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26604A - 자동차 실내용 패널 및 자동차용 환기 장치 - Google Patents

자동차 실내용 패널 및 자동차용 환기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26604A
KR20170026604A KR1020177003044A KR20177003044A KR20170026604A KR 20170026604 A KR20170026604 A KR 20170026604A KR 1020177003044 A KR1020177003044 A KR 1020177003044A KR 20177003044 A KR20177003044 A KR 20177003044A KR 20170026604 A KR20170026604 A KR 2017002660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nel
light
thin plate
absorbing zone
light absorb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700304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913049B1 (ko
Inventor
요하네스 로트만
폴커 팃츠
Original Assignee
폭스바겐 악티엔 게젤샤프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폭스바겐 악티엔 게젤샤프트 filed Critical 폭스바겐 악티엔 게젤샤프트
Publication of KR2017002660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2660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1304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1304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34Nozzles; Air-diffusers
    • B60H1/3407Nozzles; Air-diffusers providing an air stream in a fixed direction, e.g. using a grid or porous pane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34Nozzles; Air-diffusers
    • B60H1/3414Nozzles; Air-diffusers with means for adjusting the air stream direction
    • B60H1/3421Nozzles; Air-diffusers with means for adjusting the air stream direction using only pivoting shutt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34Nozzles; Air-diffus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3/00Elements for body-finishing, identifying, or decorating; Arrangements or adaptations for advertising purposes
    • B60R13/02Internal Trim mouldings ; Internal Ledges; Wall liners for passenger compartments; Roof lin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8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 F24F13/10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20Filters
    • G02B5/22Absorbing filt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34Nozzles; Air-diffusers
    • B60H2001/3492Manufacturing; Assembl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3/00Elements for body-finishing, identifying, or decorating; Arrangements or adaptations for advertising purposes
    • B60R13/02Internal Trim mouldings ; Internal Ledges; Wall liners for passenger compartments; Roof liners
    • B60R2013/0287Internal Trim mouldings ; Internal Ledges; Wall liners for passenger compartments; Roof liners integrating other functions or accessor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Vehicle Interior And Exterior Ornaments, Soundproofing, And Insulation (AREA)
  • Air-Conditioning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패널(1)의 지지부(7)에 고정된 복수의 박판(6)을 갖는 자동차 실내(2)용 패널(1)에 관한 것이다. 박판들(6) 중 적어도 하나는 지지부(7)를 향하는 측(18)에서 적어도 국부적으로 흡광 구역(17)에 의해 후방으로부터 결합된다. 또한, 본 발명은 자동차용 환기 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자동차 실내용 패널 및 자동차용 환기 장치{PANEL FOR A VEHICLE INTERIOR AND VENTILATION ARRANGEMENT FOR A MOTOR VEHICLE}
본 발명은 패널의 지지부에 고정된 복수의 박판을 갖는 자동차 실내용 패널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자동차용 환기 장치에 관한 것이다.
패널은 통상 자동차 실내에 배치되며, 그곳에서 예를 들어 자동차의 구조 요소를 커버하기 위해 사용된다. 이와 관련하여 패널은 자동차 실내의 시각적 인상 및 가치를 향상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점에서, 패널은 장식 패널 또는 장식 부라고도 할 수 있다.
패널은 하나 이상의 공기 배출부를 포함하는 환기 장치의 구성 요소일 수 있다. 공기 배출부는 공기, 예를 들어, 신선 공기 및/또는 자동차 실내로부터 방출된 공기, 즉, 재순환 공기를 자동차 실내로 유입하는데 이용된다. 공기 유입부를 통해 자동차 실내로 유입되는 공기의 유동 방향에 영향을 미치기 위해, 공기 배출부는 바람직하게, 예를 들어 변위 가능한, 특히 선회 가능한 하나 이상의 환기 박판, 바람직하게는 복수의 환기 박판을 포함한다. 즉, 박판의 배치 상태에 따라 공기는 상이한 유동 벡터로 자동차 실내에 유입된다.
패널은 특히, 공기 배출부를 은폐하기 위해 그리고 자동차 실내에 시각적으로 보기 좋게 설치하기 위해 제공된다. 이 경우, 바람직하게는, 공기 배출부의 외관이 연속적이며 공감적이어야 한다. 이러한 목적으로, 패널은 복수의 박판을 포함하며, 예를 들어 각각의 환기 박판에 패널의 정확히 하나의 또는 하나 이상의 박판이 할당된다. 상기 박판은, 각각 할당된 환기 박판의 시각적 연장부를 형성하도록 배열된다. 예를 들어, 패널은 환기 패널들 상부의 환기 장치와 같은 개수의 박판을 포함한다. 상술된 바와 같이, 환기 박판은 변위될 수 있는 반면, 패널의 박판은 바람직하게 움직일 수 없게 고정된다.
