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15421A - 커넥터 단자 - Google Patents

커넥터 단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15421A
KR20170015421A KR1020170012598A KR20170012598A KR20170015421A KR 20170015421 A KR20170015421 A KR 20170015421A KR 1020170012598 A KR1020170012598 A KR 1020170012598A KR 20170012598 A KR20170012598 A KR 20170012598A KR 20170015421 A KR20170015421 A KR 2017001542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contact
contact piece
bottom wall
connec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125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732622B1 (ko
Inventor
타카요시 엔도
사카이 야기
슈지 토우노
히로유키 쿠리타
Original Assignee
다이-이치 세이코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다이-이치 세이코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다이-이치 세이코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7001542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1542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3262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3262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0Securing contact members in or to a base or case; Insulating of contact members
    • H01R13/42Securing in a demountable manner
    • H01R13/428Securing in a demountable manner by resilient locking means on the contact members; by locking means on resilient contact memb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22Contacts for co-operating by abutting
    • H01R13/24Contacts for co-operating by abutting resilient; resiliently-mounted
    • H01R13/2407Contacts for co-operating by abutting resilient; resiliently-mounted characterized by the resilient mea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0Securing contact members in or to a base or case; Insulating of contact members
    • H01R13/42Securing in a demountable manne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04Pins or blades for co-operation with sockets
    • H01R13/05Resilient pins or blad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10Sockets for co-operation with pins or blades
    • H01R13/11Resilient socke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15Pins, blades or sockets having separate spring member for producing or increasing contact pressure
    • H01R13/187Pins, blades or sockets having separate spring member for producing or increasing contact pressure with spring member in the socke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28Contacts for sliding cooperation with identically-shaped contact, e.g. for hermaphroditic coupling devices
    • H01R23/68

Landscapes

  • Connector Housings Or Holding Contact Members (AREA)
  • Coupling Device And Connection With Printed Circuit (AREA)
  • Manufacturing Of Electrical Connectors (AREA)

Abstract

커넥터 단자(12)는 하우징(11) 내에 형성된 단자 공간(R1)으로 삽입되도록 동작 가능한 단자 몸체(122) 및 단자 몸체(122)에 배열된 탄성 접촉 피스(121)를 포함한다. 단자 몸체는 개구(1222a)를 가진 상벽(1222) 및 상벽과 마주보고 그로부터 떨어져 있는 바닥벽(1221)을 포함한다. 탄성 접촉 피스(121)는 바닥벽에 고정된 제1 단부(1211); 상벽(1222)과 접하는 제2 단부(1213); 및 U자형으로 접힌 부분(1212)을 포함한다. 단자 몸체(122)가 단자 공간(R1)으로 삽입될 때, 접힌 부분은 상승된 부분(116) 위로 지나가고, 탄성 접촉 피스(121)의 일부분(1214)은 개구(1222a) 밖으로 이동하고, 상기 제2 단부(1213)는 상기 바닥벽(1221)과 접한다.

Description

커넥터 단자{CONNECTOR TERMINAL}
본 발명은 커넥터 단자가 하우징으로 삽입될 때 단자의 몸체 밖으로 돌출한 부분을 가진 탄성 접촉 피스를 포함하는 커넥터 단자에 관한 것이다.
공지된 커넥터 단자는 커넥터 단자가 하우징 내에 형성된 단자 공간으로 삽입될 때 단자의 몸체 밖으로 돌출한 부분(접촉 부분)을 가진 탄성 접촉 피스를 포함한다. 커넥터 단자는 탄성 접촉 피스의 단자 몸체 밖으로 돌출한 부분을 통해 다른 단자와 접촉한다. 그러나, 이러한 커넥터 단자는 아래의 문제점들을 수반한다. 첫째, 커넥터 단자에 고정되기 위해 커넥터 단자 상에서 케이블이 눌러질 때, 상기 부분이 손상 및/또는 변형될 수 있다. 둘째, 상기 부분은 커넥터 단자가 단자 공간으로 삽입될 때 단자 공간의 내측면에 긁혀 손상될 수 있다.
도 32는 일본 실용신안 공개번호 제2598581호에 개시된 커넥터의 투시도이고, 그 부분 단면도는 상기 참고문헌에 있다. 도 3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프링(1003)은 단자(1001)가 아직 커넥터 하우징(1016)에 삽입되지 않았을 때 보호를 위해 박스(1004) 내에 수용되어 있다. 그 다음, 단자(1001)가 그 안으로 삽입되면, 스프링(1003)의 슬라이딩 부(1008)가 테이퍼드 가이드 면을 따라 미끄러지고, 프레싱 돌기(1021)에 의해 눌러져 들어 올려진다. 그러므로, 스프링(1003)의 접촉부(1010)는 개구(1011)를 통해 박스(1004) 밖으로 돌출한다.
이러한 스프링(1003)은 케이블이 눌러져 단자(1001)에 고정될 때 또는 단자(1001)가 커넥터 하우징(1016)으로 삽입될 때 손상되거나 변형되지 않는다. 이 커넥터는 접촉부(1010)를 통해 단자(1001)와 다른 단자(도시되지 않음) 간의 전기적 접속에 대한 강화된 신뢰도를 제공한다.
도 32에 도시된 커넥터에서, 스프링(1003)은 단자(1001)가 커넥터 하우징(1016)으로 삽입될 때 돌기(1021)에 의해 완전히 들어 올려진다. 스프링(1003)은 스프링(1003)이 박스(1004)에 고정되도록 피스(1007)를 접음으로써, 스프링의 근단부에서, 박스(1004)에 고정된다. 그러므로, 스프링(1003)은 박스(1004)에 의해 캔틸레버식으로 지지된다. 그 결과, 이 커넥터는 스프링(1003)이 충분한 스프링 길이를 가질 수 없다는 문제점을 수반하고, 그러므로 스프링(1003)의 접촉부(1010)가 다른 단자와 접촉하기 위해 박스(1004)의 개구(1011) 밖으로 돌출한 때, 스프링(1003)이 유연하게 변형될 수 있어, 스프링(1003)과 다른 단자 사이에 충분한 접촉 압력을 보장할 수 없게 된다.
상술한 문제를 고려하여, 본 발명의 목적은 커넥터 단자가 하우징으로 삽입될 때 탄성 접촉 피스가 손상 및/또는 변형되는 것을 방지하고 그리고 더 나아가 커넥터 단자가 하우징으로 삽입된 후 충분한 스프링 길이를 보장하여, 탄성 접촉 피스와 다른 단자 사이에 충분한 접촉 압력을 보장할 수 있는 커넥터 단자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제1 형태는 커넥터 단자로서, 하우징 내에 형성된 단자 공간으로 삽입되도록 동작 가능한 단자 몸체; 및 단자 몸체 내에 배열된 탄성 접촉 피스를 포함하고, 단자 몸체는 제1 개구를 가진 상벽; 및 상벽과 마주보고 그로부터 떨어져 있는 바닥벽을 포함하고, 탄성 접촉 피스는 바닥벽에 고정된 제1 단부, 상벽과 접한 자유단인 제2 단부, 및 제1 단부와 제2 단부 사이에 위치한 대체로 U자형으로 접힌 부분을 포함하고, 단자 공간은 바닥벽에서부터 상벽을 향해 일정 높이를 가지는 상승된 부분을 포함하고; 그리고 단자 몸체가 단자 공간으로 삽입될 때, 접힌 부분은 상승된 부분 위로 지나가고, 탄성 접촉 피스의 일부분은 제1 개구 밖으로 이동하고, 제2 단부는 바닥벽과 접하는, 커넥터 단자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커넥터 단자에서, 커넥터 단자가 하우징에 형성된 단자 공간 내로 아직 삽입되지 않은 때, 탄성 접촉 피스는 단자 몸체 내에 수용되어 있다. 커넥터 단자를 단자 공간으로 삽입하면, 탄성 접촉 피스의 접힌 부분은 상승된 부분 위로 지나가고, 그러므로, 탄성 접촉 피스는 그 일부분(접촉부)에서 개구를 통해 단자 몸체 밖으로 돌출한다. 즉, 탄성 접촉 피스의 일부분은 단지 커넥터 단자가 단자 공간으로 삽입함으로써 단자 몸체 외부에 노출될 수 있다. 탄성 접촉 피스의 제2 단부가 자유단이기 때문에, 이 제2 단부는 바닥벽과 접촉하고, 접힌 부분이 상승된 부분 위로 지나갈 때 버팀목(fulcrum) 역할을 한다. 그러므로, 탄성 접촉 피스는 접힌 부분 및 제2 단부 모두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2 형태는 커넥터 단자로서, 제1 형태와 더불어, 탄성 접촉 피스가 제1 단부와 접힌 부분 사이에서 탄성 접촉 피스가 구부러지는 각도를 변경하는 각 변경기를 더 포함하고, 그리고 탄성 접촉 피스가 제1 단부와 각 변경기 사이로 뻗어 있는 제1 방향이 탄성 접촉 피스가 서로로부터 각 변경기와 접힌 부분 사이로 뻗어 있는 제2 방향과 상이한, 커넥터 단자를 제공한다.
제1 단부와 접힌 부분 사이에 배치된 각 변경기는 탄성 접촉 피스가 제1 단부로부터 뻗어 있는 각도를 변경하고, 더 나아가 탄성 접촉 피스가 각 변경기로부터 뻗어 있는 각도를 변경한다.
본 발명의 제3 형태는 커넥터 단자로서, 제1 형태와 더불어, 각 변경기가 접힌 부분을 바닥벽으로 지향시키는 만곡부로 이루어진 커넥터 단자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제4 형태는 커넥터 단자로서, 제2 형태와 더불어, 제1 단부와 각 변경기 사이의 탄성 접촉 피스의 제1 부분은 상벽을 향해 기울어져 있고, 각 변경기과 접힌 부분 사이의 탄성 접촉 피스의 제2 부분은 바닥벽을 향해 기울어져 있는, 커넥터 단자를 제공한다.
접힌 부분이 상승된 부분과 동일한 높이에 위치하더라도, 만곡부와 제1 단부 사이의 탄성 접촉 피스의 일부분은 변형될 수 있고, 만곡부는 넓어질 수 있고, 이는 만곡부와 접힌 부분 사이의 탄성 접촉 피스의 일부분이 변형되지 않고도 접촉 단자가 단자 공간 내에 수용될 수 있게 만든다.
본 발명의 제5 형태는 커넥터 단자로서, 제4 형태와 더불어, 접힌 부분의 일부분이 제1 개구를 통해 단자 몸체로부터 바깥쪽으로 돌출해 있는, 커넥터 단자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제6 형태는 커넥터 단자로서, 제2 형태와 더불어, 각 변경기가 탄성 접촉 피스의 나머지보다 더 작은 폭을 가지는 영역으로 이루어진, 커넥터 단자를 제공한다.
