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49584A - 작업 차량 - Google Patents

작업 차량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49584A
KR20170049584A KR1020177009477A KR20177009477A KR20170049584A KR 20170049584 A KR20170049584 A KR 20170049584A KR 1020177009477 A KR1020177009477 A KR 1020177009477A KR 20177009477 A KR20177009477 A KR 20177009477A KR 20170049584 A KR20170049584 A KR 2017004958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ngine
frame
bonnet
cooling
dispos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70094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902719B1 (ko
Inventor
요시아키 쿠로카와
코지 카와카미
Original Assignee
얀마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얀마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얀마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claimed from PCT/JP2015/078380 external-priority patent/WO2016060027A1/ja
Publication of KR2017004958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4958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0271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0271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PCOOLING OF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COOLING OF INTERNAL-COMBUSTION ENGINES
    • F01P1/00Air cooling
    • F01P1/02Arrangements for cooling cylinders or cylinder heads, e.g. ducting cooling-air from its pressure source to cylinders or along cylind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11/00Arrangement in connection with cooling of propulsion units
    • B60K11/02Arrangement in connection with cooling of propulsion units with liquid cooling
    • B60K11/04Arrangement or mounting of radiators, radiator shutters, or radiator blin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13/00Arrangement in connection with combustion air intake or gas exhaust of propulsion units
    • B60K13/02Arrangement in connection with combustion air intake or gas exhaust of propulsion units concerning intak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13/00Arrangement in connection with combustion air intake or gas exhaust of propulsion units
    • B60K13/04Arrangement in connection with combustion air intake or gas exhaust of propulsion units concerning exhaus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1/00Understructures, i.e. chassis frame on which a vehicle body may be mounted
    • B62D21/18Understructures, i.e. chassis frame on which a vehicle body may be mounted characterised by the vehicle type and not provided for in groups B62D21/02 - B62D21/17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5/00Superstructure or monocoque structure sub-units; Parts or details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D25/04Door pillars ; windshield pilla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5/00Superstructure or monocoque structure sub-units; Parts or details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D25/08Front or rear portions
    • B62D25/10Bonnets or lids, e.g. for trucks, tractors, busses, work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49/00Tractors
    • B62D49/06Tractors adapted for multi-purpose use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9/00Component parts of dredgers or soil-shifting machines, not restricted to one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E02F3/00 - E02F7/00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9/00Component parts of dredgers or soil-shifting machines, not restricted to one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E02F3/00 - E02F7/00
    • E02F9/08Superstructures; Supports for superstructures
    • E02F9/0808Improving mounting or assembling, e.g. frame elements, disposition of all the components on the superstructure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9/00Component parts of dredgers or soil-shifting machines, not restricted to one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E02F3/00 - E02F7/00
    • E02F9/08Superstructures; Supports for superstructures
    • E02F9/0858Arrangement of component parts installed on superstruc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electric components, fenders, air-conditioning units
    • E02F9/0866Engine compartment, e.g. heat exchangers, exhaust filters, cooling devices, silencers, mufflers, position of hydraulic pumps in the engine compartmen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N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F01N13/00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 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or parts thereof, having pertinent characteristics not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F01N1/00 - F01N5/00, F01N9/00, F01N11/00
    • F01N13/08Other 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exhaust condui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N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F01N13/00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 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or parts thereof, having pertinent characteristics not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F01N1/00 - F01N5/00, F01N9/00, F01N11/00
    • F01N13/18Construction facilitating manufacture, assembly, or disassembly
    • F01N13/1805Fixing exhaust manifolds, exhaust pipes or pipe sections to each other, to engine or to vehicle bod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N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F01N3/00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having means for purifying, rendering innocuous, or otherwise treating exhaust
    • F01N3/02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having means for purifying, rendering innocuous, or otherwise treating exhaust for cooling, or for removing solid constituents of, exhaust
    • F01N3/021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having means for purifying, rendering innocuous, or otherwise treating exhaust for cooling, or for removing solid constituents of, exhaust by means of filt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PCOOLING OF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COOLING OF INTERNAL-COMBUSTION ENGINES
    • F01P11/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F01P1/00 - F01P9/00
    • F01P11/02Liquid-coolant filling, overflow, venting, or draining devices
    • F01P11/0295Condensers for radia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PCOOLING OF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COOLING OF INTERNAL-COMBUSTION ENGINES
    • F01P11/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F01P1/00 - F01P9/00
    • F01P11/08Arrangements of lubricant cool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PCOOLING OF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COOLING OF INTERNAL-COMBUSTION ENGINES
    • F01P11/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F01P1/00 - F01P9/00
    • F01P11/10Guiding or ducting cooling-air, to, or from, liquid-to-air heat exchang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PCOOLING OF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COOLING OF INTERNAL-COMBUSTION ENGINES
    • F01P11/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F01P1/00 - F01P9/00
    • F01P11/12Filtering, cooling, or silencing cooling-ai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PCOOLING OF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COOLING OF INTERNAL-COMBUSTION ENGINES
    • F01P5/00Pumping cooling-air or liquid coolants
    • F01P5/02Pumping cooling-air; Arrangements of cooling-air pumps, e.g. fans or blowers
    • F01P5/06Guiding or ducting air to, or from, ducted f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BINTERNAL-COMBUSTION PISTON ENGINES;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 F02B29/00Engines characterised by provision for charging or scavenging not provided for in groups F02B25/00, F02B27/00 or F02B33/00 - F02B39/00; Details thereof
    • F02B29/04Cooling of air intake supply
    • F02B29/0406Layout of the intake air cooling or coolant circui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BINTERNAL-COMBUSTION PISTON ENGINES;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 F02B29/00Engines characterised by provision for charging or scavenging not provided for in groups F02B25/00, F02B27/00 or F02B33/00 - F02B39/00; Details thereof
    • F02B29/04Cooling of air intake supply
    • F02B29/0406Layout of the intake air cooling or coolant circuit
    • F02B29/0425Air cooled heat exchangers
    • F02B29/0431Details or means to guide the ambient air to the heat exchanger, e.g. having a fan, flaps, a bypass or a special location in the engine compartmen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MSUPPLYING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WITH COMBUSTIBLE MIXTURES OR CONSTITUENTS THEREOF
    • F02M35/00Combustion-air cleaners, air intakes, intake silencers, or induct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or arranged on, internal-combustion engines
    • F02M35/02Air cleaners
    • F02M35/04Air cleaners specially arranged with respect to engine, to intake system or specially adapted to vehicle; Mounting thereon ; Combinations with other devices
    • F02M35/048Arranging or mounting on or with respect to engines or vehicle bodi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MSUPPLYING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WITH COMBUSTIBLE MIXTURES OR CONSTITUENTS THEREOF
    • F02M35/00Combustion-air cleaners, air intakes, intake silencers, or induct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or arranged on, internal-combustion engines
    • F02M35/16Combustion-air cleaners, air intakes, intake silencers, or induct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or arranged on, internal-combustion engines characterised by use in vehicles
    • F02M35/164Heavy duty vehicles, e.g. trucks, trains, agricultural or construction machi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20Off-Road Vehicles
    • B60Y2200/22Agricultural vehicles
    • B60Y2200/221Trac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40Special vehicles
    • B60Y2200/41Construction vehicles, e.g. graders, excavators
    • B60Y2200/415Wheel load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1/00Understructures, i.e. chassis frame on which a vehicle body may be mounted
    • B62D21/18Understructures, i.e. chassis frame on which a vehicle body may be mounted characterised by the vehicle type and not provided for in groups B62D21/02 - B62D21/17
    • B62D21/186Understructures, i.e. chassis frame on which a vehicle body may be mounted characterised by the vehicle type and not provided for in groups B62D21/02 - B62D21/17 for building site vehicles or multi-purpose trac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N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F01N2340/00Dimensional characteristics of the exhaust system, e.g. length, diameter or volume of the apparatus; Spatial arrangements of exhaust apparatuses
    • F01N2340/04Dimensional characteristics of the exhaust system, e.g. length, diameter or volume of the apparatus; Spatial arrangements of exhaust apparatuses characterised by the arrangement of an exhaust pipe, manifold or apparatus in relation to vehicle frame or particular vehicle par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N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F01N2590/00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adapted to particular use, e.g. for military applications, airplanes, submarines
    • F01N2590/08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adapted to particular use, e.g. for military applications, airplanes, submarines for heavy duty applications, e.g. trucks, buses, tractors, locomotiv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PCOOLING OF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COOLING OF INTERNAL-COMBUSTION ENGINES
    • F01P2060/00Cooling circuits using auxiliaries
    • F01P2060/04Lubricant cool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PCOOLING OF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COOLING OF INTERNAL-COMBUSTION ENGINES
    • F01P2060/00Cooling circuits using auxiliaries
    • F01P2060/10Fuel manifol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PCOOLING OF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COOLING OF INTERNAL-COMBUSTION ENGINES
    • F01P2060/00Cooling circuits using auxiliaries
    • F01P2060/14Condens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PCOOLING OF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COOLING OF INTERNAL-COMBUSTION ENGINES
    • F01P7/00Controlling of coolant flow
    • F01P7/14Controlling of coolant flow the coolant being liquid
    • F01P7/16Controlling of coolant flow the coolant being liquid by thermostatic control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10Internal combustion engine [ICE] based vehicles
    • Y02T10/12Improving ICE efficienc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ransportation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Cooling, Air Intake And Gas Exhaust, And Fuel Tank Arrangements In Propulsion Unit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작업 차량은 주행 기체(3)의 전방부에 설치한 엔진룸을 덮는 보닛(6)과, 구동원이 되는 엔진(5)과, 상기 엔진(5)에 냉각수를 공급하는 라디에이터(235)와, 외기를 도입해서 상기 엔진(5)에 공급시키는 에어클리너(221)와, 냉매를 냉각시키는 콘덴서(275)를 구비한다.
상기 라디에이터(235) 전방에서 상기 에어클리너(221)와 상기 콘덴서(275)가 상하가 되도록 배치하고 있고, 상기 콘덴서(275)를 좌우 방향으로 인출 가능하게 했다.

Description

작업 차량{WORK VEHICLE}
본원 발명은 농작업용의 트랙터 또는 토목 작업용의 휠 로더와 같은 작업 차량에 관한 것이다.
작금, 디젤 엔진(이하 단지 엔진이라고 함)에 관한 고차의 배기가스 규제가 적용되는 것에 따라, 엔진이 탑재되는 농작업 차량이나 건설 토목 기계에 배기가스 중의 대기 오염 물질을 정화 처리하는 배기가스 정화 장치를 탑재하는 것이 요청되고 있다. 배기가스 정화 장치로서는, 배기가스 중의 입자상 물질 등을 포집하는 디젤 파티큘레이트 필터(이하, DPF라고 함)가 알려져 있다(예를 들면, 특허문헌 1 등 참조).
일본 특허공개 2008-31955호 공보
특허문헌 1에서는 주행 기체의 전방부에 엔진을 탑재하고, 엔진 상방 중 배기 매니폴드의 좌우 일측에 전후 길이의 DPF를 배치하고, DPF와 함께 엔진을 보닛으로 덮은 트랙터의 구조를 개시하고 있다. 특허문헌 1에 기재된 트랙터에서는, 보닛은 단면 아래쪽으로 ㄷ자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 때문에, 보닛의 좌우 모서리부는 바깥쪽으로 뻗어 있다. 그리고, 상기 좌우 모서리부의 내측, 즉 보닛의 좌우 구석부에 DPF를 위치시키고 있다. 이와 같이, 특허문헌 1의 구성에서는 DPF의 설치 스페이스의 관점에서 보닛의 좌우 모서리부를 바깥쪽으로 뻗게 하고 있기 때문에, 주행 기체의 조종 좌석에 착좌한 오퍼레이터의 전방 시계, 특히 보닛의 좌우 양 모서리부로부터 앞의 시계가 희생이 되고 있었다.
엔진에 근접시켜서 DPF를 장착할 경우, 엔진으로부터 DPF에 공급되는 배기가스의 온도 저하를 저감하여 DPF 내의 배기가스의 온도를 고온으로 유지하기 쉽지만, DPF의 지지 구조를 용이하게 간략화할 수 없기 때문에 DPF의 장착 작업성 또는 내진성을 향상시킬 수 없는 등의 문제가 있다. 또한, DPF의 탑재에 의해 엔진이 대형화함으로써 진동 계열이 다른 엔진의 진동에 의한 영향이 크고, 주행 기체와 엔진 쌍방에 연결할 필요가 있는 부품(예를 들면, 배기관 등)에 있어서 파손이나 고장이 발생할 우려가 있다.
또한, 엔진이 대형화함으로써 작업 차량에 있어서의 엔진 탑재 스페이스가 충분하지 않아 작업 차량측에서의 설계 변경을 강요당할 뿐만 아니라, 엔진의 탑재 상태에 따라서는 메인터넌스성이 나빠진다고 하는 문제도 있다. 또한, 엔진의 대형화에 의해 엔진룸에 있어서의 냉각풍의 이동이 나빠져서 그 냉각 효과가 저하할 뿐만 아니라, 엔진룸 내의 열 체류에 의해 전자 부품뿐만 아니라 엔진에도 가열에 의한 고장을 초래할 우려가 있다.
그래서, 본원 발명은 이것들의 현재 상황을 검토해서 개선을 실시한 작업 차량을 제공하려고 하는 것이다.
본원 발명의 작업 차량은 주행 기체의 전방부에 설치하고 있고 과급기를 구비한 엔진과, 상기 엔진에 냉각수를 공급하는 라디에이터와, 상기 과급기로부터의 압축 공기를 냉각시키는 인터쿨러와, 윤활 오일을 냉각시키는 오일 쿨러를 구비하는 작업 차량에 있어서, 상기 라디에이터 전방에서 인터쿨러와 오일 쿨러를 상하로 겹쳐서 배치하고 있고, 상단의 상기 인터쿨러를 고정하는 고정 프레임 내에 상기 오일 쿨러를 세로축 주위로 회동 가능하게 배치시킨 것이다.
상기 작업 차량에 있어서, 외기를 도입하여 상기 엔진에 공급시키는 에어클리너와 냉매를 냉각시키는 콘덴서를 구비함과 아울러, 상기 에어클리너와 상기 콘덴서가 상하로 되도록 배치하고 있고, 상기 콘덴서를 좌우 방향으로 인출 가능하게 하고, 상기 인터쿨러 전방에서 상기 인터쿨러와 이간시킨 위치에 상기 에어클리너를 고정 배치시킨 것으로 해도 좋다.
또한, 상기 작업 차량에 있어서, 외기를 도입하여 상기 엔진에 공급시키는 에어클리너와 냉매를 냉각시키는 콘덴서를 구비함과 아울러, 상기 에어클리너와 상기 콘덴서가 상하로 되도록 배치하고 있고, 상기 콘덴서를 전후축 주위로 회동 가능하게 하고, 상기 인터쿨러 전방에서 상기 인터쿨러와 이간시킨 위치에 상기 에어클리너를 고정 배치시킨 것으로 해도 좋다.
본원 발명의 작업 차량은 주행 기체의 전방부에 설치하고 있고 과급기를 구비한 엔진과, 상기 엔진에 냉각수를 공급하는 라디에이터를, 앞면에 개구부를 형성한 보닛으로 덮여진 엔진룸 내에 구비하고, 상기 엔진룸 내에 있어서 상기 엔진 앞면에 설치한 냉각팬 외주를 둘러싸는 팬 슈라우드로 상기 라디에이터 배면을 덮는 한편, 상기 라디에이터 전방에 복수의 열교환기를 배치시킨 작업 차량에 있어서, 상기 냉각팬 중심을 상기 라디에이터 중심보다 하측으로 오프셋해서 배치하고 있고, 상기 복수의 열교환기를 상하로 겹쳐서 배치함과 아울러, 하측에 배치된 열교환기의 개수보다 상측에 배치된 열교환기의 개수를 적게 한 것이다.
상기 작업 차량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열교환기가 냉매를 냉각시키는 콘덴서와, 상기 과급기로부터의 압축 공기를 냉각시키는 인터쿨러와, 윤활 오일을 냉각시키는 오일 쿨러이며, 상기 라디에이터 전방에, 상기 인터쿨러와 상기 오일 쿨러를 상하로 겹쳐서 배치함과 아울러 상기 인터쿨러 및 상기 오일 쿨러의 전방 하단에 상기 콘덴서를 배치한 것으로 해도 좋다.
상기 작업 차량에 있어서, 상기 팬 슈라우드는 상기 라디에이터 배면 전체를 덮는 입구측 개구를 구비한 제 1 프레임체부와, 상기 냉각팬 외주를 덮는 출구측 개구를 구비한 제 2 프레임체부를 전후로 연속시킨 형상을 갖고 있고, 단면이 넓은 상기 제 1 프레임체부로부터 단면이 좁은 상기 제 2 프레임체부로의 접속 부분에 있어서, 상기 냉각팬 상측의 오프셋 부분을 완만한 곡면으로 형성시킨 것으로 해도 좋다.
상기 작업 차량에 있어서, 주행 기체의 전방부에 설치한 엔진룸을 덮는 보닛과, 구동원이 되는 엔진과, 상기 엔진 공냉용의 냉각팬과, 냉각팬에 의해 유도되는 냉각 공기를 통과시켜서 냉각용 매체와 열교환시키는 복수의 열교환기와, 상기 엔진을 제어하는 엔진 제어 장치를 구비하고, 상기 주행 기체 전방의 상면을 바닥판으로 덮는 작업 차량으로서, 상기 엔진 제어 장치를 상기 열교환기의 전방 위치에 배치하고 있고, 상기 엔진 제어 장치의 길이 방향을 상기 주행 기체의 전후 방향을 따르게 해서 상기 바닥판에 세워서 설치시킨 것으로 함으로써, 냉각팬에 의해 엔진룸 내를 전후 방향으로 흐르는 냉각 공기에 대하여 엔진 제어 장치의 설치 방향을 따르게 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엔진 제어 장치가 냉각 공기의 이동에 대한 차폐 면적을 저감할 수 있기 때문에 엔진으로의 냉각 공기 유량의 저하를 억제할 수 있고, 엔진룸 내를 적정한 온도로 유지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보닛 및 상기 바닥판은 각각 상기 냉각팬보다 전방이 되는 위치에 그물상의 개구부를 구비하고 있고, 상기 엔진 제어 장치를 상기 보닛 앞면에 좌우 대칭으로 형성한 개구부의 사이가 되는 위치이며, 또한 상기 바닥판의 개구부 상방에 배치시킨 것으로 함으로써 엔진 제어 장치를 보닛 개구부와 겹치지 않는 위치에 배치할 수 있기 때문에, 엔진 제어 장치에 의해 냉각 공기 유입용의 개구 면적을 좁힐 일이 없어진다. 또한, 바닥판에도 개구부를 형성함으로써 냉각팬 전방이 한정된 구성에 있어서, 냉각팬을 통과시키는 공기 유량보다 개구 면적을 넓힐 수 있다. 또한, 바닥판 개구부 상방에 엔진 제어 장치를 배치함으로써 엔진 제어 장치의 냉각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상기 바닥판을 전후 2분할시킨 전방 바닥판과 후방 바닥판으로 구성 하고 있고, 상기 엔진 제어 장치를 상기 전방 바닥판에 세워서 설치시키고 있으며, 상기 개구부보다 후방 위치에 상기 엔진 제어 장치와 접속되는 하니스를 통과시키는 하니스 도통 구멍을 갖고 있는 것으로 함으로써, 전방 바닥판에 엔진 제어 장치와 엔진 제어 장치의 하니스를 도통시키는 도통 구멍을 모아서 배치하는 것으로 되어 주행 기체 전방의 메인터넌스시에는 전방 바닥판을 분리하는 것만으로 좋고, 작업에 있어서의 번잡함을 해소할 수 있다. 또한, 엔진 제어 장치를 전방 바닥판에 의해 1유닛으로 구성하기 때문에, 조립성을 향상시킴과 아울러 그 교환 작업도 간단화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바닥판을, 복수의 상기 열교환기를 상기 후방 바닥판에 세워서 설치시키고 있는 것으로 함으로써, 후방 바닥판에 열교환기를 모아서 배치하는 것으로 되어 주행 기체 전방의 메인터넌스시에는 전방 바닥판을 분리하는 것만으로 좋고, 작업에 있어서의 번잡함을 해소할 수 있다. 또한, 열교환기를 후방 바닥판에 의해 1유닛으로 구성하기 때문에, 조립성을 향상시킴과 아울러 그 교환 작업도 간단화할 수 있다.