패널의 박판뿐만 아니라, 공기 배출부의 환기 박판도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국부적으로 서로 평행하게 배열되며, 박판에 의해 고정된 면들은 서로 교차되지 않거나, 서로 평행하게 배열된다. 그러나 이는 필수적인 것은 아니므로, 대안적 실시예에서는 박판들에 의해 형성된 평면들이 서로 소정의 각도로 교차될 수 있다.
패널의 박판은 지지부에 고정되고, 지지부는 예를 들어 자동차의 구조 요소에 상응할 수 있거나 그 구조 요소에 고정될 수 있다. 박판은 지지부에서부터 자동차 실내 방향으로 연장되며, 상기 박판의, 자동차 실내를 향하는 측 또는 지지부로부터 먼 측이 자유 단부로서 제공된다. 그러나 박판이 지지부로부터 자동차 실내 방향으로 연장되는 패널의 단순한 구성들에서는, 자동차 실내로부터 나오는 광이 박판 및/또는 지지부에 의해 반사될 경우 방해성 광 반사가 발생할 수 있다. 이러한 반사광은 관찰자, 예를 들어 자동차 운전자에게 반사될 수 있으며, 이러한 점에서 패널에서 방해성 하이라이트를 유발할 수 있다.
종래 기술로부터 예를 들어 공보 DE 196 54 416 C1호가 공지되어 있다. 이문헌은 하나 이상의 부분 영역에 관통부들이 제공되어있는 격자형 표면을 갖는 자동차 실내용 패널을 기술하고 있는데, 상기 패널은 실내용 트림 또는 계기판에 삽입될 수 있고, 관통부를 갖는 부분 영역이 실내용 트림 또는 계기판의 내부에서 또는 그 후방에 연장되는 공기 가이드의 개구를 덮는다. 재료 사용을 줄이고 조립을 간소화하기 위해, 격자형 표면의 하나 이상의 다른 부분 영역에, 실내용 트림 또는 계기판의 리세스 내에 배치된 음향 요소를 덮는 관통부가 제공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과제는, 종래 기술에 비해, 패널 상에서 반사 또는 하이라이트의 발생이 감소하거나, 심지어 완전히 방지되는 장점을 갖는 자동차 실내용 패널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과제는 청구항 제1항의 특징을 갖는 패널에 의해 달성된다. 박판의 적어도 하나가 지지부를 향하는 측에서 흡광 구역에 의해 적어도 국부적으로 후방으로부터 결합된다. 지지부을 향하는 측은 바람직하게는 -단면으로 볼 때- 개별 박판의, 자동차 실내로부터 먼 쪽 또는 자동차 실내로부터 먼 쪽의 단부로 이해된다. 박판은 상기 측에 정면을 갖는다. 흡광 구역은 상기 정면에 직접 인접하여 배치될 수 있으므로, 박판 또는 그의 정면이 흡광 구역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제한한다. 그러나 흡광 구역이 박판 또는 그의 정면으로부터 이격되어 제공될 수도 있으며, 이는 특히 자동차 실내로부터 먼 측의 경우에 해당한다. 다르게 표현하면, 본 발명에 따라, 지지부에 대면한 박판들 중 적어도 한 박판의 정면이 흡광 구역에 의해 적어도 국부적으로 후방으로부터 결합된다.
패널 또는 박판은, 박판들 사이를 향하는 광 빔의 대부분이 흡광 구역 방향으로 또는 흡광 구역 내로 반사되도록 구성된다. 흡광 구역은 상기 광 빔이 적어도 흡광 구역으로부터 적어도 바로 다시 방출되지 않거나, 박판을 지나 도달될 수 없도록 형성된다. 이러한 점에 있어서, 흡광 구역이 광 트랩(light trap)으로서 이용됨으로써, 박판 및/또는 지지부 상의 상기 언급된 하이라이트가 방지된다. 흡광 구역의 형상은, 예를 들어, 흡광 구역 내로 진입하여, 그곳에서 흡광 구역의 경계부에서 반사되고 직접 인접한 박판들 사이의 중간 공간을 통해 입사된 광이 적어도 다시 한번 경계부에 입사되도록 선택된다. 광 세기는 반사될 때마다 감소하기 때문에, 잔류 광으로서도 표시될 수 있고, 이어서 상황에 따라 흡광 구역으로부터 방출되는 광의 세기는, 관찰자에게 전혀 입사되지 않거나 또는 적어도 방해되지 않게 입사될 정도로 낮다.
