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44773B1 - 신경세포보호 활성이 있는 밀몽화의 추출물을 포함하는퇴행성 뇌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 Google Patents

신경세포보호 활성이 있는 밀몽화의 추출물을 포함하는퇴행성 뇌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44773B1
KR100644773B1 KR1020040067771A KR20040067771A KR100644773B1 KR 100644773 B1 KR100644773 B1 KR 100644773B1 KR 1020040067771 A KR1020040067771 A KR 1020040067771A KR 20040067771 A KR20040067771 A KR 20040067771A KR 100644773 B1 KR100644773 B1 KR 10064477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tract
disease
wheat
degenerative brain
cru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6777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019222A (ko
Inventor
김호철
하니나
공민정
이하영
Original Assignee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04006777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44773B1/ko
Publication of KR2006001922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1922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4477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4477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56Loganiaceae (Logania family), e.g. trumpetflower or pinkroot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22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having an effect on the health of the nervous system or on mental func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236/00Isolation or extraction methods of 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
    • A61K2236/30Extraction of the material
    • A61K2236/33Extraction of the material involving extraction with hydrophilic solvents, e.g. lower alcohols, esters or ketones
    • A61K2236/331Extraction of the material involving extraction with hydrophilic solvents, e.g. lower alcohols, esters or ketones using water, e.g. cold water, infusion, tea, steam distillation, decoc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236/00Isolation or extraction methods of 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
    • A61K2236/30Extraction of the material
    • A61K2236/33Extraction of the material involving extraction with hydrophilic solvents, e.g. lower alcohols, esters or ketones
    • A61K2236/333Extraction of the material involving extraction with hydrophilic solvents, e.g. lower alcohols, esters or ketones using mixed solvents, e.g. 70% EtOH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Biotechnology (AREA)
  • Botan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Microbiology (AREA)
  • Mycolog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Epidem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신경세포 보호활성이 있는 밀몽화(Buddleja officinalis)의 추출물을 함유하는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의 조성물은 허혈성 신경계질환을 차단시키는 작용효과가 탁월할 뿐만 아니라 인체에 무해하여, 신경세포의 사멸에 의해 발생되는 퇴행성 뇌질환 즉, 뇌졸중, 중풍, 치매, 알츠하이머병, 파킨슨병, 헌팅턴병, 피크(Pick)병 및 크로이츠펠트-야콥(Creutzfeld-Jakob)병 등을 예방 및 치료하기 위한 의약품 및 건강기능식품으로 사용할 수 있다.
신경세포 보호, 밀몽화, 추출물, 뇌허혈, 퇴행성 뇌질환, 의약품, 건강기능식품.

Description

신경세포보호 활성이 있는 밀몽화의 추출물을 포함하는 퇴행성 뇌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Composition comprising the extract of Buddleja officinalis having neuronal cell-pretecting activity for preventing and treating degenerative brain disease}
도 1 은 OGD(Oyxgen Glucose Deprivation)로 유도한 PC12 세포손상억제 여부를 검색한 결과로서, OGD로 유도한 PC12 세포손상에 본 발명의 밀몽화 조추출물을 투여한 결과를 대조군과 비교한 도이며,
도 2 는 OGD로 유도한 PC12 세포손상에 본 발명의 밀몽화 헥산 가용 추출물을 투여한 결과를 대조군과 비교한 도이며,
도 3 은 4-혈관폐색(4-Vessel Occlusion) 방법을 이용한 흰쥐의 전뇌허혈모델에서 본 발명의 밀몽화 조추출물의 방어 효과를 나타낸 도로서, 정상적인 추체 신경세포조직(A,B), 4-VO에 의한 전뇌허혈을 유발후 생리식염수를 투여한 대조군의 추체 신경세포조직(C,D) 과 4-VO에 의한 전뇌허혈을 유발후 본 발명의 밀몽화 조추출물을 투여한 추체 신경세포조직(E,F)을 디지털 카메라로 촬영한 도이며,
또한 도 4 는 4-VO에 의한 전뇌허혈을 유발한 후 본 발명의 밀몽화 조추출 물을 투여한 결과를 대조군과 비교한 도이며,
도 5 는 밀몽화 조추출물의 투여후 체온의 변화에 대한 도이며,
도 6 은 중대뇌동맥 폐쇄법(MCAo 방법)을 이용한 흰주의 국소뇌허혈 모델에서 본 발명의 밀몽화 헥산 가용 추출물의 방어효과를 나타낸 도로서, 대조군과 비교한 도이며,
도 7 은 본 발명의 밀몽화 헥산 가용 추출물의 감각운동기능 실조 보호 효과에 대한 도로서, 재관류 22시간 후의 감각 운동 기능 테스트 결과를 대조군과 비교한 도이다.
본 발명은 신경세포 보호활성이 있는 밀몽화 추출물을 함유하는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조성물은 신경세포의 사멸에 의해 발생되는 퇴행성 뇌질환 등을 예방 및 치료하기 위한 의약품 및 건강기능 식품에 관한 것이다.
통계청에서 2003년 10월 발표한 우리나라 노령 인구의 비율을 살펴보면, 우리나라는 지난 2000년 65세 이상 인구가 총인구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7.2 %에 이르러 고령화 사회에 들어섰으며, 오는 2019년에는 이 비율이 14 %를 넘어 고령사회에 진입할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이와 같이 최근 고령화 문제가 사회적인 이슈로 대두됨에 따라 고령인구의 특성이나 주거, 보건, 문화, 여가 등 노인복지 등에 대한 국민의 관심이 높아지고, 이에 대한 통계 수요도 늘어나고 있다. 이러한 변화의 핵심은 노령화 인구의 증가로 인해서 지난 50여년 간 사망의 주된 원인이 되었던 급성전염성질병보다는 만성퇴행성 질병이 더욱더 큰 문제로 대두되고 있다는 점이다. 특히 만성퇴행성 질병 중에서 뇌혈관질환에 의한 사망은 단일질환에 의한 사망률 중에서 2위를 기록하고 있는 매우 중요한 질환이다.
뇌혈관질환은 크게 2가지 형태로 분류될 수 있다. 하나는 뇌출혈 등에서 볼 수 있는 출혈성 뇌질환이고, 다른 하나는 뇌혈관의 폐쇄 등에 의해 나타나는 허혈성 뇌질환이다. 출혈성 뇌질환은 교통사고 등에 의해서 주로 나타나며, 허혈성 뇌질환은 주로 노령의 사람들에서 자주 나타나는 질환이다.
대뇌에 일시적인 뇌허혈이 유발되는 경우, 산소와 포도당의 공급이 차단되어 신경세포에서는 ATP 감소, 부종(edema)이 발생되며, 결국 뇌의 광범위한 손상이 유발된다. 신경세포의 사멸은 뇌허혈이 있은 후 상당한 시간 경과 후에 나타나는데, 이를 지연성 신경세포사(delayed neuronal death)라고 한다. 지연성 신경세포사는 몽골리안 저빌(Mongolian gerbil)을 이용한 일과성 전뇌 허혈모델(transient forebrain ischemic model)을 통한 실험에서 살펴보면, 5분간 뇌허혈 유도 4일 후 해마(hippcampus)의 CA1 영역에서 신경세포사가 관찰되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Kirino T, Sano K. Acta Neuropathol., 62, pp201-208, 1984; Kirino T. Brain Res., 239, pp57-69, 1982).
