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30091A - 유리 클로스 - Google Patents

유리 클로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30091A
KR20170030091A KR1020177003201A KR20177003201A KR20170030091A KR 20170030091 A KR20170030091 A KR 20170030091A KR 1020177003201 A KR1020177003201 A KR 1020177003201A KR 20177003201 A KR20177003201 A KR 20177003201A KR 20170030091 A KR20170030091 A KR 2017003009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ss
weft
warp
glass
glass clot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70032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890384B1 (ko
Inventor
히로타카 이케지리
테이지 엔도
료스케 오사다
Original Assignee
니토 보세키 가부시기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54784420&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20170030091(A)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니토 보세키 가부시기가이샤 filed Critical 니토 보세키 가부시기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7003009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3009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9038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90384B1/ko

Link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DWOVEN FABRICS; METHODS OF WEAVING; LOOMS
    • D03D15/00Woven fabric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structure or properties of the fibres, filaments, yarns, threads or other warp or weft elements used
    • D03D15/20Woven fabric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structure or properties of the fibres, filaments, yarns, threads or other warp or weft elements used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the fibres or filaments constituting the yarns or threads
    • D03D15/242Woven fabric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structure or properties of the fibres, filaments, yarns, threads or other warp or weft elements used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the fibres or filaments constituting the yarns or threads inorganic, e.g. basalt
    • D03D15/267Glass
    • D03D15/0011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DWOVEN FABRICS; METHODS OF WEAVING; LOOMS
    • D03D1/00Woven fabrics designed to make specified articles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DWOVEN FABRICS; METHODS OF WEAVING; LOOMS
    • D03D1/00Woven fabrics designed to make specified articles
    • D03D1/0082Fabrics for printed circuit board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1/00Printed circuits
    • H05K1/02Details
    • H05K1/03Use of materials for the substrate
    • H05K1/0306Inorganic insulating substrates, e.g. ceramic, glas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Woven Fabrics (AREA)
  • Treatment Of Fiber Materials (AREA)

Abstract

제직성이 양호하여 유리 클로스의 두께를 저감시킬 수 있고, 게다가 경사 또는 위사 사이에 틈이 발생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고, 프리프레그로 제조했을 때에 휘어짐 및 핀 홀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는 유리 클로스를 제공한다.
유리 클로스는 경사와 위사로 구성되고, 7㎛~14㎛의 두께와, 1㎡당 7g~14g의 질량과, 20㎤/㎠/초~220㎤/㎠/초의 통기도를 구비한다. 경사와 위사는 3.5㎛~4.4㎛로 실질적으로 동일한 평균 직경을 구비하는 유리 필라멘트를 복수 개 집속하여 이루어지고, 1m당 5.0×10-7kg~1.7×10-6kg의 질량을 구비하고, 경사의 질량(Wt)에 대한 위사의 질량(Wy)의 비(Wy/Wt)가 1.26~1.42의 범위에 있으며, (Wy×Dy)/(Wt×Dt)가 1.06~1.60의 범위에 있다.

Description

유리 클로스{GLASS CLOTH}
본 발명은 유리 클로스에 관한 것이다.
종래 프린트 배선판에 있어서의 절연재료로서는, 복수 개의 유리 필라멘트가 집속되어 이루어지는 유리 섬유사를 경사와 위사로 하여 구성되는 유리 클로스에 에폭시 수지 등의 수지를 함침시킨 프리프레그가 이용되고 있다.
최근에 전자기기의 소형화, 박형화, 고기능화를 위해서 상기 프린트 배선판 및 상기 프리프레그의 박형화도 요구되고 있으며, 이를 위해서 두께가 저감된 유리 클로스가 제안되고 있다(예를 들어, 특허 제5027335호 공보 참조).
