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17731A - 화상 형성 장치 - Google Patents

화상 형성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17731A
KR20170017731A KR1020160096117A KR20160096117A KR20170017731A KR 20170017731 A KR20170017731 A KR 20170017731A KR 1020160096117 A KR1020160096117 A KR 1020160096117A KR 20160096117 A KR20160096117 A KR 20160096117A KR 20170017731 A KR20170017731 A KR 2017001773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cording material
nip portion
speed
conveying
image form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961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겐타로 야마나
유이치 다나베
Original Assignee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7001773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1773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14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transferring a pattern to a second base
    • G03G15/16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transferring a pattern to a second base of a toner pattern, e.g. a powder pattern, e.g. magnetic transfer
    • G03G15/1665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transferring a pattern to a second base of a toner pattern, e.g. a powder pattern, e.g. magnetic transfer by introducing the second base in the nip formed by the recording member and at least one transfer member, e.g. in combination with bias or heat
    • G03G15/167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transferring a pattern to a second base of a toner pattern, e.g. a powder pattern, e.g. magnetic transfer by introducing the second base in the nip formed by the recording member and at least one transfer member, e.g. in combination with bias or heat at least one of the recording member or the transfer member being rotatable during the transfer
    • G03G15/1685Structure, details of the transfer member, e.g. chemical composition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2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fixing, e.g. by using heat
    • G03G15/2003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fixing, e.g. by using heat using heat
    • G03G15/2014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fixing, e.g. by using heat using heat using contact heat
    • G03G15/2053Structural details of heat elements, e.g. structure of roller or belt, eddy current, induction heating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14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transferring a pattern to a second base
    • G03G15/16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transferring a pattern to a second base of a toner pattern, e.g. a powder pattern, e.g. magnetic transfer
    • G03G15/1605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transferring a pattern to a second base of a toner pattern, e.g. a powder pattern, e.g. magnetic transfer using at least one intermediate support
    • G03G15/1615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transferring a pattern to a second base of a toner pattern, e.g. a powder pattern, e.g. magnetic transfer using at least one intermediate support relating to the driving mechanism for the intermediate support, e.g. gears, couplings, belt tensioning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14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transferring a pattern to a second base
    • G03G15/16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transferring a pattern to a second base of a toner pattern, e.g. a powder pattern, e.g. magnetic transfer
    • G03G15/1665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transferring a pattern to a second base of a toner pattern, e.g. a powder pattern, e.g. magnetic transfer by introducing the second base in the nip formed by the recording member and at least one transfer member, e.g. in combination with bias or heat
    • G03G15/167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transferring a pattern to a second base of a toner pattern, e.g. a powder pattern, e.g. magnetic transfer by introducing the second base in the nip formed by the recording member and at least one transfer member, e.g. in combination with bias or heat at least one of the recording member or the transfer member being rotatable during the transfer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2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fixing, e.g. by using heat
    • G03G15/2003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fixing, e.g. by using heat using heat
    • G03G15/2014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fixing, e.g. by using heat using heat using contact heat
    • G03G15/2017Structural details of the fixing unit in general, e.g. cooling means, heat shielding mea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50Machine control of 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e.g. regulating differents parts of the machine, multimode copiers, microprocessor control
    • G03G15/5008Driving control for rotary photosensitive medium, e.g. speed control, stop position control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50Machine control of 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e.g. regulating differents parts of the machine, multimode copiers, microprocessor control
    • G03G15/5054Machine control of 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e.g. regulating differents parts of the machine, multimode copiers, microprocessor control by measuring the characteristics of an intermediate image carrying member or the characteristics of an image on an intermediate image carrying member, e.g. intermediate transfer belt or drum, conveyor belt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55Self-diagnostics; Malfunction or lifetime display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65Apparatus which relate to the handling of copy material
    • G03G15/6529Transporting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65Apparatus which relate to the handling of copy material
    • G03G15/6588Apparatus which relate to the handling of copy material characterised by the copy material, e.g. postcards, large copies, multi-layered materials, coloured sheet material
    • G03G15/6591Apparatus which relate to the handling of copy material characterised by the copy material, e.g. postcards, large copies, multi-layered materials, coloured sheet material characterised by the recording material, e.g. plastic material, OHP, ceramics, tiles, textile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65Apparatus which relate to the handling of copy material
    • G03G15/6588Apparatus which relate to the handling of copy material characterised by the copy material, e.g. postcards, large copies, multi-layered materials, coloured sheet material
    • G03G15/6594Apparatus which relate to the handling of copy material characterised by the copy material, e.g. postcards, large copies, multi-layered materials, coloured sheet material characterised by the format or the thickness, e.g. endless form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215/00Apparatus for electrophotographic processes
    • G03G2215/01Apparatus for electrophotographic processes for producing multicoloured copies
    • G03G2215/019Structural features of the multicolour image forming apparatus
    • G03G2215/0196Recording medium carrying member with speed switching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215/00Apparatus for electrophotographic processes
    • G03G2215/20Details of the fixing device or porcess
    • G03G2215/2003Structural features of the fixing device
    • G03G2215/2045Variable fixing speed

Abstract

기록재는, 레지스트레이션 롤러 쌍의 레지스트레이션 닙부와, 이차 전사부와, 정착 장치의 정착 닙부에 의해 각각 보유지지되고 반송된다. 이차 전사부에서의 기록재의 반송 속도는, 정착 닙부에서의 반송 속도에 비해서 빠르게 설정되어 있고, 기록재는 이차 전사부와 정착 닙부 사이에서 굴곡된 형상을 취한다. 레지스트레이션 닙부에서의 반송 속도는, 기록재의 선단이 정착 닙부에 도달한 후에 증가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기록재의 강도에 의해 중간 전사 벨트에 가해지는 힘을 상쇄시킨다.

Description

화상 형성 장치{IMAGE FORMING APPARATUS}
본 발명은, 전자 사진 인쇄 방식을 사용하여 토너상을 기록재에 형성하는, 복사기, 프린터, 팩시밀리, 또는 이 복수의 기능을 갖는 복합기 등의 화상 형성 장치에 관한 것이다.
전자 사진 인쇄 방식을 사용한 화상 형성 장치에서는, 전사부에서 기록재에 토너상을 전사한 후에, 정착 장치에 의해 가열 및 가압함으로써 토너상을 기록재에 정착시키고 있다. 이와 같은 구성과 관련하여, 일본 특허 출원 공개 공보 제H10-97154호에서는, 정착 장치의 닙부(정착 닙부)에서의 기록지의 반송 속도가, 전사부(전사 닙부)에서의 기록지(기록재)의 반송 속도에 비해서 작게 설정된 화상 형성 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이 구성에 의해, 정착 닙부와 전사 닙부 사이에서 기록지가 당겨지는 것을 방지하여, 기록지의 당김에 의한 화상의 일그러짐을 방지하고 있다.
일본 특허 공개 공보 제H10-97154호에 기재된 화상 형성 장치에서, 정착 닙부와 전사 닙부 사이의 반송 속도의 차에 의해, 기록지는 정착 닙부와 전사 닙부 사이에서 굴곡된 형상을 갖는다. 기록지가 상기와 같이 굴곡되었을 경우, 전사 닙부에서 기록지에 접촉하는 상 담지체에 대하여, 기록지의 탄성(강도)에 의해 상 담지체의 회전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힘이 가해진다. 이러한 힘에 의해 상 담지체의 회전 속도가 변화하면, 색 미스레지스트레이션 등의 화상 불량이 유발될 수 있다.
