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65087B1 - 진세노사이드 Rg5 및 Rk1을 함유하는 뇌기능 및인지기능 개선을 위한 조성물 - Google Patents

진세노사이드 Rg5 및 Rk1을 함유하는 뇌기능 및인지기능 개선을 위한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65087B1
KR100665087B1 KR1020040102091A KR20040102091A KR100665087B1 KR 100665087 B1 KR100665087 B1 KR 100665087B1 KR 1020040102091 A KR1020040102091 A KR 1020040102091A KR 20040102091 A KR20040102091 A KR 20040102091A KR 100665087 B1 KR100665087 B1 KR 10066508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insenoside
composition
present
formula
brain fun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1020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063041A (ko
Inventor
강종성
여수정
정영희
강지연
정수진
이경아
주홍매
포해응
황귀서
한용남
이승기
오기완
박정일
명창선
조정숙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진생사이언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진생사이언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진생사이언스
Priority to KR102004010209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65087B1/ko
Publication of KR2006006304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6304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6508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6508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70Carbohydrates; Sugars; Derivatives thereof
    • A61K31/7028Compounds having saccharide radicals attached to non-saccharide compounds by glycosidic linkages
    • A61K31/7034Compounds having saccharide radicals attached to non-saccharide compounds by glycosidic linkages attached to a carbocyclic compound, e.g. phloridzin
    • A61K31/704Compounds having saccharide radicals attached to non-saccharide compounds by glycosidic linkages attached to a carbocyclic compound, e.g. phloridzin attached to a condensed carbocyclic ring system, e.g. sennosides, thiocolchicosides, escin, daunorubicin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9/00Foods or foodstuffs containing additiv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29/03Organic compounds
    • A23L29/035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as heteroato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08Solu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20Pills, tablets, discs, ro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48Preparations in capsules, e.g. of gelatin, of chocolate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22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having an effect on the health of the nervous system or on mental functio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Epidem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뇌기능 및 인지기능 개선용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진세노사이드 Rg5 및 진세노사이드 Rk1를 함유하는 뇌기능 및 인지기능 개선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기억력 증강 및 NMDA로 유발된 신경독으로부터 신경세포 보호효과가 우수하므로 뇌기능, 학습능력 또는 인지기능 개선을 위한 의약품 또는 건강기능식품에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다.
진세노사이드 Rg5, 진세노사이드 Rk1, 뇌기능 개선, 인지기능 개선, 건강기능식품

Description

진세노사이드 Rg5 및 Rk1을 함유하는 뇌기능 및 인지기능 개선을 위한 조성물{Composition comprising ginsenoside Rg5 and Rk1 for improving brain function and memory dysfunction}
도 1은 본 발명의 진세노사이드 Rg3(R), Rg3(S), Rg5/Rk1(1:1)을 생쥐에게 10 mg/kg의 용량으로 하루 1번씩 4회 연속투여 하고, 에탄올로 유도한 건망증에 대한 생쥐의 수동회피실험 결과를 나타내는 그래프이고, 각각의 컬럼 크기는 지연시간 (latency)의 메디안을 나타내며,
도 2는 상기 도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스코폴라민으로 유도한 건망증에 대한 생쥐의 수동회피실험 결과를 나타내는 그래프이고,
도 3은 Rg5, Rk1의 혼합물 (1:1)이 X/XO, H2O2로 유발된 산화적 신경세포손상 및 NMDA로 유발된 신경독으로부터 신경세포 보호효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본 발명은 진세노사이드 Rg5 및 진세노사이드 Rk1을 함유하는 뇌기능 및 인지기능 개선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우리나라는 물론 세계적으로 노인 인구가 증가하면서 많은 각종 퇴행성 노인질환들이 사회적, 경제적인 문제를 야기하고 있다. 퇴행성 뇌질환은 기억력 감퇴등 인지기능의 장애를 특징으로 하는 질환으로, 치매, 파킨슨병, 뇌졸중, 헌팅턴병 등의 다양한 질환을 포함한다. 또한 현대사회에서는 노인 인구의 급격한 증가로 인한 노인성 치매(senile dementia) 등의 퇴행성 뇌질환의 증가가 심각한 사회문제로 대두되고 있으나, 현재까지는 이 질환의 예방 및 치료에 효과적인 예방법이나 치료법이 개발되지 못한 실정이다. 대표적인 퇴행성 뇌질환인 치매는 전반적인 인지기능의 장애를 나타내는 질환으로 보통 만성, 또는 진행성 뇌질환에 의해서 발생되고 기억, 사고, 이해, 계산, 학습, 언어 판단 등 다수의 고위 대뇌기능에 장애가 나타난다. 치매의 원인은 정확히 밝혀져 있지는 않지만, 추정되는 원인으로는 대뇌 기저부의 콜린(choline)성 신경세포의 손상, 신경전달물질의 감소, 염증 반응에 의한 베타-아밀로이드(β-amyloid) 단백질 축적, 산화성 스트레스 등이라는 보고가 있다 (Davies 등, Lancet, 21, p1403, 1976; Rocher 등, J. Biol. Chem., 273, p29719 , 1988; Coyle 등, Science, 262, p689, 1993).
