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29344A - 회생제동 협조제어시 제동력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회생제동 협조제어시 제동력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29344A
KR20170029344A KR1020150126584A KR20150126584A KR20170029344A KR 20170029344 A KR20170029344 A KR 20170029344A KR 1020150126584 A KR1020150126584 A KR 1020150126584A KR 20150126584 A KR20150126584 A KR 20150126584A KR 20170029344 A KR20170029344 A KR 2017002934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aking force
rear wheel
braking
front wheel
whe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2658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전갑배
심상현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12658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70029344A/ko
Priority to US14/960,410 priority patent/US9931942B2/en
Priority to JP2015239150A priority patent/JP6748421B2/ja
Priority to DE102015122022.9A priority patent/DE102015122022A1/de
Priority to CN201510954254.1A priority patent/CN106494375B/zh
Publication of KR2017002934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2934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7/00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 B60L7/20Braking by supplying regenerated power to the prime mover of vehicles comprising engine-driven genera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7/00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 B60L7/10Dynamic electric regenerative braking
    • B60L7/18Controlling the braking effec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TVEHICLE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IN GENERAL; ARRANGEMENT OF BRAKING ELEMENTS ON VEHICLES IN GENERAL; PORTABLE DEVICES FOR PREVENTING UNWANTED MOVEMENT OF VEHICLES; VEHICLE 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OF BRAKES
    • B60T8/00Arrangements for adjusting wheel-braking forc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ground-surface conditions, e.g. limiting or varying distribution of braking force
    • B60T8/17Using electrical or electronic regulation means to control braking
    • B60T8/1755Brake regulation specially adapted to control the stability of the vehicle, e.g. taking into account yaw rate or transverse acceleration in a curve
    • B60T8/17551Brake regulation specially adapted to control the stability of the vehicle, e.g. taking into account yaw rate or transverse acceleration in a curve determining control parameters related to vehicle stability used in the regulation, e.g. by calculations involving measured or detected paramet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15/00Methods, circuits, or devices for controlling the traction-motor speed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15/20Methods, circuits, or devices for controlling the traction-motor speed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for control of the vehicle or its driving motor to achieve a desired performance, e.g. speed, torque, programmed variation of speed
    • B60L15/2009Methods, circuits, or devices for controlling the traction-motor speed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for control of the vehicle or its driving motor to achieve a desired performance, e.g. speed, torque, programmed variation of speed for brak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15/00Methods, circuits, or devices for controlling the traction-motor speed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15/20Methods, circuits, or devices for controlling the traction-motor speed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for control of the vehicle or its driving motor to achieve a desired performance, e.g. speed, torque, programmed variation of speed
    • B60L15/2045Methods, circuits, or devices for controlling the traction-motor speed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for control of the vehicle or its driving motor to achieve a desired performance, e.g. speed, torque, programmed variation of speed for optimising the use of energ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TVEHICLE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IN GENERAL; ARRANGEMENT OF BRAKING ELEMENTS ON VEHICLES IN GENERAL; PORTABLE DEVICES FOR PREVENTING UNWANTED MOVEMENT OF VEHICLES; VEHICLE 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OF BRAKES
    • B60T1/00Arrangements of braking elements, i.e. of those parts where braking effect occurs specially for vehicles
    • B60T1/02Arrangements of braking elements, i.e. of those parts where braking effect occurs specially for vehicles acting by retarding wheels
    • B60T1/10Arrangements of braking elements, i.e. of those parts where braking effect occurs specially for vehicles acting by retarding wheels by utilising wheel movement for accumulating energy, e.g. driving air compress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TVEHICLE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IN GENERAL; ARRANGEMENT OF BRAKING ELEMENTS ON VEHICLES IN GENERAL; PORTABLE DEVICES FOR PREVENTING UNWANTED MOVEMENT OF VEHICLES; VEHICLE 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OF BRAKES
    • B60T13/00Transmitting braking action from initiating means to ultimate brake actuator with power assistance or drive; Brake systems incorporating such transmitting means, e.g. air-pressure brake systems
    • B60T13/10Transmitting braking action from initiating means to ultimate brake actuator with power assistance or drive; Brake systems incorporating such transmitting means, e.g. air-pressure brake systems with fluid assistance, drive, or release
    • B60T13/66Electrical control in fluid-pressure brake systems
    • B60T13/68Electrical control in fluid-pressure brake systems by electrically-controlled valves
    • B60T13/686Electrical control in fluid-pressure brake systems by electrically-controlled valves in hydraulic systems or parts thereof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TVEHICLE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IN GENERAL; ARRANGEMENT OF BRAKING ELEMENTS ON VEHICLES IN GENERAL; PORTABLE DEVICES FOR PREVENTING UNWANTED MOVEMENT OF VEHICLES; VEHICLE 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OF BRAKES
    • B60T8/00Arrangements for adjusting wheel-braking forc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ground-surface conditions, e.g. limiting or varying distribution of braking force
    • B60T8/26Arrangements for adjusting wheel-braking forc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ground-surface conditions, e.g. limiting or varying distribution of braking force characterised by producing differential braking between front and rear whee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TVEHICLE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IN GENERAL; ARRANGEMENT OF BRAKING ELEMENTS ON VEHICLES IN GENERAL; PORTABLE DEVICES FOR PREVENTING UNWANTED MOVEMENT OF VEHICLES; VEHICLE 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OF BRAKES