탄성 접촉 피스는 이 영역에서 쉽게 변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7 형태는 커넥터 단자로서, 제1 형태와 더불어, 탄성 접촉 피스는 상벽에서 바닥벽까지 볼록부를 형성하는 만곡부를 포함하고; 제2 단부는 만곡부까지 이어져 있고, 그리고 접힌 부분이 상승된 부분 위로 지나갈 때, 제2 단부가 아니라 만곡부가 바닥벽과 접하는, 커넥터 단자를 제공한다.
제2 단부가 만곡부에 이어져 있으므로, 탄성 접촉 피스는 만곡부에서 바닥벽과 접촉한다. 따라서, 바닥벽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 가능하다. 뿐만 아니라, 만곡부가 바닥벽 상에서 미끄러지므로, 탄성 접촉 피스는 바닥벽 상에서 쉽게 이동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8 형태는 커넥터 단자로서, 제1 형태와 더불어, 탄성 접촉 피스가 그것과 접촉하는 실린더형 단자의 축방향으로 뻗어 있고, 탄성 접촉 피스의 일부분은 실린더형 단자의 둘레면을 따른 아치형 외측면을 가지는, 커넥터 단자를 제공한다.
그러므로, 아치형 접촉면이 균일한 굴곡을 가지지 않는다 하더라도, 탄성 접촉 피스는 실린더형 단자의 아치형 접촉면과 안정적으로 접촉할 수 있다.
탄성 접촉 피스의 일부분을 실린더형 단자의 둘레면을 따르는 아치형 외측면을 가지도록 설계함으로써, 그 부분은 실린더형 단자의 둘레면과 안정적으로 접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9 형태는 커넥터 단자로서, 제8 형태와 더불어, 탄성 접촉 피스의 일부분의 외측면 상에 실린더형 단자의 축방향으로 뻗어 있는 복수의 돌기가 형성되어 있고; 그리고 복수의 돌기는 실린더형 단자의 둘레 방향으로 배열되어 있는, 커넥터 단자를 제공한다.
복수의 돌기를 형성함으로써, 둘레 접촉면의 적어도 일부 및 아치형 외측면이 균일한 굴곡을 가지지 않더라도, 탄성 접촉 피스는 2 이상의 지점에서 실린더형 단자와 접촉한다. 따라서, 접촉 단자는 실린더형 단자와 안정적인 접촉을 유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10 형태는 커넥터 단자로서, 제1 형태와 더불어, 상승된 부분이 바닥벽에서 상벽까지 기울어진 경사; 및 경사의 꼭대기에서 이어진 수평부를 포함하고, 그리고 접힌 부분이 수평부 위로 지나가, 접힌 부분의 일부분이 수평부의 표면과 접촉하는, 커넥터 단자를 제공한다.
수평부와 접촉하는 접힌 부분 중 일부분이 탄성 접촉 피스의 일부분에 작용하는 접촉 압력을 균일하게 수용하는 것이 가능하고, 탄성 접촉 피스의 일부분이 실린더형 단자와 접촉할 때 수평부에 의해 지지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탄성 접촉 피스의 일부분은 실린더형 단자 상에서 균일하게 눌러질 수 있다.
앞서 언급한 본 발명에 의해 얻어진 장점들이 아래에 설명될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커넥터 단자는 단자 공간으로 삽입되고, 그러므로 탄성 접촉 피스의 접힌 부분이 상승된 부분 위로 지나가는데, 이는 탄성 접촉 피스의 일부분이 단자 몸체 외부로 노출되게 만들고, 더 나아가 자유단인 탄성 접촉 피스의 제2 단부는 바닥벽과 접촉하여 탄성 접촉 피스를 지지하는 버팀목 역할을 한다. 그러므로, 하우징으로 아직 삽입되지 않았을 때 본 발명에 따른 커넥터 단자는 탄성 접촉 피스가 손상 및/또는 변형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 가능하고, 더 나아가 커넥터 단자가 하우징에 삽입되었을 때 충분한 스프링 길이를 보장하여 탄성 접촉 피스와 다른 단자 간의 필수 접촉 압력을 보장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상기 및 다른 목적 및 이로운 특징들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아래의 설명을 읽음으로써 명백해질 것인데, 도면 전체에 걸쳐 동일하거나 유사한 부분은 유사한 부재번호로 표시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의 제1 전기 커넥터의 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제1 전기 커넥터의 전면도이다.
도 3은 커넥터 단자의 투시도이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커넥터 단자의 측면도이다.
도 5는 도 4에 도시된 커넥터 단자의 부분 단면도이다.
도 6은 도 3에 도시된 커넥터 단자의 전면도이다.
도 7은 도 4에 도시된 커넥터 단자의 측면도로서, 탄성 접촉 피스가 들어 올려져 탄성 접촉 피스가 단자 몸체 밖으로 돌출되어 있는 것을 보여준다.
도 8는 도 7에 도시된 커넥터 단자의 전면도이다.
도 9는 도 1에 도시된 프로젝팅 단자의 투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의 제2 전기 커넥터의 투시도이다.
도 11은 도 10에 도시된 제2 전기 커넥터의 전면도이다.
도 12는 도 10에 도시된 제2 전기 커넥터의 제1 원통형 단자의 투시도이다.
도 13은 도 10에 도시된 제2 전기 커넥터의 제2 원통형 단자의 투시도이다.
도 14는 도 1에 도시된 제1 커넥터 단자와 도 10에 도시된 제2 커넥터 단자가 서로 끼워맞춤된 상태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15는 도 1에 도시된 제1 커넥터 단자와 도 10에 도시된 제2 커넥터 단자가 서로 끼워맞춤된 상태를 보여주는 투시 단면도이다.
도 16는 도 1에 도시된 제1 커넥터 단자와 도 10에 도시된 제2 커넥터 단자가 서로 도 15보다 더 끼워맞춤된 상태를 보여주는 투시 단면도이다.
도 17은 도 14에 도시된 제1 커넥터 단자와 제2 커넥터 단자가 서로 끼워맞춤된 상태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18은 도 15에 도시된 제1 커넥터 단자와 제2 커넥터 단자가 서로 끼워맞춤된 상태를 보여주는 부분 확대된 단면도이다.
도 19는 도 18의 제1 커넥터 단자 및 제2 커넥터 단자가 끼워맞춤된 상태에서 시프트된 상태를 보여주는 부분 확대된 단면도이다.
도 20은 도 3에 도시된 제1 커넥터 단자와 도 12에 도시된 제1 원통형 단자 간의 접촉 상태를 보여주는 부분 단면도이다.
도 21은 도 3에 도시된 제1 커넥터 단자와 도 12에 도시된 제1 원통형 단자 간의 접촉 상태를 보여주는 부분 단면도이다.
도 22는 도 21에 도시된 제1 커넥터 단자와 제1 원통형 단자 간의 접촉 상태를 보여주는 부분 단면도이다.
도 23a는 도 3에 도시된 커넥터 단자가 삽입되는 단자 공간의 부분 단면도이다.
도 23b는 도 23a에 이어서 탄성 접촉 피스가 상승된 부분 위로 지나간 단자 공간의 부분 단면도이다.
도 24는 하나의 변형에 따른 탄성 접촉 피스를 포함하는 커넥터 단자의 측면도이다.
도 25는 하나의 변형에 따른 도 24에 도시된 커넥터 단자의 밑면도이다.
도 26은 단자 공간으로 삽입되기 전의 상태를 보여주는, 도 3에 도시된 커넥터 단자를 도시하는 부분 단면도이다.
도 27은 도 26에 이어서 단자 공간으로 삽입된 후의 상태를 보여주는, 도 3에 도시된 커넥터 단자를 도시하는 부분 단면도이다.
도 28은 단자 공간으로 삽입되기 전의 상태를 보여주는, 제1 변형에 따른 도 3에 도시된 커넥터 단자의 부분 단면도이다.
도 29는 도 28에 이어서 단자 공간으로 삽입된 후의 상태를 보여주는 커넥터 단자의 부분 단면도이다.
도 30은 단자 공간으로 삽입되기 전의 상태를 보여주는, 제2 변형에 따른 도 3에 도시된 커넥터 단자의 부분 단면도이다.
도 31는 도 30에 이어서 단자 공간으로 삽입된 후의 상태를 보여주는 커넥터 단자의 부분 단면도이다.
도 32는 참조문헌 1에 인용된 종래의 커넥터의 투시도이다.
이제,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 단자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될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전방 및 후방"의 단어와 관련하여, 단어 "전방"은 두 전기 커넥터가 서로 끼워 맞춤되는 쪽을 의미하고, 단어 "후방"은 "전방의 반대쪽을 의미한다.
도 1에 도시된 제1 전기 커넥터(10) 및 도 10에 도시된 제2 전기 커넥터(20)는, 예컨대, 와이어 하네스를 통해 다양한 종류의 센서들을 연결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제2 전기 커넥터(20)는 본 발명에 따른 커넥터 단자이다.
먼저, 제1 전기 커넥터(10)가 도 1 내지 도 9를 참조하여 아래에 설명된다.
도 1, 도 2, 및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전기 커넥터(10)는 도 10에 도시된 제2 전기 커넥터(20)가 끼워 맞춤되는 외부 하우징(11)(제1 하우징), 제1 전기 커넥터(10)를 제2 전기 커넥터(20)에 전기적으로 접속시키는 복수의 제1 접촉 단자(12)(커넥터 단자), 및 제1 전기 커넥터(10)를 제2 전기 커넥터(20)에 전기적으로 접속시키는 프로젝팅 단자(13)를 포함한다.
외부 하우징(11)은 실린더 형상이다. 외부 하우징(11)은 제1 부재(111) 및 제2 부재(112)로 이루어진다.
제1 부재(111)는 외부 하우징(11)의 후방 단부에 커버부(111a)를 포함한다. 커버부(111a)는 케이블(C)을 단자에 접속시키는 커넥터(제1 접촉 단자(12) 및 프로젝팅 단자(13))를 보호하고, 그 안에 시일(124)을 수용한다(도 3 참조). 제1 부재(111)는 프로젝팅 단자(13)가 삽입될 단자 공간(R1)을 구비한 제1 축(114)을 더 포함한다. 제1 축(114)은 외부 하우징(11)의 중심축(L1)과 동축으로 뻗어 있다.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축(114)은 각각 그 개방 단부에서부터 근단부를 향해 갈수록 증가하는 직경을 가지는 3 스테이지를 가지도록 설계되어 있다. 더욱 상세하게는, 제1 축(114)은 전단 스테이지, 중간 스테이지, 및 후단 스테이지를 포함하며, 전단 스테이지는 중간 스테이지의 직경보다 작은 직경을 가지고, 중간 스테이지는 후단 스테이지의 직경보다 작은 직경을 가진다.
단자 공간(R1)으로 이끌기 위해 제1 축(114)의 축방향으로 뻗어 있는 가이드 홀(114a)이 제1 축(114)에 형성되어 있다.
제1 부재(111)는 제1 접촉 단자(12)가 제1 부재로 삽입될 수 있도록 자신과 제1 축(114) 사이에 단자 공간(R2)을 가지는 둘레 벽 부(111c), 및 제1 부재(111)를 제2 부재(112)와 체결시키는 잠금 피스(111f)를 포함한다.
