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47278A - 비병원성 구강 내 상재균의 생육 촉진제 또는 구강 내의 균총 개선제 및 구강용 조성물 - Google Patents

비병원성 구강 내 상재균의 생육 촉진제 또는 구강 내의 균총 개선제 및 구강용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47278A
KR20170047278A KR1020177006991A KR20177006991A KR20170047278A KR 20170047278 A KR20170047278 A KR 20170047278A KR 1020177006991 A KR1020177006991 A KR 1020177006991A KR 20177006991 A KR20177006991 A KR 20177006991A KR 20170047278 A KR20170047278 A KR 2017004727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ushroom
oral
agent
growth
powd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70069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마사토 마루야마
토시아키 코바야시
준야 카와이
켄지 오우치
사토시 이나토미
Original Assignee
라이온 가부시키가이샤
호쿠토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라이온 가부시키가이샤, 호쿠토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라이온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7004727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4727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06Fungi, e.g. yeasts
    • A61K36/07Basidiomycota, e.g. Cryptococcu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06Fungi, e.g. yeas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8/0216Solid or semisolid forms
    • A61K8/022Powders; Compacted Powd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28Fungi, e.g. yeasts
    • A61K8/975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0012Galenical forms characterised by the site of application
    • A61K9/0053Mouth and digestive tract, i.e. intraoral and peroral administr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14Particulate form, e.g. powders, Processes for size reducing of pure drugs or the resulting products, Pure drug nanoparticl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00Drugs for disorders of the alimentary tract or the digestive system
    • A61P1/02Stomatological preparations, e.g. drugs for caries, aphtae, periodontiti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1/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teeth, of the oral cavity or of dentures; Dentifrices, e.g. toothpastes; Mouth rinses

Abstract

구강 내의 비병원성 상재균의 생육 촉진 및 균총(菌叢) 개선 효과가 우수하고, 상재세균총의 밸런스 유지에 유효한, 노루궁뎅이버섯(Hericium erinaceus), 잎새버섯(Grifola frondosa), 땅찌만가닥버섯(Lyophyllum shimeji), 느티만가닥버섯(Hypsizygus marmoreus), 느타리버섯(Pleurotus ostreatus), 신령버섯(Agaricus blazei) 및 표고버섯(Lentinula edodes)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의 버섯의 건조 분말 또는 그 추출물로 이루어지는 비병원성 구강 내 상재균의 생육 촉진제 또는 구강 내의 균총 개선제, 및 이것을 함유하는 구강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Description

비병원성 구강 내 상재균의 생육 촉진제 또는 구강 내의 균총 개선제 및 구강용 조성물{AGENT FOR PROMOTING GROWTH OF NONPATHOGENIC ORAL INDIGENOUS BACTERIA OR AGENT FOR IMPROVING ORAL BACTERIAL FLORA, AND COMPOSITION FOR ORAL USE}
본 발명은, 구강 내의 비병원성 상재균(常在菌)의 생육 촉진 및 구강 내의 균총(菌叢) 개선 효과가 우수하고, 상재세균총(常在細菌叢)의 밸런스 유지에 유효한, 비병원성 구강 내 상재균의 생육 촉진제 또는 구강 내의 균총 개선제 및 이것을 포함하는 구강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인간의 신체에는 다양한 세균이 공생하고 있고, 상재세균총이라고 불리는 세균 집단을 형성하고 있다. 이 상재세균총에는, 병원균이나 기회감염균(日和見感染菌)이 존재하고 있지만, 세균총의 밸런스가 유지되어 있는 상태에서는 이들 세균을 원인으로 하는 질환은 억제되어 있고, 이른바 건강한 상태에 있다. 그러나, 식생활이나 항생제의 섭취, 스트레스, 가령(加齡) 등이 원인이 되어 세균총의 밸런스가 무너지면, 병원균이나 기회감염균이 증가하고 질환이 된다. 이 때문에, 질환의 제어에는, 병원균을 억제한 것만이 아니고, 비병원성의 상재균을 활성화함으로써 상재세균총의 밸런스를 유지하는 것이 중요하다.
구강 내에 생육하는 수백종류의 세균 중에서, 병원성을 나타내는 세균은, 치주병의 원인균인 포르피로모나스 진지발리스(Porphyromonas gingivalis), 우식(충치)의 원인균인 스트렙토코커스 뮤탄스(Streptococcus mutans)를 대표로 하는 수종류의 세균에게 지나지 않는다. 나머지 대부분은, 통상, 인간에게의 병원성을 나타내지 않는 스트렙토코커스 고르도니(Streptococcus gordonii), 스트렙토코커스 미티스(Streptococcus mitis), 스트렙토코커스 오랄리스(Streptococcus oralis)를 대표로 하는 미티스(Mitis) 그룹 등의 스트렙토코커스(연쇄구균)속 세균이나, 베일로넬라 파뷸라(Veillonella parvula) 등의 베일로넬라속 세균, 나이세리아 서브플라바(Neisseria subflaba) 등의 나이세리아속 세균 등의 통상, 구강 내에서는 비병원성의 상재균이다. 따라서, 구강 질환의 예방에는, 구강 내에서, 이들 비병원성의 상재균으로 이루어지는 세균총을 밸런스 좋게 유지, 형성하는 것이 중요해진다.
특히, 미티스 그룹의 연쇄구균은, 상기한 우식이나 치주병의 원인균의 치면(齒面) 부착에 관여하거나, 항균 작용을 갖는 것이 알려지고 있고(비특허문헌 1), 또한, 프로바이오틱스로서의 이용도 개시되어 있다(특허문헌 1 ; 국제공개 제2013/021957호), 구강 질환 억제에 작용하는 상재균이다.
그래서, 프로바이오틱스를 유효성분으로 하는 구강 내 세균총 개선제 및 상재균의 생육 촉진제(특허문헌 2 ; 일본 특개2005-320275호 공보)나, 카페인을 사용하여 구강 세균총을 개선하는 기술(특허문헌 3 ; 일본 특개2012-77053호 공보), 우식원성 세균에 대한 항균력을 가짐과 함께 젖산(乳酸) 분해 세균을 늘리는 효과를 갖는 구강용 조성물(특허문헌 4, 5 ; 일본 특개평 08-175946호 공보, 일본 특개평 08-175947호 공보)이 제안되어 있지만, 이들 기술에 의한 효과는 충분하지가 않았다.