    • B60T8/00Arrangements for adjusting wheel-braking forc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ground-surface conditions, e.g. limiting or varying distribution of braking force
    • B60T8/26Arrangements for adjusting wheel-braking forc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ground-surface conditions, e.g. limiting or varying distribution of braking force characterised by producing differential braking between front and rear wheels
    • B60T8/266Arrangements for adjusting wheel-braking forc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ground-surface conditions, e.g. limiting or varying distribution of braking force characterised by producing differential braking between front and rear wheels using valves or actuators with external control means
    • B60T8/267Arrangements for adjusting wheel-braking forc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ground-surface conditions, e.g. limiting or varying distribution of braking force characterised by producing differential braking between front and rear wheels using valves or actuators with external control means for hybrid systems with different kind of brakes on different ax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TVEHICLE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IN GENERAL; ARRANGEMENT OF BRAKING ELEMENTS ON VEHICLES IN GENERAL; PORTABLE DEVICES FOR PREVENTING UNWANTED MOVEMENT OF VEHICLES; VEHICLE 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OF BRAKES
    • B60T8/00Arrangements for adjusting wheel-braking forc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ground-surface conditions, e.g. limiting or varying distribution of braking force
    • B60T8/32Arrangements for adjusting wheel-braking forc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ground-surface conditions, e.g. limiting or varying distribution of braking force responsive to a speed condition, e.g. acceleration or deceleration
    • B60T8/34Arrangements for adjusting wheel-braking forc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ground-surface conditions, e.g. limiting or varying distribution of braking force responsive to a speed condition, e.g. acceleration or deceleration having a fluid pressure regulator responsive to a speed condition
    • B60T8/40Arrangements for adjusting wheel-braking forc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ground-surface conditions, e.g. limiting or varying distribution of braking force responsive to a speed condition, e.g. acceleration or deceleration having a fluid pressure regulator responsive to a speed condition comprising an additional fluid circuit including fluid pressurising means for modifying the pressure of the braking fluid, e.g. including wheel driven pumps for detecting a speed condition, or pumps which are controlled by means independent of the braking system
    • B60T8/4072Systems in which a driver input signal is used as a control signal for the additional fluid circuit which is normally used for braking
    • B60T8/4081Systems with stroke simulating devices for driver inpu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20/00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 B60W20/10Controlling the power contribution of each of the prime movers to meet required power demand
    • B60W20/13Controlling the power contribution of each of the prime movers to meet required power demand in order to stay within battery power input or output limits; in order to prevent overcharging or battery depletion
    • B60W20/14Controlling the power contribution of each of the prime movers to meet required power demand in order to stay within battery power input or output limits; in order to prevent overcharging or battery depletion in conjunction with braking regener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2260/00Operating Modes
    • B60L2260/20Drive modes; Transition between modes
    • B60L2260/34Stabilising upright position of vehicles, e.g. of single axle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TVEHICLE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IN GENERAL; ARRANGEMENT OF BRAKING ELEMENTS ON VEHICLES IN GENERAL; PORTABLE DEVICES FOR PREVENTING UNWANTED MOVEMENT OF VEHICLES; VEHICLE 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OF BRAKES
    • B60T2270/00Further aspects of brake control syste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T2270/60Regenerative brak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TVEHICLE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IN GENERAL; ARRANGEMENT OF BRAKING ELEMENTS ON VEHICLES IN GENERAL; PORTABLE DEVICES FOR PREVENTING UNWANTED MOVEMENT OF VEHICLES; VEHICLE 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OF BRAKES
    • B60T2270/00Further aspects of brake control syste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T2270/60Regenerative braking
    • B60T2270/604Merging friction therewith; Adjusting their reparti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TVEHICLE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IN GENERAL; ARRANGEMENT OF BRAKING ELEMENTS ON VEHICLES IN GENERAL; PORTABLE DEVICES FOR PREVENTING UNWANTED MOVEMENT OF VEHICLES; VEHICLE 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OF BRAKES
    • B60T2270/00Further aspects of brake control syste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T2270/60Regenerative braking
    • B60T2270/606Axle differential or center differential features related thereto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300/00Purposes or special features of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 B60Y2300/89Repartition of braking force, e.g. friction braking versus regenerative brak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60Other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with climate change mitigation effect
    • Y02T10/64Electric machine technologies in electromobility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60Other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with climate change mitigation effect
    • Y02T10/72Electric energy management in electromobilit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Regulating Braking Force (AREA)
  • Electric Propulsion And Braking For Vehicles (AREA)
  • Hydraulic Control Valves For Brake Systems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륜 및/또는 후륜에서 회생제동을 실시하는 환경차량에서 회생제동 협조제어시에 제동력을 제어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전륜 및/또는 후륜에서 회생제동을 실시하는 환경차량에서, 전륜과 후륜의 제동력을 독립적으로 제어하는 브레이크 시스템을 채용하되, 이러한 브레이크 시스템이 차량의 안정성을 확보하고, 연비를 향상시킬 수 있으며, 제동 성능 측면에서 우수한 성능을 담보할 수 있도록 제동력을 배분하는 회생제동 협조제어시 제동력 제어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Description

회생제동 협조제어시 제동력 제어방법 {Method for controlling braking force in regenerative brake cooperation system}
본 발명은 회생제동 협조제어시 제동력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전륜 및/또는 후륜에서 회생제동을 실시하는 환경차량에서 회생제동 협조제어시에 제동력을 제어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륜과 후륜에서 모두 회생제동을 실시하는 환경차량(하이브리드차, 전기차, 연료전지차 등)에서 회생제동 협조제어는 기존의 전륜에서만 회생제동을 실시하는 차량과는 상황이 다르다.
