德时代新能源科技股份有限公司 锂离子二次电池
CN109273771B (zh) * 2018-08-21 2021-04-27 宁德时代新能源科技股份有限公司 二次电池
CN109449447B (zh) * 2018-10-17 2021-01-15 宁德时代新能源科技股份有限公司 二次电池
EP3896763A4 (en) * 2018-12-14 2022-04-13 Contemporary Amperex Technology Co., Limited LITHIUM-ION BATTERY
CN112186197A (zh) * 2019-07-01 2021-01-05 宁德时代新能源科技股份有限公司 正极集流体、正极极片及电化学装置
CN110492066B (zh) * 2019-08-01 2022-01-11 深圳市比克动力电池有限公司 一种快速充电的锂离子电池负极片及其制备方法
CN115295791A (zh) * 2019-09-26 2022-11-04 宁德时代新能源科技股份有限公司 二次电池及含有该二次电池的电池模块、电池包、装置
EP3913721B1 (en) * 2019-12-03 2022-11-23 Contemporary Amperex Technology Co., Limited Secondary battery, electrolyte, and device containing said secondary battery
CN111403801B (zh) * 2020-03-23 2023-08-29 孚能科技(赣州)股份有限公司 一种锂离子电池及其制备方法
WO2021195907A1 (zh) * 2020-03-31 2021-10-07 宁德新能源科技有限公司 电化学装置以及电子装置
CN111584836A (zh) * 2020-04-30 2020-08-25 汉腾新能源汽车科技有限公司 一种锂离子电池正极及其制备工艺
CN112881925B (zh) * 2021-01-28 2023-08-29 宁波杉杉新材料科技有限公司 一种负极材料快充性能的测试方法
CN113366673B (zh) * 2021-03-25 2023-05-09 东莞新能源科技有限公司 电化学装置和电子装置
CN113258037B (zh) * 2021-05-28 2023-06-13 陕西煤业化工技术研究院有限责任公司 一种防过充低温倍率型负极极片及其制造方法和基于其的锂离子电池
CN115842091A (zh) * 2021-10-28 2023-03-24 宁德时代新能源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电池极片、电芯、电池、电池模块、电池包及用电装置
CN114267881A (zh) * 2021-12-20 2022-04-01 珠海冠宇电池股份有限公司 一种电池
CN114497498B (zh) * 2022-01-26 2024-03-26 宁德新能源科技有限公司 电化学装置和电子装置
CN116830341A (zh) * 2022-03-04 2023-09-29 宁德新能源科技有限公司 电化学装置及电子装置
CN114583289A (zh) * 2022-03-31 2022-06-03 珠海冠宇电池股份有限公司 一种锂离子电池
CN114824208A (zh) * 2022-04-18 2022-07-29 惠州市豪鹏科技有限公司 锂电池负极浆料配方、锂电池负极及其制备方法、锂电池
CN114899354B (zh) * 2022-06-10 2024-02-02 惠州市豪鹏科技有限公司 一种多层负极片、其制备方法及二次电池
CN117859216A (zh) * 2022-06-23 2024-04-09 宁德新能源科技有限公司 电化学装置及电子设备
WO2024011488A1 (zh) * 2022-07-14 2024-01-18 宁德时代新能源科技股份有限公司 负极极片和包含负极极片的装置
WO2024082291A1 (zh) * 2022-10-21 2024-04-25 宁德时代新能源科技股份有限公司 锂离子电池和用电装置
CN115621532A (zh) * 2022-10-27 2023-01-17 欣旺达电动汽车电池有限公司 二次电池及用电装置
CN115472898B (zh) * 2022-10-27 2023-09-15 欣旺达动力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二次电池及用电设备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54100A (ko) * 2006-12-12 2008-06-17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리튬 이차 전지
JP2013101919A (ja) * 2011-10-14 2013-05-23 National Institute Of Advanced Industrial & Technology 蓄電デバイス用集電体材料およびその製造方法、蓄電デバイス用電極、ならびに、蓄電デバイス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565811B2 (ja) * 2003-03-31 2010-10-20 三洋電機株式会社 非水系電解質二次電池及びその製造方法
JP4988169B2 (ja) * 2005-05-16 2012-08-01 日立マクセルエナジー株式会社 リチウム二次電池
JP2006324118A (ja) * 2005-05-19 2006-11-30 Sharp Corp リチウムイオン二次電池
JP5219387B2 (ja) * 2007-03-12 2013-06-26 三洋電機株式会社 非水電解質二次電池
