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122426A - 사상자 추출물의 신규 용도 - Google Patents

사상자 추출물의 신규 용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122426A
KR20130122426A KR1020120045746A KR20120045746A KR20130122426A KR 20130122426 A KR20130122426 A KR 20130122426A KR 1020120045746 A KR1020120045746 A KR 1020120045746A KR 20120045746 A KR20120045746 A KR 20120045746A KR 20130122426 A KR20130122426 A KR 2013012242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tract
disease
food
degenerative brain
forgetfulnes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457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범영
정지욱
오사랑
김수진
김현수
박호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이노한방
대구한의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이노한방, 대구한의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이노한방
Priority to KR102012004574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30122426A/ko
Publication of KR2013012242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2242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05Plant extracts, their artificial duplicates or their derivativ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23Apiaceae or Umbelliferae (Carrot family), e.g. dill, chervil, coriander or cumin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22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having an effect on the health of the nervous system or on mental func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236/00Isolation or extraction methods of 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
    • A61K2236/30Extraction of the material
    • A61K2236/33Extraction of the material involving extraction with hydrophilic solvents, e.g. lower alcohols, esters or ketones
    • A61K2236/331Extraction of the material involving extraction with hydrophilic solvents, e.g. lower alcohols, esters or ketones using water, e.g. cold water, infusion, tea, steam distillation, decoc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236/00Isolation or extraction methods of 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
    • A61K2236/30Extraction of the material
    • A61K2236/33Extraction of the material involving extraction with hydrophilic solvents, e.g. lower alcohols, esters or ketones
    • A61K2236/333Extraction of the material involving extraction with hydrophilic solvents, e.g. lower alcohols, esters or ketones using mixed solvents, e.g. 70% EtOH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Botany (AREA)
  • Myc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Microbiology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Biotechn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Epidem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 Coloring Foods And Improving Nutritive Qualit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사상자 추출물의 건망증 또는 퇴행성 뇌질환 중 어느 하나의 치료, 개선 및/또는 예방을 위한 의약 및/또는 식품 용도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의해 건망증 또는 퇴행성 뇌질환 중 어느 하나를 효과적으로 치료, 개선 및/또는 예방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사상자 추출물의 신규 용도{Novel use of extract of Sasangja}
본 발명은 사상자 추출물의 신규 용도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사상자 추출물의 신규 의약 또는 식품 용도에 관한 것이다.
기억인지력의 장애를 겪는 건망증은 인간의 평균수명이 증가하는 현대 사회에서 특히 중요한 관심의 대상이 되고 있다.
이와 같은 건망증과 함께 기억인지력의 장애가 문제되는 퇴행성 뇌질환으로는 뇌졸중, 중풍, 치매, 알츠하이머 질환, 파킨슨 질환, 또는 헌팅턴 질환 등이 있다.
상기 치매는 일반적으로 다양한 원인에 의해 뇌기능이 손상되면서 인지기능이 지속적이고 전반적으로 저하되어 일상, 사회생활을 영위하는데 어려움을 겪게 되는 상태를 말한다. 인지 기능이란 기억력, 언어 능력, 시공간 파악 능력, 판단력 및 추상적 사고력 등 다양한 지적 능력을 가르키는 것으로 각 인지기능은 특정 뇌 부위와 밀접한 관련이 있다. 치매의 원인으로는 퇴행성 뇌질환인 알츠하이머병(Alzheimer's Disease)이나 파킨슨병(Parkinson's Disease)에서부터 뇌출혈, 대사성질환인 간성뇌병증, 윌슨병(Wilson's Disease), 감염성 질환인 신경매독, 후천성면역결핍증, 알코올과 같은 약물중독, 뇌외상 등 다양한 병인이 있으며, 어떤 형태로든 중추신경계에 구조적, 기능적 이상을 초래할 수 있는 질환은 치매를 유발할 수가 있다.
알츠하이머형 치매(Alzheimerdisease)는 치매를 일으키는 가장 흔한 퇴행성 뇌질환으로, 노인인구에서 치매를 유발하는 가장 흔한 원인이며, 65세 이상의 치매 환자 중 50~60%가 알츠하이머형 치매로 알려져 있다. 이 질병은 매우 서서히 발병하여 점진적으로 진행되는 경과가 특징적이다. 초기에는 주로 최근 일에 대한 기억력에서 문제를 보이다가 진행하면서 언어기능이나 판단력 등 다른 여러 인지기능의 이상을 동반하게 되다가 결국에는 모든 일상생활 기능을 상실하게 된다. 알츠하이머병은 그 진행과정에서 인지기능 저하뿐만 아니라 성격변화, 초조행동, 우울증, 망상, 환각, 공격성 증가, 수면 장애 등의 정신행동 증상이 흔히 동반되며 말기에 이르면 경직, 보행 이상 등의 신경학적 장애 또는 대소변 실금, 감염, 욕창 등 신체적인 합병증까지 나타나게 된다. 치매는 그 장기간의 치료를 요하는 점과 그 증상의 특성 때문에 생활 불편 정도가 암과 같은 다른 중증 질환보다도 심하며, 환자의 관리와 보호에 드는 신체적, 심리적, 경제적 부담 또한 매우 크다. 노년인구의 급속한 증가속도와 치매 유병률 추이로 미루어 볼 때, 치매는 사회적, 국가적 해결책이 필요한 과제임이 분명하다.