국제공개 제2013/021957호 일본 특개2005-320275호 공보 일본 특개2012-77053호 공보 일본 특개평 08-175946호 공보 일본 특개평 08-175947호 공보 일본 특개2007-1961호 공보 일본 특개2010-77028호 공보 일본 특개2004-26701호 공보 일본 특개2001-151690호 공보
Van Hoogmoed CG 외, Applied Environmental Microbiology, 66(2), p659-663, 2000년
따라서 구강 내의 비병원성 상재균의 생육을 촉진하여 균총을 개선하고, 상재세균총을 밸런스 좋게 유지, 형성시킬 수 있는 새로운 기술의 개발이 요망되었다.
본 발명은, 상기 사정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구강 내의 비병원성 상재균의 생육 촉진 및 구강 내의 균총 개선 효과가 우수하고, 상재세균총의 밸런스 유지에 유효한, 비병원성 구강 내 상재균의 생육 촉진제 또는 구강 내의 균총 개선제 및 구강용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자들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예의 검토를 행한 결과, 특정한 버섯의 건조 분말 또는 그 추출물이, 구강 내의 비병원성 상재균의 생육을 촉진하고, 세균총을 개선하는 우수한 효과를 이루고, 이것을 구강용 조성물에 배합함에 의해, 우수한 비병원성 구강 내 상재균의 생육 촉진 및 균총 개선 효과를 주고, 구강 내의 상재세균총의 밸런스를 양호하게 유지시킬 수 있는 것을 지견하였다.
즉, 버섯이나 그 추출물에는, 구강 질환의 원인균에 대한 항균 작용이나 플라그 형성 억제, 항염증 등의 작용이 있고, 이것을 구강용 조성물에 배합함면 우식, 치주병의 억제에 유효한 것은 알려져 있지(특허문헌 6∼9 ; 일본 특개2007-1961호 공보, 일본 특개2010-77028호 공보, 일본 특개2004-26701호 공보, 일본 특개2001-151690호 공보)만, 본 발명에서는, 후술하는 특정한 버섯의 건조 분말 또는 그 추출물이, 의외에도, 구강 내의 비병원성 상재균에 대해서는 항균 작용이 아니라, 그 증식을 선택적으로 활성화하여 생육을 촉진한다는, 지금까지 알려져 있지 않았던 작용을 이루는 것을 발견하고, 이것에 의해, 비병원성 구강 내 상재균의 생육 촉진제 또는 구강 내의 균총 개선제라는, 새로운 용도에의 사용에 적합한 것을 발견하였다.
이 경우, 본 발명에서는, 구강 내의 비병원성 상재균, 특히 스트렙토코커스 고르도니(Streptococcus gordonii), 스트렙토코커스 미티스(Streptococcus mitis), 스트렙토코커스 오랄리스(Streptococcus oralis)으로부터 선택되는 미티스(Mitis) 그룹의 연쇄구균의 증식을 특이적으로 활성화하여 그 생육을 촉진하고, 세균총의 밸런스를 개선할 수 있다. 이에 의해, 구강 내의 상재세균총의 밸런스가, 식생활의 혼란 등으로 무너지는 것을 방지하여 건강한 상태로 유지하고, 또한, 구강 질환의 억제에 관여하는 미티스 그룹의 연쇄구균이 증가함으로써 우식, 치주병 등의 구강 질환을 억제하고, 병원성으로 기울어지는 것을 방지하는 것도 가능해진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하면, 구강 내의 비병원성 상재균의 생육 촉진제로서, 또한, 구강 내의 비병원성 상재균을 선택적으로 생육 촉진함에 의해, 특히 비병원성의 상재균 주체의 세균총을 형성하는 균총 개선제로서 유용한 제제를 줄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하기의 비병원성 구강 내 상재균의 생육 촉진제 또는 균총 개선제, 및 구강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1]
노루궁뎅이버섯(Hericium erinaceus), 잎새버섯(Grifola frondosa), 땅찌만가닥버섯(Lyophyllum shimeji), 느티만가닥버섯(hypsizygus marmoreus), 느타리버섯(Pleurotus ostreatus), 신령버섯(Agaricus blazei) 및 표고버섯(Lentinula edodes)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의 버섯의 건조 분말 또는 그 추출물로 이루어지는 비병원성 구강 내 상재균의 생육 촉진제 또는 구강 내의 균총 개선제.
[2]
버섯의 건조 분말 또는 그 추출물이, 버섯 자실체(子實體)의 건조 분쇄 분말 또는 그 수추출물(水抽出物)인 [1] 기재의 생육 촉진제 또는 균총 개선제.
[3]
버섯이 노루궁뎅이버섯(Hericium erinaceus)인 [1] 또는 [2] 기재의 생육 촉진제 또는 균총 개선제.
[4]
비병원성 구강 내 상재균이, 스트렙토코커스 고르도니(Streptococcus gordonii), 스트렙토코커스 미티스(Streptococcus mitis) 및 스트렙토코커스 오랄리스(Streptococcus oralis)으로부터 선택되는 미티스(Mitis) 그룹의 연쇄구균인 [1], [2] 또는 [3] 기재의 생육 촉진제 또는 균총 개선제.
[5]
버섯의 건조 분말 또는 그 추출물의 농도가, 버섯의 건조 분말 환산으로 0.001∼50질량%인 [1]∼[4]의 어느 하나에 기재된 생육 촉진제 또는 균총 개선제.
[6]
[1]∼[5]의 어느 하나에 기재된 생육 촉진제 또는 균총 개선제를 함유하는 구강용 조성물.
[7]
생육 촉진제 또는 균총 개선제에 포함되는 상기 버섯의 건조 분말 또는 그 추출물의 함유량이, 버섯의 건조 분말 환산으로 조성물 전체의 0.001∼50질량%인 [6] 기재의 구강용 조성물.
[8]
정제, 과립, 구미(gummi), 음료, 치마제, 세구제 및 마우스-스프레이로부터 선택되는 제형(劑型)으로 조제된 [6] 또는 [7] 기재의 구강용 조성물.
본 발명에 의하면, 구강 내의 비병원성 상재균의 생육 촉진 및 균총 개선 효과가 우수하고, 상재세균총의 밸런스 유지에 유효한, 비병원성 구강 내 상재균의 생육 촉진제 또는 균총 개선제 및 이것을 함유하는 구강용 조성물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실험례 1에서의 노루궁뎅이버섯 건조 분쇄 분말 현탁액의 각 농도에서의 구강 내 세균의 생육도를 도시하는 그래프.
이하, 본 발명에 대해 더욱 상세히 기술한다. 본 발명의 비병원성 구강 내 상재균의 생육 촉진제 또는 균총 개선제는, 버섯의 건조 분말 또는 그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것이고, 이것은, 구강 내의 비병원성 상재균의 증식을 선택적으로 활성화하여 생육을 촉진하고, 세균총을 개선한다.
