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29625B1 - 신경세포손상 보호 활성이 갖는 복분자 추출물을 포함하는뇌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 Google Patents

신경세포손상 보호 활성이 갖는 복분자 추출물을 포함하는뇌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29625B1
KR100629625B1 KR1020040005017A KR20040005017A KR100629625B1 KR 100629625 B1 KR100629625 B1 KR 100629625B1 KR 1020040005017 A KR1020040005017 A KR 1020040005017A KR 20040005017 A KR20040005017 A KR 20040005017A KR 100629625 B1 KR100629625 B1 KR 10062962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tract
disease
bokbunja
composition
strok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050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077393A (ko
Inventor
김선여
류종훈
황은주
김재혁
진기동
이희권
박필재
Original Assignee
전라북도 고창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라북도 고창군 filed Critical 전라북도 고창군
Priority to KR102004000501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29625B1/ko
Publication of KR2005007739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7739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2962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2962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2HEADWEAR
    • A42BHATS; HEAD COVERINGS
    • A42B1/00Hats; Caps; Hoods
    • A42B1/18Coverings for protecting hats, caps or hoods against dust, rain, or sunshine
    • AHUMAN NECESSITIES
    • A42HEADWEAR
    • A42BHATS; HEAD COVERINGS
    • A42B1/00Hats; Caps; Hoods
    • A42B1/206Transformable, convertible or reversible hats
    • AHUMAN NECESSITIES
    • A42HEADWEAR
    • A42BHATS; HEAD COVERINGS
    • A42B1/00Hats; Caps; Hoods
    • A42B1/24Hats; Caps; Hoods with means for attaching articles thereto, e.g. memorandum tablets or mirrors
    • AHUMAN NECESSITIES
    • A42HEADWEAR
    • A42CMANUFACTURING OR TRIMMING HEAD COVERINGS, e.g. HATS
    • A42C1/00Manufacturing hats
    • A42C1/06Manipulation of hat-bri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 Coloring Foods And Improving Nutritive Qualit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뇌허혈에 의해 유도되는 신경세포손상 보호 활성을 갖는 복분자 추출물을 포함하는 뇌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복분자 추출물은 뇌허혈에 의한 신경세포 손상을 저해하는 효과가 탁월할 뿐만 아니라 인체에 무해하여, 신경세포 사멸에 의해 발생되는 뇌질환의 예방 및 치료를 위한 의약품 및 건강기능식품으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뇌질환, 뇌허혈증, 복분자, 신경세포, 의약품, 건강기능식품

Description

신경세포손상 보호 활성이 갖는 복분자 추출물을 포함하는 뇌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Composition comprising the extract of Rubus coreanus having neuronal cell-protecting activity for preventing and treating brain diseases}
도 1은 생체내(in vivo) 뇌허혈모델(MCAo)에서 복분자 잎 추출물(100㎎/㎏)의 신경세포 보호 효과를 나타낸 도이고,
도 2는 뇌허혈 유도된 흰쥐에서 뇌조직의 부종 부피 억제에 대한 복분자 잎 추출물의 효과를 나타낸 도이다.
본 발명은 신경세포손상 보호 활성을 갖는 복분자 추출물을 포함하는 뇌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통계청에서 2003년 10월 발표한 국내의 노령 인구의 비율을 살펴보면, 지난 2000년 65세 이상 인구가 총인구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7.2%에 이르러 고령화 사회에 들어섰으며, 오는 2019년에는 이 비율이 14%를 넘어 고령사회에 진입할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이와 같이 최근 고령화 문제가 사회적인 이슈로 대두됨에 따라 고령인구의 특성이나 주거, 보건, 문화, 여가 등 노인복지 등에 대한 국민의 관심이 높아지고, 이에 대한 통계 수요도 늘어나고 있다. 이러한 변화의 핵심은 노령화 인구의 증가로 인해서 지난 50년 간 사망의 주된 원인이 되었던 급성전염성질병보다는 만성퇴행성 질병이 더욱더 큰 문제로 대두되고 있는 실정이다. 특히 만성퇴행성 질병 중에서 뇌혈관질환에 의한 사망은 단일질환에 의한 사망률 중에서 2위를 기록하고 있는 매우 중요한 질환이다.
뇌혈관질환은 크게 두 가지 형태로 분류될 수 있다. 하나는 뇌출혈 등에서 볼 수 있는 출혈성 뇌질환이고, 다른 하나는 뇌혈관의 폐쇄 등에 의해 나타나는 허혈성 뇌질환이다. 출혈성 뇌질환은 교통사고 등에 의해서 주로 나타나며, 허혈성 뇌질환은 주로 노령의 사람들에서 자주 나타나는 질환이다.