지금까지의 대표적 퇴행성 뇌질환인 치매 연구는 주로 뇌 콜린성 신경세포의 광범위한 변성 및 소실이 인지능 감퇴의 주요 원으로 생각되어, 남아있는 콜린성 신경계의 활성을 증가시켜 손상된 인지능을 부분적으로나 회복시킬 수 있는 약물들에 관한 연구가 주로 진행되었다. 현재까지 치매 치료제로 개발된 약물에는 아세틸콜린 (acetylcholine) 합성 전구체로 레시틴, 수용체 활성제로 RS-86, 니코틴, 아세틸콜린 분해 효소 억제제 (acetylcholinesterase inhibitor; AchE inhibitor)로 Pfizer/Eisai 사의 아리셉트 (Aricept), First Horizon 사의 코그넥스 (Cognex), Norvatis 사의 엑실론 (Exelon), Janssen 사의 레미닐 (Reminyl) 등이 있다. 이 약물들은 아세틸콜린이라고 하는 신경 전달 물질의 분해를 막아 주어, 감퇴된 인지 기능을 개선시켜 주는 효과를 가지고 있지만, 효과는 일시적이고 미약하며, 심각한 독성 있는 경우가 존재하여 아직 사용에는 논란의 여지가 많은 상태이다.
따라서, 기억인지력의 장애를 수반하는 건망증과 퇴행성 뇌질환의 치료, 개선 또는 예방 기술의 개발이 시급한 실정이다.
한편, 사상자(蛇床子)는 대한약전외한약(생약)규격집에 수재되어 있는 생약일 뿐만 아니라, 식품공전상에 식품원료로도 분류되어 있으며, 관절염, 피부질환, 음부양통, 신경통, 피부 미백 등의 유효성이 알려져 있다(대한민국 특허 제10-0854116호 등 참조).
대한민국 특허 제10-0854116호, 2008.8.26, 청구범위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건망증 또는 퇴행성 뇌질환의 치료, 개선 또는 예방에 효과를 나타내는 물질의 신규 용도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과제는 상기에 언급된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자들은 놀랍게도 사상자(蛇床子) 추출물이 스코폴라민에 의해 유도된 건망증동물의 학습증진 및 공간지각능력의 회복이 우수함을 확인하여, 사상자 추출물이 건망증 및/또는 퇴행성 뇌질환의 치료, 개선 및/또는 예방에 효과를 나타냄을 알게 되어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본 발명은 사상자 추출물의 건망증 또는 퇴행성 뇌질환 중 어느 하나의 치료, 개선 및/또는 예방을 위한 의약 및/또는 식품 용도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사상자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건망증 또는 퇴행성 뇌질환 중 어느 하나의 치료 또는 예방용 약학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사상자 추출물은 물, 탄소수 1 내지 4의 저급 알콜, 및 이들의 혼합물 중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용매에 가용한 추출물일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상기 사상자 추출물은 물 또는 물 및 에탄올 혼합용매에 가용한 추출물일 수 있으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물 또는 5 내지 80% 에탄올, 보다 더 바람직하게는 40 내지 80% 에탄올에 가용한 추출물일 수 있다.
상기 퇴행성 뇌질환은 이로써 제한되는 것은 아니나, 예를 들어 뇌졸중, 중풍, 치매, 알츠하이머 질환, 파킨슨 질환, 및 헌팅턴 질환 중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일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혈관성 치매 또는 알츠하이머 치매일 수 있다.
상기 퇴행성 뇌질환은 기억인지력 장애를 수반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조성물은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유효성분을 0.1 내지 50중량% 포함할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사용자의 상태 및 질환의 종류 및 진행정도에 따라 변화할 수 있다.
상기 조성물은 유효성분 외에 약학적 조성물에 통상적으로 사용하는 적절한 담체, 부형제 및/또는 희석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조성물은, 각각 통상의 방법에 따라 산제, 과립제, 정제, 캡슐제, 현탁액, 에멀젼, 시럽, 에어로졸 등의 경구형 제형, 외용제, 좌제 및 멸균 주사용액의 형태로 제형화하여 사용될 수 있으며, 이에 포함될 수 있는 담체, 부형제 및 희석제로는 락토즈, 덱스트로즈, 수크로스, 솔비톨, 만니톨, 자일리톨, 에리스리톨, 말티톨, 전분, 아카시아 고무, 알지네이트, 젤라틴, 칼슘 포스페이트, 칼슘 실리케이트, 셀룰로즈, 메틸 셀룰로즈, 미정질 셀룰로스, 폴리비닐 피롤리돈, 물, 메틸히드록시벤조에이트, 프로필히드록시벤조에이트,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및/또는 광물유를 들 수 있다. 제제화할 경우에는 보통 사용하는 충진제, 증량제, 결합제, 습윤제, 붕해제, 계면활성제 등의 희석제 또는 부형제를 사용하여 제제화될 수 있다. 경구투여를 위한 고형제제에는 정제, 환제, 산제, 과립제, 캡슐제 등이 포함되며, 이러한 고형제제는 상기 화합물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부형제 예를 들면, 전분, 칼슘카보네이트(calcium carbonate), 수크로스(sucrose) 또는 락토오스(lactose), 젤라틴 등을 섞어 제제화될 수 있다. 또한 단순한 부형제 이외에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탈크 같은 윤활제들도 사용된다. 경구를 위한 액상제제로는 현탁제, 내용액제, 유제, 시럽제 등이 해당되는데 흔히 사용되는 단순희석제인 물, 리퀴드 파라핀 이외에 여러 가지 부형제, 예를 들면 습윤제, 감미제, 방향제, 보존제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비경구 투여를 위한 제제에는 멸균된 수용액, 비수성용제, 현탁제, 유제, 동결건조제제, 좌제가 포함된다. 비수성용제, 현탁제로는 프로필렌글리콜(propylene glycol), 폴리에틸렌 글리콜, 올리브 오일과 같은 식물성 기름, 에틸올레이트와 같은 주사 가능한 에스테르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좌제의 기제로는 위텝솔(witepsol), 마크로골, 트윈(tween) 61, 카카오지, 라우린지, 글리세로제라틴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조성물의 바람직한 투여량은 환자의 상태 및 체중, 질병의 정도, 약물형태, 투여경로 및 기간에 따라 다르지만, 당업자에 의해 적절하게 선택될 수 있다. 그러나 바람직한 효과를 위해서, 유효성분 기준으로 1일 0.01 mg/kg 내지 10 g/kg으로, 바람직하게는 1 mg/kg 내지 1 g/kg으로 투여하는 것이 좋다. 투여는 하루에 한번 투여할 수도 있고, 수회 나누어 투여할 수 있다. 그러므로 상기 투여량은 어떠한 면으로든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조성물은 쥐, 생쥐, 가축, 인간 등의 포유동물에 다양한 경로로 투여될 수 있다. 투여의 모든 방식은 예상될 수 있는데, 예를 들면, 경구 및 직장, 또는 정맥주사 등의 방법을 통하여 투여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사상자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건망증 또는 퇴행성 뇌질환 중 어느 하나의 개선 또는 예방용 식품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식품은 캔디, 음료, 껌, 또는 차 등의 형태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식품조성물은 건강기능식품, 또는 식품 첨가제일 수 있다.