이러한 두께가 저감된 유리 클로스를 얻기 위해서, 수류, 수압, 롤에 의한 압력, 초음파에 의한 진동 등에 의해, 집속된 유리 필라멘트의 배열을 등방적으로 확장시켜서 경사 및 위사의 두께를 저감시킴과 동시에, 경사 또는 위사 사이의 틈을 감소시키는 개섬 가공을 행하는 것이 알려져 있다(예를 들어, 특개2002-242047호 공보)
특허 제5027335호 공보 특개2002-242047호 공보
그러나 상기 유리 클로스의 두께를 저감시키기 위해서 경사 및 위사를 구성하는 유리 필라멘트의 평균 직경을 보다 감소시키고, 또한 경사 및 위사를 구성하는 유리 필라멘트 개수를 보다 감소시키면, 개섬 가공을 행했다고 해도 경사 또는 위사 사이에 틈이 생기고, 이 틈에 기인하여 상기 프리프레그로 제조했을 때에 핀 홀이 발생할 수 있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를 해소하여, 제직성이 양호하고, 두께를 저감시킬 수 있으며, 게다가 경사 또는 위사 사이에 틈이 발생하는 것을 억제하여, 프리프레그로 제조했을 때에 휘어짐 및 핀 홀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는 유리 클로스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유리 클로스는 경사와 위사로 구성되고, 7㎛~14㎛의 범위의 두께와, 1㎡당 7g~14g의 범위의 질량과, 20㎤/㎠/초~220㎤/㎠/초의 범위의 통기도를 구비하는 유리 클로스이며, 상기 경사와 상기 위사는 3.5㎛~4.4㎛의 범위에서 실질적으로 동일한 평균 직경을 구비하는 유리 필라멘트를 복수 개 집속하여 이루어지고, 1m당 5.0×10-7kg~1.7×10-6kg의 범위의 질량을 구비하고, 상기 경사의 질량(Wt)에 대한 상기 위사의 질량(Wy)의 비(Wy/Wt)가 1.26~1.42의 범위에 있으며, 상기 경사의 질량(Wt)과 상기 경사의 직밀도(Dt)의 곱에 대한 상기 위사의 질량(Wy)과 상기 위사의 직밀도(Dy)의 곱의 비(Wy×Dy)/(Wt×Dt)가 1.06~1.60의 범위에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유리 클로스는 경사와 위사로 구성된 것이며, 전자기기의 소형화, 박형화, 고기능화에 대응하는 프리프레그에 사용하기 위해서 7㎛~14㎛의 범위의 두께와, 1㎡당 7g~14g의 범위의 질량을 구비할 필요가 있다. 본 발명의 유리 클로스에 있어서, 두께가 14㎛를 초과하거나, 또는 1㎡당 질량이 14g을 초과할 때에는 상기 전자기기의 소형화, 박형화, 고기능화에 대응할 수 없다. 또한 본 발명의 유리 클로스에 있어서, 두께를 7㎛ 미만, 또는 1㎡당 질량을 7g 미만으로 하는 것은 기술적으로 어렵다.
또한 본 발명의 유리 클로스는 20㎤/㎠/초~220㎤/㎠/초의 범위의 통기도를 구비할 필요가 있다. 본 발명의 유리 클로스에 있어서, 통기도가 220㎤/㎠/초를 초과할 때에는 상기 유리 클로스를 프리프레그로 제조했을 때에 핀 홀의 발생을 억제할 수 없다. 또한 본 발명의 유리 클로스에 있어서, 통기도를 20㎤/㎠/초 미만으로 하는 것을 기술적으로 어렵다.
본 발명의 유리 클로스에 있어서, 두께를 상기 범위로 하기 위해서, 상기 경사와 상기 위사는 3.5㎛~4.4㎛의 범위에서 실질적으로 동일한 평균 직경을 구비하는 유리 필라멘트를 20개~60개의 범위의 개수로 집속하여 이루어질 필요가 있다. 상기 경사 또는 상기 위사를 구성하는 상기 유리 필라멘트의 평균 직경이 4.4㎛를 초과할 때에는 유리 클로스의 두께가 상기 범위를 초과하게 된다. 또한 상기 경사 또는 위사를 구성하는 상기 유리 필라멘트의 평균 직경을 3.5㎛ 미만으로 하는 것은 기술적으로 어렵다.
또한 본 발명의 유리 클로스에 있어서, 1㎡당 질량 및 통기도를 상기 범위로 하기 위해서, 상기 경사와 상기 위사는 1m당 5.0×10-7kg~1.7×10-6kg의 범위의 질량을 구비할 필요가 있다. 상기 경사 또는 상기 위사의 1m당 질량이 1.7×10-6kg을 초과하면, 유리 클로스의 1㎡당 질량이 상기 범위를 초과하게 된다. 또한 상기 경사 또는 상기 위사의 1m당 질량을 5.0×10-7kg 미만으로 했을 경우에는 유리 클로스의 통기도가 상기 범위를 초과하게 된다.
상기 경사와 상기 위사를 이용하여 유리 클로스를 제직하는 경우, 상기 경사는 제직 라인의 길이방향으로 배치되기 때문에 장력이 걸린 상태여서 이동하기 어렵고, 개섬 가공을 행해도 실의 두께가 감소되기 어려우며, 상호의 간격이 벌어지기 쉽다. 한편, 상기 위사는 제직 라인의 폭 방향으로 배치되고, 장력이 걸리지 않는 상태이기 때문에 이동하기 쉽고, 개섬 가공에 의해 실의 두께가 감소되기 쉬우며, 상호의 간격을 좁히기 쉽다. 그러나 위사 쪽의 실의 두께가 감소되기 쉽고, 상호의 간격을 좁히기 쉽다고 하여, 유리 클로스 중에 존재하는 틈을 감소시키기 위해서 직밀도를 높임으로써 위사의 양을 증가시키면 제직성이 악화되고, 또한 경사방향과 위사방향에서 크림프율이 변함으로써 수축율이 크게 달라지므로, 프리프레그를 제조했을 때에 휘어짐이 발생한다.
본 발명자들은 제직성을 유지하고, 프리프레그 제조 시에 휘어짐을 발생시키지 않으며, 유리 클로스 중에 존재하는 틈을 저감시키는 수단에 대해서 검토한 결과, 상기 경사와 상기 위사의 질량을 바꿈으로써 제직성을 유지하고, 프리프레그 제조 시에 휘어짐을 발생시키지 않으며, 유리 클로스 중에 존재하는 틈을 저감시킬 수 있는 것을 발견했다.