상기 작업 차량에 있어서, 주행 기체의 전방부에 탑재된 엔진과, 상기 엔진 상부에 배치되어서 상기 엔진의 배기가스를 정화하는 후처리 장치와, 상기 엔진 공냉용의 냉각팬을 구비하고, 상기 엔진의 앞면측에 상기 냉각팬을 배치함과 아울러 상기 냉각팬을 덮는 팬 슈라우드를 상기 주행 기체에 고착하고, 상기 냉각팬, 상기 엔진 및 상기 후처리 장치를 보닛으로 덮는 작업 차량으로서, 상기 엔진 후방을 덮는 보닛 실드판을 상기 보닛 배면에 설치하고 있고, 상기 보닛 실드판의 좌우 양 가장자리를 중앙 부분보다 앞측에 배치시키기 위해서, 상기 보닛 실드판의 좌우 양측을 전방으로 굴곡시킨 것으로 함으로써, 보닛 하의 엔진룸에 있어서의 열이 보닛 실드판에 의해 차열됨으로써 조종 좌석이 엔진룸으로부터의 배기 열에 의해 가온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조종 좌석에 있어서의 오퍼레이터는 엔진이나 후처리 장치의 배기 열의 영향을 받지 않고, 쾌적하게 조종 가능해진다. 보닛 실드판의 좌우 양측을 굴곡시킴으로써, 엔진룸 내의 엔진으로부터 발생하는 소음이 조종 좌석으로 전파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냉각팬을 둘러싸는 팬 슈라우드와, 상기 주행 기체에 대하여 세워서 설치시킨 좌우 한쌍의 지주 프레임을 구비하고 있고, 상기 좌우 한쌍의 지주 프레임을 상기 보닛 실드판의 굴곡 부분에 끼워진 중앙 영역과 연결시킴과 아울러 상기 지주 프레임과 상기 팬 슈라우드를 빔 프레임으로 가설시킨 것으로 함으로써 주행 기체로 안정 지지된 팬 슈라우드 및 보닛 실드판을 빔 프레임에 의해 가설시켜서 연결하기 때문에, 이들 부재가 일체적으로 되어 전체로서 견뢰한 엔진룸 프레임체를 구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주행 기체에 대하여 상기 엔진 후방에 좌우 한쌍의 지주 프레임을 세워서 설치시킴과 아울러 상기 지주 프레임과 상기 팬 슈라우드를 빔 프레임으로 가설하고 있고, 상기 엔진 상방에 있어서 상기 빔 프레임과 상기 보닛의 내측 측면의 사이에 상기 후처리 장치를 위치시키기 위해, 상기 후처리 장치를 상기 빔 프레임을 따라 배치시킨 것으로 함으로써 한쌍의 지주 프레임과 팬 슈라우드를 빔 프레임에 의해 가설시켜서 연결하기 때문에, 이들 부재가 일체로 되어 전체로서 견뢰한 엔진룸 프레임체를 구성할 수 있다. 또한, 빔 프레임과 보닛의 내측 측면의 사이에 후처리 장치를 위치시키기 때문에, 후처리 장치 주변 공간이 넓어져서 엔진 상방에 있어서의 부품 장착이나 메인터넌스에 있어서의 번잡함을 해소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빔 프레임에 고착된 차열판을 갖고 있고, 상기 차열판이 상기 보닛 하에서 상기 후처리 장치의 상부를 덮도록 배치되어 있는 것으로 함으로써 빔 프레임을 가설하도록 차열판을 고정하고 있기 때문에, 차열판에 의해 빔 프레임을 보강하여 엔진룸 프레임을 보다 견뢰한 구조로 할 수 있다. 또한, 후처리 장치와 보닛의 사이에 차열판을 배치함으로써, 엔진룸으로부터의 배기 열에 의한 보닛의 가온을 방지할 수 있다.
(발명의 효과)
본원 발명에 의하면, 오일 쿨러를 개폐 가능하게 설치했기 때문에, 작업자는 냉각풍의 이동에 의해 진애가 쌓이기 쉬운 라디에이터 앞면 하방에 액세스하기 쉬워져 메인터넌스 작업의 번잡함을 해소할 수 있다. 또한, 에어클리너와 인터쿨러를 이간시킨 배치로 함으로써, 라디에이터 상방에 공간을 형성하여 냉각풍을 라디에이터까지 유입하기 쉬운 구조로 된다. 이것에 의해, 엔진룸 내에 있어서의 냉각풍의 유속 분포를 높이 방향에서 평준화할 수 있어, 역류 등을 억제할 수 있다.
본원 발명에 의하면, 에어클리너 하방의 공간을 이용해서 콘덴서를 인출함으로써 콘덴서 후방 공간으로의 액세스를 용이한 것으로 할 수 있어, 냉각용의 열교환기에 대한 메인터넌스 작업의 번잡함을 해소할 수 있다. 또한, 라디에이터 전방에 있어서, 에어클리너 하방에서 인출 가능하게 콘덴서를 배치함으로써, 한정된 엔진룸 공간 내에서 라디에이터, 에어클리너, 콘덴서와 같은 복수의 열교환기를 효율적으로 배치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팬 슈라우드를 통해서 엔진으로의 냉각풍의 압손을 최적인 것으로 할 수 있다. 따라서, 보닛의 대형화를 방지함과 아울러 엔진룸 내의 냉각 효율의 저하를 억제할 수 있다.
본원 발명에 의하면, 에어클리너와 인터쿨러 사이의 공간을 이용해서 콘덴서를 회동시킴으로써 오일 쿨러까지의 액세스를 용이한 것으로 할 수 있고, 오일 쿨러의 개폐도 가능해지기 때문에 메인터넌스 작업의 번잡함을 해소할 수 있다. 또한, 고정된 에어클리너 및 인터쿨러를 회피하여 오일 쿨러 및 콘덴서를 회동 가능하게 배치할 수 있다. 따라서, 작업차는 라디에이터에 액세스할 때에 분리 부품이 적어지기 때문에, 메인터넌스 작업의 번잡함을 해소할 수 있다. 또한, 에어클리너와 인터쿨러를 이간시킨 배치로 함으로써, 라디에이터 상방에 공간을 형성하여 냉각풍을 라디에이터까지 유입하기 쉬운 구조로 된다. 이것에 의해, 엔진룸 내에 있어서의 냉각풍의 유속 분포를 높이 방향에서 평준화할 수 있어, 역류 등을 억제할 수 있다.
본원 발명에 의하면, 냉각팬과 라디에이터의 오프셋 영역의 압손을 작게 함으로써, 팬 슈라우드 내를 흐르는 냉각풍의 유속 분포를 평준화시킨다. 이것에 의해, 팬 슈라우드 내에서의 차압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기 때문에 라디에이터 내에 있어서의 냉각풍의 역류를 방지할 수 있고, 라디에이터에서의 냉각 효율을 높일 수 있다. 또한, 냉각팬과 라디에이터의 오프셋 영역의 압손을 작게 함으로써, 냉각풍을 도입하기 쉬운 구조로 해서 냉각팬에 가해지는 부하를 저감할 수 있다.
도 1은 본원 발명의 작업 차량의 좌측면도이다.
도 2는 동 작업 차량의 우측면도이다.
도 3은 동 작업 차량의 평면도이다.
도 4는 동 작업 차량의 저면도이다.
도 5는 동 작업 차량에 있어서의 주행 기체의 평면도이다.
도 6은 동 작업 차량의 전방 사시도이다.
도 7은 동 작업 차량의 후방 사시도이다.
도 8은 주행 기체를 좌측으로부터 본 후방 사시도이다.
도 9는 주행 기체를 우측으로부터 본 후방 사시도이다.
도 10은 주행 기체를 우측으로부터 본 전방 사시도이다.
도 11은 본원 발명의 작업 차량에 탑재되는 디젤 엔진의 후방 사시도이다.
도 12는 동 디젤 엔진의 전방 사시도이다.
도 13은 동 작업 차량에 있어서의 엔진룸 내의 구성을 나타내는 정면으로부터 본 단면도이다.
도 14는 동 작업 차량에 있어서의 엔진룸 내의 구성을 나타내는 배면으로부터 본 단면도이다.
도 15는 동 작업 차량의 주행 기체와 플라이 휠 하우징의 관계를 나타내는 일부 확대도이다.
도 16은 동 작업 차량의 엔진룸 내의 구성을 나타내는 좌측 확대도이다.
도 17은 동 작업 차량의 엔진룸 내의 구성을 나타내는 좌측 확대 사시도이다.
도 18은 동 작업 차량의 엔진룸 내 전방 위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9는 동 작업 차량이 구비하는 열교환기의 배치 관계를 설명하는 엔진룸 전방 사시도이다.
도 20은 동 작업 차량에 있어서의 프레임 바닥판 상의 체 프레임의 구성을 설명하는 사시도이다.
도 21은 동 작업 차량에 설치된 콘덴서 및 오일 쿨러의 이동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2는 동 작업 차량의 엔진룸 내의 프레임 구성을 나타내는 전방 사시도이다.
도 23은 동 엔진룸 내의 프레임 구성을 나타내는 후방 사시도이다.
도 24는 동 엔진룸 내의 프레임 구성의 확대 사시도이다.
도 25는 동 엔진룸 내의 구성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26은 동 엔진룸에 보닛 실드판의 구성을 나타내는 확대 평면도이다.
도 27은 동 엔진룸 내의 구성을 나타내는 배면 단면도이다.
도 28은 디젤 엔진과 라디에이터의 관계를 나타내는 전방 사시도이다.
도 29는 동 작업 차량의 엔진룸 내의 구성을 나타내는 우측 확대도이다.
도 30은 디젤 엔진에 부속시키는 부품의 배치 위치를 나타내는 전방 사시도이다.
도 31은 엔진룸 내의 각 부품의 배치 관계를 나타내는 후방 사시도이다.
도 32는 디젤 엔진과 테일 파이프의 접속 관계를 나타내는 확대 사시도이다.
도 33은 테일 파이프 하측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저면 사시도이다.
도 34는 엔진룸 내 전방 위치의 구성에 있어서의 변형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5는 동 변형예에 있어서의 도 34의 확대도이다.
도 36은 동 변형예에 있어서의 엔진룸 내의 구성을 나타내는 좌측면도이다.
도 37은 동 변형예에 있어서의 팬 슈라우드의 구성을 나타내는 확대 단면도이다.
도 38은 동 변형예에 있어서의 냉각팬의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이하에, 본 발명을 구체화한 실시형태를 도면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우선, 도 1~도 10을 참조하면서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작업 차량으로서의 트랙터(1)의 구조에 대하여 설명한다.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트랙터(1)의 주행 기체(2)는 주행부로서의 좌우 한쌍의 전차륜(3)과 마찬가지로 좌우 한쌍의 후차륜(4)으로 지지되어 있다. 주행 기체(2)의 전방부에 탑재된 동력원으로서의 커먼레일식의 디젤 엔진(5)(이하, 단지 엔진이라고 함)으로 후차륜(4) 및 전차륜(3)을 구동함으로써, 트랙터(1)가 전후진 주행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엔진(5)은 보닛(6)으로 덮여져 있다. 주행 기체(2)의 상면에는 캐빈(7)이 설치되고, 상기 캐빈(7)의 내부에는 조종 좌석(8)과, 조타함으로써 전차륜(3)의 조향 방향을 좌우로 움직이도록 한 조종 핸들(둥근 핸들)(9)이 배치되어 있다. 캐빈(7)의 외측 하부에는 오퍼레이터가 승강하는 스텝(10)이 설치되어 있다. 캐빈(7)의 저부보다 하측에는, 엔진(5)에 연료를 공급하는 연료 탱크(11)가 설치되어 있다.
주행 기체(2)는 앞범퍼(프레임 연결 부재)(12) 및 전차축 케이스(13)를 갖는 엔진 프레임(전방부 프레임)(14)과, 엔진 프레임(14)의 후방부에 착탈 가능하게 고정된 좌우의 기체 프레임(후방부 프레임)(15)으로 구성되어 있다. 전차축 케이스(13)의 좌우 양단측으로부터 바깥쪽으로 전차축(16)을 회전 가능하게 돌출시키고 있다. 전차축 케이스(13)의 좌우 양단측에 전차축(16)을 통해서 전차륜(3)을 부착하고 있다. 기체 프레임(15)의 후방부에는 엔진(5)으로부터의 회전 동력을 적당하게 변속해서 전후 사륜(3, 3, 4, 4)에 전달하기 위한 미션 케이스(17)를 연결하고 있다. 좌우의 기체 프레임(15) 및 미션 케이스(17)의 하면측에는 좌우 바깥쪽으로 돌출된, 저면에서 볼 때 직사각형 프레임 판자상의 탱크 프레임(18)을 볼트 체결하고 있다. 실시형태의 연료 탱크(11)는 좌우 2개로 나뉘어져 있다. 탱크 프레임(18)의 좌우 돌출부의 상면측에, 좌우의 연료 탱크(11)를 나누어서 탑재하고 있다. 미션 케이스(17)의 좌우 외측면에는, 좌우의 후차축 케이스(19)로부터 바깥쪽으로 돌출되도록 장착하고 있다. 좌우의 후차축 케이스(19)에는 좌우의 후차축(20)을 회전 가능하게 내삽하고 있다. 미션 케이스(17)에 후차축(20)을 통해서 후차륜(4)을 부착하고 있다. 좌우의 후차륜(4)의 상방은 좌우의 리어 펜더(21)에 의해 덮여져 있다.
미션 케이스(17)의 후방부 상면에는 예를 들면, 로터리 경운기와 같은 작업기를 승강 이동시키는 유압식 승강 기구(22)를 착탈 가능하게 부착하고 있다. 로터리 경운기 등의 작업기는 좌우 한쌍의 로어 링크(23) 및 탑 링크(24)로 이루어지는 3점 링크 기구를 통해서 미션 케이스(17)의 후방부에 연결된다. 미션 케이스(17)의 후측면에는 로터리 경운기 등의 작업기에 PTO 구동력을 전달하기 위한 PTO축(25)을 뒤쪽으로 돌출시키고 있다.
엔진(5)의 후측면으로부터 뒤쪽으로 돌출하는 엔진 출력축(53)에는 플라이 휠(61)을 직결하도록 부착하고 있다. 양단에 유니버설 샤프트 커플링을 갖는 동력 전달축(29)을 통해서 플라이 휠(61)로부터 뒤쪽으로 돌출된 주동축(27)과, 미션 케이스(17) 앞면측으로부터 앞쪽으로 돌출된 주변속 입력축(28)을 연결하고 있다. 미션 케이스(17) 내에는 유압 무단 변속기, 전후진 스위칭 기구, 주행 부변속 기어 기구 및 후륜용 차동 기어 기구를 배치하고 있다. 엔진(5)의 회전 동력은 주동축(27) 및 동력 전달축(29)을 경유해서 미션 케이스(17)의 주변속 입력축(28)에 전달되고, 유압 무단 변속기 및 주행 부변속 기어 기구에 의해 적당하게 변속된다. 그리고, 상기 변속 동력이 후륜용 차동 기어 기구를 통해서 좌우의 후차륜(4)에 전달된다.
미션 케이스(17)의 앞면 하부로부터 앞쪽으로 돌출된 전차륜 출력축(30)에는, 전차륜 구동축(31)을 통해서 전륜용 차동 기어 기구(도시 생략)를 내장하는 전차축 케이스(13)로부터 뒤쪽으로 돌출된 전차륜 전달축(도시 생략)을 연결하고 있다. 미션 케이스(17) 내의 유압 무단 변속기 및 주행 부변속 기어 기구에 의한 변속 동력은 전차륜 출력축(30), 전차륜 구동축(31) 및 전차륜 전달축으로부터 전차축 케이스(13) 내의 전륜용 차동 기어 기구를 경유해서 좌우 전차륜(3)에 전달된다.
미션 케이스(17)는 주변속 입력축(28) 등을 갖는 전방부 변속 케이스(112)와, 후차축 케이스(19) 등을 갖는 후방부 변속 케이스(113)와, 전방부 변속 케이스(112)의 뒤측에 후방부 변속 케이스(113)의 앞측을 연결시키는 중간 케이스(114)를 구비하고 있다. 중간 케이스(114)의 좌우 측면에 좌우의 상하 기체 연결 축체(115, 116)를 통해서 좌우의 기체 프레임(15)의 후단부를 연결한다. 즉, 2개의 상기체 연결 축체(115)와, 2개의 하기체 연결 축체(116)에 의해 중간 케이스(114)의 좌우 양측면에 좌우의 기체 프레임(15)의 후단부를 연결시켜, 기체 프레임(15)과 미션 케이스(17)를 일체적으로 연설하여 주행 기체(2)의 후방부를 구성한다. 또한, 좌우의 기체 프레임(15) 사이에 전방부 변속 케이스(112) 또는 동력 전달축(29) 등을 배치해서, 전방부 변속 케이스(112) 등을 보호하도록 주행 기체(2)를 구성하고 있다.