상기 관점에서, 기록재를 전사 닙부의 상류 측에서 굴곡되게 함으로써, 전사 닙부와 정착 닙부와의 사이의 기록재의 굴곡에 의해 상 담지체에 가해지는 힘을 상쇄시키는 것이 생각된다. 그러나, 전사 닙부의 상류 측에서 기록재가 크게 굴곡된 상태에서 기록재가 전사 닙부의 상류 위치에서 상 담지체에 접촉하면, 상 담지체에 담지된 토너상이 일그러져서 화상 불량을 유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르면,
화상 형성 장치가 제공되며, 상기 화상 형성 장치는,
이동가능한 무단 벨트;
상기 벨트에 토너상을 형성하도록 구성되는 토너상 형성 유닛;
전사 회전체와 상기 벨트 사이에서, 상기 벨트에 담지된 토너상을 기록재에 전사하도록 구성되는 전사 닙부를 형성하는 전사 회전체로서, 상기 전사 닙부에서 상기 기록재는 Vt의 속도에서 반송되는, 전사 회전체;
상기 기록재의 반송 방향으로 상기 전사 닙부의 상류에 배치되고, 상기 기록재를 상기 전사 닙부에 반송하도록 구성되는 1쌍의 반송 부재로서, 상기 1쌍의 반송 부재는 반송 닙부를 형성하는, 1쌍의 반송 부재;
상기 반송 닙부에서 상기 기록재가 Vr의 속도에서 반송되도록 상기 1쌍의 반송 부재 중 적어도 하나를 구동하도록 구성되는 제1 구동원;
상기 기록재의 반송 방향으로 상기 전사 닙부의 하류에 배치되고, 상기 전사 닙부에서 상기 기록재 상에 전사된 토너상을 정착시키도록 구성되는 1쌍의 정착 부재로서, 상기 1쌍의 정착 부재는 정착 닙부를 형성하는, 1쌍의 정착 부재;
상기 정착 닙부에서 상기 기록재가 Vf의 속도에서 반송되도록 상기 1쌍의 정착 부재 중 적어도 하나를 구동하도록 구성되는 제2 구동원;
상기 토너상이 전사되는 상기 기록재의 평량 또는 두께에 관한 정보가 입력되는 입력부; 및
상기 전사 닙부에서 상기 기록재가 반송되고 있을 때의 상기 Vt보다 상기 Vr이 빠르도록 상기 제1 구동원의 구동 속도를 제어하고, 상기 기록재가 상기 전사 닙부와 상기 정착 닙부의 양자 모두에 반송되는 기간에 포함되는 기간 동안 상기 전사 닙부와 상기 정착 닙부 사이에서 상기 기록재에 굴곡된 상태가 형성되도록 상기 제2 구동원의 구동 속도를 제어하며, 상기 입력부에 입력된 정보가 미리결정된 평량 또는 미리결정된 두께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Vr1이 Vr0보다 빠르도록 상기 제1 구동원의 구동 속도를 제어하도록 구성되고, 여기서 Vr0은 반송 방향으로 상기 기록재의 하류 연부가 상기 정착 닙부에 도달하기 전이며 상기 기록재가 상기 반송 닙부에 반송되는 중의 기간 동안의 Vr을 나타내고, Vr1은 반송 방향으로 상기 기록재의 하류 연부가 상기 정착 닙부에 도달한 후이며 상기 기록재가 상기 반송 닙부에 반송되는 기간에 포함되는 기간 동안의 Vr을 나타내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추가적인 특징은 첨부된 도면과 관련한 예시적인 실시형태에 대한 이하의 설명으로부터 명확해질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른 화상 형성 장치를 나타내는 개략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실시형태에 따른 화상 형성 장치의 주요부를 도시하는 개략도이다.
도 3은 본 실시형태에 따른 화상 형성 장치에서 기록재의 반송 속도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 구성을 나타내는 제어 블록도이다.
도 4는 본 실시형태에 따른 속도 제어 프로세스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5a는 기록재의 선단 위치 및 후단 위치의 시간에 따른 변화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5b는 기록재의 반송 속도의 시간에 따른 변화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5c는 기록재의 루프량의 시간에 따른 변화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5d는 기록재로부터 중간 전사 벨트에 가해지는 힘의 변화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이하, 도면에 따라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른 화상 형성 장치에 대해서 설명한다. 또한, 이하의 설명에서, 화상 형성 장치를 그 정면으로부터 본 시점(도 1의 시점)에 기초하여 상, 하, 좌, 및 우 방향을 나타낸다.
[화상 형성 장치]
본 실시형태에 따른 화상 형성 장치(100)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무단 중간 전사 벨트(8)의 아래 면을 따라, 카트리지로 각각 형성된 4개의 화상 형성부(1a, 1b, 1c, 1d)가 배치된 소위 탠덤형 중간 전사 시스템의 풀컬러 프린터이다. 토너상을 형성하도록 구성되는 화상 형성부로서의 드럼 카트리지(1a, 1b, 1c, 1d)는, 옐로우(Y), 마젠타(M), 시안(C), 및 블랙(Bk)의 토너 색에 각각 대응한다. 화상 형성 장치(100)는, 드럼 카트리지(1a, 1b, 1c, 1d)와, 중간 전사 벨트(8)와, 급송부(25)와, 레지스트레이션 롤러 쌍(14)과, 정착 장치(16)와, 제어부(50) 등을 포함하고 있다.
드럼 카트리지(1a, 1b, 1c, 1d)는, 현상 장치(4a, 4b, 4c, 4d)에 사용하는 토너 색이 상이한 것 이외에는, 실질적으로 동일하게 구성된다. 이하, 드럼 카트리지(1a)에 대해서 설명한다. 다른 드럼 카트리지(1b, 1c, 1d)에 대해서는, 부호 말미의 "a"를, "b", "c", 또는 "d"로 치환하여 설명을 생략한다.
드럼 카트리지(1a)는, 감광 드럼(2a)과, 이 감광 드럼(2a)의 주위에 배치되는 대전 롤러(3a), 현상 장치(4a), 일차 전사 롤러(5a) 및 클리닝 장치(6a) 등을 포함하고 있다. 감광 드럼(2a)은, 알루미늄제의 실린더의 외주면에 부극성의 대전 극성을 갖는 감광층을 갖고, 구동 모터(도시하지 않음)에 의해 중간 전사 벨트(8)의 회전 방향 및 회전 속도(프로세스 속도)에 따라 구동 및 회전된다.
대전 롤러(3a)는, 감광 드럼(2a)의 회전에 종동하여 회전하고, 부극성의 DC 전압에 AC 전압을 중첩한 진동 전압을 공급받음으로써, 감광 드럼(2a)의 표면을 균일한 부극성의 전위로 대전시킨다. 감광 드럼(2a)의 대전된 부분에는, 드럼 카트리지(1a)의 하방에 배치된 노광 장치(7)로부터 레이저광이 조사된다. 노광 장치(7)는, 회전 미러의 사용을 통해 옐로우의 분해 색 화상을 전개한 주사선 화상 데이터에 기초하여 온-오프(ON-OFF) 변조된 레이저 빔에 의해 감광 드럼(2a)의 표면을 주사하고, 감광 드럼(2a)의 표면의 잔류 전하를 제전하여, 그 위에 정전 잠상을 형성한다. 현상 장치(4a)는, 감광 드럼(2a)에 토너를 공급하여 정전 잠상을 토너상으로서 시각화(현상)한다.
