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05144A - 신경보호작용을 가지는 인삼추출물을 포함하는 약학조성물 및 건강식품조성물 - Google Patents

신경보호작용을 가지는 인삼추출물을 포함하는 약학조성물 및 건강식품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05144A
KR20110005144A KR1020090062697A KR20090062697A KR20110005144A KR 20110005144 A KR20110005144 A KR 20110005144A KR 1020090062697 A KR1020090062697 A KR 1020090062697A KR 20090062697 A KR20090062697 A KR 20090062697A KR 20110005144 A KR20110005144 A KR 2011000514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ease
extract
ginseng
pharmaceutical composition
ethano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626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영옥
김금숙
차선우
현동윤
김영창
박충범
박호기
성낙술
정주호
김호철
Original Assignee
대한민국(농촌진흥청장)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한민국(농촌진흥청장) filed Critical 대한민국(농촌진흥청장)
Priority to KR102009006269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10005144A/ko
Publication of KR2011000514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0514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05Plant extracts, their artificial duplicates or their derivativ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25Araliaceae (Ginseng family), e.g. ivy, aralia, schefflera or tetrapanax
    • A61K36/258Panax (ginse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25/00Drugs for disorders of the nervous system
    • A61P25/28Drugs for disorders of the nervous system for treating neurodegenerative disorders of the central nervous system, e.g. nootropic agents, cognition enhancers, drugs for treating Alzheimer's disease or other forms of dementia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22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having an effect on the health of the nervous system or on mental func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236/00Isolation or extraction methods of 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
    • A61K2236/30Extraction of the material
    • A61K2236/33Extraction of the material involving extraction with hydrophilic solvents, e.g. lower alcohols, esters or ketones
    • A61K2236/331Extraction of the material involving extraction with hydrophilic solvents, e.g. lower alcohols, esters or ketones using water, e.g. cold water, infusion, tea, steam distillation, decoc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236/00Isolation or extraction methods of 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
    • A61K2236/30Extraction of the material
    • A61K2236/33Extraction of the material involving extraction with hydrophilic solvents, e.g. lower alcohols, esters or ketones
    • A61K2236/333Extraction of the material involving extraction with hydrophilic solvents, e.g. lower alcohols, esters or ketones using mixed solvents, e.g. 70% EtOH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Neurology (AREA)
  • Botany (AREA)
  • Neurosurger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Mycolog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Epidemi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Hospice & Palliative Care (AREA)
  • Biotechnology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Psychia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Coloring Foods And Improving Nutritive Qualities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신경보호작용을 가지는 인삼추출물을 포함하는 약학조성물 및 건강식품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정제수, 에탄올 또는 그 혼합용매로 추출한 인삼 조추출물 또는 에탄올로 추출한 인삼 비극성가용추출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경계 질환 예방 및 치료용 약학조성물과 뇌기능 개선용 건강식품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인삼추출물을 포함하는 약학조성물은 뇌 관련 질환의 치료 및 예방에 유용하게 이용될 수 있으며, 또한 본 발명의 인삼추출물을 포함하는 건강식품조성물은 일반 소비자들이 거부감 없이 즐길 수 있는 기능성 건강식품으로서 국민생활건강에 이바지할 수 있다.
인삼추출물, 조추출물, 비극성가용추출물, 뇌졸중, 치매, 허혈성, 신경계 질환

Description

신경보호작용을 가지는 인삼추출물을 포함하는 약학조성물 및 건강식품조성물{Pharmaceutical composition and health-food composition containing ginseng extracts having neuroprotective effects}
본 발명은 신경보호작용을 가지는 인삼추출물을 포함하는 약학조성물 및 건강식품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정제수, 저급알코올 또는 그 혼합용매로 추출한 인삼 조추출물 또는 에탄올로 추출한 인삼 비극성가용추출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경계 질환 예방 및 치료용 약학 조성물과 뇌기능 개선용건강식품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최근 의학의 발전으로 인류의 평균수명이 연장되면서 노화와 함께 발병되는 신경퇴행성 질환들로 알츠하이머병, 파킨슨병, 헌팅톤병 등이 있으며 중풍 후에 급속하게 진행되는 신경세포소멸도 비슷한 병리과정을 거친다. 신경세포는 세포고사(Apoptosis), 흥분성 신경독성(Excitotoxicity), 활성산소(Free radical)에 의한 산화적 독성(Oxidative stress) 등에 의하여 사멸하게 된다. 노화 및 노화와 관련 된 퇴행성 뇌질환 등에서는 이런 세포사멸의 원인이 복합적으로 나타나게 된다. 특히, 노화 및 노인성 치매에서는 활성산소 및 세포고사에 의한 뇌세포 사멸이 많이 관찰되고 있다.
신경퇴행성 질환의 대표적인 알쯔하이머병은 39∼43개의 아미노산으로 구성된 베타 아밀로이드(Aβ1-42)의 뇌내 축적과 신경독성이 발병에 중요한 원인으로 알려져 있으며(Selkoe DJ.Normal and abnormal biology of the beta-amyloid precursor protein. Annu Rev eurosci1994;17:489-517), 베타 아밀로이드 단백질이 덩어리(neurofibrillary tangle)와 신경반(neuritic plaque)을 형성하여 전뇌 기저부(basal forebrain)의 콜린성 신경핵과 해마구조에 주로 침착이 된다. 그러나 현재까지 알려진 치매 치료제(Tacrine, Rivastigmine, galantamine Cognex; Donepezil, Aricept)들은 아세틸콜린(acetylcholine)의 작용을 증진시키는 것들로서 치매의 증상이 어느 정도 완화될 수는 있지만 신경세포 사멸 자체를 방지하지는 못한다. 또한, 여러 가지 부작용(간독성, 구토, 설사 등)이 문제점으로 알려져 있다. 치매의 경우 초기에는 아세틸콜린성 신경세포가 손상을 받으며, 이와 동시에 글루타메이트성 신경세포 등 많은 신경세포들이 손상을 받게 되는 것이 병의 원인이다. 따라서, 아세틸콜린의 활성을 증진시키는 것은 초기환자에 대하여 일시적인 효과만 있을 뿐이다.
약물 요법은 주로 부족한 신경전달물질(neurotransmitter; 콜린계, 모노아민계)의 보충과 남아있는 신경 세포의 대사 항진을 목적으로 하며, 콜린계에 작용하는 약물이 주를 이루고 있으나 알쯔하이머 병에서 인지 기능의 개선에 대한 효과는 일부의 연구에서만 확인되는 정도이다. 알쯔하이머성 치매의 발병기전은 명확히 알려져 있지 않으나, 중추신경계의 아세틸콜린 기능의 감소가 가장 공통적으로 나타나므로, 그 치료를 위해서는 아세틸콜린 전구체를 투여하거나 아세틸콜린의 분해를 저해하는 약물을 투여하여 뇌의 아세틸콜린 농도를 높여주는 치료방법이 사용되어 왔다. 따라서 아세틸콜린에스터라제(이하 'AChE'라 한다) 억제제 단독으로 또는 기존의 콜린 에스터라제 억제제와 병용한 약물들이 그 치료제로 사용되고 있다. 현재 4종의 치료제가 FDA 승인으로 판매되고 있다. 대표적인 약물로는 타크린(tacrine, Cognex), 도네페질(donepezil, Aricept), 리바스티그민(rivastigmin, Exelon), 갈란타민(galantamine, Reminyl) 등이 있다.
혈관성 치매(약 20-25%)는 뇌졸중(중풍)이 반복되어 여러 군데 뇌가 손상을 받아 생기는데, 만성 신체장애를 초래하는 뇌졸중은 흔히 반신마비나 언어장애 같은 국소 신체 중상만을 일으킨다고 생각하기 쉬우나 이것이 반복되면 뇌손상이 합쳐져서 나중에는 치매증상이 가장 두드러진 문제가 될 수 있다. 대부분 뇌혈관 동맥경화에 의해 뇌의 여러 곳에 혈액공급이 부족하게 되어 뇌세포에 손상을 입음으로서 발생하므로, 그 치료제로는 뇌혈관에 작용하는 고혈압 치료제나 아스피린 또는 손상받은 뇌세포를 보호하는 약제가 바람직하다.