지금까지 가장 많은 사람들이 받아들이는 뇌허혈에 의한 신경세포사 기전으로는 2가지가 있다. 하나는 뇌허혈에 의해서 세포 바깥에 과도한 글루타메이트 (glutamate)가 축적되게 되며, 이러한 글루타메이트가 세포내로 유입되어 결국 과도한 세포내 칼슘의 축적으로 신경세포사가 유발된다는 흥분성 신경세포사 기전(Kang TC, et al., J. Neurocytol., 30, pp945-955, 2001)과 허혈-재관류시에 갑작스러운 산소 공급으로 인해 생체내 라디칼의 증가로 인해 DNA 및 세포질에 손상을 입어 유발된다는 산화성 신경세포사, 2가지 기전에 있다(Won MH, et al., Brain Res., 836, pp70-78, 1999; Sun AY, Chen YM. J. Biomed. Sci., 5 , pp401-414, 1998; Flowers F, Zimmerman JJ. New Horiz. 6, pp169-180, 1998).
이러한 기전적인 연구를 바탕으로 해서 뇌허혈시에 나타나는 신경세포사를 효과적으로 억제하는 물질을 탐색하거나, 물질에 대한 기전을 밝히는 연구가 많이 수행되고 있다. 그러나 아직까지 효과적으로 뇌허혈에 의한 신경세포사를 억제하는 물질은 거의 없는 실정이다.
지금까지 유일하게 뇌허혈 치료제로 FDA 공인 시판 중인 조직플라즈미겐활성자(tissue plasminogen activator)는 혈전용해제로 뇌허혈을 유발시키는 혈전을 녹여 빠른 산소 및 포도당의 공급을 유도하는 물질이다. 따라서 직접적으로 신경세포를 보호하는 것이 아니기 때문에 빠른 사용이 필요하며, 혈전용해제라는 특징 때문에 과량의 사용이나, 자주 사용시에는 혈관벽이 얇아져 결국 출혈성 뇌혈관질환을 유발하게 된다.
또한 초기의 칼슘 유입을 효과적으로 억제하기 위한 칼슘채널 억제제(calcium channel blocker)인 MK-801의 경우 임상적 테스트가 실행이 되었으나 그 부작용으로 인해 약물을 폐기한 바 있다.
한편 국내의 경우, 다수의 천연물질이 뇌졸중 예방에 효과가 있는 건강식품으로 시판되고 있으나 이들 대부분은 과학적인 검증을 거치지 않은 것이 많으며 오히려 건강식품 남용의 원인이 되기도 하여 사회적인 문제가 되고 있다.
따라서, 오랫동안 사용되어 그 안전성이 입증된 천연자원들을 객관적으로 검증하여 뇌질환 치료 및 예방효과를 갖는 천연물질을 개발하고자 하는 노력이 시급히 요구된다.
밀몽화(Buddleia officinalis)는 마전과(Loganiaceae)에 속한 낙엽관목으로 주로 건조한 꽃 또는 꽃봉오리를 약용으로 사용하며, 거풍(祛風), 량혈(凉血), 윤간(潤肝) 명목(明目)의 효능이 있다. 목적종통다노수명(目赤腫痛多淚羞明),청맹예장,풍현란안(風弦爛眼)을 치료하는데 사용되고 있다(정 보섭 및 신 민교, 향약대사전, 영림사, pp970-971, 1998).
성분으로는 플라보노이드(flavonoid)로 리나린(linarin) 또는 아카신(acaciin), 아카세틴(acacetin), 아피게닌 루테오린(apigenin luteolin), 뉴부도프사이드(neobudoffocide), 루테오린-7-O-루티노시드(luteolin-7-O-rutinoside), 루테오린-7-O-글루코시드(luteolin-7-O-glucoside), 코스모신 엔-페닐에타노이드 글루코시드-살리드로시드(cosmosiin n-phenylethanoid glucosides - salidroside), 베바스코시드(verbascoside), 이소베바스코시드(isoverbascoside), 에치나코시드(echinacoside, Li J. et al. U. Phenylthanoid glucosides from flos Buddlejae Zhongguo Zhong Yao Za Zhi 1997 Oct;22(10):pp613-5,1997 ) 등과 이외에도 페닐-메타옥신나모일 아쿠빈(p-methoxycinnamoyl acubin), 페닐-페타옥신나모일-카타폴 (p-methoxycinnamoyl-catalpol), 카타폴(catalpol), 아쿠빈(aucubin), 카탈포시드(catalposide)등이 보고되었고, 약리작용으로는 간독성억제작용 (Acevedo L. et al. New phenylethanoids from Buddleja cordata. Planta Med., 66(3), pp257-261, 2000) 및 밀몽화의 성분 중 루테올린(luteolin)의 항백내장작용과, 항산화작용, 항진균작용 (Matsuda h., Cai H., Kubo M., Tosa H., Iinuma M., Effect of buddlejae flos on in vitro aldose reductase activity. Biol Pharm Bull ; 18(3): p463, 1995), 베바코시드(verbascoside)의 항박테리아작용 및 항암작용(Li J. et al.U. Phenylthanoid glucosides from flos Buddlejae Zhongguo Zhong Yao Za Zhi, 22(10), pp613-5, 1997), 항염증작용 (Mensah AY., Houghton PJ., Bloomfield S., Vlietinck Am Vanden Berghe D., Known and novel terpenes from Buddleja globosa displaying selective antijungal activity against dermatophytes. J. Nat. Prod. ;63: pp1210-1213, 2000), 세포독성에 대한 방어작용 (Flaherty JT, Weisfeldt ML:reperfusion injury. Free Radical Biol. Med., 5, pp409-419, 1988) 등이 있는 것으로 보고되었다. 이 중 밀몽화가 약리작용을 나타내고 있는 염증과 산화적손상은 허혈(ischemia)로 유발된 신경세포 손상의 여러 가지 기전중의 하나이고 세포독성에 대한 방어작용 (Flaherty JT, Weisfeldt ML:reperfusion injury. Free Radical Biol. Med. 5, pp409-419, 1988)은 이미 밝혀져 있다.
그러나 상기 문헌 어디에도 밀몽화가 허혈로 유발된 신경세포를 보호하는 활 성을 가지고 있음이 교시되거나 개시된 바 없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밀몽화 추출물이 뇌허혈성 신경세포사를 현저히 억제시킬 수 있는 활성을 가짐을 확인하여, 이를 근간으로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본 발명은 인체에 무해하며 뇌허혈에 의한 신경세포 손상을 방지할 수 있는 밀몽화 조추출물 또는 밀몽화 비극성용매 가용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퇴행성 뇌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신경세포보호활성을 갖는 밀몽화 조추출물 또는 밀몽화 비극성용매 가용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퇴행성 뇌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퇴행성 뇌질환은 신경세포사에 의하여 유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신경세포사에 의하여 유발되는 퇴행성 뇌질환으로는 뇌졸중, 중풍, 치매, 알츠하이머병, 파킨슨병, 헌팅턴병, 피크(Pick)병 및 크로이츠펠트-야콥(Creutzfeld-Jakob)병이 포함될 수 있다.