일차 전사 롤러(5a)는, 일차 전사 롤러(5a)와 감광 드럼(2a) 사이에 중간 전사 벨트(8)를 보유지지하고 있고, 중간 전사 벨트(8)와 감광 드럼(2a) 사이에 일차 전사부(Ta)를 형성한다. 일차 전사 롤러(5a)에는 정극성 DC 전압이 공급되어 있고, 감광 드럼(2a)에 담지된 부극성의 토너상은 일차 전사부(Ta)에서 중간 전사 벨트(8)에 일차 전사된다. 클리닝 장치(6a)는, 감광 드럼(2a)에 맞닿는 클리닝 블레이드에 의해, 일차 전사부(Ta)를 통과해서 감광 드럼(2a)의 표면에 잔류하는 전사 잔류 토너 등의 부착물을 제거한다. 클리닝 장치(6a)에 의해 제거된 부착물은, 토너 반송 스크류(60a)에 의해 배출구(도시하지 않음)에 반송되고, 토너 수집 보틀 등의 수집 부재에 배출된다.
회전가능한 상 담지체로서의 중간 전사 벨트(8)는, 텐션 롤러(11), 구동 롤러(10) 및 텐셔닝 롤러(13)에 감기고, 구동 롤러(10)에 접속된 상 형성 모터(32)(도 3 참조)에 의해 미리결정된 방향(화살표 R1의 방향)으로 구동 및 회전된다. 구동 롤러(10)는, 회전 부재로서의 이차 전사 롤러(12)(외측 이차 전사 롤러)와 구동 롤러(10) 사이에 중간 전사 벨트(8)를 보유지지하는 내측 이차 전사 롤러로서의 역할도 한다. 즉, 구동 롤러(10)는, 이차 전사 롤러(12)와 중간 전사 벨트(8) 사이에, 전사 닙부로서의 이차 전사부(T2)를 형성시키고 있다.
상술한 토너상의 형성 프로세스는, 드럼 카트리지(1a, 1b, 1c, 1d)의 각각에서 병행하여 실행되고, 옐로우, 마젠타, 시안 및 블랙의 토너상이 각각 형성된다. 이 토너상은, 미리 설정된 중간 전사 벨트(8)의 반송 속도에 기초하여, 먼저 전사된 옐로우의 토너상에 겹치도록 위치설정되면서 다중 전사되어, 중간 전사 벨트(8)에 풀컬러 토너상이 형성된다.
급송부(25)는, 기록재(P)가 적재되는 카세트(18)와, 기록재(P)를 카세트(18)로부터 1매씩 인출하여 개별적으로 기록재(P)를 급송하도록 구성되는 급송 롤러(19)(분리 롤러)를 포함하고 있다. 급송부(25)는 급송 롤러(19)에 의해 기록재(P)를 레지스트레이션 롤러 쌍(14)을 향해서 반송한다. 기록재(P)는 용지 또는 필름 등의 시트재 등이다. 또한, 화상 형성 장치(100)의 하부에는 수동 급송 장치(20)가 배치되어 있어, 화상 형성 장치(100)의 본체의 외부에 노출되는 수동 급송 카세트(20a)에 적재된 기록재(P)를 레지스트레이션 롤러 쌍(14)을 향해서 급송할 수 있다.
급송부(25) 또는 수동 급송 장치(20)에 의해 반송된 기록재(P)는, 반송 정지 상태에 있는 레지스트레이션 롤러 쌍(14)에 반송 방향의 하류 연부(선단)가 맞닿아 보유지지되는 상태에서 대기한다. 반송 유닛으로서의 레지스트레이션 롤러 쌍(14)은, 기록재(P)의 비뚤어진 급송을 보정하고, 토너상이 이차 전사부(T2)에서 전사 위치에 도달하는 타이밍에 따른 타이밍에 기록재(P)를 이차 전사부(T2)를 향해서 반송하도록 구성된다.
이차 전사 롤러(12) 에는 정극성의 전사 바이어스 전압이 공급되고, 중간 전사 벨트(8)에 담지된 풀컬러 토너상은 이차 전사부(T2)에서 기록재(P)에 일괄 전사(이차 전사)된다. 정착 유닛으로서의 정착 장치(16)는, 히터 등의 내장 가열 유닛을 갖는 정착 롤러(16a)와 가압 롤러(16b)를 포함하고, 가압 롤러(16b)는 정착 롤러(16a)에 가압된다. 즉, 정착 장치(16)는, 한 쌍의 정착 부재인 정착 롤러(16a) 및 가압 롤러(16b)를 포함하고, 이차 전사부(T2)를 통과한 기록재(P)를 가열 및 가압함으로써, 토너상을 용융시켜서 화상을 기록재(P)에 정착시킨다. 화상이 정착된 기록재(P)는, 전달 롤러(15)에 의해 화상 형성 장치(100)의 하우징의 상부에 형성되는 상부 트레이(17)에 전달된다.
화상 형성 장치(100)에는, 중간 전사 벨트(8)를 청소하도록 구성되는 벨트 클리닝 장치(9)가 배치된다. 벨트 클리닝 장치(9)는, 중간 전사 벨트(8)에 맞닿는 클리닝 블레이드에 의해, 이차 전사부(T2)를 통과해서 중간 전사 벨트(8)의 표면에 잔류하는 전사 잔류 토너 등의 부착물을 긁어내서 제거한다. 또한, 각 드럼 카트리지(1a, 1b, 1c, 1d)의 하방에는, 화상 형성 장치(100)의 본체로부터 제거가능한 토너 보틀(70a, 70b, 70c, 70d)이 배치된다. 토너 보틀(70a, 70b, 70c, 70d)은, 각 카트리지에 대응하는 색의 토너를 수용하고 있고, 토너가 현상 장치(4a, 4b, 4c, 4d)에 의해 소비될 때 토너를 공급한다.
[반송 경로]
이어서, 레지스트레이션 롤러 쌍(14), 이차 전사부(T2) 및 정착 장치(16)를 포함하는 기록재(P)의 반송 경로에 대해서 설명한다. 급송부(25)로부터 급송된 기록재(P)는, 도 2의 개략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레지스트레이션 롤러 쌍(14)과, 이차 전사부(T2)와, 정착 장치(16)에 의해, 화상 형성 장치(100)의 내부에서 실질적으로 하부로부터 상부로 반송된다.
레지스트레이션 롤러 쌍(14)은, 한 쌍의 반송 부재인 제1 레지스트레이션 롤러(14a)와 제2 레지스트레이션 롤러(14b)를 포함하고, 이들 사이에 닙부(반송 닙부)로서의 역할을 하는 레지스트레이션 닙부(Nr)가 형성된다. 제1 레지스트레이션 롤러(14a) 및 제2 레지스트레이션 롤러(14b)는, 각각 반송 모터(31)(도 3 참조)에 접속되어 구동 및 회전되고, 레지스트레이션 닙부(Nr)에 보유지지된 기록재(P)를 이차 전사부(T2)에 상방으로 반송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이차 전사부(T2)는, 구동 롤러(10)에 의해 지지된 내주면을 갖는 중간 전사 벨트(8)와 이차 전사 롤러(12) 사이의 닙부로서 형성된다. 구동 롤러(10) 및 이차 전사 롤러(12)는 상 형성 모터(32)(도 3 참조)에 각각 접속되어서 구동 및 회전되고, 이차 전사부(T2)에 보유지지된 기록재(P)를 상방으로 반송한다.