상기 건강기능식품은 분말, 과립, 정제, 캡슐 또는 음료의 형태일 수 있다.
별도의 언급이 없는 한 상기 식품 조성물은 본 발명의 약학조성물에서 언급된 사항이 모순되지 않는 한 동일하게 적용된다. 상기 '개선'은 '치료'에 포함되며, 상태 또는 증세가 호전되는 것을 의미한다.
상기 식품조성물은 음료를 포함하는 식품에 다양하게 포함될 수 있다. 상기 건강기능식품이라 함은 대한민국 건강기능식품에 관한 법률 제10219호에 따른 인체에 유용한 기능성을 가진 원료나 성분을 사용하여 제조(가공을 포함한다. 이하 같다)한 식품을 말하며, "기능성"이라 함은 인체의 구조 및 기능에 대하여 영양소를 조절하거나 생리학적 작용 등과 같은 보건 용도에 유용한 효과를 얻는 것을 말한다. 상기 식품 조성물은 통상의 식품 첨가물을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식품 첨가물은 케톤류, 글리신, 구연산나트륨, 니코틴산, 계피산 등의 화학적 합성물, 감색소, 감초추출물, 결정셀룰로오스, 고량색소, 구아검 등의 천연첨가물, L-글루타민산나트륨 제제, 면류첨가알칼리제, 보존료제제, 타르색소제제 등의 혼합제제류들을 들 수 있다.
사상자 추출물은 건망증 또는 퇴행성 뇌질환 중 어느 하나의 예방 및/또는 개선을 목적으로 식품(음료를 포함함)에 첨가될 수 있다. 이 때, 식품 중의 상기 추출물의 양은 일반적으로 전체 식품 중량의 0.01 내지 15 중량%로 가할 수 있으며, 음료 조성물은 100 ml를 기준으로 0.02 내지 10 g, 바람직하게는 0.3 내지 1 g의 비율로 가할 수 있다.
상기 음료 조성물은 지시된 비율로 필수 성분으로서 상기 추출물을 함유하는 것 외에 액체성분에는 특별한 제한점은 없으며 통상의 음료와 같이 여러 가지 향미제 또는 천연 탄수화물 등을 추가 성분으로서 함유할 수 있다. 상술한 천연 탄수화물의 예는 모노사카라이드, 예를 들어, 포도당, 과당 등의 디사카라이드, 예를 들어 말토스, 슈크로스 등의 및 폴리사카라이드, 예를 들어 덱스트린, 시클로덱스트린 등과 같은 통상적인 당 및 자일리톨, 소르비톨, 에리트리톨 등의 당알콜이다. 상술한 것 이외의 향미제로서 천연 향미제(타우마틴, 스테비아 추출물(예를 들어 레바우디오시드 A, 글리시르히진등)) 및 합성 향미제(사카린, 아스파르탐 등)를 유리하게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천연 탄수화물의 비율은 본 발명의 조성물 100 ml당 일반적으로 약 1 내지 20 g, 바람직하게는 약 5 내지 12 g이다.