상세하게는, 본 발명은 신경세포 보호활성을 갖는 밀몽화 조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고,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담체, 희석제 또는 부형제를 포함하는 퇴행성 뇌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약학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조추출물은 물, 탄소수 1 내지 4의 저급알코올 또는 이들의 혼합용매로부터 선택된 극성용매에 가용한 추출물을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은 신경세포 보호활성을 갖는 밀몽화의 비극성용매 가용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고,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담체, 희석제 또는 부형제를 포함하는 퇴행성 뇌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약학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비극성용매 가용추출물은, 상기 조추출물로부터 극성용매 가용부를 제외한 추출물로서, 헥산, 클로로포름, 디클로로메탄 및 메틸렌클로라이드로부터 선택된 비극성 용매, 바람직하게는 헥산에 가용한 추출물을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은 신경세포 보호활성 효과를 갖는 밀몽화의 극성용매 가용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고,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담체, 희석제 또는 부형제를 포함하는 치매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약학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극성용매 가용추출물은, 상기 조추출물로부터 비극성용매 가용부를 제외한 추출물로서, 물, 탄소수 1 내지 4의 저급 알코올 또는 이들의 혼합용매로부터 선택된 극성용매, 바람직하게는 물에 가용한 추출물을 포함한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밀몽화 조추출물은 건조 후, 꽃잎 건조 중량의 약 1 내지 15배의 부피, 바람직하게는 약 5 내지 10배 분량의 물, 에탄올, 메탄올 등과 같은 C1 내지 C4 저급알콜 또는 약 1:0.1 내지 1:10, 바람직하게는 1:0.2 내지 1:3의 혼합비를 갖는 혼합용매로 20 내지 100℃, 바람직하게는 50 내지 100℃의 추출온도에서 약 0.5시간 내지 2일, 바람직하게는 1시간 내지 1일 동안 냉침추출, 열수추출, 초음파 추출, 환류냉각 추출 등이 추출방법으로, 바람직하게는 초음파 추출법으로 1회 내지 12회, 바람직하게는 2회 반복하여 추출한 후, 여과하고 여과한 추출물을 진공회전농축기로 20 내지 100℃, 바람직하게는 40 내지 70℃에서 감압농축한 후 추출된 잔사를 진공동결건조기로 건조하여 물, 저급 알코올 또는 이들의 혼합 용매에 가용한 밀몽화 조추출물을 얻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비극성용매 가용추출물은 상기 수가용 추출물, 저급 알코올 가용 추출물 및 이들의 혼합용매에 의한 가용 추출물을 물에 현탁한 후, 이들 현탁액의 약 1 내지 10배, 바람직하게는 약 1 내지 5배 부피의 헥산, 에틸아세테이트, 클로로포름, 디클로로메탄 등과 같은 비극성 용매를 가하여 1회 내지 5회, 바람직하게는 4회 분획하여 수득할 수 있다. 또한 추가로 통상의 분획 공정을 수행할 수도 있다(Harborne J.B.; Phytochemical methods: A guide to modern techniques of plant analysis. 3rd Ed., p 6-7, 1998).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로는 예를 들어, 상기의 밀몽화 조추출물을 물에 현탁한 후, 헥산, 디클로로메탄, 에틸아세테이트, 부탄올 순으로 용매를 이용하여 본 발명의 밀몽화 추출물을 수득할 수 있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밀몽화 조추출물에 헥산:에탄올추출물:물(10:1:9)의 혼합용매를 사용하여 헥산가용성 분획물 및 수가용성 분획물을 수득할 수 있고, 다시 상기 수가용성 분획물을 디클로로메탄으로 추출하여 수가용성 분획물 및 디클로로메탄가용성 분획물을 수득할 수 있으며, 이 수가용성 분획물에 에틸아세테이트를 가하여 에틸아세테이트 가용성 분획물 및 수가 용성 분획물을 수득할 수 있고, 마지막으로 상기 수가용성 분획물을 부탄올로 추출하여 부탄올가용성 분획물 및 수가용성 분획물을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상기제법으로 부터 얻어진 밀몽화 조추출물 또는 밀몽화 비극성용매 가용추출물은 시험관내(in vitro)실험에서 중대뇌동맥 폐쇄로 유발한 실험동물의 국소뇌허혈에 의한 신경세포 손상에 대하여 신경세포를 보호하여, 뇌허혈에 의한 신경세포 손상을 현저히 예방 및 치료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 제조방법으로부터 수득된 본 발명의 밀몽화 조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퇴행성 뇌질환의 예방 및 치료에 효과적인 약학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본 발명은 상기 제조방법으로부터 수득된 본 발명의 밀몽화 비극성용매 가용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퇴행성 뇌질환의 예방 및 치료에 효과적인 약학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밀몽화 조추출물 또는 밀몽화 비극성용매 가용추출물의 각 성분은 오랫동안 생약으로 사용되어 오던 약재로서 이로부터 추출된 본 발명의 추출물들 역시 독성 및 부작용 등의 문제가 없다.
상기 본 발명의 밀몽화 추출물을 함유하는 퇴행성 뇌질환 예방 및 치료용 약학조성물은,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상기 밀몽화 추출물을 0.001 내지 50 중량 %로 포함한다.
본 발명의 밀몽화 추출물을 포함하는 조성물은 약학적 조성물의 제조에 통상적으로 사용하는 적절한 담체, 부형제 및 희석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밀몽화 추출물의 약학적 투여 형태는 이들의 약학적 허용 가능한 염의 형태로도 사용될 수 있고, 또한 단독으로 또는 타 약학적 활성 화합물과 결합뿐만 아니라 적당한 집합으로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밀몽화 추출물을 포함하는 약학조성물은, 각각 통상의 방법에 따라 산제, 과립제, 정제, 캡슐제, 현탁액, 에멀젼, 시럽, 에어로졸 등의 경구형 제형, 외용제, 좌제 및 멸균 주사용액의 형태로 제형화하여 사용될 수 있다. 밀몽화 추출물을 포함하는 조성물에 포함될 수 있는 담체, 부형제 및 희석제로는 락토즈, 덱스트로즈, 수크로스, 솔비톨, 만니톨, 자일리톨, 에리스리톨, 말티톨, 전분, 아카시아 고무, 알지네이트, 젤라틴, 칼슘 포스페이트, 칼슘 실리케이트, 셀룰로즈, 메틸 셀룰로즈, 미정질 셀룰로스, 폴리비닐 피롤리돈, 물, 메틸히드록시벤조에이트, 프로필히드록시벤조에이트, 탈크,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및 광물유를 들 수 있다. 제제화할 경우에는 보통 사용하는 충진제, 증량제, 결합제, 습윤제, 붕해제, 계면활성제 등의 희석제 또는 부형제를 사용하여 조제된다. 경구투여를 위한 고형제제에는 정제, 환제, 산제, 과립제, 캡슐제 등이 포함되며, 이러한 고형제제는 상기 복합생약제 추출물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부형제 예를 들면, 전분, 칼슘카보네이트 (calcium carbonate), 수크로스(sucrose) 또는 락토오스(lactose), 젤라틴 등을 섞어 조제된다. 또한 단순한 부형제 이외에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탈크 같은 윤활제들도 사용된다. 경구를 위한 액상 제제로는 현탁제, 내용액제, 유제, 시럽제 등이 해당되는데 흔히 사용되는 단순희석제인 물, 리퀴드 파라핀 이외에 여러 가지 부형제, 예를 들면 습윤제, 감미제, 방향제, 보존제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비경구 투여를 위한 제제에는 멸균된 수용액, 비수성용제, 현탁제, 유제, 동결건조 제제, 좌제가 포함된다. 비수성용제, 현탁제로는 프로필렌글리콜(propylene glycol), 폴리에틸렌 글리콜, 올리브 오일과 같은 식물성 기름, 에틸올레이트와 같은 주사 가능한 에스테르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좌제의 기제로는 위텝솔(witepsol), 마크로골, 트윈 (tween) 61, 카카오지, 라우린지, 글리세로제라틴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밀몽화 추출물의 바람직한 투여량은 환자의 상태 및 체중, 질병의 정도, 약물형태, 투여경로 및 기간에 따라 다르지만, 당업자에 의해 적절하게 선택될 수 있다. 그러나, 바람직한 효과를 위해서, 본 발명의 밀몽화 추출물은 1일 0.0001 내지 100 mg/kg으로, 바람직하게는 0.001 내지 100 mg/kg으로 투여하는 것이 좋다. 투여는 하루에 한번 투여할 수도 있고, 수회 나누어 투여할 수도 있다. 상기 투여량은 어떠한 면으로든 본 발명의 범위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밀몽화 추출물은 쥐, 생쥐, 가축, 인간 등의 포유동물에 다양한 경로로 투여될 수 있다. 투여의 모든 방식은 예상될 수 있는데, 예를 들면, 경구, 직장 또는 정맥, 근육, 피하, 자궁내 경막 또는 뇌혈관내 (intracerebroventricular) 주사에 의해 투여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밀몽화 조추출물 또는 밀몽화 비극성용매 가용추출물은 기타 식품의 주, 부원료 및 식품첨가제로서 사용이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은 퇴행성 뇌질환의 예방 및 개선 효과를 나타내는 상기 밀몽화 조추출물 또는 밀몽화 비극성용매 가용추출물 및 식품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식 품보조 첨가제를 포함하는 건강기능식품을 제공한다.