종래에 인지기능개선제로서 대한민국 특허공개공보 제2002-0044507호, 제2002-30648호, 제2002-0095624호, 제2004-0008975호, 대한민국 등록번호 제10- 0378734 등에는 당귀, 삼백초, 오미자, 지실 및 장생 도라지 등이 치매 예방 및 치료제로 사용될 수 있고, 뇌 신경세포 보호 활성을 갖고 있음이 개시되어왔다.
한편, 인삼 및 홍삼이 뇌의 활성을 증가 시킬 수 있다는 사실이 알려져 있으나 (Sorensen 등, Current Therap. Res., 57, pp959-968, 1996; Kennedy 등, Biochem. Behav., 75, pp687-700, 2003; Abe 등, Brain Res., 649, pp7-11, 1994; Petkov 등, American J. Chin. Med., 31, pp841-855, 2003; Smriga 등, Biol. Pharm. Bull., 18, pp518-22, 1995), 이 효과가 어떤 성분에 의한 것인지는 알려지지 않았다.
진세노사이드 Rg3(R), Rg3(S), Rg5, Rk1은 홍삼 중에 미량으로 포함된 성분으로 항전간효과 (Kim 등, Arch. Pharm. Res., 27, pp524-530, 2004), 항암효과 (Kim 등, Arch. Pharm. Res., 27(4), pp429-435, 2004 ; Yun 등, U.S. Pat. Appl. Publ., 9, 2003; Shibata, J. Kor. Med. Sci., 16(Suppl.), S28-S37, 2001; Keum 등, Mut. Res., 523-524, pp75-85, 2003), 암전이 억제 효과 (Shinkai 등, Japan. J. Cancer Res., 87(4), pp357-62, 1996; Mochizuki 등, Biol. Pharm. Bull., 18(9), pp1197-202, 1995), 항알러지 효과 (Park 등, Biol. Pharm. Bull., 26(11), pp1581-1584, 2003), 빈혈에 의한 뇌손상 방지 효과 (Park 등, Biol. Pharm. Bull., 27(3), pp433-436, 2004), 뇌졸중 치료 효과 (Kim 등, PCT Int. Appl., p24, 2003), 발모효과 (Matsuda 등, Phytother. Res., 17(7), pp797-800, 2003), 글루탐산 유도 신경 퇴화 방지 효과 (Kim 등, J. Neurosci. Res., 53(4), pp426-432, 1998), 혈소판 응집 방지 효과 (Lee 등, 고려인삼학회지, 21(2), pp132-140, 1997) 등이 알려져 있으나 진세노사이드 Rg5 와 진세노사이드 Rk1 에 대한 기억력 증진, 학습 효과 등의 인지기능 개선효과 및 신경세포 보호효과에 대해서는 현재까지 보고된 바 없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인지기능개선 및 뇌질환 치료제를 개발하기 위하여 천연자원 및 그 구성성분의 활성을 스크리닝 하던 중, 홍삼에 함유된 진세노사이드 Rg5 와 진세노사이드 Rk1 를 함유하는 조성물이 에탄올 또는 스코폴라민의 투여에 의한 건망증 유도군의 수동회피실험에서 유의성 있는 기억력 증강 및 학습개선 효과를 나타내며, NMDA로 유발된 신경독으로부터의 신경세포 보호효과가 우수함을 확인으로써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본 발명은 진세노사이드 Rg5 및/또는 진세노사이드 Rk1을 함유하는 기억력 증진, 학습 효과 등의 인지기능 개선효과 및 신경세포 보호효과를 갖는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하기 화학식 (1)의 진세노사이드 Rg5 및/또는 하기 화학식 (2)의 진세노사이드 Rk1을 함유하는 뇌기능 및 인지기능 개선용 약학 조성물을 제공한다.
Figure 112004057455273-pat00001
Figure 112004057455273-pat00002
이하,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활성성분인 진세노사이드 Rg5 및 Rk1은 인삼 사포닌을 함유하는 파낙스속 식물, 예를 들면 파낙스 진셍(Panax ginseng), 파낙스 노토진셍(Panax notoginseng), 파낙스 퀸퀘폴리움(Panax quinquefolium), 파낙스 야포니쿠스(Panax japonicus), 파낙스 베트나멘시스 (Panax vietnamensis), 또는 담마란 골격의 화합물을 함유하고 있는 돌외 (Gynostemma pentaphyllum) 등의 뿌리 또는 이들 식물의 잎, 이들 식물의 조직배양물, 또는 이들의 물 또는 저급 알콜에 의한 추출물을 가공하여 칼럼 크로마토그래피를 통해 순수하게 분리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방법에 의해 분리 또는 제조된 진세노사이드 Rg5와 진세노사이드 Rk1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뇌기능 개선 및 인지기능 개선을 위한 약학조성물을 제공한다. 이때, 진세노사이드 Rg5와 진세노사이드 Rk1는 단독으로 또는 혼합물로 사용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진세노사이드 Rg5와 진세노사이드 Rk1를 함유한 조성물의 뇌기능 개선 및 인지기능 개선 효능을 알아보기 위하여, 에탄올 또는 스코폴라민의 투여에 의한 건망증 유도군의 수동회피실험을 수행한 결과, 유의성 있는 기억력 증강 및 학습개선 효과를 나타내며, NMDA로 유발된 신경독으로부터의 신경세포 보호효과가 우수함을 확인하였다.
