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40353A - 커튼 에어백 장치 - Google Patents
커튼 에어백 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70040353A KR20170040353A KR1020177006802A KR20177006802A KR20170040353A KR 20170040353 A KR20170040353 A KR 20170040353A KR 1020177006802 A KR1020177006802 A KR 1020177006802A KR 20177006802 A KR20177006802 A KR 20177006802A KR 20170040353 A KR20170040353 A KR 20170040353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ushion
- strap
- vehicle
- front pillar
- car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3—Inflatable members
- B60R21/231—Inflatable member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construction or spatial configuration
- B60R21/232—Curtain-type airbags deploying mainly in a vertical direction from their top edge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3/00—Elements for body-finishing, identifying, or decorating; Arrangements or adaptations for advertising purposes
- B60R13/02—Internal Trim mouldings ; Internal Ledges; Wall liners for passenger compartments; Roof liners
- B60R13/0237—Side or rear panels
- B60R13/025—Pillars; Roof rail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0—Arrangements for storing inflatable members in their non-use or deflated condition; Arrangement or mounting of air bag modules or components
- B60R21/201—Packaging straps or envelopes for inflatable member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0—Arrangements for storing inflatable members in their non-use or deflated condition; Arrangement or mounting of air bag modules or components
- B60R21/213—Arrangements for storing inflatable members in their non-use or deflated condition; Arrangement or mounting of air bag modules or components in vehicle roof frames or pillar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3—Inflatable members
- B60R21/231—Inflatable member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construction or spatial configuration
- B60R21/2334—Expansion control features
- B60R21/2338—Tether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3—Inflatable members
- B60R21/237—Inflatable members characterised by the way they are folded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characterised by the inflation fluid source or means to control inflation fluid flow
- B60R21/261—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characterised by the inflation fluid source or means to control inflation fluid flow with means other than bag structure to diffuse or guide inflation fluid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3—Inflatable members
- B60R21/231—Inflatable member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construction or spatial configuration
- B60R21/2334—Expansion control features
- B60R21/2338—Tethers
- B60R2021/23386—External tether mea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characterised by the inflation fluid source or means to control inflation fluid flow
- B60R21/261—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characterised by the inflation fluid source or means to control inflation fluid flow with means other than bag structure to diffuse or guide inflation fluid
- B60R2021/2612—Gas guiding means, e.g. duc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Air Bags (AREA)
Abstract
쿠션이 그 팽창 전개 시에 프론트 필러 트림을 파손하거나 프론트 필러 트림에 걸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커튼 에어백 장치를 제공한다. 커튼 에어백 장치(100)의 쿠션(102)은 차실의 측벽에서 팽창 전개하여 승차인을 구속한다. 커튼 에어백 장치(100)는 주머니상으로서, 조수석의 차량 전방에서 팽창 전개하는 쿠션(102)과, 제1 스트랩(148)을 구비한다. 제1 스트랩(148)은 그 일단(156)이 프론트 필러(104)에 타단(162)이 좁고 긴 수납 형태로 된 쿠션(102)의 차 내측에 각각 고정된다. 제1 스트랩(148)은 쿠션(102)이 팽창 전개함으로써, 차 내측으로 이동 및 긴장하고, 프론트 필러(104)를 덮는 프론트 필러 트림(184)을 차 내측을 향하여 밀어낸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차실 측면에서 커튼상으로 팽창 전개하여 승차인을 구속하는 커튼 에어백 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차량에는 특허문헌 1에 개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커튼 에어백 장치가 대략 표준 장비되어 있다. 커튼 에어백 장치는 비상 시에 차실 측면의 사이드 윈도우를 따라 팽창 전개하는 쿠션을 구비하고, 이 쿠션에 의해 측면 충돌이나 그것에 연이어 발생하는 롤 오버(전복)로부터 승차인을 보호하고 있다.
이와 같은 커튼 에어백 장치의 쿠션은 그 상단에서 예를 들어, 볼트 등의 체결구에 의해 차량의 프론트 필러 및 프론트 필러에 연속하는 루프 사이드 레일에 설치되어 있다. 쿠션은 통상 시, 좁고 길게 접히고 또한 권회되어, 차량의 프론트 필러 및 루프 사이드 레일과 이것들을 덮는 내장재인 프론트 필러 트림 및 루프 사이드 트림 사이에 수납되어 있다
프론트 필러 트림은 전형적으로는 클립 조인트에 의해 프론트 필러에 고정되어 있다. 프론트 필러 트림은 비상 시에는 팽창한 쿠션에 밀려 클립 조인트에 의한 프론트 필러에의 결합이 해제됨으로써 프론트 필러로부터 분리된다. 그러나 프론트 필러 트림의 클립 조인트에 의한 결합을 해제하는 데 적합한 방법은 차량 측(차량 폭 방향 내측)인 바, 쿠션이 프론트 필러 트림을 밀어내는 방향은 쿠션이 팽창 전개하는 방향, 즉 하방이다.