상기 외에 본 발명의 조성물은 여러 가지 영양제, 비타민, 광물(전해질), 합성 풍미제 및 천연 풍미제 등의 풍미제, 착색제 및 중진제(치즈, 초콜릿 등), 펙트산 및 그의 염, 알긴산 및 그의 염, 유기산, 보호성 콜로이드 증점제, pH 조절제, 안정화제, 방부제, 글리세린, 알콜, 탄산 음료에 사용되는 탄산화제 등을 함유할 수 있다. 그밖에 본 발명의 조성물들은 천연 과일 쥬스 및 과일 쥬스 음료 및 야채 음료의 제조를 위한 과육을 함유할 수 있다. 이러한 성분은 독립적으로 또는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첨가제의 비율은 그렇게 중요하진 않지만 본 발명의 조성물 100 중량부 당 0 내지 약 20 중량부의 범위에서 선택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용도에 사용되거나, 조성물 중 포함되는 추출물을 수득하는 방법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예를 들어, 사상자 추출물은 사상자를 세척 및 건조시킨 후, 시료 중량의 약 1배 내지 30배, 바람직하게는 약 5배 내지 15배 (v/w) 부피의 물, 탄소수 1 내지 4의 저급 알코올 또는 이들의 혼합용매로, 바람직하게는 물 또는 물 및 에탄올 혼합용매, 보다 바람직하게는 물 또는 5 내지 80% 에탄올, 보다 더 바람직하게는 40 내지 80% 에탄올을 추출용매로 하여, 약 섭씨 30 내지 120도, 바람직하게는 40 내지 80도의 반응온도에서 약 30분 내지 6시간, 바람직하게는 1 시간 내지 3시간 동안 가열추출법, 초음파 추출법, 환류 추출법 등의 통상적인 추출방법, 바람직하게는 초음파추출법으로 1 내지 10회, 바람직하게는 2 내지 7회 반복 추출한 후, 추출액을 여과하여 감압 농축하고, 상기 농축된 추출물을 약 섭씨 -50 내지 -30도에서 약 24 내지 72시간 동결 건조하는 과정을 거쳐 수득할 수 있다.
이외에, 상기 사상자 추출물은 약학적으로 또는 식품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 부형제 또는 희석제 등을 첨가하여 제제화할 수 있으며, 제제화에 관한 내용은 Remington's Pharmaceutical Science(최근판), Mack Publishing Company, Easton PA, 또는 식품공전 등의 문헌을 참조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해 건망증 또는 퇴행성 뇌질환 중 어느 하나를 효과적으로 치료, 개선 및/또는 예방할 수 있다.
도 1은 사상자 추출물의 기억개선 효과를 수동회피실험에서 확인한 결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2 내지 도 3은 사상자 추출물의 기억개선 효과를 모리스 수중 미로실험에서 확인한 결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4 내지 도 5는 사상자 추출물의 기억개선 효과를 Y 미로 실험에서 확인한 결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이하, 실시예 및 제조예에 의해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나, 하기 실시예 및 제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것일 뿐으로 본 발명의 내용이 하기 실시예나 제조예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사상자(蛇床子)는 벌사상자 Cnidium monieri (L). Cuss 또는 사상자 Torilis japonica Decandolle(산형과 Umbelliferae)의 열매를 포괄하는 의미이다(대한약전외 한약(생약) 규격집 참조).
건망증 내지 뇌졸중, 중풍, 치매, 알츠하이머 질환, 파킨슨 질환, 또는 헌팅턴 질환과 같이 특히 기억인지력 장애를 수반하는 퇴행성 뇌질환의 특징을 나타내는 기억력 감퇴 모델(스코폴라민 처리 모델)을 이용하여, 사상자 추출물이 건망증 내지 퇴행성 뇌질환의 치료, 개선 및/또는 예방 효과를 가짐을 아래와 같은 방법으로 확인하였다.
하기 실시예 중 스코폴라민(scopolamin; S1875), 타크린 (tacrine; A3773)은 Sigma-Aldrich Chemistry Co. 에서 구입하여 사용하였으며, 그 외 시약은 시중에서 구입할 수 있는 최상급을 사용하였다. 사상자는 (주) 휴먼허브에서(경산, 대한민국)에서 구입하여 사용하였다.
또한, 실험동물은 6주령의 ICR 마우스 (26 - 28g)를 (주) 오리엔트 (Seoul, Korea)에서 공급받아 대구한의대학교 한방산업대학의 소독케이지(clean cage)에 약 5일간 적응시켜 사용하였으며, 물과 사료는 자유롭게 섭취하도록 하였고, 온도(섭씨 23±2도), 습도 (55±10%) 및 명암주기 (12 시간)는 자동으로 조절되도록 하였다.
한편, 모든 실험결과는 one-way ANOVA (one way analysis of variance)를 이용하여 통계 처리하였고, 유의성이 인정될 경우 Student-Newman-Keuls Test를 사용하여 p < 0.05 수준 이하에서 유의성 검정을 실시하였다.
<실시예 1> 수동회피실험에서, 사상자 추출물의 건망증 내지 퇴행성 뇌질환의 치료, 개선 및/또는 예방 효과 확인
사상자 추출물(EETF)의 수동회피실험에서의 건망증 내지 퇴행성 뇌질환의 치료, 개선 및/또는 예방 효과를 확인하기 위하여 문헌에 개시된 방법을 응용하여 하기와 같이 실험을 수행하였다(Kim DH, Jeon SJ, Son KH, Jung JW, Lee S, Yoon BH, Lee JJ, Cho YW, Cheong JH, Ko KH, Ryu JH. The ameliorating effect of oroxylin A on scopolamine-induced memory impairment in mice, Neurobiol Learn Mem, 87, pp.536-546, 2007 참조).
1-1. 사상자 추출물 준비
(주) 휴먼허브(Gyeongsan, Korea)에서 건조된 사상자 100 g을 구입하여 완전히 건조시킨 후에 분쇄하여 10배(v/w)의 70% 에탄올 수용액을 가하여 환류 냉각장치(pyrex, CD1100-300)에서 섭씨 60도로 2시간동안 3회 초음파 추출(Power sonica, 화신테크)하였다. 추출이 완료된 다음 Whatman (No. 1) 여과지(filter paper)로 여과하고, 여액을 감압농축 및 동결건조 (Eyela, model FDU-2000, Japan)하여 사상자 70% 에탄올 추출물(이하, EETF라 명명함.) 4.65 g을 수득하였다(수득율 : 4.65%).