제2 부재(112)는 원통형이고, 제1 부재(111)에 연결될 때 자신과 제1 축(114) 사이에 제1 끼워맞춤 홀(115)이 형성된다. 그러므로, 제2 전기 커넥터(20)(도 16 참조)는 형성된 제1 끼워맞춤 홀(115)로 끼워맞춤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부 하우징의 중심축(L1)을 중심으로 방사상으로 배열되어 있고 제1 전기 커넥터(10)의 길이 방향(F1)으로 뻗어 있는 복수의 선형 홈(111g)이 제1 접촉 단자(12)에 의해 둘러싸인 제1 끼워맞춤 홀(115)의 내측면 상에 형성되어 있다. 제1 실시예의 제2 부재(112)에서, 선형 홈(111g)은 서로 둘레 각이 40도씩 떨어져 있는 9 위치 중 5 위치에서 제1 끼워맞춤 홀(115)의 내측면 상에 형성되어 있다.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링 형상의 시일 부재(113)가 도 1에 도시된 제1 부재(111)와 제2 부재(112) 사이의 커플링 부 내부에 제공되어 있다.
도 2 및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의 제1 접촉 단자(12)는 제1 축(114)의 외측면 상에 제1 축(114)의 중심축과 평행하게 배열되어 있다. 제1 끼워맞춤 홀(115)을 앞에서 보았을 때, 제1 접촉 단자(12)는 제1 축(114) 둘레에 서로 둘레 방향으로 동등하게 이격되어 있다. 제1 실시예에서, 3개의 제1 접촉 단자(12)가 외부 하우징(11)의 120도의 둘레 각도만큼 제1 축(114)의 3개의 직경 스테이지를 따라 배열되어 있다.
도 3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의 제1 접촉 단자(12)는 금속 피스를 U자형으로 구부려 형성된 전기 도전성 탄성 접촉 피스(121), 단자 공간(R2)(도 14 참조)으로 삽입되는 제1 단자 몸체(122), 및 그 위에서 케이블(C1)이 압착되는 번들링 부(123)를 포함한다.
탄성 접촉 피스(121)의 제1 단부(1211)는 제1 단자 몸체(122)의 바닥벽(1221)과 일체가 되도록 고정된다. 탄성 접촉 피스(121)는 바닥벽(1221)으로부터 뻗어 있고, 그 단부에 U자형으로 접힌 부분(1212)을 형성한다. 탄성 접촉 피스(121)는 제1 단자 몸체(122)의 내부로 더 뻗어 있고, 자유단의 제2 단부(1213)에서 끝난다.
탄성 접촉 피스(121)는 탄성 접촉 피스(121)를 아래에 언급된 제1 실린더형 단자와 접촉시키는 접촉부로서 역할하는 부분을 가진다. 접촉부(1214)는 아래에 언급된 제1 실린더형 단자의 주변 아크 면을 따른 외측면을 가지는 아크를 가진다.
복수의 슬림 돌기(1214a)가 접촉부(1214) 내에 형성된다. 제1 실시예에서는, 2개의 돌기(1214a)가 형성되어 있다. 돌기(1214a)는 제1 실린더형 단자의 중심축(L1)에 수직인 방향(F3)(탄성 접촉 피스(121)의 폭 방향)으로 탄성 접촉 피스(121) 상에 배열되어 있다.
제1 단부(1211)와 접힌 부분(1212) 사이에, 제1 만곡부(1215)가 형성되어 있다. 제1 만곡부(1215)는 접힌 부분(1212)이 바닥벽(1221)을 향해 구부러지게 만든다. 탄성 접촉 피스(121)의 최초 상태에서, 제1 실시예의 제1 만곡부(1215)는 바닥벽(1221)에서 이어진 제1 단부(1211)로부터의 오르막 부분이 개구(1222a)까지 이어진 후 개구(1222a) 반대쪽에 있는 바닥벽(1221)으로 구부러지도록 하는 방식으로 구부러진다.
초기 상태에서, 접힌 부분(1212)은 제1 단자 몸체(122)의 바닥벽(1221) 밖으로 돌출해 있고, 접촉부(1214)는 제1 단자 몸체(122)의 상벽(1222)에 형성된 개구(1222a) 밖으로 돌출하지 않는다. 탄성 접촉 피스(121)의 제2 단부(1213)에, 바닥벽(1221)을 향한 볼록부를 가진 제2 만곡부(1216)가 형성되어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단자 몸체(122)는 속이 빈 직방형 단면을 가지도록 설계된다.
제1 단자 몸체(122)는 그 측벽(1223)에 랜스(lance)(1224)가 형성되어 있다. 랜스(1224)는 측벽(1223)의 일 부분 둘레에 절단선을 형성하고, 그 부분을 바깥쪽으로 기울임으로써 만들어진다.
도 2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랜스(1224)는 제1 접촉 단자(12)가 외부 하우징(11)의 단자 공간(R2)(도 14 참조)으로 삽입된 후 제1 접촉 단자(12)가 단자 공간(R2)으로부터 빠지는 것을 방지한다.
도 3, 도 26 및 도 2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랜스(1224)는 개방 단부(1224b)가 측벽(1223)으로부터 가장 멀리 떨어지도록 측벽(1223)에 대하여 기울어진 경사(1224c)를 형성하는 개방 단부(1224b)를 가진다. 뿐만 아니라, 경사(1224c)는 그 폭이 개방 단부(1224b)에서 최대가 되도록 제1 접촉 단자(12)의 길이 방향으로 변하는 폭을 가진다.
랜스(1224)는 제1 단자 몸체(122)에 대하여 제1 경사 각도로 제1 단자 몸체(122)로부터 뻗어 있는 제1 경사부(1224m), 및 제1 단자 몸체(122)에 대하여 제1 경사 각도보다 큰 제2 경사 각도로 제1 단자 몸체(122)로부터 바깥쪽으로 기울어져 있고, 경사(1224c)를 형성하는 제2 경사부(1224n)를 포함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번들링 부(123)는 그 위에서 케이블(C1)을 압착하여 케이블을 자신에게 고정시킨다. 번들링 부(123)는 절연체 베럴(123a) 및 와이어 베럴(123b)를 포함한다. 제1 접촉 단자(12)는 케이블(C1)이 삽입되는 시일(124)을 번들링 부(123)의 후방에 더 포함한다.
도 14에 도시된 프로젝팅 단자(13)는 제1 축(114)의 근단부에 형성된 단자 공간(R1) 내에 수용되고, 제2 전기 커넥터(20)의 아래에 언급된 제2 실린더형 단자와 접촉한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로젝팅 단자(13)는 접촉부(131), 제2 단자 몸체(132), 및 번들링 부(133)를 포함한다.
접촉부(131)는 서로 등간격으로 이격되어 있는 복수의 접촉 피스(131a), 접촉 피스(131a)의 말단부 및 근단부에 배열된 한 쌍의 C자형 바인더(131b), 및 접촉 피스(131a)의 개방 단부에 위치하는 C자형 바인더(131b)까지 이어진 콘 부(131d)를 포함한다.
제2 단자 몸체(132)는 속이 빈 직방형 단면을 가진다.
번들링 부(133)는 그 위에서 케이블(C1)을 압착하여 케이블을 자신에게 고정시킨다. 번들링 부(133)는 절연체 베럴(133a) 및 와이어 베럴(133b)를 포함한다.
이제, 제2 전기 커넥터(20)의 구조가 도 10 내지 도 14를 참조하여 설명된다.
도 10, 도 11 및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전기 커넥터(20)는 도 1에 도시된 제1 전기 커넥터(10)에 끼워맞춤되는 내부 하우징(21), 제1 전기 커넥터(10)의 제1 접촉 단자(12)와 전기적으로 접속할 수 있는 제1 실린더형 단자(22) 및 제2 실린더형 단자(23)를 포함한다.
내부 하우징(21)은 내부 하우징(21)의 전방의 절반부 내에 둘레 벽 부분(212)을 포함한다. 둘레 벽 부분(212)은 그 내부에 제1 전기 커넥터(10)의 제1 축(114)(도 1 참조)이 끼워맞춤되는 제2 고정 홀(211)을 형성한다. 제2 고정 홀(211)은 각각 개방 단부에서부터 후방으로 갈수록 점점 감소하는 내경을 가지는 복수의 스테이지로 이루어진다. 둘레 벽 부분(212)은 제1 전기 커넥터(10)가 제2 전기 커넥터(20)의 제1 끼워맞춤 홀(115)로 끼워맞춤될 때 제1 끼워맞춤 홀(115)의 내측면과 접촉하는 외부 둘레 면(212a)을 가진다. 둘레 벽 부분(212)의 전방의 절반부는 그 위에 돌기가 형성되어 있지 않은 실린더 부(212b)이다. 제2 전기 커넥터(20)의 길이방향으로 각각 뻗어 있는 3개의 선형 돌기(212c)는 외부 둘레 면(212a)의 후방 절반부에 그리고 내부 하우징(21)의 축(L2)(도 10 참조) 둘레에 방사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제1 실시예에서, 선형 돌기(212c)들은 둘레 방향(F4)으로 서로 등간격으로 이격되어 있다. 즉, 120도 주변 각도로 배열되어 있다.
제2 축(213)은 제2 고정 홀(211) 내에 뻗어 있다. 제2 축(213)은 실린더 형상이고, 그 안에 배치된 제2 실린더형 단자(23)를 포함한다.
제1 실린더형 단자(22)는 제2 축(213)과 동축이고, 외부에 노출된 접촉면(2212)과 내부 하우징(21)의 제2 고정 홀(211)의 내측면 상에서 고정된다.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실린더형 단자(22)는 실린더형 접촉부(221) 및 선형 커넥터 부(222)를 포함한다.
접촉부(221)는 제1 접촉 단자(12)(도 3 참조)의 탄성 접촉 피스(121)와 접촉한다. 접촉부(221)는 접합부(2211)를 통해 서로 전기 도전성 시트의 양단부를 접합시켜 형성된다. 예를 들어, 제1 단부(2211a)는 돌기를 가지도록 설계되고, 제2 단부(2211b)는 오목부를 가지도록 설계된다. 오목부에 돌기를 끼워맞추고 그것들을 서로 고정시킴으로써, 단부(2211a 및 2211b)는 서로 결합된다. 접합부(2211)가 앞서 언급한 돌기 및 오목부의 조합에 의해 형성되므로, 접합부(2211)는 접촉부(221)의 근단부 및 개방 단부 사이의 범위의 길이, 및 돌기 및 오목부의 길이와 동등한 폭을 가진다.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 하우징(21)의 제2 고정 홀(211)은 그 안에 각각 서로 상이한 내경을 가지는 3개의 스테이지를 형성한다. 더욱 상세하게는, 제2 고정 홀(211)의 개방 단부 부근에 위치하는 제1 스테이지는 가장 큰 내경을 가지고, 제2 고정 홀(211)의 개방 단부로부터 가장 멀리 떨어져 위치하는 제3 스테이지는 가장 작은 내경을 가지고, 제1 및 제3 스테이지 사이에 위치하는 제2 스테이지는 제1 스테이지의 내경보다 작지만 제3 스테이지의 내경보다는 큰 내경을 가진다.