여기서, 비병원성 구강 내 상재균은, 구강 내에 생육한, 통상은 인간에게의 병원성을 나타내지 않는 세균이고, 구체적으로는, 스트렙토코커스 고르도니(Streptococcus gordonii), 스트렙토코커스 미티스(Streptococcus mitis), 스트렙토코커스 오랄리스(Streptococcus oralis) 등의 스트렙토코커스(연쇄구균)속 세균, 베일로넬라 파뷸라(Veillonella parvula) 등의 베일로넬라속 세균, 나이세리아 서브플라바(Neisseria subflaba) 등의 나이세리아속 세균 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이들 중, 특히 스트렙토코커스 고르도니, 스트렙토코커스 미티스 및 스트렙토코커스 오랄리스로부터 선택되는 미티스(Mitis) 그룹의 연쇄구균에 대한 증식, 활성화 효과가 우수하다.
본 발명에서는, 버섯으로서, 노루궁뎅이버섯(Hericium erinaceus), 잎새버섯(Grifola frondosa), 땅찌만가닥버섯(Lyophyllum shimeji), 느티만가닥버섯(hypsizygus marmoreus), 느타리버섯(Pleurotus ostreatus), 신령버섯(Agaricus blazei) 및 표고버섯(Lentinula edodes)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을 사용한다. 이들은, 1종을 단독으로 또는 효과 발현의 점에서 2종 이상을 조합시켜도 좋지만, 그 중에서도, 노루궁뎅이버섯, 잎새버섯, 땅찌만가닥버섯, 신령버섯, 특히 노루궁뎅이버섯을 사용하면, 구강 내의 비병원성 상재균의 증식 활성화 효과가 높고, 우수한 생육 촉진 및 균총 개선 효과를 부여할 수가 있어서 알맞다.
버섯의 건조 분말 또는 그 추출물로서는, 상기 버섯을 원료로서 사용하여, 공지의 방법에 의해 조제한 것을 사용할 수 있다.
이 경우, 원료로서는, 버섯의 자실체, 균사체(菌絲體)의 어느 일방만, 또는 양방을 사용 가능하지만, 버섯의 자실체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자실체는, 식경험(食經驗)이 있고 안전면에서 알맞다.
버섯의 건조 분말은, 그 조제 방법에 특히 제한은 없고 통상의 방법을 채용하여 얻을 수 있고, 원료의 버섯 자실체 또는 균사체를 동결건조 또는 가열건조한 후, 분쇄함에 의해 얻어지는 건조 분쇄 분말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동결건조, 가열건조의 조건도 일상방법과 같아도 좋고, 또한, 건조 분말의 입경 등의 물성은, 물에 분산, 현탁하는 등으로 사용 가능하면 특히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버섯의 추출물은, 원료 버섯의 자실체 및/또는 균사체로부터 직접 추출할 수 있지만, 버섯의 건조 분말을 용매 추출한 것이 알맞다.
추출물을 얻는 방법은 특히 한정되지 않고, 공지의 방법을 채용할 수 있다.
추출 용매로서는, 물이나, 알코올류(예를 들면, 메탄올, 무수에탄올, 에탄올 등의 탄소수 1∼3의 저급알코올, 프로필렌글리콜, 1,3-부틸렌글리콜 등의 다가알코올), 아세톤 등의 케톤류, 디에틸에테르, 디옥산, 아세토니트릴, 아세트산에틸에스테르 등의 에스테르류, 크실렌, 벤젠, 클로로포름 등의 극성 용매, 비극성 용매를 들 수 있다. 이들은, 1종류를 단독으로 또는 2종류 이상을 임의로 조합시켜서 혼액으로서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다른 용매에 의해 추출한 것을 조합시켜서 용매 추출물로서 사용할 수도 있다. 상기 용매 중에서는, 특히 인간에게 사용하는 것임을 고려하여 안전성의 면에서 물 및/또는 에탄올이 바람직하지만, 본 발명에서는, 특히 극성 용매, 특히 극성이 높은 물을 사용하여 추출하면, 비병원성 구강 내 상재균의 증식 활성화 효과가 향상하고, 생육 촉진 및 균총 개선 효과가 보다 우수하다.
또한, 원료에 대한 용매의 사용량, 추출 온도나 추출 시간은 특히 제한되지 않고, 적절히 조정할 수 있다.
얻어진 추출물은, 응용하는 제제의 제형, 형태에 따라 건조, 농축, 또는 희석 등을 임의로 행하여 조제할 수 있다. 또한, 많은 경우는, 그대로의 상태로 이용할 수 있지만, 필요에 응하여, 그 효력에 영향이 없는 범위에서 또한 탈취, 탈색 등의 정제(精製) 처리를 가하거나, 멸균 필터로 여과하여도 좋고, 추출물에 일반적으로 적용되는 통상의 수단을 임의로 선택하여 행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버섯의 건조 분말 또는 그 추출물로서, 상기한 것 중, 특히 버섯 자실체의 건조 분쇄 분말 또는 그 수추출물, 특히 버섯 자실체의 건조 분쇄 분말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건조 분쇄 분말은 그대로 사용하여도 좋지만, 물에 분산시켜서 현탁액으로서 알맞게 사용할 수 있다. 이들을 사용하면, 구강 내의 비병원성 상재균의 생육 촉진 및 균총 개선 효과가 보다 우수하다. 더욱이 또한, 건조 분쇄 분말을 바람직하게는 수현탁액으로서 사용하면, 추출물보다도 낮은 농도로 충분한 효과를 발현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건조 분말은, 입자경이 500㎛ 이하인 것이 95질량%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입자경이 150㎛ 이하인 것이 95질량% 이상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입자경이 500㎛ 이하의 건조 분말은 30메시(JIS 규격)의 체(篩)를 통과하는 입자로, 입자경이 150㎛ 이하의 건조 분말은 100메시(JIS 규격)의 체를 이용함으로써 얻을 수 있다(이하 마찬가지).
버섯의 건조 분말 또는 그 추출물은, 그 농도가 버섯의 건조 분말 환산으로 0.001∼50%(질량%, 이하 마찬가지)인 것이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0.01∼20%, 더욱 바람직하게는 0.1∼20%이다. 상기 농도 범위 내라면, 비병원성 상재균의 증식을 활성화하여 생육을 보다 촉진하고, 균총을 보다 개선할 수 있다. 또한, 너무 고농도가 되면, 비병원성 상재균에 대해서도 항균성이 나타나는 경우가 있지만, 50% 이하라면 이것을 충분히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추출물을 사용할 때의 「버섯의 건조 분말 환산량」은, 사용하는 버섯의 추출물량을 얻기 위해 필요로 하는 버섯의 건조 분말량으로 계산한 농도를 의미한다(이하 마찬가지).