이와 같이 프론트 플러 트림은 그것이 분리되기 쉬운 차 내측과는 실질적으로 90도 상이한 하측 방향으로 밀린다. 따라서, 쿠션이 팽창 전개하기 시작해도 프론트 필러 트림이 프론트 필러에서 분리되지 않는 상황이 발생하고, 팽창한 쿠션에 의해 프론트 필러 트림의 일부가 파손되거나, 프론트 필러 트림에 쿠션이 걸려 쿠션의 팽창 전개가 방해받는다고 하는 문제가 발생하고 있었다
특히, 최근 차량이 경사진 전방으로부터의 충격을 받아 승차인이 경사진 전방으로 이동하는, 이른바 오블리크 충돌이 발생했을 경우의 승차인의 보호가 과제가 되고 있다. 그 때문에 커튼 에어백 전단에 챔버의 추가가 실시되고, 그 결과 쿠션 중 프론트 필러와 프론트 필러 트림 사이에 수납되는 부분의 체적이 계속 커지고 있다. 그러나, 이렇게 증가한 쿠션 체적에 대응하여 프론트 필러와 프론트 필러 트림 사이의 공간을 넓히는 것은 어려우며, 이 공간에 수납되는 쿠션은 공간적인 여유가 거의 없는 상태로 수납되어 있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는 쿠션은 팽창 전개할 시에 프론트 필러 트림을 과도하게 압박하기 쉽고, 상술한 팽창 전개가 방해받는 문제가 보다 현저하게 발생하고 있었다
이들 문제의 대책을 위하여, 프론트 필러 트림에 테이프를 붙여 프론트 필러 트림의 파손을 방지하거나 쿠션의 사양 변경을 변경하여 프론트 필러 트림에 걸리지 않도록 하는 대책이 별도로 채용되고 있었다. 그러나 이러한 대책은 근본적인 문제의 해결이라고 하기 힘들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문제를 감안하여 쿠션이 그 팽창 전개 시에 프론트 필러 트림을 파손하거나 프론트 필러 트림에 걸리는 것을 방지 가능한 커튼 에어백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본 발명은 주머니상으로 구성되고, 권회되거나 또는 접힘으로써, 좁고 긴 수납 상태가 되어 차체 측벽 상부를 이루는 프론트 필러부터 루프 사이드 레일에 걸쳐 수납되는 쿠션과, 해당 쿠션에 팽창 전개용 가스를 공급하는 인플레이터를 포함하는 커튼 에어백 장치에서, 해당 장치는 또한 긴 사이즈의 제1 스트랩을 포함하고, 제1 스트랩의 일단은 프론트 필러에 설치되고, 제1 스트랩의 타단은 수납 형태에 따른 쿠션의 차내 측에 설치되며, 제1 스트랩은 쿠션이 팽창 전개함으로써 차내 측으로 이동 및 긴장하고, 플론트 필러를 덮는 프론트 필러 트림을 차내 측을 향하여 밀어내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쿠션이 팽창 전개함으로써 차 내측으로 이동 및 긴장하는 제1 스트랩에 의해, 프론트 필러 트림을 차내 측으로 밀어내는 것이 가능하다. 차 내측은 프론트 필러 트림이 프론트 필러에서 분리되는데 가장 적합한 방향이므로, 프론트 필러 트림을 프론트 필러로부터 보다 확실하게 분리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하면 팽창한 쿠션이 프론트 필러 트림을 부적절한 방향으로 밀어냄으로써, 프론트 필러 트림의 일부가 파손되거나 프론트 필러 트림에 쿠션이 걸려 쿠션의 팽창 전개가 방해받는다고 하는 문제를 해결 가능하다.
특히 본 발명에 의하면, 쿠션이 프론트 필러와 프론트 필러 트림 사이에서 공간적인 여유가 거의 없는 상태에서 수납되어 있는 경우에서도 프론트 필러 트림은 쿠션에 걸리는 일 없이 원활하게 분리된다. 이것에 의해 프론트 필러 트림에 쿠션이 걸려 쿠션의 팽창 전개가 방해받는 일은 없다. 따라서, 쿠션의 원활한 팽창 전개가 가능하다.
제1 스트랩의 타단은 쿠션 중 수납 형태에서 팽창 전개에 이르기까지 쿠션의 차 내측의 표면에 계속 위치하는 장소에 설치되면 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쿠션의 팽창 전개 시, 제1 스트랩을 확실하게 차 내측으로 이동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제1 스트랩의 타단은 수납 형태에 따른 쿠션 중 루프 사이드 레일에 수납되는 부분에 설치되어 있고, 제1 스트랩의 일단부터 타단에 걸친 전체가 수납 형태에 따른 쿠션의 차 내측의 표면에 배치되면 된다. 이러한 배치에 의해, 쿠션의 팽창 전개 시, 제1 스트랩 전체를 원활하게 긴장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것에 의해, 보다 빠르게 프론트 필러 트림을 차 내측으로 밀어내는 것이 가능해진다.
제1 스트랩의 타단은 쿠션 중 인플레이터로부터 팽창 전개용 가스가 처음 공급되는 영역에 설치되어 있으면 된다. 이러한 영역에 설치된 제1 스트랩은 팽창 전개 초기, 다시 말해 쿠션이 전개하기 시작하면 실질적으로 동시에 차 내측으로 이동 및 긴장하고, 쿠션의 다른 영역이 팽창하여 프론트 필러 트림에 접촉하기 전에, 프론트 필러 트림을 프론트 필러로부터 분리하는 것이 가능하기 때문이다. 쿠션 중 프론트 필러를 따라 수납되어 있던 부분은 프론트 필러 트림이 분리된 후에 팽창하기 때문에, 프론트 필러 트림을 파손하거나 프론트 필러 트림에 걸리는 경우가 더욱 확실하게 방지된다.
상기 쿠션은 여러 개의 챔버와, 여러 개의 챔버 상부에 위치하여 팽창 전개용 가스를 여러 개의 챔버에 유통시키는 덕트를 가지고, 제1 스트랩의 타단은 덕트 상에 설치되어 있으면 된다. 인플레이터로부터 팽창 전개용 가스가 제일 처음 공급되는 영역은 턱트이고, 덕트로부터 각 챔버에 팽창 전개용 가스가 유통하기 때문이다.