제2 전기 커넥터(20)는 3개의 제1 실린더형 단자(22)를 포함하는데, 그 각각은 내부 하우징(21)의 제2 고정 홀(211) 내에 형성된 제1 내지 제3 스테이지 각각의 내측면 상에 배열되어 있다. 제1 스테이지의 내측면 상에 배열된 제1 실린더형 단자(22)의 접촉부(221)는 3개의 제1 실린더형 단자(22)의 접촉부(221) 중 가장 큰 내경을 가지고, 제3 스테이지의 내측면 상에 배열된 제1 실린더형 단자(22)의 접촉부(221)는 3개의 제1 실린더형 단자(22)의 접촉부(221) 중 가장 작은 내경을 가지고, 그리고 제2 스테이지의 내측면 상에 배열된 제1 실린더형 단자(22)의 접촉부(221)는 상기 가장 큰 내경과 가장 작은 내경 사이의 내경을 가진다.
커넥팅 부(222)는 접촉부(221)에서 내부 하우징(21)의 후방 단부를 향해 곧게 뻗어 있고, 내부 하우징(21) 밖으로 노출되고 인쇄 배선판(도시되지 않음)에 접속될 개방 단부를 가진다. 커넥팅 부(222)에는 제1 실린더형 단자(22)가 내부 하우징(21)으로부터 빠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랜스(2221)가 형성되어 있다.
도 10, 도 11 및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실린더형 단자(23)는 제2 축(213) 내에 수용된다. 제2 실린더형 단자(23)는 그 안으로 프로젝팅 단자(13)를 삽입하기 위한 개방 단부를 가진다. 제2 실린더형 단자(23)는 제2 축(213)을 지나 바깥쪽으로 뻗어 있고, 그러므로 그 개방 단부에서 제2 축(213) 밖으로 노출된다. 제2 실린더형 단자(23)는 그것과 일체가 되도록 제2 축(213)과 밀접하게 접촉하도록 배열된다.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실린더형 단자(23)는 실린더 부(231), 잘록한 부분(232), 닫힌 부분(233), 및 L자형 커넥팅 부(234)를 포함한다.
잘록한 부분(232)은 실린더 부(231)의 후방에 위치하고, 커넥팅 부(234)가 뻗은 방향으로 감소하는 두께를 가진다. 더욱 상세하게는, 잘록한 부분(232)은 실린더 부(231)의 직경과 동등한 폭(제1 방향(A1)의 길이))을 가지고, 실린더 부(231)의 직경과 동등한 직경에서 제2 실린더형 단자(23)의 길이 방향으로 점점 감소하는 두께(제1 방향(A1)에 수직인 제2 방향(A2)의 길이)를 가진다. 이러한 두께 감소의 결과로서, 잘록한 부분(232)은 최종적으로 평평해진다.
닫힌 부분(233)은 잘록한 부분(232)의 후방에 그리고 제2 실린더형 단자(23)의 근단부에 위치한다. 닫힌 부분(233)은 잘록한 부분(232)의 폭보다 큰 폭(방향(A1)의 길이)을 가진다. 뿐만 아니라, 닫힌 부분(233)은 실린더 부(231)의 직경보다 작은 두께, 및 실린더 부(231)의 직경보다 큰 폭을 가진다.
L자형 커넥팅 부(234)는 닫힌 부분(233)에서 이어진다. L자형 커넥팅 부(234)는 닫힌 부분(233)과 수직이 되도록 구부러지고, 실린더 부(231)와 평행하게 다시 수직으로 구부러진 판 형상 부(234a), 및 판 형상 부(234a)의 개방 단부로부터 바깥쪽으로 뻗어 있는 바늘 부(234b)를 포함한다.
이제, 앞서 언급한대로 구성된 제1 및 제2 전기 커넥터(10 및 20)가 사용되는 방법이 도 15 내지 도 20을 참조하여 설명된다.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전기 커넥터(10) 및 제2 전기 커넥터(20)는 서로 가까워지고 있다. 그 다음, (내부 하우징(21)의) 둘레 벽 부분(212)의 개방 단부가 외부 하우징(11)의 제1 끼워맞춤 홀(115)과 나란하게 되고, (내부 하우징(21)의) 제2 축(213)의 개방 단부가 또한 (제1 축(114)의) 가이드 홀(114a)과 나란하게 된다.
그 다음, (내부 하우징(21)의) 둘레 벽 부분(212)은 제1 끼워맞춤 홀(115)의 길이 방향(F1)으로 전진되고, (내부 하우징(21)의) 제2 축(213) 또한 가이드 홀(114a)의 길이 방향(F1)으로 전진된다.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 하우징(21)의) 둘레 벽 부분(212)의 전방 절반부는 돌기가 형성되지 않은 실린더 부(212b)이다(도 10 참조). 따라서, 둘레 벽 부분(212)의 전방 절반부만 (외부 하우징(11)의) 제1 끼워맞춤 홀(115)로 삽입된 때, (내부 하우징(21)의) 선형 돌기(212c)는 아직 (외부 하우징(11)의) 선형 홈(111g)로 끼워맞춤되지 않는다. 그러므로, 사용자는 그 중 하나를 그 축을 중심으로 회전시켜 내부 하우징(21)을 외부 하우징(11)으로 끼워맞춤할 수 있다. 사용자는 회전 방향에 주의를 기울이지 않고도 내부 하우징(21)을 외부 하우징(11)으로 전진시킬 수 있다.
도 16의 상태 이후, 내부 하우징(21)의 둘레 벽 부분(212)은 외부 하우징(11)의 제1 끼워맞춤 홀(115)로 완전히 전진되고, 그 다음 둘레 벽 부분(212)의 선형 돌기(212c)가 외부 하우징(11)의 선형 홈(111g)으로 끼워맞춤되어, 외부 하우징(11) 및 내부 하우징(21)은 서로에 대하여 위치 고정된다.
뿐만 아니라, 둘레 벽 부분(212)이 제1 끼워맞춤 홀(115)로 완전히 전진된 때, 프로젝팅 단자(13)는 제2 실린더형 단자(23)로 삽입되어 서로 접촉된다. 게다가, 제2 전기 커넥터(20)의 각각의 제1 실린더형 단자(22)는 제1 전기 커넥터(10)의 각각의 제1 접촉 단자(12)의 탄성 접촉 피스(121)와 접촉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외부 하우징(11)의 선형 홈(111g) 및 내부 하우징(21)의 선형 돌기(212c)는 포지셔닝 유닛(positioning unit)을 구성한다. 포지셔닝 유닛은 내부 하우징(21)을 외부 하우징(11)으로 삽입함으로써 형성된다. 형성된 후, 포지셔닝 유닛은 제1 실린더형 단자(22)와 탄성 접촉 피스(121)가 서로 접촉하는 위치에서 내부 하우징(21)과 외부 하우징(11) 사이의 상대적 회전을 방지한다.
즉, 삽입의 시작 시, 제2 전기 커넥터(20)는 삽입 방향에 대하여 제1 전기 커넥터(10)로부터 자유롭게 회전할 수 있는 전기 커넥터로서 역할 할 수 있다.
외부 하우징(11)과 내부 하우징(21)의 포지셔닝 유닛이 형성된 후, 제1 실린더형 단자(22)는 탄성 접촉 피스(121)와 접촉한다. 즉, 제1 실린더형 단자(22)가 탄성 접촉 피스(121)와 접촉한 때, 내부 하우징(21)과 외부 하우징(11) 간의 상대적 회전은 이미 금지되어 있다. 결과적으로, (제1 실린더형 단자(22)의) 실린더형 접촉부(221) 및 (제1 접촉 단자(12)의) 탄성 접촉 피스(121)는 제1 전기 커넥터(10)와 제2 전기 커넥터(20) 간의 상대적 회전에 의해 마모되거나 손상되지 않는다.
제2 실린더형 단자(23)의 축이 프로젝팅 단자(13)의 축으로부터 어긋나 있더라도, 아래의 이유로 문제가 되지 않는다. 즉, 프로젝팅 단자(13)가 제2 실린더형 단자(23)로 끼워맞춤될 때, 접촉부(131)는 제2 실린더형 단자(23)의 내측면 상에서 미끄러진다. 이러한 미끄러짐 동작은 프로젝팅 단자(13)의 접촉부(131)의 자세를 자동으로 보정한다.
그러나, 프로젝팅 단자(13)는 프로젝팅 단자(13)와 제1 축(114)의 내측면 간의 갭이 존재하도록 단자 공간(R1) 내에 수용되고, 랜스(134)에 의해 고정된다. 따라서, 접촉부(131)의 자세가 제2 실린더형 단자(23)에 의해 보정되더라도, 프로젝팅 단자(13)의 제2 단자 몸체(132)는 접촉부(131)의 자세가 보정된 새로운 축방향으로, 단자 공간(R1) 내에서, 이동될 수 있다. 결과적으로, 프로젝팅 단자(13)는 제2 실린더형 단자(23)의 새로운 축 방향을 따르도록 이동될 수 있다.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전기 커넥터(20)를 제1 전기 커넥터(10)로 더 삽입함으로써, 내부 하우징(21)의 둘레 벽 부분(212)은 외부 하우징(11)의 제1 끼워맞춤 홀(115)로 완전히 끼워맞춤되고, 외부 하우징(11)의 제1 축(114)은 내부 하우징(21)의 제2 고정 홀(211)로 완전히 끼워맞춤되고, 그리고 내부 하우징(21)의 제2 축(213)은 제1 축(114)의 가이드 홀(114a)로 완전히 끼워맞춤된다.
이러한 상황에서, 제1 축(114)의 외측면 상에 배열된 각각의 제1 접촉 단자(12)는 내부 하우징(21)의 내측면 상에 배열된 제1 실린더형 단자(22)의 각각의 실린더형 접촉부(221)와 접촉한다. 그리고, 프로젝팅 단자(13)의 접촉부(131)는 제2 실린더형 단자(23)의 실린더 부(231)로 삽입되어 서로 접촉한다.
그러므로, 제1 및 제2 전기 커넥터(10 및 20)는 서로 끼워맞춤된다.
제1 접촉 단자(12)는 제1 축(114)의 중심축과 동축으로 제1 축(114)의 외측면 상에 배열된다. 제1 실린더형 단자(22)는 제2 축(213)과 동축으로 내부 하우징(21)의 내측면 상에 배열된다. 그러므로, 제1 축(114)과 제2 축(213)이 서로 끼워맞춤될 때, 제1 접촉 단자(12)는 제1 실린더형 단자(22)와 안정적으로 접촉할 수 있다.
이제, 외부 및 내부 하우징(11 및 21)이 서로에 대하여 회전함으로써 서로 끼워맞춤 될 때 외부 및 내부 하우징(11 및 21)을 둘레 방향으로 위치조절하기 위한 다른 포지셔닝 유닛이 설명된다.