이에, 본 발명의 유리 클로스에 있어서, 상기 경사와 상기 위사는 상기 경사의 질량(Wt)에 대한 상기 위사의 질량(Wy)의 비(Wy/Wt)가 1.26~1.42의 범위에 있으며, 상기 경사의 질량(Wt)과 상기 경사의 직밀도(Dt)의 곱에 대한 상기 위사의 질량(Wy)과 상기 위사의 직밀도(Dy)의 곱의 비(Wy×Dy)/(Wt×Dt)가 1.06~1.60의 범위에 있음으로 인해, 상기 위사 상호의 간격이 벌어지기 어렵게 하여, 통기도를 상기 범위로 할 수 있다.
상기 경사의 질량(Wt)에 대한 상기 위사의 질량(Wy)의 비(Wy/Wt)가 1.26 미미만, 또는 상기 경사의 질량(Wt)과 상기 경사의 직밀도(Dt)의 곱에 대한 상기 위사의 질량(Wy)과 상기 위사의 직밀도(Dy)의 곱의 비(Wy×Dy)/(Wt×Dt)가 1.06 미만이면 상기 통기도가 220㎤/㎠/초를 초과하여, 유리 클로스를 프리프레그로 제조했을 때에 핀 홀의 발생을 방지할 수 없다.
또한 상기 경사의 질량(Wt)에 대한 상기 위사의 질량(Wy)의 비(Wy/Wt)가 1.42를 초과하거나, 또는 상기 경사의 질량(Wt)과 상기 경사의 직밀도(Dt)의 곱에 대한 상기 위사의 질량(Wy)과 상기 위사의 직밀도(Dy)의 곱의 비(Wy×Dy)/(Wt×Dt)가 1.60을 초과하면, 얻어진 유리 클로스를 이용하여 프리프레그를 제조할 때에 휘어짐이 발생하거나, 제직 자체가 어려워진다.
다음에,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대해서 더 자세히 설명한다.
본 실시형태의 유리 클로스는 경사와 위사로 구성되고, 7㎛~14㎛, 바람직하게는 10㎛~13㎛의 범위의 두께와, 1㎡당 7g~14g, 바람직하게는 8g~11g의 범위의 질량과, 20㎤/㎠/초~220㎤/㎠/초, 바람직하게는 40㎤/㎠/초~220㎤/㎠/초, 보다 바람직하게는 50㎤/㎠/초~150㎤/㎠/초의 범위의 통기도를 구비한다.
또한 상기 유리 클로스의 두께는 JIS R 3420에 준거하여 마이크로미터에 의해 측정하고, 상기 유리 클로스의 중량은 JIS R 3420에 준거한 저울에 의해 측정하고, 상기 유리 클로스의 통기도는 JIS R 3420에 준거하여 프레이저형 통기성 시험기에 의해 측정한다.
여기서, 상기 경사와 상기 위사는 3.5㎛~4.4㎛의 범위에서 실질적으로 동일한 평균 직경을 구비하는 유리 필라멘트를 복수 개 집속하여 이루어지고(경사를 구성하는 유리 필라멘트와 위사를 구성하는 유리 필라멘트는 실질적으로 동일한 평균 직경을 갖는다), 1m당 5.0×10-7kg~1.7×10-6kg의 범위의 질량을 구비하고, 상기 경사의 직밀도(Dt)와 상기 위사의 직밀도(Dy)가 예를 들어 80개~115개/25.4mm의 범위에 있으며, 상기 경사의 질량(Wt)에 대한 상기 위사의 질량(Wy)의 비(Wy/Wt)가 1.26~1.42의 범위에 있으며, 상기 경사의 질량(Wt)과 상기 경사의 직밀도(Dt)의 곱에 대한 상기 위사의 질량(Wy)과 상기 위사의 직밀도(Dy)의 곱의 비(Wy×Dy)/(Wt×Dt)가 1.06~1.60의 범위에 있다.
상기 유리 필라멘트는 소정의 유리 배치(유리 원재료)를 용융하여 섬유화함으로써 얻어지고, 예를 들어 E 유리 섬유(범용 유리 섬유) 조성(SiO2를 52질량%~56질량%, B2O3를 5질량%~10질량%, Al2O3를 12질량%~16질량%, CaO와 MgO를 총 20질량%~25질량%, Na2O와 K2O와 Li2O를 총 0질량%~1질량% 포함한다), 고강도 유리 섬유 조성(SiO2를 57질량%~70질량%, Al2O3를 18질량%~30질량%, CaO를 0질량%~13질량%, MgO를 5질량%~15질량%, Li2O와 Na2O와 K2O를 총 0질량%~1질량%, TiO2를 0질량%~1질량%, B2O3를 0질량%~2질량% 포함한다), 저유전율 유리 섬유 조성(SiO2를 50질량%~60질량%, B2O3를 18질량%~25질량%, Al2O3를 10질량%~18질량%, CaO를 2질량%~9질량%, MgO를 0.1질량%~6질량%, Na2O와 K2O와 Li2O를 총 0.05질량%~0.5질량%, TiO2를 0.1질량%~5질량% 포함한다) 등의 조성을 구비하는 것을 이용할 수 있다. 범용성의 관점으로부터, 상기 유리 필라멘트는 E 유리 섬유 조성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프리프레그로 제조했을 때의 휘어짐의 억제라는 관점으로부터는, 상기 유리 필라멘트는 상기 고강도 유리 섬유 조성인 것이 바람직하고, SiO2를 64질량%~66질량%, Al2O3를 24질량%~26질량%, MgO를 9질량%~11질량% 포함하고, SiO2와 Al2O3와 MgO를 총 99질량% 이상 포함하는 유리 섬유 조성인 것이 더 바람직하다. 상기 유리 필라멘트는 예를 들어 20개~60개의 범위의 개수로, 그 자체가 공지된 방법에 의해 집속되고, 상기 경사 또는 상기 위사가 된다. 또한 유리 배치를 용융하고, 섬유화하여 유리 필라멘트를 얻고, 이어서 이 유리 필라멘트 복수 개를 집속하여 경사 또는 위사를 얻는 것을 방사라고 한다.