전륜 회생제동만 실시하는 환경차량(하이브리드차, 전기차, 연료전지차 등)은 전륜에 구동모터가 배치된다. 구동모터에서 배터리를 충전하여 에너지 회수를 할 때 회생제동력이 발생하게 되고, 전륜에만 이 제동력이 작용하게 된다. 전륜의 회생제동력에 의해 전륜의 전체 제동력이 크더라도 차량의 스핀 발생 가능성은 낮으므로 에너지를 최대한 많이 회수하도록 하기 위하여 회생제동력 발생량을 최대한 크게 할 수 있다. 그리고, 유압제동력의 협조제어를 위한 시스템도 전륜의 회생제동력만 고려하여 구성된다.
전륜과 후륜에서 모두 회생제동을 실시할 수 있는 환경차량의 경우, 후륜에도 회생제동력이 인가되므로 에너지 회수를 많이 하기 위하여 후륜의 회생제동력을 증가시킬 경우, 후륜이 록(lock)되어 차량의 스핀 발생 가능성이 커지므로 전륜 회생제동 차량과 같이 회생제동력을 크게 하는데 한계가 있다.
도 1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전륜 회생제동 차량의 제동력 배분을 나타낸 것이고, 도 2는 이러한 전륜 회생제동 차량에서 실제 전후륜 제동력 배분을 이상 제동력 배분 곡선(이상 제동 배분선)과의 관계에서 도시한 것이다.
도 1에 도시된 것처럼, 에너지 회수량을 증대하기 위하여 전륜의 회생제동력을 제일 먼저 사용하고, 전륜 회생제동력 이상의 제동력이 필요할 경우 전륜/후륜의 휠브레이크에 동일한 유압을 인가하여 유압제동력을 발생시킨다.
전륜 회생제동의 경우 이러한 제동력 배분을 가지더라도, 도 2에 도시된 것처럼, 후륜 록(lock)이 먼저 발생할 수 있는 감속도가 일반 유압 브레이크만 적용한 차량보다 높으므로 차량의 안정성을 크게 해치지는 않는다.
즉, 실제동 배분선을 보면, 전륜 회생 제동력의 최대치까지는 전륜 회생제동력만 발생하고, 이후 유압 브레이크에 의한 전후륜의 제동력이 발생되는바, 이상 제동 배분선과의 교차점이 상대적으로 큰 감속도 영역으로 이동하게 되기 때문이다.
전륜에서 발생하는 회생제동력의 크기는 구동모터의 용량에 비례하며, 후륜 선(先) 록(lock) 발생 가능 감속도도 구동모터 용량에 따라 변한다.
따라서, 전륜 회생제동만 실시하는 환경차량의 경우에는 위와 같이 전륜 회생제동력에 의해 전륜의 제동력이 증가하여도 차량의 안정성에 문제가 없으므로, 전후륜 유압 브레이크의 제동력 비를 변경하지 않아도 문제가 되지 않으며, 브레이크 시스템의 배관을 전후륜 유압을 동일하게 발생시키는 X-Split 배관을 사용하여도 무방하다.
반면, 종래 기술에서와 같은 브레이크 시스템과 제동력 배분을, 후륜 또는 전후륜에서 회생제동을 실시하는 환경차량에 대하여 실시한 경우, 그 제동력 배분과 실제동력 배분을 나타내는 제동선도는 도 3 및 도 4에 도시되어 있다.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것처럼, 후륜 또는 전후륜에서 회생제동을 실시하는 환경차량의 경우 앞서 설명한 종래 기술에서와 같은 브레이크 시스템과 제동력 배분을 사용하게 되면, 에너지 회수량을 늘리기 위하여 후륜의 회생제동력을 제일 먼저 사용하고, 후륜 회생제동력 이상의 제동력이 필요할 경우(“A” 이상의 감속 시) 전륜/후륜의 휠브레이크에 동일한 유압을 인가하여 유압제동력을 발생시키게 된다.
이 경우, 에너지 회수를 위하여 회생제동력을 최대로 사용할 경우 후륜 록이 먼저 발생할 가능성이 있는 감속도가 낮아져서 차량의 안정성이 저하되고, 차량의 안정성을 확보하기 위하여 회생제동량을 제한할 경우 에너지 회수량이 줄어들게 되는 문제점이 존재한다.
이에, 차량 안정성과 제동 성능은 물론, 회생제동을 극대화하여 연비를 개선할 수 있는 회생제동 협조제어 방법이 요구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전륜 및/또는 후륜에서 회생제동을 실시하는 환경차량에서, 전륜과 후륜의 제동력을 독립적으로 제어하는 브레이크 시스템을 채용하되, 이러한 브레이크 시스템이 차량의 안정성을 확보하고, 연비를 향상시킬 수 있으며, 제동 성능 측면에서 우수한 성능을 담보할 수 있도록 제동력을 배분하는 회생제동 협조제어시 제동력 제어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에 본 발명에서는, 제동시 전륜과 후륜 중 하나 이상에 대한 회생제동력을 기준 감속도까지 발생시켜 전륜과 후륜의 제동력을 배분하는 제1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제1단계에서는 기준 제동배분비에 따라 전륜 회생제동력과 후륜 회생제동력을 배분하여 발생시킨 뒤, 후륜 회생제동력 제한치까지 후륜 회생제동력만을 발생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생제동 협조제어시 제동력 제어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구현예에 의하면, 상기 후륜 회생제동력이 후륜 회생제동력 제한치까지 증가하면, 그 이후에는 전륜 제동력 비율을 증가시키며, 특히 전륜 유압제동력만을 발생시켜 전륜 제동력 비율을 증가시킨다.