기존의 치매 치료제는 주로 아세틸콜린 에스터라제 억제 효과만을 가지고 있으므로 혈관성 치매에도 치료효과를 나타내는 약제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Acetylcholinesterase(acetylcholine hydrlase, AChE, EC 3.1.1.7)는 신경세포와 신경근접합부를 지나는 신경세포간 접합부위 회로 후막 등의 신경전달신경계에서 중요한 효소로 신경전달물질인 acetylcholine(ACh)을 acetate와 choline으로 가수분해시킨다.) 신경근접합부 전막에 신경자극이 도착하면 신경접합부 틈에서 ACh방출을 유도하며, ACh는 신경근접합부 후막에서 확산되어져 특정한 수용체들에 의해 결합되어진 후, 이 효소에 의해서 가수분해되고 신경근접합부 후막의 편극화에 의해서 재저장된다. 신경섬유에서의 ACh의 효소가수분해는 신경기능의 neurohumoral transmitter로서 공급된 후 이 물질을 빠르게 제거하는 방법으로 Dale에 의해서 제안되었다. 후에 cholinesterase 활성이 혈액상에서 밝혀졌고, 최소 두 개의 독특한 효소가 적세포 형태안에 acetylcholinesterase와 혈청 형태안에 butyrylcholinesterase가 있음이 보여졌다. 이 두 효소의 반응속도론적 특성은 다른 조직안의 효소를 분리하는데 기초가 된다.
치매 환자의 뇌내 Ach의 농도는 정상인에 비해 50%의 손실을 보인다. 대뇌의 Ach은 choline과 acetyl coenzyme A에서 합성되며 이때 cholin acetyltransferase(ChaAT)라고 하는 효소가 관계된다. Choline 흡수가 낮아지면 ACh합성시 신경세포 구성물질 중이 하나인 phosphatidyl choline(PC)을 사용하게 된다. 이 경우 콜린성 뉴런이 파괴되고 치매와 같은 퇴행성 질병을 일으키게 된다. 우리나라에서는 환자들이 민간처방에만 의존하고 혈압이나 당뇨 등 뇌혈관 질환에 대한 지속적인 관리를 받지 않기에 이러한 경우가 더욱 두드러진다. 허혈성 뇌질환의 모델에서 아세틸콜린 양이 학습과 기억을 수행하는 해마(hippocampus)에서 현저히 낮음을 볼 수 있는데, 이것은 뇌내 혈류방해로 인해 부교감신경이 기능적인 장애를 받고 있기 때문으로 사료된다(Selkoe DJ.Normal and abnormal biology of the beta-amyloid precursor protein. Annu Rev Neurosci 1994;17:489-517; Ni, J. W. Ohta, H., Matsumoto, K. and Watanabe, H.; Progressive cognitive impairment following chronic cerebral hypoperfusion induced by permanent occlusion of bilaterral carotid arteries in rats. Brain Res. 653, 231 (1994))
뇌졸중의 기전은 뇌혈관에 의한 혈전(Thrombosis), 전색증(Embolism)과 출혈(Hemorrhage)이며, 고혈압, 심장질환, 당뇨병, 동정맥기형 또는 동맥류등에 기인한다. 뇌졸중의 정도와 회복은 손상부위와 손상 뇌반구의 위치, 경색의 크기와 부차적 순환(Collateral circulation)과 연령에 따르게 된다. 뇌졸중의 약물학적 치료방법은 항응고제(헤파린, 와파린등), 항혈소판제(아스피린, 티클로피딘등), 혈전용해제(스트렙토키나제, 유로키나제, 티-피에이등)등이 시행되고 있지만 발병이후, 단기간내에 처리하여야 하며, 한번 손상받은 신경세포는 다시 재생되지 않기에 약물학적 치료방법에 많은 어려움이 있다. 최근에 예방의학과 대체의약이 강조되면서 천연물 또는 한약재에 의한 예방이 중요시되고 있다.
현재까지 알려진 인삼의 효능은 다음과 같다. 인삼의 간장보호 작용으로써 생체내에서 단백질 합성을 촉진, 부분 절제한 간의 재생율 증가, 간의 콜레스테롤 대사촉진 효과, 숙취해소 효과등 간염환자에 대한 인삼의 유효성이 입증되었으며 인삼은 알콜의 체내 대사 및 배설을 촉진함은 물론 알콜로 인한 간의 손상을 막아준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인삼의 항피로 효과에 대한 약리작용 규명, 동식물을 통한 인삼성분의 항피로 효과규명, 임상 실험을 통한 인삼의 항피로 작용이 규명되었으며, 이러한 인삼의 항피로 효과를 감안해 볼 때 과로한 업무로 피로에 시 달리는 현대인들은 물론 입시공부에 시달리는 수험생들에게 권장 할 수 있다.
심맥관계(순환관계)에 대한 인삼의 효능은 인삼의 강심작용을 약리학적으로 입증, 심박동수, 평균동맥압의 강하, 중추정맥압 상승효과, 심박출량, 중추정맥압의 강하규명, 각종순환기 질환에 대한 임상효과 등이 있으며, 인삼은 강심작용과 심장의 기질적인 손상에 대한 방어효과 및 심맥계 근육에 대한 이환 효과가 혈압 에 대한 조정적 작용이 있다. 중추신경(뇌기능)계에 대한 작용은 디올계 사포닌; 중추신경에 진정작용을 하고 트리올계 사포닌이 중추신경 흥분작용 효과가 있다.
생체의 반응성 적정화 및 적응능력을 개선, 노화억제, 항동맥경화 및 고지혈증 개선, 방사선장애 제거, 면역증강, 항혈전, 뇌기능항진, 항스트레스, 혈당강하, 혈압강하, 노화 방지, 환경호르몬 독성예방, 중금속 해독효과 또는 항암 효과 등이 있다. 또한 인삼의 성분중에서 트리올계 사포닌에서, 비사포닌 성분 중에서는 폴리페놀 화합물에서 항산화 활성이 인정되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신경계 질환의 예방 및 치료와 관련하여, 기능성 물질인 인삼을 이용한 약학조성물을 제공하고, 또한 뇌기능 개선을 가지는 기능성 건강식품조성물을 제공하여 국민생활 건강에 이바지하고자 함이다.
상기의 과제를 해결하고자, 본 발명은 정제수, 에탄올 또는 그 혼합용매로 추출한 인삼 조추출물 또는 에탄올로 추출한 인삼 비극성가용추출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경계 질환 예방 및 치료용 약학조성물 및 뇌기능 개선용 건강식품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인삼추출물을 포함하는 약학조성물은 뇌 관련 질환의 치료 및 예방에 유용하게 이용될 수 있으며, 또한 본 발명의 인삼추출물을 포함하는 건강식품조성물은 일반 소비자들이 거부감 없이 즐길 수 있는 기능성 건강식품으로서 국민생활건강에 이바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인삼추출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경계 질환 예방 및 치료용 약학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인삼추출물은 정제수, 에탄올 또는 그 혼합용매로 추출한 조추출물이거나, 에탄올로 추출한 비극성가용추출물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신경계 질환은 퇴행성 뇌질환, 허혈성 뇌질환, 혈관성 치매, 뇌졸중, 헌팅턴병, 알츠하이머병 및 파킨슨병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약학조성물은 주사제제, 정제, 캡슐제, 액제 및 환제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의 제형일 수 있다.