또한, 캐빈(7)의 앞측을 지지하는 좌우의 전방부 지지대(96)와, 캐빈(7)의 후방부를 지지하는 좌우의 후방부 지지대(97)를 구비한다. 좌우의 기체 프레임(15)의 기체 외측면 중 전단부에 전방부 지지대(96)를 볼트 체결시키고, 전방부 지지대(96)의 상면측에 방진 고무체(98)를 통해서 캐빈(7)의 앞측 저부를 방진 지지하고 있다. 좌우 방향에 수평으로 연설시키는 좌우의 후차축 케이스(19)의 상면 중 좌우 폭 중간부에 후방부 지지대(97)를 볼트 체결시키고, 후방부 지지대(97)의 상면측에 방진 고무체(99)를 통해서 캐빈(7)의 후측 저부를 방진 지지하고 있다. 따라서, 주행 기체(2)는 복수의 방진 고무체(98, 99)를 통해서 캐빈(7)을 방진 지지하고 있다.
또한, 단면 끝면이 대략 사각통 형상인 후차축 케이스(19)를 사이에 두고 후차축 케이스(19)의 상면측에 후방부 지지대(97)를 배치하고, 후차축 케이스(19)의 하면측에 흔들림 방지 브래킷(101)을 배치하고, 후방부 지지대(97)와 흔들림 방지 브래킷(101)을 볼트(102) 체결하고 있다. 전후 방향으로 연설된 로어 링크(23)의 중간부와 흔들림 방지 브래킷(101)에, 신축 조절 가능한 턴 버클 부착 흔들림 방지 로드체(103)의 양단부를 연결하여 로어 링크(23)의 좌우 방향의 요진을 방지하고 있다.
주행 기체(2) 상에 있는 조종 좌석(8)을 덮는 캐빈(7)은 골조를 구성하는 캐빈 프레임(300)을 구비하고 있다. 캐빈 프레임(300)은 조종 좌석(8)의 전방에 위치하는 좌우 한쌍 전방 지주(301)와, 조종 좌석(8)의 후방에 위치하는 좌우 한쌍의 후방 지주(302)와, 전방 지주(301)끼리의 상단부 사이를 연결하는 전방빔 부재(303)와, 후방 지주(302)끼리의 상단부 사이를 연결하는 후방빔 부재(304)와, 전후로 배열되는 전방 지주(301)와 후방 지주(302)의 상단부 사이를 연결하는 좌우의 측방빔 부재(305)를 구비한 대략 상자 프레임상의 것이다. 캐빈 프레임(301)의 상단측, 즉 전방빔 부재(303), 후방빔 부재(304) 및 좌우의 측방빔 부재(305)로 구성된 직사각형 프레임 상에는 지붕체(306)를 착탈 가능하게 부착하고 있다.
또한, 전방 지주(301)와 후방 지주(302)의 하단측에는 전후로 연장되는 좌우의 바닥 프레임(311)의 길이 방향 각 단부를 연결하고 있다. 좌우의 바닥 프레임(311) 상면측에 바닥판(40)을 장설시키고, 바닥판(40) 전단측에 대시보드(33)를 세워서 설치시키고, 대시보드(33)의 뒷면측에 스티어링 칼럼(32)을 통해서 조종 핸들(9)을 장착 설치하고 있다. 바닥판(40)의 전방부 상면측에 브레이크 페달(35) 등이 설치됨과 아울러, 바닥판(40)의 후방부 상면측에 조종 좌석(8)이 부착되어 있다.
캐빈 프레임(301)의 상단측에 부착한 지붕체(306)의 후방부에는, 캐빈(7) 내의 공기 조절을 관리하는 공기 조화기(364)를 수용하고 있다. 공기 조화기(364)는 엔진(5)의 냉각수를 이용한 난방이나, 엔진에 의해 구동하는 컴프레서(211), 콘덴서(275) 및 에바포레이터 등을 이용한 냉방에 의해, 캐빈(7) 내의 공기 조절(실내 온도)을 조절하는 것이다. 공기 조화기(364)에 접속되는 냉매용 호스(280)가 캐빈 프레임(301)을 따라 전방 하측까지 배관되어 있다.
프론트 윈도우 글래스(321), 리어 윈도우 글래스(322) 및 좌우의 사이드 도어(323)의 배치 구조로부터 분명한 바와 같이, 각 지주(301, 302) 및 각 빔 부재(303, 304, 305)는 캐빈(7)(캐빈 프레임(300))의 측변부에 위치하고 있다. 즉, 캐빈 프레임(300)의 전후 좌우 측면에 창을 넓게 취하는 것이 가능해지고 있다. 실시형태에서는 캐빈 프레임(300)의 전후 좌우 측면에 프론트 윈도우 글래스(321), 리어 윈도우 글래스(322), 투명한 유리로 만든 좌우의 사이드 도어(323)를 배치하고 있다. 그 결과, 오퍼레이터의 전후 좌우의 시계를 넓게 확보할 수 있는 것이면서, 캐빈 프레임(300)의 강성도 확보할 수 있다.
도 11~도 1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디젤 엔진(5)은 엔진 출력축(53)과 피스톤을 내장하는 실린더 블록(54) 상에 실린더 헤드(55)를 탑재하고 있고, 실린더 헤드(55) 우측면에 흡기 매니폴드(56)를 배치하는 한편, 실린더 헤드(55) 좌측면에 배기 매니폴드(57)를 배치한다. 즉, 엔진(5)에 있어서 엔진 출력축(53)을 따르는 양 측면에 흡기 매니폴드(56)와 배기 매니폴드(57)를 나누어서 배치한다. 디젤 엔진(5)에 있어서의 실린더 블록(54) 앞면에 냉각팬(59)을 배치하는 한편, 실린더 블록(54) 뒷면에 플라이 휠(61)을 배치한다. 즉, 엔진(5)에 있어서 엔진 출력축(53)과 교차하는 양측면에, 플라이 휠(61)과 냉각팬(59)을 나누어서 배치한다.
플라이 휠(61)은 플라이 휠 하우징(60) 내에 배치되어 있다. 출력축(53)의 후단측에 플라이 휠(61)을 축 지지한다. 작업 차량의 작동부에 출력축(53)을 통해서 디젤 엔진(5)의 동력을 인출하도록 구성하고 있다. 또한, 플라이 휠 하우징(60)에 엔진 시동용 스타터(69)를 설치하고 있다. 엔진 시동용 스타터(69)의 피니언 기어는 플라이 휠(61)의 링 기어에 맞물리고 있다. 디젤 엔진(5)을 시동시킬 때는, 스타터(69)의 회전력으로 플라이 휠(61)의 링 기어를 회전시킴으로써 출력축(53)이 회전 개시된다(소위 크랭킹이 실행된다). 또한, 라이 휠 하우징(60) 상면에는 기관 다리 부착부(60a)를 설치하고 있다. 기관 다리 부착부(60a)에는 방진 고무를 갖는 후방부 기관 다리체(엔진 마운트)(240)를 볼트 체결 가능하다.
디젤 엔진(5)은, 실린더 블록(54)의 하면에는 오일팬(62)을 배치한다. 오일팬(62) 내의 윤활유는 실린더 블록(54)의 우측면에 배치된 오일 필터(63)를 통해서, 디젤 엔진(5)의 각 윤활부에 공급된다. 또한, 오일 필터(63)는 오일 필터 지지 부재(88)를 통해서 실린더 블록(54)의 우측면에 부착되어 있다. 실린더 블록(54)에 설치된 유로와의 연결구(오일 필터 부착 위치)에 오일 필터 지지 부재(88)의 일측면(좌측면)을 연결시켜서, 오일 필터 지지 부재(88)의 타측면(우측면) 상측에 오일 필터(63)를 부착한다.
오일 필터(63)는 실린더 블록(54)으로의 부착시에 오일 필터 지지 부재(88)를 개재시키고 있다. 그 때문에, 오일 필터(63)는 실린더 블록(54)에 있어서의 본래의 부착 위치보다 상측에 배치되게 되어, 좌우 폭이 좁은 주행 기체(2)에 엔진(5)을 탑재했을 경우라도 주행 기체(2)에 간섭할 일이 없다. 즉, 오일 필터 지지 부재(88)에 의해, 오일 필터(63)는 엔진 프레임(14)보다 상측에 배치된다. 또한, 우측 엔진 커버(232)는 하부 가장자리 일부를 노치 형상으로서 해서, 오일 필터(63) 앞면을 우측 엔진 커버(232)보다 외측으로 돌출시키고 있다. 따라서, 오일 필터(63)에 대하여 액세스하기 쉬워져, 용이하게 오일 필터(63)를 교환할 수 있다.
오일 필터 지지 부재(88)는 그 내부에 유로(도시 생략)를 구비하고 있어, 오일 펌프(도시 생략)에 의해 오일팬(62)으로부터 흡인한 윤활유를 실린더 블록(54)내의 유로(도시 생략)로부터 받아 오일 필터(63)에 공급시킨다. 또한, 오일 필터(63)로 여과한 윤활유를 실린더 블록(54)에 환류시켜서, 엔진(5)의 각 윤활부에 공급시킨다. 이때, 오일 필터(63)로 여과한 윤활유의 일부를, 윤활유 토출구(88b)로부터 윤활유 공급관(89)을 통해서 외부 부품에 공급시킨다. 오일 필터(63)로부터 외부 부품으로의 윤활유 유로 중 일부를 오일 필터 지지 부재(88) 내의 유로로 구성시키기 때문에, 오일 필터 지지 부재(88)에 복수의 기능을 공용화시킬 수 있어 엔진 장치의 구성 부품수를 삭감할 수 있다.
디젤 엔진(5)은 연료를 공급하기 위한 연료 공급 펌프(64)와, 인젝터에 연료를 압송하는 원통상의 커먼 레일(66)과, 연료 탱크(11)로부터의 연료로부터 이물을 제거하는 연료 필터(67)와, 흡기 매니폴드(56)와 연결한 EGR 장치(75)를 그 우측면에 구비한다. 연료 탱크(11)의 연료는 연료 필터(67)를 통해서 연료 공급 펌프(64)에 공급된 후, 연료 공급 펌프(64)로부터 커먼 레일(66)에 압송된다. 따라서, 고압의 연료가 커먼 레일(66)에 축적되기 때문에, 각 인젝터의 연료 분사 밸브를 각각 개폐 제어함으로써 커먼 레일(66) 내의 고압의 연료가 각 인젝터로부터 엔진(5)의 각 기통에 분사된다.
실린더 헤드(55)의 앞면측(냉각팬(59)측)에는 냉각수 윤활용의 냉각수 펌프(71)가 냉각팬(59)의 팬축과 동축상으로 배치되어 있다. 냉각수 펌프(71)는 엔진 출력축(53)의 회전으로 냉각팬(59)과 함께 구동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작업 차량에 탑재된 라디에이터(235) 내의 냉각수가, 냉각수 펌프(71)의 상부에 설치된 서모스탯 케이스(70)를 통해서 냉각수 펌프(71)에 공급된다. 그리고, 냉각수 펌프(71)의 구동으로 냉각수가 실린더 헤드(55) 및 실린더 블록(54)에 형성된 수냉 재킷(도시 생략)에 공급되어, 디젤 엔진(5)을 냉각한다. 디젤 엔진(5)의 냉각에 기여한 냉각수는 라디에이터(235)로 되돌아간다. 또한, 위치 관계상 냉각수 펌프(71)는 냉각팬(59)에 대치하고 있어서, 냉각팬(59)으로부터의 냉각풍이 냉각수 펌프(71)에 닿게 된다. 라디에이터(235) 내의 냉각수가 냉각수 펌프(71)의 구동에 의해, 실린더 블록(54) 및 실린더 헤드(55)에 공급되어 디젤 엔진(5)을 냉각시킨다.
실린더 블록(54)의 좌우측면에는 기관 다리 부착부(74)를 각각 설치하고 있다. 각 기관 다리 부착부(74)에는 방진 고무를 갖는 전방부 기관 다리체(엔진 마운트)(238)를 각각 볼트 체결 가능하다. 실시형태에서는 작업 차량에 있어서의 좌우 한쌍의 엔진 프레임(14)에 실린더 블록(54)을 협지시키도록 실린더 블록(54)측의 기관 다리 부착부(74)를, 각 엔진 프레임(14)에 기관 다리체(238)를 통해서 볼트 체결한다. 이것에 의해, 작업 차량의 양 엔진 프레임(14)이 디젤 엔진(5) 앞측을 지지한다.
흡기 매니폴드(56)의 우측면 입구부에 새 공기(외부 공기)가 공급되는 흡기 연락관(76)을 연결시키고 있고, 흡기 연락관(76)의 흡기 입구측(상류측)에 흡기 스로틀 부재(77)를 설치하고 있다. 또한, 흡기 매니폴드(56)의 상면 입구부에 EGR 밸브 부재(79)를 통해서, 디젤 엔진(5)의 배기가스의 일부(EGR 가스)가 공급되는 재순환 배기가스관(78)을 연결시키고 있다. 그리고, 흡기 매니폴드(56)는 흡기 연락관(76)의 흡기 출구측(하류측) 및 EGR 밸브 부재(79)와의 연결 부분(후방 부분)을 EGR 장치(배기가스 재순환 장치)(75)의 본체 케이스로서 구성하고 있다. 즉, 흡기 매니폴드(56)의 흡기 도입측이 EGR 본체 케이스를 구성하고 있다.
EGR 장치(배기가스 재순환 장치)(75)는 주로 디젤 엔진(5)의 우측, 구체적으로는 실린더 헤드(55)의 우측방에 위치하고 있고, 디젤 엔진(5)의 배기가스의 일부(EGR 가스)와 새 공기를 혼합시켜서 흡기 매니폴드(56)에 공급한다. EGR 장치(배기가스 재순환 장치)(75)는 흡기 매니폴드(56)의 일부로 구성한 EGR 본체 케이스와, 흡기 매니폴드(56)와 연통하는 흡기 연락관(76)과, 흡기 연락관(76)에 설치한 흡기 스로틀 부재(77)와, 배기 매니폴드(57)에 EGR 쿨러(80)를 통해서 접속되는 재순환 배기가스관(78)과, 재순환 배기가스관(80)에 흡기 매니폴드(56)를 연통시키는 EGR 밸브 부재(79)를 구비하고 있다. 엔진(5)은 양측면으로 나누어서 배치한 EGR 쿨러(80)와 EGR 장치(75)를, 환류관로로서 엔진(5) 뒷면(플라이 휠(61)측)을 우회시킨 재순환 배기가스관(78)에 의해 접속한다.
흡기 매니폴드(56)의 흡기 도입측에는, 흡기 연락관(76)을 통해서 흡기 스로틀 부재(77)를 연결하고 있다. 또한, 흡기 매니폴드(56)의 흡기 도입측에는 EGR 밸브 부재(79)를 통해서 재순환 배기가스관(78)의 출구측도 접속하고 있다. 재순환 배기가스관(78)의 입구측은 EGR 쿨러(80)를 통해서 배기 매니폴드(57)에 접속하고 있다. EGR 밸브 부재(79) 내에 있는 EGR 밸브의 개방도를 조절함으로써, 흡기 매니폴드(56)의 흡기 도입측으로의 EGR 가스의 공급량이 조절된다.
상기 구성에 있어서, 흡기 연락관(76) 및 흡기 스로틀 부재(77)를 통해서 흡기 매니폴드(56)의 흡기 도입측에 새 공기를 공급하는 한편, 배기 매니폴드(57)로부터 흡기 매니폴드(56)의 흡기 도입측에 EGR 가스를 공급한다. 외부로부터의 새 공기와 배기 매니폴드(57)로부터의 EGR 가스가 흡기 매니폴드(56)의 흡기 도입측에서 혼합된다. 디젤 엔진(5)으로부터 배기 매니폴드(57)로 배출된 배기가스의 일부를 흡기 매니폴드(56)로부터 디젤 엔진(5)에 환류함으로써, 고부하 운전시의 최고 연소 온도가 저하하여 디젤 엔진(5)으로부터의 NOx(질소산화물)의 배출량이 저감된다.
엔진(5)은 배기 매니폴드(204)로부터의 배기가스에 의해 공기를 압축하는 터보 과급기(81)를 구비한다. 터보 과급기(81)는 블로어 휠을 내장한 컴프레서 케이스(83)를 구비하고 있고, 컴프레서 케이스(83)의 흡기 도입측을 급기관(222)을 통해서 에어클리너(221)의 흡기 배출측과 접속하는 한편, 컴프레서 케이스(83)의 흡기 배출측을 상류측 중계관(223)과 접속한다. 터보 과급기(81)는 터빈 휠을 내장한 터빈 케이스(82)를 구비하고 있어 터빈 케이스(82)의 배기 도입측을 배기 매니폴드(57)의 배기가스 출구와 연결하는 한편, 터빈 케이스(82)의 흡기 배출측을 후처리 장치인 배기가스 정화 장치(52)의 배기가스 입구와 연결한다.
디젤 엔진(5)은 연속 재생식의 배기가스 정화 장치(DPF)(52)를 구비하고 있다. 배기가스 정화 장치(52)는 그 길이 방향 일단측(후방측)의 케이스 외주면에 배기가스 입구관(161)을 설치하고 있고, 상기 배기가스 입구관(161)을 터보 과급기(81)에 있어서의 터빈 케이스(82)의 배기가스 배출측과, 배기 연락관(84)을 통해서 연통시키고 있다. 배기가스 정화 장치(52)에 있어서, 배기가스 입구관(161)이 하방 좌측을 향해서 개구되어 있는 한편, 배기가스 출구관(162)이 우측 위쪽으로 개구되어 있다.
배기가스 정화 장치(52)는 터보 과급기(81)와 연통하고 있는 배기 연락관(84)과 접속하고 있고, 이 배기 연락관(84)은 하단측을 배기 매니폴드(204)에 볼트 체결함으로써 배기가스 정화 장치(52)의 지지체(DPF 지지체)로서 구성하고 있다. 배기 연락관(85)은 터보 과급기(81)에 있어서의 터빈 케이스(82)의 배기 배출측에 배기 도입측을 볼트 체결하는 한편, 배기 배출측을 배기가스 정화 장치(52)의 배기가스 입구(161)에 체결하고 있다. 따라서, 배기 매니폴드(57)와 배기가스 정화 장치(52)는 터보 과급기(81)에 있어서의 터빈 케이스(82)와 배기 연락관(84)을 통해서 연통하고 있다.
엔진(5)은 배기가스 정화 장치(52)를 지지 고정하는 하우징 지지체로서의 출구측 브래킷체(176) 및 입구측 브래킷체(177)를 구비하고 있다. 출구측 브래킷체(176) 및 입구측 브래킷체(177)는 엔진(5)의 실린더 헤드(55)에 있어서 엔진 출력축(53)과 교차하는 앞면측 및 뒷면측으로 나뉘어서 세워서 설치되어 있다. 입구측 브래킷체(177)는 엔진(5)의 뒷면측에 위치하고 있어서, 배기 연락관(84)과 함께 배기가스 정화 장치(52)의 배기 도입측을 지지하고 있다. 출구측 브래킷체(176)는 엔진(5)의 앞면측에 위치하고 있어서, 배기가스 정화 장치(52)의 배기 배출측을 지지하고 있다.