대뇌에 일시적인 뇌허혈이 유발되는 경우, 산소와 포도당의 공급이 차단되고 신경세포에서 ATP 감소 및 부종(edema)이 발생되어, 결국 뇌의 광범위한 손상이 유발된다. 신경세포의 사멸은 뇌허혈이 있은 후 상당한 시간이 경과된 후에 나타나는데, 이를 지연성 신경세포사(delayed neuronal death)라고 한다. 지연성 신경세포사는 몽골리안 저빌(Mongolian gerbil)을 이용한 일과성 전뇌 허혈모델(transient forebrain ischemic model)을 통한 실험에서 살펴보면, 5분간 뇌허혈 유도 4일 후 해마(hippcampus)의 CA1 영역에서 신경세포사가 관찰되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Kirino T, Sano K., Acta. Neuropathol., 62, pp201-208, 1984; Kirino T., Brain Res., 239, pp57-69, 1982).
지금까지 가장 많은 사람들이 받아들이는 뇌허혈에 의한 신경세포사 기전으로는 두 가지가 있는데, 하나는 뇌허혈에 의해서 세포 바깥에 과도한 글루타메이트 (glutamate)가 축적되게 되며, 이러한 글루타메이트가 세포내로 유입되어 결국 과도한 세포내 칼슘의 축적으로 신경세포사가 유발된다는 흥분성 신경세포사 기전 (Kang TC et al., J. Neurocytol., 30, pp945-955, 2001)과 허혈-재관류시에 갑작스러운 산소 공급으로 인해 생체내 라디칼의 증가되어 DNA 및 세포질에 손상을 입어 유발된다는 산화성 신경세포사의 두 가지 기전에 있다(Won MH. et al., Brain Res., 836, pp70-78, 1999; Sun AY, Chen YM., J. Biomed. Sci., 5 , pp401-414, 1998; Flowers F, Zimmerman JJ., New Horiz., 6, pp169-180, 1998).
이러한 기전 연구를 바탕으로 뇌허혈시에 나타나는 신경세포사를 효과적으로 억제하는 물질을 탐색하거나, 물질에 대한 기전을 밝히는 연구가 수행되고 있으나, 아직까지 효과적으로 뇌허혈에 의한 신경세포사를 억제하는 물질은 거의 없는 실정이다.
지금까지 유일하게 뇌허혈 치료제로 FDA(Food and Drug Administration) 공인 시판 중인 조직 플라스미노겐 활성자(tissue plasminogen activator)는 혈전용해제로 뇌허혈을 유발시키는 혈전을 녹여 빠른 산소 및 포도당의 공급을 유도하는 물질이다. 따라서 직접적으로 신경세포를 보호하는 것이 아니기 때문에 빠른 사용이 필요하며, 혈전용해제라는 특성 때문에 과량의 사용이나, 빈번한 사용 시에는 혈관벽이 얇아져 결국 출혈성 뇌혈관질환을 유발하게 된다.
또한, 초기의 칼슘 유입을 효과적으로 억제하기 위한 칼슘채널 억제제 (calcium channel blocker)인 MK-801의 경우 임상 테스트가 실행되었으나, 그 부작용으로 인해 약물을 폐기한 바 있다.
한편 국내의 경우, 뇌졸중 예방 효과가 있는 다수의 천연물질이 건강식품으로 시판되고 있으나 이들 대부분은 과학적인 검증을 거치지 않은 것이 많으며 오히려 건강식품 남용의 원인이 되기도 하여 사회적인 문제가 되고 있다.
따라서, 오랫동안 사용되어 그 안전성이 입증된 천연자원들을 객관적으로 검증하여 뇌질환 치료 및 예방 효과를 갖는 천연물질의 개발이 시급히 요구된다.
본 발명의 복분자(Rubus coreanus MIQ)는 장미과(Rosaceae)에 속하는 복분자 딸기의 미성숙한 과실로서 7월경에 과실이 충분히 커지고 아직 익지 않아 청색일 때 따서 줄기와 잎을 제거하고 사용한다. 복분자에는 카본(Carvone), 당류 및 소량의 비타민 C가 함유되어 있다. 청량(淸凉)·지갈(止渴)·강장약(强壯藥) 등으로 사용되며, 신기허약, 음위, 정력증진, 강장보호, 강정, 당뇨, 조갈 등에 효능이 있으며, 건조품은 정력감퇴, 신경쇠약, 이명 등에 효능이 있고, 생것은 여성의 피부미용, 시력장애 등에 효능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정 보섭 및 신 민교, 향약대사전, 영림사, pp652-653, 1998). 특히 복분자는 당뇨병과 성기능 감퇴에 사용되며 (Moon, G. S., Constituents and Uses of Medicinal Herbs, Ilweolseogak, Seoul, pp310-311, 1991), 탄닌(tannin), 디테르펜(diterpene), 카테킨(catechin) 성분이 분리되어서 보고된 바 있다(Kim S. W. et al., Arch. Pharm. Res., 24, pp412-415, 2001; Tanaka T. et al., Chem. Pharm. Bull., 41, pp1214-1220, 1993).