상기 경사를 구성하는 유리 필라멘트 및 상기 위사를 구성하는 유리 필라멘트는 바람직하게는 3.6㎛~4.1㎛의 범위에서 실질적으로 동일한 평균 직경을 구비한다. 여기서, "실질적으로 동일한 평균 직경을 구비함"이란 IPC-4412A 규격에 기초하여 동일한 공칭 지름(nominal diameter)을 갖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유리 필라멘트의 평균 직경은 주사형 전자현미경의 배율을 500배로 하여 측정한다.
상기 경사 및 상기 위사는 바람직하게는 1m당 9.0×10-7kg~1.7×10-6kg의 범위의 질량을 구비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1m당 1.2×10-6kg~1.7×10-6kg의 범위의 질량을 구비한다. 또한 경사 및 위사의 중량은 JIS R 3420에 준거한 저울에 의해 측정한다.
상기 경사의 질량(Wt)에 대한 위사의 질량(Wy)의 비(Wy/Wt)는 바람직하게는 1.26~1.40의 범위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1.27~1.37의 범위이고, 더 바람직하게는 1.28~1.34의 범위이며, 특히 바람직하게는 1.29~1.33의 범위이다.
본 실시형태의 유리 클로스는 상기 경사 및 상기 위사를 이용하여 그 자체를 공지된 직기에 의해 제직하고, 개섬 가공을 행함으로서 얻을 수 있다. 상기 직기로서는, 예를 들어 에어 제트 또는 워터 제트 등의 제트식 직기, 셔틀식 직기, 레피아 직기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상기 직기에 의한 제직 방법으로서는, 예를 들어 평직, 주자직, 사자직, 능직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개섬 가공으로서는, 예를 들어 수류 압력에 의한 개섬, 액체를 매체로 한 고주파의 진동에 의한 개섬, 면압을 갖는 유체의 압력에 의한 개섬, 롤에 의한 가압에서의 개섬을 들 수 있다. 이들 개섬 가공 중에서는 수류 압력에 의한 개섬, 또는 액체를 매체로 한 고주파의 진동에 의한 개섬을 사용하는 것이 경사 및 위사의 개섬 가공 후의 실 폭이 균일해지기 때문에 바람직하며, 개섬 가공에 기인하는 유리 클로스 외관 상의 결함(예를 들어, 위사와 경사가 직각으로 교차되어 있지 않은 직물의 상태)의 발생이 억제됨으로 인해 이들을 병용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상기 경사의 직밀도(Dt) 및 위사의 직밀도(Dy)는 바람직하게는 80개~100개/25.4mm의 범위이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93개~97개/25.4mm의 범위이다. 상기 경사의 질량(Wt)과 경사의 직밀도(Dt)의 곱에 대한 위사의 질량(Wy)과 위사의 직밀도(Dy)의 곱의 비(Wy×Dy)/(Wt×Dt)는 바람직하게는 1.20~1.50의 범위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1.25~1.40의 범위이고, 더 바람직하게는 1.27~1.37의 범위이며, 특히 바람직하게는 1.28~1.34의 범위이다.
본 실시형태의 유리 클로스에 의하면, 7㎛~14㎛의 범위의 두께와 1㎡당 7g~14g의 범위의 질량을 구비함으로써, 전자기기의 소형화, 박형화, 고기능화에 대응하는 프리프레그에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의 유리 클로스는 20㎤/㎠/초~220㎤/㎠/초의 범위의 통기도를 구비함으로써, 상기 프리프레그로 제조했을 때에 핀 홀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다.
다음에 본 발명의 실시예 및 비교예를 도시한다.
[실시예 1]
본 실시예에서는 우선 용융했을 때에 E 유리 섬유 조성(밀도 2.6g/㎤)이 되도록 조합된 유리 배치를 이용하여 방사함으로써, 직경 4㎛의 유리 필라멘트가 집속되어 이루어지는, 1m당 질량이 1.29×10-6kg인 경사를 얻었다. 또한 동일하게 하여, 직경 4㎛의 유리 필라멘트가 집속되어 이루어지는, 1m당 질량이 1.65×10-6kg인 위사를 얻었다. 이때 상기 경사의 질량(Wt)에 대한 상기 위사의 질량(Wy)의 비(Wy/Wt)는 1.28이었다.