흡광 구역은 단면에서 볼 때 바람직하게는 박판의, 자동차 실내로부터 먼 측에 형성된다. 특히, 흡광 구역은 박판 또는 박판의 정면과 지지부 사이에 제공되는데, 예를 들어 흡광 구역은 이들 모두에 의해 형성된다. 즉, 박판을 지지부에 보유하기 위해, 박판의 정면들이 최단 경로 상에서 서로 연결되는 경우는 해당되지 않는다. 오히려, 하나 이상의 박판의 정면이 흡광 구역을 형성하기 위해 지지부로부터 이격되어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흡광 구역은 단면에서 볼 때, 특히 한편으로는 연결 요소와 박판 사이, 또는 다른 한편으로는 연결 요소에 대면한 박판의 정면 사이에 제공된 합류 개구를 포함한다. 박판은 직접 인접한 박판과 연결 요소를 통해 연결된다. 연결 요소는 흡광 구역을 적어도 국부적으로 제한하며, 특히 흡광 구역은 -단면에서 볼 때- 연결 요소와 박판 사이에 놓인다. 바람직하게는, 합류 개구는 실제로 박판과 동일한 평면 내에 놓인다. 이와 관련하여, 흡광 구역은 단면에서 예를 들어 U자 형태이며, 합류 개구는 흡광 구역의 레그들 사이에 둘러싸인다. 합류 개구는 바람직하게는 흡광 구역에 의해 후방으로부터 결합된 박판의 상부면, 특히 편평한 상부면이 놓인 면 내에 놓인다.
흡광 구역의 깊이는 -단면에서 볼 때- 바람직하게는, 흡광 구역이 그들 사이로 합류되는 직접 인접한 박판들 사이의 최소 거리의 적어도 25%, 적어도 50%, 적어도 75% 또는 적어도 100%에 상응한다. 흡광 구역의 깊이는 바람직하게는 합류 개구와 흡광 구역의 가장 깊은 바닥 사이의 거리, 특히 합류 개구와, 합류 개구로부터 가장 멀리 이격된 흡광 구역의 지점 사이의 거리에 상응한다.
흡광 구역의 폭은, 흡광 구역이 할당되거나 흡광 구역을 후방으로부터 결합하는 박판의 길이의 예를 들어, 적어도 5%, 적어도 10%, 적어도 15%, 적어도 20%, 적어도 25% 또는 적어도 50%이다. 흡광 구역의 폭은 예를 들어 단면에서 볼 때 합류 개구의 폭, 즉, 흡광 구역에 의해 후방으로부터 결합되는 박판과 연결 요소 사이의 거리이다. 다르게 말하자면, 흡광 구역의 폭은 후방으로부터 결합된 박판과 연결 요소 사이의 최소 거리에 상응할 수 있다.
패널 또는 흡광 구역의 효과의 개선을 위해, 입사된 광의 세기를 가급적 빠르게 감소시키기 위해, 흡광 구역의 경계 또는 이 경계를 형성하는 벽이 무광택 처리될 수 있다. 그러나, 흡광 구역이 이미 높은 효율로 상기와 같은 감소를 수행하기 때문에, 경계부 또는 벽은 적어도 국부적으로, 특히 완전히 무광택 처리되지 않게, 예를 들어 매끄럽게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구성에서, 흡광 구역은 인접한 박판들에 의해 제한된 중간 공간에서 시작된다. 단면에서 볼 때 인접한 박판들, 특히 바로 인접한 박판들은 중간 공간을 제한하거나 또는 그들 사이에서 중간 공간을 둘러싼다. 중간 공간은 흡광 구역 내로 합류된다. 물론 흡광 구역이 중간 공간의 영역을 구현하거나 중간 공간이 흡광 구역의 영역을 형성하는 것으로도 말할 수 있다. 단면에서 볼 때, 흡광 구역은 포켓 형상 또는 자루 형상으로 형성된다. 따라서, 흡광 구역은 중간 공간으로부터 먼 측에서 폐쇄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성에서, 인접한 박판들은 서로 포개어져 배열되고, 흡광 구역은 하부 박판 및/또는 상부 박판에 후방으로부터 결합된다. 인접한 박판들은 특히 바람직하게는 직접 인접한 박판들로 이해될 수 있다. 따라서 이 박판들 사이에 추가의 박판은 없다. 인접한 박판들은 서로 포개어져 배열되며 상술한 중간 공간을 그들 사이에서 둘러싼다. 흡광 구역이 하부 박판 또는 상부 박판을 후방으로부터 결합하는 반면, 각각의 다른 박판은 후방으로부터 결합되지 않고, 예를 들어 지지부에 직접 지지될 수 있다. 그러나 물론, 흡광 구역이 하부 박판 및 상부 박판 모두를 후방으로부터 결합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중간 공간으로부터 두 개의 흡광 구역이 시작된다고 말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구성에서, 박판에 대해 절곡된 파지 요소를 포함하는 박판 요소에 박판들 중 적어도 하나가 제공된다. 박판의 종 방향 연장부에 대한 단면에서, 박판과 그에 할당된 파지 요소 사이에는 0°또는 180°와는 다른 각도가 형성되어야 한다. 파지 요소는 바람직하게는 박판에 직접 연결되거나 박판에 고정된다. 특히 바람직한 구성에서, 박판 요소는 단일편으로 구성됨으로써, 박판과 파지 요소가 단일편으로 그리고/또는 재료 일체식으로 형성된다. 파지 요소에 의해, 예를 들어 파지 요소에 할당된 박판의 고정이 구현된다.