또한 본 발명의 구현예에 의하면, 상기 전륜 제동력의 비율이 증가하여 전륜 제동력과 후륜 제동력 간에 배분 비율이 기준 제동배분비와 같아지면, 그 이후에는 후륜 회생제동력 최대치까지 후륜 회생제동력을 발생시키며, 특히 상기 기준 제동배분비에 따라 전륜 제동력과 후륜 제동력이 배분될 수 있도록 하여 후륜 회생제동력 최대치까지 후륜 회생제동력을 발생시킨다.
또한 본 발명의 구현예에 의하면, 상기 후륜 회생제동력이 후륜 회생제동력 최대치까지 발생하면, 그 이후에는 상기 기준 제동배분비에 따라 전륜 제동력과 후륜 제동력을 배분하여 발생시키며, 특히 상기 기준 제동배분비에 따라 전륜 제동력과 후륜 제동력이 배분될 수 있도록 후륜 유압제동력을 발생시킨다.
또한 본 발명의 구현예에 의하면, 상기 기준 감속도 이상의 제동 영역에서는, 일정한 비율 값의 기준 제동배분비에 따라 전륜과 후륜의 제동력을 배분하는 제2단계;를 포함한다.
아울러, 상기 기준 제동배분비는 전륜과 후륜의 유압제동력 배분만을 고려한 기본 제동배분선의 배분 비율과 동일하게 설정된다.
본 발명에 따른 회생제동 협조제어시 제동력 제어방법에 의하여, 전륜 및/또는 후륜에서 회생제동을 실시하는 환경차량에서, 전륜과 후륜의 제동력을 분리하여 제어하고 전륜/후륜의 제동력과 회생제동력 배분을 설정함으로써, 후륜 선(先) 록 되는 노면마찰계수 범위를 축소하도록 전륜과 후륜의 제동력을 배분하고, 회생제동력을 발생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현예에서는, 제동 시 후륜 록으로 인한 차량 선회를 방지하여 차량의 안정성을 확보하고, ABS(anti-lock brake system) 작동 가능성을 낮추어 ABS 빈번 작동에 의한 내구성 악화 및 운전자가 느끼는 이질감을 개선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차량의 안정성과 제동력을 충분히 확보하는 범위에서 회생제동 에너지 회수율을 극대화시킬 수 있는바, 차량의 연비를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 및 도 2는 전륜 회생제동만 실시하는 차량의 제동력 배분에 대한 제동 선도를 도시한 것이고,
도 3 및 도 4는 후륜 또는 전후륜에서 회생제동을 실시하는 차량에서, 후륜 회생제동력을 우선적으로 발생시킬 경우에 대한 제동력 배분을 도시하고 있는 제동 선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현예에 채택되는 제동 시스템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고,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현예에 따른 회생제동 협조제어 시 제동력 제어방법에서의 전후륜 제동력 및 회생제동력 배분을 도시하고 있는 제동 선도이다.
본 발명은 전륜, 또는 후륜, 또는 전륜과 후륜 모두에서 회생제동을 실시하는 환경차량(하이브리드차, 전기차, 연료전지차 등)에서 차량 안정성, 제동 성능 및 연비 향상의 특성을 모두 충족할 수 있는 새로운 형태의 회생제동 협조제어시 제동력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명세서에서는 이러한 회생제동 협조제어시 제동력 제어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기본적인 제동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설명한다. 또한, 이러한 제동 시스템을 기반으로 하여, 전륜과 후륜의 회생 제동력 및 유압 제동력을 적절히 분배하는 제동력 배분 방식을 포함하는 회생제동 협조제어시 제동력 제어방법을 설명한다.
이와 관련, 본 명세서에서는 도 5로 대표되는 형태의 제동 시스템을 예시하고 있으나, 이러한 제동 시스템은 전륜과 후륜의 제동력을 독립적으로 제어할 수 있는 시스템의 일례로 소개된 것이며, 본 발명에 따른 회생제동 협조제어시 제동력 제어방법은 이러한 제동 시스템에 적용되는 것으로 한정되지는 않는다.
예를 들어, 본 발명에 따른 회생제동 협조제어시 제동력 제어방법은, 4륜의 제동력을 독립적으로 제어할 수 있는 EMB(Electro Mechanical Brake) 시스템에도 적용 가능하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는 제동 선도를 통해, 본 발명에 따른 회생제동 협조제어시 제동력 제어방법의 구현예를 설명하고 있으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들은 이러한 구현예에 의해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안되며, 본 발명의 요지가 포섭하는 다양한 구현예들을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회생제동 협조제어시 제동력 제어방법을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현예에서 채택될 수 있는 H-Split 배관용 회생제동 시스템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현예에 따른 회생제동 협조제어시 제동력 제어방법에서는 전륜과 후륜의 제동력에 대한 독립적인 제어가 요구된다. 따라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륜과 후륜의 유압을 독립적으로 제어할 수 있는 시스템이 필요하다.
이러한 시스템의 경우, 도 5에 예시되고 있는 것처럼, 모터(101)에 의해 구동되는 펌프(102)와 고압탱크(103)를 포함하는 압력 생성부(100)와, 압력 생성부(100)에 의하여 생성된 압력을 제어하여 각 차륜의 제동력을 제어하도록 구성된 압력 제어부(200)를 포함하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시스템에서는, 브레이크 페달(201)이 푸시로드(202)를 통해 마스터 실린더(203)에 압력을 가하면, 스트로크 유닛(219)의 정보를 받아 시뮬레이터 밸브(204)를 열고, 컷 밸브(207, 208)를 닫는다.
페달(201)을 더 깊숙이 밟을 경우, 페달(201)의 반력은 페달 시뮬레이터(205) 내부의 스프링과 같은 탄성부재에서 발생시킨다.
페달 스트로크에 해당하는 전륜 목표 압력은 제1어플라이 밸브(215)를 열어서 고압탱크(103) 측 유량을 전륜 측 배관으로 이동시켜 압력이 생성되도록 한다.