도 17 및 도 1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앞서 언급한 포지셔닝 유닛은 외부 하우징(11)의 선형 홈(111g) 및 내부 하우징(21)의 선형 돌기(212c)로 이루어진다.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도 10에 도시된 둘레 벽 부분(212)이 그 전방 절반부만 외부 하우징(11)의 제1 끼워맞춤 홀(115)로 삽입된 때, 내부 하우징(21)의 선형 돌기(212c)는 아직 외부 하우징(11)의 선형 홈(111g)으로 끼워맞춤되지 않는다. 그러므로, 외부 및 내부 하우징(11 및 21) 중 하나를 서로에 대하여 회전시켜 외부 및 내부 하우징(11 및 21)이 서로 끼워맞춤될 수 있다.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선형 돌기(212c)가 선형 홈(111g)에 끼워맞춤된 후, 외부 및 내부 하우징(11 및 21)은 회전 방향에 대하여 위치 고정되어 서로에 대하여 그 축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 없다.
선형 돌기(212c) 및 선형 홈(111g)은 제1 접촉 단자(12)의 탄성 접촉 피스(121)가 접합부(2211) 이외의 접촉면(2212)과 접촉하게 만든다.
도 17 및 18에서, (제1 전기 커넥터(10)의) 제1 축(114)의 개방 단부에 위치하는 제1 접촉 단자(12)는 제2 고정 홀(211)의 가장 깊은 위치에 위치하는 제1 실린더형 단자(22)와 접촉한다.
도 10 및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선형 돌기(212c)는 내부 하우징(21)의 외부 주변 면(212a) 상에 120도 둘레 각도로 배열되어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5개의 선형 홈(111g)이 외부 하우징(11)의 제1 끼워맞춤 홀(115)의 내측면에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외부 및 외부 하우징(11 및 21)은 내부 하우징(21)의 3개의 선형 돌기(212c)가 외부 하우징(11)의 5개의 선형 홈(111g) 중 3개와 나란하게 된 때 서로 끼워맞춤될 수 있다.
도 17 및 도 18에서, (제1 실린더형 단자(22)의) 접합부(2211)는 제1 접촉 단자(12)의 한쪽에(도 17에서는 좌측에) 가깝게 위치하고, 탄성 접촉 피스(121)의 돌기(1214a)들은 제1 실린더형 단자(22)의 접촉면(2212)과 접촉한다.
외부 하우징(11)은 도 17에 도시된 상태에 대하여, 인접한 선형 홈(111g) 간의 각도 간격인 40도만큼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되어 있다. 제1 접촉 단자(12)가 외부 하우징(11)의 단자 공간(R2) 내에 수용되어 있기 때문에, 제1 접촉 단자(12)는 외부 하우징(11)과 함께 회전된다.
대안으로서, 내부 하우징(21)은 시계 방향으로 40도 회전된다. 제1 실린더형 단자(22)가 내부 하우징(21)에 고정되어 있으므로, 제1 실린더형 단자(22)도 내부 하우징(21)과 함께 회전된다.
회전된 선형 돌기(212c)는 선형 돌기(212c)가 끼워 맞춤되었던 다른 선형 홈(111g) 부근에 위치하는 선형 홈(111g) 중 하나(도 17에서는 우측의 홈)에 끼워맞춤된다(도 19 및 도 20 참조).
이러한 회전으로 인해, 선형 돌기(212c)는 하나의 선형 홈(111g)과 다른 선형 홈(111g) 사이에서 이동하고, 제1 실린더형 단자(22)의 접합부(2211)는 제1 접촉 단자(12)의 돌기(1214a) 위로 이동한다.
이는 외부 하우징(11)의 중심축(L1)(도 1 참조) 둘레의 인접한 선형 홈(111g) 사이의 각도 간격이 내부 하우징(21)의 중심축(L2)(도 10 참조) 둘레의 제1 실린더형 단자(22)의 접합부(2211)(도 12 참조)를 덮는 각도보다 크게 설정되기 때문이다.
접합부(2211)가 접촉부(221)의 양단부(2211a 및 2211b)를 서로 접합시켜 형성되므로, 접합부(2211) 내에 단차(step)가 형성될 수 있다.
그러나, 선형 돌기(212c) 및 선형 홈(111g)이 포지셔닝 유닛으로서 역할 하기 때문에, 제1 전기 커넥터(10)가 임의의 둘레 위치에서 제2 전기 커넥터(20)로 끼워맞춤된다 하더라도, 제1 접촉 단자(12)는 선형 돌기(212c)가 선형 홈(111g)에 끼워맞춤된 후 제1 실린더형 단자(22)의 접합부(2211)와 접촉하지 않는다. 따라서, 제1 접촉 단자(12)의 탄성 접촉 피스(121)가 제1 실린더형 단자(22)의 접합부(2211)와 접촉하여 손상 및/또는 마모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 가능하다. 그러므로, 제1 및 제2 전기 커넥터(10 및 20)는 그 사이의 접속에 대한 높은 신뢰성을 보장한다.
선형 돌기(212c)와 선형 홈(111g)이 외부 및 내부 하우징(11 및 21)의 중심축(L2)을 중심으로 방사상으로 배열되어 있으므로, 외부 및 내부 하우징(11 및 21)이 그 중 하나를 회전시켜 서로 끼워맞춤되어 있다 하더라도, 선형 돌기(212c)와 선형 홈(111g)이 서로 나란하도록 그들이 서로 끼워맞춤될 수 있다.
이제, 도 21 및 도 22를 참조하여 제1 접촉 단자(12)가 제1 실린더형 단자(22)와 접촉하는 방법이 설명된다.
도 2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및 제2 전기 커넥터(10 및 20)가 서로 끼워맞춤되어 있는 상황에서, 제1 전기 커넥터(10)의 접촉 단자(12)는 제2 전기 커넥터(20)에 형성된 제2 고정 홀(211)의 내측면 상에 배열된 제1 실린더형 단자(22)와 접촉한다.
접촉 단자(12)의 탄성 접촉 피스(121)는 제1 실린더형 단자(22)의 축방향(F5)을 따라 배열되어 있다. 즉, 탄성 접촉 피스(121)는 접촉면(2212)의 둘레 방향에 수직인 방향으로 제1 실린더형 단자(22)와 접촉한다. 따라서, 접촉면(2212)이 균일한 굴곡을 가지지 않더라도, 탄성 접촉 피스(121)는 접촉면(2212)과 안정적으로 접촉할 수 있다.
도 2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탄성 접촉 피스(121)의 접촉부(1214)는 접촉부(221)의 아치형 접촉면(2212)을 따라, 그리고 제1 실린더형 단자(22)의 축방향(도 21 참조)과 수직인 단면 내에 뻗어 있는 아치형 표면을 가지도록 설계된다. 그러므로, 접촉부(1214) 및 접촉면(2212)은 모두 서로에 대응하는 아크 형이 되도록 설계되고, 그들은 더 안정적으로 서로 접촉할 수 있다.
접촉부(1214)의 외측면 상에 접촉부(221)의 둘레 방향(F6)으로 복수의 돌기(1214a)가 형성되어 있다. 도 2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의 돌기(1214a)는 제1 실린더형 단자(22)의 길이 방향(F5)으로 길쭉하게 뻗어 있도록 설계된다.
예를 들어, 탄성 접촉 피스(121)가 접촉부(1214)의 외측면 상에 돌기(1214a)를 포함하지 않도록 설계되었고, 따라서 접촉부(1214)는 그 외측면에서 제1 실린더형 단자(22)의 아치형 접촉면(2212)과 직접 접촉한다고 가정해보자. 이러한 경우에, 탄성 접촉 피스(121)의 접촉부(1214)는 아치형 접촉면(2212)를 따라 아치형 외측면을 가지도록 설계될 수 있고, 이는 접촉면(2212)과 접촉부(1214)가 서로 접촉하는 면적이 증가함을 보장한다.
접촉면(2212)과 접촉부(1214)가 균일한 굴곡을 가지지 않는다면, 그들은 서로 불안정하게 접촉할 수밖에 없다.
그러나, 접촉부(1214)가 복수의 돌기(1214a)를 가지도록 설계되어 있으므로, 제1 실린더형 단자(22)의 아치형 접촉면(2212) 및 접촉부(1214)의 아치형 접촉면이 균일한 굴곡을 가지지 못하더라도, 탄성 접촉 피스(121)는 제1 실린더형 단자(22)와 2 이상의 지점에서 접촉할 수 있다. 그러므로, 제1 접촉 단자(12)는 제1 실린더형 단자(22)와 안정적으로 접촉하여 높은 접촉 신뢰도를 보장한다.
돌기(1214a)가 제1 실린더형 단자(22)의 길이 방향(F5)으로 뻗어 있기 때문에, 즉, 돌기(1214a)가 아치형 접촉면(2212)의 둘레 방향과 수직인 방향으로 아치형 접촉면(2212)과 접촉하기 때문에, 아치형 접촉면(2212)이 균일한 굴곡을 가지지 않더라도, 아치형 접촉면(2212)의 불균일한 굴곡이 돌기(1214a)와 아치형 접촉면(2212)의 접촉에 나쁜 영향을 주지 않는다.
돌기(1214a)는 접촉부(1214)의 꼭대기(1214b)(도 22 참조)를 중심으로 그 둘레 방향으로 서로 동등하게 이격되어 있다. 따라서, 각각의 돌기(1214a)는 제1 실린더형 단자(22)의 접촉면(2212)과 균일하게 접촉하고, 이는 돌기(1214a)가 접촉면(2212)과 안정적으로 접촉할 수 있음을 보장한다.
이제, 제1 접촉 단자(12)가 외부 하우징(11)의 단자 공간(R2)으로 삽입될 때 접촉 단자(12)가 어떤 역할을 하는지 설명된다.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접촉 단자(12)가 단자 공간(R2)으로 삽입되지 않은 때, 접힌 부분(1212)은 제1 단자 몸체(122)의 바닥벽(1221) 밖으로 돌출한다.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러한 상태의 제1 접촉 단자(12)는 외부 하우징(11)의 후방 단부를 통해 단자 공간(R2)으로 삽입된다. 도 2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자 공간(R2)으로 삽입되고 있는, 탄성 접촉 피스(121)의 접힌 부분(1212)은 단자 공간(R2)의 플로어(R21)에 의해 들어올려지고, 접힌 부분(1212)은 단자 공간(R2)의 플로어(R21) 위에서 미끄러진다. 도 23a에 도시된 상황에서, 접힌 부분(1212)이 단자 공간(R2)의 플로어(R21)와 접촉하고 있으므로, 탄성 접촉 피스(121)의 접촉부(1214)는 약간 들어올려져 있지만 여전히 비교적 낮은 위치에 있다. 더 구체적으로, 접촉부(1214)는 개구(1222a)(도 5 참조) 밖으로 부분적으로 노출되어 있지만, 개구(1222a) 밖으로 완전히 노출되지 않았고, 즉, 접촉부(1214)의 대부분이 아직 제1 단자 몸체(122) 내에 수용되어 있다.
도 2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접촉 단자(12)가 단자 공간(R2)으로 더 삽입된 때, 접힌 부분(1212)은 단자 공간(R2)의 플로어(R2) 상에 형성된 상승부(116) 위로 지나간다.