본 발명의 다른 구성에서, 박판들 중 적어도 하나는 지지부로부터 먼 단부 에, 박판의 단차부에 의해 형성된 박판 헤드를 포함한다. 박판의 각각은 바람직하게는 이러한 박판 헤드를 포함한다. 박판 헤드는, 지지부로부터 먼 단부, 또는 자동차 실내에 대면한 각각의 박판의 단부에 제공된다. 박판 헤드는 박판의 단차부에 의해 형성되며, 단차부는 예를 들어 오프셋 또는 노치로 이해될 수 있기 때문에, 박판 내에 단계가 제공되며, 이에 의해 박판 헤드가 단면에서 볼 때, 박판 헤드로부터 먼 단차부의 측면에 제공된 박판의 다른 영역보다 더 큰 크기를 포함한다. 박판 헤드는 특히 박판의 시각적 개선에 사용되며, 이러한 점에 있어서 장식 요소로서 구성된다.
예를 들어, 박판 헤드는 적어도 국부적으로, 박판의 다른 영역의 재료와 다른 재료로 제조된다. 박판 헤드에 부착 부품, 특히 삽입 부품이 배열되거나 또는 고정된다. 이를 위해, 박판은, 예를 들어, 장식 부품이 삽입되거나 또는 압입된 고정 돌출부를 박판 헤드에 포함한다. 후자의 경우에, 장식 부품이 강제 결합식으로 박판에 보유된다. 물론, 박판에 대한 장식 요소의 고정은 예를 들어 형상 결합식, 강제 결합식 및/또는 재료 결합식으로 임의로 구성될 수 있다. 장식 부품은 박판과 같은 재료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러나 장식 부품은 바람직하게는 다른 재료로도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박판은 플라스틱으로 이루어지는 반면, 장식 부품은 금속으로 이루어지거나 적어도 금속 외관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특히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지지부의 연결 요소가 박판 헤드, 특히 단차부에 고정된다. 이 경우, 지지부의 연결 요소는 특히 바람직하게는 박판 헤드 또는 단차부에 지지된다. 이러한 점에서, 바람직하게는, 박판은 두 지점에서, 즉, 한편으로는 파지 요소를 통해, 그리고 다른 한편으로는 연결 요소를 통해 지지부에 고정된다. 연결 요소는 바람직하게는 두 개의 인접한 또는 직접 인접한 박판들 또는 박판 요소들 사이에 제공되며 이들을 서로 연결한다. 완전히 외부에 놓인 박판, 즉, 패널 내에서 완전히 상부 또는 완전히 하부에 배열된 박판이 다른 방식으로 지지부에 고정될 수 있고, 이를 위해, 지지부가 바람직하게는 연결 요소와 적어도 유사한 요소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개선예에서, 연결 요소가 박판 헤드로부터 먼 단부에서 파지 요소에 고정된다. 이미 상술한 바와 같이, 연결 요소가 박판 헤드에 고정되고, 바람직하게는 그에 지지된다. 단면에서 볼 때 다른 단부에서, 즉, 박판 헤드로부터 먼 단부에서, 연결 요소는 파지 요소에 고정되어야 하고, 바람직하게는 그에 지지되어야 한다. 이러한 점에 있어서, 연결 요소를 통해 바람직하게는 직접 인접한 박판들이 서로 연결되며, 연결 요소는 박판들 중 하나의 박판 헤드 및 박판들 중 다른 하나의 박판 헤드에 할당된 파지 요소에 지지된다. 이와 관련하여, 상응하는 박판 또는 박판 요소가 신뢰성 있게 고정된다.