본 발명의 진세노사이드 Rg5와 진세노사이드 Rk1를 함유하는 약학조성물은,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상기 화합물을 0.1 내지 50 중량%로 포함한다.
본 발명의 약학조성물은 약학적 조성물의 제조에 통상적으로 사용하는 적절한 담체, 부형제 및 희석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의 약학적 투여 형태는 이들의 약학적 허용 가능한 염의 형태로도 사용될 수 있고, 또한 단독으로 또는 타 약학적 활성 화합물과 결합뿐만 아니라 적당한 집합으로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약학조성물은, 각각 통상의 방법에 따라 산제, 과립제, 정제, 캡슐제, 현탁액, 에멀젼, 시럽, 에어로졸 등의 경구형 제형, 외용제, 좌제 및 멸균 주사용액의 형태로 제형화하여 사용될 수 있다. 이때, 본 발명의 조성물에 포함될 수 있는 담체, 부형제 및 희석제로는 락토즈, 덱스트로즈, 수크로스, 솔비톨, 만니톨, 자일리톨, 에리스리톨, 말티톨, 전분, 아카시아 고무, 알지네이트, 젤라틴, 칼슘 포스페이트, 칼슘 실리케이트, 셀룰로즈, 메틸 셀룰로즈, 미정질 셀룰로스, 폴리비닐 피롤리돈, 물, 메틸히드록시벤조에이트, 프로필히드록시벤조에이트, 탈크,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및 광물유를 들 수 있다. 제제화할 경우에는 보통 사용하는 충진제, 증량제, 결합제, 습윤제, 붕해제, 계면활성제 등의 희석제 또는 부형제를 사용하여 조제된다. 경구투여를 위한 고형제제에는 정제, 환제, 산제, 과립제, 캡슐제 등이 포함되며, 이러한 고형제제는 상기 화합물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부형제 예를 들면, 전분, 칼슘카보네이트(calcium carbonate), 수크로스(sucrose) 또는 락토오스 (lactose), 젤라틴 등을 섞어 조제된다. 또한 단순한 부형제 이외에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탈크 같은 윤활제들도 사용된다. 경구를 위한 액상 제제로는 현탁제, 내용액제, 유제, 시럽제 등이 해당되는데 흔히 사용되는 단순희석제인 물, 리퀴드 파라핀 이외에 여러 가지 부형제, 예를 들면 습윤제, 감미제, 방향제, 보존제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비경구 투여를 위한 제제에는 멸균된 수용액, 비수성용제, 현탁제, 유제, 동결건조 제제, 좌제가 포함된다. 비수성용제, 현탁제로는 프로필렌글리콜(propylene glycol), 폴리에틸렌 글리콜, 올리브 오일과 같은 식물성 기름, 에틸올레이트와 같은 주사 가능한 에스테르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좌제의 기제 로는 위텝솔(witepsol), 마크로골, 트윈(tween) 61, 카카오지, 라우린지, 글리세로제라틴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의 바람직한 투여량은 환자의 상태 및 체중, 질병의 정도, 약물형태, 투여경로 및 기간에 따라 다르지만, 당업자에 의해 적절하게 선택될 수 있다. 그러나 바람직한 효과를 위해서, 본 발명의 조성물은 건강한 성인을 기준으로 할 때 1일 1 내지 1000 mg/kg으로, 바람직하게는 50 내지 500 mg/kg으로 투여하는 것이 좋다. 투여는 하루에 한번 투여할 수도 있고, 수회 나누어 투여할 수도 있다. 상기 투여량은 어떠한 면으로든 본 발명의 범위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약학조성물은 쥐, 생쥐, 가축, 인간 등의 포유동물에 다양한 경로로 투여될 수 있다. 투여의 모든 방식은 예상될 수 있는데, 예를 들면, 경구, 직장 또는 정맥, 근육, 피하, 자궁내 경막 또는 뇌혈관내 (intracerebroventricular) 주사에 의해 투여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뇌기능 및 인지기능 개선 효과를 나타내는 상기 진세노사이드 Rg5와 진세노사이드 Rk1를 함유한 조성물 및 식품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식품보조 첨가제를 포함하는 건강기능식품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건강기능식품은 정제, 캡슐제, 환제 또는 액제 등의 형태를 포함하며, 본 발명의 조성물을 첨가할 수 있는 식품으로는, 예를 들어, 각종 식품류, 음료, 껌, 차, 비타민 복합제, 건강 기능성 식품류 등이 있다.