상기 조추출물은 물, 탄소수 1 내지 4의 저급알코올 또는 이들의 혼합용매로부터 선택된 극성용매에 가용한 추출물을 포함한다.
상기 비극성용매 가용추출물은, 상기 조추출물로부터 극성용매 가용부를 제외한 추출물로서, 헥산, 클로로포름, 디클로로메탄 및 메틸렌클로라이드로부터 선택된 비극성용매, 바람직하게는 헥산에 가용한 추출물을 포함한다.
상기 밀몽화 조추출물 또는 밀몽화 비극성용매 가용추출물을 첨가할 수 있는 식품으로는, 예를 들어, 각종 식품류, 음료, 껌, 차, 비타민 복합제, 건강 기능성 식품류 등이 있다.
또한, 퇴행성 뇌질환의 예방 및 개선 효과를 목적으로 식품 또는 음료에 첨가될 수 있다. 이 때, 식품 또는 음료 중의 상기 밀몽화 추출물의 양은 전체 식품 중량의 0.01 내지 15 중량 %로 가할 수 있으며, 건강 음료 조성물은 100 ㎖를 기준으로 0.02 내지 5 g, 바람직하게는 0.3 내지 1g의 비율로 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건강 기능성 음료 조성물은 지시된 비율로 필수 성분으로서 상기 밀몽화 추출물을 함유하는 외에는 다른 성분에는 특별한 제한이 없으며 통상의 음료와 같이 여러 가지 향미제 또는 천연 탄수화물 등을 추가 성분으로서 함유할 수 있다. 상술한 천연 탄수화물의 예는 모노사카라이드, 예를 들어, 포도당, 과당 등; 디사카라이드, 예를 들어 말토스, 슈크로스 등; 및 폴리사카라이드, 예를 들어 덱스트린, 시클로덱스트린 등과 같은 통상적인 당, 및 자일리톨, 소르비톨, 에리트리톨 등의 당알콜이다. 상술한 것 이외의 향미제로서 천연 향미제(타우마틴, 스테비 아 추출물(예를 들어 레바우디오시드 A, 글리시르히진등) 및 합성 향미제(사카린, 아스파르탐 등)를 유리하게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천연 탄수화물의 비율은 본 발명의 조성물 100 ㎖당 일반적으로 약 1 내지 20 g, 바람직하게는 약 5 내지 12 g이다.
상기 외에 본 발명의 밀몽화 추출물은 여러 가지 영양제, 비타민, 광물(전해질), 합성 풍미제 및 천연 풍미제 등의 풍미제, 착색제 및 중진제(치즈, 초콜릿 등), 펙트산 및 그의 염, 알긴산 및 그의 염, 유기산, 보호성 콜로이드 증점제, pH 조절제, 안정화제, 방부제, 글리세린, 알콜, 탄산 음료에 사용되는 탄산화제 등을 함유할 수 있다. 그밖에 본 발명의 밀몽화 추출물은 천연 과일 쥬스 및 과일 쥬스 음료 및 야채 음료의 제조를 위한 과육을 함유할 수 있다. 이러한 성분은 독립적으로 또는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첨가제의 비율은 그렇게 중요하진 않지만 본 발명의 추출물 100 중량부 당 0 내지 약 20 중량부의 범위에서 선택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하, 본 발명을 하기 실시예 및 실험예에 의해 상세히 설명한다.
단, 하기 실시예 및 실험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일 뿐, 본 발명의 내용이 하기 실험예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밀몽화의 조추출물 제조
경동시장(서울, 대한민국)에서 구입한 밀몽화를 경희대학교 동서의학대학원 한약리학교실의 검증을 받아 사용하였다. 밀몽화 300g을 85% 메탄올 2L를 가하여 2 회 초음파 추출하여 여과한 후 감압농축하여 메탄올 가용 추출물인 밀몽화 조추출물 분말 39.4g 을 얻었다.
실시예 2. 밀몽화의 헥산 가용추출물 및 수가용성추출물의 제조
상기 실시예 1에서 얻은 밀몽화 조추출물 30g에 1L의 증류수를 가하여 현탁하고 헥산 1L를 가하여 혼합한 후, 헥산 가용성 분획부 및 수가용성 분획부로 분리하였다. 동일 과정을 4회 반복한 후 각각의 분획물을 여과하고 감압농축하여 용매를 제거한 후 동결건조하여 헥산 가용추출물 분말 795 mg 및 수가용성 추출물 분말 4.95g을 얻었다.
실험예 1. OGD(Oyxgen Glucose Deprivation)에 의해 유도된 PC12 세포손상에 대한 밀몽화 조추출물 또는 밀몽화 헥산 가용추출물의 방어 효과
1-1. 밀몽화 조추출물의 방어 효과
PC12 세포(rat, pheochromocytoma)는 10 % 말혈청(horse serum, Gibco BRL, U.S.A), 5 % 소태아혈청(fetal bovine serum, Gibco BRL, U.S.A) 1% 페니실린-스트렙토마이신(penicillin-streptomycin, Gibco BRL, U.S.A)이 함유된 DMEM(Dulbeco's Modified Eagle's Medium) 배지(Gibco BRL, U.S.A)를 사용하여, 온도와 습도가 유지되는 37 ℃ 배양기하에서 95 %의 공기와 5 % CO2의 혼합기체를 계속 공급하면서 배양하였다.
