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21684A - 치매 개선 예방용 식품 및 약품 조성물 - Google Patents

치매 개선 예방용 식품 및 약품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21684A
KR20090021684A KR1020070086397A KR20070086397A KR20090021684A KR 20090021684 A KR20090021684 A KR 20090021684A KR 1020070086397 A KR1020070086397 A KR 1020070086397A KR 20070086397 A KR20070086397 A KR 20070086397A KR 20090021684 A KR20090021684 A KR 2009002168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ementia
weight
vitamin
powder
pharmaceutical composi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863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전병태
김상민
Original Assignee
전병태
주식회사 한국녹용개발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병태, 주식회사 한국녹용개발연구원 filed Critical 전병태
Priority to KR102007008639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90021684A/ko
Publication of KR2009002168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21684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66Phosphorus compounds
    • A61K31/683Diesters of a phosphorus acid with two hydroxy compounds, e.g. phosphatidylinosito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66Phosphorus compounds
    • A61K31/683Diesters of a phosphorus acid with two hydroxy compounds, e.g. phosphatidylinositols
    • A61K31/685Diesters of a phosphorus acid with two hydroxy compounds, e.g. phosphatidylinositols one of the hydroxy compounds having nitrogen atoms, e.g. phosphatidylserine, lecith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5/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materials or reaction products thereof with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35/56Materials from animals other than mammals
    • A61K35/57Birds; Materials from birds, e.g. eggs, feathers, egg white, egg yolk or endothelium corneum gigeriae galli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06Fungi, e.g. yeasts
    • A61K36/07Basidiomycota, e.g. Cryptococcu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48Fabaceae or Leguminosae (Pea or Legume family); Caesalpiniaceae; Mimosaceae; Papilionacea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300/00Mixtures or combinations of active ingredients, wherein at least one active ingredient is fully defined in groups A61K31/00 - A61K41/00

Abstract

본 발명은 천연물질을 혼합하여 만든 치매를 개선 및 예방을 하기 위한 건강식품 및 약품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은 천연식품원료추출물을 재료로 구성함으로 인체에 독성 및 부작용을 유발하지 않으며, 식품으로 용이하게 복용가능 할 뿐만 아니라, 신경성장인자(Never Growth Factor)활성물질 과 β-D-glucan이 다량 함유된 노루궁뎅이버섯분말, 레시틴 등을 적당한 배합 조건하에서 혼합 및 교반과정을 거치도록 함으로써 장기간 복용해도 부작용이 없는 치매 개선 및 예방용 약학 조성물을 제공 한다
노루궁뎅이버섯, 레시틴, 대두레시틴, 난황레시틴, 감초추출분말, 자당지방산에스테르, β-D glucan, 엽산, HPMC, 유당