다음에, 에어 제트식 직기를 사용하고, 상기 경사의 직밀도 및 상기 위사의 직밀도를 모두 95개/25.4mm로 하여 평직의 유리 클로스를 제직하고, 수류 압력에 의한 개섬, 및 액체를 매체로 한 고주파의 진동에 의한 개섬을 실시했다. 얻어진 유리 클로스는 상기 경사의 질량(Wt)과 상기 경사의 직밀도(Dt)의 곱에 대한 상기 위사의 질량(Wy)과 상기 위사의 직밀도(Dy)의 곱의 비(Wy×Dy)/(Wt×Dt)가 1.28이며, 두께가 13㎛, 1㎡당 질량이 11g, 통기도가 130㎤/㎠/초이었다.
또한 얻어진 유리 클로스는 제직성이 양호하고, 프리프레그로 제조했을 때에 휘어짐이 없으며, 핀 홀의 발생도 없었다. 결과를 표 1에 나타낸다. 또한 표 1에서, 제직성은 24시간에서 위사의 교환 등 최저한 필요한 직기의 운전 정지를 제외하고, 실 끊어짐 등에 의한 트러블로 인한 직기의 운전 정지가 발생하지 않았던 경우의 직기 운전시간으로 실제의 직기 운전시간을 나눈 값을 의미한다. 제직성이 0.9 이상이면 제조효율이 우수하고, 0.7 이상이면 공업적 제조에 적합하며, 0.7 미만이면 공업적 제조에 적합하지 않다.
[실시예 2]
본 실시예에서는 우선 용융했을 때에 E 유리 섬유 조성(밀도 2.6g/㎤)이 되도록 조합된 유리 배치를 이용하여 방사함으로써, 직경 4㎛의 유리 필라멘트가 집속되어 이루어지는, 1m당 질량이 0.99×10-6kg인 경사를 얻었다. 또한 동일하게 하여, 직경 4㎛의 유리 필라멘트가 집속되어 이루어지는, 1m당 질량이 1.29×10-6kg인 위사를 얻었다. 이때 상기 경사의 질량(Wt)에 대한 상기 위사의 질량(Wy)의 비(Wy/Wt)는 1.30이었다.
다음에, 에어 제트식 직기를 사용하고, 상기 경사의 직밀도 및 상기 위사의 직밀도를 모두 95개/25.4mm로 하여 평직의 유리 클로스를 제직하고, 수류 압력에 의한 개섬, 및 액체를 매체로 한 고주파의 진동에 의한 개섬을 실시했다. 얻어진 유리 클로스는 상기 경사의 질량(Wt)과 상기 경사의 직밀도(Dt)의 곱에 대한 상기 위사의 질량(Wy)과 상기 위사의 직밀도(Dy)의 곱의 비(Wy×Dy)/(Wt×Dt)가 1.30이며, 두께가 12㎛, 1㎡당 질량이 8.5g, 통기도가 220㎤/㎠/초이었다.
또한 얻어진 유리 클로스는 제직성이 양호하고, 프리프레그로 제조했을 때에 휘어짐이 없으며, 핀 홀의 발생도 없었다. 결과를 표 1에 나타낸다.
[비교예 1]
우선, 용융했을 때에 E 유리 섬유 조성(밀도 2.6g/㎤)이 되도록 조합된 유리 배치를 이용하여 방사함으로써, 직경 4㎛의 유리 필라멘트가 집속되어 이루어지는, 1m당 질량이 1.29×10-6kg인 경사 및 위사를 얻었다. 이때 상기 경사의 질량(Wt)에 대한 상기 위사의 질량(Wy)의 비(Wy/Wt)는 1.00이었다.
다음에, 에어 제트식 직기를 사용하고, 상기 경사의 직밀도 및 상기 위사의 직밀도를 모두 95개/25.4mm로 하여 평직의 유리 클로스를 제직하고, 수류 압력에 의한 개섬, 및 액체를 매체로 한 고주파의 진동에 의한 개섬을 실시했다. 얻어진 유리 클로스는 상기 경사의 질량(Wt)과 상기 경사의 직밀도(Dt)의 곱에 대한 상기 위사의 질량(Wy)과 상기 위사의 직밀도(Dy)의 곱의 비(Wy×Dy)/(Wt×Dt)가 1.00이며, 두께가 13㎛, 1㎡당 질량이 9.6g, 통기도가 240㎤/㎠/초이었다.
또한 얻어진 유리 클로스는 제직성이 양호하고, 프리프레그로 제조했을 때에 휘어짐은 없었으나, 핀 홀의 발생이 인정되었다. 결과를 표 1에 나타낸다.