입구측 브래킷체(176)는 실린더 헤드(55)의 뒷면측(플라이 휠 하우징(60)의 상방)에 위치하고 있다. 입구측 브래킷체(176)는 고정 브래킷(제 1 브래킷)(178)의 하단측을 실린더 헤드(5)의 뒷면에 볼트 체결되어 있다. 고정 브래킷(178)의 상단측에는 중계 브래킷(179)을 볼트 체결하고 있다. 중계 브래킷(제 2 브래킷)(179)의 중도부에는 연장 브래킷(제 3 브래킷)(180)의 기단측을 볼트 체결하고, 연장 브래킷(180)의 선단측은 볼트 및 너트를 통해서 가스 정화 하우징(168)의 입구측 덮개체(상류측 덮개체)(169)에 체결되어 있다.
출구측 브래킷체(177)는 실린더 헤드(55)의 앞면측(냉각팬(59)측)에 위치하고 있다. 실시형태의 출구측 브래킷체(177)는 출구측 제 1 브래킷(제 4 브래킷)(181)과 출구측 제 2 브래킷(제 5 브래킷)(182)으로 분리 구성하고 있다. 그리고, 출구측 제 1 브래킷(181)은 실린더 헤드(55) 우측으로부터 상방으로 연장시킴과 아울러, 실린더 헤드(55) 상방에서 좌측으로 굴곡시킨 대략 L자상의 부재로 구성하고 있다. 한편, 출구측 제 2 브래킷(182)은 실린더 헤드(55) 좌측으로부터 상방으로 연설시킴과 아울러, 실린더 헤드(55) 상방에서 우측으로 굴곡시킨 대략 L자상의 부재로 구성하고 있다. 따라서, 출구측 브래킷체(177)는 실린더 헤드(55)의 앞면측에서 대략 문 형태의 형상을 나타내고 있고, 서모스탯 케이스(70)의 후방 위치에서 실린더 헤드(55) 상방을 걸치도록 고정되어 있다.
상기 설명으로부터 분명한 바와 같이, 실시형태의 배기가스 정화 장치(52)는 디젤 엔진(4)의 상방에 있어서, 하우징 지지체인 배기 연락관(84), 입구측 브래킷체(176), 및 출구측 브래킷체(177)를 통해서 엔진(1)의 실린더 헤드(55), 흡기 매니폴드(56) 및 배기 매니폴드(57)에 착탈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또한, 배기가스 이동 방향 상류측(배기 도입측)에 있는 입구측 브래킷체(176) 및 배기 연락관(84)을 실린더 헤드(55)와 배기 매니폴드(57)로 나누고, 배기가스 이동 방향 하류측(배기 배출측)에 있는 출구측 브래킷체(177)(출구측 제 1 브래킷(181) 및 출구측 제 2 브래킷(182))을 실린더 헤드(55)와 흡기 매니폴드(56)로 나눔으로써 배기가스 정화 장치(52)를 4점 지지하고 있다.
고정 브래킷(178)은 상단 부분의 우측면에 볼트 구멍을 갖는 측방 부품 연결부(178c)를 구비하고 있고, 상기 측방 부품 연결부(178c)에 예를 들면, 배기관(227) 등의 외부 부품을 고정하기 위한 부품 고정용 브래킷(배기관 고정 브래킷)(210)이 볼트 체결된다. 출구측 제 1 브래킷(181)의 기단부에는 예를 들면, 공기 조절용 컴프레서(211) 등의 외부 부품을 고정하기 위한 부품 고정용 브래킷(컴프레서 고정 브래킷)(212)을 고정시키는 기단측 부품 연결부(181b)를 구비하고 있다. 출구측 제 1 브래킷(181)의 굴곡부(중도부) 상면에는, 예를 들면 공기 조절용 온수 파이프(203, 204) 등의 외부 부품을 고정하기 위한 부품 고정용 브래킷(온수 파이프 고정 브래킷)(208)을 고정시키는 중도 부품 연결부(181d)를 구비하고 있다. 출구측 제 2 브래킷(182)의 굴곡부(중도부)에는 상류측 중계관(223)이나 차폐판(206) 지지시키기 위한 부품 고정구(차폐판 고정 브래킷)(207)를 고정하기 위한 후방 부품 연결부(182d)를 구비하고 있다.
도 13 및 도 1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트랙터(1)의 보닛(6)은 단면 하향 U자상으로 형성되어있다. 그리고, 보닛(6)의 좌우 모서리부를 정면에서 보아 좌우 외측의 비스듬히 아래쪽으로 경사지도록 모따기한 구성으로 함으로써, 조종 좌석(8)에 착좌한 오퍼레이터의 전방 시계, 특히 보닛(6)의 좌우로부터 앞쪽의 시계를 양호하게 확보하고 있다. 그리고, 보닛(6)의 좌측 내벽면에 대하여 배기가스 정화 장치(DPF)(52) 및 배기 연락관(84)을 대치시키는 한편으로, 보닛(6)의 우측 내벽면에 대하여 흡기 연락관(76)을 대치시킨다. 또한, 배기 연락관(84)을 좌측 엔진 커버(232)에 대향하는 위치에 배치시키는 한편, 흡기 연락관(76)을 우측 엔진 커버(232)에 대향하는 위치에 배치시킨다.
흡기 매니폴드(56)에 새 공기를 공급시키는 중공부를 가진 흡기 연락관(76)을, 상방을 향해서 실린더 헤드(55)측에 경사시킨 구조로 해서 흡기 매니폴드(56)로부터 상방으로 연설시키고 있다. 즉, 흡기 연락관(76)은 상단측으로 되는 새 공기 취입구를 하단측으로 되는 새 공기 배출구에 대하여 엔진(5)의 출력축(53)(엔진(5) 중심 위치) 부근으로 오프셋시키고 있다. 보닛(6)에 있어서의 상방을 향해서 좁아진 형상에 따르게 해서 흡기 연락관(76)을 배치시킴과 아울러, 엔진(5) 상부와 보닛(6) 내면의 사이에서 흡기 스로틀 부재(77)를 흡기 연락관(76)보다 보닛(6)의 중심 위치 근처에 배치할 수 있다. 따라서, 인터쿨러(224)의 새 공기 배출측과 흡기 스로틀 부재(77)를 연통시키는 하류측 중계관(225)을 짧게 설계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방을 향해서 좌우 폭이 좁아지는 보닛(6) 내에 콤팩트하게 수용할 수 있다.
배기 매니폴드(57)로부터의 배기가스를 배기가스 정화 장치(52)에 공급시키는 중공부를 구비한 배기 연락관(84)을, 상방을 향해서 실린더 헤드(55)측으로 경사시킨 구조로 하여 배기가스 정화 장치(52)의 배기가스 입구관(161)에 연결시켜서, 배기가스 정화 장치(52)를 지지시키고 있다. 즉, 배기 연락관(84)은 하단측으로 되는 배기 매니폴드(57)와 연결시킨 하단측의 연결 지지부(84a)에 대하여, 상단측의 배기가스 배출구를 엔진(5)의 출력축(53)(엔진(5) 중심 위치) 근처에 오프셋시키고 있다. 또한, 배기가스 정화 장치(52)는 배기가스 입구관(161)을 하측(입구 플랜지체측)을 향해서 엔진(5) 외측(보닛(6) 내벽측) 근처에 경사시키고 있다.
보닛(6)에 있어서의 상방을 향해서 좁아진 형상에 따르게 해서 배기가스 정화 장치(52) 및 배기 연락관(84)을 배치시킴과 아울러, 엔진(5) 상부와 보닛(6) 내면의 사이에서 배기가스 정화 장치(52)를 엔진(5)의 중심 위치 근처에서 지지할 수 있다. 따라서, 상방을 향해서 좌우 폭이 좁아지는 보닛(6) 내에 배기가스 정화 장치(52)를 콤팩트하게 수용할 수 있다. 또한, 중량물인 배기가스 정화 장치(52)를 엔진(5)의 중심에 맞춰서 지지할 수 있게 되고, 배기가스 정화 장치(52) 탑재에 따른 엔진(5)의 진동이나 소음 등의 증대를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배기가스 정화 장치(52)를 상기 엔진(5)에 장착함으로써 보닛(6) 형상으로의 영향을 적게 할 수 있고, 보닛(6) 형상을 복잡화하지 않아도 된다.
도 14 및 도 1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엔진 출력축(53) 심선과 교차하는 끝면에 배치시킨 플라이 휠(61)을 덮는 플라이 휠 하우징(60)을 높이(H1)보다 폭(W1)을 좁힌 형상으로 구성하고 있다. 플라이 휠 하우징(60)의 폭을 좁힌 형상으로 함으로써, 좌우 폭이 좁은 주행 기체(2)에 대하여 플라이 휠 하우징(60)을 간섭시키지 않고 엔진(5)을 탑재시킬 수 있다. 또한, 주행 기체(2)에 있어서 기체 엔진 프레임(15)이 스페이서(293)를 통해서 엔진 프레임(14) 외측에 설치되기 때문에, 좌우 엔진 프레임(14)간의 폭에 대하여 좌우 기체 엔진 프레임(15)간의 폭이 넓어진다. 한편, 엔진(5)은 플라이 휠 하우징(61)을 후방에 배치하고, 기체 프레임(15)과 연결하는 미션 케이스(17)의 주변속 입력축(28)과 플라이 휠(61)을 연결시킨다. 따라서, 엔진(5)에 있어서 좌우 폭이 가장 넓은 플라이 휠 하우징(61)을 기체 프레임(15) 사이에 충분히 배치할 수 있고, 진동계의 다른 주행 기체(2)에 플라이 휠 하우징(61)이 충돌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기 때문에 엔진(5)의 고장이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
플라이 휠 하우징(61)은 원의 좌우를 노치와 동시에 상부에 대좌상의 기관 다리 부착부(60a)를 돌출시킨 외형을 구비하고 있고, 상부의 기관 다리 부착부(60a)를 후방부의 기관 다리체(240)를 통해서 주행 기체(2)와 연결시키고 있다. 플라이 휠 하우징(61)을 폭이 좁은 주행 기체(2)에 탑재 가능하게 할 뿐만 아니라, 주행 기체(2)와 연결 가능한 대좌상의 기관 다리 부착부(60a)를 구성하고 있다. 따라서, 고강성을 구비하는 플라이 휠 하우징(61)으로 주행 기체(2)와 연결함으로써 엔진(5)의 지지 구조에 의한 강성을 보상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좌우 한쌍의 기체 프레임(15)을 가교하는 지지용 빔 프레임(236) 상방에 문 형상의 엔진 지지 프레임(237)을 설치하고, 플라이 휠 하우징(61)과 엔진 지지용 빔 프레임(237)을 전후로 나란히 배치시킨다. 그리고, 엔진 지지 프레임(237) 상면에 방진 고무(239)를 통해서 기관 다리체(238)의 후방을 연결시키는 한편으로, 기관 다리체(238) 전방의 플라이 휠 하우징(61) 상에 있어서의 기관 다리 부착부(60a) 상면에 연결시킨다.
이어서, 도 4~도 10 및 도 13~도 27을 참조하면서, 보닛(6)을 포함하는 엔진룸 프레임의 구성에 대하여 설명한다. 우선, 도 16 및 도 17 등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보닛(6)은 전방부 하측에 프런트 그릴(231)을 형성하여 엔진룸 전방을 덮는다. 보닛(6)의 좌우 하측에 다공판으로 형성한 엔진 커버(232)를 배치하고, 엔진룸 좌우 측방을 덮고 있다. 즉, 보닛(6) 및 엔진 커버(232)에 의해, 디젤 엔진(5)의 전방, 상방 및 좌우를 덮고 있다.
도 16 및 도 17 등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보닛(6)은 앞면 중앙 위치에 프런트 그릴(231)을 구비하고 있고, 보닛(6) 상측의 천장부는 전방으로부터 후방을 향해서 비스듬하게 위쪽으로 경사시킨 형상을 구비하고 있다. 프런트 그릴(231)은 중심의 프레임체(231a)에 의해 고정되는 좌우 한쌍의 방진망(231b)을 구비한다. 보닛(6)은 천장부의 후방 하측의 공간이 넓어져, 보닛(6) 내부의 엔진룸에 있어서 배기가스 정화 장치(52)를 수용하는 공간을 크게 형성할 수 있다. 또한, 보닛(6)은 좌우 측면부 각각의 전방에 개구 구멍(268)을 갖고 있어, 좌우 한쌍의 개구 구멍(268)을 통해서 보닛(6)의 좌우 양측으로부터 냉각풍을 도입한다. 또한, 보닛(6)은 천장부 전방에도 좌우 한쌍의 그물상의 개구 구멍(270)을 형성하고 있어, 좌우 한쌍의 개구 구멍(270)을 통해서 보닛(6)의 앞측 상방으로부터도 냉각풍을 도입한다. 개구 구멍(268, 270)은 그물상의 방진망으로 덮여져 있다.
도 16~도 20 등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좌우 한쌍으로 되는 엔진 프레임(전방부 프레임)(14)은 그 전단측 내측면을 프레임 연결 부재(12)의 좌우 외측면과 연결하고 있다. 프레임 연결 부재(12)는 직사각형상의 금속 주물로 구성되어 있고, 이 프레임 연결 부재(12)로 가설한 엔진 프레임(14) 상에 디젤 엔진(5)을 지지시킨다. 엔진 프레임(14) 전단측 상방을 덮도록 프레임 바닥판(233)을 좌우의 엔진 프레임(14) 상부 가장자리 및 앞범퍼(12) 상면에서 가설시키고 있다. 프레임 바닥판(233)의 후단에는 엔진(5)의 하측 전방을 덮는 언더커버(296)를 배치하고 있다. 언더커버(296)는 그 전단을 프레임 바닥판(233)과 연결시키는 한편으로, 그 후방 좌우측 가장자리 각각을 좌우의 엔진 프레임(14)과 연결하고 있다. 언더커버(296)는 프레임 바닥판(233)의 후단으로부터 엔진 프레임(14)의 하단을 향해서 연설시킨 앞측 부분과, 엔진(5) 하방에서 앞측으로 연설시킨 후측 부분으로 구성되어 있다.
프레임 바닥판(233)의 하면이 좌우의 엔진 프레임(14)의 측면과, 전후에 배치되어 있는 연결 브래킷(233a, 233b)을 통해서 연결되어 있다. 또한, 프레임 바닥판(233)을 전후 2분할시킨 전방 바닥판(233x)과 후방 바닥판(233y)으로 구성되어 있다. 전방 바닥판(233x) 하면의 좌우 가장자리측이, 좌우 한쌍의 엔진 프레임(14)의 측면과 일단을 연결하고 있는 연결 브래킷(233a)의 타단 전방에 연결됨과 아울러, 전방 바닥판(233x) 앞측이 프레임 연결 부재(12)에 체결되어 있다. 또한, 후방 바닥판(233y)은 전방 하면의 좌우 가장자리측을 좌우 한쌍의 연결 브래킷(233a)의 타단 후방과 연결함과 아울러, 전방 하면의 좌우 가장자리측을 좌우 한쌍의 연결 브래킷(233b)의 타단과 연결하고 있다.
프레임 바닥판(233)은 그 좌우 중심 영역에 개구 구멍(233z)을 구비하고 있다. 개구 구멍(233z)은 프레임 바닥판(233)의 전방 바닥판(233x)에 형성되어 있고, 그물상의 방진망으로 덮여져 있다. 즉, 보닛(6) 및 프레임 바닥판(233)은 각각 엔진(5)의 냉각팬(59)보다 전방이 되는 위치에 개구부(231b, 233a, 268, 270)를 갖고 있고, 냉각팬(59)의 구동에 의해 보닛(6) 및 프레임 바닥판(233) 각각의 개구부(231b, 233z, 268, 270)로부터 냉각풍을 보닛(5) 내의 엔진룸에 도입한다.
보닛(6) 및 프레임 바닥판(233)을 개구시킴으로써, 냉각팬(59) 전방의 한정된 구성에 있어서 냉각팬(59)을 통과시키는 공기 유량보다 개구 면적을 넓힐 수 있다. 이것에 의해, 냉각팬(59) 내를 통과시키는 냉각 공기의 유속을 억제할 수 있어 엔진룸 내의 냉각 공기를 최적으로 제어할 수 있고, 엔진룸 내에서의 역류를 방지할 뿐만 아니라 엔진(5)측으로 냉각 공기를 효과적으로 유도할 수 있다. 또한, 프레임 바닥판(233)의 개구부(233z)를 그물상으로 함으로써 엔진룸 내로의 진애의 침입을 방지할 수 있음과 아울러, 엔진(5) 정지 후에는 진애를 자체 중량으로 낙하시킬 수 있다.
또한, 프레임 연결 부재(12) 상방이 되는 위치에 프레임 바닥판(233)의 개구부(233z)를 배치시킨다. 프레임 바닥판(233)의 개구부(233z) 하방에 주행 기체(2)의 프레임 연결 부재(12)를 배치하기 때문에 개구부(233z)를 통해서 엔진룸 내에 외기가 유입될 때, 프레임 연결 부재(12)에 의해 진애나 진흙의 침입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엔진(5)을 지지하는 엔진 프레임(14)을 금속 주물로 이루어지는 프레임 연결 부재(12)로 고정함으로써, 엔진(5)의 지지 구조를 강화할 수 있다.
도 16~도 20 등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엔진 제어 장치(엔진 ECU)(271)는 후술하는 라디에이터(235) 등의 열교환기의 전방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엔진 ECU(271)는 엔진(5)의 각 센서로부터의 센서 신호를 수신함과 아울러 엔진(5)의 구동을 제어한다. 엔진 제어 장치(271)의 길이 방향을 주행 기체(2)의 전후 방향(엔진 프레임(14)의 길이 방향)을 따르게 해서 프레임 바닥판(235)에 세워서 설치시키고 있다. 즉, 엔진 ECU(271)는 프레임 바닥판(233)의 전방 바닥판(233x) 상을 세워서 설치하고 있고, 그 좌우 폭이 좁아지도록 보닛(6) 앞면 이면측이 되는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길이 방향을 전후 방향으로 해서 엔진 ECU(271)를 배치함으로써, 냉각팬(59)에 의해 엔진룸 내를 전후 방향으로 흐르는 냉각 공기에 대하여 엔진 ECU(271)의 설치 방향을 따르게 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엔진 ECU(271)가 냉각 공기의 이동에 대한 차폐 면적을 저감할 수 있기 때문에 엔진(5)으로의 냉각 공기 유량의 저하를 억제할 수 있고, 엔진룸 내를 적정한 온도로 유지할 수 있다.
또한, 프레임 바닥판(233x)은 엔진 ECU(271)의 입설 위치 근방이며, 개구부(233z)보다 후방 위치에 하네스 도통 구멍(233w)을 갖고 있다. 엔진 ECU(271)에 접속되는 하니스(도시 생략)는 하네스 도통 구멍(233w)을 통해서 주행 기체(2)의 바닥측으로 안내되어, 후방의 엔진(5)이나 배터리(272) 등과 접속된다. 엔진 ECU(271)를 전방 바닥판(233x)에 배치함과 아울러, 전방 바닥판(271)에 하니스 도통 구멍(233x)을 형성함으로써 전방 바닥판(233x)에 의해 엔진 ECU(233x)를 1유닛으로 구성할 수 있어, 조립성을 향상할 수 있다.