본 발명은 또한 인삼추출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뇌기능 개선용 건강식품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건강식품조성물에서 상기 인삼추출물은 정제수, 에탄올 또는 그 혼합용매로 추출한 조추출물이거나, 에탄올로 추출한 비극성가용추출물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건강식품조성물에서 상기 뇌기능 개선은 퇴행성 뇌질환, 허혈성 뇌질환, 혈관성 치매, 뇌졸중, 헌팅턴병, 알츠하이머병 및 파킨슨병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의 질환의 예방 및 치료를 위한 것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건강식품조성물은 과립, 음료, 껌 및 차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의 기능성 식품형태일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인삼추출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경계 질환 예방 및 치료용 약학조성물과 뇌기능 개선용 건강식품조성물에 대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은 인삼(Panax gingeng MAYER)로부터 분리한 조추출물 또는 비극성가용추출물(에탄올분획물)을 함유하는 신경계와 관련된 질환 등을 예방 및 치료하는 약학조성물 및 건강식품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상기 인삼추출물은 동물 실험에서 뇌신경세포 고사를 억제하며 뇌내 아세틸콜린 양의 감소를 방지시키며 뇌허혈에 의해 손상되는 뇌조직에 대한 보호효과를 나타남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뇌신경세포보호 효과 및 노화 방지, 혈관성 치매는 물론 알츠하이머성 치매에 대하여 예방 및 치료제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자들은 안전성 확보 및 부작용의 최소화를 위하여 전통적으로 널리 이용되어 오고 있는 천연 한약재에서 뇌기능 개선제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는 소재를 찾아내고자 연구한 결과, 전통적으로 많이 사용되어 오던 천연한약재인 인삼추출물이 신경세포에서 강한 항산화력을 가지고, 또한 뇌세포의 사멸을 억제하며, 동물질환(치매) 모델에서 기억력 및 학습력의 개선에 효과가 있음을 확인함으로써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
본 발명은 인삼추출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경계 질환 예방 및 치료용 약학조성물을 제공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약학조성물은 약학조성물 전체중량대비, 인삼추출물 0.0001~50 중량%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약학조성물에서 상기 인삼추출물은 정제수, 에탄올 또는 그 혼합용매로 추출한 조추출물이거나, 에탄올로 추출한 비극성가용추출물(에탄올분획물) 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인삼추출물은 냉동 건조된 인삼부피의 2~5배 부피(L)의 정제수; 에탄올; 또는 정제수와 에탄올이 1 : 0.1~10의 혼합비를 갖는 혼합 용매;로 20~100℃에서 0.5시간~2일간 열수 추출, 냉침 추출, 환류추출 또는 초음파 추출의 추출 방법을 1~5회 반복하여 추출한 조추출물이거나, 정제수 가용추출물, 저급 알코올 가용 추출물 및 이들의 혼합용매에 의한 가용 추출물을 물에 현탁 한 후, 이를 현탁액의 1~10배 부피의 에틸아세테이트와 같은 저급 아세테이트, 에탄올, 클로로포름, 아세톤, 사염화탄소등과 같은 비극성 용매를 가하여 1~5회 분획하여 추출한 비극성가용추출물일 수 있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인삼추출물은 냉동 건조된 인삼부피의 3.5배 부피(L)의 정제수; 에탄올; 또는 정제수와 에탄올이 1 : 1의 혼합비를 갖는 혼합 용매;로 70~100℃에서 12시간 열수 추출, 냉침 추출, 환류추출 또는 초음파 추출의 추출 방법을 3회 반복하여 추출한 조추출물이거나, 정제수 가용추출물, 저급 알코올 가용 추출물 및 이들의 혼합용매에 의한 가용 추출물을 물에 현탁 한 후, 이를 현탁액의 5배 부피의 에틸아세테이트와 같은 저급 아세테이트, 에탄올, 클로로포름, 아세톤, 사염화탄소 등과 같은 비극성 용매를 가하여 3회 분획하여 추출한 비극성가용추출물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추출물은 물추출물, 에탄올 추출물 또는 이들의 혼합용매에 의한 추출물을 컬럼크로마토그래피를 통해 비극성용매로 유출시켜 분획하여 수득할 수 있다. 또한 추가로 통상의 분획 공정을 수행할 수도 있다 (Harvorne J.B.; Phytochemical methods: A guide to modern techniques of plant analysis. 3RD Ed., p 6-7, 1998). 상기에서 제조된 인삼의 조추출물 및 비극성가용추출물은 전뇌허혈을 일으킨 동물에 처리하였을때, 신경세포 보호효과가 탁월하게 유의적으로 높았으며 허혈 상태의 인지능력의 원인이 되는 아세틸콜린에스터라제를 유의적으로 저해하였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약학조성물은 석창포(Acori graminei RHIZOMA), 당귀(Angelica gigas NAKAI), 원지(Polygala tenuifolia WILLDOW), 산약(Dioscoreae japonica THUNG), 토사자(Cuscuta chinensis LAM.), 합환피(Alizia julibrissin DURAWW), 영지(Ganoderma lucidum KARST), 죽여(Phuyllostachys nigra LODD,), 육계(Cinnamomum cassia PRESL), 강활(Notopterygium incisum TING)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의 보조생약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에서 상기 약학조성물은 석창포, 당귀, 원지, 산약, 토사자, 합환피, 영지, 죽여, 육계, 강활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의 보조생약을, 인삼추출물 100중량부 대비 1~20중량부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치매 예방 및 신경세포 재생효능을 가지는 조성물에서 각각의 생약성분은 건조된 중량을 기준으로 한 것이다. 본 발명의 각각의 생약은 그대로 분말화하여 사용하거나 또는 물, 에탄올 또는 그 혼합용매로 추출하여 엑기스의 형태로 사용할 수도 있다. 엑기스의 형태로 사용하는 것이 취급, 복용 및 저장의 편리성 등에 비추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약학조성물에서 상기 신경계 질환은 퇴행성 뇌질환, 허혈성 뇌질환, 혈관성 치매, 뇌졸중, 헌팅턴병, 알츠하이머병 및 파킨슨병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약학조성물에서 상기 약학조성물은 주사제제, 정제, 캡슐제, 액제 및 환제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의 제형일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약학조성물은 상기 인삼추출물 100중량부 대비, 소디엄 메티비설파이트 2~4중량부, 메틸파라벤 0.6~1.0중량부, 프로필파벤 0.05~0.20중량부 및 주사용 멸균증류수 1~100중량부를 포함하는 주사제제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약학조성물은 상기 인삼추출물 100중량부 대비, 유당 40~60중량부, 전분 40~60중량부 및 스테아린산마그네슘 1~3중량부를 포함하는 정제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약학조성물은 상기 인삼추출물 100중량부 대비, 유당 40~60중량부, 전분 40~60중량부, 탈크 1~3중량부 및 스테아린산마스네슘 1~3중량부를 포함하는 캡슐제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약학조성물은 상기 인삼추출물 100중량부 대비, 설탕 1~3중량부, 이성화당 1~3중량부 및 레몬향 0.05~0.15중량부를 포함하는 액제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추출물 또는 분획물과 함께 사용할 수 있는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담체, 보조제 또는 희석액으로 예를 들면, 본 발명의 추출물 또는 화합물은 주사용액의 제조에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오일, 프로필렌글리콜 또는 다른 용매에 용해 시킬 수 있다. 적당한 담체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생리식염수, 폴리에틸 렌글리콜, 에탄올, 식물성 오일 및 이소프로필미리스테이트등이 있다. 국소적용을 위해서는 본 발명의 추출물 또는 화합물을 연고나 크림으로 제형화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추출물 또는 분획물의 약학적 투여 형태는 이들의 약학적 허용 가능한 염의 형태로도 사용될 수 있고, 또한 단독으로 또는 타 약학적 활성 화합물과 결합뿐만 아니라 적당한 집합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추출물 또는 분획물의 바람직한 투여량은 환자의 상태 및 체중, 질병의 정도, 약물형태, 투여경로 및 기간에 따라 다르지만, 당업자에 의해 적절하게 선택될 수 있다. 바람직한 효과를 위해서는 본 발명의 추출물 또는 분획물은 1일 0.0001 내지 200mg/kg으로 바람직하게는 0.001 내지 200mg/kg 투여하는 것이 좋다. 투여는 하루 1회, 또는 수회에 나누어 할 수 있다. 조성물에서 본 발명의 추출물 또는 분획물은 전체 조성물 총중량에 대하여 0.001 내지 50 중량%, 바람직하게는 0.001 내지 10 중량%의 양으로 존재하여야 한다.