또한, 페달 스트로크에 해당하는 후륜 목표 압력은 제2어플라이 밸브(216)를 열어 고압탱크(103) 측 유량을 후륜 측 배관으로 이동시켜 압력이 생성되도록 한다.
제1 및 제2어플라이 밸브(215,216)를 통해 전륜 또는 후륜 측 배관으로 이동된 압력은, 각 차륜 측 배관에 장착 구성된 노멀리 오픈 밸브(209, 211)에 의하여, 각각의 차륜 측으로 유압을 형성하게 된다.
한편, 배관 내 압력을 감소시키거나 유압을 해제하고자 하는 경우, 제1릴리즈 밸브(217) 및/또는 제2릴리즈 밸브(218)를 개방시킴으로써 유량을 배출하여 압력을 감압 또는 해제하게 된다.
미설명된 노멀리 클로즈드 밸브(210, 212)는 각 차륜 측 배관에 장착 구성되어 리저버(206) 측으로 연결된다.
따라서, 도 5에서와 같은 H-Split 배관용 회생제동 브레이크는 한 쌍의 어플라이 밸브(215,216)와 또 다른 한 쌍의 릴리즈 밸브(217,218)를 적절히 제어함으로써 전륜과 후륜의 유압을 독립적으로 제어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제동 시스템은 후륜 록(lock)이 먼저 발생하게 되는 것을 억제하는 범위 내에서, 회생 제동력을 극대화시키도록 설정된 제동선도에 따라 전륜과 후륜의 제동력을 배분하도록 이용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현예에 따르면, 기준 감속도를 설정하고, 설정한 기준 감속도 지점의 제동 영역까지는, 즉 차량의 감속도가 기준 감속도에 도달할 때까지는, 제동시 전륜과 후륜 중 하나 이상에 대한 회생제동력을 포함하여 전륜과 후륜의 제동력을 배분하고, 회생제동력을 증대시키도록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기준 감속도 이상의 제동 영역에서는, 일정한 비율 값의 기준 제동배분비에 따라 전륜과 후륜의 제동력을 일정 비율로 분배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이를 통해 차량 중량이 증가하는 상황에서 제동력을 충분히 확보할 수 있도록 한다.
이와 관련하여, 도 6은 위와 같은 제동 시스템을 이용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현예에 대한 제동 선도로서, 전후륜 제동력 및 회생제동력의 배분 관계를 구체적으로 도시하고 있다.
도 6에서는 기준 감속도 지점(B 지점)을 기준으로 하여, B 지점 이전(이하)까지는 회생제동력을 포함하여 전륜과 후륜의 제동력을 분배하고, B 지점 이후(이상)로는 전륜과 후륜의 브레이크 제원에 의한 배분에 근거하여 제동력 배분을 결정하는 예를 도시하고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기준 감속도 지점(B 지점)은 이상 제동 배분선 및 전륜과 후륜의 브레이크 제원에 의해 나타나는 배분에 근거한 기본 제동 배분선이 교차하는 지점을 의미한다.
이때, 도 6의 직선화된 기본 제동 배분선은 전륜과 후륜의 유압제동력만을 고려한 실제동 배분 선도로서, 전륜과 후륜의 브레이크 제원에 따른 배분비에 의하여 결정된 일정한 비율을 갖는 직선이다.
따라서, B 지점 이후의 구간에서의 전륜과 후륜의 제동분배비(제동력 분배 비율)를 기준 제동배분비라고 할 때, 상기 기준 제동배분비는 종래 기술에서와 같은 기본 제동 배분선의 제동력 분배비율과 동일할 수 있으며 설계적 요소를 고려하여 적절한 제동력 분배비로 설정될 수 있다.
그리고, 자동차의 제동력은 4륜이 동시에 멈출 때 최대가 되는데, 이때의 제동력 배분을 이상 제동력 배분이라고 하며, 이상 제동력 배분을 그래프로서 나타낸 것이 상기 이상 제동 배분선이다.
도 6에서와 같이 제동력을 배분하는 구현예에서는, B 지점 이전의 영역에서는 상기 기본 제동 배분선을 따라 전륜과 후륜의 제동력이 배분되되 전륜과 후륜의 회생제동력이 나타나는 일부 영역에서는 상기 기본 제동 배분선과 다르게 제동력이 배분된다.
따라서, B 지점 이전의 영역에서 나타나는 전륜과 후륜의 회생제동력을 포함하는 제동력 분배선을 실제동 배분선이라고 할 때, 도 6에 보이듯, 상기 실제동 배분선의 일부 구간에서 후륜 제동력이 기본 제동 배분선의 후륜 제동력보다 큰 값을 가진다.
다시 말해, 상기의 실제동 배분선과 기본 제동 배분선은 B 지점 이후의 제동 영역에서 중복되어 서로 동일한 제동력 배분 비율을 가지며, B 지점 이전의 제동 영역에서 실제동 배분선과 기본 제동 배분선이 중복되지 않는 일부 구간에서 실제동 배분선의 후륜 제동력이 기본 제동 배분선의 후륜 제동력보다 크게 발생한다.