본 발명에 관한 버섯의 건조 분말 또는 그 추출물은, 비병원성 구강 내 상재균의 생육 촉진제 또는 균총 개선제로서, 구강용 조성물에 알맞게 배합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고체, 액체, 페이스트상, 겔상 등의 형태로 조제하고, 추잉검, 트로키, 태블릿, 캔디 등의 정제, 과립, 구미, 분말음료 등의 음료, 연치마, 액상 치마, 액체 치마, 윤제치마 등의 치마제, 세구제, 마우스-스프레이 등의 각종 제형으로 조제할 수 있다. 특히, 추잉검, 트로키, 태블릿, 캔디 등의 정제, 과립, 구미, 음료로서 알맞다.
이 경우, 버섯의 건조 분말 또는 그 추출물의 조성물 전체에 대한 배합량은, 상기 농도의 범위 내가 바람직하고, 건조 분말 환산으로 0.001∼50%인 것이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0.01∼20%, 더욱 바람직하게는 0.1∼20%이다. 상기 농도 범위 내라면, 비병원성 상재균의 증식을 활성화하여 생육을 보다 촉진하고, 균총을 보다 개선할 수 있다.
또한, 농도가 높아지고, 특히 0.1%를 초과하면, 비병원성 상재균의 생육 촉진 효과가 향상하고, 또한, 포르피로모나스 진지발리스 등의 병원성 세균에의 항균 작용도 충분히 발휘되기 때문에, 보다 바람직하다. 50% 이하인 것이, 비병원성 상재균에의 항균 작용을 억제하고, 비병원성 상재균의 생육을 충분히 촉진시키는데는 알맞다.
또한, 구강용 조성물에는, 상기 성분에 더하여, 본 발명의 효과를 방해하지 않는 범위에서, 제형에 응한 적절한 공지 성분을 필요에 응하여 배합하고, 통상의 방법으로 조제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추잉검에는, 껌 베이스, 식용 구무질 등의 결합제, 감미제, 착색제, 산미료, 보존료, 광택제, 향료, 유효성분 등을 배합할 수 있다. 또한, 추잉검은, 필요에 응하여 당의(糖衣)로 피복하여도 좋다.
정제에는, 소르비톨, 말티톨 등의 당알코올, 셀룰로스, 젖당, 덱스트린 등의 부형제, 미립(微粒) 이산화규소, 산미료, 감미제, 착색제, 유화제, 증점제, 겔화제, 과즙, 향신료, 유효성분 등을 배합할 수 있다.
구미에는, 글리세린, 젤라틴 등의 증점제나 겔화제, 당류, 산미료, 감미제, 착색제, 유화제, 과즙, 유효성분 등을 배합할 수 있다.
치마제에는, 연마제, 점조제, 점결제, 계면활성제, 감미제, 착색제, 방부제, 향료, 유효성분 등을 배합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추잉검에 사용되는 껌 베이스로서는, 폴리아세트산비닐 수지, 천연 수지류, 에스테르고무 등의 껌 베이스용 수지, 유화제, 탄산칼슘, 인산칼슘, 탈크 등의 충전제, 라놀린, 스테아린산 또는 그 염, 글리세린 등의 가소제나 연화제 등을 배합한 시판의 껌 베이스를 사용할 수 있다.
감미제로서는, 수크로스, 글루코스, 덱스트로스, 전화당, 프룩토스 등의 당류, 말티톨, 크실리톨, 에리스리톨, 소르비톨 등의 당알코올, 사카린, 아스파르탐 등을 들 수 있다.
치마제 등에 사용되는 연마제로서는, 실리카계 연마제, 인산칼슘계 연마제, 탄산칼슘 등의 연마제를 들 수 있고, 그 배합량은, 통상, 연치마에서는 2∼50%, 액상 치마에서는 0∼30%이다.
점조제로서는, 소르비톨, 크실리톨 등의 당알코올, 글리세린, 프로필렌글리콜 등의 다가알코올을 들 수 있다. 그 배합량은, 통상, 5∼50%이다.
점결제로서는, 카르복시메틸셀룰로스나트륨 등의 셀룰로스 유도체, 크산탄고무 등의 고무류, 겔화성 실리카, 겔화성 알루미늄실리카 등의 유기 또는 무기 점결제를 배합할 수 있다. 그 배합량은, 통상, 0.5∼10%이다.
또한, 계면활성제로서는, 구강용 조성물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아니온성 계면활성제, 비이온성 계면활성제, 카티온성 계면활성제, 양성 계면활성제를 배합할 수 있다. 아니온성 계면활성제로서는, 라우릴황산나트륨 등의 알킬황산염, N-아실사르코신산염 등을 들 수 있다. 비이온성 계면활성제로서는, 자당지방산에스테르 등의 당지방산에스테르, 당알코올지방산에스테르, 소르비탄지방산에스테르, 글리세린지방산에스테르, 폴리옥시에틸렌경화피마자유 등의 폴리옥시에틸렌지방산에스테르, 폴리옥시에틸렌고급알코올에테르, 지방산알칸올아미드 등을 들 수 있다. 카티온성 계면활성제로서는, 알킬암모늄염 등, 양성 계면활성제로서는, 베타인계나 이미다졸린계의 것을 들 수 있다. 계면활성제의 배합량은, 통상, 0∼10%, 특히 0.01∼5%이다.
착색제로서는, 적색2호, 청색1호, 황색4호 등이, 방부제로서는, 팔라옥시안식향산에스테르 등을 들 수 있다.
향료로서는, 페퍼민트유, 스피어민트유, 아니스유, 유칼리유, 윈터그린유, 카시아유, 클로브유, 타임유, 세이지유, 레몬유, 오렌지유, 박하유, 카르다몬유, 코리안다유, 만다린유, 라임유, 라벤더유, 로즈마리유, 로렐유, 카모마일유, 캐러웨이유, 마조람유, 베이유, 레몬그라스유, 오리가남유, 파인니들유, 네롤리유, 로즈유, 자스민유, 그레이프프루츠유, 스위티유, 유자유, 이리스콘크리트, 압솔루트페퍼민트, 압솔루트로즈, 오렌지플라워 등의 천연 향료, 및 이들 천연 향료의 가공 처리(전류부(前溜部) 커트, 후류부 커트, 분류, 액액 추출, 에센스화, 분말 향료화 등)한 향료, 및, 멘톨, 카르본, 아네톨, 시네올, 살리실산메틸, 신나믹알데히드, 오이게놀, 3-l-멘톡시프로판-1,2-디올, 티몰, 리날로올, 리날릴아세테이트, 리모넨, 멘톤, 멘틸아세테이트, N-치환-파라멘탄-3-카르복사미드, 피넨, 옥틸알데히드, 시트랄, 풀레곤, 카르빌아세테이트, 아니스알데히드, 에틸아세테이트, 에틸부틸레이트, 알릴시클로헥산프로피오네이트, 메틸안트라닐레이트, 에틸메틸페닐글리시데이트, 바닐린, 운데카락톤, 헥산알, 부탄올, 이소아밀알코올, 헥센올, 디메틸술파이드, 시클로텐, 푸르푸랄, 트리메틸피라진, 에틸락테이트, 에틸티오아세테이트 등의 단품 향료, 또한, 스트로베리플레이버, 애플플레이버, 바나나플레이버, 파인애플플레이버, 그레이프플레이버, 망고플레이버, 버터플레이버, 밀크플레이버, 프루츠믹스플레이버, 트로피컬프루츠플레이버 등의 조합 향료 등을 들 수 있고, 구강용 조성물에 사용되는 공지의 향료 소재를 사용할 수 있다.