이에 본 발명자들은 뇌질환 치료 및 예방 효과를 갖는 천연물질을 검색하던 중, 본 발명의 복분자 잎 추출물이 뇌허혈성 신경세포사를 현저히 억제시킬 수 있는 활성을 가짐을 확인함으로써,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본 발명의 목적은 인체에 무해하며 뇌허혈에 의한 신경세포 손상을 방지할 수 있는 복분자 추출물 및 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뇌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복분자 조추출물 또는 비극성용매 가용추출물 및 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신경세포사에 의해 유발되는 뇌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복분자는 미숙열매, 성숙열매, 잎 또는 종자 등을 사용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복분자 잎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조추출물은 물, C1 내지 C4의 저급 알코올의 극성용매 또는 이들의 혼합용매에 가용한 추출물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비극성용매 가용추출물은 에틸아세테이트와 같은 저급 아세테이트, 클로로포름, 헥산, 아세톤, 디클로로메탄, 사염화탄소 등과 같은 비극성 용매, 바람직하게는 에틸아세테이트에 가용한 추출물을 포함한다.
상기 신경세포사에 의해 유발되는 뇌질환으로는 뇌졸중, 중풍, 치매, 파킨슨병, 헌팅턴병, 피크(Pick)병 및 크로이츠펠트-야콥(Creutzfeld- Jakob)병이 포함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복분자 조추출물 및 비극성용매 가용추출물은 건조된 각각의 복분자 완숙열매, 미숙열매, 잎 및 종자 중량의 약 1 내지 20배, 바람직하게는 약 5 내지 10배 부피의 물, 저급 알코올 또는 이들의 약 1:0.1 내지 1:10, 바람직하게는 1:0.2 내지 1:3의 혼합비를 갖는 혼합용매로 10 내지 100℃,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60℃의 추출온도에서 약 0.5 시간 내지 1일, 바람직하게는 약 0.5시간 내지 12시간 동안 초음파 추출, 환류 추출 등의 추출방법을 1회 내지 5회, 바람직하게는 2회 내지 5회 반복하여 물, 저급 알코올 또는 이들의 혼합 용매에 따른 가용추출물인 조추출물을 수득할 수 있다.
상기 조추출물을 물 또는 메탄올 등과 같은 극성 용매에 현탁한 후, 이를 현탁액의 약 1 내지 100배, 바람직하게는 약 1 내지 50배 부피의 헥산, 에틸아세테이트, 클로로포름 등의 비극성 용매를 가하여 극성 용매 가용층에 비극성용매 가용층을 1회 내지 10회, 바람직하게는 2회 내지 5회 분획하여 비극성용매 가용부 및 극성용매 가용부을 수득할 수 있으며, 이 비극성용매 가용층을 플래쉬 컬럼 실리카겔 크로마토그래피, 액체크로마토그래피(LC) 및 박층 컬럼 크로마토그래피(TLC)를 이용하여, 바람직하게는 플래쉬 컬럼 실리카겔 크로마토그래피를 이용하여 1 내지 15개의 분획으로 분리할 수 있으며, 이를 다시 기체크로마토그래피(Gas Chromatogra phy) 및 질량분석을 통하여 활성을 나타내는 지표물질을 분석할 수 있다.
부가적으로, 본 발명의 비극성용매 가용 추출물은 상기 물 가용 추출물, 저급 알코올 가용 추출물 및 이들의 혼합용매에 의한 가용 추출물을 물에 현탁한 후, 이를 현탁액의 약 1 내지 10배, 바람직하게는 약 1 내지 5배 부피의 에틸아세테이트와 같은 저급 아세테이트, 클로로포름, 아세톤, 디클로로메탄, 사염화탄소 등과 같은 비극성용매를 가하여 1회 내지 5회, 바람직하게는 2회 내지 4회 분획하여 수득할 수 있다. 또한, 추가로 통상의 분획 공정을 수행할 수도 있다(Harborne J.B.; Phytochemical methods: A guide to modern techniques of plant analysis, 3rd Ed., pp6-7, 1998).