1-2. 수동회피실험
상기 1-1.에서 준비된 사상자 추출물(EETF)을 10% 트윈 80(Polyoxyethyl enesorbitan monooleate : Sigma, U.S.A.)에 녹인 후 여러 가지 용량(0, 25, 50, 100, 200 mg/kg)으로 준비된 실험동물에 경구로 투여하였다. 양성 대조군은 tacrine 10 mg/kg을 투여하고, 대조군(control)에는 10% 트윈을 투여하였다.
이 후, 본 실험(Test trial) 이전에 학습시험(Training trial)을 하기 방법으로 실시하였다.
약물투여 30분 후에 증류수에 녹인 스코폴라민을 1 mg/kg의 용량으로 복강 투여하고, 스코폴라민 투여 30분 후에 실험동물을 조명을 비춘 밝은 쪽 구획에 놓고 20초의 탐색시간 후 길로틴문 (guillotine door)이 열려 어두운 구획으로 들어갈 수 있게 하였다. 이때 길로틴문이 열린 후 40초 이내에 어두운 쪽으로 들어가지 않는 쥐는 실험에서 제외시켰다. 길로틴문이 열린 후 쥐가 어두운 쪽으로 들어갈 때까지의 시간을 측정하였다. 일단 쥐가 어두운쪽으로 들어가면 길로틴문이 닫히고 0.5mA의 전기 충격이 3초 동안 격자 바닥을 통해 흐르게 되고 쥐는 이러한 전기충격을 기억하게 된다.
이와 같은 학습 시험이 끝나고, 24시간 후에 본 실험(Test trial)을 실시하였다. 쥐가 20초의 탐색시간 후 길로틴문이 열리고 어두운 쪽으로 4발이 다 들어가는데 걸리는 시간(latency time : 머무름 시간)을 180초까지 측정하였다. 걸리는 시간이 길수록 수동회피의 학습과 기억이 좋음을 나타낸다.
그 결과를 도 1에 나타내었다.
도 1은 수동회피실험에서 스코폴라민으로 유도된 기억력 감퇴 모델에서 사상자의 70% 에탄올 추출물(EETF)의 용량(25, 50, 100, 및 200 mg/kg)에 따른 개선효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1에서 각 그룹은 10마리의 생쥐를 사용하였고, 머무름시간(Latency time)은 평균±표준편차로 나타내었다.
도에서 보는 바와 같이, 모든 실험군이 대조군에 비해 스코폴라민만 투여한 경우 머무름 시간이 유의성 있게 감소한 것으로 보아 기억력 감퇴 모델이 제작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사상자 추출물(EETF)의 용량의존성 실험에서는 도 1에서 보듯이 스코폴라민만 투여한 그룹의 머무름 시간이 27.3±4.9초인데 반해 100, 200 mg/kg 투여군에서 각각 100.6±4.4(p < 0.05), 129±15.1 (p < 0.05)초로 유의성 있는 증가를 보였다.
이와 같은 결과로부터 사상자 추출물은 기억력 감퇴에 용량 의존적으로 효과를 나타냄을 알 수 있다. 따라서, 기억력 감퇴와 관련된 건망증 내지 뇌졸중, 중풍, 치매, 알츠하이머 질환, 파킨슨 질환, 또는 헌팅턴 질환과 같이 특히 기억인지력 장애를 수반하는 퇴행성 뇌질환의 치료, 개선 등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증세가 악화되는 것을 막는 예방 효과도 갖는 것으로 보인다.
결과적으로, 사상자 추출물은 건망증 및/또는 퇴행성 뇌질환을 효과적으로 치료, 개선 또는 예방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실시예 2> Morris 수중미로장치 실험에서, 사상자 추출물의 건망증 내지 퇴행성 뇌질환의 치료, 개선 및/또는 예방 효과 확인
사상자 추출물(EETF)의 Morris 수중미로 실험에서 건망증 내지 퇴행성 뇌질환의 치료, 개선 및/또는 예방 효과를 확인하기 위하여 문헌에 개시된 방법을 응용하여 하기와 같이 실험을 수행하였다(Morris R. Developments of a water-maze procedure for studying spatial learning in the rat. J. Neurosci. Methods. pp.47-60. 1984 참조).
2-1. 사상자 추출물 준비
실시예 1의 1-1.과 동일한 방법으로 사상자 추출물을 준비하였다.
2-2. Morris 수중미로장치 실험
상기 2-1에서 준비한 사상자 추출물(EETF)을 10% 트윈 80(Polyoxyethyl enesorbitan monooleate : Sigma, U.S.A.)에 녹인 후 여러 가지 용량(100mg/kg, 200mg/kg)으로 실험동물에 경구로 투여하였다. 양성 대조군은 tacrine 10 mg/kg을 투여하고 대조군(control)에는 10% 트윈 80을 투여하였다. 사상자 추출물 투여군과 양성 대조군 각각에 대하여 약물투여 30분 후에 증류수에 녹인 스코폴라민을 1 mg/kg의 용량으로 4일 동안 복강 투여하여 기억력 손상을 유발하였으며, 매일 4 번씩 4일 동안 Morris 수중미로 검사 (Morris water-maze test)를 실시하였다. 수중미로 장치는 지름 90 cm, 높이 45 cm이며 플랫폼 (white platform)의 지름은 6 cm로 구성되어 있다. 수중미로의 주변은 비디오카메라와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Ethovision, Noldus, 네델란드)과 수온 조절용 장치 등 공간단서들을 항상 일정하게 유지시켰다, 실험방법으로는 maze에 물의 높이가 30 cm가 되도록 물을 채우고 마우스가 플랫폼을 볼 수 없도록 플랫폼을 물 높이의 1 cm 밑에 설치하였다. 마우스가 플랫폼까지 찾아가서 플랫폼에서 10초 이상 머무르면 찾아갈 때까지 걸린 시간을 탈출잠복기(escape latency)로 하였으며, 이를 하루 4회 실시하여 나온 평균값을 데이터로 사용하였다. 이때 평균탈출 잠복기가 60 초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60초로 동일한 값을 취하였다. 마지막 5일째 날에는 플랫폼을 maze에서 제거한 후 플랫폼이 있던 위치에 마우스가 머문 시간을 측정하였다. 각 그룹은 10마리의 생쥐를 사용하였다.