또한, 엔진 ECU(271)를 보닛(6) 앞면에 좌우 대칭으로 설치한 방진망(개구부)(231b)의 사이가 되는 위치이며 또한 프레임 바닥판(233)의 개구부(233z) 상방에 배치시키고 있다. 즉, 엔진 ECU(271)는 프런트 그릴(231)의 프레임대(231a) 이면측에 배치되어 있고, 프레임 바닥판(233)의 개구부(233z)의 좌우 중심을 걸치도록 하여 전방 바닥판(233x) 상에 기립하고 있다. 엔진 ECU(271)를 보닛(6)의 개구부(231b)와 겹치지 않는 위치에 배치할 수 있기 때문에, 엔진 ECU(271)에 의해 냉각 공기 유입용의 개구 면적을 좁힐 일이 없어진다. 또한, 프레임 바닥판(233)의 개구부(233z) 상방에 엔진 ECU(271)를 배치함으로써, 엔진 ECU(271)의 냉각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도 16~도 20 등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팬 슈라우드(234)를 배면측에 부착한 라디에이터(235)를, 엔진(5)의 앞면측에 위치하도록 프레임 바닥판(233)의 후방 바닥판(233y) 상에 세워서 설치하고 있다. 팬 슈라우드(234)는 냉각팬(59)의 외주측을 둘러싸고 있고, 라디에이터(235)와 냉각팬(59)을 연통시키고 있다. 라디에이터(235)는 기립한 상태에서 프레임 바닥판(233)에 고정된 직사각형상의 라디에이터 프레임(260) 내측에 의해 지지되어 있다. 라디에이터 프레임(260)은 앞면에 방진망(260a)을 설치하고 있어, 프레임체상의 라디에이터 프레임(260) 내로의 진애 등의 침입이 방지되어 있다. 또한, 라디에이터 프레임(260)은 내측의 라디에이터(235)를 둘러싸도록 하여 프레임 바닥판(233) 상에서 고정됨과 아울러, 팬 슈라우드(234)와도 연결되어 있다.
도 19 및 도 2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라디에이터(235)의 앞면측에는 체 프레임(226)을 프레임 바닥판(233)의 후방 바닥판(233y) 상에 세워서 설치시키고 있다. 체 프레임(226)은 에어클리너(221)를 지지하는 에어클리너 지지 프레임(261)을 구비하고 있다. 에어클리너 지지 프레임(261)은 굴곡시킨 막대상 프레임으로, 일단을 후방 바닥판(233y)에 연결시킴과 아울러 타단을 라디에이터 프레임(260)에 연결시키고 있다. 에어클리너(221)가 에어클리너 지지 프레임(261)의 상방에 고정되어 있고, 에어클리너(221) 하방 위치에서는 연료 냉각용의 연료 쿨러(273)가 에어클리너 지지 프레임(261)에 고정되어 있다.
또한, 체 프레임(226)은 문 형상으로 굴곡해서 프레임 바닥판(233y) 상에 양단을 고정한 문 형상 프레임(262)을 구비한다. 문 형상 프레임(262)은 좌우 양단(하단)을 프레임 바닥판(233y)에 연결시켜서, 라디에이터 프레임(260)과 에어클리너 지지 프레임(261)의 사이에서 세워서 설치되어 있다. 문 형상 프레임(262) 상프레임의 좌우 중심 부분이, 에어클리너 지지 프레임(261)의 상하 도중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 또한, 에어클리너 지지 프레임(261)은 문 형상 프레임(262)과의 연결 부분보다 상측에서 에어클리너(221)를 지지하고, 문 형상 프레임(262)과의 연결 부분보다 하측에서 연료 쿨러(273)를 지지한다.
문 형상 프레임(262)은 후방(라디에이터(235)측)에서 윤활유 냉각용의 오일 쿨러(274)를 지지하는 한편, 전방(연료 쿨러(273)측)에서 냉매 냉각용의 콘덴서(275)를 지지한다. 또한, 에어클리너 지지 프레임(261)의 상단측에 고정된 인터쿨러 연결용 브래킷(263)과 문 형상 프레임(262) 상프레임에 의하여 인터쿨러(224)를 상하에서 협지하고, 오일 쿨러(274) 상방에 인터쿨러(224)를 지지하고 있다. 또한, 인터쿨러(224) 전방에는 문 형상 프레임(262) 상프레임과 인터쿨러 연결용 브래킷(263)에 의하여, 방진망(263a)이 협지 지지되어 있다.
콘덴서(275)는 케이스 일체형으로 구성되어 있고, 냉매를 기액 분리시키는 리시버 드라이어(276)를 케이스 측면에 연결 고정시키고 있음과 아울러 케이스 앞면에 방진망(27a)을 구비하고 있다. 바닥판 프레임(233)으로부터 세워서 설치시키고 있는 에어클리너 지지 프레임(261)은 콘덴서(275) 상방에서 비스듬히 후방으로 만곡시키고, 또한 인터쿨러(224) 상방에서 후방으로 굴곡시키고 있다. 따라서, 에어클리너(221)는 전후 방향에 있어서 콘덴서(275)와 일부 겹치는 위치에서, 콘덴서(275)의 상방에 위치하도록 에어클리너 지지 프레임(261)에 의해 지지되어 있다.
도 16~도 18 등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라디에이터(235) 앞면에 냉각팬(59)과의 오프셋 부분의 압손이 작아지도록 해서 인터쿨러(224)를 비롯한 복수의 열교환기를 배치하고 있다. 이것에 의해, 팬 슈라우드(234) 내를 흐르는 냉각풍의 유속 분포를 평준화시켜서, 팬 슈라우드(234) 내에서의 차압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다. 따라서, 라디에이터(235) 내에 있어서의 냉각풍의 역류를 방지할 수 있고, 라디에이터(235)에서의 냉각 효율을 높일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라디에이터(235) 전방 상측에 인터쿨러(224)를 배치하는 한편, 라디에이터(235) 전방 하측에 윤활 오일을 냉각시키는 오일 쿨러(274)를 배치하고, 오일 쿨러(274) 전방에 콘덴서(275)를 배치했다. 이 배치에 의해, 냉각팬(59)과 라디에이터(235)의 오프셋 영역의 압손을 작게 함으로써 냉각풍의 도입하기 쉬운 구조로 해서, 냉각팬(59)에 가해지는 부하를 저감할 수 있다.
또한, 에어클리너(221)가 인터쿨러(224) 전방에서 인터쿨러(224)로부터 이간한 위치에 고정되어 있다. 에어클리너(221)와 인터쿨러(224)를 이간시킨 배치로 함으로써 라디에이터(235) 상방에 공간을 형성하고, 냉각풍을 라디에이터(235)까지 유입하기 쉬운 구조로 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보닛(6) 하의 엔진룸 내에 있어서의 냉각풍의 유속 분포를 높이 방향에서 평준화할 수 있고, 냉각풍의 역류 등을 억제할 수 있다.
도 18~도 21 등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라디에이터(235) 전방에서 에어클리너(221)와 콘덴서(275)가 상하가 되도록 배치하고 있어, 콘덴서(275)를 좌우 방향으로 인출 가능하게 하고 있다. 즉, 문 형상 프레임(262) 상프레임 앞측에 레일(262a)을 설치하는 한편으로, 프레임 바닥판(233)의 레일(262a) 직하가 되는 위치에 레일(262b)을 설치한다. 그리고, 상하의 레일(262a, 262b)에 대하여, 콘덴서(275) 배면 상하 가장자리를 록킹함으로써 콘덴서(275)를 문 형상 프레임(262)과 후방 바닥판(233y)에서 좌우 방향으로 슬라이드 가능하게 협지된다.
또한, 콘덴서(275)는 공기 조절용 컴프레서(211) 및 공기 조화기(364)와 접속되는 냉매용 호스(277, 278)를 연결시킨 리시버 드라이어(276)와 일체로 구성되어 있다. 냉매용 호스(277, 278)는 팬 슈라우드(235)나 인터쿨러 연결용 브래킷(263)에 의해 록킹되도록 해서 파지되어 있다. 냉매용 호스(277, 278)의 록킹을 분리하는 것만으로 콘덴서(275)의 인출이 가능해져서, 냉매용 호스(277, 278)를 리시버 드라이어(276)로부터 분리할 필요가 없다. 이와 같이, 엔진룸 내에 있어서 에어클리너(221) 하방의 공간을 이용해서 콘덴서(275)를 인출함으로써, 콘덴서(275) 후방 공간으로의 액세스가 용이해진다. 따라서, 콘덴서(275) 후방의 제진 작업 등의 메인터넌스 작업의 번잡함을 해소할 수 있다.
라디에이터(235) 앞면에 있어서, 인터쿨러(224)와 오일 쿨러(274)를 상하로 겹쳐서 배치하고 있고, 상단의 인터쿨러(224)를 고정하는 문 형상 프레임(고정 프레임)(262) 내에 오일 쿨러(274)를 세로축 둘레로 회동 가능하게 고정하고 있다. 즉, 문 형상 프레임(262)의 좌우 프레임 중 어느 한쪽에 축지지 부재(262c)를 설치하고 있고, 오일 쿨러(274)의 좌우 측면의 한쪽을 세로축 주위로 축지지하여 오일 쿨러(274)를 문 형상 프레임(262)에 대하여 개폐 가능하게 설치하고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콘덴서(275)가 우측면에 설치된 리시버 드라이어(276)와 함께 우측 방향으로 인출되기 때문에, 문 형상 프레임(262)의 우측 프레임에 오일 쿨러(274)를 축지지하고 있다. 인출 가능한 콘덴서(275) 후방에서 오일 쿨러(274)를 세로축 주위로 회동 가능하게 설치했기 때문에, 작업자는 냉각풍의 흐름에 의해 진애가 쌓이기 쉬운 라디에이터(235) 앞면 하방으로 액세스하기 쉬워져 메인터넌스 작업의 번잡함을 해소할 수 있다.
도 4~도 10 및 도 1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류측 중계관(223) 및 하류측 중계관(225)은 각각 엔진(5) 양측면에 나누어서 배치되어 있고, 엔진(5) 전방의 체 프레임(226)에 설치되는 인터쿨러(224)에 접속하도록 엔진(5)의 전방 상측을 향해서 연설되어 있다. 또한, 에어클리너(221)를 체 프레임(226) 앞면 상측에 배치하고, 에어클리너(221)와 접속하는 급기관(222)이 체 프레임(226) 상방을 걸치도록 해서, 엔진(5) 좌측면 후방으로 연설된다. 그리고, 엔진(5)의 흡기 연락관(76)의 새 공기 취입측이 흡기 스로틀 부재(77)를 통해서, 하류측 중계관(225)과 연통하고 있다. 또한, 엔진(5)의 터빈 과급기(81)는 컴프레서 케이스(83)의 새 공기 취입측을 급기관(222)과 연통시키고 있는 한편으로, 컴프레서 케이스(83)의 새 공기 배출측을 하류측 중계관(225)과 연통시키고 있다.
상기 구성에 의해, 에어클리너(221)에 취입된 새 공기(외부 공기)는 에어클리너(221)에서 제진·정화된 후, 급기관(222)을 통해서 터보 과급기(81)의 컴프레서 케이스(83)에 흡인된다. 터보 과급기(81)의 컴프레서 케이스(83)에서 압축된 가압 새 공기는 중계관(223, 225) 및 인터쿨러(224)를 통해서 EGR 장치(75)의 EGR 본체 케이스에 공급된다. 한편, 배기 매니폴드(57)로부터의 배기가스의 일부(EGR 가스)가 EGR 쿨러(80)에서 냉각된 후, 재순환 배기가스관(78)를 통해서 EGR 장치(75)의 EGR 본체 케이스에 공급된다.
또한, 보닛(6) 하의 엔진룸 내에 있어서, 급기관(222) 및 상류측 중계관(223)과 하류측 중계관(225)을 좌우로 나누어서 배치함으로써, 터보 과급기(81)와 흡기 매니폴드(56)를 좌우로 나누어 배치시키고 있는 엔진(5)에 대하여 효율적으로 배관할 수 있다. 따라서, 공기 유로용 각 배관(222, 223, 225)을 엔진(5)보다 외측에 무리없이 배치함으로써 엔진(5) 및 배기가스 정화 장치(52)의 배기 열에 의거하는 가온을 억제하고, 배관 내를 통과하는 공기로의 열적 영향을 저감할 수 있다. 엔진룸 전방에 배치되는 인터쿨러(224)를 새 공기 출구측과 새 공기 입구측을 좌우로 나누어서 배치할 수 있다. 따라서, 엔진(5)과의 연통시키는 상류측 중계관(223) 및 하류측 중계관(225) 각각을 단축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엔진룸 내 전방에 있어서 인터쿨러(224)를 콤팩트하게 수용할 수 있다.
도 13~도 15 및 도 27 등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좌우의 기체 프레임(15)의 전단측은 스페이서(297)를 통해서 좌우의 엔진 프레임(14) 후단측과 연결되어 있고, 좌우의 기체 프레임(15)이 좌우의 엔진 프레임(14)을 협지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지지용 빔 프레임(236)의 기체 프레임(15)과의 연결면(외측면)은, 스페이서(297)의 기체 프레임(15)과의 연결면(외측면)과 동일면으로 된다. 이 지지용 빔 프레임(236)은 좌우의 기체 프레임(15) 각각과 볼트 체결해서 좌우의 기체 프레임(15)을 가설하고 있고, 그 상면에 엔진 지지 프레임(237)을 탑재하고 있다. 엔진 지지 프레임(237)은 그 하단면을 지지용 빔 프레임(236)의 상면과 볼트 체결함으로써, 지지용 빔 프레임(236)과 함께 디젤 엔진(5)의 플라이 휠(61)을 둘러싸는 형상이 된다.
디젤 엔진(5)은 그 좌우측면 하측에 설치한 기관 다리 부착부(74)를, 방진 고무(239)를 갖는 기관 다리체(238)를 통해서 좌우 한쌍의 엔진 프레임(14) 중도부에 설치한 엔진 지지 브래킷(298)과 연결하고 있다. 디젤 엔진(5)은 뒷면의 플라이 휠 하우징(60) 상부에 설치한 기관 다리 부착부(60a)를, 방진 고무(241)를 갖는 기관 다리체(엔진 마운트)(240)를 통해서 엔진 지지 프레임(237) 상면과 연결하고 있다.
좌우 한쌍의 엔진 프레임(14)의 중도부 외측에 연결된 엔진 지지 브래킷(298) 상부에, 방진 고무(239)를 하측으로 해서 기관 다리체(238)를 볼트 체결하고 있다. 좌우 한쌍의 기관 다리체(238)에 의해 디젤 엔진(5)을 엔진 프레임(14)으로 협지해서, 디젤 엔진(5) 앞측을 지지시키고 있다. 디젤 엔진(5)의 뒷면을 지지용 빔 프레임(236), 엔진 지지 프레임(237), 및 기관 다리체(240)를 통해서 좌우 한쌍의 기체 프레임(15)의 전단측에 연결해서, 기체 프레임(15) 전단에서 디젤 엔진(5) 후측을 지지시키고 있다. 좌우의 전방부 방진 고무(239)와, 좌우의 후방부 방진 고무(241)에 의하여, 디젤 엔진(5)이 주행 기체(2)에 지지되게 된다.
도 22~도 24 등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좌우 한쌍의 지주 프레임(242, 243)이 엔진 지지 프레임(237) 상면에서, 기관 다리체(240)를 좌우로부터 끼우도록 세워서 설치하고 있다. 보닛(6) 후방을 덮는 보닛 실드판(차폐판)(244)이 그 아래 가장자리를 기관 다리체(240) 상면으로부터 이간되도록, 좌우 한쌍의 지주 프레임(242, 243)과 연결되어 있다. 빔 프레임(248)을 팬 슈라우드(234) 및 보닛 실드판(244) 각각의 상부에서 가설시킨다. 주행 기체(2)로 안정 지지시킨 팬 슈라우드(234) 및 보닛 실드판(244)을 한쌍의 빔 프레임(248)에 의해 가설시켜서 연결하기 때문에, 이들 부재가 일체적으로 되어 전체로서 견뢰한 엔진룸 프레임체를 구성할 수 있다.
보닛 실드판(244)의 좌우 양측을 굴곡시킴으로써 엔진룸의 좌우 후방을 덮는 한편으로 캐빈(7) 앞면과의 사이에 공간을 구성하기 때문에, 엔진룸 내의 엔진(5)으로부터 발생하는 소음이 캐빈(7)(조종 좌석(8))에 전파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보닛 실드판(244)이 평면에서 볼 때에 좌우 양측을 전방으로 경사시킨 형상을 구성하고 있으므로, 보닛(6) 하의 엔진룸과 캐빈(7)으로 둘러싸여지는 공간 중 좌우의 영역이 넓어진다. 그 때문에, 도 7 등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리시버 드라이어(276) 및 공기 조절용 컴프레서 컴프레서(211)와 접속하고 있는 엔진룸측의 냉매용 호스(277, 279)를, 캐빈(7)의 공기 조화기(364)와 접속하고 있는 복수의 냉매용 호스(280)와 연결시킬 때, 보닛 실드판(244) 후방에서의 연결 작업이 용이해진다.
보닛 실드판(244)은 좌우 한쌍의 지주 프레임(242, 243)에 앞면을 고정시켜서 캐빈(7)의 프론트 윈도우 글래스(321) 앞면과 대략 평행으로 퍼지는 후방 실드면(제 1 실드면)(245)과, 후방 실드면(245)의 좌우 가장자리로부터 앞쪽 방향을 향해서 경사시킨 좌우 한쌍의 측방 실드면(제 2 및 제 3 실드면)(246, 247)으로 구성된다. 또한, 좌우 측방 실드면(246, 247)은 지주 프레임(242, 243)의 중도부와도 연결되어 있어, 보다 강고하게 지지되어 있다.
보닛 실드판(244)은 지주 프레임(242, 243)에 의해, 프론트 윈도우 글래스(321) 앞면으로부터 이간한 위치에 배치된다. 그리고, 좌우의 측방 실드면(246, 247)이 경사지고 있음으로써 보닛 실드판(244)의 좌우 가장자리를 프론트 윈도우 글래스(321)로부터 더욱 전방으로 이간시켜, 보닛 실드판(244) 후방의 좌우 위치에 있어서 캐빈(7)과의 공간을 넓힐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보닛 실드판(244)은 평면에서 볼 때에 굴곡시킨 형상을 갖고 있다. 즉, 보닛 실드판(244)의 좌우 양 가장자리를 중앙 부분보다 앞측에 배치시키기 위해, 보닛 실드판(244)의 좌우 양측을 전방으로 굴곡시키고 있다. 보닛(6) 하의 엔진룸에 있어서의 열이 보닛 실드판(244)에 의해 차열됨으로써, 엔진룸 후방의 캐빈(7)(조종 좌석(8))이 엔진룸으로부터의 배기 열에 의해 가온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캐빈(7)에 있어서의 오퍼레이터는 엔진(5)이나 배기가스 정화 장치(52)의 배기 열의 영향을 받지 않고 쾌적하게 조종 가능해진다.