본 발명은 상기의 제조공정으로 얻어진 복분자 조추출물 또는 비극성용매 가용 추출물을 포함하는 신경세포사에 의해 유발되는 뇌질환의 예방 및 치료를 위한 약학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상기와 같이 얻어진 복분자 잎 추출물은 생체내 뇌허혈 동물모델에서 신경세포 손상에 의한 부종 부피를 유의적으로 줄임으로써, 뇌허혈에 따른 신경세포사를 억제시킴을 확인할 수 있다.
상기 복분자는 오랫동안 생약 및 식용으로 사용되어 오던 약재로서 이들로부터 추출된 본 발명의 추출물들 역시 독성 및 부작용 등의 문제가 없다.
본 발명의 뇌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약학조성물은,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상기 추출물을 0.1 내지 50 중량%로 포함한다.
본 발명의 추출물을 포함하는 약학조성물은 약학적 조성물의 제조에 통상적 으로 사용하는 적절한 담체, 부형제 및 희석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추출물의 약학적 투여 형태는 이들의 약학적 허용가능한 염의 형태로도 사용될 수 있고, 또한 단독으로 또는 타 약학적 활성 화합물과 결합뿐만 아니라 적당한 집합으로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추출물을 포함하는 약학조성물은, 각각 통상의 방법에 따라 산제, 과립제, 정제, 캡슐제, 현탁액, 에멀젼, 시럽, 에어로졸 등의 경구형 제형, 외용제, 좌제 및 멸균 주사용액의 형태로 제형화하여 사용될 수 있다. 추출물을 포함하는 조성물에 포함될 수 있는 담체, 부형제 및 희석제로는 락토즈, 덱스트로즈, 수크로스, 솔비톨, 만니톨, 자일리톨, 에리스리톨, 말티톨, 전분, 아카시아 고무, 알지네이트, 젤라틴, 칼슘 포스페이트, 칼슘 실리케이트, 셀룰로즈, 메틸 셀룰로즈, 미정질 셀룰로스, 폴리비닐 피롤리돈, 물, 메틸히드록시벤조에이트, 프로필히드록시벤조에이트, 탈크,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및 광물유를 들 수 있다. 제제화할 경우에는 보통 사용하는 충진제, 증량제, 결합제, 습윤제, 붕해제, 계면활성제 등의 희석제 또는 부형제를 사용하여 조제된다. 경구투여를 위한 고형제제에는 정제, 환제, 산제, 과립제, 캡슐제 등이 포함되며, 이러한 고형제제는 상기 추출물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부형제 예를 들면, 전분, 칼슘카보네이트(calcium carbonate), 수크로스(sucrose) 또는 락토오스(lactose), 젤라틴 등을 섞어 조제된다. 또한 단순한 부형제 이외에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탈크 같은 윤활제들도 사용된다. 경구를 위한 액상 제제로는 현탁제, 내용액제, 유제, 시럽제 등이 해당되는데 흔히 사용되는 단순희석제인 물, 리퀴드 파라핀 이외에 여러 가지 부형제, 예를 들면 습윤 제, 감미제, 방향제, 보존제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비경구 투여를 위한 제제에는 멸균된 수용액, 비수성용제, 현탁제, 유제, 동결건조 제제, 좌제가 포함된다. 비수성용제, 현탁제로는 프로필렌글리콜(propylene glycol), 폴리에틸렌 글리콜, 올리브 오일과 같은 식물성 기름, 에틸올레이트와 같은 주사 가능한 에스테르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좌제의 기제로는 위텝솔(witepsol), 마크로골(macrogol), 트윈 (tween) 61, 카카오지, 라우린지, 글리세로제라틴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추출물의 바람직한 투여량은 환자의 상태 및 체중, 질병의 정도, 약물형태, 투여경로 및 기간에 따라 다르지만, 당업자에 의해 적절하게 선택될 수 있다. 그러나, 바람직한 효과를 위해서, 본 발명의 추출물은 1일 0.0001 내지 100mg/kg으로, 바람직하게는 0.001 내지 100mg/kg으로 투여하는 것이 좋다. 투여는 하루에 한번 투여할 수도 있고, 수회 나누어 투여할 수도 있다. 상기 투여량은 어떠한 면으로든 본 발명의 범위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추출물은 쥐, 생쥐, 가축, 인간 등의 포유동물에 다양한 경로로 투여될 수 있다. 투여의 모든 방식은 예상될 수 있는데, 예를 들면, 경구, 직장 또는 정맥, 근육, 피하, 자궁내 경막 또는 뇌혈관내 (intracerebroventricular) 주사에 의해 투여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뇌질환의 예방 효과를 나타내는 상기 추출물 및 식품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식품보조 첨가제를 포함하는 건강기능식품을 제공한다. 복분자 추출물을 첨가할 수 있는 식품으로는, 예를 들어, 각종 식품류, 음료, 껌, 차, 비타민 복합제, 건강 기능성 식품류 등이 있다.