Description

치매 개선 예방용 식품 및 약품 조성물{omitted}
본 발명은 치매 개선 예방 및 약품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인체에 독성 및 부작용을 유발하지 않으며, 식품으로 용이하게 복용가능 할 뿐만 아니라, 합성 약품 의 대체품으로 이용할 수 있는 치매 개선 및 예방 식품 및 약품 생약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한방에서 치매는 동양 최고의 의서인 황제내경과 역대의서에서 건망(健忘), 매병, 전광(癲狂), 허로(虛勞) 등의 범주에서 취급하였다. 치매라는 병명이 정식으로 쓰이게 된 시기는 중국 명나라 때 장경악(1563-1640)이 쓴 경악전서(景岳全書)라는 책의 잡병모(雜病謨)에서 치매의 주요 증상을 말하였다(말이 횡설수설하고 거동이 불편하고 혹 땀이 많이 나기도 하고 혹은 자주 우울증에 빠지기도 하며 비상식적인 행동을 하며 바깥으로 자주 배회한다). 그 후 청대에 이르러 현대의학에서 말하는 치매의 개념과 유사한 뜻으로 "매병"에 대해 상세하게 서술하였다.
치매의 한자를 풀어보면 '치'자는 알지자에 병부가 붙어 있어 지능, 지성이 병들었다는 뜻이며, '매'자는 사람이 기저귀를 차고 있는 모습을 나타낸 상형문자에서 나왔다. 이로써 치매환자의 증상표현을 짐작하게 하는데 최근 혹은 오래된 기 억력, 의식의 불분명, 공간 시간 위치의 지남력 혼란, 사고력, 계산력, 판단력, 상식 등의 고위 대뇌기능의 장애를 나타내는 일종의 만성 진행성 정신퇴행질환이다.
우리가 소위 '노망(망령)' 이라고 해온 노인성 치매는 사실 어제 오늘 갑자기 생긴 병이 아니다. 노망이라는 말은 그리스 로마시대 기록에도 나타난다. 르네상스 이후부터 치매환자에 대한 구체적인 기록이 보이는데 '기억상실 외에도 아이들처럼 행동 한다'는 내용이 그것이다. 16세기 프랑스 법정의사인 로렌스는 '기억이 없어지며 분별력을 잃게 되어 마치 제2의 유아기로 되돌아간 듯하다'라는 기록을 남겼다.
치매 혹은 디멘치아(dementia)는 라틴어의 디멘스(demens)에서 나온 말로, 디(de)의 제거한다, 멘스(mens)의 정신, 그리고 티아(tia)의 병이라는 뜻이 결합된 용어로서 문자 그대로 「정신이 제거된 질병」이다.
치매라는 용어를 처음 사용한 사람은 프랑스 의사인 피넬이다. 그는 정신병에 관한 의학적 고찰에서 '특수한 종류의 치매'라는 말을 썼으며 그의 제자인 에스퀴롤은 1838년 정신병에서 치매를 급성, 만성 그리고 노인성으로 구별한 것이 전부였다. 1906년 독일의 정신과 의사인 알로이스 알츠하이머가 '대뇌피질의 묘한 질환에 대하여'라는 제목의 보고서를 발표하면서부터 알츠하이머형 치매에 대해 알려지게 되었다.
알츠하이머형 치매는 치매병의 한 종류로 그 특징은 연령이 비교적 젊은 층에서도 발병하는 경우가 있다. 알츠하이머씨는 수년간 진행성 치매병으로 사망한 여자의 뇌를 해부해 본 결과 신경섬유가 엉켜진 것과 반점을 발견하였다. 그 당시 에는 뇌신경섬유의 엉킴과 반점이 치매병의 원인이 되는지 치매병의 결과로 생겨난 것인지 이해하지 못하였다. 그러나 수많은 과학자들은 신경섬유의 엉킴과 반점이 치매의 원인이 된다고 믿고 있으며 왜 이러한 현상이 일어나며 어떻게 이런 현상을 방지함으로써 치매병 진행을 억제하고 손상된 뇌섬유를 건강한 뇌섬유로 되돌려 놓을 수 있는지에 대해 수많은 연구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우리나라 치매현황은 한국보건사회연구원의 98년 4월 7일 '치매노인 실태조사및 관리대책'이라는 보고서에서 고령화 현상으로 인해 치매인구가 급증하여 95년 치매 유병률은 65세 이상 노인 중 8.3%이지만 2020년에는 이보다 0.7% 포인트 늘어난 9%가 될 것이라고 밝혔다. 또한 치매 유병률을 통계청이 밝힌 장래 추계인구에 적용한 결과, 2000년 치매 노인수는 27만7천48명(65세 이상 노인인구의 8.3%), 2015년 52만7천68명(9%), 2020년 61만9천1백32명(9%)에 이를 것이라고 밝혔다.
보건사회연구원은 또 우리나라 치매노인의 증상은 가벼운 경우가 59.2%, 중증인 경우가 27.2%, 아주 심한 경우가 13.6%로 분석했으나, 치료를 통해 완치되는 환자는 14%에 불과했고, 증세의 단순지연이 20%였으며 66%는 치료가 불가능한 것으로 드러났다. 그리고 95년도 통계청이 발표한 95년 사망원인 통계결과에 따르면 86년 이후 10년간 증가폭이 가장 큰 사망원인은 알콜 중독, 치매와 같은 정신 및 행동장애로 무려 660%의 증가율을 기록했다.(고혈압, 뇌혈관 질환, 동맥경화증과 같은 순환기계질환, 암, 교통사고 등의 각종 사고 순) 우리나라에서도 정부차원에 뇌질환 계통연구를 앞으로 10년간 수천억을 투입하여 진행한다고 발표하였으니 이에 대한 계속적인 연구가 이루어질 계획이다.