한편, 상기 식품 조성물에 원지, 오가피, 산조인, 육두구, 석창포, 천궁, 맥 문동 및 산초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의 생약 추출물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뇌기능 및 인지기능 개선 효과를 목적으로 식품 또는 음료에 첨가될 수 있다. 이 때, 식품 또는 음료 중의 상기 조성물의 양은 전체 식품 중량의 0.01 내지 15 중량%로 가할 수 있으며, 건강 음료 조성물은 100 ㎖를 기준으로 0.02 내지 5 g, 바람직하게는 0.3 내지 1g의 비율로 가할 수 있다.
본원에서 정의되는 식품보조첨가제는 당업계에 통상적인 식품첨가제, 예를 들어 향미제, 풍미제, 착색제, 충진제, 안정화제 등을 포함하며, 하기에 예시한다.
본 발명의 건강 기능성 음료 조성물은 지시된 비율로 필수 성분으로서 상기 화합물을 함유하는 외에는 다른 성분에는 특별한 제한이 없으며 통상의 음료와 같이 여러 가지 향미제 또는 천연 탄수화물 등을 추가 성분으로서 함유할 수 있다. 상술한 천연 탄수화물의 예는 모노사카라이드, 예를 들어, 포도당, 과당 등; 디사카라이드, 예를 들어 말토스, 슈크로스 등; 및 폴리사카라이드, 예를 들어 덱스트린, 시클로덱스트린 등과 같은 통상적인 당, 및 자일리톨, 소르비톨, 에리트리톨 등의 당알콜이다. 상술한 것 이외의 향미제로서 천연 향미제(타우마틴, 스테비아 추출물(예를 들어 레바우디오시드 A, 글리시르히진등) 및 합성 향미제(사카린, 아스파르탐 등)를 유리하게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천연 탄수화물의 비율은 본 발명의 조성물 100㎖당 일반적으로 약 1 내지 20g, 바람직하게는 약 5 내지 12g이다.
상기 외에 본 발명의 조성물은 여러 가지 영양제, 비타민, 광물(전해질), 합성 풍미제 및 천연 풍미제 등의 풍미제, 착색제 및 중진제(치즈, 초콜릿 등), 펙트 산 및 그의 염, 알긴산 및 그의 염, 유기산, 보호성 콜로이드 증점제, pH 조절제, 안정화제, 방부제, 글리세린, 알코올, 탄산 음료에 사용되는 탄산화제 등을 함유할 수 있다. 그밖에 본 발명의 화합물들은 천연 과일 쥬스 및 과일 쥬스 음료 및 야채 음료의 제조를 위한 과육을 함유할 수 있다. 이러한 성분은 독립적으로 또는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첨가제의 비율은 그렇게 중요하진 않지만 본 발명의 화합물 100 중량부 당 0 내지 약 20 중량부의 범위에서 선택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하, 본 발명을 하기의 실시예 및 실험예에 의해 상세히 설명한다.
단, 하기 실시예 및 실험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일 뿐, 본 발명의 내용이 하기 실험예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진세노사이드 Rg5 및 Rk1을 함유한 조성물의 제조
1-1. 진세노사이드 Rg5 및 Rk1을 함유한 조성물의 제조
인삼 1 ㎏을 메탄올 1000 ㎖로 환류 추출하여 메탄올 추출물을 얻고 메탄올을 증발시켜 제거한 후에 남은 잔사를 물 100 ㎖에 현탁시켜 에테르 100 ㎖씩 3회 추출한 다음, 남은 수층을 부탄올/에틸아세테이트(10:1) 혼합액 100 ㎖씩 3회 추출하였다. 남은 수층을 수포화 부탄올 100 ㎖씩 3회 추출하여 파낙사디올계 사포닌이 함유된 분획을 얻은 후, 다시 130 ℃에서 2시간 동안 가열처리하여 진세노사이드 Rg5 와 Rk1이 주로 함유된 분획을 얻었다. 상기 분획을 에틸아세테이트/메탄올/물(20:1:1)의 혼합용매를 용출제로 사용하여 실리카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를 수 행하여 진세노사이드 Rg5 와 Rk1을 함유하는 분획 20 g을 얻었다.