도 2와 도 3에 그 결과를 나타내었다.
도 2 내지 도 3은 Morris 수중미로 실험에서 스코폴라민으로 유도된 기억력 감퇴 모델에서 사상자의 70% 에탄올 추출물(EETF)의 100, 200 mg/kg의 기억력 개선효과를 나타낸 것으로, 도 2는 4일간의 잠복기 시간(Latency time) 변화를 나타낸 그래프이고, 도 3은 5일 째 플랫폼이 있던 위치에 마우스가 머문 시간(Swimming time in target quadrant)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Morris 수중미로 학습에서 4일 동안 60초 이내 플랫폼에 도달하기까지의 소요시간을 측정하는 학습시험에서 학습이 진행됨에 따라 대조군(control)은 플랫폼을 찾아가는 시간이 16.8±1.8초로 현저히 감소하였으며, 스코폴라민 투여군(Scopolamine)은 41.2±1.8초로 거의 플랫폼을 찾아가지 못한 반면, 사상자 추출물(EETF) 투여군은 100, 200 mg/kg의 용량에서 각 각 21.8±3.8, 23.2±2.7초로 플랫폼을 찾아가는 시간이 감소함을 확인하였다(p < 0.05).
또한,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Morris 수중미로 학습에서 마지막 날인 제 5일째 기억검사에서도 사상자 추출물(EETF) 100, 200 mg/kg이 scopolamine 손상군(EETF 0 mg/kg, scopolamine 1mg/kg 투여군)에 비해 유의성 있는 증가를 보였다(p < 0.05).
이와 같은 결과로부터 사상자 추출물은 기억력 감퇴에 효과를 나타냄을 알 수 있다. 따라서, 기억력 감퇴와 관련된 건망증 내지 뇌졸중, 중풍, 치매, 알츠하이머 질환, 파킨슨 질환, 또는 헌팅턴 질환과 같이 특히 기억인지력 장애를 수반하는 퇴행성 뇌질환의 치료, 개선 등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증세가 악화되는 것을 막는 예방 효과도 갖는 것으로 보인다.
결과적으로, 사상자 추출물은 건망증 및/또는 퇴행성 뇌질환을 효과적으로 치료, 개선 또는 예방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실시예 3> Y 미로 시험(Y-maze test)에서, 사상자 추출물의 건망증 내지 퇴행성 뇌질환의 치료, 개선 및/또는 예방 효과 확인
사상자 추출물(EETF)의 Y 미로시험에서 건망증 내지 퇴행성 뇌질환의 치료, 개선 및/또는 예방를 효과 확인하기 위하여 문헌에 개시된 방법을 응용하여 하기와 같이 실험을 수행하였다(Sarter M, Bodewitz G, Stephens DN. Attenuation of scopolamineinduced impairment of spontaneous alternation behavior by antagonist but not inverse agonist and betacarboline. Psycopharmacology. pp.491-495. 1998 참조).
3-1. 사상자 추출물 준비
실시예 1의 1-1.과 동일한 방법으로 사상자 추출물을 준비하였다.
3-2. Y 미로 시험
3-1.에서 준비한 사상자 추출물(EETF)을 10% 트윈 80(Polyoxyethyl enesorbitan monooleate : Sigma, U.S.A.)에 녹인 후 여러 가지 용량(0, 25, 50, 100, 200 mg/kg)으로 경구로 투여하였다. 양성 대조군은 tacrine 10 mg/kg을 투여하고 대조군(control)에는 10% 트윈 80을 투여하였다. 사상자 추출물 투여군과 양성 대조군 각각에 대하여 약물투여 30분 후에 증류수에 녹인 스코폴라민을 1 mg/kg의 용량으로 복강 투여하여 기억력 손상을 유발한 후, Y-미로시험(Y-maze test)를 실시하였다.
Y-미로시험에 이용되는 기구는 3개의 가지로 구성되어 있으며 각 가지 (arm)의 길이는 42 cm, 넓이는 3 cm, 높이는 12 cm이고 세 가지가 접하는 각도는 120도이다. 모든 실험 장치는 검정색의 폴리비닐 플라스틱(polyvinyl plastic)으로 구성되어 있다. 각 가지를 A, B, C로 정한 후 한쪽 가지에 마우스를 조심스럽게 놓고 8분 동안 자유롭게 움직이게 한 다음 마우스가 들어간 가지를 기록하였다. 이 때 꼬리까지 완전히 들어갔을 경우에 한하며, 갔던 가지에 다시 들어간 경우에도 기록하였다. 세 개의 서로 다른 가지에 차례로 들어간 경우 1점(실제 변경, actual alternation)씩 부여하였다. 변경 행동력(alternation behavior 또는 Spontaneous alternation)은 3가지 모두에 차례로 들어가는 것으로 정의되며, 하기 수학식 1에 의해 계산된다. 각 그룹은 10마리의 생쥐를 사용하였다.