현재 치매병에 걸렸다고 진단되었을 때 유일한 방법은 병이 더 이상 진행되지 않고 정신 기능을 담당하고 있는 뇌세포에 혈액 순환을 원활하게 하고 기억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약물 또는 영양소를 공급하여 자신이 누구인지 자신의 힘으로 최소한의 생활을 영위할 수 있게 하는 것이 지금으로선 최선의 치료 방법이다. 혈액순환계와 기억력향상제 (Cholinergic system계 약품)가 현재 미국 FDA에서 허가된 Cognex 와 Aricept 두 제품이 있다. 미국 노스켈로나이나 의과대학에서 조사한 바로는 약 50%의 치매병 환자들이 한 가지 이상의 치료방법을 쓰고 있는데 이들 방법들은 다음과 같다.
가. 84% 환자들에게 비타민을 제공 한다
나 22%환자들에게 건강식품을 제공 한다
다. 11% 환자들에게 한약재를 제공 한다
라. 9% 환자들에게 "현명해지는 알약"을 제공 한다
그 밖에도 비스테로이드계 항염증 약품 (NSAIDS)을 복용하는 경우와 호르몬제인 에스트로젠, 혈액순환제인 은행잎 추출물 등을 사용하는 경우가 있다. 이들 중 약 3분의 1정도가 효과가 있다고 보고하고 있다. 현재 판매되고 있는 콜린에스터레이즈 억제제 (기억력 향상제의 일종)로 FDA에서 허가된 약품은 Cognex 와 Aricept 두 종류인데 Cognex의 경우 치매병이 초기 및 중간 단계의 환자들에게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나 그 부작용이 너무 심해 떨림증, 현기증, 구토증, 간독성 등은 우려할 만한 부작용으로 알려져 있다. 효능과 부작용에서 개선된 새로운 제품으로 1996년에 Aricept 제품이 시판되었으며 이 제품은 Cognex 보다 훨씬 선택성이 우수하여 부작용이 적어졌으나 이 제품 역시 현기증, 구토증, 설사 등의 부작용이 있다고 보고되고 있다. 이 계통의 새로운 제약들이 개발, 최종 단계에 들어 있는 것으로 베이어 제약에서 Metrifonate라는 제품과 Sandon에서 END-713, Forest사의 physostigmine SR, Astra Arcus사의 NXX-066, Janssen사의 galanthamine 등이 있다. 그밖에 뇌신경전달물질인 아세틸콜린 양을 증가시키는 제약으로 개발중인 약품으로는 Eli Lilly사의 Xanomeline, Parke-Davis사 제품인 milameline, Smithkline Beecham 사의 SB-202026, Suow Brand producto사의 AF-102B와 Abbott사의 ABT-418등이 개발되고 있는 실정이다.
현재 우리나라에서 개발한 한약재 치매병 치료제 유럽 및 미국 등에서 천연물 및 한약재가 치매병 치료에 쓰여 지고 있다. 예로 은행잎 추출물은 유럽에서는 뇌일혈 환자의 회복 및 치매병 치료에 효과가 있다고 여러 연구 기관에서 보고하고 있고 또 현재 사용 중에 있다. 그러나 복합적인 처방에 의한 한약재 치료제 개발은 현재까지 알려져 있지 않았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기술의 사정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화학 합성물질이 아닌 천연 물질 및 천연물질 추출물로 그 재료로 구성하고, 그 천연물질들을 적당한 조건하에서 혼합 및 교반 과정을 거치고 정제 및 캡슐로 만들어 섭취를 쉽게 하여 인체의 면역력을 증강시키며 소화기에 직접 작용하여 화학 합성물질의 부작용을 없게 하고 장기 복용하여도 전혀 인체에 이상이 없이 치매환자에 효과가 발생되도록 한 천연 물질을 주원료로 하는 치매 개선 식품 및 약품 조성물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전체 100중량% 대비 레시틴분말 50중량% 내지 70중량%, 노루궁뎅이버섯분말 25중량% 내지 42중량%, 자당지방산에스테르 1중량% 내지 3중량%, 엽산 0.1중량% 내지 0.2중량%, 비타민C 0.2중량% 내지 1중량%, HPMC 0.2중량% 내지 1중량%, 유당 2중량% 내지 5중량%를 배합하여 제조되는 알cm하이머 개선용 약학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배합비는 상기조성물을 제조함에 있어 인체 내에서 분해가 용이하고 제형을 쉽게 하기위하여 결정하였으며 또한 상기 조성물의 경제성을 고려하여 배합비 범위를 결정하였다.