또한, 뇌질환의 예방 효과를 목적으로 식품 또는 음료에 첨가될 수 있다. 이 때, 식품 또는 음료 중의 상기 추출물의 양은 전체 식품 중량의 0.01 내지 15 중량%로 가할 수 있으며, 건강 음료 조성물은 100㎖를 기준으로 0.02 내지 5 g, 바람직하게는 0.3 내지 1g의 비율로 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건강 기능성 음료 조성물은 지시된 비율로 필수 성분으로서 상기 추출물을 함유하는 외에는 다른 성분에는 특별한 제한이 없으며 통상의 음료와 같이 여러 가지 향미제 또는 천연 탄수화물 등을 추가 성분으로서 함유할 수 있다. 상술한 천연 탄수화물의 예는 모노사카라이드, 예를 들어, 포도당, 과당 등; 디사카라이드, 예를 들어 말토스, 슈크로스 등; 및 폴리사카라이드, 예를 들어 덱스트린, 시클로덱스트린 등과 같은 통상적인 당, 및 자일리톨, 소르비톨, 에리트리톨 등의 당알콜이다. 상술한 것 이외의 향미제로서 천연 향미제(타우마틴, 스테비아 추출물(예를 들어 레바우디오시드 A, 글리시르히진등) 및 합성 향미제(사카린, 아스파르탐 등)를 유리하게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천연 탄수화물의 비율은 본 발명의 조성물 100㎖당 일반적으로 약 1 내지 20g, 바람직하게는 약 5 내지 12g이다.
상기 외에 본 발명의 추출물은 여러 가지 영양제, 비타민, 광물(전해질), 합성 풍미제 및 천연 풍미제 등의 풍미제, 착색제 및 중진제(치즈, 초콜릿 등), 펙트산 및 그의 염, 알긴산 및 그의 염, 유기산, 보호성 콜로이드 증점제, pH 조절제, 안정화제, 방부제, 글리세린, 알콜, 탄산 음료에 사용되는 탄산화제 등을 함유할 수 있다. 그밖에 본 발명의 추출물은 천연 과일 쥬스 및 과일 쥬스 음료 및 야채 음료의 제조를 위한 과육을 함유할 수 있다. 이러한 성분은 독립적으로 또는 조합 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첨가제의 비율은 그렇게 중요하진 않지만 본 발명의 추출물 100 중량부 당 0 내지 약 20 중량부의 범위에서 선택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하, 본 발명을 하기의 실시예 및 실험예에 의해 상세히 설명한다.
단, 하기 실시예 및 실험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일 뿐, 본 발명의 내용이 하기 실시예 및 실험예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복분자 조추출물의 제조
한국(고창)에서 재배한 복분자를 고창군복분자연구소 시험장에서 구입하여 사용하였다. 건조된 각각의 복분자 완숙열매, 미숙열매, 잎 및 종자 300g을 정선하여 세절한 후, 85% 메탄올 수용액 2ℓ를 가하여 15℃에서, 1시간 동안 2회 초음파 추출한 후, 이를 합하여 여과지(Whatman사, 미국)로 여과한 다음에 이를 감압농축기(EYELA사, N-1000, 일본)로 감압농축한 후 건조하여 복분자 완숙열매(수득량 35g), 미숙열매(수득량 45g), 잎(수득량 24g ) 및 종자(수득량 15g) 각각의 조추출물을 수득하였다.
실시예 2. 복분자 잎 극성 용매 및 비극성용매 가용추출물의 제조
상기 실시예 1에서 얻은 복분자 잎 조추출물 24g을 물 500㎖에 현탁한 후, 에틸아세테이트를 동량 가하여, 분액깔대기에 넣고 에틸아세테이트 불용성층(하층)과 에틸아세테이트 가용성층(상층)으로 분획하여 에틸아세테이트 가용부를 수집하였다. 하층(물층)과 동일한 부피의 에틸아세테이트 용매를 상기의 방법과 동일한 방법으로 3회 반복하여 용액의 색이 옅어질 때까지 최대한 에틸아세테이트층에 용해가 가능한 물질을 얻어내어 분획 및 건조하여, 복분자 잎 에틸아세테이트 가용추출물(8.8g) 및 복분자 잎 물 가용추출물(21.2g)을 수득하였다.