정착 장치(16)는, 정착 롤러(16a)와 가압 롤러(16b) 사이의 닙부로서 형성된 정착 닙부(Nf)를 포함하고 있다. 정착 롤러(16a) 및 가압 롤러(16b)는, 정착 모터(33)(도 3 참조)에 각각 접속되어서 구동 및 회전되고, 이차 전사부(T2)를 통과한 기록재(P)를 정착 닙부(Nf)에서 보유지지한 상태에서 기록재(P)를 상방으로 반송한다. 제1 레지스트레이션 롤러(14a) 및 제2 레지스트레이션 롤러(14b), 및 정착 롤러(16a) 및 가압 롤러(16b)의 각 롤러 쌍은, 하나의 롤러가 구동되고 다른 롤러가 하나의 롤러의 회전에 종동하여 회전하는 구성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이차 전사 롤러(12)는 중간 전사 벨트(8)의 회전에 종동하여 회전할 수 있다.
레지스트레이션 닙부(Nr)와 이차 전사부(T2) 사이에는, 기록재(P)를 이차 전사부(T2)를 향해서 안내하도록 구성되는 전사전 가이드(27)가 배치되고, 이차 전사부(T2)와 정착 닙부(Nf) 사이에는 기록재(P)를 정착 닙부(Nf)를 향해서 안내하도록 구성되는 정착전 가이드(28)가 배치된다. 예를 들어, 레지스트레이션 닙부(Nr), 이차 전사부(T2) 및 정착 닙부(Nf)로부터의 기록재(P)의 반송 방향은,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하 방향(연직 방향)에 대하여 상이한 각도로 경사진다. 따라서, 전사전 가이드(27) 및 정착전 가이드(28)에 의해 형성되는 기록재(P)의 반송 경로(반송 공간)는, 기록재(P)의 폭 방향(도 1의 시점)으로부터 볼 때 각각 만곡되어 있다. 이 반송 경로는, 각각 기록재(P)의 두께 방향으로 미리결정된 폭을 갖고 있으며, 기록재(P)가 두께 방향에서 만곡의 외측을 향해서 굴곡되도록 형성된다.
기록재(P)의 반송 방향에서의 레지스트레이션 닙부(Nr)의 상류 측 근방의 위치에는, 기록재(P)를 검지하도록 구성된 상류측 검지 유닛으로서의 역할을 하는 레지스트레이션전 센서(21)가 배치된다. 이 레지스트레이션전 센서(21)는, 기록재(P)의 반송 방향 하류 연부인 선단과 기록재(P)의 반송 방향 상류 연부인 후단이 레지스트레이션 닙부(Nr)에 진입하는 각 타이밍을 검지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기록재(P)를 검지하도록 구성된 하류측 검지 유닛으로서의 역할을 하는 정착전 센서(22)가, 정착 닙부(Nf)의 상류 측 근방의 위치에 배치되고, 기록재(P)의 선단 및 후단이 정착 닙부(Nf)에 진입하는 각 타이밍을 검지하도록 구성된다. 레지스트레이션전 센서(21) 및 정착전 센서(22)로부터의 검지 신호는, 기록재(P)의 반송 속도를 제어하는 후술하는 속도 제어 프로세스의 일부에 사용되며, 예를 들어 반송 상태(종이 잼의 유무)를 감시하기 위해서도 사용된다.
이차 전사부(T2)와 정착 닙부(Nf) 사이의 미리결정된 위치에는, 포텐시오미터로서의 역할을 하는 루프량 센서(23)가 배치된다. 루프량 센서(23)는 2차 전사부(T2)와 정착 닙부(Nf) 사이의 기록재(P)의 굴곡량(루프량)을 검지하도록 구성되는 굴곡량 검지 유닛으로서의 역할을 한다. 기록재(P)의 굴곡량(루프량)은, 기록재(P)가 상류 측의 닙부와 하류 측의 닙부 사이에서 최단 경로로 신장되어 있는 상태에 비해서 기록재(P)가 굴곡된 형상을 취했을 때의 두께 방향의 기록재(P)의 변위 폭을 말한다.
화상 형성 장치(100)에 배치되는 제어 유닛으로서의 역할을 하는 제어부(50)는, 도 3의 블록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입력부(51), 레지스트레이션전 센서(21), 정착전 센서(22) 및 루프량 센서(23)에 각각 접속되어서 그로부터 신호를 받는다. 입력부(51)는, 화상 형성 장치(100)의 하우징의 외측에 노출되는 액정 패널 및 버튼을 포함하고, 유저가 적어도 카세트(18)에 세트한 기록재(P)의 종류(평량, 사이즈, 표면 가공의 유무)를, 제어부(50)에 입력할수 있게 하도록 구성된다. 기록재(P)의 종류의 구체예로서는, 두꺼운 종이, 보통지, 박지, 및 코팅지 가 있다. 또한, 유저는, 예를 들어 액정 패널에 표시된 복수의 종류의 기록재로부터 선택을 행함으로써 설정을 행해도 된다. 이 경우, 표시되는 기록재의 종류는, 화상 형성 장치(100)가 상이한 종류의 기록재를 각각 수용하는 복수의 카세트를 포함하는 경우에는, 대응하는 카세트의 기록재의 종류로 설정된다. 또한, 기록재를 수동으로 공급하는 경우에는, 유저는 임의로 설정을 행한다. 하지만, 이 경우에도, 유저는 액정 패널에 표시된 기록재의 종류로부터 선택을 해도 된다. 또한, 제어부(50)는, 반송 모터(31), 상 형성 모터(32) 및 정착 모터(33)에 각각 접속되어서, 제어 신호를 송신하여 이들의 회전 속도를 제어한다.
[반송 속도 제어]
이어서, 도 4의 흐름도를 참고하여, 본 실시형태에 따른 제어부(50)에 의한, 기록재(P)의 반송 속도를 제어하는 속도 제어 프로세스에 대해서 설명한다. 기록재의 종류에 따라, 화상 형성 장치의 프로세스 속도를 변경할 수 있으며, 이후에서 설명하는 각 부분의 속도의 크기 관계는 동일하다.
제어부(50)는, 급송부(25)에 기록재(P)의 급송을 개시하고, 이 속도 제어 프로세스를 개시한다(시작). 먼저, 제어부(50)는, 상 형성 모터(32)를 회전시키기 시작하여, 드럼 카트리지(1a, 1b, 1c, 1d)에서의 토너상 형성 프로세스를 개시시키고, 정착 모터(33)를 회전시키기 시작한다(S1).
이 경우, 이차 전사부(T2)에서의 기록재(P)의 반송 속도인 이차 전사 속도(Vt)는, 정착 닙부(Nf)에서의 기록재(P)의 반송 속도인 정착 속도(Vf)에 비해서 높은 값으로 설정되어 있다(Vt>Vf). 따라서, 기록재(P)가 이차 전사부(T2) 및 정착 닙부(Nf)에 의해 보유지지된 상태에서 반송되는 경우, 이차 전사 속도(Vt)와 정착 속도(Vf) 사이의 차에 의해, 이차 전사부(T2)와 정착 닙부(Nf) 사이에서 기록재(P)의 루프(굴곡)가 발생한다. 즉, 도 2에서의 이차 전사부(T2)와 정착 닙부(Nf) 사이에서, 기록재(P)가 반송 경로의 만곡의 외측인 우측을 향해 굴곡된다. 이 상태에서는, 기록재(P) 자신의 탄성(강도)에 의해, 기록재(P)의 내부에 루프를 해소시키는(연장시키는) 방향의 힘이 발생한다. 이 힘은, 이차 전사부(T2)에서 중간 전사 벨트(8) 및 이차 전사 롤러(12)를 뒤로 미는 방향의 힘(브레이크력)으로서 작용하고, 정착 닙부(Nf)에서 정착 롤러(16a) 및 가압 롤러(16b)의 회전 방향을 따르는 방향의 힘으로서 작용한다.