상승부(116)는 접촉 단자(12)가 단자 공간(R2)으로 삽입되는 방향(F7)으로 올라가도록 기울어진 경사(1161) 및 경사(1161)의 꼭대기에서 이어진 수평부(1162)를 포함한다.
상승부(116)위로 지나가면, 접힌 부분(1212)은 위로 더 올라간다. 그러므로, 탄성 접촉 피스(121)의 접촉부(1214)는 개구부(1212a) 밖으로 돌출한다. 접힌 부분(1212)이 일어서면, 탄성 접촉 피스(121)의 자유 제2 단부(1213)는 제1 단자 몸체(122)의 바닥벽(1221)을 향해 내려가 바닥벽(1221)에 접하게 된다. 그러므로, 제2 단부(1213)는 탄성 접촉 피스(121)를 지지하기 위한 버팀목 역할을 한다.
제2 단부(1213) 및 제2 만곡부(1216)가 바닥벽(1221)과 접한 결과로서, 접힌 부분(1212) 및 제2 단부(1213)(또는 제2 만곡부(1216))는 그들과 함께 탄성 접촉 피스(121)를 완전히 지지한다. 따라서, 접촉부(1214)가 제1 실린더형 단자(22)와 접촉함으로써 하중을 받게 될 때, 이 하중은 접힌 부분(1212)과 제2 만곡부(1216)로 분산된다. 그러므로, 접힌 부분(1212)이 접촉부(1214) 상에 가해지는 하중으로 인해 유연하게 변형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 가능해지고, 이는 접촉부(1214)가 제1 실린더형 단자(22)와 접촉하는 접촉 하중이 증가될 수 있음을 보장한다.
뿐만 아니라, 자유 제2 단부(1213)가 제1 단자 몸체(122)의 바닥벽에 접하고 있기 때문에, 접촉부(1214)와 제2 단부(1213) 사이의 탄성 접촉 피스(121)의 길이는 제1 단자 몸체(122) 내에서 허용 가능한 길이가 되도록 설계될 수 있다. 따라서, 탄성 접촉 피스(121)는 충분히 긴 스프링 길이를 가질 수 있고, 탄성 접촉 피스(121)는 강화된 스프링 성능을 달성할 수 있다. 게다가, 탄성 접촉 피스(121)는 유연하게 변형되기 힘든 스프링 형상일 수 있다.
제2 단부(1213)가 제2 만곡부(1216)로 이어져 있으므로, 제2 단부(1213)가 바닥벽(1221)과 접할 때 바닥벽(1221)이 손상되지 않는다. 뿐만 아니라, 제2 만곡부(1216)가 바닥벽(1221) 상에서 미끄러지므로, 제2 만곡부(1216)는 바닥벽(1221) 상에서 매끄럽게 이동할 수 있다.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탄성 접촉 피스(121)의 접촉부(1214)는 제1 접촉 단자(12)가 단자 공간(R2)으로 삽입된 후 탄성 접촉 피스(121)가 상승부(116) 위로 지나갈 때까지 개구(1222a) 밖으로 돌출하지 않게 유지된다.
접힌 부분(1212)이 상승부(116) 위로 지나갈 때, 접촉부(1214)는 개구(1222a) 밖으로 돌출하고, 그러므로 제1 단자 몸체(122) 밖으로 노출된다.
제1 단부(1211)와 접힌 부분(1212) 사이에 형성된 제1 만곡부(1215)는 접힌 부분(1212)이 바닥벽(1221)을 향하도록 지향시킨다. 즉, 제1 만곡부(1215)는 탄성 접촉 피스(121)가 구부러지는 각도를 변경시키는 각 변경기로서 역할한다. 탄성 접촉 피스(121)가 제1 단부(1211)와 각 변경기(1215) 사이에서 뻗은 방향은 탄성 접촉 피스(121)가 각 변경기(1215)와 접힌 부분(1212) 사이에서 뻗은 방향과 상이하다. 접힌 부분(1212)이 상승부(116) 위로 지나갈 때, 제1 만곡부(1215)는 접힌 부분(1212)이 제1 단부(1211)에 대하여 구부러진 각도를 변경시키고, 그러므로 제1 만곡부(1215)와 제1 단부(1211) 사이의 탄성 접촉 피스(121)의 일부분이 변형될 수 있다.
제1 만곡부(1215)와 제1 단부(1211) 사이의 탄성 접촉 피스(121)의 일부분은 개구(1222a)를 향해 비스듬히 올라가고, 제1 만곡부(1215)는 접힌 부분(1212)을 바닥벽(1221)을 향해 아래쪽으로 지향시킨다. 그러므로, 접힌 부분(1212)이 상승부(116)와 동일한 높이에 위치한다 하더라도, 제1 만곡부(1215)와 제1 단부(1211) 사이의 탄성 접촉 피스(121)의 일부분은 변형될 수 있고, 그리고 제1 만곡부(1215)는 넓어질 수 있고, 그 결과 제1 만곡부(1215)와 U자형으로 접힌 부분(1212) 사이의 탄성 접촉 피스(121)의 일부분이 변형되는 동안 제1 접촉 단자(12)가 단자 공간(R2) 내에 수용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제1 접촉 단자(12)가 외부 하우징(11)으로 삽입되는 동안 탄성 접촉 피스(121)가 손상 및/또는 변형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 가능하고, 더 나아가 제1 접촉 단자(12)는 외부 하우징(11)으로 삽입된 후 충분한 접촉 압력을 유지할 수 있다.
제1 접촉 단자(12)가 단자 공간(R2)으로 삽입되지 않은 때, 제1 만곡부(1215)는 접힌 부분(1212)을 바닥벽(1221)을 향하게 지향시키는 굴곡을 가진다. 탄성 접촉 피스(121)는 접힌 부분(1212)이 상승부(116) 위로 지나갈 때 상승부(116)의 수평부(1162)(최상면(116a)) 위에 접힌 부분(1212)이 놓여지는 영역(S1)(도 23b 참조)을 가진다. 상승부(116)의 최상면(116a)은 평평하게 형성되어 있고, 탄성 접촉 피스(121)의 영역(S1)은 판 형상으로 형성된다. 그러므로, 접힌 부분(1212)이 상승부(116) 위로 지나갈 때 영역(S1)이 최상면(116a)과 평행하기 때문에, 탄성 접촉 피스(121)는 상승부(116)의 최상면(116a)과 영역(S1)에서 밀접하게 접촉할 수 있다.
접힌 부분(1212)이 평평한 영역(S1) 전체에 상승부(116)의 최상면(116a) 위에 놓여 있으므로, 탄성 접촉 피스(121)의 접촉부(1214)가 제1 실린더형 단자(22)(도 21 참조)와 접촉한 때, 접힌 부분(1212)은 수평부(1162) 상에서 지지되고 제1 실린더형 단자(22)와 접촉부(1214) 간의 접촉 압력을 접힌 부분(1212)의 영역(S1)이 균일하게 그리고 완전히 받게 된다. 그러므로, 제1 실린더형 단자(22) 상에서 접촉부(1214)를 균일하게 누르는 것이 가능하다.
이 실시예에서, 탄성 접촉 피스(121)는 탄성 변경기로 역할하는 제1 만곡부(1215)를 포함한다. 그러므로, 탄성 접촉 피스(121)의 만곡 정도는 제1 만곡부(1215)가 형성된 위치에서 감소된다. 이와 반대로, 탄성 접촉 피스(121)의 만곡 정도는 그 대신 증가될 수도 있다. 도 24 및 25에 도시된 탄성 접촉 피스(121x)는 탄성 변경기로 역할하는 잘록한 부분(1217)을 포함한다. 잘록한 부분(1217)은 직방형 형상의 영역(S2)의 양측 가장자리를 수축시켜 형성된다. 잘록한 부분(1217)을 형성함으로써, 잘록한 부분(1217)은 접힌 부분(1212)이 상승부(116)에 의해 들어 올려질 때(도 23b 참조) 탄성 접촉 피스(121)의 만곡 정도를 감소시킨다. 그러므로, 탄성 접촉 피스(121)는 잘록한 부분(1217)이 형성된 위치에서 변형될 수 있다.
그러므로, 접힌 부분(1212)이 상승부(116)와 동일한 높이에 위치하더라도, 탄성 접촉 피스(121)가 변형되므로, 제1 접촉 단자(12)는 접힌 부분(1212)의 형상을 유지하면서 단자 공간(R2) 내에 수용될 수 있다.
이제, 제1 접촉 단자(12)가 단자 공간(R2)으로 삽입될 때 랜스(1224)가 어떤 역할을 하는지 설명된다.
제1 접촉 단자(12)는 단자 공간(R2) 내에 수용되어 있다. 도 23a 및 2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끼워맞춤 홀(R2A) 및 제2 고정 홀(R2B)이 단자 공간(R2) 내에 형성되어 있다. 제1 끼워맞춤 홀(R2A)은 제1 단자 몸체(122)의 바닥벽(1221)과 마주보는 플로어(R21); 상벽(1222)과 마주보는 천장(R22); 및 측벽(1223)과 마주보는 도 26 및 27의 측벽(R23)을 포함하도록 형성된다. 제2 고정 홀(R2B)은 제1 접촉 단자(12)가 단자 공간(R2)으로 삽입되는 방향(F7)으로 제1 끼워맞춤 홀(R2A)보다 더 깊은 위치에 있다. 제2 고정 홀(R2B)홀은 제1 끼워맞춤 홀(R2A)보다 수직으로 더 길고, 제1 끼워맞춤 홀(R2A)보다 수평으로 더 길다.
제1 접촉 단자(12)가 먼저 제1 끼워맞춤 홀(R2A)로 들어간다. 제1 단자 몸체(122)의 측벽(1223)에서부터 서 있는 랜스(1224)는 서로 마주보는 제1 끼워맞춤 홀(R2A)의 한 쌍의 측벽(R23)에 의해 눌러지고, 그러므로 제1 접촉 단자(12)가 전진하는 동안 변형되어 유지된다.
도 2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접촉 단자(12)가 랜스(1224)를 누르고 있는 측벽(R23)을 통과하여 제2 고정 홀(R2B)에 도달한 때, 랜스(1224)는 측벽(R23)에 의해 더 이상 눌러지지 않고, 그 원래의 형태로 되돌아간다. 그러므로, 랜스(1224)는 제1 단자 몸체(122)와 측벽(R23) 사이의 갭보다 더 넓어지게 된다. 따라서, 제1 접촉 단자(12)가 단자 공간(R2)으로부터 잡아 당겨져 빼내지도록 시도되더라도, 랜스(1224)는 측벽(R23)에 의해 잡히게 되고, 그러므로 제1 접촉 단자(12)가 단자 공간(R2)으로부터 잡아 당겨져 빠지는 것이 방지된다.
랜스(1224)는 돌출부(1224c)를 포함한다. 단자 공간(R2)의 측벽(R23)과 랜스(1224) 사이에 제2 경사부(1224n)가 통과할 수 있는 갭(S0)이 형성된다.