이러한 실제동 배분선에 근거하여 이루어지는 전후륜의 제동력 배분을 구간별로 상세하게 보면, 먼저 C 지점까지는 전륜과 후륜의 유압제동력만 고려한 제동력 분배를 위한 기본 제동 배분선의 제동력 분배 비율(즉, 기준 제동분배비)에 따라 전륜 회생제동력과 후륜 회생제동력을 배분하고, C 지점에서 D 지점까지는 후륜 회생제동력을 증가시키되 후륜 록(lock)이 먼저 발생할 가능성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일정 수준 이하로 제한하여 발생시키고, D 지점에서 E 지점까지는 C 지점에서 D 지점까지의 후륜 제동력 대비 전륜 제동력의 비율을 증가시키고, E 지점 이후는 실제동 배분선의 제동력 분배 비율을 넘지 않는 범위 내에서 후륜 회생제동력을 최대로 발생시킨다. 그리고 F 지점에서 후륜 회생제동력으로 낼 수 있는 최대치 즉, 후륜 회생제동력의 최대치를 발생시킨다.
도 7은 도 6에 따른 구현예에 근거하여, 전후륜의 회생제동력을 포함한 전체 제동력의 배분을 도시한 것으로, 전후륜 회생제동력과 전후륜 유압제동력으로 구분하여 도시되어 있다.
도 6 및 도 7을 참조로 좀더 설명하면, 상기 C 지점에서 D 지점까지는, 후륜 회생제동력의 크기를 너무 크게 할 경우 마찰계수가 낮은 노면에서 후륜 록(lock)이 먼저 발생할 가능성이 커지므로 일정 수준의 후륜 회생제동력 제한치까지만 후륜 회생제동력이 발생하도록 제한하며, 이때 후륜 제동력이 일부 구간에서 이상 제동 배분선을 넘어가게 된다.
예를 들어, 빙판에서의 마찰계수를 기준으로 그 이상의 마찰계수를 갖는 노면에서는 전륜 록(lock)이 발생하도록 설정하고, 그 이하의 마찰계수를 갖는 노면에서는 후륜 선(先) 록(lock)이 발생하는 것을 허용할 수 있다.
상기 D 지점에서 E 지점까지는 D 지점에서의 후륜 제동력을 증가 없이 유지하고 전륜 유압제동력을 발생시켜 전륜 제동력의 비율을 증가시킨다.
즉, 후륜 회생제동력이 후륜 회생제동력 제한치까지 증가하면, 그 이후에는 전륜 유압제동력만을 발생시켜 전륜 제동력 비율을 증가시킨다. 이때, E 지점에서의 전륜 제동력과 후륜 제동력은 기준 제동배분비의 비율로 배분되어 발생한다.
그리고, E 지점 이후에는 후륜 회생제동력을 일정 수준 내에서 증가시켜 F 지점에서 최대치로 발생시키며, F 지점에서의 후륜 회생제동력을 실제동 배분선의 제동력 분배 비율(즉, 기준 제동배분비)을 초과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최대치까지 발생시킨다. F 지점 이후에는 실제동 배분선에 근거하여 전륜과 후륜의 제동력을 발생시킨다.
즉, 상기 D 지점에서 E 지점까지 전륜 제동력의 비율이 증가하여 전륜 제동력과 후륜 제동력 간에 배분 비율이 기준 제동배분비와 같아지면, 그 이후에는 상기 기준 제동배분비에 따라 전륜 제동력과 후륜 제동력이 배분될 수 있도록 하여, 후륜 회생제동력 최대치까지 후륜 회생제동력을 발생시킨다.
도 6의 구현예에서, 실제동 배분선은 C 지점부터 E 지점까지의 구간을 제외하고는 기준 제동분배비와 동일한 값의 제동력 분배 비율을 가지며, 따라서 B 지점 이전의 제동 영역에서 C 지점부터 E 지점까지의 구간을 제외하고는 기준 제동분배비에 의해 전륜과 후륜의 제동력 분배가 결정되고, F 지점에서 B 지점까지의 구간에서도 기준 제동배분비에 따라 전륜과 후륜의 제동력을 발생시킨다.
이때, 전륜과 후륜의 제동력 배분이 기본 제동분배비와 같아진 이후에는 전륜과 후륜의 제동력이 기본 제동배분선과 동일한 배분으로 전륜과 후륜의 제동력을 동시에 발생시킨다.
즉, 후륜 회생제동력이 후륜 회생제동력 최대치까지 발생하면, 그 이후에는 상기 기준 제동배분비에 따라 전륜 제동력과 후륜 제동력을 배분하여 발생시킨다. 이때 상기 기준 제동배분비에 따라 전륜 제동력과 후륜 제동력이 배분될 수 있도록, 후륜 유압제동력을 발생시킨다.
또한, B 지점 이후의 구간에서는 일정한 비율 값을 갖는 기준 제동배분비에 따라 전륜과 후륜의 유압제동력을 발생시키며, 이에 차량 중량이 증가하는 상황에서 제동력을 충분히 확보할 수 있도록 한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후륜의 유압제동력보다 전륜 회생제동력 및 후륜 회생제동력을 우선 발생시키는 동시에, 후륜 록(lock)이 발생할 가능성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후륜 회생제동력을 일정한 값 이하로 제한하여 증가시킴으로써, 제동 안정성을 보완하여 후륜의 총 제동력 증가로 인한 차량의 안정성 저하를 해결하고, 회생제동 에너지 회수율을 증대할 수 있다.
아울러,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4륜 EMB 시스템과 같이 전륜과 후륜의 제동력을 독립적으로 제어할 수 있는 브레이크 시스템이라면, 본 구현예와 동일한 방식을 적용할 수 있다.
이상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였는바,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상술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다음의 특허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된다.