이어서, 제어부(50)는, 미리 설정된 기록재(P)의 종류를 체크하고(S2), 레지스트레이션 닙부(Nr)에서의 기록재(P)의 반송 속도인 레지스트레이션 속도(Vr)의 증속량(ΔVr)(ΔVr=Vr1-Vr0))을 결정한다(S3). 이 경우, 제어부(50)는, 예를 들어 상술한 바와 같이 유저가 선택한 기록재(P)의 종류에 기초하여, 기록재(P)와 평량 사이의 관계를 저장한 테이블(도시하지 않음)로부터 선택한 기록재(P)의 평량에 대한 정보를 취득한다. 그리고, 예를 들어, 표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평량을 증속량(ΔVr)과 연관시키는 테이블을 참조하고, 취득한 평량에 대한 정보에 대응하는 증속량(ΔVr)을 결정한다. 이때, 기록재(P)의 종류에 따라 레지스트레이션 속도(Vr)를 증가시키는 경우와 레지스트레이션 속도(Vr)를 증가시키지 않는 경우가 결정된다. 즉, 기록재(P)의 평량이 큰(151gsm [g/m2] 이상) 경우에는, 증속량(ΔVr)은 정의 값으로 설정된다. 한편, 평량이 작은(150gsm 이하) 경우에는, 증속량(ΔVr)은 0으로 설정된다. 증속량(ΔVr)을 결정하는 방법은 이것으로 제한되지 않는다. 기록재(P)의 강도(굴곡 강성)가 커짐에 따라, 증속량(ΔVr)을 증가시키는 것이면 충분하다. 또한, 예를 들어 코팅지와 같이 기록재(P)가 용이하게 대전되는 경우, 다른 종류의 기록재에 비해서 증속량(ΔVr)을 작게 설정하면 된다.
평량 [gsm] 증속량(ΔVr)
~150 0.0%
151-180 0.3%
181-256 0.4%
257-300 0.6%
급송부(25)로부터 급송된 기록재(P)의 선단이 레지스트레이션전 센서(21)에 도달하고, 레지스트레이션전 센서(21)의 검지 신호가 온(ON)이 되면(S4), 제어부(50)는 반송 모터(31)가 레지스트레이션 롤러 쌍(14)의 회전을 정지시키게 한다(S5). 그리고, 이 상태(반송 정지 상태)에 있는 레지스트레이션 롤러 쌍(14)의 레지스트레이션 닙부(Nr)에 기록재(P)의 선단을 맞닿게 하여, 기록재(P)의 비뚤어진 급송을 보정한다. 그 후, 레지스트레이션 롤러 쌍(14)은, 중간 전사 벨트(8)에 담지된 토너상의 전사 타이밍에 따른 타이밍에서 회전을 개시하고(S6), 제1 반송 속도인 레지스트레이션 속도(Vr=Vr0)로 기록재(P)를 이차 전사부(T2)를 향해서 반송한다. 이 속도는 Vt보다도 약간 빠르게 설정되어 있다(Vr0>Vt).
그리고, 제어부(50)는, 미리결정된 시간이 경과할 때까지 레지스트레이션 롤러 쌍(14)이 계속 회전하게 한다. 미리결정된 시간이란, 레지스트레이션 속도(Vr=Vr0)에서 레지스트레이션 롤러 쌍(14)에 의한 기록재(P)의 반송이 개시된 후 기록재(P)의 선단이 정착 닙부(Nf)에 도달할 수 있도록 미리 설정된 시간을 말한다. 제어부(50)는, 레지스트레이션 롤러 쌍(14)의 회전 개시로부터 미리결정된 시간이 경과한 타이밍에서, 레지스트레이션 롤러 쌍(14)의 회전 속도를 증속량(ΔVr)만큼 증속시키고, 레지스트레이션 속도(Vr)를 Vr0으로부터 제2 반송 속도인 Vr1으로 전환한다(S8).
기록재(P)의 후단이 레지스트레이션전 센서(21)를 통과하면, 레지스트레이션전 센서(21)의 검지 신호가 오프가 된다(S9). 그리고, 제어부(50)는, 기록재(P)의 후단이 레지스트레이션 닙부(Nr)를 통과한 후의 타이밍에서 레지스트레이션 롤러 쌍(14)을 감속시키고, 레지스트레이션 속도(Vr)를 Vr1으로부터 Vr0으로 감소시킨다(S10). 제어부(50)는 후속해서 급송되는 기록재(P)의 유무를 체크한다. 후속의 기록재(P)가 있을 경우(S11: 예)에는, 제어부(50)는, 후속의 기록재(P)의 후단이 레지스트레이션전 센서(21)에 도달할 때까지 대기하고, 단계 4(S4)로부터의 처리를 반복한다. 후속의 기록재(P)가 없을 경우(S11: 아니오)에는, 제어부(50)는, 기록재(P)가 상부 트레이(17)에 전달된 후의 타이밍에서, 반송 모터(31), 상 형성 모터(32) 및 정착 모터(33)의 회전을 정지시켜(S12), 속도 제어 프로세스를 종료한다(종료).
도 5a, 도 5b, 도 5c 및 도 5d를 참고하여, 레지스트레이션 속도(Vr)를 증속함으로써, 기록재(P)의 루프량 및 중간 전사 벨트(8)에 가해지는 힘이 어떻게 변화할지를 설명한다. 여기서는, 이차 전사 속도(Vt)와 정착 속도(Vf)는 각각 일정한 것으로 한다. 또한, 시각 t1 및 시각 t2는, 기록재(P)의 선단이 정착 닙부(Nf)에 도달하는 시각 및 레지스트레이션 속도(Vr)가 Vr0으로부터 Vr1으로 증속되는 시각을 각각 나타내고 있다. 도 5a는, 기록재(P)의 선단 및 후단의 반송 경로 상에서의 위치의 시간에 따른 변화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5b는, 레지스트레이션 닙부(Nr), 이차 전사부(T2) 및 정착 닙부(Nf)에서의 기록재(P)의 반송 속도(레지스트레이션 속도(Vr), 이차 전사 속도(Vt), 정착 속도(Vf))의 시간에 따른 변화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5c는, 레지스트레이션 닙부(Nr)와 이차 전사부(T2) 사이에서의 기록재(P)의 루프량(Nr과 T2 사이의 루프) 및 이차 전사부(T2)와 정착 닙부(Nf) 사이에서의 기록재(P)의 루프량(T2와 Nf 사이의 루프)의 시간에 따른 변화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5d는, 이차 전사부(T2)에서 기록재(P)로부터 중간 전사 벨트(8)에 가해지는 힘의 시간에 따른 변화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정착 속도(Vf)는 이차 전사 속도(Vt)에 비해서 작게 설정되어 있다(도 5b). 이로 인해, 기록재(P)의 선단이 정착 닙부(Nf)에 도달하면, 이차 전사 속도(Vt)와 정착 속도(Vf) 사이의 차에 의해 이차 전사부(T2)와 정착 닙부(Nf) 사이에서 기록재(P)의 루프(굴곡)가 발생하고, 시간과 함께 루프량이 증가한다(도 5c의 실선). 기록재(P)가 상기와 같이 굴곡되었을 경우, 기록재(P)의 탄성(강도)에 의해, 이차 전사부(T2)에서 중간 전사 벨트(8)에는 회전 방향에 반대 방향의 힘(F1)(도 2 참조)이 가해진다. 이 힘(F1)은, 이차 전사부(T2)와 정착 닙부(Nf) 사이의 루프량이 증가할수록 증가하기 때문에, 힘(F1)은 시간과 함께 증가한다(도 5d). 도 5d에서, 시간축보다 상방측은 중간 전사 벨트(8)의 회전 방향(화살표 R1의 방향)과는 반대 방향(브레이크 방향)의 힘을 나타내고, 시간축보다도 하방측은 중간 전사 벨트(8)의 회전 방향을 따르는 방향의 힘을 나타내고 있다.