예를 들어, 제1 접촉 단자(12)가 단자 공간(R2)으로 삽입될 때, 랜스(1224)가 그 근단부에서 단자 공간(R2)의 측벽(R23)에 의해 눌러지고 있다면, 랜스(1224)는 그 근단부가 닫히도록 유연하게 변형되고, 따라서 랜스(1224)는 넓어질 수 없다. 이러한 조건에서, 제1 접촉 단자(12)는 케이블(C1)이 강하게 잡아 당겨진다면 단자 공간(R2)로부터 쉽게 잡아 당겨져 빠질 수 있다.
그러나, 제2 경사부(1224n)의 돌출부(1224c)가 통과할 수 있는 갭(S0)이 단자 공간(R2)의 측벽(R23)과 랜스(1224) 사이에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제1 단자 몸체(122)와 측벽(R23) 사이에 충분한 갭이 보장될 수 있다.
갭(S0)은 랜스(1224)가 제2 경사부(1224n)의 근단부(1224a)보다 개방 단부(1224b)에 더 가까운 지점(P1)에서 측벽(R23)과 접촉하게 한다. 제1 접촉 단자(12)와 측벽(R23) 사이에 형성된 갭(S0)은 랜스(1224)의 전체 길이의 중간보다 개방 단부(1224b)와 더 가까운 지점에서 측벽(R23)이 랜스(1224)와 접촉하도록 설계된다.
따라서, 눌러진 랜스(1224)가 그 원래의 형태로 되돌아가 랜스(1224)의 개방 단부(1224b)가 유연하게 변형되는 것을 방지하기를 원하는 탄성력을 유지하는 것이 가능하다. 그러므로, 랜스(1224)는 단자 공간(R2)의 측벽(R23)과 충분한 길이만큼 맞물릴 수 있고, 이는 제1 접촉 단자(12)가 뒤로 잡아 당겨진다 하더라도, 제1 접촉 단자(12)가 단자 공간(R2)으로부터 당겨져 빠지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 가능함을 보장한다.
그러므로, 제1 접촉 단자(12)는 외부 하우징(11)의 단자 공간(R2) 내에 삽입되어 유지될 수 있고, 이는 제1 접촉 단자(12)와 제1 실린더형 단자(22) 간의 전기적 접속에 대한 높은 신뢰도를 보장한다.
예를 들어, 랜스(1224)가 돌출부(1224c)를 포함하지 않도록 설계되었고 그러므로 제2 경사부(1224n)가 일정한 각도로 기울어져 있다고 가정해보자. 랜스(1224)가 현재의 것보다 더 길게 설계되었다면, 측벽(R23)이 랜스(1224)의 근단부와 접촉할 때 랜스(1224)는 제1 단자 몸체(122)로부터 더 먼 위치에서 단자 공간(R2)의 측벽(R23)과 접촉한다. 그러므로, 단자 공간(R2)의 측벽(R23)과 제1 단자 몸체(122) 사이에 형성된 갭이 넓어질 수 있으므로, 측벽(R23)이 랜스(1224)의 근단부와 접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 가능하다.
그러나, 랜스(1224)가 더 길게 설계되지 않는다면, 랜스(1224)가 제1 끼워맞춤 홀(R2A) 내에서 측벽(R23)과 접촉하는 동안 제2 고정 홀(R2B) 내에 수용되기 때문에, 랜스(1224)가 더 길어진 거리만큼 제1 접촉 단자(12)를 더 전진시키는 것이 필요하다. 그러므로, 제2 고정 홀(R2B)을 더 길게 만드는 것이 필수적이다.
그러나, 랜스(1224)의 돌출부(1224c)가 제1 단자 몸체(122)와 개방 단부(1224b) 사이의 경사각이 제1 단자 몸체(122)와 제1 접촉 단자(12)의 근단부(1224a) 사이의 경사각보다 크도록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제1 단자 몸체(122)와 측벽(R23) 사이에 형성된 갭이 넓다 하더라도, 랜스(1224)의 돌출부(1224c)가 측벽(R23)과 맞물리는 것이 가능하고 그러므로 제2 고정 홀(R2B)을 길게 설계할 필요가 없다.
눌리지 않은 랜스(1224)의 돌출부(1224c)는 단자 공간(R23)으로 들어갈 때 측벽(R23)에서 미끄러지고, 측벽(R23)에 의해 눌려진다. 각각의 돌출부(1224c)는 각각의 돌출부(1224c)와 각각의 측벽(1223) 사이의 갭이 각각의 개방 단부(1224b)와 더 가까운 위치에서 더 크도록 형성된다. 따라서, 제1 접촉 단자(12)가 단자 공간(R2)으로 전진할 때 각각의 측벽(R23)이 랜스(1224)와 접촉하는 위치는 각각의 개방 단부(1224b)를 향해 이동하기 때문에, 랜스(1224)는 각각의 돌출부(1224c)와 각각의 측벽(1223) 사이의 앞서 언급한 갭을 따라 점점 더 닫힐 수 있다. 그러므로, 제1 접촉 단자(12)는 랜스(1224)가 측벽(R23)에 의해 방해 받지 않으면서 단자 공간(R2)으로 매끄럽게 삽입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각각의 돌출부(1224c)가 각각의 돌출부(1224c)와 각각의 측벽(1223) 사이의 갭이 각각의 개방 단부(1224b)에 더 가까운 위치일수록 더 크도록 형성되어 있으므로, 돌출부(1224c)의 개방 단부(1224b)가 눌림 및/또는 컬랩싱(collapse)에 대한 강화된 저항력을 가지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제1 접촉 단자(12)가 단자 공간(R2)을 향해 전진할 때 측벽(R23)에 의해 랜스(1224)에 가해지는 누르는 힘의 증가로 인해 돌출부(1224c)가 변형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 가능하다.
뿐만 아니라, 랜스(1224)가 제1 단자 몸체(122)의 측벽(1223)의 일부분 둘레에 절단선을 형성하고 그 부분을 바깥쪽으로 벌려서 형성되기 때문에, 랜스(1224)를 형성하기 위해 제1 단자 몸체(122)에 임의의 별도의 부품을 부착시킬 필요가 없다. 그러므로, 랜스(1224)는 쉽게 제조될 수 있다.
도 27 및 도 28에 도시된 랜스(1224)는 돌출부(1224c)를 포함하도록 설계되어 있다. 돌출부(1224c) 대신에, 랜스(1224)는 랜스(1224)의 개방 단부를 접어서 형성된 접힌 부분을 포함하도록 설계될 수도 있다.
도 28 및 도 29는 제1 변형에 따른, 랜스의 개방 단부를 접어서 형성된 접힌 부분을 포함하는 랜스(1224x)를 도시한다.
도 28 및 도 2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랜스(1224x)는 제1 단자 몸체(122)로부터 근단부(1224a)에서 뻗어 있는 제1 경사부(1224m), 및 서로 적층된 2개의 층이 되도록 제1 부분(1224m)의 개방 단부를 바깥쪽으로 접어 형성된 접힌 부분(1224d) 또는 접힌 부분(1224d)으로 이루어진 제2 경사부(1224n)를 포함한다. 랜스(1224x)는 제1 단자 몸체(122)의 측벽(1223)의 일부분 둘레에 절단선을 형성하고 그 부분을 측벽(1223)에 대하여 일으켜 세움으로써 만들어진다.
각각의 접힌 부분(1224d)은 제1 단자 몸체(122)의 측벽(1223)에 대하여 기울어진 제1 부분(1224m)의 바깥쪽에 위치한다. 따라서, 제1 접촉 단자(12x)가 제2 고정 홀(R2B)로 삽입될 때 제1 접촉 단자(12x)의 제1 단자 몸체(122)와 각각의 측벽(R23) 사이에 측벽(R23)이 랜스(1224x)의 근단부(1224a)와 접촉하지 않도록 하는 갭(S0)을 형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제1 변형에서, 측벽(R23)은 제1 접촉 단자(12x)가 단자 공간(R2)으로 삽입될 때, 랜스(1224x)의 중심보다 개방 단부(1224b)와 가까운 위치에서 랜스(1224x)와 접촉한다. 도 28에서, 측벽(R23)은 랜스(1224x)의 제2 부분(1224n)과 접촉한다. 따라서, 눌려진 랜스(1224x)가 자신의 원래의 형태로 돌아가고자 하는 탄성력을 유지하는 것이 가능하고, 그로 인해 제1 접촉 단자(12x)가 뒤로 잡아 당겨질 때에도 제1 접촉 단자(12x)가 단자 공간(R2)으로부터 빠지는 것이 방지된다.
접힌 부분(1224d)은 랜스(1224x)가 제1 부분(1224m)의 경사각보다 더 바깥쪽 위치에서 측벽(R23)과 접촉하는 것을 가능하게 만든다. 그러므로, 갭(S0)이 넓게 형성되더라도, 랜스(1224x)는 제2 고정 홀(R2B)을 더 길게 제조하지 않고도 측벽(R23)과 맞물릴 수 있다.
랜스(1224x)의 개방 단부(1224b)가 접힌 부분(1224d)을 형성하도록 바깥쪽으로 접혀 있으므로, 접힌 부분(1224d)의 끝단면(1224e)은 측벽(R23)의 끝단면(R23a)과 서로 마주본다. 각각의 끝단면(R23a) 상에, 측벽(R23)의 개방 단부를 넓히기 위해 경사면(R23b)이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접힌 부분(1224d)이 경사면(R23b) 상에서 미끄러지는 동안, 그 사이에 점점 감소하는 공간을 가지는 제1 끼워맞춤 홀(R2A)로 랜스(1224x)를 삽입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28 및 도 29에서, 경사면(R23b)은 측벽(R23) 상에 형성되어 있다. 대안으로서, 경사면(R23b)은 그 대신 끝단면(1224e)에 형성될 수도 있다.
도 30 및 도 31은 제2 변형에 따른 랜스(1224y)를 도시한다. 제2 변형에서, 경사부는 접촉 단자의 랜스의 개방 단부를 접어 형성된다.
도 30 및 도 3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랜스(1224y)는 근단부(1224a)에서 뻗어 있는 제1 경사부(1224m) 및 개방 단부(1224b)를 바깥쪽으로 구부려 형성된 경사(1224f)를 가지는 제2 경사부(1224n)를 포함한다.
개방 단부(1224b)를 바깥쪽으로 구부려 형성된 경사(1224f)는 제1 부분(1224m)의 경사각 밖에 위치한다. 따라서, 제1 접촉 단자(12y)가 제2 고정 홀(R2B)로 삽입될 때 제1 접촉 단자(12y)의 제1 단자 몸체(122)와 각각의 측벽(R23) 사이에 측벽(R23)이 랜스(1224y)의 근단부(1224a)와 접촉하지 않도록 하는 갭(S0)을 형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제2 변형에서, 제1 변형과 유사하게, 측벽(R23)은 제1 접촉 단자(12y)가 단자 공간(R2)으로 삽입될 때 랜스(1224y)의 중심보다 개방 단부와 더 가까운 위치에서 랜스(1224y)와 접촉한다. 도 30에서, 측벽(R23)은 랜스(1224y)의 제2 부분(1224n)과 접촉한다. 따라서, 눌러진 랜스(1224y)가 그 원래의 형태로 돌아가고자 하는 탄성력을 유지하는 것이 가능하고, 그로 인해 제1 접촉 단자(12y)가 뒤로 잡아 당겨지더라도 제1 접촉 단자(12y)가 단자 공간(R2)에서 빠지는 것이 방지된다.