실시예 3. 지표물질의 분석
상기 실시예 2에서 얻은 복분자 잎 에틸아세테이트 가용추출물 8.8g을 용출액(헥산:에틸아세테이트=100:1 →1:1)을 이용하여 플래쉬 컬럼 실리카겔 크로마토그래피(flash column silica gel chromatography, Biotage 사, Autflash 70)로 분리하여, 15개의 분획물을 수득하였다. 상기 15개 분획물 중, 산화질소 생성 억제 활성을 보인 3개의 소분획물에 대해 기체 크로마토그래피(Gas Chromatography, Japan JEOL사, LTD, JMS_AX505WA) 및 질량분석(Japan JEOL사, LTD, JMS_AX505WA)을 수행하여 이들 분획물에 존재하는 지표물질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이들 분획물에서 활성을 나타내는 화합물은 카엠프페롤 (Kaempferol)의 비당체(Aglycone) 및 그 유도체로 동정되었으며,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ppm 에쿠올 (equol) 엔테로디올 (enterodiol) 엔테로락톤 (enterolactone) 카테킨 (catechin) 제니스테인 (genistein) 카엠프페릴 (kaempferil) 아피에닌 (apienin) 쿠에르시트린 (quercitrin)
복분자 미숙 열매 0.14 nd nd 2343.36 6.56 4.82 2.59 nd
복분자 완숙 열매 nd nd nd 4.54 4.02 0.80 0.65 59.40
복분자 잎 nd nd nd 4.86 nd 121.18 nd nd
복분자 종자 0.13 0.04 0.08 nd 3.61 1.08 0.70 nd
nd: 검출 안됨
실험예 1. 뇌허혈 유도에 의한 세포 손상 억제 효과 측정
복분자 추출물의 국소뇌허혈모델에서의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루미날사이의 봉합기술(intraluminal suture method)(Quartremain, D. et al, Cerebrovascular Disease, 16(4), pp346-355, 2003)을 이용하여 뇌허혈 유도에 의한 신경세포 손상 억제 효과를 측정하였다.
국소뇌허혈모델을 유발 후, 0분과 2시간 후, 즉 재관류 후에 실험군으로 상기 실시예 1에서 얻은 복분자 잎 추출물 100㎎/㎏ 및 실험 대조군으로 20% 트윈을 동시에 투여하였다. 위아라(Wiarar) 흰쥐를 뇌허혈유발 후, 경추탈골하여 뇌를 적출하고 뇌 절개 가이드(brain dissection guide, Bri. J. Neurosurg, 10(2), pp155-160, 1996)에 따라 봉합의 접합점(bregma)을 기준으로 +5㎜부위로부터 2㎜의 두께로 자른 다음, 양쪽부분은 버리고 얻어진 뇌절편을 TTC로 염색하여 뇌손상 부위의 부피를 측정하였다.
실험결과, 복분자 잎 추출물을 100㎎/㎏의 농도로 투여한 경우에 40%이상 세포 손상 부위를 감소시킴으로써 뇌허혈에 따른 신경세포사를 억제시킴을 확인할 수 있었다(도 1 및 2 참조).
실험예 2. 독성 실험
2-1. 경구투여
ICR계 마우스와 스프라그 도울리(Sprague Dawley)를 각각 10마리씩 4군으로 나누어 본 발명의 복분자 추출물을 각각 500, 725, 1000 및 5000㎎/㎏의 용량으로 경구투여한 후 2주간 독성여부를 관찰한 결과, 4군 모두에서 사망한 예가 한 마리도 없었고 외견상 대조군과 별다른 증상을 찾아볼 수 없었다.
2-2. 복강투여
ICR계 마우스(몸무게 25±5g)와 스프라그 도울리를 각각 10마리씩 4군으로 나누어 본 발명의 복분자 추출물을 각각 25, 250, 500 및 725㎎/㎏의 용량으로 복강투여한 후 24시간 동안 독성여부를 관찰한 결과, 4군 모두에서 사망한 예가 한 마리도 없었고 외견상 대조군과 별다른 증상을 찾아볼 수 없었다.
실험 결과, 본 발명의 복분자 추출물은 급성독성이 거의 없으며, 안전하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발명의 복분자 추출물은 아래와 같은 제형으로 투여할 수 있으며, 아래의 제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일 뿐, 이에 의해 본 발명의 내용이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제제예 1. 산제의 제조
실시예 1의 추출물 100mg
옥수수전분 100mg
유 당 100mg
탈 크 10mg
상기의 성분들을 혼합하고 기밀 포에 충진하여 산제를 제조한다.