[비교예 2]
본 비교예에서는 우선 용융했을 때에 E 유리 섬유 조성(밀도 2.6g/㎤)이 되도록 조합된 유리 배치를 이용하여 방사함으로써, 직경 4㎛의 유리 필라멘트가 집속되어 이루어지는, 1m당 질량이 0.99×10-6kg인 경사를 얻었다. 또한 동일하게 하여, 직경 4㎛의 유리 필라멘트가 집속되어 이루어지는, 1m당 질량이 1.65×10-6kg인 위사를 얻었다. 이때 상기 경사의 질량(Wt)에 대한 상기 위사의 질량(Wy)의 비(Wy/Wt)는 1.67이었다.
다음에, 에어 제트식 직기를 사용하고, 상기 경사의 직밀도 및 상기 위사의 직밀도를 모두 95개/25.4mm로 하여 평직의 유리 클로스를 제직하고, 수류 압력에 의한 개섬, 및 액체를 매체로 한 고주파의 진동에 의한 개섬을 실시했다. 얻어진 유리 클로스는 상기 경사의 질량(Wt)과 상기 경사의 직밀도(Dt)의 곱에 대한 상기 위사의 질량(Wy)과 상기 위사의 직밀도(Dy)의 곱의 비(Wy×Dy)/(Wt×Dt)가 1.67이며, 두께가 13㎛, 1㎡당 질량이 9.9g, 통기도가 180㎤/㎠/초이었다.
또한 얻어진 유리 클로스는 프리프레그로 제조했을 때에는 핀 홀의 발생이 없었으나 휘어짐이 인정되고, 제직성도 불량이 인정되었다. 결과를 표 1에 나타낸다.
[비교예 3]
본 비교예에서는 우선 용융했을 때에 E 유리 섬유 조성(밀도 2.6g/㎤)이 되도록 조합된 유리 배치를 이용하여 방사함으로써, 직경 4㎛의 유리 필라멘트가 집속되어 이루어지는, 1m당 질량이 1.29×10-6kg인 경사를 얻었다. 또한 동일하게 하여, 직경 4㎛의 유리 필라멘트가 집속되어 이루어지는, 1m당 질량이 1.65×10-6kg인 위사를 얻었다. 이때 상기 경사의 질량(Wt)에 대한 상기 위사의 질량(Wy)의 비(Wy/Wt)는 1.28이었다.
다음에, 에어 제트식 직기를 사용하고, 상기 경사의 직밀도를 95개/25.4mm, 상기 위사의 직밀도를 120개/25.4mm로 하여 평직의 유리 클로스를 제직하고, 수류 압력에 의한 개섬, 및 액체를 매체로 한 고주파의 진동에 의한 개섬을 실시했다. 얻어진 유리 클로스는 상기 경사의 질량(Wt)과 상기 경사의 직밀도(Dt)의 곱에 대한 상기 위사의 질량(Wy)과 상기 위사의 직밀도(Dy)의 곱의 비(Wy×Dy)/(Wt×Dt)가 1.62이며, 두께가 15㎛, 1㎡당 질량이 12.9g, 통기도가 100㎤/㎠/초이었다.
또한 얻어진 유리 클로스는 프리프레그로 제조했을 때에는 핀 홀의 발생이 없었으나 휘어짐이 인정되고, 제직성도 불량이 인정되었다. 결과를 표 1에 나타낸다.
[비교예 4]
본 비교예에서는 우선 용융했을 때에 E 유리 섬유 조성(밀도 2.6g/㎤)이 되도록 조합된 유리 배치를 이용하여 방사함으로써, 직경 4㎛의 유리 필라멘트가 집속되어 이루어지는, 1m당 질량이 1.29×10-6kg인 경사를 얻었다. 또한 동일하게 하여, 직경 4㎛의 유리 필라멘트가 집속되어 이루어지는, 1m당 질량이 1.65×10-6kg인 위사를 얻었다. 이때 상기 경사의 질량(Wt)에 대한 상기 위사의 질량(Wy)의 비(Wy/Wt)는 1.28이었다.
다음에, 에어 제트식 직기를 사용하고, 상기 경사의 직밀도를 95개/25.4mm, 상기 위사의 직밀도를 78개/25.4mm로 하여 평직의 유리 클로스를 제직하고, 수류 압력에 의한 개섬, 및 액체를 매체로 한 고주파의 진동에 의한 개섬을 실시했다. 얻어진 유리 클로스는 상기 경사의 질량(Wt)과 상기 경사의 직밀도(Dt)의 곱에 대한 상기 위사의 질량(Wy)과 상기 위사의 직밀도(Dy)의 곱의 비(Wy×Dy)/(Wt×Dt)가 1.05이며, 두께가 13㎛, 1㎡당 질량이 9.9g, 통기도가 350㎤/㎠/초이었다.
또한 얻어진 유리 클로스는 제직성이 양호하고, 프리프레그로 제조했을 때에 휘어짐이 없었으나, 핀 홀의 발생이 인정되었다. 결과를 표 1에 나타낸다.