수학식 1
변경행동력(%)=실제변경(actual alternation)/최고변경(maximum alterantion)×100 (최고변경:총입장횟수-2)
도 4와 도 5에 그 결과를 나타내었다.
도 4 내지 도 5는 Y 미로 실험에서 스코폴라민으로 유도된 기억력 감퇴 모델에서 사상자의 70% 에탄올 추출물(EETF)의 용량(25, 50, 100, 및 200 mg/kg)에 따른 개선효과를 나타낸 것으로, 도 4는 총입장횟수(Total entry)를 투여군별로 나타낸 결과 그래프이고, 도 5는 변경행동력을 나타내는 자발적 교차행동(spontaneous alternation) 비율을 투여군별로 나타낸 결과 그래프이다.
그 결과, 스코폴라민 (1 mg/kg, i.p.)의 투여에 의해 spontaneous alternation이 대조군에 비해 통계적으로 유의성 있게 감소하고, 사상자 추출물(EETF) 100, 및 200 mg/kg의 투여에 의해 spontaneous alternation이 scopolamine 투여군(0mg/kg EETF+Scopolamine 1mg/kg 투여군)에 비해 증가하여 학습 및 기억력이 회복되었다는 것을 확인하였다(p < 0.05).
이와 같은 결과로부터 사상자 추출물은 기억력 감퇴에 효과를 나타냄을 알 수 있다. 따라서, 기억력 감퇴와 관련된 건망증 내지 뇌졸중, 중풍, 치매, 알츠하이머 질환, 파킨슨 질환, 또는 헌팅턴 질환과 같이 특히 기억인지력 장애를 수반하는 퇴행성 뇌질환의 치료, 개선 등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증세가 악화되는 것을 막는 예방 효과도 갖는 것으로 보인다.
결과적으로, 사상자 추출물은 건망증 및/또는 퇴행성 뇌질환을 효과적으로 치료, 개선 또는 예방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제제예 1. 산제의 제조
EETF 200 mg
유당 100 mg
탈크 10 mg
상기의 성분들을 혼합하고 기밀포에 충진하여 산제를 제조한다.
제제예 2. 정제의 제조
EETF 200 mg
옥수수전분 100 mg
유당 100 mg
스테아린산 마그네슘 2 mg
상기의 성분들을 혼합한 후 통상의 정제 제조방법에 따라서 타정하여 정제를 제조한다.
제제예 3. 캅셀제의 제조
EETF 200 mg
결정성 셀룰로오스 3 mg
락토오스 14.8 mg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0.2 mg
통상의 캅셀제 제조방법에 따라 상기의 성분을 혼합하고 젤라틴 캡슐에 충전하여 캅셀제를 제조한다.
제제예 4. 주사제의 제조
EETF 200 mg
만니톨 180 mg
주사용 멸균 증류수 2974 mg
Na2HPO4,12H2O 26 mg
통상의 주사제의 제조방법에 따라 1 앰플당 (2ml) 상기의 성분 함량으로 제조한다.
제제예 5. 액제의 제조
EETF 200 mg
이성화당 10 g
만니톨 5g
정제수 적량
통상의 액제의 제조방법에 따라 정제수에 각각의 성분을 가하여 용해시키고 레몬향을 적량 가한 다음 상기의 성분을 혼합한 다음 정제수를 가하여 전체 100㎖로 조절한 후 갈색병에 충진하여 멸균시켜 액제를 제조한다.
제제예 6. 건강기능식품의 제조
EETF 1000 mg
비타민 혼합물 적량
비타민 A 아세테이트 70 ug
비타민 E 1.0 mg
비타민 B1 0.13 mg
비타민 B2 0.15 mg
비타민 B6 0.5 mg
비타민 B12 0.2 ug
비타민 C 10 mg
비오틴 10 ug
니코틴산아미드 1.7 mg
엽산 50 ug
판토텐산 칼슘 0.5 mg
무기질 혼합물 적량
황산제1철 1.75 mg
산화아연 0.82 mg
탄산마그네슘 25.3 mg
제1인산칼륨 15 mg
제2인산칼슘 55 mg
구연산칼륨 90 mg
탄산칼슘 100 mg
염화마그네슘 24.8 mg
상기의 비타민 및 미네랄 혼합물의 조성비는 비교적 건강식품에 적합한 성분을 바람직한 실시예로 혼합 조성하였지만, 그 배합비를 임의로 변형 실시하여도 무방하며, 통상의 건강기능식품 제조방법에 따라 상기의 성분을 혼합한 다음, 과립을 제조하고, 통상의 방법에 따라 건강기능식품 조성물 제조에 사용할 수 있다.
제제예 7. 건강기능식품(음료)의 제조
EETF 1000 mg
구연산 1000 mg
올리고당 100 g
매실농축액 2 g
타우린 1 g
정제수를 가하여 전체 900 ml
통상의 건강기능식품(음료) 제조방법에 따라 상기의 성분을 혼합한 다음, 약 1시간동안 섭씨 85도에서 교반 가열한 후, 만들어진 용액을 여과하여 멸균된 2L용기에 취득하여 밀봉 멸균한 뒤 냉장 보관한 다음 건강기능식품(음료) 조성물 제조에 사용한다.
상기 조성비는 비교적 기호음료에 적합한 성분을 바람직한 실시예로 혼합 조성하였지만, 수요계층, 수요국가, 사용 용도 등 지역적, 민족적 기호도에 따라서 그 배합비를 임의로 변형 실시하여도 무방하다.