현재 치매치료제는 기억력 향상제로 미국 FDA에서 허가된 약품인 Cognex 와 Aricept 두 종류인데 그 부작용이 너무 심해 떨림증, 현기증, 구토증, 간독성 등은 우려할 만한 부작용을 동반한다. 본 발명은 부작용을 최대한 줄이고, 체질에 관계없이 경구 투여하여 치매 예방 및 치료에 매우 효과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대한민국 식품공전 및 건강기능식품공전에 공시된 식용으로 사용가능한 식품의 원료인 대두 레시틴 또는 나황레시틴, 노루궁 뎅이버섯, 자당지방산에스테르, 비타민, HPMC 및 유당을 포함하는 치매 예방 및 치료를 위한 식품 및 약품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에서, 대두레시틴분말은 대두에서 분리한 인지질 함유 복합지질을 식용에 적합하도록 정제한 것을 말한다.
상기에서, 노루궁뎅이버섯은 노루궁뎅이버섯 자실체를 열풍건조한 것을 제외한 상온자연건조 또는 냉풍, 진공동결건조 된 상태를 분말 화한 것을 말한다.
상기에서 자당지방산에스테르, 비타민, HPMC 및 유당은 대한민국 식품공전에 식품원료로 등재되어 있는 원료를 말한다.
이하 본 발명을 하기 실시예 및 실험예를 통하여 상세히 설명하나, 본 발명이 여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1]
생약 조성물Ⅰ의 제조
대두레시틴분말, 노루궁뎅이버섯분말, 자당지방산에스테르, 엽단, 비타민C, HPMC, 유당을 하기의 표1과 같은 시료를 사용하여 정제로 만들었다.
[표 1]
Figure 112007507610583-PAT00001
[실시예2]
생약 조성물Ⅱ의 제조
대두레시틴분말, 노루궁뎅이버섯분말, 자당지방산에스테르, 엽산, 비타민C를 하기의 표 2와 같은 시료를 사용하여 캡슐로 만들었다.
[표 2]
Figure 112007507610583-PAT00002
[실험예1]
상기 실시예1을 정제로 만들어 치매 질환이 있는 49명에게 1회 1g씩, 1일 2회, 2개월간 복용하면서 Blessed scale(브레스트씨 치매척도표)를 사용하여 임상실험 하였다.
실험 결과, 복용자 모두에게서 치매 증상이 호전되면서 개선되어 인체 치매효과가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표 3 참조).
임상 기관 : 큰사랑 의원
인 원 : 49명(남26명, 여23명)
대 상 : 평균나이 63세의 치매환자
기 간 : 20주
실험방법 : 상기 실시예1 1회 1g씩, 1일 2회 섭취
[표 3]
C-CGIC(종합평가)
매우 많이 호전 1 - 매우 많이 악화 7
Figure 112007507610583-PAT00003
< 검사 결과 >
수치 1(매우 많이 호전되었음) ∼ 수치 3(약간 호전되었음) 까지의 반응이 나타났으며, 수치 4(변화 없음) ∼ 수치 7(매우 많이 악화되었음) 까지의 환자는 없었음.
[표 4] 평가항목별 개선율
평가 항목별로 차이는 있었으나 15% - 56%의 개선율을 보임
Figure 112007507610583-PAT00004
[표 5] 일상생활에 대한 수행 및 생활습관에 관한 척도(가사돌보기, 대소변 가리기 등) Blessed scale 척도표 11문항을 점수로 환산 총점이 높을수록 병세가 악화됨
백분율로 환산 5개월 후 ≒ 15% 개선
Figure 112007507610583-PAT00005
[표 6] 생활습관 및 개인위생개선율(기억력, 문제해결능력 등)Clinical Dementia Rating(CDR)
척도표 6 문항을 점수로 환산 총점이 높을수록 병세가 악화됨
백분율로 환산 5개월 후 ≒ 56% 개선
Figure 112007507610583-PAT00006
[표 7] 일상생활 동작에 대한 개선율(식사, 화장실이용 등)Daily Living Function Assesment(ADL)
척도표 10 문항을 점수로 환산 총점이 높을수록 병세가 호전됨
백분율로 환산 5개월 후 ≒ 25% 개선
Figure 112007507610583-PAT00007
[표 8] 변화율 개선정도(정신착란 등의 증상);Global Deterioratio Scale(GDS)
척도표 7 문항을 점수로 환산 총점이 높을수록 병세가 악화됨
100%율로 환산 5개월째 ≒ 37% 개선
Figure 112007507610583-PAT00008