한편, 증속전의 레지스트레이션 속도(Vr)(Vr0)는 이차 전사 속도(Vt)에 비해서 조금 빠르게 설정되어 있기 때문에, 레지스트레이션 닙부(Nr)와 이차 전사부(T2) 사이에서 기록재(P)에 루프(굴곡)가 발생한다. 그리고, 레지스트레이션 속도(Vr)가 Vr1으로 증속 될 때까지의 시간 동안에도 레지스트레이션 닙부(Nr)와 이차 전사부(T2) 사이의 루프량은 서서히 증가한다(도 5c). 레지스트레이션 속도(Vr)가 Vr1으로 증속되면, 레지스트레이션 속도(Vr)와 이차 전사 속도(Vt) 사이의 차가 커진다. 그리고, 기록재(P)의 선단이 정착 닙부(Nf)에 도달하기 전의 상태에 비해서 레지스트레이션 닙부(Nr)와 이차 전사부(T2) 사이의 루프량이 급속하게 증가한다.
레지스트레이션 닙부(Nr)와 이차 전사부(T2) 사이에 루프가 발생하고 있는 경우에는, 기록재(P)의 탄성(강도)에 의해 이차 전사부(T2)에서 중간 전사 벨트(8)에 상술한 힘(F1)의 반대 방향인 회전 방향을 따르는 방향의 힘(F2)이 가해진다(도 2 참조). 또한, 레지스트레이션 속도(Vr)가 Vr0으로부터 Vr1으로 증속되면, 레지스트레이션 닙부(Nr)와 이차 전사부(T2) 사이의 루프량의 증가율이 증속 전의 것에 비해서 증가하기 때문에, 이 힘(F2)의 증가율도 증가한다(도 5d). 속도(Vr1)의 값은, 레지스트레이션 닙부(Nr)와 이차 전사부(T2) 사이의 루프량의 증가율이, 이차 전사부(T2)와 정착 닙부(Nf) 사이의 루프량의 증가율과 실질적으로 동등해지도록 설정되어 있다(도 5c). 따라서, 이차 전사부(T2)에서, 기록재(P)로부터 중간 전사 벨트(8)에 가해지는 힘(브레이크력)인 힘(F1)과 힘(F2) 사이의 차(ΔF=F1-F2)는, 레지스트레이션 속도(Vr)를 증속시킴으로써 증가가 억제된다(도 5d).
[실시형태의 효과]
본 실시형태에 따른 화상 형성 장치(100)의 경우, 기록재(P)의 선단이 정착 닙부(Nf)에 도달한 때로부터 기록재(P)의 후단이 레지스트레이션 닙부(Nr)를 통과할 때까지의 시간 중 적어도 일부에서, 레지스트레이션 속도(Vr)를 그 이전의 속도(Vr0)보다 커지도록 제어하고 있다. 이에 의해, 레지스트레이션 롤러 쌍(14)이 기록재(P)를 이차 전사부(T2)에 가압하는 힘(F2)을 증대시켜서, 이차 전사부(T2)와 정착 닙부(Nf) 사이에 형성되는 굴곡(루프)에 의해 중간 전사 벨트(8)에 가해지는 힘(F1)을 상쇄시키고 있다. 이로 인해, 기록재(P)로부터 중간 전사 벨트(8)에 가해지는 회전 방향에 반대 방향의 힘(브레이크력)의 증가를 억제하고, 중간 전사 벨트(8)의 회전 속도에의 영향을 저감시켜서, 색 미스레지스트레이션 등의 발생을 방지한다.
여기서, 본 실시형태의 비교예로서, 레지스트레이션 속도(Vr)를 평균적으로 증가시키는 구성이 생각된다. 예를 들어, 레지스트레이션 롤러 쌍(14)이 회전을 개시하는 때로부터 기록재(P)의 후단이 레지스트레이션 닙부(Nr)를 통과할 때까지의 시간 동안에, 레지스트레이션 속도(Vr)를 Vr0과 Vr1 사이의 값으로 설정하는 구성이 주어진다. 그러나, 이러한 구성에서는, 기록재(P)의 선단이 이차 전사부(T2)에 도달하는 때로부터 선단이 정착 닙부(Nf)에 도달할 때까지의 시간 동안에, 본 실시형태에 비해서 레지스트레이션 닙부(Nr)와 이차 전사부(T2) 사이의 루프량이 급속하게 증대한다. 그리고, 레지스트레이션 닙부(Nr)와 이차 전사부(T2) 사이에서 기록재(P)가 크게 굴곡되는 경우, 기록재(P)가 이차 전사부(T2)의 상류 위치에서 중간 전사 벨트(8)에 접촉하여, 중간 전사 벨트(8)에 담지된 토너상을 일그러트린다.
한편, 본 실시형태에 따른 속도 제어 프로세스에서는, 레지스트레이션 속도(Vr)의 증속 타이밍을, 기록재(P)의 선단이 정착 닙부(Nf)에 도달하는 타이밍과 실질적으로 동일하게 또는 그 타이밍 이후로 설정한다. 따라서, 적어도 레지스트레이션 속도(Vr)가 증속될 때까지, 레지스트레이션 닙부(Nr)와 이차 전사부(T2) 사이에서 기록재(P)가 크게 굴곡되어 화상 불량을 유발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즉, 이차 전사부(T2)의 상류 측에서 기록재(P)가 필요 이상으로 굴곡되지 않으므로, 중간 전사 벨트(8)의 회전 속도에의 영향을 저감시킬 수 있다.
[변형예 1]
상술한 속도 제어 프로세스의 변형예로서, 레지스트레이션 속도(Vr)의 증속 타이밍을, 레지스트레이션 롤러 쌍(14)에 의한 반송 개시부터의 경과 시간에 기초하여 증속 타이밍을 결정하는 방법 대신에, 정착전 센서(22)로부터의 신호에 기초하여 결정해도 된다. 이 경우, 정착전 센서(22)의 검지 신호가 온이 되고, 기록재(P)의 선단이 정착 닙부(Nf)에 도달하는 것을 제어부(50)가 검지하는 타이밍에서 레지스트레이션 속도(Vr)를 증속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이차 전사부(T2)와 정착 닙부(Nf) 사이에서의 기록재(P)의 반송 속도의 변동의 영향을 제거하고, 따라서 상술한 실시형태에 비하여 제어부(50)가 기록재(P)의 선단과 정착 닙부(Nf) 사이의 위치 관계를 더 정밀하게 검지할 수 있다. 그리고, 예를 들어 레지스트레이션 속도(Vr)의 증속 타이밍을 기록재(P)의 선단이 정착 닙부(Nf)에 진입하는 타이밍에 가깝게 함으로써, 레지스트레이션 속도(Vr)의 증속 타이밍을 더 정밀하게 설정할 수 있다.