본 발명의 약학조성물은 쥐, 생쥐, 가축, 인간등의 포유동물에 다양한 경로로 투여 될 수 있다. 투여의 모든 방식은 예상 될 수 있는데 예를 들면 경구, 직장, 정맥, 근육, 피하, 자궁내 경막 또는 뇌혈관내(intracerebroventricular)주사에 의해 투여 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또한 인삼추출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뇌기능 개선용 건강식품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건강식품조성물에서 상기 인삼추출물은 정제수, 에탄올 또는 그 혼합용매로 추출한 조추출물이거나, 에탄올로 추출한 비극성가용추출물일 수 있다. 이들의 구체적인 추출방법은 상기 약학조성물에 이미 살핀바와 같다.
또한 본 발명의 건강식품조성물에서 상기 뇌기능 개선은 퇴행성 뇌질환, 허혈성 뇌질환, 혈관성 치매, 뇌졸중, 헌팅턴병, 알츠하이머병 및 파킨슨병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의 질환의 예방 및 치료를 위한 것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건강식품조성물에서 상기 건강식품조성물은 과립, 음료, 껌 및 차 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의 기능성 식품형태일 수 있다.
본 발명은 뇌졸중의 예방효과를 나타내는 인삼의 추출물 및 식품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식품보조첨가제를 포함하는 건강식품조성물을 제공한다. 인삼추출물을 첨가 할 수 있는 식품으로는, 각종 식품류, 음료, 껌, 차, 비타민 복합제, 건강기능 식품류 등이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건강식품조성물은 비타민 A 아세테이트, 비타민 E, 비타민 B1, 비타민 B2, 비타민 B6, 비타민 B12, 비타민 C, 비오틴, 니코틴산 아마이드, 엽산, 판토텐산 칼슘로 이루어진 비타민 혼합물; 및 황산제1철, 산화아연, 탄산마그네슘, 제1인산칼륨, 제2인산칼륨, 구연산칼륨, 탄산칼슘, 염화마그네슘으로 이루어진 무기질 혼합물;을 포함하는 과립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건강식품조성물은 인삼추출물 100중량부 대비, 비타민 A 아세테이트 0.005~0.009중량부, 비타민 E 0.05~0.2중량부, 비타민 B1 0.010~0.016중량부, 비타민 B2 0.010~0.020중량부, 비타민 B6 0.03~0.07중량부, 비타민 B12 0.01~0.03중량부, 비타민 C 0.5~1.5중량부, 비오틴 0.0005~0.0015중량부, 니코틴산 아마이드 0.15~0.19중량부, 엽산 0.001~0.01중량부, 판토텐산 칼슘 0.01~0.1중량부 로 이루어진 비타민 혼합물; 및 황산제1철 0.125~0.225중량부, 산화아연 0.07~0.09중량부, 탄산마그네슘 2.4~2.6중량부, 제1인산칼륨 1~2중량부, 제2인산칼륨 5~6중량부, 구연산칼륨 7~11중량부, 탄산칼슘 8~12중량부, 염화마그네슘 2~3중량부로 이루어진 무기질 혼합물;을 포함하는 과립일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건강식품조성물은 구연산, 올리고당, 메실농충액, 타우린 및 정제수를 포함하는 음료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건강식품조성물은 인삼추출물 100중량부 대비, 구연산 80~120중량부, 올리고당 80~120중량부, 메실농축액 150~250중량부, 타우린 80~120중량부 및 정제수 1~100000를 포함하는 음료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뇌세포 보호 및 뇌졸중 예방 및 치료를 목적으로 식품 또는 음료에 첨가될 수 있다. 이때, 식품, 음료중의 상기 추출물의 양은, 일반적으로 본 발명의 건강식품조성물의 경우는 전체 식품 중량의 0.1~15중량%. 바람직하게는 1~10 중량%로 가할 수 있으며 건강음료조성물에는 100mL을 기준으로 1~20g, 바람직하게는 2~10g의 비율로 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건강음료조성물은 지시된 비율로 필수 성분으로서 상기 인삼추출물을 함유하는 외에 액체 성분에는 특별한 제한점은 없으며 통상의 음료와 같이 여러가지 향미제 또는 천연 탄수화물 등을 추가 성분으로서 함유 할 수 있다. 천연 탄수화물의 예는 모노사카라이드, 예를 들어 포도당, 과당등; 디사카라이드, 예를들어 말토스, 슈크로스등, 및 폴리사카라이드, 예를 들어 텍스트린, 시클로덱스트린등과 같은 통상적인 당, 및 자일리톨, 소르비톨, 에리스리톨등의 당알콜이다. 상 술한 것 이외의 향미제로서 천연향미제(타우마틴, 스테비아추출물 및 예를 들어 레바우디오시드 A, 글리시르히진등, 및 합성 향미제, 사카린, 아스파르탐 등)을 유리하게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천연 탄수화물의 비율은 본 발명의 추출물 100mL 당 일반적으로 약 1~20g, 바람직하게는 약 5~12g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 및 실험예를 설명한다. 다만, 이하의 실시예 등은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권리를 이에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인삼으로부터 조추출물의 제조
인삼(Panax. ginseng)의 건조된 뿌리를 경동시장에서 구입하였다. 인삼 3kg을 70% 에탄올 20리터로 3회에 걸쳐 초음파 추출한 후 여과하였다. 상기 인삼 70% 에탄올 여과물을 동결건조하여 본 발명의 조추출물 200g을 수득하였다.
<실시예 2> 인삼으로부터 비극성가용추출물(에탄올분획물)의 제조
상기 실시예 1의 인삼 조추출물 200g에 증류수 4리터를 가하여 현탁시킨 후, 에탄올 4리터를 더 가하고 혼합하여 1시간 정치한 후, 에탄올 가용층 및 수가용층을 수득하였다. 수득된 에탄올 가용층을 다시 동결건조하여 본 발명의 비극성가용추출물 90g을 수득하였으며, 사용전까지 -20℃에서 보관하였다.
<실시예 2-10> 생약성분을 더 포함하는 약학조성물의 제조
상기 실시예 1에 의하여 추출된 인삼 조추출물 이외에, 석창포, 당귀, 원지, 산약(Dioscoreae Rhizoma), 토사자, 합환피, 영지, 죽여, 육계의 보조생약을 더 포함시켜 약학조성물을 제조하였다(이하 표 1 참조).
각각의 생약은 정제수와 에탄올을 1:1로 혼합한 혼합용매로 추출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이용하였다.