제1 스트랩의 타단은 센터 필러의 근방에 설치되어 있으면 된다. 이와 같이 함으로써, 제1 스트랩은 쿠션의 팽창 전개 당초에 프론트 필러 트림 근방에서 차 내측으로 이동하는 부분을 경유한다. 따라서, 제1 스트랩은 현저하게 차 내측으로 이동하고, 높은 인장 강도로 긴장하며, 프론트 필러와 프론트 필러 트림과의 결합을 강한 힘으로 분리하는 것이 가능하다.
해당 커튼 에어백 장치는 또한 팽창 전개했을 때의 쿠션의 전단부와 프론트 필러를 잇는 제2 스트랩을 포함하고, 제2 스트랩은 쿠션이 팽창 전개했을 때 쿠션의 하부에 적어도 차량 전후 방향의 장력을 가져오면 된다. 제2 스트랩은 이른바 텐션 벨트로 불리고, 제2 스트랩이 쿠션의 하부에 가져오는 장력에 의해 쿠션을 안정하게 팽창 전개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쿠션이 그 팽창 전개 시에 프론트 필러 트림을 파손하거나 프론트 필러 트림에 걸리는 것을 방지 가능한 커튼 에어백 장치를 제공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한 커튼 에어백 장치를 예시하는 도이다.
도 2는 도 1(a)의 전개 상태에 따른 쿠션의 상세한 내용을 예시한 도이다.
도 3은 도 2의 쿠션이 권회되고 있는 수납 형태를 예시한 도이다.
도 4는 도 1의 쿠션 팽창 전개 초기 상황을 차량 상방에서 예시한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3(a)의 D-D 단면도이고, 도 4의 쿠션의 팽창 전개의 다음 단계를 예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2는 도 1(a)의 전개 상태에 따른 쿠션의 상세한 내용을 예시한 도이다.
도 3은 도 2의 쿠션이 권회되고 있는 수납 형태를 예시한 도이다.
도 4는 도 1의 쿠션 팽창 전개 초기 상황을 차량 상방에서 예시한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3(a)의 D-D 단면도이고, 도 4의 쿠션의 팽창 전개의 다음 단계를 예시하는 단면도이다.
이하에 첨부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호적한 실시형태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이러한 실시형태에 나타내는 치수, 재료, 기타 구체적인 수치 등은 발명의 이해를 용이하게 하기 위한 예시에 불과하고, 특별히 설명하는 경우를 제외하고 본 발명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명세서 및 도면에서, 실질적으로 동일한 기능, 구성을 가지는 요소에 대해서는 동일 부호를 붙임으로써 중복되는 설명을 생략하고, 또한 본 발명에 직접 관계가 없는 요소는 도시를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한 커튼 에어백 장치(100)를 예시한 도이다. 도 1(a) 및 도 1(b)는 차체 측벽을 차 내측에서 본 도로서, 커튼 에어백 장치(100)의 쿠션(102) 수납 형태 및 팽창 전개 시의 상태를 각각 예시하고 있다.
쿠션(102)은 긴급 시에 팽창 전개하여 승차인을 보호하는 부위이다. 쿠션(102)은 도 1(a)에 예시한 바와 같이, 통상 시에는 권회되어 차량 전후에 좁고 긴 롤상의 수납 형태가 되고, 차체 측벽의 상부를 이루는 프론트 필러(104) 및 루프 사이드 레일(106)에 걸어 설치되어 있다. 프론트 필러(104) 및 루프 사이드 레일(106)은 실제로 프론트 필러 트림(184)(도 4 참조. 도 1에서는 도시 생략) 및 루프 트림(도시 생략)에 의해 각각 덮여 있다. 그 때문에, 쿠션(102)은 통상 시에는 차실 내에서는 육안 확인 불가하다.
쿠션(102)의 상부에는 가스 발생 장치인, 예를 들어 실린더형(통형)의 인플레이터(110)가 설치되어 있다. 쿠션(102)은 도 1(b)에 예시한 바와 같이, 인플레이터(110)에서 공급되는 가스의 압력에 의해 팽창하여 승차인을 구속한다. 현재 보급되고 있는 인플레이터에는 가스 발생제가 충전되어 있고, 이것을 연소시켜 가스를 발생시키는 타입 혹은 압축 가스가 충전되어 있어 열을 발생시키는 일 없이 가스를 공급하는 타입, 또는 가스 발생제와 압축 가스를 쌍방 구비한 타입인 것 등이 존재한다. 인플레이터(110)로서 어느 타입도 이용 가능하다.
도 1(a)에 예시하는 상태에서, 차량에 측면 충돌 시나 롤 오버(전복) 등이 발생하면 먼저 차량에 구비된 센서(도시 생략)가 충격을 감지하고, 이것에 기인하여 인플레이터(110)에 신호가 발신된다. 이 신호를 받아 인플레이터(110)가 작동하고 쿠션(102)에 가스가 공급된다. 쿠션(102)은 인플레이터(110)에서 가스가 공급되면 도 1(b)에 예시한 바와 같이, 차실의 측벽 다시 말해 사이드 윈도우(112), (114)를 따라 하방을 향하여 팽창 전개하여 승차인을 보호한다.
도 2는 도 1(a)의 전개 상태에 따른 쿠션(102)의 상세한 내용을 예시한 도이다. 도 2(a)는 전개 상태에 따른 쿠션(102)의 전체 도이며, 도 2(b)는 도 2(a)의 전개 상태의 쿠션(102)에 따른 범위(C)의 상세한 도이다. 쿠션(102)은 앞뒤 2장의 포지(布地)(기포(基布))를 겹쳐 봉제 및/또는 접착한, 이른바 컷 앤 소운(cut and sewn)에 의해 주머니상으로 형상되어 있다. 단, OPW(One-Piece Woven)방식을 이용하여 주머니상으로 형성해도 된다.