하루 전 2× 104cells/well/㎕의 PC12 세포를 96 웰 플레이트(well plate)에 분주하고. 실험당일 OGD를 하기 위해 글루코스(glucose)가 들어 있지 않은 EBSS(Earle's balanced salt solution)를 37℃ 중탕 냄비(water bath)에 넣어 충분히 건조시킨 후 여기에 포함된 산소를 제거하기 위해 배지를 무균작업대(laminar flow)안으로 옮기고 질소가스로 버블링(Bubbling)하였다. 세포를 배양기에서 꺼내어 PBS(Phosphate buffered saline) 로 2회로 수세한 후 EBSS(Earle's balanced salt solution)를 넣어 저산소실( hypoxia chamber)로 옮겨 2시간동안 OGD에 노출하였다. 혈청(serum)이 들어있지 않은 DMEM(Dulbeco's Modified Eagle's Medium)에 농도별로 시료를 녹인후 OGD 노출 시간이 지나면 바꾸어주었다. 24시간 후 엘리저 리더(ellyzer reader)를 이용하여 570nm에서의 세포생존률을 측정하였다. 세포생존율을 측정하기 위해 OGD 처리후 24시간 후에 MTT 환원 시험법(MTT reduction assay)을 사용하였다. 원래의 96 웰플레이트(well plate)에 0.5 ㎎/㎖의 MTT 200㎕를 넣고 4시간 동안 37 ℃에서 반응시킨 후 여기에 이소프로필 알코올(isopropyl alcohol) 100 ㎕를 넣고 쉐이킹 플레이트(shaking plate)에서 흔들어서 완전히 용해시킨 후 마이크로 플레이트 리더(microplate reader)를 이용하여 570 nm에서의 UV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세포생존율(%)은 측정흡광도값을 OGD 처리하지 않은 정상군에 대한 백분율로 나타냈다.
위 실험의 결과, OGD 유발 2시간 후 시료로서 실시예 1에서 수득된 밀몽화 조추출물을 0.1, 1, 10, 100㎍/㎖의 농도로 처리하고 24시간 뒤에 MTT 환원 시험법 (MTT reduction assay)을 한 결과 실시예 1에서 수득된 밀몽화 조추출물은 도 1에서와 같이 대조군에 비해 10㎍/㎖의 농도에서 36.8 ± 2.25 % (p<0.01)의 신경세포 손상에 대한 방어율을 보였다.
1-2. 밀몽화 헥산 가용추출물의 방어 효과
상기 실험예 1-1과 동일한 실험과정을 수행하고, OGD 유발 2시간 후 시료로서 실시예 2에서 수득된 밀몽화 헥산 가용추출물을 0.1, 1, 10, 100㎍/㎖의 농도로 처리하고 24시간 뒤에 MTT 시험법을 수행한 결과 상기 실시예 2에서 수득된 밀몽화 헥산 가용추출물은 도 2에서와 같이 대조군에 비해 0.1㎍/㎖의 농도에서 83.52 ± 0.98 % (p>0.05), 1㎍/㎖의 농도에서 94.69 ± 3.58 %의 신경세포 손상에 대한 방어율을 보였다
실험예 2. 4-혈관폐색(4-vessel occlusion) 방법을 이용한 흰쥐의 전뇌허혈 모델에서 밀몽화 조추출물의 방어 효과
2-1. 실험동물의 준비
실험동물로 180 g 내외, 8주령의 위스터계(SLC, Japan) 수컷 흰쥐를 일본(SLC, Japan)에서 구입하여 사료와 물을 충분히 공급하면서 1주일간 실험환경에 적응시킨 다음 실험에 착수하였다.
2-2. 4-VO 방법으로 유발한 흰쥐의 전뇌허혈 모델에서 밀몽화 조추출물의 방어 효 과
흰쥐를 마취시킨 다음 정위고정장치(stereotaxic apparatus)에 수평면에서 머리를 기준으로 하여 꼬리를 30° 경사지게 밑으로 고정시키고 코와 입 주위는 마취기(Ohameda V.M.C./Boc Health Care, Cyprane, UK)에 플라스틱 원추흡입기(cone)로 연결시켰다.
마취는 처음에 질소와 산소의 혼합가스(질소 70 %, 산소 30 %)에 포함된 5 % 이소플루레인(isoflurane)으로 하고 그 후에는 1.5 % 이소플루레인으로 계속 유지시켰다.
꼬리를 수술대에 고정하고 경추를 신전시킨 상태로 실험하였다. 먼저 인후(咽喉)부위를 수술하기 위하여 총경동맥에 실리콘 튜브로 고리를 만들어 허혈을 유발하고 재관류할 수 있도록 장치하였다. 그리고 허혈유발시 미세혈관의 순환을 봉쇄하기 위하여 실로 뒤쪽으로는 기관(氣管, trachea), 식도(esophagus), 외부 경정맥(external jugular vein), 총경동맥(common carotid arteries) 들이 위치하고 앞쪽으로는 경부(cervical), 척추주위(paravertebral) 근육들이 지나가도록 꿰뚫은 다음 수술용 클립으로 상처를 봉합하였다.
그 다음 흰쥐를 돌려서 후두골부위를 수술하였다. 후두골하단의 1번 경추부를 수술확대경을 이용하여 수술하고 우상공(alar foramina) 쪽으로 근육이 다치지 않게 접근하였다.
1 ㎜ 이하의 미세한 전기소작침을 1번 경추의 우상공(alar foramina)을 통하여 밑으로 척추동맥이 통과하고 있는 터널로 집어넣어, 간헐적인 전류를 통전시켜 척추동맥을 소작하였다. 수술현미경을 이용하여 뼈 속으로 지나가는 터널에 존재하는 척추동맥이 완전히 소작되어서 폐쇄되었다는 것을 확인한 다음 수술용 클립으로 봉합하였다. 24시간 뒤, 수술용 클립을 제거한 다음 총경동맥을 동맥류(aneurysm) 클립으로 10분 동안 조여서 허혈을 유발하였다. 만약 1분 이내에 대광반사가 소실되지 않으면 경부봉합을 단단하게 하였고 이 때 대광반사가 소실되지 않은 흰쥐들은 완전한 양측 평행적인 CA1 신경손상이 유발되지 않았기 때문에 이 실험에서 제외시켰다. 또 경련을 일으키는 흰쥐들도 제외시켰다. 10분 후 총경동맥에서 동맥류(aneurysm) 클립을 떼어 내어 재관류 시켰다. 또 재관류시킨 다음 의식 소실 기간이 20± 5분인 흰쥐들만 실험에 사용하였다.
체온은 허혈유발 후 6시간까지 30분 간격으로 모니터링 하였다. 체온하강이 나타나는 경우에는 체온하강을 방치하면서 그 체온변화를 측정하여 기록하는 경우와 부분적으로 체온저하를 방지하면서 저체온으로 인한 신경세포의 방어효과를 차단한 경우를 분리하면서 실험하였다. 즉, 선택된 흰쥐들에 허혈을 유발시키는 동안과 재관류 및 회복기 동안 37± 0.5 ℃으로 유지시키기 위하여 직장 온도를 이용한 자동 온도 조절 전열기로 37 ℃로 고정시켜서 실험하였다. 체온측정은 직장속으로 최소한 6 ㎝ 들어가게 소식자(probe)를 삽입함으로써 뇌온도를 반영하는 직장체온을 측정하였다(Miyazawa T et al., J. Cereb. Blood Flow Metab., 12, pp817-822, 1992).