Claims (4)

  1. 레시틴분말 50중량% 내지 70중량%, 노루궁뎅이버섯분말 25중량% 내지 42중량%, 자당지방산에스테르 1중량% 내지 3중량%, 엽산 0.1중량% 내지 0.2중량%, 비타민C 0.2중량% 내지 1중량%, HPMC 0.2중량% 내지 1중량%, 유당 2중량% 내지 5중량%를 배합하여 제조되는 알츠하이머 개선용 약학 조성물
  2. 레시틴분말 50중량% 내지 70중량%, 노루궁뎅이버섯분말 25중량% 내지 42중량%, 자당지방산에스테르 1중량% 내지 3중량%, 엽산 0.1중량% 내지 0.2중량%, 비타민C 0.2중량% 내지 1중량%, 비타민B1 0.2중량% 내지 1중량%, 비타민B2 0.2중량% 내지 1중량%를 배합하여 제조되는 알츠하이머 개선용 약학 조성물
  3.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서,
    레시틴분말은 대두레시틴분말 또는 난황레시틴분말에서 선택되는 1종이상의 레시틴분말을 포함하는 알츠하이머 개선용 약학 조성물
  4.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노루궁뎅이버섯분말은 노루궁뎅이버섯 자실체를 자연건조, 냉풍건조 또는 동결건조 방법으로 건조하여 분쇄한 알츠하이머 개선용 약학조성물
KR1020070086397A 2007-08-28 2007-08-28 치매 개선 예방용 식품 및 약품 조성물 KR2009002168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86397A KR20090021684A (ko) 2007-08-28 2007-08-28 치매 개선 예방용 식품 및 약품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86397A KR20090021684A (ko) 2007-08-28 2007-08-28 치매 개선 예방용 식품 및 약품 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21684A true KR20090021684A (ko) 2009-03-04

Family

ID=406916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86397A KR20090021684A (ko) 2007-08-28 2007-08-28 치매 개선 예방용 식품 및 약품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90021684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073053A (zh) * 2014-09-17 2017-08-18 狮王株式会社 非致病性口腔内常驻菌的生长促进剂或口腔内的菌群改善剂以及口腔用组合物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073053A (zh) * 2014-09-17 2017-08-18 狮王株式会社 非致病性口腔内常驻菌的生长促进剂或口腔内的菌群改善剂以及口腔用组合物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Hadley et al. Valerian
Gyllenhaal et al. Efficacy and safety of herbal stimulants and sedatives in sleep disorders
JP7069490B2 (ja) ユウリコマ・ロンギフォリア抽出物並びに免疫系の増強及び/又は刺激におけるその使用
KR101249633B1 (ko) 인식기능의 증진과 정신적 피로의 경감을 위한 징코 착체의용도
CN105228627A (zh) 亮氨酸和烟酸降低脂质水平
TWI583390B (zh) 富含鞣花單寧之萃取物組成物
ES2438765T3 (es) Composición a base de plantas para el control del peso
KR101975729B1 (ko) 발기 부전 치료를 위한 조성물 및 방법
AU2015341458B2 (en) Methods for treatment of cognitive decline
KR20050047130A (ko) 인삼 및 과라나 추출물을 포함하는 조성물
US20140248383A1 (en) Sleep quality improving agent
Mindell Dr. Earl Mindell's Herb Bible: Fight Depression and Anxiety, Improve Your Sex Life, Prevent Illness, and Heal Faster—the All-Natural Way
KR20110005144A (ko) 신경보호작용을 가지는 인삼추출물을 포함하는 약학조성물 및 건강식품조성물
US20230125425A1 (en) Traditional chinese medicine extract composition with function of regulating depressive emotion and preparation method and traditional chinese medicine preparation thereof
Bathala et al. Efficacy of Ocimum sanctum for relieving stress: a preclinical study
KR20090021684A (ko) 치매 개선 예방용 식품 및 약품 조성물
US11458150B2 (en) Methylphosphinic acid compositions and methods for reducing aging
JPH1180009A (ja) 脳機能の改善剤および低下予防剤
Ubaid et al. Protective effect of cinnamon oil against ciprofloxacin toxicity on liver and kidney of male Wistar rats
CN114599358A (zh) 含有麦角硫因或其盐的睡眠改善用组合物
Ocasio et al. Natural remedies recommended for the management of oral health
Bell Adjunctive care with nutritional, herbal, and homeopathic complementary and alternative medicine modalities in stroke treatment and rehabilitation
US11911431B2 (en) Sustained release ashwagandha extract
KR20130122426A (ko) 사상자 추출물의 신규 용도
Dixit et al. Role of Stanya Shodhana Mahakashya in the treatment of Stanyadushti-A Case Repor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