제제예 2. 정제의 제조
실시예 2의 추출물 100mg
옥수수전분 100mg
유 당 100mg
스테아린산 마그네슘 2mg
상기의 성분들을 혼합한 후, 통상의 정제의 제조방법에 따라서 타정하여 정제를 제조한다.
제제예 3. 캡슐제의 제조
실시예 1의 추출물 100mg
유 당 50mg
스테아린산 마그네슘 1mg
상기의 성분들을 혼합한 후 통상의 캡슐제의 제조방법에 따라서 타정하여 젤라틴 캡슐제에 충진하여 제조한다.
제제예 4. 액제의 제조
실시예 2의 추출물 100mg
이성화당 10g
서 당 10g
레몬향 적량
정제수 적량
통상의 액제의 제조방법에 따라서 정제수에 각각의 성분을 가하고 용해시키고 레몬향을 적량 가한 다음 정제수를 가하여 전체를 100㎖로 조절한 후 갈색병에 충진하여 멸균시켜서 액제를 제조한다.
제제예 5. 건강 식품의 제조
실시예 1의 추출물 1000 ㎎
비타민 혼합물 적량
비타민 A 아세테이트 70 ㎍
비타민 E 1.0 ㎎
비타민 B1 0.13 ㎎
비타민 B2 0.15 ㎎
비타민 B6 0.5 ㎎
비타민 B12 0.2 ㎍
비타민 C 10 ㎎
비오틴 10 ㎍
니코틴산아미드 1.7 ㎎
엽산 50 ㎍
판토텐산 칼슘 0.5 ㎎
무기질 혼합물 적량
황산제1철 1.75 ㎎
산화아연 0.82 ㎎
탄산마그네슘 25.3 ㎎
제1인산칼륨 15 ㎎
제2인산칼슘 55 ㎎
구연산칼륨 90 ㎎
탄산칼슘 100 ㎎
염화마그네슘 24.8 ㎎
상기의 비타민 및 미네랄 혼합물의 조성비는 비교적 건강식품에 적합한 성분을 바람직한 실시예로 혼합 조성하였지만, 그 배합비를 임의로 변형 실시하여도 무방하며, 통상의 건강식품 제조방법에 따라 상기의 성분을 혼합한 다음, 과립을 제조하고, 통상의 방법에 따라 건강식품 조성물 제조에 사용할 수 있다.
제제예 6. 건강 음료의 제조
실시예 2의 추출물 1000 ㎎
강활 추출물 1000 ㎎
구연산 1000 ㎎
올리고당 100 g
매실농축액 2 g
타우린 1 g
정제수를 가하여 전체 900 ㎖
통상의 건강음료 제조방법에 따라 상기의 성분을 혼합한 다음, 약 1시간동안 85℃에서 교반 가열한 후, 만들어진 용액을 여과하여 멸균된 2ℓ 용기에 취득하여 밀봉 멸균한 뒤 냉장 보관한 다음 본 발명의 건강음료 조성물 제조에 사용한다.
상기 조성비는 비교적 기호음료에 적합한 성분을 바람직한 실시예로 혼합 조성하였지만, 수요계층, 수요국가, 사용 용도 등 지역적, 민족적 기호도에 따라서 그 배합비를 임의로 변형 실시하여도 무방하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의 복분자 추출물은 뇌허혈시 발생되는 신경세포사를 저해하는 효과가 탁월할 뿐만 아니라 인체에 무해하여, 신경세포의 사멸에 의해 발생되는 뇌질환을 예방 및 치료를 위한 의약품 및 건강기능식품에 효과적으로 이용될 수 있다.

Claims (8)

  1. 복분자(Rubus coreanus MIQ)잎의 조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뇌졸중, 중풍, 치매, 파킨슨병, 헌팅턴병, 피크(Pick)병 또는 크로이츠펠트-야콥(Creutzfeld-Jakob)병의 예방 및 치료를 위한 약학조성물.
  2. 제 1항에 있어서, 조추출물은 물, C1 내지 C4의 저급 알코올의 극성용매 또는 이들의 혼합용매로 추출한 약학조성물.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뇌졸중, 중풍, 치매, 파킨슨병, 헌팅턴병, 피크(Pick)병 또는 크로이츠펠트-야콥(Creutzfeld-Jakob)병의 예방 효과를 나타내는 복분자잎 조추출물 및 식품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식품보조 첨가제를 포함하는 뇌졸중, 중풍, 치매, 파킨슨병, 헌팅턴병, 피크(Pick)병 또는 크로이츠펠트-야콥(Creutzfeld-Jakob)병의 예방 및 개선용 건강기능식품.