쿠션(102)의 상부 가장자리에는 이것을 차량에 설치하기 위한 설치 태브(126)가 여러 개 설치되어 있다. 설치 태브(126)는 띠상으로서, 본 실시형태에서는 볼트(128)에 의해 프론트 필러(104) 및 루프 사이드 레일(106)에 고정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쿠션(102)은 차량에 설치되어 있다.
도 2(a)에 예시한 바와 같이, 쿠션(102)의 팽창 영역은 승차인이 접촉 가능한 위치 등을 고려하여 여러 개의 작은 방(챔버)으로 구획되어 있다. 차량 전방 측에는 전방부 좌석(130)(도 1(b) 참조)의 승차인을 받아내는 것을 목적으로 한 전방 챔버(132), (134), (136)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차량 후방 측에는 후방부 좌석(140)의 승차인을 받아내는 것을 목적으로 한 후방 챔버(142)가 형성되어 있다.
쿠션(102) 상부, 다시 말해 각 챔버(132), (134), (136), (142)의 상부에는 차량의 전후 방향으로 연장하는 턱트(146)가 설치되어 있다. 덕트(146)는 인플레이터(110)로부터의 가스를 각 챔버에 효율 좋게 분배하기 위한 것이다. 따라서, 인플레이터(110)가 작동하면 가스는 먼저 덕트(146)에 흐르고, 덕트에서 각 챔버(132), (134), (136), (142)에 유통된다.
도 2(a)에 예시한 바와 같이, 커튼 에어백 장치(100)는 장척(長尺) 제1 스트랩(148)을 구비하고 있다. 제1 스트랩(148)의 일단(156)은 프론트 필러(104)에 설치되고, 타단(162)은 도 2(b)에 예시한 바와 같이 쿠션(102)에 고정되어 있다.
쿠션(102)의 전단부에는 폭이 넓은 면을 가지는 장척(長尺) 띠 형상의 끈인 제2 스트랩(150)이 설치되어 있다. 제2 스트랩(150)은 쿠션(102)을 차량에, 구체적으로는 프론트 필러(104)에 연결하는 부재이다. 제2 스트랩(150)의 일단(152)은 프론트 필러(104)에 예를 들어 도시하지 않은 볼트 등에 의해 고정되고, 또한 타단(154)은 쿠션(102)의 차량 전방의 하부에 봉제 및/또는 접착에 의해 고정되어 있다. 제2 스트랩(150)에 의해 쿠션(102)이 팽창 전개했을 때 쿠션(102)의 하부에 적어도 차량 전후 방향의 장력을 가져오는 것이 가능해지고 쿠션(102)을 안정적으로 전개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본 실시형태의 특징은 제1 스트랩(148)에 있다. 이하, 제1 스트랩(148)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제1 스트랩(148)은 도 2(a)에 나타낸 것처럼, 제2 스트랩(150)과 동일하게 폭이 넓은 면을 가지는 장척(長尺) 띠 형상의 끈으로서, 에어백의 기술분야에서 종래 주지한 각종 소재로 형성되어 있다. 제1 스트랩(148)과 제2 스트랩(150)은 동일 소재로 형성되어 있어도 되고, 각각 상이한 소재로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 제1 스트랩(148)의 폭이 넓은 면은 차 내측, 다시 말해 팽창 전개 시에 승차인과 접촉하는 측과 접하고 있다.
제1 스트랩(148)의 일단(156)은 프론트 필러(104)에 따른 스트랩 고정부(158)에, 예를 들어 볼트(도시 안 함) 등에 의해 고정되어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스트랩 고정부(158)에는 제2 스트랩(150)의 프론트 필러(104) 측의 단부(152)도 고정되어 있지만, 단부(152)는 스트랩 고정부(158)와는 다른 곳에서 프론트 필러(104)에 고정되어 있어도 된다.
한편, 도 2(b)에 예시한 바와 같이, 제1 스트랩(148)의 타단(162)은 쿠션(102)의 차 내측 기포(170)에 따른 덕트(146) 상에 고정되어 있다. 이와 같이, 제1 스트랩(148)의 타단(162)은 예를 들어 봉제 및/또는 접착에 의한 고정점(166)에 의해, 쿠션(102)의 차 내측 기포(170)에 따른 덕트(146) 상이나 덕트(146) 근방, 다시 말해 인플레이터(110)에서 가스가 최초로 공급되는 영역 내에 있다.
도 3은 도 2의 쿠션이 권회되고 있는 수납 형태를 예시한 도이다. 도 3(a)는 수납 형태, 즉 롤상으로 되어 있는 쿠션(102)을 차 내측에서 본 도이다. 도 3(b)는 도 3(a)의 롤상의 쿠션(102)의 A-A 단면도이고, 도 3(c)는 도 3(b)에 따른 범위(B)의 확대도이다.