JP5258228B2 (ja) * 2007-08-21 2013-08-07 日立マクセル株式会社 非水二次電池
JP5433164B2 (ja) * 2008-04-28 2014-03-05 日立ビークルエナジー株式会社 リチウムイオン二次電池
CN101609908A (zh) * 2008-06-16 2009-12-23 东莞新能源科技有限公司 一种锂离子电池
CN102569775B (zh) * 2011-12-23 2017-01-25 东莞新能源科技有限公司 锂离子二次电池及其正极活性材料
US20130171523A1 (en) * 2011-12-28 2013-07-04 Zhi Chen Lithium-ion secondary battery and the cathode material thereof
JP2013235653A (ja) * 2012-05-02 2013-11-21 Toyota Motor Corp 密閉型非水電解質二次電池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54100A (ko) * 2006-12-12 2008-06-17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리튬 이차 전지
JP2013101919A (ja) * 2011-10-14 2013-05-23 National Institute Of Advanced Industrial & Technology 蓄電デバイス用集電体材料およびその製造方法、蓄電デバイス用電極、ならびに、蓄電デバイス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180160A1 (ko) * 2019-03-07 2020-09-10 주식회사 엘지화학 리튬 이차전지
KR20220053968A (ko) 2020-10-23 2022-05-02 한국과학기술연구원 전고체 전지용 양극
US11855286B2 (en) 2020-10-23 2023-12-26 Korea Institute Of Science And Technology Cathode for all-solid-state battery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16072226A (ja) 2016-05-09
US20160093912A1 (en) 2016-03-31
US20180366776A1 (en) 2018-12-20
KR102227417B1 (ko) 2021-03-15
JP6124954B2 (ja) 2017-05-10
KR20160036482A (ko) 2016-04-04
CN105514350A (zh) 2016-04-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27417B1 (ko) 리튬이온 전지
CN101369652B (zh) 聚合物锂离子电池负极及聚合物锂离子电池的制造方法
KR101999615B1 (ko) 리튬 이차전지용 비수성 전해액 및 리튬 이차전지
KR20140104383A (ko) 리튬 이차 전지용 전해액 첨가제, 상기 전해액 첨가제를 포함하는 비수성 전해액 및 리튬 이차 전지
WO2022042373A1 (zh) 锂离子电池
KR101582043B1 (ko) 출력 및 사이클 특성이 우수한 리튬 이차 전지
CN102694158A (zh) 一种含硅锂负极、其制备方法及包含该负极的锂硫电池
KR101481860B1 (ko) 리튬 이차전지의 제조방법
CN113594447B (zh) 三元正极材料、正极极片及制备方法、应用
US11158846B2 (en) Negative electrode plate, preparation method thereof and electrochemical device
CN111384457A (zh) 一种提高锂离子电池首次充放电效率的化成方法
CN115101711B (zh) 一种负极片及其制备方法和二次电池
KR102211528B1 (ko) 리튬 이차 전지용 음극, 및 이를 포함하는 리튬 이차 전지
CN111370791A (zh) 一种锂硫电池化成方法及该化成方法制备的锂硫电池
CN115136357A (zh) 一种正极极片及包含其的锂离子二次电池
KR20150045162A (ko) 리튬 이차 전지용 전해액 첨가제, 상기 전해액 첨가제를 포함하는 비수성 전해액 및 리튬 이차 전지
KR101800497B1 (ko) 비수성 전해액 및 이를 포함하는 리튬 이차전지
KR101472848B1 (ko) 비가교-가교 고분자 혼성 바인더,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리튬 이차전지용 음극 활물질 조성물
CN114613963B (zh) 一种负极材料及其制备方法、负极片和二次电池
CN108270030B (zh) 一种锂硫全电池及其制备方法
CN114497746A (zh) 一种电池
KR101853149B1 (ko) 코어-쉘 구조의 리튬 이차전지용 음극활물질, 이를 포함하는 리튬 이차전지 및 상기 음극활물질의 제조방법
CN108987803B (zh) 一种用于锂硫电池的锂金属负极成膜电解液及其添加剂
CN108511805B (zh) 一种固态电池用pmma基缓冲层及其制备方法以及应用
KR101584850B1 (ko) 리튬 이차 전지용 비수 전해액 및 이를 포함하는 리튬 이차 전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