[표 1] 첨가되는 생약의 함량(단위: 인삼 조추출물 100중량부 대비,중량부)
석창포 당귀 원지 산약 토사자 합환피 영지 죽여 육계
실시예 2 10 0 0 0 0 0 0 0 0
실시예 3 0 10 0 0 0 0 0 0 0
실시예 4 0 0 10 0 0 0 0 0 0
실시예 5 5 5 0 0 0 0 0 0 0
실시예 6 0 5 5 0 0 0 0 0 0
실시예 7 5 0 5 0 0 0 0 0 0
실시예 8 3 3 3 0 0 0 0 0 0
실시예 9 2 2 2 2 2 0 0 0 0
실시예 10 1 1 1 1 1 1 1 1 1
실시예 11-18 인삼추출물을 포함하는 약학조성물의 제조
<실시예 11> 인삼 조추출물을 포함하는 주사제제의 제조
상기 실시예 1에서 얻어진 조추출물 100mg과, 소디엄 메티비설파이트 3.0mg, 메틸파라벤 0.8mg, 프로필파벤 0.1mg 및 주사용 멸균증류수 2㎖를 혼합하여 앰플에 충전하고 멸균하여 주사제제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12> 인삼 조추출물을 포함하는 정제의 제조
상기 실시예 1에서 얻어진 조추출물 200mg과, 유당 50mg중량부, 전분 50mg중 량부 및 스테아린산마그네슘 2mg을 혼합하여 통상의 정제의 제조방법에 따라서 타정하여 정제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13> 인삼 조추출물을 포함하는 캡슐제의 제조
상기 실시예 1에서 얻어진 조추출물 100mg과, 유당 50mg중량부, 전분 50mg, 탈크 2mg 및 스테아린산마스네슘 2mg을 혼합하여 통상의 캡슐제의 제조방법에 따라서 젤라틴 캡슐에 충전하여 캡슐제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14> 인삼 조추출물을 포함하는 액제의 제조
상기 실시예 1에서 얻어진 조추출물 1000mg과, 설탕 20g, 이성화당 20g, 레몬향 1g 및 정제수 1000㎖를 혼합하여 통상의 액제의 제조방법에 따라서 갈색병에 충전하고 멸균시켜 액제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15> 인삼 비극성가용추출물을 포함하는 주사제제의 제조
상기 실시예 2에서 얻어진 비극성가용추출물 100mg과, 소디엄 메티비설파이트 3.0mg, 메틸파라벤 0.8mg, 프로필파벤 0.1mg 및 주사용 멸균증류수 2㎖를 혼합하여 앰플에 충전하고 멸균하여 주사제제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16> 인삼 비극성가용추출물을 포함하는 정제의 제조
상기 실시예 2에서 얻어진 비극성가용추출물 200mg과, 유당 50mg중량부, 전 분 50mg중량부 및 스테아린산마그네슘 2mg을 혼합하여 통상의 정제의 제조방법에 따라서 타정하여 정제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17> 인삼 비극성가용추출물을 포함하는 캡슐제의 제조
상기 실시예 2에서 얻어진 비극성가용추출물 100mg과, 유당 50mg중량부, 전분 50mg, 탈크 2mg 및 스테아린산마스네슘 2mg을 혼합하여 통상의 캡슐제의 제조방법에 따라서 젤라틴 캡슐에 충전하여 캡슐제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18> 인삼 비극성가용추출물을 포함하는 액제의 제조
상기 실시예 2에서 얻어진 비극성가용추출물 1000mg과, 설탕 20g, 이성화당 20g, 레몬향 1g 및 정제수 1000㎖를 혼합하여 통상의 액제의 제조방법에 따라서 갈색병에 충전하고 멸균시켜 액제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19-26 인삼추출물을 포함하는 건강식품조성물의 제조
<실시예 19> 인삼 조추출물을 포함하는 과립의 제조
상기 실시예 1에서 얻어진 조추출물 1000mg과, 비타민 A 아세테이트 70㎍, 비타민 E 1.0mg, 비타민 B1 0.13mg, 비타민 B2 0.15mg, 비타민 B6 0.5mg, 비타민 B12 0.2㎍, 비타민 C 10mg, 비오틴 10㎍, 니코틴산 아마이드 1.7mg, 엽산 50㎍, 판토텐산 칼슘 0.5mg으로 이루어진 비타민 혼합물 및 황산제1철 1.75mg, 산화아연 0.82mg, 탄산마그네슘 25.3mg, 제1인산칼륨 15mg, 제2인산칼륨 55mg, 구연산칼륨 90mg중량부, 탄산칼슘 100mg, 염화마그네슘 24.85mg으로 이루어진 무기질 혼합물을 혼합하여 통상의 과립의 제조방법으로 과립형 건강식품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20> 인삼 조추출물을 포함하는 음료의 제조
상기 실시예 1에서 얻어진 조추출물 1000mg과, 구연산 1000mg, 올리고당 100g, 메실농축액 2g, 타우린 1g 및 정제수 900㎖를 혼합하고 1시간 동안 85℃에서 교반가열 한 후, 용액을 여과하여 멸균된 2리터 용기에 취득하여 밀봉 멸균하여 음료형 건강식품을 제조하였다.
상기의 조성비에 따른 실시예는 비교적 기호음료에 적합한 성분을 바람직한 실시예로 혼합조성하였지만, 수요자층, 수요국가, 사용용도 등 지역적, 민족적 기호도에 따라서 그 배합비를 임의로 변형 실시하여도 무방하다.
<실시예 21> 인삼 조추출물을 포함하는 껌의 제조
상기 실시예 1에서 얻어진 조추출물을 첨가하여 통상의 껌을 제조하는 방법으로 껌형 건강식품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22> 인삼 조추출물을 포함하는 차의 제조
상기 실시예 1에서 얻어진 조추출물을 첨가하여 통상의 차를 제조하는 방법으로 차형 건강식품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23> 인삼 비극성가용추출물을 포함하는 과립의 제조
상기 실시예 2에서 얻어진 비극성가용추출물 1000mg과, 비타민 A 아세테이트 70㎍, 비타민 E 1.0mg, 비타민 B1 0.13mg, 비타민 B2 0.15mg, 비타민 B6 0.5mg, 비타민 B12 0.2㎍, 비타민 C 10mg, 비오틴 10㎍, 니코틴산 아마이드 1.7mg, 엽산 50㎍, 판토텐산 칼슘 0.5mg으로 이루어진 비타민 혼합물 및 황산제1철 1.75mg, 산화아연 0.82mg, 탄산마그네슘 25.3mg, 제1인산칼륨 15mg, 제2인산칼륨 55mg, 구연산칼륨 90mg중량부, 탄산칼슘 100mg, 염화마그네슘 24.85mg으로 이루어진 무기질 혼합물을 혼합하여 통상의 과립의 제조방법으로 과립형 건강식품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24> 인삼 비극성가용추출물을 포함하는 음료의 제조
상기 실시예 2에서 얻어진 비극성가용추출물 1000mg과, 구연산 1000mg, 올리고당 100g, 메실농축액 2g, 타우린 1g 및 정제수 900㎖를 혼합하고 1시간 동안 85℃에서 교반가열 한 후, 용액을 여과하여 멸균된 2리터 용기에 취득하여 밀봉 멸균하여 음료형 건강식품을 제조하였다.
상기의 조성비에 따른 실시예는 비교적 기호음료에 적합한 성분을 바람직한 실시예로 혼합조성하였지만, 수요자층, 수요국가, 사용용도 등 지역적, 민족적 기호도에 따라서 그 배합비를 임의로 변형 실시하여도 무방하다.
<실시예 25> 인삼 비극성가용추출물을 포함하는 껌의 제조
상기 실시예 2에서 얻어진 비극성가용추출물을 첨가하여 통상의 껌을 제조하는 방법으로 껌형 건강식품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26> 인삼 비극성가용추출물을 포함하는 차의 제조
상기 실시예 2에서 얻어진 비극성가용추출물을 첨가하여 통상의 차를 제조하는 방법으로 차형 건강식품을 제조하였다.
상기의 실시예들 이외에도 이 기술분야의 당업자라면 각각의 구성성분들의 배합비를 달리하여 실시할 수 있는 바, 이하에서는 더 이상의 실시예에 관한 기재는 생략하기로 한다.
<실험예 1> 랫트의 뇌허혈 유발 실험
랫트에서 가장 적합한 허혈시간을 결정하기 위하여 먼저 5주령 180 g 내외의 위스터(Wistar)계 수컷 랫트(SLC, Japan) 각 군당 8마리를 사료와 물을 공급하면서 1주일간 실험환경에 적응시켰다. 랫트를 마취시킨 다음 stereotaxic apparatus에 수평면에서 머리를 기준으로 하여 꼬리를 30°경사지게 밑으로 고정시키고 코와 입주위는 마취기(Ohameda V.M.C./Boc Health Care, Cyprane, UK)에 플라스틱 cone으로 연결시켰다. 꼬리를 수술대에 고정하고 경추를 신전시킨 상태로 실험하였다.