도 3(b) 및 도 3(c)에 예시한 바와 같이, 제1 스트랩(148)의 타단(162)은 쿠션(102)의 차 내측 기포(170)에서, 쿠션(102)이 수납 상태가 됐을 시에 차 내측이 되는 장소에 고정점(166)에 의해 고정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제1 스트랩(148)의 타단(162)은 수납 형태의 쿠션(102)을 나타내는 도 3(b) 및 도 3(c)와, 전개 후의 쿠션(102)을 나타내는 도 2(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쿠션(102)의 차 내측 기포(170) 중, 쿠션(102)의 수납 형태에서 팽창 전개에 달할 때까지 쿠션(102)의 차 내측 표면에 계속 위치하는 장소(122)에 설치되어 있다. 환언하자면,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팽창 전개했을 때 쿠션(102)(덕트(146))의 차 내측에 위치할 뿐만 아니라 도 3(b) 및 도 3(c)과 같이 쿠션(102)이 수납 형태일 때부터 이미 쿠션(102)에서 가장 차 내측에 위치하고 있다. 따라서 제1 스트랩(148)은 가령 루프 트림이나 프론트 필러 트림(184)을 제거하면, 도 3(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차실 내측에서 육안 확인 가능하다. 이와 같이, 제1 스트랩(148)의 타단(162)을 수납 형태에서 팽창 전개에 이를 때까지 쿠션(102)의 차 내측 표면에 계속 위치하는 장소(122)에 설치함으로써 쿠션의 팽창 전개 중, 제1 스트랩(148)을 항상 차 내측에 위치시킬 수 있다. 따라서, 제1 스트랩을 확실하게 차 내측으로 이동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도 3(a)에 예시한 바와 같이, 제1 스트랩(148)의 타단(162)은 수납 형태에 따른 쿠션(102) 중 루프 사이드 레일(106)에 수납되는 부분(144)에 설치되어 있다. 또한, 제1 스트랩(148)은 제1 스트랩(148)의 일단(156)부터 타단(162)에 걸친 전체가 수납 형태에 따른 쿠션(102)의 차 내측의 표면에 배치되어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제1 스트랩(148)의 타단(162)뿐만 아니라 일단(156)부터 타단(162)에 걸친 전체를 수납 상태에 따른 롤상의 쿠션(102)의 가장 차 내측에 위치시킨다. 이것에 의해, 쿠션의 팽창 전개 시, 제1 스트랩 전체를 원활하게 긴장시키는 것이 가능해지고, 보다 빠르게 프론트 필러 트림을 차 내측으로 밀어내는 것이 가능해진다. 제1 스트랩을 이와 같은 위치에 있도록 하기 위해, 본 실시형태에서는 쿠션(102)을 다음과 같이 권회한다. 즉, 차량 전후 방향으로 장척 롤상으로 권회할 시에 쿠션(102)의 하단을 차량 폭 방향 외측으로 들어올리도록 하여 아래에서 위를 향하여 권회하며, 최종적으로 도 3(b)에 예시하는 수납 형태로 한다. 쿠션(102)의 좁고 긴 수납 형태는 쿠션(102)을 접음으로써 형성해도 되고, 이 경우에도 제1 스트랩(148)의 타단(162)뿐만 아니라 일단(156)에서 타단(162)에 걸친 전체가 접힌 쿠션(102)에서 가장 차 내측에 위치하도록 쿠션(102)을 접는다.
도 4는 도 1의 쿠션(102)의 팽창 전개 초기 상황을 차량 상방에서 예시한 단면도이다. 도 4에서는 프론트 필러(104)가 실제로 그러한 것처럼, 프론트 필러 트림(184)으로 덮여 있다.
도 4에 예시한 바와 같이, 제1 스트랩(148)의 타단(162)은 센터 필러(164) 근방에 설치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제1 스트랩(148)은 쿠션(102)의 팽창 전개 당초에 프론트 필러 트림(184) 근방에서 가장 차 내측으로 이동하는 부분(186)을 경유한다. 이러한 부분(186)을 경유하는 제1 스트랩(148)은 현저하게 차 내측으로 이동시키고, 또한 높은 인장 강도로 긴장시킬 수 있다. 따라서, 제1 스트랩(148)은 미 팽창부에 가스가 도달하는 것보다 먼저 프론트 필러 트림(184)의 루프 트림측 단부(190)를 보다 강한 힘으로 차 내측으로 밀어내는 것이 가능하고, 그것에 의해 클립(188)에 의한 프론트 필러(104)와 프론트 필러 트림(184)과의 결합을 강한 힘으로 분리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5는 도 3(a)의 D-D 단면도이고, 도 4의 쿠션(102)의 팽창 전개 다음 단계를 예시하는 도이다. 도 5에서도 프론트 필러(104)가 실제로 그러한 것처럼, 프론트 필러 트림(184)으로 덮여 있다. 프론트 필러 트림(184)은 클립(188)에 의해 프론트 필러(104)에 고정되어 있다. 아래에, 도 4 및 도 5를 이용하여 본 발명에 의한 커튼 에어백(100)의 쿠션(102)의 팽창 전개 상황을 설명한다.
도 4에 예시한 바와 같이, 쿠션(102)의 팽창 전개 초기, 인플레이터(110)로부터 팽창 전개용 가스가 최초로 공급되는 덕트(146)가 팽창함으로써, 제1 스트랩(148)은 화살표(198)에 나타난 것처럼 차 내측으로 이동하면서 긴장한다. 그 때문에, 도 5에 예시한 바와 같이, 제1 스트랩(148)에 의해 프론트 필러 트림(184)은 화살표(200)로 나타낸 것처럼 차 내측으로 향하여 밀린다. 차 내측은 프론트 필러 트림(184)의 클립(188)에 의한 고정을 프론트 필러(104)에서 분리하는 데 최적한 방향이므로, 프론트 필러 트림(184)을 프론트 필러(104)로부터 보다 확실하게 분리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따라서, 덕트(146)보다도 늦게 팽창 전개하는 쿠션(102)의 챔버(134) 기타 영역은 이미 프론트 필러 트림(184)이 분리된 후에, 화살표(202)에 나타낸 것처럼 하방을 향하여 전개한다. 다시 말해, 쿠션(102)은 프론트 필러 트림(184)을 부적절한 방향으로 밀어낸다고 하는 거동을 취하는 일 없이, 프론트 필러 트림(184)을 파손하거나 프론트 필러 트림(184)에 걸리는 일이 없다.