100: 압력 생성부 101: 모터
102: 펌프 103: 고압 탱크
200: 압력 제어부 201: 페달
202: 푸시 로드 203: 마스터 실린더
204: 시뮬레이터 밸브 205: 페달 시뮬레이터
206: 리저버 207, 208: 컷 밸브
209, 211: 노멀리 오픈 밸브
210, 212: 노멀리 클로즈드 밸브
213: 전륜
214: 후륜
215: 제1어플라이 밸브
216: 제2어플라이 밸브
217: 제1릴리즈 밸브
218: 제2릴리즈 밸브
219 : 스트로크 유닛

Claims (9)

  1. 제동시 전륜과 후륜 중 하나 이상에 대한 회생제동력을 기준 감속도까지 발생시켜 전륜과 후륜의 제동력을 배분하는 제1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제1단계에서는 기준 제동배분비에 따라 전륜 회생제동력과 후륜 회생제동력을 배분하여 발생시킨 뒤, 후륜 회생제동력 제한치까지 후륜 회생제동력만을 발생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생제동 협조제어시 제동력 제어방법.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후륜 회생제동력이 후륜 회생제동력 제한치까지 증가하면, 그 이후에는 전륜 제동력 비율을 증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생제동 협조제어시 제동력 제어방법.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후륜 회생제동력이 후륜 회생제동력 제한치까지 증가하면, 그 이후에는 전륜 유압제동력만을 발생시켜 전륜 제동력 비율을 증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생제동 협조제어시 제동력 제어방법.
  4. 청구항 2 또는 3에 있어서,
    상기 전륜 제동력의 비율이 증가하여 전륜 제동력과 후륜 제동력 간에 배분 비율이 기준 제동배분비와 같아지면, 그 이후에는 후륜 회생제동력 최대치까지 후륜 회생제동력을 발생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생제동 협조제어시 제동력 제어방법.
  5. 청구항 2 또는 3에 있어서,
    상기 전륜 제동력의 비율이 증가하여 전륜 제동력과 후륜 제동력 간에 배분 비율이 기준 제동배분비와 같아지면, 그 이후에는 상기 기준 제동배분비에 따라 전륜 제동력과 후륜 제동력이 배분될 수 있도록 하여, 후륜 회생제동력 최대치까지 후륜 회생제동력을 발생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생제동 협조제어시 제동력 제어방법.
  6.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후륜 회생제동력이 후륜 회생제동력 최대치까지 발생하면, 그 이후에는 상기 기준 제동배분비에 따라 전륜 제동력과 후륜 제동력을 배분하여 발생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생제동 협조제어시 제동력 제어방법.
  7.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후륜 회생제동력이 후륜 회생제동력 최대치까지 발생하면, 그 이후에는 상기 기준 제동배분비에 따라 전륜 제동력과 후륜 제동력이 배분될 수 있도록, 후륜 유압제동력을 발생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생제동 협조제어시 제동력 제어방법.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기준 감속도 이상의 제동 영역에서는, 일정한 비율 값의 기준 제동배분비에 따라 전륜과 후륜의 제동력을 배분하는 제2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생제동 협조제어시 제동력 제어방법.
  9.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기준 제동배분비는 기본 제동배분선의 배분 비율과 동일하게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생제동 협조제어시 제동력 제어방법.

KR1020150126584A 2015-09-07 2015-09-07 회생제동 협조제어시 제동력 제어방법 KR20170029344A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26584A KR20170029344A (ko) 2015-09-07 2015-09-07 회생제동 협조제어시 제동력 제어방법
US14/960,410 US9931942B2 (en) 2015-09-07 2015-12-06 Method and system for controlling braking force in regenerative brake cooperative control
JP2015239150A JP6748421B2 (ja) 2015-09-07 2015-12-08 回生制動協調制御時の制動力制御方法
DE102015122022.9A DE102015122022A1 (de) 2015-09-07 2015-12-16 Verfahren und System zum Bremskraftsteuern bei einem Regeneratives-Bremsen-Gemeinsam-Steuern
CN201510954254.1A CN106494375B (zh) 2015-09-07 2015-12-17 用于在再生制动协作控制中控制制动力的方法及系统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26584A KR20170029344A (ko) 2015-09-07 2015-09-07 회생제동 협조제어시 제동력 제어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29344A true KR20170029344A (ko) 2017-03-15

Family

ID=580549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26584A KR20170029344A (ko) 2015-09-07 2015-09-07 회생제동 협조제어시 제동력 제어방법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9931942B2 (ko)
JP (1) JP6748421B2 (ko)
KR (1) KR20170029344A (ko)
CN (1) CN106494375B (ko)
DE (1) DE102015122022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465624B2 (en) 2019-05-08 2022-10-11 Hyundai Motor Company Method of cooperatively controlling regenerative braking step by step for rear-wheel-drive environmentally-friendly vehicl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662257B2 (ja) * 2016-09-16 2020-03-11 株式会社アドヴィックス 車両の制動装置
CN107310557B (zh) * 2017-07-05 2019-08-02 重庆大学 一种混合动力汽车制动模式切换协调控制的方法
CN108583293B (zh) * 2018-06-05 2021-07-06 重庆长安汽车股份有限公司 新能源汽车的制动回馈扭矩分配方法及其四驱控制系统
CN109591604B (zh) * 2018-12-04 2020-10-16 北京新能源汽车股份有限公司 车辆的控制方法、装置及车辆
JP7204502B2 (ja) * 2019-01-25 2023-01-16 株式会社アドヴィックス 制動制御装置
CN111731431A (zh) * 2019-03-25 2020-10-02 明鸿工业股份有限公司 刹车连动系统
JP7476494B2 (ja) * 2019-08-08 2024-05-01 株式会社アドヴィックス 車両の制動制御装置