이들 향료의 배합량은, 통상, 추잉검, 정제, 과립, 구미, 음료에서는 0.001∼50%이고, 또한, 치마제, 세구제, 마우스-스프레이 등에서는 0.00001∼1%이고, 상기 향료 소재를 사용한 부향용 향료는, 조성 중에 0.1∼10%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유효성분으로서는, 구강용 조성물에 통상 배합되는 공지의 것을 본 발명의 효과를 방해하지 않는 범위에서 배합할 수 있다. 유효성분으로서는, 이소프로필메틸페놀 등의 비이온성 살균제, 염화세틸피리디늄 등의 카티온성 살균제, 트라넥삼산, 입실론아미노카프론산 등의 항염증제, 덱스트라나제 등의 효소, 불화나트륨, 모노플루오로인산나트륨 등의 불화물, 수용성 인산 화합물, 구리 화합물, 질산칼륨, 젖산알루미늄, 각종 비타민류, 식물 추출물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상기 유효성분의 배합량은, 본 발명의 효과를 방해하지 않는 범위에서 유효량(有效量)이다.
실시례
이하, 실험례, 처방례를 나타내어,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지만, 본 발명은 하기의 실시례로 제한되는 것이 아니다. 또한, 하기의 예에서 %는 특히 단서가 없는 한 모두 질량%를 나타낸다.
[실험례 1]
(1) 노루궁뎅이버섯 건조 분말의 조제 방법
노루궁뎅이버섯(Hericium erinaceus)의 자실체를, 60∼70℃로 가열하면서 건조시키고, 건조한 자실체를, 밀을 이용하여 분쇄하여 건조 분쇄 분말을 조제하였다. 분쇄한 건조 분쇄 분말은, 100메시의 체에 걸러, 통과한 분쇄 분말을 시험에 사용하였다.
(2)구강 내 세균의 생육에 미치는 효과의 평가 방법
상기 방법으로 얻어진 노루궁뎅이버섯의 건조 분쇄 분말을 증류수에 분산하고, 96구멍 플레이트에 100㎕ 첨가하였다. 이 노루궁뎅이버섯 건조 분쇄 분말의 분산액을 증류수 100㎕에 배배(倍倍) 희석함으로써, 단계적으로 2분의1 농도로 희석하여 도 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은 2배 농도 계열을 작성하였다. 각 농도의 노루궁뎅이버섯 건조 분쇄 분말의 현탁액에 대해, 하기의 각종 균액(菌液)을 100㎕ 첨가하고, 37℃에서 약 20시간 혐기 배양하였다. 또한, 균액은 트립틱 소이 배지(培地)(TS 배지, Becton and Dickinson사제)에 헤민 0.0005%, 메나디온0.0001%를 첨가한 배지에서 전(前)배양한 세균을, 2배 농도 계열의 동(同) 배지에 2% 농도로 식균(植菌)한 것을 이용하였다.
세균의 증식량은, 파장 550㎚의 탁도로 측정하고, 컨트롤(샘플 미첨가(0%)의 것)의 탁도에 대한 상대치를 세균의 생육도(笙育度)로서 산출함으로써 평가하였다. 즉, 생육도가 1보다 크면 생육이 촉진되고, 수치가 클수록 생육 촉진 효과가 높고, 또한, 1보다 작으면 생육이 억제된 것으로 된다. 결과를 도 1에 도시하였다.
평가에 이용한 구강 내 상재균은, American Type Culture Collection(이하, ATCC로 약기)에서 구입한, 하기의 3균종이다.
비병원성 세균 ;
스트렙토코커스 고르도니 ATCC 10558(이하, S. gordonii로 약기)
병원성 세균 ;
스트렙토코커스 뮤탄스 ATCC 25175(이하, S. mutans로 약기)
포르피로모나스 진지발리스 ATCC 33277(이하, P. gingivalis로 약기)
또한, 탁도 측정 전에는 플레이트를 진탕하여 배양액을 교반하였다.
도 1의 결과로부터, 노루궁뎅이버섯 건조 분쇄 분말이, 병원성 세균인 P. gingivalis에는 항균성을 나타내지만, 비병원성 상재균인 S. gordonii에는 그 생육을 촉진한 작용을 가짐을 알았다. 또한, 병원성 세균인 S. mutans에 대한 항균 작용, 생육 촉진 작용은 거의 인정되지 않았다.
[실험례 2]
(1) 버섯의 건조 분쇄 분말 및 추출액의 조제 방법
노루궁뎅이버섯, 잎새버섯(Grifola frondosa), 땅찌만가닥버섯(Lyophyllum shimeji), 느티만가닥버섯(hypsizygus marmoreus), 느타리버섯(Pleurotus ostreatus), 신령버섯(Agaricus blazei), 표고버섯(Lentinula edodes)의 자실체를, -20℃에서 1일간 보존하여 동결건조시켰다. 동결건조한 자실체는, 밀을 이용하여 분쇄하여, 건조 분쇄 분말을 조제하였다. 분쇄한 건조 분쇄 분말은, 100메시의 체에 걸러, 통과한 분쇄 분말을 시험에 사용하였다.
또한, 버섯 추출액은, 상기 방법으로 조제한 버섯의 건조 분쇄 분말 약 0.1g에 증류수를 2㎖ 가하여 5% 현탁액을 조제하고, 80℃에서 약 4시간 가열함으로써 추출을 행한 후, 10,000G로 10분간 원심함으로써 얻은 상청(上淸)을 구멍지름 0.22㎛의 멸균 필터로 여과함에 의해 조제하였다.