또한, 흡광 구역은 단면에서 볼 때 파지 요소 및 연결 요소에 의해 제한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파지 요소 및 연결 요소는 적어도 국부적으로 이들 사이에서 흡광 구역을 둘러싼다. 이는, 흡광 구역을 형성하기 위해 파지 요소가 적어도 국부적으로 연결 요소로부터 이격되어 배열되는 것을 의미한다.
마지막으로, 흡광 구역 및/또는 중간 공간에 대면한 연결 요소의 표면은, 입사되는 광이 흡광 구역의 방향으로 반사되는 방식으로 만곡되어 제공될 수 있다. 이는 적어도, 관찰자의 관찰 위치의 상부에 위치하는 위치로부터 광 또는 상응하는 광 빔이 방출되는 경우에 해당되어야 한다. 그러나 광은 자동차 실내에서 통상 상부로부터 패널 상으로 도달되기 때문에, 각각 하부 박판을 후방으로부터 결합하는 흡광 구역에 의해 하이라이트의 매우 신뢰성 있는 차단이 수행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단면에서 볼 때, 연결 요소는, 연결 요소가 박판들 중 첫 번째에 지지되는 제1 지점으로부터, 제1 지점에 직접 인접한 제2 박판에 지지되는 제2 지점까지 연속으로 만곡된다. 이 경우에, 만곡부는 특히 흡광 구역에 대면하는 연결 요소의 벽 또는 표면을 위해 제공된다. 만곡부의 곡률은 제1 지점으로부터 제2 지점까지 일정할 수 있거나, 바람직하게는 연속으로 변경될 수 있다. 후자의 실시예에서, 광은 흡광 구역 내에서 특히 효과적으로 유지된다.
또한, 본 발명은 복수의 환기 박판을 포함하는 공기 배출부와, 특히 상술된 실시예에 따른 공기 배출부에 인접하여 배열된 패널과, 패널의 지지부에 고정된 복수의 박판을 구비한 자동차용 환기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 경우에, 박판들 중 적어도 하나는 지지부을 향하는 측 상에서 적어도 국부적으로 흡광 구역에 의해 후방으로부터 결합된다. 환기 장치는 서두에 이미 언급되었다. 환기 장치는 특히 공기 배출부 또는 복수의 공기 배출부를 포함한다. 박판은 공기 배출부 또는 복수의 공기 배출부에 인접하여 배열된다. 바람직하게는, 패널은 공기 배출부에 직접 연결된다. 환기 장치 및 패널의 상기 유형의 구성의 장점은 이미 설명되었다. 환기 장치 및 패널은 상기 구성에 따라 개선될 수 있기 때문에, 이에 관해서는 상기 실시예가 참조된다.
본 발명의 제한 없이, 이하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조하여 본 발명이 보다 상세히 설명된다.
도 1은 자동차 실내용 패널의 개략적인 단면도를 도시한다.
도 1은 관찰자 위치(3) 및 그로부터 시작되는 패널(1)에 대한 시야(4)가 표시되는 자동차 실내(2)용 패널(1)의 개략적인 단면도를 도시한다. 관찰자 위치(3)는 95% 남성에 대해 도시된다. 이러한 관찰자 위치(3)는 평균적으로 추정된 모든 관찰자, 특히 자동차 운전자의 95% 보다 많은 사람들을 위한 것이다.
패널(1)은 특히, 단지 예시로서 도시된 하나 이상의 구조 요소(5)를 덮기 위해 사용된다. 패널(1)은 패널(1)의 지지부(7)에 의해, 특히 서로에 대해 그리고/또는 하나 이상의 구조 요소(5)에 고정된 복수의 박판(6)을 포함한다. 박판(6)은 각각, 바람직하게는, 상응하는 박판(6)에 부가적으로 파지 요소(9)를 포함하는 박판 요소(8)의 구성 부분이다. 파지 요소(9)는 여기서 보유 기부 형상으로 제공되며, 박판에 대해 경사져 있으며, 즉, 박판에 대해 0°보다 크고 180°보다 작은 각도로 제공된다.
또한, 박판 요소(8)에는 상응하는 박판(6)에 고정된 장식 부분(10)이 할당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각각의 박판 요소(8)는 상기 유형의 장식 부분(10)을 포함한다. 그러나 여기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이는 단지 박판 요소(8)의 부분에 대한 경우이다. 예를 들어, 장식 부분(10)은 박판 요소(8) 또는 박판(6)의 재료와 상이한 재료로 이루어질 수 있다. 박판 요소(8)는 예를 들어 플라스틱으로 이루어지는 반면, 장식 부분(10)은 금속 또는 적어도 금속성 외관을 포함한다.