1-2. 진세노사이드 Rg5 및 Rk1의 제조
상기 실시예 1-1에서 제조된 진세노사이드 Rg5 와 Rk1을 함유하는 분획 2 g을 에칠아세테이트/메탄올/물(20:1:1)을 용매로 실리카겔 컬럼크로마토그라피를 반복 수행하여 각각 진세노사이드 Rg5 와 Rk1을 함유하는 분획을 얻었다. 이 분획들을 메탄올, 에틸아세테이트 혼합용매로 재결정화시켜 순수한 진세노사이드 Rg5 와 Rk1을 각각 500 ㎎, 750 mg을 수득하였다
비교예 1. 진세노사이드 Rg3의 제조
인삼으로부터 알코올 추출 용매를 사용하여 추출한 추출물을 분리하는 통상적인 방법을 사용하여 제조한 인삼 조사포닌 20 g을 120 ℃에서 3시간 동안 가열한 후, 반응 혼합물을 상온까지 식힌 다음, 반응액을 증류수 200 ㎖로 희석하고, n-부탄올 100 ㎖로 3회 추출하여 부탄올 추출물을 얻었다. 부탄올 추출물을 실리카겔 컬럼크로마토그래피(클로로포름:에탄올:물 = 100:30:10, 하층)으로 분리하여 진세노사이드 (20S)-Rg3 와 (20R)-Rg3를 각각 2.01 g, 1.7 g 을 수득하여 실험재료로 사용하였다.
실험예 1. 수동회피실험을 통한 인지기능개선효과의 측정
1-1. 실험동물의 준비 및 실험방법
18 내지 20 g의 4주령의 ICR계 수컷 생쥐 (폴라스인터내셔날, 서울, 한국)를 22±1℃에서 12시간을 주기로 명암을 조절하면서 7일간 사육하였다. 사육시에 물과 사료는 자유롭게 섭취하도록 했으며 3일 이상 순화시킨 후 실험에 사용하였다. 진세노사이드 Rg3(R), 진세노사이드 Rg3(S), 진세노사이드 Rg5/Rk1(1:1)을 생리식염수에 녹여 10 mg/kg의 용량으로 매일 1회 4일간 경구 투여하였으며, 공시험군 및 대조군에는 생리식염수를 투여하였다. 에탄올 유도 건망증군에는 학습시작 1시간 전에 대조군과 실험군에 에탄올을 3 g/kg 용량으로 경구투여 하였고, 스코폴라민 유도 건망증군에는 학습시작 1시간 전에 대조군과 실험군에 스코폴라민을 3 mg/kg 용량으로 복강주사 하였다. 수동회피실험은 PACS-30 셔틀 박스 시스템(콜롬부스 인스트루먼트사)을 사용하였으며, 학습시험과 수동회피시험(Passive avoidance test)으로 나누어 2일 연속(간격: 24시간)으로 행하였다.
실험명 시료내용 투여용량
공시험군 생리식염수
대조군 생리식염수와 에탄올 또는 스코폴라민
Rg3(R) Rg3(R)와 에탄올 또는 스코폴라민 10 mg/kg
Rg3(S) Rg3(S)와 에탄올 또는 스코폴라민 10 mg/kg
Rg5/Rk1 Rg5/Rk1와 에탄올 또는 스코폴라민 10 mg/kg
1-2. 학습 시험(learning)
마지막 약물 투여 30분 후에 에탄올을 3 g/kg (또는 스코폴라민 3 mg/kg)의 용량으로 경구 투여하고, 투여 1시간 후에 쥐를 조명을 비춘 밝은 쪽 구획에 놓고 30초의 탐색시간 후 길로틴문(guillotin door)이 열려 어두운 구획으로 들어갈 수 있게 하였다. 이때 길로틴문이 열린 후 120초 이내에 어두운 쪽으로 들어가지 않는 쥐는 실험에서 제외시켰다. 길로틴문이 열린 후 쥐가 어두운 쪽으로 들어갈 때까지의 시간을 자동적으로 측정하였다. 일단 쥐가 어두운 쪽으로 들어가면 길로틴문이 닫히고 0.6 ㎃의 스크램블된 충격이 5초 동안 그리드 바닥을 통해 흐르게 되고 쥐는 이것을 기억하게 된다.
1-3. 수동회피시험(testing)
상기 실험예 1-2의 학습 시험이 끝난 지 24시간 후에 시행하였다. 쥐가 30초의 탐색시간 후 길로틴문이 열리고 어두운 쪽으로 들어갈 때까지의 지연시간(latency time)을 300초까지 측정하였다. 그 결과를 도 1에 나타내었다. 지연시간이 길며 성공률이 높을수록 인지기능효과가 우수하다고 판정할 수 있다.
그 결과, Rg3(R), Rg3(S), Rg5/Rk1(1:1)의 에탄올로 유도한 건망증 생쥐에 대한 수동회피실험으로 Rg3(R), Rg3(S), Rg5/Rk1 모두 기억력 증강효과를 보이고 있으나 (P<0.01), 효력면에 있어 Rg5/Rk1는 Rg3(R)과 Rg3(S)에 비해 각각 1.7배, 1.8배 강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Rg5/Rk1는 에탄올로 건망증을 유도하기 전보다 기억력을 1.2배 증강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도 1 참조). 또한, 에탄올 대신 스코폴라민으로 유도한 건망증에 대해서도 비슷한 결과를 보였다. 즉, 스코폴라민으로 유도한 건망증 생쥐에 대한 수동회피실험으로 R g3(S), Rg5/Rk1 모두 기억력 증강효과를 보이고 있으나 (P<0.01), 효력면에 있어 Rg5/Rk1는 Rg3(S)에 비해 1.9배 강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Rg5/Rk1는 스코폴라민으로 건망증을 유도하기 전보다 기억력을 1.2배 증강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도 2 참조). 즉, 진세노사이드 Rg5와 진세노사이드 Rk1을 함유하는 본 발명의 조성물은 우수한 기억력 증강 및 학습개선 효과가 있음을 확일할 수 있었다.