(2) 구강 내 상재균의 생육 촉진 효과의 평가 방법
상기 방법으로 얻어진 각종 버섯의 건조 분쇄 분말을 증류수에 0.01% 농도가 되도록 분산된 버섯 건조 분쇄 분말 현탁액, 및 상기 방법으로 얻어진 각종의 버섯 추출액의 4%수용액을, 샘플로 하여, 96구멍 플레이트에 각 100㎕ 첨가하였다. 또한, 버섯 추출액의 4% 수용액은, 추출에 이용한 버섯의 건조 분말 현탁액의 농도가 5%이기 때문에, 건조 분말 환산의 농도로서는 0.2%(4×5÷100%)에 상당한다.
이 샘플의 버섯 건조 분쇄 분말 현탁액, 버섯 추출액에, 표 1, 2에 표시하는 세균의 균액을 100㎕ 첨가하고, 37℃에서 12시간 호기 배양하였다. 또한, 균액은 트립틱 소이 배지(TS 배지, Becton and Dickinson사제)로 전배양한 세균을, 2배 농도의 TS 배지에 2% 농도로 식균한 것을 이용하였다.
세균의 증식량은, 실험례 1과 마찬가지로 하여 측정, 산출하고, 평가하였다. 결과를 표 1, 2에 병기하였다.
평가에 이용한 구강 내 상재균은, ATCC에서 구입한, 하기의 3균종이다.
비병원성 세균 ;
스트렙토코커스 고르도니 ATCC 10558(S. gordonii)
스트렙토코커스 미티스 ATCC 47456(이하, S. mitis로 약기)
스트렙토코커스 오랄리스 ATCC 9811(이하, S. oralis로 약기)
또한, 탁도 측정 전에는 플레이트를 진탕하여 배양액을 교반하였다.
[표 1]
Figure pct00001
[표 2]
Figure pct00002
표 1, 2에 표시하는 바와 같이, 항균제인 트리클로산은, 비병원성 상재균인 S. gordonii, S. mitis, S. oralis의 증식을 억제하여 버렸지만, 버섯의 건조 분쇄 분말 및 수추출액은, 이들 비병원성 상재균을 증식하여 그 생육을 촉진함을 알았다.
또한, 버섯의 건조 분쇄 분말을 물에 현탁 상태로 이용한 편이, 수추출액보다도 저농도에서 효과를 발현함을 알았다.
이들의 결과로부터, 노루궁뎅이버섯, 잎새버섯, 땅찌만가닥버섯, 느티만가닥버섯, 느타리버섯, 신령버섯, 표고버섯으로부터 선택되는 버섯의 건조 분말 또는 그 추출물은, 구강 내의 비병원성 상재균의 생육 촉진제로서, 또한, 비병원성의 상재균을 선택적으로 생육 촉진함에 의해, 특히 비병원성의 상재균 주체의 세균총을 형성하는 균총 개선제로서 유용함을 알았다.
[실험례 3]
(1) 노루궁뎅이버섯 건조 분말의 조제 방법
노루궁뎅이버섯의 자실체를, 60∼70℃에서 가열하면서 건조시키고, 건조한 자실체를, 밀을 이용하여 분쇄하여 건조 분쇄 분말을 조제하였다. 분쇄한 건조 분쇄 분말은, 100메시의 체에 걸러, 통과한 분쇄 분말을 시험에 사용하였다.
(2) 구강 내 상재균의 생육 촉진 효과(농도 의존성)의 평가 방법
얻어진 노루궁뎅이버섯의 건조 분쇄 분말을 증류수에 분산하고, 96구멍 플레이트에 100㎕ 첨가하였다. 이 노루궁뎅이버섯 건조 분쇄 분말의 분산액을 증류수 100㎕에 배배 희석함으로써, 단계적으로 2분의1 농도로 희석하여 표 3에 표시하는 농도 계열을 작성하였다. 각 농도의 노루궁뎅이버섯 건조 분쇄 분말의 현탁액에 관해, 실험례 1과 마찬가지로 비병원성 세균(S. gordonii)의 생육도를 측정하였다. 또한, 농도는 건조 분말 환산이다. 결과를 표 3에 병기하였다.
[표 3]
Figure pct00003
표 3에 표시하는 바와 같이, 검토한 0.001% 농도로부터, 농도 의존적으로 비병원성 세균이 생육 촉진하고 있고, 약 0.03%에서 그 효과가 거의 포화 상태가 됨을 알았다.
[실험례 4]
(1) 노루궁뎅이버섯 건조 분말의 조제 방법
노루궁뎅이버섯의 자실체를, 60∼70℃에서 가열하면서 건조시키고, 건조한 자실체를, 밀을 이용하여 분쇄하여 건조 분쇄 분말을 조제하였다. 분쇄한 건조 분쇄 분말은, 100메시의 체에 걸러, 통과한 분쇄 분말을 시험에 사용하였다.
(2) 구강 내의 균총 개선 효과의 평가 방법
구강 내의 균총 개선 효과를 평가하기 위해, 상기 방법으로 얻어진 노루궁뎅이버섯 건조 분말을 사용하여, 피험자 8명에 의한 크로스오버 시험을 행하였다. 구강 청소를 행하여 구강 내의 세균을 제거한 후, 하기의 표 4에 표시하는 농도의 노루궁뎅이버섯 건조 분말의 95℃의 탕(帑)현탁액 100㎖을 약 10분간 걸려서 섭취하고, 섭취 5시간 후의 구강 내의 세균총을 평가하였다. 세균총의 평가는, 세구(洗口) 토출 타액 중의 상재균으로서 미티스 그룹을 포함하는 연쇄구균을, 병원균으로서 치주병이나 구취의 원인이 된 흑색 색소 산생균의 생균수를 측정하고, 상재균과 병원균의 합계수에 대한 각 세균의 균 구성 비율로서 평가하였다. 또한, 세구 토출 타액은, 증류수 10㎖을 입에 머금고, 약 30초간 세구한 후 회수한 토출 타액이다. 또한, 상재균의 측정에는, 미티스·사리바리우스 평판 배지(Becton and Dickinson사제)를 이용하고, 병원균의 측정에는, 200㎍/㎖의 카나마이신을 첨가한 혈액 평판 배지* 1를 이용하였다. 세균의 배양은 37℃, 혐기 조건하(80vol% 질소, 10vol% 이산화탄소, 10vol% 수소)로 약 1주간 행하여, 생육한 콜로니수를 카운트함으로써 산출하였다.
*1 ; 혈액(血液) 평판 배지의 조성 : 1리터 중의 질량으로 나타낸다.
토드-헤위트-브로스(Becton and Dickinson사제) : 30g/ℓ
한천(Becton and Dickinson사제) : 15g/ℓ
헤민(시그마 알도리치사제) : 5mg/ℓ
비타민 K(와코순약공업사제) : 1mg/ℓ
증류수 : 나머지
(전량이 1ℓ이 되도록 메스업하고, 121℃에서 20분간 오토클레이브하였다.)