보닛(6) 내측에 있어서, 보닛(6) 배면측에 보닛 실드판(244)을 배치해서, 적어도 배기가스 정화 장치(52) 및 배기관(227)의 배면을 덮는다. 보닛 실드판(244)은 좌우 한쌍의 지주 프레임(242, 243)으로부터 좌우로 돌출된 형상을 가짐으로써, 적어도 디젤 엔진(5)의 배면을 덮는다. 그리고, 엔진룸 배면측에 있어서 보닛 실드판(244) 우측의 영역이 개방되어 있고, 상기 영역에서 배기관(227)과 테일 파이프(229)가 접속되어 있다. 우측방 실드면(247)의 우방 하측을 노치함으로써, 배기관(227)과 테일 파이프(229)를 접속하기 위한 쾌방 영역을 형성하고 있다.
보닛(6)의 배면을 보닛 실드판(244)으로 덮음으로써 보닛(6) 하의 엔진룸에 있어서의 열이 보닛 실드판(244)에 의해 차열되어서, 캐빈(7)측이 엔진룸으로부터의 배기 열에 의해 가온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캐빈(7) 내에 있어서의 오퍼레이터는 디젤 엔진(5)이나 배기가스 정화 장치(52)의 배기 열의 영향을 받지 않고, 쾌적하게 조종 가능해진다. 보닛 실드판(244)을 캐빈(7) 앞면으로부터 이간시켜서 배치함으로써, 보닛(6) 후방에 배치되는 캐빈(7)과 보닛 실드판(244)의 사이에 단열층을 형성하고 있다.
도 22~도 2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좌우 한쌍의 지주 프레임(242, 243)을 보닛 실드판(244)의 굴곡 부분에 끼워진 중앙 영역(후방 실드면(245))과 연결시키고 있고, 지주 프레임(242, 243)과 팬 슈라우드(235)를 빔 프레임으로 가설시키고 있다. 주행 기체(2)로 안정 지지된 팬 슈라우드(235) 및 지주 프레임(242, 243)을 빔 프레임(248)에 의해 가설시켜서 연결하기 때문에, 이들 부재가 일체적으로 되어 전체로서 견뢰한 엔진룸 프레임체를 구성할 수 있다.
지주 프레임(242, 243) 상단측에, 보닛 지지 브래킷(255)을 설치하고 있다. 그리고, 보닛 지지 브래킷(255)에 보닛(6) 후방 부분에 설치한 힌지 부재(253)와 연결함으로써, 지주 프레임(242, 243) 상단측에서 보닛(6) 후방을 회동 지지한다. 보닛 지지 브래킷(255)은 좌우 양 가장자리를 굴곡시킨 형상을 갖고, 지주 프레임(242, 243) 앞측에 고착시키고 있다. 보닛 지지 브래킷(255)은 좌우 양 가장자리를 후방을 향해서 굴곡시킨 ㄷ자 형상(U자 형상)으로 구성되어 있고, 양단을 지주 프레임(242, 243)에 접속시킴과 아울러 그 앞면을 빔 프레임(248)의 후단측에 접속시킨다. 즉, 빔 프레임(248)은 보닛 지지 브래킷(255)을 통해서 지주 프레임(242, 243)과 연결되어 있다.
빔 프레임(248)은 빔 프레임(248)의 우측 가장자리를 보닛(6) 중심 위치보다 우측에 위치하도록 전후로 연설되어 있다. 그리고, 엔진(5) 상방에 있어서, 빔 프레임(248)과 보닛(6)의 내측 측면의 사이에 배기가스 정화 장치(52)를 위치시키기 위해서, 배기가스 정화 장치(52)를 빔 프레임(248)을 따라 배치시키고 있다. 빔 프레임(248)과 보닛(6)의 내측 측면의 사이에 배기가스 정화 장치(52)를 위치시키기 때문에, 배기가스 정화 장치(52) 주변 공간이 넓어져서 엔진(6) 상방에 있어서의 부품 장착이나 메인터넌스에 있어서의 번잡함을 해소할 수 있다.
차열판(250)이 보닛(6) 하에서 빔 프레임(248)의 중도부로부터 후방을 덮도록 해서, 엔진(5) 상방에 설치되어 있다. 빔 프레임(248)의 중도부와 후단 각각에, 살 프레임(251, 252)을 좌우 양측으로 연설시키고 있다. 즉, 앞측 살 프레임(251)이 빔 프레임(248)의 중도부 상측에서 고정되어, 빔 프레임(248)의 좌우로 연설되어 있다. 뒷측 살 프레임(252)이 빔 프레임(248)의 후단 상측에서 고정되어, 빔 프레임(248)의 좌우로 연설되어 있다. 그리고, 차열판(250)의 전후 양 가장자리가 전후 한쌍의 살 프레임(251, 252)에 고착되어 있다. 차열판(250)은 엔진(5) 상측의 배기가스 정화 장치(52) 및 배기관(227) 상부를 덮도록 배치되어 있다. 배기가스 정화 장치(52) 및 배기관(227)과 보닛(6)의 사이에 차열판(250)을 배치함으로써, 엔진룸으로부터의 배기 열에 의한 보닛(6)의 가온을 방지할 수 있다.
엔진(5) 상부에 탑재한 배기가스 정화 장치(52)를 보닛(6) 후방 내측에 위치시키고 있고, 보닛(6)과 배기가스 정화 장치(52)의 사이에 차열판(250)을 배치하고 있다. 배기가스 정화 장치(52) 상에 차열판(250)을 배치함으로써, 배기가스 정화 장치(52) 및 디젤 엔진(5)의 배기 열에 의한 보닛(6)의 가온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보닛(6)과 차열판(250)의 사이에 공간을 형성해서, 차열판(250) 하측의 엔진룸 내를 외기로부터 단열하여 배기가스 정화 장치(52)를 고온 환경에서 동작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차열판(250)에 추가해서 보닛(6) 배면측에 배치해서 적어도 배기가스 정화 장치(52)를 배면으로부터 덮는 보닛 실드판(244)을 구비하고 있다. 보닛(6) 하의 엔진룸에 있어서의 열이 차열판(250)과 함께 보닛 실드판(244)에 의해 차열됨으로써, 캐빈(7) 내가 엔진룸으로부터의 배기 열에 의해 가온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보닛 실드판(244)과 차열판(250)의 사이에 간격을 형성함으로써, 보닛(6) 하의 엔진룸 내에 열기를 차기 어렵게 해서 배기가스 정화 장치(52) 자체나 보닛(6) 등에 대한 열해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다.
보닛(6) 하방에 있어서의 차열판(250)의 좌우 양측에, 신축 가능한 가스 스프링(보닛 댐퍼)(256, 256)을 배치하고 있다. 좌우 한쌍의 가스 스프링(256, 256) 각각의 일단(후단)은 엔진룸 프레임체에 피봇 부착되어 있고, 가스 스프링(256, 256) 각각의 타단(전단)은 보닛(6) 상부 내측면에 피봇 부착되어 있다. 연장 프레임(249)은 빔 프레임(248)의 후단을 중심으로 해서 좌우로 연설시킨 형상을 갖고, 뒷측 살 프레임(252)의 좌우 양단과 연결되어 있다.
즉, 연장 프레임(249)은 빔 프레임(248)의 후단측에서 빔 프레임(248) 및 뒷측 살 프레임(252)과 일체화되어 있다. 그리고, 연장 프레임(249)의 좌우 양단에서, 뒷측 살 프레임(252)의 좌우단보다 전방 위치에서, 좌우 한쌍의 가스 스프링(256, 256) 각각의 일단(후단)을 피봇 부착하고 있다.
또한, 가스 스프링(256)의 돌출 작용에 의해, 보닛(6)이 개방 위치에 유지된다. 따라서, 보닛(6)의 전방부를 들어 올림으로써 보닛 실드판(244)의 상단 위치를 축지지 점으로 해서 보닛(6)을 개동시켜서 개방하면, 가스 스프링(256)에 의해 보닛(6)을 개방 상태로 유지할 수 있기 때문에 디젤 엔진(5)의 메인터넌스 작업 등을 실행할 수 있다.
도 22 및 도 25 등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좌측 엔진 커버 프레임(257)은 전단으로부터 후단을 향해서 상방으로 경사시킨 형상을 구비하고 있다. 좌측 엔진 커버 프레임(257)은 후단을 보닛 실드판(244)의 좌측방 실드면(246)의 좌측 가장자리에, 전단을 좌측 엔진 프레임(14) 측면에 접속된 연결 브래킷(259)에 각각 연결시키고 있다. 또한, 연결 브래킷(259)은 프레임 바닥판(233)과 전방부 기관 다리체(238)의 사이가 되는 위치에서 엔진 프레임(14)에 고정되어 있다. 좌측 엔진 커버(232)는 좌측 엔진 커버 프레임 전후단부 및 중도부와 연결됨과 아울러, 엔진 지지 프레임(237)의 좌측면과 연결해서 보닛(6) 좌측면의 하측에 고정되어 있다.
우측 엔진 커버 프레임(258)은 전단을 좌측 엔진 프레임(14) 측면에 접속된 연결 브래킷(259)에 연결시키고 있고, 후방을 향해서 상측으로 경사시킨 후에 하측으로 굴곡시킨 형상을 구비하고 있다. 우측 엔진 커버 프레임(258)은 후단을 전단과 동등한 높이 위치로 하고 있어, 우측 엔진 커버 프레임(258)의 양단이 엔진 커버 프레임(258)에 고정된 하측 플레이트(258a)와 연결되어 있다. 또한, 엔진 커버 프레임(259)은 굴곡부에 상측 플레이트(258b)의 일단을 접속하고 있다.
우측 엔진 커버(232)는 좌측 엔진 커버 프레임 전후단부 및 상측 플레이트(258b)의 타단과 연결해서, 보닛(6) 우측면의 하측에 고정되어 있다. 우측 엔진 커버(232)는 하부 가장자리의 일부를 노치한 형상을 구비하여, 엔진(5)의 오일 필터(63)를 외측으로 돌출할 수 있도록 구성하고 있다. 또한, 우측 엔진 커버(232)의 전후 방향 길이는 좌측 엔진 커버(233)보다 짧고, 우측 엔진 커버(232) 후방에서 배기관(227)과 테일 파이프(229)가 접속되어 있다.
도 16, 도 17 및 도 2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엔진(5)의 좌측면을 덮는 다공상의 차폐판(205)을 배기가스 정화 장치(DPF)(52) 하방에 배치하고 있다. 차폐판(205)은 배기 매니폴드(57), 터보 과급기(81), 및 배기 연락관(84)을 덮도록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엔진(5)에 있어서의 고열원 부품을 차폐판(205)으로 덮게 된다. 따라서, DPF(52)에 공급되는 배기가스를 고온으로 유지할 수 있고, DPF(52)에 있어서의 재생 능력의 저하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차폐판(205)을 다공상으로 함과 아울러, 마찬가지로 다공상의 좌측 엔진 커버(232)에 대향하게 해서 배치함으로써 엔진(5)에 의해 가온된 공기의 일부를 차폐판(205) 및 엔진 커버(232)를 통해서 외부로 배기할 수 있어, 비교적 고온으로 되는 엔진(5)의 좌측면 측에서의 열체류를 방지할 수 있다.
차폐판(205)은 배기 연락관(84)의 배기가스 취입구측에(터보 과급기(81)의 터빈 케이스(82)와의 연결부측) 볼트 체결됨과 아울러, 차폐판 고정 브래킷(207)을 통해서 출구측 제 2 브래킷(182)의 후방 부품 연결부(182d)에 연결하여 엔진(5)으로 지지되어 있다. 또한, 차폐판 고정 브래킷(207)은 인터쿨러(224)의 새 공기 취입구와 터보 과급기(81)의 컴프레서 케이스(83)를 연통시키는 상류측 중계관(223)과도 연결되어 있어, 상류측 중계관(223)도 엔진(5)의 출구측 제 2 브래킷(182)으로 지지되어 있다.
도 16 및 도 17 및 도 2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배기 매니폴드(57) 하방에는 엔진(5)의 일측방과 연결시킨 차열 부재(206)를 설치하고, 차열판(206) 하방에 엔진 시동용 스타터(69)를 배치시키고 있다. 실린더 블록(54)의 좌측면에 연결시킨 차열 부재(206)는 엔진 시동용 스타터(69)와 EGR 쿨러(80)의 사이 위치에서 엔진 커버(232)를 향해서 세워서 설치시키고 있다. 따라서, 전기기기인 시동용 스타터(69) 상방을 차열 부재(206)로 덮음으로써 고온으로 되는 배기 매니폴드(57) 등으로부터의 방열에 의한 시동용 스타터(69)로의 열적 영향을 저감하여, 전기기기인 시동용 스타터(69)의 고장을 방지할 수 있다.
도 2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라디에이터(235)는 상방의 냉각수 배출구에 냉각수 공급관(201)을 통해서 서모스탯 케이스(70)의 냉각수 취입구와 연통시키고 있고, 하방의 냉각수 취입구에 냉각수 리턴관(202)을 통해서 냉각수 펌프(71)의 냉각수 배출구와 연통시키고 있다. 라디에이터(235) 내의 냉각수가 냉각수 공급관(201) 및 서모스탯 케이스(70)를 통해서 냉각수 펌프(71)에 공급된다. 그리고, 냉각수 펌프(71)의 구동으로 냉각수가 실린더 블록(54) 및 실린더 헤드(55)에 형성된 수냉 재킷(도시 생략)에 공급되어, 엔진(5)을 냉각시킨다. 엔진(5)의 냉각에 기여한 냉각수는 냉각수 리턴관(202)을 통해서 라디에이터(235)로 되돌아간다.
또한, 서모스탯 케이스(70) 및 냉각수 펌프(71)는 각각 온수 파이프(203, 204)와도 접속하고 있어, 엔진(5)의 냉각에 기여한 냉각수(온수)를 캐빈(7)의 공기 조화기(364)에 순환시킨다. 이것에 의해, 캐빈(7)의 공기 조화기(364) 내를 온수가 순환함으로써 공기 조화기(364)로부터 캐빈(7) 내에 온풍이 공급되게 되고, 캐빈(7) 내의 온도를 오퍼레이터의 소망 온도로 조절할 수 있다.
서모스탯 케이스(70) 상방에서 우측으로 굴곡시킨 냉각수 입구는 엔진(5) 전방에 팬 슈라우드(234)를 통해서 배치되는 라디에이터(235) 상방의 냉각수 토출구(냉각수 배출구)와, 냉각수 공급관(201)을 통해서 연통하고 있다. 또한, 냉각수 펌프(71)의 냉각수 배출구는 냉각수 펌프(71) 본체로부터 우측으로 돌출된 형상으로 되어 있고, 라디에이터(235) 하방의 냉각수 취입구와 냉각수 리턴관(202)을 통해서 연통하고 있다. 라디에이터(235)와 접속시키는 냉각수 공급관(201) 및 냉각수 리턴관(202)을 엔진(5) 우측에 모아서 배치하게 되기 때문에, 냉각수에 대한 엔진(5)로부터의 배기 열에 의한 열적 영향을 억제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조립 분해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2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공기 조화기(364)에 온수(냉각수)를 순환시키는 온수 파이프(203, 204) 각각이 서모스탯(70) 및 냉각수 펌프(71)와 접속하고 있다. 온수 파이프(203, 204)는 배기가스 정화 장치(52)의 우측방 위치에서 후방으로 연설되어, 캐빈(7) 내의 공기 조화기(364)와 접속된다. 즉, 서모스탯(70) 및 냉각수 펌프(71)의 우측에서 접속한 온수 파이프(203, 204)는 각각, 상하로 겹치도록 해서 모아서 후방으로 연설되고 있다. 또한, 온수 파이프(203, 204)는 출구측 제 1 브래킷(181)의 굴곡부(중도부)(181c) 상방을 통과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온수 파이프(203, 204)는 온수 파이프 고정 브래킷(208)을 통해서 출구측 제 1 브래킷(181)의 굴곡부(181c)에 있어서의 중도 부품 연결부(181d)에 연결되어, 엔진(5)에 의해 지지되어 있다.
도 29 및 도 30 등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DPF(52)는 가스 정화 하우징(168) 내를 흐르는 배기가스 온도를 검출하는 온도 센서(186, 187)를 구비하고 있다. 온도 센서(186, 187)는 예를 들면, 서미스트형의 온도 센서이며, 가스 정화 하우징(168) 내에 삽입됨과 아울러 측정 신호를 출력하는 배선 커넥터(190, 191)를 갖는다. 온도 센서(186, 187) 각각의 배선 커넥터(190, 191)는 온수 파이프 고정 브래킷(208)에 고정된다. 온수 파이프 브래킷(208)은 L자상으로 굴곡시킨 판 형상으로 구성되어 있고, DPF(52)에 대하여 평행이 되도록 출구측 제 1 브래킷(181)의 굴곡부(181c)로부터 세워서 설치하고 있다.
도 30 및 도 32 등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온수 파이프 고정 브래킷(208)의 좌측면(DPF(52)측)에 온수 파이프(203, 204)를 고정시키는 한편으로, 온수 파이프 고정 브래킷(208)의 우측면(DPF(52)와 반대측)에 배선 커넥터(190, 191)를 고정시킨다. 엔진(5) 냉각 기여 후의 냉각수(온수)를 공기 조화기(364) 등의 외부 장치에 공급시키는 온수 파이프(203, 204)를 DPF(52)측에 설치함으로써, 외부 장치에 공급시키는 냉각수 온도의 저하를 방지할 수 있다. 온수 파이프 고정 브래킷(208)의 외측면에 세워서 설치시킴으로써, DPF(52)로부터의 배기 열에 대한 차열 효과가 얻어진다. 온수 파이프 고정 브래킷(208)을 사이에 두고 DPF(52)의 반대측에 전기 부품인 배선 커넥터(190, 191)를 배치할 수 있기 때문에, 엔진(5) 및 DPF(52) 각각으로부터의 배기 열에 의한 영향을 저감할 수 있어 가열에 의한 고장을 방지할 수 있음과 동시에, 출력 신호에 있어서의 노이즈 중첩을 억제할 수 있다.