[변형예 2]
속도 제어 프로세스의 다른 변형예로서, 레지스트레이션 속도(Vr)의 증속 타이밍을 루프량 센서(23)로부터의 신호에 기초하여 결정해도 된다. 이 경우, 이차 전사부(T2)와 정착 닙부(Nf) 사이에서의 루프량이 미리 설정된 최대 루프량 이상인 경우에 루프량 센서(23)의 검지 신호가 온이 된다. 그리고, 루프량 센서(23)가 온이 된 타이밍에서 레지스트레이션 속도(Vr)를 증속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이차 전사부(T2)와 정착 닙부(Nf) 사이의 루프량이 커지고, 중간 전사 벨트(8)에 큰 브레이크력이 가해질 수 있을 경우에는, 레지스트레이션 속도(Vr)를 증속하여 브레이크력의 증가를 억제할 수 있다. 한편, 이차 전사부(T2)와 정착 닙부(Nf) 사이의 루프량이 작은 경우에는, 레지스트레이션 속도(Vr)가 증속되지 않기 때문에, 레지스트레이션 닙부(Nr)와 이차 전사부(T2) 사이의 루프량의 증가율이 비교적 작게 유지된다. 즉, 중간 전사 벨트(8)의 회전 속도에의 영향을 저감시키면서, 상술한 실시형태에 비해서 정착 닙부(Nf)와 이차 전사부(T2) 사이의 루프량에 따라 레지스트레이션 속도(Vr)를 작게 설정할 수 있다.
[다른 실시형태]
상술한 실시형태에서, 전사 닙부에서 기록재(P)에 접촉하는 상 담지체는, 중간 전사 벨트에 한하지 않고, 예를 들어 드럼 형상 중간 전사체 또는 직접 전사 시스템의 단색 화상 형성 장치에서의 감광 드럼이어도 된다. 요컨대, 상 담지체는, 상류 측의 반송 닙부와 하류 측의 정착 닙부 사이에서, 상 담지체와 회전 부재와의 사이에 기록재(P)를 보유지지하고 토너상을 기록재(P)에 전사할 수 있는, 전사 닙부를 형성하는 임의의 부재일 수 있다. 회전 부재는 이차 전사 롤러(12) 대신에 이차 전사 벨트 등의 벨트 부재이어도 된다. 또한, 전사 닙부의 상류 측에 배치되는 반송 유닛은, 반송 부재가 기록재(P)를 보유지지하고 반송할 수 있는 한, 레지스트레이션 롤러 쌍을 대신하는 다른 반송 부재 쌍이어도 된다.
상술한 속도 제어 프로세스에서, 레지스트레이션 속도(Vr)를 증속하는 타이밍은, 기록재(P)의 선단이 정착 닙부(Nf)에 도달하는 타이밍 이후이어도 된다. 또한, 레지스트레이션 속도(Vr)를 감속하는 타이밍은, 기록재(P)의 후단이 레지스트레이션 닙부(Nr)를 통과하는 타이밍 전이어도 된다. 요컨대, 기록재(P)의 선단이 정착 닙부(Nf)에 도달하는 때로부터 기록재(P)의 후단이 레지스트레이션 닙부(Nr)를 통과할 때까지의 시간 중 적어도 일부에서, 레지스트레이션 속도를 그 이전의 레지스트레이션 속도에 비해서 증속하는 구성이면 된다. 이 경우, 레지스트레이션 닙부(Nr)와 이차 전사부(T2)와의 사이에서의 루프량이 미리 설정된 상한을 초과하지 않도록, 레지스트레이션 속도가 증속되는 시간의 길이를 미리결정된 최대 길이 이하의 범위 내에서 적절히 설정하면 바람직하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예를 들어 기록재(P)의 사이즈가 큰 경우에, 이차 전사부(T2)의 상류 위치에서 기록재(P)가 중간 전사 벨트에 접촉해서 토너상을 일그러트릴 위험을 더 저감시킬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따른 이차 전사 속도(Vt) 및 정착 속도(Vf)는, 이차 전사부(T2)와 정착 닙부(Nf) 사이에서 기록재(P)에 루프가 형성되도록, 화상 형성 장치의 프로세스 속도에 대하여 일정한 값으로 설정되어 있어도 된다. 이 경우, 루프량 센서(23)를 생략해도 된다.
본 발명을 예시적인 실시형태를 참고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개시된 예시적인 실시형태로 제한되지 않음을 이해해야 한다. 이하의 청구항의 범위는 이러한 모든 변형 및 동등한 구조 및 기능을 포함하도록 최광의로 해석되어야 한다.

Claims (7)

  1. 화상 형성 장치이며,
    이동가능한 무단 벨트;
    상기 벨트에 토너상(toner image)을 형성하도록 구성된 토너상 형성 유닛;
    상기 벨트와의 사이에서 상기 벨트에 담지된 토너상을 기록재에 전사하도록 구성된 전사 닙부를 형성하는 전사 회전체로서, 상기 기록재는 상기 전사 닙부에서 Vt의 속도로 반송되는, 상기 전사 회전체;
    상기 기록재의 반송 방향으로 상기 전사 닙부의 상류에 배치되고, 상기 기록재를 상기 전사 닙부에 반송하도록 구성되고, 반송 닙부를 형성하는, 1쌍의 반송 부재;
    상기 반송 닙부에서 상기 기록재가 Vr의 속도로 반송되도록 상기 1쌍의 반송 부재 중 하나 이상을 구동하도록 구성된 제1 구동원;
    상기 기록재의 반송 방향으로 상기 전사 닙부의 하류에 배치되고, 상기 전사 닙부에서 상기 기록재 상에 전사된 토너상을 정착시키도록 구성되고, 정착 닙부를 형성하는, 1쌍의 정착 부재;
    상기 정착 닙부에서 상기 기록재가 Vf의 속도로 반송되도록 상기 1쌍의 정착 부재 중 하나 이상을 구동하도록 구성된 제2 구동원;
    상기 토너상이 전사되는 상기 기록재의 평량 또는 두께에 대한 정보가 입력되는 입력부; 및
    상기 전사 닙부에서 상기 기록재가 반송되고 있을 때의 상기 Vt보다 상기 Vr이 빠르도록 상기 제1 구동원의 구동 속도를 제어하고, 상기 기록재가 상기 전사 닙부와 상기 정착 닙부의 양자 모두에 반송되는 기간에 포함되는 기간 동안 상기 전사 닙부와 상기 정착 닙부 사이에서 상기 기록재에 굴곡된 상태가 형성되도록 상기 제2 구동원의 구동 속도를 제어하며, 상기 입력부에 입력된 정보가 미리결정된 평량 또는 미리결정된 두께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Vr1이 Vr0보다 빠르도록 상기 제1 구동원의 구동 속도를 제어하도록 구성된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Vr0은, 상기 반송 방향으로 상기 기록재의 하류 연부가 상기 정착 닙부에 도달하기 전이며 상기 기록재가 상기 반송 닙부에 반송되는 중의 기간 동안의 상기 Vr을 나타내고, 상기 Vr1은, 상기 반송 방향으로 상기 기록재의 하류 연부가 상기 정착 닙부에 도달한 후이며 상기 기록재가 상기 반송 닙부에 반송되는 기간에 포함되는 기간 동안의 상기 Vr을 나타내는, 화상 형성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벨트는, 상기 토너상 형성 유닛으로부터 중간 전사 벨트에 전사된 후에 상기 기록재에 전사될 상기 토너상을 담지한 상태에서 이동하도록 구성된 상기 중간 전사 벨트를 포함하는, 화상 형성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1쌍의 반송 부재는, 상기 기록재에 전사될 상기 벨트 상의 토너상의 영역이 상기 전사 닙부에 도달하는 타이밍에 따라 상기 기록재를 상기 전사 닙부를 향해서 반송하도록 구성된 레지스트레이션 롤러 쌍을 포함하는, 화상 형성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기록재의 반송 방향으로 상기 레지스트레이션 롤러 쌍의 반송이 정지해 있는 상태에 있는 상기 레지스트레이션 롤러 쌍의 반송 닙부의 상류 측에 상기 기록재의 하류 연부가 맞닿아 있는 상태에서, 상기 Vr0을 달성하도록 상기 제1 구동원을 제어함으로써 상기 기록재의 반송을 개시시키고; 또한 상기 기록재의 하류 연부가 상기 정착 닙부에 도달하는 미리 설정된 시간이 경과한 경우에, 상기 Vr1을 달성하도록 상기 제1 구동원의 구동 속도를 제어하도록 구성된, 화상 형성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록재의 반송 방향으로 상기 전사 닙부의 하류에 그리고 상기 정착 닙부의 상류에 배치되고, 상기 반송 방향으로 상기 기록재의 하류 연부를 검지하도록 구성된, 제1 검지 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검지 부재의 검지 결과에 기초하여, 구동속도가 상기 Vr0로부터 상기 Vr1까지 변하게끔 상기 제1 구동원의 구동 속도를 제어하도록 구성된, 화상 형성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사 닙부와 상기 정착 닙부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굴곡된 상태의 기록재를 검지하도록 구성된, 제2 검지 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2 검지 부재의 검지 결과에 기초하여, 구동 속도가 상기 Vr0로부터 상기 Vr1까지 변하게끔 상기 제1 구동원의 구동 속도를 제어하도록 구성된, 화상 형성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록재의 반송 방향으로 상기 반송 닙부의 상류에 배치되고, 상기 반송 방향으로 상기 기록재의 상류 연부를 검지하도록 구성된, 제3 검지 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구동 속도가 상기 Vr0로부터 상기 Vr1까지 변화되도록 상기 제1 구동원의 구동 속도를 제어한 후, 상기 제3 검지 부재의 검지 결과에 기초하여 구동 속도가 상기 Vr1로부터 상기 Vr0까지 변하게끔 상기 제1 구동원의 구동 속도를 제어하도록 구성된, 화상 형성 장치.