이것은 프론트 필러(104)와 프론트 필러 트림(184) 사이에 공간적인 여유가 거의 없는 상태에서 쿠션(102)이 수납되어 있는 경우에 특히 효과적이다. 다시 말해, 쿠션(102)의 수납 시에 푸론트 필러(104)와 프론트 필러 트림(184) 사이에 여유가 거의 없는 경우, 프론트 필러 트림(184)은 쿠션(102)에 의해 과도하게 압박되어 파손되기 쉽다. 그러나, 본 실시형태에서는 쿠션(102)의 팽창 전개 초기에 제1 스트랩(148)에 의해 프론트 필러 트림(184)을 확실하게 차 내측을 향하여 밀어내므로, 프론트 필러 트림(184)이 과도하게 압박받는다고 하는 사태가 발생하지 않는다. 따라서, 프론트 필러 트림(184)은 프론트 필러 트림(184)이 파손되거나 팽창 전개 중의 쿠션(102)에 걸리는 일 없이 원활하게 분리된다. 이에 의해, 쿠션(102)의 원활한 팽창 전개가 가능하다.
이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 의하면, 프론트 필러 트림(184)의 파손 방지를 위한 테이프를 프론트 필러 트림(184)에 설치하는 등의 조치를 실시할 필요가 없다. 또한, 쿠션(102)의 사양 변경이나 걸림 방지를 위한 대책 시험을 실시하는 것도 폐지 가능하다. 특히, 본 실시형태에서는 제1 스트랩을 연장하여 배설한다고 하는 간단하고 저렴한 구성으로 상술한 효과를 얻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제1 스트랩(148)은 단부(162)에서의 고정에 추가하여 임의의 장소에서 쿠션(102)에 고정되어 있어도 된다. 이 경우, 임의의 장소에서의 고정은 단부(162)에서의 고정과 비해 가볍게 봉제 및/또는 접착하는 정도면 된다. 이와 같이 제1 스트랩(148)을 한층 더 고정함으로써 쿠션(102)의 팽창 전개 시에 제1 스트랩(148)을 안정적으로 쿠션(102)과 접촉시키면서 긴장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이상, 첨부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호적한 실시형태에 대하여 설명했지만, 이상에 서술한 실시형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예로서, 이것 이외의 실시형태도 각종 방법으로 실시 또는 수행 가능하다. 특히, 본 출원 명세서 중에 한정된다는 주지의 기재가 없는 한, 이 발명은 첨부 도면에 나타낸 세부 부품의 형상, 크기 및 구성 배치 등으로 제약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출원 명세서 중에 이용된 표현 및 용어는 설명을 목적으로 한 것으로서, 특별히 한정된다는 주지의 기재가 없는 한 그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당업자이면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범주 내에서, 각종 변경예 또는 수정예로 상정할 수 있는 것은 분명하며, 그것들에 대해서도 당연히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이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본 발명에 관한 커튼 에어백 장치를 자동차에 적용한 예를 설명했지만, 자동차 이외에도 항공기나 선박 등에 적용하는 것도 가능하고 동일한 작용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은 차 내측면에서 커튼상으로 팽창 전개하여 승차인을 구속하는 커튼 에어백 장치에 이용할 수 있다.
100 커튼 에어백 장치
102 쿠션
104 프론트 필러
106 루프 사이드 레일
108 차량
110 인플레이터
112, 114 사이드 윈도우
122 쿠션의 차 내측 표면에 계속 위치하는 장소
126 설치 태브
128 볼트
130 전방부 좌석
132, 134, 136 전방 챔버
140 후방부 좌석
142 후방 챔버
144 수납 형태에 따른 쿠션 중 루프 사이드 레일에 수납되는 부분
146 덕트
148 제1 스트랩
150 제2 스트랩
152 제2 스트랩의 일단
154 제2 스트랩의 타단
156 제1 스트랩의 일단
158 스트랩 고정부
162 제1 스트랩의 타단
164 센터 필러
170 쿠션의 차 내측 기포
184 프론트 필러 트림
186 제일 차 내측으로 이동하는 부분
188 클립
190 프론트 필러 트림의 후단부
102 쿠션
104 프론트 필러
106 루프 사이드 레일
108 차량
110 인플레이터
112, 114 사이드 윈도우
122 쿠션의 차 내측 표면에 계속 위치하는 장소
126 설치 태브
128 볼트
130 전방부 좌석
132, 134, 136 전방 챔버
140 후방부 좌석
142 후방 챔버
144 수납 형태에 따른 쿠션 중 루프 사이드 레일에 수납되는 부분
146 덕트
148 제1 스트랩
150 제2 스트랩
152 제2 스트랩의 일단
154 제2 스트랩의 타단
156 제1 스트랩의 일단
158 스트랩 고정부
162 제1 스트랩의 타단
164 센터 필러
170 쿠션의 차 내측 기포
184 프론트 필러 트림
186 제일 차 내측으로 이동하는 부분
188 클립
190 프론트 필러 트림의 후단부
Claims (7)
- 주머니상으로 구성되고, 권회되거나 또는 접힘으로써 좁고 긴 수납 형태가 되어 차체 측벽 상부를 이루는 프론트 필러에서 루프 사이드 레일에 걸쳐 수납되는 쿠션과, 해당 쿠션에 팽창 전개용 가스를 공급하는 인플레이터를 포함하는 커튼 에어백 장치에서,
해당 장치는 또한 장척 제1 스트랩을 포함하고,
제1 스트랩의 일단은 프론트 필러에 설치되고,
제1 스트랩의 타단은 상기 수납 형태에 따른 쿠션의 차 내측에 설치되고,
제1 스트랩은 상기 쿠션이 팽창 전개함으로써 차 내측으로 이동 및 긴장하고, 상기 프론트 필러를 덮는 프론트 필러 트림을 차 내측을 향하여 밀어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튼 에어백 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제1 스트랩의 타단은 상기 쿠션 중 상기 수납 형태부터 팽창 전개에 이르기까지 해당 쿠션의 차 내측 표면에 계속 위치하는 장소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튼 에어백 장치. -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제1 스트랩의 타단은 상기 수납 형태에 따른 쿠션 중 상기 루프 사이드 레일에 수납되는 부분에 설치되어 있고,
제1 스트랩의 상기 일단에서 상기 타단에 걸친 전체가 상기 수납 형태에 따른 쿠션의 차 내측 표면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튼 에어백 장치. -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제1 스트랩의 타단은 상기 쿠션 중 상기 인플레이터에서 상기 팽창 전개용 가스가 최초로 공급되는 영역에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튼 에어백 장치. -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쿠션은