먼저 인후부위를 수술하기 위하여 총경동맥에 실리콘 튜브로 고리를 만들어 허혈을 유발하고 재관류할 수 있도록 장치하였다. 그리고 허혈유발시 미세혈관의 순환을 봉쇄하기 위하여 실로 뒤쪽으로는 trachea, esophagus, extermal jugular vein, common carotid arteries들이 위치하고 앞쪽으로는 cervical, paravertebral muscle들이 지나가도록 꿰뚫은 다음 수술용 클립으로 상처를 봉합하였다. 그 다음 흰쥐를 돌려서 후두골부위를 수술하였다. 후두골하단의 1번 경추부를 수술하고 alar foramina 쪽으로 근육이 다치지 않게 접근하였다. 1 ㎜이하의 미세한 전기소작침을 1번 경추의 alar foramina를 통하여 밑으로 척추동맥이 통과하고 있는 터널로 집어넣어, 간헐적인 전류를 통전시켜 척추동맥을 소작하였다. 이것을 확인한 다음 수술용클립으로 봉합하였다.
24시간 뒤, 수술용 클립을 제거한 다음 총경동맥을 aneurysm 클립으로 10분 동안 폐색시키고 10분 후 총경동맥에서 aneurysm 클립을 떼어 내어 재관류 시켰다. 의식 소실 기간이 20±5분이 지난 흰쥐에 실시예 1의 방법으로 제조된 조추출물 200mg/kg의 농도를 0분과 90분 두차례에 걸쳐 복강주사 하였다.
<실험예 2> 뇌조직준비 및 뇌신경세포보호효과 측정 실험
조직학적인 평가를 위하여 상가 실험예 1에 따른 허혈유발 1주일 후의 흰쥐를 chloral hydrate(純正化學, Japan, 35.0 ㎎/㎏, i.p.)로 마취시켜 개흉한 다음, 우심이를 절개하여 needle(No.18)을 좌심실에 주입한 후 헤파린 처리된 5% sodium nitrite (Sigma, U.S.A.)생리식염수를 심장에 관류시키고, 이어서 0.1 M phosphate buffer 에 녹인 pH 7.4의 4.0 % paraformaldehyde 고정액으로 관류시켰다.
그 후 흰쥐의 뇌부분을 떼어내어 2시간 동안 4.0 % paraformaldehyde 고정액에 postfixation 시킨 다음, 30% sucrose에 담가 4℃에서 하룻밤 동안 고정시켰다. 고정된 뇌에서 Bregma -2.5 ㎜와 -4.0 ㎜사이의 dorsalhippocampus 부위에 있는 coronal block을 준비하였다. 이 block을 동결한 후 sliding microtome (HM440E, Zeiss,Germany)을 사용하여 해마를 포함하는 조직절편을 만들었다. 표본제작을 위한 조직절편은 매 30 ㎛씩 수집하였다.
그 결과를 도 1과 도 2의 그림과 그래프에 나타내었다. 또한, 도 1의 A는 정상그룹에서 CA1 추체세포의 정상 모양을 나타낸 것이다. 대부분의 신경들은 정상적인 형태를 유지함을 확인할 수 있다(도 1의 B). 허혈 유발군에서 추체세포는 약하게 보여지며 해마의 CA1부분의 신경세포가 손상을 많이 받았다(도 1의 C). 도 1의 D는 세포고사가 된 신경세포이며 글라이오시스를 동반한 세포상해 그림이다. 반면,인삼 조추출물을 200mg/kg로 투여한 쥐는 해마의 CA1 추체세포의 손상을 상당히 줄일 수 있었다(도 1의 E와 G). 또한 도 2에서 알 수 있듯이, 본 발명의 조추출물로 처리한 실험군(조추출물)의 세포수는 정상군(control)과 마찬가지로, 전뇌허혈을 유발시킨 대조군에 비하여 상당부분 회복된 것을 알 수 있었다.
<실험예 3> 랫트의 직장체온 측정 실험
선택된 흰쥐들에 허혈을 유발시키는 동안과 재관류 및 회복기 동안 37±0.5℃으로 유지시키기 위하여 직장 온도를 이용한 자동 온도 조절 전열기로 37℃로 고정시켜서 실험하였다. 체온측정은 직장속으로 최소한 6 ㎝ 들어가게 probe를 삽입 함으로써 뇌온도를 반영하는 직장체온을 측정하였다.
그 결과 본 발명의 조추출물 및 에탄올분획물을 투여한 실험군에서는 정상군 및 대조구와 마찬가지로 체온이 강하하지 않았으며, 그 결과를 도 3의 그래프에 나타내었다.
<실험예 4> AChE 활성 저해 측정 실험
1. AChE의 분리
AChE는 ICR 쥐 (20~25g)의 뇌로부터 분리하였다. ICR 쥐를 단두해서 뇌를 꺼낸 후 무게를 측정하였다. 그 무게의 2배 정도 부피로 12.5mM 인산나트륨 완충액 (sodium phosphate buffer)을 첨가하였다. 균질화 시킨 후 4℃에서 10분간 원심분리(×1000g) 하였다. 상층액을 취한 후, 그 부피의 3배가 되도록 0.5% 트리톤 엑스(Triton X)-100 균질화 완충액(homogenation buffer)을 첨가하고 4℃에서 30분간 교반시킨 후 4℃에서 10분간 원심분리 (×10,000g) 하였다. 상층액을 1.5㎖ 튜브에 1㎖씩 분취한 후 급속 냉동 냉장고(deep freezer)에 보관하였다. 뇌 적출시 손상이 가지 않도록 주의하였고, 분리 전 과정은 신속하게 수행하였다
2. AChE의 측정
붉나무 추출물을 포함하는 조성물에 의한 AChE 활성 저해 효과(in vivo assay)를 관찰하기 위하여, 5주령의 ICR 쥐에 본 발명의 주사제제를 20mg/kg 농도로 복강투여하고, 1시간 후에 뇌조직에서 AChE를 분리하였다. 925㎕의 완충액 I(0.1 M 인산나트륨 완충액, pH: 8.0), 25㎕ 트윈 (Tween)-20을 혼합하였다. 그런 다음 33㎕의 엘만 (Ellman) 시료를 첨가하고 10분 동안 25℃로 유지한 후 기질인 25mM 아세틸티오콜린 요오드(acetylthiocholine iodide) 용액 20㎕와 뇌에서 분리한 AChE 33㎕를 첨가하였다. 그런 다음 412㎚에서 5분 동안 AChE의 초기반응속도를 측정하였다.
그 결과를 도 4에 나타내었다. 도 4에서 알 수 있듯이, 본 발명의 추출물을 투여한 경우 AChE 활성 저해가 나타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실험예 5> 모리스(Morris) 수중미로 실험
1. Morris water maze 학습
공간 지각능력을 시험하기위해, Morris water-maze 방법을 이용하였다. 수온은 21~24℃로 유지하고 하루 2회, 6일동안 시행하였다. 매 시험마다 각 실험 동물을 임의의 시작점에 놓아서 숨겨진 도피대를 찾게한다. 최대 90초까지 기다린 후, 숨겨진 도패대를 찾지 못하면 실패로 간주하고 인위적으로 도피대에 10초간 위치해 둔다. 매 시행마다 도피대를 찾는데 소요되는 시간을 기록하여 분석한다. 결과를 도 5에 나타내었다
2. Morris water maze 기억
마지막 6일째에는 도피대를 치우고 도피대가 있던 위치로 오는 것을 학습하여 기억한 의미로 한다. 도 5의 도표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인삼추출물(조추출물, 에탄올분획물)을 투여한 군의 공간 지각능력이 대조군(전뇌허열)에 비하여 우수함을 할 수 있다. 공간 지각 능력 시험의 3일째부터 인삼추출물을 투여한 군은 물속에서 도피대를 찾아가는 시간이 대조군에 비하여 짧아졌으며 시일이 지나면서 학습이 반복되자 그 차이가 점점 두드러지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실험예 6> 수동회피반응 검사 실험
학습된 무기력 이론의 가장 초기의 연구는 Richter(1957)가 실시하였다. 즉 학습된 무기력은 유기체가 반응을 해도 그는 일어나는 결과에 영향력을 발휘 할 수 없으며, 일어나게 될 결과를 통제할 수 없거나 회피할 수 없으므로 나타나게 되는 것이다.