JP7196801B2 (ja) * 2019-09-09 2022-12-27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電動車両
JP7331654B2 (ja) * 2019-11-21 2023-08-23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制動力制御装置
CN111284495A (zh) * 2020-03-03 2020-06-16 一汽解放汽车有限公司 一种新能源汽车再生制动力分配方法
CN112248819B (zh) * 2020-10-20 2022-04-08 一汽解放汽车有限公司 一种新能源汽车再生制动力分配方法及新能源汽车
CN112477610B (zh) * 2020-12-11 2022-05-17 一汽解放汽车有限公司 一种新能源汽车再生制动力分配方法及新能源汽车
JP7484781B2 (ja) 2021-03-22 2024-05-16 株式会社アドヴィックス 車両の制動制御装置
JP2022145999A (ja) 2021-03-22 2022-10-05 株式会社アドヴィックス 車両の制動制御装置

Family Cites Families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496266B2 (ja) * 1994-03-15 2004-02-09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ブレーキシステム
JPH11115738A (ja) 1997-10-13 1999-04-27 Toyota Motor Corp 所要制動トルク取得装置および制動トルク制御装置
US6526278B1 (en) * 2000-03-03 2003-02-25 Motorola, Inc. Mobile satellite communication system utilizing polarization diversity combining
JP2003259504A (ja) * 2002-03-06 2003-09-12 Nissan Motor Co Ltd 制動制御装置
JP3863838B2 (ja) * 2002-11-12 2006-12-27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ハイブリッド車両
JP2004268901A (ja) * 2003-02-18 2004-09-30 Nissan Motor Co Ltd 制動制御装置
KR100653422B1 (ko) 2003-07-30 2006-12-04 주식회사 만도 차량의 제동력 배분 제어장치 및 그 제어방법
JP2005178709A (ja) 2003-12-24 2005-07-07 Nissan Motor Co Ltd 車両の制動装置
JP4539374B2 (ja) 2005-03-03 2010-09-08 日産自動車株式会社 複合ブレーキの協調制御装置
JP4631477B2 (ja) * 2005-03-04 2011-02-16 日産自動車株式会社 車両の回生制動制御装置
KR20070062230A (ko) 2005-12-12 2007-06-15 현대자동차주식회사 하이브리드차량의 회생 에너지 증대 방법
JP4839864B2 (ja) * 2006-01-31 2011-12-21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車両およびその制御方法並びに制動装置
JP4710633B2 (ja) 2006-02-06 2011-06-29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回生制動に応じて前後輪間制動力配分を変更する4輪駆動車
JP2008044554A (ja) 2006-08-18 2008-02-28 Nissan Motor Co Ltd 車両の制動制御装置
JP2009255622A (ja) * 2008-04-11 2009-11-05 Toyota Motor Corp 制動装置
JP2009278840A (ja) 2008-05-19 2009-11-26 Nissan Motor Co Ltd 電動車両の回生制動制御装置
WO2011048660A1 (ja) * 2009-10-19 2011-04-28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スタンバイ四輪駆動車両の駆動制御装置
JP5908779B2 (ja) * 2012-05-01 2016-04-26 日立オートモティブシステムズ株式会社 ブレーキ制御装置、ブレーキ制御方法
US9707944B2 (en) * 2013-11-08 2017-07-18 Honda Motor Co., Ltd. Braking force control system
KR20160071850A (ko) * 2014-12-12 2016-06-22 현대자동차주식회사 회생 제동 협조 제어 시 제동력 제어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465624B2 (en) 2019-05-08 2022-10-11 Hyundai Motor Company Method of cooperatively controlling regenerative braking step by step for rear-wheel-drive environmentally-friendly vehicl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6494375A (zh) 2017-03-15
US20170066331A1 (en) 2017-03-09
JP2017052502A (ja) 2017-03-16
DE102015122022A1 (de) 2017-03-09
CN106494375B (zh) 2021-01-12
JP6748421B2 (ja) 2020-09-02
US9931942B2 (en) 2018-04-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70029344A (ko) 회생제동 협조제어시 제동력 제어방법
KR20160071850A (ko) 회생 제동 협조 제어 시 제동력 제어 방법
CN104149764B (zh) 用于车辆再生制动系统的控制装置和制动车辆的方法
US9707944B2 (en) Braking force control system
JP5270654B2 (ja) ブレーキ制御装置
JP4412400B2 (ja) 車両用挙動制御装置
US8290675B2 (en) Recovery of energy in a hybrid vehicle having a hydraulic or pneumatic braking system
JP5699041B2 (ja) ブレーキ制御装置
CN102822025B (zh) 用于运行机动车辆制动系统的方法和制动系统
JP5229393B2 (ja) ブレーキ制御装置
US20150375726A1 (en) Method for operating a brake system, brake system in which the method is performed, and uses of the brake system
KR101404087B1 (ko) 회생 제동 제어 방법
US20130204502A1 (en) Method for Controlling a Motor Vehicle Brake System
JP2014061835A (ja) ブレーキ制御装置
CN103231705A (zh) 可灵活设定制动踏板感觉的电液复合制动系统
Lv et al. Regenerative braking control algorithm for an electrified vehicle equipped with a by-wire brake system
CN104837692A (zh) 用于运行车辆的制动系统的方法以及用于车辆的制动系统的控制装置
JP5768352B2 (ja) 電動車両のブレーキ制御装置
CN104114425A (zh) 车辆制动系统
DE102013224776A1 (de) Bremssystem für ein Kraftfahrzeug
KR101816479B1 (ko) 회생 제동 협조 제어 시 제동력 제어 방법
JP5746773B2 (ja) 車両用ブレーキ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CN202279101U (zh) 一种用于四轮驱动电动汽车的伺服制动系统
JP2010206992A (ja) ブレーキ制御装置
KR20110125114A (ko) 유압 제동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