여러 개의 챔버와,
상기 여러 개의 챔버 상부에 위치하여, 상기 팽창 전개용 가스를 상기 여러 개의 챔버에 유통시키는 덕트를 가지고,
제1 스트랩의 타단은 상기 덕트 상에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튼 에어백 장치. -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제1 스트랩의 타단은 센터 필러 근방에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튼 에어백 장치. -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커튼 에어백 장치는 또한
상기 팽창 전개했을 때의 쿠션 전단부와 상기 프론트 필러를 잇는 제2 스트랩을 포함하고,
제2 스트랩은 해당 쿠션이 팽창 전개했을 때에 해당 쿠션에 적어도 차량 전후 방향의 장력을 가져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튼 에어백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JP2014219848 | 2014-10-29 | ||
JPJP-P-2014-219848 | 2014-10-29 | ||
PCT/JP2015/077248 WO2016067796A1 (ja) | 2014-10-29 | 2015-09-28 | カーテンエアバッグ装置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70040353A true KR20170040353A (ko) | 2017-04-12 |
KR101917330B1 KR101917330B1 (ko) | 2018-11-09 |
Family
ID=558571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77006802A KR101917330B1 (ko) | 2014-10-29 | 2015-09-28 | 커튼 에어백 장치 |
Country Status (6)
Country | Link |
---|---|
US (1) | US10434971B2 (ko) |
EP (1) | EP3213967B1 (ko) |
JP (1) | JP6214787B2 (ko) |
KR (1) | KR101917330B1 (ko) |
CN (1) | CN107074184B (ko) |
WO (1) | WO2016067796A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7074184B (zh) * | 2014-10-29 | 2019-11-29 | 奥托立夫开发公司 | 帘式气囊装置 |
JP6578910B2 (ja) * | 2015-11-30 | 2019-09-25 | 豊田合成株式会社 | 頭部保護エアバッグ装置及び頭部保護エアバッグの折り完了体 |
JP6764795B2 (ja) * | 2017-01-25 | 2020-10-07 | 芦森工業株式会社 | カーテンエアバッグ装置 |
JP6627832B2 (ja) * | 2017-08-10 | 2020-01-08 | マツダ株式会社 | 車両の内装構造 |
JP6783979B2 (ja) * | 2017-09-28 | 2020-11-11 | 豊田合成株式会社 | 頭部保護エアバッグ装置 |
US11524652B2 (en) * | 2018-12-20 | 2022-12-13 | Autoliv Development Ab | Curtain airbag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for |
US11167715B2 (en) * | 2020-01-14 | 2021-11-09 | Autoliv Asp, Inc. | Vehicle pillar release assemblies and related methods |
US11370367B2 (en) * | 2020-05-26 | 2022-06-28 | Ford Global Technology, Llc | Open-frame vehicle having a two-piece trim member |
US11912229B2 (en) * | 2021-03-30 | 2024-02-27 | Honda Motor Co., Ltd. | Lid for airbag tether deployment in vehicles |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4122195B2 (ja) | 2002-08-29 | 2008-07-23 | 日本プラスト株式会社 | エアバッグ装置 |
Family Cites Families (2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DE29814990U1 (de) * | 1998-08-20 | 1998-12-17 | Trw Repa Gmbh | Gassack |
US6176515B1 (en) * | 1999-10-07 | 2001-01-23 | Trw Vehicle Safety Systems Inc. | Inflatable curtain with positioning device |
US6237939B1 (en) * | 2000-01-21 | 2001-05-29 | Trw Vehicle Safety Systems Inc. | Inflatable curtain |
DE10140982A1 (de) * | 2000-08-25 | 2002-03-07 | Trw Repa Gmbh | Fahrzeuginsassen-Schutzsystem mit Gassack |
US6505853B2 (en) * | 2001-03-07 | 2003-01-14 | Trw Inc. | Inflatable curtain with positioning device |
US6508486B1 (en) * | 2001-06-06 | 2003-01-21 | Delphi Technologies, Inc. | Door mounted side restraint |
JP2003341464A (ja) * | 2002-05-24 | 2003-12-03 | Takata Corp | カーテンエアバッグ |
JP4481575B2 (ja) | 2003-02-26 | 2010-06-16 | 日本プラスト株式会社 | カーテンエアバッグ |
JP4269928B2 (ja) * | 2003-12-19 | 2009-05-27 | タカタ株式会社 | カーテンエアバッグのガイド装置及びカーテンエアバッグ装置 |
US7762578B2 (en) * | 2006-09-29 | 2010-07-27 | Nissan Technical Center North America, Inc. | Tether guided inflatable sail panel |
US7735863B2 (en) * | 2006-11-06 | 2010-06-15 | Autoliv Asp, Inc. | Ejection mitigation panel |