Claims (9)

  1. 사상자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건망증 또는 퇴행성 뇌질환 중 어느 하나의 치료 또는 예방용 약학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상자 추출물은 물, 탄소수 1 내지 4의 저급 알콜, 및 이들의 혼합물 중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용매에 가용한 추출물인 건망증 또는 퇴행성 뇌질환 중 어느 하나의 치료 또는 예방용 약학 조성물.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사상자 추출물은 물 또는 물 및 에탄올 혼합용매에 가용한 추출물인 건망증 또는 퇴행성 뇌질환 중 어느 하나의 치료 또는 예방용 약학 조성물.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퇴행성 뇌질환은 뇌졸중, 중풍, 치매, 알츠하이머 질환, 파킨슨 질환, 및 헌팅턴 질환 중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인 건망증 또는 퇴행성 뇌질환 중 어느 하나의 치료 또는 예방용 약학 조성물.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퇴행성 뇌질환은 기억인지력 장애를 수반하는 것인 건망증 또는 퇴행성 뇌질환 중 어느 하나의 치료 또는 예방용 약학 조성물.
  6. 사상자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건망증 또는 퇴행성 뇌질환 중 어느 하나의 개선 또는 예방용 식품 조성물.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식품은 캔디, 음료, 껌, 또는 차의 형태인 건망증 또는 퇴행성 뇌질환 중 어느 하나의 개선 또는 예방용 식품 조성물.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식품조성물은 건강기능식품, 또는 식품 첨가제인 건망증 또는 퇴행성 뇌질환 중 어느 하나의 개선 또는 예방용 식품 조성물.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건강기능식품은 분말, 과립, 정제, 캡슐 또는 음료의 형태인 건망증 또는 퇴행성 뇌질환 중 어느 하나의 개선 또는 예방용 식품 조성물.
KR1020120045746A 2012-04-30 2012-04-30 사상자 추출물의 신규 용도 KR2013012242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45746A KR20130122426A (ko) 2012-04-30 2012-04-30 사상자 추출물의 신규 용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45746A KR20130122426A (ko) 2012-04-30 2012-04-30 사상자 추출물의 신규 용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22426A true KR20130122426A (ko) 2013-11-07

Family

ID=498522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45746A KR20130122426A (ko) 2012-04-30 2012-04-30 사상자 추출물의 신규 용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30122426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33365A (ko) * 2019-09-18 2021-03-26 가천대학교 산학협력단 병풀, 벌사상자 및 영하구기자 추출물을 포함하는 인지 기능 장애 또는 신경염증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210071678A (ko) * 2019-12-06 2021-06-16 가천대학교 산학협력단 벌사상자 추출물을 포함하는 인지 기능 장애 또는 신경 염증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33365A (ko) * 2019-09-18 2021-03-26 가천대학교 산학협력단 병풀, 벌사상자 및 영하구기자 추출물을 포함하는 인지 기능 장애 또는 신경염증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210071678A (ko) * 2019-12-06 2021-06-16 가천대학교 산학협력단 벌사상자 추출물을 포함하는 인지 기능 장애 또는 신경 염증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031662B2 (ja) 認知機能低下改善用組成物
US11771726B2 (en) Composition, containing Quisqualis indica extract, for preventing or treating prostatic hyperplasia
KR102227186B1 (ko) 사간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퇴행성 뇌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CN108472325B (zh) 包含蜂斗菜叶提取物的用于改善记忆力的组合物
KR102287719B1 (ko) 신이 추출물 또는 분획물을 포함하는 수면 유도 및 개선용 조성물
KR101228920B1 (ko) 황칠나무 잎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장질환 치료 및 예방을 위한 조성물
KR101508395B1 (ko) 하고초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정신분열증 및 건망증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101380568B1 (ko) 포공영 추출물의 신규 용도
KR20130122426A (ko) 사상자 추출물의 신규 용도
KR20170067466A (ko) 스피루리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치매 또는 인지능 개선용 약학적 조성물
KR101748301B1 (ko) 질경이 추출물 및 인삼 추출물을 포함하는 퇴행성 뇌질환의 예방, 개선 및 치료용 조성물
KR20150001109A (ko) 다표적 제어를 통한 치매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0781581B1 (ko) 신경보호 활성을 갖는 오미자로부터 분리한 고미신 a를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약학 조성물
KR101509056B1 (ko) 인삼 복합 생약 추출물, 진세노사이드 Rg2와 진세노사이드 F2를 포함하는 뇌기능 및 인지 기능 개선용 조성물
KR101194974B1 (ko) 산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퇴행성 뇌질환 치료 및 예방용 조성물
KR101753057B1 (ko) 인지기능장애 또는 퇴행성 뇌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KR100740566B1 (ko) 페닐프로파노이드 계 화합물을 포함하는 항불안 및 기억력개선 효과를 나타내는 조성물
KR101725979B1 (ko) 몰약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기억력 개선을 위한 조성물
KR101816193B1 (ko) 13종의 한약재 추출물 또는 분획물을 함유하는 암전이 억제용 조성물
KR102274174B1 (ko) 알파피넨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메스암페타민 중독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2506064B1 (ko) 익모초 추출물 및 박하 추출물의 복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인지기능장애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1307726B1 (ko) 백지추출물을 유효성분을 함유하는 약물 중독 및 금단증상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US7824718B2 (en) Extract of Dioscorea opposita thunb showing neuronal cell-protecting activity for treating memory loss
KR101725980B1 (ko) 몰약, 당귀 및 오미자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기억력 개선을 위한 조성물
KR100665087B1 (ko) 진세노사이드 Rg5 및 Rk1을 함유하는 뇌기능 및인지기능 개선을 위한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