면양탈섬혈(綿羊脫纖血)(니혼바이오테스트연구소제) 100㎖
[표 4]
Figure pct00004
표 4에 표시하는 바와 같이, 노루궁뎅이버섯 건조 분말 현탁액의 섭취에 의해, 미섭취(0%)에 비하여 섭취 5시간 후에서의 상재균 비율이 증가하고 있고, 병원균 비율이 보다 적은 상재균을 주체(主體)로 하는 균총이 형성됨을 알았다.
다음에, 처방례를 나타낸다. 각 예의 버섯의 건조 분말 또는 그 추출물을 포함하는 구강용 조성물은, 구강 내의 비병원성 상재균의 생육 촉진 및 균총 개선 효과가 우수하였다.
또한, 버섯의 분쇄한 건조 분쇄 분말은, 100메시의 체에 걸러, 통과한 분쇄 분말을 시험에 사용하였다.
[처방례 1] 추잉검
크실리톨 49
말티톨 20
껌 베이스 20
노루궁뎅이버섯 건조 분말 1
아라비아 고무 9
향료 1
합계 100%
[처방례 2] 추잉검
크실리톨 45
말티톨 20
껌 베이스 20
땅찌만가닥버섯 건조 분말 5
아라비아 고무 9
향료 1
합계 100%
[처방례 3] 태블릿
소르비톨 70
말티톨 5
노루궁뎅이버섯 건조 분말 20
향료 4.5
미립 이산화규소 0.5
합계 100.0%
[처방례 4] 태블릿
소르비톨 70
말티톨 5
덱스트린 10
표고버섯 건조 분말 10
향료 4.5
미립 이산화규소 0.5
합계 100.0%
[처방례 5] 태블릿
소르비톨 75
말티톨 5
덱스트린 10
느타리버섯 건조 분말 5
향료 4.5
미립 이산화규소 0.5
합계 100.0%
[처방례 6] 태블릿
소르비톨 79
말티톨 5
덱스트린 10
땅찌만가닥버섯 건조 분말 1
향료 4.5
미립 이산화규소 0.5
합계 100.0%
[처방례 7] 구미
설탕 40
물엿 30
포도당 액당 10
글리세린 5
젤라틴 5
노루궁뎅이버섯 건조 분말 5
향료 0.2
물 밸런스
합계 100.0%
[처방례 8] 구미
설탕 40
물엿 30
포도당 액당 10
글리세린 5
젤라틴 5
잎새버섯 건조 분말 2
향료 0.2
물 밸런스
합계 100.0%
[처방례 9] 치마제
무수규산 15.0
라우릴황산나트륨 1.0
크산탄고무 0.5
알긴산나트륨 0.5
사카린나트륨 0.1
소르비톨 10.0
크실리톨 5.0
노루궁뎅이버섯수추출액 1.0
(10%현탁액으로 조제. 건조 분말 환산으로 0.1% 상당)
향료 1.0
물 밸런스
합계 100.0%
[처방례 10] 치마제
무수규산 15.0
라우릴황산나트륨 1.0
카르복시메틸셀룰로스나트륨 1.0
카라기난 0.5
사카린나트륨 0.1
글리세린 15.0
땅찌만가닥버섯수추출액 1.0
(10%현탁액으로 조제. 건조 분말 환산으로 0.1% 상당)
향료 1.0
물 밸런스
합계 100.0%
[처방례 11] 세구제
에탄올 10.0
프로타민 0.01
소르비톨 5.0
크실리톨 5.0
노루궁뎅이버섯수추출액 2.0
(10%현탁액으로 조제. 건조 분말 환산으로 0.2% 상당)
사카린나트륨 0.2
향료 0.8
물 밸런스
합계 100.0%
[처방례 12] 세구제
크실리톨 5.0
노루궁뎅이버섯 건조 분말 0.1
크산탄고무 0.15
향료 0.8
물 밸런스
합계 100.0%
[처방례 13] 분말음료(탕(湯) 또는 물 100㎖에 분산, 용해하여 사용)
말차(抹茶) 0.8
노루궁뎅이버섯 건조 분말 0.4
아스코르빈산나트륨 0.05
덱스트린 0.05
합계 1.3g
[처방례 14] 분말음료(탕 또는 물 100㎖에 분산, 용해하여 사용)
분말 보리차 0.8
(사라사라 건강 미네랄 보리차(등록상표), 이토엔주식회사제)
노루궁뎅이버섯 건조 분말 0.4
합계 1.2g
[처방례 15] 분말음료(탕 또는 물 100㎖에 분산, 용해하여 사용)
분말 볶은 차(茶) 0.8
(오오이 오차 사라사라 호지차(등록상표), 이토엔주식회사제)
노루궁뎅이버섯 건조 분말 0.4
합계 1.2g
[처방례 16] 분말음료(탕 또는 물 100㎖에 분산, 용해하여 사용)
가쓰오와 다시마를 합친 다시 0.6
(혼다시(등록상표), 아지노모토주식회사제)
노루궁뎅이버섯 건조 분말 1.0
염화칼륨 0.3
합계 1.9g

Claims (8)

  1. 노루궁뎅이버섯(Hericium erinaceus), 잎새버섯(Grifola frondosa), 땅찌만가닥버섯(Lyophyllum shimeji), 느티만가닥버섯(hypsizygus marmoreus), 느타리버섯(Pleurotus ostreatus), 신령버섯(Agaricus blazei) 및 표고버섯(Lentinula edodes)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의 버섯의 건조 분말 또는 그 추출물로 이루어지는 비병원성 구강 내 상재균의 생육 촉진제 또는 구강 내의 균총 개선제.
  2. 제1항에 있어서,
    버섯의 건조 분말 또는 그 추출물이, 버섯 자실체의 건조 분쇄 분말 또는 그 수추출물인 생육 촉진제 또는 균총 개선제.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버섯이 노루궁뎅이버섯(Hericium erinaceus)인 생육 촉진제 또는 균총 개선제.
  4. 제1항,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비병원성 구강 내 상재균이, 스트렙토코커스 고르도니(Streptococcus gordonii), 스트렙토코커스 미티스(Streptococcus mitis) 및 스트렙토코커스 오랄리스(Streptococcus oralis)로부터 선택되는 미티스(Mitis) 그룹의 연쇄구균인 생육 촉진제 또는 균총 개선제.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버섯의 건조 분말 또는 그 추출물의 농도가, 버섯의 건조 분말 환산으로 0.001∼50질량%인 생육 촉진제 또는 균총 개선제.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생육 촉진제 또는 균총 개선제를 함유하는 구강용 조성물.