실시예 1 실시예 2 비교예 1 비교예 2 비교예 3 비교예 4
경사 필라멘트 지름(㎛) 4 4 4 4 4 4
위사 필라멘트 지름(㎛) 4 4 4 4 4 4
경사 질량(×10-6kg/m) 1.29 0.99 1.29 0.99 1.29 1.29
위사 질량(×10-6kg/m) 1.65 1.29 1.29 1.65 1.65 1.65
Wy/Wt 1.28 1.30 1 1.67 1.28 1.28
경사 직밀도(개/25.4mm) 95 95 95 95 95 95
위사 직밀도(개/25.4mm) 95 95 95 95 120 78
(Wy×Dy)/(Wt×Dt) 1.28 1.30 1 1.67 1.62 1.05
유리 클로스 두께(㎛) 13 12 13 13 15 13
유리 클로스 질량(g/㎡) 11 8.5 9.6 9.9 12.6 9.9
통기도(㎤/㎠/초) 130 220 240 180 100 350
핀 홀 발생
휘어짐
제직성 1 0.9 1 0.7 <0.7 1
표 1로부터,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 1, 2의 유리 클로스에 의하면, 제직성이 양호하고, 통기도가 130㎤/㎠/초~220㎤/㎠/초이고, 프리프레그로 제조했을 때에도 휘어짐이 없으며, 핀 홀의 발생도 없는 것이 명백하다.
한편, 경사의 질량(Wt)에 대한 위사의 질량(Wy)의 비(Wy/Wt)가 1.26 미만이고, 또한 상기 경사의 질량(Wt)과 상기 경사의 직밀도(Dt)의 곱에 대한 상기 위사의 질량(Wy)과 상기 위사의 직밀도(Dy)의 곱의 비(Wy×Dy)/(Wt×Dt)가 1.06 미만인 비교예 1의 유리 클로스에서는 통기도가 220㎤/㎠/초를 초과하고 있으며, 프리프레그로 제조했을 때에 핀 홀이 발생한다.
또한 경사의 질량(Wt)에 대한 위사의 질량(Wy)의 비(Wy/Wt)가 1.42를 초과하거나, 또한 상기 경사의 질량(Wt)과 상기 경사의 직밀도(Dt)의 곱에 대한 상기 위사의 질량(Wy)과 상기 위사의 직밀도(Dy)의 곱의 비(Wy×Dy)/(Wt×Dt)가 1.60을 초과하는 비교예 2의 유리 클로스에서는 프리프레그로 제조했을 때에 핀 홀의 발생은 없으나 휘어짐이 있고, 제직성이 불량하다.
또한 상기 경사의 질량(Wt)과 상기 경사의 직밀도(Dt)의 곱에 대한 상기 위사의 질량(Wy)과 상기 위사의 직밀도(Dy)의 곱의 비(Wy×Dy)/(Wt×Dt)가 1.60을 초과하는 비교예 3의 유리 클로스에서는 프리프레그로 제조했을 때에 핀 홀의 발생은 없으나 휘어짐이 있고, 제직성이 불량하여 유리 클로스의 두께가 두꺼워진다.
또한 상기 경사의 질량(Wt)과 상기 경사의 직밀도(Dt)의 곱에 대한 상기 위사의 질량(Wy)과 상기 위사의 직밀도(Dy)의 곱의 비(Wy×Dy)/(Wt×Dt)가 1.06 미만인 비교예 4의 유리 클로스에서는 통기도가 220㎤/㎠/초를 초과하고 있으며, 프리프레그로 제조했을 때에 핀 홀이 발생한다.

Claims (1)

  1. 경사와 위사로 구성되고, 7㎛~14㎛의 범위의 두께와, 1㎡당 7g~14g의 범위의 질량과, 20㎤/㎠/초~220㎤/㎠/초의 범위의 통기도를 구비하는 유리 클로스이며,
    상기 경사와 상기 위사는 3.5㎛~4.4㎛의 범위에서 실질적으로 동일한 평균 직경을 구비하는 유리 필라멘트를 복수 개 집속하여 이루어지고, 1m당 5.0×10-7kg~1.7×10-6kg의 범위의 질량을 구비하고,
    상기 경사의 질량(Wt)에 대한 상기 위사의 질량(Wy)의 비(Wy/Wt)가 1.26~1.42의 범위에 있으며,
    상기 경사의 질량(Wt)과 상기 경사의 직밀도(Dt)의 곱에 대한 상기 위사의 질량(Wy)과 상기 위사의 직밀도(Dy)의 곱의 비(Wy×Dy)/(Wt×Dt)가 1.06~1.60의 범위에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리 클로스.