실험예 2. 신경세포 보호작용
상기 실시예 1-1에서 제조한 진세노사이드 Rg5/Rk1 조성물을 3, 10, 30, 100, 300 ㎍/㎖의 농도로 만든 후 신경세포 보호 작용을 관찰하였다. 사용한 신경세포는 16-18일 된 임신 쥐로부터 얻은 태자의 대뇌피질 신경세포를 해부현미경과 파스테르 피펫을 이용하여 단일세포로 분리한 후, 폴리-L-리신(poly-L-lysine)과 라미닌(laminin)으로 피막을 입힌 24-well 세포배양 용기에 well당 5 x 105의 밀도로 이식하여 37 ℃ 배양기에서 95% 공기/5% CO2를 유지하면서 배양하여 사용하였다. (Cho 등, J. Ethnopharmacol. 73, pp31-37, 2000; Cho 등, Life Sci. 68, pp1567-1573, 2001). 이후 적정농도의 X/XO, H2O2, NMDA(N-methyl-D-aspartate)로 일정시간 동안 처리하고 20 내지 24시간 후에 유발되는 산화적 신경세포손상에 대한 천연물질 추출 분획 및 정제성분의 작용을 위상차 현미경으로 관찰하거나 배양액 중으로 유리되는 LDH(lactate dehydrogenase)를 측정하였다.
상기 신경세포 보호작용 관련 실험의 결과는 도 3에 나타내었다. 즉, Rg5, Rk1의 혼합물 (1:1)이 X/XO(Xanthine/Xanthine oxidase), H2O2로 유발된 산화적 신경세포손상 및 NMDA로 유발된 신경독으로부터 신경세포 보호효과를 나타낸 것으로 X/XO, H2O2로 유발된 산화적 신경세포손상에 대한 보호 효과는 미미하나 NMDA로 유발된 신경독으로부터 신경세포를 보호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도 3 참조).
실험예 3. 독성시험
상기 실시예 1-1에서 제조한 조성물의 랫트에 대한 경구투여에 의한 독성 존재 유무를 조사하기 위하여 SD계통의 웅성 및 자성 랫트에 각각 1 g/kg, 2 g/kg 및 5 g/kg 3개의 투여용량으로 5마리씩 단회 경구투여하고 14일간의 사망예, 일반증상, 체중변화 및 부검소견을 관찰하였다. 이와 같이 시험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시험 기간 중 본 발명의 조성물들의 모든 투여군에서 시험 전기간동안 관찰시 사망예는 없었으며, 대조군에 비해 특이적으로 관찰된 일반증상의 변화도 없었다.
(2) 체중변화는 5 g/kg 용량군에서 투여 후 3일째에서 유의성있는 체중 감소를 나타내었을 뿐 그외 모든 투여군에서 대조군과 차이가 없었다.
이상의 결과로 보아 모든 시험물질 투여군에서 사망예 및 대조군에 비해 특 이한 임상증상이 관찰되지 않았으며 체중변화 및 부검시 해부학적 소견에서도 특이한 증상은 거의 관찰되지 않았다. 또한 상기 조성물들은 5 g/kg 이하의 용량에서는 뚜렷한 독성이 나타나지 않았으므로 경구투여에 의한 랫트에서의 LD50(lethal dose)은 5 g/kg 이상인 것으로 판단된다.
본 발명의 화합물을 포함하는 약학 조성물의 제제예를 설명하나, 본 발명은 이를 한정하고자 함이 아닌 단지 구체적으로 설명하고자 함이다.
제제예 1. 산제의 제조
실시예 1-1 조성물 200 mg
유당 1000 mg
탈크 10 mg
상기의 성분들을 혼합하고 기밀포에 충진하여 산제를 제조한다.
제제예 2. 정제의 제조
실시예 1-1 조성물 200 mg
옥수수전분 100 mg
유당 100 mg
스테아린산 마그네슘 2 mg
상기의 성분들을 혼합한 후 통상의 정제의 제조방법에 따라서 타정하여 정제 를 제조한다.
제제예 3. 캅셀제의 제조
실시예 1-1 조성물 50 mg
옥수수전분 100 mg
유당 100 mg
스테아린산 마그네슘 2 mg
통상의 캡슐제 제조방법에 따라 상기의 성분을 혼합하고 젤라틴 캡슐에 충전하여 캡슐제를 제조한다.
제제예 4. 주사제의 제조
실시예 1-1 조성물 50 mg
주사용 멸균 증류수 적량
pH 조절제 적량
통상의 주사제의 제조방법에 따라 1 앰플당(2 ㎖) 상기의 성분 함량으로 제조한다.