허혈유발 1주일 후에 흰쥐를 클로랄 하이드레이트(35.0 ㎎/㎏, i.p.)로 마취시켜 개흉한 다음, 우심이(The right auricle of the heart, 右心耳)를 절개하여 바늘을 좌심실에 주입한 후 헤파린처리된 5% 소디움니트라이트(sodiumnitrite) 생리식염수를 심장에 관류시키고, 4.0 % 포르말린 고정액으로 관류시켰다. 그 후 흰쥐의 뇌부분을 떼어내어 2시간 동안 0.1 M 포스페이트 완충된 포르말린 고정액에 후고정 시킨 다음, 30 % 수크로스에 담가 4℃에서 하룻밤 동안 고정시켰다. 고정된 뇌에서 정수리점(Bregma) -2.5 ㎜와 -4.0 ㎜사이의 등쪽 해마(dorsal hippocampus) 부위에 있는 관상봉합부 조각(coronal block)을 준비하였다. 이 조각을 동결한 후 슬라이딩 마이크로톰을 사용하여 해마를 포함하는 조직절편을 만들었다. 표본제작을 위한 조직절편은 매 30 ㎛씩 수집하였다.
손상된 신경세포수 관찰-등쪽 해마(Dorsal hippocampus)를 포함하는 절편을 크레실 바이올렛에 염색하여 고정한 다음 등쪽 해마(dorsal hippocampal) CA1 중 가장 지연성 신경원세포 사망(delayed neuronal death)에 손상받기 쉬운 부분인(Crain BJ et al., Neuroscience, 27, pp387-402, 1998) 중간대(middle zone)의 1,000 ㎛ 길이에서 신경세포 수를 관찰하였다. 세포수의 관찰은 고배율(×250)에서 정상적인 형태를 보이는 추체세포(pyramidal cell)의 수를 3인의 관찰자가 한 개의 뇌조직에서 3개의 다른 조직절편의 좌우양측 2개, 총 6부위에서 관찰하여 평균하였다.
위 실험의 결과, 도 3 (A ,B)를 보면, 정상적인 추체 세포들을 추산하여 합산한 결과 . 허혈을 유발하지 않은 가수술군에서는 정상의 해마 추체 신경세포들이 관찰되었으며 그 숫자는 348.3 ± 6.9 No./mm으로 나타났다.
반면 도 3 (C ,D)를 보면, 흰쥐에 10분간 4-VO에 의한 전뇌허혈을 유발하고 생리식염수를 유발후 0분과 90분에 투여한 대조군에서는 해마 CA1부위에서 지연형 신경세포 소실이 나타나 신경세포수가 29.1 ± 2.0 No./mm이었으며 이는 가수술군에 비해 92.7% 의 세포손상을 가져온 것이다.
도 4을 보면, 상기 실시예 1에서 수득된 밀몽화 조추출물 100 ㎎/㎏을 뇌허혈 유발후 0분과 90분에 복강내 투여한 뒤 일주일 후 동일 부위의 신경세포수는 각각 97.7 ± 26.7 No./㎜로 대조군에 비해 20.97%로 유의성 있는 신경보호효과를 나타내었다.
도 5를 보면, 밀몽화 투여군에서는 우선 뇌허혈을 유발하고 재관류한 다음 시료들을 투여하면서 6시간까지 직장온도를 관찰하였으나 유의성있는 체온의 하강은 일어나지 않았다.
상기 통계처리의 경우에는, 측정값은 평균 ± 표준편차이고, 각 군에 대한 자료값은 대조군과 각 시료군을 비교하여 일원배치분산분석(One way Anova, Prism4, GraphicPad software) 으로 분석하였다(*p<0.05,**p<0.01,***p<0.001).
실험예 3. 중대뇌동맥 폐쇄법(MCAo 방법)을 이용한 흰쥐의 국소뇌허혈 모델에서 밀몽화 헥산 가용 추출물의 방어 효과
3-1. 실험동물의 준비
실험동물로 280 - 300g, 8주령의 스프래그 도울리계(sprague dowly) 수컷 흰쥐를 한국 샘타고사에서 구입하여 사료와 물을 충분히 공급하면서 1주일간 실험환경에 적응시킨 다음 실험에 착수하였다.
3-2. 밀몽화 헥산 가용 추출물의 방어 효과
MCAo를 유발하기 위해 지 롱가(Zea longa, Zea LE, Weinstein, PR., Carlson, S. Cummins., Reversible middle cerebral artery occlusion without craniectomy in rats. Stroke, 20, pp84-91, 1989)의 방법을 응용한 혈관내 봉합사 삽입법(intraluminal suture method)을 사용하였다. 흰쥐의 중대뇌동맥을 폐쇄하면 일정 시간이 지난 후 중대뇌동맥 지배영역에 혈류의 부족으로 인하여 산소와 에너지원이 고갈되어 세포가 죽게 된다. 특히 지배영역 중심부인 선조체와 측두엽부위는 조직 괴사현상이 일어나며 이를 허혈성 중심부(ischemic core)라고 한다. 그리고 그 주위에 중대뇌동맥 지배영역이 아니지만 지배영역과 연접한 부위에 세포가 스스로 사멸하는 현상이 일어나면 이를 허혈성 주변부(ischemic penumbra)라고 한다. 중대뇌동맥을 폐쇄한 후 3시간이 지나면서 괴사가 시작되고 6시간이 지나면서 좀 더 심해져 뇌경색이 생긴다. 120분 유발하고 24시간이 되면 뇌경색이 일단 마무리되고 3일째부터 최대에 이르게 된다. 뇌경색의 양을 측정할 때는 뇌경색으로 인한 뇌부종으로 인하여 교정된 뇌경색 양(correlated infarct volume, mm3)으로 측정한다. 이는 뇌경색 반대 반구(contralateral hemisphere)에서 뇌경색 양(infarct volume mm3)을 뺀 것이 일반적으로 쓰이는 뇌경색 양이다.