도 30~도 32 등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DPF(52)는 매연 필터(164)를 사이에 두고 상류측 및 하류측간의 배기가스의 압력차를 차압 센서(192)로 검출시키기 위해, 가스 정화 하우징(168)의 매연 필터(164)의 전후 위치에 센서 배관(188, 189)을 연결시키고 있다. 차압 센서(192)에 의해 검출된 압력차에 의거하여 매연 필터(164)의 입자상 물질의 퇴적량이 환산되어, DPF(52) 내의 막힘 상태를 파악할 수 있도록 구성하고 있다. 엔진(5) 전방에 배치되어서 냉각팬(59)을 둘러싸는 팬 슈라우드(234)에, 차압 센서(192)를 부착하는 센서 브래킷(209)을 설치하고 있다.
센서 브래킷(209)은 팬 슈라우드(234)의 뒷면보다 후방을 향해서 돌출되어 있고, 센서 배관(188, 189)과 연결시키고 있는 센서 보스체(175)보다 상측이며, DPF(52)의 우측이 되는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차압 센서(192)는 센서 브래킷(209) 상면에 고정되어 있고, 센서 배관(188, 189) 각각이 센서 브래킷(209) 하측으로부터 접속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센서 브래킷(209)에 고정되는 차압 센서(192)는 DPF(52)보다 높은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팬 슈라우드(234) 상방에, DPF(52) 내의 내부 환경을 측정하는 센서(192)를 고정시키고 있기 때문에, 엔진룸 내의 냉각 공기의 이동 방향에 따라 상류측에 센서(192)를 배치할 수 있다. 그 때문에, 엔진(5) 및 DPF(52) 각각으로부터의 배기 열에 의한 영향을 저감할 수 있고, 가열에 의한 센서(192)의 고장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DPF(52)의 내부 환경을 정상으로 파악해서, 엔진(5)을 최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DPF(52)의 배기가스 출구관(162)을 냉각팬(59)측에 설치하고 있고, DPF(52) 내에 설치한 정화 필터(164) 전후의 압력차를 측정하는 압력 센서(63)를 팬 슈라우드(234) 상방에 고정시키고 있다. DPF(52)를 엔진(5)의 출력축(53)을 따르는 방향에 설치하고, 그 배기 출구측에 설치한 정화 필터(164) 전후의 압력을 측정하는 압력 센서(63)를 배기 출구 근방으로 되는 팬 슈라우드(234) 상방에 배치할 수 있다. 따라서, 압력 센서(63)와 DPF(52)의 사이에 설치하는 압력 측정용 배관(188, 189)을 짧게 할 수 있기 때문에, 압력 센서(234)에 의한 측정 오차를 저감할 수 있다.
도 3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의 트랙터(1)는 캐빈(7)의 공기 조화기(364)에 공급하는 냉매를 압축하는 공기 조절용 컴프레서(211)를 구비하고 있다. 공기 조절용 컴프레서(212)는 엔진(5)의 출력축(53)의 전단측에서 컴프레서용 V벨트(72c)를 통해서 동력 전달되어, 엔진(5)에 의해 구동된다. 공기 조절용 컴프레서(211)는 엔진(5)의 전방 우측에서, 냉각수 펌프(71)보다 높은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공기 조절용 컴프레서(211)는 연료 공급 펌프(64) 전방에 접속되어 있는 연장 브래킷(64a)에 일단이 접속된 컴프레서 고정 브래킷(212) 상에 적재되어 있다.
컴프레서 고정 브래킷(212)은 L자상으로 굴곡시킨 형상을 구비하고 있고, 그 상면에 공기 조절용 컴프레서(211)를 고정 배치시킨다. 컴프레서 고정 브래킷(212)은 그 하측 일단을 연장 브래킷(64a)에 연결시킴과 아울러, 그 상측 타단을 출구측 제 1 브래킷(181)의 기단부에 있어서의 기단측 부품 연결부(181b)에 연결시켜서 엔진(5)에 의해 지지되어 있다. 또한, 엔진(5) 전방 좌측에는 컴프레서용 V벨트(72c)를 인장하는 풀리(213)를 배치하고 있다. 컴프레서용 V벨트가 권회되는 풀리(213)는 서모스탯 케이스(71)에 연결되어서 엔진(5) 전방으로 돌출된 위치 조정 브래킷(214)의 앞 가장자리에서 위치 조정 가능하게 고정되어 있다.
도 5, 도 8~도 10, 도 27, 도 31, 및 도 32 등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배기가스 정화 장치(52)는 그 길이 방향 타단측(전방측)의 케이스 외주면에 배기가스 출구관(162)을 설치하고 있고, 상기 배기가스 출구관(162)을 배기관(227)과 연결한다. 배기관(227)은 디젤 엔진(5)의 전방 좌측으로부터 후방 우측을 향해서 엔진(5) 상방을 걸치도록 배치되어 있다. 또한, 배기관(227)은 배기가스 정화 장치(52)와 하류측 중계관(225)의 사이가 되는 위치에서, 배기가스 정화 장치(52) 및 하류측 중계관(225)과 대략 평행이 되도록 해서 설치되어 있다.
엔진(5) 상방에 있어서, 배기가스 정화 장치(52)와 배기관(227)을 엔진(5)의 출력축과 평행으로 되도록 해서 좌우로 나란히 배치하고 있다. 즉, 배기가스 정화 장치(52)가 엔진(5) 상면의 좌측을 덮는 한편으로, 배기관(227)이 디젤 엔진(5) 상면의 우측을 덮도록 배기가스 정화 장치(52) 및 배기관(227)을 배열하여 배치하고 있다. 또한, 배기관(227)보다 우측에 인터쿨러(224)와 흡기 연락관(76)을 연통시키는 하류측 중계관(225)을 설치하고, 고온으로 되는 배기가스 정화 장치(52)에 의한 하류측 중계관(225)으로의 열적 영향을 방지하고 있다.
배기가스 정화 장치(52)의 배기측과 접속하는 배기관(제 1 배기관)(227)은 디젤 엔진(5)의 후방 우측에서 테일 파이프(제 2 배기관)(229)의 배기가스 도입구에 삽입되어 있다. 테일 파이프(229)는 캐빈(7)의 전방 우측에 있어서, 하방으로부터 상방을 향해서 배기가스 배출측을 향해서 연설시킴과 아울러, 캐빈(7)의 하측에서 디젤 엔진(5)을 향해서 굴곡시킨 J자 형상을 갖고 있다. 또한, 배기관(227)은 테일 파이프(229)로의 삽입 부분보다 상방 외주면에, 우산 형상의 상면 커버체(228)를 구비한다. 이 상면 커버체(228)는 배기관(227)의 외주면에 방사상으로 고정됨으로써 테일 파이프(229)의 배기가스 취입구를 덮고, 테일 파이프(229) 내로의 진애나 빗물의 침입을 방지한다.
테일 파이프(229)는 하방의 굴곡 부분이 기체 프레임(15) 상방을 내측으로부터 외측으로 걸치도록 형성되어 있다. 또한, 테일 파이프(229)는 기체 프레임(15) 내측에 설치한 배기가스 도입구를 상방에 형성하고 있어, 상기 배기가스 도입구에 배기관(227)의 배기가스 배출구가 삽입된다. 즉, 테일 파이프(229)와 배기관(227)의 접속 부분은 이중관 구조로 되어 있어, 배기관(227)으로부터 테일 파이프(229)에 배기가스를 유입시킴과 동시에, 배기관(227)으로부터 테일 파이프(229)와의 사이의 틈으로부터 외기를 유입시킴으로써 테일 파이프(229) 내를 흐르는 배기가스를 냉각시킨다. 또한, 테일 파이프(229)는 차열판(230)으로 덮여진 구성으로 되어 있다. 보닛(6)의 좌우 하측에, 다공판으로 형성한 엔진 커버(232)를 배치하여, 엔진룸 좌우 측방을 덮고 있다.
도 30~도 3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DPF(52) 외주면의 전방 우측에서 위쪽으로 설치된 배기가스 출구관(162)에 배기관(227)이 연결되어 있다. 배기관(227)은 배기가스 이동 방향을 따라 후방으로 굴곡시켜서, DPF(52)와 평행으로 되도록 배치되어 있다. 또한, 배기관(227)은 배기가스 배출구를 아래쪽으로 되도록 배기가스 이동 하류측에 있어서 하측으로 굴곡시키고 있다. 이 배기관(227)의 배기가스 배출구가 캐빈(7)에 고정되어 있는 테일 파이프(229)의 배기가스 취입구에 삽입된다. 또한, 배기관(227)의 중도부 외주에는 고정용 연결 부재(210a)를 구비하고 있다. 배기관(227)은 배기관 고정 브래킷(210)을 통해서. 고정용 연결 부재(210a)를 고정 브래킷(178)의 브래킷 연결부(178b)에 연결함으로써 엔진(5)에 지지된다.
트랙터(1)는 DPF(52)의 배기가스 출구관(162)과 연결됨과 아울러 엔진(5)에 고정시킨 배기관(제 1 배기관)(227)과, 배기관(227)의 하류측에 설치됨과 아울러 주행 기체(2)에 고정시킨 테일 파이프(제 2 배기관)(229)를 구비한다. 테일 파이프(229)의 내경을 배기관(227)의 외경보다 굵게 해서, 배기관(227)의 배기 출구측을 테일 파이프(229)의 배기 입구에 삽입해서 연통시키고 있다. 배기관(227) 및 테일 파이프(229) 각각을 다른 진동계가 되는 엔진(5)과 주행 기체(2) 및 캐빈(7)의 각각에 연결 고정하고 있기 때문에, 배기관(227) 및 테일 파이프(229)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테일 파이프(229)의 배기 입구에 배기관(227)을 삽입시킨 구성으로 함으로써 테일 파이프(229)에는 배기관(227)으로부터의 배기가스와 함께 외기를 유입시킬 수 있고, 외부로 배출하는 배기가스를 냉각시킬 수 있다.
또한, U자 형상으로 구성한 테일 파이프(229)를 조종 좌석(8) 전방에서 고정시키고 있다. 즉, 테일 파이프(229)는 고정 브래킷(229a)을 통해서, 캐빈(7)의 캐빈 프레임(300)의 전방 하측에 연결 고정되어 있다. 또한, 캐빈(7)은 주행 기체에 설치된 전방부 지지대(96) 및 후방부 지지대(97)에 의해 캐빈 프레임(300) 하방의 네 모퉁이가 고정 지지되어 있다. 또한, 캐빈(7)의 우측방 하측에, 전원 공급하는 배터리(272)를 구비하고 있다.
테일 파이프(229)의 하측에 배수용의 드레인 구멍(229b)을 형성함과 아울러, 드레인 구멍(229b)의 하측을 후방으로부터 덮는 풍향판(229c)을 테일 파이프(229) 하측에 연결시키고 있다. 드레인 구멍(229b)을 풍향판(229c)으로 덮음으로써, 풍향판(229b)에 의한 덮임이 없는 전방(캐빈(7)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배수시킬 수 있다. 또한, 드레인 구멍(229b)은 배터리(272)보다 내측(좌측)에 형성되어 있고, 풍향판(229)에 의해, 드레인 구멍(229b)의 좌우 및 후방(전방 이외의 3방향)이 덮여 있다. 따라서, 테일 파이프(229) 내의 고온으로 되는 물을 외부로 배수했을 때에, 테일 파이프(229) 근방에 설치된 하니스나 배터리(272) 등의 내열성 또는 내수성이 낮은 부품에 대한 열해나 물 젖음에 의한 고장 등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엔진(5)으로부터의 배기가스가 배기가스 정화 장치(DPF)(52) 내를 엔진(5)의 출력축을 따라 흐르도록, DPF(52)의 배기가스 출구관(162) 및 배기가스 입구관(161) 각각을 전후로 나누어서 배치하고 있다. DPF(52)의 앞측에 배치한 배기가스 출구관(162)에 배기관(제 1 배기관)(227)의 배기 입구를 연결시키고 있다. 그리고, 후방을 향해서 배기관(제 1 배기관)(227)을 엔진(5) 상방에서 DPF(52)와 병설시킴과 아울러, DPF(52) 및 배기관(제 1 배기관)(227)을 차열판(250)으로 덮고 있다. DPF(52) 및 배기관(제 1 배기관)(227)을 차열판(250)으로 덮는 구성으로 함으로써, 엔진룸을 덮는 보닛(6)에 대하여 엔진룸으로부터의 배기 열에 의한 가온을 방지할 수 있다.
도 34~도 38을 참조하여, 엔진룸 내에 있어서의 열교환기의 배치에 관해서 변형예를 이하에 설명한다. 도 34 및 도 3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보닛(6)으로 덮여진 엔진룸 내에 있어서, 엔진(5) 앞면에 설치한 냉각팬(59) 외주를 둘러싸는 팬 슈라우드(234)로 라디에이터(235) 배면을 덮고 있다. 그리고, 라디에이터(235) 전방에서 인터쿨러(224)와 오일 쿨러(274)를 상하로 겹쳐서 배치하고 있고, 상단의 인터쿨러(224)를 고정하는 문 형상 프레임(고정 프레임)(262) 내에 하단의 오일 쿨러(274)를 세로축 주위로 회동 가능하게 고정하고 있다.
또한, 도 34 및 도 3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단의 인터쿨러(224) 전방에서 인터쿨러(224)와 이간시킨 위치에 에어클리너(221)를 배치함과 아울러, 상단의 오일 쿨러(274) 전방에서 에어클리너(221)보다 하측에 콘덴서(275)를 배치하고 있다. 콘덴서(275)는 에어클리너(221)와 오일 쿨러(274)의 사이가 되는 위치에 배치되어 있고, 전후축 주위로 회동 가능한 구성으로 바닥판 프레임(233) 상에 세워서 설치되어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콘덴서(275)의 우측 하단에 힌지부(275a)를 설치하고 있고, 힌지부(275a)의 축체(275b)를 전후 방향으로 되도록 해서 바닥판 프레임(233)과 연결시켜서 힌지부(275a)의 축체(275b)를 축으로 해서 콘덴서(275)를 회동 가능하게 하고 있다. 또한, 리시버 드라이어(276)는 콘덴서(275)와 연결되어 있어, 콘덴서(275)와 일체로 회전한다.
도 3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에어클리너 지지 프레임(261)은 L자상으로 굴곡시킨 막대 형상 프레임이며, 콘덴서(275)에 있어서 바닥판 프레임(233)에 대하여 수직으로 세워서 설치시킨 상단측을 후방을 향해서 수평으로 굴곡시켜서 구성하고 있다. 따라서, 도 3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콘덴서(275)를 우측 하단의 힌지부(275a)를 축심으로 해서 회동시켰을 경우, 콘덴서(275)의 좌측 상단을 에어클리너 지지 프레임(261)의 굴곡부 하측을 빠져나가도록 해서 콘덴서(275)를 회전시킬 수 있다. 그리고, 콘덴서(275) 후방의 오일 쿨러(274)는 그 좌우측면의 한쪽을 세로축 주위에 축지지되어 있고, 문 형상 프레임(262)에 대하여 개폐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본 변형예에서는 에어클리너(221)와 인터쿨러(224) 사이의 공간을 이용해서 콘덴서(275)를 회전시킴으로써, 오일 쿨러(274)까지의 액세스를 용이한 것으로 할 수 있다. 또한, 고정된 에어클리너(221) 및 인터쿨러(224)를 회피해서 오일 쿨러(274) 및 콘덴서(275)를 회동 가능하게 배치할 수 있던 점에서 라디에이터(235)에 액세스할 때에 분리하는 부품이 적어지기 때문에, 메인터넌스 작업의 번잡함을 해소할 수 있다. 또한, 에어클리너(221)와 인터쿨러(224)를 이간시킨 배치로 함으로써 라디에이터(235) 상방에 공간을 형성하여, 냉각풍을 라디에이터(235)까지 유입하기 쉬운 구조로 된다. 이것에 의해, 엔진룸 내에 있어서의 냉각풍의 유속 분포를 높이 방향에서 평준화할 수 있고, 역류 등을 억제할 수 있다.
도 36 및 도 3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라디에이터(235) 배면을 덮는 팬 슈라우드(234)로 냉각팬(59) 외주를 둘러싸고, 냉각팬(59) 중심을 라디에이터(235)중심보다 하측으로 오프셋해서 배치하고 있다. 그리고, 라디에이터(235) 전방에 있어서 복수의 열교환기(인터쿨러(224), 오일 쿨러(274), 및 콘덴서(275))를 상하로 겹쳐서 배치한다. 이때, 하측에 배치된 열교환기(오일 쿨러(274) 및 콘덴서(275))의 개수보다 상측에 배치된 열교환기(인터쿨러(224))의 개수가 적다. 즉, 라디에이터(235) 전방에 인터쿨러(224)와 오일 쿨러(274)를 상하로 겹쳐서 배치함과 아울러, 인터쿨러(224) 및 오일 쿨러(274)의 전방 하단에 콘덴서(275)를 배치한다.
냉각팬(59)과 라디에이터(235)의 오프셋 영역의 압손을 작게 함으로써, 팬 슈라우드(234) 내를 흐르는 냉각풍의 유속 분포를 평준화시킨다. 이것에 의해, 팬 슈라우드(234) 내에서 상하 방향의 차압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기 때문에 라디에이터(235)로의 냉각풍의 역류를 방지할 수 있고, 라디에이터(235)에서의 냉각 효율을 높일 수 있다. 또한, 냉각팬(59)과 라디에이터(235)의 오프셋 영역의 압손을 작게 함으로써, 엔진(5)을 향해서 냉각풍의 도입하기 쉬운 구조로 해서 냉각팬(59)에 가해지는 부하를 저감할 수 있다. 또한, 인터쿨러(224) 전방에서 인터쿨러(224)와 이간시킨 위치에 에어클리너(221)를 고정 배치하고 있다. 이것에 의해, 라디에이터 상방에 공간을 형성하여 냉각풍을 라디에이터까지 유입하기 쉬운 구조가 되고, 엔진룸 내에 있어서의 냉각풍의 유속 분포를 높이 방향에서 평준화할 수 있어 역류 등을 억제할 수 있다.
도 3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팬 슈라우드(234)는 라디에이터(235) 배면 전체를 덮는 입구측 개구(234x)를 구비한 제 1 프레임체부(234a)와, 냉각팬(59) 외주를 덮는 출구측 개구(234y)를 구비한 제 2 프레임체부(234b)를 전후로 연속시킨 형상을 갖고 있다. 그리고, 팬 슈라우드(234)는 입구측 개구 면적이 출구측 개구 면적보다 넓게 구성되어 있고, 입구측 개구(234x)의 상부 가장자리에 비해서 출구측 개구(234y)의 상부 가장자리를 하방에 배치하고 있다. 도 3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팬 슈라우드(234)에 있어서의 입구측 개구(234x)로부터 출구측 개구(234y)까지의 단면을 벨 마우스 형상으로 하고 있다.