1. 수동회피실험 첫째날
실험 첫날, 흰 쥐를 실험상자의 밝은 부분에 넣어, 쥐가 구멍을 통해 어두운 부분으로 자유롭게 왔다갔다하며 탐색, 적응하도록 하였다. 이때, 실험상자의 밝은 부분에서 어두운 부분으로 들어갈 때까지의 시간(지연시간)을 측정, 지연 시간이 30초 이내인 쥐만을 실험에 사용하였다.
2. 수동회피실험 둘째날
쥐를 비히클(식염수) 투여군(정상군), 스코폴아민(1㎎/㎏) 투여군, 스코폴아민(1㎎/㎏)과 인삼 추출물(100㎎/㎏) 의 동시투여군, 스코폴아민과 타크린(2㎎/㎏)의 동시투여군, 스코폴아민과 도네페질(아리셉트; 0.5㎎/㎏)의 동시투여군, 인삼 추출물(100㎎/㎏) 단독투여군, 타크린(2㎎/㎏)단독투여군 및 도네페질(0.5㎎/㎏) 단독투여군으로 나누어 각 군별로 흰 쥐에 약물을 투여(모두 복강에 투여)하였다. 약물 투여 30분 후에 쥐를 실험상자의 밝은 부분에 넣고 지연시간을 측정하고, 쥐가 어두운 부분으로 들어간 후 3초가 지났을 때 3초 동안 전기자극을 주었다. 훈련 15분 후에 다시 실험상자에 넣어, 지연시간을 측정하고 최대 180초까지 측정하였다. 전기자극 24시간 후(셋째 날)와 48시간 후(넷째 날)에 약물 투여나 전기 자극 없이 지연시간을 측정하였다. 결과는 도 6에 나타내었다.
<실험예 7> 독성 실험
1. 경구투여
30±2g의 ICR계 생쥐와 190±10g의 위스터 래트를 각각 10 마리씩을 4군(정상군(식염수처리)처리, 대조군(전뇌허열유발)처리, 조추출물처리, 에탄올분획물처리)으로 하여, 상기 4군 각각에 500, 725, 1000 및 5000mg/kg의 용량으로 경구투여 한 후, 2주간 독성여부를 관찰한 결과 4군 모두에서 사망한 예가 한 마리도 없었고 본 발명의 추출물을 처리한 쥐(실험군)의 외견이 대조군과 별다른 증상을 찾아 볼 수 없었다.
2. 복강투여
본 발명에서 제조된 추출물의 독성을 시험하였다. 30±2g의 ICR계 생쥐와 190±10g의 위스터 래트를 각각 10 마리씩을 4군(정상군(식염수처리)처리, 대조군 (전뇌허열유발)처리, 조추출물처리, 에탄올분획물처리)으로 하여, 상기 각각에 25, 250, 500 및 725 mg/㎏의 용량으로 복강 투여한 후 24시간 동안 독성여부를 관찰하였다. 실험 결과, 모든 군에서 사망한 예가 없었고, 체중, 사료섭취, 기타 행동 등에서 외견상 대조군과 별다른 증상을 찾아볼 수 없었다. 또한 본 발명의 실험동안 동물실험에 사용된 생쥐와 래트도 실험기간 동안 대조군에 비하여 유의한 체중의 변화가 없었으며, 사료섭취 등 행동에도 별다른 증상이 없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추출물이 안전한 약물임을 확인할 수 있었고 인삼추출물은 급성독성이 없음이 확인되었다.
<실험예 8> 관능검사
1. 실험방법
본 발명인 인삼추출물을 함유하는 건강식품조성물은 식품으로서 수요자의 선호도도 높아야 할 것인바, 이하 상기 실시예 19-26의 방법으로 제조된 건강식품의 관능검사를 실시하였다. 또한 시중에 유통되는 과립상, 음료상의 제품과 껌 및 차(대조구 1-4)에 대한 관능검사도 동시에 실시하여 비교하여 보았다.
본 실험에 대한 관심을 가지며 검사원으로서의 적합성이 인정된 30명을 선발하여 피실험자가 되도록 하였고, 본 실험의 목적을 설명하고 적절한 훈련을 시킨 후 실시하였다.
평가항목은 제조된 식품(제품)의 맛, 향미, 시각적 기호도(색태), 조직감 및 종합적인 맛이며, 각 특성의 평가는 9점 척도법(30명의 평균을 구하여 소수점 이하 자리는 반올림함.)을 이용하였으며, 점수가 높을수록 선호도가 좋아지는 것으로 나타내도록 하였다.
2. 실험결과
[표 2] 관능검사 실험결과
구분 향미 시각적
기호도
조직감 종합적인 맛
실시예 19의 방법으로 제조된 과립 8 7 7 7 7
실시예 20의 방법으로 제조된 음료 7 7 6 7 7
실시예 21의 방법으로 제조된 껌 8 8 8 8 8
실시예 22의 방법으로 제조된 차 7 7 8 7 7
실시예 23의 방법으로 제조된 과립 8 8 7 8 8
실시예 24의 방법으로 제조된 음료 6 7 8 7 7
실시예 25의 방법으로 제조된 껌 7 8 6 7 7
실시예 26의 방법으로 제조된 차 7 8 8 8 8
대조구 1(녹차과립) 6 7 7 7 7
대조구 2(참옻물) 5 4 5 6 5
대조구 3(자일리톨) 8 8 7 8 8
대조구 4(설록차) 7 7 7 7 7
(상기 표 2에서 대조구 1은 (주)쓰리앤포바이오의 '녹차과립' 이며, 대조구 2는 (주)휘림건강의 '참옻물' 이고, 대조구 3은 (주)롯데제과의 '자일리톨' 이며, 대조구 4는 (주)동서식품의 '설록차' 이다.)
상기 표 2의 결과에서 보듯이, 전반적으로 실시예들의 제조방법에 의하여 제조된 식품들은 시중에 제품화된 대조구들과의 관능검사 비교에서도 기호도가 떨어지지 않는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인삼추출물을 포함하는 건강식품조성물은 영양학적 측면에서 뿐만 아니라, 기호성 면에서도 우수한 기능성 식품에 응용이 가능하다는 결론을 얻을 수 있었다.
본 발명의 인삼추출물을 포함하는 약학조성물은 신경계 질환의 예방 및 치료제로서 산업적 응용이 가능하고, 본 발명의 인삼추출물을 포함하는 건강식품조성물 역시 기호도가 우수한 기능성 식품으로써 맛과 영양을 추구하는 소비자들의 요구를 충족시켜, 궁극적으로는 국가의 의약 및 식품의 산업발전에 이바지 할 것으로 기대된다.
도 1의 A 및 B는 전뇌허혈을 유발시키지 않은 정상군(sham) 쥐의 등쪽 해마(dorsal hippocampus)의 뇌관상(coronal) 절편을 크레실 바이올렛(Cresyl violet)으로 염색한 다음 현미경으로 촬영한 사진이고, C 및 D는 10분간 전뇌허혈을 유발시킨 다음 7일 후에 생리 식염수를 투여한 대조군 쥐의 등쪽해마(dorsal hippocampus)의 뇌관상(coronal)절편을 크레실 바이올렛(Cresyl violet)으로 염색한 후 현미경으로 촬영한 사진이며, E 및 F는 10분간 전뇌허혈을 유발시킨 다음 7일 후에 본 발명의 인삼추출물(조추출물)을 투여한 실험군 쥐의 등쪽해마(dorsal hippocampus)의 뇌관상(coronal)절편을 크레실 바이올렛(Cresyl violet)으로 염색한 후 현미경으로 촬영한 사진을 나타낸다.