먼저, 25 ㎜의 4-0 나이론 봉합사의 끝 부분에서 약 5-8 ㎜길이를 실리콘으로 코팅하되 지름이 0.30 ㎜가 되게 제작하여 실험에 사용하였다. 흰쥐를 70 % N2O 와 30 % O2가 섞인 혼합가스에 5 %의 이소플루렌(isoflurane)으로 전신마취를 한 후 한 쪽은 채혈을 위한 주사기를, 다른 한쪽은 혈압측정용 소식자를 삽입하여 혈압을 관찰하였으며, 채혈을 한 후 혈당 및 혈액가스를 분석하여 관찰하였다. 목 전방 부위 중앙의 피부를 절개하고 오른쪽 경동맥과 외경동맥(ECA)을 주위조직과 신경들로부터 조심스럽게 분리하였다. 외경동맥 분지인 상부갑상선동맥과 후두동맥을 전기소작기로 소작하고 내경동맥의 분지인 익돌근구개동맥을 전기소작하고 외경동맥을 자르고 소식자(probe)를 외경동맥에서 내경동맥으로 삽입하되 총경동맥분지에서 약 18∼20 ㎜정도 삽입한 후 실로 고정하였다. 피부절개부위를 다시 봉합한 후 마취에서 자연회복시켰다. 유발 직후 및 120분에 밀몽화 헥산 가용추출물을 경구투여하였다. 이 때 약물의 용량에 따른 효능을 알아보기 위하여 시료를 100, 300 mg/kg으로 각각 흰쥐 체중 100 g당 0.3 ㎖씩의 부피로 3차 증류수로 희석하여 경구투여하였으며, 모든 실험군은 당일에 같은 마리수를 유발하였으며 수술은 체온이 37 ± 0.5 ℃가 되게 유지하면서 관찰하였다. 수술 후 120분 후 상기와 같은 방법으로 재 마취하여 소식자(probe)를 후퇴시켜 재관류시켰다. 재관류 후 22시간 뒤에 경추탈골시켜 2분 이내에 뇌를 적출하여 2 ㎜ 두께로 7개의 절편을 얻었다. 2 % TTC(triphenyltetrazolium chloride)가 들어 있는 16 웰 플레이트(well plate)에 조직을 충분히 담그고 37 ℃에서 30분 동안 방치한 후 4 % 파라포름알데히드(paraformaldehyde)로 고정시켜 조직을 관찰하였다. 모든 수술과정은 수술현미경하에서 시행하였으며, 2 %로 계속 유지하면서 수술현미경하에서 시행하였다. 체온이 37 ℃이하로 떨어지지 않도록 램프를 쬐어주었다. 조직은 디지털 카메라로 하나씩 촬영한 후 컴퓨터로 옮겼고, 이미지 분석프로그램인 옵티마스(Optimas) 6.5(Bioscan)를 이용하여 뇌허혈 유발로 인해 손상된 조직의 부피(%) 및 뇌경색의 비율(%)을 하기 수학식 1 및 수학식 2로 계산하였다.
교정된 뇌경색의 부피(%)
= (정상 좌반구의 부피)- (손상 반구의 정상 부위 부피)
뇌경색 비율(%)
= ((정상 좌반구의 부피(mm3)
- 교정된 뇌경색의 부피(mm3))/ 정상 좌반구의 부피(mm3))×100
상기 실험의 결과, 도 6을 보면, 재관류 22시간 후 대조군은 34.5± 2.72 % , 상기 실시예 2에서 수득된 밀몽화 헥산(Hexane) 가용 추출물 투여시 100 mg/kg 에서 15.68 ± 5.06 %, 300mg/kg에서 10.95 ± 3.59 % 의 뇌조직 손상을 보였다. 또한, 투여시 대조군에 비하여 각각 100 mg/kg 에서 54.5 %, 300mg/kg에서 68.2 % 로 농도의존적인 보호효과를 나타내었다.
상기 통계처리의 경우에는, 측정값은 평균 ± 표준편차이고, 각 군에 대한 자료값은 대조군과 각 시료군을 비교하여 일원배치분산분석(One way Anova, Prism4, GraphicPad software) 으로 분석하였다(*p<0.05,**p<0.01,***p<0.001).
실험예 4. 밀몽화 헥산 가용 추출물의 감각운동기능 실조 보호 효과
MCAo방법으로 인한 뇌허혈 흰쥐의 행동학적 지표를 마련하기 위해 지 롱가(Zea longa)의 방법을 응용한 감각 운동 기능 테스트를 하였다. 이는 재관류 22시간 후에 각각 시행하였다. 흰쥐의 꼬리를 잡고 탁자 50cm 위로 들어올려 자발적으로 움직이지 못하면 1점(가장심각한 감각운동기능 실조), 오른쪽 앞발을 펴지 못하고 탁자위에 자유롭게 두었을때 오른쪽방향으로 계속돌면 2점, 오른쪽 앞발을 펴지 못하고 탁자위에 두었을때 모든 방향으로 움직이면 3점, 오른쪽 앞발을 펴지 못하나 다른 기능실조가 보이지 않으면 4점, 탁자를 향해 두 앞발을 펴고 어떠한 기능실조도 보이지 않으면 5점을 주었다.
상기 실험의 결과, 도 7을 보면, 재관류 22시간 후의 감각 운동 기능 테스트 결과를 보면 대조군은 2.86 ± 0.21 점, 상기 실시예 2에서 수득된 밀몽화 헥산 가용 추출물 300mg/kg 투여군은 3.95 ± 0.15 점으로 MCAo방법으로 인한 기능실조를 개선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실험예 5. 급성독성 실험
5-1. 경구투여
ICR계 마우스와 스프라그 도올리 랫트를 각각 10마리씩 4군으로 나누어 본 발명의 밀몽화 추출물을 각각 100, 250, 500 및 1000 ㎎/㎏의 용량으로 경구 투여한 후 2주간 독성여부를 관찰한 결과 4군 모두에서 사망한 예가 한 마리도 없었고 외견상 대조군과 별다른 증상을 찾아볼 수 없었다.
5-2. 복강투여
ICR계 마우스(몸무게 25 ± 5 g)와 스프라그 도올리 랫트를 각각 10마리씩 4군으로 나누어 본 발명의 밀몽화 추출물을 각각 25, 50, 100 및 200㎎/㎏의 용량으로 복강투여한 후 24시간 동안 독성여부를 관찰한 결과 4군 모두에서 사망한 예가 한 마리도 없었고 외견상 대조군과 별다른 증상을 찾아볼 수 없었다.
실험 결과, 본 발명의 밀몽화 추출물은 급성독성이 거의 없음이 확인되었다.
하기에 본 발명의 밀몽화 추출물을 포함하는 약학조성물의 제제예를 설명하나, 본 발명은 이를 한정하고자 함이 아닌 단지 구체적으로 설명하고자 함이다.
제제예 1. 산제의 제조
밀몽화 조추출물 분말 20 mg
유당 100 mg
탈크 10 mg
상기의 성분들을 혼합하고 기밀포에 충진하여 산제를 제조한다.
제제예 2. 정제의 제조
밀몽화 조추출물 분말 10 mg
옥수수전분 100 mg
유당 100 mg
스테아린산 마그네슘 2 mg
상기의 성분들을 혼합한 후 통상의 정제의 제조방법에 따라서 타정하여 정제를 제조한다.
제제예 3. 캅셀제의 제조
밀몽화 조추출물 10 mg
결정성 셀룰로오스 3 mg
락토오스 14.8 mg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0.2 mg
통상의 캡슐제 제조방법에 따라 상기의 성분을 혼합하고 젤라틴 캡슐에 충전하여 캡슐제를 제조한다.
제제예 4. 주사제의 제조
밀몽화 조추출물 10 mg
만니톨 180 mg
주사용 멸균 증류수 2974 mg
Na2HPO4,12H2O 26 mg
통상의 주사제의 제조방법에 따라 1 앰플당(2 ㎖) 상기의 성분 함량으로 제조한다.
제제예 5. 액제의 제조
밀몽화 조추출물 분말 20 mg
이성화당 10 g
만니톨 5 g
정제수 적량
통상의 액제의 제조방법에 따라 정제수에 각각의 성분을 가하여 용해시키고 레몬향을 적량 가한 다음 상기의 성분을 혼합한 다음 정제수를 가하여 전체를 정제수를 가하여 전체 100 ㎖로 조절한 후 갈색병에 충진하여 멸균시켜 액제를 제조한다.