도 3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팬 슈라우드(234)는 단면이 넓은 제 1 프레임체부(234a)로부터 단면이 좁은 제 2 프레임체부(234b)로의 접속 부분에 있어서, 냉각팬(59) 상측의 오프셋 부분을 완만한 곡면으로 형성시키고 있다. 이것에 의해, 팬 슈라우드(234)는 냉각팬(59) 상측의 오프셋 부분에 있어서의 난류의 발생을 억제하고, 팬 슈라우드(234) 내의 냉각풍의 유속 분포를 평준화할 수 있다. 따라서, 냉각팬(59)에 의해 유도시키는 냉각 풍량을 최적화할 수 있기 때문에, 엔진룸 내에 냉각풍을 도입하기 쉬운 구조로 해서 냉각팬(59)의 회전수를 억제하고, 저소음화를 도모할 수 있다.
도 36~도 3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팬 슈라우드(234)의 출구측 개구(234y)에 링팬으로 구성한 냉각팬(59) 전단을 삽입하고 있다. 냉각팬(59)은 중심의 보스부(59a)로부터 복수의 날개(59b)를 방사상으로 설치하고 있고, 각 날개(59b)의 외측 단부(날개단)를 링상의 프레임체(59c)로 연결하고 있다. 냉각팬(59)을 팬 슈라우드(234)의 출구측 개구(234y)로부터 삽입하면, 냉각팬의 프레임체(59c) 외주면을 팬 슈라우드(234)의 출구측 개구(234y)의 안쪽 가장자리에 근접시키게 된다. 따라서, 냉각팬(59)에 있어서, 팬 슈라우드(234)에 도입된 냉각 공기가 프레임체(59c)로 흘러들어 온다. 이와 같이, 냉각팬(59)을 링팬으로 구성함으로써 엔진(5)을 향해서 냉각 공기를 유도하기 쉬워져, 엔진룸의 냉각 효과를 높일 수 있다.
또한, 본원 발명에 있어서의 각 부의 구성은 도시의 실시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본원 발명의 취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여러 가지로 변경이 가능하다.
1 : 트랙터 2 : 주행 기체
5 : 디젤 엔진 6 : 보닛
7 : 캐빈 14 : 엔진 프레임
15 : 기체 프레임 52 : 배기가스 정화 장치(DPF)
54 : 실린더 블록 55 : 실린더헤드
56 : 흡기 매니폴드 57 : 배기 매니폴드
59 : 냉각팬 60 : 플라이 휠 하우징
60a : 기관 다리 부착부 63 : 오일 필터
70 : 서모스탯 케이스 71 : 냉각수 펌프
76 : 흡기 연락관 84 : 배기 연락관
84a : 연결 지지부 88 : 오일 필터 지지 부재
89 : 윤활유 공급관 232 : 측부 엔진 커버
233 : 프레임 바닥판 234 : 팬 슈라우드
235 : 라디에이터 236 : 지지용 빔 프레임
242 : 좌측 지주 프레임 243 : 우측 지주 프레임
244 : 보닛 실드판 248 : 빔 프레임
249 : 연장 프레임 250 : 차열판
251 : 앞측 살 프레임 252 : 뒷측 살 프레임
271 :엔진 ECU 272 : 배터리
273 : 연료 쿨러 274 : 오일 쿨러
275 : 콘덴서

Claims (12)

  1. 주행 기체의 전방부에 설치하고 있고 과급기를 구비한 엔진과, 상기 엔진에 냉각수를 공급하는 라디에이터와, 상기 과급기로부터의 압축 공기를 냉각시키는 인터쿨러와, 윤활 오일을 냉각시키는 오일 쿨러를 구비하는 작업 차량에 있어서,
    상기 라디에이터 전방에서 인터쿨러와 오일 쿨러를 상하로 겹쳐서 배치하고 있고, 상단의 상기 인터쿨러를 고정하는 고정 프레임 내에 상기 오일 쿨러를 세로축 주위로 회동 가능하게 배치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 차량.
  2. 제 1 항에 있어서,
    외기를 도입해서 상기 엔진에 공급시키는 에어클리너와 냉매를 냉각시키는 콘덴서를 구비함과 아울러, 상기 에어클리너와 상기 콘덴서가 상하로 되도록 배치하고 있고, 상기 콘덴서를 좌우 방향으로 인출 가능하게 하고,
    상기 인터쿨러 전방에서 상기 인터쿨러와 이간시킨 위치에 상기 에어클리너를 고정 배치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 차량.
  3. 제 1 항에 있어서,
    외기를 도입해서 상기 엔진에 공급시키는 에어클리너와 냉매를 냉각시키는 콘덴서를 구비함과 아울러, 상기 에어클리너와 상기 콘덴서가 상하가 되도록 배치하고 있고, 상기 콘덴서를 전후축 주위로 회동 가능하게 하고,
    상기 인터쿨러 전방에서 상기 인터쿨러와 이간시킨 위치에 상기 에어클리너를 고정 배치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 차량.
  4. 주행 기체의 전방부에 설치하고 있고 과급기를 구비한 엔진과, 상기 엔진에 냉각수를 공급하는 라디에이터를, 앞면에 개구부를 형성한 보닛으로 덮여진 엔진룸 내에 구비하고, 상기 엔진룸 내에 있어서 상기 엔진 앞면에 설치한 냉각팬 외주를 둘러싸는 팬 슈라우드로 상기 라디에이터 배면을 덮는 한편, 상기 라디에이터 전방에 복수의 열교환기를 배치시킨 작업 차량에 있어서,
    상기 냉각팬 중심을 상기 라디에이터 중심보다 하측으로 오프셋해서 배치하고 있고,
    상기 복수의 열교환기를 상하로 겹쳐서 배치함과 아울러, 하측에 배치된 열교환기의 개수보다 상측에 배치된 열교환기의 개수가 적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 차량.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열교환기는 냉매를 냉각시키는 콘덴서와, 상기 과급기로부터의 압축 공기를 냉각시키는 인터쿨러와, 윤활 오일을 냉각시키는 오일 쿨러이며,
    상기 라디에이터 전방에, 상기 인터쿨러와 상기 오일 쿨러를 상하로 겹쳐서 배치함과 아울러 상기 인터쿨러 및 상기 오일 쿨러의 전방 하단에 상기 콘덴서를 배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 차량.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팬 슈라우드는 상기 라디에이터 배면 전체를 덮는 입구측 개구를 구비한 제 1 프레임체부와, 상기 냉각팬 외주를 덮는 출구측 개구를 구비한 제 2 프레임체부를 전후로 연속시킨 형상을 갖고 있고, 단면이 넓은 상기 제 1 프레임체부로부터 단면이 좁은 상기 제 2 프레임체부로의 접속 부분에 있어서, 상기 냉각팬 상측의 오프셋 부분을 완만한 곡면으로 형성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 차량.
  7.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엔진 공냉용의 냉각팬과, 상기 냉각팬에 의해 유도되는 냉각 공기를 통과시켜서 냉각용 매체와 열교환시키는 복수의 열교환기와, 상기 엔진을 제어하는 엔진 제어 장치를 구비하고, 상기 주행 기체 전방의 상면을 바닥판으로 덮는 작업 차량에 있어서,
    상기 엔진 제어 장치를 상기 열교환기의 전방 위치에 배치하고 있고, 상기 엔진 제어 장치의 길이 방향을 상기 주행 기체의 전후 방향을 따르게 해서 상기 바닥판에 세워서 설치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 차량.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보닛 및 상기 바닥판은 각각, 상기 냉각팬보다 전방이 되는 위치에 그물상의 개구부를 구비하고 있고,
    상기 엔진 제어 장치를 상기 보닛 앞면에 좌우 대칭으로 설치한 개구부의 사이가 되는 위치이며 또한 상기 바닥판의 개구부 상방에 배치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 차량.
  9.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엔진 상부에 배치되어서 상기 엔진의 배기가스를 정화하는 후처리 장치와, 상기 엔진 공냉용의 냉각팬을 구비하고, 상기 엔진의 앞면측에 상기 냉각팬을 배치함과 아울러 상기 냉각팬을 덮는 팬 슈라우드를 상기 주행 기체에 고착하고, 상기 냉각팬, 상기 엔진 및 상기 후처리 장치를 상기 보닛으로 덮는 작업 차량에 있어서,
    상기 엔진 후방을 덮는 보닛 실드판을 상기 보닛 배면에 설치하고 있고,
    상기 보닛 실드판의 좌우 양 가장자리를 중앙 부분보다 앞측에 배치시키기 위해서, 상기 보닛 실드판의 좌우 양측을 전방으로 굴곡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 차량.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냉각팬을 둘러싸는 팬 슈라우드와, 상기 주행 기체에 대하여 세워서 설치시킨 좌우 한쌍의 지주 프레임을 구비하고 있고, 상기 좌우 한쌍의 지주 프레임을 상기 보닛 실드판의 굴곡 부분에 끼워진 중앙 영역과 연결시킴과 아울러 상기 지주 프레임과 상기 팬 슈라우드를 빔 프레임으로 가설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 차량.
  11.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주행 기체에 대하여 상기 엔진 후방에 좌우 한쌍의 지주 프레임을 세워서 설치시킴과 아울러 상기 지주 프레임과 상기 팬 슈라우드를 빔 프레임으로 가설하고 있고,
    상기 엔진 상방에 있어서 상기 빔 프레임과 상기 보닛의 내측 측면 사이에 상기 후처리 장치를 위치시키기 위해, 상기 후처리 장치를 상기 빔 프레임을 따라 배치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 차량.
  12.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빔 프레임에 고착된 차열판을 갖고 있고, 상기 차열판이 상기 보닛 하에서 상기 후처리 장치의 상부를 덮도록 배치되어 있는, 작업 차량.
KR1020177009477A 2014-10-16 2015-10-06 작업 차량 KR10190271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4-211350 2014-10-16
JP2014211350 2014-10-16
JPJP-P-2015-079709 2015-04-09
JP2015079709A JP6498017B2 (ja) 2014-10-16 2015-04-09 作業車両
PCT/JP2015/078380 WO2016060027A1 (ja) 2014-10-16 2015-10-06 作業車両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49584A true KR20170049584A (ko) 2017-05-10
KR101902719B1 KR101902719B1 (ko) 2018-09-28

Family

ID=559557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7009477A KR101902719B1 (ko) 2014-10-16 2015-10-06 작업 차량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10287962B2 (ko)
EP (1) EP3208125B1 (ko)
JP (1) JP6498017B2 (ko)
KR (1) KR101902719B1 (ko)
CN (1) CN106794754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275552B2 (ja) * 2014-05-29 2018-02-07 ヤンマー株式会社 作業車両
JP2016030559A (ja) * 2014-07-30 2016-03-07 ヤンマー株式会社 作業車両
EP3663549B1 (en) * 2015-07-31 2021-06-23 Yanmar Power Technology Co., Ltd. Work vehicle
CN108513553B (zh) * 2016-12-28 2022-03-29 株式会社小松制作所 作业车辆
GB201702079D0 (en) * 2017-02-08 2017-03-22 Agco Int Gmbh A vehicle chassis arrangement
JP6731876B2 (ja) * 2017-03-24 2020-07-29 ヤンマーパワーテクノロジー株式会社 エンジン装置
KR102323221B1 (ko) * 2017-04-10 2021-11-08 엘에스엠트론 주식회사 선회식 유압오일쿨러를 구비한 농업용 작업차량
US10414266B1 (en) * 2017-04-28 2019-09-17 Oshkosh Defense, Llc Vehicle cooling systems and methods
KR102567146B1 (ko) * 2017-05-31 2023-08-18 한온시스템 주식회사 차량용 쿨링모듈
JP6451805B1 (ja) * 2017-08-22 2019-01-16 マツダ株式会社 エンジンの保温構造
GB201714194D0 (en) * 2017-09-05 2017-10-18 Agco Int Gmbh Agricultural vehicle
JP6936101B2 (ja) * 2017-10-03 2021-09-15 三菱マヒンドラ農機株式会社 作業車両
CN108150277B (zh) * 2017-12-25 2023-07-18 潍柴动力股份有限公司 一种中冷器支撑系统
JP6925256B2 (ja) * 2017-12-26 2021-08-25 株式会社クボタ 作業車
US10941696B2 (en) 2018-06-27 2021-03-09 Kubota Corporation Engine cover and work vehicle
CN109706991A (zh) * 2019-02-27 2019-05-03 山推工程机械股份有限公司 一种散热器及推土机
US11187138B2 (en) * 2019-03-12 2021-11-30 Oshkosh Corporation Concrete mixer vehicle
JP7321008B2 (ja) * 2019-06-24 2023-08-04 株式会社クボタ 電動作業車
US11420755B2 (en) * 2019-08-08 2022-08-23 General Electric Company Shape memory alloy isolator for a gas turbine engine
JP7211922B2 (ja) * 2019-09-27 2023-01-24 株式会社クボタ 作業車
LT6757B (lt) * 2019-11-08 2020-08-25 AUGA group, AB Erdvinė žemės ūkio transporto priemonės rėmo konstrukcija
JP7243667B2 (ja) * 2020-03-17 2023-03-22 井関農機株式会社 作業車両
USD971965S1 (en) * 2020-06-26 2022-12-06 Powerhouse Engine Solutions Switzerland IP Holding GmbH Intake manifold section
USD941363S1 (en) * 2020-06-26 2022-01-18 Powerhouse Engine Solutions Switzerland IP Holding GmbH Intake manifold section
US11951797B2 (en) * 2021-06-03 2024-04-09 Brose Fahrzeugteile SE & Co. Kommanditgesellschaft, Würzburg Cooling pack assembly
CN113389631B (zh) * 2021-06-30 2022-07-08 重庆长安汽车股份有限公司 一种用于改善纵置发动机总成排气侧局部高温的导流结构
JP2023143527A (ja) * 2022-03-25 2023-10-06 ヤンマーホールディングス株式会社 建設機械

Family Cites Families (3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4122512A1 (de) * 1991-05-28 1992-12-03 Kloeckner Humboldt Deutz Ag Kompakte waermetauscher-geblaeseeinheit
US5386873A (en) * 1993-06-09 1995-02-07 Ingersoll-Rand Company Cooling system for engine-driven multi-stage centrifugal compressor
JPH1111163A (ja) * 1997-06-25 1999-01-19 Mitsubishi Motors Corp 車両の冷却風取入構造
GB2336662B (en) * 1998-04-21 2002-04-10 Agco Gmbh & Co Vehicle cooling radiator arrangement
JPH11350530A (ja) * 1998-06-05 1999-12-21 Sumitomo Constr Mach Co Ltd 建設機械の冷却装置
DE19928193A1 (de) * 1998-07-09 2000-01-13 Behr Gmbh & Co Anordnung von Wärmeübertragern, insbesondere in einem Kraftfahrzeug
JP2000062474A (ja) * 1998-08-21 2000-02-29 Komatsu Ltd 作業車両の冷却装置
US6951240B2 (en) * 2002-11-06 2005-10-04 Transpro, Inc. Heat exchanger package
ITTO20030127A1 (it) * 2003-02-21 2004-08-22 Same Deutz Fahr Group Spa Sistema di raffreddamento per una macchina agricola.
US20050252635A1 (en) * 2004-05-14 2005-11-17 Cnh America Llc Tractor cooling system
JP4232750B2 (ja) * 2004-06-10 2009-03-04 株式会社デンソー ハイブリッド自動車用冷却システム
DE102005014614A1 (de) * 2005-03-31 2006-10-05 Deere & Company, Moline Kühleranordnung
US7388301B2 (en) * 2005-10-12 2008-06-17 Kobelco Construction Machinery Co., Ltd. Construction machine
JP4457075B2 (ja) * 2006-01-10 2010-04-28 株式会社クボタ 草刈機
JP2008031955A (ja) * 2006-07-31 2008-02-14 Iseki & Co Ltd ディーゼルエンジン
US7383905B2 (en) * 2006-08-07 2008-06-10 Deere & Company Vehicle cooling system
US8256496B2 (en) * 2007-12-06 2012-09-04 Deere & Company Air diverter for vehicle cooling system
WO2009101935A1 (ja) * 2008-02-15 2009-08-20 Hitachi Construction Machinery Co., Ltd. 建設機械
JP5234693B2 (ja) * 2009-10-16 2013-07-10 日立建機株式会社 建設機械
JP2011088571A (ja) * 2009-10-23 2011-05-06 Iseki & Co Ltd 作業車両のフロント補器の配置構成
US20110277961A1 (en) * 2010-05-13 2011-11-17 Knepper Anthony J Vehicle Cooling System
JP5625730B2 (ja) * 2010-10-21 2014-11-19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車両用冷却ダクト及び車両前部構造
US20120103712A1 (en) * 2010-11-03 2012-05-03 Caterpillar Inc. Skid steer machine having pivotably mounted cooling system and non-metallic vibration isolator
US8960342B2 (en) * 2011-02-22 2015-02-24 Deere & Company Swing-out coolers and cooling fans
JP5451669B2 (ja) * 2011-03-07 2014-03-26 日立建機株式会社 作業機械
JP5568042B2 (ja) * 2011-03-24 2014-08-06 株式会社クボタ 作業車
JP5893524B2 (ja) * 2012-07-11 2016-03-23 株式会社クボタ 作業車
JP2014148921A (ja) * 2013-01-31 2014-08-21 Iseki & Co Ltd トラクタ
JP5943863B2 (ja) * 2013-03-07 2016-07-05 株式会社クボタ 作業車の排気装置
KR102120183B1 (ko) * 2013-06-19 2020-06-08 한온시스템 주식회사 팬쉬라우드 조립체
EP3019718B1 (en) * 2013-07-12 2020-08-19 Volvo Truck Corporation Heat exchanger system for a vehicle
JP6257469B2 (ja) * 2014-07-31 2018-01-10 株式会社クボタ 作業車の原動部
JP6415890B2 (ja) * 2014-08-04 2018-10-31 株式会社クボタ 作業車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70218832A1 (en) 2017-08-03
CN106794754B (zh) 2019-02-26
JP2016078827A (ja) 2016-05-16
EP3208125B1 (en) 2021-08-04
US10287962B2 (en) 2019-05-14
EP3208125A4 (en) 2017-10-11
JP6498017B2 (ja) 2019-04-10
KR101902719B1 (ko) 2018-09-28
CN106794754A (zh) 2017-05-31
EP3208125A1 (en) 2017-08-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02719B1 (ko) 작업 차량
KR101913981B1 (ko) 작업 차량
KR101902718B1 (ko) 작업 차량
JP6401568B2 (ja) トラクタ
JP6378040B2 (ja) 作業車両
KR101961060B1 (ko) 작업차량
JP6283621B2 (ja) 作業車両
JP6297518B2 (ja) トラクタ
JP6297465B2 (ja) トラクタ
WO2016060026A1 (ja) 作業車両
JP6305308B2 (ja) 作業車両
JP2016078594A (ja) 作業車両
JP2016079870A (ja) エンジン装置
JP6490384B2 (ja) 作業車両
JP6309424B2 (ja) 作業車両
WO2016060027A1 (ja) 作業車両
JP6343221B2 (ja) エンジン装置
JP6378035B2 (ja) トラクタ
JP6347549B2 (ja) エンジン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