박판(6)은 서로 평행하게 배열된다. 박판은, 자동차 실내(2)를 향하는 박판(6)의 측면 상에 단차부(12)를 통해 형성된 박판 헤드(11)를 각각 포함한다. 예를 들어, 단차부(12)는 단계 또는 노치의 구성으로 이해될 수 있다. 박판(6) 또는 박판 요소(8)는 연결 요소(13)를 통해 서로 연결된다. 이 경우에, 연결 요소(13)의 각각은 한편으로 박판 헤드(11), 예를 들어 단차부(12)에, 다른 한편으로 직접 인접한 박판(6)의 파지 요소(9)에 지지되거나, 다른 한편으로 그곳에 고정된다. 이와 관련하여, 연결 요소(13)는 직접 인접한 박판(6) 또는 직접 인접한 박판 요소(8)를 연결하는데 이용된다. 각각 가장 외측에 배열된 박판(6) 또는 박판 요소(8)는, 다른 방식으로, 예를 들어 지지부(7)의 요소(14, 15)에 의해 고정될 수 있다. 이 경우에, 요소(14, 15)는 연결 요소(13)와 유사하게 형성될 수 있다.
각각 직접 인접한 박판들(6)이 그들 사이에서 실내 공간(16)을 둘러싸는 것이 명확해진다. 패널(1)은 이제, 방해성 광 반사 및 하이라이트가 적어도 부분적으로, 특히 완전히 차단되도록 형성된다. 이러한 목적으로, 박판(6)의 적어도 하나는, 그러나 바람직하게는 모든 박판(6)은 각각 흡광 구역(17)에 의해 후방으로부터 결합된다. 이는, 흡광 구역(17)이 바람직하게는 자동차 실내(2)로부터 먼 각각의 박판(6)의 측면 상에 또는 박판(6)의 각각의 정면(18) 상에 중공 챔버 형태로 제공되는 것을 의미한다.
흡광 구역(17)은 바람직하게는 파지 요소(9), 연결 요소(13) 및/또는 박판(6), 특히 박판(6)의 정면(18)에 의해 공동으로 제한된다. 이 경우에, 흡광 구역(17)은 특히 바람직하게는 중간 공간(16)에 연결되거나 중간 공간과 유동 연결된다. 여기에 도시된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흡광 구역(17)이 항상 직접 인접한 박판(6)을 후방으로부터 결합하는 것이 명백해 진다. 패널(1)의 이러한 방식의 구성에서, 관찰자 위치(3)의 상부로부터 중간 공간(16)으로 입사되는 광은, 이 광이 흡광 구역(17) 내로 도달되도록, 박판(6) 또는 박판 요소(8) 및 연결 요소(13)에 의해 반사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흡광 구역(17)은, 광이 전혀 또는 단지 강하게 약화된 강도만으로 나올 수 있는 광 트랩으로서 이용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패널(1) 상의 방해성 반사 및 하이라이트가 차단된다.
또한, 연결 요소(13)의 표면(19) 또는 요소(14)의 표면(20)이 만곡되어 연장되는 것이 명백해 진다. 표면(19) 및/또는 표면(20)의 만곡은 단면에서 볼 때 바람직하게는 오목하고, 자동차 실내(2)에 대해 후퇴함으로써, 흡광 구역(17)이 형성된다.
만곡은 표면(19 또는 20) 상으로 입사된 광이 흡광 구역(17) 방향으로 반사되도록 선택된다. 도면에서, 이는, 관찰자 위치(3) 또는 시야(4) 상부로부터 시작되고 중간 공간(16) 내로 도달되는 광 빔(21)에 대해 예시적으로 도시된다. 광 빔(21)은 표면(19) 상에서 반사 지점(22)에 입사되며 흡광 구역(17) 방향으로 반사되거나 또는 흡광 구역 내로 반사된다. 또한, 도면에서, 구조 요소(5)와 요소(14, 15) 사이의 전환부가 커버 요소(23)에 의해 시각적으로 매력적으로 구성될 수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표면(19 및 20)이 적어도 국부적으로, 특히 전체적으로 무광택으로 제공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입사된 광이 더 약화될 수 있다.

Claims (10)

  1. 패널(1)의 지지부(7)에 고정된 복수의 박판(6)을 갖는 자동차 실내(2)용 패널(1)에 있어서,
    박판들(6) 중 적어도 하나는 지지부(7)를 향하는 측(18)에서 적어도 국부적으로 흡광 구역(17)에 의해 후방으로부터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실내용 패널(1).