제제예 6. 건강 음료의 제조
밀몽화 조추출물 분말 100 ㎎
비타민 C 15 g
비타민 E(분말) 100 g
젖산철 19.75 g
산화아연 3.5 g
니코틴산아미드 3.5 g
비타민 A 0.2 g
비타민 B1 0.25 g
비타민 B2 0.3g
물 적량
통상의 건강음료 제조방법에 따라 상기의 성분을 혼합한 다음, 약 1시간동안 85 ℃에서 교반 가열한 후, 만들어진 용액을 여과하여 멸균된 2 ℓ용기에 취득하여 밀봉 멸균한 뒤 냉장 보관한 다음 본 발명의 건강음료 조성물 제조에 사용한다.
상기 조성비는 비교적 기호음료에 적합한 성분을 바람직한 실시예로 혼합 조성하였지만 수요계층이나, 수요국가, 사용용도 등 지역적, 민족적 기호도에 따라서 그 배합비를 임의로 변형 실시하여도 무방하다.
이상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밀몽화 조추출물 또는 비극성용매 가용 추출물은 뇌허혈시 발생되는 신경세포사를 저해하는 효과가 탁월할 뿐만 아니라 인체에 무해하여 신경세포의 괴사에 의해 발생되는 퇴행성 뇌질환을 예방 및 치료하기 위한 용도로 사용가능하다.

Claims (8)

  1. 신경세포 보호활성을 갖는 밀몽화 조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고,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 희석제 또는 부형제를 함유하는 퇴행성 뇌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약학조성물.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조추출물은 물, 탄소수 1 내지 4의 저급알콜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의 극성용매에 가용한 추출물인 약학조성물.
  3. 신경세포 보호활성을 갖는 밀몽화 메탄올 조추출물의 헥산 가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고,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담체, 희석제 또는 부형제를 함유하는 퇴행성 뇌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약학조성물.
  4. 삭제
  5. 삭제
  6. 제 1항 또는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퇴행성 뇌질환은 뇌졸중, 중풍, 치매, 알츠하이머병, 파킨슨병, 헌팅턴병, 피크(Pick)병 또는 크로이츠펠트-야콥(Creutzfeld-Jakob)병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학조성물.
  7. 밀몽화 조추출물 또는 밀몽화 메탄올 조추출물의 헥산 가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고, 식품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식품보조 첨가제를 포함하는 퇴행성 뇌질환의 예방 및 개선용 건강기능식품.
  8. 제 7항에 있어서, 건강음료인 건강기능식품.
KR1020040067771A 2004-08-27 2004-08-27 신경세포보호 활성이 있는 밀몽화의 추출물을 포함하는퇴행성 뇌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10064477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67771A KR100644773B1 (ko) 2004-08-27 2004-08-27 신경세포보호 활성이 있는 밀몽화의 추출물을 포함하는퇴행성 뇌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67771A KR100644773B1 (ko) 2004-08-27 2004-08-27 신경세포보호 활성이 있는 밀몽화의 추출물을 포함하는퇴행성 뇌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19222A KR20060019222A (ko) 2006-03-03
KR100644773B1 true KR100644773B1 (ko) 2006-11-15

Family

ID=371266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67771A KR100644773B1 (ko) 2004-08-27 2004-08-27 신경세포보호 활성이 있는 밀몽화의 추출물을 포함하는퇴행성 뇌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4477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23875B1 (ko) * 2013-04-10 2014-08-01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복합 추출물을 함유하는 뇌졸중 또는 퇴행성 뇌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170083811A (ko) * 2016-01-11 2017-07-19 주식회사 지에스엠티 광역학 치료용 광민감제에 사용하기 위한 밀몽화 추출물 및 상기 밀몽화 추출물의 제조 방법
KR101940372B1 (ko) 2016-01-15 2019-01-21 단국대학교 천안캠퍼스 산학협력단 뇌졸중 예방 및 치료를 위한 약제학적 조성물
KR102540384B1 (ko) * 2022-10-25 2023-06-05 한국 한의학 연구원 한약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19222A (ko) 2006-03-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64383B1 (ko) 신경보호작용을 갖는 황금추출물 및 이를 함유하는 약학적제제
JP2008528481A (ja) 脳卒中及び神経変性疾患の予防及び治療ための神経保護活性を有する複合生薬材抽出物を含む組成物
KR101478882B1 (ko) 고사리삼 추출물을 함유하는 뇌졸중 및 퇴행성 뇌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KR100571853B1 (ko) 한국산 당귀로부터 추출분리되는 저급알콜용매 가용추출물을 포함하는 니코틴 중독 및 금단증상의 예방 및치료용 약학 조성물
KR100543056B1 (ko) 신경세포 보호 활성이 있는 포도씨 추출물을 포함하는뇌질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100644773B1 (ko) 신경세포보호 활성이 있는 밀몽화의 추출물을 포함하는퇴행성 뇌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100874187B1 (ko) 뇌졸중 및 퇴행성 신경질환 예방 및 치료 효과를 갖는복합생약재 추출물을 포함하는 조성물
KR100522579B1 (ko) 항스트레스 효과를 갖는 황금 및 오미자 혼합 추출물을함유하는 약학조성물
KR100781581B1 (ko) 신경보호 활성을 갖는 오미자로부터 분리한 고미신 a를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약학 조성물
KR100592488B1 (ko) 신경세포 보호활성이 있는 복합생약재 추출물을 포함하는 퇴행성 뇌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100663181B1 (ko) 니코틴 중독 및 금단증상의 예방 및 치료를 위한 산조인 추출물을 함유하는 조성물
KR101423875B1 (ko) 복합 추출물을 함유하는 뇌졸중 또는 퇴행성 뇌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010103341A (ko) 신경보호 활성을 갖는 조구등추출물 및 이를 함유하는약학적 제제
KR100886948B1 (ko) 신경세포 보호활성을 갖는 노다케닌을 함유하는 조성물
KR100881369B1 (ko) 감초로부터 분리된 이소리퀴리티게닌을 유효성분으로함유하는 약물 중독 및 금단 증상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100629625B1 (ko) 신경세포손상 보호 활성이 갖는 복분자 추출물을 포함하는뇌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US20080050426A1 (en) Method For Preparing Extract From Wild Ginseng Showing Anticancer Activity And The Composition Comprising The Same
KR100676403B1 (ko) 니코틴 중독 및 금단증상의 예방 및 치료를 위한 천초근추출물을 함유하는 조성물
KR100571850B1 (ko) 당귀로부터 추출분리되는 정유 분획물을 포함하는 니코틴중독 및 금단증상의 예방 및 치료용 약학 조성물
KR20060021029A (ko) 신경세포보호 활성이 있는 세사민을 포함하는 퇴행성뇌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100776347B1 (ko) 신경세포 보호 활성이 있는 둥근마 추출물을 포함하는 뇌질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100746592B1 (ko) 신경세포 보호활성을 갖는 올레산을 함유하는 퇴행성뇌질환의 예방 및 개선용 건강기능식품
KR101037776B1 (ko) 박주가리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퇴행성 뇌질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100547558B1 (ko) 산마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간염의 예방 및치료용 조성물
KR100712195B1 (ko) 신경세포 보호 활성이 있는 차가버섯추출물을 포함하는뇌질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105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25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15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07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02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03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20

Year of fee payment: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