KR1020177003201A 2015-08-12 2016-06-16 유리 클로스 KR10189038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5159612A JP5831665B1 (ja) 2015-08-12 2015-08-12 ガラスクロス
JPJP-P-2015-159612 2015-08-12
PCT/JP2016/067934 WO2017018088A1 (ja) 2015-08-12 2016-06-16 ガラスクロス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30091A true KR20170030091A (ko) 2017-03-16
KR101890384B1 KR101890384B1 (ko) 2018-08-21

Family

ID=547844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7003201A KR101890384B1 (ko) 2015-08-12 2016-06-16 유리 클로스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JP (1) JP5831665B1 (ko)
KR (1) KR101890384B1 (ko)
CN (1) CN107849760B (ko)
HK (1) HK1248288B (ko)
TW (1) TWI680214B (ko)
WO (1) WO201701808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020764B1 (ja) * 2016-08-03 2016-11-02 日東紡績株式会社 ガラスクロス
JP7169053B2 (ja) * 2017-07-19 2022-11-10 旭化成株式会社 ガラスクロス、プリプレグ、及びプリント配線板
WO2019065940A1 (ja) * 2017-09-29 2019-04-04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プリプレグ、金属張積層板、及び配線板
JP7010684B2 (ja) * 2017-12-11 2022-02-10 旭化成株式会社 ガラスクロス、プリプレグ、及びプリント配線板
CN109097871A (zh) * 2018-06-21 2018-12-28 北京点域科技有限公司 一种利用玻璃纤维制备阻燃布的方法
CN109778389A (zh) * 2018-12-18 2019-05-21 中材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玻璃纤维织物及其制备方法
JP7320388B2 (ja) * 2019-06-26 2023-08-03 旭化成株式会社 ガラスクロス、プリプレグ、及びプリント配線板
JP7400258B2 (ja) * 2019-08-09 2023-12-19 株式会社レゾナック Frp前駆体の製造方法、frp前駆体、積層板、多層プリント配線板及び半導体パッケージ
JP7485862B1 (ja) 2023-02-17 2024-05-16 旭化成株式会社 ガラスクロス、プリプレグ、及びプリント配線板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027335A (ko) 1973-07-13 1975-03-20
JP2002242047A (ja) 2001-02-16 2002-08-28 Asahi Schwebel Co Ltd プリント配線板用ガラスクロス
JP2009126917A (ja) * 2007-11-21 2009-06-11 Namics Corp 繊維強化未硬化フィルムの製造方法および繊維強化未硬化フィルム
WO2015033731A1 (ja) * 2013-09-09 2015-03-12 三菱瓦斯化学株式会社 プリプレグ、金属箔張積層板及びプリント配線板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92218B2 (ja) * 1987-12-11 1994-11-16 旭化成工業株式会社 衝撃吸収用バッグおよびその製造法
JP3974797B2 (ja) * 2002-02-28 2007-09-12 日東紡績株式会社 ガラスクロスの製造方法及びガラスクロス
JP4192054B2 (ja) * 2003-07-31 2008-12-03 ユニチカ株式会社 超軽量ガラスクロス
JP2005105437A (ja) * 2003-09-29 2005-04-21 Asahi Kasei Fibers Corp エアバッグ用袋織基布
JP4446754B2 (ja) * 2004-01-27 2010-04-07 旭化成イーマテリアルズ株式会社 ガラスクロス
CN200961174Y (zh) * 2006-05-08 2007-10-17 德宏工业股份有限公司 玻璃纤维布结构
JP5027335B2 (ja) * 2009-08-26 2012-09-19 旭化成イーマテリアルズ株式会社 プリント配線板用ガラスクロス
JP5516117B2 (ja) * 2010-06-18 2014-06-11 日東紡績株式会社 ガラス繊維織物の製造方法、ガラス繊維織物及びプリプレグ
JP5900207B2 (ja) * 2012-07-11 2016-04-06 日東紡績株式会社 止水テープ及びその製造方法
JP5936726B2 (ja) * 2015-02-04 2016-06-22 ユニチカ株式会社 ガラスクロス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027335A (ko) 1973-07-13 1975-03-20
JP2002242047A (ja) 2001-02-16 2002-08-28 Asahi Schwebel Co Ltd プリント配線板用ガラスクロス
JP2009126917A (ja) * 2007-11-21 2009-06-11 Namics Corp 繊維強化未硬化フィルムの製造方法および繊維強化未硬化フィルム
WO2015033731A1 (ja) * 2013-09-09 2015-03-12 三菱瓦斯化学株式会社 プリプレグ、金属箔張積層板及びプリント配線板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201706470A (zh) 2017-02-16
CN107849760B (zh) 2019-03-05
KR101890384B1 (ko) 2018-08-21
JP2017036527A (ja) 2017-02-16
TWI680214B (zh) 2019-12-21
HK1248288B (zh) 2019-12-06
JP5831665B1 (ja) 2015-12-09
CN107849760A (zh) 2018-03-27
WO2017018088A1 (ja) 2017-02-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90384B1 (ko) 유리 클로스
KR101940242B1 (ko) 프리프레그 및 이를 이용한 프린트 배선 기판
KR102083587B1 (ko) 유리 클로스, 프리프레그 및 유리섬유강화 수지성형품
US5792713A (en) Glass fabric produced with zero-twist yarn
EP0719353B1 (en) Glass fabric produced with zero-twist yarn
KR102341365B1 (ko) 유리 크로스, 프리프레그, 및 유리 섬유 강화 수지 성형품
WO2000060153A1 (en) Glass cloth and printed wiring board
JP6536764B1 (ja) ガラスクロス、プリプレグ、及び、ガラス繊維強化樹脂成形品
KR200428680Y1 (ko) 유리섬유 직물 구조
JP2001348757A (ja) ガラスクロス及びプリント配線板
JPH09316749A (ja) ガラスクロス
CN115161845A (zh) 一种电子级玻璃纤维布7767及其制备方法和应用
JP2002151617A (ja) ガラスクロス及びプリント配線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