제제예 5. 액제의 제조
실시예 1-1 조성물 100 mg
이성화당 10 g
만니톨 5 g
정제수 적량
통상의 액제의 제조방법에 따라 정제수에 각각의 성분을 가하여 용해시키고 레몬향을 적량 가한 다음 상기의 성분을 혼합한 다음 정제수를 가하여 전체를 정제수를 가하여 전체 100 ㎖로 조절한 후 갈색병에 충진하여 멸균시켜 액제를 제조한다.
제제예 6. 건강 식품의 제조
실시예 1-1 조성물 1000 ㎎
비타민 혼합물 적량
비타민 A 아세테이트 70 ㎍
비타민 E 1.0 ㎎
비타민 B1 0.13 ㎎
비타민 B2 0.15 ㎎
비타민 B6 0.5 ㎎
비타민 B12 0.2 ㎍
비타민 C 10 ㎎
비오틴 10 ㎍
니코틴산아미드 1.7 ㎎
엽산 50 ㎍
판토텐산 칼슘 0.5 ㎎
무기질 혼합물 적량
황산제1철 1.75 ㎎
산화아연 0.82 ㎎
탄산마그네슘 25.3 ㎎
제1인산칼륨 15 ㎎
제2인산칼슘 55 ㎎
구연산칼륨 90 ㎎
탄산칼슘 100 ㎎
염화마그네슘 24.8 ㎎
상기의 비타민 및 미네랄 혼합물의 조성비는 비교적 건강식품에 적합한 성분을 바람직한 실시예로 혼합 조성하였지만, 그 배합비를 임의로 변형 실시하여도 무방하며, 통상의 건강식품 제조방법에 따라 상기의 성분을 혼합한 다음, 과립을 제조하고, 통상의 방법에 따라 건강식품 조성물 제조에 사용할 수 있다.
제제예 7. 건강 음료의 제조
실시예 1-1 조성물 1000 ㎎
구연산 1000 ㎎
올리고당 100 g
비타민 C 500 ㎎
카라멜 10 ㎎
정제수를 가하여 전체 900 ㎖
통상의 건강음료 제조방법에 따라 상기의 성분을 혼합한 다음, 약 1시간동안 85℃에서 교반 가열한 후, 만들어진 용액을 여과하여 멸균된 2 ℓ 용기에 취득하여 밀봉 멸균한 뒤 냉장 보관한 다음 본 발명의 건강음료 조성물 제조에 사용한다.
상기 조성비는 비교적 기호음료에 적합한 성분을 바람직한 실시예로 혼합 조성하였지만 수요계층이나, 수요국가, 사용용도 등 지역적, 민족적 기호도에 따라서 그 배합비를 임의로 변형 실시하여도 무방하다.
본 발명에 따른 진세노사이드 Rg5와 진세노사이드Rk1을 함유하는 조성물기억력 증강 및 NMDA로 유발된 신경독으로부터 신경세포 보호효과가 우수하므로 뇌기능, 학습능력 또는 인지기능 개선을 위한 의약품 또는 건강기능식품에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다.

Claims (4)

  1. 하기 화학식 (1)의 진세노사이드 Rg5 및 하기 화학식 (2)의 진세노사이드 Rk1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뇌기능 및 인지기능 개선용 약학 조성물.
    (화학식 1)
    Figure 112006052396128-pat00003
    (화학식 2)
    Figure 112006052396128-pat00004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진세노사이드 Rg5 와 진세노사이드 Rk1 은 1:0.5 내지 0.5:1의 비율로 함유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학 조성물.
  3. 하기 화학식 (1)의 진세노사이드 Rg5와 하기 화학식 (2)의 진세노사이드 Rk1를 함유하는 조성물 및 식품학적으로 허용되는 식품 보조 첨가제를 함유하는 건강기능식품.
    (화학식 1)
    Figure 112004057455273-pat00005
    (화학식 2)
    Figure 112004057455273-pat00006
  4. 제 3항에 있어서, 캡슐제, 환제 또는 액제인 건강기능식품.