US7658401B2 (en) * | 2007-01-31 | 2010-02-09 |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 Inflatable curtain airbag systems |
US7823922B2 (en) * | 2008-07-16 | 2010-11-02 | Autoliv Asp, Inc. | Tether systems for inflatable cushions |
US8282124B2 (en) * | 2009-03-05 | 2012-10-09 | Tk Holdings Inc. | Side curtain airbag having a main chamber and an extension chamber |
KR101070147B1 (ko) * | 2009-10-07 | 2011-10-05 | 아우토리브 디벨롭먼트 아베 | 자동차용 커튼 에어백 모듈 |
JP5387609B2 (ja) * | 2011-04-11 | 2014-01-15 |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 カーテンエアバッグ装置 |
US8876155B2 (en) * | 2011-04-20 | 2014-11-04 | Autoliv Development Ab | Curtain airbag device for vehicle |
US8439397B1 (en) * | 2012-05-29 | 2013-05-14 | Toyota Motor Engineering & Manufacturing North America, Inc. | Airbags comprising hingedly affixed non-inflatable support members |
US9242615B2 (en) * | 2012-10-04 | 2016-01-26 | Honda Motor Co., Ltd. | Automated vision inspection of a side curtain airbag assembly |
JP6116947B2 (ja) | 2013-03-14 | 2017-04-19 | 芦森工業株式会社 | エアバッグ装置 |
JP5915630B2 (ja) * | 2013-11-29 | 2016-05-11 | 豊田合成株式会社 | 頭部保護エアバッグ装置 |
US9764711B2 (en) * | 2014-08-07 | 2017-09-19 | Toyota Jidosha Kabushiki Kaisha | Vehicle pop-up hood device |
CN107074184B (zh) * | 2014-10-29 | 2019-11-29 | 奥托立夫开发公司 | 帘式气囊装置 |
JP2016124497A (ja) * | 2015-01-07 | 2016-07-11 | 芦森工業株式会社 | エアバッグ |
JP6420157B2 (ja) * | 2015-01-07 | 2018-11-07 | 芦森工業株式会社 | エアバッグ |
JP6764795B2 (ja) * | 2017-01-25 | 2020-10-07 | 芦森工業株式会社 | カーテンエアバッグ装置 |
-
2015
- 2015-09-28 CN CN201580049173.5A patent/CN107074184B/zh active Active
- 2015-09-28 KR KR1020177006802A patent/KR101917330B1/ko active IP Right Grant
- 2015-09-28 EP EP15854128.4A patent/EP3213967B1/en active Active
- 2015-09-28 JP JP2016556440A patent/JP6214787B2/ja active Active
- 2015-09-28 US US15/523,253 patent/US10434971B2/en active Active
- 2015-09-28 WO PCT/JP2015/077248 patent/WO2016067796A1/ja active Application Filing
Patent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4122195B2 (ja) | 2002-08-29 | 2008-07-23 | 日本プラスト株式会社 | エアバッグ装置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CN107074184A (zh) | 2017-08-18 |
WO2016067796A1 (ja) | 2016-05-06 |
EP3213967B1 (en) | 2019-08-21 |
EP3213967A1 (en) | 2017-09-06 |
US10434971B2 (en) | 2019-10-08 |
EP3213967A4 (en) | 2018-04-25 |
JPWO2016067796A1 (ja) | 2017-05-25 |
US20170327073A1 (en) | 2017-11-16 |
JP6214787B2 (ja) | 2017-10-18 |
KR101917330B1 (ko) | 2018-11-09 |
CN107074184B (zh) | 2019-11-29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917330B1 (ko) | 커튼 에어백 장치 | |
JP6734880B2 (ja) | カーテンエアバッグ用一体成形織り布地の費用効果的使用 | |
US9027954B2 (en) | Airbag device | |
JP5637192B2 (ja) | 車両用カーテンエアバッグ装置 | |
JP6508038B2 (ja) | サイドエアバッグ装置付き車両用シート | |
JP2017065398A (ja) | 頭部保護エアバッグ装置 | |
KR20200137994A (ko) | 사이드 에어백 장치 | |
KR20220100036A (ko) | 사이드 에어백 장치 | |
WO2009144971A1 (ja) | 頭部拘束エアバッグ装置 | |
JP2019098869A (ja) | 車両用カーテンエアバッグ装置 | |
JP2010006100A (ja) | 車両の内装構造 | |
JP2003212077A (ja) | 頭部保護エアバッグ装置 | |
JP2018127110A (ja) | サイドエアバッグ装置を搭載した車両用シート | |
JP2007076517A (ja) | 頭部保護エアバッグ装置 | |
JP2016124497A (ja) | エアバッグ | |
JP6577298B2 (ja) | エアバッグ装置 | |
JP7368210B2 (ja) | エアバッグ及びその折畳方法 | |
KR101867061B1 (ko) | 자동차의 커튼 에어백 | |
JP4776814B2 (ja) | 自動車の側突用エアバッグ装置 | |
JP5034552B2 (ja) | カーテンエアバッグ装置を備えた車両の後部構造 | |
JP6580480B2 (ja) | カーテンエアバッグ装置 | |
WO2011145413A1 (ja) | カーテンエアバッグ及びカーテンエアバッグ装置 | |
JP6090055B2 (ja) | サイドエアバッグ装置 | |
JP7512142B2 (ja) | カーテンエアバッグ装置 | |
JP5843432B2 (ja) | カーテンエアバッグ装置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