  7. 제6에 있어서,
    생육 촉진제 또는 균총 개선제에 포함되는 상기 버섯의 건조 분말 또는 그 추출물의 함유량이, 버섯의 건조 분말 환산으로 조성물 전체의 0.001∼50질량%인 구강용 조성물.
  8. 제6항 또는 제7항에 있어서,
    정제, 과립, 구미, 음료, 치마제, 세구제 및 마우스-스프레이로부터 선택되는 제형으로 조제된 구강용 조성물.
KR1020177006991A 2014-09-17 2015-09-09 비병원성 구강 내 상재균의 생육 촉진제 또는 구강 내의 균총 개선제 및 구강용 조성물 KR20170047278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4189012 2014-09-17
JPJP-P-2014-189012 2014-09-17
PCT/JP2015/075574 WO2016043103A1 (ja) 2014-09-17 2015-09-09 非病原性口腔内常在菌の生育促進剤又は口腔内の菌叢改善剤並びに口腔用組成物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47278A true KR20170047278A (ko) 2017-05-04

Family

ID=555331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7006991A KR20170047278A (ko) 2014-09-17 2015-09-09 비병원성 구강 내 상재균의 생육 촉진제 또는 구강 내의 균총 개선제 및 구강용 조성물

Country Status (10)

Country Link
US (1) US10383902B2 (ko)
EP (1) EP3195870B1 (ko)
JP (1) JPWO2016043103A1 (ko)
KR (1) KR20170047278A (ko)
CN (1) CN107073053B (ko)
CA (1) CA2961542A1 (ko)
ES (1) ES2855994T3 (ko)
MY (1) MY183753A (ko)
SG (1) SG11201702011SA (ko)
WO (1) WO2016043103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463467A4 (en) * 2016-05-23 2020-01-01 Orphaderm Limited BIOPHOTONIC COMPOSITIONS COMPRISING A CHROMOPHORE OF FUNGAL ORIGIN
CN108969425B (zh) * 2018-09-30 2021-10-22 浙江方格药业有限公司 灰树花多糖牙膏
US20200352206A1 (en) * 2019-05-08 2020-11-12 Christine Wagner-Salvini Composition and method for mushroom mycelial compound and botanical mixture
WO2021007020A1 (en) * 2019-07-08 2021-01-14 Basf Se Oral care gummies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61933B2 (ja) * 1987-04-09 1995-07-05 サンスタ−株式会社 口腔用組成物
JPH08175946A (ja) 1994-12-26 1996-07-09 Kao Corp 口腔用組成物
JP3241955B2 (ja) 1994-12-26 2001-12-25 花王株式会社 口腔用組成物
JP4730991B2 (ja) 1999-11-29 2011-07-20 日本ゼトック株式会社 口腔用組成物
JP3619189B2 (ja) 2001-12-26 2005-02-09 チハヤ株式会社 食品組成物及び食品組成物の製造方法
JP2004026701A (ja) 2002-06-25 2004-01-29 Hideko Uechi 口腔用組成物
JP4965063B2 (ja) 2004-05-07 2012-07-04 雪印メグミルク株式会社 口腔内細菌叢改善剤、抗菌剤及び生育促進剤。
JP5017697B2 (ja) * 2005-06-27 2012-09-05 独立行政法人森林総合研究所 抗菌剤
KR20090021684A (ko) * 2007-08-28 2009-03-04 전병태 치매 개선 예방용 식품 및 약품 조성물
JP2010077028A (ja) * 2008-09-24 2010-04-08 Iwate Prefecture 齲蝕予防のための食品及び口腔ケア剤組成物
WO2012001347A1 (en) * 2010-06-29 2012-01-05 Ucl Business Plc Products with oral health benefits
JP2012077053A (ja) 2010-10-05 2012-04-19 Shizuoka Prefecture 口腔の細菌叢を変化させる方法
CN104023732B (zh) 2011-08-05 2017-09-01 株式会社养乐多本社 口腔疾患的预防或治疗剂
JP5744985B2 (ja) * 2013-08-19 2015-07-08 株式会社ロッテ 抗菌剤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195870B1 (en) 2021-03-03
US20170252383A1 (en) 2017-09-07
CN107073053B (zh) 2021-02-02
CN107073053A (zh) 2017-08-18
CA2961542A1 (en) 2016-03-24
SG11201702011SA (en) 2017-04-27
EP3195870A1 (en) 2017-07-26
MY183753A (en) 2021-03-11
US10383902B2 (en) 2019-08-20
EP3195870A4 (en) 2018-07-18
ES2855994T3 (es) 2021-09-27
WO2016043103A1 (ja) 2016-03-24
JPWO2016043103A1 (ja) 2017-07-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017697B2 (ja) 抗菌剤
JP5552725B2 (ja) 口腔用組成物及び口腔バイオフィルム殺菌剤
KR20170047278A (ko) 비병원성 구강 내 상재균의 생육 촉진제 또는 구강 내의 균총 개선제 및 구강용 조성물
JP5893324B2 (ja) メチルメルカプタン抑制剤
KR102299387B1 (ko) 향균성 치약 조성물
JP5480864B2 (ja) 抗菌剤及びそれを含む口腔用組成物
JP4630416B2 (ja) 坑う蝕、歯周病剤
JP2010077028A (ja) 齲蝕予防のための食品及び口腔ケア剤組成物
Rahim et al. The effect of selected plant extracts on the development of single-species dental biofilms
JP2017075098A (ja) 動物用の口腔用組成物並びにそれを使用した動物用の歯周病予防剤及び動物用の口臭予防剤
JP6744542B2 (ja) ラクトバチルス属乳酸菌の培養方法
KR101782858B1 (ko) 약용식물 추출물을 함유하는 치약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JP7445910B2 (ja) 口腔常在菌調整剤を含む口腔用組成物、口腔ケア製品及び食品
JP6351985B2 (ja) 口腔用組成物
JP2002114658A (ja) 口腔用組成物
JP6631223B2 (ja) 口腔用抗菌剤及び口腔用組成物
JP2019196329A (ja) 歯周病予防口腔用組成物
JP2009051778A (ja) ストレプトコッカス・ミュータンス(S.mutans)抗菌剤、抗う蝕剤、口腔用剤及びう蝕予防用飲食物
JP5744985B2 (ja) 抗菌剤
WO2021079921A1 (ja) 口腔内の病原性細菌に対する生育抑制剤、口腔内の菌叢改善剤及び口腔用組成物
JP2001097835A (ja) 抗う蝕剤
JP7215026B2 (ja) 口腔用組成物
CN111148503B (zh) 用于口腔应用的包含桃金娘提取物和氟盐的组合物
CN111603416B (zh) 包含啤酒花提取物的口腔护理组合物
JP2009023920A (ja) 口腔用抗菌剤及び口腔用組成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