  2. 제1항에 있어서, 흡광 구역(17)은 인접한 박판들(6)에 의해 제한된 중간 공간(16)에서 시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실내용 패널.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인접한 박판들(6)은 포개어져 배치되고, 흡광 구역(17)은 하부 박판 및/또는 상부 박판(6)에 후방으로부터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실내용 패널.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박판들(6) 중 적어도 하나는, 박판(6)에 대해 절곡된 파지 요소(9)를 포함하는 박판 요소(8)에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실내용 패널.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박판들(6) 중 적어도 하나는 지지부(7)로부터 먼 쪽의 단부에, 상기 박판(6)의 단차부(12)에 의해 형성된 박판 헤드(11)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실내용 패널.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박판 헤드(11)에, 특히 단차부(12)에 지지부(7)의 연결 요소(13)가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실내용 패널.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연결 요소(13)는 박판 헤드(11)로부터 먼 쪽의 단부에 의해 파지 요소(9)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실내용 패널.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흡광 구역(17)은 단면으로 볼 때 파지 요소(9) 및 연결 요소(13)에 의해 제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실내용 패널.
  9.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흡광 구역(17) 및/또는 중간 공간(16) 쪽을 향하는 연결 요소(13)의 표면(19)은, 상기 표면에 입사되는 광이 흡광 구역(17)의 방향으로 반사되도록 만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실내용 패널.
  10. 복수의 환기 박판을 포함하는 공기 배출부와, 상기 공기 배출부에 인접하여 배치된 패널(1), 특히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패널(1)과, 상기 패널(1)의 지지부(7)에 고정된 복수의 박판(6)을 갖는 자동차용 환기 장치에 있어서,
    박판들(6) 중 적어도 하나는 지지부(7)를 향하는 측(18)에서 적어도 국부적으로 흡광 구역(17)에 의해 후방으로부터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환기 장치.
KR1020177003044A 2014-07-03 2015-05-07 자동차 실내용 패널 및 자동차용 환기 장치 KR10191304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2014212978.8 2014-07-03
DE102014212978 2014-07-03
DE102014219902.6A DE102014219902A1 (de) 2014-07-03 2014-10-01 Blende für einen Fahrzeuginnenraum sowie Lüftungsanordnung für ein Kraftfahrzeug
DE102014219902.6 2014-10-01
PCT/EP2015/060077 WO2016000855A1 (de) 2014-07-03 2015-05-07 Blende für einen fahrzeuginnenraum sowie lüftungsanordnung für ein kraftfahrzeug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26604A true KR20170026604A (ko) 2017-03-08
KR101913049B1 KR101913049B1 (ko) 2018-10-29

Family

ID=548662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7003044A KR101913049B1 (ko) 2014-07-03 2015-05-07 자동차 실내용 패널 및 자동차용 환기 장치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10792980B2 (ko)
EP (1) EP3164298B1 (ko)
JP (1) JP6385475B2 (ko)
KR (1) KR101913049B1 (ko)
CN (1) CN106660433B (ko)
DE (1) DE102014219902A1 (ko)
WO (1) WO2016000855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232401B (zh) * 2014-04-25 2019-04-16 卡森尼可关精株式会社 空调格栅安装结构以及空调格栅安装方法
DE102014219074A1 (de) * 2014-07-03 2016-01-07 Volkswagen Aktiengesellschaft Dekorelement für einen Innenraum eines Kraftfahrzeugs, Einrichtung für einen Innenraum eines Kraftfahrzeugs, Kraftfahrzeug und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s Dekorelements
DE102017203740A1 (de) * 2017-03-07 2018-09-13 Volkswagen Aktiengesellschaft Luftausströmeranordnung
DE102017216541A1 (de) 2017-09-19 2019-03-21 Volkswagen Aktiengesellschaft Luftausströmeranordnung für ein Kraftfahrzeug
DE102017128090A1 (de) 2017-11-22 2019-05-23 Dr. Ing. H.C. F. Porsche Aktiengesellschaft Anordnung mindestens eines technischen Bauteils innerhalb eines Hohlraums in einem Innenraum eines Kraftfahrzeugs
JP6977706B2 (ja) * 2018-04-11 2021-12-08 株式会社デンソー 空気吹出装置
JP7255170B2 (ja) * 2018-04-11 2023-04-11 株式会社デンソー 空気吹出装置