뿐만 아니라, 경사(1224f)는 랜스(1224y)가 제1 부분(1224m)의 경사각을 벗어난 위치에서 측벽(R23)과 접촉하는 것을 가능하게 만든다. 그러므로, 갭(S0)이 넓게 형성되더라도, 랜스(1224y)는 제2 고정 홀(R2B)을 더 길게 만들지 않고도 측벽(R23)과 맞물릴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제1 및 제2 하우징은 각각 외부 및 내부 하우징(11 및 21)으로 정의된다. 대안으로서, 제1 및 제2 하우징은 각각 내부 및 외부 하우징(21 및 11)으로 정의된다.
본 발명에 따른 전기 커넥터는 글로 플러그(glow plug)에 장착되는 커넥터, 연소 압력 센서와 와이어 하네스를 서로 접속시키는 커넥터, 케이블들을 서로 접속시키는 커넥터, 다양한 전기/전자 장치 내에 장착된 커넥터, 및 자동차에 장착된 커넥터로서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전기 커넥터는 전기/전자 산업 및 자동차 산업과 같은 다양한 분양에서 채용될 수 있다.

Claims (10)

  1. 커넥터 단자로서,
    하우징 내에 형성된 단자 공간으로 삽입되도록 동작 가능한 단자 몸체; 및
    상기 단자 몸체 내에 배열된 탄성 접촉 피스를 포함하고,
    상기 단자 몸체는:
    제1 개구를 가진 상벽; 및
    상기 상벽과 마주보고 그로부터 떨어져 있는 바닥벽을 포함하고,
    상기 탄성 접촉 피스는:
    상기 바닥벽에 고정된 제1 단부;
    상기 상벽과 접한 자유단인 제2 단부; 및
    상기 제1 단부와 제2 단부 사이에 위치한 대체로 U자형으로 접힌 부분을 포함하고,
    상기 단자 공간은 상기 바닥벽에서부터 상기 상벽을 향해 일정 높이를 가지는 상승된 부분을 포함하고; 그리고
    상기 단자 몸체가 단자 공간으로 삽입될 때, 상기 접힌 부분은 상기 상승된 부분 위로 지나가고, 상기 탄성 접촉 피스의 일부분은 제1 개구 밖으로 이동하고, 상기 제2 단부는 상기 바닥벽과 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단자.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 접촉 피스는 상기 제1 단부와 상기 접힌 부분 사이에서 상기 탄성 접촉 피스가 구부러지는 각도를 변경하는 각 변경기를 더 포함하고, 그리고
    상기 탄성 접촉 피스가 상기 제1 단부와 상기 각 변경기 사이로 뻗어 있는 제1 방향은 상기 탄성 접촉 피스가 서로로부터 상기 각 변경기와 상기 접힌 부분 사이로 뻗어 있는 제2 방향과 상이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단자.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각 변경기는 상기 접힌 부분을 상기 바닥벽으로 지향시키는 만곡부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단자.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단부와 상기 각 변경기 사이의 상기 탄성 접촉 피스의 제1 부분은 상기 상벽을 향해 기울어져 있고; 그리고
    상기 각 변경기와 상기 접힌 부분 사이의 상기 탄성 접촉 피스의 제2 부분은 상기 바닥벽을 향해 기울어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단자.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접힌 부분의 일부분은 상기 제1 개구를 통해 상기 단자 몸체로부터 바깥쪽으로 돌출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단자.
  6.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각 변경기는 상기 탄성 접촉 피스의 나머지보다 더 작은 폭을 가진 영역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단자.
  7.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 접촉 피스는 상기 상벽에서 상기 바닥벽까지 볼록부를 형성하는 만곡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 단부는 상기 만곡부까지 이어져 있고, 그리고
    상기 접힌 부분이 상기 상승된 부분 위로 지나갈 때, 상기 제2 단부가 아니라 상기 만곡부가 상기 바닥벽과 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단자.
  8.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 접촉 피스는 그것과 접촉하는 실린더형 단자의 축방향으로 뻗어 있고; 그리고
    상기 탄성 접촉 피스의 일부분은 상기 실린더형 단자의 둘레 면을 따른 아치형 외측면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단자.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 접촉 피스의 일부분의 외측면 상에 상기 실린더형 단자의 축방향으로 뻗어 있는 복수의 돌기가 형성되어 있고; 그리고
    상기 복수의 돌기는 상기 실린더형 단자의 둘레 방향으로 배열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단자.
  10.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상승된 부분은:
    상기 바닥벽에서 상기 상벽까지 기울어진 경사; 및
    상기 경사의 꼭대기에서 이어진 수평부를 포함하고, 그리고
    상기 접힌 부분은 상기 수평부 위로 지나가, 상기 접힌 부분의 일부분이 상기 수평부의 표면과 접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단자.
KR1020170012598A 2014-12-12 2017-01-26 커넥터 단자 KR10173262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4252494A JP5862755B1 (ja) 2014-12-12 2014-12-12 コネクタ端子
JPJP-P-2014-252494 2014-12-12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74685A Division KR20160072035A (ko) 2014-12-12 2015-12-09 커넥터 단자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15421A true KR20170015421A (ko) 2017-02-08
KR101732622B1 KR101732622B1 (ko) 2017-05-04

Family

ID=55305518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74685A KR20160072035A (ko) 2014-12-12 2015-12-09 커넥터 단자
KR1020170012598A KR101732622B1 (ko) 2014-12-12 2017-01-26 커넥터 단자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74685A KR20160072035A (ko) 2014-12-12 2015-12-09 커넥터 단자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9425532B2 (ko)
JP (1) JP5862755B1 (ko)
KR (2) KR20160072035A (ko)
CN (1) CN105703118B (ko)
DE (1) DE102015225000A1 (ko)
FR (1) FR303012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7149542B2 (ja) * 2020-05-27 2022-10-07 矢崎総業株式会社 コネクタ
JP7189178B2 (ja) * 2020-05-27 2022-12-13 矢崎総業株式会社 コネクタ

Family Cites Families (2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357066A (en) * 1980-05-27 1982-11-02 Ford Motor Company Printed circuit board edge terminal
JP2598581Y2 (ja) * 1991-12-03 1999-08-16 矢崎総業株式会社 コネクタ
JPH0737265A (ja) 1993-07-23 1995-02-07 Omron Corp 光情報記録装置
JP3533536B2 (ja) * 1994-07-11 2004-05-31 住友電装株式会社 雌端子金具
JP3075461B2 (ja) * 1994-12-09 2000-08-14 矢崎総業株式会社 基板用接触端子
JP3067975B2 (ja) 1995-07-19 2000-07-24 イリソ電子工業株式会社 多芯丸形のプラグコネクタ及びリセプタクルコネクタ
JP3319292B2 (ja) * 1996-07-26 2002-08-26 住友電装株式会社 雌側端子金具
JP3494850B2 (ja) 1997-06-12 2004-02-09 矢崎総業株式会社 コネクタ用端子
JP3480707B2 (ja) * 2000-01-28 2003-12-22 住友電装株式会社 雌端子金具
JP2002063961A (ja) * 2000-06-07 2002-02-28 Yazaki Corp 雌端子、及び、雌端子と雄端子との接続構造
US6398590B2 (en) 2000-07-11 2002-06-04 Tyco Electronics Corporation Nonpolarized electrical connector assembly especially for use as automotive squib connector
JP2002184502A (ja) * 2000-12-18 2002-06-28 Jst Mfg Co Ltd 電気コネクタ
JP3770205B2 (ja) * 2002-05-24 2006-04-26 住友電装株式会社 端子金具
US7004778B2 (en) 2003-07-07 2006-02-28 Kent Barker Electrical connection apparatus and method for an airbag inflator
JP3959057B2 (ja) 2003-09-10 2007-08-15 日本圧着端子製造株式会社 端子、及びこれを利用したアッセンブリー
US20100041283A1 (en) * 2005-11-30 2010-02-18 Stephane Hernandez Electrical Contact With Biasing Device
CN201041855Y (zh) * 2007-03-20 2008-03-26 富士康(昆山)电脑接插件有限公司 电连接器端子
JP2011216439A (ja) 2010-04-02 2011-10-27 Yamaichi Electronics Co Ltd カードコネクタ用弾性コンタクト片及びそれを備えるカードコネクタ
JP2013118102A (ja) * 2011-12-02 2013-06-13 Yazaki Corp 雌端子構造
JP5454608B2 (ja) 2012-04-19 2014-03-26 第一精工株式会社 コネクタ端子
JP2014049375A (ja) * 2012-09-03 2014-03-17 Yazaki Corp 接続端子
US8998629B2 (en) * 2013-05-31 2015-04-07 Dai-Ichi Seiko Co., Ltd. Terminal and connector including the same
CN203466327U (zh) * 2013-09-25 2014-03-05 昆山嘉华电子有限公司 电连接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102015225000A1 (de) 2016-06-16
FR3030129B1 (fr) 2019-07-05
FR3030129A1 (fr) 2016-06-17
US9425532B2 (en) 2016-08-23
JP2016115498A (ja) 2016-06-23
US20160172778A1 (en) 2016-06-16
KR101732622B1 (ko) 2017-05-04
CN105703118B (zh) 2018-01-09
CN105703118A (zh) 2016-06-22
JP5862755B1 (ja) 2016-02-16
KR20160072035A (ko) 2016-06-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51268B1 (ko) 전기 커넥팅 모듈
KR101753323B1 (ko) 전기 커넥터 및 커넥터 단자
US7717755B2 (en) Electrical connector with improved contacts
JP5831611B1 (ja) コネクタ端子の接続構造
KR101759575B1 (ko) 커넥터 단자
KR101732622B1 (ko) 커넥터 단자
WO2017195013A1 (en) Connector terminal assembly with additional contacting surface(s)
JP5762187B2 (ja) コネクタの誤挿入防止構造
KR200484359Y1 (ko) 동축 잭 커넥터
US9685725B2 (en) Connector
JP4543410B2 (ja) 同軸コネクタ
EP1804344A2 (en) Electrical connector having flexible mating portion
CN108155502B (zh) 连接端子及连接器
KR101493986B1 (ko) 탭터미널 및 이를 포함하는 터미널 어셈블리
KR101714402B1 (ko) 저삽입력 소켓형 터미널
JP2005243584A (ja) 同軸コネクタ
JP5630532B1 (ja) 電気コネクタのハウジング
JP2005158330A (ja) コネクタソケット
KR20100118439A (ko) 터미널
KR20100001180U (ko) 탭터미널 및 이를 포함하는 터미널 어셈블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