KR1020040102091A 2004-12-07 2004-12-07 진세노사이드 Rg5 및 Rk1을 함유하는 뇌기능 및인지기능 개선을 위한 조성물 KR10066508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102091A KR100665087B1 (ko) 2004-12-07 2004-12-07 진세노사이드 Rg5 및 Rk1을 함유하는 뇌기능 및인지기능 개선을 위한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102091A KR100665087B1 (ko) 2004-12-07 2004-12-07 진세노사이드 Rg5 및 Rk1을 함유하는 뇌기능 및인지기능 개선을 위한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63041A KR20060063041A (ko) 2006-06-12
KR100665087B1 true KR100665087B1 (ko) 2007-01-04

Family

ID=371590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102091A KR100665087B1 (ko) 2004-12-07 2004-12-07 진세노사이드 Rg5 및 Rk1을 함유하는 뇌기능 및인지기능 개선을 위한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6508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45254A (ko) 2019-06-21 2020-12-30 제너럴네이처주식회사 인삼을 이용하여 뇌기능 및 인지기능 개선 효과가 우수한 진세노사이드 Rg3, Rg5, Rk1을 풍부하게 함유한 조성물 제조방법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83448B1 (ko) * 1996-05-31 1999-05-01 손경식 진세노사이드 Rg5를 함유하는 항암제 조성물
JP2000191539A (ja) 1998-12-22 2000-07-11 Japan Science & Technology Corp ジンセノサイドRb1からなる脳細胞又は神経細胞保護剤
KR20030088417A (ko) * 2003-11-06 2003-11-19 주식회사 케이티앤지 인삼 모상근을 이용한 기억력 증강 신규조성물진세노-제이케이와 그 제조방법
KR20050034354A (ko) * 2003-10-09 2005-04-14 주식회사 진생사이언스 약효가 증강된 파낙스속 식물의 가공 추출물을 함유하는불안증세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20050117793A (ko) * 2004-06-11 2005-12-15 주식회사 유니젠 집중력 및 기억력 저하의 예방 또는 개선을 위한 인삼조성물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83448B1 (ko) * 1996-05-31 1999-05-01 손경식 진세노사이드 Rg5를 함유하는 항암제 조성물
JP2000191539A (ja) 1998-12-22 2000-07-11 Japan Science & Technology Corp ジンセノサイドRb1からなる脳細胞又は神経細胞保護剤
KR20050034354A (ko) * 2003-10-09 2005-04-14 주식회사 진생사이언스 약효가 증강된 파낙스속 식물의 가공 추출물을 함유하는불안증세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20030088417A (ko) * 2003-11-06 2003-11-19 주식회사 케이티앤지 인삼 모상근을 이용한 기억력 증강 신규조성물진세노-제이케이와 그 제조방법
KR20050117793A (ko) * 2004-06-11 2005-12-15 주식회사 유니젠 집중력 및 기억력 저하의 예방 또는 개선을 위한 인삼조성물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논문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45254A (ko) 2019-06-21 2020-12-30 제너럴네이처주식회사 인삼을 이용하여 뇌기능 및 인지기능 개선 효과가 우수한 진세노사이드 Rg3, Rg5, Rk1을 풍부하게 함유한 조성물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63041A (ko) 2006-06-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294208C2 (ru) Применение экстракта обработанного женьшеня и выделенных из него сапонинов
CA2596178C (en) Method for producing a drug extract that contains hydroxystilbene
WO2007133054A1 (en) A novel process for preparing black ginseng and the composition comprising the same
KR20070040209A (ko) 단삼 분획물을 함유하는 인지기능 장애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101793503B1 (ko) 퇴행성 뇌질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0730302B1 (ko) 결명자 추출물을 함유하는 인지기능 장애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101228920B1 (ko) 황칠나무 잎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장질환 치료 및 예방을 위한 조성물
KR20080008929A (ko) 오록실린 a를 함유하는 인지 기능 장애 관련 질환의 예방및 개선용 건강기능식품
KR101569813B1 (ko) 생약재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뇌질환 또는 신경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0522579B1 (ko) 항스트레스 효과를 갖는 황금 및 오미자 혼합 추출물을함유하는 약학조성물
KR100665087B1 (ko) 진세노사이드 Rg5 및 Rk1을 함유하는 뇌기능 및인지기능 개선을 위한 조성물
KR101623209B1 (ko) 결명자 또는 초결명에서 분리된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인지기능 장애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20090015704A (ko) 현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인지기능 장애 관련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US20190030087A1 (en) Composition Comprising an Extract of Liriopsis Tuber for Protecting Brain Cells and Improving Memory
KR20040064240A (ko) 뇌세포 사멸억제 활성을 갖는 석창포 및 천마를 함유하는생약조성물
KR20090072858A (ko) 진피로부터 분리된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뇌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20130067507A (ko) 인삼 및 비티스속 식물의 조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기억력 증진, 학습능력 향상, 퇴행성 뇌질환의 치료 및 예방용 조성물
KR100555653B1 (ko) 약효가 증강된 파낙스속 식물의 가공 추출물을 함유하는불안증세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101753057B1 (ko) 인지기능장애 또는 퇴행성 뇌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KR100629625B1 (ko) 신경세포손상 보호 활성이 갖는 복분자 추출물을 포함하는뇌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20150043867A (ko) 생약재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뇌질환 또는 신경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1494436B1 (ko) 오가피 열매 유래 신규 화합물
KR20130122435A (ko) 포공영 추출물의 신규 용도
KR20090054228A (ko) 대추 추출물 및 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신경세포 생성촉진용 약학적 조성물
KR100746592B1 (ko) 신경세포 보호활성을 갖는 올레산을 함유하는 퇴행성뇌질환의 예방 및 개선용 건강기능식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227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27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24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17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19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28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30

Year of fee payment: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