US11183183B2 (en) 2018-12-07 2021-11-23 Sonos, Inc. Systems and methods of operating media playback systems having multiple voice assistant services
DE102020207151A1 (de) * 2020-06-08 2021-12-09 Volkswagen Aktiengesellschaft Luftausströmer für ein Kraftfahrzeug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377144A (en) * 1965-04-08 1968-04-09 Paragon Die Casting Company Speaker grill

Family Cites Families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2814627C2 (de) * 1978-04-05 1979-12-06 Bayerische Motoren Werke Ag, 8000 Muenchen Innenleuchte fur Kraftfahrzeuge
JPS5786812U (ko) * 1980-11-18 1982-05-28
DE19654416C1 (de) 1996-12-24 1998-05-07 Mannesmann Vdo Ag Blende für den Innenraum eines Fahrzeuges
SE519450C2 (sv) 1999-12-29 2003-03-04 Volvo Personvagnar Ab Anordning för att minska reflexer och kontraster vid ventilationsmunstycken
JP2006011177A (ja) 2004-06-28 2006-01-12 Nissan Motor Co Ltd 反射表皮材
DE102005003414A1 (de) 2005-01-25 2006-07-27 Elringklinger Ag Gehäusedeckel
JP4816381B2 (ja) * 2006-09-29 2011-11-16 豊田合成株式会社 空調用レジスタ
JP4371326B2 (ja) * 2007-10-16 2009-11-25 森六テクノロジー株式会社 空調用吹出口の送風方向変更装置
JP4212636B1 (ja) 2007-12-21 2009-01-21 光正 武田 車両用内装材
JP2009149281A (ja) 2008-08-25 2009-07-09 Mitsumasa Takeda 車両用内装材
CN201354035Y (zh) * 2008-11-26 2009-12-02 广州市中新塑料有限公司 一种汽车内饰喇叭网结构
DE202009004224U1 (de) * 2009-03-30 2009-06-10 Reum Gmbh & Co. Betriebs Kg Abdeckung, insbesondere für ein Instrumententafelbauteil, sowie Spritzgusswerkzeug zu dessen Herstellung
DE202009005250U1 (de) * 2009-09-08 2009-11-12 Dr. Schneider Kunststoffwerke Gmbh Bogenförmige Luftdüse
DE102010005326B4 (de) * 2010-01-22 2018-07-05 Dr. Ing. H.C. F. Porsche Aktiengesellschaft Einstückiges Abdeckelement
DE102010011548A1 (de) 2010-03-15 2011-09-15 Volkswagen Ag Formteil für den Innenraum eines Fahrzeuges sowie Fahrzeug
EP2617588B1 (de) 2012-01-17 2014-03-19 Magna Steyr Fahrzeugtechnik AG & Co KG Vorrichtung zur Klimatisierung und/oder Belüftung eines Innenraumes
DE102012015748A1 (de) 2012-08-09 2014-02-13 Volkswagen Aktiengesellschaft Luftauslassvorrichtung für den Innenraum eines Fahrzeugs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377144A (en) * 1965-04-08 1968-04-09 Paragon Die Casting Company Speaker grill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164298B1 (de) 2019-10-23
EP3164298A1 (de) 2017-05-10
JP6385475B2 (ja) 2018-09-12
CN106660433A (zh) 2017-05-10
US20170113516A1 (en) 2017-04-27
CN106660433B (zh) 2020-02-07
KR101913049B1 (ko) 2018-10-29
WO2016000855A1 (de) 2016-01-07
DE102014219902A1 (de) 2016-01-07
JP2017523076A (ja) 2017-08-17
US10792980B2 (en) 2020-10-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13049B1 (ko) 자동차 실내용 패널 및 자동차용 환기 장치
JP5203815B2 (ja) 車両用カウルルーバの衝撃力吸収構造
JP5873106B2 (ja) 車両の意匠部品配置構造
US9248866B2 (en) Hood assembly
US20160080847A1 (en) Loudspeaker cover
RU2008135593A (ru) Конструктивный элемент для конструкции типа оболочки
JP6040969B2 (ja) 車両用バックドア構造
USD594890S1 (en) Vehicle grille
JP2008296820A (ja) 車両用ドア構造
US8905453B2 (en) Interior venting
KR20120003956U (ko) 양방향 사이드 미러
JP6610119B2 (ja) カウルトップガーニッシュ構造
KR101356343B1 (ko) 환기 덕트가 구비된 구획 부재
JP2005199837A (ja) ラジエータグリル
CA2867872A1 (en) Lamp band for a passenger compartment of a rail vehicle
JP5233581B2 (ja) 車体後部構造
JP2007276530A (ja) 自動車のリヤウインド構造
KR101671104B1 (ko) 자동차
JP6593839B2 (ja) インストルメントパネル構造
JP6001630B2 (ja) 音を伝達するためのデバイス
JP5315085B2 (ja) 車両のフロントピラー構造
CN111717132B (zh) 下边梁外饰部构造
US20150321676A1 (en) Carriage body for a rail vehicle
JP2005255159A (ja) 自動車の乗員のための膝保護装置
GB2536332A (en) An interior trim arrangement for a vehicle and a vehicle with the interior trim arrangemen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