도 2는 정상군(control), 10분간 전뇌허혈을 유발시킨 다음 7일 후에 생리 식염수를 투여한 대조군(전뇌허열) 및 본 발명의 인삼추출물을 투여한 실험군(조추출물)의 쥐의 뇌 해마 CA1 영역 세포수를 측정한 결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3는 허혈 유발 및 재관류 후, 본 발명의 인삼추출물(조추출물, 에탄올분획물)을 투여하였을 때의 쥐의 체온 변화를 정상군(control) 및 대조군(전뇌허열)과 비교하여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인삼추출물(조추출물, 에탄올분획물)의 농도에 따른 아세틸콜린에스터라제(AChE) 활성 저해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인삼추출물(조추출물, 에탄올분획물)을 투여한 쥐의 수동회피 학습력의 결과를 정상군(control) 및 대조군(전뇌허열)과 비교하여 나타낸 그 래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인삼추출물(조추출물, 에탄올분획물)을 투여한 쥐의 모리스 수중미로 실험의 결과를 정상군(control) 및 대조군(scopolamine)과 비교하여 나타낸 그래프이다.

Claims (8)

  1. 인삼추출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경계 질환 예방 및 치료용 약학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인삼추출물은 정제수, 에탄올 또는 그 혼합용매로 추출한 조추출물이거나, 에탄올로 추출한 비극성가용추출물임을 특징으로 하는 신경계 질환 예방 및 치료용 약학조성물.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신경계 질환은 퇴행성 뇌질환, 허혈성 뇌질환, 혈관성 치매, 뇌졸중, 헌팅턴병, 알츠하이머병 및 파킨슨병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임을 특징으로 하는 신경계 질환 예방 및 치료용 약학조성물.
  4. 제1항 내지 제3항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의 항에서, 상기 약학조성물은 주사제제, 정제, 캡슐제, 액제 및 환제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의 제형임을 특징으로 하는 신경계 질환 예방 및 치료용 약학조성물.
  5. 인삼추출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뇌기능 개선용 건강식품조성물.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인삼추출물은 정제수, 에탄올 또는 그 혼합용매로 추 출한 조추출물이거나, 에탄올로 추출한 비극성가용추출물임을 특징으로 하는 뇌기능 개선용 건강식품조성물.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뇌기능 개선은 퇴행성 뇌질환, 허혈성 뇌질환, 혈관성 치매, 뇌졸중, 헌팅턴병, 알츠하이머병 및 파킨슨병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의 질환의 예방 및 치료를 위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뇌기능 개선용 건강식품조성물.
  8. 제5항 내지 제7항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의 항에서, 상기 건강식품조성물은 과립, 음료, 껌 및 차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의 기능성 식품형태임을 특징으로 하는 뇌기능 개선용 건강식품조성물.
KR1020090062697A 2009-07-09 2009-07-09 신경보호작용을 가지는 인삼추출물을 포함하는 약학조성물 및 건강식품조성물 KR2011000514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62697A KR20110005144A (ko) 2009-07-09 2009-07-09 신경보호작용을 가지는 인삼추출물을 포함하는 약학조성물 및 건강식품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62697A KR20110005144A (ko) 2009-07-09 2009-07-09 신경보호작용을 가지는 인삼추출물을 포함하는 약학조성물 및 건강식품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05144A true KR20110005144A (ko) 2011-01-17

Family

ID=436124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62697A KR20110005144A (ko) 2009-07-09 2009-07-09 신경보호작용을 가지는 인삼추출물을 포함하는 약학조성물 및 건강식품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10005144A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04707B1 (ko) * 2011-01-28 2013-09-06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인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인지 기능 개선 조성물
KR20140095216A (ko) * 2013-01-24 2014-08-01 강원대학교산학협력단 인삼열매 추출물을 포함하는 파킨슨병과 알츠하이머병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180005806A (ko) * 2016-07-07 2018-01-17 우석대학교 산학협력단 곰피, 강황, 건강 및 홍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기억력 개선, 인지능력 개선, 치매 예방, 지연, 치료 또는 개선용 조성물
WO2018199654A1 (ko) * 2017-04-28 2018-11-01 강원대학교산학협력단 산양삼 추출물을 포함하는 알츠하이머병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JP2019218284A (ja) * 2018-06-18 2019-12-26 オンガネジャパン株式会社 若齢者学習能力向上のための経口組成物及び若齢者の学習能力を向上させる方法
JP2020045368A (ja) * 2018-06-18 2020-03-26 オンガネジャパン株式会社 若齢者学習能力向上のための経口組成物及び機能性食品並びに若齢者の学習能力を向上させる方法
KR20200034149A (ko) 2018-09-21 2020-03-31 건국대학교 산학협력단 진토닌을 포함하는 뇌손상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04707B1 (ko) * 2011-01-28 2013-09-06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인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인지 기능 개선 조성물
KR20140095216A (ko) * 2013-01-24 2014-08-01 강원대학교산학협력단 인삼열매 추출물을 포함하는 파킨슨병과 알츠하이머병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180005806A (ko) * 2016-07-07 2018-01-17 우석대학교 산학협력단 곰피, 강황, 건강 및 홍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기억력 개선, 인지능력 개선, 치매 예방, 지연, 치료 또는 개선용 조성물
WO2018199654A1 (ko) * 2017-04-28 2018-11-01 강원대학교산학협력단 산양삼 추출물을 포함하는 알츠하이머병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EP3616704A4 (en) * 2017-04-28 2021-03-31 Kangwon National University Industry Cooperation Foundation PHARMACEUTICAL COMPOSITION FOR THE PREVENTION OR TREATMENT OF ALZHEIMER'S MORBUS WITH GINSENG EXTRACT FROM MOUNTAIN FARMING
JP2019218284A (ja) * 2018-06-18 2019-12-26 オンガネジャパン株式会社 若齢者学習能力向上のための経口組成物及び若齢者の学習能力を向上させる方法
JP2020045368A (ja) * 2018-06-18 2020-03-26 オンガネジャパン株式会社 若齢者学習能力向上のための経口組成物及び機能性食品並びに若齢者の学習能力を向上させる方法
KR20200034149A (ko) 2018-09-21 2020-03-31 건국대학교 산학협력단 진토닌을 포함하는 뇌손상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00397845A1 (en) Composition comprising the extract of herbs for preventing or treating neurodegenerative disorders
US10946053B2 (en) Composition containing mixed extract of mulberry and Poria cocos bark for preventing, improving or treating neurodegenerative disorders
KR20110005144A (ko) 신경보호작용을 가지는 인삼추출물을 포함하는 약학조성물 및 건강식품조성물
US20210128656A1 (en) Composition containing poria cocos peel extract for treating neurodegenerative disorders
US7514104B2 (en) Composition containing an extract of pericarpium zanthoxyli for protecting brain cells and improving memory
KR101228920B1 (ko) 황칠나무 잎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장질환 치료 및 예방을 위한 조성물
JP5358627B2 (ja) タラヨウ抽出物を有効成分として含む、虚血性疾患または退行性脳疾患の予防もしくは治療用または記憶障害の改善用の薬学的組成物
KR20110004691A (ko) 뇌기능 개선효과를 가지는 붉나무 추출물을 포함하는 약학조성물 및 건강식품조성물
KR20040064240A (ko) 뇌세포 사멸억제 활성을 갖는 석창포 및 천마를 함유하는생약조성물
KR101753057B1 (ko) 인지기능장애 또는 퇴행성 뇌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KR20130122435A (ko) 포공영 추출물의 신규 용도
KR101113978B1 (ko) 원지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발기부전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20230174777A (ko) 육군자탕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기억력 증진 및 인지기능 장애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RU2575832C2 (ru) Композиция, содержащая экстракт растений, для предотвращения или лечения нейродегенеративных нарушений
KR20240006284A (ko) 비파나무 열매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인지기능 개선,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140015944A (ko) 쓴메밀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알츠하이머 병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0950254B1 (ko) 자작나무 추출물을 함유하는 인지 기능 개선용 조성물
KR20110062224A (ko) 백자인 추출물을 유효 성분으로 함유하는 기억력 증진 및 인지 기능 장애 치료 및 예방을 위한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