KR1020160096117A 2015-08-06 2016-07-28 화상 형성 장치 KR20170017731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5156176A JP6624840B2 (ja) 2015-08-06 2015-08-06 画像形成装置
JPJP-P-2015-156176 2015-08-06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17731A true KR20170017731A (ko) 2017-02-15

Family

ID=580492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96117A KR20170017731A (ko) 2015-08-06 2016-07-28 화상 형성 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10372069B2 (ko)
JP (1) JP6624840B2 (ko)
KR (1) KR20170017731A (ko)
CN (1) CN106444326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916032B2 (ja) * 2017-04-21 2021-08-11 株式会社東芝 画像形成装置
JP7286405B2 (ja) * 2019-04-26 2023-06-05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Family Cites Families (2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159393A (en) * 1989-08-02 1992-10-27 Canon Kabushiki Kaisha Image forming apparatus having transfer device and image bearing member traveling at different speeds
US5434027A (en) 1992-12-25 1995-07-18 Konica Corporation Photorecptor for electrophotography and image forming method
JPH06194854A (ja) 1992-12-25 1994-07-15 Konica Corp 画像形成方法
JPH08146789A (ja) 1994-11-17 1996-06-07 Fuji Xerox Co Ltd 画像形成装置
JPH1097154A (ja) 1996-09-19 1998-04-14 Canon Inc 画像形成装置
JP3839969B2 (ja) * 1998-07-21 2006-11-01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JP2002031965A (ja) 2000-07-18 2002-01-31 Konica Corp 画像形成装置
JP2002169344A (ja) 2000-11-30 2002-06-14 Ricoh Co Ltd 画像形成装置における転写方法及び画像形成装置
JP2002215000A (ja) 2001-01-16 2002-07-31 Fuji Xerox Co Ltd 画像形成装置
CN1246740C (zh) 2002-02-21 2006-03-22 佳能株式会社 成像装置
JP2004101925A (ja) 2002-09-10 2004-04-02 Canon Inc 画像形成装置
JP2004354695A (ja) 2003-05-29 2004-12-16 Konica Minolta Business Technologies Inc 画像形成装置
JP4035514B2 (ja) * 2004-04-28 2008-01-23 キヤノン株式会社 斜行補正装置およびこれを備えたシート給送装置、画像形成装置および画像読取装置
JP4681865B2 (ja) 2004-12-07 2011-05-11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JP2006248670A (ja) 2005-03-10 2006-09-21 Ricoh Co Ltd 用紙搬送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2007139882A (ja) * 2005-11-15 2007-06-07 Ricoh Co Ltd 画像形成方法および画像形成装置
JP5300192B2 (ja) 2006-12-14 2013-09-25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JP5023375B2 (ja) 2007-05-21 2012-09-12 株式会社リコー 光センサ及び画像形成装置
JP2009282450A (ja) 2008-05-26 2009-12-03 Konica Minolta Business Technologies Inc プリントジョブ処理装置、画像形成装置、およびプリントシステム
JP2009294435A (ja) 2008-06-05 2009-12-17 Konica Minolta Business Technologies Inc 画像形成装置及び制御方法並びに制御プログラム
US8047528B2 (en) 2008-06-16 2011-11-01 Kabushiki Kaisha Toshiba Image forming apparatus
JP4623208B2 (ja) 2008-12-05 2011-02-02 ソニー株式会社 プリンタ
JP2010281943A (ja) * 2009-06-03 2010-12-16 Ricoh Co Ltd 画像形成装置
JP5538866B2 (ja) * 2009-12-22 2014-07-02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JP5538878B2 (ja) * 2009-12-28 2014-07-02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JP2012236684A (ja) 2011-05-11 2012-12-06 Konica Minolta Business Technologies Inc 用紙搬送装置、用紙搬送装置の制御方法、および用紙搬送装置の制御プログラム
JP5875287B2 (ja) * 2011-08-22 2016-03-02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JP5866899B2 (ja) 2011-09-09 2016-02-24 コニカミノルタ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画像形成装置の制御方法、及び画像形成装置の制御プログラム
JP6180480B2 (ja) * 2015-09-03 2017-08-16 キヤノン株式会社 シート給送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6624840B2 (ja) 2019-12-25
US10372069B2 (en) 2019-08-06
JP2017037097A (ja) 2017-02-16
CN106444326A (zh) 2017-02-22
US20170038714A1 (en) 2017-02-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492411B1 (en) Sheet conveying devic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incorporating the sheet conveying device
US8050616B2 (en) Image forming apparatus
JP2010262040A (ja) 画像形成装置
JP2010137974A (ja) シート搬送装置及びこれを備えた画像形成装置
US8643686B2 (en) Variable rate fuser release fluid application
KR20170017731A (ko) 화상 형성 장치
JPH07209928A (ja) 電子写真装置
US8682185B2 (en) Image forming apparatus maintaining clean back surface of recording material
JP2008083608A (ja) 画像形成装置
JP2004149265A (ja) 画像形成装置
JP5349262B2 (ja) 中間転写ベルト搬送装置とこれを用いる画像形成装置及び画像形成方法
JP2008102444A (ja) 画像形成装置
JP4564833B2 (ja) 画像形成装置およびシート搬送装置
US20240091818A1 (en) Cleaning device, reading devic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US20160039630A1 (en) Sheet conveying apparatus and image forming apparatus
JP5445251B2 (ja) 画像形成装置
JP5939998B2 (ja) 画像形成装置
JP5915097B2 (ja) 転写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4568180B2 (ja) 画像記録装置
JP4728010B2 (ja) 画像形成装置
JPH0716666Y2 (ja) シート材搬送装置
JP5409574B2 (ja) 画像形成装置
JP2010044252A (ja) 画像形成装置
JP2014055039A (ja) 記録用紙搬送装置、および画像形成装置
JP2021028265A (ja) 搬送装置及び搬送装置を備える画像形成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