  8. 제 7항에 있어서, 건강음료인 건강기능식품.
KR1020040005017A 2004-01-27 2004-01-27 신경세포손상 보호 활성이 갖는 복분자 추출물을 포함하는뇌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10062962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05017A KR100629625B1 (ko) 2004-01-27 2004-01-27 신경세포손상 보호 활성이 갖는 복분자 추출물을 포함하는뇌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05017A KR100629625B1 (ko) 2004-01-27 2004-01-27 신경세포손상 보호 활성이 갖는 복분자 추출물을 포함하는뇌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77393A KR20050077393A (ko) 2005-08-02
KR100629625B1 true KR100629625B1 (ko) 2006-09-29

Family

ID=372648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05017A KR100629625B1 (ko) 2004-01-27 2004-01-27 신경세포손상 보호 활성이 갖는 복분자 추출물을 포함하는뇌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2962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80333B1 (ko) * 2006-05-08 2007-11-28 김성진 복분자 추출물을 포함하는 불안 및 우울증의 예방 및 치료용 약학조성물
KR101011274B1 (ko) * 2008-01-28 2011-01-27 (주)네추럴에프앤피 복분자 추출물 및 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신경세포생성 촉진용 약학적 조성물
KR101024399B1 (ko) * 2008-12-23 2011-03-22 (주)제이크린베리너리 복분자 열매 추출물을 유효 성분으로 포함하는 히스톤 아세틸트랜스퍼라아제 저해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77393A (ko) 2005-08-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08528481A (ja) 脳卒中及び神経変性疾患の予防及び治療ための神経保護活性を有する複合生薬材抽出物を含む組成物
KR101187032B1 (ko) 벌개미취의 추출물, 분획물 또는 이로부터 분리한 짐나스테르코리아인 b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간 보호 또는 개선용 조성물
KR20090081287A (ko) 비만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0730302B1 (ko) 결명자 추출물을 함유하는 인지기능 장애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100874187B1 (ko) 뇌졸중 및 퇴행성 신경질환 예방 및 치료 효과를 갖는복합생약재 추출물을 포함하는 조성물
KR100629625B1 (ko) 신경세포손상 보호 활성이 갖는 복분자 추출물을 포함하는뇌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100756890B1 (ko) 신경세포 보호활성을 갖는 올레산을 함유하는 조성물
KR100592488B1 (ko) 신경세포 보호활성이 있는 복합생약재 추출물을 포함하는 퇴행성 뇌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100806035B1 (ko) 신경안정 및 항불안 효능을 갖는 산국화 추출물 및 이를함유하는 조성물
KR100542587B1 (ko) 생강 추출물 또는 이로부터 분리된 화합물을 포함하는 암질환 예방 및 치료를 위한 조성물
KR100629624B1 (ko) 항염증 활성을 갖는 복분자 잎 추출물을 포함하는 조성물
KR100644773B1 (ko) 신경세포보호 활성이 있는 밀몽화의 추출물을 포함하는퇴행성 뇌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101149190B1 (ko) 베타아밀로이드 독성을 저해하는 그령 추출물 및 이를 함유하는 약제학적 조성물
KR20090072858A (ko) 진피로부터 분리된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뇌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100886948B1 (ko) 신경세포 보호활성을 갖는 노다케닌을 함유하는 조성물
KR100638344B1 (ko) 생약추출물이 함유된 vdt 증후군의 안증상 개선을 위한 조성물
KR20110039762A (ko) 결명자 또는 초결명에서 분리된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인지기능 장애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20050047208A (ko) 생강 추출물로부터 분리된 화합물을 포함하는 암 질환예방 및 치료를 위한 조성물
KR101772486B1 (ko) 중머리풀 추출물을 포함하는 신경세포 보호용 조성물
KR100637263B1 (ko) 정공피 추출물을 포함하는 뇌혈관계 질환의 예방 및치료를 위한 약학조성물
KR20060023884A (ko) 항산화활성을 갖는 백작약 추출물을 함유하는 조성물
KR101144204B1 (ko) 스티그마스트?4?엔?3,6?디온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신경계 질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WO2015108332A1 (ko) 심혈관계 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100746592B1 (ko) 신경세포 보호활성을 갖는 올레산을 함유하는 퇴행성뇌질환의 예방 및 개선용 건강기능식품
KR100885073B1 (ko) 호장근 추출물을 함유하는 신경 보호용 약학적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925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24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